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1384A - 무북직기 및 이 무북직기에 있어서의 위사 파지방법 - Google Patents

무북직기 및 이 무북직기에 있어서의 위사 파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1384A
KR20030051384A KR1020020081047A KR20020081047A KR20030051384A KR 20030051384 A KR20030051384 A KR 20030051384A KR 1020020081047 A KR1020020081047 A KR 1020020081047A KR 20020081047 A KR20020081047 A KR 20020081047A KR 20030051384 A KR20030051384 A KR 200300513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ft
yarn
semi
gripping
weft y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1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카가와이치로
하마다나오키
츠루베노리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이시카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이시카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이시카와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30051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1384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7Drive or guide mechanisms for weft inserting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7Drive or guide mechanisms for weft inserting
    • D03D47/271Rapiers
    • D03D47/272Rapier b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직포의 단부를 통과하는 직후의 순간 타이밍으로 위사를 확실히 파지하여, 위사의 이완에 의한 결점이나 위사 로스를 최소한으로 한다.
바디치기부재(10)에 위사(X)를 파지하는 파지부재(1,11)가 부착됨과 동시에, 반급사측 테이프 가이드(6)의 직포(S)측의 단부(6a)의 위치에 있어서 레피어(R)를 정지시키는 캠기구(DK1)가 3차원 크랭크기구(SK)에 설치되고, 레피어(R)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파지부재(1,11)에 의해 위사(X)를 파지하고, 가압해제부재(T1)는 레피어(R)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그립레버(R3)를 가압해제하고, 그 후 다시 상기 위사를 파지한 파지부재(1,11)를 부착하는 바디치기부재(10)를 요동시켜서, 캐칭부재(21)에 받아넘긴다.

Description

무북직기 및 이 무북직기에 있어서의 위사 파지방법{SHUTTLELESS LOOM AND WEFT YARN GRIPPING METHOD IN SHUTTLELESS LOOM}
본 발명은, 위사를 걸어 왕복 구동하는 레피어를 가지는 레피어 직기 등의 무북직기 및 이 무북직기에 있어서의 위사 파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위사를 걸어 왕복 구동하는 레피어를 가지는 레피어 직기 등의 무북직기에 있어서는, 급사측과 반급사측의 한 쌍의 레피어(레피어 헤드라고도 불린다)가 왕복 동작한다. 반급사측의 레피어에 의한 위사 걸기는, 그 선단측에서 거는 그립퍼(훅이라고도 불린다)와 연동하는 그립레버를 가압하여 해제하는 구조의 것이 많은데, 반급사측의 레피어에 의해 위사가 반급사측의 소정위치에 도달하여, 레피어에 의해위사를 걸면서 바디(베틀에 딸린 기구의 하나)치기하는 경우에 바디치기 완료까지 그립퍼로 걸어둔 상태이면, 위사에 과대한 장력을 부여하게 되어, 직포의 질감이 나빠지고, 때로는 위사끊김의 원인이 된다. 한편, 위사를 바디치기전에 그 걸기를 해제하면, 위사의 긴장상태가 개방되어, 위사는 무긴장상태가 되므로, 이대로 바디치기되면, 위사에 이완이 발생하여, 직포의 단부의 마무리가 깨끗하게 되지않고, 직포의 품질은 저하된다. 예를 들면, 신축성이 있는 사(絲)나 강연사(强撚絲)를 제직하는 경우, 레피어의 위사 걸음을 해제하면, 그 순간에 위사가 줄어들어 직포의 좌우에서 장력차가 생겨서 품질이 저하된다.
이 때문에, 반급사측의 직포의 단부 근방에 위사를 파지하는 위사 파지장치를 배치시켜서, 위사의 단부를 파지시키는 것이 개발되어, 캠기구를 이용하여 위사단의 상면에 가압부재를 눌러접합하여 위사를 파지하는 것(일본 특개소 53-126351 호 공보참조), 롤러나 벨트 등에 의해 파지하는 것이나(일본 실공평 7-011191호 공보참조), 경사와 거의 평행하게 배치된 선형상의 탄성체에 의해 끼워붙여서 파지하는 것(2000-027051호 공보참조), 위사 단부를 압축공기로 흡인하고 동시에 그립하여 장력을 유지하는 것(일본 특개평 4-300345호 공보참조)등 여러가지의 것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압축공기로는 그 소비에 의한 런닝코스트가 크고, 또, 파지장치를 캠기구로 구동시키거나, 롤러나 벨트로 구동시키면, 내구성, 확실성, 고속성이 떨어지는 문제나, 다른 구동수단을 필요로 하므로, 위사를 파지하는 타이밍을 취하는 것이 어려운 것이나, 고비용이 되는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그런데, 급사측과 반급사측의 레피어는, 그 선단에 위사를 거는 그립퍼를 가짐과 동시에, 그 길이방향의 편측에 그립퍼의 걸어두기를 해제하는 그립레버가 설치되어 있다.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레피어(R)는 레피어 밴드(RB)의 선단에 각각 멈추어져 있고, 레피어 밴드는 서로 역방향으로 왕복 회전운동하는 한 쌍의 톱니부착 휠에 감아 걸려져 있다. 무북직기의 좌우에 한 쌍 배치되는 톱니부착 휠은, 구동수단(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데, 그 회전구동을 톱니부착 휠의 왕복 동작으로 변환시켜서 구동된다. 종래 일반적인 구동계에는, 이른바 3차원 크랭크기구, 캠기구가 부착된 기어기구와, 스크류기구가 있는데, 어느 것이나 이들의 기구에 의해 무북직기의 구동수단의 회전 구동(력)을 톱니부착 휠에 전달시킨다. 상기 3차원 크랭크기구 등의 구동전달기구에서는, 구동수단의 회전구동을 톱니부착 휠의 소정범위의 왕복동작(왕복운동, 요동회전이라고도 불린다)으로 변환된다(일본 특개소 56-26037호 공보, 일본 실개소 60-105680호 공보참조). 이 왕복동작은, 그래프화하면, S자 곡선에 의해 표시되는데(도 17의 부호(Sb)참조), 급사측과 반급사측의 레피어는, 각 톱니부착 휠의 왕(往)동작(요동회전의 일방향의 회전)에 의해서 경사의 개구내에 삽입되고, 각 톱니부착 휠의 복(復)동작(요동회전의 타방향의 회전)에 의해서 경사의 개구내로부터 퇴피한다.
그러나, 각 레피어(R)는 고속으로 왕복 동작하기때문에, 위사를 상기 종래의 어느 파지방법으로도 파지하는 것은 용이한 것이 아니다. 또, 상술한 위사를 파지하는 위사 파지장치를 무북직기의 구동계와 별도부재에 의해 다른 구동력으로부터 얻도록 하는 것은, 무북직기의 구조를 복잡하게 할 뿐만아니라, 고속이 되면 될수록, 왕복 구동하는 레피어의 위사를 파지하는 타이밍을 취할 수 없게 된다. 즉, 레피어(R)가 종래의 위사 파지장치의 위치, 즉 직포의 단부 근방위치를 통과하여, 위사 파지장치가 위사를 파지하기까지의 동안에, 위사(X)의 선단은 레피어(R)에 의해 걸리지 않으면 안되어, 레피어의 위사 걸음을 해제하는 그립레버(R3)도, 고속하에서 확실한 가압동작을 행하게 할 필요가 있다. 이들의 위치관계를 고려할 때, 이상적으로는, 고속 동작하는 레피어(R)가 종래의 파지장치의 위치를 통과하는 직후의 순간의 타이밍으로 긴장상태를 유지시킨 채 위사 걸음을 해제할 필요가 있다(도 23).
