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4750A - 광전자 장치 및 힘 및/또는 모멘트 센서 - Google Patents

광전자 장치 및 힘 및/또는 모멘트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4750A
KR20030044750A KR1020020012864A KR20020012864A KR20030044750A KR 20030044750 A KR20030044750 A KR 20030044750A KR 1020020012864 A KR1020020012864 A KR 1020020012864A KR 20020012864 A KR20020012864 A KR 20020012864A KR 20030044750 A KR20030044750 A KR 200300447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position sensing
emitting means
detectors
optoelectronic devi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2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곰베르트베른트
Original Assignee
드라이데코넥션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드라이데코넥션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드라이데코넥션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30044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475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26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characterised by optical transfer means, i.e. usin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D5/3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characterised by optical transfer means, i.e. usin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with attenuation or whole or partial obturation of beams of ligh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38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limited linear or angular displacement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from a neutral position, e.g. isotonic or isometric joysti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2개의 물체의 상대 운동 또는 상대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광전자 장치는 적어도 2개의 위치 감지 검출기를 포함하며, 각각의 위치 감지 검출기는 발광 수단에 의해 조명되어 측정 전지를 형성하고, 그리고 하나의 발광 수단이 2개의 검출기를 조명하여 공통 발광 수단을 갖는 2개의 측정 전지를 형성한다. 또한, 이러한 광전자 장치를 구비한 힘 및/또는 모멘트 센서는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을 가지며, 상기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은 서로 탄성적으로 결합되고 또 서로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그러한 힘 및/또는 모멘트 센서가 구비된 개인용 컴퓨터 키보드를 개시한다.

Description

광전자 장치 및 힘 및/또는 모멘트 센서{ARRANGEMENT FOR THE DETECTION OF RELATIVE MOVEMENTS OR RELATIVE POSITIONS OF TWO OBJECTS}
본 발명은 2개의 물체의 상대 운동 또는 상대 위치의 검출을 위한 것으로서, 발광 수단에 의해 조명되어 측정 전지를 형성하는 적어도 2개의 위치 감지 검출기를 포함하는 광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그러한 장치를 이용하는 힘 및/또는 모멘트 센서에 관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신규한 힘 및/또는 모멘트 센서를 포함하는 PC 키보드에 관한 것이다.
힘 및/또는 모멘트 센서에서 2개의 물체의 상대 운동의 검출을 위한 장치로서, 광전자 측정 전지를 갖는 장치가 폭 넓게 수용되어 왔다. 그 이유는, 그러한 장치가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정밀도 및 신뢰도가 높기 때문이다.
독일 특허 공개 36 11 337 A1 호는, 6개의 운동성분, 즉 3개의 축을 따르는 변위 및 3개의 축을 중심으로 한 각 회전을 동시에 검출할 수 있는 플라스틱 볼에 수납된 광전자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 목적을 위해, 6개의 발광 수단이 동일한 각도 거리로 하나의 평면 내에 배열되어 있다. 각 발광 수단의 전방에는 고정 슬릿 격판이 설치되어 있다. 상대 운동 또는 상대 위치는 감광 검출기에 의해 감지되며, 감광 검출기는 발광 수단 및 슬릿 격판의 배치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검출기의 축은 슬릿 격판의 방향에 대해 본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된다. 그러한 장치는 제조하는데 드는 힘이 비교적 적다. 왜냐하면, 발광 수단 및 격판 뿐만아니라 조절 및 평가를 위한 임의의 다른 전기적 수단은 종래의 솔더링 기법에 의해 단일 인쇄 기판상에 배열될 수 있고, 제 1 물체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위치 감지 검출기는 제 2 물체와 결합된다. 그러나, 그러한 장치는 비교적 넓은 면적을 필요로 하는 것이 단점이다. 이것은, 발광 수단 주위에 환상 패턴으로 배열되는 격판 및 검출기의 비교적 넓은 공간 크기에 의해 야기된다. 이것에 의해, 장치의 소형화가 억제된다.
