KR20030058915A - 이동통신 단말기의 채널보상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채널보상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8915A
KR20030058915A KR1020020076669A KR20020076669A KR20030058915A KR 20030058915 A KR20030058915 A KR 20030058915A KR 1020020076669 A KR1020020076669 A KR 1020020076669A KR 20020076669 A KR20020076669 A KR 20020076669A KR 20030058915 A KR20030058915 A KR 200300589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value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6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4277B1 (ko
Inventor
송훈근
박탄중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0/330,548 priority Critical patent/US7058361B2/en
Publication of KR20030058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8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4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42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1/7097Interference-related aspects
    • H04B1/711Interference-related aspects the interference being multi-path interference
    • H04B1/7115Constructive combining of multi-path signals, i.e. RAKE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채널보상장치 및 방법은 무선채널에서 발생되는 채널변동에 따라 에너지 누적구간을 변동시켜 채널 예측값을 산출함으로써 채널예측 에러를 줄여 보다 정확한 채널보상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종래에는 에너지 누적구간이 4T로 고정되어 있었기 때문에 단말기의 이동속도의 변화에 따라 적절히 대응할 수 없었지만 본 발명은 단말기의 이동속도에 따라 에너지 누적구간을 적응적으로 변경시켜 보다 정확한 채널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채널보상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COMPENSATING CHANNEL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의 채널보상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CDMA대역확산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이동통신 시스템은 순방향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STTD(space-time transmit diversity)를 이용한다. 상기 방법은 변조단에서 출력되는 연속된 두 심볼을 동일한 정보를 갖지만 서로 직교하도록 시간-공간코딩하여 각각 두 개의 안테나로 전송하고, 단말기의 레이크(Rake) 수신기에서 안테나별로 서로 다른 무선채널경로를 거친 신호의 채널위상 왜곡을 보상함으로써 전송된 심볼을 복조하는 방법이다.
상기 수신신호의 복조는 각 안테나별로 서로 다른 채널경로를 거친 신호들의 채널위상을 얼마나 정확히 예측하는냐에 의해 결정되며 이는 시스템 전체의 성능을 좌우한다. 이를 위하여 기지국은 데이터와 함께 미리 약속된 데이터패턴인 파일럿신호를 전송하고, 단말기는 상기 파일럿신호를 수신하여 채널왜곡정보를 추출한다.
도 1은 종래의 광대역 이동통신 시스템의 레이크 수신기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종래의 레이크 수신기는 확산코드를 이용하여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역 확산시키는 디스크램블러(descrambler)(4)와, 확산인자(Spreading Factor)를 이용하여 디스크램블러(4)의 출력신호를 채널별로 분리하는 역 채널화부(5)와, 디스크랩블러(4)의 출력신호에서 각 채널의 위상왜곡을 예측하는 채널 예측기(6)와, 채널 예측기(6)에서 출력된 위상왜곡을 근거로 역 채널화부(5)의 출력신호에 대한 채널위상을 보상하는 복조부(7)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레이크 수신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지국에서 전송된 순방향 링크신호는 안테나를 통하여 레이크 수신기의 각 핑거로 할당된다. 이렇게 할당된 신호는 셀 탐색기(미도시)에서 출력된 각각의 멀티패스위치에 동기된 다음 확산코드와 확산인자에 의해 심볼단위로 상관된다.
즉, 디스크램블러(4)는 코드발생기(미도시)에서 출력된 확산코드를 이용하여 수신신호를 역 확산시킨다. 역 채널화부(5)는 코드발생기(미도시)에서 출력된 확산인자를 이용하여 디스크램블러(4)의 출력신호를 채널별로 분리하고, 채널 예측기(6)는 디스크램블러(4)의 출력신호에서 각 채널(안테나 1 및 2)의 채널 위상왜곡값을 예측한다.
따라서, 복조부(7)는 채널 예측기(6)에서 출력된 채널 위상왜곡값을 근거로 역 채널화부(5)의 출력신호에 대한 위상왜곡(채널 경로왜곡)을 보상한 후 디코딩하여 심볼신호를 출력한다.
