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5838A - 화장수 조성물 - Google Patents

화장수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5838A
KR20030055838A KR1020010085944A KR20010085944A KR20030055838A KR 20030055838 A KR20030055838 A KR 20030055838A KR 1020010085944 A KR1020010085944 A KR 1020010085944A KR 20010085944 A KR20010085944 A KR 20010085944A KR 20030055838 A KR20030055838 A KR 200300558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lotion
lotion
oil
emulsified
lotio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5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1428B1 (ko
Inventor
손홍하
서동성
양재찬
조완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10085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1428B1/ko
Publication of KR20030055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58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1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14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2Alcohols having more than seven atoms in an unbroken ch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6Mixtures of surface active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습력이 우수한 화장수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습제 및 적량의 정제수를 포함한 화장수 베이스; 왁스, 1 종 이상의 고급 알콜 및 1 종 이상의 고급 지방산, 계면활성제를 함유한 유화상에서의 유상과 보습제; 정제수를 함유하는 유화상에서의 수상과 보습제; 로 구성되는 화장수 조성물로서, 미리 유화시킨 유화상을 화장수 베이스에 첨가하여 제조함으로써 보습성이 우수하면서도 끈적임이 없는 화장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장수 조성물{Skin Lotion Composition}
본 발명은 보습력이 우수한 화장수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습제 및 적량의 정제수를 포함한 화장수 베이스; 왁스, 1 종 이상의 고급 알콜 및 1 종 이상의 고급 지방산, 계면활성제를 함유한 유화상에서의 유상과 보습제; 정제수를 함유하는 유화상에서의 수상과 보습제; 로 구성되는 화장수 조성물로서, 미리 유화시킨 유화상을 화장수 베이스에 첨가하여 제조함으로써 보습성이 우수하면서도 끈적임이 없는 화장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장수는 실온에서 정제수에 폴리에칠렌글리콜, 부칠렌글리콜 등의 보습제를 첨가하고 완충제, 점증제, 변색 방지제 등의 수용성 성분을 용해시켜 제조한다. 또한, 에몰리언트제, 방부제, 향료, 효능성 또는 기능성 물질 등의 에탄올 가용성 성분 및 유용성 성분을 가용화제와 함께 용해시키고 정제수 부분에 혼합하여 실온에서 가용화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물에 불용성인 물질을 가용화제와 함께 보습제 중에 가열, 용해시키는 경우도 있으며, 이때 투명한 화장수를 얻기 위해서는 보습제의 선택이 중요하다. 반투명 화장수에서는 마이크로에멀젼 기술을 이용하지만 계면활성제의 선정과 제조공정에 따라 차이가 크므로 주의를 해야 한다(光井武夫, 新化粧品學, 南山堂, 1993, 일본).
그러나 일반적으로 화장수는 다량의 정제수가 함유되는 제형으로, 피부에 충분한 보습 효과를 주기 어렵고 보습성을 지속시키는 것 또한 쉽지 않다. 보습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량 사용할 경우, 보습성은 개선되나 사용 시 끈적임으로 사용자에게 만족스런 사용감을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보습성을 위하여 보습제 외에 오일을 함유하는 화장수(일특개소 57-29213, 특개평 7-20543)의 경우, 일반적인 유화방법으로는 보존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할 염려가 있어, 이를 극복하기 위해 탈크와 같은 분체를 분산시키거나 카르복시비닐폴리머를 비롯한 수용성 폴리머를 사용한 경우도 있다. 미국특허 제5,380,528호에서는 수용성 폴리머, 보습제, 실리콘 오일, 실리콘 폴리머 및 불소계 실리콘 등을 배합한 화장료 조성물을 소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에서 제시한 방법은, 제조 시 실리콘 오일이나 실리콘 폴리머 및 파우더를 안정하게 유화 및 분산시키기 위해 많은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등 복잡한 공정을 거치는 문제점과 상대적인 점도 상승에 따른 끈적이는 사용감 등, 화장수 본래의 목적에 부합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으며, 경시에 다른 제형 자체의 점도가 저하한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미리 유화시킨 유화상을 화장수 베이스에 첨가하고 다량의 보습제를 사용하여 피부를 