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2389A - 코터의 자기롤 자기장 방향 가변장치 - Google Patents

코터의 자기롤 자기장 방향 가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2389A
KR20030052389A KR1020010082322A KR20010082322A KR20030052389A KR 20030052389 A KR20030052389 A KR 20030052389A KR 1020010082322 A KR1020010082322 A KR 1020010082322A KR 20010082322 A KR20010082322 A KR 20010082322A KR 20030052389 A KR20030052389 A KR 200300523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er
magnetic
magnetic field
shaft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2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6502B1 (ko
Inventor
김상원
박언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82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6502B1/ko
Publication of KR20030052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23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6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65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 B05C1/04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 B05C1/08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02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 B65G39/08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the rollers being magnetic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기롤에 설치된 자석부재의 자기장방향을 간편하게 가변시킬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샤프트(1)의 일측단부면에 형성된 끼움홈(31)에 끼워지는 끼움구(32)를 내부면에 돌출형성하고, 외부면에 원주방향으로 복수개의 지시공(33)(33a)을 대칭구조로 관통형성하여 직하방으로 향하는 자기장방향을 직상방으로 가변시키도록 상기 샤프트(1)를 회전조작하는 조절구(30)와, 상기 조절구(30)의 지시공(33)(33a)과 일치될 때 볼트부재가 체결될수 있도록 관통공(41)을 좌우양측에 각각 관통형성하고, 코터프레임(110)에 고정설치되는 지지브라켓(40)을 포함하여, 롤내부에 복수개 조합 설치된 영구자석과 고투자율 재질의 금속편의 조립뭉치에서 발생된 자기력을 강판에 부하하여 강판과 롤간의 접촉력을 보다 향상시키는 자기롤의 내부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의 방향을 인위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어 강판표면에 작용되는 자기력을 세기를 제어할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코터의 자기롤 자기장 방향 가변장치{AN APPARATUS FOR CHANGING THE DIRECTION OF MAGNETIC FIELD IN THE MAGNETIC ROLL OF COATER}
본 발명은 자기롤에 설치된 자석부재의 자기장방향을 간편하게 가변시킬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롤내부에 복수개 조합 설치된 영구자석과 고투자율 재질의 금속편의 조립뭉치에서 발생된 자기력을 강판에 부하하여 강판과 롤간의 접촉력을 보다 향상시키는 자기롤의 내부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의 방향을 인위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어 강판표면에 작용되는 자기력을 세기를 제어할수 있는 코터의 자기롤 자기장방향 가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의 냉연공장에서는 폭이 800∼1650mm이며, 판두께가 0.4∼2 mm인 내지문, 유기피복, 윤활강판을 생산하고 있으며, 강판의 상, 하면에 수지 혹은 유기를 피복하기 위한 설비로 코터(coater)를 사용한다.
이러한 코터는 픽업롤(pick-up roll), 트랜스퍼롤(transfer roll)및 어플리케이터롤(applicator roll)등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롤 외주면은 서로 접촉하고 있는데, 상기 픽업롤은 수지 혹은 유기통에 일부 침지되어 이로부터 수지 혹은 유기를 묻혀 끌어 당겨 올리는 역할을 하며, 상기 트랜스퍼롤은 끌어당겨 올려진 수지 혹은 유기를 어플리게이터롤에 묻혀주며 상기 어플리게이터롤은 강판과 외주면이 접촉하면서 강판의 주행속도와 어플리게이터롤의 회전속도와 관계하여 상기 강판의상, 하면에 일정한 두께의 수지 혹은 유기를 피복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코터를 이용하여 강판의 상면에 수지 혹은 유기를 피복할 때, 상기 어플리게이터롤과 대응하는 백업롤(back-up roll)을 설치하여 강판이 잘 밀착되도록 적당한 압력을 가함으로써, 강판상에 수지 혹은 유기의 균일한 피복이 실현되고 있으나, 상기 강판 하부면에서의 피복작업시 아직 건조되지 않은 상부면의 수지 혹은 유기피복 때문에, 백업롤과 같은 것을 이용하여 어떠한 접촉력도 전달할 수 없어 오로지 강판의 자중에 의한 접촉력으로 수지를 피복하고 있다.
