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5528A - 미분탄의 수송시 고체/기체비 증대방법 및 수송성 평가방법 - Google Patents

미분탄의 수송시 고체/기체비 증대방법 및 수송성 평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5528A
KR20030055528A KR1020010085543A KR20010085543A KR20030055528A KR 20030055528 A KR20030055528 A KR 20030055528A KR 1020010085543 A KR1020010085543 A KR 1020010085543A KR 20010085543 A KR20010085543 A KR 20010085543A KR 20030055528 A KR20030055528 A KR 200300555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verized coal
air flow
content
flow rate
transportab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5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04948B1 (ko
Inventor
허남환
이동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85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4948B1/ko
Publication of KR20030055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55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4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49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5/00Making pig-iron in the blast furnace
    • C21B5/001Injecting additional fuel or reducing agents
    • C21B5/003Injection of pulverulent coal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24Test rods or other chec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Of Ir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로에 취입되는 미분탄의 수송시 고체/기체비 증대방법 및 수송성 평가방법에 관한 것으로, 미분탄을 수송하는 보조공기의 유량비를 0.6 ~ 0.7로 조절함으로써 미분탄의 고체/기체비를 증대시키는 방법과, 미분탄의 평균입도, 휘발분, 회분 및 수분 함량 등 물성치를 통해 미분탄의 유동성 지수를 산출하여 수송성을 사전에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고로에 취입되는 미분탄의 총 수송공기 유량과 보조공기 유량을 설정하는 단계; 설정된 총 수송공기 유량과 보조공기 유량으로부터 보조공기 유량비를 산정하는 단계; 및 산정된 보조공기 유량비를 0.6 ~ 0.7로 유지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탄의 수송시 고체/기체비 증대방법과, 미분탄의 평균입도, 휘발분, 수분 및 회분 함량을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된 평균입도, 휘발분, 수분 및 회분 함량으로부터 하기 식과 같은 유동성 지수를 계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탄의 수송성 평가방법을 그 요지로 한다.
유동성 지수 = 0.476*평균입도 + 0.417*휘발분 함량 - 5.476*수분 함량 +
6.371*회분 함량 - 50.86

Description

미분탄의 수송시 고체/기체비 증대방법 및 수송성 평가방법{Methods for Increasing Solid/Gas Ratio and Estimating Transportability of Pulverized Coal}
본 발명은 고로(高爐)에 미분탄(微粉炭)을 취입할 때 단위 수송공기로 수송되는 미분탄의 무게를 나타내는 고체/기체비를 증대시킬 수 있는 방법과 미분탄의 수송성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총 수송공기의 유량과 보조공기의 유량비를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고체/기체비를 증대시킬 수 있는 방법과, 미분탄의 평균입도, 휘발분 함량, 회분 함량 및 수분 함량 등의 물성치를 이용하여 미분탄 탄종에 따른 수송성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용선(溶銑)을 생산하는 제선공정에서는 열원과 환원재의 역할을 하는 코크스를 대체하기 위해 미분탄 취입조업을 하고 있다. 종래에는 휘발분 함량이 약 30% 정도인 석탄을 파쇄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이러한 품질의 석탄을 확보하기가 점차 어려워져 가고 있으며, 또한 미분탄 취입에 따른 코크스 절감 효과인 코크스 치환율을 높이기 위해 연소성이 나쁜 저휘발분 석탄을 사용하는 방향으로 조업이 진행되고 있다. 