속속들이 규명한 것으로 청구하지는 않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배경을 제시하고 있는 추가의 서류들은, 독일 특허 제 27 27 704 C3 호, 독일 특허 제 36 11 336C2 호, 독일 특허 공개 32 40 241 A1 호, 미국 특허 3,921,445 호, 및 미국 특허 제 3,628,394 호이다.
상대 운동 또는 상대 위치를 측정하는 광전자 장치 뿐만아니라 그러한 장치를 이용하는 힘 및/또는 모멘트 센서는, 주로 공업적 용도에서 과거에 그 중요성이 증대되었다. 그것의 예는 자동 시험 및 측정 벤치(bench)에서의 로봇 제어 및 힘의 측정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사무 분야 및 전자 오락 분야의 장치 및 센서에도 상업적으로 가장 흥미 있는 적용이 시도되고 있다. 여기서, 그 장치는, 대체로 2개의 성분만을 입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트랙 볼의 마우스나 조이스틱과는 대조적으로, 최대 6개의 성분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장치의 기능을 갖는다. 광전자 장치를 갖는 힘 및/또는 모멘트 센서에 의해 제공되는 단순하고 편리한 6개의 입력 성분은, 예컨대 3차원 설계 소프트웨어나 복잡한 컴퓨터 게임의 제어에 바람직하 다. 그러나, 현재의 입력 장치는, 그것의 표면의 필요 조건 때문에 확실이 다루기가 힘들고, 임의의 폭넓은 배급을 방해한다. 소형화에 의해, 예컨대 게임 콘솔, PC 키보드 또는 노트북 컴퓨터 내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그에 따라 폭넓은 시장 진출이 가능해질 것이다.
종래 기술의 상태를 근거로, 본 발명은 기존의 장치에 비해서 표면의 필요 조건이 감소된, 2개의 물체의 상대 운동 또는 상대 위치의 검출을 위한 장치를 형성하는 목적을 기초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센서에 비해서 표면의필요 조건이 감소된 힘 및/또는 모멘트 센서를 형성하는 목적을 기초로 하고 있다. 최종적으로, 본 발명은 각각 최대 6개의 힘 또는 토크 성분의 복잡하지 않은 입력이 가능한 사무 환경에 적용하기 위한 입력 장치를 형성하는 목적을 기초로 하고 있다.
이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2개의 물체의 상대 운동 또는 상대 위치의 검출을 위한 것으로서, 발광 수단에 의해 조명되어 측정 전지를 형성하는 적어도 2개의 위치 감지 검출기를 포함하는 광전자 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발광 수단이 적어도 2개의 검출기를 조명하여 공통 발광 수단을 갖는 2개의 측정 전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자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2개의 물체의 상대 운동 또는 상대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광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힘 및/또는 모멘트 센서를 개시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힘 및/또는 모멘트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컴퓨터 키보드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가능한 발전에 있어서, 전체의 발광 수단, 바람직하게는 적외선 발광 다이오우드(ILED), 및 위치 감지 검출기, 바람직하게는 위치 감지 적외선 검출기는 공통의 제 1 평면내에 배열된다. 다른 가능한 발전에 있어서, 본 발명의 장치는 적어도 4개의 광전자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광전자 소자는, 적어도 3개의 광전자 소자가 제 1 평면에 배열되고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광전자 소자가 2개의 평면 중 제 2 평면에만 배열되는 방식으로 적어도 제 1 평면 및 제 2 평면에 배열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및 제 2 평면은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다.
발광 수단은, 각 구역이 평탄하거나 볼록한 폐쇄된 가상의 제 1 표면상에서그들 각각의 방사 방향이 제 1 표면에 의해 규정된 제 1 내부 공간을 향해 연장하는 방식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광 수단 외에, 위치 감지 검출기도, 그들 각각의 감광 측면이 제 1 표면에 의해 규정되는 제 2 내부 공간을 향하는 방식으로, 각 구역이 평탄하거나 볼록한 폐쇄된 가상의 제 2 표면상에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및 제 2 내부 공간은 발광 수단 및 위치 감지 검출기가 배열되는 공통 내부 공간이 형성되도록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발광 수단으로부터 반대쪽의 위치 감지 검출기까지의 측정 전지의 빛은 항상 공통 내부 공간을 횡단한다.
