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5315A - 천연소재 항암제 엔-아세틸-디-키토올리고 6당 및 7당,그리고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천연소재 항암제 엔-아세틸-디-키토올리고 6당 및 7당,그리고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5315A
KR20030045315A KR1020010075813A KR20010075813A KR20030045315A KR 20030045315 A KR20030045315 A KR 20030045315A KR 1020010075813 A KR1020010075813 A KR 1020010075813A KR 20010075813 A KR20010075813 A KR 20010075813A KR 20030045315 A KR20030045315 A KR 200300453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etyl
chitooligo
sugars
anticancer agent
natu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5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
Original Assignee
김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 filed Critical 김광
Priority to KR1020010075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45315A/ko
Publication of KR20030045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531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9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lyophilised, i.e. freeze-dried, solutions or disper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16Glucans
    • A61K31/722Chitin, chitosa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아세틸화도가 75%, 85% 및 95%이상의 부분 탈아세틸화 키토산을 비정질의 수용성 키토산으로 제조하여 기질로 사용하고, 이 기질을 효소 키티나아제와 키토 바이아제에 의하여 가수분해 한 후, 여기에 약산을 첨가하여 N-아세틸화 한 다음, 이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분획추출하고 투석 방법에 의하여 정제단계를 거쳐 동결 건조시켜 천연소재 항암제 N-아세틸-D-키토올리고 6당 및 7당을 제조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천연소재 항암제 엔-아세틸-디-키토올리고 6당 및 7당, 그리고 그 제조방법{ N-ACETYL-D-GLUCOSAMINE CHITOHEXAOSE AND CHITOHEPTAOSE AS ANTITUMOR AGENT FROM NATURAL BIOMASS AND METHOD OF MANUFACTURE}
본 발명은 항암제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천연소재 항암제 N-아세틸-D-키토올리고 6당 및 7당의 분리추출에 의한 물질 및 이 물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항암제들은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여 치료 효과를 보여주는 한편, 대부분의 경우 정상세포에 대해서도 부작용을 나타낸다. 따라서 항암제 자체의 독성을 낮추고 암세포에만 선택적으로 작용하여 그 증식을 억제시키기 위한 연구가 진행중이다.
최근들어, 기존의 합성 물질 항암제 이외에 항암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진 천연의 항암제들이 발견되고 있는데, 이들은 주로 각종 균체에 대한 효소의 작용 또는 균 생산물로부터 얻어지는 단당 및 올리고머당으로 다당류로 이루어진다. 이중에서 키틴, 키토산 또는 키틴의 부분탈아세틸화물 등은 우수한 항암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그 중에서도 키틴 및 키토산 올리고머가 우수한 항암력을 갖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제반적인 사안들을 감안한 것으로, 그 목적은 천연소재 항암제 N-아세틸-D-키토올리고 6당 및 7당의 물질 및 이 물질을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1견지에 있어 본 발명은 탈아세틸화도가 75%, 85% 및 95%이상의 부분 탈아세틸화 키토산을 비정질의 수용성 키토산으로 제조하여 기질로 사용하고, 이 기질을 효소 키티나아제와 키토 바이아제에 의하여 가수분해 한 후, 여기에 약산을 첨가하여 N-아세틸화 한 다음, 이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분획추출하고 투석 방법에 의하여 정제단계를 거쳐 동결 건조시켜 제조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천연소재 항암제N-아세틸-D-키토올리고 6당 및 7당을 그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N-아세틸-D-글루코사민 올리고당들을 210nm의 흡광도에서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에 일 실시 예에 따른 항암제 N-아세틸-D-키토올리고 6당 및 7당의 질량을 분석하여 나타낸 그래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키틴은 N-아세틸-D-글루코사민 잔당(GlcNAc)n이 β-1,4결합한 선상 고분자로서 D-글루코사민 잔당(GlcN)n이 일부 포함되어 있다. 이것은 동물체내에서 생분해 될 수 있고 항원성 고분자가 거의 없다.