도 2는 채널 예측기의 일 실시예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채널 예측기는 핑거를 통해 입력된 신호에 스크램블링 코드(Csc)를 곱하여 I신호와 Q신호로 분리하는 제1안테나용 믹서(Mixer)(10)와, 믹서(10)에서 출력된 I신호를 처리하여 I채널에 대한 채널위상 왜곡값을 출력하는 I채널 처리기(12)와, 믹서(10)에서 출력된 Q신호를 처리하여 Q채널에 대한 채널위상 왜곡값을 출력하는 Q채널 처리기(14)를 포함한다.
또한, 채널 예측기는 핑거를 통해 입력된 신호에 스크램블링 코드(Csc)를 곱하여 I신호와 Q신호로 분리하는 제2안테나용 믹서(20)와, 믹서(20)에서 출력된 I신호를 처리하여 I채널에 대한 채널위상 왜곡값을 출력하는 I채널 처리기(22)와, 믹서(20)에서 출력된 Q신호를 처리하여 Q채널에 대한 채널위상 왜곡값을 발생하는 Q채널 처리기(24)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2안테나용 I채널 처리기(22) 및 Q채널 처리기(24)는 심볼패턴 A를 부가하기 위한 믹서를 추가로 포함하는데, 이는 전체 동작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I채널 처리기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핑거를 통하여 입력된 신호(Ri, i는 핑거)는 믹서(10)에서 I신호와 Q신호로 분리되어, I신호와 Q신호는 I채널 처리기(12)와 Q채널 처리기(14)로 입력된다. I채널 처리기(12)와 Q채널 처리기(14)의 믹서(50),(60)들은 각각 I신호와 Q신호에 채널화코드(Cch)를 곱하여 채널을 분리하고, 가산기(52),(62)들은 채널화된 신호에서 동일한 위상을 갖는 채널을 분리한다.
그런데, 송신단(기지국)의 안테나 1 및 안테나 2에서 출력되는 심볼패턴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 프레임에서 4개의 심볼이 하나의 그룹을 이루는 심볼패턴 그룹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때, A는 1 심볼을 의미하며 256칩동안 유지된다. 따라서, 누산기(54),(64)들은 각각 가산기(52),962)들의 출력신호를 4T(T: 1심볼 주기)동안 누적하여 이동평균(Moving average)을 구함으로써, 안테나 1의 I채널 및 Q채널을 위한 채널위상 왜곡값을 출력한다. 이때, 4T동안 채널변화는 없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동작은 안테나 2를 위한 I채널 처리기(22) 및 Q채널 처리기(24)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종래에는 각 핑거에 할당된 채널신호를 소정의 에너지 누적구간(4T)동안 누적 가산하여 안테나 1 및 안테나 2를 위한 채널위상 왜곡값을 출력한다.
일반적으로 페이딩현상은 자연현상과 인공구조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데, 매 순간마다 변화되는 전송경로상에서 발생한다. 또한, 기지국사이에서 이동통신 단말기가 이동할 때 도플러효과에 의해 전방으로 나오는 전파의 주파수는 증가하지만 후방으로 나오는 전파는 감소한다. 페이딩 현상은 상기와 같은 전파가 수신되고 결합될 때 발생되는 크기와 위상왜곡에 의해 수신레벨이 변동하는 현상으로서 전송품질의 저하를 야기시킨다.
예를들어, 단말기가 핸드오버상태에 있을 경우 각 핑거에 할당되는 신호는 기지국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도파수를 갖게 되며, 이로 인하여 위상과 크기도 다른 값을 갖게 된다. 또한, 기지국사이에서 이동통신 단말기가 이동하는 경우 전송신호는 서로 다른 독립적인 다중경로 환경을 통하여 각 핑거로 입력된다.
