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1361A - 전기청소기 - Google Patents

전기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1361A
KR20030051361A KR1020020080638A KR20020080638A KR20030051361A KR 20030051361 A KR20030051361 A KR 20030051361A KR 1020020080638 A KR1020020080638 A KR 1020020080638A KR 20020080638 A KR20020080638 A KR 20020080638A KR 20030051361 A KR20030051361 A KR 200300513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box
intake pipe
dust
vacuum clean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0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4409B1 (ko
Inventor
도히켄이치로
모리타아키히로
후지요시토시유키
마츠하시히로미치
아즈미타카야
Original Assignee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51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1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4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44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08Cyclonic chamber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금형을 간소화하고, 또한 집진 효율을 향상시키는 사이클론식의 캐니스터 타입의 전기청소기를 제공한다.
캐니스터 타입의 청소기 본체(1)에 사이클론식의 더스트 박스(2)가 설치되고, 상기 더스트 박스(2)가 중공원통용기이고 측면에 흡기관이 돌출되어 설치되고, 상기 흡기관의 선단측 개구가 상기 더스트 박스(2)의 폭방향의 대략 중심 부근에 형성되고, 상기 흡기관을 통과하여 더스트 박스(2) 내부로 유입한 공기를 더스트 박스(2) 내부에서 발생한 사이클론의 유동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리브가 상기 더스트 박스(2) 내면의 흡기관의 밑측 개구부근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박스의 내면에 따른 방향으로 연속 설치되는 전기청소기.

Description

전기청소기{A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전기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세하게는 사이클론식의 더스트 박스를 구비한 캐니스터 타입의 전기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기청소기, 특히 직립 타입(종형)청소기에는 1회용 집진 용지 팩을 이용하지 않고, 청소기 본체의 흡인 경로에 탈착이 자유롭게 장착되며 내부에서 소용돌이 형상의 공기의 흐름(이른바, 사이클론)을 발생시키는 집진 케이스(case)내에 통상의 필터를 구비하고 이 필터에 의하여 여과된 먼지를 집진 케이스 내에 축적할 수 있도록 한 사이클론식의 집진장치를 이용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집진장치는 1회용의 종이팩(pack)에 비하여 필터의 관리에 의해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하여 경제적이다.
본 발명자들은 이와 같은 경제적이고 집진 효율이 높은 사이클론식의 집진장치를 캐니스터 타입(횡형)청소기에 이용하는 것에 대해 신중히 검토를 한 결과, 사이클론 식의 더스트 박스를 청소기 본체에 설치한 캐니스터 타입의 전기 청소기를 개발하게 되었다.
사이클론식의 더스트 박스(51)는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관(52)을 더스트 박스(51)의 내면을 따라서 접선방향으로 형성하여 유입된 공기를 더스트 박스(51) 내부에서 발생하는 필터부(53) 주변의 사이클론의 유동방향으로 안내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흡기관(52)은 더스트 박스(51)의 폭방향에 있어 중심으로부터 벗어나기 때문에, 캐니스터 타입의 청소기에 있어서 더스트 박스(51)를 청소기 본체에 장착하는 경우 흡입 호스용 연결구를 청소기 본체의 폭방향 중심에 형성하기 위하여는 흡입호스용 연결구와 더스트박스(51)의 흡기관(52)과의 사이에 유로를 설치할 필요가 있어 청소기본체가 대형화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그래서 흡기관(52)을 흡입호스용 연결구에 직접 연결하도록 흡기관(52)의 선단측 개구(53)를 더스트박스의 중심에 배치 하기 위해서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기관(52)을 경사지게 연장하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 형상에서는 예각으로 돌출하고 있는 점 A 부분을 형성하기 위하여 금형이 복잡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면, 흡기관(52) 내부를 형성하기 위한 금형은 예각 부분A를 형성함과 동시에 경사방향으로 연장하는 내벽을 구성하기 위하여 복수의 금형을 조합시켜도 각각의 금형의 형상이 복잡하게 될 뿐 아니라, 더욱이 금형의 분리가 어려워진다. 