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2067A - 리크레이머의 접근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리크레이머의 접근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2067A
KR20030052067A KR1020010081883A KR20010081883A KR20030052067A KR 20030052067 A KR20030052067 A KR 20030052067A KR 1020010081883 A KR1020010081883 A KR 1020010081883A KR 20010081883 A KR20010081883 A KR 20010081883A KR 20030052067 A KR20030052067 A KR 200300520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laimer
lever
base
guide frame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1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9686B1 (ko
Inventor
홍성현
박태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81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9686B1/ko
Publication of KR20030052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2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9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96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005Control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0Safety features of loads, equipment or per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2Central contro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크레이머가 설치되는 가옥한 작업환경에서도 파손되지 않는 내구성을 가진 리클레이머 접근 감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리클레이머의 선단에 고정 설치된 베이스, 베이스의 상단에 고정 설치된 가이드프레임, 가이드프레임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레버, 레버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승하는 벨트와 접촉되는 롤러, 레버의 타단에 설치되어 레버의 승하강을 감지하는 감지수단, 감지수단으로부터 전달된 신호에 따라 리클레이머를 정지시키는 제어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레이머 접근 감지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리크레이머의 접근 감지장치{APPARATUS FOR PROHIBITING OF BUMPING OF RECLAIMER}
본 발명은 레일상을 이동하면서 야적된 광석이나 석탄을 불출하고 하역하는 장치인 리클레이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동일한 레일상에 다수의 리클레이머가 이동될 때 서로 충돌되기 전에 접근을 감지하여 충돌을 방지하는 리클레이머의 접근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로 부터 이송되어 필드에 야적된 광석이나 석탄은 리클레이머에 의해서 벨트콘베이어로 불출되어 소결공장이나 코크스공장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리클레이머는 광석이나 석탄을 불출 만하는 불출전용 리클레이머와 불출과 하역이 모두 가능한 스태커 리클레이머가 한 쌍으로 구성되어, 필요에 따라 광석이나 석탄의 불출 뿐 만 아니라 하역작업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불출전용 리클레이머와 스태커 리클레이머는 동일한 레일 선상을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데, 주행중의 두 리클레이머의 충돌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리클레이머가 상호 접근될 때 작동되는 리미트 센서가 설치된다.
그러나 이러한 리클레이머에 설치된 리미트 센서는 옥외의 가혹한 환경에서 사용되고 광석이나 석탄의 낙하에 의해 파손되어 그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따라서 야간 작업시나 작업자의 시계가 좋지 못할 경우에 리크레이머가 서로 충돌하여 대형 사고가 발생되어 이를 보수하기 위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 때 리클레이머의 운전자나 리클레이머 주위의 작업자들이 안전사고를 당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리크레이머가 설치되는 가옥한 작업환경에서도 파손되지 않는 내구성을 가진 리클레이머 접근 감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리클레이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근 감지장치가 설치된 리클레이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클레이머의 접근 감지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클레이머의 접근 감지장치를 구성하는 감지수단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클레이머의 접근 감지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리클레이머 102 : 베이스
104 : 가이드프레임 106 : 레버
108 : 롤러 150 : 감지수단
300 : 벨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주행 중인 리클레이머와 다른 리클레이머와 충돌하는 것을 감지하는 리클레이머의 접근 감지장치에 있어서, 리클레이머의 선단에 고정 설치된 베이스, 베이스의 상단에 고정 설치된 가이드프레임, 가이드프레임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레버, 레버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승하는 벨트와 접촉되는 롤러, 레버의 타단에 설치되어 레버의 승하강을 감지하는 감지수단, 감지수단으로부터 전달된 신호에 따라 리클레이머를 정지시키는 제어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레이머 접근 감지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감지수단은 레버 타단의 하부에 설치되는 스프링, 스프링의 상단에 설치된 감지바를 감지하도록 베이스에 고정 설치된 감지센서로 이루어진다.
또한 감지센서는 무접점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리클레이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근 감지장치가 설치된 리클레이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클레이머의 접근 감지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클레이머의 접근 감지장치를 구성하는 감지수단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리클레이머는 광석이나 석탄을 불출 만하는 불출전용 리클레이머(100)와 불출과 하역이 모두 가능한 스태커 리클레이머(200)가 한 쌍으로 구성되며, 동일한 레일(300) 선상을 이동하도록 설치되고, 두 리클레이머(100,200) 사이에는 벨트(310)가 연결되어 벨트(310)의 상부에서 광석이나 석탄이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리클레이머의 접근 감지장치는 리클레이머(100)의 선단에 고정 설치된 베이스(102), 베이스(102)의 상단에 고정 설치된 가이드프레임(104), 가이드프레임(104)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레버(106), 레버(106)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승하는 벨트(310)와 접촉되는 롤러(108), 레버(106)의 타단에 설치되어 레버(106)의 승하강을 감지하는 감지수단(150)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베이스(102)는 불출전용 리클레이머(100)의 스태커 리클레이머(200)과마주보는 측 선단에 고정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불출전용 리클레이머(100)에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베이스(102)가 설치되지만 스태커 리클레이머(200)에 설치되어도 무방함은 물론이다.
