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7488A - 표시 장치 및 제어 방법,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 및 표시시스템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제어 방법,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 및 표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7488A
KR20030057488A KR1020020085917A KR20020085917A KR20030057488A KR 20030057488 A KR20030057488 A KR 20030057488A KR 1020020085917 A KR1020020085917 A KR 1020020085917A KR 20020085917 A KR20020085917 A KR 20020085917A KR 20030057488 A KR20030057488 A KR 200300574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image
video signal
pixel
inte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5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3790B1 (ko
Inventor
곤도데쯔지로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399868A external-priority patent/JP369324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399866A external-priority patent/JP3700649B2/ja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57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7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3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37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6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35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interpolation processes
    • H04N7/0145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interpolation processes the interpolation being class adaptive, i.e. it uses the information of class which is determined for a pixel based upon certain characteristics of the neighbouring pix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47Multi-project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Studio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표시 장치를 연속하여 사용한 경우에, 단체로 사용하는 경우보다도 고기능을 실현하는 것으로, 텔레비젼 수신기인 본체(1)나 별체(2ij)는 다른 텔레비젼 수상기가 전속된 것을 검출한다. 또한, 본체(1)나 별체(2ij)는, 접속을 검출한 다른 텔레비젼 수상기와의 사이에서 인증을 행한다. 그리고, 본체(1)나 별체(2ij)는, 접속된 다른 텔레비젼 수상기와의 사이의 인증이 성공하면, 그 기능을 변화시킨다. 즉, 이에 의해, 본체(1) 및 별체(2ij)는 단체로는 제공하지 않는 특별한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제어 방법,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 및 표시 시스템{DISPLAY APPARATUS, DISPLAY METHOD, PROGRAM, STORAGE MEDIUM AND DISPLAY SYSTEM}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제어 방법,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 및 표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표시 장치를 접속하여 사용한 경우에, 단체로 사용하는 경우보다도 고 기능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표시 장치 및 제어 방법,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 및 표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텔레비전 수상기에서는, 텔레비전 방송 신호가 수신되어,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으로서의 화상이 표시됨과 함께, 그 화상에 부수하는 음성이 출력된다.
그런데, 종래의 텔레비전 수상기는, 단체로 동작하는 것을 전제로 하는 것이며, 이 때문에, 사용자가, 새롭게, 텔레비전 수상기를 구입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소유하고 있는 텔레비전 수상기는 불필요하게 되어, 아직 사용 가능하더라도 폐기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다수의 텔레비전 수상기를 접속한 경우에, 단체인 경우보다도 고 기능을 실현 할 수 있으면, 사용 가능한 텔레비전 수상기의 폐기를 방지하여, 자원의 효과적인 이용에 이바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다수의 텔레비전 수상기 등의 표시 장치를 접속하여 사용한 경우에, 단체로 사용하는 경우보다도 고 기능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a 내지 1b는 본 발명을 적용한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의 일 실시 형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체(1)의 외관 구성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3f는 본체(1)의 외관 구성예를 나타내는 6면 도면이다.
도 4는 별체(2)의 외관 구성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5f는 별체(2)의 외관 구성예를 나타내는 6면 도면이다.
도 6은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을 구성하는 본체(1) 및 별체(2)를 수납하는 전용래크의 외관 구성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리모콘(15)의 외관 구성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리모콘(35)의 외관 구성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리모콘(15)의 다른 외관 구성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체(1)의 전기적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별체(2)의 전기적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IEEE1394 통신 프로토콜의 층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CSR 아키텍처의 어드레스 공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CSR의 오프셋 어드레스, 이름, 및 기능한다 きを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범용 ROM 포맷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버스 인포 블록, 루트 디렉토리, 및 유닛 디렉토리의 상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PCR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a 내지 18d는 oMPR, oPCR, iMPR, 및 iPCR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AV/C 커맨드의 비동기 전송 모드로 전송되는 패킷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a 내지 20c는 AV/C 커맨드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a 내지 21b는 AV/C 커맨드와 응답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신호 처리부(137)의 상세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3은 신호 처리부(137)에 의한 화상 변환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4는 학습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5는 생도 데이터 생성부(173)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은 학습 장치에 의한 계수종 데이터의 학습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7은 계수종 데이터의 학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8은 학습 장치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9는 신호 처리부(157)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0은 본체(1)의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1은 본체(1)에 의한 인증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2는 별체(2)의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3은 별체(2)에 의한 인증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4는 본체(1)에 의한 클로즈드 캡션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5는 별체(2)에 의한 클로즈드 캡션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6는 본체(1)에 의한 일부 확대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7은 별체(2)에 의한 일부 확대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8은 일부 확대 처리가 행하여진 경우의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9는 본체(1)에 의한 전체 확대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0a 내지 40b는 표시 범위로 확대 범위가 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1은 별체(2)에 의한 전체 확대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2a 내지 42c는 전체 확대 처리가 행하여진 경우의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3은 본체(1)에 의한 멀티 화면 표시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4는 본체(1)에 의한 일괄 동시 제어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5a 내지 45b는 일괄 동시 제어 처리가 행하여진 경우의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6은 본체(1)에 의한 개별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7은 별체(2)에 의한 개별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8은 본체(1)에 의한 스피커 제어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9는 강도 대 거리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0은 리모콘(15)까지의 거리의 산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1은 별체(2)에 의한 스피커 제어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2는 스피커 유닛(12L)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3은 지향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4는 지향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5는 리모콘(15)의 방향의 검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6은 IR 수신부(135)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7은 본체(1)의 다른 전기적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8은 별체(2)의 다른 전기적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9는 본 발명을 적용한 컴퓨터의 일 실시 형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 본체 2 : 별체
11 : CRT 12L,12R : 스피커 유닛
15 : 리모콘 21 : 단자 패널
22 : 안테나 단자 23 : 입력 단자
24 : 출력 단자 31 : CRT
32L,32R : 스피커 유닛 35 : 리모콘
41 : 단자 패널 42 : 안테나 단자
43 : 입력 단자 44 : 출력 단자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다른 표시 장치들과 접속가능하며, 입력 비디오 신호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갖는 제1 표시 장치로서, 예측될 주목 화소의 근방에서 복수의 클래스 기준 화소들이 상기 입력 비디오 신호로부터 추출되며 상기 주목 화소에 대응하는 클래스가 상기 추출된 클래스 기준 화소들로부터 결정되도록 상기 주목 화소에 대응하는 클래스를 결정하기 위한 분류 수단; 상기 분류 수단에 의해 결정된 클래스에 대응하는 예측 계수를 발생하기 위한 예측 계수 발생 수단; 상기 주목 화소의 근방에서 복수의 예측 기준 화소들이 상기 입력 비디오 신호로부터 추출되며, 상기 주목 화소가 상기 추출된 복수의 예측 기준 화소들과 상기 예측 계수를 이용한 예측 동작에 의해 예측되도록 상기 주목 화소를 예측하기 위한 화소 예측 수단; 및 현재 표시 장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표시 장치들상에 표시된 화상들이 상기 입력 비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화상중의 완전한 확대 화상을 전체로 형성하도록 표시 수단상에 적어도 상기 주목 화소를 포함하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제1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다른 표시 장치들과 접속가능하며, 입력 비디오 신호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에 대한 제1 표시 방법으로서, 예측될 주목 화소의 근방에서 복수의 클래스 기준 화소들이 상기 입력 비디오 신호로부터 추출되며, 상기 주목 화소에 대응하는 클래스가 상기 추출된 클래스 기준 화소들로부터 결정되도록 상기 주목 화소에 대응하는 클래스를 결정하는 분류 단계; 상기 분류 단계에 의해 결정된 클래스에 대응하는 예측 계수를 발생하는 예측 계수 발생 단계; 상기 주목 화소의 근방에 있는 복수의 예측 기준 화소들이 상기 입력 비디오 신호로부터 추출되며, 상기 주목 화소가 상기 추출된 복수의 예측 기준 화소들과 상기 예측 계수를 이용한 예측 동작에 의해 예측되도록 상기 주목 화소를 예측하는 화소 예측 단계; 및 현재 표시 장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표시 장치들상에 표시된 화상들이 상기 입력 비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화상중의 완전한 확대 화상을 전체로 형성하도록 표시 수단상에 적어도 상기 주목 화소를 포함하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제어 단계을 포함하는 제1 표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입력 비디오 신호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다른 표시 장치들과 접속가능한 표시 장치를 컴퓨터가 제어하게 하는 제1 프로그램으로서, 예측될 주목 화소의 근방에서 복수의 클래스 기준 화소들이 상기 입력 비디오 신호로부터 추출되며 상기 주목 화소에 대응하는 클래스가 상기 추출된 클래스 기준 화소들로부터 결정되도록 상기 주목 화소에 대응하는 클래스를 결정하는 분류 단계; 상기 분류 단계에 의해 결정된 클래스에 대응하는 예측 계수를 발생하는 예측 계수 발생 단계; 상기 주목 화소의 근방에서 복수의 예측 기준 화소들이 상기 입력 비디오 신호로부터 추출되며, 상기 주목 화소가 상기 추출된 복수의 예측 기준 화소들과 상기 예측 계수를 이용한 예측 동작에 의해 예측되도록 상기 주목 화소를 예측하는 화소 예측 단계; 및 현재 표시 장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표시 장치들상에 표시된 화상들이 상기 입력 비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화상중의 완전한 확대 화상을 전체로 형성하도록 표시 수단상에 적어도 상기 주목 화소를 포함하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제어 단계을 포함하는 제1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의 입력 비디오 신호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기 위하여 표시 장치를 컴퓨터가 제어하게 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제1 기록 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이,
예측될 주목 화소의 근방에서 복수의 클래스 기준 화소들이 상기 입력 비디오 신호로부터 추출되며 상기 주목 화소에 대응하는 클래스가 상기 추출된 클래스 기준 화소들로부터 결정되도록 상기 주목 화소에 대응하는 클래스를 결정하는 분류 단계; 상기 분류 단계에 의해 결정된 클래스에 대응하는 예측 계수를 발생하는 예측 계수 발생 단계; 상기 주목 화소의 근방에서 복수의 예측 기준 화소들이 상기 입력 비디오 신호로부터 추출되며, 상기 주목 화소가 상기 추출된 복수의 예측 기준 화소들과 상기 예측 계수를 이용한 예측 동작에 의해 예측되도록 상기 주목 화소를 예측하는 화소 예측 단계; 및 현재 표시 장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표시 장치들상에 표시된 화상들이 상기 입력 비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화상중의 완전한 확대 화상을 전체로 형성하도록 표시 수단상에 적어도 상기 주목 화소를 포함하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제어 단계을 포함하는 제1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서로 접속되는 제1 표시 장치 및 제2 표시 장치를 적어도 포함하는 제1 표시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1 표시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수단; 예측될 주목 화소의 근방에서 복수의 클래스 기준 화소들이 입력 비디오 신호로부터 추출되며 상기 주목 화소에 대응하는 클래스가 상기 추출된 클래스 기준 화소들로부터 결정되도록 상기 주목 화소에 대응하는 클래스를 결정하기 위한 분류 수단; 상기 분류 수단에 의해 결정된 클래스에 대응하는 예측 계수를 발생하기 위한 예측 계수 발생 수단; 상기 주목 화소의 근방에서 복수의 예측 기준 화소들이 상기 입력 비디오 신호로부터 추출되며, 상기 주목 화소가 상기 추출된 복수의 예측 기준 화소들과 상기 예측 계수를 이용한 예측 동작에 의해 예측되도록 상기 주목 화소를 예측하기 위한 화소 예측 수단; 현재 표시 장치 및 상기 제2 표시 장치상에 표시된 화상들이 상기 입력 비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화상중의 완전한 확대 화상을 전체로 형성하도록 적어도 상기 주목 화소를 포함하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제어 수단; 및 상기 예측된 주목 화소중 일부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표시 장치는,
상기 예측된 주목 화소의 적어도 일부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수단; 및 상기 주목 화소를 적어도 포함하는 상기 확대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수단을 포함하는 제1 표시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다른 표시 장치들과 접속가능하며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포함하는 제2 표시 장치로서, 상기 다른 표시 장치들중 하나로부터 출력된 비디오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수단; 상기 입력 비디오 신호에 대응하는화상중 확대된 화상을 상기 입력 비디오 신호로부터 발생하기 위한 화상 확대 수단; 상기 다른 표시 장치들중 하나와의 상호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인증 수단; 및 상기 인증이 성공적으로 통과된다면, 상기 표시 장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표시 장치들상에 표시된 화상들이 전체로 완전한 확대 화상을 형성하도록 상기 화상 확대 수단에 의해 발생된 확대 화상을 상기 표시 수단상에 표시하기 위한 표시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제2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다른 표시 장치들과 접속가능하며, 화상을 표시하기 위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대한 제2 표시 방법으로서, 상기 다른 표시 장치들중 하나로부터 출력된 비디오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 단계; 상기 입력 비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화상중 확대 화상을 상기 입력 비디오 신호로부터 발생하는 화상 확대 단계; 상기 다른 표시 장치들중 하나와의 상호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단계; 및 상기 인증이 성공적으로 통과된다면, 상기 표시 장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표시 장치들상에 표시된 화상들이 전체로 완전한 확대 화상을 형성하도록 상기 화상 확대 수단에 의해 발생된 확대 화상을 상기 표시 수단상에 표시하는 표시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제2 표시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표시 장치들과 접속가능하며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컴퓨터가 제어하게 하는 제2 프로그램으로서, 입력 비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화상중 확대 화상을 상기 입력 비디오 신호로부터 발생하는 화상 확대 단계; 상기 다른 표시 장치들중 하나와의 상호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단계; 및 상기 인증이 성공적으로 통과된다면, 상기 표시 장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표시 장치들상에 표시된 화상들이 전체로 완전한 확대 화상을 형성하도록 상기 화상 확대 수단에 의해 발생된 확대 화상을 상기 표시 수단상에 표시하는 표시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제2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다른 표시 장치들과 접속가능하며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컴퓨터가 제어하게 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제2 기록 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입력 비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화상중 확대 화상을 상기 입력 비디오 신호로부터 발생하는 화상 확대 단계; 상기 다른 표시 장치들중 하나와의 상호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단계; 및 상기 인증이 성공적으로 통과된다면, 상기 표시 장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표시 장치들상에 표시된 화상들이 전체로 완전한 확대 화상을 형성하도록 상기 화상 확대 수단에 의해 발생된 확대 화상을 상기 표시 수단상에 표시하는 표시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제2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적어도 제1 표시 장치 및 제2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제2 표시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1 표시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수단; 및 확대 화상을 표시하기 위해 상기 제2 표시 장치에 의해 사용될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표시 장치로부터 출력된 비디오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수단; 상기 입력 비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화상중 확대된 화상을 상기 입력 비디오 신호로부터 발생하기 위한 화상 확대 수단; 상기 제1 표시 장치와의 상호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인증 수단;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수단; 및 상기 인증이 성공적으로 통과된다면, 상기 제1 및 제2 표시 장치상에 표시된 화상들이 전체로 완전한 확대 화상을 형성하도록 상기 화상 확대 수단에 의해 발생된 확대 화상을 상기 표시 수단상에 표시하기 위한 표시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제2 표시 시스템이 제공된다.
제1 표시 장치, 표시 방법,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에 있어서, 입력 화상으로부터 확대된 화상을 구성하는 화소들로부터 선택된 주목 화소를 예측하는데 사용되는 예측 탭, 및 주목 화소를 클래스들중 하나로 분류하는데 사용되는 클래스 탭은 입력 화상으로부터 추출되며, 주목 화소는 클래스 탭을 기초로 하여 분류된다. 주목 화소의 화소 값은 주목 화소의 클래스에 대응하며 각각의 클래스에 대한 학습에 의해 제공되는 탭 계수로부터 선택되는 예측 탭 및 탭 계수를 이용하여 예측된다. 예측 화소들로 이루어지는 확대 화상은 현재 표시 장치 및 다른 표시 장치가 전체로 완전한 확대 화상을 형성하도록 표시 수단상에 표시된다.
제1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 입력 화상으로부터 확대된 화상을 구성하는 화소들로부터 선택된 주목 화소를 예측하는데 사용되는 예측 탭 및 주목 화소를 클래스들중 하나로 분류하는데 사용되는 클래스 탭은 입력 화상으로부터 추출되고, 주목 화소는 클래스 탭을 기초로 하여 분류된다. 주목 화소의 화소 값은 주목 화소의 클래스에 대응하며 각각의 클래스에 대한 학습에 의해 제공되는 탭 계수로부터 선택되는 예측 탭 및 탭 계수를 사용하여 예측된다. 예측 화소들로 이루어지는 확대 화상은 현재 표시 장치 및 다른 표시 장치의 전체 스크린 영역에 걸쳐서 표시된 화상들이 전체로 완전한 확대 화상을 형성하도록 표시 수단상에 표시된다.
제2 표시 장치, 표시 방법,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에 있어서, 입력 화상은 입력 화상과 유사한 확대 화상으로 변환된다. 현재 표시 장치와 하나 이상의 표시 장치들간에 수행되는 상호 인증이 성공적으로 통과된다면, 확대 화상은 각각의 표시 장치상에 표시된 화상들이 전체로 완전한 확대 화상을 형성하도록 현재 표시 장치 및 하나 이상의 다른 표시 장치상에 표시된다.
제2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 입력 화상은 입력 화상과 유사한 확대 화상으로 변환된다. 현재 표시 장치와 하나 이상의 다른 표시장치들간의 상호 인증이 성공적으로 통과된다면, 확대 화상은 각각 표시 장치상에 표시된 화상들이 전체로 완전한 확대 화상을 형성하도록 전체 스크린 영역에 걸쳐 현재 표시 장치 및 하나 이상의 다른 표시 장치상에 표시된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스케일러블 TV(Television) 시스템(시스템이란, 복수의 장치가 논리적으로 집합한 것을 말하며, 각 구성의 장치가 동일 개체 중에 있는지의 여부는 불문한다)의 일 실시 형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A의 실시 형태에서는,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은, 9대의 텔레비전 수상기(1, 211, 212, 213, 221, 223, 231, 232, 233)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B의 실시 형태에서는,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은, 25대의 텔레비전 수상기(1, 211, 212, 213, 214, 215, 221, 222, 223, 224, 225, 231, 232, 234, 235, 241, 242, 243, 244, 245, 251, 252, 253, 254, 255)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을 구성하는 텔레비전 수상기의 수는, 9대나 25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은, 임의의 복수대의 텔레비전 수상기에 의해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을 구성하는 텔레비전 수상기의 배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세로가, 3×3나 5×5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을 구성하는 텔레비전 수상기의 배치는, 기타, 예를 들면, 가로×세로가, 1×2나, 2×1, 2×3 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을 구성하는 텔레비전 수상기의 배치 형상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격자형(매트릭스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피라미드형이더라도 좋다.
이와 같이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은, 임의의 복수대의 텔레비전 수상기를 가로와 세로각각에, 임의의 대 수만큼 배치하여 구성 할수 있기 때문에, 「스케일러블」의 시스템이라고 말할 수 있다.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을 구성하는 텔레비전 수상기에는, 다른 텔레비전 수상기를 제어 할 수 있는 본체의 텔레비전 수상기(이하, 적절하게, 본체(master device)라고 한다)와, 다른 텔레비전 수상기로부터 제어 할 수 있지만, 다른 텔레비전 수상기를 제어할 수 없는 별체의 텔레비전 수상기(이하, 적절하게, 별체(slave device)라고 한다)의 2종류가 존재한다.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이, 후술하는 각종의 처리를 행하기 위해서는,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을 구성하는 텔레비전 수상기가,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에 대응한 것(이하, 적절하게, 스케일러블 대응기라고 한다)이고, 또한, 그 중의 적어도 1개가 본체인 것이 조건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1A 및 도 1B의 실시 형태에서는,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을 구성하는 텔레비전 수상기 중, 예를 들면, 중심에 배치되는 텔레비전 수상기가 본체(1)로 되어 있다.
이상으로부터,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을 구성하는 텔레비전 수상기 중에, 스케일러블 대응기가 아닌 텔레비전 수상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텔레비전 수상기에 의해서는,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다. 또한,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을 구성하는 텔레비전 수상기가 스케일러블 대응기이더라도, 그 전부가 별체인 경우에는,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의 기능을 행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의 기능을 향수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1대 이상의 본체, 또는 1대의 본체와 1대 이상의 별체를 구입할 필요가 있다.
또, 본체는, 별체의 기능도 갖고 있어, 따라서,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을 구성하는 텔레비전 수상기 중에, 복수대의 본체가 존재하고 있더라도 괜찮다.
도 1A의 실시 형태에서는, 3×3대의 텔레비전 수상기 중, 중심(좌측으로부터 2번째로, 위에서 2번째)에 배치되어 있는 텔레비전 수상기(1)가 본체로 되어 있고, 다른 8대의 텔레비전 수상기(211, 212, 213, 221, 223, 231, 232, 233)가 별체로 되어 있다. 또한, 도 1B의 실시 형태에서는, 5×5대의 텔레비전 수상기 중, 중심(좌측으로부터 3번째로, 위에서 3번째)에 배치되어 있는 텔레비전 수상기(1)가 본체로 되어 있고, 다른 24대의 211, 212, 213, 214, 215, 221, 222, 223, 224, 225, 231, 232, 234, 235, 241, 242, 243, 244, 245, 251, 252, 253, 254, 255가 별체로 되어 있다.
따라서, 도 1의 실시 형태에서는, 본체(1)는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을 구성하는 텔레비전 수상기의 중심에 배치되어 있지만, 본체(1)의 위치는,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을 구성하는 텔레비전 수상기의 중심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체(1)는 좌측 위나 우측 아래, 그 밖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에 있어서는, 본체(1)가 어떠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서도, 그 중심에 배치되어 있는 텔레비전 수상기를 본체로 간주하여, 후술하는 각 처리를 행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이하에 있어서는,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서,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은,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3×3대의 텔레비전 수상기로 구성되는 것으로 하고, 또한, 본체(1)는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을 구성하는 텔레비전 수상기의 중심에 배치되는 것으로 한다.
또,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을 구성하는 별체(2ij)의 서픽스(suffix) ij는, 그 별체(2ij)가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에 있어서, 제 i열 제 j행(위에서 i행째의, 좌측으로부터 j열째)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이하, 적절하게, 별체(2ij)를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는 한, 별체(2)라고 기술한다.
다음에, 도 2는, 본체(1)인 텔레비전 수상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체(1)는 그 표시 화면의 사이즈가, 예를 들면, 14인치 또는 15인치 등의텔레비전 수상기이고, 그 정면 중앙 부분에, 화상을 표시한다. RT(Cathod Ray Tube)(11)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그 정면의 좌단과 우단에,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 유닛(12L, 12R)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은 안테나로 수신된 텔레비전 방송 신호에 있어서의 화상이, CRT(11)로 표시되어, 또한, 그 화상에 부수하는 음성의 L(Left)채널과 R(Right)채널이, 스피커 유닛(12L, 12R)에서, 각각 출력된다.
본체(1)에는, 적외선 IR(Infrared Ray)를 출사하는 리모트 커맨더(이하, 적절하게, 리모콘이라고 한다)(15)가 부수하고 있으며, 사용자는, 이 리모콘(15)을 조작함으로써, 수신 채널이나 음량의 변경, 기타 각종의 커맨드를 본체(1)에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리모콘(15)은, 적외선 통신을 행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BlueTooth(상표) 그 밖의 무선 통신을 행하는 것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리모콘(15)은, 본체(1)뿐 만 아니라, 별체(2)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 도 3은, 도 2의 본체(1)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6면 도면이다.
도 3A는 본체(1)의 정면을, 도 3B는 본체(1)의 상면을, 도 3C는 본체(1)의 저면을, 도 3D는 본체(1)의 좌측면을, 도 3E는 본체(1)의 우측면을, 도 3F는 본체(1)의 배면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본체(1)의 상면(도 3B), 저면(도 3C), 좌측면(도 3D), 및 우측면(도 3E)에는, 고정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별체(2)인 텔레비전 수상기의 상면, 저면, 좌측면, 및 우측면에도, 마찬가지의 고정 기구가 설치되어 있고, 본체(1)의 상면측, 저면측, 좌측면측, 또는 우측면측에, 별체(2)나 다른 본체가 배치되면, 본체(1)의 상면, 저면,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 설치된 고정 기구와, 별체(2)나 다른 본체의 대향하는 면에 설치된 고정 기구가, 예를 들면 감합하여, 본체(1)와, 별체(2)나 다른 본체가,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이에 따라,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을 구성하는 텔레비전 수상기의 위치 어긋남 등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 고정 기구는, 기계적인 기구로 구성할 수도 있고, 기타, 예를 들면, 자석 등에 의해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체(1)의 배면에는, 도 3F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자 패널(21), 안테나 단자(22), 입력 단자(23), 및 출력 단자(24)가 설치되어 있다.
단자 패널(21)에는, 본체(1)와, 도 1A의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을 구성하는 8대의 별체(211, 212, 213, 221, 223, 231, 232, 233) 각각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8개의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1394 단자(2111, 2112, 2113, 2121, 2123, 2131, 2132, 2133)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도 3F의 실시 형태에서는, 본체(1)가 도 1A의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에서의 별체(2ij)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서, 단자 패널(21)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을, 그 배면측에서 본 경우에, 도 1A의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에서의 별체(2ij)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그 별체(2ij)와 접속되는 IEEE1394 단자(21ij)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도 1A의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에 있어서는, 별체(211)는 IEEE1394 단자(2111)를, 별체(212)는 IEEE1394 단자(2112)를, 별체(213)는 IEEE1394 단자(2113)를, 별체(221)는 IEEE1394 단자(2121)를, 별체(223)는 IEEE1394 단자(2123)를, 별체(231)는 IEEE1394 단자(2131)를, 별체(232)는 IEEE1394 단자(2132)를, 별체(233)는 IEEE1394 단자(2133)를 각각 경유하여, 본체(1)와 접속하도록, 사용자가 접속을 행한다.
또, 도 1A의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에 있어서, 별체ij를, 단자 패널(21)의 어떤 IEEE1394 단자와 접속할까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 별체ij를, IEEE1394 단자(21ij) 이외의 IEEE1394 단자와 접속하는 경우에는, 그 별체ij가, 도 1A의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의 제 i열 제 j행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본체(1)에서 설정할 필요가 있다(사용자가 설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도 3F의 실시 형태에서는, 단자 패널(21)에, 8개의 IEEE1394 단자(2111내지 2133)를 설치하여, 본체(1)와, 8대의 별체(211내지 233) 각각을, 병렬로 접속하도록 하였지만, 본체(1)와, 8대의 별체(211내지 233)와는 직렬로 접속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별체(2ij)는 다른 별체(2i'j')를 경유하여, 본체(1)와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지, 이 경우도, 별체ij가, 도 1A의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의 제 i열 제 j행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본체(1)에서 설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단자 패널(21)에 설치하는 IEEE1394 단자의 수는, 8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을 구성하는 텔레비전 수상기끼리의 전기적인 접속은, IEEE1394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기타, 예를 들면, LAN(IEEE 802) 등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을 구성하는 텔레비전 수상기끼리의 전기적인 접속은, 유선이 아니라, 무선으로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안테나 단자(22)에는, 도시하지 않은 안테나에 접속되어 있는 케이블이 접속되어, 이에 따라, 안테나로 수신된 텔레비전 방송 신호가, 본체(1)에 입력된다. 입력 단자(23)에는, 예를 들면, VTR(Video Tape Recoder) 등으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가 입력된다. 출력 단자(24)로부터는, 예를 들면, 본체(1)로써 수신되고 있는 텔레비전 방송 신호로서의 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가 출력된다.
다음에, 도 4는, 별체(2)인 텔레비전 수상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별체(2)는 도 2의 본체(1)와 동일한 표시 화면 사이즈의 텔레비전 수상기이고, 그 정면 중앙 부분에, 화상을 표시한다. CRT(Cathod Ray Tube)(31)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그 정면의 좌단과 우단에,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 유닛(32L, 32R)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 본체(1)와 별체(2)로써는 다른 표시 화면 사이즈를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은 안테나로 수신된 텔레비전 방송 신호에 있어서의 화상이, CRT(31)로 표시되어, 또한, 그 화상에 부수하는 음성의 L(Left)채널과 R(Right)채널이, 스피커 유닛(32L, 32R)에서, 각각 출력된다.
별체(2)에도, 본체(1)와 같이, 적외선 IR를 출사하는 리모콘(35)이 부수하고 있어, 사용자는 이 리모콘(35)을 조작함으로써, 수신 채널이나 음량의 변경, 기타 각종의 커맨드를 별체(2)에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리모콘(35)은, 별체(2)뿐 만 아니라, 본체(1)의 제어도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도 1A의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1대의 본체(1)와, 8대의 별체(211내지 233)를 구입할 필요가 있지만, 이 경우에, 본체(1)에 리모콘(15)이 부수하고, 8대의 별체(211내지 233) 각각에 리모콘(35)이 부수한다면, 사용자는 9대의 리모콘을 소유하게 되어, 그 관리가 번잡하게 된다.
그래서, 별체(2)의 리모콘(35)은, 별체(2)의 옵션으로서, 별도 판매를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체(1)의 리모콘(15)도, 본체(1)의 옵션으로서, 별도 판매를 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리모콘(15, 35)은, 본체(1) 및 별체(2)의 모두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고, 따라서, 리모콘(15)또는 리모콘(35) 중의 어느 한쪽밖에 소유하지 않더라도, 본체(1) 및 별체(2)의 전부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도 5는, 도 4의 별체(2)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6면 도면이다.
도 5A는 별체(2)의 정면을, 도 5B는 별체(2)의 상면을, 도 5C는 별체(2)의 저면을, 도 5D는 별체(2)의 좌측면을, 도 5E는 별체(2)의 우측면을, 도 5F는 별체(2)의 배면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별체(2)의 상면(도 5B), 저면(도 5C), 좌측면(도 5D), 및 우측면(도 5E)에는, 고정 기구가 설치되어 있고, 별체(2)의 상면측, 저면측, 좌측면측, 또는 우측면측에, 본체(1)나 다른 별체가 배치되면, 별체(2)의 상면, 저면,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 설치된 고정 기구와, 본체(1)나 다른 별체의 대향하는 면에 설치된 고정 기구가 감합하여, 별체(2)와, 다른 별체나 본체(1)가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별체(2)의 배면에는, 도 5F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자 패널(41), 안테나 단자(42), 입력 단자(43), 및 출력 단자(44)가 설치되어 있다.
단자 패널(41)에는, 본체(1)와 별체(2)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1개의 IEEE1394 단자(411)가 설치되어 있다. 별체(2)가 도 1A의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에 있어서의, 예를 들면 좌측위에 배치되는 별체(211)인 경우에는, 단자 패널(41)의 IEEE1394 단자(411)는 도시하지 않은 IEEE1394 케이블을 개재하여, 도 3F에서의 단자 패널(21)의 IEEE1394 단자(2111)와 접속된다.
또, 단자 패널(41)에 설치하는 IEEE1394 단자의 수는, 1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안테나 단자(42)에는, 도시하지 않은 안테나에 접속되어 있는 케이블이 접속되어, 이에 따라, 안테나로 수신된 텔레비전 방송 신호가, 별체(2)에 입력된다. 입력 단자(43)에는, 예를 들면, VTR 등으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가 입력된다. 출력 단자(44)로부터는, 예를 들면, 별체(2)로 수신되어 있는 텔레비전 방송 신호로서의 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가 출력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1대의 본체(1)와 8대의 별체(211내지 233)의 합계 9대의 텔레비전 수상기가,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으로, 각각 3대씩 배치됨으로써, 도 1A의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이 구성된다.
또, 도 1A의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은, 본체 또는 별체로서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상, 하, 좌측, 또는 우측에, 다른 텔레비전 수상기를 직접 배치하여 구성하는 것 외에,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하는 스케일러블 TV 시스템 전용의 래크에, 텔레비전 수상기를 배치하고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전용의 래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을 구성하는 텔레비전 수상기의 위치 어긋남 등을 보다 강고하게 방지 할 수 있다.
여기서, 본체 또는 별체로서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상, 하, 좌측, 또는 우측으로, 다른 텔레비전 수상기를 직접 배치함으로써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을 구성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본체(1)는 적어도, 별체(232)가 존재하지 않으면,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행 제 2열로 배치할 수 없다. 이것에 대하여, 도 6의 스케일러블 TV 시스템 전용의 래크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별체(232)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본체(1)를, 제 2행 제 2열로 배치 할 수 있다.
다음에, 도 7은, 리모콘(15)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셀렉트 버튼 스위치(51)는 상하 좌우 방향의 4개의 방향의 다른, 그 중간의 4개의 경사 방향의 합계 8개의 방향으로 조작(방향 조작) 할 수 있다. 또한, 셀렉트 버튼 스위치(51)는 리모콘(15)의 상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에도 압하 조작(셀렉트 조작) 할 수 있다. 메뉴 버튼 스위치(54)는 본체(1)의 CRT(11)(또는 별체(2)의 CRT(31))에, 각종의 설정(예를 들면, 상술한, 별체ij가,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의 제 i열 제 j행로 배치되어 있는 것의 설정)이나, 소정의 처리를 행하는 것을 명령하는 커맨드의 입력을 행하기 위한 메뉴 화면을 표시시킬 때에 조작된다.
여기서, 메뉴 화면이 표시된 경우에는, 그 메뉴 화면에서의 항목 등을 지시하는 커서가, CRT(11)에 표시된다. 이 커서는, 셀렉트 버튼 스위치(51)를 방향 조작함으로써, 그 조작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커서가, 소정의 항목 상의 위치에 있을 때에, 셀렉트 버튼 스위치(51)가 셀렉트 조작되면, 그 항목의 선택이 확정된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메뉴에 표시되는 항목 중에 아이콘이 있고, 셀렉트 버튼 스위치(51)는 아이콘을 클릭할 때도, 셀렉트 조작된다.
엑시트(exit) 버튼 스위치(55)는 메뉴 화면에서 원래의 통상의 화면으로 되돌아가는 경우 등에서 조작된다.
볼륨 버튼 스위치(52)는 볼륨을 업 또는 다운시킬 때에 조작된다. 채널 업다운 버튼 스위치(53)는 수신하는 방송 채널의 번호를, 업 또는 다운할 때에 조작된다.
0 내지 9의 숫자가 표시되어 있는 숫자 버튼(10키) 스위치(58)는 표시되어 있는 숫자를 입력할 때에 조작된다. 엔터 버튼 스위치(57)는 숫자 버튼 스위치(58)의 조작이 완료했을 때, 숫자 입력 종료의 의미로, 그것에 계속해서 조작된다. 또, 채널을 전환하였을 때는, 본체(1)의 CRT(11)(혹은 별체(2)의 CRT(31))에, 새로운 채널의 번호 등이, 소정의 시간, OSD(0n Screen Display)표시된다. 디스플레이 버튼(56)은, 현재 선택하고 있는 채널의 번호나, 현재의 음량 등의 OSD표시의 온/오프를 전환할 때에 조작된다.
텔레비전/비디오 전환 버튼 스위치(59)는 본체(1)(혹은 별체(2))의 입력을 후술하는 도 10의 내장하는 튜너(121)(혹은 후술하는 도 11의 튜너141), 또는 도 3의 입력 단자(23)(혹은 도 5의 입력 단자(43))로부터의 입력으로 전환할 때에 조작된다. 텔레비전/DSS 전환 버튼 스위치(60)는 튜너(121)에 있어서 지상파에 의한 방송을 수신하는 텔레비전 모드, 또는 위성 방송을 수신하는 DSS(Digital Satellite System(Hughes Communications사의 상표)) 모드를 선택할 때에 조작된다. 숫자 버튼 스위치(58)를 조작하여 채널을 전환하면, 전환하기 전의 채널이 기억되고, 점프 버튼 스위치(61)는 이 전환하기 전의 원래의 채널로 되돌아갈 때에 조작된다.
랭귀지(language) 버튼(62)은, 2개 국어 이상의 언어에 의해 방송이 행해지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소정의 언어를 선택할 때에 조작된다. 가이드 버튼 스위치(63)는 CRT(11)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에, 클로즈드 캡션 데이터가 포함되는 경우에, 그 클로즈드 캡션 데이터를 표시시킬 때에 조작된다. 페이버 리지드 버튼 스위치(64)는 미리 설정된 사용자의 기호의 채널을 선택하는 경우에 조작된다.
케이블 버튼 스위치(65), 텔레비전 스위치(66) 및 DSS버튼 스위치(67)는 리모콘(15)으로부터 출사되는 적외선에 대응하는 커맨드 코드의 기기 카테고리를 전환하기 위한 버튼 스위치이다. 즉, 리모콘(15)은(리모콘(35)도 동 모양), 본체(1)나 별체(2)로서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다른, 도시하지 않은 STB나 IRD를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하고 있고, 케이블 버튼 스위치(65)는 CATV망을 개재하여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STB(Set Top Box)를 리모콘(15)에 의해서 제어하는 경우에 조작된다. 케이블 버튼 스위치(65)의 조작 후는, 리모콘(15)으로부터는, STB에 할당된 기기 카테고리의 커맨드 코드에 대응하는 적외선이 출사된다. 마찬가지로, 텔레비전 버튼 스위치(66)는 본체(1)(또는 별체(1))를, 리모콘(15)에 의해서 제어하는 경우에 조작된다. DSS버튼 스위치(67)는 위성을 개재하여 전송되어 있는 신호를 수신하는 IRD(Integrated Receiver and Decorder)를 리모콘(15)에 의해서 제어하는 경우에 조작된다.
LED(Light Emitting Diode)(68, 69, 70)는 각각 케이블 버튼 스위치(65), 텔레비전 버튼 스위치(66), 또는 DSS버튼 스위치(67)가 온에 되었을 때 점등하고, 이에 따라, 리모콘(15)이 현재, 어떤 카테고리의 장치의 제어가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인가가 사용자에게 도시된다. 또, LED(68, 69, 70)는 각각 케이블 버튼스위치(65), 텔레비전 버튼 스위치(66), 또는 DSS버튼 스위치(67)가 오프로 하였을 때는 소등한다.
케이블 전원 버튼 스위치(71), 텔레비전 전원 버튼 스위치(72), DSS전원 버튼 스위치(73)는 STB, 본체(1)(혹은 별체(2)), 또는 IRD의 전원을 온/오프할 때에 조작된다.
뮤팅(muting) 버튼 스위치(74)는 본체(1)(또는 별체(2))의 뮤팅 상태를 설정 또는 해제할 때에 조작된다. 슬립 버튼 스위치(75)는 소정의 시각이 된 경우, 또는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 자동적으로 전원을 오프하는 슬리프 모드를 설정 또는 해제할 때에 조작된다.
적외선 발광부(76)는 리모콘(15)이 조작된 경우에, 그 조작에 대응하는 적외선을 출사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도 8은, 별체(2)의 리모콘(35)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리모콘(35)은, 도 7의 리모콘(15)에 있어서의 셀렉트 버튼 스위치(51) 내지 발광부(76)와 각각 마찬가지로 구성되는 셀렉트 버튼 스위치(81) 내지 발광부(106)로 구성되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도 9는, 본체(1)의 리모콘(15)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의 실시 형태에서는, 도 7에 있어서의 8방향으로 조작 가능한 셀렉트 버튼 스위치(51)로 바꿔, 상하 좌우의 4방향의 방향 버튼 스위치(111, 112, 113, 114)와, 셀렉트 조작을 행하기 위한 버튼 스위치(11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9의 실시 형태에서는, 케이블 버튼 스위치(65), 텔레비전 버튼 스위치(66), 및 DSS버튼 스위치(67)가 내복식으로 되고, 도 7에 있어서의 LED(68 내지 70)가 생략되어 있다. 단지, 버튼 스위치(65내지 67)의 이면측에는, 도시하지 않은 LED가 배치되어 있고, 버튼 스위치(65내지 67)가 조작되면, 그 조작에 대응하여, 그 이면측에 배치되어 있는 LED가 각각 점등 또는 소등하도록 되어 있다.
그 밖의 버튼 스위치는, 그 배치 위치는 다르지만, 기본적으로는 도 7에 도시한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또, 별체(2)의 리모콘(35)도, 도 9에 있어서의 경우와 같이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리모콘(15)에는, 그 이동을 검출하는 나침반을 내장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리모콘(15)에서는, 그 내장하는 나침반에 의해서, 리모콘(15)의 이동 방향과 이동량을 검출하여, 메뉴 화면에서 표시되는 커서를 그 이동 방향과 이동량에 대응하여 이동시키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리모콘(15)에 나침반을 내장시키는 경우에는, 도 7의 실시 형태에서는, 셀렉트 버튼 스위치(51)를 8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할 필요가 없어지고, 또한, 도 9의 실시 형태에서는, 방향 버튼 스위치(111 내지 114)를 설치하는 필요가 없게 된다. 마찬가지로, 리모콘(35)에도, 나침반을 내장시키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도 10은, 본체(1)의 전기적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하지 않은 안테나로 수신된 텔레비전 방송 신호는, 튜너(121)에 공급되어, CPU(129)의 제어 하에, 검파, 복조된다. 튜너(121)의 출력은,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복조 회로(122)에 공급되어, CPU(129)의 제어의 하, QPSK 복조된다. QPSK 복조 회로(122)의 출력은, 오류 정정 회로(123)에 공급되어, CPU(129)의 제어 하에, 에러가 검출, 정정되어, 디멀티플렉서(124)에 공급된다.