그러나, 상기 종래의 위사를 압축공기로 흡인하는 타입에서는, 위사(X)의 파지가 불확실하여, 위사 로스가 크다. 또, 캠기구나 롤러 등으로 위사(X)를 파지하는 타입에서는, 파지의 타이밍이 빠르면, 레피어가 위사를 걸어둔 채 잡아당기기 때문에, 파지장치와 레피어의 사이에서 위사가 절단되는 문제를 가지며, 한편, 위사의 파지의 타이밍이 느리면, 위사(X)가 느슨해져버려 파지 미스가 생긴다.
또한, 종래의 무북직기에 있어서는, 반급사측에서만 위사 파지장치에 의해 위사를 파지하려고 하고 있다. 그러나, 긴장상태를 유지시키면서 상기 타이밍에 따라 파지장치에 의해 파지시키기 위해서는, 급사측의 위사가 저류되는 위사 저류장치의 사이에서도 타이밍을 취하여 장력부여를 행하면, 더욱 깨끗한 마무리의 직포를 얻을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직포의 단부를 통과하는 직후의 순간의 타이밍으로 위사를 확실하게 파지하여, 위사의 이완에 의한 결점을 방지하고, 최소한의 위사 로스를 억제함과 동시에, 급사측의 위사가 저류되는 위사 저류장치의 사이에서도 타이밍을 취하여 장력부여를 행함으로써 깨끗한 마무리의 직포를 얻을 수 있는 무북직기 및 이 무북직기에 있어서의 위사 파지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무북직기의 반급사측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상기 무북직기의 단면도,
도 3은 상기 무북직기의 파지부재와 캐칭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상기 무북직기의 반급사측을 일부 절결하여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상기 무북직기의 파지부재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상기 파지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상기 파지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상기 무북직기의 장력부여수단과 보빈과 위사 저류장치를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상기 무북직기의 장력부여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상기 장력부여수단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11은 상기 무북직기의 캐칭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상기 무북직기의 3차원 크랭크기구와 캠기구와 요동거리 조정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상기 3차원 크랭크기구와 캠기구와 요동거리 조정기구의 동작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14는 상기 3차원 크랭크기구와 캠기구와 요동거리 조정기구의 동작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15는 상기 3차원 크랭크기구와 캠기구와 요동거리 조정기구의 동작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16은 상기 무북직기의 가압해제부재의 부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7은 상기 무북직기의 레피어의 왕복동작을 그래프화한 도면,
도 18은 상기 무북직기의 레피어와 가압해제부재의 동작을 설명하는 평면도,
도 19은 상기 무북직기의 파지부재와 캐칭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0은 상기 파지부재의 부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1은 상기 무북직기의 기어기구와 캠기구와 요동거리 조정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2는 상기 기어기구와 캠기구와 요동거리 조정기구의 동작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23은 종래의 무북직기의 레피어와 가압해제 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11 파지부재 6 반급사측 테이프 가이드
6a 단부 10 바디치기부재
21 캐칭부재 21A 상방 끼움부재
21B 하방 끼움부재 B2 위사 저류장치
B3 장력부여수단 R 레피어
R1 그립퍼 R3 그립레버
RB 레피어밴드 RS 톱니부착 휠
SK 3차원 크랭크기구(구동전달기구)
G1,G2 기어기구(구동전달기구) DK1,GDK1 캠기구
DK2 요동거리 조정기구 K1,GK1 캠판
K2 캠 레버 K3 샤프트 레버
M 무북직기 S 직포
Sa 단부 Sc 캠판의 (외주)곡선
Sd 캠판의 정류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1항에 기재된 무북직기는, 위사를 걸어 왕복 구동하는 레피어에 의해 위입되는 위사를, 요동하는 바디치기부재에 의해 바디치기하여 직포의 직구(織口)에 박아넣는 무북직기에 있어서, 바디치기부재에 일체적으로 부착되어 위사를 파지하는 파지부재와, 직포의 직구측에 상기 요동하는 파지부재가 파지한 위사를 소정높이 위치에서 캐칭하는 캐칭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반급사측의 바디치기부재에 일체적으로 부착되는 파지부재에 의해 위사가 파지되고, 위사가 긴장상태인 채 바디치기부재에 의한 바디치기동작에 의해서 바디치기 동작 종료전의 직구 위치에서 캐칭부재에 캐칭된다. 즉, 바디치기 동작 종료까지 파지부재가 위사를 파지하면, 바디치기부재는 하방을 지점으로 하여 회전(요동)하므로 바디치기부재의 상방은 직포의 직구의 하방측으로 회전(요동)한다. 그 때문에 그 높이위치가 직포의 직구보다도 하방이 되는데, 그 전에 위사는 캐칭부재에 의해 캐칭되어, 직포의 직구로 보내지므로, 위사의 이완이나 휨이나 매달림, 위사와 경사의 강한 마찰을 일으키지 않고, 직포의 직구에 박아 넣어진다.
본 발명의 제 2항에 기재된 무북직기는, 상기 파지부재는, 위사를 끼우는 한쌍의 파지판과, 한 쌍의 파지판 중의 적어도 한 쪽을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가압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한 쌍의 파지판의 판두께를 선택함으로써, 위사의 종류나 위사의 직경의 크기에 맞추어 위사를 탄력성을 가지고 파지하게 된다. 또, 스프링으로 가압하는 구조에 의해, 상기 한 쌍의 파지판만으로는 완전히 대응할 수 없는 위사의 종류나 위사의 직경의 대소 등에 대응하여 위사를 탄성력을 가지고 파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 3항에 기재된 무북직기에 있어서의 위사 파지방법은, 급사측과 반급사측에서 위사를 걸어 왕복 구동하는 한 쌍의 레피어와, 반급사측의 레피어와 연결되는 레피어 밴드와, 레피어 밴드가 감겨지는 톱니부착 휠과, 무북직기의 구동수단의 회전구동을 왕복 운동으로 변환시켜서 톱니부착 휠에 전달시키는 구동전달기구를 구비하고, 반급사측의 레피어에 의해 위입되는 위사를 바디치기부재에 의해 바디치기하여 직포의 직구에 박아넣는 무북직기를 사용하여, 이 무북직기의 바디치기부재의 반급사측에 위사를 파지하는 파지부재가 일체적으로 부착됨과 동시에, 파지부재가 위사를 파지하는 위치에 있어서 반급사측의 레피어를 정지시키는 캠기구가 상기 구동전달기구에 설치되고, 반급사측의 레피어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파지부재에 의해 위사를 파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무북직기의 구동수단의 회전 구동(력)을 톱니부착 휠에 전달시키는 구동전달기구로서는, 3차원 크랭크기구나 스크류기구 등의 종래의 구동전달기구에 캠기구를 붙여서(캠기구가 부착된 구동전달기구), 파지부재가 위사를 파지하는 위치에 있어서 반급사측의 레피어를정지시키는 것이 포함된다. 