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4558A - 고로 조업방법 - Google Patents

고로 조업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4558A
KR20030054558A KR1020010084734A KR20010084734A KR20030054558A KR 20030054558 A KR20030054558 A KR 20030054558A KR 1020010084734 A KR1020010084734 A KR 1020010084734A KR 20010084734 A KR20010084734 A KR 20010084734A KR 20030054558 A KR20030054558 A KR 200300545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g
viscosity
blast furnace
activity
furn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4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05015B1 (ko
Inventor
이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20010084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5015B1/ko
Publication of KR20030054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45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5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50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24Test rods or other checking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5/00Making pig-iron in the blast furnace
    • C21B5/04Making slag of special composi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Of Ir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로 조업중 발생되는 노내슬래그의 점도 추정에 관한 방법으로 , 그 목적은 노하부를 통과하는 슬래그의 정확한 점도를 추정함으로서 고 융점의 슬래그상이 발생되어 하부 코크스 충진층에 정체되는 량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원료 조건과 로내 반응을 고려한 단계별 고로 슬래그의 점성을 실험적으로 측정하고 이를 예측할 수 있는 유용한 추정식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용선과 슬래그를 연속적으로 배출시키는 고로 조업에 있어서, 노심부로 적하 되는 슬래그의 점도를 추정함으로서 노하부로 적하하는 슬래그가 적절한 유동성을 가질 수 있도록 정확히 제어하는 고로조업 방법에 관한 것을 그 기술적요지로 한다.

Description

고로 조업방법{Method for Blast Furnace Operation by Estimating slag viscosity}
본 발명은 고로 조업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원료 조건과 로내 반응을 고려한 단계별 고로 슬래그의 점성을 실험적으로 측정하고 이를 예측할 수 있는 슬래그 점성에 관한 이론적 추정식을 구축함으로써 이를 통해 노 하부의 통기, 통액성 악화를 사전에 방지하여 노황의 건전성 유지 및 안정조업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고로 조업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로 슬래그 물성중 통액성에 관련한 점성에 관한 정보는 주로 최종 슬래그에 국한되어 있어서 로내 반응 단계를 고려하지 않거나, 단순 성분계에 관한 것이 대부분으로서 로내 반응을 고려한 점성 해석에 대한 관련 자료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특히 제선 조업 조건은 제철소 고유의 연/원료 성상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제철소의 고로 조업 조건을 반영한 정확도가 높은 점성 예측을 통한 최적 조업 조건의 도출이 필수적이다.
일본 특개평 제9-287009호에서는 슬래그중의 FeO와 MnO의 몰분율 및 메탈 중의 C, Si, Mn농도 및 C의 몰분율을 구하고, 그 온도와 슬래그 중의 CaO, SiO2, MgO, Al2O3농도의 측정치로부터 슬래그의 점도를 계산하고, 용선온도의 증감, 장입물의 조성조정에 의해 점도를 관리범위로 유지한 고로조업을 제안한 바 있다.
그리고, 일본 특개평 제11-37598호에서는 용광로·큐포라·회전축로(shaft)등의 수직형로나 로터리 킬른,평로,전로,전기로등의 횡형로, 또는 쓰레기 산업 폐기물융해로에 있어,그 노내에서 생성한 슬래그의 조성을 추정하여,그 추정한 슬래그 조성으로 부터 슬래그의 점성등의 물성을 추정식에 의하여 추정하며,그 슬래그 점성이 적정이 되도록 첨가 부원료를 추산 예측하고,가동중의 로의 안정화와 에너지 절약화를 도모한 방법이 제시되고 있으나, 단순 상관식에 의한 방법으로 조업마다의 경험식에 우선하는 단점이 있어 일반적으로 적용하기 곤란하다.
한편, 특개평 제9-13107호에서는 미분탄 취입량을 150kg/t-pig이상의 고로조업에서 고 출선비, 저 연료비를 유지하기 위한 최적 MgO와 Alumina의 양을 점도측면에서제한한 특허로 특정 고로 조업에 유용한 결과이지만, 이 역시 일반적으로 확장 사용하기는 곤란하다.
