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5231A - 클램프 - Google Patents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5231A
KR20030055231A KR1020030038096A KR20030038096A KR20030055231A KR 20030055231 A KR20030055231 A KR 20030055231A KR 1020030038096 A KR1020030038096 A KR 1020030038096A KR 20030038096 A KR20030038096 A KR 20030038096A KR 20030055231 A KR20030055231 A KR 200300552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housing
fastening
rotational
rotat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8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해
Original Assignee
박영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해 filed Critical 박영해
Priority to KR1020030038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55231A/ko
Publication of KR20030055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523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2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bending fo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32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repeated or pulsating forces
    • G01N3/34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repeated or pulsating forces generated by mechanical means, e.g. hammer blow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14Type of force applied
    • G01N2203/0023Bend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용 파이프와 같은 부재를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클램프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작업상의 편리와 신속한 체결이 가능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를 위해 원통형상을 가지며 개폐되도록 분할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경면에 설치되는 탄성재질의 씰링재; 상기 하우징중 어느 한쪽 하우징의 외주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며 개구된 체결홈을 가지는 제1회동축; 상기 하우징중 다른 한쪽 하우징의 외주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의 원주방향으로 회동되는 제2회동축; 상기 제1회동축에 형성되는 체결홈과 동일선상으로 상기 제2회동축의 센터축방향에 직각되게 체결되는 회동체결축;을 구비하여 상기 회동체결축이 회동되어 상기 제1회동축의 체결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씰링재의 내부로 삽입되는 파이프의 직경에 맞게 상기 하우징의 외경을 변화시켜 삽입된 파이프를 긴밀하게 연결시키는 것을 그 요지로 하여 파이프의 연결 혹은 분리시에 신속하고도 간편한 결합/분리 작업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가지는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클램프{Clamp}
본 발명은 파이프를 연결하는 클램프에 관련되는 것이며, 특히 결합될 파이프를 신속하고도 간편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기위해 하우징을 조정하는 수단으로 제1회동축과 제2회동축을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설치하고 상기 제2회동축에는회동체결축을 결합시켜 상기 회동체결축을 회동시킴으로서 제1회동축과 결합 혹은 분리될 수 있도록 한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긴 유로를 형성시킴에 있어서 파이프와 파이프를 연결시켜주는 클램프는 필수적인 요소이며 널리 사용되고 있는 부품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로서 실용신안등록번호 제154911호의 관 연결구가 등록된 바 있으며, 이하 상기 관 연결구에 대해 상세한 설명을 하고자 한다.
첨부되는 도1은 종래기술로서 상기 관 연결구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에 해당된다. 상기 관 연결구는 한 쌍의 반원체(1,1')를 요철식으로 결합하여 축(2)으로 연결하고 타단을 보울트로서 체결하는 통상의 관 연결구(4)에 있어서 일측 반원체(1,1')의 연결부 내측단에 호형보강판(5)을 용착하고 호형보강판(5)에 하향돌조(6,6')를 돌설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관 연결구로서 두개의 관을 연결할시에는 두개의 보울트(3,3')를 고정설치된 축에 구비되는 볼트홀을 통하여 조이거나 느슨하게 하여 반원체(1,1')의 직경변화로서 관을 이음토록 하고있다.
