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5993A - 직물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직물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5993A
KR20030045993A KR1020010075937A KR20010075937A KR20030045993A KR 20030045993 A KR20030045993 A KR 20030045993A KR 1020010075937 A KR1020010075937 A KR 1020010075937A KR 20010075937 A KR20010075937 A KR 20010075937A KR 20030045993 A KR20030045993 A KR 20030045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abric
soluble medium
soluble
text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5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종숙
Original Assignee
문종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종숙 filed Critical 문종숙
Priority to KR1020010075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45993A/ko
Publication of KR20030045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5993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Of Multi-Layer Textile Fabrics (AREA)
  • Decoration Of Texti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용성매체를 이용하여 기계적으로 구현할 수 없는 디자이너의 다양한 도안을 자유자재로 표현할 수 있는 직물 제조하는 방법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용성매체 위에 도안자의 창작 도면대로 실이나 천 조각 등을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도안한 상태에서 그 위에 다시 수용성매체를 도포한 후, 도안 패턴에 의해 재봉한 후 상온수에 넣어 상기 수용성매체를 제거하여 원하는 형태의 직물을 얻도록 한 직물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용성매체(10)를 기초판으로 하여, 상기 기초판 상에 접착성이 약한 접착제(20)를 흩뿌리는 제 1공정(S1)과, 상기 수용성매체(10) 상에 실이나 천 조각 (30)등을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 형태를 갖도록 올려놓는 제 2공정(S2)과, 상기 실이나 천 조각(30) 상에 접착성이 약한 접착제(20)를 흩뿌린 후 다른 수용성매체(11)를 덮는 제 3공정(S3)과, 상기 제 3공정에 의해 얻어진 소재를 재봉에 의해 박음질하는 제 4공정(S4)과, 상기 박음질공정에 의해 얻어진 직물을 상온수에 넣어 수용성매체(10)(11)를 깨끗하게 제거하는 제 5공정(S5)과, 상기 제 5공정에의해 얻어진 직물을 그늘에서 말려 완전한 직물을 얻는 제6공정(S6)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직물제조방법{method for making fabric}
본 발명은 수용성매체를 이용하여 직물을 제조하는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용성매체 위에 도안 패턴에 의해 면사, 모사 그리고 각종 실이나 천 조각 등을 각각 혹은 중첩하여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도안한 상태에서 접착성이 약한 접착제를 흩뿌린 후 그 위에 다시 수용성매체를 도포한 후, 도안 패턴대로 재봉하여 상기 수용성매체를 상온수에 넣어 깨끗이 제거하여 원하는 형태의 직물을 얻도록 한 직조기로 구현 불가능한 패턴의 직물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옷감 등은 직조기나 편물기 등을 이용하여 직조하거나 뜨개질(바느질) 등에 의해 짜는 것이 통상적이였다.
