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8111A - 다용도 라이터 - Google Patents

다용도 라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8111A
KR20030048111A KR10-2003-7006100A KR20037006100A KR20030048111A KR 20030048111 A KR20030048111 A KR 20030048111A KR 20037006100 A KR20037006100 A KR 20037006100A KR 20030048111 A KR20030048111 A KR 200300481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er
biasing member
trigger
biasing
driving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6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0323B1 (ko
Inventor
브라이언 터비
폴 아담스
플로이드 페어뱅크스
Original Assignee
빅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빅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빅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30048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8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0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03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7/00Incandescent ignition; Igniters using electrically-produced heat, e.g. lighters for cigarettes; Electrically-heated glowing plugs
    • F23Q7/14Portable igni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2/00Lighters containing fuel, e.g. for cigarettes
    • F23Q2/16Lighters with gaseous fuel, e.g. the gas being stored in liquid phase
    • F23Q2/164Arrangements for preventing undesired i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ghters Containing Fuel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최소한 두 가지 다른 작동 모드로 작동시키는 라이터에 관련된다. 제 1 모드에서, 높은 구동력이 액츄에이터에 적용될 경우에 사용자가 연료를 방출시키고 라이터를 점화시키도록 구동조립체가 운동하는 것을 막도록 바이어싱 부재가 위치한다. 제 1 모드에서 라이터는 라이터를 작동시키는데 필요한 일정 수준의 힘을 갖도록 하여 부적합한 사용자게 의해 작동이 되지 않도록 한다. 제 2 모드에서, 낮은 구동력이 액츄에이터에 적용될 경우 사용자가 연료를 방출하고 라이터를 점화시키도록 제 1 모드와 동일한 정도로 구동조립체의 운동을 방해하지 않는 다른 위치로 바이어싱 부재가 이동된다. 바이어싱 부재를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부적합한 사용자가 사용하지 못하도록 사용자가 일정한 인지능력 혹은 물리적 특성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Description

다용도 라이터{MULTO-MODE LIGHTER}
담뱃불 붙이는 라이터는 수년간 개발되었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라이터는 회전 마찰요소나 압전요소를 사용하여 연료가 나오는 노즐에 스파크를 일으킨다. 사용하기 간편하다는 이유로 압전장치가 많이 이용되었다. Meury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5,262,697(이하 '697 특허)는 이러한 압전장치를 공지하는데, 본 발명에 인용되었다.
라이터는 크기가 작은 포켓용 담배 라이터에서부터 실용 라이터까지 개발되었다. 이러한 실용 라이터는 촛불을 키거나, 바비큐 그릴, 벽난로, 캠프화이어 때 불을 붙이는 등 여러 가지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전에는 포켓용 라이터에 손잡이만 길에 붙이는 형식이었다. 미국 특허 4,259,059 및 4,462,791에 이러한 예가 공지되었다.
많은 포켓 및 실용 라이터가 어린아이들이 함부로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장치를 갖고 있다. 대부분 이러한 장치는 온/오프 스위치로 되어 있어서 연료를 차단하거나 푸쉬버튼 같은 액츄에이터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한다. 온/오프 스위치를 "온(on)"과 "오프(off)"사이를 왔다갔다하게 움직이는 것은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만약 어른이 사용후에 스위치를 "오프" 쪽으로 되돌려 놓은 것을 잊는다면 이러한 것은 있어도 소용이 없는 것이다.
어떤 포켓용 및 실용 라이터는 액츄에이터나 푸쉬버튼의 움직이는 것을 막는 바이어스된 스프링 차단래치를 갖는다. Saito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5,697,775, Shike등에 허여된 미국 특허 5,145,358에 그 예가 공지되어 있다.
여전히 원치 않는 사용자에 이해 작동되지는 않으면서 어른들이 사용하기에는 편한 라이터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담뱃불 붙이는데 사용하는 라이터와, 초, 바비큐 그릴, 벽난로, 캠프 화이어때 불을 붙이는 실용 라이터에 관련되는데, 특히 적절하지 못한 사용자가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라이터에 관련된다.
도 1은 여러 가지 내부 구성요소를 보여주는 본 발명 실용 라이터에 대한 한가지 실시예를 도시하는 횡단면도.
도 2는 래치부재, 바이어싱 부재 같은 여러 가지 내부 부품을 간단하고 자세히 도시하기 위해 다른 요소들이 제거한 도 1에 도시된 라이터에 대한 부분 확대도인데, 여기서 라이터는 초기 위치에 있으며, 바이어싱 부재는 구동력이 높은 상태이다.
도 2A는 도 2에 도시된 라이터에 대한 측면 부분 확대도.
도 2B는 제 1 구동운동을 한 후의 도 2A에 도시된 라이터에 대한 측면 부분 확대도인데, 바이어싱 부재는 구동력이 높은 상태이다.
도 2C는 제 2 구동운동을 한 후의 도 2A에 도시된 라이터에 대한 측면 부분 확대도인데, 바이어싱 부재는 구동력이 낮은 상태이다.
도 3은 초기 위치에 있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대한 측면 확대도인데, 바이어싱 부재는 구동력이 높은 상태이다.
도 4는 라이터의 제 3 실시예에 대한 부분 확대 사시도인데, 라이터는 초기상태이고, 바이어싱 부재는 구동력이 높은 상태이다.
도 4A는 도 4의 라이터에 대한 부분 확대도.
도 4B는 제 1 구동운동을 한 후의 도 4A에 도시된 라이터에 대한 측면 부분 확대도인데, 바이어싱 부재는 구동력이 높은 상태이다.
도 4C는 제 2 구동운동을 한 후의 도 4A에 도시된 라이터에 대한 측면 부분 확대도인데, 바이어싱 부재는 구동력이 낮은 상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대한 부분 확대도인데, 라이터는 초기위치에 있으며, 바이어싱 부재는 구동력이 높은 상태이다.
도 5A는 도 5에 도시된 라이터의 부분 확대도인데, 바이어싱 부재는 구동력이 낮은 상태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부분 확대도인데, 여러 가지 변형을 도시한다.
* 부호설명 *
10 : 라이터12 : 하우징
13 : 트리거 가드14 : 핸들
16 : 제 1 단부18 : 노즐
20 : 제 2 단부22 : 연료공급통
24 : 도관28 : 젯트 및 밸브 조립체
30 : 밸브 액츄에이터32 : 이어
34 : 점화 조립체36 : 트리거
37 : 피벗회전 부재39 : 래치부재
본 발명은 최소한 두 가지 작동모드를 갖는 라이터에 관련된다. 어느 작동 모드에서든지 라이터는 구동부재의 운동을 방해하는 자단장치가 없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연료를 담고 있는 하우징, 라이터를 작동시키는 작동부재, 가동성 바이어싱 부재로 구성된 라이터에 관련된다. 바이어싱 부재는 낮은 구동력 위치(low-actuation-force position) 및 높은 구동력 위치(high-actuation-force position)사이에서 이동한다. 특히 높은 구동력 위치에서 바이어싱 부재는 라이터의 작동을 대립하는 제 1 반대 힘을 발생시킨다. 선호적으로 사용자가 바이어싱 부재를 낮은 구동력 위치로 이동시킬 때, 바이어싱 부재는 라이터의 구동에 대립하는 제 2 반대힘을 발생시킨다.
선호적으로 가동성 바이어싱 부재에 의해 발생된 제 1 반대힘은 제 2 반대힘보다 더 크다. 선택적으로 제 2 반대힘은 실제로 0이다. 낮은 구동력 모드에서 반작용 힘은 사용자가 높은 구동력 모드에서와 동일한 만큼의 수준으로 힘을 가할 때 작동부재의 운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한가지 실시예에서, 높은 구동력 위치에서 바이어싱 부재는 작동부재와 작동 가능하게 연결 혹은 접촉되고, 낮은 구동력 위치에서 바이어싱 부재는 작동부재와 접촉되거나 연결이 떨어지게 된다.
한가지 실시예를 따라서, 작동부재는 선택적으로 연료를 방출하거나 점화조립체를 구동시키거나 이 둘을 함께 수행하게 된다. 라이터는 작동부재에 의해 구동되는 점화 조립체를 갖는다. 점화 조립체는 압전유닛을 포함한다. 작동부재는 최소한 하나의 트리거가 될 수 있다. 높은 구동력 위치에서 가동성 바이어싱 부재는 트리거를 구동시키는데 필요한 힘을 증가시켜 트리거의 운동을 작동위치 쪽으로 방해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작동부재는 트리거, 링크로드, 피벗회전부재를 포함하는 구동조립체의 일부이다. 링크로드는 점화조립체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선택적으로 점화 조립체를 구동시킨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작동부재는 트리거나 링크로드가 될 수 있다. 피벗회전부재는 하우징에 연결되는데, 링크로드 및 트리거 사이에 설치되며, 선택적으로 노즐에 연료를 분사한다. 높은 구동력 위치에서 바이어싱 부재는 링크로드와 접촉하고 링크로드의 운동에 저항하기 위해 링크로드에 제 1 반대힘을 작용한다. 낮은 구동력 위치에서 바이어싱 부재가 이동되거나 재배치되고 제 1 반대힘 보다 낮은 제 2 반대힘을 적용시키며, 선택적으로 제 1 반대 힘보다 낮거나 0이다.
