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3125A - 폐 마그카본 내화물을 이용한 내화조성물 - Google Patents

폐 마그카본 내화물을 이용한 내화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3125A
KR20030053125A KR1020010083165A KR20010083165A KR20030053125A KR 20030053125 A KR20030053125 A KR 20030053125A KR 1020010083165 A KR1020010083165 A KR 1020010083165A KR 20010083165 A KR20010083165 A KR 20010083165A KR 20030053125 A KR20030053125 A KR 200300531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actory
waste
mgo
composition
phenol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3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5711B1 (ko
Inventor
조용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83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5711B1/ko
Publication of KR20030053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3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5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57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01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 C04B35/03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magnesium oxide, calcium oxide or oxide mixtures derived from dolomite
    • C04B35/04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magnesium oxide, calcium oxide or oxide mixtures derived from dolomite based on magnesium 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515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non-oxide ceramics
    • C04B35/52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non-oxide ceramics based on carbon, e.g. graphi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20Resistance against chemical, physical or biological attack
    • C04B2111/28Fire resistance, i.e. materials resistant to accidental fires or high tempera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04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using waste materials or refus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6Preparing or treating the powder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preparing or treating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for ceramic products, e.g. fibres; mechanical aspects section B
    • C04B35/63Preparing or treating the powder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preparing or treating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for ceramic products, e.g. fibres; mechanical aspects section B using additiv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the products, e.g.. binder binders
    • C04B35/632Organic additives
    • C04B35/634Poly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eramic Products (AREA)
  • Furnace Housings, Linings, Walls, And Ceilings (AREA)

Abstract

폐 마그카본 내화물을 이용한 내화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내화조성물은, 중량%로, MgO-C질 폐내화물의 분쇄물: 95%이하, 규산소다: 3~7% 및 헥사메타인산소다: 2~5%로 이루어진 기본 원료원료조성에, 액상 페놀레진 15-20중량%를 외삽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내화조성물은 시공성, 소성강도 및 열간강도가 우수하여 고로 노체의 압입보수재로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폐 마그카본 내화물을 이용한 내화조성물{The refractory material composed by using magnesia carbon brick}
본 발명은 MgO-C질 폐내화물을 이용한 고로노체의 압입보수재용 내화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그네시아-탄소질 폐내화물의 분쇄물에 열경화성 바인더인 규산소다와 페놀레진등을 적정량 혼합함으로써 그 시공성, 소성강도 및 열간강도가 우수한 노체의 압입보수재용 부정형 낼하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제철공정에서는 전로, 혼선차, 래들, 턴디쉬, RH 설비등의 내장내화재로서 Al2O3-SiC-C 연와 , MgO-C계 연와, 알루미나-스피넬질 유입재, 알루미나-실리카질 유입재, MgO계 연와, MgO-Cr2O3계 연와등 각종의 내화물이 사용되고 있다.
이들 내화물들은 일정기간 사용한후 신품의 내화물로 교체하는데, 그때, 사용후 잔존하는 폐내화물이 다량 발생한다. 이렇게 발생된 폐내화물의 대부분은 매립장에 매립하여 처리하는 것이 대부분이나, 폐내화물을 매립지에 매립하면 환경오염이 수반될 수 있으며, 아울러 매립지도 부족한 상태이다. 따라서 제철공정에서나온 탄소함유 폐내화물을 다시 제철공정에 활용할 수 있으면, 내화물 사용경비의 절감측면과 자원의 재활용 측면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하겠다.
따라서 이러한 폐내화물을 재활용하여 고로 보수용 유계 압입재로 이용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으며, 그 일예로서 대한민국 특허출원 번호1999-0035043호를 들 수 있다.