그리고, 상, 하면에 피복된 수지 혹은 유기를 건조시키기 위한 별도의 건조설비인 오븐(oven)을 지나기 전까지는 가이드롤(guide roll)을 설치할 수 없어 10m이상의 패스라인을 지난 지점에서 강판을 지지하게 되어 상기 강판의 진동을 무시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0.6mm 이하의 두께를 갖는 강판(이하, 박판이라함.)의 하부면 피복시, 그 피복량은 상부면의 절대피복량에 크게 못미치는 한편, 폭방향으로의 피복두께 불균일도 심각하여 고품질의 수지코팅 강판 제조에 애로가 있었다.
한편, 수지와 유기피복공정에 대한 다수의 연구를 통하여 수지와 유기 피복시 공정변수(롤의 주속비, 롤사이 틈 및 수지의 제물성)가 피복의 두께에 미치는 영향을 해석하기 위하여 모델을 설정하고, 정식화하는등 상당한 진전을 거듭하여 왔고, 실제 제조를 통한 최적의 공정변수 정립으로 여타의 조건이 확립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하부피복시의 심각한 두께 편차를 극복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심각한 피복두께 편차의 문제는 공정변수보다는 이송되는 강판의 상하진동에 기인하여 어플리게이터롤과 순간적으로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아 수지 혹은 유기가 충분히 피복되지 않거나, 또는 강판이 이상적으로 완전히 평탄하지 않는 관계로 어플리게이터롤과 강판이 완전히 밀착되지 않는 면이 발생되어 균일한 피복을 기대할 수 없다고 판단하고 강판과 어플리게이터롤간의 접촉력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고안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도록 고안된 수지코터용 자기롤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2000-43123호 및 2000-79220호에 출원되어 있으며, 도 1은 일반적인 코터설비에 갖추어지는 자기롤을 도시한 구성도로서, 상기 자기롤(100)은 도시한 바와같이, 외피(2)가 외주면에 피복되는 회전드럼(3)과, 그 내부공간에 일정길이를 갖는 샤프트(1)를 관통하여 교대로 설치되는 원판형으로 된 조립뭉치(5)(6)와, 그 외주면에 장착되는 영구자석(18)과 이들사이에 배치되는 고투자율 재질의 금속편(17)으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드럼(3)의 일측에는 구동모터(미도시)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비자성체 회전드럼(3)에 전달할수 있도록 플랜지부(4)를 볼트부재(10)(11)로서 조립하는 한편, 샤프트(1)의 좌우양단은 베어링부재(9)(16)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도 1에서 미설명부호 7,8은 오링부재이고, 12,13,15,14는 볼트부재이고, 19는 상기 금속편(17)을 고정하는 볼트부재이며, 19a는 상기 조립뭉치(5)(6)를 고정하는 볼트부재이다.
이러한 자기롤(100)은 강판표면에 작용시킬 강력한 자기력의 발생원인 영구자석(18)과 고투자율 금속편(17)이 미도시된 구동모터의 구동축과 플랜지부(4)를 매개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회전드럼(3)의 회전구동에 관계없이 고정되도록 베어링부재에 좌우양단이 지지되는 샤프트(1)의 조립뭉치(5)(6)에 각각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구동축의 구동력을 전달되지 않는다.