또, 종래의 캠기구가 부착된 기어기구에서는, 그 캠형상을 변경하여, 파지부재가 위사를 파지하는 위치에 있어서 반급사측의 레피어를 정지시키는 것이 포함된다. 또, 본 발명의 제 4항에 기재된 무북직기에 있어서의 위사 파지방법은, 급사측과 반급사측에서 위사를 걸어 왕복 구동하는 한 쌍의 레피어와, 반급사측의 레피어와 연결되는 레피어 밴드와, 레피어 밴드가 감겨지는 톱니부착 휠과, 무북직기의 구동수단의 회전구동을 왕복운동으로 변환시켜서 톱니부착 휠에 전달시키는 캠기구가 부착된 기어기구를 구비하고, 반급사측의 레피어에 의해 위입되는 위사를 바디치기부재에 의해 바디치기하여 직포의 직구에 박아넣는 무북직기를 사용하여, 이 무북직기의 바디치기부재의 반급사측에 위사를 파지하는 파지부재가 일체적으로 부착됨과 동시에, 파지부재가 위사를 파지하는 위치에 있어서 반급사측의 레피어를 정지시키는 캠 형상으로 한 캠판을 가지는 상기 캠기구가 상기 기어기구에 설치되고, 반급사측의 레피어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파지부재에 의해 위사를 파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제 5항에 기재된 무북직기에 있어서의 위사 파지방법은, 급사측과 반급사측에서 위사를 걸어 왕복 구동하는 한 쌍의 레피어와, 반급사측의 레피어와 연결되는 레피어 밴드와, 레피어 밴드가 감겨지는 톱니부착 휠과, 무북직기의 구동수단의 회전구동을 왕복 운동으로 변환시켜서 톱니부착 휠에 전달시키는 3차원 크랭크기구를 구비하고, 반급사측의 레피어에 의해 위입되는 위사를 바디치기부재에 의해 바디치기하여 직포의 직구에 박아넣는 무북직기를 사용하여, 이 무북직기의 바디치기부재의 반급사측에 위사를 파지하는 파지부재가 일체적으로 부착됨과 동시에, 파지부재가 위사를 파지하는 위치에있어서 반급사측의 레피어를 정지시키는 캠기구가 상기 3차원 크랭크기구에 설치되고, 반급사측의 레피어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파지부재에 의해 위사를 파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 3항 내지 제 5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구동전달기구나 상기 3차원 크랭크기구에서는, 상기 캠기구를 각각 설치함으로써, 또, 상기 캠기구가 부착된 기어기구에서는, 상기 캠 형상으로 된 캠판으로 함으로써, 바디치기부재에 일체적으로 부착된 파지부재가 파지하는 위치에서 반급사측 레피어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위사를 파지하기 때문에, 반급사측의 직포의 단부의 위치에 있어서 파지부재는 확실하게 위사를 파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 6항에 기재된 무북직기는, 상기 반급사측의 레피어에 위사를 해제하는 그립레버가 설치됨과 동시에, 그립레버를 가압하여 위사의 걸음을 해제하는 가압해제부재가 상기 파지부재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이 가압해제부재는, 상기 파지부재가 바디치기 동작을 하면서 위사를 파지한 직후에 레피어를 정지시킨 채의 상태로 그립레버를 가압해제하고, 그 후 상기 위사를 파지한 파지부재를 부착한 바디치기부재가 더욱 요동하여 바디치기동작을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반급사측 레피어를 정지시킨 상태에 있어서 위사를 파지하는 파지부재에 근접하여 위사를 해제하는 그립레버의 가압해제부재를 파지부재에 근접하여 배치시킴으로써, 파지부재에 의한 위사의 파지 직후의 순간의 타이밍으로 레피어(레피어의 그립퍼)의 위사의 걸음을 확실하게 해제하게 되어, 위사 로스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또, 가압해제부재는 레피어를 정지시킨 채의 상태로 그립레버를 가압해제하고, 그 후 상기 위사를 파지한 파지부재를 부착하는 바디치기부재가 바디치기 동작을 계속하는 통상의 요동동작에 의해, 위사는 파지부재에 의해 파지되어 직포의 직구에 박아넣어진다.
본 발명의 제 7항에 기재된 무북직기에 있어서의 위사 파지방법은, 상기 가압해제부재는, 무북직기의 구동수단과 동기시켜서 그립레버를 가압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압해제부재에 의한 그립레버의 가압해제를 무북직기의 구동수단과 동기시키고 있으므로, 상기 반급사측 레피어를 정지시킨 상태에 있어서, 파지부재에 의한 위사의 파지직후의 순간의 타이밍으로 위사의 걸음을 확실하게 해제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 8항에 기재된 무북직기에 있어서의 위사 파지방법은, 상기 무북직기의 급사측에 위사에 장력을 부여하는 장력부여수단이 설치되고, 이 장력부여수단에 의해 반급사측의 레피어가 정지하기 전에 위사에 장력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장력부여수단에 의해 위사에 장력을 부여하면서 파지부재에 의해 파지함으로써, 위사 이완이 없는 고품질의 직물이 얻어지게 된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의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의 무북직기(M)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사를걸어 왕복 구동하는 레피어(레피어 헤드라고도 불린다)(R)와, 레피어(R)와 연결되는 레피어 밴드(RB)와, 레피어 밴드(RB)가 감겨지는 톱니부착 휠(스프로켓 휠, 레피어 휠이라고도 불린다)(RS)과, 무북직기(M)의 구동수단과, 레피어(R)의 걸음을 해제하는 가압해제부재(T1)와, 바디치기하는 바디치기부재(10,10b) 등을 구동하는 구동계가 구성됨과 동시에, 바디치기부재(10)에 부착되어 위사(X)를 파지하는 파지부재(1,11)와, 파지부재(1,11)가 파지한 위사를 캐칭하는 캐칭부재(21)와, 레피어(R)의 위사를 가압하여 해제하는 가압해제부재(T1)를 주된 위사(X)의 파지와 그 걸음해제의 기구로서 배열설치하고 있다. 파지부재(1,11)와 캐칭부재(21)와 가압해제부재(T1)는, 반급사측의 직포(S)의 단부(Sa)로부터, 캐칭부재(21), 파지부재(1,11), 가압해제부재(T1)의 순서로 서로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다(도 1). 또, 급사측에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사측의 레피어의 상기 구동계 외에, 위사(X)의 보빈(B1)과, 위사(X)가 저류되는 위사 저류장치(B2)와, 위사(X)에 장력을 부여하는 장력부여수단(B3)이 배열설치되어 있다.
레피어(R)는, 위사(X)를 거는 그립퍼(R1)와, 그 길이방향의 편측에 그립퍼(R1)의 걸음을 해제하는 그립레버(R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립퍼(R1)의 개구부에 위사(X)를 선단에서 정지하는 봉형상부재(R4)가 길이방향으로 설치됨과 동시에, 봉형상부재(R4)에 부착되는 스프링(R5)에 저항하여 그립레버(R3)가 지점을 중심으로 이동 동작시킴으로써 그립퍼(R1)로부터 위사(X)를 해제한다. 급사측과 반급사측에 한 쌍 배치되는 각 레피어(R)는, 각각 왕복 동작하여 무북직기(M)의 중앙에서 위사(X)의 받아넘김을 행하는 것으로, 각 톱니부착 휠(RS)의 왕동 회전운동에의해서 경사의 개구내에 삽입되고, 각 톱니부착 휠(RS)의 복동 회전운동에 의해서 경사의 개구내로부터 퇴피한다(도 1).
경사의 개구내를 통과하여, 경사의 개구내로부터 퇴피한 레피어(R)는, 상기 구동계가 내장되는 박스(B)의 상방의 반급사측 테이프 가이드(6) 위로 이행하여 반급사측에 도달한다. 즉, 반급사측의 직포(S)의 단부(Sa)로부터 반급사측 테이프 가이드(6)위로 이행하는데, 그 사이에, 상기 캐칭부재(21)와 파지부재(1,11)가 배치되어 있다(도 1).