또한, 흡기관(52) 외부의 점 A 부분에 마주한 부분을 형성하기 위한 외측의 금형은 상당히 복잡한 형상이 되기 때문에 금형의 분리가 거의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금형을 간소화시키고, 또한, 집진 효율을 향상시키는 사이클론식의 캐니스터 타입의 전기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기청소기의 일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 설명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기청소기의 평면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전기청소기의 좌측면에서 본 경우의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1의 더스트 박스의 사시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1의 더스트 박스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더스트 박스의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전기청소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Ⅷ-Ⅷ 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전기청소기의 다른 실시의 형태를 가리키는 더스트 박스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사이클론식의 더스트 박스의 일례를 가리키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사이클론식의 더스트 박스의 다른 예를 가리키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전기청소기 2 더스트 박스
3 전동송풍기
본 발명의 전기청소기는, 캐니스터 타입의 청소기 본체에 사이클론식의 더스트 박스가 설치되고, 상기 더스트 박스는 중공 원통 용기이며 측면에 흡기관이 돌출되어 설치되고, 상기 흡기관의 선단측 개구가 상기 더스트 박스의 폭방향의 대략 중심 부근에 형성되고, 상기 흡기관을 통과하여 더스트 박스 내부에 유입한 공기를 더스트 박스 내부에서 발생한 사이클론의 유동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리브가 상기 더스트 박스 내면의 흡기관의 밑측 개구부근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박스의 내면에 따른 방향으로 연속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가이드 리브의 길이는 상기 흡기관의 밑측 개구의 실질적인 개구폭이 선단측 개구의 개구폭과 거의 같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 리브의 선단과 상기 흡기관의 내벽과의 사이는 매끈한 경사면으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전기청소기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기청소기의 한 실시의 형태를 가리키는 사시 설명도이고, 도 2는 도1의 전기 청소기의 평면 설명도이며, 도 3은 도 1의 전기청소기를 좌측면에서 본 경우의 설명도이고, 도 4는 도 1 의 더스트 박스의 사시 설명도이고, 도 5는 도 1의 더스트 박스의 정면도이며, 도 6은 도 1의 더스트 박스의 종단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전기청소기의 종단면도이고, 도 8은 도 6의 Ⅷ-Ⅷ 선단면도이고 도 9는본 발명의 전기청소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더스트 박스의 정면 그림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전기청소기는 캐니스터 타입의 청소기 본체(1)의 앞부분에 사이클론식의 더스트 박스(2)가 상방으로부터 삽입되어 탈착 자유롭게 설치되고, 청소기 본체(1)의 뒷부분에는 전동송풍기(3)가 내장되어 구성된다. 또, 미도시 하였지만 청소기 본체(1)의 전단면의 연결구(4)에는 일련의 흡입 호스, 흡입관 및 흡입구가 연결된다. 또한, 청소기 본체(1)는 바닥면을 이동할 수 있도록 전륜(1a) 및 한 쌍의 후륜(1b, 1c)을 구비하고 있다.
더스트 박스(2)는 도 4 내지 도 6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원통 모양의 투명한 합성 수지 등으로 형성된 투명 또는 반투명의 더스트 박스 본체(5)의 내측에 각각 대략 원통 모양인 외측 필터부(6) 및 내측 필터부(7)가 더스트 박스 본체(5)와 동심상에 배치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필터부(6)는 외측 통상 부재(8)와 이 외측 통상 부재(8)측면에 종방향에 따라서 형성된 복수개의 슬릿(8a)주위를 피복하는 외측 필터(9)로 이루어진다.
또한, 외측 통상 부재(8)의 외주 측면에는 더스트 박스 본체(5)의 내벽을 향하여 연장된 차양부(10)가 돌출되어 설치된다. 더스트 박스 본체(5)의 내벽과 차양부(10)의 사이에는 틈새(34)가 형성된다. 따라서, 더스트 박스 본체(5)의 내벽과 외측 필터부(6)와의 사이에는 더스트 박스 본체(5)의 내벽, 외측 필터(9) 및 차양부(10)에 의하여 둘러싸인 제1사이클론 공간(25) 및 제1사이클론 공간(25)과 틈새(34)를 통하여 연통하는 먼지를 포집하는 공간부(26)가 형성된다.
차양부(10)의 선단부(10a)는 아래쪽으로 굴곡되어 있어서 먼지가 제 1사이클론 공간(25)으로부터 틈(34)을 통하여 공간부(26)로 이동하는 경우 먼지가 선단부분(10a)에 걸리는 것이 적어지게 되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내측 필터부(7)는 내측 통상부재(11)와 이 내측 통상 부재(11)측면에 종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복수개의 슬릿(11a) 주위를 피복한 내측 필터(12)로 이루어진다.
