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7908A - 경운기용 지게차 - Google Patents

경운기용 지게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7908A
KR20030047908A KR1020030004665A KR20030004665A KR20030047908A KR 20030047908 A KR20030047908 A KR 20030047908A KR 1020030004665 A KR1020030004665 A KR 1020030004665A KR 20030004665 A KR20030004665 A KR 20030004665A KR 20030047908 A KR20030047908 A KR 200300479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ltivator
forklift
main body
cylinder
auxiliary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4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철
Original Assignee
이성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철 filed Critical 이성철
Priority to KR1020030004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47908A/ko
Publication of KR20030047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790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20Means for actuating or controlling masts, platforms, or forks
    • B66F9/205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pneumatic, hydraulic or electric power to movable parts o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20Means for actuating or controlling masts, platforms, or forks
    • B66F9/22Hydraulic devices o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 경운기에 지게차 어셈블리를 장착하여 다양한 운반작업을 할 수 있는 경운기용 지게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경운기 본체(1)에는 엔진의 출력 및 기동할 수 있는 다수의 운동기구들을 지니고 있어 손쉽게 동력원을 얻을 수 있으며 엔진의 회전력으로 유압펌프(4)를 기동시켜 시린더용 밸브(5)를 통해 시린더용 조작 레버(6)로 여러개의 유압 시린더를 작동하여 운반 작업을 할 수 있고, 기동할 수 있는 다수의 운동기구들을 이용하여 이동 및 방향 전환이 가능 하므로 기존 경운기 본체(1)에 지게차 어셈블리만 추가로 장착하면 다기능의 지게차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경운기용 지게차{omitted}
본 발명은 경운기용 지게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경운기에 지게차 어셈블리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경운기용 지게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게차는 엔진의 출력으로 각종 구동부 및 작동부를 움직일 수있게 한다. 따라서 기존 지게차는 상기와 같은 조건들을 고루 갖추어져야 지게차로서의 기능을 다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기능을 가진 제품 제작시 코스트가 높아져 이로 인해 고가로 판매 된다. 본 발명의 경운기용 지게차는 엔진부 및 구동부는 경운기 본체(1)에서 직접 얻어지므로 별도의 제작이 필요치 않으며 운반작업에 필요한 어셈블리만 추가로 장착 하므로 가격을 아주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현재의 지게차는 전륜구동으로 제작되어지므로 작업 및 이동시에 구동바퀴가 헛돌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경운기용 지게차에는 4륜구동이 가능케 하였다.