우선, 파지부재(1)는, 위사(X)를 파지하는 것으로, 바디치기부재(10)에 부착되어 있다(도 2, 도 3). 파지부재(1)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ㄷ자 형상의 개구부(1a)를 가지는 고정부재(4)와, 한 쌍의 파지용 판(1A,1B)을 구비하고, 고정부재(4)의 개구부(1a)에 한 쌍의 끼움용 판(1A,1B)을 중첩시켜서 나사(N)에 의해 나사 고정되고, 위사(X)의 종류나 직경의 크기에 따라서 판두께를 변경함으로써, 탄성력을 조정한 파지가 가능하게 되어있다. 한쌍의 파지용 판(1A,1B)은, 위사(X)의 종류나 직경의 크기에 따라서 판두께를 변경할 수 있고, 한 쌍의 파지용 판(1A,1B)의 선단측은, 서로 상하로 확개하여 위사(X)를 파지하기 쉽게 구성되어 있다.
파지부재(1)는, 요동 동작하는 바디치기부재(10)의 반급사측의 단부에 부착되어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이 부착되어 있다. 바디치기부재(10)는, 전체 형상이 직사각형상을 나타내고, 직포(S)의 폭에 맞는 길이의 것이 교환되어 사용되는데, 하방의 연결부(16)와 일체적으로 부착되어 있는 레이(슬레이라고도 불린다)(15)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되는 홈(15d)에 하방측이 끼워맞춤되어 있고, 지점(10a)을 중심으로 하여 직포(S)의 직구측으로 회전(요동)한다. 이 때문에, 레이(15)의 길이방향의 홈(바디치기부재(10)의 하방측이 끼워맞춤되는 홈)(15d)의 단부에 바디치기부재(10)를 따르도록 상기 홈(15d)에 바디치기부재(10)와 함께 파지부재(1)가 꽂힌 상태로 클램프(15c)에 의해서 쐐기효과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즉, 파지부재(1)는, 바디치기부재(10)의 반급사측에, 바디치기부재(10)를 따르도록 근접하여 꽂혀져 있다. 이 때문에, 파지부재(1)도 지점(10a)을 지점으로서 요동 동작하는데, 파지부재(1)가 부착되는 위치는, 항상 직포(S)의 반급사측 단부(Sa)의 위치가 된다. 그리고, 파지부재(1)는, 바디치기부재(10)와 함께 무북직기(M)의 구동수단(구동모터)과 연동하여 동기를 취하여 요동 동작한다. 이와 같이 파지부재(1)는, 바디치기부재(10)와 일체적으로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파지부재(1)는, 바디치기부재(10)의 요동동작에 맞추어 레피어(R)가 걸은 위사(X)를 파지하고, 바디치기부재(10)의 요동동작의 바디치기 종료직전에 캐칭부재(21)에 위사(X)를 받아넘긴다. 또한,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의 「파지부재(1,11)가 바디치기부재(10)에 일체적으로 부착되고」라는 기재는, 바디치기부재(10)에 파지부재(1,11)가 부착되어 있는 경우와, 상기와 같이, 바디치기부재(10)의 무북직기에 있어서의 부착구조와 동일하게 일체적으로 부착되어 있는 경우의 양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파지부재(11)로서는, 도 6(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사(X)를 끼우는 한 쌍의 파지용 판(11A,11B)과, 한 쌍의 파지용 판(11A,11B)의 한쪽을 스프링(압축코일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가압하는 구조로 하는 탄성파지가 가능하다. 즉, 이 파지용 판(11A,11B)은, 거의 S자 형상의 위에 개구부(11a)를 가지고 아래에 개구부(11b)를 가지는 고정부재(14)와, 이 S자 형상의 중앙을 관통하는 중앙축(11j)과, 중앙축(11j)에 감겨진 스프링(압축 코일 스프링)(11s)과, 스프링(11s)의 가압력을 조정하는 조정시트(12)로 구성되어 있다. 한 쌍의 파지용 판(11A,11B)의 한쪽 (11A)은, 거의 S자 형상의 상방 선단측이 그대로 되어 구성되고, 다른 쪽 (11B)은, 고정부재(14)의 상방의 개구부(11a)에 있어서, 상기 중앙축(11j)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부재(14)의 하방의 개구부(11b)에는, 스프링(11s)이 감겨지고, 그 단부측에 조정시트(12)가 연결되어 있다. 조정시트(12)는, 중앙축(11j)에 나사(13)에 의해 눌러접합하여 고정되어 중앙축(11j)과 일체가 되어 미끄럼이동함과 동시에, 나사(13)에 의해 중앙축(11j)에 대한 위치를 조정 가능하게 되고, 다른 쪽의 파지용 판(11B)의 상방으로의 가압을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스프링(11s)에 의한 가압을 얻는 구조에 의해, 파지부재(1)의 한 쌍의 파지용 판(1A,1B)만으로는 완전히 대응할 수 없는 위사(X)의 종류나 그 직경 크기의 것을 탄성력을 가지고 파지한다. 특히 직경이 큰 경우에도 조정시트(12)에 의해 조정함으로써 충분한 파지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지부재(11)는, 한 쌍의 파지용 판(11A,11B)의 한쪽 (11B)를 조정하는 것인데, 다른 쪽 (11A)를 조정하는 구조로 하는 것은 실시에 따라서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의 파지부재(1)와 (11)은, 레피어(R)가 거는 위사(X)를 경계로 하여 캐칭부재(21)와 마주 보도록 배열설치되고, 파지부재(1,11)가 바디치기부재(10)의요동 동작하면, 캐칭부재(21)와 교차한다. 교차하는 위치관계는, 캐칭부재(21)가 직포(S)의 단부(Sa)측이고, 파지부재(1,11)가 반급사측 테이프 가이드(6)의 단부(6a)측인데, 서로 매우 근접한 상태로 교차한다.
또, 파지부재(11)로서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사(X)를 끼우는 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단면 V형의 볼록부(17)를 형성하고, 한 쌍의 파지용 판(11A,11B)에 의한 확실한 파지를 가능하게 하여도 좋다. 도 7의 예에서는, 한쪽의 파지용 판(11A)에 단면 V형의 볼록부(17)가 복수개 설치되어 있는데, 다른 쪽의 파지용 판(11B)에도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캐칭부재(21)는, 상기 파지부재(1,11)가 파지한 위사(X)를 캐칭하는 것으로, 상방 끼움부재(21A)와 하방 끼움부재(21B)로 이루어지고, 상호 부재(21A,21B)의 선단부가 상하로 확개하는 개구(29)가 형성되고, 위사(X)를 직포(S)의 직구로 안내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도 2, 도 3). 캐칭부재(21)의 상방 끼움부재(21A)는, 직포(S)를 누르는 직포 누름장치(22)를 부착하고 있는 케이싱체(K)에, 직포(S)의 폭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부착되는 연결부재(24)와 암(7)을 통하여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방 끼움부재(21A)는, 암(7)에 대하여 상하 조정이 가능하게 볼트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하방 끼움부재(21B)는, 직포(S)의 직구를 지지하는 높이조절부재(25)에 천 서포트(26)를 통하여 직포(S)의 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나사 고정되어 있다. 캐칭부재(21)의 하방 끼움부재(21B)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방 끼움부재(21A)를 위치 결정하는 위치결정 홈(27)이 형성되고, 파지부재(1,11)로부터 캐칭된 위사(X)를 거는 걸음홈(28)이 형성되어 있다. 이 걸음홈(28)은, 위사(X)가 직포(S)의 직구에 이송되어 바디치기부재(10)가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올 때 일시적으로 걸음홈(28)에서 걸려서 파지부재(1,11)로부터 위사(X)를 이탈시키기 위해서 거는 홈이다. 위치결정 홈(27)은, 위사(X)가 위사(X)의 방향으로 이동하기 어렵게 하는 기능도 가진다. 상방 끼움부재(21A)는, 금속제의 선재를 구부림 가공하고 있어, 암(7)에 대해서 상하 조정하여, 선재의 가압력을 조정한다.