도포하면서 왁스, 고급 알콜, 고급 지방산을 동시에 도포함으로써, 끈적임이나 번들거림이 없이 보습성을 증가시키고 보습의 지속성을 향상시키면서 사용감까지 우수한 화장수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총 조성물 중량 기준으로 왁스, 1 종 이상의 고급 알콜 및 1 종 이상의 고급 지방산(A) 0.02∼5.0 중량%, 계면활성제(B) 0.01∼7.5 중량%를 함유한 유화상에서의 유상과 보습제(C1) 5.0∼30.0 중량%; 정제수 5.0∼20.0 중량%를 함유하는 유화상에서의 수상과 보습제(C2) 5.0∼15.0 중량%; 및 100 중량%를 맞추기 위한 적량의 정제수, 점도 조절을 위한 적량의 수용성 폴리머, 가용화제, 향료, 에탄올;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미리 유화시킨 유화상을 화장수 베이스에 첨가하여 제조함으로써 보습성이 우수하면서도 끈적임이 없는 화장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A)와 (B)의 비는 1.0 : 0.2∼1.0 : 1.5가 적당하며, 바람직하게는 1.0 : 0.5∼1.0 : 1.0의 범위이다. (A)와 (B)의 비가 1.0 : 0.2 이하이면 안정성이 저하하여 (A)가 석출, 분리의 가능성이 있으며, 1.0 : 1.5 이상에서는 과도한 계면활성제의 사용으로 제조공정 중에 탈포 시간이 추가되거나 길어지는 등 비경제적이며, 피부 자극의 염려가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C1)과 (C2)의 함량의 합이 45.0 중량% 보다 많을 경우에는, 과도한 보습제로 인해 본래의 목적 품질에 맞지 않을 염려가 있고 처방상의 제한성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C1)과 (C2)의 함량의 합이 10.0 중량% 이하이면, 충분한 보습 효과를 거두기 어렵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화장수 베이스를 제외한 유화상을 만들 때 호모게나이저를 사용하는데, 일반호모게나이저에서는 높은 RPM에서 유화가 충분히 일어나도록 10 분 내지 30 분의 유화 시간이 필요하고, 고압 호모게나이저를 사용할 때에는 500 내지 1000 기압에서 1 회 통과만으로 만들어진다.
여기서 사용되는 보습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내에서 보습 효과를 높인 것이다.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트리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등의 솔비톨, 자일리톨에리스리톨, 베타인, 글루코스, 콘드로이친 황산, 히아루론산나트륨, 피롤리돈카본산 모노염 등을 들 수 있다.
오일성분으로서는 천연 식물 오일인 호호바유, 경화야자유, 아보카드유, 올리브유, 아몬드유, 마카더미아넛유, 메도우폼유, 팜유, 야자유, 피마자유 등과 탄화수소류인 스쿠알란, 유동파라핀 등과 합성오일류인 옥틸도데칸올, 트리옥타노인, 이소세틸팔미테이트, 이소세틸미리스테이트, 세틸옥타노에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카프리레이트, 디이소프로필세바케이트, 디이소스테아릴 아디페이트, 디이소프로필마디페이트, 트리메칠롤프로판트리옥타노에이트, 트리메칠롤프로판트리리소스테아레이트,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디메치콘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을 유화능과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혼합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유화제로서는 수첨레시친,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 이소스테아린산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트리이소스테아린산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테트라올레인산폴리옥시에틸렌솔비트,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데실테트라데실에테르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목적에 따라 병용할 수 있다.
고급 알콜로서는 탄소수 6 이상의 1 가 알콜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탄소수 16 내지 22 인 세틸알콜, 세토스테아릴알콜, 이소스테아릴알콜, 스테아릴알콜, 베헤닐알콜, 바틸알콜 중에서 1 종 이상 선택이 가능하고 병용할 수 있다.
고급 지방산으로서는 라우린산, 미리스틴산, 팔미틴산, 스테아린산, 베헨산, 올레인산, 이소스테아린산, 리놀레인산 등을 들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이들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2, 비교예 1∼2는 일반 호모게나이저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고보습 화장수를 제조하였고, 실시예 3∼4, 비교예 3∼4는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에서 처리 가능한 유상의 함량을 증량할 수 있으므로 유상의 함량만 증량하여 고압 호모게나이저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조성은 하기 표 1과 표 2의 조성에 따른다.
화장수 베이스는 성분 20∼23, 성분 24∼27을 상온에서 각각 용해하고 용해된 성분 24∼27을 성분 20∼23에 첨가하여 가용화시켜 완성한다.
유화상의 호모게나이저에서의 제조방법은, 성분 1∼18을 75℃에서 용해하고 호모게나이저에서 10,000RPM 에서 5 분간 혼합 후 미리 70℃로 가온시킨 성분 19를 첨가하면서 10 분간 유화시켜 유화상을 완성한다.