본 경운기용 지게차는 도 4에 표시됨과 같이 포크(18) 위치가 작업자 기준으로 볼 때 경운기 본체(1)의 전방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전방 시야가 좋아 작업자가 운전하기 편리하며, 외형이 콤펙트하게 제작되므로 좁은 공간에서 방향전환 및 운반 작업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경운기에 지게차 어셈블리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이며 경운기가 지니고 있는 엔진동력 및 구동동력등을 이용하여 지게차의 각 요소들을 원할히 작동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된 경운기용 지게차는 일반 소형 지게차와 비교해 볼 경우 작동 및 기능면에서 비슷하며 도 4에 표시됨과 같이 포크(18)의 위치가 작업자 기준으로 볼 때 경운기 본체(1)의 전방에 설치되어 작업자의 시야를 높이는데 주안점을 두었으며 시린더용 조작레버(6)는 작업자가 바른자세로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경운기의 보조핸들(45)위에 취부 하였다. 운반작업시 포크(18)는 물건의 크기에 따라 포크 슬라이드 바(19)의 안내로 작업자 기준으로볼 때 좌·우측으로 확장 및 축소할 수 있어 편리하며 경운기용 지게차의 운반작업시 물건의 중심에서 피동용 앞바퀴(23) 중심까지의 거리보다 피동용 앞바퀴(23) 중심에서 구동용 뒷바퀴(22) 중심까지의 거리가 더많이 길므로 경운기 본체(1)가 앞으로 기울거나 균형을 잃지 않는다. 본 발명된 경운기용 지게차는 경운기의 구동용 뒷바퀴(22)의 구동힘을 대 ·소형 체인 스프라켓(38)(39) 및 동력 전달용 체인(24)으로 피동용 앞바퀴(23)를 구동용 뒷바퀴(22)와 동시에 움직일 수 있는 4륜 구동으로 되어 있어 포크의 전진력이 좋아 물건을 다루기가 용이하다. 본 발명된 경운기용 지게차는 장시간 이동 및 운반 작업시 작업자의 피로를 덜기 위해 바퀴가 달린 트레일러 본체(28)를 경운기에 부착된 힛치(41)와 연결 하였으며 트레일러 본체(28) 위에 안장(31)을 설치하여 작업자가 편한 자세로 작업할 수 있고, 작업조건 및 신체조건에 맞도록 하기위해 안장(31)의 높이를 안장 높이 조절용 핀(32)으로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다. 기존 경운기는 경운기 본체(1)의 중량을 좌·우 한쌍인 구동용 뒷바퀴(22)가 지면위에 2점 지지로 받혀 주고 있어서 방향 전환용인 조향클러치 레버(42)를 작동하여 조향클러치가 끊김으로 구동용 뒷바퀴(22)의 한쪽바퀴는 정지되고 다른 한쪽바퀴는 회전하므로 방향 전환이 가능하였다. 본 발명된 경운기용 지게차는 지게차 어셈블리와 물건의 증량으로 인해 구동용 뒷바퀴(22)보다 피동용 앞바퀴(23)에 중량이 더 많이 실리며 지면위에 4점 지지를 형성하고 있어, 회전 반경이 좁은 방향 전환이 어렵기때문에 도 6에 표시됨과 같이 경운기 본체(1)의 전방 중앙에 회전용 보조바퀴(25)를 설치하고 회전용 보조바퀴 시린더(26)에 의해 피동용 앞바퀴(23)가 지면으로부터 들려 올라가고 동시에 회전용 보조바퀴(25)가 지면에 접촉되면 구동용 뒤바퀴(22)와 함께 지면위에 3점 지지를 형성하므로 방향 전환용인 조향 클러치 레버(42)를 작동하면 조향 클러치가 끊겨 구동용 뒷바퀴(22)의 한쪽바퀴는 정지되고 다른 한쪽바퀴는 회전하며 동시에 경운기 본체(1)의 전방 중앙에 설치된 회전용 보조바퀴(25)의 회전에 의해 경운기 본체(1)가 회전 반경이 좁은 방향 전환을 가능케 하였다.
도 1은 기존 경운기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기존 경운기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기존 경운기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경운기에 지게차가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경운기에 지게차가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경운기에 지게차가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경운기 본체 2. 연결핀
3. 체인 카플링 4. 유압펌프
5. 시린더용 밸브 6. 시린더용 조작레버
7. 틸티 시린더용 브라켓트 8. 틸티 시린더
9. 아웃트 마스트 지지용 바 10. 아웃트 마스트
11. 인너 마스트 12. 리프트 시린더
13. 리프트 체인 14. 리프트 체인 로라
15. 인너 마스트 로라 16. 행거 보디 로라
17. 행거 보디 18. 포크
19. 포크 슬라이드 바 20. 포크 위치고정 핀
21. 가드 22. 구동용 뒷바퀴
23. 피동용 앞바퀴 24. 동력 전달용 체인
25. 회전용 보조바퀴 26. 회전용 보조바퀴 시린더