디멀티플렉서(124)는 CPU(129)의 제어 하에, 오류 정정 회로(123)의 출력을 필요에 따라서 디스크램블하고, 또한, 소정의 채널의 TS(Transport Stream) 패킷을 추출한다. 그리고, 디멀티플렉서(124)는 화상 데이터(비디오 데이터)의 TS패킷을, MPEG(Moving Picture Expert SGroup) 비디오 디코더(125)에 공급함과 동시에, 음성 데이터(오디오 데이터)의 TS패킷을, MPEG 오디오 디코더(126)에 공급한다. 또한, 디멀티플렉서(124)는 오류 정정 회로(123)의 출력에 포함되는 TS패킷을, 필요에 따라서, CPU(129)에 공급한다. 또한, 디멀티플렉서(124)는 CPU(129)으로부터 공급되는 화상 데이터 또는 음성 데이터(TS패킷의 형에 되어 있는 것을 포함한다)를 수신하여, MPEG 비디오 디코더(125)또는 MPEG 오디오 디코더(126)에 공급한다.
MPEG 비디오 디코더(125)는 디멀티플렉서(124)로부터 공급되는 화상 데이터의 TS패킷을, MPEG 디코드하여, 프레임 메모리(127)에 공급한다. MPEG 오디오 디코더(126)는 디멀티플렉서(124)로부터 공급되는 음성 데이터의 TS패킷을, MPEG 디코드한다. MPEG 오디오 디코더(126)에서의 디코드에 의해 얻어지는 L 채널과 R 채널의 음성 데이터는, 스피커 유닛(12L, 12R)에, 각각 공급된다.
프레임 메모리(127)는 MPEG 비디오 디코더(125)가 출력하는 화상 데이터를, 일시 기억하여,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인코더(128)에 공급한다. NTSC 인코더(128)는 프레임 메모리(127)로부터 공급되는 화상 데이터를 NTSC 방식의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CRT(11)에 공급하고 표시시킨다.
CPU(129)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able Read 0nly Memory)(130)나, ROM(Read 0nly Memory)(131)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서 각종의 처리를 실행하며, 이에 따라, 예를 들면, 튜너(121), QPSK 복조 회로(122), 오류 정정 회로(123), 디멀티플렉서(124), IEEE1394 인터페이스(133), 모뎀(136), 신호 처리부(137), 및 유닛 구동부(138)를 제어한다. 또한, CPU(129)은, 디멀티플렉서(124)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를, IEEE1394 인터페이스(133)에 공급하여, IEEE1394 인터페이스(133)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를, 디멀티플렉서(124)나 신호 처리부(137)에 공급한다. 또한, CPU(129)은, 프론트 패널(134)이나 IR 수신부(135)로부터 공급되는 커맨드에 대응한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CPU(129)은, 모뎀(136)을 제어함으로써, 전화 회선을 통하여, 도시하지 않은 서버를 액세스하여, 버전업된 프로그램이나 필요한 데이터를 취득한다.
EEPROM(130)는 전원 오프 후도 저장하고 싶은 데이터나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ROM(131)는 예를 들면, IPL(Initial Program Loader)의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다. 또, EEPROM(130)에 기억된 데이터나 프로그램은, 거기에 덧씌우기함으로써, 버전업 할 수 있다.
RAM(132)는 CPU(129)의 동작상, 필요한 데이터나 프로그램을 일시 기억한다.
IEEE1394 인터페이스(133)는 단자 패널(21)(의 IEEE1394 단자(2111내지2123(도 3))에 접속되어 있고, IEEE1394의 규격에 준거한 통신을 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기능한다. 이에 따라, IEEE1394 인터페이스(133)는 CPU(129)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를, IEEE1394의 규격에 준거하여, 외부에 송신하는 한편, 외부로부터 IEEE1394의 규격에 준거하여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CPU(129)에 공급한다.
프론트 패널(134)은, 도 2 및 도 3으로서는 도시하지 않지만, 본체(1)의 정면의 일부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프론트 패널(134)은, 리모콘(15)(도 7, 도 9)에 설치된 버튼 스위치의 일부를 갖고 있고, 프론트 패널(l34)의 버튼 스위치가 조작된 경우에는, 그 조작에 대응하는 조작 신호가, CPU(129)에 공급된다. 이 경우, CPU(129)는 프론트 패널(134)로부터의 조작 신호에 대응한 처리를 행한다.
IR 수신부(135)는 리모콘(15)의 조작에 대응하여, 리모콘(15)으로부터 송신되는 적외선을 수신(수광)한다. 또한, IR 수신부(135)는 그 수신한 적외선을 광전 변환하여, 그 결과로 얻어지는 신호를, CPU(129)에 공급한다. 이 경우, CPU(129)는 IR 수신부(135)로부터의 신호에 대응한 처리, 즉, 리모콘(15)의 조작에 대응한 처리를 행한다.
모뎀(136)은, 전화 회선을 통한 통신 제어를 행하며, 이에 따라, CPU(129)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를, 전화 회선을 개재하여 송신함과 함께, 전화 회선을 개재하여 송신되어 오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CPU(129)에 공급한다.
신호 처리부(137)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137A), EEPROM(137B), RAM137C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CPU(129)의 제어의 하, 프레임 메모리(127)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 등에 대하여, 각종의 디지털 신호 처리를 실시한다.
즉, DSP(137A)는 EEPROM(137B)에 기억된 프로그램으로 하였지만 있어, 필요에 따라서, EEPROM(137B)에 기억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종의 신호 처리를 행한다. EEPROM(137B)는 DSP(137A)가 각종의 처리를 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나 필요한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다. RAM(137C)은, DSP(137A)가 각종의 처리를 행하는 데에 있어서 필요한 데이터나 프로그램을 일시 기억한다.
또, EEPROM(137B)에 기억된 데이터나 프로그램은, 거기에 덧씌우기함으로써, 버전업 할 수 있다.
여기서, 신호 처리부(137)가 행하는 신호 처리로서는, 예를 들면, 클로즈드 캡션 데이터의 디코드나, 프레임 메모리(127)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에 의 클로즈드 캡션 데이터의 중첩, 프레임 메모리(127)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의 확대, 노이즈 제거 등이 있다. 또한, 신호 처리부(137)는 기타, OSD표시하는 OSD데이터를 생성하여, 프레임 메모리(127)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에 중첩한다.
유닛 구동부(138)는 CPU(129)의 제어로 하였지만 있어, 스피커 유닛(12L, 12R)을 구동하며, 이에 따라, 스피커 유닛(12L, 12R)을 구성하는 스피커의 지향성의 주축의 방향을, 소정의 방향을 향하게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체(1)에서는, 다음과 같이 하여,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으로서의 화상과 음성이 출력된다(화상이 표시되어, 음성이 출력된다).
즉, 안테나로 수신된 텔레비전 방송 신호로서의 트랜스포트 스트림이, 튜너(121), QPSK 복조 회로(122), 및 오류 정정 회로(123)를 개재하여, 디멀티플렉서(124)에 공급된다. 디멀티플렉서(124)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부터, 소정의 프로그램의 TS패킷을 추출하여, 화상 데이터의 TS패킷을, MPEG 비디오 디코더(125)에 공급함과 함께, 음성 데이터의 TS패킷을, MPEG 오디오 디코더(126)에 공급한다.
MPEG 비디오 데이터코더(125)에서는, 디멀티플렉서(124)로부터의 TS패킷이 MPEG 디코드된다. 그리고, 그 결과로 얻어지는 화상 데이터가, MPEG 비디오 디코더(125)로부터, 프레임 메모리(127) 및 NTSC 인코더(128)를 경유하여, CRT(11)에 공급되고 표시된다.
한편, MPEG 오디오 디코더(126)에서는, 디멀티플렉서(124)로부터의 TS패킷이 MPEG 디코드된다. 그리고, 그 결과로 얻어지는 음성 데이터가, MPEG 오디오 디코더(126)로부터, 스피커 유닛(12L, 12R)에 공급되어 출력된다.
다음에, 도 11은, 별체(2)의 전기적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별체(2)는 도 10의 튜너(121) 내지 유닛 구동부(138)와 각각 마찬가지로 구성되는 튜너(141) 내지 유닛 구동부(158)로 구성되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또, 본체(1)와 별체(2)는 도 3F와 도 5F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독립하여, 안테나 단자(22, 42)를 갖기 때문에, 도 1의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을 구성하는 텔레비전 수상기로서의 본체(1)와 별체(2)에는, 각각에, 안테나(로부터의 케이블)를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본체(1)와 별체(2) 각각에, 안테나를 접속하는 경우에는, 배선이 번잡하게 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에 있어서는, 그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을 구성하는 텔레비전 수상기 중의 어느 하나 1개에 안테나를 접속하고, 그 텔레비전 수상기로 수신된 텔레비전 방송 신호를, 예를 들면, IEEE1394 통신에 의해서, 다른 텔레비전 수상기에 분배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본체(1)의 단자 패널(21)의 IEEE1394 단자(21ij)(도 3)와, 별체(2ij)의 단자 패널(41)의 IEEE1394 단자(411)(도 5)가 IEEE1394 케이블에 의해서 접속됨으로써, 본체(1)와 별체(2)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이에 따라, 본체(1)와 별체(2) 사이에서, IEEE1394 통신(IEEE1394의 규격에 준거한 통신)이 행해져, 각종의 데이터 등이 교환된다.
그래서, 도 12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IEEE1394 통신에 대하여 설명한다.
IEEE1394는, 직렬 버스 규격의 1개이고, IEEE1394 통신은, 데이터의 등시성(isochronous) 전송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화상이나 음성으로 한 리얼타임으로 재생할 필요가 있는 데이터의 전송에 적합하다.
즉, IEEE1394 인터페이스를 갖는 기기(IEEE1394 기기)끼리의 사이에서는, 125μs(마이크로초) 주기로, 최대로, 100μs의 전송 대역(시간이지만, 대역이라고 불린다)을 사용하고, 데이터의 등시성 전송을 행할 수 있다. 또, 상기의 전송 대역의 범위 내이면, 복수 채널에서, 등시성 전송을 행할 수 있다.
도 12는, IEEE1394 통신 프로토콜의 층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IEEE1394 통신 프로토콜은, 트랜잭션층(TransactioNLayer), 링크층(Link Layer), 및 물리층(Physical Layer)의 3층의 계층 구조를 갖는다. 각 계층은, 서로 통신하고, 또한, 각각의 계층은, 직렬 버스 관리(Serial Bus Management)와 통신을 행한다. 또한, 트랜잭션층 및 링크층은, 상위의 어플리케이션과의 통신도 행한다. 이 통신에 이용되는 송수신 메시지는, 요구(Request), 지시(표시)(Indication), 응답(Response), 확인(Confirmation)의 4 종류가 있고, 도 12에 있어서의 화살표는, 이 통신을 나타내고 있다.
도 12에서, 화살표의 명칭의 마지막으로".req"가 붙은 통신은 요구를 나타내고, ".ind"는 지시를 나타낸다. 또한, ".resp"은 응답을, ".conf"은 확인을 각각 나타낸다. 예를 들면, TR_CONT.req은, 직렬 버스 관리로부터, 트랜잭션층에 보내진 요구의 통신이다.
트랜잭션층은,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요구에 의해서, 다른 IEEE1394 기기(IEEE1394 인터페이스를 갖는 기기)와 데이터 통신을 행하기 위한 비동기(asynchronous)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여, IS0/IEC13213에 필요로 되는 요청 응답 프로토콜(Request Response Protoco1)을 실현한다. 즉, IEEE1394 규격에 의한 데이터 전송 방식으로서는, 상기한 등시성 전송 이외, 비동기 전송이 있어, 트랜잭션층은, 비동기 전송의 처리를 행한다. 비동기 전송으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트랜잭션층의 프로토콜에 요구하는 처리의 단위인 리드 트랜잭션(read Transaction), 라이트 트랜잭션(write Transaction), 로크 트랜잭션(lock Transaction)의 3 종류의 트랜잭션에 의해서, IEEE1394 기기 사이에서 전송된다.
링크층은, 응답(Acknowledge)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서비스, 어드레스 처리, 데이터 에러확인, 데이터의 프레밍 등의 처리를 행한다. 링크층이 행하는 1개의 패킷 전송은 서브액션이라고 불리고, 서브액션에는, 비동기 서브액션(Asynchronous Sub action) 및 등시성 서브 액션(Isochronous Sub action)의 2 종류가 있다.
비동기 서브 액션은, 노드(IEEE1394에 있어서 액세스할 수 있는 단위)를 특정하는 물리적 ID(Physical Identification), 및 노드 내의 어드레스를 지정하여 행해지고, 데이터를 수신한 노드는, 응답을 반송한다. 단지, IEEE1394 직렬 버스 내의 모든 노드에 데이터를 보내는 비동기 브로드캐스트 서브 액션에서는, 데이터를 수신한 노드는, 응답을 반송하지 않는다.
한편, 등시성 서브 액션에서는, 데이터가, 일정 주기(상기한 바와 같이, 125μs)로, 채널 번호를 지정하여 전송된다. 또, 등시성 서브 액션에서는, 응답은 반송되지 않는다.
물리층은, 링크층에서 이용하는 논리 심볼을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물리층은, 링크층에서의 중재(IEEE1394 통신을 행하는 노드가 경합했을 때의 조정)의 요구에 대한 처리를 행하거나, 버스 리세트에 따르는 IEEE1394 직렬 버스의 재 컨피그레이션을 실행하여, 물리 ID의 자동할당을 행하기도 한다.
시리얼 버스 관리에서는, 기본적인 버스 제어 기능의 실현과 ISO/IEC13212의 CSR(Control Status Register Architecture)가 제공된다. 시리얼 버스 관리는, 노드 컨트롤러(Node Controller), 등시성 자원 매니저(Isochronous Resource Manager), 및 버스 매니저(Bus Manager)의 기능을 갖는다. 노드 컨트롤러는, 노드의 상태, 물리 ID등을 제어함과 함께, 트랜잭션층, 링크층, 및 물리층을 제어한다. 등시성 자원 매니저는, 등시성 통신에 이용되는 자원의 이용 상황을 제공하는 것으로, 등시성 통신을 행하기 위해서는, IEEE1394 직렬 버스에 접속된 기기 중에 적어도 1개, 등시성 자원 매니저의 기능을 갖는 IEEE1394 기기가 필요하다. 버스 매니저는, 각 기능의 중에서는, 가장 고 기능을 하고, IEEE1394 직렬 버스의 최적 이용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등시성 자원 매니저와 버스 매니저의 존재는, 임의이다.
IEEE1394 기기 사이의 접속에서는, 노드 분기와 노드 디지체인 중 어느 1개의 접속도 가능하지만, IEEE1394 기기가 새롭게 접속되거나 하면, 버스 리세트가 행해져, 트리 식별이나, 루트 노드, 물리 ID, 등시성 자원 매니저, 사이클 마스터, 버스 매니저의 결정 등이 행해진다.
여기서, 트리 식별에 있어서는, IEEE1394 기기로서의 노드 사이의 본체-별체 관계가 결정된다. 또한, 루트 노드는, 중재에 의해서 IEEE1394 직렬 버스를 사용하는 권리를 획득한 노드의 지정 등을 행한다. 물리 ID는, self-ID패킷이라고 불리는 패킷이, 각 노드에 전송됨으로써 결정된다. 또, self-ID패킷에는, 노드의 데이터 전송 레이트나, 노드가 등시성 자원 매니저가 될 수 있는 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등시성 자원 매니저는, 상기한 바와 같이, 등시성 통신에 이용되는 자원의 이용 상황을 제공하는 노드로, 후술하는 대역 폭 레지스터(BANDWIDTH-AVAILABLE 레지스터)나, 채널 번호 레지스터(CHANNELS-AVAILABLE 레지스터)를 갖는다. 또한, 등시성 자원 매니저는, 버스 매니저가 되는 노드의 물리 ID를 도시하는 레지스터도 갖는다. 또, IEEE1394 직렬 버스로 접속된 IEEE1394 기기로서의 노드 중에, 버스매니저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에는, 등시성 자원 매니저가, 간이적인 버스 매니저로서 기능한다.
사이클 마스터는, 등시성 전송의 주기인 125μs마다, IEEE1394 직렬 버스 상에, 사이클 스타트 패킷을 송신한다. 이 때문에, 사이클 마스터는, 그 주기(125μs)를 카운트하기 위한 사이클 타임 레지스터(CYCLE-TIME 레지스터)를 갖는다. 또, 루트 노드가 사이클 마스터가 되지만, 루트 노드가 사이클 마스터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버스 매니저가 루트 노드를 변경한다.
버스 매니저는, IEEE1394 직렬 버스 상에 놓을 수 있는 전력의 관리나, 상기한 루트 노드의 변경 등을 행한다.
버스 리세트 후에, 상기한 바와 같은 등시성 자원 매니저의 결정 등이 행해지면, IEEE1394 직렬 버스를 통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IEEE1394의 데이터 전송 방식의 1개인 등시성 전송에서는, 전송 대역 및 전송 채널이 확보되어, 그 후, 데이터가 배치된 패킷(등시성 패킷)이 전송된다.
즉, 등시성 전송에서는, 사이클 마스터가 125μs주기로 사이클 스타트 패킷을, IEEE1394 직렬 버스 상에 브로드캐스트한다. 사이클 스타트 패킷이 브로드캐스트되면, 등시성 패킷의 전송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등시성 전송을 행하기 위해서는, 등시성 자원 매니저의 제공하는 전송 대역 확보용의 대역 폭 레지스터와, 채널 확보용의 채널 번호 레지스터를 다시쓰고, 등시성 전송을 위한 자원의 확보를 선언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대역 폭 레지스터 및 채널 번호 레지스터는, IS0/IEC13213으로 규정되어 있는 64비트의 어드레스 공간을 갖는 후술하는 CSR(Control & Status Register)의 1개로서 할당된다.
대역 폭 레지스터는, 32비트의 레지스터로, 상위 19비트는 예약 영역으로 되어 있고, 하위 13비트가, 현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전송 대역(bw_remaining)을 나타낸다.
즉, 대역 폭 레지스터의 초기치는, 0000000000000000000100110011001lB(B는, 그 전의 값이 2진수인 것을 나타낸다)(=4915)로 되어 있다. 이것은, 다음과 같은 이유에 의한다. 즉, IEEE1394에서는, 1572.864Mbps(bit per second)로, 32비트의 전송에 요하는 시간이, 1로서 정의되어 있고, 상술한 125μs는, OOOOOOOOOOOOOOOOOOO11OOOOOOOOOOOB(=6144)에 상당한다. 그러나, IEEE1394에서는, 등시성 전송에 사용할 수 있는 전송 대역은, 1주기인 125μs 중의 80%인 것이 정해져 있다. 따라서, 등시성 전송으로 사용 가능한 최대의 전송 대역은, 100μs이고, 100μs는, 상술된 바와 같이, 0000000000000000000100110011001lB(=4915)가 된다.
또, 125μs에서, 등시성 전송으로 사용되는 최대의 전송 대역인 100μs를 제외한 남은 25μs의 전송 대역은, 비동기 전송으로 사용된다. 비동기 전송은, 대역 폭 레지스터나 채널 번호 레지스터의 기억치를 판독할 시 등에 이용된다.
등시성 전송을 개시하기 위해서는, 그 때문의 전송 대역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즉, 예를 들면, 1주기인 125μs 중의, 10μs의 전송 대역을 사용하여 등시성 전송을 행하는 경우에는, 그 10μs의 전송 대역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이 전송 대역의 확보는, 대역 폭 레지스터의 값을 다시 씀으로써 것으로 행해진다. 즉, 상술된 바와 같이, 10μs의 전송 대역을 확보하는 경우에는, 그 10μs에 상당하는 값인 492를, 대역 폭 레지스터의 값으로부터 감산하여, 그 감산치를, 대역 폭 레지스터로 세트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지금, 대역 폭 레지스터의 값이 4915로 되어 있는 경우(등시성 전송이, 정말로 행해지고 있지 않은 경우)에, 10μs의 전송 대역을 확보할 때에는, 대역 폭 레지스터의 값이, 상술한 4915로부터, 그 4915로부터 10μs에 상당하는 492를 감산한 4423(=0000000000000000000100010100011lB)로 다시 쓰인다.
또, 대역 폭 레지스터의 값으로부터, 확보(사용) 하려고 하는 전송 대역을 감산한 값이 0보다도 작아지는 경우에는, 전송 대역을 확보 할 수 있지 않고, 따라서, 대역 폭 레지스터의 값은 다시 쓰이지 않고, 또한, 등시성 전송을 행할 수도 있지 않는다.
등시성 전송을 행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전송 대역의 확보를 행하는 다른, 전송 채널도 확보해야 한다. 이 전송 채널의 확보는, 채널 번호 레지스터를 다시 씀으로써 행해진다.
채널 번호 레지스터는, 64비트의 레지스터로, 각 비트가, 각 채널에 대응하고 있다. 즉, 제 n비트(최하위 비트로부터 n번째의 비트)는 그 값이 1일 때는, 제 n-1 채널이 미사용 상태인 것을 나타내어, O일 때는, 제 n-1 채널이 사용 상태인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어떤 채널도 사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채널 번호 레지스터는, 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lB가 되어 있고, 예를 들면, 제1 채널이 확보되면, 채널 번호 레지스터는,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101B로 다시 쓰인다.
또, 채널 번호 레지스터는, 상술된 바와 같이 64비트이므로, 등시성 전송에서는, 최대로, 제 0 내지 제 63 채널의 64채널의 확보가 가능하지만, 제 63채널은, 등시성 패킷을 브로드캐스트하는 경우에 이용된다.
이상과 같이, 등시성 전송은, 전송 대역 및 전송 채널의 확보를 행한 상에서 행해지므로, 전송 레이트를 보증한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 수 있고, 상기한 바와 같이, 화상이나 음성으로 한 리얼타임으로 재생할 필요가 있는 데이터 전송에 특히 적합하다.
다음에, IEEE1394 통신은, 상술한 바와 같이, ISO/IEC13213로 규정된 64비트의 어드레스 공간을 갖는 CSR 아키텍처에 준거하고 있다.
도 13은, CSR 아키텍처의 어드레스 공간을 나타내고 있다.
CSR의 상위 16비트는, 각 노드를 도시하는 노드 ID이고, 남은 48비트는, 각 노드에 주어진 어드레스 공간의 지정에 사용된다. 이 상위 16비트는, 또한 버스 ID의 10비트와 물리 ID(협의의 노드 ID)의 6비트로 분리된다. 모든 비트가 1이 되는 값은, 특별한 목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1023개의 버스와 63개의 노드를 지정 할 수 있다.
CSR의 하위 48비트로써 규정되는 256테라바이트의 어드레스 공간 중의 상위 20비트로 규정되는 공간은, 2048바이트의 CSR 특유의 레지스터나 IEEE1394 특유의 레지스터 등에 사용되는 이니셜 레지스터 스페이스(Initial Register Space), 프라이빗 스페이스(Private Space), 및 이니셜 메모리 스페이스(Initial Memory Space) 등에 분할되어, 하위 28비트로 규정되는 공간은, 그 상위 20비트로 규정되는 공간이, 이니셜 레지스터 스페이스인 경우, 컨피규레이션 ROM(Configuration R0M), 노드 특유의 용도에 사용되는 이니셜 유닛 스페이스(Initial Unit Space), 플러그 컨트롤 레지스터(Plug Control Register(PCRs)) 등으로서 이용된다.
여기서, 도 14는, 주요한 CSR의 오프셋 어드레스, 이름, 및 기능을 나타내고 있다.
도 14에 있어서,「오프셋」의 란은, 이니셜 레지스터 스페이스가 시작되는 FFFFFO00000Oh(h는, 그 전의 값이 16진수인 것을 나타낸다) 번지에서의 오프셋 어드레스를 나타내고 있다. 오프셋(220h)을 갖는 대역 폭 레지스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등시성 통신에 할당하여 가능한 대역을 도시하고 있고, 등시성 자원 매니저로서 동작하고 있는 노드의 값만이 유효로 된다. 즉, 도 13의 CSR는, 각 노드가 갖고 있지만, 대역 폭 레지스터에 대해서는, 등시성 자원 매니저의 것만이 유효하게 된다. 따라서, 대역 폭 레지스터는, 실질적으로, 등시성 자원 매니저만이 갖는다.
오프셋(224h 내지 228h)의 채널 번호 레지스터는, 상기한 바와 같이, 그 각 비트가 0 내지 63번의 채널 번호의 각각에 대응하여, 비트가 0인 경우에는, 그 채널이 이미 할당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채널 번호 레지스터도, 등시성 자원 매니저로서 동작하고 있는 노드의 것만이 유효하다.
도 13으로 되돌아가, 이니셜 레지스터 스페이스 내의 어드레스(400h 내지800h)에, 제네랄 ROM 포맷으로 기초를 둔 구성 ROM이 배치된다.
여기서, 도 15는, 제네랄 ROM 포맷을 나타내고 있다.
IEEE1394 상의 액세스의 단위인 노드는, 노드 중에 어드레스 공간을 공통으로 사용하면서 독립하여 동작을 하는 유닛을 복수개 갖을 수 있다. 유닛 디렉토리(unit directories)는 이 유닛에 대한 소프트웨어의 버전이나 위치를 도시할 수 있다. 버스 인포 블록(bus info block)와 루트 디렉토리(root directory)의 위치는 고정되어 있지만, 그 밖의 블록의 위치는 오프셋 어드레스에 의해서 지정된다.
여기서, 도 16은, 버스 인포 블록, 루트 디렉토리, 및 유닛 디렉토리의 상세를 나타내고 있다.
버스 인포 블록 내의 Company ID에는, 기기의 제조자를 도시하는 ID번호가 저장된다. Chip ID에는, 그 기기 고유의, 다른 기기와 중복이 없는 세계에서 유일한 ID가 기억된다. 또한, IEC1833의 규격에 의해, IEC1883을 만족하는 기기의 유닛 디렉토리의 유닛스펙 ID(unit spec id)의, 제 1옥텟에는 0Oh가, 제 2옥텟에는 AOh가, 제 3옥텟에는 2Dh가, 각각 기입된다. 또한 유닛 스위치 버전(unit sw version)의 제 1옥텟에는, 0lh가, 제 3옥텟의 LSB(Least Significant Bit)에는, 1이 기입된다.
노드는, 도 13의 이니셜 레지스터 스페이스 내의 어드레스(90Oh 내지 9FFh)에, IEC1883에 규정되는 PCR(Plug Control Register)을 갖는다. 이것은, 아날로그 인터페이스에 유사한 신호 경로를 논리적으로 형성하기 위해서, 플러그라는 개념을실체화한 것이다.
여기서, 도 17은, PCR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PCR는, 출력 플러그를 나타내는 oPCR(output Plug Control Resister)과, 입력 플러그를 나타내는 iPCR(input Plug Control Register)을 갖는다. 또한, PCR는, 각 기기 고유의 출력 플러그 또는 입력 플러그의 정보를 도시하는 레지스터 oMPR(output Master Plug Register)와 iMPR(input Master P1ug Register)를 갖는다. IEEE1394 기기는, oMPR 및 iMPR를 각각 복수 갖는 것은 없지만, 개개의 플러그에 대응한 oPCR 및 iPCR를, IEEE1394 기기의 능력에 의해서 복수 갖는 것이 가능하다. 도 17에 도시한 PCR는, 각각 31개의 oPCR #0 내지 #30 및 iPCR #0 내지 #30을 갖는다. 등시성 데이터의 흐름은, 이들의 플러그에 대응하는 레지스터를 조작함으로써 제어된다.
도 18은, oMPR, oPCR, iMPR, 및 iPCR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18A는 oMPR의 구성을, 도 18B는 oPCR의 구성을, 도 18C는 iMPR의 구성을, 도 18D는 iPCR의 구성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oMPR 및 iMPR의 MSB 측의 2비트의 데이터 레이트 케이퍼빌리티(data rate capability)에는, 그 기기가 송신 또는 수신 가능한 등시성 데이터의 최대 전송 속도를 도시하는 코드가 저장된다. oMPR의 브로드캐스트 채널 베이스(broadcast channel base)는 브로드캐스트 출력에 사용되는 채널의 번호를 규정한다.
oMPR의 LSB 측의 5비트의 넘버 오프 아웃풋 플러그(number of outp ut plugs)에는, 그 기기가 갖는 출력 플러그 수, 즉, oPCR의 수를 도시하는 값이 저장된다. iMPR의 LSB 측의 5비트의 넘버 오프 아웃풋 플러그(number of input plugs)에는, 그 기기가 갖는 입력 플러그 수, 즉, iPCR의 수를 도시하는 값이 저장된다. non-persistent extension field 및 persistent extension field는, 장래의 확장을 위해서 정의된 영역이다.
oPCR 및 iPCR의 MSB의 온라인(on-line)은, 플러그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다. 즉, 그 값이 1이면 그 플러그가 ON-LINE이고, O이면 OFF-LINE 인 것을 도시한다. oPCR 및 iPCR의 브로드캐스트 커넥션 카운터(broadcast connection counter)의 값은, 브로드캐스트 커넥션의 있어(1) 또는 없음(0)을 나타낸다. oPCR 및 iPCR의 6비트 폭을 갖는 포인트 투 포인트 커넥션 카운터(point-to-point connection counter)가 갖는 값은, 그 플러그가 갖는 포인트 투 포인트 커넥션(point-to-point connection)의 수를 나타낸다.
oPCR 및 iPCR의 6비트 폭을 갖는 채널 번호(channel number)이 갖는 값은, 그 플러그가 접속되는 등시성 채널의 번호를 도시한다. oPCR의 2비트 폭을 갖는 데이터 레이트(data rate)의 값은, 그 플러그로부터 출력되는 등시성 데이터의 패킷의 현실의 전송 속도를 도시한다. oPCR의 4비트 폭을 갖는 오버헤드 ID(overheaDID)에 저장되는 코드는, 등시성 통신의 오버의 대역폭을 도시한다. oPCR의 1O비트 폭을 갖는 페이로드(payload)의 값은, 그 플러그가 취급할 수 있는 등시성 패킷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최대값을 나타낸다.
다음에, 이상과 같은 IEEE1394 통신을 행하는 IEEE1394 기기에 대해서는, 그 제어를 위한 커맨드로서, AV/C 커맨드 세트가 규정되어 있다. 그래서, 본 실시의형태라도, 본체(1)는 이 AV/C 커맨드 세트를 이용하여, 별체(2)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단지, 본체(1)로부터 별체(2)를 제어하는 데에 있어서는, AV/C 커맨드 세트 이외의 독자의 커맨드 체계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AV/C 커맨드 세트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도 19는, 비동기 전송 모드로 전송되는 AV/C 커맨드 세트의 패킷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AV/C 커맨드 세트는, AV(Audio Visual)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커맨드 세트로, AV/C 커맨드 세트를 이용한 제어계에서는, 노드 사이에서, AV/C 커맨드 프레임 및 응답 프레임이, FCP(FunctioNControl Protocol)을 이용하여 교환된다. 버스 및 AV 기기에 부담을 걸지 않기 때문에, 커맨드에 대한 응답은, 1OOms 이내에 행하도록 되어 있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동기 패킷의 데이터는, 수평 방향 32비트(=l quadlet)로 구성되어 있다. 도면 중의 상단은 패킷의 헤더 부분(packetheader)을 도시하고 있고, 도면 중의 하단은 데이터 블록(data block)을 나타내고 있다. destination-ID는, 수신처를 나타내고 있다.
CTS는 커맨드 세트의 ID를 도시하고 있고, AV/C 커맨드 세트로서는 CTS="O O O O"이다. ctype/response는, 패킷이 커맨드인 경우는 커맨드의 기능 분류를 도시하여, 패킷이 응답인 경우는 커맨드의 처리 결과를 나타낸다. 커맨드는 크게 나눠,(1) 기능을 외부로부터 제어하는 커맨드(CONTROL),(2) 외부로부터 상태를 조회하는 커맨드(STATUS),(3) 제어 커맨드의 서포트의 유무를 외부로부터 조회하는 커맨드(GENEPAL INQUIRY(opcode의 서포트의 유무) 및 SPECIFIC INQUIRY(opcode 및 operands의 서포트의 유무)),(4) 상태의 변화를 외부에 알리도록 요구하는 커맨드(NOTIFY)의 4 종류가 정의되어 있다.
응답은 커맨드의 종류에 따라서 되돌아간다. CONTROL 커맨드에 대한 응답에는, NOT INPLEMENTED(실장되어 있지 않다), ACCEPTED(받아들인다), REJECTED(거절), 및 INTERIM(잠정)이 있다. STATUS커맨드에 대한 응답에는, NOT INPLEMENTED, REJECTED, INTRANSITION(이행중), 및 STABLE(안정)이 있다. GENERAL INQUIRY 및 SPECIFIC INQUIRY 커맨드에 대한 응답에는, IMPLEMENTED(실장되어 있다), 및 NOT IMPLEME NTED가 있다. NOTIFY 커맨드에 대한 응답에는, NOT IMPLEMENTED, REJEC TED, INTERIM, 및 CHANGED(변화하였다)가 있다.
subunit type는, 기기 내의 기능을 특정하기 위해서 설치되어 있고, 예를 들면, tape recorder/player, tuner 등이 할당된다. 동일한 종류의 subunit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의 판별을 행하기 위해서, 판별 번호로서 subunit id(subunit type의 뒤에 배치된다)로 어드레싱을 행한다. opcode는 커맨드를 표하고 있고, operand는 커맨드의 파라미터를 표하고 있다. Additional operands는 추가의 operand가 배치되는 필드이다. padding은 패킷 길이를 소정의 비트 수로 하기 위해서 더미의 데이터가 배치되는 필드이다. data CRC(Cyclic Redundancy Check)는 데이터 전송 시의 에러 체크에 사용되는 CRC가 배치된다.
다음에, 도 20은, AV/C 커맨드의 구체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20A는, ctype/response의 구체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 중의 상단이 커맨드(Command)를 표하고 있어, 도면 중의 하단이 응답(Response)을 표하고 있다."OOOO"에는 CONTROL, "OOO1"에는 STATUS, "OO1O"에는 SPECIFIC INQUIRY, "OO11"에는 NOTIFY, "O1OO"에는 GENERAL INQUIRY가 할당되어 있다. "O101 내지 0111"는 장래의 사양를 위해서 예약 확보되어 있다. 또한, "1OOO"에는 NOT INPLEMENTED, "1OO1"에는 ACCEPTED, "1O1O"에는 REJECTED, "1O11"에는 INTRANSITION, "11OO"'에는 IMPLEMENTED/STABLE, "11O1"에는 CHNGED, "1111"에는 INTERIM이 할당되어 있다. "1110"는 장래의 사양를 위해서 예약 확보되어 있다.
도 20B는, subunit type의 구체예를 나타내고 있다. "00000"에는 Video Monitor, "OOO11"에는 Disk recorder/Player, "OO1OO"에는 Tape recorder/Player, "OO1O1"에는 Tuner, "OO111"에는 Video Camera, "111OO"에는 Vendor unique, "1111O"에는 Subunit type extendeDto next byte가 할당되어 있다. 또, "11111"에는 unit이 할당되어 있지만, 이것은 기기 그 자체에 보내여지는 경우에 이용되고, 예를 들면 전원의 온 오프 등이 들 수 있다.
도 20C는, opcode의 구체예를 나타내고 있다. 각 subunit type 마다 opcode의 테이블이 존재하며, 여기서는, subunit type가 Tape recorder/Player인 경우의 opcode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opcode 마다 operand가 정의되어 있다. 여기서는, "OOh"에는 VENDOR-DEPENDENT, "50h"에는 SEACH MODE, "51h"에는 TIMECODE, "52h"에는 ATN, "60h"에는 0PENMIC, "61h"에는 READMIC, "62h"에는 WRITE MIC, "Clh"에는 LOADMEDIUM, "C2h"에는 RECORD, "C3h"에는 PLAY, "C4h"에는 WIND가, 각각 할당되어 있다.
도 21는, AV/C 커맨드와 응답의 구체예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타깃(소비자)(제어되는 측)으로서의 재생 기기에 재생 지시를 행하는 경우, 컨트롤러(제어하는 측)는 도 21A와 같은 커맨드를 타깃에 보낸다. 이 커맨드는 AV/C 커맨드 세트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CTS="OOOO"로 되어 있다. ctype은 기기를 외부로부터 제어하는 커맨드(C0NTR0L)를 이용하기 때문에, "0000"로 되어 있다(도 20A). subunit type은 Tape recorder/Player에 의해, "00100"로 되어 있다(도 2OB). id는 ID#O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고, OOO으로 되어 있다. opcode는 재생을 의미하는 "C3h"로 되어 있다(도 20C). operand는 FORWARD를 의미하는 "75h"로 되어 있다. 그리고, 재생되면, 타깃은, 도 21B와 같은 응답을 컨트롤러에게 돌려 준다. 여기서는, 받아 들임을 의미하는 accepted가 response에 배치되어 있고, response는 "1001"로 되어 있다(도 20A 참조). response를 제외하고, 다른은 도 21A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에 있어서, 본체(1)와 별체(2) 사이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AV/C 커맨드 세트를 이용하여, 각종의 제어가 행하여진다. 단지,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본체(1)와 별체(2) 사이에서 행해지는 제어 중, 미리 정해진 커맨드와 응답으로 대처할 수 없는 것에 대해서는, 새로운 커맨드와 응답이 정의되어 있고, 그 새로운 커맨드와 응답을 이용하여, 각종의 제어가 행하여진다.
또, 이상의 IEEE1394 통신 및 AV/C 커맨드 세트에 대해서는,「WHITE SERISE No.181 IEEE1394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주식회사 Triceps 발행에 그 상세가 설명되어 있다.
다음에, 도 10에 도시한 본체(1)의 신호 처리부(137)에서는(도 11에 도시한 별체(2)의 신호 처리부(157)에 있어서도 동모양), 상술한 바와 같이, DSP(137A)가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각종의 디지털 신호 처리를 행하지만, 그 중의 1개로서 화상 데이터를 제1 화상 데이터로부터 제2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화상 변환 처리가 있다.
여기서, 예를 들면 제1 화상 데이터를 저해상도의 화상 데이터로 함과 동시에, 제2 화상 데이터를 고해상도의 화상 데이터라고 하면, 화상 변환 처리는 해상도를 향상시키는 해상도 향상 처리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제1 화상 데이터를 저 S/N(Siginal/Noise)의 화상 데이터로 함과 동시에, 제2 화상 데이터를 고 S/N의 화상 데이터라고 하면, 화상 변환 처리는 노이즈를 제거하는 노이즈 제거 처리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제1 화상 데이터를 소정의 사이즈의 화상 데이터로 함과 동시에, 제2 화상 데이터를 제1 화상 데이터의 사이즈를 크게 또는 작게 한 화상 데이터라고 하면, 화상 변환 처리는 화상의 리사이즈(확대 또는 축소)를 행하는 리사이즈 처리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화상 변환 처리에 따르면, 제1 및 제2 화상 데이터를 어떻게 정의하는 지에 따라서, 여러가지 처리를 실현 할 수 있다.
도 22는 상술한 바와 같은 화상 변환 처리를 행하는 신호 처리부(137)의 기능적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22의 기능적 구성은 신호 처리부(137)의 DSP(137A)가 EEPROM(137B)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신호 처리부(137)(도 10)에서는, 프레임 메모리(127)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또는 CPU(129)로부터 공급되는 화상 데이터가 제1 화상 데이터로서 탭 추출부(161, 162)에 공급된다.
탭 추출부(161)는 제2 화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화소를, 순차, 주목 화소로 하며, 또한, 그 주목 화소의 화소값을 예측하는 데 이용하는 제1 화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화소(의 화소값)이 몇일까를 예측탭으로서 추출한다.
구체적으로는, 탭 추출부(161)는 주목 화소에 대응하는 제1 화상 데이터의 화소에 대하여, 공간적 또는 시간적으로 가까운 위치에 있는 복수의 화소(예를 들면, 주목 화소에 대응하는 제1 화상 데이터의 화소와 그것에 공간적으로 인접하는 화소 등)을 예측탭으로서 추출한다.
탭 추출부(162)는 제1 화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일부 화소를, 주목 화소를 분류하는 데 이용되는 클래스 탭으로서 추출한다.
또, 여기서는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서, 예측탭과 클래스 탭은, 동일한 탭 구조를 갖는 것으로 한다. 단지, 예측탭과 클래스 탭은 다른 탭 구조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탭 추출부(161)로 얻어진 예측탭은 예측부(165)에 공급되어, 탭 추출부(162)로 얻어진 클래스 탭은, 클래스 분류부(163)에 공급된다.
클래스 분류부(163)는 탭 추출부(162)로부터의 클래스 탭에 기초하여, 주목 화소를 클래스 분류하여, 그 결과 얻어지는 클래스에 대응하는 클래스 코드를 계수 메모리(164)에 공급한다.
여기서, 클래스 분류를 행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ADRC(AdaptiveDynamic Range Coding) 등을 채용할 수 있다.
ADRC를 이용하는 방법에서는, 클래스 탭을 구성하는 화소의 화소값이 ADRC 처리되어, 그 결과 얻어지는 ADRC 코드에 따라서, 주목 화소의 클래스가 결정된다.