그러나, 상기한 방법은 일정한 패턴을 갖고 있어 다양한 연출이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들면, 편물의 경우 기계적 이여서 입력된 값으로 직조하게 되는 데 이때, 그 간격이 일정하게 되거나 단위별로 묶어서 직조하기 때문에 다양한 연출이 힘들고 후자인 뜨게질은 편물에 비하여 여러가지 형태 및 모양등을 표현 할 수 있으나 그 시간이 오래 걸려 생산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용성매체 위에 도안 패턴에 의해 면사, 모사 그리고 각종 실이나 천 조각 등을 각각 혹은 중첩하여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도안한 상태에서 접착성이 약한 접착제를 흩뿌린 후 그 위에 다시 수용성매체를 도포한 후, 도안 패턴대로 재봉하여 상기 수용성매체를 상온수에 넣어 깨끗이 제거하여 원하는 형태의 직물을 얻도록 한 직물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다발의 실을 수용성매체 위에 풀어헤치고 그 위에 재봉을 하여 상기 풀어헤쳐진 실들을 규칙 또는 불규칙적로 결속시킴으로써, 손쉽게 직물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도안자가 도안한 패턴대로 직물 및 의류 제작시 기계적 생산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본 고안을 적용함으로써 독특한 소재를 이용한 자유스러운 패턴의 활용범위를 넓히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용성매체를 기초판으로 하여, 상기 기초판 상에 접착성이 약한 접착제를 흩뿌리는 제 1공정과, 상기 수용성매체 상에 실이나 천 조각 등을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 형태를 갖도록 올려놓는 제 2공정과, 상기 실이나 천 조각 상에 접착성이 약한 접착제를 흩뿌린 후 다른 수용성매체를 덮는 제 3공정과, 상기 제 3공정에 의해 얻어진 소재를 재봉에 의해 박음질하는 제 4공정과, 상기 박음질공정에 의해 얻어진 직물을 상온수에 넣어 수용성매체를 깨끗하게 제거하는 제 5공정과, 상기 제 5공정에의해 얻어진 직물을 그늘에서 말려 완전한 직물을 얻는 제6공정으로 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용성매체는 얇은 종이, 수용성비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각 천과 각종 실을 혼합하여 수용성매체 위에 도안 패턴에 의해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 패턴으로 올려놓고 수용성 매체를 다시 덮어 박음질하고, 상기 수용성매체를 제거하여 직물을 얻는 방법과 그 외에 수용성매체 위에 직접 재봉틀을 이용하여 박음질만으로 직물을 얻는 방법, 각종 실 또는 천 조각을 박음질하여얻은 직물을 투명 또는 반투명 그리고 불투명 재질과 결합하여 직물을 얻는 방법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 직물제조방법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직물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직물의 단면도
도 4a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여러 형태의 직물을 나타낸 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해 직조된 직물을 이용하여 재단한 의류를 나타낸 도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들의 특징, 그리고 구조상의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상세하고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은 직물제조방법에 대한 구성도로써, 이것을 기초로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에 쉽게 분해되는 신문지, 얇은 종이(화장지 등) 대략 0.3㎜ ∼ 1㎜ 내외, 화장지 및 수용성비닐 등으로 이루어진 수용성매체(10)를 기초판으로 하여, 상기 기초판 상에 도 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성이 약한 접착제(20)를 흩뿌려 접착층(21)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접착제(20)는 20 ∼ 30㎝ 정도 거리에서 살짝뿌린다(S1).
상기 접착제(20)는 재봉틀을 이용한 박음질 시 실(30)이나 천 조각(31) 등을 패턴에 의하여 배열하였을 경우 작업자의 손 또는 주위의 간섭 및 재봉 작업 등에 의해 형태가 흩트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수용성매체(10) 상에 실(30)이나 천 조각(31) 등을 미리 도안한 패턴대로 규칙적으로 올려놓거나 아니면 그냥 수용성매체(10) 위에불규칙하게 흩트려놓는다(S2).
다음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실이나 천 조각상에 접착성이 약한 접착제(20)를 다시 한번 흩뿌린 후 다른 수용성매체(11)를 덮는다(S3).
다음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도 3과 같이 재봉틀(41)을 이용하여 불규칙적으로 박음질하거나 일정한 패턴을 갖도록 하여 박음질한다(S4).
이때, 박음질은 짜깁기 하듯이 촘촘히 하거나 또는 그 형태에 따라 듬성듬성 박음질하여도 좋으나 바람직한 것은 도안 패턴을 바탕으로 실과 실의 결속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일정한 크기 및 형태의 직물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직조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이 박음질공정에 의해 얻어진 직물을 상온수 대략 10?? ~15??정도에서 침지시키거나 침지시키면서 동시에 수작업으로 비벼서 수용성매체(10)(11)를 깨끗하게 제거한다(S5).
따라서, 상기 공정에 의해 얻어진 직물을 그늘에서 말려 완전한 직물을 얻는다(S6).