이러한 이유로 롤교체시 자기롤(100)의 외부에서는 강판에 작용시킬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영구자석(18) 및 고투자율 금속편(17)의 방향을 전혀 알 수 없고, 상기 조립뭉치(5)(6)에 상기 영구자석(18) 및 고투자율 금속편(17)이 편중되어 있기 때문에, 내부관찰이 곤란한 자기롤(100)의 자기장 방향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자기장을 검출하는 특수한 별도의 계기를 사용하여 일일이 확인하는 작업이 수반되고, 작업조건에 맞추어 영구자석(18) 및 고투자율 금속편(17)의 조립뭉치를 일정각도 회전시켜 자기력을 가변시키는 것도 전혀 불가능하였다. 이에 따라, 피복하고자 하는 강판의 조건에 따라 최적의 자기력을 강판표면에 작용시키는데 막대한 곤란함을 초래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자기롤의 외부에서도 롤내부에 내장된 영구자석과 고투자율 금속편의 조립뭉치의 자기방향을 간편하게 확인할수 있으며, 이 뭉치를 정해진 일정각도만큼 회전시켜 자기장의 방향을 인위적으로 변경시킴으로써 조업조건에 따라 강판표면에 작용되는 자기력의 크기를 간단히 가변하여 제어할 수 있는 코터의 자기롤 자기장방향 가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코터설비에 갖추어지는 자기롤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코터의 자기롤 자기장방향 가변장치에 채용되는 조절구를 도시한 종단면도와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코터의 자기롤 자기장방향 가변장치에 채용되는 조절구가 샤프트에 삽입되는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코터의 자기롤 자기장방향 가변장치에 채용되는 지지브라켓을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코터의 자기롤 자기장방향 가변장치를 도시한 설치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코터의 자기롤 자기장방향 가변장치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샤프트5,6 ... 조립뭉치
9,16 ... 베어링부재30 .... 조절구
30a .... 원통몸체30b .... 원반몸체
31 .... 끼움홈32 .... 끼움구
33,33a ... 지시공35 .... 조절블록
40 .... 지지브라켓41 .... 관통공
100 ... 자기롤110 .... 코터프레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외피가 외주면에 피복되고, 구동모터의 구동축과 플랜지부로 연결되는 회전드럼과, 조립뭉치가 교대로 장착되고, 상기 회전드럼과 베어링부재를 매개로 분리되는 샤프트와, 상기 조립뭉치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영구자석과 고투자율 재질의 금속편을 갖추어 강판하부면에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자기롤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일측단부면에 형성된 끼움홈에 끼워지는 끼움구를 내부면에 돌출형성하고, 외부면에 원주방향으로 복수개의 지시공을 대칭구조로 관통형성하여 직하방으로 향하는 자기장방향을 직상방으로 가변시키도록 상기 샤프트를 회전조작하는 조절구와,
상기 조절구의 지시공과 일치될 때 볼트부재가 체결될수 있도록 관통공을 좌우양측에 각각 관통형성하고, 코터프레임에 고정설치되는 지지브라켓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코터의 자기롤 자기장방향 가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코터의 자기롤 자기장방향 가변장치에 채용되는 조절구를 도시한 종단면도와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코터의 자기롤 자기장방향 가변장치에 채용되는 조절구가 샤프트에 삽입되는 상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코터의 자기롤 자기장방향 가변장치에 채용되는 지지브라켓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코터의 자기롤 자기장방향 가변장치를 도시한 설치상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코터의 자기롤 자기장방향 가변장치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장치(50)는 도 2 내지 6에 도시한 바와같이, 일방향 진행하는 강판에 접하는 외피(2)를 갖는 회전드럼(3)과 베어링부재(9)(16)을 매개로 하여 서로 분리되고, 영구자석(18) 및 고투자율 금속편(17)의 조립뭉치(5)(6)가 고정되어 있는 샤프트(1)를 회전시켜 자기장을 강판에 부하하는 조립뭉치의 위치를 변경시켜 조업전에 직하방으로 향하고 있던 자기장의 방향으로 직상방으로 전환시키고, 조업조건에 따라 자기력의 세기를 간편하게 가변시킬수 있도록 상기 샤프트(1)의 일단부에 갖추어지는 것으로써, 이러한 장치(50)는 조절구(30)와 지지브라켓(40)등으로 구성된다.