광전자 장치에 의해 항상 6개의 자유도, 즉 3개의 직선 독립 축을 따르는 이동 및 3개의 직선 독립 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광전자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6개의 위치 감지 검출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발달에서, 위치 감지 검출기는 인접한 위치 감지 검출기의 쌍으로 배열되며, 각 쌍은 제 1 평면에 본질적으로 수직인 운동을 검출하기 위한 하나의 위치 감지 검출기와, 제 1 평면에 본질적으로 수평인 운동을 검출하기 위한 위치 감지 검출기를 포함한다. 전체의 검출기가 하나의 평면에 배치되는 경우 한 쌍의 검출기가 서로 인접하게 배열될 수 있다. 검출기가 둘 이상의 평면상에 분포되는 경우, 검출기의 쌍은 상하 관계로 배열될 수도 있다.
또한, 위치 감지 검출기의 쌍은 제 1 평면에 본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서로에 대해 본질적으로 동일한 각도 거리로 배향될 수 있다. 장치가 세 쌍의 위치 감지 검출기를 포함하는 경우, 제 2 및 제 3 검출기는 제 1 위치 감지 검출기의 방위에 대해 본질적으로 완전한 1회전의 1/3 또는 2/3 만큼 각각 회전할 수 있다.
특히 소형의 바람직한 구조에 있어서, 위치 감지 검출기의 2개의 쌍 사이에 측방향 크기가 작은 발광 수단이 배열된다. 바람직하게는, 발광 수단의 쌍은 서로에 대해 축을 중심으로 회전한 상태로 본질적으로 동일한 각도 거리로 배향되며, 상기 축은 제 1 평면에 대해 본질적으로 수직으로 뻗는다.
그것에 의해, 발광 수단이 항상 각각의 위치 감지 검출기 중 단 하나와 함께 측정 전지를 형성하도록 매번 공통 발광 수단과 관련된 2개의 위치 감지 검출기 중 하나 또는 다른 하나만이 판독된다.
항상 하나의 발광 수단이 단 하나의 위치 감지 검출기와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각 위치 감지 검출기가 동일한 일정량의 빛을 받는 방식으로 각각의 관련된 발광 수단의 전류를 조절하기 위해 위치 감지 검출기의 출력 신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것은, 전체의 측정 전지가 온도 및 노후화의 영향 뿐만아니라 오염 및 부품 허용오차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유리하다. 또한, 위치 감지 적외선 검출기(42, 62)의 출력 신호는 추가의 처리를 위해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에 전송되그것으로부터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전송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대 운동 또는 상대 위치를 검출하는 광전자 장치는 하나의 슬릿 격판(slit diaphragm)도 포함하며, 상기 슬릿 격판은 발광 수단과 위치 감지 검출기 사이에서 발광 수단의 광로(beam path)에 배치되므로, 협소한 광선만이 하류의 위치 감지 검출기에 충돌한다. 슬릿 격판의 슬릿(slit)의 방향은 위치 감지 검출기의 검출기 축에 대해 본질적으로 수직으로 향한다.
각각의 발광 수단과 슬릿 격판의 하나의 부품의 상대 운동 또는 상대 위치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검출기는 다른 2개의 요소에 대해 이동 가능해야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발광 수단 및 위치 감지 검출기는 인쇄 기판상에 고정 장착되는 한편, 슬릿 격판은 그들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이것은, 전체의 전자 부품이 단일 인쇄 기판상에 수용될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하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발광 수단 및 위치 감지 검출기는 내측을 향하는 실린더형 인쇄 기판의 측면에 설치된다.
실린더형 인쇄 기판은, 그 표면이 실린더의 표면에 의해 또는 실린더의 표면의 일부분에 의해 규정되는 인쇄 기판이다. 실린더의 표면은 곡선을 따르는 직선의 평행 이동에 의해 형성된다.
특히, 인쇄 기판은 광전자 검출기를 외부 편향 광선으로부터 보호한다.