따라서, 단말기의 이동속도, 기지국의 위치 및 다중경로에 따라 차별적인 채널예측을 수행하여, 페이딩현상 및 도플러주파수의 영향을 보상해야만 단말기의 전송품질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단말기의 이동속도에 관계없이 각 핑거마다 고정된 에너지 누적구간(4T)동안 이동평균을 구하여 채널 왜곡값을 산출함으로써 채널 크기 왜곡값 및 채널 위상 왜곡값에 에러가 발생되어 전체 단말기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기의 도플러특성에 따라 채널예측을 보상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채널보상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채널의 변동에 따라 가변적인 채널예측구간을 사용함으로써 채널예측에러를 감소시킬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채널보상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말기의 이동속도에 따라 채널예측을 적응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채널 예측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채널보상방법은 수신신호를 역확산시키는 과정과; 역확산된 신호를 채널별로 분리하는 과정과; 역확산된 신호를 처리하여 채널 예측값을 산출하는 과정과; 산출된 채널 예측값을 모니터링하여 무선채널의 변동을 검출하고, 검출된 무선채널의 변동에 따라 상기 채널 예측값을 보상하는 과정과; 보상된 채널예측값을 이용하여 상기 채널별로 분리된 신호를 보상하는 과정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채널예측값 보상과정은 소정 시간동안 채널예측값의 변동을 카운트하는 과정과; 카운트값이 기준값보다 작은지 체크하는 과정과; 카운트값이 기준값보다 작으면 채널 예측값을 산출하기 위한 에너지 누적구간을 길게 하고, 카운트값이 기준값보다 크면 채널 예측값을 산출하기 위한 에너지 누적구간을 짧게 하는 과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에너지 누적구간은 카운트값이 기준값보다 작으면 2T의 배수로 설정되고(최대 6T), 카운트값이 기준값보다 작으면 2T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채널보상방법은 수신신호를 채널신호로 변환하는 과정과;소정의 에너지 누적구간동안 상기 채널신호의 이동평균을 구하여 채널 예측값을 산출하는 과정과; 산출된 채널 예측값을 근거로 단말기의 이동속도를 측정하는 과정과; 측정된 단말기의 이동속도에 따라 상기 에너지 누적구간을 변경하는 과정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에너지 누적구간은 단말기의 이동속도에 따라 최소 2T에서 최대 6T까지 적응적으로 설정되며, 단말기의 이동속도가 느린 경우는 2T의 배수로 설정되고, 단말기의 이동속도가 빠른 경우는 2T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누적구간 변경과정은 소정 시간동안 채널예측값의 변동을 카운트하는 과정과; 카운트값이 기준값보다 작은지 체크하는 과정과; 카운트값이 기준값보다 작으면 채널 예측값을 산출하기 위한 에너지 누적구간을 길게 하고, 카운트값이 기준값보다 크면 채널 예측값을 산출하기 위한 에너지 누적구간을 짧게 하는 과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채널보상장치는 역확산된 수신신호를 채널별로 분리하는 역채널화부와; 역확산된 수신신호를 처리하여 채널 예측값을 산출하는 채널 예측기와; 산출된 채널 예측값을 모니터링하여 무선채널의 변동을 검출하고, 검출된 무선채널의 변동에 따라 상기 채널 예측값을 보상하는 채널예측 제어기와; 채널예측기에서 출력된 채널예측값을이용하여 상기 채널별로 분리된 신호에 대한 채널 경로왜곡을 보상하는 복조부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채널예측 제어기는 카운트값이 기준값보다 크면 에너지 누적구간을 짧게 제어하고, 카운트값이 기준값보다 작으면 에너지 누적구간을 길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채널예측기는 핑거를 통해 입력된 수신신호를 채널신호로 분리하는 Mixer와; 소정의 누적구간동안 상기 분리된 채널신호의 Moving average를 산출하여 채널위상 왜곡값을 발생하는 채널 처리기와; 채널 처리기의 채널위상 왜곡값을 근거로 단말기의 이동속도를 검출하여, 상기 누적구간을 제어하는 도플러 속도 검출기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채널 처리기는 안테나 1을 위한 I채널 또는 Q채널 처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채널 처리기는 안테나 2을 위한 I채널 또는 Q채널 처리기이며, 각 핑거마다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도플러 속도 검출기는 2T동안 채널위상 왜곡값의 변동을 카운트하여 단말기의 이동속도를 판단하여, 단말기의 이동속도에 따라 최소 2T에서 최대 6T까지 적응적으로 누적구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도플러 속도 검출기는 단말기의 이동속도가 느린 경우는 에너지 누적구간을 2T의 배수로 설정하고, 단말기의 이동속도가 빠른 경우는 2T로 설정한다
도 1은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의 채널보상장치의 블럭도.