또한, 내측 통상부재(11)의 외주 측면에는 외측통상부재(8)의 내벽 방향으로 연장된 차양부(13)가 돌출되어 설치된다. 외측통상부재(8)의 내벽과 차양부(13)와의 사이에는 틈(35)이 형성된다. 따라서 외측통상부재(8)의 내벽과 내측 필터부(7)의 사이에는 외측통상부재(8)의 내벽, 내측 필터(12) 및 차양부(13)에 의하여 둘러싸인 제2사이클론 공간(27) 및 제2사이클론 공간(27)과 틈(35)을 통하여 연통한 먼지를 포집하는 공간부(28)가 형성된다.
상기 차양부(10)와 같이 차양부(13)의 선단 부분(13a)도 아랫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서 먼지가 제2사이클론 공간(27)으로부터 틈(35)을 통하여 공간부(28)로 이동하는 때, 먼지가 선단부분(13a)에 걸리는 것이 적어지므로 바람직하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필터부(6) 및 내측필터부(7)는 더스트 박스 본체(5)의 상단 개구를 폐쇄하는 상부 뚜껑부(14)의 하면에 아래로 드리워진 상태로 고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외측 통상부재(8)의 상부에 설치된 중간 뚜껑부(8b)가실링(8c)을 끼운 상태로 상부 뚜껑부(14)의 내벽에 끼워진다. 중간 뚜껑부(8b)와 더스트 박스 본체(5)의 사이는 중간 뚜껑부(8b)의 단부에 설치된 실링(8d)에 의하여 기밀하게 밀봉된다. 한편, 내측 통상부재(11)의 상부에 연속 설치된 복수의 슬릿을 구비하는 원통상 홀더(11b)는 원통상 필터(29)를 지지한 상태로 상부 뚜껑부(14) 내부에 수납된다. 원통상 홀더(11b)와 중간 뚜껑부(8b)와의 사이는 원통상 홀더(11b)의 외주면 하단에 설치된 실링(11c)에 의하여 기밀하게 밀봉된다.
더스트 박스(2)의 측면에는 흡기관(15)이 돌출되어 설치되고, 흡기관(15)의 선단측개구(16)는 청소기 본체의 폭방향의 중심에 형성된 상기 연결 구(4)(도 1 및 도 7 참조)와 직접 연결하도록 더스트 박스(2)의 폭방향의 대략 중심 부근에 형성된다.
또한, 더스트 박스(2) 내면의 흡기관(15)의 밑측 개구(17) 부근에 있어서 가이드리브(18)가 더스트 박스(2)의 내면에 따른 방향으로 연속 설치되어서 이와 같은 가이드 리브(18)에 의하여 흡기관(15)을 통과하여 더스트 박스(2) 내부에 유입된 공기를 더스트 박스(2) 내부에서 발생한 사이클론의 유동방향(예를 들면, 도 8에 있어서는 시계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도 8에 도시된 흡기관(15)으로부터 흡인된 먼지를 포함한 공기가 더스트 박스(2)내부에서 선회하여 높은 집진 효율을 얻을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흡기관(15)은 원통의 일부에 밑등으로 향하여 외측으로 벌어지는 테이퍼를 형성하는 것과 같은 간단하면서 매끄러운 형상을 나타낸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된 종래의 흡기관(52)과같이 예각으로 돌출한 부분이 없고 흡기관(15)의 일부를 슬라이드 코어를 이용하여 형성하므로 금형을 간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리브(18)는 흡기관(15)을 구성하는 슬라이드 코어와 더스트 박스 본체(5)를 구성하는 코어와의 접촉면에 가이드 리브 용의 얇은 凹부를 형성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리브(18)는, 선단 부분이 흡기관(15)으로부터 더스트 박스 본체(5) 내부로 흡입된 공기의 저항으로 되기 어렵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탄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흡입 특성의 저하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리브(18)의 선단부에 돌출부(18a)를 설치하여 포집효율을 향상시킨다. 이것은 돌출부분(18a)을 설치하여 흡기관(15)에 있어서 돌출부분(18a)이 설치된 부분과 그것에 마주하는 부분과의 간격(흡기관(15)에 있어서 개구폭의 최대 간격)을 좁혀서, 공기의 선회에 대한 저항을 저감시키고 선회를 순조롭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8에 도시된바와 같이 가이드 리브(18)의 길이가 흡기관(15)의 밑측 개구(17)의 실질적인 개구 폭W1이 선단측 개구(16)의 개구 폭W2와 거의 같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흡기관(15)을 흐르는 공기의 흐름은 선단측 개구(16)의 일단으로부터 가이드 리브(18) 선단을 연결하는 2점 쇄선P와 그것에 마주하는 흡기관(15)의 내벽과의 사이에 형성된 거의 직선적인 경로를 따라서 부드럽게 흐르게 되고 집진 효율이 좋아진다.