또 다른 관점에서, 래치부재는 바이어싱 부재와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래치부재는 피벗, 미끄럼이나 외팔보 방식 등 여러 가지 방법으로 하우징에 연결될 수 있다. 외팔보 연결에서, 래치부재의 단부는 하우징에 고정되고, 다른 쪽 단부는 자유롭게 운동한다. 래치부재가 운동함으로써 바이어싱 부재가 높은 구동력 위치와 낮은 구동력 위치 사이에서 운동하게 된다. 래치부재는 바이어싱 부재에서 분리되거나 일체화되고, 그렇지 않으면 바이어싱 부재는 사용자게 의해 직접 이동되거나 재배치된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라이터는 연결부를 갖는 바이어싱 부재 및 연결부를 갖는 구동 조립체를 포함한다. 바이어싱 부재는 제 1, 2 상태 사이에서 운동이 가능하다. 제 1 상태에서, 바이어싱 부재의 연결부는 구동조립체의 연결부와 연관된다. 제 2 상태에서, 구동조립체의 연결부는 바이어싱 부재의 연결부를 이동시킨다. 트리거에 10kg이하의 힘이 적용되면 바이어싱 부재는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변하게 되어 점화기를 작동시킨다.
상기 실시예는 또한 닫힌 위치에서 열린 위치로 바이어스된 연료를 방출하는 밸브를 추가로 포함한다. 구동 조립체는 선택적으로 밸브를 이동시킨다. 높은 구동력 위치에서 바이어싱 부재는 구동 조립체의 운동을 방해한다. 바이어싱 부재가 높은 구동력 위치에 있을 때 사용자가 제 1 트리거 힘보다 같거나 큰 힘을 구동 조립체에 힘을 가하면, 밸브는 닫힌위치에서 열린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바이어싱 부재가 낮은 구동력 위치에 있을 때 사용자는 이러한 위치 사이로 밸브를 이동시키기 위해서 구동 조립체에 제 2 트리거 힘을 작용시킨다.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를 따른 다중모드 라이터의 한가지 선호되는 관점은 라이터를 여러번 자동시킨 후에, 어느 한 모드에서 라이터를 구동시키는데 필요한 제 1,2 트리거 힘, 즉 선호적으로 제 1 트리거 힘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그러므로 가동성 바이어싱 부재에 의해 발생된 제 1,2 반대힘은 라이터의 사용을 저하시키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가동성 바이어싱 부재는 높은 구동력 위치에서 구동조립체의 운동을 작동 위치로 저항하기에 적합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구동조립체가 운동할 때 제 1,2 길이로 바뀌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다. 한가지 실시예에서, 바이어싱 부재는 제 1 위치에서 그 길이가 스프링의 긴장이나 팽창 같이 제 2 위치 보다 짧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바이어싱 부재는 제 1 위치에서의 길이가 스프링 압축 같은 제 2 위치에서의 길이 보다 크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라이터는 연료 공급을 포함하는 하우징, 분사된 연료를 점화시키기 위한 점화 조립체, 하우징과 관련된 작동부재, 하우징에 배치되어 재배치가 가능한 바이어싱 부재로 구성된다. 라이터를 구동시키기 위해 작동부재를 작동위치로 이동시키는데 일정한 구동력이 필요하다. 제 1 위치에서 바이어싱 부재는 작동위치로 작동부재를 이동시키는데 상기 일정한 작동력보다 큰 제 1 구동력이 필요하도록 작동부재와 관련된다.
다중모드 라이터의 선호되는 관점을 따라 , 제 1 혹은 높은 구동력 모드는 사람의 물리적 특성에 좌우되는데, 특히 힘의 세기에 관련되는데, 제 2 혹은 낮은 구동력 모드는 사람의 인지 능력에 좀더 의존한다. 라이터의 또 다른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높은 구동력에서 라이터를 하나의 손가락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낮은 구동력 모드에서 두 개의 손가락으로 라이터를 구동시킬 수 있다. 라이터의 또 다른 특징은 높은 구동력 모드에서 라이터의 작동은 낮은 구동력 모드에서와는 다른 과정이나 운동으로 이루어진다.
도 1에 본 발명을 따라 구성된 실용 라이터(10)의 한가지 실시예가 도시되었는데, 당해업자들이 여러 가지로 변형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이 실용 라이터에 관해 설명될 것이지만, 당해업자들은 종래의 포켓용 라이터 같은 곳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라이터(10)는 아크로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테폴리머(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terpolymer) 같은 플라스틱이나 주로 몰딩된 단단한 폴리머로 만들어진다. 하우징(12)은 트리거 가드(trigger guard)(13) 및 핸들(14)을 갖는데, 핸들은 라이터의 제 1 단부(16)를 형성한다. 노즐(18)은 하우징(12)의 제 2 단부(20)에 설치된다. 노즐(18)은 연료를 방출하여 불꽃에 공급한다. 노즐(18)은 스프링 같은 디퓨저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들(14)은 선호적으로 연료공급통(22)을 갖는다. 부탄이나 프로판 혹은 이들의 혼합물을 저장한다. 적합한 연료공급통(22)이 미국 특허 5,934,895(이하 '895 특허)에 공지되어 있으며, 본 발명에 인용되었다. 플라스틱 튜브 같은 도관(34)은 연료 콘넥터(26)에 설치죄며, 상기 콘넥터는 연료공급통(22)의 젯트 및 밸브 조립체(28)(도 2)에 연결되어가 바로 옆에 설치된다. 도관(24)의 반대쪽 단부는 노즐(18)과 연결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젯트 및 밸브 조립체(28)는 제 1,2 측면(30a,30b0을 갖는 밸브 액츄에이터(30)에 의해 작동된다. 밸브 액츄에이터(30)는 그 안의 구멍을 통해 이어(ear)(32)에 피벗회전이 가능하게 부착된다. 이어(32)는 연료공급통(22)에 연결된다. 그러므로 밸브 액츄에이어(30)가 눌렸을 때, 즉 제 1측면(30a)이 단부(16)쪽으로 이동되었을 때 밸브 액츄에이터(30)는 제 2 측면(30b)을 라이터의 제 2 단부(20) 족으로 이동시키는 이어(32)에 대해서 밸브 액츄에이터 (20)는 피벗회전하게 된다. 이렇게 작동하여 콘넥터(26), 도관(24)을 거쳐 노즐(18)을 통과하는 젯트 및 밸브 조립체(28)에 의해 연료가 방출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스프링(도시 안됨)이 선호적으로 밸브 액츄에이터(30)의 측면(30a) 아래쪽에 장착되어 밸브 액츄에이터(30)에 힘을 가해 젯트 및 밸브 조립체(28)를 닫힌 위치로 바이어스 시킨다. 이러한 압축 스프링은 미국 특허 5,520,197(이하 '197특허)에 공지되어 있으며, 상기 특허가 본 발명에서 인용되었다. 미리 조립된 연료공급 유닛은 연료공급통(22), 바이어스된 밸브 액츄에이터(30)와 젯트 및 밸브 조립체(28)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터(10)는 연료를 선택적으로 방출하기 위해 밸브 액츄에이터(30)를 쉽게 누르도록 하는 구동조립체(33)를 갖는다. 여기서 구동 조립체는 연료를 점화하기 위해 점화 조립체(34)를 구동시킨다. 구동 조립체는 연료 방출이나 점화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하고 다른 장치가 나머지 기능을 수행한다. 구동조립체(33)가 도 5,5A에 도시된 트리거만으로 구성되지만 여기에 도시된 구동 조립체(33)는 트리거(36), 피벗회전부재(37), 점화 조립체(34)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링크로드(38)로 구성된다. 상기 요소들은 앞으로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부재(39)는 하우징(12)의 상측에 있고,트리거(36) 및 고정 트리거 가드(13)는 하우징(12)의 핸들(14) 하단쪽 가까이에 있는 래치부재(39)와 반대쪽에 있다. 래치부재(39)는 지지되지 않고 이동이 가능한 전방단부(40)를 포함하는데, 상기 단부는 아래쪽으로 연장된 보스(boss)(40a) 및 핸들(14)에 고정된 후방단부(41)를 포함한다. 래치부재는 탄성이며 고정된 후방단부(41)는 래치부재(39)를 하우징(12)의 핸들(14)에 외팔보 방식으로 연결시킨다. 그러므로 래치부재(39)의 지지되지 않은 전방단부(40)는 피벗, 미끄럼 혹은 회전 방식으로 하우징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든 관점에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지만, 압전장치 같은 전자식 점화조립체가 점화조립체(34)에 선호적이다. 점화 조립체는 여러 가지 전자 점화요소, 예를 들어 미국 특허 3,758,820 및 5,496,169에 나와 있는 스파크휠, 라이터돌 혹은 그 외에 잘 알려진 스파크를 일으키거나 연료를 점화시키는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압전장치는'697 특허에 공지된 종류와 같다. 압전장치(34)는 도 1,2에 도시되었는데 특히 '697 특허에 공지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압전장치(34)는 텔레스코픽 조립체인데, 이 조립체는 전자 접촉부(48,50) 사이에 놓이 있고 전기적으로 접촉을 하는 압전 크리스탈(piezoelectric crustal)을 포함한다. 압전장치(34)가 눌릴 때, 전기접촉부(48,50) 사이에 전압을 발생시킨다. 전기 접촉부 혹은 앤빌(anvil)(48)은 접합위치(52)에서 전기전도성 쉘(51)과 직접 접촉한다. 쉘(51)은 하우징(12)의 외측에 있고 선호적으로 금속으로 만들어진다.