유화상의 고압 호모게나이저에서의 제조방법은, 성분 1∼18을 75℃에서 용해한 후 미리 70℃로 가온시킨 성분 19를 첨가하면서 일반 호모게나이저에서1,000RPM으로 10 초 혼합 후 고압 호모게나이저에서 700 기압으로 1 회 통과시켜 유화상을 완성한다.
완성된 각각의 유화상을 화장수 베이스에 각각 첨가하여 고보습 화장수를 완성한다.
호모게나이저 제조 화장수 조성
No. 원료명 실시예 1 비교예 1 실시예 2 비교예 2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 수첨레시친L-라우로일-L-글루타메이트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글리세린프로필렌글리콜베헤닐알콜스테아릴알콜세토스테아릴알콜베헨산스테아린산디메치콘페닐트리메치콘유동파라핀세테아레스-20스테아레스-15스쿠알란세틸옥타노에이트카르복실비닐폴리머정제수베타인1,3-부틸렌글리콜히아루론산나트륨정제수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에탄올향료방부제 0.10.50.210.020.00.10.40.10.10.11.0-0.2--0.50.1-15.04.0-1.0To 1000.65.00적량적량 ---3.54.5------1.05.02.00.51.00.50.210.0-5.0-To 1000.65.00적량적량 0.11.50.110.020.00.20.40.20.10.11.0-0.2--0.30.3-15.04.0-1.0To 1000.65.00적량적량 ---10.020.0------1.0-------4.0-1.0To 1000.65.00적량적량
고압 호모게나이저 제조 화장수 조성
No. 원료명 실시예 3 비교예 3 실시예 4 비교예 4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 수첨레시친L-라우로일-L-글루타메이트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글리세린프로필렌글리콜베헤닐알콜스테아릴알콜세토스테아릴알콜베헨산스테아린산디메치콘페닐트리메치콘유동파라핀세테아레스-20스테아레스-15스쿠알란세틸옥타노에이트카르복실비닐폴리머정제수베타인1,3-부틸렌글리콜히아루론산나트륨정제수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에탄올향료방부제 0.10.50.210.020.00.20.60.10.10.41.0-0.2--0.50.1-15.04.0-1.0To 1000.65.00적량적량 ---3.54.5------1.05.02.00.51.00.50.215.0-5.0-To 1000.65.00적량적량 0.12.00.110.020.00.50.40.30.30.21.0-0.2--0.30.3-15.04.0-1.0To 1000.65.00적량적량 ---10.020.0------1.0------15.04.05.01.0To 1000.65.00적량적량
비교예 1은 오일이 첨가되어 보습성을 높이는 JP특개소 57-29213의 방법으로 제조하였고, 비교예 2는 일반 화장수 중에서 보습제의 함량을 증가시키고 오일이 부가되어 보습성을 높인 화장수를 제조한 것이다.
실시예 1∼4, 비교예 1∼4에 대한 장기 보존성은 항온조(0℃, 40℃, 45℃, 50℃, cycle chamber) 및 실온에서 안정성을 평가하여 표 3에 나타내었다.
항온조 및 실온에서 화장수의 안정성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0℃ 1주일
1개월
3개월
40℃ 1주일
1개월
3개월
45℃ 1주일
1개월
3개월
50℃ 1주일
1개월
3개월 ×
CycleChamber 1주일
1개월
3개월
실온 1주일
1개월
3개월
(양호 : O, 불안정 : △, 분리 : ×)
상기 실시예 1∼4및 비교예 1∼4에 따라 제조된 화장수 조성물을 이하의 기준에 따라 품질 평가를 실시하였다.
표 4의 수치는 20 대에서 40 대 50 명을 대상으로 실시예 1∼4 및 비교예 1∼4에서 제조된 화장수로 30 일간 반복적으로 화장을 실시하게 한 다음, 보습성에 대한 효과를 다음의 기준으로 평가하여 산출한 산술 평균값이다.
5 : 아주 우수하다. 4 : 우수하다.
3 : 보통이다. 2 : 나쁘다.
1 : 아주 나쁘다.
보습성 평가 결과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보습성 4.0 4.1 4.3 4.2 3.4 3.3 3.4 3.5
보습 지속성 3.6 3.6 3.9 3.8 2.9 3.2 3.1 3.2
표 5의 수치는 20 대에서 40 대 50 명을 대상으로 실시예 1∼4 및 비교예 1∼4에서 제조된 화장수로 30 일간 반복적으로 화장을 실시하게 한 다음, 끈적이는 사용감에 대해 다음의 기준으로 평가하여 산출한 산술 평균값이다.
5 : 아주 우수하다. 4 : 우수하다.