또한, 가이드 리브(18)의 선단과 흡기관(15)의 내벽과의 사이가 도 8에서2점 쇄선P로 도시되는 매끈한 경사면에 의하여 연결되면 흡기관(15)을 통하여 유입한 먼지가 가이드 리브(18)의 밑 부분에 쌓이기 어렵게 되므로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경사면은 별개의 부재로서 흡기관(15)에 고정할 수가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스트 박스 본체(5)의 바닥부에는 손잡이(19)의 하부에 설치된 경첩(20)에 의하여 개폐가 자유롭도록 구성된 바닥 뚜껑(21)이 설치되어 있다. 이 바닥 뚜껑(21)은 흡기관(15)의 아래쪽에 설치된 레버(22)의 상부를 눌러서 레버(22)의 하단에 형성된 클램프(23)가 바닥 뚜껑(21) 측의 멈춤쇠(24)로부터 벗겨져 더스트 박스 본체(5)의 하단 개구를 개방하도록 되어 있다.
외측 필터(9) 및 내측 필터(12)의 종류나 재질에 관해서는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예를 들면 여과된 공기의 통풍로가 되는 텅상체의 외주에 메쉬 필터가 통상으로 설치된 필터 등이 채용된다. 또한, 플리츠(pleats) 형상(뱀의 배모양)으로 절첩된 여과지 필터를 통상으로 설치한 필터 등의 다른 필터도 채용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의 형태의 전기청소기에 있어서 먼지 및 공기의 각각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에서 도시한바와 같이, 청소기 본체(1)의 외부에서 흡입된 먼지를 포함한 공기는 연결구(4) 및 흡기관(15)을 통하여 더스트 박스(2)내부로 들어가고 더스트 박스 본체(5)의 내벽을 따라서 선회한다. 구체적으로는 더스트 박스 본체(5)의 내벽, 외측 필터(9) 및 차양부(10)에 의하여 둘러싸인 제1사이클론공간(25)내부에서 공기가 선회하면서 외측 필터(9) 내부로 흐르고 먼지(거친 먼지)는 더스트 박스 본체(5)의 내벽과 차양부(10)와의 사이의 틈(34)을 통과하여 더스트 박스 본체(5)의 바닥부의 공간부(26)에 쌓인다.
동일한 형태로, 외측 필터(9) 내부로 흐른 공기도 또한 선회한다. 구체적으로는 외측통상부재(8), 내측필터(12) 및 차양부(13)에 의하여 둘러싸인 제 2 사이클론공간(27) 내부에 있어서 공기가 선회하면서 내측 필터(12) 내부로 흐르고 먼지는 외측 통상부재(8)와 차양부(13)와의 사이의 틈(35)을 통과하여 더스트 박스 본체(5)의 바닥부의 공간부(28)에 퇴적한다.
또한, 바닥 뚜껑(21)에는 외측 통상부재(8)의 하단 테두리와 바닥 뚜껑(21)과의 사이의 틈을 폐쇄하기 위한 패킹(36)이 설치되어 바닥 뚜껑(21)을 따라서 공간부(26)에서부터 공간부(28)로 공기가 새는 것이 없다.