전기 접촉부(50)는 압전 크리스탈의 대향된 측면에 있는 충격패드(impactpad)와 접촉한다. 전기 접촉부(50)는 또한 두 개의 노출된 단부(56,58)를 갖는 절연전선(54)과도 접촉을 한다. 노출된 단부(56)는 접촉부(50)에 연결되고 노출된 단부(58)는 노즐(18)과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노즐(18)은 전극 역할을 하며 동,아연 같은 전기전도성 금속으로 만들어진다.
탭(60)은 근접단부(20) 가까이에 쉘(51)과 함께 일체화되어 노즐(18)의 출구(64)에서 스파크 갭(62)을 형성한다. 독립된 탭은 쉘(51)과 함께 스파크 갭(62)을 형성한다. 라이터가 작동할 때 노즐(18)에서 스파크가 일어나고 방출된 연료를 점화시키게 된다. 전도성 쉘(51) 단부에 있는 오프닝(66)은 불꽃이 라이터를 통과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방법대로 측면 통기구(도시 안됨)가 제공되어 공기를 유입시킨다.
도 2,2A는 트리거(36), 피벗회전 부재(37), 링크로드(38)를 포함하는 구동 조립체(33)를 자세히 도시한다. 트리거(36)는 선호적으로 하우징(12)에 미끄럼 운동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트리거(36) 및 하우징(12)은 트리거나 앞,뒤로 움직이는 것이 제한되도록 구성된다. 당해업자들은 트리거를 다른 방식으로 하우징에 연결시킬 수 있다.
피벗회전부재(37)는 한 쌍의 암(71,74)을 포함하고, 하우징(12)에 피벗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트리거(36) 및 링크로드(38)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암(72)은 링크로드(38)의 한 단부를 수용하며 암(74)은 사용자가 트리거(36)를 당실 때 밸브 액츄에이터(30)를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누르는 놉(knob)(7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2)은 적합한 지지부재로 링크로드(38)가 앞,뒤로 미끄럼 운동하도록 지지한다. 지지압전장치(34), 도관(24) 및 유체컨넥터(26) 같은 또 다른 지지부재가 라이터(10)에 여러 가지 목적을 위해 제공된다.
도 1을 계속 보면, 라이터(10)의 구동 조립체(33)는 링크장치 혹은 판스프링(78)을 갖고 있어서 스파크 갭(62)에 스파크가 발생될 때 노즐출구(64)에 연료를 공급하기 위해 밸브 액츄에이터(30)와 함께 트리와 관련되어 작동한다.
도 1,2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판 스프링(78)은 밸브 액츄에이터(30) 가까이에 있는 근접단부(80), 피벗회전부재(37)의 중앙부를 감싸는 중앙부(82), 피벗회전부재(37)의 암(74)과 맞닿는 원위단부(84)를 갖는다. 상기 피벗회전부재(37)는 판스프링(78)이 하중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피벗회전부재(37)에서 회전하지 못하도록 막는다. 판 스프링(78)은 스프링 스틸이나 다른 종류의 재료로 되어 있어서 탄성 특성을 갖는 금속으로 만들어진다. 판 스프링(78)이 피벗회전부재(37)에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는데 선택적으로 트리거(36), 밸브 액츄에이터(30), 밸브 액츄에이터(30)에 근접한 하우징(12)의 또 다른 부분과 연결되거나 이들과 조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피벗회전부재(37)는 바이어스되어 종래의 리턴 스프링을 이용해9도시안됨) 초기 위치로 되돌아가는데, 상기 리턴 스프링은 압전장치(34)의 두 개의 텔레스코픽 부재 내에 배열되어 있다. 압전 리턴 스프링은 텔레스코픽 부재 사이의 분리된 부분을 유지한다. 리턴 스프링은 피벗회전부재(37)와 물리적으로 접촉하고있는 링크로드(38)를 지지하거나 초기 위치로 이동시킨다. 리턴 스프링은 또한 697특허에 공지되어 있다.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시 사용자는 트리거(36)를 밀거나 당겨서 하우징(12)의 제 1 단부 쪽으로 이동시킨다. 그래서 피벗회전부재(37)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피벗부재(37)가 회전함에 따라서, 판 스프링(78)의 근접단부(80)는 밸브 액츄에이터(30)를 이동 및 눌러서 젯트 및 밸브 조립체(28)를 개방위치로 이동시켜 연료통(22)에서 연료를 방출한다. 사용자가 계속해서 트리거(36)를 누르게 되면, 사용자는 압전장치(34)를 압축 및 구동시켜서 스파크 갭(62)에 스파크를 발생시킨다. 스파크가 발생하기 전에 연료공급을 하여, 노즐에서 스파크가 발생하기 전에 혹은 발생함과 동시에 연료가 도관(24)을 통해 노즐출구(64)로 이동하는 시간을 갖게 된다. 트리거(36)가 해제될 때, 압전 리턴스프링은 피벗회전부재(37)를 시계반대방향으로 바이어스시키며 젯트와 밸브 조립체(28)는 닫힌 위치로 이동한다.
도 2,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터(10)는 두 가지 상이한 작동 모드를 갖는다. 각 모드는 적합하지 않은 사용자가 사용하지 못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제 1 작동 모드 혹은 높은 구동력 모드(high-actuation-force mode) 및 제 2 작동 모드 혹은 낮은 구동력 모드(high-actuation-force mode)가 사용될 수 있다. 라이터(10)의 높은 구동력 모드는 물리적인 차이점을 근거로 부적합한 사용자가 라이터를 작동 못하게 하는데, 특히 적합한 사용자와 적합 부적합한 사용자의 물리적 힘의 특성에 근거한다. 상기 모드에서 높은 구동력 혹은 높은 작동력을 트리거에 적용시켜 라이터를 작동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모드에서 라이터를 작동하는데 필요한 핌은 부적합한 사용자가 발생시킬 수 있는 힘보다 크지만 적합한 사용자가 발생시킬 수 있는 범위 내에 있다.
라이터(10)의 낮은 구동력 모드는 높은 구동력 모드 보다 적합한 사용자의 인식능력에 기초를 둔다. 특히 제 2 모드는 인식능력과 물리적 힘의 차이, 즉 적합한 사용자와 부적합한 사용자 간의 특성차로 인한 것이다.
낮은 구동력 모드는 사용자가 힘을 바꾸기 위해 라이터의 두 가지 구성요소를 작동하는데 의존하는데, 높은 작동력에서 낮은 작동력으로 바꾸는 것은 라이터를 작동시키기 위해 트리거에 적용되어야 한다. 낮은 구동력 모드는 바이어싱 부재를 높은 작동력 위치에서(높은 구동력 위치) 낮은 작동력 위치(낮은 구동력 위치)로 재배치하는 것을 따른다. 사용자는 래치부재를 눌려서 바이어싱 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다. 바이어싱 부재를 이동시킨 후에, 사용자는 트리거에 좀 약한 힘을 가해서 라이터를 작동시킬 수 있다. 낮은 구동력 모드는 트리거에 대해서 래치의 크기, 모양 위치 등을 변형시키거나 래치와 트리거에 필요한 힘과 거리를 변형시켜 물리적인 또한 인식력의 차이를 따른다. 트리거 및 래치가 특정한 상황에서 작동될 필요가 있는 것은 부적합한 사용을 막기 위해 어느 정도 필요한 수준을 맞추는데 이용된다.
도 2,2A에 높은 구동력 모드 및 낮은 구동력 모드를 갖는 라이터의 한 가지 실시예가 도시되었다. 도 2,2A에 도시된 라이터는 래치부재(39) 및 링크로드(38)와 작동하는 코일 스프링(42) 같은 이동 가능한 바이어싱 부재를 갖는다. 스프링(42)의 단부(42a)는 보스(40a)에 연결되며, 나머지 단부는 L자 모양을 만들기 위해 스프링의 인접한 영역으로부터 연장된 레그 혹은 연결부분(42b)을 갖는다. 여기서 스프링 레그(42b)는 보스(40a)에 피벗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지만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레그(42b)가 보스(40a)에 견고히 연결될 수있다.
높은 구동력 모드의 초기 상태에서 스프링(42), 특히 스프링 레그(42b)는 구동조립체의 링크로드(38)에 형성된 홈(44) 같은 정지부 내에 배열되며 길이(D1)를 갖는다. 홈(44)은 구동조립체의 연결부분을 포함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44)은 두 개의 영역과 함께 연결표면을 갖는다. 상기 영역들은 수직영역(44a) 및 경사진 표면영역(44b)이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링크로드는 수직영역(44a)만 포함하거나 경사진 영역(44b)만 포함하거나 이 둘을 같이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안착된 상태의 스프링(42)은 링크로드(38)에 힘을 가하거나 가하지 않을 수 있다. 홈(44)에서 레그(42b)와 함께 수직영역(44a)과 접촉하고 있는 스프링(42)은 높은 구동력 위치에 있게 된다. 사용자가 트리거(36)를 구동시키려 할 때 로드(38)를 단부(20)쪽으로 움직이게 되어 스프링(42)은 이러한 운동에 반대쪽으로 스프링힘(Fs)을 발생시킨다.
