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5704Y1 - 경운기용 굴삭기 - Google Patents

경운기용 굴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5704Y1
KR200265704Y1 KR2020010035341U KR20010035341U KR200265704Y1 KR 200265704 Y1 KR200265704 Y1 KR 200265704Y1 KR 2020010035341 U KR2020010035341 U KR 2020010035341U KR 20010035341 U KR20010035341 U KR 20010035341U KR 200265704 Y1 KR200265704 Y1 KR 2002657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connecting plate
boom
cultivator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53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철
Original Assignee
이성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철 filed Critical 이성철
Priority to KR20200100353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57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57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5704Y1/ko

Links

Landscapes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존 경운기에 굴삭기 어셈블리를 장착하여 다양한 굴삭작업을 할 수 있는 경운기용 굴삭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기존 경운기 본체(1)에는 엔진의 출력 및 기동할 수 있는 다수의 운동기구들을 지니고 있어 손쉽게 동력원을 얻을 수 있으며 엔진의 회전력으로 유압펌프(4)를 기동시켜 시린더용 밸브(5)를 통해 시린더용 조작레버(6)로 여러개의 유압 시린더를 작동하여 굴삭 작업을할 수 있고, 기동할 수있는 다수의 운동기구들을 이용하여 이동 및 방향 전환이 가능 하므로 기존 경운기 본체(1)에 굴삭기 어셈블리만 추가로 장착하면 다기능의 굴삭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경운기용 굴삭기{omitted}
본 고안은 경운기용 굴삭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경운기에 굴삭기 어셈블리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경운기용 굴삭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는 엔진의 출력으로 각종 구동부 및 작동부를 움직일 수있게 한다. 따라서 기존 굴삭기는 상기와 같은 조건들을 고루 갖추어져야 굴삭기로서의 기능을 다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기능을 가진 제품제작시 코스트가 높아져 이로 인해 고가로 판매 된다. 본 고안의 경운기용 굴삭기는 엔진부 및 구동부는 경운기 본체(1)에서 직접 얻어지므로 별도의 제작이 필요치 않으며 굴삭작업에 필요한 어셈블리만 추가로 장착 하므로 가격을 아주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다. 지금까지의 경운기 부착용 굴삭기는 붐 위치가 경운기 본체(1)의 뒤쪽에 위치한 트레일러 위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돌아서서 굴삭운전을 해야 하며 굴삭 작업을 하다 이동시에는 작업자가 재차 돌아서야 하는 불편 함과 전.후방용 아웃트리거(22)(24) 없이 굴삭 작업을 하므로 경운기본체(1) 및 트레일러가 균형을 잃어 작업자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으며 경운기의 헤드에서 트레일러 위에 설치된 붐위치 까지의 길이가 너무길어 좁은 공간에서는 방향전환 및 굴삭 작업을할 수 없다.
본 경운기용 굴삭기는 도 4에 표시됨과 같이 붐 기둥(9) 위치가 작업자 기준으로 볼 때 경운기 본체(1)의 우측편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전방시야가 좋아 작업자가 굴삭 작업중 이동이쉽고, 외형이 콤펙트하게 제작되므로 좁은 공간에서 방향전환 및 굴삭 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안전한 굴삭 작업을 위하여 전.후방용 아웃트리거(22)(24)를 설치 하였다.