슬래그의 점도 실험식은 온도에 강한 상관성을 보이는데 실제 고로의 온도가 어느 정도 인지 구체적으로 알 수 없기 때문에 온도를 가정한 것이 오차가 커지게 된다. 따라서, 온도를 실측하게 되면 이러한 오차를 줄일 수 있지만 슬래그 온도의 계측은 특수한 푸르브나 기술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일상 계측한 것은 경제적으로도 기술적으로도 곤란하다.
슬래그의 점성은 자신의 융점보다 고온영역에서는 유동성이 높기 때문에 점성관리 큰 의미는 없으나, 융점근방에서 응고 핵(核)이 정출하기 시작하는 온도에서 급격히 점성이 상승되기 때문에 이를 정확히 예측하는 방법이 슬래그의 유동성 관리에 중요하다. 고로 슬래그 재화 단계는 크게 나누어 연화 융착대에서의 "보쉬(bosh) 슬래그 형성"과 노심에서의 코크스 및 미분탄 취입(PCI)에 기인한 재(ash) 성분에 의한 “노심 슬래그 재화”, 그리고 노저부에서의 환원 반응을 포함한 “슬래그 출재”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슬래그 재화의 초기에 해당하는 보쉬 슬래그는 소결광의 조성과 산화철의 환원반응, 그리고 온도에 따라 성분과 점성이 크게 변화할 뿐만 아니라 연화 융착대에서의 통액성을 지배하는 가장 중요한 반응인자이다. 현재 소결광의 염기도는 C/S=1.5-1.0 수준으로 출재 슬래그의 C/S=1.0-1.3 수준과 크게 다를 뿐만 아니라 보쉬부에서의 FeO 환원에 따라 슬래그 물성은 크게 변화하게 된다. 보쉬부의 슬래그는 CaO(+MgO)-SiO2(+Al2O3)-FeO의 5원계 슬래그로서 FeO의 환원 및 소결광과 부 원료의 첨가량에 따라 2CaO·SiO2(dicalcium silicate)와 같은 고 융점 화합물의 생성에 의한 점성 증가의 가능성이 예측된다.
또한, 최근 부원료의 사용량 감소에 의한 슬래그 감소기술의 적용은 상대적인 FeO 농도의 증가뿐만 아니라 기타 슬래그 성분의 조성 변동을 야기함으로써 보쉬 부에서의 슬래그 점성과 통기성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2단계에 해당하는 노심 슬래그는 산화철 환원에 의한 보쉬(bosh) 슬래그와 연료인 코크스 및 미분탄 취입에 기인한 재(ash) 성분의 혼합, 최종적인 (FeO) 환원에 의한 슬래그 조성 변화가 예상된다. 이는 주된 재(ash) 성분인 SiO2와 Al2O3의 첨가에 의해 CaO-SiO2-Al2O3-MgO를 기본으로 하는 4원계 슬래그에 저 농도의 (FeO)가 포함된 슬래그로서 염기도의 변화가 노심에서의 통액성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정된다.
마지막 단계에 해당하는 노저부 슬래그는 CaO-MgO-SiO2-Al2O3의 4원계 슬래그로서 C/S=1.0-1.3, Al2O3=12-16%, MgO=4-10%의 조성 범위를 나타내고 있다. 노저 슬래그의 점성은 출재 특성을 결정하는 인자로 볼 수 있으며, 특히 슬래그 발생량의 감소는 이러한 최종 슬래그 조성을 변동시킴으로써 그에 따른 점성 평가는 주요한 조업 인자로 평가된다.
따라서, 고로 조업 효율에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인 통기성과 통액성은 반응 단계별 슬래그 재화 거동과 생성 슬래그의 유동성에 의해 큰 영향을 받는다는 점에서 반응 단계별 슬래그의 점성 예측은 고로 안정조업과 생산성 향상을 위한 조업 조건 도출에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최근 적용되는 슬래그 감소 조업을 위한 소결광 조성 및 부원료 첨가량의 최적화를 위해서는 로내 반응을 고려한 슬래그 점성 평가를 통한 원료 및 조업 조건의 최적화가 요구된다.