높은 구동력 모드에서 라이터를 작동시키기 위해서, 즉 스프링 레그(42b)가 홈(44)에 있을 때 사용자는 최소한의 제 1 트리거 힘(FT1)을 트리거(36)에 적용시키는데, 스프링의 힘(Fs)과 모든 추가되는 반작용 힘(FOP)의 합과 동일하다. 스프링 힘(Fs)은 두 가지의 힘, 즉 스프링(42)을 연장시키는데 필요한 힘과 래치부재(39)의 전방단부(40)를 아래쪽으로 이동하는데 필요한 힘을 갖는다. 반작용 힘(FOP)은 압전유닛(34)에서 리턴 스프링에서 발생된 스프링의 힘이나 밸브 액츄에이어, 링크장치, 구동조립체가 운동하면서 발생된 힘, 그리고 라이터를 구동시키기 위해 극복하는 혹은 구동 조립체, 연료통에 추가되거나 그 일부인 스프링 및 바이어싱 부재로 인한 힘들과 같이 라이터를 작동시키기 위해 구동되는 여러 가지 요소 및 조립체에 의해 발생되는 힘이다. 특히 라이터의 구동에 반대되는 힘(FOP)은 라이터의 구조와 모양에 따르며 그 설계가 변한다. 이러한 모드에서 만약 트리거에 적용된 힘이 제 1 트리거 힘(FT1)보다 적을 경우, 라이터는 동작하지 않을 것이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 1 트리거 힘(FT1)과 같거나 큰 힘을 트리거(36)에 가할 때, 트리거(36)는 피벗회전부재(37)를 움직이며 판스프링(78)이 회전을 하고 밸브 액츄에이터(30)를 눌러서 연료를 방출한다. 피벗회전부재(37)가 움직임으로 인해서 링크로드(38)가 단부(20) 쪽으로 이동하게 되며, 스프링(42)(도 2B)을 늘리고 링크로드(38)가 압전유닛(34)을 눌러 구동시켜서 방출된 연료를 점화시킨다. 여기서, 스프링(42)은 길이(D1)(도 2A) 보다 큰 길이(D2)를 갖는다. 상기 작동모드에서, 래치부재의 탄성 및 하우징과의 연결에 따라서, 래치부재(39)의 자유단부(40)는 늘어날 때 바이어싱 부재(42)에 의해 가해진 힘 때문에 아래쪽으로 당겨진다. 이렇게 아래쪽으로 이동하기 전에 래치부재(39)의 최초 위치가 도 2B에 도시되었다.
트리거(36)가 해제될 때, 압전장치(34) 및 스프링(42) 내의 리턴 스프링은링크로드(38)를 그 초기 위치로 되돌아가게 한다. 피벗회전부재(37)는 시계반대방향으로 바이어스되고 스프링(78)은 젯트 및 밸브 조립체(28)를 닫고 노즐(18)에 연료공급을 차단하기 위해 바이어스된 밸브 액츄에이터(30)에서 해제된다. 그래서 라이터의 불꽃이 꺼지게 된다. 그러므로 피벗회전부재(37) 및 트리거(36)는 그 초기 위치로 돌아간다. 트리거(36)를 해제함으로써 펼쳐진 바이어싱 부재(42)에 의해 발생된 힘으로부터 이동되었을 경우 래치부재(39)는 그 초기위치로 되돌아간다. 래치부재(39)의 탄성으로 인해서 초기 위치로 되돌아간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래치부재(39)의 탄성은 스프링의 도움으로 래치부재를 초기 위치로 되돌아가게 한다. 그 결과, 트리거를 해제할 때, 라이터는 초기 상태로 되돌아가고, 바이어싱 부재(42)는 높은 구동력 위치(도 2)에 있게 되며 트리거를 구동시키기 위해 높은 구동력을 필요한 것이다.
라이터는 사용자가 높은 구동력 모드에서 라이터를 점화하기 위해 어느정도의 강한 힘을 갖고 있어야 한다. 라이터는 높은 구동력 모드에서 한번의 동작이나 하나의 손가락으로 라이터를 구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만약 적합한 사용자가 높은 제 1 트리거 힘(FT1)(높은 구동력)을 트리거에 가해서 라이터를 켜고 싶지 않을 경우,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낮은 구동력 모드로 라이터(10)를 켤 수가 있다. 이러한 작동모드는 여러 가지 구동운동으로 구성되는데, 도시된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라이터를 작동하기 위해 두 가지 작동을 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라이터에서, 낮은 구동력 모드로 높은 구동력에서와 같이 동일한 정도로 링크로드(38)의 작동과 반대되지 않도록 바이어싱 부재를 재배치한다. 낮은 구동력 모드에서 제 2 트리거 힘(FT2)(낮은 구동력) 보다 크거나 같은 힘이 트리거(36)에 가해져서 래치부재를 누름과 동시에 라이터를 켜게 된다. 이러한 모드에서 제 1 트리거 힘(FT1)보다 제 2 트리거 힘(FT2)은 선호적으로 작고, 덜 중요하다.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낮은 구동력모드는 래치부재(39)의 자유단부(40)를 초기위치(점선으로 표시됨)에서 트리거(36) 쪽으로 누르는 것을 포함한다. 래치부재(39) 및 스프링(42) 사이의 작동 때문에, 래치부재(39)의 아랫방향 운동으로 인해서 스프링(42)이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래치부재는 부분적으로 혹은 완전히 눌리는데 서로 다른 결과를 가져온다. 라이터 구성요소의 구성에 따라 만약 래치부재가 부분적으로 눌리면, 레그(42b)는 수직영역(44a), 경사진영역(44b) 혹은 링크로드(38)의 하측표면에 인접하거나 서로 접촉하게 된다. 만약 레그(42b)가 링크로드(38)의 수직부분(44a)에 인접하거나 접촉하도록 래치부재(39)가 눌릴경우, 레그(42b)는 여전히 낮은 구동력 모드에서 홈(44) 안에 있게 된다. 만약 레그(42b)가 링크로드(38)의 경사진 영역(44b)에 인접하거나 서로 접촉하도록 래치부재(39)가 눌릴경우, 레드(42b)는 홈을 빠져나오는 것을 여겨지고 라이터는 낮은 구동력 모드에 있게 된다. 만약 레그(42b)가 링크로드(38)의 하측표면과 접촉하도록 래치부재(39)가 눌릴경우, 레그(42b)는 홈에서 빠져 나오고, 라이터는 낮은 구동력 모드에 있게 된다. 몇가지 구서에서 라이터는 래치부재(39)가 완전히 눌렸을 때, 레그(42b)가 링크로드(38)의 하측표면과의 접촉에서 완전히 빠져나오도록 설계된다. 다른 형태에서 래치부재가 완전히 눌림에 따라 레그(42b)는 링크로드의 하측표면 혹은 경사진 표면(44b)과의 접촉을 유지하게 된다.
낮은 구동력 모드에서 라이터를 구동시키기 위해 트리거에 적용된 힘, 즉 제 2 트리거 힘(FT2)은 전술된 바와 같이 라이터를 구동시키기 위해 반작용 힘(FOP)을 극복해야 한다. 또한 만약 레그(42b)가 링크로드(38)의 하측표면 혹은 경사진 표면(44b)과 접촉할 경우, 제 2 트리거 힘은 구동조립체가 운동하는 동안 접촉하여 발생된 마찰력을 극복해야 하나. 그러나 사용자는 래치부재를 부분적으로 혹은 완전히 눌렀는지에 따라 래치부재(39) 및 스프링(42)에 의해 발생된 추가적인 스프링 힘(Fs)(도 2A에 도시됨)을 극복하지 않아도 된다. 만약 부분적으로 눌렸을 경우, 라이터의 모드는 레그(42d)가 경사진 영역(44b) 혹은 수직영역(44a)과 접촉하는지에 좌우될 것이다. 수직영역(44a)과 접촉하는 레그(42d)의 경우 사용자는 홈(44) 안에 있는 레그(42d) 때문에 발생된 높은 스프링 힘을 여전히 극복해야 한다. 경사진영역(44b)과 접촉하는 레그의 경우, 사용자는 경사진 영역(44b)을 따라 레그(42d)가 이동함에 따라 스프링이 펴지기 때문에 발행된 스프링 힘을 여전히 극복해야 한다. 만약 완전히 눌렸을 경우, 사용자는 레그(42d)가 홈(44) 밖으로 나오기 때문에 스프링 힘을 극복하지 않아도 된다. 그 결과, 낮은 구동력 모드에 필요한 제 2 트리거 힘(FT2)은 높은 구동력 모드에 필요한 제 1 트리거 힘(FT1) 보다 낮다. 만약 래치부재(39)가 완전히 눌려서 스프링(42)이 래치부재(39)와의 접촉에서 벗어나도록 라이터를 설계한다면, 스프링 힘(Fs)은 0이 된다.
도 2에 도시된 라이터에서 낮은 구동력의 경우, 래치(39)는 트리거나 눌린 다음 해제될 수 있으며, 가스는 계속해서 노즐로 공급되고, 불꽃은 트리거가 해제될 때까지 꺼지지 않을 것이다. 트리거(36) 및 래치부재(39)가 해제되었을 때, 압전장치 내의 리턴 스프링은 링크로드(38)를 초기 위치로 이동시켜서 피벗회전부재(37) 및 트리거(36)를 초기 위치로 되돌아가게 한다. 또한 래치부재(39)의 탄성으로 인해서 초기 위치로 되돌아가며, 레그(42b)는 홈(44) 안으로 되돌아간다. 그러므로 라이터는 자동적으로 초기 상태로 되돌아가는데, 바이어싱 부재(42)는 높은 구동력에 있고 라이터는 작동하기 위해 높은 구동력을 필요로 한다.
