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6226A - 듀얼 콘덴서를 구비한 냉장고 - Google Patents

듀얼 콘덴서를 구비한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6226A
KR20030046226A KR1020010076698A KR20010076698A KR20030046226A KR 20030046226 A KR20030046226 A KR 20030046226A KR 1020010076698 A KR1020010076698 A KR 1020010076698A KR 20010076698 A KR20010076698 A KR 20010076698A KR 20030046226 A KR20030046226 A KR 200300462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compressor
refrigerator
main body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6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6760B1 (ko
Inventor
김세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6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6760B1/ko
Publication of KR20030046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6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6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67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4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06Dam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듀얼 콘덴서를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전방으로 개구된 적어도 하나의 냉각실과, 후방으로 개구된 기계실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기계실의 내부에 배치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냉각실의 내부에 배치되어 냉각작용을 수행하는 증발기와; 상기 기계실의 내부에 상기 압축기의 토출측에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어 압축된 냉매를 방열시키는 와이어콘덴서와; 상기 냉각실의 전면 개구 영역의 이슬맺힘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와이어콘덴서의 유출측에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고 상기 냉각실의 전면 개구의 연부를 따라 배치되는 핫라인과; 상기 압축기에 의해 압축된 냉매의 방열 면적이 증대되도록 유입측은 상기 와이어콘덴서의 유출측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본체의 후방영역에 배치되고 유출측은 상기 핫라인의 말단영역과 상호 합류되어 상기 증발기의 유입측과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는 백콘덴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고내로 유입되는 단열부하를 감소시켜 소비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방열량을 증가시켜 사이클 효율을 제고시킬 수 있는 듀얼 콘덴서를 구비한 냉장고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듀얼 콘덴서를 구비한 냉장고{REFRIGERATOR WITH DUAL CONDENSER}
본 발명은, 듀얼 콘덴서를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내로 유입되는 단열부하를 감소시켜 소비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방열량을 증가시켜 사이클 효율을 제고시킬 수 있도록 한 듀얼 콘덴서를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음식물을 저온 저장하기 위한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냉각실 및 기계실이 형성된 본체와, 냉각실을 냉각하기 위한 냉동사이클을 이루는 냉동사이클 구성요소를 구비하고 있다. 냉동사이클 구성요소는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기와, 압축된 냉매를 방열을 통해 응축시키는 콘덴서와, 냉각실의 후방영역에 배치되어 콘덴서에 의해 응축되고 팽창장치를 거친 냉매가 냉각실의 내부의 공기로부터 잠열을 흡수하여 증발하며 냉각작용을 수행하는 증발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은 종래의 냉장고의 냉동사이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냉동사이클의 구성요소의 배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냉장고의 본체의 전개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는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된 격벽(112)을 사이에 두고 전면으로 개구된 냉동실(113) 및 냉장실(115)과 후방 하부영역에 후방으로 개구된 기계실(117)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본체(111)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21)와, 압축기(121)의 일측에 배치되어압축된 냉매를 방열시키는 와이어콘덴서(123)와, 냉동실(113) 및 냉장실(115)의 전면 개구에 이슬 맺힘 현상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매입되는 핫라인(119)과, 핫라인(119)을 경유한 냉매를 팽창시키는 모세관(127)과, 냉동실(113)의 후방영역에 배치되어 냉각작용을 수행하는 증발기(129)를 구비하고 있다.
