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6281A - 높이조절용 갱타입 툴홀딩장치 - Google Patents

높이조절용 갱타입 툴홀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6281A
KR20030056281A KR1020010086478A KR20010086478A KR20030056281A KR 20030056281 A KR20030056281 A KR 20030056281A KR 1020010086478 A KR1020010086478 A KR 1020010086478A KR 20010086478 A KR20010086478 A KR 20010086478A KR 20030056281 A KR20030056281 A KR 200300562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body
tool
height adjustment
bolt
hold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6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1199B1 (ko
Inventor
임경진
Original Assignee
대우종합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종합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종합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86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1199B1/ko
Publication of KR20030056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6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1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11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9/00Holders for non-rotary cutting tools; Boring bars or boring heads; Accessories for tool holders
    • B23B29/04Tool holders for a single cutting tool
    • B23B29/12Special arrangements on tool holders
    • B23B29/14Special arrangements on tool holders affording a yielding support of the cutting tool, e.g. by spring clam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25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50/00Compensating adverse effects during turning, boring or drilling
    • B23B2250/16Damping of vib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tting Tools, Boring Holders, And Turr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반에서 사용되고 있는 높이조절용 갱타입 툴홀딩장치에서 선반의 척에 장착되는 공작물의 중심에 대해 절삭하는 공구의 높이차를 조절하여 보다 정밀한 공작물의 단면을 가공할 수 있도록 베이스에 대해 높이가 가변하는 툴홀더에 관한 것으로, 일측 및 타측의 높이가 선택적으로 가변되어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양측에 형성되는 제 1절개홈 및 제 2절개홈과 상기 각 절개홈을 중심으로 나뉘어지는 제 1툴바디, 제 2툴바디 및 제 3툴바디와, 상기 제 1툴바디 및 제 2툴바디를 높이의 차이를 조절하는 제 1높이조절볼트 및 제 2높이조절볼트와, 공작물에 대한 선삭시 발생되는 충격 및 진동을 감쇠시키는 제 1탄성볼트 및 제 2탄성볼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높이조절용 갱타입 툴홀딩장치{A Tool Holding Device Of Gang Type For Height Controlling}
본 발명은 선반에 장착되진 공작물 중심에 대해 절삭하는 공구중심을 조절하여 보다 정밀하게 중심부위를 맞출 수 있는 높이조절용 갱타입 툴홀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툴홀더를 이루는 각 툴바디가 가변되도록 높이조절볼트 및 탄성볼트를 조절하여 툴홀더의 일측에 설치된 공구의 높이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높이조절용 갱타입 툴홀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반에 사용되는 공구대는 공구를 장착하는 기계장치로서 회전공구대(Turret)와 갱타입(Gang Type) 공구대가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종래의 갱타입(Gang Type)의 높이조절용 갱타입 툴홀딩장치 관하여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갱타입의 선반에서 X축 테이블에 장착되는 홀딩장치에서, 중공 홀(Hole)이 없는 공작물의 단면을 가공할 경우 공작물의 중심과 공구의 높이차를 정밀하게 조정 할 필요가 있다.