선호적으로 낮은 구동력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는 래치부재(39) 및 트리거가 적합하게 작동하도록 충분한 인지 능력을 갖고 있어야 한다. 낮은 구동력 모드에서, 사용자는 래치부재(39)를 엄지 손가락으로 누르고 다른 손가락으로 트리거에 힘을 가한다. 라이터는 래치부재(39)가 눌려서 적합한 작동으로 라이터를 켠 후에 트리거 힘이 적용되도록 설계된다. 선택적으로 또 다른 작동과정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러한 작동과정에 국한되지 않지만 당해업자들에 의해 수행되는 것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트리거를 부분적으로 잡아당기고, 래치 부재를 누르며,나머지 트리거를 잡아당기는 과정이 될 수도 있다. 낮은 구동력 모드 상태의 라이터는 트리거 및 래치의 공간을 조절하거나 구동력을 조절하거나 래치, 트리거 혹은 라이터의 크기를 조절하여 적합한 사용자와 부적합한 사용자 간의 물리적 차이에 의존한다.
리어터(10)의 또 다른 선호되는 관점에서는 트리거(36), 피벗회전부재(37) 및 링크로드(38)가 항상 움직일 수 있고 라이터가 트리거에 충분한 힘을 가애 작동하도록 이러한 구동 조립체나 점화조립체의 운동을 방해하거나 막는 요소가 없다.
적합한 사용자가 라이터를 구동시키는데 너무 힘들지 않도록 만들기 위해서, 높은 구동력(FT1)은 선호적으로 정해진 값 보다 크지 말아야 한다. 도 2에 도시된 라이터에 대해서, FT1의 선호되는 값은 5kg 이상 10kg이하이다. 이정도 범위는 적합한 사용자가 사용하는데 방해가 되지는 않지만, 부적합한 사용자에게는 방해가 된다. 상기 값들은 예로써 제시된 것이며 높은 구동력 모드에서 구동력은 상기 범위 이상이거나 이하일 수가 있다.
당해업자들은 적합한 사용자가 편하게 트리거를 이용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요소로 인해 높은 구동력이 증가 또는 감소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요소들은 라이터에 제공된 트리거를 구동시키거나 잡아 당기기 위한 지렛대 작용, 라이터 구성요소의 마찰 및 스프링 계수, 트리거의 구조, 트리거 구동의 복잡성, 구성요소들의 위치, 크기 및 모양, 구동속도 및 적합한 사용자의 특성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트리거 및 래치부재 사이의 위치 혹은 관계, 적합한 사용자의 손이 큰지작은지 등이다.
구동 조립체의 구조, 링크장치의 구조, 스프링의 개수 및 스프링으로 발생된 힘 같은 내부 조립체의 설계는 사용자가 라이터를 켜기 위해 트리거를 사용하는 것에 모두 영향을 준다. 예를 들어서 선형구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트리거를 위해 필요한 힘은 트리거를 비선형 구동경로를 따라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힘과 갖지 않다.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트리거를 여러경로를 따라 움직여야 하는데, 이로써 구동하는 것이 더 어렵게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도시된 실시예들은 선형구동경로를 갖는 트리거들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당해업자들은 비선형 구동경로를 갖는 트리거를 본 발명에 의해 구현할 수가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낮은 구동력 모드를 위한 제 2 트리거 힘(FT2)은 2kg정도 제 1 트리거 힘보다 작지만,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다. 선호적으로 도 2C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낮은 구동력(FT2)은 1kg이상 5kg이하이다. 상기 값은 예를 든 것이며, 본 발명은 상기 값들에 국한되지 않는데, 이러한 값들은 라이터의 여러 가지 설계요소와 바람직한 수준의 부적합한 사용자가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요소에 의존하기 때문이다.
도 3은 라이터(90)의 선택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라이터(90)는 도 1-2에 대해서 전술된 구동 조립체를 포함하는데 도 1-2에 도시된 라이터(10)와 비슷하다. 라이터(90)는 또한 가이드벽(92) 및 링크로드(94)를 포함한다. 가이드벽(92)은 하우징(12)에 연결되며 바이어싱 부재(42)지지 및 위치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제 2링크로드(94)는 스프링(42)의 레그(42b)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L자형 슬롯(96)을 포함한다. 슬롯(96)은 제 1 영역(L1) 및 제 2 영역(L2)으로 구성된다. 라이터(90)에서 사용자는 바이어싱 부재(42)의 레그(42b)를 제 2 영역(L2) 혹은 높은 구동력 위치에서 제 2 영역(L1) 혹은 낮은 구동력 위치로 래치부재(39)를 라이터(10)에 대해 도시된 것처럼 눌러서 이동시킨다.
높은 구동력 위치 혹은 초기 위치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어싱 부재(42)의 레그(42b)는 사용자가 트리거(36)를 잡아당길 때 바이어싱 부재(42)가 링크로드(94)에 스프링 힘(Fs)을 가하도록 슬롯(96)의 제 2 영역(L2)에 위치한다. 도 3에 도시된 라이터에서 스프링(42)은 초기위치에서 바이어싱 링크로드(94)를 라이터의 후방단부(16) 쪽으로 힘을 가하도록 되어 있다. 낮은 구동력 위치에서 바이어싱 부재(42)의 단부(42b)(점선으로 도시됨)는 슬롯(96)의 제 1 영역(L1)과 정렬되도록 위치한다. 상기 모드에서, 만약 스프링(42)의 단부(42b)가 슬롯(96)의 단부(L3)과 접촉하지 않으면 사용자가 트리거(36)를 잡아당길 때 링크로드(94)에 스프링 힘이 발생되지 않는다. 만약 레그(42b)가 슬롯(96)의 단부(L3)와 닿을 경우, 트리거(36)가 단부(16)쪽으로 이동하는 것은 스프링(42)에 의해 저지될 것이다. 높은 구동력 위치에서 사용자는 트리거에 힘을 가해 라이터(10)에 대해서 전술된 것처럼 래치부재(39)를 아래쪽으로 이동시켜야 할 것이다 .
낮은 구동력 위치에서 제 2 트리거 힘(FT2)은 레그(42b)가 단부(L3)와 접촉할 때 스프링(42)이 로드(94)의 운동을 방해하기 때문에 전술된 바와 같이 제 1 트리거 힘(FT1) 보다 작다. 낮은 구동력 위치에서 사용자는 슬롯에서 링크로드(38)의 표면 및 스프링 레그(42b) 사이가 접촉함으로 발생되는 마찰력을 극복해야 한다. 슬롯(96)은 제 1,2 영역(L1,L2)이 더 이상 짧거나 길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높은 구동력 위치에서와 같이 낮은 구동력 위치에서 스프링(42)이 트리거나 링크로드(94)의 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단부(L3)에 이르지 않고 스프링이 영역(L1)을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도 4는 또 다른 라이터(100)의 선택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라이터(100)는 도 1-2에 대해서 전술된 바와 같이 링크(102)를 갖는 구동 조립체를 포함하며, 라이터(10)와 유사하다. 링크로드(102)는 자유단부에서 경사진 영역(106b) 및 수직영역(106a)과 함께 절단부(cutout)를 형성하는 일체형의 위쪽으로 연장된 암(104)을 포함한다. 구동조립체는 전술된 실시예와 비슷하게 래치부재(39)와 비슷한 래치부재(107)를 포함한다.
제 1 레그(108a), 제 1 레그(108a)에서 연장된 제 2 레그(108b), 제 2 레그(108b)에서 연장된 제 3 레그(108c)를 포함하는 스프링(108) 형태의 바이어싱 부재가 라이터(100)에 배치된다. 제 1,2 레그(108a,108b)는 V형태로 정렬된다. 제 3 레그(108c)는 하우징(12)에 고정되고, 링크로드(102)와 평행하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제 3 레그(108c)는 제 2 레그(108b)가 하우징(12)에 직접 연결되도록 짧아지거나 제거된다.
도 4에는 스프링(108)이 래치부재(139) 및 링크로드(102)와 작동 가능하게연결된다. 특히 제 1,2 레그(108a,108b) 사이의 정점인 스프링(108)의 커브(C)는 래치부재 자유단부(112)의 보스(110)와 접촉한다. 스프링(108)은 레그(108d)를 형성하기 위해 굽힘부를 갖는다. 초기위치에서 레그(108d)는 링크로드(102)(도 4A에 명확히 도시됨)에 형성된 수직영역(106a)과 접촉한다. 레그(108d)가 초기위치에서 링크로드(102)와 접촉하는 것으로 도시되었는데,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레그(108d)는 초기위치에서 링크로드(102)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커브(C)가 초기위치에서 래치부재(107)와 접촉하는 것으로 도시되었는데, 커브(C)는 초기위치에서 래치부재와 접촉하지 않도록 위치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터(100)는 라이터를 작동시키기 위해 여러 가지 모드 중 하나가 사용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다른 작동 모드를 갖는다. 높은 구동력 위치에서 스프링(108)은 구동 조립체의 링크로드(102)와 접촉한다. 사용자가 트리거(36)를 당길 때, 스프링(108)은 전방단부(20) 쪽으로 링크로드(102)가 움직이는 것을 방해하는 스프링 힘(Fs)을 적용시킨다. 라이터를 작동시키기 위해서 사용자는 스프링 힘(Fs)과 추가되는 반작용 힘(FOP)의 함과 크거나 같은 제 1 트리거 힘(FT1)을 트리거(36)에 작용시킨다.