또, K 비트 ADRC에서는, 예를 들면, 클래스 탭을 구성하는 화소의 화소값의 최대값 MAX와 최소값 MIN이 검출되어, DR=MAX-MIN을, 집합의 국소적인 다이내믹 범위로 하여, 이 다이내믹 범위 DR에 기초하여, 클래스 탭을 구성하는 화소값이 K 비트에 재 양자화된다. 즉, 클래스 탭을 구성하는 각 화소의 화소값으로부터, 최소값 MIN이 감산되어, 그 감산치가 DR/2K에서 제산(양자화)된다. 그리고,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지는 클래스 탭을 구성하는 K 비트의 각 화소의 화소값을 소정의 순서로 배열한 비트 열이, ADRC 코드로서 출력된다. 따라서, 클래스 탭이 예를 들면, 1 비트 ADRC 처리된 경우에는, 그 클래스 탭을 구성하는 각 화소의 화소값은, 최소값 MIN이 감산된 후에, 최대값 MAX와 최소값 MIN의 평균값으로 제산되고(소수점 이하 버림), 이에 따라, 각 화소의 화소값이 1 비트로 된다(2치화된다). 그리고, 그 1 비트의 화소값을 소정의 순서로 배열한 비트 열이, ADRC 코드로서 출력된다.
또, 클래스 분류부(163)에는, 예를 들면, 클래스 탭을 구성하는 화소의 화소값의 레벨 분포의 패턴을, 그대로 클래스 코드로서 출력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이 경우, 클래스 탭이, N개의 화소의 화소값으로 구성되어, 각 화소의 화소값에, K 비트가 할당되어 있다고 하면, 클래스 분류부(163)가 출력하는 클래스 코드인 경우의 수는, (2N)K대로 되며, 화소의 화소값의 비트 수 K에 지수적으로 비례한 방대한 수가 된다.
따라서, 클래스 분류부(163)에 있어서는, 클래스 탭의 정보량을, 상술한 ADRC 처리나, 혹은 벡터 양자화 등에 의해서 압축함으로써, 클래스 분류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수 메모리(164)는 계수 생성부(166)로부터 공급되는 클래스마다의 탭 계수를 기억하여, 또한, 그 기억한 탭 계수 중, 클래스 분류부(163)로부터 공급되는 클래스 코드에 대응하는 어드레스에 기억되어 있는 탭 계수(클래스 분류부(163)로부터 공급되는 클래스 코드가 나타내는 클래스의 탭 계수)를, 예측부(165)에 공급한다.
여기서, 탭 계수란, 디지털 필터에 있어서의, 소위 탭에서 입력 데이터와 승산되는 계수에 상당하는 것이다.
예측부(165)는 탭 추출부(161)가 출력하는 예측탭과, 계수 메모리(164)가 출력하는 탭 계수를 취득하며, 그 예측탭과 탭 계수를 이용하여, 주목 화소의 실제치의 예측치를 구하는 소정의 예측 연산을 행한다. 이에 따라, 예측부(165)는 주목 화소의 화소값(의 예측치), 즉, 제2 화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화소의 화소값을 구하여 출력한다.
계수 생성부(166)는 계수종 메모리(167)에 기억되어 있는 계수종 데이터와, 파라미터 메모리(168)에 기억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클래스마다의 탭 계수를 생성하며, 계수 메모리(164)에 공급하여 덧씌우기하는 형태로 기억시킨다.
계수종 메모리(167)는 후술하는 계수종 데이터의 학습에 의해서 얻어지는 클래스마다의 계수종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다. 여기서, 계수종 데이터는 탭 계수를 생성하는, 말하자면 씨가 되는 데이터이다.
파라미터 메모리(168)는 사용자가 리모콘(15)을 조작하는 것 등에 의해서, CPU(129)(도 10)로부터 공급되는 파라미터를 덧씌우기하는 형태로 기억한다.
다음에, 도 23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도 22의 신호 처리부(137)에 의한 화상 변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탭 추출부(161)에서는, 거기에 입력되는 제1 화상 데이터에 대한 제2 화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각 화소가 순차, 주목 화소로 된다. 그리고, 단계 S1에 있어서, 파라미터 메모리(168)는 CPU(129)으로부터 파라미터가 공급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여, 공급되었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2로 진행하며, 파라미터 메모리(168)는 그 공급된 파라미터를 덧씌우기하는 형태로 기억하여, 단계 S3로 진행한다.
또한, 단계 S1에 있어서, CPU(129)로부터 파라미터가 공급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2를 스킵하여, 단계 S3로 진행한다.
따라서, 파라미터 메모리(168)에서는, CPU(129)로부터 파라미터가 공급된 경우, 즉, 예를 들면, 사용자가 리모콘(15)을 조작하여, 파라미터가 입력된 경우, 혹은, CPU(129)에서 파라미터가 설정된 경우에는, 그 기억 내용이 입력 또는 설정된 파라미터에 의해서 갱신된다.
단계 S3에서는, 계수 생성부(166)가 계수종 메모리(167)로부터 클래스마다의 계수종 데이터를 판독함과 동시에, 파라미터 메모리(168)로부터 파라미터를 판독하며, 그 계수종 데이터와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클래스마다의 탭 계수를 구한다.그리고, 단계 S4로 진행하여, 계수 생성부(166)는 그 클래스마다의 탭 계수를, 계수 메모리(164)에 공급하며, 덧씌우기하는 형태로 기억시켜, 단계 S5로 진행한다.
단계 S5에서는, 탭 추출부(161, 162)가 거기에 공급되는 제1 화상 데이터로부터 주목 화소에 대한 예측탭과 클래스 탭으로 하는 것을 각각 추출한다. 그리고, 예측탭은, 탭 추출부(161)로부터 예측부(165)에 공급되고, 클래스 탭은 탭 추출부(162)로부터 클래스 분류부(163)에 공급된다.
클래스 분류부(163)는 탭 추출부(162)로부터, 주목 화소에 대한 클래스 탭을 수신하며, 단계 S6에서, 그 클래스 탭에 기초하여, 주목 화소를 클래스 분류한다. 또한, 클래스 분류부(163)는 그 클래스 분류의 결과 얻어지는 주목 화소의 클래스를 나타내는 클래스 코드를 계수 메모리(164)에 출력하여, 단계 S7로 진행한다.
단계 S7에서는, 계수 메모리(164)가 클래스 분류부(163)로부터 공급되는 클래스 코드에 대응하는 어드레스에 기억되어 있는 탭 계수를 판독하여 출력한다. 또한, 단계 S7에서는, 예측부(165)가 계수 메모리(164)가 출력하는 탭 계수를 취득하여, 단계 S8로 진행한다.
단계 S8에서는, 예측부(165)가 탭 추출부(161)가 출력하는 예측탭과 계수 메모리(164)로부터 취득한 탭 계수를 이용하여 소정의 예측 연산을 행한다. 이에 따라, 예측부(165)는 주목 화소의 화소값을 구하고 프레임 메모리(127)(도 10)에 기입하여, 단계 S9로 진행한다.
단계 S9에서는, 탭 추출부(161)가 아직 주목 화소로 되어 있지 않은 제2 화상 데이터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9에 있어서, 아직, 주목 화소로 되어 있지 않은 제2 화상 데이터가 있다고 판정된 경우, 그, 아직 주목 화소로 되어 있지 않은 제2 화상 데이터의 화소 중의 1개가, 새롭게 주목 화소로 되어, 단계 S1로 되돌아가며, 이하, 마찬가지의 처리가 반복된다.
또한, 단계 S9에 있어서, 아직, 주목 화소로 되어 있지 않은 제2 화상 데이터가 없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를 종료한다.
또, 도 23에 있어서, 단계 S3 및 S4의 처리는, 파라미터 메모리(168)에, 새로운 파라미터 덧씌우기된 경우에 행하며, 다른 경우에는 스킵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도 22의 예측부(165)에 있어서의 예측 연산, 계수 생성부(166)에 있어서의 탭 계수의 생성, 및 계수종 메모리(167)에 기억시키는 계수종 데이터의 학습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제, 고 화질의 화상 데이터(고 화질 화상 데이터)를 제2 화상 데이터로 함과 동시에, 그 고 화질 화상 데이터를 LPF(Low Pass Filter)에 의해서 필터링하는 등하여 그 화질(해상도)를 저하시킨 저 화질의 화상 데이터(저 화질 화상 데이터)를 제1 화상 데이터로서, 저 화질 화상 데이터로부터 예측탭을 추출하여, 그 예측탭과 탭 계수를 이용하며, 고 화질 화소의 화소값을, 소정의 예측 연산에 의해서 구하는(예측한다) 것을 생각한다.
이제, 소정의 예측 연산으로서, 예를 들면, 선형 1차 예측 연산을 채용하는 것으로 하면, 고 화질 화소의 화소값 y는, 다음의 선형 1차식에 의해서 구해지게 된다.
단지, 수학식(1)에 있어서, Xn은, 고 화질 화소 y에 대한 예측탭을 구성하는, N번째의 저 화질 화상 데이터의 화소(이하, 적절하게, 저 화질 화소라함)의 화소값을 나타내고, Wn은, N번째의 저 화질 화소(의 화소값)과 승산되는 N번째의 탭 계수를 나타낸다. 또, 수학식(1)에서는, 예측탭이, N개의 저 화질 화소 X1, X2, ···,XN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고 화질 화소의 화소값 y는, 수학식(1)에 도시한 선형 1차식이 아니고, 2차 이상의 고차식에 의해서 구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22의 실시 형태에서는, 계수 생성부(166)에 있어서, 탭 계수 WN이, 계수종 메모리(167)에 기억된 계수종 데이터와, 파라미터 메모리(168)에 기억된 파라미터로부터 생성되지만, 이 계수 생성부(166)에 있어서의 탭 계수 Wn의 생성이, 예를 들면, 계수종 데이터와 파라미터를 이용한 다음식에 의해서 행해지는 것으로 한다.
단지, 수학식(2)에 있어서, βm,n은, N번째의 탭 계수 Wn을 구하는 데 이용되는 m 번째의 계수종 데이터를 나타내며, z는 파라미터를 나타낸다. 또, 수학식(2)에서는, 탭 계수 Wn이, M개의 계수종 데이터 βn,1, βn,2, · · ·, βn,M을 이용하여 구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계수종 데이터βm,n과 파라미터 Z에서, 탭 계수 Wn을 구하는 식은, 수학식(2)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제, 수학식(2)에 있어서의 파라미터 z에 의해서 결정되는 값 zm-1을, 새로운 변수 tm을 도입하여, 다음식으로 정의한다.
식(3)을 수학식(2)에 대입함으로써, 다음식이 얻어진다.
식(4)에 따르면, 탭 계수 Wn은 계수종 데이터βm,n과 변수 tm과의 선형 1차식에 의해서 구해지는 것으로 된다.
그런데, 지금, 제 k 샘플의 고 화질 화소의 화소값의 실제치를 yk로 나타냄 과 동시에, 수학식(1)에 의해서 얻어지는 그 실제치 yk의 예측치를 yk'로 나타내면, 그 예측 오차 ek는, 다음식으로 표시된다.
지금, 수학식(5)의 예측치 yk'는, 수학식(1)에 따라서 구해지기 때문에, 수학식(5)의 yk'를, 수학식(1)에 따라서 치환하면, 다음식이 얻어진다.
단지, 수학식(6)에 있어서, Xn,k은, 제 k 샘플의 고 화질 화소에 대한 예측탭을 구성하는 N번째의 저 화질 화소를 나타낸다.
수학식(6)의 Wn에, 수학식(4)을 대입함으로써, 다음식이 얻어진다.
식(7)의 예측 오차 ek를 0으로 하는 계수종 데이터βm,n이, 고 화질 화소를 예측하는 데 최적의 것으로 되지만, 모든 고 화질 화소에 대하여, 그와 같은 계수종 데이터βm,n을 구하는 것은, 일반적으로는 곤란하다.
그래서, 계수종 데이터βm,n이 최적의 것을 나타내는 규범으로서, 예를 들면, 최소 제곱법을 채용하는 것으로 하면, 최적의 계수종 데이터βm,n은, 다음식으로 표시되는 제곱 오차의 총합 E를 최소로 하는 것으로 구할 수 있다.
단지, 수학식(8)에 있어서, K는 고 화질 화소 yk와, 그 고 화질 화소 yk에 대한 예측탭을 구성하는 저 화질 화소 X1,k, X2,k,· · ·, Xn,k의 세트의 샘플 수(학습용 샘플의 수)를 나타낸다.
수학식(8)의 제곱 오차의 총합 E의 최소값(극소치)는 수학식(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총합 E를 계수종 데이터βm,n으로 편미분한 것을 0으로 하는 βm,n에 의해서 주어진다.
수학식(6)을, 수학식(9)에 대입함으로써, 다음식이 얻어진다.
지금, Xi,p,j,q와 Yi,p를 수학식(11)과 수학식(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의한다.
이 경우, 수학식(10)은, Xi,p,j,q와 Yi,p를 이용한 수학식(13)에 도시하는 정규 방정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l3)의 정규 방정식은, 예를 들면, 소거법(Gauss-Jordan의 소거법) 등을 이용함으로써, 계수종 데이터βm,n에 대하여 풀 수 있다.
도 22의 신호 처리부(137)에 있어서는, 다수의 고 화질 화소 y1, y2, · · ·, yk를 학습 교사가 되는 교사 데이터로 함과 동시에, 각 고 화질 화소 yk에 대한 예측탭을 구성하는 저 화질 화소 X1,k, X2,k,· · ·, XN,K을 학습 생도가 되는 생도 데이터로서, 수학식(13)을 푸는 학습을 행함으로써 구해진 계수종 데이터βm,n이, 계수종 메모리(167)에 기억되어 있고, 계수 생성부(166)에서는 그 계수종 데이터βm,n과, 파라미터 메모리(168)에 기억된 파라미터 z로부터, 수학식(2)에 따라서, 탭 계수 Wn이 생성된다. 그리고, 예측부(165)에 있어서, 그 탭 계수 Wn과, 고 화질 화소로서의 주목 화소에 대한 예측탭을 구성하는 저 화질 화소(제1 화상 데이터의 화소) Xn을 이용하여, 수학식(1)이 계산됨으로써, 고 화질 화소로서의 주목 화소의 화소값(에 가까운 예측치)가 구해진다.
다음에, 도 24는, 수학식(13)의 정규 방정식을 세워 푸는 것에 의해 계수종 데이터βm,n을 구하는 학습을 행하는 학습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학습 장치에는, 계수종 데이터βn,m의 학습에 이용되는 학습용 화상 데이터가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학습용 화상 데이터로서는, 예를 들면, 해상도가 높은 고 화질 화상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학습 장치에서, 학습용 화상 데이터는, 교사 데이터 생성부(171)와 생도 데이터 생성부(173)에 공급된다.
교사 데이터 생성부(171)는 거기에 공급되는 학습용 화상 데이터로부터 교사 데이터를 생성하여, 교사 데이터 기억부(172)에 공급한다. 즉, 여기서는, 교사 데이터 생성부(171)는 학습용 화상 데이터로서의 고 화질 화상 데이터를, 그대로 교사 데이터로서, 교사 데이터 기억부(172)에 공급한다.
교사 데이터 기억부(172)는 교사 데이터 생성부(171)로부터 공급되는 교사 데이터로서의 고 화질 화상 데이터를 기억한다.
생도 데이터 생성부(173)는 학습용 화상 데이터로부터 생도 데이터를 생성하여, 생도 데이터 기억부(174)에 공급한다. 즉, 생도 데이터 생성부(173)는 학습용 화상 데이터로서의 고 화질 화상 데이터를 필터링함으로써, 그 해상도를 저하시키는 것으로, 저 화질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이 저 화질 화상 데이터를 생도 데이터로서 생도 데이터 기억부(174)에 공급한다.
여기서, 생도 데이터 생성부(173)에는, 학습용 화상 데이터의 다른, 도 22의 파라미터 메모리(168)에 공급되는 파라미터 z가 얻어진 범위 중 몇개의 값이, 파라미터 생성부(180)로부터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즉, 지금, 파라미터 z가 얻는 값이 O 내지 Z의 범위의 실수라고 하면, 생도 데이터 생성부(173)에는, 예를 들면, z=0, 1, 2, · · ·, Z가, 파라미터 생성부(180)로부터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생도 데이터 생성부(173)는 학습용 화상 데이터로서의 고 화질 화상 데이터를, 거기에 공급되는 파라미터 z에 대응하는 차단 주파수의 LPF에 의해서 필터링함으로써, 생도 데이터로서의 저 화질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따라서, 이 경우, 생도 데이터 생성부(173)에서는,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학습용 화상 데이터로서의 고 화질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Z+1 종류의, 해상도가 다른 생도 데이터로서의 저 화질 화상 데이터가 생성된다.
또, 여기서는, 예를 들면 파라미터 z의 값이 커지는 만큼, 차단 주파수가 높은 LPF를 이용하여, 고 화질 화상 데이터를 필터링하여, 생도 데이터로서의 저 화질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여기서는, 값이 큰 파라미터 z에 대응하는 저 화질 화상 데이터 만큼, 해상도가 높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서, 생도 데이터 생성부(173)에 있어서, 고 화질 화상 데이터의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의 양방향의 해상도를, 파라미터 z에 대응하는 분만큼 저하시킨 저 화질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으로 한다.
도 24로 되돌아가, 생도 데이터 기억부(174)는 생도 데이터 생성부(173)로부터 공급되는 생도 데이터를 기억한다.
탭 추출부(175)는 교사 데이터 기억부(172)에 기억된 교사 데이터로서의 고 화질 화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화소를, 순차, 주목교사 화소로 하며, 그 주목교사 화소에 대하여, 생도 데이터 기억부(174)에 기억된 생도 데이터로서의 저 화질 화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저 화질 화소 중의 소정의 것을 추출함으로써, 도 22의 탭 추출부(161)가 구성하는 것과 동일한 탭 구조의 예측탭을 구성하여, 가산부(178)에 공급한다.
탭 추출부(176)는 주목교사 화소에 대하여, 생도 데이터 기억부(174)에 기억된 생도 데이터로서의 저 화질 화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저 화질 화소 중의 소정의 것을 추출함으로써, 도 22의 탭 추출부(162)가 구성하는 것과 동일한 탭 구조의 클래스 탭을 구성하여, 클래스 분류부(177)에 공급한다.
또, 탭 추출부(175, 176)에는, 파라미터 생성부(180)가 생성하는 파라미터 z가 공급되도록 되어 있고, 탭 추출부(175, 176)는 파라미터 생성부(180)로부터 공급되는 파라미터 z에 대응하여 생성된 생도 데이터(여기서는, 파라미터 z에 대응하는 차단 주파수의 LPF를 이용하여 생성된 생도 데이터로서의 저 화질 화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예측탭과 클래스 탭을 각각 구성한다.
클래스 분류부(177)는 탭 추출부(176)가 출력하는 클래스 탭에 기초하여, 도 22의 클래스 분류부(163)와 동일한 클래스 분류를 행하여, 그 결과 얻어지는 클래스에 대응하는 클래스 코드를, 가산부(178)에 출력한다.
가산부(178)는 교사 데이터 기억부(172)로부터, 주목교사 화소를 판독하여, 그 주목교사 화소, 탭 추출부(175)로부터 공급되는 주목교사 화소에 대하여 구성된 예측탭을 구성하는 생도 데이터, 및 그 생도 데이터를 생성했을 때의 파라미터 z를 대상으로 한 가산을, 클래스 분류부(177)로부터 공급되는 클래스 코드마다 행한다.
즉, 가산부(178)에는, 교사 데이터 기억부(172)에 기억된 교사 데이터 yk, 탭 추출부(175)가 출력하는 예측탭 Xi,k(Xj,k) 및 클래스 분류부(177)가 출력하는 클래스 코드의 다른, 그 예측탭을 구성하는 데 이용된 생도 데이터를 생성했을 때의 파라미터 z도, 파라미터 생성부(180)로부터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가산부(178)는 클래스 분류부(177)로부터 공급되는 클래스 코드에 대응하는 클래스마다, 예측탭(생도 데이터) Xi,k(Xj,k)와 파라미터 z를 이용하여, 수학식(13)의 좌변의 행렬에 있어서의, 수학식(11)으로 정의되는 컴포넌트 Xi,p,j,q를 구하기 위한 생도 데이터 및 파라미터 Z의 승산(X1,ktpXj,ktq)와, 합계(summation)(Σ)에 상당하는 연산을 행한다. 또, 수학식(11)의 tp는, 수학식(3)에 따라서, 파라미터 z로부터 계산된다. 수학식(11 )의 tq도 마찬가지다.
또한, 가산부(178)는 역시, 클래스 분류부(177)로부터 공급되는 클래스 코드에 대응하는 클래스마다, 예측탭(생도 데이터) Xi,k, 교사 데이터 yk, 및 파라미터 z를 이용하여, 수학식(13)의 우변 벡터에 있어서의, 수학식(12)으로 정의되는 성분 Yi,p를 구하기 위한 생도 데이터 Xi,k, 교사 데이터 yk, 및 파라미터 z의 승산(Xi,ktpyk)와, 합계(Σ)에 상당하는 연산을 행한다. 또, 수학식(12)의 tp는, 수학식(3)에 따라서, 파라미터 z로부터 계산된다.
즉, 가산부(178)는 전회, 주목교사 화소로 된 교사 데이터에 대하여 구해진 수학식(13)에 있어서의 좌변 행렬의 성분 Xi,p,j,q와, 우변 벡터의 성분 Yi,p를, 그 내장하는 메모리(도시하지 않음)에 기억하고 있어, 그 행렬의 성분 Xi,p,j,q또는 벡터의 성분 Yi,p에 대하여, 새롭게 주목교사 화소로 된 교사 데이터에 대하여, 그 교사 데이터 yk, 생도 데이터 Xi,k(Xj,k), 및 파라미터 z를 이용하여 계산되는, 대응하는 성분 Xi,ktpXj,ktq또는 Xi,ktpyk를 가산한다(식(11)의 성분 Xi,p,j,q또는 수학식(12)의 성분 Yi,p에서의 합계로 표시되는 가산을 행한다).
그리고, 가산부(178)는 0, 1, ···, Z의 모든 값의 파라미터 z에 관하여, 교사 데이터 기억부(172)에 기억된 교사 데이터 전부를 주목교사 화소로서, 상술한 가산을 행함으로써, 각 클래스에 대하여, 수학식(13)에 도시한 정규 방정식을 세우면, 그 정규 방정식을, 계수종 산출부(179)에 공급한다.
계수종 산출부(179)는 가산부(178)로부터 공급되는 클래스마다의 정규 방정식을 푸는 것에 의해, 각 클래스마다의 계수종 데이터βm,n을 구하여 출력한다.
파라미터 생성부(180)는 도 22의 파라미터 메모리(168)에 공급되는 파라미터 z가 얻는 범위 중 몇개의 값으로서의, 예를 들면, 상술한 바와 같은 z=0, 1, 2, ···, Z를 생성하여, 생도 데이터 생성부(173)에 공급한다. 또한, 파라미터 생성부(180)는 생성한 파라미터 z를, 탭 추출부(175, 176), 및 가산부(178)에도 공급한다.
다음에, 도 26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도 24의 학습 장치의 처리(학습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단계 S21에 있어서, 교사 데이터 생성부(171)와 생도 데이터 생성부(173)가 학습용 화상 데이터로부터, 교사 데이터와 생도 데이터를, 각각 생성하여 출력한다. 즉, 교사 데이터 생성부(171)는 학습용 화상 데이터를, 그대로, 교사 데이터로서 출력한다. 또한, 생도 데이터 생성부(171)에는, 파라미터 생성부(180)가 생성하는 Z+1개의 값의 파라미터 z가 공급되며, 생도 데이터 생성부(171)는 학습용 화상 데이터를, 파라미터 생성부(180)로부터의 Z+1개의 값(0, 1, ···, Z)의 파라미터 z에 대응하는 차단 주파수의 LPF에 의해서 필터링함으로써, 각 프레임의 교사 데이터(학습용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Z+1 프레임의 생도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교사 데이터 생성부(171)가 출력하는 교사 데이터는, 교사 데이터기억부(172)에 공급되고 기억되며, 생도 데이터 생성부(173)가 출력하는 생도 데이터는, 생도 데이터 기억부(174)에 공급되고 기억된다.
그 후, 단계 S22로 진행하며, 파라미터 생성부(180)는 파라미터 z를 초기치로서의, 예를 들면 0으로 세트하여, 탭 추출부(175, 176), 및 가산부(178)에 공급하여, 단계 S23로 진행한다. 단계 S23에서는, 탭 추출부(175)는 교사 데이터 기억부(172)에 기억된 교사 데이터 중, 아직, 주목교사 화소로 되어 있지 않은 것을 주목교사 화소로 한다. 또한, 단계 S23에서는, 탭 추출부(175)가 주목교사 화소에 대하여, 생도 데이터 기억부(174)에 기억된, 파라미터 생성부(180)가 출력하는 파라미터 z에 대한 생도 데이터(주목교사 화소로 되어있는 교사 데이터에 대응하는 학습용 화상 데이터를, 파라미터 z에 대응하는 차단 주파수의 LPF에 의해서 필터링함으로써 생성된 생도 데이터)로부터 예측탭을 구성하여, 가산부(178)에 공급함과 함께, 탭 추출부(176)가 역시, 주목교사 화소에 대하여, 생도 데이터 기억부(174)에 기억된, 파라미터 생성부(180)가 출력하는 파라미터 z에 대한 생도 데이터로부터 클래스 탭을 구성하고, 클래스 분류부(177)에 공급한다.
그리고, 단계 S24로 진행하여, 클래스 분류부(177)는 주목교사 화소에 대한클래스 탭에 기초하여, 주목교사 화소의 클래스 분류를 행하여, 그 결과 얻어지는 클래스에 대응하는 클래스 코드를, 가산부(178)에 출력하여, 단계 S25로 진행한다.
단계 S25에서는, 가산부(178)는 교사 데이터 기억부(172)로부터 주목교사 화소를 판독하며, 그 주목교사 화소, 탭 추출부(175)로부터 공급되는 예측탭, 파라미터 생성부(180)가 출력하는 파라미터 z를 이용하여, 수학식(13)에 있어서의 좌변의행렬 성분 Xi,ktpXj,ktq와, 우변 벡터의 성분 Xi,ktpyk를 계산한다. 또한, 가산부(178)는 이미 얻어진 행렬의 성분과 벡터의 성분 중, 클래스 분류부(177)로부터의 클래스 코드에 대응하는 것에 대하여, 주목 화소, 예측탭, 및 파라미터 z에서 구해진 행렬의 성분 Xi,ktpXj,ktq와 벡터의 성분 Xi,ktpyk를 가산하여, 단계 S26로 진행한다.
단계 S26에서는, 파라미터 생성부(180)가 자신이 출력하고 있는 파라미터 z가, 얻은 값의 최대값인 Z와 같은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26에 있어서, 파라미터 생성부(180)가 출력하고 있는 파라미터 z가 최대값 Z와 같지 않다(최대값 Z 미만이다)라고 판정된 경우, 단계 S27로 진행하며, 파라미터 생성부(180)는 파라미터 z에 1를 가산하여, 그 가산치를 새로운 파라미터 z로서, 탭 추출부(175, 176), 및 가산부(178)에 출력한다. 그리고, 단계 S23로 되돌아가며, 이하, 마찬가지의 처리가 반복된다.
또한, 단계 S26에 있어서, 파라미터 z가 최대값 Z와 같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28로 진행하여, 탭 추출부(175)가 교사 데이터 기억부(172)에, 아직, 주목교사 화소로 되어 있지 않은 교사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28에 있어서, 주목교사 화소로 되어 있지 않은 교사 데이터가, 아직, 교사 데이터 기억부(172)에 기억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 탭 추출부(175)는 아직 주목교사 화소로 되어 있지 않은 교사 데이터를, 새롭게 주목교사 화소로서, 단계 S22로 되돌아가며, 이하, 마찬가지의 처리가 반복된다.
또한, 단계 S28에 있어서, 주목교사 화소로 되어 있지 않은 교사 데이터가,교사 데이터 기억부(172)에 기억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가산부(178)는 지금까지의 처리에 의해서 얻어진 클래스마다의 수학식(13)에 있어서의 좌변의 행렬과, 우변 벡터를, 계수종 산출부(179)에 공급하여, 단계 S29로 진행한다.
단계 S29에서는, 계수종 산출부(179)는 가산부(178)로부터 공급되는 클래스마다의 수학식(13)에 있어서의 좌변의 행렬과 우변 벡터에 의해서 구성되는 클래스마다의 정규 방정식을 푸는 것에 의해, 각 클래스마다, 계수종 데이터βm,n을 구하고 출력하여, 처리를 종료한다.
또, 학습용 화상 데이터의 수가 충분하지 않은 것 등에 기인하여, 계수종 데이터를 구하는 데 필요한 수의 정규 방정식이 얻어지지 않은 클래스가 생기는 경구가 있지만, 그와 같은 클래스에 대해서는, 계수종 산출부(179)는 예를 들면, 디폴트의 계수종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도 24의 학습 장치에서는,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학습용 화상 데이터로서의 고 화질 화상 데이터를 교사 데이터로 함과 동시에, 그 고 화질 화상 데이터에, 파라미터 z에 대응하여 해상도를 열화시킨 저 화질 화상 데이터를 생도 데이터로서, 수학식(4)에 의해서 계수종 데이터βm,n과 파라미터 z에 대응하는 변수 tm과로 표시되는 탭 계수 Wn, 및 생도 데이터 Xn로부터, 수학식(1)의 선형 1차식으로 예측되는 교사 데이터의 예측치 y의 제곱 오차의 총합을 최소로 하는 계수종 데이터βm,n을 직접 구하는 학습을 행하도록 하였지만, 계수종 데이터βm,n의 학습은, 기타, 예를 들면,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하여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도 27의 실시 형태에서는, 도 25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경우와 같이, 학습용 화상 데이터로서의 고 화질 화상 데이터를 교사 데이터로 함과 동시에, 그 고 화질 화상 데이터를, 파라미터 z에 대응한 차단 주파수의 LPF에 의해서 필터링함으로써, 그 수평 해상도 및 수직 해상도를 저하시킨 저 화질 화상 데이터를 생도 데이터로서, 우선, 탭 계수 Wn, 및 생도 데이터 Xn을 이용하여 수학식(1)의 선형 1차 예측식으로 예측되는 교사 데이터의 예측치 y의 제곱 오차의 총합을 최소로 하는 탭 계수 Wn이, 파라미터 z의 값(여기서는, z=0, 1, ···, Z)마다 구해된다. 또한,도 27의 실시 형태에서는, 구해진 탭 계수 Wn을 교사 데이터로 함과 동시에, 파라미터 z를 생도 데이터로서, 수학식(4)에 의해서 계수종 데이터βm,n, 및 생도 데이터인 파라미터 z에 대응하는 변수 tm에서 예측되는 교사 데이터로서의 탭 계수 Wn의 예측치의 제곱 오차의 총합을 최소로 하는 계수종 데이터βm,n을 구하는 학습이 행하여진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수학식(8)으로 표시되는, 수학식(1)의 선형 1차 예측식으로 예측되는 교사 데이터의 예측치 y의 제곱 오차의 총합 E를 최소(극소)로 하는 탭 계수 Wn은, 그 총합 E를 탭 계수 Wn에서 편미분한 것을 0으로 하는 것이며, 따라서, 다음식을 만족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상술한 수학식(6)을 탭 계수 Wn에서 편미분하면, 다음식이 얻어진다.
수학식(14)과 수학식(15)로부터, 다음식이 얻어진다.
수학식(16)의 ek에, 수학식(6)을 대입함으로써, 수학식(16)은, 수학식(17)에 도시하는 정규 방정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식(17)의 정규 방정식은, 예를 들면, 수학식(13)의 정규 방정식에 있어서의 경우와 같이, 소거법(Gauss-Jordan의 소거법) 등을 이용함으로써, 탭 계수 Wn에 대하여 풀 수 있다.
수학식(17)의 정규 방정식을 푸는 것에 의해, 최적의 탭 계수(여기서는, 제곱 오차의 총합 E를 최소로 하는 탭 계수) Wn은, 클래스마다, 또한 파라미터 z의 값(z=0, 1, ···, Z)마다 구해진다.
한편,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수학식(4)에 의해, 계수종 데이터βm,n과, 파라미터 z에 대응하는 변수 tm으로부터, 탭 계수가 구해지지만, 지금, 이 수학식(4)에 의해서 구해지는 탭 계수를, Wn'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하면, 다음의 수학식(18)으로 표시된다, 최적의 탭 계수 Wn과 수학식(4)에 의해 구해지는 탭 계수 Wn'과의 오차 en을 O로 하는 계수종 데이터βm,n이, 최적의 탭 계수 Wn을 구하는 데 최적의 것으로 되지만, 모든 탭 계수 Wn에 대하여, 그와 같은 계수종 데이터βm,n을 구하는 것은, 일반적으로는 곤란하다.
또, 수학식(18)은, 수학식(4)에 의해서, 다음 식과 같이 변형될 수 있다.
그래서, 계수종 데이터βm,n이 최적의 것을 나타내는 규범으로서, 예를 들면, 역시, 최소 제곱법을 채용하는 것으로 하면, 최적의 계수종 데이터βm,n은, 다음 식으로 표시되는 제곱 오차의 총합 E를 최소로 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수학식(20)의 제곱 오차의 총합 E의 최소값(극소치)는 수학식(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총합 E를 계수종 데이터βm,n에서 편미분한 것을 0으로 하는 βm,n에 의해서 주어진다.
수학식(19)을, 수학식(21)에 대입함으로써, 다음식이 얻어진다.
지금, Xi,j와 Yi를 수학식(23)과 수학식(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의한다.
이 경우, 수학식(22)은, Xi,j와 Yi를 이용한 수학식(25)에 도시하는 정규 방정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25)의 정규 방정식도, 예를 들면, 소거법(Gauss-Jordan의 소거법) 등을 이용함으로써, 계수종 데이터βm,n에 대하여 풀 수 있다.
다음에, 도 28은, 수학식(25)의 정규 방정식을 세워 푸는 것에 의해 계수종 데이터βn,m을 구하는 학습을 행하는 학습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 그림 중, 도 24에서의 경우와 대응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있어, 이하에서는, 그 설명은, 적절하게 생략한다.
가산부(190)에는, 클래스 분류부(177)가 출력하는 주목교사 화소에 대한 클래스 코드와, 파라미터 생성부(180)가 출력하는 파라미터 z가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가산부(190)는 교사 데이터 기억부(172)로부터, 주목교사 화소를 판독하여, 그 주목교사 화소와, 탭 추출부(175)로부터 공급되는 주목교사 화소에 대하여 구성된 예측탭을 구성하는 생도 데이터를 대상으로 한 가산을, 클래스 분류부(177)로부터 공급되는 클래스 코드마다, 또한 파라미터 생성부(180)가 출력하는 파라미터 z의 값마다 행한다.
즉, 가산부(190)에는, 교사 데이터 기억부(172)에 기억된 교사 데이터 yk,탭 추출부(175)가 출력하는 예측탭 Xn,k, 클래스 분류부(177)가 출력하는 클래스 코드, 및 파라미터 생성부(180)가 출력하는, 예측탭 Xn,k을 구성하는 데 이용된 생도 데이터를 생성했을 때의 파라미터 z가 공급된다.
그리고, 가산부(190)는 클래스 분류부(177)로부터 공급되는 클래스 코드에 대응하는 클래스마다, 또한 파라미터 생성부(180)가 출력하는 파라미터 z의 값마다, 예측탭(생도 데이터) Xn,k을 이용하여, 수학식(17)의 좌변의 행렬에 있어서의 생도 데이터끼리의 승산(Xn,k,Xn',k)과, 합계(Σ)에 상당하는 연산을 행한다.
또한, 가산부(190)는 역시, 클래스 분류부(177)로부터 공급되는 클래스 코드에 대응하는 클래스마다, 또한 파라미터 생성부(180)가 출력하는 파라미터 z의 값마다, 예측탭(생도 데이터) Xn,k과 교사 데이터 yk를 이용하여, 수학식(17)의 우변 벡터에 있어서의 생도 데이터 Xn,k및 교사 데이터 yk의 승산(Xn,kyk)과, 합계(Σ)에 상당하는 연산을 행한다.
즉, 가산부(190)는 전회, 주목교사 화소로 된 교사 데이터에 대하여 구해진 수학식(17)에 있어서의 좌변의 행렬의 성분(ΣXn,k, Xn',k) 과, 우변 벡터의 성분(ΣXn,kyk)을, 그 내장하는 메모리(도시하지 않음)에 기억하고 있어, 그 행렬의 성분(ΣXn,k,Xn',k)또는 벡터의 성분(ΣXn,kyk)에 대하여, 새롭게 주목교사 화소로 된 교사 데이터에 대하여, 그 교사 데이터 yk+1및 생도 데이터 Xn,k+1을 이용하여 계산되는, 대응하는 성분 Xn,k+1또는 Xn,k+1yk+1을 가산한다(식(17)의 합계로 표시되는 가산을 행한다).
그리고, 가산부(190)는 교사 데이터 기억부(172)에 기억된 교사 데이터 전부를 주목교사 화소로서, 상술한 가산을 행함으로써, 각 클래스에 대하여, 파라미터 z의 각 값마다, 수학식(17)에 도시한 정규 방정식을 세우면, 그 정규 방정식을, 탭 계수 산출부(191)에 공급한다.
탭 계수 산출부(191)는 가산부(190)로부터 공급되는 각 클래스에 대한, 파라미터 z의 값마다의 정규 방정식을 푸는 것에 의해, 각 클래스에 대하여, 파라미터 z의 값마다의 최적의 탭 계수 Wn을 구하여, 가산부(192)에 공급한다.
가산부(192)는 각 클래스마다, 파라미터 z(에 대응하는 변수 tm)와, 최적의 탭 계수 Wn을 대상으로 한 가산을 행한다.
즉, 가산부(192)는 파라미터 z에서 수학식(3)에 의해서 구해지는 변수 ti(tj)를 이용하여, 수학식(25)의 좌변의 행렬에 있어서의, 수학식(23)으로 정의되는 성분 Xi,j를 구하기 위한 파라미터 z에 대응하는 변수 ti(tj) 끼리의 승산(titj)과, 합계(Σ)에 상당하는 연산을, 클래스마다 행한다.
여기서, 성분 Xi,j는, 파라미터 z에 의해서만 결정되는 것이며, 클래스와는 관계가 없기 때문에, 성분 Xi,j의 계산은, 실제로는, 클래스마다 행할 필요는 없고, 1회 만으로 끝난다.
또한, 가산부(192)는 파라미터 z에서 수학식(3)에 의해서 구해지는 변수 ti와, 최적의 탭 계수 Wn을 이용하여, 수학식(25)의 우변 벡터에 있어서의, 수학식(24)으로 정의되는 성분 Yi를 구하기 위한 파라미터 z에 대응하는 변수 ti및 최적의 탭 계수 Wn의 승산(tiWn)과, 합계(Σ)에 상당하는 연산을 클래스마다 행한다.
가산부(192)는 각 클래스마다 수학식(23)으로 표시되는 성분 Xi,j와, 수학식(24)으로 표시되는 성분 Yi를 구하는 것에 의해, 각 클래스에 대하여, 수학식(25)의 정규 방정식을 세우면, 그 정규 방정식을, 계수종 산출부(193)에 공급한다.
계수종 산출부(193)는 가산부(192)로부터 공급되는 클래스마다의 수학식(25)의 정규 방정식을 푸는 것에 의해, 각 클래스마다의 계수종 데이터βm,n을 구하여 출력한다.