이와 같은 로내 반응 단계별 슬래그 점성예측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이에 관한 연구는 주로 슬래그의 출재를 고려한 노저 슬래그 조성에 국한 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료 조건과 로내 반응을 고려한 단계별 고로 슬래그의 점성을 실험적으로 측정하고 이를 예측할 수 있는 슬래그 점성에 관한 이론적 추정식을 구축함으로써 이를 통해 노 하부의 통기, 통액성 악화를 사전에 방지하여 노황의 건전성 유지 및 안정조업 유지로 연료비의 저하를 가져와 미분탄 취입량의 증대와 슬래그 량 감소에 따른 경제적 이익 및 고로 통기성 유지를 통해 안정적인 조업유지와 연료비의 상승을 억제시키는 경제적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고로 조업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제 1도는 본 발명에 의하여 측정된 용융슬래그의 염기도에 따른 점도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도;
제 2도는 10% Al2O3를 포함한 CaO-SiO2-Al2O3-MgO 계 슬래그의 평형 상태도;
제 3도는 본 발명에 의하여 측정된 액상에서의 2CaO·SiO2의 활동도와 슬래그의 점성변화와의 관계도;
제 4도는 본 발명에 의하여 측정된 F함수로 나타낸 슬래그 점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로 상부의 슈트를 통해 광석과 코크스를 교대로 장입하는 고로 조업에 있어서, 노하부에 발생되는 고로 슬래그의 최초의 결정상의 성상을 2CaO·SiO2로 가정하고, 이의 생성에 필요한 평형식을 구하며, 이를 통해 슬래그중의 포화 량과 C2S의 활동도와의 비를 점성 값으로 정의하여 점성 예측식을 구하며, 상기 점성 예측식을 활용하여 노내 슬래그의 점성을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조업 방법을 마련함에 의한다.
본 발명은 용융 슬래그의 점성 흐름메카니즘(Mechanism)를 제안하기 위해 도1에 CaO-SiO2-Al2O3-MgO-FeO (Al2O3=10-15%, MgO=5-7%, FeO= 0-5%) 슬래그의 점도를 1450 및 1425℃에서 각각 측정하여 염기도의 함수로 나타내었다. 그림에서 다른 측정자들의 결과를 같이 게재하며 비교하였다. 슬래그의 염기도 C/S=1.3을 기준으로 점성은 최소값을 보이고 있으며, 이보다 저 염기도 영역에서는 염기도 감소에 따른 점도의 증가를, 고 염기도 영역에서는 염기도 증가에 따른 점도의 증가를 나타내고 있다. 이로부터 슬래그의 점성흐름 거동은 염기도에 크게 의존하며, 약 C/S=1.3의 염기도를 기준으로 산성 및 염기성 영역에서의 점성 흐름기구가 상이할 것으로 예측된다.
일반적으로 산성 실리케이트(silicate) 슬래그는 [SiO4] 4면체 유니트(tetrahedra unit)의 꼭지점과 꼭지점이 연결됨으로써 3차원 망(network) 구조를 형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기에 CaO와 같이 망 파괴자(network breaker)로 작용하는 슬래그 성분의 첨가는 다음과 같은 슬래그 구조의 해리 반응을 야기한다.