이러한 베이스(102)는 리클레이머(100)의 본체에 고정 설치되며 하방이 개구된 베이스프레임(102a)과, 베이스프레임(102a)의 양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베이스플레이트(102b)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가이드프레임(104)은 베이스(102)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며 내부는 레버(106)가 관통될 수 있도록 개구되어 있고, 베이스(102)의 상부에는 레버(106)를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하기 위한 중심축(104a)이 설치된다.
따라서 이 중심축(104a)에 레버(106)가 설치되어 중심축(104a)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다음으로 레버(106)는 일단은 롤러(108)가 축지지되며, 타단은 가이드프레임(104)을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한편 가이드프레임(104)의 상단에는 레버(106)의 타단 측으로 지지판(110)이 돌출 형성되고, 돌출 형성된 지지판(110)에는 하방으로 핀(112)이 고정 설치된다.
이와 같이 고정 설치된 핀(112)은 레버(106)를 관통하고, 선단에 너트(114)가 치합되어 레버(106)의 타단 높이를 조절하고, 지지판(110)과 레버(106) 사이에는 스프링(116)이 설치되어 레버(106)가 너트(114)에 밀착되도록 한다.
한편 레버(106)의 일측 선단에 설치된 롤러(108)는 레버(106)의 선단 사이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벨트(300)가 상승될 때 벨트(300)의 윗면과 롤러(108)의 엣지부가 접촉되어 벨트(300)가 찢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으로 감지수단(150)은 레버(106) 타단의 하부에 설치되는 스프링(152)과, 스프링(152)의 상단에 설치된 감지바(154)를 감지하도록 베이스(102)에 고정 설치된 감지센서(156)로 이루어진다.
스프링(152)은 베이스(102)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며 상부에 감지바(154)를 탄성 지지한다.
이와 같은 감지바(154)는 스프링(152)이 하강함에 따라 동시에 하강하며, 이 때 감지바(154)의 하강은 감지바(154)의 일측에 설치된 감지센서(156)에 의해 감지되어 제어패널(160)에 전달된다.
여기서 감지바(154)의 하강을 감지하는 감지센서(156)는 응답속도가 빨라야 하므로 무접점센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감지수단(150)에서 감지된 신호가 전달되는 제어패널(160)은 알람을 작동켜 위험을 알리거나 브레이크가 작동되어 리크레이머(100, 200)를 정지시킨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리클레이머 접근 감지장치의 작동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클레이머의 접근 감지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다.
먼저 리클레이머(100, 200) 사이에 설치된 벨트(300)는 리클레이머(100, 200) 간의 소정의 간격이 유지되면 롤러(108)와 접촉되지 않으므로 레버(106)와 감지바(154)는 밀착되지 않는다.
따라서 감지바(154)가 감지센서(156)에 접근되지 않으므로 제어패널(160)에서는 브레이크를 작동시키지 않는다.
다음으로 리클레이머(100, 200)가 서로 접근하게 되면 벨트(300)는 서서히 상승하여 롤러(108)에 접근하게 되고, 계속 상승하게 되면 롤러(108)는 회전되면서위로 상승된다.
롤러(108)가 상승함에 따라 롤러(108)가 축지지되는 레버(106)는 스프링(116)의 탄성력을 이기고 중심축(104a)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레버(106)가 회동함에 따라 레버(106)의 타단은 하강하여 감지바(154)에 접촉된다.
감지바(154)가 접촉된 후 계속 하강함에 따라 감지센서(156)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패널(160)에 전달하고 제어패널(160)에서는 알람을 작동시켜서 경고하거나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리클레이머(100)를 정지시킨다.