도 22의 신호 처리부(137)에 있어서의 계수종 메모리(167)에는, 이상과 같이 하여 구해진 클래스마다의 계수종 데이터βm,n을 기억시켜 두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도 22의 신호 처리부(137)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계수종 메모리(167)를 설치하지 않고서, 도 28의 탭 계수 산출부(191)가 출력하는 파라미터 z의 각 값마다의 최적의 탭 계수 Wn을 메모리에 기억시켜 두고, 파라미터 메모리(168)에 기억된 파라미터 z에 따라서, 메모리에 기억된 최적의 탭 계수를 선택하여, 계수 메모리(164)로 세트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지, 이러한 경우, 파라미터 z가 얻는 값의 수에 비례한 큰 용량의 메모리가 필요해진다. 이것에 대하여, 계수종 메모리(167)를 설치하여, 계수종 데이터를 기억시켜 두는 경우에는, 계수종 메모리(167)의 기억 용량은, 파라미터 z가 얻는 값의 수에 의존하지 않기 대문에, 계수종 메모리(167)로서, 작은 용량의 메모리를 채용 할 수 있다. 또한, 계수종 데이터βm,n을 기억시켜 두는 경우에는, 그 계수종 데이터βm,n과, 파라미터 z의 값으로부터, 수학식(2)에 의해 탭 계수 Wn이 생성되는 것부터, 파라미터 z의 값에 따른, 말하자면 연속적인 탭 계수 Wn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그 결과, 도 22의 예측부(165)가 제2 화상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고 화질 화상 데이터의 화질을, 무 단계로 순조롭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술한 경우에는, 학습용 화상 데이터를, 그대로 제2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교사 데이터로 함과 동시에, 그 학습용 화상 데이터의 해상도를 열화시킨 저 화질 화상 데이터를, 제1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생도 데이터로서, 계수종 데이터의 학습을 행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계수종 데이터로서는, 제1 화상 데이터를, 그 해상도를 향상시킨 제2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해상도 향상 처리로서의 화상 변환 처리를 행하는 것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체(1)의 신호 처리부(137)의 EEPROM(137A)에, 그 계수종 데이터를 기억시켜 둠과 동시에, 도 22의 기능적 구성을 실현하며, 또한 도 23의 흐름도로 화상 변환 처리를 행하는 프로그램을 기억시켜 두는 것에 의해, 신호 처리부(137)에서는, 파라미터 z에 대응하여, 화상 데이터의 수평 해상도 및 수직 해상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생도 데이터와, 제2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교사 데이터로 하는 화상 데이터의 선택 방법에 의해서, 계수종 데이터로서는, 각종의 화상 변환 처리를 행하는 것을 얻을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고 화질 화상 데이터를 교사 데이터로 함과 동시에, 그 교사데이터로서의 고 화질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파라미터 z에 대응하는 레벨의 노이즈를 중첩한 화상 데이터를 생도 데이터로서 학습 처리를 행함으로써, 계수종 데이터로서는, 제1 화상 데이터를, 거기에 포함되는 노이즈를 제거(저감)한 제2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노이즈 제거 처리로서의 화상 변환 처리를 행하는 것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어떤 화상 데이터를 교사 데이터로 함과 동시에, 그 교사 데이터로서의 화상 데이터의 화소 수를, 파라미터 z에 대응하여 추출한 화상 데이터를 생도 데이터로서, 또는, 파라미터 z에 대응하는 사이즈의 화상 데이터를 생도 데이터로 함과 동시에, 그 생도 데이터로서의 화상 데이터의 화소를 소정의 추출율로 추출한 화상 데이터를 교사 데이터로서 학습 처리를 행함으로써, 계수종 데이터로서는, 제1 화상 데이터를, 확대 또는 축소한 제2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리사이즈 처리로서의 화상 변환 처리를 행하는 것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체(1)의 신호 처리부(137)의 EEPROM(137A)에, 노이즈 제거 처리용의 계수종 데이터나, 리사이즈 처리용의 계수종 데이터를 기억시켜 두는 것에 의해, 신호 처리부(137)에서는, 파라미터 z에 대응하고, 화상 데이터의 노이즈 제거나 리사이즈(확대 또는 축소)를 행할 수 있다.
또, 상술한 경우에는, 탭 계수 Wn을, 수학식(2)에 도시한 바와 같이, β1,nz02,nz2M,nzM-1로 정의하고, 이 수학식(2)에 의해서, 수평 및 수직 방향의 해상도를 어느 하나의 파라미터 z에 대응하여 향상시키기 위한 탭 계수 Wn을 구하도록 하였지만, 탭 계수 Wn으로서는, 수평 해상도와 수직 해상도를, 독립의 파라미터 Zx와 Zy에 대응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을 구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탭 계수 Wn을, 수학식(2)에 바꾸고, 예를 들면, 3차식 β1,nzx 0zy 02,nzx 1zy 03,nzx 2zy 04,nzx 3zy 05,nzx 0zy 16,nzx 0zy 27,nzx 0zy 38,nzx 1zy 19,nzx 2zy 110,nzx 1zy 2로 정의함과 함께, 수학식(3)으로 정의한 변수 tm을, 수학식(3)에 대입하고, t1=Zx 0Zy 0, t2=Zx 1Zy 0, t3=Zx 2Zy 0, t4=Zx 3Zy 0, t5=Zx 0Zy 1, t6=Zx 0Zy 2, t7=Zx 0Zy 3, t8=Zx 1Zy 1, t9=Zx 2Zy 1, t10=Zx 1Zy 2로 정의한다. 이 경우도, 탭 계수 Wn은, 최종적으로는, 수학식(4)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따라서, 학습 장치(도 24,도 28)에 있어서, 파라미터 zx와 zy에 대응하여, 교사 데이터의 수평 해상도와 수직 해상도를 각각 열화시킨 화상 데이터를, 생도 데이터로서 이용하여 학습을 행하고, 계수종데이터βm,n을 구하는 것에 의해, 수평 해상도와 수직 해상도를, 독립의 파라미터 zx와 zy에 대응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향상시키는 탭 계수 Wn을 구할 수 있다.
기타, 예를 들면, 수평 해상도와 수직 해상도 각각에 대응하는 파라미터 zx와 zy외에, 또한, 시간 방향의 해상도에 대응하는 파라미터 zt를 도입함으로써, 수평 해상도, 수직 해상도, 시간 해상도를, 독립의 파라미터 zx, zy, zt에 대응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향상시키는 탭 계수 Wn을 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리사이즈 처리에 대해서도, 해상도 향상 처리에 있어서의 경우와 같이, 수평 및 수직 방향을, 어느 하나의 파라미터 z에 대응하는 확대율(또는 축소율)로 리사이즈하는 탭 계수 Wn의 다른, 수평과 수직 방향을, 각각 파라미터 zx와 zy에 대응하는 확대율로, 독립적으로 리사이즈하는 탭 계수 Wn을 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학습 장치(도 24, 도 28)에 있어서, 파라미터 zx에 대응하여 교사 데이터의 수평 해상도 및 수직 해상도를 열화시킴과 동시에, 파라미터 zy에 대응하여 교사 데이터에 노이즈를 부가한 화상 데이터를, 생도 데이터로서 이용하여 학습을 행하여, 계수종 데이터βm,n을 구하는 것에 의해, 파라미터 zx에 대응하여 수평 해상도 및 수직 해상도를 향상시킴 동시에, 파라미터 zy에 대응하여 노이즈 제거를 행하는 탭 계수 Wn을 구할 수 있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화상 변환 처리를 행하는 기능은, 본체(1)뿐만아니라, 별체(2)도 갖고 있다.
그래서, 도 29는 상술한 화상 변환 처리를 행하는 별체(2)(도 11)의 신호 처리부(157)의 기능적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29의 기능적 구성 역시, 도 22의 신호 처리부(137)에 있어서의 경우와 같이, 신호 처리부(157)의 DSP(157A)가 EEPROM(157B)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도 29에 있어서, 별체(2)의 신호 처리부(157)는 본체(1)의 신호 처리부(137)(도 22)의 탭 추출부(161) 내지 파라미터 메모리(168)와 각각 마찬가지로 구성되는 탭 추출부(201) 내지 파라미터 메모리(208)로 구성되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또, 본체(1)의 신호 처리부(137)와, 별체(2)의 신호 처리부(157)에는, 동일한 계수종 데이터를 기억시켜 두는 것도 가능하지만,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적어도 일부가 다른 계수종 데이터를 기억시켜 두는 것으로 한다.
즉, 예를 들면, 본체(1)의 신호 처리부(137)에는, 리사이즈 처리용의 계수종 데이터와, 해상도 향상 처리용의 계수종 데이터를 기억시켜 두고, 별체(2)의 신호 처리부(157)에는, 리사이즈 처리용의 계수종 데이터와, 노이즈 제거 처리용의 계수종 데이터를 기억시켜 두는 것으로 한다.
혹은, 예를 들면, 본체(1)의 신호 처리부(137)에는, 리사이즈 처리용의 계수종 데이터를 기억시켜 두고, 어느 1개의 별체(2ij)의 신호 처리부(157)에는, 노이즈제거 처리용의 계수종 데이터를 기억시켜 둠과 동시에, 다른 1개의 별체(2pq)의 신호 처리부(157)에는, 해상도 향상 처리용의 계수종 데이터를 기억시켜 두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본체(1)의 신호 처리부(137)와, 별체(2)의 신호 처리부(157)의 양방에, 각종의 처리를 행하기 위한 계수종 데이터를 기억시켜 두는 것도 가능하지만, 그 경우, 그 각종의 처리를 행하기 위한 계수종 데이터를, EEPROM(137B, 157B)에 기억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EEPROM(137B, 157B)로서, 기억 용량이 큰 것이 필요해져, 본체(1)나 별체(2)의 비용이 증대된다.
한편,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에 있어서, 본체(1)와 별체(2)는 IEEE1394 통신이 가능하도록 접속되는 것부터, 본체(1) 또는 별체(2)는 별체(2) 또는 본체(1)가 갖는 계수종 데이터를, IEEE1394 통신에 의해서 취득 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노이즈 제거 처리를 행하는 계수종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는 별체(2)가 본체(1)에 접속되면, 본체(1)는 자신이 그 계수종 데이터를 갖고 있지 않더라도(기억하지 않더라도), 별체(2)로부터 계수종 데이터를 취득하여, 노이즈 제거 처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본체(1)는(별체(2)도 동일 모양),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으로서 접속되는 별체(2)가 증가하는 만큼, 실행 가능한 처리, 즉 기능이 증가하게 된다.
이 경우, EEPROM(137B, 157B)로서, 기억 용량이 작은 것을 채용할 수가 있어, 본체(1)나 별체(2)의 비용을 저감 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본체(1) 외에, 별체(2)를 증설해 갈수록, 스케일러블 TV 시스템 전체로서의 기능이 증가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별체의 구입 의욕을 일으킬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새로운 별체를 구입한 경우라도, 사용자가 이미 소유하고 있는 별체(2)는 그 별체(2)가 갖는 계수종 데이터를 이용하여 행해지는 처리에 필요하고, 사용자가 그 소유하고 있는 별체(2)를 폐기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그 결과, 자원의 유효 이용에 이바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별체(2)에 있어서, 신호 처리부(157)는 별체(2) 단체에서는, 처리를 행하지 않게 되어 있다. 즉, 별체(2)의 신호 처리부(157)는 IEEE1394 통신에 의해서, 본체(1)로부터, CPU(149)(도 11)를 경유하여 커맨드를 수신한 경우에, 그 커맨드에 대응하여 처리를 행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별체(2)는 크게는, 안테나로 수신된 텔레비전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화상을, CRT(31)에 표시함과 함께, 음성을, 스피커 유닛(32L, 32R)에서 출력하는 기능(이하, 적절하게, TV 기능이라함)과, 신호 처리부(157)가 처리를 행함으로써 제공되는 기능(이하, 적절하게, 특별 기능이라함)을 갖지만, 단체에서는, TV 기능밖에 사용할 수 없고, 특별 기능은 사용할 수 없다. 즉, 별체(2)의 특별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그 별체(2)가 본체(1)에 접속되어,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다음에, 도 30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도 10의 본체(1)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단계 S41에 있어서, CPU(129)는 단자 패널(21)에, 어떠한 기기가 접속되는지, 또는, IEEE1394 인터페이스(133) 혹은 IR 수신부(135)로부터, 어떠한 커맨드가 공급된다고 하는 이벤트가 생기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아무런 이벤트도 생기고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41로 되돌아간다.
또한, 단계 S41에 있어서, 단자 패널(21)에 기기가 접속되는 이벤트가 생겼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42로 진행하며, CPU(129)는 후술하는 도 31의 인증 처리를 행하여, 단계 S41로 되돌아간다.
여기서, 단자 패널(21)에 기기가 접속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서는, 단자 패널(21)에 기기가 접속된 것을 검출할 필요가 있지만, 이 검출은,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하여 행해진다.
즉, 단자 패널(21)(도 3)에 설치된 IEEE1394 단자(21ij)에, (IEEE1394 케이블을 개재하여) 기기가 접속되면, 그 IEEE1394 단자(21ij)의 단자 전압이 변화한다. IEEE1394 인터페이스(133)는 이 단자 전압의 변화를, CPU(129)에 보고하도록 되어 있고, CPU(129)는 IEEE1394 인터페이스(133)로부터, 단자 전압의 변화의 보고를 받는 것에 의해서, 단자 패널(21)에 기기가 새롭게 접속된 것을 검출한다. 또, CPU(129)는 예를 들면, 마찬가지의 수법에서, 단자 패널(21)로부터 기기가 분리된 것을 인식한다.
한편, 단계 S41에 있어서, IEEE1394 인터페이스(133)혹은 IR수신부(135)로부터, 어떠한 커맨드가 공급되는 이벤트가 생겼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43로 진행하고, 본체(1)에서는, 그 커맨드에 대응한 처리가 행하여져, 단계 S41로 되돌아간다.
다음에, 도 31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본체(1)가 도 30의 단계 S42로 행하는인증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체(1)의 인증 처리에서는, 단자 패널(21)에 새롭게 접속된 기기(이하, 적절하게, 접속 기기라함)가 정당한 IEEE1394 기기인지의 여부에 대한 인증과, 그 IEEE1394 기기가, 본체 또는 별체가 되는 텔레비전 수상기(스케일러블 대응기)인 지의 여부에 대한 인증의 2개의 인증이 행하여진다.
즉, 본체(1)의 인증 처리에서는, 우선, 단계 S51에 있어서, CPU(129)는 IEEE1394 인터페이스(133)를 제어함으로써, 접속 기기에 대하여, 상호 인증을 행하는 것을 요구하는 인증요구 커맨드를 송신시켜, 단계 S52로 진행한다.
단계 S52에서는, CPU(129)는 인증요구 커맨드에 대응하는 응답이, 접속 기기로부터 돌아오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52에 있어서, 인증요구 커맨드에 대응하는 응답이, 접속 기기로부터 돌아오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53로 진행하며, CPU(129)는 타임 오버가 되었는지의 여부, 즉, 인증요구 커맨드를 송신하고 나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53에 있어서, 타임 오버라고 판정된 경우, 즉, 인증요구 커맨드를, 접속 기기에 송신하고 나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해도, 그 접속 기기로부터, 인증요구 커맨드에 대응하는 응답이 돌아오지 않은 경우, 단계 S54로 진행하며, CPU(129)는 접속 기기가 정당한 IEEE1394 기기가 아니고, 인증에 실패하였다고 해서, 동작 모드를, 그 접속 기기 사이에서는, 아무런 데이터의 교환도 행하지 않은 모드인 단체 모드로 설정하여, 복귀한다.
따라서, 본체(1)는 그 후, 정당한 IEEE1394 기기가 아닌 접속 기기 사이에서는, IEEE1394 통신은 물론, 아무런 데이터의 교환도 행하지 않는다.
한편, 단계 S53에 있어서, 타임 오버가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 단계 S52로 되돌아가며, 이하, 마찬가지의 처리를 반복한다.
그리고, 단계 S52에 있어서, 인증요구 커맨드에 대응하는 응답이, 접속 기기로부터 돌아왔다고 판정된 경우, 즉, 접속 기기로부터의 응답이, IEEE1394 인터페이스(133)로 수신되어, CPU(129)에 공급된 경우, 단계 S55로 진행하며, CPU(129)는 소정의 알고리즘에 따라서, 난수(유사난수) R1를 생성하여, IEEE1394 인터페이스(133)를 개재하여, 접속 기기에 송신한다.
그 후, 단계 S56로 진행하며, CPU(129)는 단계 S55로 송신한 난수 R1에 대하여, 그 난수 R1를 소정의 암호화 알고리즘(예를 들면, DES(Data Encryption Standard)이나, FEAL(Fast data Encipherment Algorithm), RC5등의 비밀 키 암호화 방식)으로 암호화한 암호화 난수 E'(Rl)가 접속 기기로부터 송신되어온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56에 있어서, 접속 기기로부터 암호화 난수 E'(R1)가 송신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57로 진행하며, CPU(129)는 타임 오버가 되었는 지의 여부, 즉, 난수 R1를 송신하고 나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였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57에 있어서, 타임 오버이다고 판정된 경우, 즉, 난수 R1를 접속 기기에 송신하고 나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해도, 그 접속 기기로부터 암호화 난수 E'(R1)가 송신되어 오지 않은 경우, 단계 S54로 진행하며, CPU(129)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접속 기기가 정당한 IEEE1394 기기가 아닌 것으로 하여하여, 동작 모드를 단체 모드로 설정하여, 복귀한다.
한편, 단계 S57에 있어서, 타임 오버가 아닌 것으로 판정된 경우, 단계 S56로 되돌아가며, 이하, 마찬가지의 처리를 반복한다.
그리고, 단계 S56에 있어서, 접속 기기로부터 암호화 난수 E'(R1)가 송신되어 왔다고 판정된 경우, 즉, 접속 기기로부터의 암호화 난수 E'(R1)가 IEEE1394 인터페이스(133)로 수신되어, CPU(129)에 공급된 경우, 단계 S58로 진행하며, CPU(129)는 단계 S55로 생성한 난수 R1을, 소정의 암호화 알고리즘으로 암호화하여, 암호화 난수 E(R1)를 생성하여, 단계 S59로 진행한다.
단계 S59에서는, CPU(129)는 접속 기기로부터 송신되어 온 암호화 난수 E'(Rl)와, 자신이 단계 S58에서 생성한 암호화 난수 E(Rl)이 같은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59에 있어서, 암호화 난수 E'(Rl)와 E(Rl)이 같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즉, 접속 기기로 채용되어 있는 암호화 알고리즘(필요에 따라서, 암호화에 이용되는 비밀 키도 포함한다)가 CPU(129)로 채용되어 있는 암호화 알고리즘과 다른 것이는 경우, 단계 S54로 진행하며, CPU(129)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접속 기기가 정당한 IEEE1394 기기가 아닌 것으로 하여하여, 동작 모드를 단체 모드로 설정하여, 복귀한다.
또한, 단계 S59에 있어서, 암호화 난수 E'(Rl)와 E(Rl)이 같다고 판정된 경우, 즉, 접속 기기로 채용되어 있는 암호화 알고리즘이, CPU(129)로 채용되어 있는 암호화 알고리즘과 같은 것인 경우, 단계 S60로 진행하며, CPU(129)는 접속 기기가본체(1)의 인증을 행하기 위한 난수 R2가, 접속 기기로부터 송신되어 왔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60에 있어서, 난수 R2가 송신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61로 진행하며, CPU(129)는 타임 오버가 되었는 지의 여부, 즉, 예를 들면, 단계 S59로 암호화 난수 E'(Rl)와 E(Rl)이 같다고 판정되고 나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였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61에 있어서, 타임 오버이다고 판정된 경우, 즉, 상당의 시간이 경과해도, 접속 기기로부터, 난수 R2가 송신되어 오지 않은 경우, 단계 S54로 진행하며, CPU(129)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접속 기기가 정당한 IEEE1394 기기가 아닌 것으로 하여하여, 동작 모드를 단체 모드로 설정하여, 복귀한다.
한편, 단계 S61에 있어서, 타임 오버가 아닌 것으로 판정된 경우, 단계 S60로 되돌아가며, 이하, 마찬가지의 처리를 반복한다.
그리고, 단계 S60에 있어서, 접속 기기로부터, 난수 R2가 송신되어 왔다고 판정된 경우, 즉, 접속 기기로부터의 난수 R2가, IEEE1394 인터페이스(133)로 수신되어, CPU(129)에 공급된 경우, 단계 S62로 진행하며, CPU(129)는 난수 R2를 소정의 암호화 알고리즘으로 암호화하여, 암호화 난수 E(Rl)을 생성하고, IEEE1394 인터페이스(133)를 개재하여, 접속 기기에 송신한다.
여기서, 단계 S60에 있어서, 접속 기기로부터 난수 R2가 송신되어 온 시점에서, 접속 기기가 정당한 IEEE1394 기기인 것의 인증이 성공한다.
그 후, 단계 S63로 진행하며, CPU(129)는 IEEE1394 인터페이스(133)를 제어함으로써, 접속 기기의 기기 ID와 기능 정보를 요구하는 기능정보 요구 커맨드와 동시에, 자신의 기기 ID와 기능 정보를 접속 기기에 송신한다.
여기서, 기기 ID는, 본체(1)나 별체(2)가 되는 텔레비전 수상기를 특정하는 고유한 ID이다.
또한, 기능 정보는, 자신의 기능에 관한 정보로, 예를 들면, 자신이 갖는 계수종 데이터의 종류(어떠한 화상 변환 처리를 행할 수 있는 계수종 데이터인 것의 여부), 외부로부터 접수하는 커맨드의 종류(예를 들면, 전원의 온/오프, 음량 조정, 채널, 휘도, 샤프니스 등을 제어하는 커맨드 중 어느 것을 외부로부터 접수하는 것의 여부), 관면 표시(OSD표시)가 가능하였는 지의 여부, 뮤트 상태가 될 수 있는 지의 여부, 슬리브 상태가 되는 지의 여부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기능 정보에는, 자신이 본체로서의 기능을 갖는 것인지의 여부, 또는 별체로서의 기능을 갖는 것인지의 여부에 대한 정보도 포함된다.
또, 본체(1)에서는, 기기 ID및 기능 정보는, 예를 들면, EEPROM(130)이나, 도 15에 도시한 구성(configuration) ROM의 vendor-dependent-informatioN등에 기억시켜 둘 수 있다.
그 후, 단계 S64로 진행하며, CPU(129)는 단계 S63로 접속 기기에 송신한 기능정보 요구 커맨드에 대응하여, 그 접속 기기가, 기기 ID와 기능 정보를 송신하여 오는 것을 대기하여, 그 기기 ID와 기능 정보를, IEEE1394 인터페이스(133)를 개재하여 수신하여, EEPROM(130)에 기억시키고, 단계 S65로 진행한다.
단계 S65에서는, CPU(129)는 EEPROM(130)에 기억된 기능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접속 기기가 별체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65에 있어서, 접속 기기가 별체이다고 판정된 경우, 즉, 접속 기기가 별체인 것의 인증에 성공한 경우, 단계 S66및 S67를 스킵하여, 단계 S68로 진행하며, CPU(129)는 동작 모드를 그 별체인 접속 기기에 대하여 특별 기능에 의한 처리를 행하게 하기 위한 제어 커맨드를 제공, 즉, 별체의 특별 기능을 제어하는 특별 기능 커맨드 접수/제공 모드로 설정하여, 복귀한다.
한편, 단계 S65에 있어서, 접속 기기가 별체가 아니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66로 진행하며, CPU(129)는 EEPROM(130)에 기억된 기능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접속 기기가 본체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66에 있어서, 접속 기기가 본체이다고 판정된 경우, 즉, 접속 기기가 본체인 것의 인증에 성공한 경우, 단계 S67로 진행하며, CPU(129)는 본체인 접속 기기 사이에서 본체-별체의 조정 처리를 행한다.
즉, 이 경우, 본체(1)에, 다른 본체가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을 구성하는 텔레비전 수상기 중에, 본체로서 기능하는 것이 2대 존재하게 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에 있어서의 본체는 1대일 필요가 있으며, 이 때문에, 단계 S67에서는, 본체(1)와 접속 기기로서의 본체 사이에서, 어느 것이 본체로서의 텔레비전 수상기로서 기능하는 가를 결정하는 본체-별체의 조정 처리가 행하여진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보다 빠르고, 스케일러블한 TV 시스템을 구성하게 된 본체, 즉,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본체(1)가 본체로서의 텔레비전 수상기로서기능하도록 결정된다. 또, 본체로서 기능하지 않도록 결정된 다른 본체는 별체로서 기능하게 된다.
단계 S67로 본체-별체 조정 처리가 행하여진 후에는 단계 S68로 진행하며, CPU(129)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동작 모드를, 특별 기능 커맨드 접수/제공 모드로 설정하여, 복귀한다.
한편, 단계 S66에 있어서, 접속 기기가 본체가 아니다고 판정된 경우, 즉, 접속 기기가 본체 및 별체 중 어느 것도 아니고, 따라서, 접속 기기가 본체 또는 별체인 것의 인증에 실패한 경우, 단계 S69로 진행하며, CPU(129)는 동작 모드를 접속 기기 사이에서, 미리 정해진 AV/C 커맨드 세트의 교환은 가능하지만, 특별 기능에 의한 처리를 행하기 위한 제어 커맨드의 교환은 할 수 없는 통상 기능 커맨드 접수/제공 모드로 설정하여, 복귀한다.
즉, 이 경우, 접속 기기는, 본체 및 별체 중 어느 것도 아니기 때문에, 그와 같은 접속 기기가, 본체(1)에 접속되더라도, 특별 기능은 제공되지 않는다. 단지, 이 경우, 접속 기기는 정당한 IEEE1394 기기이기 때문에, 본체(1)와 접속 기기 사이에서의 미리 정해진 AV/C 커맨드 세트의 교환은 허가된다. 따라서, 이 경우, 본체(1)와 접속 기기에 대해서는, 다른 쪽(혹은, 본체(1)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IEEE1394 기기)로부터, 미리 정해진 AV/C 커맨드 세트에 의해서 제어하는 것은 가능하다.
다음에, 도 32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도 11의 별체(2)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단계 S71에 있어서, CPU(149)는 단자 패널(41)에 어떠한 기기가 접속되는지의 여부, 또는, IEEE1394 인터페이스(153) 혹은 IR 수신부(155)로부터, 어떠한 커맨드가 공급된다고 하는 이벤트가 생겼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아무런 이벤트도 생기고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71로 되돌아간다.
또한, 단계 S71에 있어서, 단자 패널(41)에 기기가 접속되는 이벤트가 생겼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72로 진행하며, CPU(149)는 후술하는 도 33의 인증 처리를 행하여, 단계 S71로 되돌아간다.
여기서, 단자 패널(41)에 기기가 접속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서는, 단자 패널(41)에 기기가 접속된 것을 검출할 필요가 있지만, 이 검출은, 예를 들면, 도 30의 단계 S41로 설명한 경우와 같이 행해진다.
한편, 단계 S71에 있어서, IEEE1394 인터페이스(153) 혹은 IR수신부(155)로부터, 어떠한 커맨드가 공급되는 이벤트가 생겼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73로 진행하며, 별체(2)에서는 그 커맨드에 대응한 처리가 행하여져, 단계 S71로 되돌아간다.
다음에, 도 33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별체(2)가 도 32의 단계 S72로 행하는 인증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별체(2)의 인증 처리에서는, 단자 패널(41)에 새롭게 접속된 기기(접속 기기)가 정당한 IEEE1394 기기인지의 여부에 대한 인증과, 그 IEEE1394 기기가, 본체인 지의 여부에 대한 2개의 인증이 행하여진다.
즉, 별체(2)의 인증 처리에서는, 우선, 단계 S81에 있어서, CPU(149)는 접속기기로부터, 상호 인증을 행하는 것을 요구하는 인증요구 커맨드가 송신되어 왔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송신되지 않았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82로 진행한다.
단계 S82에서는, CPU(149)는 타임 오버가 되었는 지의 여부, 즉, 인증 처리를 개시하고 나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였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82에 있어서, 타임 오버이다고 판정된 경우, 즉, 인증 처리를 개시하고 나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해도, 접속 기기로부터, 인증요구 커맨드가 송신되지 않은 경우, 단계 S83로 진행하며, CPU(149)는 접속 기기가 정당한 IEEE1394 기기가 아니고, 인증에 실패하였다고 해서, 동작 모드를, 그 접속 기기 사이에서는, 아무런 데이터의 교환도 행하지 않은 모드인 단체 모드로 설정하여, 복귀한다.
따라서, 별체(2)는 본체(1)와 같이, 정당한 IEEE1394 기기가 아닌 접속 기기 사이에서는, IEEE1394 통신은 물론, 아무런 데이터의 교환도 행하지 않는다.
한편, 단계 S82에 있어서, 타임 오버가 아닌 것으로 판정된 경우, 단계 S81로 되돌아가며, 이하, 마찬가지의 처리를 반복한다.
그리고, 단계 S81에 있어서, 인증요구 커맨드가 접속 기기로부터 송신되어 왔다고 판정된 경우, 즉, 도 31의 단계 S51로 접속 기기로서의 본체(1)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인증요구 커맨드가, IEEE1394 인터페이스(153)로 수신되어, CPU(149)에 공급된 경우, 단계 S84로 진행하며, CPU(149)는 IEEE1394 인터페이스(153)를 제어함으로써, 인증요구 커맨드에 대한 응답을, 접속 기기에 송신시킨다.
여기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도 31에 있어서의 단계 S51 내지 S53의 처리를 본체(1)에, 도 33의 단계 S81, S82, 및 S84의 처리를 별체(2)에 각각 행하도록하였지만, 도 31에 있어서의 단계 S51 내지 S53의 처리는 별체(2)에, 도 33의 단계 S81, S82, 및 S84의 처리는 본체(1)에, 각각 행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후, 단계 S85로 진행하며, CPU(149)는 접속 기기로부터, 난수 R1가 송신되어 왔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송신되지 않았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86로 진행한다.
단계 S86에서는, CPU(149)는 타임 오버가 되었는 지의 여부, 즉, 단계 S84로 인증요구 커맨드에 대한 응답을 송신하고 나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였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86에 있어서, 타임 오버이다고 판정된 경우, 즉, 인증 커맨드에 대한 응답을 송신하고 나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해도, 접속 기기로부터, 난수 R1가 송신되어 오지 않은 경우, 단계 S83로 진행하며, CPU(149)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접속 기기가 정당한 IEEE1394 기기가 아닌 것으로 하여, 동작 모드를 그 접속 기기 사이에서는, 아무런 데이터의 교환도 행하지 않은 모드인 단체 모드로 설정하여, 복귀한다.
한편, 단계 S86에 있어서, 타임 오버가 아닌 것으로 판정된 경우, 단계 S85로 되돌아가며, 이하, 마찬가지의 처리를 반복한다.
그리고, 단계 S85에 있어서, 접속 기기로부터 난수 R1가 송신되어 왔다고 판정된 경우, 즉, 도 31의 단계 S55로 접속 기기로서의 본체(1)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난수 R1가, IEEE1394 인터페이스(153)로 수신되어, CPU(149)에 공급된 경우, 단계 S87로 진행하며, CPU(149)는 그 난수 R1를, 소정의 암호화 알고리즘으로 암호화하여, 암호화 난수 E'(Rl)를 생성한다. 또한, 단계 S87에서는, CPU(149)는 IEEE1394 인터페이스(153)를 제어함으로써, 암호화 난수 E'(Rl)를, 접속 기기에 송신하여, 단계 S89로 진행한다.
단계 S89에서는, CPU(149)는 난수(유사난수) R2를 생성하여, IEEE1394 인터페이스(153)를 제어함으로써, 난수 R2를 접속 기기에 송신시켜, 단계 S90로 진행한다.
단계 S90에서는, CPU(149)는 접속 기기로서의 본체(1)가 도 31의 단계 S62로 생성하는, 난수 R2를 암호화한 암호화 난수 E(R2)가 접속 기기로부터 송신되어 왔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90에 있어서, 접속 기기로부터 암호화 난수 E(R2)가 송신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91로 진행하며, CPU(149)는 타임 오버가 되었는 지의 여부, 즉, 난수 R2를 송신하고 나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였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91에 있어서, 타임 오버이다고 판정된 경우, 즉, 난수 R2를 접속 기기에 송신하고 나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해도, 그 접속 기기로부터 암호화 난수 E(R2)가 송신되어 오지 않은 경우, 단계 S83로 진행하며, CPU(149)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접속 기기가 정당한 IEEE1394 기기가 아니다고 해서, 동작 모드를 단체 모드로 설정하여, 복귀한다.
한편, 단계 S91에 있어서, 타임 오버가 아닌 것으로 판정된 경우, 단계 S90로 되돌아가며, 이하, 마찬가지의 처리를 반복한다.
그리고, 단계 S90에 있어서, 접속 기기로부터 암호화 난수 E(R2)가 송신되어왔다고 판정된 경우, 즉, 접속 기기로부터의 암호화 난수 E(R2)가 IEEE1394 인터페이스(153)로 수신되어, CPU(149)에 공급된 경우, 단계 S92로 진행하며, CPU(149)는 단계 S89로 생성한 난수 R2를 소정의 암호화 알고리즘으로 암호화하여, 암호화 난수 E'(R2)를 생성하여, 단계 S93로 진행한다.
단계 S93에서는, CPU(149)는 접속 기기로부터 송신되어 온 암호화 난수 E(R2)와 자신이 단계 S92 생성한 암호화 난수 E'(R2)이 같은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93에 있어서, 암호화 난수 E(R2)와 E'(R2)이 같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즉, 접속 기기로 채용되어 있는 암호화 알고리즘(필요에 따라서, 암호화에 이용되는 비밀 키도 포함한다)가 CPU(149)로 채용되어 있는 암호화 알고리즘과 다른 것인 경우, 단계 S83로 진행하며, CPU(149)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접속 기기가 정당한 IEEE1394 기기가 아닌 것으로 하여, 동작 모드를 단체 모드로 설정하여, 복귀한다.
또한, 단계 S93에 있어서, 암호화 난수 E(R2)와 E'(R2)이 같다고 판정된 경우, 즉, 접속 기기로 채용되어 있는 암호화 알고리즘이, CPU(149)로 채용되어 있는 암호화 알고리즘과 같은 것이며, 이에 따라, 접속 기기가 정당한 IEEE1394 기기인 것의 인증이 성공한 경우, 단계 S94로 진행하며, CPU(149)는 접속 기기로서의 본체(1)가 도 31의 단계 S63로 기능정보 요구 커맨드와 동시에 송신하여 오는 기기 ID및 기능 정보를, IEEE1394 인터페이스(153)를 개재하여 수신하여 EEPROM(150)에 기억시킨다.
그리고, 단계 S95로 진행하며, CPU(149)는 IEEE1394 인터페이스(153)를 제어함으로써, 단계 S94로 수신한 접속 기기로부터의 기능정보 요구 커맨드에 대응하여, 자신의 기기 ID와 기능 정보를, 접속 기기에 송신시켜, 단계 S96로 진행한다.
여기서, 별체(2)에서는, 기능 ID와 기능 정보는, 도 31으로 설명한 본체(1)에 있어서의 경우와 같이, EEPROM(150)나, 도 15에 도시한 구성 R0M의 vendor-dependent-informatioN등에 기억시켜 둘 수 있다.
단계 S96에서는, CPU(149)는 EEPROM(150)에 기억된 기능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접속 기기가 본체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96에 있어서, 접속 기기가 본체이다고 판정된 경우, 즉, 접속 기기가 본체인 것의 인증에 성공한 경우, 단계 S97로 진행하며, CPU(149)는 동작 모드를, 본체인 접속 기기로부터의 제어 커맨드를 접수하여, 그 제어 커맨드에 대응하여 특별 기능에 의한 처리를 행한다. 즉, 특별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 커맨드를 접수하는 특별 기능 커맨드 접수/제공 모드로 설정하여, 복귀한다.
여기서, 별체(2)는 특별 기능 커맨드 접수/제공 모드로 하면, 기본적으로, 자신의 프론트 패널(154)이나 IR 수신부(155)로부터 공급되는 커맨드를 무시하여, IEEE1394 인터페이스(153)로 수신되는 본체(1)로부터의 커맨드에 따라서 각종의 처리를 행하는 상태가 된다. 즉, 별체(2)는 예를 들면, 채널이나 음량의 설정이 다른 것을, 본체(1)로부터의 커맨드에만 대응하여 행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은, 본체(1)에 의해서, 그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을 구성하는 모든 별체(2)를 제어하는, 말하자면 집중 제어형의 시스템이다고 말할 수 있다.
또, 본체(1)(도 10)로부터 별체(2)로의 커맨드의 송신은, 그 프론트 패널(134)이나 IR 수신부(135)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행할 수도 있고, 별체(2)의 프론트 패널(154)이나 IR수신부(155)로의 입력을, IEEE1394 인터페이스(153)를 개재하여 본체(1)에 전송하며, 그와 같이 하여 별체(2)로부터 본체(1)에 전송되어 오는 입력에 기초하여 행할 수도 있다.
한편, 단계 S96에 있어서, 접속 기기가 본체가 아니다고 판정된 경우, 즉, 접속 기기가 본체인 것의 인증에 실패한 경우, 단계 S98로 진행하며, CPU(149)는 동작 모드를, 접속 기기 사이에서, 미리 정해진 AV/C 커맨드 세트의 교환은 가능하지만, 특별 기능에 의한 처리를 행하기 위한 제어 커맨드의 교환은 할 수 없는 통상 기능 커맨드 접수/제공 모드로 설정하여, 복귀한다.
즉, 이 경우, 접속 기기는, 본체가 아니기 때문에, 그와 같은 접속 기기가 별체(2)에 접속되더라도, 특별 기능은 제공되지 않는다. 따라서, 별체(2)에 다른 별체가 접속되기만 한 것에서는, 특별 기능은 제공되지 않는다. 단지, 이 경우, 접속 기기는, 정당한 IEEE1394 기기이기 때문에, 별체(2)와 접속 기기 사이에서의 미리 정해진 AV/C 커맨드 세트의 교환은 허가된다. 따라서, 이 경우, 별체(2)와 접속 기기(다른 별체를 포함한다)에 대해서는, 다른 쪽에서, 미리 정해진 AV/C 커맨드 세트에 의해서 제어하는 것은 가능하다.
다음에, 본체(1)와 별체(2)로, 도 31와 도 33에서 설명한 인증 처리가 각각 성공하여, 본체(1) 및 별체(2)가 그 동작 모드를, 특별 기능 커맨드 접수/제공 모드로 한 후에,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이 특별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서, 본체(1)와별체(2)가 도 30의 단계 S43와 도 32의 단계 S73로 각각 행하는 처리의 상세의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체(1)에서는, 도 1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여,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으로서의 화상과 음성이 출력되지만(화상이 표시되어, 음성이 출력된다), 본체(1)에 있어서, 이와 같이, 화상과 음성이 출력되어 있는 경우에, 사용자가, 리모콘(15)(도 7)의 가이드 버튼 스위치(63)(또는 리모콘(35)(도 8)의 가이드 버튼 스위치(93))를 온으로 하도록 조작하면, 리모콘(15)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는 적외선이 출사된다. 이 적외선은, 본체(1)(도 10)의 IR 수신부(135)로 수신되어, 가이드 버튼 스위치(63)의 조작에 대응하는 커맨드(이하, 적절하게, 캡션표시 커맨드라함)가 CPU(129)에 공급된다.
또, 리모콘(15)에 의한 적외선은, 별체(2)(도 11)의 IR 수신부(155)에도 수신되지만, 별체(2)에서는 이 적외선은 무시된다.
본체(1)(도 10)의 CPU(129)는 이상과 같이 하여, 캡션표시 커맨드를 수신하면, 도 34의 흐름도에서 본체의 클로즈드 캡션 처리를 행한다.
즉, CPU(129)은 우선, 단계 S101에 있어서, 디멀티플렉서(124)에 공급되어 있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에, 클로즈드 캡션이 포함되어 있은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MPEG 비디오 스트림 중에, 클로즈드 캡션 데이터를 포함시키는 경우에는, 클로즈드 캡션 데이터는, 예를 들면, 그 시퀀스층에서의 MPEG 사용자 데이터(MPEG-2 사용자 데이터)로서 배치된다. 이 경우, 단계 S101에서는, CPU(129)는 디멀티플렉서(124)에 공급되어 있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참조함으로써, 그 트랜스포트 스트림 중에, 클로즈드 캡션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은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101에 있어서, 트랜스포트 스트림 중에, 클로즈드 캡션 데이터가 포함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 이후의 처리를 스킵하여, 클로즈드 캡션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단계 S101에 있어서, 트랜스포트 스트림 중에, 클로즈드 캡션 데이터가 포함된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102로 진행하며, CPU(129)는 EEPROM(130)에 기억된,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을 구성하는 별체의 기능 정보, 및 자신의 기능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을 구성하는 텔레비전 수상기 중으로부터, 클로즈드 캡션용 계수종 데이터를 갖는 것을 검색한다. 즉, 기능 정보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텔레비전 수상기가 갖는 계수종 데이터의 종류가 포함되어 있고, 단계 S102에서는, 이러한 기능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클로즈드 캡션용 계수종 데이터를 갖는 텔레비전 수상기가 검색이 행해진다.
여기서, 클로즈드 캡션용의 계수종 데이터는, 예를 들면, 클로즈드 캡션 데이터에 의해서 표시되는 클로즈드 캡션의 화상 데이터를, 교사 데이터로 함과 동시에, 그 교사 데이터의 해상도를 열화시킨 화상 데이터, 그 교사 데이터에 노이즈를 가한 화상 데이터, 또는 그 교사 데이터를 축소한 화상 데이터 등을 생도 데이터로서 학습을 행함으로써 얻어지는 계수종 데이터이고, 클로즈드 캡션의 화상에 대하여, 그 해상도의 향상, 노이즈의 제거, 또는 확대를 행하는 데 특히 적합한 계수종 데이터를 의미한다.
그 후, 단계 S103로 진행하며, CPU(129)는 단계 S102의 검색 결과에 기초하여, 클로즈드 캡션 전용의 계수종 데이터를 갖는 텔레비전 수상기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103에 있어서, 클로즈드 캡션 전용의 계수종 데이터를 갖는 텔레비전 수상기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104로 진행하며, CPU(129)는 통상의 클로즈드 캡션 표시를 개시하도록, 신호 처리부(137)를 제어한다.
즉, 신호 처리부(137)는 소위 클로즈드 캡션 디코더로서의 기능도 갖고 있고, CPU(129)는 디멀티플렉서(124)에, 트랜스포트 스트림 중 클로즈드 캡션 데이터를 요구하며, 그 요구에 따라서, 디멀티플렉서(124)로부터 공급되는 클로즈드 캡션 데이터를 신호 처리부(137)에 공급한다. 신호 처리부(137)는 CPU(129)으로부터의 클로즈드 캡션 데이터를 디코드 처리하여, 그 결과 얻어지는 클로즈드 캡션을, 프레임 메모리(127)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의 소정의 위치에 중첩한다. 이에 따라, CRT(11)에는, MPEG 비디오 디코더(125)로 디코드된 화상 데이터에, 클로즈드 캡션이 중첩된 화상 데이터가 표시된다.