이처럼 공구의 정밀하게 맞추기 위하여 공구 밑부분에 스페이스로 현합가공하여 맞출 경우가 있는데, 이는 높이 조정이 어려울뿐 아니라, 다른 공구를 장착할 경우마다 공구밑의 스페이스를 현합가공하여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동일한 공구를 다시 고정할 때 정밀하게 고정하여야 하는 재현성에도 문제가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툴홀더 및 높이조절장치의 상호간에 구속강성을 충분히 높이면 되는데 이때에는 공구높이 조절장치의 구조 자체가 대형화가 될뿐만 아니라복잡한 구조가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공작물의 중심에 대해 절삭하는 공구의 높이차를 조절하여 보다 정밀한 공작물의 단면을 가공할 수 있도록 베이스에 대해 높이가 가변하는 높이조절용 갱타입 툴홀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툴홀더에 하향 체결되는 높이조절볼트 및 상향체결되는 탄성볼트의 조절에 따라 상기 제 1툴바디 및 제 2툴바디가 상승 또는 하강이 이루어질 수 있는 높이조절용 갱타입 툴홀딩장치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일측에 선삭용 공구(21)가 장착되는 제 1툴바디(20);
상기 제 1툴바디(20)의 타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부위를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툴바디(20)의 하부에 일정 간극을 유지하는 제 2툴바디(50);
상기 제 2툴바디(50)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부위를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탄성변형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툴바디(50)의 하부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제 2툴바디(50)를 중심으로 상기 제 1툴바디(20)에 대각선 방향으로 대칭되는 제 3툴바디(70);
상기 제 2툴바디(50)에 대한 결합부위를 중심으로 상기 제 1툴바디(20)의 일측이 상대적으로 상승되도록 상기 제 1툴바디(20)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 1높이조절볼트(22);
상기 제 3툴바디(70)에 대한 결합부위를 중심으로 상기 제 2툴바디(50)의 타측이 상대적으로 상승되도록 상기 제 2툴바디(50)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 2높이조절볼트(52);
상기 제 1툴바디(20) 및 상기 제 2툴바디(50)의 상대적인 승강을 가이드하고, 상기 각 툴바디(20,50,70)를 일체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툴바디(20) 및 제 2툴바디(50)는 하향 관통하여 상기 제 3툴바디(70)에 체결되는 가이드볼트(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용 갱타입 툴홀딩장치(100)에 의해서 달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 1툴바디(20) 및 제 2툴바디(50)의 승강이 상호 일체로 연결된 부위의 탄성 한계 범위 이내로 제한되도록 상기 가이드볼트(30)의 머리부위에 대해 일정유격을 유지하는 덮개판(90)이 상기 제 1툴바디(20)의 상부에 더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공작물에 대한 선삭시 발생되는 충격 및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 2툴바디(50)의 일측 및 제 3툴바디(70)의 타측에 대해 각각 탄성력을 발현하는 예압스프링(51a)을 상향 체결로 가압 고정하는 제 1탄성볼트(51) 및 제 2탄성볼트(71)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 1툴바디(20) 및 제 2툴바디(50)를 관통하여 상기 제 3툴바디(70)에 체결되는 고정볼트(80) 및 상기 고정볼트(80)의 타단에 체결된 T너트(81)가 끼움결합하여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이송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가이드홈(11)이형성되는 베이스(1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높이조절볼트(22) 및 제 2높이조절볼트(52)는 체결정도에 따라 상기 제 2툴바디(50) 및 제 3툴바디(70)에 대해 상기 제 1툴바디(20) 및 제 2툴바디(50)가 각각 상대적으로 상승될 수 있도록 나사산 형성 부위는 상기 제 1툴바디(20) 및 제 2툴바디(50)에 각각 체결되고, 각 하단은 상기 제 2툴바디(50) 및 제 3툴바디(70)의 상부면에 밀착되어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1높이조절볼트(22) 및 제 2높이조절볼트(52)는 체결정도에 따라 상기 제 2툴바디(50) 및 제 3툴바디(70)에 대해 상기 제 1툴바디(20) 및 제 2툴바디(50)가 각각 상대적인 피치 차이로 인해 승강될 수 있도록 축방향을 따라 상부가 하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피치가 큰 2단 피치구조로 형성되어 각 상부는 제 1툴바디(20) 및 제 2툴바디(50)에 각각 체결되고, 각 하부는 제 2툴바디(50) 및 제 3툴바디(70)에 각각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용 갱타입 툴홀딩장치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툴홀딩장치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툴홀딩장치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베이스 11: 가이드홈