가수 분해된 키틴은 효소 키타나제에 의해 키틴 구성단위인 N-아세틸-D-글루코사민 사이의 β-1,4-글루코스의 결합을 임의로 분해하여 저분자량을 갖는 수용성 중간체로 생성된다. 이것은 β-N,N'디아세틸글루코사미니다제(키토바이아제)에 의하여 키토올리고당이 키틴의 단당인 N-아세틸-D-글루코사민 단위로 최종 가수분해된다. 키토바이아제를 포함한 키티나아제 효소는 무정형 키틴과 결정성 키틴 두 가지 모두를 가수 분해하는 활성을 갖고 있으며, 특히 결정성 키틴에 대한 활성은 특수공정에서 요구되는 키틴의 처리과정을 줄일 수 있으므로 경제적으로는 매우 매력이 있는 점이다. 이 두 효소는 키티나제 이원성 성분계로도 작용이 되며 수용성과 완충 용액성을 갖는 저분자량인 N-아세틸-D-글루코사민의 키틴 올리고당 및 D-글루코사민의 키토산 올리고당이 키틴과 키토산을 알맞게 가수분해함으로써 각각 제조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항암제 N-아세틸-D-키토올리고 6당 및 7당의 제조방법을 최상의 실시예(best mode)를 들어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천연소재 항암제 N-아세틸-D-키토올리고 6당 및 7당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기질 특이성은 탈 아세틸화도에 의존되어 변화되므로 효소가수분해 할 때 탈 아세틸화도 75%, 85%, 및 95%이상을 각각 갖는 부분적으로 탈 아세틸화한 키토산을 기질로 사용하여 효소 반응시킴으로서, N-아세틸-D-글루코사민올리고당;(GlcNAc)6,76당과 7당을 분리추출 하였다.
또한, 탈아세틸화도 75%, 85%, 및 95%이상을 각각 갖는 부분적으로 탈아세틸화한 키토산은 본 발명자가 1997. 6. 5. 출원하여 1999. 5. 28.자로 등록된 등록번호 제 216301 호(탈아세틸화도가 75-100%인 키토산의 제조방법)에 기술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그리고, N-아세틸-D-글루코사민 올리고당들을 경제적으로 저렴하게 제조하기 위하여 효소 키티나제 역시 저효소를 직접 반응시켰다. 특히 병리학적으로 효과적인 항암활성을 갖는 N-아세틸-D-글루코사민 올리고 6,7당;(GlcNAc)6,7을 효소 키토바이아제를 함께 포함하는 키티나제와 부분적으로 탈아세틸화한 키토산류 중에서 가장 기질특이성이 높은 50~100%의 부분적으로 탈아세틸화한 키토산을 기질로 하여 효소 가수분해 반응시켜 분리 추출하여 제조하고, 또한 고도로 정밀한 제품을 얻기위하여 제조와 정제과정을 반복 시행하였다.
특히, 조효소 키티나제(1.5 unit/ml)[키토바이아제(3.48 unit/ml)가 포함됨]에 의한 부분탈 아세틸화 키토산을 효소 가수 반응시킴으로서 생성된 중합도 n=20이하를 갖는 N-아세틸-D-글루코사민(GlcNAc)n키토올리고당을 제조하고, 이로부터 CM-Sephadex 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하여 분획시켜 추출한 헤테로-키토올리고당들을 당별로 다시 N-아세틸화한 생성물을 전기투석장치로서 정제하여 천연항암제로 주목되고 있는 키토올리고6,7당을 각각 제조한다.
부분탈아세틸화 키토산(환원당으로서 2697mg/mL)을 효소반응에 의해 생성시킨 키토올리고당은 6당 (GlcNAc)6=3.84%, (GlcNAc)7,(GlcNAc)8의 7,8당이상이 7.44%제조되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천연소재 항암제 N-아세틸-D-키토올리고 6당의 화학식은 다음과 같다.
{화학식 1}
또 한편으로, 전술한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천연소재 항암제 N-아세틸-D-키토올리고 7당의 화학식은 다음과 같다.
{화학식 2}
여기서 전술한 제조과정 중에서 효소 가수분해에 의한 N-아세틸-D-글루코사민의 제조과정을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화학식 3}
{화학식 4}
(키티나아제와 키토바이아제의 활성에 의한 50~100% 부분 탈아세틸화 키토산의 가수 분해물.)
한편, 아래에서는 N-아세틸-키토올리고 6당 및 7당의 HPLC에 의한 분석과 질량 분석기 MALDI-TOF MS에 의한 올리고당의 구조 분석을 하였다.
즉, 생성된 N-아세틸-키토올리고 6당 및 7당을 고성능 액체크로마토 그래피(HPLC) 875-UV/VIS detector(Japan Spectroscopic Co. Ltd.)와 D-2500 Chromato -Integrator (Hitachi Ltd.)을 사용하여 N-아세틸-D-글루코사민의 UV분석(도 1의 좌측 그래프)과 D-글루코사민 키토-올리고머 RI분석(도 1의 우측 그래프)에 의한 환원당측정은 분당 2.0㎖의 유속에서 아세토니트릴-물의 이동상에서 Radical-PAK Bondapak NH2컬럼(8.0x 100mm, Millipore Co.)을 사용하여 분리하였다. N-아세텔-D-글루코사민 올리고당들은 210nm의 흡광도에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에 표시하였다.