(1)
(2)
슬래그 구조적으로는 임의의 실리케이트 폴리-애니언(silicate poly-anion) (Si2O7 6-, Si3O9 6-, Si4O12 8-등)은 염기성 산화물의 해리로부터 공급된 O2-이온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자유 에너지가 낮은 안정한 상태로 (열역학적 평형상태) 가기 위해 더 작은 구조격자(structure unit)로 해리되고자 한다. 보다 작은 구조격자로 해리됨으로써 주변에 분포하는 임의의 구조격자와의 상호작용에 기인한 마찰력의 크기는 감소하므로, 이와 같은 슬래그 구조의 해리 반응기구를 통하여 용융 슬래그의 유동성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 점성 흐름을 위한 주된 구동력은 슬래그의 염기도임을 알 수 있으며, 슬래그의 염기도가 클수록 점성 흐름은 용이하게 된다. 한편, 염기도(C/S)>1.3의 염기성 슬래그에서는 위에서와 같은 슬래그 구조의 해리 반응에 기인한 구조격자(structure unit)의 흐름에 의해 슬래그의 유동성이 결정된다고 볼 수 없으며, 많은 연구자들이 고 염기성 슬래그에서 염기도 증가에 따른 점성의 증가는 C2S와 같은 제 2의 결정상 석출에 의한 고/액 공존 상태가 되므로 이들 입자들이 슬래그의 겉보기 점도를 증가시키는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S. Wright, L. Zhang, 등이 Metall. Mater. Trans. B, vol. 31B, (2000), pp.97-104에서 보고한 바 있다. 그러나 열역학적 관점에서는 반드시 결정상이 석출하지 않는 조건에서도 용융 슬래그중 석출 가능 결정상의 안정도에 따라 석출의 구동력은 증가할 수 있으며, 석출 구동력의 증가는 슬래그 점성의 증가를 야기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이를 2CaO·SiO2(이하 C2S로 표현)의 경우를 예로 들어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3)
식 (3)으로 부터 용융 슬래그 중 C2S의 활동도는 a2 cao과 asio2의 곱에 비례하며, 특히 CaO의 활동도 의존성이 더 큼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들 활동도는 MgO 및 Al2O3등의 타 성분의 영향을 받게 된다. 결과적으로 염기성 산화물인 MgO 농도 증가로 인한 CaO 활동도의 증가, 또는 Al2O3가 산성 산화물로 작용할 경우, Al2O3농도 증가로 인한 SiO2의 활동도 증가 등의 변화가 생길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CaO 활동도에 미치는 MgO의 영향이 비교적 큼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결정되는 C2S의 열역학적 안정도에 의해 용융 슬래그 중 C2S의 포화 용해도가 정해지며, 비교적 고염기성 영역에서 C2S의 포화 용해도는 곧 슬래그 융체의 과열도(super heat)를 좌우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고상 화합물의 융점으로부터 과열도 100℃ 이상에서는 슬래그 융체의 열적 안정성은 비교적 균일하여 고상 화합물의 영향이 비교적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그 이하의 과열도에서는 고상 화합물의 융점과 슬래그 융체간의 온도차가 적어 슬래그는 용융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구조적 불 균일성을 포함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슬래그의 염기도가 증가하여 C2S의 포화 용해도 조성에 가까워질수록 슬래그의 점도는 증가하게 된다. 고로 노내 슬래그는 고 염기도(C/S>1.3)영역에 있으므로 노내 슬래그의 유동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이 영역에서의 슬래그 예측이 필요하다. 따라서 고 염기성 영역에서의 점성예측에 적용 가능한 관계식의도출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C/S>1.3인 슬래그에서는 2CaO·SiO2와 같은 고융점의 결정상들이 석출할 가능성이 크며, 그에 따른 열역학적 고찰이 필요하다. 그러나 도 2에 나타낸 상태도로부터 알 수 있듯이 고로 슬래그의 C/S>1.3에 해당하는 조성에서 석출 가능한 고온 안정화합물은 C2S로 판단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C/S>1.3 조성의 고 염기성 슬래그의 점도 해석을 위해 슬래그 중 2CaO·SiO2의 열역학적 거동을 고찰하였다. 2CaO·SiO2의 생성반응은 식 (3) 으로 주어지므로 온도가 일정할 경우, a2cao.sio2는 a2 cao·asio2에 비례할 것이다. 이는 슬래그 염기도의 증가로 인한 CaO의 활동도 증가, 즉 2CaO·SiO2의 활동도 증가를 야기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이에 따른 슬래그의 점도는 다음 식 (4)와 같이 C2S의 석출 구동력을 증가시키는 항인 슬래그 중 2CaO·SiO2의 활동도와 석출 구동력을 억제하는 항인 슬래그 중 2CaO·SiO2의 포화 용해도를 좌우하는 인자의 상대적 비로 표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
따라서, 슬래그 중 각 성분의 활동도 및 C2S의 활동도를 정량적으로 도출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의 슬래그에서 비교적 타당하게 적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S. Banya 가 ISIJ Int. vol. 33, (1993), pp.2-11 에서 제시한 정규용액(regular solution) 모델을 적용하였다. 즉, 슬래그 중 2CaO·SiO2의 열역학적 거동을 정량적으로 고찰하기 위해 CaO-SiO2-Al2O3-MgO-FeO 슬래그에서 각 성분의 활동도를 도출하고자 정규 용액(regular solution) 모델을 적용하였다.