따라서, 이 경우, 본체(1)의 CRT(11)에서는, 클로즈드 캡션 디코더를 내장하고 있는 일반적인 텔레비전 수상기에 있어서의 경우와 같이, 콘텐츠로서의 화상에, 대응하는 클로즈드 캡션이 중첩되고 표시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클로즈드 캡션의 표시가 개시되면, 단계 S105로 진행하고, CPU(129)는 단계 S101에 있어서의 경우와 같이, 디멀티플렉서(124)에 공급되어 있는 트랜스포트 스트림 중에, 아직 표시하여야 할 클로즈드 캡션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은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105에 있어서, 클로즈드 캡션 데이터가 없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106를 스킵하여, 단계 S107로 진행하며, CPU(129)는 신호 처리부(137)를 제어함으로써, 클로즈드 캡션 데이터의 디코드 처리를 종료시켜, 클로즈드 캡션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단계 S105에 있어서, 디멀티플렉서(124)에 공급되어 있는 트랜스포트 스트림 중에, 아직 표시하여야 할 클로즈드 캡션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106로 진행하며, CPU(129)는 클로즈드 캡션 표시를 종료하는 커맨드(이하, 적절하게, 클로즈드 캡션 표시 오프 커맨드라함)이 송신되어 왔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106에 있어서, 클로즈드 캡션 표시 오프 커맨드가 송신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105로 되돌아가며, 이하, 마찬가지의 처리가 반복된다. 즉, 이 경우, 클로즈드 캡션의 표시가 속행된다.
또한, 단계 S106에 있어서, 클로즈드 캡션 표시 오프 커맨드가 송신되어 왔다고 판정된 경우, 즉, 예를 들면, 사용자가 리모콘(15)(도 7)의 가이드 버튼 스위치(63)(또는 리모콘(35)(도 8)의 가이드 버튼 스위치(93))를 오프로 하도록 조작함으로써, 리모콘(15)으로부터 클로즈드 캡션 표시 오프 커맨드에 대응하는 적외선이 출사되어 IR 수신부(135)로 수신된 경우, 단계 S107로 진행하며, CPU(129)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 처리부(137)를 제어함으로써 클로즈드 캡션 데이터의 디코드 처리를 종료시켜, 클로즈드 캡션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단계 S103에 있어서, 클로즈드 캡션 전용의 계수종 데이터를 갖는 텔레비전 수상기로서의 별체(이하, 적절하게, 캡션 계수종 데이터 보유 별체라함)가 존재한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108로 진행하며, CPU(129)는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을 구성하는 텔레비전 수상기로서의 별체의 중으로부터, 클로즈드 캡션을 표시시키는 것을 선택한다.
즉, CPU(129)은, 예를 들면, 본체(1)의 왼쪽 옆에 배치된 별체(223)나, 밑으로 배치된 별체(232) 등을 클로즈드 캡션을 표시시키는 별체(이하, 적절하게, 캡션표시용 별체라함)로서 선택한다. 또, 본체(1)는 별체(2ij)의, 본체(1)로부터 본 배치 위치를 상술한 바와 같이 미리 인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본체(1)의 왼쪽 옆에 배치된 별체(223)나, 밑으로 배치된 별체(232) 등의 각 배치 위치에 있는 별체ij를 특정한다.
그 후, 단계 S109로 진행하며, CPU(129)는 IEEE1394 인터페이스(133)를 개재하여, 캡션 계수종 데이터 보유 별체에, 커맨드를 송신하며, 이에 따라, 클로즈드 캡션 전용의 계수종 데이터를 요구한다.
여기서, CPU(129)는 캡션 계수종 데이터 보유 별체로 되어있는 별체를, EEPROM(130)에 기능 정보와 동시에 기억되어 있는 기기 ID에 의해서 특정하여, 클로즈드 캡션 전용의 계수종 데이터를 요구하는 커맨드(이하, 적절하게, 계수종 데이터 요구 커맨드라함)을 그 기기 ID앞으로 송신한다. CPU(129)는 계수종 데이터 요구 커맨드 이외의 커맨드도, 그 커맨드를 보내야하는 별체를, 기기 ID에 의해서특정하여, 그 기기 ID앞으로 송신한다.
단계 S109에서는, 또한, CPU(129)은, 계수종 데이터 요구 커맨드를 수신한 캡션 계수종 데이터 보유 별체로부터 클로즈드 캡션 전용의 계수종 데이터가 송신되어 오는 것을 대기하여, 그 클로즈드 캡션 전용의 계수종 데이터를, IEEE1394 인터페이스(133)를 개재하여 수신하며, 이에 따라, 클로즈드 캡션 전용의 계수종 데이터를 취득한다.
여기서, CPU(129)는 자신의 신호 처리부(137)의 EEPROM(137B)에, 클로즈드 캡션 전용의 계수종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는, 단계 S109에 있어서, 클로즈드 캡션 전용의 계수종 데이터를, EEPROM(137B)에서 판독하는 것에 의해 취득한다.
또한, 클로즈드 캡션 전용의 계수종 데이터가,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을 구성하는 텔레비전 수상기중 어디에도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은 계수종 데이터 제공용 서버에 있어서, 클로즈드 캡션 전용의 계수종 데이터가 제공되어 있을 때에는, CPU(129)에서는, 모뎀(136)을 제어함으로써, 계수종 데이터 제공용 서버를 액세스하고, 그 계수종 데이터 제공용 서버로부터, 클로즈드 캡션 전용의 계수종 데이터를 취득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이러한 계수종 데이터 제공용 서버에 의한 계수종 데이터의 제공은, 클로즈드 캡션 전용의 계수종 데이터에 한하지 않고, 후술하는 각종의 처리(화상 변환 처리)에 이용되는 계수종 데이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계수종 데이터 제공용 서버에 의한 계수종 데이터의 제공은, 무상 또는 유상 중 어느 하나로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CPU(129)는 단계 S109로 클로즈드 캡션 전용의 계수종 데이터를 취득하면, 단계 S110로 진행하며, IEEE1394 인터페이스(133)를 제어함으로써, 캡션 표시용 별체에 대하여, 클로즈드 캡션의 표시를 명령하는 클로즈드 캡션 표시 커맨드와 동시에, 클로즈드 캡션 전용의 계수종 데이터를 송신하여, 단계 S111로 진행한다.
단계 S111에서는, CPU(129)는 IEEE1394 인터페이스(133)를 제어함으로써, 캡션 표시용 별체에 대하여, 그 IEEE1394 인터페이스(153)(도 11)로의 입력을 선택하여, 그 CRT(31)에 표시하는 것을 명령하는 외부 입력 선택 커맨드를 송신하여, 단계 S112로 진행한다.
단계 S112에서는, CPU(129)는 클로즈드 캡션 데이터의, 캡션 표시용 별체로의 전송을 개시한다.
즉, CPU(129)은, 디멀티플렉서(124)에 트랜스포트 스트림 중 클로즈드 캡션 데이터를 요구하며, 그 요구에 따라서, 디멀티플렉서(124)로부터 공급되는 클로즈드 캡션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CPU(129)은, IEEE1394 인터페이스(133)를 제어함으로써, 디멀티플렉서(124)로부터 수신한 클로즈드 캡션 데이터를, 캡션 표시용 별체에 전송시킨다.
이상과 같이 하여, 클로즈드 캡션 데이터의, 캡션 표시용 별체로의 전송이 개시되면, 단계 S113로 진행하며, CPU(129)는 단계 S101에 있어서의 경우와 같이, 디멀티플렉서(124)에 공급되어 있는 트랜스포트 스트림 중에, 아직 표시하여야 할클로즈드 캡션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은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113에 있어서, 클로즈드 캡션 데이터가 없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114를 스킵하여, 단계 S115로 진행하며, CPU(129)는 IEEE1394 인터페이스(133)를 제어함으로써, 클로즈드 캡션 데이터의 전송 처리를 종료시켜, 클로즈드 캡션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단계 S113에 있어서, 디멀티플렉서(124)에 공급되어 있는 트랜스포트 스트림 중에, 아직 표시하여야 할 클로즈드 캡션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114로 진행하며, CPU(129)는 클로즈드 캡션 표시를 종료하는 커맨드(클로즈드 캡션 표시 오프 커맨드)가 송신되어 왔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114에 있어서, 클로즈드 캡션 표시 오프 커맨드가 송신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113로 되돌아가며, 이하, 마찬가지의 처리가 반복된다. 즉, 이 경우, 클로즈드 캡션 데이터의, 캡션 표시용 별체로의 전송이 속행된다.
또한, 단계 S114에 있어서, 클로즈드 캡션 표시 오프 커맨드가 송신되어 왔다고 판정된 경우, 즉, 예를 들면, 사용자가 리모콘(15)(도 7)의 가이드 버튼 스위치(63)(또는 리모콘(35)(도 8)의 가이드 버튼 스위치(93))를 오프로 하도록 조작함으로써, 리모콘(15)으로부터 클로즈드 캡션 표시 오프 커맨드에 대응하는 적외선이 출사되어, IR 수신부(135)로 수신된 경우, 단계 S115로 진행하며, CPU(129)는 IEEE1394 인터페이스(133)를 제어함으로써, 클로즈드 캡션 데이터의 전송 처리를 종료시켜, 클로즈드 캡션 처리를 종료한다.
본체(1)에 있어서, 도 34의 클로즈드 캡션 처리가 행하여지며, 이에 따라,그 단계 S110에 있어서, 클로즈드 캡션 표시 커맨드가 송신되어, 그 클로즈드 캡션 표시 커맨드가, 캡션 표시용 별체로서의 별체(2)로 수신되면(별체(2)(도 11)의 IEEE1394 인터페이스(153)로 수신되어, CPU(149)에 공급되면), 그 별체(2)에서는,도 35의 흐름도에서의 별체의 클로즈드 캡션 처리가 행하여진다.
즉, 캡션 표시용 별체로서의 별체(2)(도 11)에서는, 우선, 단계 S121에 있어서, 도 34의 단계 S110로, 본체(1)로부터 클로즈드 캡션 표시 커맨드와 동시에 송신되어 오는 클로즈드 캡션 전용의 계수종 데이터가, IEEE1394 인터페이스(153)로 수신되고, CPU(149)에 공급되어, 단계 S122로 진행한다.
단계 S122에서는, CPU(149)는 클로즈드 캡션 전용의 계수종 데이터를 신호 처리부(157)에 전송하여, 계수종 메모리(207)(도 29)로 세트(기억)시킨다. 또, 그 때, 신호 처리부(157)는 자신이 원래로부터 계수종 메모리(207)에 기억하고 있는 계수종 데이터를, 미리, EEPROM(157B)의 빈 영역으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캡션 표시용 별체로서의 별체(2)가 캡션 계수종 데이터 보유 별체이기도 한 경우, 즉, 별체(2)의 신호 처리부(157)를 구성하는 계수 메모리(207)에, 원래로부터 클로즈드 캡션 전용의 계수종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경우, 상술한 단계 S121 및 S122의 처리, 및 후술하는 단계 S128의 처리는 스킵하도록 할 수 있다.
그 후, 단계 S123로 진행하며, CPU(149)는 본체(1)가 도 34의 단계 S111로 송신하여 오는 외부 입력 선택 커맨드를 수신하였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수신하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123로 되돌아간다.
또한, 단계 S123에 있어서, 본체(1)로부터의 외부 입력 선택 커맨드를 수신하였다고 판정된 경우, 즉, IEEE1394 인터페이스(153)에 있어서, 본체(1)로부터의 외부 입력 선택 커맨드가 수신되며, CPU(149)에 공급된 경우, 단계 S124로 진행하며, CPU(149)는 IEEE1394 인터페이스(153)로 수신되는 클로즈드 캡션 데이터를 선택하여, 신호 처리부(157)에 공급하는 상태가 되어, 단계 S125로 진행한다.
단계 S125에서는, CPU(149)는 본체(1)가 도 34의 단계 S112로 전송을 개시하는 클로즈드 캡션 데이터가 송신되어 왔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125에 있어서, 본체(1)로부터의 클로즈드 캡션 데이터가 송신되어 왔다고 판정된 경우, 즉, IEEE1394 인터페이스(153)에 있어서, 본체(1)로부터의 클로즈드 캡션 데이터가 수신되어, CPU(149)에 공급된 경우, 단계 S126로 진행하며, CPU(149)는 그 클로즈드 캡션 데이터를 신호 처리부(157)에 공급하여, 그 클로즈드 캡션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여, 또한, 단계 S122로 계수종 메모리(207)(도 29)로 세트된 클로즈드 캡션 전용의 계수종 데이터를 이용한 화상 변환 처리를 행하게 한다.
즉, 이 경우, 신호 처리부(157)는 CPU(149)으로부터의 클로즈드 캡션 데이터를 디코드하여, 그 결과 얻어지는 클로즈드 캡션의 화상 데이터를 계수종 메모리(207)에 기억된 클로즈드 캡션 전용의 계수종 데이터로부터 생성되는 탭 계수를 이용하여 화상 변환 처리함으로써, 고 화질의 클로즈드 캡션의 화상 데이터로 변환한다.
이 고 화질의 클로즈드 캡션의 화상 데이터는, 단계 S127에 있어서, 프레임 메모리(147) 및 NTSC 인코더(148)를 개재하여 CRT(31)에 공급되고 표시된다. 그리고, 단계 S125로 되돌아가, 단계 S125에 있어서, 본체(1)로부터 클로즈드 캡션 데이터가 송신되어 오지 않는다고 판정될 때까지, 단계 S125내지 S127의 처리가 반복된다.
그리고, 단계 S125에 있어서, 본체(1)로부터 클로즈드 캡션 데이터가 송신되어 오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 즉, IEEE1394 인터페이스(153)에 있어서, 클로즈드 캡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게 된 경우, 단계 S128로 진행하여, 신호 처리부(157)는 EEPROM(157B)으로 이동시켜 둔 원래의 계수종 데이터를, 계수종 메모리(207)(도 29)로 세트하여 고쳐(덧씌우기), 클로즈드 캡션 처리를 종료한다.
도 34의 본체의 클로즈드 캡션 처리, 및 도 35의 별체의 클로즈드 캡션 처리에 따르면,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을 구성하는 텔레비전 수상기 중에, 클로즈드 캡션 전용의 계수종 데이터를 갖는 것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에는, 본체(1)에서는, 종래의 클로즈드 캡션 디코더 내장형의 텔레비전 수상기와 같이,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으로서의 화상 데이터에, 클로즈드 캡션의 화상 데이터가 중첩되어, CRT(11)에 표시된다.
한편,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을 구성하는 텔레비전 수상기 중에, 클로즈드 캡션 전용의 계수종 데이터를 갖는 것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본체(1)의 CRT(11)에서는,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으로서의 화상 데이터만이 표시된다. 또한, 캡션 표시용 별체로서의 별체(2)의 CRT(31)에서는, 본체(1)의 CRT(11)에 표시된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클로즈드 캡션의 화상 데이터이고, 고 화질의 화상 데이터로 변환된 것이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으로서의 화상 데이터를, 클로즈드 캡션의 화상 데이터에 방해되는 일없이 볼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고 화질의 클로즈드 캡션의 화상 데이터를 볼 수 있다.
또,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을 구성하는 텔레비전 수상기 중에, 클로즈드 캡션 전용의 계수종 데이터를 갖는 것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에도, 클로즈드 캡션의 화상 데이터는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의 화상 데이터와는 별도로, 캡션 표시용 별체로서의 별체(2)의 CRT(31)에 표시시키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사용자는 고 화질의 클로즈드 캡션의 화상 데이터를 보는 것은 할 수 없지만, 그래도,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으로서의 화상 데이터를, 클로즈드 캡션의 화상 데이터에 방해되는 일없이, 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술한 경우에는, 클로즈드 캡션의 화상 데이터를, 캡션 표시용 별체로서의 1대의 별체(2)에만 표시시키도록 하였지만, 클로즈드 캡션의 화상 데이터는, 기타,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을 구성하는 2대 이상의 별체에 있어서 표시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예를 들면, 복수 언어의 클로즈드 캡션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각 언어의 클로즈드 캡션의 화상 데이터를, 다른 별체로 표시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은 예를 들면, 화상 데이터의 일부를 확대하는 특별 기능을 갖고 있고, 이 특별 기능은, 본체(1)와 별체(2)에 있어서, 일부 확대 처리가 행하여지는 것에 의해 실현된다.
일부 확대 처리를 행하는 것의 지시는, 예를 들면, 메뉴 화면에서 행할 수있게 되어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리모콘(15)(도 7)의 메뉴 버튼 스위치(54)(또는 리모콘(35)(도 8)의 메뉴 버튼 스위치(84))를 조작한 경우, 본체(1)의 CRT(11)(또는 별체(2)의 CRT(31))에는, 메뉴 화면이 표시되지만, 이 메뉴 화면에는, 예를 들면, 일부 확대 처리를 나타내는 아이콘(이하, 적절하게, 일부 확대 아이콘이라함)이 표시되도록 되어 있고, 사용자가 이 일부 확대 아이콘을 리모콘(15)을 조작하여 클릭한 경우, 본체(1)와 별체(2) 각각에 있고, 일부 확대 처리가 개시된다.
그래서, 우선, 도 36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본체의 일부 확대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지금, 본체(1)의 CRT(11)에,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으로서의 화상 데이터(이하, 적절하게,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라함)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일부 확대 아이콘이 클릭되도록 하면, 우선, 단계 S131에 있어서, CPU(129)는 본체(1)에 대입되어, 그 본체(1)의 CRT(11)에 표시된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의 전체를 표시시키는 별체(이하, 적절하게, 전체 표시용 별체라함)을,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을 구성하는 텔레비전 수상기 중으로부터 선택하여, 단계 S132로 진행한다.
여기서, 전체 표시용 별체로서는,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을 구성하는 별체 중 1대만을 선택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고, 2대 이상(전부를 포함한다)를 선택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계 S132에서는, CPU(129)는 IEEE1394 인터페이스(133)를 제어함으로써, 전체 표시용 별체와 통신하며, 이에 따라, 전체 표시용 별체의 전원이 온 상태로 되어있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132에 있어서, 전체 표시용 별체의 전원이 온 상태가 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133로 진행하며, CPU(129)는 IEEE1394 인터페이스(133)를 제어함으로써, 전체 표시용 별체에 대하여, 전원을 온 상태로 하는 것을 명령하는 커맨드를 송신하며, 이에 따라, 전체 표시용 별체를 전원 온 상태로 하여, 단계 S134로 진행한다.
또한, 단계 S132에 있어서, 전체 표시용 별체의 전원이 온 상태로 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133를 스킵하여, 단계 S134로 진행하며, CPU(129)는 신호 처리부(137)를 제어함으로써, CRT(11)에 표시된 화상에 있어서, 확대하여야 할 위치(확대 위치)를 지정하는 것을 요구하는 메시지(이하, 확대 위치 지정 요구 메시지라함)을, CRT(11)에 예를 들면 OSD표시시킨다.
즉, 이 경우, 신호 처리부(137)는 CPU(129)으로부터의 제어하에서, 확대 위치 지정 요구 메시지의 OSD데이터를 생성하여, 프레임 메모리(127)에 기억된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에 중첩한다. 이 확대 위치 지정 요구 메시지의 OSD데이터가 중첩된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는, 프레임 메모리(127)로부터, NTSC 인코더(128)를 개재하여, CRT(11)에 공급되어, 이에 따라, CRT(11)에 있어서는,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와 동시에, 확대 위치 지정 요구 메시지가 OSD표시된다.
그 후, 단계 S135로 진행하며, CPU(129)는 사용자가, 단계 S134로 표시된 확대 위치 지정 요구 메시지에 대응하여, 확대 위치를 지정하였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확대 위치를 지정하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135로 되돌아간다.
또한, 단계 S135에 있어서, 사용자가 확대 위치를 지정하였다고 판정된 경우, 즉, 사용자가, 리모콘(15)(또는 리모콘(35))을 조작함으로써, CRT(11)의 표시 화면 상의 위치를 지정하며, 이에 따라, 그 위치에 대응하는 적외선이, IR 수신부(135)로 수신되어, CPU(129)에 공급된 경우, CPU(129)는, 그 지정된 위치를, 확대 위치로서 인식하여, 단계 S136로 진행한다.
단계 S136에서는, CPU(129)는 IEEE1394 인터페이스(133)를 제어함으로써, 전체 표시용 별체에 대하여, 그 IEEE1394 인터페이스(153)(도 11)로의 입력을 선택하여, 그 CRT(31)에 표시하는 것을 명령하는 외부 입력 선택 커맨드를 송신하여, 단계 S137로 진행한다.
단계 S137에서는, CPU(129)는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의, 전체 표시용 별체로의 전송을 개시한다.
즉, CPU(129)은, 디멀티플렉서(124)에, 트랜스포트 스트림 중의, MPEG 비디오 디코더(125)에 공급되어 있는 TS패킷을 요구하며, 그 요구에 따라서, 디멀티플렉서(124)로부터 공급되는 TS패킷을 수신한다. 또한, CPU(129)은, IEEE1394 인터페이스(133)를 제어함으로써, 디멀티플렉서(124)로부터 수신한 TS패킷을, 전체 표시용 별체에 전송시킨다. 따라서, 전체 표시용 별체에는, 본체(1)의 CRT(11)로 표시되어 있는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TS패킷이 전송되며, 또한, 전체 표시용 별체에 있어서, 후술하는 도 37의 별체의 일부 확대 처리가 행하여지는 것에 의해, 그 TS패킷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가 표시된다. 즉, 전체 표시용별체에서는, 본체(1)로 표시되어 있던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의 전체가 표시된다.
또, CPU(129)에 있어서는, 전체 표시용 별체에는, TS패킷이 아니고, 프레임 메모리(127)에 기억된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 즉, MPEG 디코드 후의 화상 데이터를, 신호 처리부(137)를 개재하여 판독하고 전송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전체 표시용 별체에서는,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를, MPEG 디코드하지 않고 표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TS패킷의, 전체 표시용 별체로의 전송이 개시되면, 단계 S138로 진행하며, CPU(129)는 신호 처리부(137)를 제어함으로써, 프레임 메모리(127)에 기억된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의 확대 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소정의 범위를 확대 범위로서, 그 확대 범위를 대상으로 하며, 또한, 계수종 메모리(167)(도 22)로 세트된 리사이즈 처리용의 계수종 데이터를 이용한 화상 변환 처리를 행하게 한다.
즉,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본체(1)의 신호 처리부(137)(도 22)를 구성하는 계수종 메모리(167)에는, 적어도, 리사이즈 처리용의 계수종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고, 신호 처리부(137)는 프레임 메모리(127)에 기억된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의 확대 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소정의 범위로서의 확대 범위를, 계수종 메모리(167)에 기억된 리사이즈 처리용의 계수종 데이터로부터 생성되는 탭 계수를 이용하여 화상 변환 처리함으로써, 그 확대 범위의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를, 소정의 확대율로 확대(리사이즈)한 화상 데이터(이하, 적절하게, 일부 확대 화상 데이터라함)로 변환한다.
이 일부 확대 화상 데이터는, 단계 S139에 있어서, 프레임 메모리(127) 및 NTSC 인코더(128)를 개재하여 CRT(11)에 공급되고 표시된다.
따라서, 이 경우, 본체(1)의 CRT(11)에서는,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의, 사용자가 지정한 확대 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소정의 범위(확대 범위)를 확대한 일부 확대 화상 데이터가 표시된다.
여기서, 확대 범위를, 어떠한 크기의 범위로 할지는, 예를 들면, 확대율에 대응하여 설정된다.
즉, 일부 확대 처리를 행하는 것은, 예를 들면, 디폴트의 확대율(디폴트 확대율)이 미리 설정되어 있고, CPU(129)는 그 디폴트 확대율에 대응하는 파라미터를, 신호 처리부(137)(도 22)의 파라미터 메모리(168)로 세트한다. 따라서, 신호 처리부(137)에서는,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가, 디폴트 확대율만 확대되는 리사이즈 처리가 행하여진다.
한편, CRT(11)에 표시할 수 있는 화상 데이터의 크기, 즉, 표시 화면의 크기는, 미리 결정되어 있다.
그래서, CPU(129)는 디폴트 확대율만 확대한 경우에, CRT(11)의 표시 화면의 크기가 되는, 확대 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범위를 확대 범위로서 설정하도록 되어 있다.
또, 단계 S138의 화상 변환 처리를 행할 때의 확대율은 사용자가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CPU(129)에 있어서, 신호 처리부(137)를 제어함으로써,CRT(11)에는, 확대율을 지정할 수 있는, 리모콘(15)(또는 리모콘(35))에 의해서 조작 가능한 레버(이하, 적절하게, 확대율 지정용 레버라함)을 표시시키고, 그 확대율 지정용 레버의 위치에 의해서, 확대율을 지정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사용자가 리모콘(15)을 조작함으로써, 확대율 지정용 레버의 위치를 이동하면, CPU(129)에 있어서, 그 이동 후의 위치에 대응하는 확대율의 파라미터가, 신호 처리부(137)(도 22)의 파라미터 메모리(168)에 설정된다. 또한, CPU(129)은 확대율 지정용 레버의 위치에 대응하는 확대율에 대응하여, 확대 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확대 범위를, 상술한 디폴트 확대율에 있어서의 경우와 같이 설정하여, 그 확대 범위를 대상으로 하는 화상 변환 처리(리사이즈 처리)를, 신호 처리부(137)에 명령한다.
이상에 의해, CRT(11)에는, 사용자에 의한 리모콘(15)의 조작에 따른 확대율에 의해서, 확대 위치를 중심으로 한 확대 범위의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를 확대한 일부 확대 화상 데이터가 표시되는 것으로 된다.
또, 확대율 지정용 레버는, 본체(1)의 CRT(11)에 OSD표시하거나,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을 구성하는, 본체(1) 이외의 텔레비전 수상기에 표시시키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후, 단계 S140로 진행하며, CPU(129)는 일부 확대 화상 데이터의 표시를 종료하는 커맨드(이하, 적절하게, 일부 확대 종료 커맨드라함)이 송신되어 왔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140에 있어서, 일부 확대 종료 커맨드가 송신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133로 되돌아가며, 이하, 마찬가지의 처리가 반복된다.
또한, 단계 S140에 있어서, 일부 확대 종료 커맨드가 송신되어 왔다고 판정된 경우, 즉, 예를 들면, 사용자가, 리모콘(15)(도 7)을 조작함으로써, CRT(11)에 메뉴 화면을 표시시키며, 또한, 그 메뉴 화면에서의 일부 확대 아이콘을 재 클릭하며, 이에 따라, 그 리모콘(15)의 조작에 대응하는 커맨드인 일부 확대 종료 커맨드의 적외선이, 리모콘(15)으로부터 출사되어, IR 수신부(135)로 수신되어 CPU(129)에 공급된 경우, 단계 S141로 진행하고, CPU(129)는 IEEE1394 인터페이스(133)를 제어함으로써,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의, 전체 표시용 별체로의 전송을 종료시킨다.
그리고, 단계 S142로 진행하며, CPU(129)는 신호 처리부(137)를 제어함으로써, 리사이즈 처리의 실행을 정지시켜, 일부 확대 처리를 종료한다. 이에 따라, CRT(11)에서는, 통상 사이즈로 화상이 표시되도록 된다.
다음에, 도 37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전체 표시용 별체로서의 별체의 일부 확대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체 표시용 별체로서의 별체(2)에서는, 우선, 단계 S151에 있어서, CPU(149)는 본체(1)가 도 36의 단계 S136로 송신하여 오는 외부 입력 선택 커맨드를 수신하였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수신하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151로 되돌아간다.
또한, 단계 S151에 있어서, 본체(1)로부터의 외부 입력 선택 커맨드를 수신하였다고 판정된 경우, 즉, IEEE1394 인터페이스(153)에 있어서, 본체(1)로부터의 외부 입력 선택 커맨드가 수신되어, CPU(149)에 공급된 경우, 단계 S152로 진행하며, CPU(149)는 IEEE1394 인터페이스(153)로 수신되는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를 선택하여, 디멀티플렉서(144)를 개재하여, MPEG 비디오 디코더(145)에 공급하는 상태가 되어, 단계 S153로 진행한다.
단계 S153에서는, CPU(149)는 본체(1)가 도 36의 단계 S137로 전송을 개시하는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가 송신되어 왔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153에 있어서, 본체(1)로부터의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가 송신되어 왔다고 판정된 경우, 즉, IEEE1394 인터페이스(153)에 있어서, 본체(1)로부터의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가 수신되어, CPU(149)에 공급된 경우, 단계 S154로 진행하며, CPU(149)는 그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를, CRT(31)에 표시시킨다.
즉,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도 36의 단계 S137에 있어서, 본체(1)로부터 전체 표시용 별체로서의 별체(2)에 대하여,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로서의 TS패킷의 송신이 개시되지만, 이 경우, CPU(149)는 IEEE1394 인터페이스(153)를 개재하여 수신한 본체(1)로부터의 TS패킷을, 디멀티플렉서(144)를 개재하여, MPEG 비디오 디코더(145)에 공급한다. MPEG 비디오 디코더(145)는, 그 TS패킷을 MPEG 디코드하여,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를 얻어, 프레임 메모리(147)에 기입한다. 그리고, 프레임 메모리(147)에 기입된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는, NTSC 인코더(148)를 개재하여, CRT(31)에 공급되고 표시된다.
그 후, 단계 S153로 되돌아가, 단계 S153에 있어서, 본체(1)로부터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가 송신되어 오지 않는다고 판정될 때까지, 단계 S153 및 S154의 처리가 반복된다.
또한, 단계 S153에 있어서, 본체(1)로부터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가 송신되어 오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 즉, IEEE1394 인터페이스(153)에 있어서,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게 된 경우, 일부 확대 처리를 종료한다.
도 36의 본체의 일부 확대 처리, 및 도 37의 별체의 일부 확대 처리에 따르면, 예를 들면, 도 3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을 구성하는 제2 행 제2 열에 위치하는 본체(1)에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가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그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어떤 위치 P가 확대 위치로서 지정되면, 그 확대 위치 P를 중심(무게 중심)으로 하는 소정의 장방형의 범위(도 38A에서 점선으로 도시하는 범위)가 확대 범위로서 설정되어, 도 3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확대 범위의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를 확대한 일부 확대 화상 데이터가,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에 대입되어, 본체(1)에 표시된다.
또한, 예를 들면, 본체(1)의 왼쪽 옆의 별체(221)가 전체 표시용 별체로서 선택된 경우에는, 도 3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전체 표시용 별체인 별체(221)에, 본체(1)에 표시되어 있던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의 전체가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체(1)에 있어서,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보다 상세히 보고 싶은 부분을, 세부에 걸쳐 볼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별체(2)에 있어서,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의 전체도 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리모콘(15)을 조작함으로써, 일부 확대 화상 데이터의 확대율을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보다 상세히 보고 싶은 부분을, 필요한 정도까지 자유롭게 확대하여 볼 수 있다.
여기서, 본체(1)(도 10)의 신호 처리부(137)(도 22)에서는, 계수종 데이터로부터 생성되는 탭 계수 Wn을 이용하여, 수학식(1)에 따라,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의 확대 범위가, 일부 확대 화상 데이터에 화상 변환되지만, 이 화상 변환은, 수학식(1)에만 주목하면, 일견, 단순한 보간 처리인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수학식(1)으로 이용되는 탭 계수 Wn을 생성하는 데 이용되는 계수종 데이터는, 도 24 내지 도 28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교사 데이터와 생도 데이터를 이용한 학습에 의해서 얻어지는 것이며, 그와 같은 계수종 데이터로부터 생성되는 탭 계수 Wn을 이용하여 화상을 변환함으로써, 교사 데이터에 포함되는 성분을 재현할 수 있다. 즉, 리사이즈 처리용의 계수종 데이터에 대하여 말하면, 그 계수종 데이터가 생성된 탭 계수 Wn에 따르면, 원래의 화상에 나타나고 있지 않은 세부를 재현하여, 그 화상을 확대할 수 있다. 따라서, 학습에 의해 구해지는 계수종 데이터로부터 생성되는 수학식(1)에 의한 화상 변환 처리로서의 리사이즈 처리는, 단순한 보간 처리에 의한 화상의 확대 처리와는 상당히 다르다.
또,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의 확대 범위의, 일부 확대 화상 데이터에서의 확대 처리는, 계수종 데이터로부터 구해진 탭 계수를 이용하는 다른, 단순한 보간 처리에 의해서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단순한 보간 처리에 의한 경우에는, 원래의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가 갖고 있지 않은 세부를 재현하는 것은 할 수 없기 때문에, 확대율을 크게 할수록, 말하자면 블록형이 모난 부분이 눈에 띄는 희미해진 화상이 얻어지게 된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본체(1)에 일부 확대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여, 별체(2)에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의 전체를 표시하도록 하였지만, 본체(1)에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를 표시시킨 채로, 별체(2)에 일부 확대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본체(1)에 일부 확대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여, 전체 표시용 별체로서의 별체(2)에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의 전체를 표시하도록 하였지만, 이들의 표시 외에,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 외의 텔레비전 수상기에, 일부 확대 화상 데이터 또는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의 전체를 표시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을 구성하는 본체(1)에서는,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의 전체를 표시하고, 다른 텔레비전 수상기로서의 별체(211내지 233) 각각에는, 확대율이 다른 일부 확대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이 경우, 확대율이 다른 일부 확대 화상 데이터는, 전부 본체(1)의 신호 처리부(137)에서 생성하여, 다른 텔레비전 수상기로서의 별체(211내지 233) 각각에 공급할 수도 있고, 다른 텔레비전 수상기로서의 별체(211내지 233) 각각의 신호 처리부(157)에 있어서, 각 확대율의 일부 확대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리사이즈 처리용의 계수종 데이터가, 본체(1)에 기억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지만, 리사이즈 처리용의 계수종 데이터가, 본체(1)에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 외의 텔레비전 수상기가, 리사이즈 처리용의 계수종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을 때에는, 본체(1)에 있어서, 그 텔레비전 수상기로부터 리사이즈 처리용의 계수종 데이터를 취득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리사이즈 처리용의 계수종 데이터는, 기타, 상술한 바와 같이, 계수종 데이터 제공용 서버로부터 취득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술한 경우에는,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를 확대하는 리사이즈 처리를 행하도록 하였지만, 리사이즈 처리에서는,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를 축소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경우에는,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으로서의 화상 데이터(프로그램 화상 데이터)를 확대하도록 하였지만, 일부 확대 처리에서는, 기타, 외부의 장치(광 디스크 장치나, 광 자기 디스크 장치, VTR 등)으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그 처리의 대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일부 확대 처리에서는,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의 일부의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의 양방을, 동일한 확대율만 확대하는 것은 물론,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 각각을, 다른 확대율만 확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 중의, CRT(11)의 표시 화면으로 표시 가능한 확대 범위만을 대상으로서 일부 확대 처리를 행하도록 하였지만, 일부 확대 처리는,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 전체를 대상으로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CRT(11)에는,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를 확대한 확대 화상의 전체를표시하는 것은 할 수 없기 때문에, 그 일부분만이 표시되게 되지만, 그 확대 화상의 어떤 부분을 CRT(11)에 표시할지의 여부는, 예를 들면, 리모콘(15)의 조작에 따라서 변경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은, 상술한 바와 같이, 화상 데이터의 일부를 확대하는 것 외에, 그 전체를 확대하는 특별 기능을 갖고 있고, 이 특별 기능은, 본체(1)와 별체(2)에 있어서, 전체 확대 처리가 행하여지는 것에 의해 실현된다.
전체 확대 처리를 행하는 것의 지시도, 예를 들면, 일부 확대 처리를 행하는 것의 지시와 같이, 메뉴 화면에서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리모콘(15)(도 7)의 메뉴 버튼 스위치(54)(또는 리모콘(35)(도 8)의 메뉴 버튼 스위치(84))를 조작한 경우, 본체(1)의 CRT(11)(또는 별체(2)의 CRT(31))에는, 메뉴 화면이 표시되지만, 이 메뉴 화면에는, 예를 들면, 전체 확대 처리를 나타내는 아이콘(이하, 적절하게, 전체 확대 아이콘이라함)이 표시되도록 되어 있고, 사용자가 이 전체 확대 아이콘을, 리모콘(15)을 조작하여 클릭함으로써, 본체(1)와 별체(2) 각각에 있어, 전체 확대 처리가 개시된다.
그래서, 우선, 도 39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본체의 전체 확대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지금, 본체(1)의 CRT(11)에,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으로서의 화상 데이터(프로그램 화상 데이터)가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전체 확대 아이콘이 클릭된으로 하면, 우선, 단계 S161에 있어서, 본체(1)(도 10)의 CPU(129)는IEEE1394 인터페이스(133)를 제어함으로써,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을 구성하는 모든 별체에, 리사이즈 처리용의 계수종 데이터를 송신한다.
여기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본체(1)의 신호 처리부(137)(도 22)의 계수종 메모리(167)에는, 리사이즈 처리용의 계수종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것으로 하며, CPU(129)는 단계 S161에 있어서, 이 리사이즈 처리용의 계수종 데이터를, 신호 처리부(137)로부터 판독하여 송신한다.
또, 본체(1)가 리사이즈 처리용의 계수종 데이터를 갖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술한 일부 확대 처리에 있어서의 경우와 같이,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 외의 텔레비전 수상기 중, 리사이즈 처리용의 계수종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는 것이나, 계수종 데이터 제공용 서버로부터, 리사이즈 처리용의 계수종 데이터를 취득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단계 S162로 진행하며, CPU(129)는 IEEE1394 인터페이스(133)를 개재하여,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을 구성하는 모든 별체(211내지 233)와 통신함으로써, 전원이 오프로 되어 있는 별체(2ij)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162에 있어서, 전원이 오프로 되어 있는 별체(2ij)가 있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163로 진행하며, CPU(129)는 IEEE1394 인터페이스(133)를 개재하여, 전원을 온으로 하는 것을 명령하는 커맨드를 송신하며, 이에 따라, 전원이 오프로 되어 있는 별체(2ij)의 전원을 온 상태 시켜, 단계 S164로 진행한다.
또한, 단계 S162에 있어서, 전원이 오프로 되어 있는 별체(2ij)가 없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163를 스킵하여, 단계 S164로 진행하며, CPU(129)는 IEEE1394 인터페이스(133)를 제어함으로써, 모든 별체(211내지 233)에 대하여, 그 IEEE1394 인터페이스(153)(도 11)로의 입력을 선택하여, 그 CRT(31)에 표시하는 것을 명령하는 외부 입력 선택 커맨드를 송신하여, 단계 S165로 진행한다.
단계 S165에서는, CPU(129)는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를 확대하는 확대율 N을 1배로 초기화하며, 또한, 최대 확대율 Nmax로 확대 피치α를 설정한다.
즉, 전체 확대 처리에서는, 예를 들면, 도 1A에 도시한 3×3대의 텔레비전 수상기로 구성되는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에 있어서, 본체(1)에 표시된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의 전체(전 화면)이 본체(1)를 중심으로 하여, 다른 텔레비전 수상기인 별체(211내지 233)에 걸쳐 서서히 확대되어 있고, 최종적으로는, 3×3대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전체에,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의 전체를 확대한 화상 데이터(이하, 적절하게, 전체 확대 화상 데이터라함)이 표시된다.
따라서, 본체(1)에 표시된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의 전체는, 최종적으로는,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을 구성하는 텔레비전 수상기의 전체에 표시 가능한 크기의 전체 확대 화상 데이터에 확대되지만, 이 최종적인 전체 확대 화상 데이터와, 원래의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본체(1)에 표시된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와의 비가, 최대 확대율 Nmax로서 설정된다. 즉,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본체(1)에 표시된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가, 3×3대의 텔레비전 수상기에 표시되는 전체 확대 화상 데이터에확대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대각선을 생각하면, 단순하게는 3배에 확대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최대 확대율 Nmax는 3배로 설정된다.
또한, 전체 확대 처리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1)에 표시된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의 전체가 서서히 확대되어 가지만, 이것은, 예를 들면,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를, 서서히 큰 확대율 N에서 확대하여, 최종적으로는, 최대 확대율 Nmax에서 확대함으로써 실현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확대율 N을 1배로부터 최대 확대율 Nmax에, 서서히 변화시킬 필요가 있지만, 이 확대율 N을 변화시키는 피치가, 확대 피치α이고, 예를 들면, 최대 확대율 Nmax-1을, 1 이상의 소정의 값(이하, 적절하게, 확대 횟수치라함)으로 제산한 값이 설정된다.
여기서, 확대 횟수치는, 미리, 본체(1)에 설정해 두는 것도 가능하고, 사용자가 리모콘(15)(또는 리모콘(35))을 조작함으로써 설정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확대 횟수치를 작은 값으로 설정한 경우에는, 본체(1)에 표시된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는, 바로, 큰 전체 확대 화상 데이터에 확대되어, 확대 횟수치를 큰 값으로 설정한 경우에는, 본체(1)에 표시된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는, 서서히, 큰 전체 확대 화상 데이터에 확대되는 것으로 된다.
단계 S165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확대율 N의 초기화, 및 최대 확대율 Nmax 및 확대 피치α의 설정이 행하여진 후에는 단계 S166로 진행하며, CPU(129)는 확대율 N을, N+α 배로 새롭게 설정하여, 단계 S167로 진행한다.