도 2는 도 1에 있어서 채널 예측기의 상세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안테나 1 및 안테나 2의 심볼패턴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채널보상장치의 블록도.
도 5는 도 4에서 채널예측 제어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채널보상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 : 디스크램블러5 : 역 채널화부
6 : 채널 예측기7 : 복조부
10,20,50,60 : Mixer12,22 : I채널 처리기
14,24 : Q채널 처리기52,62 : 가산기
54,64 : 누산기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채널보상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채널보상장치는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채널보상장치에 부가하여 채널예측 제어기(8)를 추가로 포함하며, 종래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번호를 붙인다.
채널예측 제어기(8)는 채널 예측기(6)에서 출력된 안테나 1 및 안테나 2에 대한 채널 예측값의 변동을 소정 시간동안 카운트하여, 무선채널의 변동에 대응하여 채널 예측기(6)의 에너지 누적구간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후,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채널보상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채널 예측기(6)는 에너지 누적구간(2T)동안 디스크램블러(4)의 출력신호에 대한 이동평균(Moving average)을 구하여 안테나 1 및 안테나 2의 채널 예측값을 출력하고, 채널예측 제어기(8)는 상기 채널 예측값들을 소정 시간동안 카운트하여, 채널 예측기(6)의 에너지 누적구간(2T)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소정 시간은 2T일 수 있다.
즉, 채널예측 제어기(8)는 2T동안 채널 예측값이 얼마나 많은 변동되었는지 카운트하여 카운트값이 소정의 기준값보다 작으면 즉, 무선채널의 변동이 작은 경우에는 에너지 누적구간을 길게(최대 6T)하고, 카운트값이 크면 즉, 무선채널의 변동이 큰 경우에는 에너지 누적구간을 짧게(최소 2T)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채널 예측기(6)로 출력한다.
따라서, 채널 예측기(6)는 상기 채널예측 제어기(8)에서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에너지 누적구간을 최소 2T로부터 최대 6T까지 조절함으로써 무선채널의 변동에 대응되는 적절한 채널 예측값을 출력할 수 있으며, 이를 근거로 복조부(7)는 역 채널화부(5)의 출력신호에 대한 위상왜곡(채널 경로왜곡)을 보상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채널예측 제어기(8)의 일실시예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채널예측 제어기(8)는 안테나 1 및 안테나 2를 위한 2개의 도플러속도 검출기(70),(72)로 구성되어, 단말기의 이동속도에 따른 채널 예측값을 보상한다.
상기 도플러속도 검출기(70)는 안테나 1의 I채널 및 Q채널처리기(12),(14)에 구비된 누산기(54),(64)들의 에너지 누적구간을 제어하고, 동일하게 도플러속도 검출기(72)는 안테나 2의 I채널 및 Q채널처리기(24)에 구비된 누산기들의 누적구간을 각각 제어한다.
이후,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안테나 1의 I채널 및 Q채널 처리기(12),(14) 및 도플러속도 검출기(70)의 동작만을 예로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핑거를 통하여 전송신호(Ri, i는 핑거)가 수신되면(S10) 수신신호는 Mixer(10)에서 I신호와 Q신호로 분리되고, 분리된 I신호와 Q신호는 I채널 처리기(12)와 Q채널 처리기(14)로 입력된다.
I신호와 Q신호가 입력되면 I채널 처리기(12)와 Q채널 처리기(14)의 Mixer(50),(60)들은 각각 I신호와 Q신호에 채널화코드(Cch)를 곱하여 채널을 분리하고, 가산기(52),(62)들은 채널화된 신호에서 동일한 위상을 갖는 채널을 분리한다.