이렇듯 고로에 취입되는 석탄이 다양해지고 있는 것과 아울러 그 취입량을 경쟁적으로 증대시키려는 기술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어 현재 200kg/t-용선 이상의 미분탄 취입실적을 가진 제철소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다양한 미분탄을 다량 취입하기 위해서는 취입된 미분탄이 연소대에서 충분히 연소되도록 하는 기술, 괴상태의 코크스의 장입량이 줄어듦에 따라 적절한 장입물 분포제어 기술 등 관련 기술개발이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러한 조업기술과 함께 미분탄을 건조 및 파쇄시킨 후 수송배관을 통해 원활하게 수송시키는 것도 주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미분탄을 수송하는데 사용되는 수송공기를 줄이는 기술은 미분탄 수송에 필요한 동력을 절감시키는 효과 뿐 아니라 상온으로 공급되는 공기가 풍구에 삽입된 랜스를 통해 고온의 열풍과 섞여 연소온도를 강하시키는 효과를 줄인다는 점에서 필요하다. 이러한 수송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일본 특허출원 제1995-169821호 (미분탄 반송성 향상방법)에서는 5μm이하의 이산화규소, 산화알루미늄 등의 고체화합물을 미분의 석탄과 혼합하는 방법을 개시하였고, 또 예를 들어, 1995년 CAMP-ISIJ(p.247)에서는 고농도 수송을 위한 플러그(plug) 수송방법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는 미립의 고체분말을 석탄과 효과적으로 혼합시키는 방법이 불명확할 뿐만 아니라 산화물들이 함께 취입됨에 따라 연소대 내에서의 슬래그 형성거동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통액과 통기에 나쁜 효과를 줄 가능성이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후자의 경우에는 미분탄을 플러그 형태로 형성시키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필요할 뿐 아니라 장거리를 수송시켜야 하는 경우 수송공기의 압력을 증가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예상되고 있다.
한편, 다양한 석탄을 사용하는 현재의 고로조업에 있어서는 수송성을 사전 평가하여 수송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사전에 마련하고, 또 수송성을 상호 비교 평가하여 탄종을 선정하는 기준의 하나로 사용할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수송성이 나쁜 석탄을 사용하거나 또는 수송조건이 나빠서 수송계통의 막힘현상이 발생할 때 이를 검지할 수 있는 장치와 이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이 각각 대한민국 출원 제 1999-059958호(용광로 미분탄 취입지관의 막힘검출 장치)와 출원 제1997-054541호(고로의 미분탄 막힘제거방법)에 개시된 바 있으나, 이러한 장치나 방법은 수송계통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 적용할 수 있는 것에 불과하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석탄의 평균입경, 휘발분 함량, 불활성 성분 함량의 분석값을 이용하여 안식각을 계산하고 이 안식각으로부터 미분탄의 수송성을 추정하는 방법을 출원 제1998-021268 호(고로 미분탄 수송성 추정방법)에 개시한 바 있으나, 이 방법은 불활성 물질의 분석에 별도의 번거로운 절차가 필요하기 때문에 통상의 미분탄 조업용 석탄의 분석에는 포함되지 않는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통상의 석탄분석인 공업분석(수분, 휘발분, 회분 및 고정탄소 함량)의 결과로부터 쉽게 추정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으며, 본 발명은 고로에 미분탄 취입조업을 할 때 그 수송성이 향상되도록 미분탄의 수송시 고체/기체비를 증대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과 아울러 미분탄의 물성 분석값을 이용하여 그 수송성을 사전에 손쉽게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고로 미분탄 취입설비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조도
도 2는 미분탄 수송성 실험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조도
도 3은 수송공기 유량에 따른 고체/기체비 측정결과의 일례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4는 보조공기 유량비에 따른 고체/기체비 측정결과의 일례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5는 미분탄의 종류에 따른 보조공기 유량비와 고체/기체비 측정결과의