또, 단계 S166에 있어서 새롭게 설정된 확대율 N이, 최대 확대율 Nmax를 넘는 경우에는, CPU(129)은, 확대율 N을 최대 확대율 Nmax에 설정한다.
단계 S167에서는, CPU(129)는 본체(1)에 표시된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 중의, 그 신호 처리부(137)로 확대하여야 할 범위로서의 확대 범위와, 각 별체(2ij)(도 11)의 신호 처리부(157)로 확대하여야 할 범위로서의 확대 범위를, 단계 S165로 설정한 확대율 N에 기초하여 구하여, 단계 S168로 진행한다. 단계 S168에서는, CPU(129)는 본체(1)의 CRT(11)와, 각 별체(2ij)(도 11)의 CRT(31) 각각에 있어,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의 확대 범위를 확대한 화상 데이터(이것도, 이하, 적절하게, 일부 확대 화상 데이터라함)을 표시시키는 범위로서의 표시 범위를, 단계 S165로 설정한 확대율 N에 기초하여 구하여, 단계 S169로 진행한다.
여기서, 도 40를 참조하여, 본체(1)의 확대 범위(본체(1)의 신호 처리부(137)로 확대하여야 할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의 범위), 및 별체(2ij)의 확대 범위(별체(2ij)의 신호 처리부(157)로 확대하여야 할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의 범위), 및 별체(2ij)의 표시 범위(별체(2ij) CRT(31)에 있어서, 별체(2ij)의 확대 범위의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를 확대한 일부 확대 화상 데이터를 표시시키는 범위)를, 확대율 N에 기초하여 산출하는 산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0A는, 3×3대의 텔레비전 수상기로 구성되는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의 표시 화면을 나타내고 있다.
즉,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의 표시 화면은, 1대의 본체(1)의 CRT(11)에 의한 표시 화면과, 8대의 별체(211내지 233)각각의 CRT(31)에 의한 표시 화면과의 합계 9대의 CRT에 의한 표시 화면으로 구성된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1)와 별체(2ij)의 표시 화면 사이즈는, 동일하다.
전체 확대 처리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1)에 표시된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의 전체가 서서히 확대되어 가지만, 지금, 본체(1)에 표시된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를 화상 데이터 Q로 함과 동시에, 그 화상 데이터 Q를 소정의 확대율 N에서 확대하여 얻어지는 전체 확대 화상 데이터를 화상 데이터 Q'로 한다.
이 경우, 본체(1)의 표시 화면 사이즈의 세로와 가로의 길이를, 각각 a와 b에서 나타내면,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 Q의 세로와 가로의 길이도, 각각 a와 b가 된다.
또한, 전체 확대 화상 데이터 Q'는,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 Q의 세로와 가로의 길이를 N배한 것이므로, 그 세로와 가로의 길이는, 각각 Na와 Nb가 된다.
전체 확대 처리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1)에 표시된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 Q의 전체를, 본체(1)를 중심으로 하여 확대한 전체 확대 화상 데이터 Q'가 표시되므로, 본체(1) 및 별체(211내지 233)의 전부에 의해서, 전체 확대 화상 데이터 Q'를, 본체(1)를 중심으로 하여 표시하는 경우에는, 본체(1)에서는, 그 표시 화면 중의, 도 40A에서 R1로 도시하는 범위에 일부 확대 화상 데이터를 표시할 필요가 있으며, 별체(2ij)에서는, 도 40A에서 Rij에서 도시하는 범위에 일부 확대 화상 데이터를 표시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도 39의 단계 S168에서는, 범위 R1가 본체(1)의 표시 범위로서 구해짐과 동시에, 범위 Rij가 별체(2ij)의 표시 범위로서 구해진다.
즉, 본체(1)에 대해서는, 그 표시 화면 전체가 표시 범위 R1로서 구해진다. 또한, 본체(1)의 좌측위의 별체(211)에 대해서는, 그 표시 화면의 우측 하측의 가로×세로가 ((Nb-b)/2)×((Na-a)/2)의 범위가 표시 범위 R11로서 구해지고, 본체(1)의 상의 별체(212)에 대해서는, 그 표시 화면의 하측의 가로×세로가 b×((Na-a)/2)의 범위가 표시 범위 R12로서 구해진다. 또한, 본체(1)의 우측 상의 별체(213)에 대해서는, 그 표시 화면의 좌측밑측의 가로×세로가 ((Nb-b)/2)×((Na-a)/2)의 범위가 표시 범위 R13로서 구해지고, 본체(1)의 좌측 별체(221)에 대해서는, 그 표시 화면의 우측의 가로×세로가 ((Nb-b)/2)×a의 범위가 표시 범위 R21로서 구해진다. 또한, 본체의 우측의 별체(223)에 대해서는, 그 표시 화면의 좌측의 가로×세로가 ((Nb-b)/2)×a의 범위가 표시 화면 R23로서 구해지고, 본체(1)의 좌측 밑의 별체(231)에 대해서는, 그 표시 화면의 우측 상측의 가로×세로가 ((Nb-b)/2)×((Na-a)/2)의 범위가 표시 범위 R31로서 구해진다. 또한, 본체(1)의 하측 별체(232)에 대해서는, 그 표시 화면의 상측의 가로×세로가 b×((Na-a)/2)의 범위가 표시 범위 R32로서 구해지고, 본체의 우측하의 별체(233)에 대해서는, 그 표시 화면의 좌측 위측의 가로×세로가 ((Nb-b)/2)×((Na-a)/2)의 범위가 표시 범위R33로서 구해진다.
한편, 이제, 도 40A에 도시한 본체(1)의 표시 범위 R1및 별체(2ij)의 표시 범위 Rij를, 전체 확대 화상 데이터 Q'의 범위로 파악하면, 전체 확대 화상 데이터 Q'에 있어서의 범위 R1및 Rij의 화상 데이터는, 원래의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 Q의 일부를 확대한 일부 확대 화상 데이터이기 때문에, 본체(1)의 표시 범위 R1및 별체(2ij)의 표시 범위 Rij에 표시시키는 일부 확대 화상 데이터에 확대하는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 Q의 범위로서의 확대 범위를 구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단계 S167에서는, 도 4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 확대 화상 데이터 Q'의 범위 R1와 Rij에 대응하는, 원래의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 Q의 범위 r1와 rij가, 본체(1)의 확대 범위와 별체(2ij)의 확대 범위로서, 각각 구해진다.
즉, 지금의 경우, Nb×Na의 크기의 전체 확대 화상 데이터 Q'는, b×a의 크기의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 Q를 N배의 확대율로 확대한 것이므로, 전체 확대 화상 데이터 Q'의 범위 R1와 Rij를 1/N로 축소한 범위에 상당하는,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 Q의 범위 r1와 rij가, 본체(1)의 확대 범위와 별체(2ij)의 확대 범위로서, 각각 구해진다.
구체적으로는, 본체(1)에 대해서는,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 Q의 중심 부분의 가로×세로가 b/N×a/N의 범위가 확대 범위 R1로서 구해진다. 또한, 본체(1)의 좌측위의 별체(211)에 대해서는,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 Q의 좌측 위측의 가로×세로가 ((b-b/N)/2)×((a-a/N)/2)의 범위가 확대 범위 r11로서 구해지고, 본체(1)의 상의 별체(212)에 대해서는,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 Q의 상측의 가로×세로가 (b/N)×((a-a/N)/2)의 범위가 확대 범위 R12로서 구해진다. 또한, 본체(1)의 우측 상의 별체(213)에 대해서는,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 Q의 우측 상측의 가로×세로가 ((b-b/N)/2)×((a-a/N)/2)의 범위가 확대 범위 R13로서 구해지고, 본체(1)의 좌측 별체(221)에 대해서는,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 Q의 좌측의 가로×세로가 ((b-b/N)/2)×(a/N)의 범위가 확대 범위 R21로서 구해진다. 또한, 본체의 우측의 별체(223)에 대해서는,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 Q의 우측의 가로×세로가 ((b-b/N)/2)×(a/N)의 범위가 표시 화면 R23로서 구해지고, 본체(1)의 좌측 밑의 별체(231)에 대해서는,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 Q의 좌측 밑측의 가로×세로가 ((b-b/N)/2)×((a-a/N)/2)의 범위가 확대 범위 r31로서 구해진다. 또한, 본체(1)의 하측 별체(232)에 대해서는,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 Q의 하측의 가로×세로가 (b/N)×((a-a/N)/2)의 범위가 확대 범위 r32로서 구해지고, 본체의 우측 하측 별체(233)에 대해서는,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 Q의 우측하측의 가로×세로가 ((b-b/N)/2)×((a-a/N)/2)의 범위가 확대 범위 r33로서 구해진다.
도 39로 되돌아가, 단계 S169에서는, CPU(129)는 IEEE1394 인터페이스(133)를 제어함으로써, 단계 S161로 송신한 리사이즈 처리용의 계수종 데이터를 이용하여, 화상 데이터를 확대하는 리사이즈 처리를 행하여 표시하는 것을 명령하는 확대 표시 커맨드를,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 확대율 N, 확대 범위, 및 표시 범위와 동시에, 각 별체(2ij)에 송신한다.
여기서, CPU(129)는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는, 디멀티플렉서(124)에, 트랜스포트 스트림 중의, MPEG 비디오 디코더(125)에 공급되어 있는 TS패킷을 요구하며, 그 요구에 따라서, 디멀티플렉서(124)로부터 공급되는 TS패킷을 수신하여, 각 별체(2ij)에 송신한다.
또한, CPU(129)은, 확대 범위 및 표시 범위에 대해서는, 각 별체(2ij)에 대하여 구해진 확대 범위 및 표시 범위를, 그 별체(2ij)에 송신한다.
또, CPU(129)에 있어서는, 각 별체(2ij)에는, TS패킷이 아니고, 프레임 메모리(127)에 기억된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 즉, MPEG 디코드 후의 화상 데이터를, 신호 처리부(137)를 개재하여 판독하고 송신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각 별체(2ij)에서는,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를, MPEG 디코드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이와 같이, MPEG 디코드 후의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를 별체(2ij)에 송신하는 경우에는,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의 전체가 아니고,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 중의, 별체(2ij)에 대하여 구해진 확대 범위만을 송신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후, 단계 S170로 진행하며, CPU(129)는 단계 S166로 설정한 확대율 N에 대응하는 파라미터 z를, 신호 처리부(137)(도 22)의 파라미터 메모리(168)로 세트하여, 단계 S171로 진행한다.
단계 S171에서는, CPU(129)는 신호 처리부(137)(도 22)를 제어함으로써, 프레임 메모리(127)에 기억된, 단계 S169로 각 별체(2ij)에 송신한 것과 동일한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의, 본체(1)에 대하여 구해진 확대 범위 r1(도 40B)을 대상으로 한 화상 변환 처리를 행하게 한다.
즉,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본체(1)의 신호 처리부(137)(도 22)를 구성하는 계수종 메모리(167)에는, 리사이즈 처리용의 계수종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고, 신호 처리부(137)는 프레임 메모리(127)에 기억된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의 확대 범위 r1를, 계수종 메모리(167)에 기억된 리사이즈 처리용의 계수종 데이터와, 파라미터 메모리(168)에 기억된 파라미터 z에서 생성되는 탭 계수를 이용하여 화상 변환 처리함으로써, 그 확대 범위 R1의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를, 확대율 N에서 확대(리사이즈)한 화상 데이터로서의 일부 확대 화상 데이터로 변환한다.
또한, 이 때, CPU(129)는 일부 확대 화상 데이터가, CRT(11)의 표시 화면 중의, 본체(1)에 대하여 구해진 표시 범위 R1(도 40A)의 위치에 표시되게 되도록, 신호 처리부(137)를 제어한다. 즉, 이에 따라, 신호 처리부(137)에서는, 일부 확대 화상 데이터가, CRT(11)의 표시 화면 중의, 본체(1)에 대하여 구해진 표시 범위 R1(도 40A)의 위치에 표시되도록, 그 표시 위치가 조정된다.
또, 본체(1)에 대해서는, 도 40으로 설명하였기 때문에, 표시 범위 R1는, CRT(11)의 표시 화면 사이즈에 일치하고 있기 때문에, 실제로는, 일부 확대 화상 데이터의 표시 위치를 조정할 필요는 없다.
단계 S172에 있어서, 신호 처리부(137)는 단계 S171로 얻어진 일부 확대 화상 데이터를, 프레임 메모리(127) 및 NTSC 인코더(128)를 개재하여 CRT(11)에 공급하고 표시시킨다.
따라서, 이 경우, 본체(1)의 CRT(11)에서는, 그 표시 화면 전체에,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의 확대 범위 R1를 확대율 N만 확대한 일부 확대 화상 데이터가 표시된다.
그 후, 단계 S173로 진행하며, CPU(129)는 확대율 N이, 최대 확대율 Nmax 미만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173에 있어서, 확대율 N이, 최대 확대율 Nmax 미만이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166로 진행하여, 이하, 마찬가지의 처리가 반복된다.
또한, 단계 S173에 있어서, 확대율 N이, 최대 확대율 Nrnax 미만이 아니다고 판정된 경우, 즉, 단계 S166로 확대율 N이, 최대 확대율 Nmax로 설정된 경우, 단계 S174로 진행하며, CPU(129)는 단계 S169에서의 경우와 같이, IEEE1394 인터페이스(133)를 제어함으로써, 확대 표시 커맨드를,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 확대율 N, 확대 범위, 및 표시 범위를, 각 별체(2ij)에 송신하여, 단계 S175로 진행한다.
단계 S175에서는, CPU(129)는 신호 처리부(137)(도 22)를 제어함으로써, 프레임 메모리(127)에 기억된, 단계 S174로 각 별체(2ij)에 송신한 것과 동일한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의, 본체(1)에 대하여 구해진 확대 범위 r1(도 40B)을 대상으로 한 화상 변환 처리를 행하게 한다.
즉, 이에 따라, 단계 S175에서는, 단계 S169에 있어서의 경우와 같이, 신호 처리부(137)는 프레임 메모리(127)에 기억된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의 확대 범위 R1를, 계수종 메모리(167)에 기억된 리사이즈 처리용의 계수종 데이터와, 파라미터 메모리(168)에 기억된 파라미터 z에서 생성되는 탭 계수를 이용하여 화상 변환 처리함으로써, 그 확대 범위 R1의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를, 확대율 N에서 확대(리사이즈)한 화상 데이터로서의 일부 확대 화상 데이터로 변환한다.
이 일부 확대 화상 데이터는, 단계 S176에 있어서, 단계 S172에 있어서의 경우와 같이, 프레임 메모리(127) 및 NTSC 인코더(128)를 개재하여 CRT(11)에 공급되고 표시된다.
여기서, 단계 S174로 각 별체(2ij)에 송신되는 확대율 N, 확대 범위, 표시 범위는, 마지막으로 행해진 단계 S166내지 S168로 각각 구해진 것이므로, 확대율 N은 최대 확대율 Nmax로 되어 있다. 또한, 확대 범위와 표시 범위는, 최대 확대율 Nmax로 되어 있는 확대율 N에 대하여 구해진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 경우, 본체(1)의 확대 범위와 표시 범위도, 최대 확대율 Nmax로 되어 있는 확대율 N에 대하여 구해진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단계 S175의 화상 변환 처리가 행하여지는 때는, 마지막으로 행해진 단계 S170의 처리에 의해서, 신호 처리부(137)(도 22)의 파라미터 메모리(168)에는, 최대 확대율 Nmax에 대응한 파라미터 z가 세트되어 있다.
이상으로부터, 단계 S176에서는, 최대 확대율 Nmax로 되어 있는 확대율 N에 대하여 구해진 확대 범위 R1의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를, 최대 확대율 Nmax에서 확대함으로써 얻어지는 일부 확대 화상 데이터가, 최대 확대율 Nmax로 되어 있는 확대율 N에 대하여 구해진 표시 범위 R1(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1)에 대해서는, CRT(11)의 표시 화면과 같음)에 표시된다.
그 후, 단계 S177로 진행하며, CPU(129)는 전체 확대 화상 데이터의 표시를 종료하는 커맨드(이하, 적절하게, 전체 확대 종료 커맨드라함)이 송신되어 왔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177에 있어서, 전체 확대 종료 커맨드가 송신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174로 되돌아가며, 이하, 마찬가지의 처리가 반복된다. 따라서, 이 경우, 본체(1)에서는, 최대 확대율 Nmax에서 확대된 일부 확대 화상 데이터의 표시가 속행된다.
또한, 단계 S177에 있어서, 전체 확대 종료 커맨드가 송신되어 왔다고 판정된 경우, 즉, 예를 들면, 사용자가, 리모콘(15)(도 7)을 조작함으로써, CRT(11)에메뉴 화면을 표시시키며, 또한, 그 메뉴 화면에서의 전체 확대 아이콘을 재 클릭하며, 이에 따라, 그 리모콘(15)의 조작에 대응하는 커맨드인 전체 확대 종료 커맨드의 적외선이, 리모콘(15)으로부터 출사되어, IR 수신부(135)로 수신되어 CPU(129)에 공급된 경우, 단계 S178로 진행하여, 신호 처리부(137)에 있어서의 화상 변환 처리를 종료하고, 본체(1)의 전체 확대 처리를 종료한다. 이에 따라, 프레임 메모리(127)에 기억된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는, 그대로, NTSC 인코더(128)를 개재하여, CRT(11)에 공급되도록 되어, CRT(11)에서는,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가, 통상의 사이즈로 표시된다.
다음에, 도 41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별체(2ij)에서 행해지는 별체의 전체 확대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별체(2ij)(도 11)에서는, 우선, 단계 S181에 있어서, CPU(149)가, 도 39의 단계 S161로 본체(1)로부터 리사이즈 처리용의 계수종 데이터가 송신되어 오는 것을 대기하여, 그 계수종 데이터를, IEEE1394 인터페이스(153)를 개재하여 수신한다. 또한, 단계 S181에서는, CPU(149)는 수신한 리사이즈 처리용의 계수종 데이터를, 신호 처리부(157)(도 29)에 전송하여, 그 계수종 메모리(207)로 세트한다. 또, 그 때, 신호 처리부(157)는 자신이 원래부터 계수종 메모리(207)에 기억하고 있는 계수종 데이터를, 미리, EEPROM(157B)의 빈 영역으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별체(2ij)의 신호 처리부(157)를 구성하는 계수 메모리(207)에, 리사이즈 처리용의 계수종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경우, 상술한 단계 S181, 및 후술하는 단계 S188의 처리는, 스킵하도록 할 수 있다.
그 후, 단계 S182로 진행하며, CPU(149)는 본체(1)가 도 39의 단계 S164로 송신하여 오는 외부 입력 선택 커맨드를 수신하였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수신하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182로 되돌아간다.
또한, 단계 S182에 있어서, 본체(1)로부터의 외부 입력 선택 커맨드를 수신하였다고 판정된 경우, 즉, IEEE1394 인터페이스(153)에 있어서, 본체(1)로부터의 외부 입력 선택 커맨드가 수신되어, CPU(149)에 공급된 경우, 단계 S183로 진행하며, CPU(149)는 IEEE1394 인터페이스(153)로 수신되는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를 선택하여, 디멀티플렉서(144)를 개재하여, MPEG 비디오 디코더(145)에 공급하는 상태가 되어, 단계 S184로 진행한다.
단계 S184에서는, CPU(149)는 본체(1)로부터, 확대 표시 커맨드와 동시에,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 확대율 N, 확대 범위 rij, 및 표시 범위 Rij가 송신되어 왔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184에 있어서, 본체(1)로부터, 확대 표시 커맨드와 동시에,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 확대율 N, 확대 범위 rij, 및 표시 범위 Rij가 송신되어 왔다고 판정된 경우, 즉, IEEE1394 인터페이스(153)에 있어서, 본체(1)로부터의 확대 표시 커맨드, 및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 확대율 N, 확대 범위 rij, 및 표시 범위 Rij가 수신되어, CPU(149)에 공급된 경우, CPU(149)는 이하, 확대 표시 커맨드로 하였지만 있어, 그 확대 표시 커맨드와 동시에 송신되어 온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의 확대 범위rij를, 확대율 N에서 확대하여, 그 결과 얻어지는 일부 확대 화상 데이터를, CRT(31)의 표시 화면 중의 표시 범위 Rij에 표시시키는 처리를 행한다.
즉, 이 경우, 단계 S184로부터 S185로 진행하며, CPU(149)는 확대 표시 커맨드와 동시에 수신한 확대율 N에 대응하는 파라미터 z를, 신호 처리부(157)(도 29)의 파라미터 메모리(208)로 세트하여, 단계 S186로 진행한다.
단계 S186에서는, CPU(149)는 신호 처리부(157)(도 29)를 제어함으로써, 프레임 메모리(147)에 기억된, 확대 표시 커맨드와 동시에 수신한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의, 별체(2ij)에 대하여 구해진 확대 범위 rij(도 40B)를 대상으로 한 화상 변환 처리를 행하게 한다.
즉,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도 39의 단계 S169 및 S174에 있어서, 본체(1)로부터, 별체(2ij)에 대하여, 확대 표시 커맨드와 동시에,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로서의 TS패킷이 송신되지만, 이 경우, CPU(149)는 IEEE1394 인터페이스(153)를 개재하여 수신한 본체(1)로부터의 TS패킷을, 디멀티플렉서(144)를 개재하여, MPEG 비디오 디코더(145)에 공급한다. MPEG 비디오 디코더(145)는, 그 TS패킷을 MPEG 디코드하여,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를 얻어, 프레임 메모리(147)에 기입한다.
한편, 별체(2ij)의 신호 처리부(157)(도 29)를 구성하는 계수종 메모리(207)에는, 단계 S181로 리사이즈 처리용의 계수종 데이터가 세트되어 있고, 신호 처리부(157)는 프레임 메모리(147)에 기억된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의 확대 범위 rij를,계수종 메모리(207)에 기억된 리사이즈 처리용의 계수종 데이터와, 파라미터 메모리(208)에 기억된 파라미터 z에서 생성되는 탭 계수를 이용하여 화상 변환 처리함으로써, 그 확대 범위 rij의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를, 확대율 N에서 확대(리사이즈) 한 화상 데이터로서의 일부 확대 화상 데이터로 변환한다.
또한, 이 때, CPU(149)는 일부 확대 화상 데이터가, CRT(31)의 표시 화면 중의, 별체ij에 대하여 구해진 표시 범위 Rij(도 40A)의 위치에 표시되게 되도록, 신호 처리부(157)를 제어한다. 즉, 이에 따라, 신호 처리부(157)에서는, 일부 확대 화상 데이터가, CRT(31)의 표시 화면 중의, 별체(2ij)에 대하여 구해진 표시 범위 Rij(도 40A)의 위치에 표시되도록, 그 표시 위치가 조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별체(211)에서는, 도 4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부 확대 화상 데이터가, 그 CRT(31)의 표시 화면 중의 우측하의 표시 범위 R11에 표시되도록, 일부 확대 화상 데이터의 표시 위치가 조정된다.
또, 이 경우, 별체(211)에서는, CRT(31)의 표시 화면 중의 표시 범위 R11이외의 범위의 화상 데이터는, 예를 들면, 흑 레벨이라고 된다. 다른 별체(2ij)에서도 마찬가지다.
단계 S187에 있어서, 신호 처리부(157)는 단계 S186로 얻어진 일부 확대 화상 데이터를, 프레임 메모리(147) 및 NTSC 인코더(148)를 개재하여 CRT(31)에 공급하고 표시시킨다.
그 후, 단계 S184로 되돌아가서, 이하, 단계 S184 내지 S187의 처리가 반복된다.
한편, 단계 S184에 있어서, 본체(1)로부터, 확대 표시 커맨드와 동시에,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 확대율 N, 확대 범위 rij, 및 표시 범위 Rij가 송신되어 오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 즉, IEEE1394 인터페이스(153)에 있어서, 확대 표시 커맨드, 및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 확대율 N, 확대 범위 rij, 및 표시 범위 Rij를 수신할 수 없게 된 경우, 단계 S188로 진행하여, 신호 처리부(157)는 EEPROM(157B)으로 이동시켜 둔 원래의 계수종 데이터를, 계수종 메모리(207)(도 29)로 세트하여 고쳐서, 별체의 전체 확대 처리를 종료한다.
도 39의 본체의 전체 확대 처리, 및 도 41의 별체의 전체 확대 처리에 따르면, 예를 들면, 도 4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켈러풀 TV 시스템을 구성하는 제2 행 제2 열에 위치하는 본체(1)에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가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 그 본체(1)에 표시된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의 전체가, 도 4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를 중심으로 하여, 별체(211내지 233)에 걸쳐 서서히 확대되어 있고, 최종적으로는, 도 4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3×3대의 본체(1) 및 별체(211내지 233)의 전체에,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의 전체를 확대한 전체 확대 화상 데이터가 표시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의 전체를, 그 세부에 걸쳐 확대한 전체 확대 화상 데이터를 볼 수 있다.
단지,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에 있어서는, 실제로는, 그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을 구성하는 텔레비전 수상기의 하우징이 존재하므로, 인접하는 텔레비전 수상기에서, 그 인접 부분은 하우징이고, 그 부분에는, 화상은 표시되지 않는다. 즉, 도 42에서는, 도를 간략화하기 위해서, 인접하는 텔레비전 수상기끼리의 사이에 존재하는 하우징 부분을 생략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인접하는 텔레비전 수상기 사이에는, 개체가 존재하며, 따라서, 전체 확대 화상 데이터는, 약간이지만, 텔레비전 수상기의 하우징 부분에서 표시되지 않고, 말하자면 구획된 것으로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사람의 시각에는, 화상의 일부에, 그 시청을 방해하는 미소폭의 라인이 있더라도, 그 라인에서 숨겨져 있는 부분의 화상을, 그 주변의 화상으로부터 보간하는 보간 작용이 있기 때문에, 상술한 문제점은, 전체 확대 화상 데이터를 시청하는 데에 있어서, 그만큼 큰 문제는 안된다.
또, 전체 확대 처리에 있어서도, 일부 확대 처리로 설명한 경우와 같이, 리사이즈 처리용의 계수종 데이터를 이용하여, 화상 변환 처리를 행하여 전체 확대 화상 데이터를 얻는 다른, 단순한 보간 처리에 의해서,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를 확대한 전체 확대 화상 데이터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단지,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의 전체를, 그 세부에 걸쳐 확대한 전체 확대 화상 데이터를 볼 수 있는 것은, 신호 처리부(137, 157)에 있어서, 리사이즈 처리용의 계수종 데이터를 이용하여, 화상 변환 처리를 행한 경우이고, 단순한 보간 처리에 의해서,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의 확대를 행한 경우에는, 전체 확대 화상 데이터를 보는 것은 되지만, 그 세부의 재현은 행해지지 않는다. 즉, 단순한 보간 처리에 의한 경우에는, 리사이즈 처리용의 계수종 데이터를 이용한 화상 변환 처리에 의한 경우에 비교하여, 크게 화질이 열화한 전체 확대 화상 데이터밖에 보는 것은 할 수 없다.
여기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도 31 및 도 33으로 설명한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만, 특별 기능을 제공하도록 하였지만, 인증이 실패한 경우에서도, 특별 기능을, 말하자면 제한되어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예를 들면,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는, 리사이즈 처리용의 계수종 데이터를 이용한 화상 변환 처리에 의해서, 전체 확대 화상 데이터를 제공하여, 인증이 실패한 경우에는, 단순한 보간 처리에 의한 전체 확대 화상 데이터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을, 본체나 별체가 아닌 텔레비전 수상기를 이용하여 구성하고 있는 사용자는, 전체 확대 화상 데이터를 보는 것은 되지만, 그 전체 확대 화상 데이터는, 단순한 보간 처리에 의한 것이기 때문에, 리사이즈 처리용의 계수종 데이터를 이용한 화상 변환 처리에 의한 경우에 비교하여, 꽤 화질이 열화하게 된다.
이것에 대하여,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을, 본체나 별체인 텔레비전 수상기를 이용하여 구성하고 있는 사용자는, 리사이즈 처리용의 계수종 데이터를 이용한 화상 변환 처리에 의한 고 화질의 전체 확대 화상 데이터를 볼 수 있다.
그 결과,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을, 본체나 별체가 아닌 텔레비전 수상기를이용하여 구성하고 있는 사용자에 있어서는, 고 화질의 전체 확대 화상 데이터를 보기 위해서, 본체나 별체인 텔레비전 수상기를 구입하는 인센티브(incentive)가 기능하게 된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본체(1)에 표시된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의 전체를,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을 구성하는 텔레비전 수상기의 전체에 표시 가능한 크기의 전체 확대 화상 데이터에 확대하는 확대율을, 최대 확대율 Nmax로서 설정하도록 하였지만, 최대 확대율 Nmax는 사용자가, 리모콘(15)(또는 리모콘(35))을 조작함으로써, 임의의 값으로 설정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최대 확대율 Nmax가,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를,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을 구성하는 텔레비전 수상기의 전체에 표시 가능한 크기의 전체 확대 화상 데이터보다도 큰 화상 데이터에 확대하는 값(이하, 적절하게, 규정 외의 최대 확대율이라함)에 설정되는 경우가 있어, 그 규정 외의 최대 확대율로 확대된 전체 확대 화상 데이터는, 그 전체를,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으로 표시할 수 없게 된다. 즉, 규정 외의 최대 확대율로 확대된 전체 확대 화상 데이터는, 그 일부밖에 표시할 수 없게 된다. 이 경우, 규정 외의 최대 확대율로 확대된 전체 확대 화상 데이터의 어떤 부분을 표시할지의 여부는, 예를 들면, 사용자가, 리모콘(15)(또는 리모콘(35))을 조작함으로써 설정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경우에는,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텔레비전 수상기에 있어서, 그 텔레비전 수상기로 표시하여야 할 일부 확대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하였지만,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텔레비전 수상기로 표시하여야 할 일부 확대 화상 데이터는, 예를 들면, 본체(1) 등의 1대, 또는 복수대의 텔레비전 수상기에서 생성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예를 들면, 본체(1)에 있어서, 전체 확대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그 전체 확대 화상 데이터 중의 일부인 일부 확대 화상 데이터를, IEEE1394 인터페이스(133)를 개재하여, 각 별체(2ij)에 송신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지, 이 경우, 본체(1)는 자신으로 표시하여야 할 일부 확대 화상 데이터의 다른, 다른 텔레비전 수상기인 각 별체(2ij)에서 표시하여야 할 일부 확대 화상 데이터도 생성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그 처리 부담이 커진다.
또한, 상술한 경우에는,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으로서의 화상 데이터(프로그램 화상 데이터)를 확대하도록 하였지만, 전체 확대 처리라도, 일부 확대 처리에서의 경우와 같이, 외부의 장치에서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그 처리의 대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전체 확대 처리에 있어서도, 일부 확대 처리에서의 경우와 같이,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의 일부의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의 양방을, 동일한 확대율만 확대하는 것은 물론,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 각각을, 다른 확대율만 확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경우에는, 3×3대의 텔레비전 수상기로 구성되는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에 있어서, 그 중심으로 배치된 본체(1)에 표시되는 화상 데이터가, 그 주위에 배치된 각 별체(2ij)의 방향(좌측 위, 좌측, 좌측 밑, 상, 하, 우측 위, 우측, 우측 하의 8 방향) 각각에 향해서 확대되어 가는 전체 확대 화상 데이터가 표시되지만, 기타, 예를 들면, 좌측밑에 배치된 별체(231)에 표시되는 화상 데이터가, 그 위에 배치된 별체(221), 우측상에 배치된 본체(1), 우측으로 배치된 별체(232)의 방향 각각에 향해서 확대되어 가는 것 같은 전체 확대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경우에는, 본체(1)나 각 별체(2ij)에서, 사용자가 리모콘(15)을 조작함으로써, 전체 확대 처리를 행하는 것의 명령이 있은 후에, 전체 확대 화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일부 확대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하였지만, 본체(1)나 각 별체(2ij)에서는, 항상, 확대율 N이, 1+α,1+2α,1+3α,···, Nmax 배의 전체 확대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하여, 전체 확대 처리를 행하는 것의 명령이 있는 경우에는, 바로, 그 확대율 N이 1+α,1+2α,1+3α, · · ·, Nmax 배의 전체 확대 화상 데이터를, 순차 표시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은, 그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을 구성하는 텔레비전 수상기 전체에,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소위 멀티 화면 표시를 행하는 특별 기능을 갖고 있고, 이 특별 기능은, 본체(1)와 별체(2)에 있어서, 멀티 화면 표시 처리가 행하여지는 것에 의해 실현된다.
멀티 화면 표시 처리를 행하는 것의 지시도, 예를 들면, 일부 확대 처리나 전체 확대 처리를 행하는 것의 지시와 같이, 메뉴 화면에서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리모콘(15)(도 7)의 메뉴 버튼 스위치(54)(또는 리모콘(35)(도 8)의 메뉴 버튼 스위치(84))를 조작한 경우, 본체(1)의 CRT(11)(또는 별체(2)의 CRT(31))에는, 메뉴 화면이 표시되지만, 이 메뉴 화면에는, 예를 들면, 멀티 화면 표시 처리를 나타내는 아이콘(이하, 적절하게, 멀티 화면 표시 아이콘이라함)이 표시되도록 되어 있고, 사용자가, 이 멀티 화면 표시 아이콘을, 리모콘(15)을 조작하여 클릭함으로써, 본체(1)와 별체(2) 각각에서, 멀티 화면 표시 처리가 개시된다.
그래서, 도 43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본체의 멀티 화면 표시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멀티 화면 표시 처리에서는, 도 4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을 구성하는 텔레비전 수상기 전체에,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가 표시된다. 따라서, 본체(1)의 멀티 화면 표시 처리는, 실질적으로는, 확대율 N을 최대 확대율 Nmax에 고정하여, 확대 피치α를 무시하여 행하는, 도 39의 전체 확대 처리와 등가이다.
이 때문에, 본체(1)의 멀티 화면 표시 처리에서는, 단계 S191 내지 S194에 있어서, 도 39의 단계 S161 내지 S164에서의 경우와 각각 마찬가지의 처리가 행하여진다.
그리고, 단계 S195로 진행하여, 도 39의 단계 S165에 있어서의 경우와 같이 하여, 최대 확대율 Nmax가 설정되어, 단계 S196로 진행한다. 단계 S196에서는, 본체(1)(도 10)의 CPU(129)는 확대율 N을, 최대 확대율 Nmax에 설정하여, 단계 S197로 진행한다.
단계 S197에서는, CPU(129)는 최대 확대율 Nmax가 설정되어 있는 확대율 N에 기초하여, 본체(1)에 있어서의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의 확대 범위 r1와, 각 별체(2ij)(도 11)에 있어서의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의 확대 범위 rij를, 도 39의 단계 S167에 있어서의 경우와 같이 하여 구하여, 단계 S198로 진행한다.
여기서, 도 39의 전체 확대 처리에서는, 단계 S167로 확대 범위를 구하는 다른, 단계 S168로 표시 범위도 구하지만, 확대율 N이, 최대 확대율 Nmax인 경우에는, 본체(1)의 표시 범위 R1는, 그 CRT(11)의 표시 화면 전체이고, 또한, 별체(2ij)의 표시 범위 Rij도, 그 CRT(31)의 표시 화면 전체이므로, 미리 나누어서, 구할 필요가 없다(또는, 미리 구해지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멀티 화면 표시 처리에서는, 다시, 본체(1)의 표시 범위 R1와, 별체(2ij)의 표시 범위 Rij를 구하도록은 되어 있지 않다.
단계 S198에서는, CPU(129)는 도 39의 단계 S170에 있어서의 경우와 같이 하여, 최대 확대율 Nmax가 설정되어 있는 확대율 N에 대응하는 파라미터 z를, 신호 처리부(137)(도 22)의 파라미터 메모리(168)로 세트한다.
그리고, 단계 S199 내지 S201로 순차 진행하여, 도 39의 단계 S174 내지 S176에 있어서의 경우와 각각 마찬가지로 처리가 행하여지며, 이에 따라, 본체(1)에서는, 최대 확대율 Nmax에서 확대된 일부 확대 화상 데이터가 표시된다.
그 후, 단계 S202로 진행하며, CPU(129)는 멀티 화면 표시를 종료하는 커맨드(이하, 적절하게, 멀티 화면 표시 종료 커맨드라함)이 송신되어 왔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202에 있어서, 멀티 화면 표시 종료 커맨드가 송신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199로 되돌아가며, 이하, 마찬가지의 처리가 반복된다. 따라서, 이 경우, 본체(1)에서는, 최대 확대율 Nmax에서 확대된 일부 확대 화상 데이터의 표시가 속행된다.
또한, 단계 S202에 있어서, 멀티 화면 표시 종료 커맨드가 송신되어 왔다고 판정된 경우, 즉, 예를 들면, 사용자가 리모콘(15)(도 7)을 조작함으로써, CRT(11)에 메뉴 화면을 표시시키며, 또한, 그 메뉴 화면에서의 멀티 화면 표시 아이콘을 재 클릭하며, 이에 따라, 그 리모콘(15)의 조작에 대응하는 커맨드인 멀티 화면 표시 종료 커맨드의 적외선이, 리모콘(15)으로부터 출사되어, IR 수신부(135)로 수신되어 CPU(129)에 공급된 경우, 단계 S203로 진행하여, 신호 처리부(137)에 있어서의 화상 변환 처리를 종료하고, 본체(1)의 멀티 화면 표시 처리를 종료한다. 이에 따라, 프레임 메모리(127)에 기억된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는, 그대로, NTSC 인코더(128)를 개재하여, CRT(11)에 공급되도록 되어, CRT(11)에서는,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가, 통상의 사이즈로 표시된다.
또, 별체(2ij)의 멀티 화면 표시 처리(별체(2ij)가 행하는 멀티 화면 표시 처리)는, 도 41으로 설명한 별체(2ij)의 전체 확대 처리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은, 그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을 구성하는 텔레비전 수상기 각각에 동일한 처리를 행하게 하는 특별 기능을 갖고 있고, 이 특별 기능은, 본체(1)에 있어서, 일괄 동시 제어 처리가 행하여지는 것에 의해 실현된다.
일괄 동시 제어 처리를 행하는 지시도, 예를 들면, 일부 확대 처리 등을 행하는 지시와 같이, 메뉴 화면에서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리모콘(15)(도 7)의 메뉴 버튼 스위치(54)(또는 리모콘(35)(도 8)의 메뉴 버튼 스위치(84))를 조작한 경우, 본체(1)의 CRT(11)(또는 별체(2)의 CRT(31))에는, 메뉴 화면이 표시되지만, 이 메뉴 화면에는, 예를 들면, 일괄 동시 제어 처리를 나타내는 아이콘(이하, 적절하게, 일괄 동시 제어 아이콘이라함)이 표시되도록 되어 있고, 사용자가, 이 일괄 동시 제어 아이콘을, 리모콘(15)을 조작하여 클릭함으로써, 본체(1)에 있어서, 일괄 동시 제어 처리가 개시된다.
그래서, 도 44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본체의 일괄 동시 제어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일괄 동시 제어 처리에서는, 본체(1)(도 10)의 CPU(129)는 리모콘(15)(또는 리모콘(25))이 조작됨으로써, 소정의 처리를 명령하는 커맨드가 입력되는 것을 대기하여, 즉, IR 수신부(135)에 있어서, 리모콘(15)으로부터의 소정의 커맨드에 대응하는 적외선이 수신되어, CPU(129)에 공급되는 것을 대기하여, 단계 S211에 있어서, 그 커맨드를 수신한다. 또한, 단계 S211에서는, CPU(129)는 그 커맨드에 대응한 처리를 행하여, 단계 S212로 진행한다.
단계 S212에서는, CPU(129)는 단계 S211로 수신한, 리모콘(15)의 조작에 대응한 커맨드(이하, 적절하게, 리모콘 커맨드라함)에 대응하는 처리를 행할 수 있는 별체(2ij)가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을 구성하는 텔레비전 수상기 중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또, 단계 S212의 판정 처리는, CPU(129)이 EEPROM(130)에 기억된 각 별체(2ij)의 기능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행해진다.
단계 S212에 있어서, 리모콘 커맨드에 대응하는 처리를 행할 수 있는 별체(2ij)가 존재한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213로 진행하며, CPU(129)는 IEEE1394 인터페이스(133)를 제어함으로써, 리모콘 커맨드에 대응하는 처리를 행할 수 있는 별체(2ij) 전부에, 리모콘 커맨드를 송신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지금,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을 구성하는 별체(2ij) 전부가, 리모콘 커맨드에 대응하는 처리를 행할 수 있는 것이면, 그 별체(2ij) 전부에, 리모콘 커맨드가 송신되어, 각 별체(2ij)에서는, 그 리모콘 커맨드에 대응하는 처리, 즉, 단계 S211로 본체(1)로 행해진 것과 동일한 처리가 행하여진다.
한편, 단계 S212에 있어서, 리모콘 커맨드에 대응하는 처리를 행할 수 있는 별체(2ij)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213를 스킵하여, 단계 S214로진행하며, CPU(129)는 일괄 동시 제어 처리를 종료하는 커맨드(이하, 적절하게, 일괄 동시 제어 종료 커맨드라함)이 송신되어 왔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212에 있어서, 일괄 동시 제어 종료 커맨드가 송신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 리모콘(15)이 조작됨으로써, 소정의 처리를 명령하는 커맨드(리모콘 커맨드)가 입력되는 것을 대기하여, 단계 S211로 되돌아가며, 이하, 마찬가지의 처리가 반복된다.