다음에, 레피어(R)는, 레피어 밴드(RB)의 선단에 멈추어져 있고, 레피어 밴드(RB)는 서로 역방향으로 왕복 회전운동하는 톱니부착 휠(RS)에 감아 걸려져 있다(도 1,도 4). 톱니부착 휠(RS)은, 구동수단(구동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데, 구동수단으로부터의 회전구동은, 이른바 3차원 크랭크기구(구동전달기구)(SK)와, 3차원 크랭크기구(SK) 중에 조립되는 캠 구조(DK1)와 요동거리 조정기구(DK2) 등에 의해, 톱니부착 휠을 소정범위에서 회전구동(요동회전)으로 변환시켜서 전달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도 12).
3차원 크랭크기구(SK)는, 도 12 내지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북직기(M)의 구동원(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인풋 샤프트(S1)와, 인풋 샤프트(S1)에 크랭크(S3)를 통하여 연결되는 스윙암(S4)과, 스윙암(S4)이 부착되는 십자형상의 2축 부재(5)와, 2매 1조로 구성되는 링크(S6)와, 부채모양의 기어(S7)로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은, 종래의 3차원 크랭크기구와 동일한 구성이다. 인풋 샤프트(S1)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얻어 회전한다. 스윙암(S4)과 십자형상의 2축 부재(5)는, 십자형상의 2축 부재(5)의 한쪽의 축(5B)의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십자형상의 2축 부재(5)의 다른 쪽 축(5C)은, 박스(B)에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다. 부채모양의 기어(S7)는, 그 축(S7b)을 중심으로 요동 회전하는데, 기어(S7)의 외주기어(S7a)는, 톱니부착 휠(RS)의 축(1R)과 일체의 기어(1Ra)에 맞물려 있다. 링크 샤프트(S8)는, 종래 구성에서는 십자형상의 2축 부재(5)의 축(5C)에 연결되는데, 본 실시형태에서는, 샤프트 레버(K3)의 끼워맞춤구멍(K3a)에 끼워맞추어져 있다. 또한, 샤프트 레버(K3)의 축(K3d)이 캠레버(맞닿음부재)(K2)의 축(K2d)과 연결되고, 다른 쪽의 축(K2c)이 박스(B)에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3차원 크랭크기구(SK)에 캠기구(DK1)와 요동거리 조정기구(DK2)가 부가되어 있다.
캠기구(DK1)는, 상기 3차원 크랭크기구(SK)의 십자형상의 2축 부재(5)의 한쪽의 축(5A)에 부착되어 있다. 캠기구(DK1)는, 캠판(판캠)(K1)과 캠 레버(K2)와 샤프트 레버(K3)로 구성되어 있다. 캠판(K1)은, 외주가 2단이 되는 더블캠(K1a,K1b)이 멈추어짐과 동시에, 거의 중앙에 2축 부재(5)의 한쪽의 축(5A)과 연결되는 캠 축(Kj)을 가지고, 또 한쪽의 축(Ki)은 박스(B)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캠 레버(K2)에는, 상기 더블 캠(K1a,K1b)에 맞닿는 좌우의 캠 롤러((K2a,K2b))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좌우의 캠 롤러((K2a,K2b))의 중앙에 고정용의 축(K2c,K2d)이 설치되어 있다. 캠 레버(K2)의 다른 쪽의 축(K2d)은, 샤프트 레버(K3)의 한쪽의 축(K3d)과 연결되고, 또 한쪽의 축(K2c)은 박스(B)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캠판(K1)은, 특수한 곡선(Sc)과 정류부(Sd)로 이루어지는 윤곽을 형성하고, 그 윤곽곡선에 캠 롤러 (K2a,K2b)가 맞닿아 캠레버(K2)가 종동하기 때문에, 인풋 샤프트(S1)의 회전은, 3차원 크랭크기구(SK)와 캠기구(DK1)를 통하여 톱니부착 휠(RS)의 왕복 회전운동으로 변환되고, 도 13 내지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톱니부착 휠(RS)은 정지부를 포함한 요동 회전동작을 한다.
구체적으로는, 무북직기(M)의 구동원(구동모터)에 의해 인풋 샤프트(S1)가 회전하면,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윙암(S4)을 통하여 십자형상의 2축 부재(5)의 한쪽의 축(5A)도 회전하여, 캠 판(K1)을 회전시킨다(도 13 도 14 중의 화살표방향). 이 회전에 의해, 특수한 윤곽의 캠판(K1)의 캠(K1a,K1b)의 중심축(Ki,Kj)으로부터 캠 롤러(K2a,K2b)의 거리가 변동하는 부호(Sc)(외주곡선)의 범위에서는 이 캠판(K1)에 맞닿는 캠 레버(K2)가 회전하고, 캠 레버(K2)의 축(K2c)을 통하여 샤프트 레버(K3)를 구동시키면, 링크(S6), 부채모양의 기어(S7)를 통하여 톱니부착 휠(RS)의 축(1R)을 회전시킨다(도 14, 도 15). 그리고, 반급사측의 반전위치까지 왕동작시키면, 이번에는, 도 15로부터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동작한다. 이와 같은 왕복운동(요동운동)에 의해, 도 13으로부터 도 15 중의 캠(K1a)의 외주곡선(Sc)의 범위에서는, 톱니부착 휠(RS)이 회전하는데 정류부(Sd)에서는 톱니부착 휠(RS)은, 캠(K1a,K1b)의 중심축(Ki,Kj)으로부터 캠 롤러(K2a,K2b)의 거리가 일정한 범위이고, 정지상태에 놓여진다. 인풋 샤프트(S1)가 계속 회전하면, 반급사측 레피어(R)는 부호(Sd)(정류부)의 범위에서 정지하고, 부호(Sc)(외주곡선)의 범위에서 운동하므로, 도시하면 도 17과 같이 표시된다. 반급사측의 레피어(R)는, S자 곡선을 그리듯이 동기 구동하는데, 종래의 S자곡선(Sb)과는 달리, 반급사측 테이프 가이드(6) 위의 직포(S)측에 정지하고(도 17 중의 「정지위치」, 파지부재(1,11)에 의한 위사(X)의 파지가 확실해진다. 또한, 급사측의 레피어(R)는, 종래의 S자 곡선(Sb)과 동일하게 S자 곡선을 그리도록 동기 구동한다(도 17의 급사측 참조).