본 고안의 목적은 기존의 경운기에 굴삭기 어셈블리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이며 경운기가 지니고 있는 엔진동력 및 구동동력등을 이용하여 굴삭기의 각 요소들을 원할히 작동시키는 것이다. 본 고안된 경운기용 굴삭기는 일반 소형 굴삭기와비교해 볼 경우 작동 및 기능면에서 비슷하며 도 4에 표시됨과 같이 붐 기둥(9)이 작업자 기준으로 볼 때 경운기 본체(1)의 우측편에 설치되어 작업자의 시야 및 작업반경 범위를 높이는데 주안점을 두었으며 시린더용 조작레버(6)는 작업자가 바른자세로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경운기의 보조핸들(47)위에 취부 하였다. 전.후방용 아웃트리거(22)(24)는 굴삭작업시 경운기 본체(1)의 균형을 잡아 주는데 주로 사용되며 전방용 아웃트리거(22)는 도 4의 부호22'번에 표시됨과 같이 작업자 기준으로 볼 때 좌.우측으로 확장할 수 있어 바켓트(15)의 위치가 악조건 위치에서 작업하여도 경운기 본체(1)가 기울거나 균형을 잃지 않는다. 또한 전방용 아웃트리거(22)는 지면상의 토사들을 긁어 주거나 이동시켜 주는 역할도 동시에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본 고안된 경운기용 굴삭기는 경운기의 구동용 뒷바퀴(17)의 구동힘을 대.소형 체인 스프라켓(40)(41) 및 동력 전달용 체인(19)으로 피동용 앞바퀴(18)를 구동용 뒷바퀴(17)와 동시에 움직일 수 있는 4륜 구동으로 되어 있어 악조건의 지면 위를 순조롭게 이동할 수 있다. 본 고안된 경운기용 굴삭기는 장시간 이동 및 굴삭 작업시 작업자의 피로를 덜기 위해 바퀴가 달린 트레일러 본체(28)를 경운기에 부착된 힛치(43)와 연결 하였으며 트레일러 본체(28) 위에 안장(33)을 설치하여 작업자가 편한 자세로 작업할 수 있고, 작업조건 및 신체조건에 맞도록 하기위해 안장(33)의 높이를 안장 높이 조절용 핀(34)으로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동시 지면의 요철로 인한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트레일러용 바퀴(31) 위에 트레일러용 큐션스프링(32)을 부착 시켰다. 기존 경운기는 경운기 본체(1)의 중량을 좌.우 한쌍인 구동용 뒷바퀴(17)가 지면위에 2점 지지로 받혀 주고있어서 방향전환용인 조향클러치 레버(44)를 작동하여 조향클러치가 끊김으로 구동용 뒷바퀴(17)의 한쪽바퀴는 정지되고 다른 한쪽바퀴는 회전하므로 방향 전환이 가능하였다. 본 고안된 경운기용 굴삭기는 굴삭기 어셈블리의 중량으로 인해 구동용 뒷바퀴(17)보다 피동용 앞바퀴(18)에 중량이 더 많이 실리며 지면위에 4점 지지를 형성하고 있어, 회전 반경이 좁은 방향 전환이 어렵기때문에 도 6에 표시됨과 같이 경운기 본체(1)의 전방 중앙에 회전 및 큐션용 보조바퀴(20)를 설치하고 회전 및 큐션용 보조바퀴 시린더(21)에 의해 피동용 앞바퀴(18)가 지면으로부터 들려 올라가고 동시에 회전 및 큐션용 보조바퀴(20)가 지면에 접촉되면 구동용 뒷바퀴(17)와 함께 지면위에 3점 지지를 형성하므로 방향 전환용인 조향 클러치 레버(44)를 작동하면 조향 클러치가 끊겨 구동용 뒷바퀴(17)의 한쪽바퀴는 정지되고 다른 한쪽바퀴는 회전하며 동시에 경운기 본체(1)의 전방 중앙에 설치된 회전 및 큐션용 보조바퀴(20)의 회전에 의해 경운기 본체(1)가 회전 반경이 좁은 방향 전환을 가능케 하였다.
도 1은 기존 경운기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기존 경운기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기존 경운기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경운기에 굴삭기가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경운기에 굴삭기가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경운기에 굴삭기가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경운기 본체 2. 연결핀
3. 체인 카플링 4. 유압펌프
5. 시린더용 밸브 6. 시린더용 조작레버
7. 붐 기둥 지지용 브라켓트 8. 붐 기둥 연결핀
9. 붐 기둥 10. 붐 기둥 선회용 시린더
11. 붐 12. 붐용 시린더
13. 아암 14. 아암용 시린더
15. 바켓트 16. 바켓트용 시린더
17. 구동용 뒷바퀴 18. 피동용 앞바퀴
19. 동력 전달용 체인 20. 회전 및 큐션용 보조바퀴
21. 회전 및 큐션용 보조바퀴 시린더 22, 전방용 아웃트리거
23. 전방용 아웃트리거 시린더 24, 후방용 아웃트리거
25, 후방용 아웃트리거 시린더 26, 후방용 아웃트리거 고정핀
27. 유압탱크 28. 트레일러 본체
29. 트레일러용 연결핀 30. 트레일러용 연결 보조핀
31. 트레일러용 바퀴 32. 트레일러용 큐션 스프링
33. 안장 34. 안장 높이 조절용 핀
35. 전방 연결판 고정용 볼트 36. 전방 프레임 연결판
37. 후방 연결판 고정용 볼트 38. 후방 프레임 연결판
39. 전.후방 연결판 죠인용 보디 40. 대형 체인 스프라켓
41. 소형 체인 스프라켓 42. 범퍼
43. 힛치 44. 조향 클러치 레버
45. 디스크 휠 46. 휠 너트 47. 보조핸들
본 고안에 따르면, 연결핀(2)의 한쪽은 경운기 엔진의 출력부인 브이풀리의 수나사에 연결되고 반대쪽엔 체인 카플링(3)과 연결된다.