상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F-8은 해테르-키토올리고당으로써 D-글루코사민의 4량체와 N-아세틸-D-글루코사민의 2량체로 구성되어 있는 6당을 나타내고 있다. F-7은 4당이 포함된 7당의 헤테르-키토올리고당을 나타내고 있으며 F-10은 9당을 포함한 7당을 나타낸다.
한편, 도 2의 그래프에 나타낸 바와 같이, F-8이 6당임을 질량분석에 의하여 분자량을 나타내고 있으며 F-7과 F-10이 4당을 포함한 7당과 9당을 포함한 7당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N-아세틸 키토올리고당의 질량분석은 Voyager Elite 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 ionization time-of-flight mass spectrometer(MALDI-TOF MS, PerSepive Biosystems, Framingham, MA, USA).를 사용하였고, 가속전압을 20kV로 하였고, matrix는 2,5-dihydroxybenzoic acid(DHB)를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천연소재 항암제 N-아세틸-D-키토올리고 6당 및 7당의 기대되는 기능 또는 용도를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즉, 글루코사민계인 올리고당은 면역강화, 항종양성, 향균성, 항콜레스테롤 등의 생리활성을 갖는다는 점이 그 이용 연구의 촛점이 되고 있다. 특히 항종양성 및 항암성의 활성과 높은 면역강화 작용을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천연소재 항암제 N-아세틸-D-키토올리고6,7당 용도에 대응하여 여러 가지 규격의 제품을 제조할 수 있는 상승적인 효과가 있다.

Claims (7)

  1. 탈아세틸화도가 50~75%, 75~85% 및 85~95%의 부분 탈아세틸화 키토산을 비정질의 수용성 키토산으로 제조하여 기질로 사용하고, 이 기질을 효소 키티나아제와키토 바이아제에 의하여 가수분해 한 후, 여기에 약산을 첨가하여 N-아세틸화 한 다음, 이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분획추출하고 투석 방법에 의하여 정제단계를 거쳐 동결 건조시켜 N-아세틸-D-키토올리고 6당 및 7당을 제조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소재 항암제 N-아세틸-D-키토올리고 6당 및 7당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조효소 키티나제와 키토바이아제가 함유된 이성분 효소계 (효소 활성비 1 : 2.5)에 의하여 아세테이트 완충용액에 균일반응 조건에서 키토산 기질을 0.2~1.5%의 농도변화로써 각각 제조한 효소반응 혼합물을 30~40??의 온도에서 36~72시간 반응시켜 가수분해된 헤테로 키토올리고당을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소재 항암제 N-아세틸-D-키토올리고 6당 및 7당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CM-Sephadex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방법을 응용하여 키토올리고당을 분획추출한 다음, 상기 분획추출된 키토올리고 6당과 7당을 당별분리 한 후, 증발기에 의한 농축과정과 동결건조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소재 항암제 N-아세틸-D-키토올리고 6당 및 7당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당별분리 후 농축과정과 동결제조된 헤테로 키토올리고당을 0.1~2N의 산을 가하여N-아세틸화함으로서N-아세틸-D-글루코사민의 키토올리고 6당과 7당을 각각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소재 항암제 N-아세틸-D-키토올리고 6당 및 7당의 제조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천연소재 항암제 N-아세틸-D-키토올리고 6당 및 7당.
  6. 하기 화학식으로 이루어진 천연소재 항암제 N-아세틸-D-키토올리고 6당.
  7. 하기 화학식으로 이루어진 천연소재 항암제 N-아세틸-D-키토올리고 7당.