(5)
여기서, αij는 양이온 i와 j 사이의 상호작용력을 의미하며,I'는 가상적인 정규 용액(regular solution)과 실제 용액(real solution)간의 활동도의 변환 인자를 의미한다.
표 1과 표 2에 본 슬래그에서 각 성분들의 상호작용력과 활동도의 변환 인자를 나타내었다.
표1. 고로 슬래그중 주요 성분간의 상호작용 에너지.
표 2 활동도 변환 인자
이와 같이 정규 용액 모델을 이용하여 슬래그 중 각 성분의 활동도를 계산할 수 있으며, 도출된 CaO와 SiO2의 활동도로부터 식 (3)을 이용하여 2CaO·SiO2의 활동도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2CaO·SiO2의 활동도가 점성에 미치는 영향은 정규 용액 모델을 이용하여 도출한 2CaO·SiO2의 활동도와 1723K에서 측정된 슬래그 점성과의 관계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슬래그 중 C2S의 활동도가 증가함에 따라 슬래그의 점성은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전술한 슬래그 점도와 2CaO·SiO2의 활동도 간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C/S>1.3의 고 염기성 슬래그의 점성 흐름기구로서 고 융점 화합물의 석출 가능성을 반영하는 것이 타당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슬래그의 점도는 전술한 바와 같이 C2S의 석출 구동력을 증가시키는 항과 석출 구동력을 억제하는 항의 상대적 비를 나타내는 식 (4)로 표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점성 예측식의 도출을 위해서 슬래그의 점성과 2CaO·SiO2의 열역학적 거동과의 상관관계로부터 염기도 C/S>1.3의 고 염기성 슬래그의 점성 예측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즉, 식 (4)에서 2CaO·SiO2의 포화 용해도를 감소시키는 성분인 MgO 및 Al2O3의 활동도와 점성을 감소시키는 FeO의 활동도를 고려하여, 슬래그의 점성은 각 성분의 활동도의 함수로서 식 (6)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6)
따라서, 본 발명에서 측정된 점도와 일정한 상관관계를 갖는 변수 F를 다음 식(7)과 같이 정의하였다.
(7)
식(7)에서 우변의 두 번째 항은 특정 슬래그의 염기도에 따른 (C/S) 슬래그 고유의 특성 함수를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노상 경(hearth diameter) 13.2 m 와 노 내용적 3800㎥ 인 고로 조업중 미분탄 취입량이 150kg/T-pig를 일상적으로 취입하는 고로를 대상으로 하는 조업에서 보쉬 영역에서의 점도를 추정하기 위해 염기도를 1.3~1.6까지 변동시키는 조건에서 아래의 표3과 같은 조건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에서는 점도 측정값으로 20 poise에 이르는 온도를 측정하여 기록하였는데, 이는 앞서 언급한 대로 결정상이 석출하기 시작하는 온도이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는 2CaO·SiO2상의 석출 시작점으로 추정하고 있다. 앞서서 정의된 식(7)과 실험을 통해 측정된 점성과의 상관관계를 도식하면 도 4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도면에 나타낸 대로 1.6>C/S>1.3의 슬래그 조성에서 점성 예측식은 다음과 (8)식과 같이 도출할 수 있었다.