기계실(117)의 내부 일측에는 압축기(121)가 배치되어 있으며, 압축기(121)의 일측에는 압축기(121)로부터 압축되어 토출되는 냉매를 방열시킬 수 있도록 표면에 다수의 와이어가 구비된 와이어콘덴서(123)가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어 있다. 와이어콘덴서(123)의 일측에는 와이어콘덴서(123)의 방열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와이어콘덴서(123)를 향해 송풍하는 송풍팬(125)이 마련되어 있다.
냉동실(113) 및 냉장실(115)의 전면 개구의 연부에는 냉동실(113) 및 냉장실(115)의 내외부간의 온도차에 기인하여 공기중의 수분이 응결되는 소위 이슬맺힘 현상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와이어콘덴서(123)를 경유한 냉매가 유동할 수 있게 핫라인(119)이 형성되어 있으며, 핫라인(119)의 끝단에는 응축된 냉매가 통과하면서 교축되고 감압팽창될 수 있도록 모세관(127)이 연결되어 있다.
한편, 냉동실(113)의 후방영역에는 냉동실(113) 및 냉장실(115)의 공기가 접촉되어 냉각될 수 있도록 증발기(129)가 배치되어 있으며, 증발기(129)의 유입측은 냉매의 유동방향을 따라 모세관(127)의 하류측 단부와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어 있다. 증발기(129)의 유출측 단부는 냉매가 압축, 응축 및 증발 작용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압축기(121)의 흡입측과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냉장고에 있어서는, 압축기(121)에 의해 압축된 고온의 냉매는 와이어콘덴서(123) 및 핫라인(119)을 경유하면서 대부분의 열을 방열하도록 되어 있어, 핫라인(119)을 통해 방출된 열이 냉동실(113) 및 냉장실(115)로 다시 유입되어 고내 온도를 높이게 되기 때문에 압축기(121)의 압축부하량이 증가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외기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하절기 등에 있어서는 와이어콘덴서(123) 및 핫라인(119)의 방열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아 냉매의 응축온도가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되어 냉동사이클의 운전효율이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내로 유입되는 단열부하를 감소시켜 소비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방열량을 증가시켜 사이클 효율을 제고시킬 수 있는 듀얼 콘덴서를 구비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냉장고의 냉동사이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냉동사이클의 구성요소의 배치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냉장고의 본체의 전개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듀얼 콘덴서를 구비한 냉장고의 냉동사이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냉장고의 냉동사이클의 구성요소의 배치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의 본체의 전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본체13 : 냉동실
15 : 냉장실17 : 기계실
19 : 핫라인21 : 압축기
23 : 와이어콘덴서27 : 백콘덴서
29 : 모세관31 : 증발기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전방으로 개구된 적어도 하나의 냉각실과, 후방으로 개구된 기계실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기계실의 내부에 배치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냉각실의 내부에 배치되어 냉각작용을 수행하는 증발기와; 상기 기계실의 내부에 상기 압축기의 토출측에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어 압축된 냉매를 방열시키는 와이어콘덴서와; 상기 냉각실의 전면 개구 영역의 이슬맺힘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와이어콘덴서의 유출측에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고 상기 냉각실의 전면 개구의 연부를 따라 배치되는 핫라인과; 상기 압축기에 의해압축된 냉매의 방열 면적이 증대되도록 유입측은 상기 와이어콘덴서의 유출측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본체의 후방영역에 배치되고 유출측은 상기 핫라인의 말단영역과 상호 합류되어 상기 증발기의 유입측과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는 