다음에, 링크(S6)의 부채모양의 기어(S7)에 대한 연결상태를 조정하는 요동거리 조정기구(DK2)가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기어(S7)의 부채모양을 나타내는 좌우의 한 변측에는 원호형상의 긴 구멍 (S7c)이 형성되는 한편, 2매 링크(S6)의 기어(S7)측의 축(S9)에는, 긴 구멍(S7c)에 대한 소정위치에서 그 축을 나사부재(N)를 통하여 고정하는 구멍(Na)과 나사구멍(Nb)이 대응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나사부재(N)의 구멍(Na)과 나사구멍(Nb)은, 긴 구멍(S7c)에 대하여 2개소에서 고정되고, 원호형상의 긴 구멍(S7c)에 대하여 링크(S6)의 일방측(S9)의 위치를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요동거리 조정기구(DK2)에 의해, 반급사측 레피어(R)의 「정지위치」(도 17)를 직포(S)의 폭에 의해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에, 가압해제부재(T1)는, 반급사측 테이프 가이드(6)의 직포(S)의 측에 가압동작이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도 1, 도 16, 도 18). 가압해제부재(T1)는, 반급사측의 레피어(R)의 그립레버(R3)를 가압하여 그립퍼(R1)의 위사(X)의 걸음을 해제하는 것으로,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급사측 테이프 가이드(6) 위로 이행한 레피어(R)를 향하여 왕복 동작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도 16의 화살표방향). 가압해제부재(T1)는, 이것을 상방으로부터 나사고정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판(T2)과, 이것을 구동하는 캠((TC))과 요동링크(TR)와 연결부재(T3)를 구비한다(도 16). 캠(TC)은, 인풋 샤프트(S1)와 연동하고, 캠(TC)에 의해 요동링크(TR)의 요동범위가 제어되어, 연결부재(T3)를 동작시켜서, 가압해제부재(T1)를 왕복동작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레피어(R)의 그립레버(R3)가 상기 무북직기(M)의 구동수단과 연동하는 가압해제부재(T1)에 의해 가압되어, 위사(X)의 걸음을 해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해제의 타이밍은, 파지부재(1,11)에 의한 위사(X)의 파지 직후의 순간의 타이밍이다.
또, 급사측에는, 위사(X)의 보빈(B1)과, 위사(X)가 저류되는 위사 저류장치(B2)와, 위사(X)에 장력을 부여하는 장력부여수단(B3)이 배열설치되어 있다(도 8, 도 9). 장력부여수단(B3)은, 유지 스터드(30)에 의해 유지되는 판스프링(31)과, 고정부재(35)에 부착되어 있는 로터리 솔레노이드(32)에 의해 회전 동작하는 원주형상의 회전 스터드(33)를 구비하고 있다. 회전 스터드(33)는, 위사(X)를 판스프링(31)에 대하여 가압하는 맞닿음부(33a)와, 위사(X)를 판스프링(31)에 대하여 가압을 해제하는 해제홈(33b)을, 그 외주에 번갈아 2개소씩 가지고 있다. 따라서 회전 스터드(33)가 로터리 솔레노이드(32)에 의해 회전되면, 위사 저류장치(B2)로부터 인출된 위사(X)에 장력을 간헐적으로 부여한다. 즉, 급사측의 레피어는, 무북직기(M)의 중앙에서 반급사측의 레피어(R)에 받아넘겨지는데(도 8), 이 받아넘겨진 위사(X)는, 상기 장력부여수단(B3)의 맞닿음부(33a)의 사이에서 장력이 부여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로터리 솔레노이드(32) 대신에, 무북직기(M)의 구동원(구동모터)의 축이나 상기 인풋 샤프트(S1)의 동작과동기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위사파지의 동작과 위사 파지방법)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무북직기(M)에 의한 제직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위사(X)는, 보빈(B1)으로부터 인출되어 위사 저류장치(B2)에 저류되어 있는데, 급사측의 레피어(R)가 그 구동계에 의해 무북직기(M)의 중앙으로 송출되고, 반급사측의 레피어(R)에 받아넘겨진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장력부여수단(B3)은, 무북직기(M)의 구동축과 연결된 인코더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동작하여, 로터리 솔레노이드(32)를 회전시킴으로써 동작한다. 로터리 솔레노이드(32)가 회전하면, 회전 스터드(33)는 판스프링(31)과 맞닿도록 회전한다.
반급사측의 레피어(R)는, 위사(X)를 그립퍼(R1)로 걸어두고, 상기 장력부여수단(B3)에 의해 장력이 부여된 상태에서, 반급사측에 도달하면, 반급사측의 편직단(Sa) 근방에 배치된 파지부재(1,11)의 앞을 통과한 직후에 정지한다(도 18(a)(b)). 즉, 레피어(R)의 그립퍼(R1)는, 반급사측 테이프 가이드(6)의 직포(S) 측의 단부(6a)에서 정지한다(도 17 중의 「정지위치」). 따라서 레피어(R)가 다시 위사넣기 방향에서 직포(S)의 단부(Sa)로부터 위사넣기 말단측으로 진행하는 일은 없다. 또한, 요동거리 조정부재(DK2)의 조정에 의해, 반급사측 테이프 가이드(6)의 직포(S)측의 단부(6a)의 위치에서의 정지나 그 전후에서의 정지위치의 조정이 직포(S)의 폭에 의해 가능하다. 또, 상기 장력부여수단(B3)의 로터리 솔레노이도(32)의 회전에 의해, 회전 스터드(33)의 맞닿음부(33a)와 판스프링(31)의 사이에서, 위사(X)에 장력이 부여되는 구조인데, 그 타이밍은 다음의 바디치기부재(10)에 의한 바디치기전에 있어서, 반급사측의 레피어(R)가 정지하기 전에, 장력부여수단(B3)의 회전 스터드(33)가 회전하여 맞닿음부(33a)와 판스프링(31)에 의해 위사(X)에 장력이 부여되고, 파지부재(1,11)로 파지된다.
반급사측 레피어(R)가 정지하기 때문에, 위사가 넣어진 위사(X)는, 파지부재(1,11)의 파지용 판(1A,1B)(또는 파지용 판(11A,11B))에 의해 확실하게 파지되고, 장력이 부여된 채, 바디치기부재(10)의 바디치기와 동시에 캐칭부재(21)를 향하여 요동 동작한다. 바디치기부재(10)를 단지 요동시키면, 그 높이위치가 직포(S)의 직구보다도 하방이 되는데, 그 전에 캐칭부재(21)에 의해 캐칭된다. 캐칭에 있어서, 위사(X)는, 캐칭부재(21)의 위치결정 홈(27)과 상방 끼움부재(21A)에서 끼워지면서 직포(S)의 직구로 진행하고, 다음에, 반대의 복동작할 때에, 위사(X)를 걸음홈(28)에 걸어서 파지부재(1,11)로부터 위사(X)를 이탈시킨다(도 2, 도 3).
또, 파지부재(1,11)가 위사(X)를 파지하면, 그 직후에 가압해제부재(T1)가 레피어(R)의 그립레버(R3)를 가압하여, 그립퍼(R1)의 위사(X)를 해제한다(도 18(c)). 레피어(R)가 정지하는 위치는, 반급사측 테이프 가이드(6)의 직포(S)측의 단부(6a)이기 때문에, 위사 로스는 최소한이 된다. 이 경우, 레피어(R)가 위사 파지부재(1,11)를 통과하여, 반급사측 테이프 가이드(6)의 직포(S)측의 단부(6a)에서 정지하고, 상기 파지부재(1,11)가 위사(X)를 파지한 직후의 타이밍에서 위사(X)의 선단을 레피어(R)의 그립퍼(R1)로부터 개방 가능하고, 레피어(R)의 여분의 주행을 적게 하여, 사(絲) 로스를 최소한으로 한다.