만약 사용자가 제 1 트리거 힘(FT1)을 충분히 적용할 경우, 링크로드(102)는 앞쪽으로 이동하며 레그(108a)가 레그(108b) 쪽으로 이동하도록 스프링(108)을 누른다. 이것은 레그(108a),108b)(도 4A) 사이의 초기 거리(D1) 및 작동 후 거리(D2)(도 4B) 사이의 차이로 인한 것이다. 이 같은 거리의 변화는 스프링의 길이를 변화시킨다.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스프링(108)은 변형될 수 있고, 트리거 힘이 충분히 적용될 때 거리가 변하지 않도록 외팔보형태가 될 수 있다. 링크로드(102)가 운동함으로써 압전유닛(34)을 누르거나 구동시켜 가스를 점화시킨다. 만약 트리거에 작용된 힘이 제 1 트리거 힘(FT1) 보다 작을 경우, 라이터는 높은 구동력 모드에서 작동하지 않을 것이다.
트리거(36)가 해제될 때, 압축된 스프링(108) 및 압전장치(34) 내의 리턴 스프링이 초기 위치로 되돌아가서 링크로드(102)가 초기 위치로 가도록 하며, 피벗회전부재(37) 및 트리거(36)도 그 초기 위치로 되돌아간다. 또한 스프링(78)은, 만약 있다면, 라이터의 구성요소가 그 원래 위치로 되돌아가도록 돕는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프링(108)은 래치부재(107)와 접촉하며 래치부재(107)는 높은 구동력 모드에서 초기 위치에 남아 있는다. 스프링(108)은 래치부재와 접촉하지 않으며 래치부재(107)에 연결되거나 연결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라이터(100)는 낮은 구동력 모드에서 작동된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드에서는 사용자가 라이터를 구동시키기 위해 두 개의 요소를 운동시켜야 하는데, 라이터를 작동시키기 위해 하나의 요소를 운동시켜야 하는 높은 구동력 모드와 반대되는 것이다. 상기 모드에서는 사용자가 두 가지 다른 운동을 수행해야 하는데, 하나는 래치에 적용되고, 다른 하나는 트리거에 적용된다.
낮은 구동력 모드에서 래치부재(107)의 자유단부(112)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리거(36)쪽으로 초기위치에서(점선) 눌려진 위치로 아랫방향으로 이동된다. 래치부재(107) 및 스프링(108) 사이가 서로 운동함으로 인해서, 래치부재(107)는 스프링을 아래쪽으로 이동시킨다. 래치부재(107)가 눌리는 정도는 라이터(10)에 대해서 전술된 바와 같이 링크로드(102)의 하측표면, 경사진 표면영역(106b), 수직영역(106a)에 대해서 스프링(108)의 레그(108d) 위치를 결정한다. 레그(108d)가 수직영역(106a)과 접촉을 벗어난 후에 라이터는 낮은 구동력 위치에 있고, 낮은 구동력 혹은 제 2 트리거 힘(FT2)은 라이터를 구동시키기 위해 트리거(36)에 가해진다.
상기 작동모드에서, 제 2 트리거 힘(FT2)은 높은 구동력 모드에 사용되는 높은 트리거 힘(FT1) 보다 작으며, 링크로드의 하측표면 및 경사진 영역(106b)과 접촉하려 발생된 마찰력 및 반작용 힘(FOP)과 동일하다. 상기 실시예에서, 전술된 라이터와 비슷하게 스프링(108)은 높은 구동력 모드에서와 같은 정도의 낮은 구동력 모드에서 라이터의 작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제 1,2 트리거 힘(FT1,FT2)에 대한 선호되는 값들은 라이터(10)에 대해서 전술된 값들과 동일하다.
트리거(36) 및 래치부재(107)가 해제될 때, 압전장치 내에서 리턴 스프링은 링크로드(102)를 초기 우치로 이동시키며, 피벗회전부재(37) 및 트리거(36)를 초기 위치로 보내고 레그(108d)가 링크로드(102)의 절단부 수직영역(106a)과 접촉하도록 한다. 트리거 및 래치부재가 해제될 때, 레그(108b,108c)에 저장된 압축력은 래치부재(107)를 바이어스시키고, 래치부재(107)가 되돌아갈 때 래치부재의 탄성력을 초기위치로 돌아가게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라이터는 사용자가 래치부재(107)를다시 누르지 않으면 스프링(108)이 높은 구동력 위치에 있는 위치로 되돌아간다.
낮은 구동력 모드에서 라이터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래치부재(107)가 눌려지고 트리거가 작동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일정 수준의 물리적인 능력과 인지능력을필요로 한다. 선택적으로 이러한 라이터를 작동시키기 위한 상기 능력은 래치부재 및 트리거를 적합하게 작동시키기 위해 증가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과정은 라이터의 구조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라이터(100)에서 전술된 라이터(10,90) 및 라이터(114)에서와 마찬가지로, 트리거는 라이터를 작동시키기 위해 항상 이동이 가능하다.
도 5는 라이터(114)의 선택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라이터(114)는 트리거(118)를 포함하는 구동조립체 근처에서 하우징(12)에 피벗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래치부재(116)를 갖는 하우징(12)을 포함한다. 트리거(118)는 하우징(12)에 미끄럼 운동이 가능하게 연결되며, 압전유닛(34) 및 밸브 액츄에이터(30)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래치부재(116)의 단부(120)는 핑거 작동부이며, 초기 위치에서 단부(116)는 스프링(121)에 의해 라이터(114)로부터 멀어지도록 바이어스된다. 래치부재(116)의 다른 쪽 단부(122)는 바이어싱 부재(126)를 수용하기 위한 홈(124)(점선)을 형성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바이어싱 부재(126)는 코일 스프링인지만 다른 형태의 압축 스프링도 될 수 있다. 초기 위치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이어싱 부재(126)는 나머지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은 구동력 위치에 있고, 트리거(118)의 한 부분과 정렬되어 있으며 구동시키는데 필요한 힘을 증가시키기 위해 트리거(118)가잡아 당겨짐에 따라 압축된다. 바이어싱 부재(126)는 높은 구동력 상태일 때 미리 힘이 가해지거나 가해지지 않는다.
사용자가 래치부재(116)의 핑거 작동부(120)를 완전히 눌렀을 때, 단부(122) 및 바이어싱 부재(126)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리거(118)와의 정렬을 벗어나서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그러므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어싱 부재(126)는 전술된 바와 같이 낮은 구동력이 라이터(114)를 작동시키는 FT2보다 크거나 같은 낮은 구동력 모드에 있다. 라이터(114)에 대한 낮은 구동력 및 높은 구동력 값은 라이터를 구동시키는데 필요한 모양, 크기, 힘, 운동 등이 다르기 때문에 라이터(10,90,100)와는 다르다. 사용자가 래치부재(116)의 핑거 구동부(120)를 해제할 때, 스프링(121)은 라이터가 높은 구동력 모드 상태에 있는 초기 위치로 래치부재(116)를 되돌아가게 한다.
바이어싱 부재 혹은 스프링(42,108,126)은 금속, 플라스틱, 복합재 등의 재료로 되어 있다. 선호적으로 상기 스프링들은 라이터를 여러번 자동 한 후에도 일정하게 유지되거나 라이터의 수명이 다할 때까지 스프링의 특성이 저하되지 않도록 계속해서 스프링 힘을 발생시키는 재료로 만들어진다. 래치부재(39,107)는 탄성력이 있고 가요성인 폴리머로 구성된다. 이같은 폴리머는 폴리아세탈(polyacetal) 같은 것이 있다. 하지만 적합한 특성을 갖는다면 다른 종류의 플라스틱도 사용될 수 있다. 어느 모드에서든지 라이터를 작동시키는데 필요한 힘은 여러번 작동 후에도 일정하게 유지되고 라이터의 수명이 다할 때까지 성능이 저하되지 않는 것이 선호적이다.
라이터(10,90,100,114)의 한가지 특성은 높은 구동력 모드에서 사용자가 필요한 힘을 발생시키면 여러 가지 구동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 다른 특징은 사용자가 래치 부재를 누르고 필요한 힘을 발생시키면 낮은 구동력 모드에서 여러 가지 구동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라이터가 첫 번째 시도했을 때 작동하지 않으면, 래치부재가 눌려있는 상태에서 트리거를 다시 구동시켜 재시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여러 가지 설명이 사용되었는데 각 실시예에 대한 여러 가지 특성이 하나만 혹은 서로 조합되어 이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도시된 실시예 중 선호되는 실시예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번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절연전성(54)(도 1)은 도관(24)의 안쪽 혹은 바깥쪽에 집중적으로 배치된 헬리컬 코일 스프링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은 압전유닛과 노즐 사이가 전기적으로 통하도록 하기 위해 당해업자들에 의해 추가적인 변형을 필요로 한다.
또 다른 변형에서 링크부재는 트리거에서 부터 트리거 및 밸브 액츄에이터 사이에 뻗어 있는 압축 스프링 혹은 밸브 액츄에이터 쪽으로 연장된 판 스프링을 갖을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라이터(10,90,100,114)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로드(138) 및 피벗회전부재(37) 사이에 연장된 스프링(130), 하우징 영역(134)과 피벗회전부재(37) 사이에 연장된 스프링(132), 하우징핀(138)에 장착된 스프링(136) 및 피벗회전부재(37)의 암(74) 및 피벗링크부재(142)의 연장부(140)를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각각의 실시예에서 가동성 바이어싱 부재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을 포함하고 스프링 힘이 다르며 동축 코일 스프링 같이 동축으로 배열된 하나 이상의 스프링을 포함한다.