누산기(54),(64)들은 가산기(52),962)들의 출력신호를 2T(T: 1심볼 주기)동안 누적하여 이동평균을 구함으로써, 안테나 1의 I채널 및 Q채널을 위한 채널 예측값(크기 및 위상 왜곡값)을 출력한다(S12). 이때, 도플러속도 검출부(70)는 2T동안 누산기(54),(64)들에서 출력된 채널예측값을 카운트하여 단말기의 이동속도를 측정한다(S14).
만약 카운트값이 소정의 기준값보다 작으면 즉, 단말기의 이동속도가 느린 경우에는 누적구간을 길게(2T의 배수, 최대 6T)하고, 카운트값이 크면 즉, 단말기의 이동속도가 빠른 경우에는 에너지 누적구간을 짧게(최소 2T)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누산기(54),(64)로 출력한다(S16-S20).
따라서, 누산기(54),(64)들은 도플러속도 검출부(70)에서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에너지 누적구간을 최소 2T로부터 최대 6T까지 조절함으로써 무선채널의 변동에 대응되는 적절한 채널예측값을 출력한다. 즉, 종래에는 에너지 누적구간이 4T로 고정되어 이었기 때문에 단말기의 이동속도에 따라 적절한 대응이 어려웠지만, 본 발명은 단말기의 이동속도에 따라 누적구간을 최소 2T로부터 최대 6T까지 조절함으로써 무선채널의 변동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도플러 속도 검출기(70),(80를 채널 예측기(6)의 외부에 구비하였지만, 상기 도플러 속도 검출기(70),(80를 채널 에측기내부에 구비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무선채널에서 발생되는 채널변동에 따라 에너지 누적구간을 변경시켜 채널 예측값을 산출함으로써 채널예측 에러를 줄여 보다 정확한 채널보상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종래에는 에너지 누적구간이 4T로 고정되어 있었기 때문에 단말기의 이동속도의 변화에 따라 적절히 대응할 수 없었지만 본 발명은 단말기의 이동속도에 따라 에너지 누적구간을 적응적으로 변경시킴으로써 보다 정확한 채널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선행된 실시 예들은 단지 한 예로서 청구범위를 한정하지 않으며, 여러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들이 통상의 지식을 갖춘 자에게 자명한 것이 될 것이다.

Claims (11)

  1. 수신신호를 채널신호로 변환하는 과정과;
    소정의 에너지 누적구간동안 상기 채널신호의 이동평균을 구하여 채널 예측값을 산출하는 과정과;
    산출된 채널 예측값을 근거로 단말기의 이동속도를 측정하는 과정과;
    측정된 단말기의 이동속도에 따라 상기 에너지 누적구간을 변경하는 과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채널보상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누적구간은
    단말기의 이동속도에 따라 최소 2T에서 최대 6T까지 적응적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채널보상방법. 여기서, 상기 T는 1심볼주기이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누적구간은
    단말기의 이동속도가 느린 경우는 2T의 배수로 설정되고, 단말기의 이동속도가 빠른 경우는 2T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채널보상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적구간 변경과정은
    소정 시간동안 채널예측값의 변동을 카운트하는 과정과;
    카운트값이 기준값보다 작은지 체크하는 과정과;
    카운트값이 기준값보다 작으면 채널 예측값을 산출하기 위한 에너지 누적구간을 길게 하고, 카운트값이 기준값보다 크면 채널 예측값을 산출하기 위한 에너지 누적구간을 짧게 하는 과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채널보상 방법.