표3. 보쉬슬래그 점도추정을 위한 실험조성 및 조건
(8) (r2=0.8, 1.3<C/S<1.6)
즉, 고로 상부의 슈트를 통해 광석과 코크스를 교대로 장입하는 고로 조업에 있어서, 광석에 의해서 유입되는 맥석류의 성분변동에 따른 고로 노내 슬래그의 유동성을 평가하기 위해 장입 계산에 의한 각 성분(CaO, SiO2, FeO, MgO 및 Al2O3)의 농도를 알고 있으면 해당영역에서의 점성을 예측할 수 있어서 이를 고로내 슬래그 유동성 관리에 활용할 수 있다. 이 때 노하부에 발생되는 고로 슬래그의 최초의 결정상의 성상을 2CaO·SiO2로 가정하고, 이의 생성에 필요한 평형식을 구하며, 이를 통해 슬래그중의 포화량과 C2S의 활동도와의 비를 점성 값으로 정의하여 점성 예측식을 구하며, 상기 점성 예측식을 활용하여 노내 슬래그의 점성을 추정하여 고로조업의 효율화를 꾀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때 점성 예측식은 장입계산에 의한 노내 염기도(C/S)의 영역이 1.3에서 1.6 사이와 슬래그의 구성 성분에 대한 중량비로 Al2O3가 10%, FeO 5~20%, MgO가 5~10%이내의 조성범위를 갖는 구간에서의 점도를 추정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제 4도에서 알 수 있듯이, 이때 실험적으로 확인된 각 성분이 슬래그중 석출구동력을 나타내는 식 (6)을 정리한 식(7)에 의해 정의된 F 값으로 나태낸 결과 구성슬래그의 성분과 석출상의 출현가능성에 대한 상관도도 0.8에 이르는 비교적 정확한 예측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실제조업에서는 F로 표현되는 각성분의 분포에 따라 동일한 조업온도에서도 고상석출물의 출현에 대한 구동력 증가로 노내 슬래그의 유동성이 악화되는 것을 예측할 수 있으므로 장입물의 성분입량분포를 통해 고로 하부 슬래그의 유동성 제어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안한 노내 슬래그의 성분에 의해서 점도를 용이하게 추정할 수 있는 방법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노내 슬래그의 점성추정에 있어서 최초의 결정상의 성상을 2CaO·SiO2로 가정하고 이의 생성에 필요한 평형식을 구하고 이를 통해 슬래그중의 포화 량과 C2S의 활동도와의 비를 점도 값으로 정의하여 상관관계를 통해 측정 점도와의 일정상관관계를 갖는 변수 F를 통해 점도를 추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노 하부의 통기, 통액성 악화를 사전에 방지하여 노황의 건전성 유지 및 안정조업 유지로 연료비의 저하를 가져와 미분탄 취입량의 증대와 슬래그 량 감소에 따른 경제적 이익 및 고로 통기성 유지를 통해 안정적인 조업유지와 연료비의 상승을 억제 시키는 경제적 효과를 기대 할 수 있다.

Claims (3)

  1. 고로 상부의 슈트를 통해 광석과 코크스를 교대로 장입하는 고로 조업에 있어서, 노하부에 발생되는 고로 슬래그의 최초의 결정상의 성상을 2CaO·SiO2로 가정하고, 이의 생성에 필요한 평형식을 구하며, 이를 통해 슬래그중의 포화 량과 C2S의 활동도와의 비를 점성 값으로 정의하여 점성 예측식을 구하며, 상기 점성 예측식을 활용하여 노내 슬래그의 점성을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조업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성 예측식은 염기도(C/S)의 영역이 1.3에서 1.6 사이와 중량비로 Al2O3가 10%, FeO 5~20%, MgO가 5~10%이내의 조성범위를 갖는 고로 슬래그의 점도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조업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성 예측식은이며, 여기서 F는
    의 함수식으로 표현되는 고로 슬래그의 점도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조업 방법.