일례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6은 미분탄 유동성 지수의 측정값과 계산값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미분탄 저장호퍼, 7..공급호퍼, 8..분배장치, 9..픽업장치,
10, 19..수송배관, 11..풍구, 12..고로, 14..수송공기 압력조절기,
15..수송공기 유량조절기, 18..수송호퍼, 20..보조공기 유량조절밸브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고로에 취입되는 미분탄의 총 수송공기 유량과 보조공기 유량을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총 수송공기 유량과 보조공기 유량으로부터 보조공기 유량비를 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산정된 보조공기 유량비를 0.6 ~ 0.7로 유지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탄의 수송시 고체/기체비 증대방법과, 미분탄의 평균입도, 휘발분 함량, 수분 함량 및 회분 함량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평균입도, 휘발분 함량, 수분 함량 및 회분 함량으로부터 하기 식과 같은 유동성 지수를 계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탄의 수송성 평가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동성 지수 = 0.476*평균입도 + 0.417*휘발분 함량 - 5.476*수분 함량 +
6.371*회분 함량 - 50.86
이하, 도면 및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고로 미분탄 취입설비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컨베이어 벨트(1)를 통해 운반된 미분탄은 원료탄 저장호퍼(2)에 저장된 후 파쇄기(3)에서 미분(200mesh이하 약 80%)으로 파쇄되어 중간호퍼(4)를 거쳐 미분탄 저장호퍼(5) 에 저장된다. 여과장치(6)에 걸린 미분탄도 상기 미분탄 저장호퍼로 주기적으로 공급된다. 이러한 미분탄은 다시 공급호퍼(7)에 이송된 후 질소에 의해 고로 상부에 위치한 분배장치(8)로 수송되며, 그 중간에는 수송량을 조절하기 위해 고압의 공기를 동반시켜 주는 픽업(pick-up)장치(9)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분배장치에서는 수송배관 (10)과 풍구(11)를 거쳐 고로(12) 내로 미분탄을 균일하게 공급한다.
고로의 미분탄 취입조업에 있어서 분배장치(8)에서 풍구(11)까지의 수송배관 (10)을 통한 미분탄의 수송능력이 중요하다. 동일한 수송배관을 통해 동일한 수송공기 유량과 압력에서도 미분탄의 종류에 따라 미분탄의 수송속도가 달라진다. 특히, 수송성이 나쁜 미분탄의 경우 수송배관(10) 내에 막힘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도 2는 미분탄의 수송성을 평가할 수 있는 미분탄 수송성 실험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압축기(13)로부터 공급되는 수송공기는, 수송공기 압력조절기 (14)와 수송공기 유량조절기(15), 조절밸브(16) 및 안전밸브(17)를 거쳐 수송호퍼 (18)에 존재하는 일정량의 미분탄을 수송배관(19)을 통해 수송시킨다. 미분탄 수송설비에는 수송효과를 높이기 위해 보조공기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보조공기 유량 조절밸브(20)를 설치하였다. 수송배관(19)에는 수송중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압력계(21)가 부착되어 있다. 수송이 끝난 미분탄은 싸이클론 (22)에 회수된 후 중계호퍼(23)와 배출호퍼(24)로 이송된 후 다시 수송호퍼(18)에 담겨져 연속하여 수송이 가능하다. 수송공기의 압력에 대해 일정량의 미분탄이 수송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기준으로 미분탄의 수송성을 계산하였으며, 공기의 유량변화도 함께 측정하였다.
하기 표1은 상기 미분탄 수송성 실험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한 미분탄의 주요물성에 대해 정리한 것으로, 실험 전후에 매번 측정하여 그 대표값을 나타낸 것이다. 특히, B,J탄은 입도변화의 효과를 보기위해 분급한 입도를 이용하였다.
미분탄종류 휘발분함량(%) 수분함량(%) 회분함량(%) 평균입도(μm)
B 36 1.7 9.2 29, 53, 70
J 9 0.8 10.6 35, 72, 98
Y 37 1.4 7.7 55
G 28 1.4 9,3 43
도 3은 상기 표1에서 입도가 53 μm인 B탄을 수송배관직경 17mm를 대상으로 실험한 수송공기 유량에 따른 고체/기체비의 변화를 측정한 그래프로서, 범례에 적힌 숫자는 보조공기의 유량(ℓ/분)을 나타낸 것이다. 그림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보조공기의 유량이 적을수록 고체/기체비는 증가하며 동일한 보조공기 유량 조건에서도 최고의 고체/기체비를 나타내는 조건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점선으로 표시).