또한 전술된 실시예에서 낮은 구동력 모드가 사용자가 두 개의 구성요소를 작동시키는데 관련되지만,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낮은 구동력 모드는 사용자가 여러개의 구성요소를 작동시키는데 관련된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구동 조립체는 트리거, 피벗회전부재, 링크로드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는데, 구동조립체는 도 5,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리거만 포함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래치부재는 바이어싱 부재로부터 독립적이거나 일체화될 수 있다. 또한 가동성 바이어싱 부재는 여러 가지 다른 위치에 놓일 수 있다. 예를 들어,가동성 바이어싱 부재는 높은 구동력 위치에서 밸브 액츄에이터 및 트리거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바이어싱 부재는 바이어싱 부재의 핑거 구동부가 하우징 바깥쪽에 있도록 위치할 수 있으며, 바이어싱 부재의 나머지 부분은 하우징 내에 있다. 그러므로 바이어싱 부재는 높은 구동력 위치에서 낮은 구동력 위치로 핑거 구동부와 접촉하여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모든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행해져야 한다.

Claims (51)

  1. 라이터는
    연료공급기를 갖는 하우징,
    하우징에 연결되어 있으며 선택적으로 연료를 점화시키기 위한 작동부재,
    제 1 바이어싱 부재 위치 및 제 2 바이어싱 부재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바이어싱 부재로 구성되는데 있어서,
    바이어싱 부재가 제 1 바이어싱 부재 위치에 있을 때 연료를 점화시키기 위해서 사용자는 제 1 구동력을 작동부재가 가하고, 바이어싱 부재가 제 2 바이어싱 부재 위치에 있을 때 연료를 점화시키기 위해 사용자는 제 2 구동력을 작동부재에 대하는데, 제 1 구동력은 제 2 구동력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구동력은 제 2 구동력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구동력은 실제로 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작동부재는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트리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작동부재는 구동 조립체의 일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6. 제 5 항에 있어서, 구동조립체는 트리거로 구성되며, 작동부재는 링크로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7. 제 1 항에 있어서, 두 가지 다른 구동으로 라이터를 작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8. 제 1 항에 있어서, 연료를 점화하기 위한 점화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점화 조립체는 압전유닛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10. 제 8 항에 있어서, 작동부재는 선택적으로 연료를 방출하고 점화 조립체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11. 제 1 항에 있어서, 바이어싱 부재와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우징에 연결된 래치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12. 제 11 항에 있어서, 래치부재는 제 1,2 단부를 포함하는데, 제 2 단부는 바이어싱 부재가 제 1 바이어싱 부재 위치에 있는 초기위치로부터 바이어싱 부재가 제 2 바이어싱 부재 위치에 있는 최종위치로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13. 제 1 항에 있어서, 바이어싱 부재가 제 2 바이어싱 부재 위치에 있을 때 바이어싱 부재는 작동부재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14. 제 1 항에 있어서, 바이어싱 부재가 제 2 바이어싱 부재 위치에 있을 때 바이어싱 부재는 작동부재와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15. 제 1 항에 있어서, 바이어싱 부재가 제 2 버이어싱 부재 위치에 있을 때 버이어싱 부재는 작동부재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16. 제 1 항에 있어서, 바이어싱 부재는 코일 스프링, 토션 스프링, V형 스프링, 금속 스프링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17. 제 16 항에 있어서, 바이어싱 부재는 제 1 레그 및 제 1 레그로부터 연장된 제 2 레그로 구성된 V자형 스프링인데, 상기 제 2 레그는 하우징에 고정되는데, 제1 바이어싱 부재위치에서 스프링의 제 1 레그는 작동부재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18. 제 17 항에 있어서, 바이어싱 부재가 제 1 바이어싱 부재에 있고 라이터가 작동될 때, 제 1 레그는 제 2 레그에 대해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19. 제 1 항에 있어서, 라이터를 여러번 작동시킨 후에, 구동력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20. 제 1 항에 있어서, 라이터는 바이어싱 부재가 제 1 바이어싱 부재 위치에 있을 때 작동부재에 10kg 이하를 적용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21. 제 20 항에 있어서, 라이터는 바이어싱 부재가 제 1 바이어싱 부재 위치에 있을 때 작동부재에 약 5kg 내지 약 10kg 사이를 적용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22. 제 1 항에 있어서, 라이터는 바이어싱 부재가 제 2 바이어싱 부재 위치에 있을 때 작동부재에 5kg 이하를 적용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
  23. 제 1 항에 있어서, 라이터는 바이어싱 부재가 제 1 바이어싱 부재 위치에 있을 때 손가락 하나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24. 제 21 항에 있어서, 라이터는 바이어싱 부재가 제 2 바이어싱 부재 위치에 있을 때 제 1,2 손가락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25. 제 1 항에 있어서, 작동부재는 움직임이 차단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26. 제 1 항에 있어서, 라이터는 바이어싱 부재가 제 1 바이어싱 부재 위치에 있을 때 사용자는 작동부재에만 힘을 가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27. 제 11 항에 있어서, 라이터는 바이어싱 부재가 제 2 바이어싱 부재 위치에 있을 때 래치부재 및 작동부재가 움직여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28. 제 27 항에 있어서, 래치부재는 탄성적으로 굽혀져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29. 제 27 항에 있어서, 라이터는 바이어싱 부재가 제 2 바이어싱 부재 위치에 있을 때 작동부재를 이동시키기 전에 래치부재를 이동시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라이터.
  30. 제 1 항에 있어서, 라이터는 제 1 바이어싱 부재 위치에 있을 때 사용자의 물리적 특성에 의존하며, 제 2 바이어싱 부재 위치에 있을 때 사용자의 인지능력에 의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31. 제 1 항에 있어서, 바이어싱 부재는 라이터가 제 1 바이어싱 부재 위치에 있는 바이어싱 부재와 구동될 때 탄성적으로 변하는 초기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32. 제 1 항에 있어서, 라이터는 실용라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33. 제 1 항에 있어서, 작동부재는 경사진 표면을 갖고, 바이어싱 부재는 제 2 바이어싱 부재 위치에 있을 때 경사진 표면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34. 라이터는
    연료 공급기를 갖는 하우징,
    연료를 선택적으로 방출하기 위한 작동부재,
    방출된 연료를 점화시키기 위한 점화 조립체,
    제 1 래치 위치 및 제 2 래치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하우징에 연결된 래치부재,
    래치부재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바이어싱 부재로 구성되는데 있어서,
    바이어싱 부재의 최소한 한 부분은 작동부재가 래치부제 의해 작동부재의 운동을 막는 제 1 바이어싱 부재 위치로부터 제 1 바이어싱 부재 위치만큼 작동부재의 운동을 저항하지 않는 제 2 저항 바이어싱 부재 위치로 재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35. 라이터는
    연료 공급기를 갖는 하우징,
    방출된 연료를 점화시키기 위한 점화 조립체,
    최소한 하나의 트리거를 포함하는 연료를 방출시키기 위해 밸브를 이동하기 위한 작동 조립체,
    바이어싱 부재의 연결부과 구동 조립체의 연결부와 연결되는 제 1 상태에서 구동조립체의 연결부가 바이어싱 부재의 연결부를 이동시키는 제 2 상태 사이에서 이동이 가능한 바이어싱 부재로 구성되는데 있어서,
    라이터는 트리거에 10kg 이하의 힘이 작용도어 바이어싱 부재를 제 1 상태에서 제 2 상태로 이동시키고 점화 조립체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36. 제 35 항에 있어서, 제 1 밸브 위치 및 제 2 밸브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는 밸브를 갖는 연료를 방출하기 위한 밸브 조립체를 포함하는데, 트리거에 10kg이하의 힘을 가해 제 1 밸브 위치에서 제 2 밸브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37. 제 35 항에 있어서, 제 2 상태에서 바이어싱 부재는 구동조립체의 운동하는 일부분에 대해서 구동조립체의 운동을 막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38. 제 35 항에 있어서, 구동조립체의 연결부는 트리거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39. 제 35 항에 있어서, 구동조립체는 점화 조립체과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링크로드, 트리거 및 링크 로드 사이에 배치되어 하우징에 연결된 피벗부재를 포함하며, 링크로드는 구동조립체의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40. 제 39 항에 있어서, 하우징에 연결된 래치부재를 포함하는데, 바이어싱 부재는 래치부재와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래치부재는 제 1 래치부재 위치 및 제 2 래치부재 사이에서 운동하는데,제 1 래치부재 위치에서 바이어싱은 구동조립체의 연결부와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트리거가 이동할 때 링크로드의 운동을 막는 힘을 제공하며, 제 2 래치부재 위치에서 트리거가 이동할 때 바이어싱 부재는 링크로드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며, 링크로드가 충분히 운동함으로써 점화 조립체를 구동시키고, 피벗회전부재가 충분히 움직임으로써 연료를 분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41. 제 35 항에 있어서, 제 2 바이어싱 부재 위치에서 제 1 트리거 힘 보다 낮은 제 2 트리거의 힘이 구동 조립체에 가해질 때, 밸브는 제 1 밸브위치에서 제 2 밸브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42. 라이터는
    연료 공급기를 포함하는 하우징,
    연료를 선택적으로 방출하는 자동부재,
    분사된 연료를 점화시키기 위한 점화 조립체로 구성되는데,
    하우징 내에 있는 바이어싱 부재는 제 1 위치에서 작동부재와 연결되는 제 1 바이어싱 위치에서부터 제 2 위치에서 작동부재와 연결하는 제 2 바이어싱 위치까지 이동이 가능한데, 바이어싱 부재는 길이가 초기 길이를 갖는데 있어서,
    바이어싱 부재는 바이어싱 부재가 작동부재와 맞물릴 때 작동부재가 움직일 때에 바이어싱 부재의 길이가 제 1 길이에서 제 2 길이 사이에서 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43. 제 42 항에 있어서, 제 2 바이어싱 위치에서 바이어싱 부재는 작동부재가 운동하는 것을 막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44. 제 42 항에 있어서, 제 1 길이는 제 2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45. 제 42 항에 있어서, 제 2 바이어싱 부재위치에서 바이어싱 부재는 경사진 표면에서 작동부재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46. 라이터는
    연료 공급기를 갖는 하우징,
    분사된 연료를 점화하기 위한 점화 조립체,
    하우징과 연결된 작동부재로 구성되는데,
    라이터를 작동시키기 위해 작동부재를 구동위치로 이동시키는데 일정한 구동력이 필요하며,
    상기 라이터는 또한 하우징에 배치된 재배치가 가능한 바이어싱 부재로 구성되는데, 제 1 위치에서 바이어싱 부재는 일정한 구동력 보다 큰 제 1 구동력이 작동부재를 작동위치로 이동시키는데 필요하도록 작동부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47. 제 46 항에 있어서, 바이어싱 부재는 사용자가 작동부재를 구동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제 2 구동력을 발생시키도록 제 2 위치로 이동이 가능하며, 제 2 구동력은 제 1 구동력이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48. 제 47 항에 있어서, 제 2 구동력은 실제로 일정한 구동력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49. 제 46 항에 있어서, 작동부재는 트리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50. 제 46 항에 있어서, 작동부재는 구동 조립체의 일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51. 제 50 항에 있어서, 구동조립체는 트리거이며, 작동부재는 링크로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터.