즉,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관 연결구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보울트를 완전히 분리시킨 후 관을 위치시키고 이어서 다시 상기 보울트를 체결하여 타이트하게 조여주어야만 한다. 따라서, 개개의 보울트를 결합 혹은 분리시킴에 있어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을 가져 작업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발생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파이프 연결용 클램프의 하우징을 조으거나 느슨하게 할 시에 사용되는 회동체결축을 일일이 해체시키지 않고 상기 회동체결축을 회동시키는 것으로서 제1회동축과의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하여 파이프의 사이즈에 따라 신속하게 상기 두개의 파이프를 타이트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는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 종래기술에 따른 관 연결구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2 -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 -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의 사시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 : 하우징 11 : 만곡부
13 : 보강판 15 : 경첩
17 : 리브 19 : 수축홈
20 : 씰링재 30 : 제1회동축
35 : 체결홈 40 : 제2회동축
45 : 나사홀 50 : 회동체결축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원통형상을 가지며 개폐되도록 분할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경면에 설치되는 탄성재질의 씰링재; 상기 하우징중 어느 한쪽 하우징의 외주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며 개구된 체결홈을 가지는 제1회동축; 상기 하우징중 다른 한쪽 하우징의 외주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의 원주방향으로 회동되는 제2회동축; 상기 제1회동축에 형성되는 체결홈과 동일선상으로 상기 제2회동축의 센터축방향에 직각되게 체결되는 회동체결축;을 구비하여, 상기 회동체결축이 회동되어 상기 제1회동축의 체결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씰링재의 내부로 삽입되는 파이프의 직경에 맞게 상기 하우징의 외경을 변화시켜 삽입된 파이프를 긴밀하게 연결시키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는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참조하면서 상기 클램프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을 하고자 한다.
첨부되는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기 클램프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2에서 에이(a)는 회동체결축이 제1회동축과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고 비이(b)는 상기 회동체결축이 제1회동축으로부터 이탈된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는 크게 하우징(10), 씰링재(20), 제1회동축(30), 제2회동축(4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씰링재(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내경면에 설치되며, 연결될 파이프(미도시)는 상기 씰링재(20)의 내부로 삽입되어져 하우징(10)의 사이즈 변화에 따라 타이트하게 연결되거나 느슨한 상태로서 분해가 가능하게 된다.
제1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은 원통형상의 이루도록 결합되며 두개의 분리된 하우징(10)이 경첩(15)과 같은 것에 의해 구속되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두개의 하우징(10)은 자유롭게 개폐가 이루어져 파이프(미도시)의 직경변화에 맞게 적절히 조절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로는 상기 씰링재(20) 또한 고정된 크기의 원통형이 아닌 연결이 끊어져있어 파이프의 직경에 따라 가변되는 원통형을 이루도록 한다.
그리고 개폐되는 상기 하우징(10)에는 제1회동축(30)과 제2회동축(40)이 길이방향으로 외면에 설치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회동축(30)과 제2회동축(40)은 각 하우징(10)의 단부에 구속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경첩(15)에 의해 결합된 상기 하우징(10)의 일 측면 단부에 대한 타단부를 외측으로 벤딩시켜 둥근 만곡부(11)를 형성시키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중 어느 하나의 하우징의 단부, 즉 만곡부(11)가 형성되는 단부측에 내접하는 보강판(13)을 더 부착시킬 수도 있고 상기 보강판(13)으로 인해 두개의 하우징이 결합될 시에 측면에 개구부가 없는 완전한 원통체를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만곡부(11)에 제1회동축(30)과 제2회동축(40)을 삽입시키도록 하며 상기 만곡부(11) 내에서 각 회동축은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회동축(40)에 2개의 회동체결축(50)이 결합되도록 하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하우징(10)의 크기에 따라 상기 회동체결축(50)의 갯수는 적절한 갯수로 선정토록 한다.
먼저, 제1회동축(30)에 대해 설명하면 봉상으로 상기 하우징(10)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좌우 양단부 근처에 개구된 체결홈(35)이 2개소 형성된다.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제1회동축(30)은 만곡부(11)의 내부에서 회전이 되도록 하며, 이것은 후술할 회동체결축(50)과의 결합시에 변화되는 하우징(10)의 사이즈에 따라 적절한 체결면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동체결축(50)으로 제2회동축(40)과 나사결합되는 통상의 체결용 볼트를 사용하므로서 회동체결축(50)의 헤드부(51)가 상기 체결홈(35)과 원활한 결합면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어서, 제2회동축(40)의 경우 제1회동축(30)과 같은 규격의 봉상 바아로서 양 단부 근처에 하나씩의 나사홀(45)이 구비된다.