다른 종류의 미분탄과 수송배관에서도 동일한 결과가 도출되었으며, 보조공기의 유량이 고체/기체비의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 착안하여 아래와 같이 보조공기 유량비라는 변수를 정의하였다.
보조공기 유량비 = 보조공기 유량 / 총 수송공기 유량
도 4는 도 3의 고체/기체비의 측정결과를 상기 정의된 보조공기 유량비에 따라 나타낸 그래프로서, 보조공기의 유량이 증가할수록 고체/기체비는 감소하였으며 또한 각 보조공기 유량에 대해서도 최대의 고체/기체비를 나타내는 조건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보조공기 유량비가 0.6 ~ 0.7인 조건을 기준으로 하여 최대의 고체/기체비가 나타나고 있으므로, 이 결과로부터 보조공기의 유량은 가능한 감소시키고 총 수송공기의 유량중 보조공기의 유량이 차지하는 비율을 60 ~ 70% 범위로 유지하는 것이 단위 수송공기당 석탄의 수송량을 최대로 할 수 있는 조건이 됨을 알 수 있다.
도 5는 상기 표 1의 4탄종(B탄종의 경우 53 μm, J탄종의 경우 72 μm)에 대하여 보조공기 유량 50ℓ/분인 조건에서의 보조공기 유량비에 대한 고체/기체비 측정결과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범례의 G,Y,J,B는 표 1의 탄종명을 나타낸 것이다. 이 그림에서도 탄종에 따라 고체/기체비의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도 4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보조공기 유량비가 0.6 ~ 0.7인 조건에서 최대의 값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미분탄의 수송특성은 수송공기의 조건에 따라서 큰 영향을 받는 한편, 미분탄 자체의 물성에 의해서도 큰 영향을 받는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미분탄의 수송성에 영향을 주는 물성의 영향을 찾아보았다. 하기 표 2와 같이 종류와 입도 등이 다른 모두 11종류의 석탄시료를 대상으로 분체의 물성을 측정하였다.
시료석탄 휘발분함유(%) 수분함유(%) 회분함유(%) 평균입도(μm)
B(혼합) 31.6 1.11 9.4 54.1
B(-200mesh) 30.6 1.43 10.4 30.0
B(+200mesh) 32.3 1.23 8.6 73.8
J(혼합) 7.6 0.70 10.8 65.2
J(-200mesh) 8.5 1.62 12.4 34.8
J(+200mesh) 7.5 0.82 9.3 92.7
G(혼합) 25.2 0.99 9.5 44.9
Y(혼합) 32.1 1.15 8.0 63.1
Y1(혼합) 9.2 1.23 8.6 43.0
B+Y1(8:2) 27.2 1.14 9.5 58.7
B+Y1(4:6) 17.9 0.80 9.9 49.6
측정된 분체의 물성은 안식각, 압축도, 주걱각 및 응집도였으며, 이 값을 기준으로 유동성 지수를 계산하였다. 그리고, 이 계산된 유동성 지수와 미분탄 수송성 실험의 결과와의 관계로부터 유동성 지수의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이하, 각 분체의 물성을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우선 안식각은 특정 수직거리로부터 떨어뜨린 분체가 형성한 원추형 더미의 경사면과 수평면이 이루는 각도로 정의하며 안식각이 작을수록 분체의 유동성은 증가한다. 그러므로, 안식각은 분체의 유동성을 나타내는 지표가 될 수 있으며, 그 측정방법이 매우 간단하기 때문에 가장 넓게 사용되는 인자이다.
분체의 유동성을 평가할 수 있는 또 다른 지수로는 압축도 (compressibility)가 있으며 이는 다음과 같은 분체 밀도 측정값으로부터 계산할 수 있다.