또한, 단계 S212에 있어서, 일괄 동시 제어 종료 커맨드가 송신되어 왔다고 판정된 경우, 즉, 예를 들면, 사용자가 리모콘(15)(도 7)을 조작함으로써, CRT(11)에 메뉴 화면을 표시시키며, 또한, 그 메뉴 화면에서의 일괄 동시 제어 아이콘을 재 클릭하며, 이에 따라, 그 리모콘(15)의 조작에 대응하는 커맨드인 일괄 동시 제어 종료 커맨드의 적외선이, 리모콘(15)으로부터 출사되어, IR 수신부(135)로 수신되어 CPU(129)에 공급된 경우, 일괄 동시 제어 처리를 종료한다.
일괄 동시 제어 처리에 따르면, 예를 들면, 지금,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을 구성하는 별체(2ij) 전부가, 리모콘 커맨드에 대응하는 처리를 행할 수 있는 것이다 라고 하면, 사용자가 리모콘(15)을 조작함으로써, 예를 들면, 어떤 채널을 선택하는 것이 명령된 경우, 도 4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을 구성하는 본체(1) 및 별체(2)의 전부에 있어서, 그 채널에서 방송되는 화상 데이터가 표시된다. 또한, 사용자가 리모콘(15)을 조작함으로써, 다른 채널로의 전환을 명령하면, 도 4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을 구성하는 본체(1) 및별체(2)의 전부에 있어서, 채널의 전환이 행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1개의 리모콘(15)에 의해서,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을 구성하는 텔레비전 수상기 전부를, 동시에, 동일하게 제어 할 수 있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1)에는, 리모콘(15)을 부착시키며, 각 별체(2ij)에도, 각각, 리모콘(35)을 부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1)는 그 리모콘(15)에 의해서도, 별체(2ij)의 리모콘(35)에 의해서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고, 별체(2ij)도, 그 리모콘(35)에 의해서도, 본체(1)의 리모콘(15)에 의해서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을 구성하는 텔레비전 수상기는, 그 전부를, 1대의 리모콘(15)(또는 (35))만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1대의 리모콘(15)만으로, 복수대의 텔레비전 수상기 각각을,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리모콘(15)에, 복수대의 텔레비전 수상기 각각의 기기 ID를 설정해 놓고, 원하는 커맨드를 입력하는 조작을 행하기 전에, 제어하려고 하는 텔레비전 수상기의 기기 ID를 입력하는 조작 등의, 제어 대상으로 하는 텔레비전 수상기를 특정하는 조작이 필요해지고, 번거롭다.
그래서, 본체(1)의 제어에는, 그것에 부수하는 리모콘(15)을, 각 별체(2ij)의 제어에는, 역시, 각 별체(2ij)에 부수하는 리모콘(35)을, 각각 이용하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으로는, 도 1A의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을 구성하는 텔레비전 수상기 각각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데, 9대라는 다수의 리모콘이 필요해진다. 또한,이 경우, 어떤 리모콘이, 어떤 텔레비전 수상기를 제어하는 것인지가, 한 번만 보아서는 모르게 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을 구성하는 본체(1)와 각 별체(2ij) 중, 사용자가 제어 대상으로 되어 있는 텔레비전 수상기를, 본체(1)의 리모콘(15)과 각 별체(2ij)의 리모콘(35) 중 임의의 리모콘에 의해서, 사용자가 제어 대상으로 되어 있는 텔레비전 수상기를 특정하는 조작을 행하는 일없이 제어 할 수 있으면, 편리하다.
그래서,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은, 사용자가, 제어 대상으로 되어 있는 텔레비전 수상기를 인식하여, 그 제어 대상의 텔레비전 수상기를, 리모콘(15)(또는 리모콘(35))에 의해서 제어 가능하게 하는 특별 기능을 갖고 있고, 이 특별 기능은, 본체(1)와 별체(2)에 있어서, 개별 처리가 행하여지는 것에 의해 실현된다.
개별 처리를 행하는 것의 지시는, 예를 들면, 메뉴 화면에서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리모콘(15)(도 7)의 메뉴 버튼 스위치(54)(또는 리모콘(35)(도 8)의 메뉴 버튼 스위치(84))를 조작한 경우, 본체(1)의 CRT(11)(또는 별체(2)의 CRT(31))에는, 메뉴 화면이 표시되지만, 이 메뉴 화면에는, 예를 들면, 개별 처리를 나타내는 아이콘(이하, 적절하게, 개별 처리 아이콘이라함)이 표시되도록 되어 있고, 사용자가 이 개별 처리 아이콘을, 리모콘(15)을 조작하여 클릭함으로써, 본체(1)와 별체(2) 각각에 있어, 개별 처리가 개시된다.
그래서, 우선, 도 46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본체(1)의 개별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체(1)(도 10)의 개별 처리에서는, CPU(129)는 IR 수신부(135)에 있어서, 리모콘(15)(또는 리모콘(35))으로부터의 적외선이 수신되는 것을 대기하여, 단계 S221에 있어서, IR 수신부(135)에 있어서의 적외선의 수신 강도를 검출한다. 즉, 사용자가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을 구성하는, 어떤 텔레비전 수상기를 제어 대상으로서, 그 제어 대상을 제어하는 데, 리모콘(15)을 조작하면, 리모콘(15)은, 그 조작에 대응하는 적외선을 출사한다. 이 적외선은, 본체(1)의 IR 수신부(135), 및 각 별체(2ij)(도 11)의 IR 수신부(155)로 수광되지만, 단계 S221에서는, CPU(129)는 IR 수신부(135)에, 그 적외선의 수신 강도를 검출시켜, 그 공급을 받는다.
그리고, 단계 S222로 진행하며, CPU(129)는 IEEE1394 인터페이스(133)를 개재하여, 각 별체(2ij)에, 각 별체(2ij)에서의 리모콘(15)으로부터의 적외선의 수신 강도를 요구하며, 그 요구에 따라서, 각 별체(2ij)에서 송신되어 오는 적외선의 수신 강도를, IEEE1394 인터페이스(133)를 개재하여 취득(수신)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리모콘(15)을 조작함으로써, 그 리모콘(15)이 출사하는 적외선은, 본체(1) 뿐만아니라, 각 별체(2ij)라도 수광되지만, 단계S222에서는, 그 적외선의, 각 별체(2ij)에서의 수신 강도가 취득된다.
그 후, 단계 S223로 진행하며, CPU(129)는 단계 S221로 검출한 본체(1)에서의 적외선의 수신 강도와, 단계 S222로 취득한 각 별체(2ij)에서의 적외선의 수신 강도 중에서, 최대의 수신 강도(최대 수신 강도)를 검출하여, 단계 S224로 진행한다.
단계 S224에서는, CPU(129)는 최대 수신 강도가 얻어진 텔레비전 수상기(이하, 적절하게, 최대 수신 강도 장치라함)이 본체(1) 또는 별체(2) 중 어느 인지를 판정한다.
단계 S224에 있어서, 최대 수신 강도 장치가 본체(1)이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225로 진행하며, CPU(129)는 IR 수신부(135)로 수광된 적외선이 나타내는 커맨드가, 본체(1)에 대한 것으로 하여, 그 커맨드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단계 S224에 있어서, 최대 수신 강도 장치가 별체(2)이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226로 진행하며, CPU(129)는 IEEE1394 인터페이스(133)를 제어함으로써, IR 수신부(135)로 수광된 적외선이 나타내는 커맨드가, 그 최대 수신 강도 장치인 별체(2ij)에 대한 것으로 하여, 그 커맨드를, 최대 수신 강도 장치인 별체(2ij)에 송신한다.
따라서, 이 경우, 최대 수신 강도 장치인 별체(2ij)에서는, 후술하는 도 4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리모콘(15)으로부터의 적외선이 나타내는 커맨드에 대응하는 처리가 행해지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리모콘(15)(또는 리모콘(35))을 조작함으로써,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을 구성하는, 어떤 텔레비전 수상기를 제어 대상으로서, 그 제어를 행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리모콘(15)을, 그 제어 대상인 텔레비전 수상기에 향하여 조작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지금, 리모콘(15)(또는 리모콘(35))이 출사하는 적외선이 지향성이 강한 것이라고 하면, 사용자가 제어 대상으로 하는 텔레비전 수상기는 리모콘(15)이 출사하는 적외선의 주축의 방향에 있는 것, 즉, 적외선의 수신 강도가 가장 큰 최대 수신 강도 장치이다고 말하게 된다.
따라서, 상술된 바와 같이, 최대 수신 강도 장치에서, 리모콘(15)으로부터의 적외선이 나타내는 커맨드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사용자가 제어 대상으로 한 텔레비전 수상기, 즉 최대 수신 강도 장치에서, 사용자에 의한 리모콘(15)의 조작에 대응한 처리가 행해지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사용자가, 리모콘(15)을, 본체(1)에 향하여, 채널 조작이나 음량 조작을 행한 경우, 본체(1)가 최대 수신 강도 장치가 되어, 그 결과, 최대 수신 강도 장치인 본체(1)에 있어서, 그 조작에 대응하여, 채널이나 음량이 변경된다. 또한, 예를 들면, 사용자가, 리모콘(15)을, 어떤 별체(2ij)에 향하여, 채널 조작이나 음량 조작을 행한 경우, 그 별체(2ij)가 최대 수신 강도 장치가 되어, 그 결과, 최대 수신 강도 장치인 별체(2ij)에서, 그 조작에 대응하여, 채널이나 음량이 변경된다.
단계 S225및 S226의 처리 후는, 어느 것이나, 단계 S227로 진행하며, CPU(129)는 개별 처리를 종료하는 커맨드(이하, 적절하게, 개별 처리 종료 커맨드라함)가 송신되어 왔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227에 있어서, 개별 처리 종료 커맨드가 송신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 리모콘(15)이 조작됨으로써 출사되는 적외선이, IR 수신부(135)로 수광되는 것을 대기하여, 단계 S221로 되돌아가며, 이하, 마찬가지의 처리가 반복된다.
또한, 단계 S227에 있어서, 개별 처리 종료 커맨드가 송신되어 왔다고 판정된 경우, 즉, 예를 들면, 사용자가, 리모콘(15)(도 7)을 조작함으로써, CRT(11)에 메뉴 화면을 표시시키며, 또한, 그 메뉴 화면에서의 개별 처리 아이콘을 재 클릭하며, 이에 따라, 그 리모콘(15)의 조작에 대응하는 커맨드인 개별 처리 종료 커맨드의 적외선이, 리모콘(15)으로부터 출사되어, IR 수신부(135)로 수신되어 CPU(129)에 공급된 경우, 단계 S228로 진행하고, CPU(129)는 IEEE1394 인터페이스(133)를 제어함으로써, 개별 처리 종료 커맨드를, 각 별체(2ij)에 송신하여, 본체(1)의 개별 처리를 종료한다.
다음에, 도 47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별체의 개별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별체(2)(도 11)의 개별 처리에서는, CPU(149)는 IR 수신부(155)에 있어서, 리모콘(15)(또는 리모콘(35))으로부터의 적외선이 수신되는 것을 대기하여, 단계 S231에 있어서, IR 수신부(155)에 있어서의 적외선의 수신 강도를 검출한다. 즉, 사용자가,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을 구성하는, 어떤 텔레비전 수상기를 제어 대상으로서, 그 제어 대상을 제어하는 데, 리모콘(15)을 조작하면, 리모콘(15)은 그 조작에 대응하는 적외선을 출사하지만, 이 적외선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별체(2)의 IR 수신부(155)로 수광된다. 단계 S231에서는, CPU(149)는 IR 수신부(155)에, 그 적외선의 수신 강도를 검출시켜, 그 공급을 받는다.
그리고, 단계 S232로 진행하며, CPU(149)는 본체(1)로부터 적외선의 수신 강도의 요구가 송신되어 오는 것을 대기하며, lEEE1394 인터페이스(153)를 개재하여, 본체(1)에, 단계 S231로 검출한 적외선의 수신 강도를 송신한다. 이 단계 S232로, 별체(2)로부터 송신되는 적외선의 수신 강도가, 본체(1)로 행해진다, 상술한 도 46의 단계 S222로 취득(수신)된다.
그 후, 단계 S233로 진행하며, CPU(149)는 본체(1)로부터 커맨드가 송신되어 왔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즉, 본체(1)는 상술한 도 46의 단계 S226나 S228에 있어서, 별체(2)에 대하여, 커맨드를 송신하지만, 단계 S233에서는, 그와 같이 하여 본체(1)로부터 커맨드가 송신되어 왔는 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단계 S233에 있어서, 본체(1)로부터 커맨드가 송신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233로 되돌아간다.
또한, 단계 S233에 있어서, 본체(1)로부터 커맨드가 송신되어 왔다고 판정된 경우, 즉, IEEE1394 인터페이스(153)에 있어서, 본체(1)로부터 송신되어 온 커맨드가 수신되어, CPU(149)에 공급된 경우, 단계 S234로 진행하며, CPU(149)는 그 커맨드가, 개별 처리 종료 커맨드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234에 있어서, 본체(1)로부터 송신되어 온 커맨드가, 개별 처리 종료커맨드가 아니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235로 진행하며, CPU(149)는 본체(1)로부터 송신되어 온 커맨드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하여, 단계 S233로 되돌아간다.
이에 따라, 도 46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리모콘(15)을 조작하는 것에 대응하여, 그 리모콘(15)이 향하는 별체(2)에서는, 그 리모콘(15)의 조작에 대응하는 처리(예를 들면, 채널이나 음량의 변경)가 행하여진다.
한편, 단계 S234에 있어서, 본체(1)로부터 송신되어 온 커맨드가, 개별 처리 종료 커맨드이다고 판정된 경우, 별체(2)의 개별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과 같이, 리모콘(15)(또는 리모콘(35))으로서, 적외선의 지향성이 강한 것을 이용하며, 또한,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을 구성하는 텔레비전 수상기에 있어서, 리모콘(15)으로부터의 적외선의 수신 강도가 가장 큰 최대 수신 강도 장치를 검출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제어하려고 하는 텔레비전 수상기를 특정(인식) 할 수 있기 때문에,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을 구성하는 본체(1)와 각 별체(2ij) 중, 사용자가 제어 대상으로 되어 있는 텔레비전 수상기를, 본체(1)의 리모콘(15)과 각 별체(2ij)의 리모콘(35) 중의 임의의 리모콘에 의해서, 사용자가 제어 대상으로 되어 있는 텔레비전 수상기를 특정하는 조작을 행하는 일없이 제어 할 수 있다.
다음에, 개별 처리에 따르면, 예를 들면, 어떤 사용자 A가, 리모콘(15)에 의해서, 어떤 별체(2ij)의 채널 조작을 행하여, 어떤 프로그램 PGMA를 시청하며, 또한, 다른 사용자 B가, 리모콘(35)에 의해서 다른 별체(2pq)의 채널 조작을 행하여, 다른 프로그램 PGMs를 시청한다고 하였도록, 복수의 사용자가, 개별적으로, 다른프로그램을 시청 할 수 있다.
이 경우, 별체(2ij, 2pq)(도 11)의 CRT(31)에는, 다른 프로그램의 화상 데이터가 표시되게 되지만, 만일, 별체(2ij, 2pq)가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었다고해도, 별체(2ij, 2pq)에 다른 프로그램의 화상 데이터가 표시되는 것은, 그만큼 큰 문제로는 되지 않는다.
즉, 지금 인 경우, 별체(2ij)에는 프로그램 PGMA의 화상 데이터가 표시되어, 별체(2pq)에는 프로그램 PGMs의 화상 데이터가 표시되기 때문에, 어느 화상 데이터도, 사용자 A와 B의 시계에 들어가게 된다.
그러나, 사용자 A는, 별체(2ij)에 표시된 프로그램 PGMA의 화상 데이터를 시청하려고 하며, 사용자 B는, 별체(2pq)에 표시된 프로그램 PGMs의 화상 데이터를 시청하려고 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 A에서는, 시청하려고 하지 않는 프로그램 PGMs의 화상 데이터는, 말하자면 마스크되며, 사용자 B에서도, 시청하려고 하지 않는 프로그램 PGMA의 화상 데이터는 마스크된다.
따라서, 사용자 A에 있어서, 다른 별체(2pq)에 표시된 프로그램 PGMs의 화상 데이터는, 별체(2ij)에 표시된 프로그램 PGMA의 화상 데이터의 시청을 크게 방해하게 되지 않고, 사용자 B에 있어서도, 다른 별체(2ij)에 표시된 프로그램 PGMA의 화상 데이터는, 별체(2pq)에 표시된 프로그램 PGMs의 화상 데이터의 시청을 크게 방해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 경우, 다른 화상 데이터에 각각 부수하는 다른 음성 데이터가 출력되는 것, 즉, 별체ij의 스피커 유닛(32L, 32R)에서 프로그램 PGMA의 음성 데이터가 출력되어, 별체(2pq)의 스피커 유닛(32L, 32R)에서 프로그램 PGMs의 음성 데이터가 출력되는 것에 대해서는, 다소의 문제가 있다.
즉, 인간의 청각에는, 소위 칵테일 파티 효과가 인정되고, 다수의 음성 데이터가 혼재하는 속에서, 원하는 음성 데이터를 알아 듣는 것이 가능하지만, 그래도, 파워가 작은 음성 데이터는, 파워가 큰 음성 데이터에 마스크되는 등, 원하는 음성 데이터 이외의 음성 데이터, 즉 노이즈가 되는 음성 데이터의 존재는, 원하는 음성 데이터의 시청의 방해가 된다.
그래서,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은, 본체(1)나 별체(2)로 프로그램을 시청하고 있는 사용자의 방향에, 그 본체(1)의 스피커 유닛(12L, 12R)나, 별체(2)의 스피커 유닛(32L, 32R)(를 구성하는 스피커)의 지향성의 주축의 방향을 향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시청하고 있는 프로그램의 음성 데이터를, 그 사용자에게 알아 듣기쉽게 하는 특별 기능을 갖고 있고, 이 특별 기능은, 본체(1) 및 별체(2)에 있어서, 스피커 제어 처리가 행하여지는 것에 의해 실현된다.
즉, 여기서는, 예를 들면, 본체(1)(도 10)의 스피커 유닛(12L, 12R)의 지향성은, 매우 강한 것으로 되어 있고, 유닛 구동부(138)가 스피커 유닛(12L, 12R)를 구동하여, 그 방향을 기계적으로(메카니컬로) 바꾸는 것에 의해서, 지향성의 주축의 방향을, 소정의 방향으로 향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별체(2)의 스피커유닛(32L, 32R)도 마찬가지로, 지향성이 강한 것으로, 유닛 구동부(158)에 의해서 구동됨으로써, 지향성의 주축의 방향을, 소정의 방향으로 향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스피커 제어 처리는, 예를 들면, 도 46및 도 47으로 설명한 개별 처리가 행하여지고 있는 경우에, 그 개별 처리와 병렬로 행해진다.
그래서, 도 48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본체의 스피커 제어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체의 스피커 제어 처리에서는, CPU(129)는 IR 수신부(135)에 있어서, 리모콘(15)(또는 리모콘(35))으로부터의 적외선이 수신되는 것을 대기하고, 단계 S241에 있어서, IR 수신부(135)에 있어서의 적외선의 수신 강도를 검출한다. 즉, 사용자가,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을 구성하는, 어떤 텔레비전 수상기를 제어 대상으로서, 그 제어 대상을 제어하는 데, 리모콘(15)을 조작하면, 리모콘(15)은, 그 조작에 대응하는 적외선을 출사한다. 이 적외선은, 본체(1)의 IR 수신부(135), 및 각 별체(2ij)(도 11)의 IR 수신부(155)로 수광되지만, 단계 S241에서는, CPU(129)는 IR 수신부(135)에, 그 적외선의 수신 강도를 검출시켜, 그 공급을 받는다.
그리고, 단계 S242로 진행하며, CPU(129)는 IEEE1394 인터페이스(133)를 개재하여, 각 별체(2ij)에, 각 별체(2ij)에서의 리모콘(15)으로부터의 적외선의 수신 강도를 요구하며, 그 요구에 따라서, 각 별체(2ij)에서 송신되어 오는 적외선의 수신 강도를, IEEE1394 인터페이스(133)를 개재하여 취득(수신)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리모콘(15)을 조작함으로써, 그 리모콘(15)이 출사하는 적외선은, 본체(1)뿐만 아니라, 각 별체(2ij)라도 수광되지만, 단계 S242에서는, 그 적외선의, 각 별체(2ij)에서의 수신 강도가 취득된다.
여기서, 본체(1)의 스피커 제어 처리에 있어서의 단계 S241와 S242에서는, 도 46의 본체(1)의 개별 처리에 있어서의 단계 S221와 S222와 각각 마찬가지의 처리가 행하여진다. 따라서, 본체(1)의 스피커 제어 처리에서는, 단계 S241 및 S242의 처리를 행하지 않고, 본체(1)의 개별 처리에 있어서의 단계 S221와 S222로 얻어지는 수신 강도를, 그대로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후, 단계 S243로 진행하며, CPU(129)는 단계 S241로 검출한 본체(1)에서의 적외선의 수신 강도와, 단계 S242로 취득한 각 별체(2ij)에서의 적외선의 수신 강도 중으로부터, 임의의 3개의 수신 강도, 즉, 예를 들면, 수신 강도가 큰 순으로, 제1위로부터 제3위까지의 수신 강도를 선택하여, 단계 S244로 진행한다.
단계 S244에서는, CPU(129)는 단계 S243로 선택한 3개의 제1위로부터 제3위까지의 수신 강도 각각에 대응하는 거리를 검출하여, 단계 S245로 진행한다.
즉, 리모콘(15)으로부터 출사되는 적외선의, 텔레비전 수상기에 있어서의 수신 강도는, 예를 들면, 리모콘(15)과 텔레비전 수상기(의 IR 수신부(135, 155)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고 있다.
그래서, 본체(1)(도 10)의 EEPROM(150)에는, 예를 들면, 도 49에 도시한 바와 같은, 리모콘(15)으로부터 출사되는 적외선의, 텔레비전 수상기에 있어서의 수신 강도와, 리모콘(15)으로부터 텔레비전 수상기까지의 거리와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강도 대 거리 테이블이 기억되어 있고, 단계 S244에서는, CPU(129)는 예를 들면, 이 강도 대 거리 테이블을 참조함으로써, 제1위로부터 제3위까지의 수신 강도 각각에 대응하는 거리를 검출한다.
또, 강도 대 거리 테이블은, 예를 들면, 텔레비전 수상기로부터 복수의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 각각에 있어, 리모콘(15)을 조작하여, 텔레비전 수상기로 수광되는 수신 강도를 측정함으로써 작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8로 되돌아가, 단계 S245에서는, CPU(129)는 제1위 내지 제3위의 수신 강도 각각에 대응하는 거리에서, 이들의 수신 강도의 적외선을 출사한 리모콘(15)의 위치를 검출한다.
여기서, 도 50를 참조하여, 제1위 내지 제3위의 수신 강도 각각에 대응하는 거리에서, 이들의 수신 강도의 적외선을 출사한 리모콘(15)의 위치를 검출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여기서는,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서, 제1위와 제2위의 2개의 수신 강도만을 생각한다.
예를 들면, 지금, 본체(1)에 있어서의 수신 강도와,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의 정면 방향으로부터 보아) 그 우측 이웃의 별체(223)에 있어서의 수신 강도가, 제1위와 제2위의 수신 강도이었다고 함과 동시에, 본체(1)에 있어서의 수신 강도에 대응하는 거리를 r1와, 별체(223)에 있어서의 수신 강도에 대응하는 거리를 r23로 각각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어떤 2차원 평면을 생각하면, 리모콘(15)은, 도 50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체(1)의 IR 수신부(135)로 적외선이 수광된 점 P1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 r1의 원 c1의 원주상에 존재하며, 또한, 별체(223)의 IR 수신부(155)로 적외선이 수광된 점 P23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 r23의 원 c23의 원주상에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리모콘(15)은, 원 c1과 c23의 원주의 교점 Pu에 존재하게 되어, 리모콘(15)의 위치 Pu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또, 상술한 경우에는, 2개의 수신 강도로부터 리모콘(15)의 위치를 구하였기 때문에, 2차원 평면 상의 위치가 검출되게 되지만, 리모콘(15)의 3차원 공간 상의 위치는, 도 50으로 설명한 경우와 같이 하여, 3개의 수신 강도 각각에 대응하는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구의 구면끼리의 교점을 구하는 것으로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시, 도 48로 되돌아가, 단계 S245로 리모콘(15)의 위치가 검출된 후에는, 단계 S246로 진행하며, CPU(129)는 단계 S241로 검출한 본체(1)에서의 적외선의 수신 강도와, 단계 S242로 취득한 각 별체(2ij) 에서의 적외선의 수신 강도 중에서, 최대 수신 강도를 검출한다. 또, 단계 S246에 있어서의 최대 수신 강도의 검출은 생략하며, 그 대신해서, 상술한 도 46의 단계 S223로 검출되는 최대 수신 강도를 유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계 S246에서는, 또한, CPU(129)은 최대 수신 강도가 얻어진 텔레비전 수상기(최대 수신 강도 장치)가 본체(1) 또는 별체(2) 중 어느 인지를 판정한다.
단계 S246에 있어서, 최대 수신 강도 장치가 본체(1)이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247로 진행하며, CPU(129)는 그 최대 수신 강도 장치인 본체(1)의 스피커 유닛(12L, 12R)의 지향성의 주축의 방향을, 단계 S245로 검출된 리모콘(15)의 위치(이하, 적절하게, 사용자 위치라함)의 방향으로 향하도록, 유닛 구동부(138)를 제어하여, 단계 S241로 되돌아간다.
이 경우, 유닛 구동부(138)는 CPU(129)의 제어하에서, 스피커 유닛(12L, 12R)를, 예를 들면 패닝(panning) 방향 또는 틸트(tilting)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며, 이에 따라, 그 지향성의 주축의 방향을, 사용자 위치의 방향으로 향한다.
한편, 단계 S246에 있어서, 최대 수신 강도 장치가 별체(2)이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248로 진행하며, CPU(129)는 IEEE1394 인터페이스(133)를 제어함으로써, 스피커 유닛(32L, 32R)의 지향성의 주축의 방향을, 사용자 위치에 향하도록 명령하는 스피커 제어 커맨드를, 최대 수신 강도 장치인 별체(2ij)에 송신하여, 단계 S241로 되돌아간다.
따라서, 이 경우, 최대 수신 강도 장치인 별체(2ij)에서는, 후술하는 도 51d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피커 유닛(32L, 32R)가 그 지향성의 주축의 방향을, 사용자 위치의 방향으로 향하도록, 패닝 방향 또는 틸트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리모콘(15)(또는 리모콘(35))을 조작함으로써,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을 구성하는, 어떤 텔레비전 수상기를 제어 대상으로서, 그 제어를 행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리모콘(15)을, 그 제어 대상인 텔레비전 수상기에 향하여 조작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지금, 리모콘(15)(또는 리모콘(35))이 출사하는 적외선이 지향성이 강한 것이다고 하면, 사용자가 제어 대상으로 할려고 하는 텔레비전 수상기는, 리모콘(15)이 출사하는 적외선의 주축의 방향에 어떤 것, 즉, 적외선의 수신 강도가 가장 큰 최대 수신 강도 장치이다고 말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최대 수신 강도 장치가, 리모콘(15)을 조작한 사용자가 시청하고 있는 프로그램의 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가 출력되어 있는 텔레비전 수상기이고, 그 최대 수신 강도 장치인 본체(1)의 스피커 유닛(12L, 12R), 또는 별체(2)의 스피커 유닛(32L, 32R)의 지향성의 주축의 방향을, 리모콘(15)을 조작한 사용자의 방향으로 향하는 것에 의해, 그 사용자는, 원하는 프로그램의 음성 데이터를, 명료하게 알아 듣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도 51의 흐름도를 참조하고, 별체(2)의 스피커 제어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별체(2)(도 11)의 스피커 제어 처리에서는, CPU(149)는 IR 수신부(155)에 있어서, 리모콘(15)(또는 리모콘(35))으로부터의 적외선이 수신되는 것을 대기하며, 단계 S251에 있어서, IR 수신부(155)에 있어서의 적외선의 수신 강도를 검출한다. 즉, 사용자가,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을 구성하는, 어떤 텔레비전 수상기를 제어 대상으로서, 그 제어 대상을 제어하는 데, 리모콘(15)을 조작하면, 리모콘(15)은, 그 조작에 대응하는 적외선을 출사하지만, 이 적외선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별체(2)의 IR 수신부(155)로 수광된다. 단계 S251에서는, CPU(129)는 IR 수신부(155)에, 그적외선의 수신 강도를 검출시켜, 그 공급을 받는다.
그리고, 단계 S252로 진행하며, CPU(149)는 본체(1)로부터 적외선의 수신 강도의 요구가 송신되어 오는 것을 대기하여, IEEE1394 인터페이스(153)를 개재하여, 본체(1)에, 단계 S251로 검출한 적외선의 수신 강도를 송신한다. 이 단계 S252로, 별체(2)로부터 송신되는 적외선의 수신 강도가, 본체(1)에서 행해지는, 상술한 도 48의 단계 S242에서 취득(수신)된다.
여기서, 별체(2)의 스피커 제어 처리에 있어서의 단계 S251와 S252에서는, 도 47의 별체(2)의 개별 처리에 있어서의 단계 S231와 S232와 각각 마찬가지의 처리가 행하여진다. 따라서, 별체(2)의 스피커 제어 처리에서는, 단계 S251 및 S252의 처리를 행하지 않고, 별체(2)의 개별 처리에 있어서의 단계 S231와 S232로 얻어지는 수신 강도를, 그대로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후, 단계 S253로 진행하며, CPU(149)는 본체(1)로부터 스피커 제어 커맨드가 송신되어 왔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즉, 본체(1)는 상술한 도 48의 단계 S248에 있어서, 별체(2)에 대하여, 스피커 제어 커맨드를 송신하지만, 단계 S253에서는, 그와 같이 하여 본체(1)로부터 스피커 제어 커맨드가 송신되어 왔는 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단계 S253에 있어서, 본체(1)로부터 스피커 제어 커맨드가 송신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251로 되돌아간다.
또한, 단계 S253에 있어서, 본체(1)로부터 스피커 제어 커맨드가 송신되어 왔다고 판정된 경우, 즉, IEEE1394 인터페이스(153)에 있어서, 본체(1)로부터 송신되어 온 스피커 제어 커맨드가 수신되어, CPU(149)에 공급된 경우, 단계 S254로 진행하며, CPU(149)는 스피커 제어 커맨드하에서, 별체(2)의 스피커 유닛(32L, 32R)의 지향성의 주축의 방향을, 도 48의 단계 S245로 검출된 리모콘(15)의 위치(사용자 위치)의 방향으로 향하도록, 유닛 구동부(158)를 제어하여, 단계 S251로 되돌아간다.
이 경우, 유닛 구동부(158)는 CPU(149)의 제어하에서, 스피커 유닛(32L, 32R)를, 예를 들면 패닝 방향 또는 틸트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며, 이에 따라, 그 지향성의 주축의 방향을, 사용자 위치의 방향으로 향한다.
따라서, 이 경우, 별체(2)에 있어서는, 그 별체(2)를 향하여, 리모콘(15)을 조작한 사용자, 즉, 그 별체(2)로 출력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로서의 프로그램을 시청하고 있는 사용자의 방향으로, 스피커 유닛(32L, 32R)의 지향성의 주축의 방향이 향하게 되어, 그 사용자는, 원하는 프로그램의 음성 데이터를, 명료하게 알아 듣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도 48 및 도 51의 스피커 제어 처리는, 예를 들면, 도 46및 도 47의 개별 처리가 종료했을 때에 종료한다.
또한, 상술한 경우에는,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여, 스피커 유닛(12L, 12R)(또는 스피커 유닛(32L, 32R))의 지향성의 주축의 방향의 방향만을 제어하도록 하였지만, 기타, 예를 들면, 스피커 유닛(12L, 12R)의 음량도 제어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예를 들면, 사용자가 프로그램을 시청하고 있는 텔레비전 수상기가, 그 사용자 위치에서 떨어저 있을수록, 스피커 유닛(12L, 12R)의 음량을 크게 하도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경우에는, 텔레비전 수상기에 있어서의 리모콘(15)으로부터의 적외선의 수신 강도에 기초하여, 그 리모콘(15)의 위치(사용자 위치)를 검출하도록 하였지만, 리모콘(15)의 위치는, 기타, 예를 들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하거나, 각 텔레비전 수상기로부터 초음파를 발하고, 그 초음파를 리모콘(15)으로 수신하여 돌려 보내도록 하는 것 등에 따라서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상술한 스피커 제어 처리에 있어서는, 스피커 유닛(12L, 12R)(및 스피커 유닛(32L, 32R))으로서, 지향성이 있는 것을 이용하여, 그 지향성의 주축의 방향을, 유닛 구동부(138)(및 유닛 구동부(158))에 의해서, 패닝 방향 또는 틸트 방향으로 회전 구동함으로써, 소정의 방향(사용자 위치의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였지만, 이러한 지향성의 주축의 방향의 제어는, 전자적으로 행할 수도 있다.
즉, 도 52은 지향성의 주축의 방향의 제어를 전자적으로 행하는 스피커 유닛(12L)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 다른 스피커 유닛(12R, 32L, 및 32R)도, 스피커 유닛(12L)과 같이 구성되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52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MPEG 오디오 디코더(126)(도 10)가 출력하는 음성 데이터는, 디지털 필터(2111, 2112)에 공급된다. 디지털 필터(2111, 2112)에는, 유닛 구동부(138)(도 10)에 의해서, 소정의 탭 계수가 세트되도록 되어 있고, 디지털 필터(2111, 2112)는 거기에 공급되는 동일한 음성 데이터를, 유닛구동부(138)에 의해서 세트된 탭 계수에 기초하여 필터링함으로써, 그 음성 데이터에 포함되는 각 주파수 성분을, 각 주파수 성분마다 소정의 지연 시간만 지연한 음성 데이터를 얻어, 스피커(2121, 2122)에, 각각 공급한다.
스피커(2121, 2122)는 어느 것이나, 무 지향성 스피커로, 디지털 필터(2111, 2112)로부터 공급되는 음성 데이터를 출력(방음)한다.
지금, 스피커 유닛(12L)에서, 2개의 스피커(2121, 2122)의 주축을, 각각, Y1와 Y2로 나타내면, 스피커(2121, 2122)는 그 주축 Y1와 Y2가 2차원 평면내(여기서는, 지면내)에 있어서 병행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스피커(2121, 2122)는, 각각의 콘(진동판)이 주축 Y1와 Y2의 방향에서 같은 위치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주축 Y1와 Y2 사이의 거리(이하, 적절하게, 주축 사이 거리라함)를 a로 나타냄과 동시에, 2차원 평면내에서, 주축 Y1또는 Y2를 기준으로 하는 반시계 방향으로의 각도(방사각)을 θ로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스피커 유닛(12L)에 대하여, 음성 데이터로서, 단일의 주파수 성분으로 되는, 예를 들면 정현파 신호를 입력한 경우, 그 음성 데이터로서의 정현파 신호는, 디지털 필터(2111, 2112)로 필터링되어,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지연 시간 D1와 D2만, 각각 지연되어, 스피커(2121, 2122)에 공급되어 출력된다.
이 경우, 스피커(2121, 2122) 각각으로부터 출력되는 음파끼리가 간섭한다.또한, 예를 들면, 지금, 지연 시간 D1와 D2와가, D2≥D1의 관계에 있다고 하면, 스피커(2121, 2122) 각각으로부터 출력되는 음파끼리의 사이에는, D2-Dl만의 시간 차(이하, 적절하게, 지연 시간차라함)가 생긴다. 또한, 스피커(2121, 2122) 각각의 주축 Y1와 Y2와 각도 θ로 하는 축 Y11와 Y12 상의 음파끼리에는, 행로 차가 생기고 있다.
그 결과, 스피커(2121, 2122)로부터 출력되는 2개의 음파의 관측점(리스닝 위치)마다, 그 2개의 음파의 간섭 시의 위상 관계가 다른 것으로 되어, 예를 들면, 어떤 관측점에서는, 2개의 음파가 동상으로 가산되어, 스피커(2121, 2122) 중 한쪽밖에 없는 경우의 2배의 음량의 음파가 된다. 또한, 다른 관측점에서는, 2개의 음파가 역상으로 가산되어(상쇄되어), 음량이 0가 된다. 따라서, 스피커(2121, 2122)의 통합의 음량 특성은 지향성을 갖게 된다.
도 53 및 도 54은, 상술된 바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스피커(2121, 2122)의 통합의 음량 특성의 지향성이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53 및 도 54의 실시 형태에서는, 최대 음량을, 0dB로 정규화하고 있다.
도 53는, 주축 사이 거리 a를 10cm으로 함과 동시에, 지연 시간 차 D2-D1를 a/C로서, 주파수가 1000Hz의 정현파를 입력한 경우의 음량 특성의 지향성을 나타내고 있다. 또, C는, 음속을 나타내며, 여기서는, 340 m/s로 한다.
도 53의 실시 형태에서는, 각도 θ가 30도 이상의 범위에서, 최대의 음량이얻어지고 있다. 또한, 각도θ가 -45도의 위치에서, 음량이 거의 0(제로)로 되어 있다.
도 54는, 도 53으로 설명한 조건 중, 입력을, 주파수가 5000Hz의 정현파로 바꾼 경우의 음량 특성의 지향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54의 실시 형태에서는, 각도θ가 45도 이상의 범위에 주 빔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각도θ가 0도로부터 45도의 범위에, 주 빔과 같은 정도의 크기의 부 빔(그레이팅 빔)이 생기고 있다. 이러한 큰 부 빔을 생성하는 것은, 도 54의 부 빔의 범위에서는, 2개의 음파의 위상 차가, 5000Hz의 정현파의 파장의 정수배가 되어, 2개의 음파가 동상으로 가산되기 때문이다.
이것은, 다른 부 빔에 대해서도 마찬가지고, 스피커(2121, 2122) 각각으로부터 관측점까지의 거리가, 주축 사이 거리 a에 비교하여 충분히 큰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다음식이 성립할 때에, 스피커(2121, 2122)가 출력하는 2개의 음파의 위상이 동상이 되어, 주 빔과 동일한 크기의 부 빔을 생성한다.
단지, 수학식(26)에 있어서, f는 입력의 주파수를 나타내고, n은, 0 이상의 정수 값이다.
또, 수학식(26)에 있어서, n이 0인 경우는, 주 빔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주파수 f가 1000Hz인 경우에, 수학식(26)을 만족하는 것은, n이O일 때만 이고, 따라서, 이 경우, 주 빔 이외에, 동일한 크기의 부 빔을 생성하는 경우는 없다.
여기서, 예를 들면, n이 1인 경우에, 수학식(26)을 만족하는 주파수 f, 즉, 부 빔을 생성하는 주파수 f는, f= C/(a(1-cosθ))로 나타낼 수 있다. 도 53의 실시 형태로 설명한 조건하에서는, 이 주파수 f는, 약1700Hz가 되지만, 이것은, 주축 사이 거리 a가, 음파의 반 파장과 같을 때의 주파수이다.
이상으로부터, 도 52의 스피커 유닛(12L)에 따르면, 디지털 필터(2111, 2112)에 있어서, 거기에 공급되는 음성 데이터의 각 주파수 성분을, 그 각 주파수 성분마다 지연하며, 이에 따라, 각 주파수 성분마다, 소정의 지연 시간 차 D2-D1를 제공한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2121, 2122)에 공급하여 출력함으로써, 스피커(2121, 2122)의 통합의 음량 특성은 지향성을 갖는 것으로 된다. 그리고, 각 주파수 성분에 대한 주 빔 방향 및 제로 방향은, 그 주파수 성분에 제공하는 지연 시간 차에 의해서 변경 할 수 있다.
즉, 스피커 유닛(12L)의 지향성의 주축의 방향은, 디지털 필터(2111, 2112)로 세트하는 탭 계수에 의해서 변경 할 수 있다.
따라서, 유닛 구동부(138)에 있어서, 디지털 필터(2111, 2112)에, 소정의 탭 계수를 제공하는 것에 의해, 스피커 유닛(12L)의 지향성의 주축의 방향을, 원하는 방향으로 향할 수 있다.
또, 상술한 경우에는, 스피커 유닛(12L)에, 2개의 스피커(2121, 2122)를 설치하여, 그 2개의 스피커(2121, 2122)로부터 출력되는 2개의 음파의 간섭을 이용하여, 지향성의 주축의 방향을 제어하도록 하였지만, 기타, 예를 들면, 스피커 유닛(12L, 12R)를, 각각, 1개의 스피커로 구성하여, 스피커 유닛(12L)의 스피커와, 스피커 유닛(12R)의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2개의 음파끼리의 간섭을 이용하고, 지향성의 주축의 방향을 제어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스피커 유닛(12L)은, 2개보다도 많은 수의 스피커로 되는, 소위 스피커 어레이로 구성 할 수 있다. 스피커 유닛(12L)을, 다수의 스피커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보다 급경사인 지향성을 실현 할 수 있다.