즉, 조업초기에 상기 샤프트(1)에 편중배치된 영구자석(18) 및 고투자융 금속편(17)에 의해서 직하방으로 향하는 자기장방향을 직상방으로 가변시키도록 상기 샤프트(1)를 회전조작하는 조절구(30)는 상기 샤프트(1)의 단부면에 형성된 끼움홈(31)으로 끼워지는 끼움구(32)를 내부면에 돌출형성하고, 외부면에 원주방향으로 복수개의 지시공(33)(33a)을 대칭구조로 관통형성한다.
이러한 조절구(30)는 구동모터가 플랜지부(4)를 매개로 일단부에 연결되는 샤프트(1)의 일측단부의 정반대편인 타측단부에 삽입되는 중공원통형 원통몸체(30a)와, 상기 끼움구(32)가 내주면에 일체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지시공(33)(33a)이 일정각도로 원주방향으로 복수개 관통형성되는 디스크형 원반몸체(30b) 및 상기 원반몸체(30b)의 외주면중심에 조립되고, 상기 원반몸체(30b)의 회전조작이 가능하도록 육각렌치가 끼워지는 육각렌치공(35a)을 갖는 조절블록(35)을 갖추어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끼움홈(31)은 끼움구(32)와의 결합후 회전시 슬립이 없도록 사각, 삼각과 같은 다각형 단면상으로 이루어진 끼움구(32)와 동일한 형상으로 함몰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자기롤(100)은, 픽업롤, 트랜스퍼롤 및 어플리케이터롤로 이루어진 코터설비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퍼롤과 접촉하도록 그 상부에 얹혀지며, 상기 자기롤(100)의 직상에서는 강판과 접촉하게 되는 구성이 되므로 상기 자기롤(100)의 샤프트(1) 일측단부에 조립되는 조절구(30)의 원반몸체(30b)의 직경은, 상기 트랜스퍼롤의 샤프트, 강판, 그리고 코터설비의 몸체등과의 간섭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상기 자기롤(100)의 롤 반지름보다는 작아야 한다. 현재 사용되는 어플리케이터롤의 외경이 350mm이므로 175mm보다는 작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원반몸체(30b)의 판두께는, 상기 샤프트(1)의 조립뭉치(5)(6)에 갖추어지는 고투자율 금속편(17)의 위치를 지시하는 다수의 지시공(33)(33a)에 볼트를 매개로 60 kg이상이 되는 조립뭉치(5)(6)를 일정각도만큼 회전시키고, 그 위치에서 고정하게 되므로 그 회전력을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강도를 가지면 충분하며, 10 mm정도이면 바람직하고, 재질은 일반 구조용 금속 판재면 무방하다.
한편, 상기 원반몸체(30b)의 외주테두리에 관통형성되어 고투자율 금속편의 위치를 지시하는 지시공(33)(33a)들의 관통위치가 중요한데, 상기 지시공(33)(33a)은 상기 조립뭉치(5)(6)의 몸체에 원주방향으로 일정각도를 두고 조립되는 금속편(17)의 설치각도와 동일하게 각도(θ2)로 갖추어진다.
이때, 상기 지시공(33)(33a)의 관통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최초로 관통되어 다른 지시공들의 기준이 되는 기준 지시공(33)의 위치이다. 이는 이미 확인된 최고의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영구자석(18) 및 고투자율 금속편(17)의 조립뭉치(5)(6)의 방향과 상기 자기롤(100)전체를 고정, 지지하게 되는 코터설비의 코터프레임(110)의 설치상태를 고려하여 결정된다.