체인 카플링(3)은 연결핀(2)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유압펌프(4)와 죠인되므로 유압펌프(4)를 회전시킨다. 유압펌프(4)는 유압탱크(27)로부터 작동유를 흡입하여 배출구를 통해 작동유를 토출한다. 토출된 작동유는 시린더용 밸브(5)까지 도달되어 시린더용 조작레버(6)에 의해 사용용도에 따라 지정된 각 시린더를 작동시킨다. 붐 기둥 지지용 브라켓트(7)는 전.후방 연결판 죠인용 보디(39)에 취부되어 붐 기둥 연결핀(18)에 의해 붐 기둥(9)이 죠인된다. 붐 기둥(9)은 붐 기둥 선회용 시린더(10)에 의해 작업조건에 따라 좌.우로 선회된다. 붐(11)은 붐용 시린더(12), 아암(13)은 아암용 시린더(14), 바켓트(15)는 바켓트용 시린더(16)에 의해 각각 작동된다. 구동용 뒷바퀴(17)는 경운기용 굴삭기의 이동 및 방향 전환시 동력원으로서 차바퀴 허브와 디스크휠(45) 사이에 대형 체인 스프라켓(40)을 이용하여 동력 전달용 체인(19)을 통해 소형 체인 스프라켓(41)으로 전달되어 피동력 앞바퀴(18)로 이어져 4륜 구동을 가능케한다. 회전 및 큐션용 보조바퀴(20)는 도 4,5,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운기 본체(1)의 전방 중앙에 설치하여 경운기용 굴삭기가 회전 반경이 좁은 방향 전환시 회전 및 큐션용 보조바퀴 시린더(21)에 의해 지면으로 밀어 주고 동시에 피동용 앞바퀴(18)를 지면에서 위로 떠바쳐준다. 회전 및 큐션용 보조바퀴(20)는 경운기 본체(1)의 전방무게를 지탱하며 회전 반경이 좁은 방향 전환시 회전하여 방향 전환을 가능케 하며 큐션 스프링에 의해 충격으로부터 보호하여 준다. 전방용 아웃트리거(22)는 굴삭 작업시 경운기 본체(1)의 균형을 잡아주며 지면상의 토사들을 긁어 주거나 이동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전방용 아웃트리거(22)는 몸체가 내부 한몸위에 분리된 외부 몸체가 감싸고 있으며 이동시에는 내.외부 몸체가 일치되어 외부돌출을 줄였으며 굴삭 작업시에는 내부몸체의 중앙을 기준으로 외부몸체가 좌.우로 분리되어 분리전보다 크게 돌출되므로 굴삭 작업시 안정된 균형을 잡아준다. 전방용 아웃트리거(22)에는 전방용 아웃트리거 시린더(23) 두 개가 한조로 취부되어 있어 작동시에는 굴삭력보다 크므로 더욱더 안정된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후방용 아웃트리거(24)는 도 4의 부호 24'번에 표시됨같이 굴삭 작업시 경운기 본체(1)와 90도 위치로 펼친 상태에서 후방용 아웃트리거 시린더(25)가 작동하여 발판을 지면에 부착시킨 상태에서 사용하며, 이동시에는 도 4의 부호 24번에 표시됨같이 후방용 아웃트리거 시린더(25)가 작동하여 발판을 지면에서 들어 올린 상태에서 경운기 본체(1)와 평행으로 접어 후방용 아웃트리거 고정핀(26)에 의해 고정 되므로 이동시 흔들림없이 이동할 수 있다. 유압탱크(27)는 작동유를 보관하고 굴삭기의 작동시 유압펌프(4)와 각종 시린더 및 호스속으로 보낸 작동유를 받아 들이는 역할을 한다. 트레일러 본체(28)는 경운기 본체(1) 후 방에 부착되어 있는 힛치(43)에 트레일러용 연결핀(29)으로 연결되어 경운기 본체(1)와 트레일러 본체(28)와의 90도까지 선회할 수 있으며 원형바와 원형바 사이에 트레일러용 연결 보조핀(30)이 추가로 연결되어 지면이 고르지 못한 경우에도 균형을 잃지 안는다. 트레일러용 바퀴(31)에 트레일러용 큐션 스프링(32)을 부착하여 고르지 못한 지면 이동시 충격으로부터 보호받아 작업자의 신체에 손상이 없도록 도와주며 안장(33)을 설치하여 편한 자세에서 작업을할 수 있고 신체 크기에 따라 안장 높이 조절용 핀(34)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케 하였다. 전방 프레임 연결판(36)은 경운기 본체(1)의 프레임에 부착되어 있는 범퍼(42)를 뽑아내고 가이드구멍을 이용하여 전방 연결판 고정용 볼트(35)로 체결하고 후방 프레임 연결판(38)은 경운기 본체(1) 후방에 부착되어 있는 힛치(43)를 분리하여 경운기 본체(1)와 힛치(43)사이에 후방 프레임 연결판(38)을 삽입후 후방 연결판 고정용 볼트(37)에 의해 체결된다. 전.후방 연결판 죠인용 보디(39)는 작업자 기준으로 볼때 좌.우 한 개씩 1조로하여 전방 프레임 연결판(36)에는 앞쪽 부위가 취부되고 후방 프레임 연결판(38)에는 뒤쪽 부위가 취부된다.