그런데, 종래의 무북직기는, 급사측과 반급사측의 레피어(R)가 서로 S자 곡선을 그리듯이 왕복 동작시키는 것으로(도 17의 부호(Sb)참조), 이동하면서 종래의 파지장치에 의해 파지하지않으면 안되었다. 또, 종래의 가압해제부재(T1)는, 반급사측 테이프 가이드(6)의 위에 고정판(TZ1)을 통하여 나사고정되어 있었다(도 23).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의 반급사측의 구동계는, 상기 캠기구(DK1)를 부가시키는 구조에 의해, 반급사측 테이프 가이드(6)의 직포(S)측의 단부(6a)의 위치에서 레피어(R)를 정지시킬 수 있고, 반급사측의 직포(S)의 단부(Sa)의 위치에서 파지부재(1,11)는 확실하게 위사(X)를 파지하게 된다. 또, 가압해제부재(T1)는 레피어(R)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그립레버(R3)를 가압해제하고, 그 후 바디치기부재(10)가 그대로 요동한다. 따라서, 바디치기부재(10)의 통상의 요동동작에 의한 바디치기에 의해, 위사(X)를 파지한 파지부재(1,11)가 직포(S)의 직구에 박아넣어진다. 바디치기부재(10)에 파지부재(1,11)를 부착하는 것은, 간단한 구조로, 고속성이나 내구성이 우수하고, 게다가, 본 실시형태의 위사 파지방법에 의하면, 정밀도가 높은 확실한 위사 파지가 가능해진다. 또, 레피어(R)의 정지상태에서 그립레버(R3)를 가압해제부재(T1)가 가압하기 때문에, 양자가 마모에 의해 고장나거나 하는 일도 없다. 또, 가압해제부재(T1)에 의한 그립레버(R3)의 가압해제를 무북직기(M)의 구동수단과 동기시키고 있으므로, 파지부재(1,11)에 의한 위사(X)의 파지 직후의 순간의 타이밍으로 위사(X)의 걸음을 확실하게 해제할 수 있다. 또, 바디치기부재(10)의 요동동작은 무북직기(M)의 구동수단과 동기되고 있으므로, 가압해제부재(T1)에 의한 그립레버(R3)의 가압해제 후도, 바디치기부재(10)는 통상의요동동작에 의해 바디치기되고, 위사(X)는 바디치기동작과 함께 캐칭부재(21)에 의해 캐칭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한 장력부여수단(B3)에 의해 위사에 장력을 부여하면서 파지부재(1,11)에 의해 파지함으로써, 위사(X)가 직포(S)의 직구에 박아넣어지면, 위사 이완이 없는 고품질의 직물을 얻을 수 있다.
(제2의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의 무북직기(M)는, 도 19 내지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지부재(1)를 바디치기부재(10)의 상방에서 매달도록 부착된 것이다. 파지부재(1)는, 제 1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ㄷ자 형상의 개구부(1a)를 가지는 고정부재(4)와, 한 쌍의 파지용 판(1A,1B)을 구비하고, 고정부재(4)에 한 쌍의 끼움용 판(1A,1B)을 중첩시켜서 나사(N)에 의해 나사 고정되어 있는 구성인데, 바디치기부재(10)의 상방부재(10f)를 끼워맞추는 끼워맞춤부재(10e)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부재(4)를 위로 하고, 한 쌍의 파지용 판(1A,1B)을 아래로 하여 매달려져 있다. 따라서 제 1의 실시형태와 같이, 파지부재(1)가 꽂힌 상태에서 클램프(15c)에 의해서 쐐기효과에 의해 부착되어 있는 것과 달리, 상방측으로부터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착하면, 나사(N)의 위치도 상향으로 되기 때문에, 상방에서 나사(N)의 조정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 1의 실시형태에서는, 나사(N)의 위치가 하향으로, 조정하기 어렵다.
또,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4)에는, 긴 구멍(1g)이 형성되고, 상기 끼워맞춤부재(10e)에 형성되는 구멍(10g)의 사이에서 볼트 고정되어 있으므로, 볼트(B)를 상기 긴 구멍(1g)에 대하여 이동시킴으로써, 파지부재(1)의 한쌍의 끼움용 판(1A,1B)의 상하방향(위사(X)를 파지하는 위치)의 조정(높이조정)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 3의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의 무북직기(M)는,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계가 이른바 기어기구(구동전달기구)로 구성되는 것으로, 제 1의 실시형태의 요동거리 조정기구(DK2) 등을 그대로 구비함과 동시에, 캠기구(GDK1)가 설치되어 있다. 기어기구(G1,G2)는, 2축간에 회전운동을 전달하는 기어(2축이 교차하는 기어), 즉, 베벨기어(기어기구)에 의해 구성되고, 2축(G1,G2)의 한쪽(G1)은, 인풋 샤프트(S1)와 연결되고, 다른 쪽(G2)은, 축(G3)을 통하여 캠 판(GK1)을 가지는 캠기구(GDK1)와 연결되어 있다. 캠기구(GDK1)는, 캠판(판캠)(GK1)과 캠 레버(K2)와 샤프트 레버(K3)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캠 레버(K2)와 샤프트 레버(K3) 등은 상기 제 1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캠판(GK1)은, 외주가 2단이 되는 더블 캠(GK1a,GK1b)이 정지됨과 동시에, 거의 중앙에 축(G3)과 연결되는 캠 축(GKj)을 가지고 있다. 캠판(GK1)은, 외주가 타원형상을 나타내고, 그 전체의 윤곽을 사용하여, 그 윤곽곡선에 캠 롤러(K2a,K2b)가 맞닿아서 캠 레버(K2)가 종동한다. 이 점, 캠판(K1)의 윤곽의 일부밖에 사용하지 않는 제 1의 실시형태와 달리, 종래의 구동전달기구의 캠기구가 부착된 기어기구에, 상기 윤곽의 캠판(GK1)과 캠 레버(K2)를 설치한 캠기구(GDK1)로 한 것이다. 인풋 샤프트(S1)가 회전하면, 기어(G1,G2)가 회전하고 캠판(GK1)도 회전한다. 캠판(GK1)의 윤곽곡선(외주형상)에 캠 롤러(K2a,K2b)가 맞닿아 있기때문에, 캠 레버(K2)가 요동하고,톱니부착 휠(RS)의 왕복 회전운동으로 변환되고,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톱니부착 휠(RS)은 정지부(Sd)(전체의 윤곽곡선의 일부(Sd))를 포함한 왕복동작(요동 회전동작)을 한다. 즉, 한 쌍의 레피어(R)의 특수한 궤도를 포함한 왕복동작은 도 17(속도제어 패턴의 도면)과 동일한 동작으로 되어, 반급사측의 레피어(R)는, S자 곡선을 그리듯이 동기 구동하는데, 종래의 S자 곡선(Sb)과는 달리, 반급사측 테이프 가이드(6) 위의 직포(S)측에 정지하여(도 17 중의 「정지위치」), 파지부재(1,11)에 의한 위사(X)의 파지가 확실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동계로서 이른바 3차원 크랭크기구와 캠 및 기어기구로 설명했는데, 본 발명의 무북직기에 있어서의 위사 파지방법은, 종래의 구동전달기구에 캠을 부착하여, 파지부재가 위사를 파지하는 위치에서 반급사측의 레피어를 정지시키는 것이면 모두 포함된다.