즉, 상기 제2회동축(40)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관통되는 나사홀(45)이 두개소 형성되며 상기 제2회동축(40) 또한 제1회동축(30)과 마찬가지로 상기 만곡부(11) 내에서 회전되며 상기 나사홀(45)에는 회동체결축(50)이 결합된다. 상술한 것처럼 상기 회동체결축(50)은 통상의 체결용 볼트를 사용토록 한다.
그리고 제1회동축(30)에 형성되는 체결홈(35)과 제2회동축(40)에 구비되는 나사홀(45)은 동일 선상에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체결홈과 나사홀에 대응하는 만곡부(11)에는 천공홀(16)을 형성시키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하에서 회동체결축(50)은 천공홀(16)을 따라 제2회동축(40)을 중심으로 하여 하우징(10)의 외주면을 따라 회동되면서 제1회동축(30)의 체결홈(35)과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이하 상기 클램프의 개략적인 작동관계에 대해 설명토록 하며, 도2의 에이(a)와 같은 상태에서는 파이프를 체결하고자 할 시에 씰링재의 내부로 파이프를 삽입시키고 회동체결축을 제1회동축에 삽입시킨 후 상기 회동체결축을 조여 하우징의 사이즈가 줄어들도록 하므로서 파이프가 긴밀하게 연결되도록 한다.
반면에, 도2의 비이(b)와 같이 회동체결축을 제1회동축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면 두개의 하우징은 느슨한 상태로 되어 자유로운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어 파이프를 분리시키거나 연결하기 위해 상기 파이프를 씰링재의 내부로 삽입시킬 수 있게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해 첨부되는 도3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클램프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실시예와 같이, 하우징(10), 씰링재(20), 제1회동축(30), 제2회동축(40) 그리고 회동체결축(50)을 구비하게 되며 제1실시예와 달리 본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하우징(10)이 일체를 이루고 있다.
즉, 경첩으로 분리된 두개의 하우징이 결합된 것이 아니며 하나의 판상부재를 원통형으로 벤딩시킨 것으로 하고 상기 하우징(10)의 상하 단부에는 내측방향으로 절곡된 리브(17)가 형성되며 상기 리브(17)에 다수의 수축홈(19)이 구비되도록 한다.
상기 수축홈(19)의 위치에 있어서는, 하우징(10)의 저면부에 좌우로 대칭되게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설명의 편의상 만곡부가 형성된 부위를 상면부로 하고 그 반대측을 저면부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10)의 저면부에 네개소의 수축홈(19)을 형성시키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적절한 갯수의 수축홈을 형성시키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축홈으로 인해 하우징은 원활한 개폐가 가능하게 되고 그 외 제1회동축, 제2회동축 그리고 회동체결축의 설치 및 작동관계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바, 여기에서의 설명은 생략토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클램프에 의하면, 파이프의 연결작업이나 해체 작업시에 회동되는 회동체결축의 조작으로 간편하고도 신속한 작업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8)

  1. 원통형상을 가지며 개폐되도록 분할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경면에 설치되는 탄성재질의 씰링재;
    상기 하우징중 어느 한쪽 하우징의 외주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며 개구된 체결홈을 가지는 제1회동축;
    상기 하우징중 다른 한쪽 하우징의 외주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의 원주방향으로 회동되는 제2회동축;
    상기 제1회동축에 형성되는 체결홈과 동일선상으로 상기 제2회동축의 센터축방향에 직각되게 체결되는 회동체결축;을 구비하여,
    상기 회동체결축이 회동되어 상기 제1회동축의 체결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씰링재의 내부로 삽입되는 파이프의 직경에 맞게 상기 하우징의 외경을 변화시켜 삽입된 파이프를 긴밀하게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경첩에 의해 연결되어 개폐가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동축은,
    씰링재의 내부로 삽입되는 파이프의 직경에 따라 가변되는 하우징의 외경변화에 부합하여 상기 회동체결축과 결합될 수 있도록 회전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클램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동축과 제2회동축은,
    개폐되는 하우징의 길이방향의 각 단부를 외측으로 벤딩시켜 형성시킨 만곡부에 삽입되어 구속되도록 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는,