즉, 상기 자기롤(100)에 갖추어지는 영구자석(18) 및 고투자율 금속편(17)은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영구자석(18) 4열과 그 열들 사이사이에 금속편(17)이 1열씩 3열이 조립된 상태에서 가운데 배열된 금속편(17)의 열이 강판표면 직하에 위치되어야만 최대의 자기력을 강판에 부여할수있기 때문에, 상기 금속편(17)중 가운데 배치된 금속편(17)열의 위치를 알 수 있도록 상기 샤프트(1)의 일측 단부면에 끼움홈(31)를 함몰형성하고, 이에 삽입되는 조절구의 원반몸체(30b)에도 끼움구(32)를 돌출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코터설비에서 설치되는 3개의 각 롤축은 수평면에 대하여 45°로 기울어진 코터프레임(110)에 갖추어지기 때문에, 상기 롤축을 지지하는 코터프레임(110)도 수평면에 대하여 45° 경사져 있다.
한편, 상기 조절구(30)가 삽입되는 샤프트(1)의 일측단부와 대응하는 코터프레임(110)에 설치되는 지지브라켓(40)은 상기 조절구(30)의 지시공(33)(33a)과 일치될 때 볼트부재가 체결될수 있도록 관통공(41)을 좌우양측에 각각 관통형성하고, 코터프레임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부재이다.
여기서, 상기 지지브라켓(40)을 코터프레임에 고정설치하도록 고정용 볼트부재가 체결되는 체결공(42)은 상기 지지브라켓(40)의 위치를 가변시킬수 있도록 장공형태로 관통형성되어도 좋다.
한편, 상기 지시공(33)(33a)들은 45°로 기울어진 지지브라켓(40)의 관통공(41)과 서로 일치할 때, 체결되는 볼트부재에 의해서 상기 조절구(30)를 고정하게 되며, 일정각도(θ1), 45°로 기울어진 상기 지지브라켓(40)이 상기 원반몸체(30b)에 관통형성되는 지시공(33)(33a)의 기준 각도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지시공(33a)은 상기 끼움구(32)의 한쪽 길이방향이 최대로 자기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설정하면, 이로부터 반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 45°떨어진 원주방향에 관통형성하고, 이와 대향하는 정반대위치에 또다른 지시공(33)을 관통형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지시공(33)(33a)과 일치되는 관통공(41)에 체결되는 볼트부재로서 외부에서도 간단히 최대 자기력 방향을 간단히 알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지시공(33)(33a)의 좌우양측으로 상기 금속편(17)의 열간 각도(θ2)만큼 또다른 지시공들을 복수개 형성하며, 이러한 지시공들을 이용하면 자기력의 가변도 간단히 가능하게 된다.
도 2에서 상기 금속편(17)의 열간의 각도를 26°로 하고, 상기 열간각도가 그 외의 각도로 바뀌면 상기 원판몸체(30)에서 45° 기준 각도로부터 변경된 각도마다 지시공을 관통형성한다. 이때, 관통되는 지시공(33)(33a)의 크기는 역시 200kg정도의 영구자석 및 고투자율 금속편의 조립뭉치(5)(6)의 회전력을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볼트가 체결될 정도면 충분한데, 직경이 6~8 mm정도의 볼트를 회전을 시키지 않고 쉽게 꽂을 수 있을 정도의 여유 있는 크기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원판몸체(30b)에 천공된 또다른 4개의 보조구멍(39)은 끼움구(32)로 체결된 원판몸체(30a)와 상기 샤프트(1)의 일측단부면을 견고히 체결하기 위한 볼트구멍이다,
상술한 바와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일정각도 45°로 기울어진 코터프레임(110)에 지지브라켓(40)의 체결공(42)과 이에 조립되는 2개의 볼트부재로서 상기 지지브라켓(40)을 조립한다. 이어서, 원반몸체(30b)의 내부면에 끼움구(32)를 돌출형성한 조절구(30)의 원통몸체(30a)를 상기 샤프트(1)의 일측단부내로 삽입하여 단부면에 형성된 끼움홈(31)으로 끼움구(32)를 정확히 삽입한 상태에서 보조구멍(39)를 통하여 4개의 볼트부재를 체결하여 상기 조절구(30)와 샤프트(1)를 견고히 체결하여 완전한 한몸체를 구성한다.