본 발명의 힘 및/또는 모멘트 센서는 제 1 및 제 2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은 서로 탄성적으로 결합되어 있고 또 서로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그것은 제 1 및 제 2 기판의 서로에 대한 이동을 검출하기 위한 장치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은 인쇄 기판인 것이 바람직하며, 제 1 기판은 전체의 전자 부품, 특히 발광 수단 및 위치 감지 검출기 뿐만아니라 발광 수단의 전류를 조절하는 제어 일렉트로닉스, 증폭기(필요한 경우) 및 데이터 변환을 위한 디지털부 및/또는 다른 수단을 지지하고 있다. 전체의 전자 부품을 하나의 인쇄 기판상에만 배열하는 것에 의해, 제조하는 동안 조립 비용이 상당히 감소된다.
2개의 기판은, 헬리컬 스프링, 스프링 조립체, 엘라스토머, 주물 수지 중에서 하나로부터 또는 그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및/또는 감쇠 수단에 의해 결합된다. 이들 스프링 및/또는 감쇠 수단은 힘과 토크를 흡수한다. 그들의 탄성 특성이 알려져 있으면, 2개의 기판의 상대 위치로부터 서로에 대해 작용하는 힘과 토크를 측정할 수 있다.
2개의 기판은 3개의 스프링 및/또는 감쇠 수단에 의해 서로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프링 및/또는 감쇠 수단은 측정 전지도 배열되어 있는 중심부의 둘레에 회전 대칭 방식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힘 및/또는 모멘트 센서에 항상 대칭적인 힘이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유리하다. 정확히 3개의 스프링 또는 감쇠 수단이 서로에 대해 완전한 1회전의 1/3 만큼 각각 회전하도록 배열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스프링 및/또는 감쇠 수단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헬리컬 스프링을 포함하며, 그것의 2개의 대향 말단은 솔더링에 의해 제 1 또는 제 2 기판과 각각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헬리컬 스프링은 모든 방향으로 부하가 가해질 수 있다. 즉, 스프링이 그들 시트에서 이동하거나 또는 심지어 그의 외부로 빠져나오는 일 없이, 장력과 압축력 뿐만아니라 스프링을 횡단하여 작용하는 힘을 가할 수 있다.
힘 및/또는 모멘트 센서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2개의 기판의 서로에 대한 상대 운동을 제한하는 적어도 하나의 정지 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다. 이것은, 하나의 기판과 확고하게 결합된 정지 볼트에 의해 실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방식으로, 힘 및/또는 모멘트 센서는 과부하로부터 보호된다.
2개의 물체의 상대 운동 또는 상대 위치를 검출하는 장치의 신규한 배치로부터, 다음과 같은 유리한 특성이 생긴다.
1. 제조 비용이 적은 가장 소형의 구조
2. 고 직선성, 저 히스테리시스, 및 광전자 측정 전지의 적용에 의한 마모로부터의 높은 자유도.
힘 및/또는 모멘트 센서의 신규한 배치로부터, 전술한 것 이외에 다음과 같은 유리한 특성이 생긴다.
3. 정지 수단의 적용에 의해 손상의 가능성이 낮음.
PC 키보드의 독창적인 배치로부터, 전술한 것 이외에 다음과 같은 유리한 특성이 생긴다.
4. 신규한 개인용 컴퓨터 키보드는 개인용 컴퓨터 작업장에서 최대 6개의 복잡하지 않는 성분의 입력이 가능하다.
추가의 특징, 특성, 이점, 및 가능한 수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 바람직한 실시예의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2개의 물체의 상대 운동 또는 상대 위치의 검출을 위한 신규한 광전자 장치를 갖는 신규한 힘 및/또는 모멘트 센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0 : 발광 요소42, 62 : 위치 감지 검출기
44, 64 : 슬릿 격판120 : 제 1 기판
122 : 스프링 및/또는 감쇠 수단
도 1에 도시된 2개의 물체의 상대 운동 또는 상대 위치의 검출을 위한 광전자 장치는, 6개의 위치 감지 검출기(42, 46)를 포함하며, 2개의 각각의 위치 감지 검출기(42, 62)가 3개의 ILED(40) 중 하나에 의해 조명되어 하나의 공통 ILED를 갖는 세 쌍의 측정 전지를 형성한다.