27. 유압탱크 28. 트레일러 본체
29. 트레일러용 연결핀 30. 트레일러용 바퀴
31. 안장 32. 안장 높이 조절용 핀
33. 전방 연결판 고정용 볼트 34. 전방 프레임 연결판
35. 후방 연결판 고정용 볼트 36. 후방 프레임 연결판
37. 전·후방 연결판 죠인용 보디 38. 대형 체인 스프라켓
39. 소형 체인 스프라켓 40. 범퍼
41. 힛치 42. 조향 클러치 레버
43. 디스크 휠 44. 휠 너트
45. 보조 핸들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핀(2)의 한쪽은 경운기 엔진의 출력부인 브이 풀리의 수나사에 연결되고 반대쪽엔 체인 카플링(3)과 연결된다. 체인 카플링(3)은 연결핀(2)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유압펌프(4)와 죠인되므로 유압펌프(4)를 회전시킨다. 유압펌프(4)는 유압탱크(27)로부터 작동유를 흡입하여 배출구를 통해 작동유를 토출한다. 토출된 작동유는 시린더용 밸브(5)까지 도달되어 시린더용 조작레버(6)에 의해 사용용도에 따라 지정된 각 시린더를 작동시킨다. 틸티시린더용 브라켓트(7)는 전 ·후방 연결판 죠인용 보디(37)에 취부되어 틸티 시린더(8)의 시린더 부위와 죠인되며 틸티 시린더(8)의 로드부는 아웃트 마스트(10)에 죠인되어 있어 틸티 시린더(8) 작동시 아웃트 마스트(10)를 작업조건에 따라 전·후방 경사 시켜준다. 아웃트 마스트 지지용 바(9)의 한쪽은 아웃트 마스트(10)에 취부되고 다른 한쪽은 피동용 앞바퀴(23)의 축수에 죠인되어 있어 피동용 앞바퀴(23)의 축수를 기준으로 아웃트 마스트(10)가 전·후로 선회한다. 아웃트 마스트(10)에는 인너 마스트 로라(15)가 취부되어 있으며 인터 마스트(11)는 인너 마스트(11)가 지니고 있는 가이드 홈에 인너 마스트 로라(15)의 안내에 의하여 리프트 시린더(12)의 작동시상·하 이동할 수 있으며 리프트 시린더(12)의 시린더부는 아웃트 마스트(10)에 취부되며 리프트 시린더(12)의 로드부는 인너 마스트(11)에 취부되어 포크(18)의 상·하 이동을 할 수 있게 한다. 리프트 체인(13)은 아웃트 마스트(10) 스트랩에 리프트 체인(13)의 한쪽 끝이 죠인되어 있고, 다른 한쪽 끝은 리프트 체인 로라(14)를 지나 행거 보디(17)에 연결되어 있다. 행거 보디(17)에는 행거 보디 로라(16)가 취부되어 있고, 인너 마스트(11)가 지니고 있는 가이드 홈을 기준으로 리프트 시린더(12) 작동시 상·하로 이동할 수 있으며 행거 보디(17)의 상부에 취부된 가드(21)는 물건의 등받이의 기능을 할 수 있다. 포크(18)는 ㄴ자형 2개가 1조로 되어 있고, 포크 슬라이드 바(19)의 안내로 포크(18)간의 거리를 좌·우 확장 및 축소 할 수 있으며 포크위치 고정핀(20)에 의해 고정된다. 구동용 뒷바퀴(22)는 경운기용 지게차의 이동및 방향 전환시 동력원으로서 차바퀴 허브와 디스크휠(43) 사이에 대형 체인 스프라켓(38)을 이용하여 동력 전달용 체인(24)을 통해 소형 체인 스프라켓(39)으로 전달되어 피동력 앞바퀴(23)로 이어져 4륜 구동을 가능케한다. 회전용 보조바퀴(25)는 도 4,5,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운기 본체(1)의 전방 중앙에 설치하여 경운기용 지게차가 회전 반경이 좁은 방향 전환시 회전용 보조바퀴 시린더(26)에 의해 지면으로 밀어 주고 동시에 피동용 앞바퀴(23)를 지면에서 위로 떠바쳐준다. 회전용 보조바퀴(25)는 경운기 본체(1)의 전방무게를 지탱하며 회전반경이 좁은 방향전환시 회전하여 방향전환을 가능케 한다. 유압탱크(27)는 작동유를 보관하고 지게차의 작동시 유압펌프(4)와 각종 시린더 및 호스속으로 보낸 작동유를 받아 들이는 역할을 한다. 트레일러 본체(28)는 경운기 본체(1) 후방에 부착되어 있는 힛치(41)에 트레일러용 연결핀(29)으로 연결되어 경운기 본체(1)와 트레일러 본체(28)와의 90도까지 선회할 수 있으며, 안장(31)을 설치하여 편한 자세에서 작업을 할 수 있고, 신체 크기에 따라 안장 높이 조절용 핀(32)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케 하였다. 전방 프레임 연결판(34)은 경운기 본체(1)의 프레임에 부착되어 있는 범퍼(40)를 뽑아내고 가이드구멍을 이용하여 전방 연결판 고정을 볼트(33)로 체결하고 후방 프레임 연결판(36)은 경운기 본체(1) 후방에 부착되어 있는 힛치(41)를 분리하여 경운기 본체(1)와 힛치(41)사이에 후방 프레임 연결판(36)을 삽입후 후방 연결판 고정용 볼트(35)에 의해 체결된다. 전·후방 연결판 죠인용 보디(37)는 작업자 기준으로 볼 때 좌·우 한 개씩 1조로하여 전방 프레임 연결판(34)에는 앞쪽 부위가 취부되고 후방 프레임 연결판(36)에는 뒤쪽 부위가 취부된다.