KR1020037006100A 2000-11-03 2001-10-29 다용도 라이터 KR1007603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704,689 2000-11-03
US09/704,689 US6491515B1 (en) 2000-11-03 2000-11-03 Multi-mode lighter
PCT/US2001/049563 WO2002052200A2 (en) 2000-11-03 2001-10-29 Multi-mode ligh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8111A true KR20030048111A (ko) 2003-06-18
KR100760323B1 KR100760323B1 (ko) 2007-09-20

Family

ID=24830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6100A KR100760323B1 (ko) 2000-11-03 2001-10-29 다용도 라이터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6491515B1 (ko)
EP (1) EP1337791B1 (ko)
JP (1) JP3833178B2 (ko)
KR (1) KR100760323B1 (ko)
CN (1) CN1218143C (ko)
AR (1) AR034179A1 (ko)
AU (1) AU2002239670B2 (ko)
BR (1) BR0115125B1 (ko)
CA (1) CA2428183C (ko)
DE (1) DE60139413D1 (ko)
ES (1) ES2329653T3 (ko)
HK (1) HK1062844A1 (ko)
MX (1) MXPA03003832A (ko)
MY (1) MY117453A (ko)
RU (1) RU2256125C2 (ko)
TW (1) TWI276759B (ko)
WO (1) WO2002052200A2 (ko)
ZA (1) ZA20030338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08302B2 (en) * 2000-11-03 2005-06-21 Bic Corporation Multi-mode lighter
US6726469B2 (en) * 2000-11-03 2004-04-27 Bic Corporation Multi-mode lighter
US6971870B2 (en) * 2000-11-03 2005-12-06 Bic Corporation Multi-mode lighter
US7311518B2 (en) * 2000-11-03 2007-12-25 Bic Corporation Multi-mode lighter
US7744368B2 (en) * 2000-11-03 2010-06-29 Bic Corporation Multi-mode lighter
AU2004221412C1 (en) * 2003-03-18 2010-05-13 Bic Corporation Multi-mode lighter
US8653942B2 (en) 2008-08-20 2014-02-18 John Gibson Enterprises, Inc. Portable biometric lighter
TW201209351A (en) * 2010-08-19 2012-03-01 Jin-Lin Cai Gas combustor
US9017066B2 (en) * 2011-04-25 2015-04-28 Zippo Manufacturing Company Multiple activation contact lighter
USD851453S1 (en) * 2017-07-21 2019-06-18 Zhuo Wen Luo Electronic refillable gas lighter with retractable hook
US10502419B2 (en) 2017-09-12 2019-12-10 John Gibson Enterprises, Inc. Portable biometric lighter
US10948187B2 (en) 2017-11-21 2021-03-16 Vpr Brands, Lp Inverting pocket lighters
USD973264S1 (en) 2021-03-08 2022-12-20 Vpr Brands, Lp Pocket lighter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98377A (en) * 1947-06-07 1950-02-21 Ronson Art Metal Works Inc Lighter actuating mechanism
US2520328A (en) * 1949-01-11 1950-08-29 Ronson Art Metal Works Inc Cigar lighter locking mechanism
US2719421A (en) * 1952-03-11 1955-10-04 Ronson Corp Lighter actuating mechanism
US3540823A (en) * 1968-03-28 1970-11-17 Crown Sangyo Kk Piezoelectric spark generator
DE2037067A1 (de) 1970-07-27 1972-02-10 Braun Ag Schaltungsanordnung zur Erzeugung eines Hochspannungsfunkens
US4259059A (en) 1979-08-15 1981-03-31 Roosa Vernon D Extension lighter
US4462791A (en) 1982-08-30 1984-07-31 Richard Hayden Fire lighter
US4921420A (en) * 1988-07-05 1990-05-01 Johnston James A Child resistant disposable lighter
US5066220A (en) * 1990-05-07 1991-11-19 Vick Henry L Cigarette lighter
JPH0492142U (ko) 1990-11-30 1992-08-11
FR2674004B1 (fr) 1991-03-13 1995-12-08 Laforest Bic Sa Mecanisme piezo-electrique pour briquets a gaz.
FR2687766A1 (fr) 1992-02-25 1993-08-27 Cricket Sa Briquet a gaz a l'epreuve des enfants.
US5520197A (en) 1993-07-28 1996-05-28 Bic Corporation Lighter with guard
US6093017A (en) 1994-08-18 2000-07-25 Tokai Corporation Safety device in lighting rods
US5897308A (en) 1994-08-18 1999-04-27 Tokai Corporation Safety device in lighting rods
US5697775A (en) 1994-08-18 1997-12-16 Tokai Corporation Safety device in lighting rods
US5531591A (en) 1995-03-17 1996-07-02 Tokai Corporation Safety device for use in lighter
US5496169A (en) 1995-05-10 1996-03-05 Chen; Tung-Yu Safety control switch for gas-fired ignition guns
CN2224336Y (zh) 1995-06-23 1996-04-10 北京市贝斯特实用技术研究所 具有自动关闭功能的自锁式气体打火机
US5854530A (en) 1996-12-18 1998-12-29 Bic Corporation Piezoelectric lighter which has a higher level of difficulty for operation
US5934895A (en) 1997-01-22 1999-08-10 Bic Corporation Utility lighter
US5971751A (en) * 1997-06-05 1999-10-26 Chun Ching Yeh Safety apparatus of a piezoelectric lighter
US6213759B1 (en) * 1997-12-23 2001-04-10 Calico Brands, Inc. Disposable utility lighter with child resistant device
US6533576B1 (en) * 1999-03-03 2003-03-18 Polycity Enterprise Limited Lighter with child resistant actuating lever
US6267582B1 (en) 1999-11-12 2001-07-31 Guang Lin Pocket lighter
US6077071A (en) 1999-11-26 2000-06-20 Yeh; Chun Ching Safety apparatus of barbecue lighter
US6224368B1 (en) 2000-01-04 2001-05-01 Aman K. M. Chung Safety lighter with compound finger pad
KR200193795Y1 (ko) * 2000-03-16 2000-08-16 구자엽 구강청정기가 구비된 라이터
JP2002054814A (ja) * 2000-08-08 2002-02-20 Tokai Corp 圧電着火式点火棒の着火操作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062844A1 (en) 2004-11-26
BR0115125A (pt) 2004-01-20
BR0115125B1 (pt) 2010-07-27
US6491515B1 (en) 2002-12-10
WO2002052200A2 (en) 2002-07-04
ES2329653T3 (es) 2009-11-30
RU2256125C2 (ru) 2005-07-10
CN1483124A (zh) 2004-03-17
EP1337791A4 (en) 2005-11-23
EP1337791B1 (en) 2009-07-29
CA2428183C (en) 2011-05-03
JP2004516450A (ja) 2004-06-03
WO2002052200A3 (en) 2002-08-15
EP1337791A2 (en) 2003-08-27
AR034179A1 (es) 2004-02-04
DE60139413D1 (de) 2009-09-10
AU2002239670B2 (en) 2006-11-16
CA2428183A1 (en) 2002-07-04
WO2002052200B1 (en) 2002-10-31
TWI276759B (en) 2007-03-21
KR100760323B1 (ko) 2007-09-20
CN1218143C (zh) 2005-09-07
MXPA03003832A (es) 2004-08-12
ZA200303382B (en) 2004-04-30
JP3833178B2 (ja) 2006-10-11
MY117453A (en) 2004-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34895A (en) Utility lighter
EP1157238B1 (en) Utility lighter
JP4446488B2 (ja) マルチモードライタ
KR100760323B1 (ko) 다용도 라이터
US6332771B1 (en) Utility lighter
US6746234B2 (en) Utility lighter
US7744368B2 (en) Multi-mode lighter
KR101568202B1 (ko) 다중 작동 접촉 라이터
AU2002239670A1 (en) Multi-mode ligh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