KR20010084734A 2001-12-26 2001-12-26 고로 조업방법 KR100805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84734A KR100805015B1 (ko) 2001-12-26 2001-12-26 고로 조업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84734A KR100805015B1 (ko) 2001-12-26 2001-12-26 고로 조업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4558A true KR20030054558A (ko) 2003-07-02
KR100805015B1 KR100805015B1 (ko) 2008-02-20

Family

ID=32213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10084734A KR100805015B1 (ko) 2001-12-26 2001-12-26 고로 조업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501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63146A (zh) * 2020-07-21 2020-10-30 张家港宏昌钢板有限公司 一种高铝高炉渣粘度的预测方法
CN113189086A (zh) * 2021-04-12 2021-07-30 东北大学 一种测定高铝型高炉渣中MgO活度的方法
CN113761477A (zh) * 2021-08-30 2021-12-07 重庆赛迪热工环保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熔渣黏度预测与成分控制模型的构建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8220A (ja) * 1996-09-12 1998-04-07 Kawasaki Steel Corp 製鋼スラグの水浸膨張性の低減方法
JPH10121121A (ja) * 1996-10-14 1998-05-12 Kawasaki Steel Corp 製鋼スラグの水浸膨張性の低減方法
KR19980034487A (ko) * 1996-11-07 1998-08-05 김종진 고로 슬래그 점도 추정방법
KR100352588B1 (ko) * 1997-06-20 2002-11-13 주식회사 포스코 용융가스화로슬래그의점도추정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63146A (zh) * 2020-07-21 2020-10-30 张家港宏昌钢板有限公司 一种高铝高炉渣粘度的预测方法
CN113189086A (zh) * 2021-04-12 2021-07-30 东北大学 一种测定高铝型高炉渣中MgO活度的方法
CN113761477A (zh) * 2021-08-30 2021-12-07 重庆赛迪热工环保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熔渣黏度预测与成分控制模型的构建方法
CN113761477B (zh) * 2021-08-30 2023-07-18 重庆赛迪热工环保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熔渣黏度预测与成分控制模型的构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5015B1 (ko) 2008-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ippenaar Industrial uses of slag (the use and re-use of iron and steelmaking slags)
CN101984088B (zh) 利用转炉渣和铝渣制备预熔精炼渣的方法
Hu et al. A model for estimating the viscosity of blast furnace slags with optical basicity
He et al. Iron transformation behavior in coal ash slag in the entrained flow gasifier and the application for Yanzhou coal
Halim et al. Blast furnace operation with natural gas injection and minimum theoretical flame temperature
Yan et al. Viscosity of iron oxide aluminosilicate melts
Qi et al. Effect of rare earth oxide on the crystallization behavior of CaO-Al2O3-based mold flux for rare earth heat-resistant steel continuous casting
Semenov et al. Measures for preventing disruption in the blast furnace operation under use of pulverized coal
KR100805015B1 (ko) 고로 조업방법
Cao et al. Measurement and simulation of viscosity characteristics of coal ash slag under water vapor condition in coal gasification
CN103643056A (zh) 低碳锰铁的冶炼方法
Pfeifer et al. Thermodynamic analysis of EAF electrical energy demand
CN109929965A (zh) 一种控制炼钢精炼渣的粉化及回用的方法
Guo et al. Improved slag corrosion resistance of MgO–C refractories with calcium magnesium aluminate aggregate and silicon carbide: Corrosion behavior and thermodynamic simulation
Liu et al. Effect of Al 2 O 3 and SiO 2 addition on the viscosity of BOF slag
Muravyova et al. Prediction of composition and properties of final smelting products based on integral indices of the blast furnace burden and temperature blasting mode
Kurunov et al. Analysis of the behavior of alkalis in a blast furnace
Yin et al. The study on the reconstruction and evolution pathway of free lime by hot stage mixing molten ironmaking and steelmaking slags in a laboratory
JP2016132809A (ja) 溶銑の脱燐処理方法
Kirowitz et al. Electric melting furnaces for green steel transformation of integrated steel plants–requirements, challenges, and solutions from a refractory perspective
CN105177213A (zh) 铸造用热装铁水的预处理方法
Steinberg Development of a control strategy for the open slag bath furnaces at Highveld Steel and Vanadium Corporation Ltd
CN103031399A (zh) 一种转炉化渣的调控生产方法
e Silva An overview of the use of CALPHAD methods in steelmaking
Ubieto Energy system analysis in the Swedish iron and steel indust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