20: 제 1툴바디 21: 공구
22: 제 1높이조절볼트 30: 가이드볼트
31: 볼트머리단턱 40: 제 1절개홈
41: 관통구 50: 제 2툴바디
51: 제 1탄성볼트 51a: 예압스프링
52: 제 2높이조절볼트 60: 제 2절개홈
70: 제 3툴바디 71: 제 2탄성볼트
80: 고정볼트 81: T너트
90: 덮개판 100: 높이조절용 갱타입 툴홀딩장치
다음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용 갱타입 툴홀딩장치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용 갱타입 툴홀더의 평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툴홀더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조절용 갱타입 툴홀딩장치(100)는 선반의 척에 장착되는 공작물의 중심에 대해 절삭하는 공구(21)의 높이차를 조절하여 보다 정밀한 공작물의 단면을 가공할 수 있도록 베이스(10)에 대해 높이가 가변하는 툴홀더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툴홀더는 일측 및 타측의 높이가 선택적으로 가변되어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일측에서 타측까지 제 1절개홈(40)이 형성되고, 상기 제 1절개홈(40)의 하부로는 타측에서 일측까지 제 2절개홈(60)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툴홀더는 상기 제 1절개홈(40) 및 제 2절개홈(60)을 기준으로 상기 제 1절개홈(40)의 상부에는 제 1툴바디(20)가 형성되고, 상기 제 2절개홈(60)의 하부에는 제 3툴바디(7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절개홈(40)과 제 2절개홈(60)의 사이에는 제 2툴바디(50)가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제 1툴바디(20)의 타측과 상기 제 2툴바디(50)의 타측은 서로 일체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제 1툴바디(20)가 상기 제 2툴바디(50)에 대해 상기 일체로 연결된 부위를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상승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 2툴바디(50)의 일측과 상기 제 3툴바디(70)의 일측은 서로 일체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제 2툴바디(50)가 상기 제 3툴바디(70)에 대해 상기 일체로 연결된 부위를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상승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 1툴바디(20)의 일측에는 선상용 공구(21)가 장착되어 공작물의 중심부위를 보다 정밀하게 맞출 수 있도록 제 1툴바디(20)의 상부 일측부위에는 제 1높이조절볼트(22)가 수직으로 관통 체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높이조절볼트(22)의 타단은 상기 제 1툴바디(20)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상기 제 2툴바디(50)의 상면에 밀착되고, 상기 제 1높이조절볼트(22)의 가압에 따라 상기 제 1절개홈(40)의 간극이 넓혀져 상기 제 2툴바디(50)에 대해 상기 제 1툴바디(20)가 상승되며, 이에 연동하여 상기 공구(21)가 공작물의 중심에 근접하게 수직 상승된다.
이 때 상기 제 1툴바디(20)의 상승 높이는 상기 제 1높이조절볼트(22)의 나사산과 나사산의 거리인 피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위의 상기 제 1높이조절볼트(22)와 더불어 제 2높이조절볼트(52)가 제 2툴바디(50)의 타측 상부에 수직으로 관통 체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높이조절볼트(52)의 타단은 상기 제 3툴바디(70)의 상면에 밀착되여 상기 제 2높이조절볼트(52)의 가압에 따라 상기 제 2절개홈(60)의 간극이 넓혀져 상기 제 3툴바디(70)에 대해 상기 제 2툴바디(50)의 타측이 상승되며, 이에 따라 상승된 상기 제 1툴바디(20)의 일측과의 수평높이가 근접하게 수직 상승되어 진다.
이 때 상기 제 2툴바디(50)의 상승 높이는 상기 제 2높이조절볼트(52)의 나사산과 나사산의 거리인 피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 1절개홈(40) 및 제 2절개홈(60)을 이루는 각 절개방향의 타단에는 원형의 관통구(41)가 전/후 방향으로 관통형성되어 상기 각 높이조절 볼트(22, 52)의 가압으로 인하여 상기 제 1툴바디(20) 및 제 2툴바디(50)의 상승시 상기 각 절개홈(40, 60)의 연결부위에 가해지는 전단력을 균일하게 분산시키며, 또한 탄성복원력을 줄 수 있다.