상기 특허출원서에는 98% 이상의 소결 알루미나, 천연 보크사이크, 실리카 초미분, 알루미나 시멘트 및 미량의 헥사메탄인산소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고로 출선구 주변 압입재 조성물을 제시하고 있으나, 용선제조시 고로에서의 슬래그는 염기성을 가지기 때문에 산성 내화물인 알루미나를 주요 골재로 하는 상기 조성물을 압입재로 이용할 경우, 내식성이 저하하는 결과를 가져와 빈번한 압입을 필요로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상기 특허는 제철공정에서 발생하는 폐내화물의 이용과는 무관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철공정의 전로 또는 래들에서 다량으로 발생되는 폐 MgO-C질 분쇄물을 주원료로 하고, 여기에 규산소다와 페놀레진등을 적정량 혼합함으로써 시공성, 소성강도 및 열간강도가 우수한 고로 노체의 유계 압입보수재용 부정형 내화물조성물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중량%로, MgO-C질 폐내화물의 분쇄물: 95%이하, 규산소다: 3~7% 및 헥사메타인산소다: 2~5%로 이루어진 기본 원료원료조성에, 액상 페놀레진 15-20중량%를 외삽하여 이루어지는 고로노체의 압입보수재용 내화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내화물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고로 노체용 유계 압입재는 전로나 래들에서 내장내화물로 사용후 폐기물로 발생되는 마그네시아-탄소질 폐 내화물을 일정 크기로 분쇄하여 만든 재활용 내화원료를 부정형 내화조성물 전체에 대해 차지하는 비율이 95중량% 이하가 되게 혼합하며, 나머지는 열경화성 바인더인 무기계 규산소다와 유계 피치 또는 액상 페놀레진으로 구성된다.
전로에서 발생된 폐 내화물의 가동부에는 슬래그나 지금같은 불순물 부착 및 열작용에 의해 약간 변질된 상태이지만, 이물질 제거후 재활용시에도 고온에서 내용성은 기존의 산중성 압입재인 알루미나계 보다 우수한 특성을 보이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MgO-C질 폐내화물을 노벽 해체시 연와의 가동부에 부착된 슬래그 성분, 구체적으로 SiO2, Fe2O3, CaO등이 함유된 부위는 물리적인 힘을 가하여 제거한후 변질이 되지 않은 부문만 회수하여 재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MgO-C질 폐내화물은 압입재로서 요구되는 입도를 맞추기 위하여 죠크러셔, 볼 밀(ball mill) 및 flat mill 등을 이용하여 2~3차로 분쇄하는데, 이때 그 입경을 3mm 이하로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만일 큰 입경의 골재가 사용되면 압입작업시 노즐막힘이 발생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며, 이때, 파쇄물의 성상은 별도의 구체화가 필요치 않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이러한 폐내화물 분쇄물의 첨가량은 95중량%이하로 제한한다. 압입재의 시공성과 조벽성(단단한 벽체를 반드는 성질) 및 내마모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폐 내화물의 분쇄물을 많이 사용하는 것이 본 발명의 취지에 부합하나, 만일 95%이상 사용하면 시공성과 조벽성이 나빠지며, 무기바인더인 규산소다의 첨가량이 적어지기 때문에 강도저하 등의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MgO-C질 폐내화물 분쇄물에 부원료인 규산소다와 헥사메타인산소다를 혼합하여 기본 원료조성을 제조한다. 이러한 부원료들은 폐내화물의 분쇄물을 내화원료로 이용시 압입보수재의 특성을 더욱 좋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구체적인 부원료의 사용범위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먼저, 규산소다는 열경화성 결합제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그 첨가량을 3~7%로 제한한다. 고로노체에 압입된 압입재는 고로내부의 고열(800-1000℃)에 의해 경화되어 고로 벽체를 형성하게 하는데, 만일 규선소가 첨가량이 3%미만이면 조벽성이 부족한 반면, 7%를 초과하면 압입재의 열간특성이 저하되어 내구성의 효과가 미흡하기 때문니다.
그리고 헥사메타인산소다는 마그네시아와 반응하여 결합강도를 높여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그 첨가량을 2~5%로 제한한다. 만일 그 첨가량이 2% 미만이면 첨가효과가 미흡하며, 5%를 초과하면 열간강도를 저하시키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마련된 기본원료조성에 유기 바인더를 외삽첨가하는데, MgO-C질 폐내화물의 분쇄물중 [C]은 물과의 혼련이 어렵기 때문에 압입시 적정 유동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물이 아닌 액상의 페놀레진 유기바인더를 외삽첨가하여 유동도를 유지시킬 필요가 있다.