압축도 = (충전밀도-폭기밀도)*100/충전밀도
여기서 폭기밀도(aerated bulk density)는 분체를 일정 내용적의 용기 내에 임의로 부어 넣어서 그때의 부피와 무게를 측정한 값이며, 충전 밀도는 용기 내에 분체를 담을 때 용기 자체를 흔들거나 분체를 다져서 단위 부피당 질량이 커지게 한 밀도 값이다. 이와 같이 압축성은 분체의 다짐성을 나타내는 지수로 정의된 바와 같이 분체의 밀도에 영향을 받으며, 이는 다시 입도분포, 입자 형상, 입자의 표면적, 경도, 수분 함량 등 분체의 기본 물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다. 일반적으로 압축성이 큰 분체는 수송성이 나쁜 특성을 나타낸다.
주걱각(Spatula각)은 분체의 상대적인 내부마찰각(또는 붕괴각)을 평가할 수 있는 물성치이다. 보통 5×7/8 inch 크기의 주걱을 분체더미 바닥에 삽입하여 수직방향으로 들어올려 분체더미 밖에서 주걱 위에 형성된 분체더미가 형성하는 수평방향과의 각도를 측정한다. 그후 주걱을 가볍게 두드린 후 분체더미가 형성하는 각도를 측정하여 이 두 각도의 평균값을 주걱각으로 정의한다. 이와 같은 주걱각은 여러번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취해야 하며, 안식각보다 분체의 유동특성을 판단할 수 있는 유용한 정보로 이용될 수 있다. 주걱각이 클수록 분체의 유동성 즉 수송성은 나빠진다.
응집도(cohesiveness)는 원자내부 또는 고체물리에서 연구되는 내용이 아니라 수백만개의 원자와 분자로 구성된 미분입자 표면에 작용하는 겉보기 응집력을 나타낸 것이다. 통상의 응집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특정한 조건에서 응집시킨 분체를 기계적인 외력을 가해 부숴지는 정도를 기준으로 평가한다. 보통 겉보기 표면응집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3종류의 체(60, 100, 200 mesh)와 바닥의 시료접시가 사용된다. 상부 60mesh 체 위에 일정량의 분체시료(보통 2g)를 위치시킨 후, 분체의 작업 겉보기 밀도에 따라 3종류의 체를 20 ~ 120초 동안 진동시킨 후 각 체위에 남아있는 분체의 양을 측정한다. 초기 시료가 2g 일 경우, 2g 모두가 최상단의 60mesh 체 위에 존재하게 되면 응집도는 100% 가 되는 반면 최하단 200mesh 체를 모두 빠져나갈 경우에는 응집도가 0%가 된다. 그리고, 각 체 위에 잔류하는 분체의 무게의 일정 단위마다 설정한 점수를 적용하여 최종 분체의 응집도를 산정하게 된다.
하기 표 3에는 상술한 내용과 같은 방법으로 분체 물성을 측정한 결과와 유동성 지수값을 정리하였다.
시료석탄 안식각 압축도 주걱각 응집도 유동성지수
B(혼합) 42.25 37.58 66.55 41.66 45
B(-200mesh) 43.00 42.93 81.48 40.56 32
B(+200mesh) 38.50 35.25 69.28 39.75 49
J(혼합) 43.65 38.59 70.70 41.44 45
J(-200mesh) 43.60 40.00 82.25 40.43 41
J(+200mesh) 41.35 29.26 76.23 42.24 50
G(혼합) 46.80 41.44 75.62 40.57 31
Y(혼합) 46.95 38.59 75.08 41.20 36
Y1(혼합) 45.03 38.43 74.34 40.76 39
B+Y1(8:2) 42.60 39.71 69.97 39.81 42
B+Y1(4:6) 45.78 40.60 65.88 39.52 41
여러 종류의 석탄을 대상으로 분체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 안식각, 압축도, 주걱각, 응집도 등 값의 변화가 발견되었으며 이에 따른 유동성 지수값은 31 ~ 50의 범위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표 3의 결과를 통해 유동성이 좋은 순서는 J(+200mesh) > B(+200mesh) > J(혼합)=B(혼합) > B+Y1(8:2) > B+Y1(6:4)=J(-200mesh) > Y(혼합) > Y1(혼합) > B(-200mesh) > G(혼합)의 순서이다.