한편, 공작물에 대한 선삭시 발생되는 충격 및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도록상기 제 2툴바디(50)의 일측 및 제 3툴바디(70)의 타측 하부에는 예압스프링(51a)을 가압 고정하는 제 1탄성볼트(51) 및 제 2탄성볼트(71)가 상향 체결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제 1탄성볼트(51)는 상기 제 2툴바디(50)의 일측 하부의 각 전후면에 한쌍으로 장착되고, 또한 상기 제 2툴바디(50)의 상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 1툴바디(20)의 하부에 체결되며, 가압된 상기 예압스프링(51a)의 탄성복원력에 따라 상기 제 1툴바디(20)를 감압하여 공작물의 절삭력으로 인한 외압에 견딜 수 있도록 충분한 탄력성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제 2탄성볼트(71)는 상기 제 1탄성볼트(51)와 더불어 대각선방향으로 대칭되게 위치하고, 또한 상기 제 3툴바디(70)의 상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 2툴바디(50)의 하부에 체결되며, 가압된 상기 예압스프링(51a)의 탄성복원력에 따라 상기 제 2툴바디(50)를 감압하여 공작물의 절삭력으로 인한 외압에 견딜 수 있도록 충분한 탄력성을 가진다.
이 때 선반의 척에 장착되는 공작물의 중심에 대해 절삭하는 공구(21)의 높이가 높을 경우, 상기 제 1높이조절볼트(22) 및 제 2높이조절볼트(52)의 타단이 상기 제 2툴바디(50) 및 제 3툴바디(70)의 상면에 밀착되지 않게 풀어주고, 상기 각 제 1탄성볼트(51) 및 제 2탄성볼트(71)의 감압으로만 상기 제 1툴바디(20) 및 제 2툴바디(50)의 높이를 하강시켜 상기 공구(21)이 높이와 공작물의 중심을 맞출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툴바디(20)의 상부에는 각 툴바디(20, 50, 70)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결합되는 가이드볼트(30)가 구비되는데, 상기 가이드볼트(30)는 하부에만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 3툴바디(70)에 체결되고, 그 상부는 단지 상기 제 1툴바디(20) 및 제 2툴바디(50)에 끼움 결합되어 상대적인 승강운동을 가이드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 1툴바디(20) 및 제 2툴바디(50)의 승강이 상호 일체로 연결된 부위의 탄성한계범위 이내로 제한되도록 상기 가이드볼트(30)의 머리부위에 대해 일정유격을 유지하는 덮개판(90)이 상기 제 1툴바디(20)의 상부에 고정된다.
이러한 상기 가이드볼트(30)의 머리부분은 상기 제 1툴바디(20) 상부에 고정된 덮개판(90)과 일정한 유격을 두고 있어 제 1툴바디(20) 및 제 2툴바디(50)의 상승높이를 제한하여 각 툴바디간의 일체 연결부위가 탄성 임계점을 넘어 소성변형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덮개판(90)은 상기 가이드볼트(30)가 삽입되는 제 1툴바디(20)의 볼트머리단턱(31)과 더불어 상기 각 툴바디(20, 50)의 간극허용범위를 제한할 수 있도록 스토퍼의 기능을할 수 있도록 상기 덮개판(90)은 상기 각 탄성볼트(51, 71)의 과감압시 스토퍼의 기능을 하게 되고 상기 볼트머리단턱(31)은 상기 각 높이조절볼트(22, 52)의 과가압시 스토퍼의 기능을 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제 1툴바디(20)의 상부 중앙부위 각 4개소에 4개의 고정볼트(80)가 제 1툴바디(20) 및 제 2툴바디(50)를 수직으로 하향 관통되여 설치되며, 이 때 상기 베이스(10)의 가이드홈(11)을 따라 끼움결합되어 수평이동 될 수 있도록 상기 제 3툴바디(70)의 하부에 장착되는 T너트(81)와 체결되어 진다.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툴홀더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용 갱타입 툴홀딩 장치(100)는 제 1높이조절볼트(22)와 제 2높이조절볼트(52)의 나사산이 다른 2단 피치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높이조절볼트(22)는 피치가 큰 부위의 나사산이 상기 제 1툴바디(20)에 관통 체결되고, 피치가 작은 부위의 나사산은 상기 제 2툴바디(50)에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 1높이조절볼트(22)에서 피치가 작은 부위가 체결된 제 2툴바디(50)에 대해 피치가 큰 부위가 체결된 상기 제 1툴바디(20)가 나사산의 산과 산의 거리인 피치의 차이에 의해서 상대적으로 가압 및 감압됨으로써, 상기 제 2툴바디(50)에 대해 상기 제 1툴바디(20)가 일체로 연결된 부위를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승강할 수 있다.