본 발명의 무북직기에 의하면, 바디치기부재에 의한 바디치기 동작과 동기하여 캐칭부재에 캐칭되므로, 간단한 구조로 확실하게 파지된 위사를 직포의 직구에 보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 3항 내지 제 5항에 기재된 무북직기에 있어서의 위사 파지방법에 의하면, 레피어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바디치기부재에 일체적으로 부착된 파지부재에 의해 위사를 파지하기 때문에, 반급사측의 직포의 단부의 위치에 있어서 확실하게 위사를 파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장력부여수단에 의해서 위사에 장력을 부여하면서 파지부재에 의해 파지함으로써, 위사 이완이 없는 고품질의 제직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8)

  1. 위사를 걸어 왕복 구동하는 레피어에 의해 위입되는 위사를, 요동하는 바디치기부재에 의해 바디치기하여 직포의 직구에 박아넣는 무북직기에 있어서, 바디치기부재에 일체적으로 부착되어 위사를 파지하는 파지부재와, 직포의 직구측에 상기 요동하는 파지부재가 파지한 위사를 소정높이 위치에서 캐칭하는 캐칭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북직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재는, 위사를 끼우는 한 쌍의 파지판과, 한 쌍의 파지판 중의 적어도 한쪽을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가압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북직기.
  3. 급사측과 반급사측에서 위사를 걸어 왕복 구동하는 한 쌍의 레피어와, 반급사측의 레피어와 연결되는 레피어 밴드와, 레피어 밴드가 감겨지는 톱니부착 휠과, 무북직기의 구동수단의 회전구동을 왕복운동으로 변환시켜서 톱니부착 휠에 전달시키는 구동전달기구를 구비하고, 반급사측의 레피어에 의해 위입되는 위사를 바디치기부재에 의해 바디치기하여 직포의 직구에 박아넣는 무북직기를 사용하여, 이 무북직기의 바디치기부재의 반급사측에 위사를 파지하는 파지부재가 일체적으로 부착됨과 동시에, 파지부재가 위사를 파지하는 위치에 있어서 반급사측의 레피어를 정지시키는 캠기구가 상기 구동전달기구에 설치되고, 반급사측의 레피어를 정지시킨상태에서 파지부재에 의해 위사를 파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북직기에 있어서의 위사 파지방법.
  4. 급사측과 반급사측에서 위사를 걸어 왕복 구동하는 한 쌍의 레피어와, 반급사측의 레피어와 연결되는 레피어 밴드와, 레피어 밴드가 감겨지는 톱니부착 휠과, 무북직기의 구동수단의 회전구동을 왕복운동으로 변환시켜서 톱니부착 휠에 전달시키는 캠기구가 부착된 기어기구를 구비하고, 반급사측의 레피어에 의해 위입되는 위사를 바디치기부재에 의해 바디치기하여 직포의 직구에 박아넣는 무북직기를 사용하여, 이 무북직기의 바디치기부재의 반급사측에 위사를 파지하는 파지부재가 일체적으로 부착됨과 동시에, 파지부재가 위사를 파지하는 위치에 있어서 반급사측의 레피어를 정지시키는 캠 형상으로 한 캠판을 가지는 상기 캠기구가 상기 기어기구에 설치되고, 반급사측의 레피어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파지부재에 의해 위사를 파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북직기에 있어서의 위사 파지방법.
  5. 급사측과 반급사측에서 위사를 걸어 왕복 구동하는 한 쌍의 레피어와, 반급사측의 레피어와 연결되는 레피어 밴드와, 레피어 밴드가 감겨지는 톱니부착 휠과, 무북직기의 구동수단의 회전구동을 왕복 운동으로 변환시켜서 톱니부착 휠에 전달시키는 3차원 크랭크기구를 구비하고, 반급사측의 레피어에 의해 위입되는 위사를 바디치기부재에 의해 바디치기하여 직포의 직구에 박아넣는 무북직기를 사용하여, 이 무북직기의 바디치기부재의 반급사측에 위사를 파지하는 파지부재가 일체적으로부착됨과 동시에, 파지부재가 위사를 파지하는 위치에 있어서 반급사측의 레피어를 정지시키는 캠기구가 상기 3차원 크랭크기구에 설치되고, 반급사측의 레피어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파지부재에 의해 위사를 파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북직기에 있어서의 위사 파지방법.
  6. 제 3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급사측의 레피어에 위사를 해제하는 그립레버가 설치됨과 동시에, 그립레버를 가압하여 위사의 걸음을 해제하는 가압해제부재가 상기 파지부재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이 가압해제부재는, 상기 파지부재가 바디치기 동작을 하면서 위사를 파지한 직후에 레피어를 정지시킨 채의 상태에서 그립레버를 가압해제하고, 그 후 상기 위사를 파지한 파지부재를 부착한 바디치기부재가 더욱 요동하여 바디치기 동작을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북직기에 있어서의 위사 파지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해제부재는, 무북직기의 구동수단과 동기시켜서 그립레버를 가압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북직기에 있어서의 위사 파지방법.
  8. 제 3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북직기의 급사측에, 위사에 장력을 부여하는 장력부여수단이 설치되고, 이 장력부여수단에 의해 반급사측의 레피어가 정지하기 전에 위사에 장력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북직기에 있어서의 위사 파지방법.
KR1020020081047A 2001-12-18 2002-12-18 무북직기 및 이 무북직기에 있어서의 위사 파지방법 KR200300513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84852 2001-12-18
JPJP-P-2001-00384852 2001-12-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1384A true KR20030051384A (ko) 2003-06-25

Family

ID=37421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1047A KR20030051384A (ko) 2001-12-18 2002-12-18 무북직기 및 이 무북직기에 있어서의 위사 파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5138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18203A (zh) * 2011-09-30 2012-04-18 浙江理工大学 非圆齿轮-曲柄摇杆-轮系引纬、共轭凸轮打纬机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18203A (zh) * 2011-09-30 2012-04-18 浙江理工大学 非圆齿轮-曲柄摇杆-轮系引纬、共轭凸轮打纬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93847B (zh) 多頭刺繡機
EP3622106B1 (en) Quilting machine
US10781544B2 (en) Quilting machine
US4098208A (en) Sewing machine having a device for initiating the movement of the thread catcher of a thread cutting device
JP2018530681A (ja) 織機杼口に緯糸を保持し、供給し、挿入するための装置を備えた織機、ならびに織機杼口に緯糸を保持し、供給し、挿入するための方法
EP2025787A2 (en) Crochet machine
KR20030051384A (ko) 무북직기 및 이 무북직기에 있어서의 위사 파지방법
JP3678231B2 (ja) 無杼織機及びこの無杼織機における緯糸把持方法
US4054159A (en) Picking method for a shuttleless weaving machine
US9267223B2 (en) Single- or multiple-head embroidery machine having a double-lock-stitch rotating gripper
JP3691443B2 (ja) 織物製造方法および装置
EP1411161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fabric and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fabric
JPH05295648A (ja) 飾り付けミシン
KR101296278B1 (ko) 환봉 재봉기
KR20080089248A (ko) 단추달이 재봉기
ATE77420T1 (de) Vorrichtung zum umwandeln einer rotation in eine hin- und hergehende drehbewegung, speziell fuer textilwebmaschinen.
TW200523415A (en) Ribbon needleloom
US3434506A (en) Weft yarn anchoring arrangement for needle looms
JP5507951B2 (ja) 織り機
JPH073575A (ja) 射出シャトル式広幅織機
JP2001200465A (ja) タフトミシン
JP5731098B2 (ja) レピア織機の緯入れ方法及びその装置
CZ312598A3 (cs) Způsob strojního šití a šicí stroj k provádění tohoto způsobu
SU1071230A3 (ru) Механизм образовани рисунка по утку на бесчелночном ткацком станке
JPH01773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