전체의 ILED(40) 및 위치 감지 적외선 검출기(42, 62)는 제 1 기판(120)에 평행하게 연장된 공통의 제 1 평면에 배열되고, 각 광로는 각 측정 전지의 광전자 소자가 배열되는 동일 평면내에 연장된다.
3개의 ILED(40)는 원주상에 배열된다. 이러한 원주가 구형 표면의 원주라고 가정하면, 이러한 구형 표면은 각 구역이 볼록한 폐쇄된 가상의 제 1 표면이 될 것이며, 그것의 내측에서, 3개의 ILED(40)는 그들 각각의 방사 방향이 제 1 표면에 의해 규정된 제 1 내부 공간을 향해 연장하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다시말해서, 전체의 ILED(40)는 가상의 구형 표면의 내측으로부터 구의 내부에 빛을 비춘다.
ILED(40)과 마찬가지로, 위치 감지 적외선 검출기(42, 62)가 기판(120)상에 장착되고 또 제 2 원주상에 배열된다. 이러한 제 2 원주도 구형 표면의 원주라고 가정하면, 이러한 구형 표면은 각 구역이 볼록한 폐쇄된 가상의 제 2 표면이 될 것이며, 그 표면의 내측에는, 6개의 위치 감지 적외선 검출기(42, 62)가 그들 각각의 감광 측면이 제 2 표면에 의해 규정된 제 1 내부 공간을 향하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제 1 내부 공간은 완전히 제 2 내부 공간 내에 놓여 있으므로, 제 1 내부 공간과 일치하는 공통 내부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발광 수단(40) 및 위치 감지 검출기(42, 62)는 공통 내부 공간의 둘레에 배열된다. 측정 전지의 ILED(40) 및 관련된 위치 감지 검출기(42, 62)는 서로 반대쪽에 배열되고 그리고 빛이 공통 내부 공간을 횡단한다.
여기에 소개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광전자 장치는 2개의 물체의 상대 운동 또는 상대 위치를 6개의 자유도로, 즉 3개의 직선 독립 공간 방향의 변위와 그리고 3개의 직선 독립 공간 방향을 중심으로 한 회전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6개의 위치 감지 적외선 검출기(42, 62)가 제공되며, 이것은 3개의 ILED(40)와 함께 6개의 측정 전지를 형성한다.
또한, 위치 감지 적외선 검출기(42, 62)는 위치 감지 적외선 검출기(42, 62)의 쌍으로 배열되며, 각 쌍은 제 1 평면에 수직인 운동을 검출하기 위한 하나의 위치 감지 검출기(42)와 제 1 평면에 평행한 운동을 검출하기 위한 위치 감지 검출기(62)를 포함한다. 또한, 위치 감지 적외선 검출기(42, 62)의 쌍은 제 1 평면에 수직으로 연장된 축을 중심으로 완전한 1회전의 1/3 만큼 서로에 대해 회전한 상태로 되어 있다. ILED(40)의 각각은 위치 감지 적외선 검출기(42, 62)의 쌍 사이에 배열되어 있다. ILED(40)도 제 1 평면에 수직으로 연장한 축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회전한 상태로 동일한 각도 거리로 향해 있다.
각 측정 전지에서, 위치 감지 적외선 검출기의 전방에 슬릿 격판(44)이 배열되어 있다. 이 슬릿 격판은 협소한 슬릿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협소한 광선 스트립만이 위치 감지 검출기(42, 62)에 충돌한다. 슬릿 격판의 슬릿의 방향은 검출기의 축, 즉 검출기의 측정 방향에 대해 수직이다. 시스템의 발광 요소(40), 슬릿 격판(44, 64), 및 위치 감지 적외선 검출기(42, 62) 중 하나의 요소가 다른 요소에 대해 이동 가능하도록 배열되어 있으므로, 측정 전지는 상대 운동 및 상대 위치를검출할 수 있다. ILED 후방의 차폐물은 측정 전지를 편광으로부터 보호한다.