이와 동일하게 상기 제 2높이조절볼트(52) 또한 피치가 큰 부위의 나사산이 상기 제 2툴바디(50)에 관통 체결되고, 피치가 작은 부위의 나사산은 상기 제 3툴바디(70)에는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 2높이조절볼트(52)에서 피치가 작은 부위가 체결된 제 3툴바디(70)에 대해 피치가 큰 부위가 체결된 상기 제 2툴바디(50)가 나사산의 산과 산의 거리인 피치의 차이에 의해서 상대적으로 가압 및 감압됨으로써, 상기 제 3툴바디(70)에 대해 상기 제 2툴바디(50)가 일체로 연결된 부위를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승강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용 갱타입 툴홀딩장치(100)에서,상기 툴홀더의 규모에 따라 상기 제 1절개홈(40) 및 제 2절개홈(60)의 간격을 규모에 따라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용 갱타입 툴홀딩 장치에 의하면, 공작물에 대한 공구의 가공위치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아울러, 가공시 발생하는 충격 또는 진동에 대해 대처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정밀한 선삭가공을 신속 정확하게 실현할 수 있어 생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Claims (6)

  1. 일측에 선삭용 공구(21)가 장착되는 제 1툴바디(20);
    상기 제 1툴바디(20)의 타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부위를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툴바디(20)의 하부에 일정간극을 유지하는 제 2툴바디(50);
    상기 제 2툴바디(50)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부위를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탄성변형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툴바디(50)의 하부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제 2툴바디(50)를 중심으로 상기 제 1툴바디(20)에 대각선 방향으로 대칭되는 제 3툴바디(70);
    상기 제 2툴바디(50)에 대한 결합부위를 중심으로 상기 제 1툴바디(20)의 일측이 상대적으로 상승되도록 상기 제 1툴바디(20)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 1높이조절볼트(22);
    상기 제 3툴바디(70)에 대한 결합부위를 중심으로 상기 제 2툴바디(50)의 타측이 상대적으로 상승되도록 상기 제 2툴바디(50)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 2높이조절볼트(52);
    상기 제 1툴바디(20) 및 상기 제 2툴바디(50)의 상대적인 승강을 가이드하고, 상기 각 툴바디(20,50,70)를 일체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툴바디(20) 및 제 2툴바디(50)는 하향 관통하여 상기 제 3툴바디(70)에 체결되는 가이드볼트(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용 갱타입 툴홀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툴바디(20) 및 제 2툴바디(50)의 승강이 상호 일체로 연결된 부위의 탄성한계범위 이내로 제한되도록 상기 가이드볼트(30)의 머리부위에 대해 일정유격을 유지하는 덮개판(90)이 상기 제 1툴바디(20)의 상부에 더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용 갱타입 툴홀딩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공작물에 대한 선삭시 발생되는 충격 및 진동을 감쇠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 2툴바디(50)의 일측 및 제 3툴바디(70)의 타측에 대해 각각 탄성력을 발현하는 예압스프링(51a)을 상향 체결로 가압 고정하는 제 1탄성볼트(51) 및 제 2 탄성볼트(71)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용 갱타입 툴홀딩장치.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툴바디(20) 및 제 2툴바디(50)를 관통하여 상기 제 3툴바디(70)에 체결되는 고정볼트(80); 및
    상기 고정볼트(80)의 타단에 체결된 T너트(81)가 끼움결합하여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이송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가이드홈(11)이 형성되는 베이스(1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용 갱타입 툴홀딩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높이조절볼트(22) 및 제 2높이조절볼트(52)는 체결 정도에 따라 상기 제 2툴바디(50) 및 제 3툴바디(70)에 대해 상기 제 1툴바디(20) 및 제 2툴바디 (50)가 각각 상대적으로 상승될 수 있도록 나사산 형성부위는 상기 제 1툴바디(20) 및 제 2툴바디(50)에 각각 체결되고, 각 하단은 상기 제 2툴바디(50) 및 제 3툴바디(70)의 상부면에 밀착되어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용 갱타입 툴홀딩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높이조절볼트(22) 및 제 2높이조절볼트(52)는 체결 정도에 따라 상기 제 2툴바디(50) 및 제 3툴바디(70)에 대해 상기 제 1툴바디(20) 및 제 2툴바디(50)가 각각 상대적인 피치 차이로 인해 승강될 수 있도록 축방향을 따라 상부가 하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피치가 큰 2단 피치구조로 형성되어 각 상부는 제 1툴바디(20) 및 제 2툴바디(50)에 각각 체결되고, 각 하부는 제 2툴바디(50) 및 제 3툴바디(70)에 각각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용 갱타입 툴홀딩장치.