리클레이머(100)가 정지한 후 뒤로 물러나거나, 다른 리클레이머(200)가 뒤로 물러나게 되면 롤러(108)를 가압하던 벨트(300)가 하강하게 되며, 이에 따라 레버(106)가 회동되므로 일측선단이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레버(106)의 타측 선단은 상승하게 되어 레버(106)가 누르고 있던 감지바(154)가 상승하게 되므로 감지센서(154)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패널(160)에 전달하므로 알람이나 브레이크의 작동을 해제시킨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리크레이머의 접근 감지장치는 야간 작업시나 작업자의 시계가 종지 못할 경우에도 리크레이머가 서로 접근하는 것을 미리 감지할 수 있으므로 리클레이머의 충돌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고로 인하여 발생되어 이를 보수하기 위하여 소용되는 시간이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사고가 미연에 방지되므로 리크레이머 운전자나 리클레이머 주변의 작업자가 안전사고를 당하는 일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

  1. 주행 중인 리클레이머와 다른 리클레이머가 충돌하는 것을 감지하는 리클레이머 접근 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클레이머의 선단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단에 고정 설치된 가이드프레임,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레버, 상기 레버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승하는 상기 리클레이머의 벨트에 접촉되는 롤러, 상기 레버의 타단에 설치되어 레버의 승하강을 감지하는 감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레이머 접근 감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레버 타단의 하부에 설치되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의 상단에 설치된 감지바를 감지하도록 베이스에 고정 설치된 감지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레이머 접근 감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무접점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레이머 접근 감지장치.
KR1020010081883A 2001-12-20 2001-12-20 리크레이머의 접근 감지장치 KR100829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1883A KR100829686B1 (ko) 2001-12-20 2001-12-20 리크레이머의 접근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1883A KR100829686B1 (ko) 2001-12-20 2001-12-20 리크레이머의 접근 감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2067A true KR20030052067A (ko) 2003-06-26
KR100829686B1 KR100829686B1 (ko) 2008-05-16

Family

ID=29576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1883A KR100829686B1 (ko) 2001-12-20 2001-12-20 리크레이머의 접근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96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0444A (ko) * 2009-10-14 2011-04-20 주식회사 포스코 하역 크레인 충돌방지 장치
KR101411854B1 (ko) * 2012-09-27 2014-06-26 현대제철 주식회사 리크레이머의 충돌 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529B1 (ko) * 2012-03-09 2014-02-25 (주)포스코 스태커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25969B2 (ja) * 1991-03-11 2001-11-05 株式会社安川電機 リクレーマの制御装置
KR100280267B1 (ko) * 1996-12-23 2001-04-02 이구택 원료야드내의 이동기기간의 충돌방지방법
KR100325609B1 (ko) * 1999-06-02 2002-02-25 황인길 반도체 소자 분리를 위한 얕은 트렌치 제조 방법
JP4147032B2 (ja) * 2002-01-11 2008-09-10 新日本製鐵株式会社 リクレーマと対向機の衝突防止方法
KR100841764B1 (ko) * 2002-06-11 2008-06-27 주식회사 포스코 배합광 불출용 리클레이머의 주행 밸런스 자동제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0444A (ko) * 2009-10-14 2011-04-20 주식회사 포스코 하역 크레인 충돌방지 장치
KR101411854B1 (ko) * 2012-09-27 2014-06-26 현대제철 주식회사 리크레이머의 충돌 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9686B1 (ko) 2008-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70858B1 (en) Retractable stop for maintaining overhead clearance above an elevator car
US20060266275A1 (en) Lead-in bumper for a loading dock
EP2389333B1 (en) Elevator safety device
US4106594A (en) Elevator system
KR20140016582A (ko) 크레인용 충돌 방지장치
KR100829686B1 (ko) 리크레이머의 접근 감지장치
EP1524232A3 (en) Safety device for working on top of an elevator car
KR101479932B1 (ko) 스태커 크레인
CN204310629U (zh) 一种电梯断绳检测装置
CN215709569U (zh) 一种用于散料输送机落料管的堵料检测装置
US5575372A (en) Device for preventing shearing or pinching of a foreign object
CN102556627A (zh) 板式输送链故障预警方法及系统
KR100762859B1 (ko) 상승식 승강기 도어의 안전 록킹장치
CN214358585U (zh) 一种堵煤开关
KR20180131912A (ko) 승객 및 장애물 감지기능을 포함한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CN108529207B (zh) 阻挡装置及自动化输送系统
KR101968841B1 (ko) 연속식 하역기용 밀림 방지장치
JP3427052B2 (ja) 着床検出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コンテナクレーン
CN212291573U (zh) 斗式提升机防跑偏装置
JP2747906B2 (ja) 搭乗橋のオートレベラー
CN219729530U (zh) 一种新型的皮带打滑检测装置
CN220664239U (zh) 翻车机压车器信号检测装置
CN216549513U (zh) 一种自动升降平台防坠落装置
CN113044510A (zh) 一种用于散料输送机落料管的堵料检测装置
KR200268001Y1 (ko) 에스컬레이터의 비상 브레이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