연속하여, 상기 조절구(30)를 샤프트(1)의 일측단부에 장착한 자기롤(100)을 상기 코터프레임(110)에 안착시키면, 도 6에서와 같이, 중력에 의하여 최대 자기력 방향은 항상 지면쪽을 향하는데, 이는 구동축(4)과 베어링부재(9)(16)를 매개로 샤프트(1)가 분리되어 있고, 상기 영구자석(18)과 금속편(17)들이 상기 샤프트(1)에 갖추어지는 조립뭉치(5)(6)에 편중되어 조립되어 있기 때문이다.
즉, 최대 자기장의 방향은 12시 혹은 6시방향이 되나 상기 영구자석(18) 및 금속편(17)의 조립뭉치(5)(6)에서 영구자석(18) 및 금속편(17)의 중량이 이를 고정시키는 알루미늄 재질의 원판형 조립뭉치(5)(6)보다 크므로 최대 자기력을 나타내는 상기 영구자석(18) 및 금속편(17)는 중력에 의하여 자연히 지면쪽을 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강판표면상에 수지 및 유기를 도포하는 작업을 위한 강판진행시 지면쪽인 직하부를 향하는 최대 자기력방향을 이로부터 정반대인 롤 직상부의 강판쪽을 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원판몸체(30b)를 현상태에서 180°, 하부측에 배치되어 있던 지시공(33)이 마주하는 상부측 지시공(33a)에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지시공(33a)이 하부측 지시공(33)에 위치되도록 상기 조절구(30)를 회전시키면 강판의 하부면상으로 최대 자기력이 작용하는 위치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조절구(30)의 회전조작을 위해서, 상기 원반몸체(30b)의 외부면에 장착된 조절블록(35)의 육각렌치공(35a)에 L자형 렌치의 단부를 삽입하여 일방향,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서서히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지지브라켓(40)의 관통공(41)에 지시공(33)(33a)이 초기와 정반대로 도달하면, 상기 지시공(33)(33a)가 일치되는 관통공(41)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볼트부재와 같은 고정부재를 삽입하여 상기 원반몸체(30b)의 회전을 방지하고, 이 상황이 종료되면, 1개의 볼트부재로도 영구자석 (18)및 금속편(17)이 장착된 조립뭉치(5)(6)의 중력에 의한 급작스런 회전은 충분히 방지되므로 다소 헐겁게 체결해 둔 상기 체결공(42)의 볼트부재를 견고하게 체결하여 상기 코터프레임(110)에 지지브라켓(40)을 확고히 고정한다.
또한, 상기 관통공(41)에 삽입되는 1개의 볼트부재로서 상기 조절구(30)와 더불어 샤프트(1)의 회전이 방지되고 있지만, 상기 지시공(33)(33a)들과 상기 지지브라켓(40)의 관통공(41)은 이에 삽입되는 볼트부재의 직경에 비하여 크게 관통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약간의 회전여유가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시공(33)(33a)과관통공(41)을 통한 볼트부재의 체결은 훨씬 간단히 실시할 수 있으며, 안전을 위하여 2개의 볼트부재의 체결이 완료되면 반대쪽에서 너트부재를 체결하여 잠근다.
한편, 동일한 요령으로 2개의 볼트부재를 해체하면서 체결하여 상기 지지브라켓(40)의 관통공(41)과 상기 지시공(33)(33a)의 좌우양측으로 일정각격을 두고 관통된 또다른 지시공(33)(33a)이 연결되면, 상기 자기롤(100)내부에서 발생되는 최대자기력 방향은 서로 인접하는 지시공(33)(33a)들사이의 간격인 26°씩마다 변하게 되는 것이다.