더스트 박스 본체(5)에서 먼지가 여과된 공기는 상부 뚜껑부(14) 내부의 원통상 필터(29)에 의하여 또 여과된 후 상부 뚜껑부(14) 후단의 배기구(30)로부터 더스트 박스(2)외측으로 배출되어 도 7에 도시된 연결통로(31)를 통하여 전동송풍기(3)로 들어가고 전동송풍기(3)로부터 배기 필터(32)를 통하여 여과되며 청소기 본체(1)의 측면에 형성된 메시(mesh)모양의 배기구(33) 및 후륜 1b 또는 1c 의 메시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흡기관의 일부를 슬라이드 코어로 구성하는 것으로 형성하여 금형을 간소화한다. 게다가, 가이드 리브가 더스트 박스의 내면에 따른 형상으로 되어서 더스트 박스 내부를 선회하는 기류의 저항이 되는 일이 없어 집진 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Claims (3)

  1. 캐니스터 타입의 청소기 본체에 사이클론식의 더스트박스가 설치되고,
    상기 더스트 박스는 중공원통 용기로 되어있으며 측면에 흡기관이 돌출되어 설치되고,
    상기 흡기관의 선단측 개구가 상기 더스트 박스의 폭 방향의 대략 중심 부근에 형성되며,
    상기 흡기관을 통과하여 더스트 박스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더스트 박스 내부에서 발생한 사이클론의 유동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리브가 상기 더스트 박스 내면의 흡기관의 밑측 개구 부근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박스의 내면에 따른 방향으로 설치되는 전기청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리브의 길이가, 상기 흡기관의 밑측 개구의 실질적인 개구폭이 선단측 개구의 개구폭과 거의 같게 되도록, 설정되어 되는 전기청소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리브의 선단과 상기 흡기관의 내벽과의 사이가 매끄러운 경사면으로 연결되어 되는 전기 청소기.
KR10-2002-0080638A 2001-12-18 2002-12-17 전기청소기 KR1004844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84386A JP2003180577A (ja) 2001-12-18 2001-12-18 電気掃除機
JPJP-P-2001-00384386 2001-12-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1361A true KR20030051361A (ko) 2003-06-25
KR100484409B1 KR100484409B1 (ko) 2005-04-22

Family

ID=19187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0638A KR100484409B1 (ko) 2001-12-18 2002-12-17 전기청소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3180577A (ko)
KR (1) KR100484409B1 (ko)
CN (1) CN1245138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6533B1 (ko) * 2004-12-27 2007-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의 유로구조
KR101471026B1 (ko) * 2008-03-05 2014-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먼지봉투 또는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선택 장착할 수 있는진공청소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325006C (zh) * 2005-01-21 2007-07-11 泰怡凯电器(苏州)有限公司 一种吸尘器
GB2442211A (en) * 2006-09-29 2008-04-02 Vax Ltd Cyclonic separator with dual dust receptacle arrangement
CN101332061B (zh) * 2007-06-25 2012-01-11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具有排气盖自动开启结构的卧式吸尘器
JP6416517B2 (ja) * 2014-07-02 2018-10-31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電気掃除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6533B1 (ko) * 2004-12-27 2007-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의 유로구조
KR101471026B1 (ko) * 2008-03-05 2014-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먼지봉투 또는 사이클론 집진장치를 선택 장착할 수 있는진공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84409B1 (ko) 2005-04-22
CN1429524A (zh) 2003-07-16
CN1245138C (zh) 2006-03-15
JP2003180577A (ja) 2003-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25836C2 (ru) Узел пылеулавливания для пылесоса (варианты)
US7395579B2 (en) Cyclone dust collecting device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US7488363B2 (en) Dust collection unit of vacuum cleaner
US7556661B2 (en) Dust collection unit and vacuum cleaner with same
US7485164B2 (en) Dust collection unit for vacuum cleaner
KR100462838B1 (ko) 전기청소기
ITRM20000006A1 (it) Complesso di contenitore di sporcizia ad effetto ciclonico.
US20090300871A1 (en) Cyclone dust-collecting apparatus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AU2006249267B8 (en) Vacuum cleaner
KR100462837B1 (ko) 전기청소기
JP2003339596A (ja) 集塵装置及び電気掃除機
US6920665B2 (en) Pivoting valve arrangement
KR100484409B1 (ko) 전기청소기
JP2003180570A (ja) 電気掃除機
JP2003180569A (ja) 電気掃除機
KR101065954B1 (ko) 진공 청소기
EP3936021B1 (en) Air handling assembly and cleaning device having same
JP7474001B2 (ja) 電気掃除機
KR100602252B1 (ko)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의 패킹
KR20060117000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JPH0956644A (ja) 電気掃除機
JP2003180582A (ja) サイクロン式電気掃除機
KR20240000978A (ko) 청소기
JPH0123391Y2 (ko)
JPH10314075A (ja) 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