상기와 같은 방법을 기초로 하여 도 4a내지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형태의 직물을 직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b의 경우는 천 조각(31)을 가위 등을 이용하여 크기 및 모양을 다양하게 절단 한 상태에서 수용성매체(10)(11) 사이에 놓은 뒤 재봉틀을 이용하여 직물을 얻은 상태를 나타내었고,
도 4c는 수용성매체(10)(11) 사이에 각종 색실(30)을 촘촘하게 불규칙적으로 배열한 상태에서 재봉틀을 이용하여 직물을 얻은 상태를 나타내었다.
도 4d는 수용성매체(10)(11) 사이에 면사 울 등과 같은 굵은 각종 색실(30)을 듬성듬성하게 불규칙적으로 배열한 상태에서 재봉틀을 이용하여 직물을 얻은 상태를 나타내었다.
도 4e는 수용성매체(10)(11) 사이에 면사 울 등과 같은 굵은 각종 색실(30)을 촘촘하게 규칙적으로 배열한 상태에서 재봉틀을 이용하여 직물을 얻은 상태를 나타내었다.
도면 중 40은 재봉실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공정을 기초로 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천과 각종 실을 혼합하여 수용성매체(10) 위에 도안 패턴에 의해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 패턴을 갖도록 한 다음 수용성 매체(11)를 다시 덮어 박음질한 후, 상기 수용성매체(10)(11)를 상온에서 완전히 제거하여 직물을 얻는 방법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성매체(10) 위에서 직접 재봉틀을 이용하여 박음질만으로 직물을 얻는 방법 등이 있으며, 그 외에 각종 실 또는 천 조각을 박음질하여 얻은 직물을 비닐지와 같은 투명소재 또는 노방, 쉬폰 등과 같은 반투명 그리고 각종 천들 불투명 소재와 결합하여 직물을 얻을 수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얻은 직물들은 인테리어 용품 예를 들면 쿠션, 의자커버, 커튼, 스텐드 갓등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악세사리 소재 예를 들면 머리고무줄, 헤어밴드, 가방, 신발의 한부분, 숄, 목도리 등으로,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의류 또는 의류주변소재에 적용 할 수가 있다.
상기의 방법에 외 넓고 접착력이 약한 접착테이프(상품명 3M사의 포스트 스카치 테이프)를 수용성매체 대신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기계적으로 구현할 수 없는 수공예적 패턴 도안도 자유자재로 구현할 수 있는 발명으로 한 쌍의 수용성매체 사이에 실이나 천 조각을 도안 패턴에 의해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 형태를 갖도록 하여 박음질하고, 박음질된 소재를 상온수에 침지시켜 수용성매체를 제거하여 완성된 직물을 그늘에서 건조하여 원하는 형태의 직물을 얻을 수가 있으며, 상기와 같이 얻어진 직물은 인테리어용품이나 악세서리, 의류소재로 널리 활용할 수가 있으며, 또 투명 또는 반투명, 불투명재료 사이에 넣어 여러 가지 소재로써 활용도를 높일 수가 있다.

Claims (5)

  1. 수용성매체를 기초판으로 하여, 상기 기초판 상에 접착성이 약한 접착제를 흩뿌리는 제 1공정과;
    상기 수용성매체 상에 실이나 천 조각 등을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 형태를 갖도록 올려놓는 제 2공정과;
    상기 실이나 천 조각 상에 접착성이 약한 접착제를 흩뿌린 후 다른 수용성매체를 덮는 제 3공정과;
    상기 제 3공정에 의해 얻어진 소재를 재봉에 의해 박음질하는 제 4공정과;
    상기 박음질공정에 의해 얻어진 직물을 상온수에 넣어 수용성매체를 깨끗하게 제거하는 제 5공정과;
    상기 제 5공정에의해 얻어진 직물을 그늘에서 말려 완전한 직물을 얻는 제6공정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매체는 얇은 종이, 수용성비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제조방법.