이러한 유동성의 순서는 수송성 실험결과와 비교평가가 가능하다. 즉, 도 5에서 고체/기체비가 최대인 보조공기 유량비가 약 0.6인 조건의 수송성의 순서는 J(혼합) > B(혼합) > Y(혼합) > G(혼합)의 순이며, 이는 상기 유동성 지수의 순서와 일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분체의 유동성 지수에 미치는 분체 물성의 영향을 표 2의 4가지 물성값을 적용한 결과 다음과 같은 상관관계를 얻을 수 있었다.
유동성 지수 = 0.476*평균입도 + 0.417*휘발분 함량 - 5.476*수분 함량 +
6.371*회분 함량 - 50.86
즉, 유동성 지수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석탄의 기초적인 분석치인 공업분석 결과(수분, 휘발분, 회분 및 고정탄소 함량)와 조업에서 중요하게 관리하는 입도 값만 있으면 가능하다.
도 6은 상기 관계식을 이용하여 계산된 유동성 지수와 측정된 유동성 지수와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상관관계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유동성 지수값은 새로운 종류의 미분탄의 수송성을 관리하기 위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즉, 미분탄의 종류에 따라 수분, 회분 및 휘발분의 함량은 결정되며 여기에 파쇄된 미분탄의 입도를 조절하여 적절한 유동성 지수값을 관리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표 3에 기재된11종류의 측정시료중 실제 고로에서 조업되었던 탄종은 B(혼합), J(혼합), G(혼합), Y(혼합)의 4종류였다. 이중 B(혼합)과 J(혼합)은 안정적으로 수송이 이루어진 반면, G(혼합)과 Y(혼합)의 경우에는 막힘현상이 자주 발생했다. 이러한 점에서 유동성 지수는 45 이상이 적당하다고 판단되었으며, 새로운 탄종Y1(혼합)을 사용하기 위해 분체 물성을 측정한 결과 수송성이 나쁠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래서 수송성이 좋은 B(혼합)와 혼합하여 사용한 결과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동성은 개선되었으며 실제 조업결과 수송성에 문제점은 없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수송성에 문제가 없는 조건은 유동성 지수를 40을 기준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미분탄을 수송하는 보조공기의 유량비를 조절함으로써 미분탄의 수송시 고체/기체비를 증대시켜 동일한 수송공기를 이용하면서도 더 많은 양의 미분탄을 수송할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고로에 취입되는 미분탄의 평균입도, 휘발분 함량, 회분 함량 및 수분 함량 등 물성을 통해 미분탄의 유동성 지수를 산출하여 수송성을 사전에 평가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고로에 취입되는 미분탄의 총 수송공기 유량과 보조공기 유량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총 수송공기 유량과 보조공기 유량으로부터 보조공기 유량비를 산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산정된 보조공기 유량비를 0.6 ~ 0.7로 유지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탄 수송시 고체/기체비 증대방법
  2. 미분탄의 평균입도, 휘발분 함량, 수분 함량 및 회분 함량을 측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측정된 평균입도, 휘발분 함량, 수분 함량 및 회분 함량으로부터 하기 식과 같은 유동성 지수를 계산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탄의 수송성 평가방법
    유동성 지수 = 0.476*평균입도 + 0.417*휘발분 함량 - 5.476*수분 함량 +
    6.371*회분 함량 - 50.86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성 지수를 40 이상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분탄의 수송성 평가방법
KR1020010085543A 2001-12-27 2001-12-27 미분탄의 수송시 고체/기체비 증대방법 및 수송성 평가방법 KR100804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5543A KR100804948B1 (ko) 2001-12-27 2001-12-27 미분탄의 수송시 고체/기체비 증대방법 및 수송성 평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5543A KR100804948B1 (ko) 2001-12-27 2001-12-27 미분탄의 수송시 고체/기체비 증대방법 및 수송성 평가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5528A true KR20030055528A (ko) 2003-07-04