KR1020010075813A 2001-12-03 2001-12-03 천연소재 항암제 엔-아세틸-디-키토올리고 6당 및 7당,그리고 그 제조방법 KR200300453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5813A KR20030045315A (ko) 2001-12-03 2001-12-03 천연소재 항암제 엔-아세틸-디-키토올리고 6당 및 7당,그리고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5813A KR20030045315A (ko) 2001-12-03 2001-12-03 천연소재 항암제 엔-아세틸-디-키토올리고 6당 및 7당,그리고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5315A true KR20030045315A (ko) 2003-06-11

Family

ID=29572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5813A KR20030045315A (ko) 2001-12-03 2001-12-03 천연소재 항암제 엔-아세틸-디-키토올리고 6당 및 7당,그리고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45315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71956A (en) * 1984-11-29 1990-11-20 Ihara Chemical Industry Co., Ltd. Immunopotentiating agents and method
JPH05320204A (ja) * 1992-05-27 1993-12-03 Katakura Chitsukarin Kk N−アセチルキトオリゴ糖の製造法
KR960016891A (ko) * 1994-11-04 1996-06-17 김영식 키토올리고당을 함유한 항암 조성물
US5998173A (en) * 1996-02-20 1999-12-07 The University Of Bristish Columbia Process for producing N-acetyl-D-glucosamine
JP2000253895A (ja) * 1999-03-11 2000-09-19 Ehime Prefecture 部分アセチル化キトサン、キトオリゴ糖混合物及びキトオリゴ糖の製造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71956A (en) * 1984-11-29 1990-11-20 Ihara Chemical Industry Co., Ltd. Immunopotentiating agents and method
JPH05320204A (ja) * 1992-05-27 1993-12-03 Katakura Chitsukarin Kk N−アセチルキトオリゴ糖の製造法
KR960016891A (ko) * 1994-11-04 1996-06-17 김영식 키토올리고당을 함유한 항암 조성물
US5998173A (en) * 1996-02-20 1999-12-07 The University Of Bristish Columbia Process for producing N-acetyl-D-glucosamine
JP2000253895A (ja) * 1999-03-11 2000-09-19 Ehime Prefecture 部分アセチル化キトサン、キトオリゴ糖混合物及びキトオリゴ糖の製造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Agric Biol Chem. 1990 Dec;54(12):3191-9(1990)) *
논문(Biosci Biotechnol Biochem. 1995 Mar;59(3):529-31(199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uo et al. Carrageenan oligosaccharides: A comprehensive review of preparation, isolation, purification, structure, biological activities and applications
Sánchez et al. The effect of preparation processes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chitooligosaccharides
Qin et al. Enzymic preparation of water-soluble chitosan and their antitumor activity
Chi et al. Ulvan lyase assisted structural characterization of ulvan from Ulva pertusa and its antiviral activity against vesicular stomatitis virus
Kittur et al. Chitosanolysis by a pectinase isozyme of Aspergillus niger—A non-specific activity
Zhang et al. Preparation of chitooligosaccharides from chitosan by a complex enzyme
Sajomsang et al. Antibacterial activity of quaternary ammonium chitosan containing mono or disaccharide moieties: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Chen et al. Structure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n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from coral-associated fungus, Aspergillus versicolor LCJ-5-4
Hsieh et al. Structure and bioactivity of the polysaccharides in medicinal plant Dendrobium huoshanense
Kumar et al. A comparative study on depolymerization of chitosan by proteolytic enzymes
Kumar et al. Low molecular weight chitosans—preparation with the aid of pronase, characterization and their bactericidal activity towards Bacillus cereus and Escherichia coli
Zhao et al. Studies on the chemical structure and antitumor activity of an exopolysaccharide from Rhizobium sp. N613
Mengíbar et al. Influence of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hito-oligosaccharides (COS) on antioxidant activity
Wang et al. Purification, structural characterization and antioxidant property of an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from Aspergillus terreus
Tomoda et al. Structure of panaxan B, a hypoglycaemic glycan of Panax ginseng roots
Yang et al. Chemical modification and antitumour activity of Chinese lacquer polysaccharide from lac tree Rhus vernicifera
Xie et al. Preparation of chitooligosaccharides by the enzymatic hydrolysis of chitosan
Feng et al. Structural characterization and immunological activities of a novel water-soluble polysaccharide from the fruiting bodies of culinary-medicinal winter mushroom, Flammulina velutipes (Agaricomycetes)
Júnior et al. Semi-synthesis of N-alkyl-kappa-carrageenan derivatives and evaluation of their antibacterial activity
JP3202365B2 (ja) オリゴマンヌロン酸を重合度によって分離する方法
JPS6398395A (ja) キトサンオリゴ糖の製造法
JPH06340701A (ja) 高分岐度β−グルカン、その製造法及び用途
WO2018030542A1 (ja) 自然免疫活性化作用を有する多糖類及び該多糖類を含有する自然免疫活性化剤又は飲食品
Zeng et al. Browning of chitooligomers and their optimum preservation
JP6839494B2 (ja) αモノグルコシルロイフォリン、αモノグルコシルロイフォリンの製造方法、αモノグルコシルロイフォリンを含むリパーゼ阻害剤、および抗糖化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