상기에서 열거된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의 내용들은 실제로 부품을 제작하여 기존 경운기에 장착시켜 시운전 및 작업 테스트까지 완료한 상태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보통의 지게차는 소형일지라도 고가에 속하므로 일부 부유층 혹은 직업 및 영리를 목적으로 구입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경운기용 지게차는 농가마다 소유하고 있는 경운기에 지게차 어셈블리만 저렴한 가격으로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기존 경운기의 형상을 변경없이 지게차 어셈블리만 장착하므로 지게차로서의 사용치 않을 경우, 경운기는 본래의 용도에 맞춰 사용할 수 있다. 본 경운기용 지게차는 용도에따라 농·축산물 운반작업, 수화물 상하차작업 등을 할 수 있다.

Claims (1)

  1. 경운기 본체(1)에 탈부착이 가능한 지게차용 어셈블리를 장착하여 지게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운기용 지게차에 있어서,
    상기 경운기 본체(1)의 전방에 설치된 범퍼(40)용 가이드 구멍에 전방 프레임 연결판(34)을 전방 연결판 고정용 볼트(33)로 체결하고 후방 프레임 연결판(36)은 경운기 본체(1)와 힛치(41)사이에 설치하여 후방 연결판 고정용 볼트(35)로 체결되고 전 ·후방 프레임 연결판(34),(36)의 사이에 전 ·후방 연결판 죠인용 보디(37)가 설치된 것과
    상기 경운기용 지게차의 포크(18)의 위치가 경운기 본체(1)의 전방에 설치되고 경운기 엔진의 출력부에 열결핀(2)과 체인 카플링(3) 및 유압 펌프(4)가 일직선 상에 연결되고 유압 펌프(4)의 회전에 의해 작동되는 틸티 시린더(8)와 리프트 시린더(12) 및 회전용 보조바퀴 시린더(26)로 구성되고, 틸티 시린더(8)와 아웃트 마스트(10)의 1조, 리프트 시린더(12)와 포크(18)가 1조로 구성되어 지게작업을 수행하는 것과 경운기 본체(1)가 좁은 공간에서 방향전환이 용이하도록 경운기 본체(1)의 전방 중앙에 회전용 보조바퀴(25)를 설치하여 회전용 보조바퀴 시린더(26)에 의해 회전용 보조바퀴(25)가 상승 ·하강 하는것과 구동용 뒷바퀴(22)와 피동용 앞바퀴(23)가 동시에 4륜구동할 수 있도록 대·소형 체인 스프라켓(38),(39)에 동력전달용 체인(24)을 설치하고 트레일러 본체(28)를 경운기에 부착된 힛치(41)와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기용 지게차.
KR1020030004665A 2003-01-20 2003-01-20 경운기용 지게차 KR200300479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4665A KR20030047908A (ko) 2003-01-20 2003-01-20 경운기용 지게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4665A KR20030047908A (ko) 2003-01-20 2003-01-20 경운기용 지게차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9586U Division KR200276479Y1 (ko) 2001-12-11 2001-12-11 경운기용 지게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7908A true KR20030047908A (ko) 2003-06-18

Family

ID=29578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4665A KR20030047908A (ko) 2003-01-20 2003-01-20 경운기용 지게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4790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86605B2 (en) Powered pallet truck
US9079754B2 (en) Powered pallet truck
CA2521813C (en) Trailer mule vehicle for moving semi-trailers
JP5618477B2 (ja) リフト装置および連結装置を備える構内運搬車両
US20160244308A1 (en) Low profile compact tool carriers
US20200276924A1 (en) Front-mounted load carrier for motorized vehicles
US6511080B2 (en) Fork lift trolley
EP1327602A1 (en) Working vehicle with transverse travel system
KR200276479Y1 (ko) 경운기용 지게차
US4266617A (en) Tractor with full-floating tool bar
KR20030047908A (ko) 경운기용 지게차
EP1506902A2 (en) Load transport assembly
US7117962B2 (en) Articulated forklift truck
JP2002354902A (ja) 乗用管理機
JP2012091901A (ja) トラクタにおけるアタッチメント式フォークリフト
JP4604311B2 (ja) トラクタの操向装置
KR200419279Y1 (ko) 트랙터의 승강식 커플러장치
JPH0727230Y2 (ja) 駆動型作業機を装着可能な移動車輌
KR200265704Y1 (ko) 경운기용 굴삭기
CN214689798U (zh) 一种双向驾驶且能挂接推动类农机具的拖拉机
GB2223461A (en) Powered wheelbarrow
JPS6235654Y2 (ko)
CN2373974Y (zh) 多功能运耕机
KR20030040233A (ko) 경운기용 굴삭기
KR200307533Y1 (ko) 탈착과 부착이 용이한 트럭용 덤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