KR100804948B1 KR100804948B1 (ko) 2008-02-20

Family

ID=32213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5543A KR100804948B1 (ko) 2001-12-27 2001-12-27 미분탄의 수송시 고체/기체비 증대방법 및 수송성 평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49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2280B1 (ko) * 2013-04-30 2014-06-26 현대제철 주식회사 미분탄 취입성 예측방법
CN113736933A (zh) * 2021-08-18 2021-12-03 首钢集团有限公司 一种高炉喷吹煤测试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01605A (en) * 1980-12-16 1982-06-24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Pulverized coal blower for blast furnace
JPS5837410A (ja) * 1981-08-28 1983-03-04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低窒素酸化物燃焼を行う石炭燃焼装置
KR100203136B1 (ko) * 1996-06-27 1999-06-15 김영환 래치-업을 방지하는 상승전압발생기
KR20000013061U (ko) * 1998-12-23 2000-07-15 이구택 송풍량에 비례한 미분탄 공급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2280B1 (ko) * 2013-04-30 2014-06-26 현대제철 주식회사 미분탄 취입성 예측방법
CN113736933A (zh) * 2021-08-18 2021-12-03 首钢集团有限公司 一种高炉喷吹煤测试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4948B1 (ko) 2008-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8301824B2 (en) Method for producing briquette with carbonaceous material incorporated therein by use of oil-containing iron-making plant dust
UA80228C2 (en) Method for producing of briquettes from coal, method for producing of iron melt and device for producing of iron melt
KR20000004999A (ko) 미분탄 반송성 향상제
JP5365226B2 (ja) 焼結鉱凝結材の整粒方法
KR101564295B1 (ko) 고로로의 원료 장입 방법
KR20180119664A (ko) 슬래그의 분석 방법 및 용융 철의 정련 방법
Oyama et al. Development of coating granulation process at commercial sintering plant for improving productivity and reducibility
CA1226481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blowing carbon dust into an industrial furnace
WO2018151024A1 (ja) 焼結鉱の製造方法
KR100804948B1 (ko) 미분탄의 수송시 고체/기체비 증대방법 및 수송성 평가방법
JP6747232B2 (ja) 高炉の原料混合比率推定方法
KR100338353B1 (ko) 고로 미분탄 수송성 추정방법
JP2005290511A (ja) 高炉の操業方法
CN113046106A (zh) 一种提高入炉煤堆密度的处理装置及方法
JP2002194408A (ja) 反応炉内吹込み用微粉炭の製造方法
JPS63274707A (ja) 高炉の微粉炭吹込み操業方法
Halt Factors influencing material loss during iron ore pellet handling
CN113930558B (zh) 一种有效确定废弃活性炭粉替代烧结燃料比例的方法
RU2228362C2 (ru) Способ доменной плавки
CN107805706A (zh) 一种铁矿烧结点火及冷却装置及方法
MATSUMURA et al. Improvement of Sinter Productivity by Adding Return Fine on Raw Materials after Granulation Stage (Development of RF-MEBIOS)
JP2022143141A (ja) 高炉の操業方法
JPH0873908A (ja) ベルレス高炉における装入原料の粒度制御装置
KR100804949B1 (ko) 미분탄 수송속도 추정방법
JP2765535B2 (ja) 竪型炉への合成樹脂材の吹き込み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