일예로, 가장 외측에 관통된 지시공(33)(33a)이 상기 지지브라켓(40)의 관통공(41)에 볼트부재로서 고정되면, 상기 강판 직하부에 금속편(17)이 존재하지 않아 가장 작은 자기력이 강판에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지시공(33)(33a)과 이들 좌우에 관통형성된 또다른 지시공(33)(33a)을 전부 이용하게 되면 강판의 진행이동 방향 혹은 반대방향으로 최대 자기력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자기력 가변의 변수도 훨씬 늘일 수도 있게 되며, 또한 관통되는 지시공(33)(33a)들 사이의 설치각도(θ2)를 늘이거나 줄이면, 변화시킬수 있는 자기력의 변화도 보다 정밀하게 변화시킬 수도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자기롤의 외부에서도 롤내부에 내장된 영구자석과 고투자율 금속편의 조립뭉치로부터 강판표면으로 작용시키고자 하는 자기력의 방향을 간단하게 알수 있으며, 확인된 자기력의 방향을 근거로 하여 상기 영구자석(18) 및 고투자율 금속편(17)이 장착되는 조립뭉치(5)(6)를 정해진 일정각도만큼 회전시켜 자기장 방향을 인위적으로 변경시킴으로써, 박판,후판이 주행되는 강판라인의 조업조건에 따라 강판하부면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력의 크기를 간단히 변화시킬 수 있어 사용상 매우 편리하고, 공간적인 제약이 전혀없어 설비비용이 적게 소요됨은 물론, 수지코팅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5)

  1. 외피(2)가 외주면에 피복되고, 구동모터의 구동축과 플랜지부로 연결되는 회전드럼(3)과, 조립뭉치(5)(6)가 교대로 장착되고, 상기 회전드럼과 베어링부재(16)(9)를 매개로 분리되는 샤프트(1)와, 상기 조립뭉치(5)(6)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영구자석(18)과 고투자율 재질의 금속편(17)을 갖추어 강판하부면에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자기롤(100)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1)의 일측단부면에 형성된 끼움홈(31)에 끼워지는 끼움구(32)를 내부면에 돌출형성하고, 외부면에 원주방향으로 복수개의 지시공(33)(33a)을 대칭구조로 관통형성하여 직하방으로 향하는 자기장방향을 직상방으로 가변시키도록 상기 샤프트(1)를 회전조작하는 조절구(30)와,
    상기 조절구(30)의 지시공(33)(33a)과 일치될 때 볼트부재가 체결될수 있도록 관통공(41)을 좌우양측에 각각 관통형성하고, 코터프레임(110)에 고정설치되는 지지브라켓(40)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코터의 자기롤 자기장방향 가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구(30)는 구동모터가 플랜지부(4)를 매개로 일단부에 연결되는 샤프트(1)의 일측단부의 정반대편인 타측단부에 삽입되는 중공원통형 원통몸체(30a)와, 상기 끼움구(32)가 내주면에 일체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지시공(33)(33a)이 일정각도로 원주방향으로 복수개 관통형성되는 디스크형 원반몸체(30b) 및 상기 원반몸체(30b)의 외주면중심에 조립되고, 상기 원반몸체(30b)의 회전조작이 가능하도록 육각렌치가 끼워지는 육각렌치공(35a)을 갖는 조절블록(35)을 갖추어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코터의 자기롤 자기장방향 가변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홈(31)은 사각, 삼각과 같은 다각형 단면상으로 이루어진 끼움구(32)와 동일한 형상으로 함몰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코터의 자기롤 자기장방향 가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공(33)(33a)은 상기 조립뭉치(5)(6)의 몸체에 원주방향으로 일정각도를 두고 조립되는 금속편(17)의 설치각도와 동일하게 각도(θ2)로 갖추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코터의 자기롤 자기장방향 가변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라켓(40)을 코터프레임(110)에 고정설치하도록 고정용 볼트부재가 체결되는 체결공(42)은 상기 지지브라켓(40)의 위치를 가변시킬수 있도록 장공형태로 관통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코터의 자기롤 자기장방향 가변장치.