열경화성 유기바인더인 액상 페놀레진은 수계 압입재에서 사용하는 물대신 사용하는 것으로 [C]첨가 내화물에서 압입시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열간에서는 경화되어 재료에 강도를 부여하게 된다. 또한 600℃ 이상이 되면 휘발분은 휘발되고, 잔류탄소가 남아 [C]결합을 유도하여 결합력을 부여하게 됨으로서 강도향상 및 조벽성에 긍정적인 도움이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액상 페놀레진을 상기 기본원료조성 100중량%에 대하여 외삽으로 15-20중량% 첨가할 것이 요구된다. 만일 액상 페놀레진의 첨가량이 15중량% 미만이면 재료의 유동성이 부족하여 압송펌프에 심한 부하가 걸려, 고로노벽에 압입시공이 불가능해진다. 또한 20중량%를 초과하면 휘발분이 많아져 압입시공체의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경제성도 떨어진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전로용 MgO-C계 폐내화물을 회수후 표면의 이물을 제거한후 분쇄하여 3mm이하의 입도를 가진 분쇄물을 제조하였다. 표1 과 같은 조성의 압입재에 대해 액상 페놀레진을 15-20%를 첨가한후, 혼련하여 시편성형, 각 온도에서 열처리한후 물성을 측정하였다.
압입재의 시공성은 flow tap을 이용 15회 진동후 재료의 퍼짐성(직경)을 측정하여 비교했다. 물성중 열간 곡강도의 측정은 40x40x160mm 크기의 시편으로 500,1000,1200℃ 고온에서 각기 실시하였다.
발명예 비교예
1 2 3 1 2 3 4 5
MgO-C질 폐내화물의 분쇄물(-3mm) 95 91 92 88 95 95 96 91
규산소다 3 7 3 10 3 3 3 3
헥사메타인산소다 2 2 5 2 2 2 1 6
액상 페놀레진 (+15) (+15) (+20) (+15) (+25) (+10) (+15) (+12)
유동도(mm) 170 170 180 170 200 120 170 150
곡강도(kg/mm2) 500℃×3h 15 20 18 25 15 14 10 20
1000℃×3h 16 18 16 25 10 15 11 18
1200℃×3h 18 20 15 20 8 8 12 22
열간강도(kg/cm2)at 1100℃ 10 8 8 3 3 3 4 3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 조성범위가 적절하게 제어된 본 발명예(1~3)은모두 유동도 뿐만 아니라 열간강도와 곡강도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비교예(1)은 부원료인 규산소다의 사용량이 본 발명범위를 벗어난 경우로서 열간에서 규산소다의 용융으로 액상생성량이 과도하여 열간 곡강도가 저하되었다.
또한 비교예(2~3)은 페놀레진의 첨가량이 본 발명범위를 벗어난 경우로서, 비교예(2)는 유동성은 높으나 소성강도 및 열간강도가 저하되었으며, 비교예(3)은 페놀레진의 첨가량이 부족한 것으로 시공자체에 문제가 발생하였다.
그리고 비교예(4~5)는 헥사메타인산소다의 첨가량이 벗어난 경우로서 소성강도 및 열간강도의 저하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폐MgO-C질 분쇄물을 주원료로 하고, 여기에 규산소다와 페놀레진등을 적정량 혼합함으로써 시공성, 소성강도 및 열간강도가 우수한 고로 노체의 유계 압입보수재용 부정형 내화물의 제조에 유용하며, 아울러 이러한 재생 압입재를 고로노체에 압입시 재료비 절감 뿐 아니라 폐기물의 재활용이라는 부수적인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중량%로, MgO-C질 폐내화물의 분쇄물: 95%이하, 규산소다: 3~7% 및 헥사메타인산소다: 2~5%로 이루어진 기본 원료원료조성에, 액상 페놀레진 15-20중량%를 외삽하여 이루어지는 고로노체의 압입보수재용 내화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폐내화물 분쇄물의 입경이 3mm 이하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노체의 압입보수재용 내화조성물.