  3. 각 천과 각종 실을 혼합하여 수용성매체 위에 도안 패턴에 의해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 패턴을 갖고 수용성 매체를 다시 덮어 박음질하고, 상기 수용성매체를 제거하여 직물을 얻는 직물제조방법.
  4. 수용성매체 위에 직접 재봉틀을 이용하여 박음질만으로 직물을 얻는 직물제조방법.
  5. 각종 실 또는 천 조각을 박음질 하여 얻은 직물을 투명 또는 반투명 그리고 불투명 재질과 결합하여 직물을 얻는 직물제조방법.
KR1020010075937A 2001-12-03 2001-12-03 직물제조방법 KR200300459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5937A KR20030045993A (ko) 2001-12-03 2001-12-03 직물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5937A KR20030045993A (ko) 2001-12-03 2001-12-03 직물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5993A true KR20030045993A (ko) 2003-06-12

Family

ID=29572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5937A KR20030045993A (ko) 2001-12-03 2001-12-03 직물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45993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10000897Y1 (ko) * 1980-05-10 1981-08-18 김용환 표구 장식용 문지
KR960017987A (ko) * 1994-11-21 1996-06-17 이종도 실내장식용 직물테이프 제조방법
KR0138914Y1 (ko) * 1996-10-15 1999-04-01 전우길 창호지
KR20000015949U (ko) * 1999-01-15 2000-08-16 박현규 황토 한지
KR20020060793A (ko) * 2001-01-12 2002-07-19 장남용 워시아웃 기법을 이용한 표면소재 제조방법 및 그의방법으로 제조된 표면소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10000897Y1 (ko) * 1980-05-10 1981-08-18 김용환 표구 장식용 문지
KR960017987A (ko) * 1994-11-21 1996-06-17 이종도 실내장식용 직물테이프 제조방법
KR0138914Y1 (ko) * 1996-10-15 1999-04-01 전우길 창호지
KR20000015949U (ko) * 1999-01-15 2000-08-16 박현규 황토 한지
KR20020060793A (ko) * 2001-01-12 2002-07-19 장남용 워시아웃 기법을 이용한 표면소재 제조방법 및 그의방법으로 제조된 표면소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37887B2 (ja) フリース生地、フリース生地を製造する方法、及びフリース生地で製造された物品。
US20090078181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embroidered wallcovering
WO2004074566A1 (fr) Procede pour le travail d'applique et de broderie sur un tissu maille
US3649400A (en) Method of manufacturing nonwoven fabric with pattern formed thereon
CA2060204A1 (en) Double-embroidered lace
CN1133772C (zh) 一种丝带绣品及其制作方法
KR20030045993A (ko) 직물제조방법
JP2711799B2 (ja) 衣服の製作方法
US3226732A (en) Applique article and method of manufacture
JP3979624B2 (ja) レース状布地の製造方法
CN208484311U (zh) 一种温感变色的隐花刺绣布
US20060207077A1 (en) Method of producing and a chenille-like textured type yarn, trim, and fabric
KR100383808B1 (ko) 워시아웃 기법을 이용한 표면소재 제조방법 및 그의방법으로 제조된 표면소재
KR101934113B1 (ko) 장식용 술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장식용 술
CN1164820C (zh) 缝纫机虚实密针绣的工艺方法
RU2371324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декоративно-прикладного изделия
TW509737B (en) Method for producing a product with screen, tassel, print, and crepe
KR101021282B1 (ko) 한복이나 원단에 입체무늬를 형성하는 방법
JPH03502711A (ja) 天然毛による製品
JPS62276069A (ja) 装飾用素材の製造方法および装飾用生地
JP3047033U (ja) 刺繍構造
CN114575071A (zh) 一种立体毛绒感刺绣方法及其刺绣制品
KR200175880Y1 (ko) 레이스지
RU2234562C1 (ru) Декоративное кружевное полотно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JP2003041453A (ja) 図柄の織物を織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