KR10-2001-0082322A 2001-12-21 2001-12-21 코터의 자기롤 자기장 방향 가변장치 KR100516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2322A KR100516502B1 (ko) 2001-12-21 2001-12-21 코터의 자기롤 자기장 방향 가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2322A KR100516502B1 (ko) 2001-12-21 2001-12-21 코터의 자기롤 자기장 방향 가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2389A true KR20030052389A (ko) 2003-06-27
KR100516502B1 KR100516502B1 (ko) 2005-09-23

Family

ID=29577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2322A KR100516502B1 (ko) 2001-12-21 2001-12-21 코터의 자기롤 자기장 방향 가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650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0305B1 (ko) * 2010-08-04 2013-10-23 주식회사 포스코 수지강판의 코팅 편차방지장치
CN115055341A (zh) * 2022-07-05 2022-09-16 中建八局第一建设有限公司 一种管道工程对接点焊接后防腐处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15065A (ja) * 1988-10-25 1990-04-27 Kawasaki Steel Corp 鋼帯裏面塗装用ロールコータ設備
JPH0926701A (ja) * 1995-07-11 1997-01-28 Hitachi Metals Ltd マグネットロール
KR200207301Y1 (ko) * 2000-07-06 2000-12-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극박 도금강판 후면 수지도포량 불균일 방지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0305B1 (ko) * 2010-08-04 2013-10-23 주식회사 포스코 수지강판의 코팅 편차방지장치
CN115055341A (zh) * 2022-07-05 2022-09-16 中建八局第一建设有限公司 一种管道工程对接点焊接后防腐处理装置
CN115055341B (zh) * 2022-07-05 2024-03-22 中建八局第一建设有限公司 一种管道工程对接点焊接后防腐处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6502B1 (ko) 2005-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6103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amping and balancing rotatable members
US20070062018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omponents
KR20100043291A (ko) 전방향 휠, 전방향 휠의 롤러바디들을 설치하기 위한 방법, 및 전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섀시와 그의 사용
KR100516502B1 (ko) 코터의 자기롤 자기장 방향 가변장치
JP3558641B2 (ja) 電磁式ヒステリシスブレーキ
NZ210027A (en) Anchor bolt with eccentric adjustment
JP2016151440A (ja) 車輪支持用転がり軸受ユニットの試験装置
US6000851A (en) Adjustable electric motor bearing system
US6689002B1 (en) Tensioning device in rotating movement transmission by belts, chains or cables
US6321522B1 (en) Spinning rotor for open-end spinning machin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pinning rotor
CN211471542U (zh) 旋转夹具及真空镀膜设备
JP3091375U (ja) 高速ドリル軸自動的バランシング装置
EP0760063B1 (en) Dynamic balancing apparatus
KR20090098543A (ko) 유리판용 필름접착장치
EP3037612A1 (en) Door mounting system
CN107117492B (zh) 中高压胶管缠绕机绕线轮组件及钢丝张紧机构
US5355728A (en) Tire balance measuring machine for various tire sizes
KR20090070563A (ko) 건설중장비용 선회장치의 위치조정장치 및 선회장치의위치조절방법
CN114496418A (zh) 一种自校准扁平漆包线用包漆模具、模架及使用方法
KR20140082735A (ko)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및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제조방법
CN206839513U (zh) 一种端面滚轮滚压刀具
KR101828343B1 (ko) 리턴벨트 사행방지 장치
EP2376701B1 (en) A dryer comprising a drum the front bearing of which is performed by rollers
CN113607432B (zh) 一种回转体测试装置
KR102365643B1 (ko) 차량 케이블용 스프링아우터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