백콘덴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콘덴서를 구비한 냉장고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백콘덴서는 상기 본체의 후방 벽내에 매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백콘덴서는 상기 본체의 상하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듀얼 콘덴서를 구비한 냉장고의 냉동사이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냉장고의 냉동사이클의 구성요소의 배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5의 본체의 전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듀얼 콘덴서를 구비한 냉장고는,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된 격벽(12)을 사이에 두고 전방으로 개구된 냉동실(13) 및 냉장실(15)과, 후방으로 개구된 기계실(17)을 구비한 본체(11)와, 기계실(17)의 내부에 배치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21)와, 압축기(21)의 일측에 배치되어 압축된 냉매를 방열시키는 와이어콘덴서(23)와, 냉동실(13) 및 냉장실(15)의 각 전면 개구의 연부에 매입설치되는 핫라인(19)과, 와이어콘덴서(23)의 유출측으로부터 분기되어 본체(11)의 후방벽에 배치되는 백콘덴서(27)와, 냉동실(13)의 후방영역에 배치되어 냉각작용을 수행하는 증발기(31)를 구비하고 있다.
기계실(17)의 내부 일측에는 냉매를 압축할 수 있도록 압축기(21)가 배치되어 있으며, 압축기(21)에는 기체상태의 냉매를 흡입할 수 있도록 어큐뮬레이터(22)가 구비되어 있다. 압축기(21)의 일측에는 다수의 와이어를 구비한 와이어콘덴서(23)가 토출측과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어 있으며, 와이어콘덴서(23)의 일측에는 와이어콘덴서(23)를 향해 송풍함으로써 냉매의 방열을 촉진시키는 송풍팬(25)이 구비되어 있다.
한편, 와이어콘덴서(23)의 유출측에는 본체(11)의 측부 하부영역을 경유하여 냉동실(13) 및 냉장실(15)의 전면 개구의 연부를 따라 매입되어 형성되는 핫라인(19)과, 본체(11)의 후벽의 내부에 상하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상으로 매입 형성되는 백콘덴서(27)의 각 유입측 단부가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어 있다. 핫라인(19)과 백콘덴서(27)의 각 유출측 단부는 냉매의 흐름방향에 대해 모세관(29)의 상류측에서 상호 합류되며, 모세관(29)의 하류측 단부는 증발기(31)의 유입측에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백콘덴서(27)는 와이어콘덴서(23) 및 핫라인(19)의 방열능력 및 핫라인(19)로부터 방열된 열이 고내로 유입되는 단열부하량을 고려하여 적절한 길이 및 관경(管俓)을 가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핫라인(19)에 의한 방열량을 줄이고자 하는 경우에는 핫라인(19)으로 유입되는 냉매량이 감소될 수 있게 백콘덴서(27)의 길이를 감소시키거나 냉매배관의 직경을 증대시킴으로써 냉매의 유동저항이 상대적으로 작아져 핫라인(19)으로 유동하는 냉매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압축기(21)의 의해 압축되어 고온고압상태로 된 냉매는 와이어콘덴서(23)를 경유하면서 소정 방열된다. 와이어콘덴서(23)를 경유한 냉매중 일부는 냉동실(13) 및 냉장실(15)의 전면에 형성된 핫라인(19)을 따라 유동하면서 다시 방열되고, 일부는 본체(11)의 후벽에 매입된 백콘덴서(27)를 경유하면서 방열된다.
와이어콘덴서(23) 및 핫라인(19)을 경유한 냉매는 흐름방향에 대해 모세관(29)의 상류측에서 상호 합류되어 모세관(29)을 통과하면서 교축되어 감압팽창된 후 증발기(31)로 유입된다. 증발기(31)로 유입된 냉매는 주위의 잠열을 흡수하여 증발되고 압축기(21)의 흡입측에 형성된 어큐뮬레이터(22)의 내부로 유입된다. 어큐뮬레이터(22)에서 기체상태의 냉매는 다시 압축기(21)로 흡입되어 압축된 후 전술한 과정을 반복하면서 냉각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전술 및 도시한 실시 예에서는,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된 격벽을 사이에 두고 냉동실 및 냉장실이 각각 형성된 소위 사이드 바이 사이드 냉장고의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수평방향을 따라 형성된 격벽을 사이에 두고 상하측에 냉동실 및 냉장실이 각각 형성된 냉장고에도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압축기의 토출측에 연결되어 압축된 냉매를 방열시키는 와이어콘덴서와, 와이어콘덴서의 유출측에 연결되고 냉동실 및 냉장실의 전면 개구의 연부를 따라 매입되는 핫라인과, 일단은 와이어콘덴서의 유출측으로부터 분기되어 본체의 후벽에 배치되어 냉매를 방열시키는 백콘덴서를 마련하여, 전열 면적을 증대시켜 냉매의 응축온도가 낮아지도록 함으로써 사이클의 운전효율을 제고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핫라인을 경유하는 냉매량을 감소시킴으로써 핫라인을 통해 방열된 열이 고내로 다시 유입되는 단열부하량을 저감시킬 수 있어 사용 소비 전력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듀얼 콘덴서를 구비한 냉장고가 제공된다.