상기에서 열거된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의 내용들은 실제로 부품을 제작하여 기존 경운기에 장착시켜 시운전 및 작업 테스트까지 완료한 상태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보통의 굴삭기는 소형일지라도 고가에 속하므로 일부 부유층 혹은 직업 및 영리를 목적으로 구입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경운기용 굴삭기는 농가마다 소유하고 있는 경운기에 굴삭기 어셈블리만 저렴한 가격으로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기존 경운기의 형상을 변경없이 굴삭기 어셈블리만 장착하므로 굴삭기로서의 사용치않을 경우, 경운기는 본래의 용도에 맞춰 사용할 수 있다. 본 경운기용 굴삭기는 용도에따라 굴삭 및 평탄작업, 배수로 및 배관 매설작업, 원예 및 과수원 공사작업,낙농 및 축산작업,이송 및 상하차작업 등을할 수 있다.

Claims (1)

  1. 연결핀(2)의 한쪽은 경운기 엔진의 출력인 브이풀리의 수나사에 연결되고 반대쪽은 체인 카플링(3)과 연결되며, 체인 카플링(3)은 유압펌프(4)와 연결된다. 유압탱크(27)는 경운기 본체(1)의 좌측뒤에 브라켓트에 의해 고정되고,시린더용 밸브(5)와 시린더용 조작레버(6)는 경운기 본체(1)의 보조핸들(47)위에 설치된다. 붐 기둥(9)은 붐 기둥 지지용 브라켓트(7)와 붐 기둥 연결핀(8)에 죠인되고 붐 기둥 지지용 브라켓트(7)는 전.후방 연결판 죠인용 보디(39)에 취부되며, 붐 기둥(9)하부에는 붐 기둥 선회용 시린더(10)의 로드부가 취부되고, 로드 반대쪽 시린더부는 후방 프레임 연결판(38)에 취부된다, 붐 기둥(9) 상부에는 붐(11) 및 붐용 시린더(12), 붐(11)에는 아암(13) 및 아암용 시린더(14), 아암(13)에는 바켓트(15) 및 바켓트용 시린더(16)가 취부된다. 구동용 뒷바퀴(17)의 차바퀴 허브와 디스크 휠(45)사이에 대형 체인 스프라켓(40)이 부착되어 휠 너트(46)로 고정된다. 대형 체인 스프라켓(40)과 소형 체인 스프라켓(41)을 동력 전달용 체인(19)이 연결하고, 소형 체인 스프라켓(41)은 피동용 앞바퀴(18) 축수에 연결된다. 회전 및 큐션용 보조바퀴(20)는 경운기 본체(1)의 전방 중앙에 설치되고 회전 및 큐션용 보조바퀴(20)의 상부에 회전 및 큐션용 보조바퀴 시린더(21)가 부착된다. 전방용 아웃트리거(22)는 브라켓트에 의해 피동용 앞바퀴(18) 축수와 연결되고, 전방용 아웃트리거 시린더(23)의 시린더부위는 전방용 아웃트리거(22)와 부착되고, 로드부위는 전.후방 연결판 죠인용 보디(39)에 부착된다. 후방용 아웃트리거(24)와 후방용아웃트리거 고정핀(26)은 후방 프레임 연결판(38)에 취부된다. 트레일러 본체(28)는 경운기 본체(1)에 있는 힛치(43)에 트레일러용 열결핀(29)으로 죠인되고 트레일러용 연결 보조핀(30)은 원형바와 원형바 사이에 삽입되어 진다. 트레일러용 바퀴(31)는 트레일러 본체(28)의 후미에 취부되고 트레일러용 바퀴(31) 상부에 트레일러용 큐션 스프링(32)이 부착되며 안장(33) 밑에 안장 높이 조절용 핀(34)이 취부된다. 전방 프레임 연결판(36)은 경운기 본체(1)의 프레임에 부착된 범퍼(42) 가이드에 전방 연결판 고정용 볼트(35)로 체결되고, 후방 프레임 연결판(38)은 경운기 본체(1) 후방의 힛치(43)와 경운기 본체(1)사이에 삽입후 후방 연결판 고정용 볼트(37)로 체결된다. 전.후방 연결판 죠인용 보디(39)는 전방 프레임 연결판(36)에는 앞쪽부위, 후방 프레임 연결판(38)에는 뒷쪽부위가 취부되어 지므로 조립 및 분해작업이 쉽고, 다양한 작업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기용 굴삭기.