본 명세서에 소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슬릿 격판(44, 64)은 위치 감지 검출기(42, 62) 및 발광 수단(40)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위치 감지 검출기(42, 62) 및 ILED(40)는 실린더형 인쇄 기판(80)상에 견고하게 배치된다.
한 쌍의 인접한 검출기가 할당되는 슬릿 격판(44, 64)은 2개의 슬릿이 서로 수직으로 뻗은 단일의 슬릿 격판(44, 64)으로 결합된다.
도 1에 도시된 힘 및/또는 모멘트 센서는 제 1 기판(120) 및 제 2 기판으로 이루어지고, 그 기판들은 서로 탄성적으로 결합하며 또 서로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그것에 의해, 제 1 기판(120)과 제 2 기판 사이의 상대 운동 또는 상대 위치의 검출을 위한 신규한 장치가 제공된다. 제 1 기판은, ILED(40) 및 위치 감지 적외선 검출기(42, 62)를 지지하고 있는 인쇄 기판(80)이 확고하게 납땜되는 인쇄 기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기판(120)은 추가의 전자 부품을 지지하고 있다. 슬릿 격판(44, 64)은 납땜에 의해 제 2 기판과 견고하게 결합된다.
엘라스토머 실린더(122)는 제 1 기판(120)과 제 2 기판을 서로 탄성적으로 결합하는 스프링 및 감쇠 수단으로서 작용한다. 이 엘라스토머 실린더(122)의 일단부는 제 1 기판(120)에 납땜 결합되고 그의 타단부는 제 2 기판(140)에 결합된다. 회전 대칭 상태로 배열된 3개의 엘라스토머 실린더가 ILED 부근의 기판(120)의 외측 근방에 제공된다.
2개의 기판(120)의 상대 운동 또는 상대 위치를 제한하여 임의의 과부하가 힘 및/또는 모멘트 센서에 손상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정지 볼트 형태의 3개의 정지 수단이 제공된다. 이 정지 볼트는 제 2 기판에 견고하게 결합되고 또 제 1 기판 내의 구멍을 통해 돌출한다. 제 2 기판에 대한 제 1 기판(120)의 수평 운동은, 정지 수단의 직경과 제 1 기판(120) 내의 구멍의 직경에 의해 결정된다. 2개의 기판(120, 140)의 서로에 대한 이동은 볼트 형상의 정지 수단에 있는 확대부에 의해 제한된다. 제 1 기판(120)으로부터 볼트를 향하는 확대부의 거리는,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이 수직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이동 가능한 범위를 결정한다.
본 발명은 제조 비용이 적고 소형의 구조이며, 광전자 측정 전지의 적용에 의해 마모가 적고, 정지 수단의 적용에 의해 손상의 가능성이 낮고, 최대 6개의 복잡하지 않는 성분의 입력이 가능하다.

Claims (19)

  1. 2개의 물체의 상대 운동 또는 상대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발광 수단에 의해 조명되어 측정 전지를 형성하는 적어도 2개의 광전자 소자를 포함하는 광전자 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발광 수단이 적어도 2개의 검출기(42, 62)를 조명하여 공통의 발광 수단을 갖는 2개의 측정 전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전체의 상기 위치 감지 검출기(62) 및 상기 발광 수단(40)은 공통 평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자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자 장치는 발광 수단 또는 위치 감지 검출기인 적어도 4개의 광전자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광전자 소자는 적어도 3개의 광전자 소자가 제 1 평면상에 배열되고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광전자 소자가 2개의 평면 중 제 2 평면에만 배열되는 방식으로 적어도 제 1 평면과 상기 제 1 평면과는 다른 제 2 평면에 배열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및 제 2 평면은 서로 본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자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수단(40)은, 그들 각각의 방사면이 제 1 표면에 의해 규정되는 제 1 내부 공간을 향하도록, 각 구역이 평탄하거나 볼록한 폐쇄된 가상의 제 1 표면상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자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감지 검출기(42, 62)는, 그들 각각의 감광성 측면이 제 2 표면에 의해 규정된 제 2 내측 공간을 향하도록 각 구역이 평탄하거나 볼록한 폐쇄된 가상의 제 1 표면상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자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자 장치는 6개의 자유도를 측정하기 위한 적어도 6개의 위치 감지 검출기(42, 6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자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감지 검출기(42, 62)는 인접한 위치 감지 검출기(42, 46)의 쌍으로 배열되고, 상기 위치 감지 검출기의 쌍은 제 1 평면에 본질적으로 수직인 운동을 검출하기 위한 하나의 위치 감지 검출기(42, 62)와 제 1 평면에 본질적으로 평행한 운동을 검출하기 위한 위치 감지 검출기(42, 6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자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감지 검출기(42, 62)의 쌍은, 제 1 평면에 본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한 상태로 서로에 대해 본질적으로 동일한 각도 거리로 배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자 장치.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수단(40)은 상기 위치 감지 적외선 검출기(42, 46)의 쌍 사이에 각각 배열되고, 상기 발광 수단(40)의 쌍은 제 1 평면에 대해 본질적으로는 수직으로 연장한 축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회전한 상태로 본질적으로 동일한 각도 거리로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자 장치.