Claims (3)

  1. 전방으로 개구된 적어도 하나의 냉각실과, 후방으로 개구된 기계실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기계실의 내부에 배치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냉각실의 내부에 배치되어 냉각작용을 수행하는 증발기와; 상기 기계실의 내부에 상기 압축기의 토출측에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어 압축된 냉매를 방열시키는 와이어콘덴서와; 상기 냉각실의 전면 개구 영역의 이슬맺힘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와이어콘덴서의 유출측에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고 상기 냉각실의 전면 개구의 연부를 따라 배치되는 핫라인과; 상기 압축기에 의해 압축된 냉매의 방열 면적이 증대되도록 유입측은 상기 와이어콘덴서의 유출측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본체의 후방영역에 배치되고 유출측은 상기 핫라인의 말단영역과 상호 합류되어 상기 증발기의 유입측과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는 백콘덴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콘덴서를 구비한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콘덴서는 상기 본체의 후방 벽내에 매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콘덴서를 구비한 냉장고.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백콘덴서는 상기 본체의 상하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콘덴서를 구비한 냉장고.
KR1020010076698A 2001-12-05 2001-12-05 듀얼 콘덴서를 구비한 냉장고 KR100556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6698A KR100556760B1 (ko) 2001-12-05 2001-12-05 듀얼 콘덴서를 구비한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6698A KR100556760B1 (ko) 2001-12-05 2001-12-05 듀얼 콘덴서를 구비한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6226A true KR20030046226A (ko) 2003-06-12
KR100556760B1 KR100556760B1 (ko) 2006-03-10

Family

ID=29573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6698A KR100556760B1 (ko) 2001-12-05 2001-12-05 듀얼 콘덴서를 구비한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67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715B1 (ko) * 2005-09-13 2012-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WO2014007552A1 (en) * 2012-07-06 2014-0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and heat exchanger for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5461A (ja) * 1998-08-20 2000-03-03 Hitachi Ltd 冷蔵庫及びかかる冷蔵庫における結露防止運転制御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715B1 (ko) * 2005-09-13 2012-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WO2014007552A1 (en) * 2012-07-06 2014-0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and heat exchanger for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6760B1 (ko) 2006-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88216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030004899A (ko) 백커버 겸용 응축기가 구비된 냉장고
CN104823010B (zh) 冷藏库
KR20080109146A (ko) 냉장고
KR100556760B1 (ko) 듀얼 콘덴서를 구비한 냉장고
JP2003287342A (ja) 冷蔵庫
JP3716897B2 (ja) 冷蔵庫
KR100492574B1 (ko) 듀얼 콘덴서를 구비한 냉장고
KR100430000B1 (ko) 듀얼 콘덴서를 구비한 냉장고
EP1800076A1 (en) Refrigerator
KR20050077605A (ko) 멀티형 냉장고
KR0139230Y1 (ko) 냉장고
KR20010076895A (ko) 냉장고 및 그 운전제어방법
KR100229188B1 (ko) 냉장고
KR20040031339A (ko) 열교환 효율이 향상된 응축기 구조
KR0113761Y1 (ko) 냉장고의 응축기 설치구조
CN113983711A (zh) 小型化节能低噪音抽取式制冷机组及陈列式商用冷柜
JP2003139439A (ja) 冷却装置
JP2022123224A (ja) 冷蔵庫
JPH06207773A (ja) 冷蔵庫
JP2022123225A (ja) 冷蔵庫
KR200161963Y1 (ko) 직렬로 연결된 2개의 증발기를 갖는 냉동 냉장고
KR100309271B1 (ko) 응축기
KR200316975Y1 (ko) 반찬냉장고
KR100277990B1 (ko) 냉장고용 증발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40930

Effective date: 20051130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410100451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40930

Effective date: 200511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