다음에, 상술한 경우에는, 리모콘(15)의 위치(사용자 위치)를, 본체(1) 또는 별체(2)에 있어서의, 리모콘(15)으로부터의 적외선의 수신 강도에 기초하여 검출하여, 그 리모콘(15)의 위치의 방향으로, 스피커 유닛(12L, 12R), 또는 스피커 유닛(32L, 32R)의 지향성의 주축의 방향을 향하도록 하였지만, 스피커 유닛(12L, 12R), 또는 스피커 유닛(32L, 32R)의 지향성의 주축의 방향을, 리모콘(15)의 위치의 방향으로만 향하면, 리모콘(15)의 위치까지 검출할 필요는 없고, 본체(1) 또는 별체(2)로부터의 리모콘(15)의 방향이 알려지면 좋다.
그래서, 도 55및 도 56을 참조하여, 본체(1)(또는 별체(2))로부터의 리모콘(15)의 방향의 검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체(1)로부터의 리모콘(15)의 방향은, 도 5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도 10)의 IR 수신부(135)에, 소정의 거리 D만 떨어진 2개의 수광부(135A, 135B)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지금, 본체(1)로부터 리모콘(15)까지의 거리가, 수광부(135A, 135B)의 사이의 거리 D에 비교하여 충분히 크다고 하면, 리모콘(15)으로부터 수광부(135A)에 입사하는 적외선과, 리모콘(15)으로부터 수광부(135B)에 입사하는 적외선은 평행이라고 간주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모콘(15)으로부터 수광부(135A, 135B)에 입사하는 적외선이, 수광부(135A, 135B)를 연결하는 직선으로 하는 각도를 φ로 하면, 리모콘(15)으로부터 수광부(135A)에 입사하는 적외선과, 리모콘(15)으로부터 수광부(135B)에 입사하는 적외선 사이의 행로 차 d는, Dcosφ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광속을 c로 나타냄과 동시에, 수광부(135A, 135B)에서, 리모콘(15)으로부터의 적외선이 수광되는 타이밍의 시간 차를 t로 나타내면, 행로 차 d는, cτ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각도φ, 즉, 리모콘(15)의 방향φ은, arccos(τc/D)로 표시된다. 즉, 리모콘(15)의 방향φ은, 수광부(135A, 135B)에서, 리모콘(15)으로부터의 적외선이 수광되는 타이밍의 시간 차 τ를 측정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다음에, 본체(1)(또는 별체(2))로부터의 리모콘(15)의 방향은, IR 수신부(135)(또는 IR 수신부(155))를, 도 5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검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 56의 실시 형태에서는, IR 수신부(135)는 복수의 적외선 수광부로서의 화소를 갖는 적외선 라인 센서(221)와, 그 적외선 라인 센서(221)상에 적외선을 집광하는 렌즈(222)로 구성되어 있다.
또, 적외선 라인 센서(221)는 예를 들면, 렌즈(222)의 광축 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IR 수신부(135)에서는, 리모콘(15)으로부터 출사된 적외선은, 렌즈(222)를 개재하여, 적외선 라인 센서(221)에 입사하여, 그 적외선 라인 센서 상의 소정의 위치의 화소로 수광된다.
이 경우, 적외선 라인 센서(221)에 대한 적외선의 입사각α이 변화하면, 이것에 대응하여, 그 적외선을 수광하는 화소, 즉, 수광 위치도 변화한다.
그리고, 지금, 이 수광 위치와, 적외선 라인 센서(221) 상의 렌즈(222)의 광축과의 교점 사이의 거리를 r로 나타냄과 동시에, 적외선 라인 센서(221)와 렌즈(222)와의 거리를 s로 나타내면, 입사각α, 즉, 리모콘(15)의 방향α은, arctan(S/r)으로 표시된다.
따라서, 리모콘(15)의 방향α은, 적외선 라인 센서(221) 상의 렌즈(222)의 광축과의 교점과, 적외선을 수광한 화소의 위치 사이의 거리 r를 측정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다음에, 도 57는, 본체(1)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면 중, 도 10에 있어서의 경우와 대응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있이며, 이하에서는, 그 설명은, 적절하게 생략한다. 즉, 도 57의 본체(1)는 접속 검출부(139)가 새롭게 설치되어 있는 다른, 도 10에 있어서의 경우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접속 검출부(139)는 전기적 또는 기계적으로, 다른 텔레비전 수상기가 접속된 것을 검출하여, CPU(129)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도 57의 실시 형태에서는, 단자 패널(21)에 있어서의 IEEE1394 단자(21ij)(도 3F)의 단자 전압의 변화가 아니고, 접속 검출부(139)에 있어서, 다른 텔레비전 수상기와의 접속이 검출된다.
다음에, 도 58는, 별체(2)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면 중, 도 11에 있어서의 경우와 대응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있이며, 이하에서는, 그 설명은, 적절하게 생략한다. 즉, 도 58의 별체(2)는 접속 검출부(159)가 새롭게 설치되어 있는 다른, 도 11에 있어서의 경우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접속 검출부(159)는 전기적 또는 기계적으로, 다른 텔레비전 수상기가 접속된 것을 검출하여, CPU(149)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도 58의 실시 형태에서는, 도 57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경우와 같이, 단자 패널(41)에 있어서의 IEEE1394 단자(411)(도 5F)의 단자 전압의 변화가 아니고, 접속 검출부(159)에 있어서, 다른 텔레비전 수상기와의 접속이 검출된다.
다음에, 상술한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에 의해 행할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에 의해 행할 수도 있다. 일련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해서 행하는 경우에는,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범용 컴퓨터 등에서 인스톨된다.
그래서, 도 59는, 상술한 일련의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인스톨되는 컴퓨터의 일 실시 형태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내장되어 있는 기록 매체로서의 하드디스크(305)나 ROM(303)에 미리 기록해 둘 수 있다.
혹은, 프로그램은, 플렉시블 디스크,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MO(Magneto Optical) 디스크, DVD(Digital Versatile Disc), 자기 디스크, 반도체 메모리 등의 리무버블 기록 매체(311)에, 일시적 혹은 영속적으로 저장(기록)해 둘 수 있다. 이러한 리무버블 기록 매체(311)는, 소위 패키지 소프트웨어로서 제공 할 수 있다.
또, 프로그램은, 상술한 바와 같은 리무버블 기록 매체(311)로부터 컴퓨터로 인스톨하는 것 외에, 다운로드 사이트에서, 디지털 위성 방송용 인공위성을 개재하여, 컴퓨터에 무선으로 전송하거나, LAN(Local Area Network), 인터넷이라고 한 네트워크를 개재하여, 컴퓨터에 유선으로 전송하여, 컴퓨터에서는, 그와 같이 하여 전송되어 오는 프로그램을, 통신부(308)로 수신하여, 내장하는 하드디스크(305)에 인스톨 할 수 있다.
컴퓨터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302)을 내장하고 있다. CPU(302)에는, 버스(301)를 개재하여, 입출력 인터페이스(310)가 접속되어 있고, CPU(302)는, 입출력 인터페이스(310)를 개재하여, 사용자에 의해서, 키보드나, 마우스, 마이크 등으로 구성되는 입력부(307)가 조작 등됨으로써 명령이 입력되면, 그것에 따라서, ROM(Read Only Memory)(303)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혹은,또한, CPU(302)은, 하드디스크(305)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위성 혹은 네트워크로부터 전송되어, 통신부(308)로 수신되어 하드디스크(305)에 인스톨된 프로그램, 또는 드라이브(309)에 장착된 리무버블 기록 매체(311)로부터 판독되어 하드디스크(305)에 인스톨된 프로그램을, RAM(Random Access Memory)(304)에 로드하여 실행한다. 이에 따라, CPU(302)는 상술한 흐름도로 하는 처리, 혹은 상술한 블록도의 구성에 의해 행해지는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CPU(302)는 그 처리 결과를, 필요에 따라서, 예를 들면, 입출력 인터페이스(310)를 개재하여,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스피커 등으로 구성되는 출력부(306)로부터 출력, 혹은, 통신부(308)로부터 송신, 그 위에, 하드디스크(305)에 기록 시킨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컴퓨터에 각종의 처리를 행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술하는 처리 스텝은, 반드시 흐름도로서 기재된 순서에 따라서 시계열로 처리할 필요는 없고, 병렬적 혹은 개별적으로 실행되는 처리(예를 들면, 병렬 처리 혹은 오브젝트에 의한 처리)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프로그램은, 1의 컴퓨터에 의해 처리되는 것이더라도 좋고, 복수의 컴퓨터에 의해서 분산 처리되는 것이더라도 좋다. 또한, 프로그램은, 먼 곳의 컴퓨터에 전송되고 실행되는 것이더라도 좋다.
또, 상술한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은, 디지털 및 아날로그 중 어느 텔레비전 수상기에 의해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을 구성하는 텔레비전 수상기는, 예를 들면, 그 텔레비전 수상기가 본체 또는 별체인지의 여부, 그위에, 별체인 경우에는, 별체의수에 의존하여, 판매 가격에 차를 설치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가 존재하지 않으면, 특별 기능이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본체의 가치는 높고, 따라서, 판매 가격을 높게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본체의 구입후는, 별체를 수시 추가 구입하는 것으로 예상되지만, 최초의 수대의 별체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본체보다도 저가격으로서는 되지만, 일반의 텔레비전 수상기보다는 고가격의 판매 가격을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그 후에 구입하는 별체에 대해서는, 또한 저가격의 판매 가격을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또,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을 구성하는 본체가 되는 텔레비전 수상기는, 예를 들면, 일반적인 디지털의 텔레비전 수상기에, 신호 처리부(137)를 추가함과 함께, CPU(129)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변경함으로써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을 구성하는 본체가 되는 텔레비전 수상기는, 일반적인 디지털의 텔레비전 수상기를 이용하여, 비교적 용이하게 제조 할 수 있기 때문에, 스케일러블 TV 시스템이 제공하는 상술한 바와 같은 특별 기능을 고려하면, 그 비용 장점(비용 성능)는 높다고 할 수 있다. 이 점에 대해서는, 별체로서의 텔레비전 수상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또한, 본 발명은, 튜너를 내장하는 표시 장치인 텔레비전 수상기의 다른, 튜너를 내장하지 않고서, 외부로부터의 화상 및 음성을 출력하는 표시 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표시 장치를 접속하여 사용한 경우에, 단체로 사용하는 경우보다도 고기능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32)

  1. 하나 이상의 다른 표시 장치들과 접속가능하며, 입력 비디오 신호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갖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예측될 주목 화소의 근방에서 복수의 클래스 기준 화소들이 상기 입력 비디오 신호로부터 추출되며 상기 주목 화소에 대응하는 클래스가 상기 추출된 클래스 기준 화소들로부터 결정되도록 상기 주목 화소에 대응하는 클래스를 결정하기 위한 분류 수단,
    상기 분류 수단에 의해 결정된 클래스에 대응하는 예측 계수를 발생하기 위한 예측 계수 발생 수단,
    상기 주목 화소의 근방에서 복수의 예측 기준 화소들이 상기 입력 비디오 신호로부터 추출되며, 상기 주목 화소가 상기 추출된 복수의 예측 기준 화소들과 상기 예측 계수를 이용한 예측 동작에 의해 예측되도록 상기 주목 화소를 예측하기 위한 화소 예측 수단, 및
    현재 표시 장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표시 장치들상에 표시된 화상들이 상기 입력 비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화상중의 완전한 확대 화상을 전체로 형성하도록 표시 수단상에 적어도 상기 주목 화소를 포함하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입력 비디오 신호 및 상기 예측 주목 화소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 비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확대 화상을 표시하는데 사용될 비디오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비디오 신호 발생 수단, 및
    상기 확대 화상을 표시하는데 사용될 상기 비디오 신호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표시 장치들에 출력하기 위한 비디오 신호 출력 수단
    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 수단은 상기 클래스 기준 화소들의 레벨 분포 패턴을 기초로 하여 상기 주목 화소의 클래스를 결정하는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 기준 화소들 및 상기 클래스 기준 화소들이 동일한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표시 장치들과 상호간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인증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확대 화상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인증이 성공적으로 통과된 경우에만 상기 다른 표시 장치들에 표시되는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비디오 신호를 확대하기 위하여 사용될 확대율을설정하여 표시될 상기 확대 비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확대율 설정 수단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율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상기 확대율에 의존하여 파라미터를 설정하기 위한 파라미터 설정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예측 계수 발생 수단은 확습에 의해 미리 얻어진 계수종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상기 예측 계수를 발생하는 표시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율 설정 수단은 상기 입력 비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화상을 표시한 후 상기 확대율이 점차로 증가하도록 상기 확대율을 설정하는 표시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표시 장치들상에 표시될 상기 확대 비디오 신호로의 확대율과 동일한 확대율에 의해 확대될, 상기 입력 비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화상의 확대 영역을 결정하기 위한 확대 영역 검출 수단,
    상기 대응하는 확대 화상이 표시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표시 장치들 각각의 스크린의 표시 영역을 결정하기 위한 표시 영역 검출 수단, 및
    상기 확대 영역, 상기 표시 영역, 및 상기 확대율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표시 장치들에 송신하기 위한 송신 수단
    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표시 장치들중 하나로부터 송신된 확대율을 입력하기 위한 확대율 입력 수단, 및
    상기 다른 표시 장치들중 하나로부터 수신된 확대율에 따라 파라미터를 설정하기 위한 파라미터 설정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예측 계수 발생 수단은 학습에 의해 미리 얻어진 계수종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상기 예측 계수를 발생하는 표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표시 장치들중 하나로부터 송신된 상기 입력 비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화상의 확대 영역을 입력하며 상기 확대 영역에서 상기 화상을 확대함에 의해 얻어진 확대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확대 화상이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되도록 상기 입력 비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화상을 확대함에 의해 얻어지는 상기 확대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
  12. 하나 이상의 다른 표시 장치들과 접속가능하며, 입력 비디오 신호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에 대한 표시 방법에 있어서,
    예측될 주목 화소의 근방에서 복수의 클래스 기준 화소들이 상기 입력 비디오 신호로부터 추출되며, 상기 주목 화소에 대응하는 클래스가 상기 추출된 클래스기준 화소들로부터 결정되도록 상기 주목 화소에 대응하는 클래스를 결정하는 분류 단계,
    상기 분류 단계에 의해 결정된 클래스에 대응하는 예측 계수를 발생하는 예측 계수 발생 단계,
    상기 주목 화소의 근방에 있는 복수의 예측 기준 화소들이 상기 입력 비디오 신호로부터 추출되며, 상기 주목 화소가 상기 추출된 복수의 예측 기준 화소들과 상기 예측 계수를 이용한 예측 동작에 의해 예측되도록 상기 주목 화소를 예측하는 화소 예측 단계, 및
    현재 표시 장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표시 장치들상에 표시된 화상들이 상기 입력 비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화상중의 완전한 확대 화상을 전체로 형성하도록 표시 수단상에 적어도 상기 주목 화소를 포함하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제어 단계
    을 포함하는 표시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단계는,
    상기 입력 비디오 신호 및 상기 예측 주목 화소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 비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확대 화상을 표시하는데 사용될 비디오 신호를 발생하는 비디오 신호 발생 단계, 및
    상기 확대 화상을 표시하는데 사용될 상기 비디오 신호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표시 장치들에 출력하는 비디오 신호 출력 단계
    을 포함하는 표시 방법.
  14. 입력 비디오 신호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다른 표시 장치들과 접속가능한 표시 장치를 컴퓨터가 제어하게 하는 프로그램에 있어서,
    예측될 주목 화소의 근방에서 복수의 클래스 기준 화소들이 상기 입력 비디오 신호로부터 추출되며 상기 주목 화소에 대응하는 클래스가 상기 추출된 클래스 기준 화소들로부터 결정되도록 상기 주목 화소에 대응하는 클래스를 결정하는 분류 단계,
    상기 분류 단계에 의해 결정된 클래스에 대응하는 예측 계수를 발생하는 예측 계수 발생 단계,
    상기 주목 화소의 근방에서 복수의 예측 기준 화소들이 상기 입력 비디오 신호로부터 추출되며, 상기 주목 화소가 상기 추출된 복수의 예측 기준 화소들과 상기 예측 계수를 이용한 예측 동작에 의해 예측되도록 상기 주목 화소를 예측하는 화소 예측 단계, 및
    현재 표시 장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표시 장치들상에 표시된 화상들이 상기 입력 비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화상중의 완전한 확대 화상을 전체로 형성하도록 표시 수단상에 적어도 상기 주목 화소를 포함하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제어 단계
    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15. 외부로부터의 입력 비디오 신호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기 위하여 표시 장치를 컴퓨터가 제어하게 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예측될 주목 화소의 근방에서 복수의 클래스 기준 화소들이 상기 입력 비디오 신호로부터 추출되며 상기 주목 화소에 대응하는 클래스가 상기 추출된 클래스 기준 화소들로부터 결정되도록 상기 주목 화소에 대응하는 클래스를 결정하는 분류 단계,
    상기 분류 단계에 의해 결정된 클래스에 대응하는 예측 계수를 발생하는 예측 계수 발생 단계,
    상기 주목 화소의 근방에서 복수의 예측 기준 화소들이 상기 입력 비디오 신호로부터 추출되며, 상기 주목 화소가 상기 추출된 복수의 예측 기준 화소들과 상기 예측 계수를 이용한 예측 동작에 의해 예측되도록 상기 주목 화소를 예측하는 화소 예측 단계, 및
    현재 표시 장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표시 장치들상에 표시된 화상들이 상기 입력 비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화상중의 완전한 확대 화상을 전체로 형성하도록 표시 수단상에 적어도 상기 주목 화소를 포함하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제어 단계
    을 포함하는 기록 매체.
  16. 서로 접속되는 제1 표시 장치 및 제2 표시 장치를 적어도 포함하는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수단,
    예측될 주목 화소의 근방에서 복수의 클래스 기준 화소들이 입력 비디오 신호로부터 추출되며 상기 주목 화소에 대응하는 클래스가 상기 추출된 클래스 기준 화소들로부터 결정되도록 상기 주목 화소에 대응하는 클래스를 결정하기 위한 분류 수단,
    상기 분류 수단에 의해 결정된 클래스에 대응하는 예측 계수를 발생하기 위한 예측 계수 발생 수단,
    상기 주목 화소의 근방에서 복수의 예측 기준 화소들이 상기 입력 비디오 신호로부터 추출되며, 상기 주목 화소가 상기 추출된 복수의 예측 기준 화소들과 상기 예측 계수를 이용한 예측 동작에 의해 예측되도록 상기 주목 화소를 예측하기 위한 화소 예측 수단,
    현재 표시 장치 및 상기 제2 표시 장치상에 표시된 화상들이 상기 입력 비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화상중의 완전한 확대 화상을 전체로 형성하도록 적어도 상기 주목 화소를 포함하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제어 수단, 및
    상기 예측된 주목 화소중 일부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 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표시 장치는,
    상기 예측된 주목 화소의 적어도 일부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수단, 및
    상기 주목 화소를 적어도 포함하는 상기 확대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수단
    을 포함하는 표시 시스템.
  17. 하나 이상의 다른 표시 장치들과 접속가능하며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른 표시 장치들중 하나로부터 출력된 비디오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수단,
    상기 입력 비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화상중 확대된 화상을 상기 입력 비디오 신호로부터 발생하기 위한 화상 확대 수단,
    상기 다른 표시 장치들중 하나와의 상호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인증 수단, 및
    상기 인증이 성공적으로 통과된다면, 상기 표시 장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표시 장치들상에 표시된 화상들이 전체로 완전한 확대 화상을 형성하도록 상기 화상 확대 수단에 의해 발생된 확대 화상을 상기 표시 수단상에 표시하기 위한 표시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확대 수단은 단순 내삽(interpolation)에 의해 상기 입력 비디오 신호로부터 상기 확대 화상을 발생하는 표시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확대 수단은,
    예측될 주목 화소의 근방에서 복수의 클래스 기준 화소들이 상기 입력 비디오 신호로부터 추출되며 상기 주목 화소에 대응하는 클래스가 상기 추출된 클래스 기준 화소들로부터 결정되도록 상기 주목 화소에 대응하는 클래스를 결정하기 위한 분류 수단,
    상기 분류 수단에 의해 결정된 클래스에 대응하는 예측 계수를 발생하기 위한 예측 계수 발생 수단,
    상기 주목 화소의 근방에서 복수의 예측 기준 화소들이 상기 입력 비디오 신호로부터 추출되며, 상기 주목 화소가 상기 추출된 복수의 예측 기준 화소들과 상기 예측 계수를 이용한 예측 동작에 의해 예측되도록 상기 주목 화소를 예측하기 위한 화소 예측 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화상 확대 수단은 상기 입력 비디오 신호 및 상기 예측된 주목 화소를 이용하여 상기 확대 화상을 발생시키는 표시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비디오 신호를 확대하기 위하여 사용될 확대율을 설정하여 표시될 상기 확대 비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확대율 설정 수단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율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상기 확대율에 의존하여 파라미터를 설정하기 위한 파라미터 설정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예측 계수 발생 수단은 확습에 의해 미리 얻어진 계수종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상기 예측 계수를 발생하는 표시 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율 설정 수단은 상기 입력 비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화상을 표시한 후 상기 확대율이 점차로 증가하도록 상기 확대율을 설정하는 표시 장치.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표시 장치들상에 표시될 상기 확대 비디오 신호로의 확대율과 동일한 확대율에 의해 확대될, 상기 입력 비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화상의 확대 영역을 결정하기 위한 확대 영역 검출 수단,
    상기 대응하는 확대 화상이 표시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표시 장치들 각각의 스크린의 표시 영역을 결정하기 위한 표시 영역 검출 수단, 및
    상기 확대 영역, 상기 표시 영역, 및 상기 확대율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표시 장치들에 송신하기 위한 송신 수단
    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표시 장치들 각각에 표시될 상기 확대 화상의 일부를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다른 표시 장치들 각각에 송신하기 위한송신 수단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2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표시 장치들중 하나로부터 송신된 확대율을 입력하기 위한 확대율 입력 수단, 및
    상기 다른 표시 장치들중 하나로부터 수신된 확대율에 따라 파라미터를 설정하기 위한 파라미터 설정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예측 계수 발생 수단은 학습에 의해 미리 얻어진 계수종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상기 예측 계수를 발생하는 표시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표시 장치들중 하나로부터 송신된 상기 입력 비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화상의 확대 영역을 입력하며 상기 확대 영역에서 상기 화상을 확대함에 의해 얻어진 확대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확대 화상이 상기 표시 영역에 표시되도록 상기 입력 비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화상을 확대함에 의해 얻어지는 상기 확대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
  27. 하나 이상의 다른 표시 장치들과 접속가능하며, 화상을 표시하기 위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대한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른 표시 장치들중 하나로부터 출력된 비디오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단계,
    상기 입력 비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화상중 확대 화상을 상기 입력 비디오 신호로부터 발생하는 화상 확대 단계,
    상기 다른 표시 장치들중 하나와의 상호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단계, 및
    상기 인증이 성공적으로 통과된다면, 상기 표시 장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표시 장치들상에 표시된 화상들이 전체로 완전한 확대 화상을 형성하도록 상기 화상 확대 수단에 의해 발생된 확대 화상을 상기 표시 수단상에 표시하는 표시 제어 단계
    를 포함하는 표시 방법.
  28. 하나 이상의 표시 장치들과 접속가능하며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컴퓨터가 제어하게 하는 프로그램에 있어서,
    입력 비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화상중 확대 화상을 상기 입력 비디오 신호로부터 발생하는 화상 확대 단계,
    상기 다른 표시 장치들중 하나와의 상호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단계, 및
    상기 인증이 성공적으로 통과된다면, 상기 표시 장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표시 장치들상에 표시된 화상들이 전체로 완전한 확대 화상을 형성하도록 상기 화상 확대 수단에 의해 발생된 확대 화상을 상기 표시 수단상에 표시하는 표시 제어 단계
    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29. 하나 이상의 다른 표시 장치들과 접속가능하며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컴퓨터가 제어하게 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입력 비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화상중 확대 화상을 상기 입력 비디오 신호로부터 발생하는 화상 확대 단계,
    상기 다른 표시 장치들중 하나와의 상호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단계, 및
    상기 인증이 성공적으로 통과된다면, 상기 표시 장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표시 장치들상에 표시된 화상들이 전체로 완전한 확대 화상을 형성하도록 상기 화상 확대 수단에 의해 발생된 확대 화상을 상기 표시 수단상에 표시하는 표시 제어 단계
    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
  30. 적어도 제1 표시 장치 및 제2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수단, 및
    확대 화상을 표시하기 위해 상기 제2 표시 장치에 의해 사용될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표시 장치로부터 출력된 비디오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수단,
    상기 입력 비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화상중 확대된 화상을 상기 입력 비디오 신호로부터 발생하기 위한 화상 확대 수단,
    상기 제1 표시 장치와의 상호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인증 수단,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수단, 및
    상기 인증이 성공적으로 통과된다면, 상기 제1 및 제2 표시 장치상에 표시된 화상들이 전체로 완전한 확대 화상을 형성하도록 상기 화상 확대 수단에 의해 발생된 확대 화상을 상기 표시 수단상에 표시하기 위한 표시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표시 시스템.
  31. 하나 이상의 다른 표시 장치들과 접속가능하며 입력 비디오 신호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갖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 비디오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수단,
    예측 계수를 발생하기 위한 예측 계수 발생 수단,
    주목 화소의 근방에서 복수의 화소들이 상기 입력 비디오 신호로부터 추출되며, 상기 주목 화소가 상기 추출된 복수의 화소들과 상기 예측 계수를 이용한 예측 동작에 의해 예측되도록 상기 주목 화소를 예측하기 위한 화소 예측 수단, 및
    현재 표시 장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표시 장치들상에 표시된 화상들이 상기 화상중의 완전한 확대 화상을 전체로 형성하도록 표시 수단상에 적어도 상기 주목 화소를 포함하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입력 비디오 신호 및 상기 예측된 주목 화소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 비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확대 화상을 표시하는데 사용될 비디오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비디오 신호 생성 수단, 및
    상기 확대 화상을 표시하는데 사용될 상기 비디오 신호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표시 장치들에 출력하기 위한 비디오 신호 출력 수단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0020085917A 2001-12-28 2002-12-28 표시 장치 및 제어 방법,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 및 표시시스템 KR1009537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99868A JP3693246B2 (ja) 2001-12-28 2001-12-28 表示装置および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並びに表示システム
JPJP-P-2001-00399868 2001-12-28
JP2001399866A JP3700649B2 (ja) 2001-12-28 2001-12-28 表示装置および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並びに表示システム
JPJP-P-2001-00399866 2001-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7488A true KR20030057488A (ko) 2003-07-04
KR100953790B1 KR100953790B1 (ko) 2010-04-21

Family

ID=26625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5917A KR100953790B1 (ko) 2001-12-28 2002-12-28 표시 장치 및 제어 방법,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 및 표시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7071990B2 (ko)
EP (1) EP1326436B1 (ko)
KR (1) KR100953790B1 (ko)
CN (1) CN1247010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62606A1 (en) * 2003-12-23 2005-07-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executing broadcast application
KR100799876B1 (ko) * 2006-11-27 2008-01-30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패키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96770B2 (ja) * 2001-12-28 2004-12-02 ソニー株式会社 記憶装置、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データ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並びにデータ処理システム
JP4026491B2 (ja) * 2002-12-13 2007-12-26 ソニー株式会社 画像信号処理装置、画像信号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および媒体
GB0301448D0 (en) * 2003-01-22 2003-02-19 Falanx Microsystems As Microprocessor systems
JP4265237B2 (ja) * 2003-02-27 2009-05-20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学習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US9507930B2 (en) 2003-04-25 2016-11-29 Z124 Physical key secure peripheral interconnection
US20130198867A1 (en) 2011-12-09 2013-08-01 Z124 A Docking Station for Portable Devices Providing Authorized Power Transfer and Facility Access
US9003426B2 (en) 2011-12-09 2015-04-07 Z124 Physical key secure peripheral interconnection
CN101115072B (zh) 2003-07-28 2012-11-14 索尼株式会社 信息处理设备和方法
US11650784B2 (en) 2003-07-28 2023-05-16 Sonos, Inc. Adjusting volume levels
US8290603B1 (en) 2004-06-05 2012-10-16 Sonos, Inc. User interfaces for controlling and manipulating groupings in a multi-zone media system
US11106425B2 (en) 2003-07-28 2021-08-31 Sonos, Inc. Synchronizing operations among a plurality of independently clocked digital data processing devices
US10613817B2 (en) 2003-07-28 2020-04-07 Sono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 list of tracks scheduled for playback by a synchrony group
US11106424B2 (en) 2003-07-28 2021-08-31 Sonos, Inc. Synchronizing operations among a plurality of independently clocked digital data processing devices
US8234395B2 (en) 2003-07-28 2012-07-31 Sonos, Inc.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operations among a plurality of independently clocked digital data processing devices
US11294618B2 (en) 2003-07-28 2022-04-05 Sonos, Inc. Media player system
US8060745B2 (en) * 2003-12-16 2011-11-15 Seiko Epson Corporation Security for wireless transmission
US9977561B2 (en) 2004-04-01 2018-05-22 Sonos, Inc. Systems, methods, apparatus, and articles of manufacture to provide guest access
GB2415851A (en) * 2004-06-30 2006-01-04 Humayun Sheikh Multiple display system
JP2006047993A (ja) * 2004-07-08 2006-02-16 Sharp Corp データ変換装置
US20060184825A1 (en) * 2004-10-01 2006-08-17 Nancy Regan Reliability centered maintenance system and method
US20060126447A1 (en) * 2004-10-12 2006-06-15 Warner Bros. Entertainment Inc. Remote control system for an optical disc player and related method
JP5044897B2 (ja) * 2005-04-28 2012-10-10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6308006A (ja) * 2005-04-28 2006-11-09 Sony Corp 固定機構およびモニタ固定装置
JP4956913B2 (ja) * 2005-04-28 2012-06-20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並びに複合表示装置
JP4543324B2 (ja) * 2005-04-28 2010-09-15 ソニー株式会社 表示システム、表示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US8102333B2 (en) * 2005-04-28 2012-01-24 Sony Corporation Display device securing mechanism and display system that rotates display devices around a rotational axis
KR100749812B1 (ko) * 2005-05-11 2007-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시스템, 영상신호출력장치, 및 디스플레이시스템의 제어방법
JP4573177B2 (ja) * 2005-06-21 2010-11-04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これに用いるリモコン送信機の操作ボタンガイド方法
JP4650123B2 (ja) * 2005-06-27 2011-03-16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070097016A1 (en) * 2005-10-27 2007-05-03 Scott McGowan Triple Screen Video Arcade Circuit
TWI283994B (en) * 2005-11-08 2007-07-11 Lumens Digital Optics Inc Brightness adjusting device for video wall system and method therefor
US8319989B2 (en) * 2006-02-21 2012-11-27 Ricoh Company, Ltd.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processing and communicating with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which does not have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driver software
CA2645827A1 (en) 2006-03-28 2007-10-04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n image with a production switcher
US20070274509A1 (en) * 2006-05-02 2007-11-29 Chun-Ru Zhao Sound volume control apparatus
JP5521226B2 (ja) * 2006-05-25 2014-06-1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表示システム、表示方法、および表示プログラム
JP4827626B2 (ja) * 2006-06-14 2011-11-30 キヤノン株式会社 被制御機器、遠隔制御システムおよび遠隔制御システム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US20230214167A1 (en) * 2008-01-04 2023-07-06 Nanolumens Acquisition, Inc. Display System and Methods
JP2009237375A (ja) * 2008-03-27 2009-10-15 Toshiba Corp 表示システムとその表示制御装置及び映像提供装置
JP5169403B2 (ja) * 2008-04-07 2013-03-27 ソニー株式会社 画像信号生成装置、画像信号生成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US8139072B2 (en) * 2008-04-14 2012-03-20 Mcgowan Scott James Network hardware graphics adapter compression
WO2009157161A1 (ja) * 2008-06-26 2009-12-30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US8151108B1 (en) * 2008-07-02 2012-04-03 Digital Keystone, Inc. Methods for establishing a secure channel of communications to enable switched video service on a host media server
JP2010039445A (ja) * 2008-08-08 2010-02-18 Sanyo Electric Co Ltd マルチ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
US20100106482A1 (en) * 2008-10-23 2010-04-29 Sony Corporation Additional language support for televisions
US20100114679A1 (en) * 2008-11-02 2010-05-06 Yang Pan Programmable advertising panel powered by solar cells and communiation means thereof
US8849570B2 (en) 2009-03-19 2014-09-30 Microsoft Corporation Projected way-finding
US8121640B2 (en) * 2009-03-19 2012-02-21 Microsoft Corporation Dual module portable devices
KR101620537B1 (ko) * 2009-05-13 2016-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표시 장치를 이용한 멀티 디스플레이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이의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US20110162031A1 (en) * 2009-12-24 2011-06-30 Jong-Chul Weon Apparatus for generating multi video
WO2012045084A2 (en) * 2010-10-01 2012-04-05 Imerj, Llc Systems and methods relating to user interfaces for dock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8930605B2 (en) 2010-10-01 2015-01-06 Z124 Systems and methods for dock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s
CN102572331A (zh) * 2010-12-29 2012-07-11 爱国者数码科技有限公司 带微型投影仪的电视机
US8754984B2 (en) * 2011-05-02 2014-06-17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video caption re-overlaying for video adaptation and retargeting
US8890770B2 (en) * 2011-06-20 2014-11-18 Time-O-Matic, Llc Multi-channel LED sign module
US9383770B2 (en) 2011-08-31 2016-07-05 Z124 Mobile device that docks with multiple types of docks
US9244491B2 (en) 2011-08-31 2016-01-26 Z124 Smart dock for auxiliary devices
US9246353B2 (en) 2011-08-31 2016-01-26 Z124 Smart dock charging
US9495012B2 (en) 2011-09-27 2016-11-15 Z124 Secondary single screen mode activation through user interface activation
US8963803B2 (en) * 2011-09-30 2015-02-24 Apple Inc. Method for synchronizing content displayed on multiple devices in an array
US9086840B2 (en) 2011-12-09 2015-07-21 Z124 RSID proximity peripheral interconnection
WO2014013579A1 (ja) * 2012-07-19 2014-01-23 Necディスプレイ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多画面表示システム及び表示方法
US9966043B2 (en) * 2012-10-26 2018-05-08 Nec Display Solutions, Ltd. Identifier control device, identifier control system, multi-screen display system, identifier controlmethod, and program
JP2015152617A (ja) * 2014-02-10 2015-08-24 株式会社リコー 画像投影装置、画像投影システムおよび画像投影装置の制御方法
NO3156867T3 (ko) * 2015-10-15 2018-04-28
US10223472B2 (en) * 2015-12-15 2019-03-05 Facebook,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progressive images based on data range requests
CN105979164A (zh) * 2016-05-31 2016-09-28 罗杰 一种无缝实时缩放多屏幕画面的系统
KR102518960B1 (ko) * 2016-08-19 2023-04-1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기록매체
US10690158B2 (en) 2016-09-13 2020-06-23 Watchfire Signs, Llc Technologies for interlocking structures
CN207216857U (zh) * 2017-09-08 2018-04-10 深圳市光峰光电技术有限公司 遥控装置、拼接显示墙及遥控系统
CN109246545B (zh) * 2018-09-04 2020-09-11 福建星网智慧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双屏音频输出方法
USD912638S1 (en) * 2019-03-06 2021-03-09 Shenzhen Radiant Technology Co., Ltd Display screen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34779A (en) 1986-07-18 1988-03-29 Video Matrix Corporation Video projection system
GB2274225B (en) * 1993-01-08 1996-11-20 Sony Broadcast & Communication Video display apparatus with an array of display units
JP3511645B2 (ja) * 1993-08-30 2004-03-29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US5602568A (en) * 1994-12-22 1997-02-11 Goldstar Co., Ltd. Point type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the method thereof
IL119259A (en) * 1996-09-17 2000-12-06 Comview Graphics Ltd Electro-optical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same
WO1998030027A1 (en) 1996-12-26 1998-07-09 Sony Corporation Picture signal coding device, picture signal coding method, picture signal decoding device, picture signal decod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5956000A (en) * 1997-05-12 1999-09-21 Scitex Corporation Ltd. Digital image display system and method
JP2002503354A (ja) * 1997-06-06 2002-01-29 トムソン コンシユーマ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ツド 装置へのアクセスを管理する方法
US6714172B2 (en) * 1997-07-14 2004-03-30 Canon Kabushiki Kaisha Display control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switching device, connection device, peripheral device, peripheral device system, and their control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mory
WO1999026228A1 (en) * 1997-11-18 1999-05-27 Tridium Research,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hase-locking a plurality of display devices and multi-level driver for use therewith
US6611241B1 (en) * 1997-12-02 2003-08-26 Sarnoff Corporation Modular display system
JP4093621B2 (ja) 1997-12-25 2008-06-04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変換装置および画像変換方法、並びに学習装置および学習方法
DE19826286A1 (de) * 1998-06-12 1999-12-16 Volkswagen Ag Zylinderkopf für Verbrennungsmotoren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S6417849B2 (en) * 1998-07-31 2002-07-09 Hewlett-Packard Company Single logical screen in X windows with direct hardware access to the frame buffer for 3D rendering
US6323854B1 (en) * 1998-10-31 2001-11-27 Duke University Multi-tile video display system with distributed CRTC
US6636222B1 (en) * 1999-11-09 2003-10-21 Broadcom Corporation Video and graphics system with an MPEG video decoder for concurrent multi-row decoding
US6615243B1 (en) * 1999-04-01 2003-09-02 Thomson Licensing S.A. System and method for programming and transmitting macros for controlling audio/video devices
WO2000065830A1 (fr) * 1999-04-23 2000-11-02 Sony Corporation Dispositif et procede de conversion d'image
TW457510B (en) * 1999-05-21 2001-10-01 Sony Corp Image control device and method, and image display device
JP2000338941A (ja) * 1999-05-27 2000-12-08 Seiko Epson Corp 投射型表示装置
JP4310674B2 (ja) * 2000-01-11 2009-08-12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に接続されているデバイスの選択方法及びこの選択方法を備えた電子機器
JP3349490B2 (ja) * 2000-02-14 2002-11-25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画像表示方法、画像表示システム、ホスト装置、画像表示装置、およびディスプレイ用インターフェイス
JP2001282215A (ja) * 2000-03-28 2001-10-12 Nec Viewtechnology Ltd 映像表示システムの表示制御方法及び映像表示システム
JP4470280B2 (ja) * 2000-05-24 2010-06-02 ソニー株式会社 画像信号処理装置及び画像信号処理方法
US6735720B1 (en) * 2000-05-31 2004-05-11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recovering a failed device on a master-slave bus
JP2002055669A (ja) * 2000-08-11 2002-02-20 Nec Viewtechnology Ltd 連結表示装置、及び、連結表示方法
US6864921B2 (en) * 2000-10-17 2005-03-08 Sony Corporation Display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a display screen formed of multiple display units
US6864894B1 (en) * 2000-11-17 2005-03-0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ingle logical screen system and method for rendering graphical data
US20020161844A1 (en) * 2001-02-27 2002-10-31 Overtoom Eric J. Method and apparatus for peer to peer communication over a master slave interface
US8706031B2 (en) * 2001-11-13 2014-04-22 Intel Corporation Method for switching the use of a shared set of wireless I/O devices between multiple computer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62606A1 (en) * 2003-12-23 2005-07-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executing broadcast application
KR100799876B1 (ko) * 2006-11-27 2008-01-30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패키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47010C (zh) 2006-03-22
EP1326436A3 (en) 2005-01-05
US20060164542A1 (en) 2006-07-27
EP1326436B1 (en) 2013-02-13
EP1326436A2 (en) 2003-07-09
US7071990B2 (en) 2006-07-04
US7777811B2 (en) 2010-08-17
CN1438802A (zh) 2003-08-27
US20030210347A1 (en) 2003-11-13
KR100953790B1 (ko) 2010-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3790B1 (ko) 표시 장치 및 제어 방법,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 및 표시시스템
JP3693246B2 (ja) 表示装置および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並びに表示システム
KR100922029B1 (ko) 표시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1359263B1 (ko) 프로그램가능 서비스를 구비한 프로그램가능 멀티미디어제어기
JP4822972B2 (ja) 表示装置
JP3575205B2 (ja) リモートコマンダ及びネットワーク接続システム
US20040068756A1 (en) Virtual link between CE devices
US6785720B1 (en) Method for connecting to server devices in browser-based home network apparatus therefor
JP2014096802A (ja) 遠隔映像ソース・デバイスに関連付けられたオンスクリーン・ディスプレイ
US2012009223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device based on intuitive selection
JP3700649B2 (ja) 表示装置および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並びに表示システム
JP3268282B2 (ja) 多画面表示装置
US20090083789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video inputs to a computer
JP4003778B2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制御方法、および表示システム
KR20010085703A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매체
JP3969401B2 (ja) 表示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618319B2 (ja) 表示制御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プログラム、表示装置、並びに表示システム
JP4602027B2 (ja) 表示制御装置および方法、表示装置、並びに表示システム
JP4462272B2 (ja) 表示システム
JP3624883B2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記録媒体、およびプログラム、並びに表示システム
JP2003199092A (ja) 表示装置および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並びに表示システム
KR101117108B1 (ko) 컴퓨터 네트워크-기반 비디오를 제공하기 위한 텔레비전 시스템 및 방법
JP4618258B2 (ja) 表示制御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
JP3938051B2 (ja) 文字入力方法
US20090113470A1 (en) Content management method, and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video apparatus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