  5. 핑거를 통해 입력된 수신신호를 채널신호로 분리하는 Mixer와,
    소정의 누적구간동안 상기 분리된 채널신호의 Moving average를 산출하여 채널위상 왜곡값을 발생하는 채널 처리기와;
    채널 처리기의 채널위상 왜곡값을 근거로 단말기의 이동속도를 검출하여, 상기 누적구간을 제어하는 도플러 속도 검출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채널보상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처리기는
    안테나 1을 위한 I채널 처리기 또는 Q채널 처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채널보상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처리기는
    각 핑거마다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채널보상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처리기는
    안테나 2를 위한 I채널 처리기 또는 Q채널 처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채널보상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플러 속도 검출기는
    2T동안 채널위상 왜곡값의 변동을 카운트하여 단말기의 이동속도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채널보상장치. 여기서, 상기 T는 1심볼주기이다.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플러 속도 검출기는
    단말기의 이동속도에 따라 최소 2T에서 최대 6T까지 적응적으로 누적구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채널보상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도플러 속도 검출기는
    단말기의 이동속도가 느린 경우는 누적구간을 2T의 배수로 제어하고, 단말기의 이동속도가 빠른 경우는 2T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채널보상장치.
KR1020020076669A 2001-12-31 2002-12-04 이동통신 단말기의 채널보상장치 및 방법 KR100664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330,548 US7058361B2 (en) 2001-12-31 2002-12-30 Channel compensat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9268 2001-12-31
KR20010089268 2001-12-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8915A true KR20030058915A (ko) 2003-07-07
KR100664277B1 KR100664277B1 (ko) 2007-01-04

Family

ID=32216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6669A KR100664277B1 (ko) 2001-12-31 2002-12-04 이동통신 단말기의 채널보상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42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0649A (ko) * 2003-03-12 2004-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다중경로 탐색 방법
US7141931B2 (en) 2003-11-29 2006-11-28 Park Deuk-Il Flat fluorescent lamp and backlight unit u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8841A (ko) 2020-04-17 2021-10-27 삼성전자주식회사 Mimo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추정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1356A (ja) * 1996-03-29 1998-02-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ドップラー周波数測定回路および同期回路
JP2001127692A (ja) * 1999-10-29 2001-05-11 Sony Corp 受信装置及び受信処理方法
KR100327901B1 (ko) * 1999-12-27 2002-03-09 오길록 고속퓨리에변환을 이용한 도플러 주파수 천이 보상방법
US6771691B1 (en) * 2000-09-15 2004-08-0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extracting soft symbols in 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0649A (ko) * 2003-03-12 2004-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다중경로 탐색 방법
US7141931B2 (en) 2003-11-29 2006-11-28 Park Deuk-Il Flat fluorescent lamp and backlight unit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4277B1 (ko) 2007-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52802B2 (ja) 送信ダイバーシチシステム
US671138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s based on moving speed
US7519028B2 (en) Channel structure, method forming the same, radio base station, mobile st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H09252266A (ja) Cdmaセルラ無線伝送装置
JPH11251962A (ja) セルラーシステムと移動携帯機、基地局装置、及び最適パス検出方法とその装置
KR20020015581A (ko) 두 개 이상 안테나를 사용하는 안테나 전송 다이버시티방법 및 장치
EP113490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a spread spectrum signal for CDMA
EP0982871B1 (en) CDMA Rake reception signal combining
US7042862B1 (en) Path searching method and device
KR100355327B1 (ko) 통신 단말 장치 및 그와 통신하는 기지국 장치와 무선 통신 방법
US737609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a received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070127556A1 (en) Rake reception device and rake reception method
CA2273659A1 (en) Channel estim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KR100630043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 수신단에서의 주파수 오차 추정 및 결합기
KR10066427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채널보상장치 및 방법
EP0924875B1 (en) Diversity reception method and apparatus in a CDMA system
US6985106B2 (en) Array antenna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EP1065802B1 (en)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by measuring the Eb/No of a weighted signals' combination
KR100504360B1 (ko) 수신기 및 수신 방법
JPH10271034A (ja) Cdma移動体通信受信装置
US7058361B2 (en) Channel compensat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P1233561A1 (en) Receiving device and receiving method
WO2002005446A1 (en) Rake receiver and method related to a rake receiver
JPWO2003024009A1 (ja) 無線移動機
KR100933412B1 (ko) 다이버시티 안테나의 이동평균 경로지연 오프셋 보정장치및 그 운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50909

Effective date: 2006103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