KR1020010086478A 2001-12-28 2001-12-28 높이조절용 갱타입 툴홀딩장치 KR100761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6478A KR100761199B1 (ko) 2001-12-28 2001-12-28 높이조절용 갱타입 툴홀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6478A KR100761199B1 (ko) 2001-12-28 2001-12-28 높이조절용 갱타입 툴홀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6281A true KR20030056281A (ko) 2003-07-04
KR100761199B1 KR100761199B1 (ko) 2007-09-21

Family

ID=32214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6478A KR100761199B1 (ko) 2001-12-28 2001-12-28 높이조절용 갱타입 툴홀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119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3369B1 (ko) * 2005-12-19 2006-11-10 주식회사 포스코 바이트의 높이 조정이 용이한 선반 공구대
KR102171488B1 (ko) * 2019-11-28 2020-10-29 이동섭 정밀 조절이 가능한 공구 고정용 공구 홀더
KR102491018B1 (ko) * 2021-10-21 2023-01-20 제이에스프리시젼(주) 정밀한 상하이동거리 조절이 가능한 절삭공구 이송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5163B1 (ko) * 1998-10-13 2001-03-15 권오준 절삭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3369B1 (ko) * 2005-12-19 2006-11-10 주식회사 포스코 바이트의 높이 조정이 용이한 선반 공구대
KR102171488B1 (ko) * 2019-11-28 2020-10-29 이동섭 정밀 조절이 가능한 공구 고정용 공구 홀더
KR102491018B1 (ko) * 2021-10-21 2023-01-20 제이에스프리시젼(주) 정밀한 상하이동거리 조절이 가능한 절삭공구 이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1199B1 (ko) 2007-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78877B1 (en) Apparatus for clamping a work piece
KR102199515B1 (ko) 가공용 고정지그
CN203418324U (zh) 一种多功能夹具
KR20070012325A (ko) 위치 결정 고정 장치 및 위치 결정 장치
EP1273387B1 (en) Jig for positioning and fixing work
EP1455977B1 (en) Insert holder having convexly curved surface for supporting a cutting insert
KR100761199B1 (ko) 높이조절용 갱타입 툴홀딩장치
CN206296700U (zh) 一种加工夹具
CN113510499A (zh) 一种用于轴承体油环槽加工的装夹工装
JP2013072460A (ja) 固定具
CN213495396U (zh) 自适应弹性治具
CN211102749U (zh) 一种适用于带孔工件的夹紧装置
CN220560987U (zh) 一种超深槽工件加工用夹具
CN210850564U (zh) 一种散热器冲孔装置
CN217914890U (zh) 调节支撑底座
CN215510055U (zh) 一种用于轴承体油环槽加工的装夹工装
CN219094460U (zh) 一种保护定位销的夹具升降装置
JPH0214809Y2 (ko)
CN220680047U (zh) 一种带锁紧装置的弹簧支撑
CN216575946U (zh) 一种用于线切割的上装夹具
CN219131491U (zh) 机床加工互换等高块
CN220050897U (zh) 一种加工夹具
CN215967596U (zh) 一种模具加工用的打孔装置
KR100209080B1 (ko) 에어핸드드릴의 고정용 지그
CN215317141U (zh) 一种龙门五轴快速装夹通用工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