KR2020010035341U 2001-11-16 2001-11-16 경운기용 굴삭기 KR2002657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5341U KR200265704Y1 (ko) 2001-11-16 2001-11-16 경운기용 굴삭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5341U KR200265704Y1 (ko) 2001-11-16 2001-11-16 경운기용 굴삭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3442A Division KR20030040233A (ko) 2003-01-14 2003-01-14 경운기용 굴삭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5704Y1 true KR200265704Y1 (ko) 2002-02-25

Family

ID=73112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5341U KR200265704Y1 (ko) 2001-11-16 2001-11-16 경운기용 굴삭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570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29431B2 (en) Tractor with implement mounting frame
JP2017210176A (ja) 作業車
US6446367B1 (en) Tractor-loader-backhoe
US3524514A (en) Oscillating tandem hitch
KR200265704Y1 (ko) 경운기용 굴삭기
US4266617A (en) Tractor with full-floating tool bar
KR200343858Y1 (ko) 농용트랙터 로더의 버켓 탈부착 장치의 구조
US7010874B2 (en) Mounting frame unit for attaching working implements to a tractor body
US11052715B2 (en) Loader suspension
KR20030040233A (ko) 경운기용 굴삭기
US7431553B2 (en) Loader work machine
JP2002513451A (ja) 建設機械用フレームアセンブリ
JP7130605B2 (ja) 作業車両の昇降装置及び作業機
US7021393B2 (en) Landscape tiller
JP4014986B2 (ja) トラクタの補強枠構造
US20080315556A1 (en) Tractor hitch attachment connector
CN205776447U (zh) 推土铲
JPH11513088A (ja) 関節式建設機械の前フレーム用ヒッチアセンブリ
KR200276479Y1 (ko) 경운기용 지게차
US20030201109A1 (en) ATV loader system
JP2003026040A (ja) フレーム形トラクタ車体及び複合作業車
CN100427689C (zh) 一种铰接在拖拉机前方的作业机械
RU2103854C1 (ru) Навесное устройство трелевочного трактора
KR200288040Y1 (ko) 경운기용 시저 리프트
JP2022167550A (ja) トラ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0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