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8708A - 자동차용 헤드라이트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헤드라이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8708A
KR20030048708A KR1020010078691A KR20010078691A KR20030048708A KR 20030048708 A KR20030048708 A KR 20030048708A KR 1020010078691 A KR1020010078691 A KR 1020010078691A KR 20010078691 A KR20010078691 A KR 20010078691A KR 20030048708 A KR20030048708 A KR 200300487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or
vehicle
headlight
light
condenser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8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8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48708A/ko
Publication of KR20030048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8708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2Optical layout thereof
    • F21S41/36Combinations of two or more separate ref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 B60Q1/1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due to steering position
    • B60Q1/12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due to steering position with electrical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7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reflectors
    • F21S41/675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reflectors by moving ref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7Torque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헤드라이트 구조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 이용되는 다타원체면 반사경 시스템의 구조를 일부 변경하여 기존과 같이 직진 주행시 동일한 광속을 확보하면서 차량의 선회시 선해 방향의 측방 시계를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중앙에 광원이 장착된 타원형 반사경과, 이 반사경의 앞쪽에 설치되는 집광 렌즈와, 상기 타원형 반사경과 집광 렌즈 사이에 반사경의 바닥으로부터 소정의 간격(S)을 두고 설치된 차단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자동차용 헤드라이트 구조에 있어서, 상기 간격(S)에는 차량의 선회 방향에 따라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반사판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반사판은 파워 핸들용 토크 감지 센서로부터 검출된 신호량에 따라 구동되도록 타원형 반사경의 하부에 장착된 액츄에이터 구동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판사판은 빛의 진행 방향과 나란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헤드라이트 구조{Headlight structure for an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헤드라이트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타원체 반사경 시스템(Poly Ellipsoidal Headlight System: PES)의 구조를 변경하여차량의 조향시 전방 시야는 물론이고 측방 시야를 함께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헤드라이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여러가지 등화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그 중에서 특히, 헤드라이트는 야간에 운전자의 운전 시야를 확보해 주는 중요한 등화 장치의 하나이다.
첨부도면 도 3은 종래의 헤드라이트 구조인 다타원체면 반사경 시스템(PES: poly ellipsoidal headlight system)을 나타낸다. 상기 헤드라이트 구조는 중앙에 광원(11)이 장착된 타원형 반사경(10)과, 이 반사경(10)의 앞쪽에 설치되는 집광 렌즈(20)와, 상기 타원형 반사경(10)과 집광 렌즈(20) 사이에 설치되어 빛의 일부를 차단시켜 주는 차단판(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다타원체면 반사경 시스템은 기존의 포물면 반사경에 비해 소형화되고 멀리까지 조명할 수 있으며, 도로 면의 광 분포가 균일하고 전조등의 효율을 높여 주는 효과가 있다. 특히, 상기 차단판(30)은 타원형 반사경(10)의 하부 빛을 차단하여 하향 전조등의 전방 명암 경계(cut-off line)를 명확하게 해 준다.
첨부도면 도 4에는 이러한 다타원체면 반사경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상기 다타원체면 반사경 시스템은 종래의 구성과 동일하나, 차단판(30)의 구조를 변경시켜 근거리 조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차단판(30)은 타원형 반사경(10)의 하면과 소정의 거리만큼 간격을 두고 설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광원(11)으로부터 조사된 빛이 첨부도면에서와 같이 노면을 향하여 광속을 증가시키게 되어 근거를 조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에 이용되는 다타원체면 반사경 시스템의 구조를 일부 변경하여 기존과 같이 직진 주행시 동일한 광속을 확보하면서 차량의 선회시 선해 방향의 측방 시계를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헤드라이트 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헤드라이트 구조의 평단면도,
도 3은 종래의 헤드라이트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는 종래의 또 다른 헤드라이트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타원형 반사경 11 : 광원
20 : 집광 렌즈 30 : 차단판
40 : 반사판 41 : 액츄에이터
S : 간격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중앙에 광원이 장착된 타원형 반사경과, 이 반사경의 앞쪽에 설치되는 집광 렌즈와, 상기 타원형 반사경과 집광 렌즈 사이에 반사경의 바닥으로부터 소정의 간격(S)을 두고 설치된 차단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자동차용 헤드라이트 구조에 있어서, 상기 간격(S)에는 차량의 선회 방향에 따라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반사판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반사판은 파워 핸들용 토크 감지 센서로부터 검출된 신호량에 따라 구동되도록 타원형 반사경의 하부에 장착된 액츄에이터 구동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판사판은 빛의 진행 방향과 나란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헤드라이트 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여기서, 종래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그대로 사용한다.
본 발명은 종래의 PES 구조를 일부 변경하여 차량의 조향시 조향 방향에 대한 시계 확보를 통해 차량 조작의 편이성 및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PES 구조는 다타원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그 중앙에 광원(11)이 구비된 반사경(10)과, 이 반사경(10)에 반사된 반사파를 모야 일정한 방향, 즉 차량의 전방으로 모아 주는 집광 렌즈(20)와, 상기 반사경(10)과 집광 렌즈(20)의 사이에 위치하며 반사경(10)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S)만큼 떨어진 위치에 설치된 차단판(3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첨부도면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간격(S)에 반사판(40)를 장착하여 차량의 주행 방향이 직진일 경우 종래와 같이, 빛의 일부가 노면을 향하도록 하여 근거리 조도를 향상시켜 주고, 차량의 선회시 이 반사판(40)이 선회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노면을 향하던 빛이 반사판(40)에 반사되게 차량의 측면을 비춰주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반사판(40)은 타원형 반사경(10)의 하부에 장착된 스텝 모터와 같은 액츄에이터(41)에 의해 구동을 하게 된다. 특히, 상기 액츄에이터(41)는 종래 스티어링 시스템(steering system)에서 스티어링 휠이 어느 정도 회전하였는지를 검출해 내는 파워 핸들용 토크 감지 센서(미도시됨)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받아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액츄에이터(41)는 이 센서로부터 프론트 타이어가 어느만큼 회전되었는지, 즉 선회방향과 선회량을 입력받아 이에 상응하는 만큼 상기 반사판(40)를 회전시켜 노면을 향하던 빛을 선회방향으로 전환시켜 주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PES 구조의 일부를 변경하여 노면으로 향하던 빛을 선회 방향으로 돌릴 수 있게 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게 된다.
1) 헤드라이트의 광속을 해하지 않으면서 차량의 선회 방향으로 빛의 일부를 보내 선회시 측면 운전 시야를 넓힐 수 있게 되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2)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편리하다.