KR1020010083165A 2001-12-22 2001-12-22 폐 마그카본 내화물을 이용한 내화조성물 KR100605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3165A KR100605711B1 (ko) 2001-12-22 2001-12-22 폐 마그카본 내화물을 이용한 내화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3165A KR100605711B1 (ko) 2001-12-22 2001-12-22 폐 마그카본 내화물을 이용한 내화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3125A true KR20030053125A (ko) 2003-06-28
KR100605711B1 KR100605711B1 (ko) 2006-08-01

Family

ID=29577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3165A KR100605711B1 (ko) 2001-12-22 2001-12-22 폐 마그카본 내화물을 이용한 내화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571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821B1 (ko) * 2013-04-12 2014-09-26 (주)포스코켐텍 폐내화물을 이용한 열간 보수용 MgO-C계 부정형 내화재 및 그 제조방법
CN108147792A (zh) * 2017-12-29 2018-06-12 江苏苏嘉集团新材料有限公司 一种水结合的镁碳砖及其制备方法
CN116410010A (zh) * 2023-05-10 2023-07-11 杨国成 一种低密度耐火材料的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8721B1 (ko) 2014-04-23 2016-01-26 주식회사 동일 알앤이 마그네시아-카본질 내화물 재활용 장치 및 방법
KR102465951B1 (ko) 2022-03-24 2022-11-11 주식회사 위드엠텍 폐마그카본계 내화물로부터 그라파이트를 분리하는 방법 및 그 그라파이트를 이용한 팽창그라파이트 제조방법
KR102511052B1 (ko) 2022-09-26 2023-03-17 주식회사 위드엠텍 카본 함유 폐자원으로부터 카본 분리부상 회수방법 및 그 회수된 카본을 이용한 팽창흑연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9331A (ja) * 1998-01-12 1999-07-27 Kawasaki Refract Co Ltd 熱間焼き付け補修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821B1 (ko) * 2013-04-12 2014-09-26 (주)포스코켐텍 폐내화물을 이용한 열간 보수용 MgO-C계 부정형 내화재 및 그 제조방법
CN108147792A (zh) * 2017-12-29 2018-06-12 江苏苏嘉集团新材料有限公司 一种水结合的镁碳砖及其制备方法
CN116410010A (zh) * 2023-05-10 2023-07-11 杨国成 一种低密度耐火材料的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5711B1 (ko) 2006-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13211A (zh) 一种利用废弃高炉主沟料制造的再生浇注料
CN104478443A (zh) 一种干式低碳环保炮泥及其制作方法
KR100605711B1 (ko) 폐 마그카본 내화물을 이용한 내화조성물
CN109851333B (zh) 高炉主铁沟用纳米溶胶结合耐磨板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4193359B (zh) 一种不锈钢钢包专用刚玉自流浇注料及其施工方法
KR101927710B1 (ko) 강도가 강화된 밀 스케일 브리켓
CN1715245A (zh) 一种钢包永久衬自流型泵送湿法喷涂高铝耐火材料
US20140371051A1 (en) Dry-sprayable unshaped refractory material
KR100478143B1 (ko) 탄소 함유 폐내화물을 이용한 고로노체 보수용 유계 압입재 조성물
KR20020049910A (ko) 폐내화물을 이용한 고로노체보수용 수계 압입재 조성물
KR101705231B1 (ko) 폐마그크로 내화물을 이용한 전로 출강구용 고강도 플러그의 내화조성물
KR100259979B1 (ko) 정련로 보수용 스프레이재
WO2015060667A1 (ko) 초속경 도로보수용 몰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478142B1 (ko) 폐윤활유를 이용한 고로노체 보수용 유계 압입재 조성물
CN113735570B (zh) 一种半干式镁质捣打料
KR102488622B1 (ko) 폐주물사를 포함하는 모르타르 조성물
JP4355486B2 (ja) 廃棄物溶融炉用不定形耐火物およびそれを内張りした廃棄物溶融炉
JPH04349153A (ja) 水硬性複合路盤材
KR100240752B1 (ko) 열간분무보수재
JP2011184221A (ja) 硬化性組成物
JP4470372B2 (ja) 黒鉛含有不定形耐火材料
KR100910529B1 (ko) 폐 마그크로 내화물을 이용한 열간 스프레이재 내화조성물
KR100276255B1 (ko) 내침식성이 우수한 분무 보수재
EP0798279A1 (en) Wet-gunning method
KR100569207B1 (ko) 염기성 습식 스프레이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