    회동체결축이 회동될 수 있도록 천공홀이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6. 원통형상을 가지며 상하 양단부는 내측으로 절곡되어 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리브에 다수의 수축홈이 형성되어져 외경변화가 이루어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경면에 설치되는 탄성재질의 씰링재;
    상기 하우징중 어느 한쪽 하우징의 외주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며 개구된 체결홈을 가지는 제1회동축;
    상기 하우징중 다른 한쪽 하우징의 외주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의 원주방향으로 회동되는 제2회동축;
    상기 제1회동축에 형성되는 체결홈과 동일선상으로 상기 제2회동축의 센터축방향에 직각되게 체결되는 회동체결축;을 구비하여,
    상기 회동체결축이 회동되어 상기 제1회동축의 체결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씰링재의 내부로 삽입되는 파이프의 직경에 맞게 상기 하우징의 외경을 변화시켜 삽입된 파이프를 긴밀하게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동축은,
    씰링재의 내부로 삽입되는 파이프의 직경에 따라 가변되는 하우징의 외경변화에 부합하여 상기 회동체결축과 결합될 수 있도록 회전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동축과 제2회동축은,
    개폐되는 하우징의 길이방향의 각 단부를 외측으로 벤딩시켜 형성시킨 만곡부에 삽입되어 구속되도록 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KR1020030038096A 2003-06-13 2003-06-13 클램프 KR200300552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8096A KR20030055231A (ko) 2003-06-13 2003-06-13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8096A KR20030055231A (ko) 2003-06-13 2003-06-13 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5231A true KR20030055231A (ko) 2003-07-02

Family

ID=32226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8096A KR20030055231A (ko) 2003-06-13 2003-06-13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5523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604B1 (ko) * 2006-06-26 2007-10-29 김원주 교량용 배수관 이음장치
KR100880799B1 (ko) * 2008-08-25 2009-02-02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수밀성이 향상된 관 연결구
KR102631759B1 (ko) * 2023-02-13 2024-01-31 미래이엔에프 주식회사 시공성을 개선한 소방용 스프링클러 및 이의 시공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604B1 (ko) * 2006-06-26 2007-10-29 김원주 교량용 배수관 이음장치
KR100880799B1 (ko) * 2008-08-25 2009-02-02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수밀성이 향상된 관 연결구
KR102631759B1 (ko) * 2023-02-13 2024-01-31 미래이엔에프 주식회사 시공성을 개선한 소방용 스프링클러 및 이의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91713B2 (en) Pipe clamp
US6276729B1 (en) Connection element for connecting neighboring connection sections on tubes and/or container openings, in particular on laboratory apparatus
US7677612B2 (en) Clamp
JPS58137606A (ja) 互いに直角に固定する家具板のような二つの板についての分解可能な結合部材
KR20030055231A (ko) 클램프
KR20110046903A (ko) 결속용 클램프
KR20170055281A (ko) 배관 클램프
CN210240848U (zh) 一种低压管道卡箍
PL187039B1 (pl) Obejma rurowa
JP2000337557A (ja) 樹脂チューブの回転防止構造
KR200450489Y1 (ko) 케이블 통과형 감시카메라 장착 브라켓
WO2015060055A1 (ja) 電子機器間の接続機構および接続方法
KR100952119B1 (ko) 보일러용 개량 볼밸브
CN108194733A (zh) 管道接头
KR20210107519A (ko) 클램프 타입 배관 조인트 모듈
CN220320056U (zh) 一种水龙头用快速安装拼紧螺母
JP3226510U (ja) 高圧配管用継手
CN219606315U (zh) 一种旋转拆卸式法兰
CN219734548U (zh) 一种直径可调节的不锈钢法兰
CN213785766U (zh) 一种具有多铰接部且可调节锁紧位置的手镯
KR200255474Y1 (ko) 회전 니플을 구비한 플렉시블관의 연결장치
JPH058179U (ja) 管継手
CN212044816U (zh) 一种六轴万向装置
JP3586251B2 (ja) 管継手
CN208703375U (zh) 一种可同时调节的三通膨胀式连接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