3 : 보통이다. 2 : 조금 끈적인다.
1 : 아주 끈적인다.
사용감 평가 결과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사용감 3.4 3.6 3.9 3.8 2.8 2.9 3.0 3.2
표 4 와 표 5의 실시예 1∼4 및 비교예 1∼4에 따르면, 보습성, 보습 지속성과 끈적이는 사용감 모두 실시예 1∼4의 결과가 비교예 1∼4의 결과보다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장수 조성물은 미리 유화시킨 유화상을 화장수 베이스에 첨가하고 다량의 보습제를 사용하여 피부를 도포하면서 왁스, 고급 알콜, 고급 지방산을 동시에 도포함으로써, 끈적임이나 번들거림이 없이 보습성을 증가시키고 보습의 지속성을 향상시키면서 사용감까지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보습제 및 정제수를 포함한 화장수 베이스; 왁스, 1 종 이상의 고급 알콜 및 1 종 이상의 고급 지방산, 계면활성제를 함유한 유화상에서의 유상과 보습제; 정제수를 함유하는 유화상에서의 수상과 보습제; 로 구성되는 화장수 조성물에 있어서, 미리 유화시킨 유화상을 화장수 베이스에 첨가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수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왁스, 1 종 이상의 고급 알콜 및 1 종 이상의 고급 지방산(A) 0.02∼5.0 중량%, 계면활성제(B) 0.01∼7.5 중량%를 함유한 유화상에서의 유상과 보습제 10.0∼45.0 중량%를 함유하고, 상기 (A)와 (B)의 비는 1.0 : 0.2∼ 1.0 : 1.5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수 조성물.
KR1020010085944A 2001-12-27 2001-12-27 화장수 조성물 KR1008114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5944A KR100811428B1 (ko) 2001-12-27 2001-12-27 화장수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5944A KR100811428B1 (ko) 2001-12-27 2001-12-27 화장수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5838A true KR20030055838A (ko) 2003-07-04
KR100811428B1 KR100811428B1 (ko) 2008-03-07

Family

ID=32214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5944A KR100811428B1 (ko) 2001-12-27 2001-12-27 화장수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14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728B1 (ko) * 2006-10-26 2007-06-27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저점도의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9476B1 (ko) * 1997-12-24 2005-12-0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펄형태의분산효과가우수한화장수조성물
KR100255314B1 (ko) * 1998-02-25 2000-05-01 윤동한 다수의 내부입자를 갖는 리포좀형 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및 그 제조방법
KR100279073B1 (ko) * 1998-05-12 2001-02-01 윤동한 화장료용 다중 액정막 캡슐과 그의 제조방법 및 다중 액정막 캡슐을 포함하는 화장료조성물
JP4193016B2 (ja) * 1998-12-14 2008-12-10 サンスター株式会社 皮膚外用剤
JP2004119268A (ja) * 2002-09-27 2004-04-15 Seiko Instruments Inc 電池充電保護回路および電源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728B1 (ko) * 2006-10-26 2007-06-27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저점도의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1428B1 (ko) 2008-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83659A (en) Skin treatment preparation
US5039516A (en) Sunscreen preparation
JP2001515022A (ja) 泡状スキンクリーム、泡状スキンプロテクションクリームの使用及びその製造方法
JPH026321B2 (ko)
MXPA02000869A (es) Emulsion aceite-en-agua con estabilidad mejorada.
KR20160117111A (ko) 식물 유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U2001261290A1 (en) Allantoin-containing skin cream
JPH0513126B2 (ko)
KR101507891B1 (ko) 액정 겔 수화기술을 이용한 피부 보습 및 유연성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US20040180853A1 (en) Allantoin-containing skin cream
US6329413B1 (en) Allantoin-containing skin cream
KR100740598B1 (ko) 수중유형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EP0356196B1 (en) Cosmetic preparation
KR100811428B1 (ko) 화장수 조성물
KR101102847B1 (ko) 모발용 유화 조성물
KR100245796B1 (ko) 저점도의 유중수적형 화장료 조성물
JPS5987035A (ja) 尿素を安定に含むw/o型エマルジヨン組成物
JPH10139625A (ja) W/o型乳化化粧料
US20020037302A1 (en) Composition in the form of a water-in-oil emulsion with a variable shear rate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20220395436A1 (en) Gel composition with high oil content, the preparation method and the use of the same
JP2004307414A (ja) W/o/wエマルション皮膚外用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615449B2 (ja) 外水相型化粧料
KR20210097477A (ko)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101834196B1 (ko) 겔 형상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
JP4406855B2 (ja) 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