Claims (3)

  1. 중앙에 광원이 장착된 타원형 반사경과, 이 반사경의 앞쪽에 설치되는 집광 렌즈와, 상기 타원형 반사경과 집광 렌즈 사이에 반사경의 바닥으로부터 소정의 간격(S)을 두고 설치된 차단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자동차용 헤드라이트 구조에 있어서,
    상기 간격(S)에는 차량의 선회 방향에 따라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반사판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라이트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파워 핸들용 토크 감지 센서로부터 검출된 신호량에 따라 구동되도록 타원형 반사경의 하부에 장착된 액츄에이터 구동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라이트 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판사판은 빛의 진행 방향과 나란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헤드라이트 구조.
KR1020010078691A 2001-12-12 2001-12-12 자동차용 헤드라이트 구조 KR200300487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8691A KR20030048708A (ko) 2001-12-12 2001-12-12 자동차용 헤드라이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8691A KR20030048708A (ko) 2001-12-12 2001-12-12 자동차용 헤드라이트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8708A true KR20030048708A (ko) 2003-06-25

Family

ID=29574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8691A KR20030048708A (ko) 2001-12-12 2001-12-12 자동차용 헤드라이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4870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12645A1 (en) 2016-07-08 2018-04-25 Hyun-Su Eun Plastic compound lens for headlight
KR20180128192A (ko) 2017-05-23 2018-12-03 인퓨즈 주식회사 전장용 조명등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67302U (ko) * 1985-04-08 1986-10-17
KR970037270A (ko) * 1995-12-28 1997-07-22 김태구 자동차용 보조 조명장치
KR970065132A (ko) * 1996-03-19 1997-10-13 이현조 자동차 전조등의 회동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67302U (ko) * 1985-04-08 1986-10-17
KR970037270A (ko) * 1995-12-28 1997-07-22 김태구 자동차용 보조 조명장치
KR970065132A (ko) * 1996-03-19 1997-10-13 이현조 자동차 전조등의 회동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12645A1 (en) 2016-07-08 2018-04-25 Hyun-Su Eun Plastic compound lens for headlight
EP3339916A1 (en) 2016-07-08 2018-06-27 Hyun-Su Eun Plastic compound lens for headlight
KR20180128192A (ko) 2017-05-23 2018-12-03 인퓨즈 주식회사 전장용 조명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03469B2 (ja) 車両用アダプティブ・フロントライティングシステム用ランプユニット
JP2000195312A (ja) 種々の特性を有する光束を発生するための車両用ヘッドライト装置
FR2824513B1 (fr) Dispositif d'eclairage en virage pour un vehicule automobile
JP2001043708A (ja) 自動二輪車用前照灯
JP2000025518A (ja) 自動車の前照灯装置
EP1288069B1 (en) Vehicle headlight
KR20030048708A (ko) 자동차용 헤드라이트 구조
JP4169311B2 (ja) 可変配光ヘッドランプシステム
KR20110006481U (ko) 램프 실드 구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적응형 헤드 램프 장치
KR200324257Y1 (ko) 측면램프를 갖는 자동차
JP2001160307A (ja) 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CN211875920U (zh) 一种新型快拆式远近光一体化led汽车前照灯
KR910006270Y1 (ko) 자동차의 중간전조등장치
KR100501886B1 (ko) 버스의 노견등 구조
KR20240008741A (ko) 차량용 조명장치
JPH0141129Y2 (ko)
JPH0135366Y2 (ko)
JPH1178677A (ja) 自動車前照灯のコンプレックス・ワイドアングルシステム
KR200147362Y1 (ko) 차량의 프로젝션 헤드램프
KR970037270A (ko) 자동차용 보조 조명장치
KR200273370Y1 (ko) 자동차용 코너링 램프 장치
KR20040099194A (ko) 상향, 하향빔이 자동으로 조절되는 오토릴레이 전조등 인터페이스
JPS5812324Y2 (ja) 車両用前照灯
KR0119234Y1 (ko) 자동차의 전조등 장치
JP2005011719A (ja) 車両用ラン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