  10. 제 2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전지는 상기 발광 수단(40)과 상기 위치 감지 검출기(42, 62) 사이의 발광 수단(40, 60)의 광로에 배치된 하나의 슬릿 격판(44, 64)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 감지 검출기(42, 62)의 축은 상기 슬릿 격판(44, 64)의 슬릿 방향에 대해 본질적으로 수직으로 정렬되고, 상기 시스템의 요소는 발광 수단(40), 슬릿 격판(44, 64), 및 2개의 다른 요소에 대해 이동 가능한 검출기(42, 6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자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각 측정 전지에서, 상기 슬릿 격판(44, 64)은 위치 감지 검출기(42, 62) 및 발광 수단(40)에 대해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자 장치.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감지 검출기(42, 62) 및/또는 발광 수단(40)은 실린더형의 인쇄 기판(80)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자 장치.
  13. 서로 탄성적으로 결합되고 또 서로에 대해 이동 가능한 제 1 기판(130) 및 제 2 기판을 갖는 힘 및/또는 모멘트 센서에 있어서,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2개의 물체의 상대 운동 또는 상대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광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힘 및/또는 모멘트 센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120) 및 제 2 기판은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및/또는 감쇠 수단(122)을 거쳐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힘 및/또는 모멘트 센서.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및/또는 감쇠 수단(122)은 헬리컬 스프링, 스프링 조립체, 엘라스토머, 주물 수지 중 적어도 하나 또는 그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힘 및/또는 모멘트 센서.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및/또는 감쇠 수단(122)은 본질적으로 회전 대칭상태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힘 및/또는 모멘트 센서.
  17. 제 14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및/또는 감쇠 수단(122) 중 적어도 하나는 납땜에 의해 상기 제 1 기판(120) 및 제 2 기판에 견고하게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엘라스토머 또는 스프링 요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힘 및/또는 모멘트 센서.
  18. 제 14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판에 대한 상기 제 1 기판(120)의 이동을 제한하는 적어도 하나의 정지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힘 및/또는 모멘트 센서.
  19. 제 14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힘 및/또는 모멘트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컴퓨터 키보드.
KR1020020012864A 2001-11-30 2002-03-11 광전자 장치 및 힘 및/또는 모멘트 센서 KR2003004475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158776A DE10158776B4 (de) 2001-11-30 2001-11-30 Anordnung zum Erfassen von Relativbewegungen oder Relativpositionen zweier Objekte
DE10158776.7 2001-11-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4750A true KR20030044750A (ko) 2003-06-09

Family

ID=7707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2864A KR20030044750A (ko) 2001-11-30 2002-03-11 광전자 장치 및 힘 및/또는 모멘트 센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30102422A1 (ko)
JP (1) JP2003166805A (ko)
KR (1) KR20030044750A (ko)
DE (1) DE10158776B4 (ko)
IL (1) IL148307A (ko)
TW (1) TW54289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417683D0 (en) * 2004-08-09 2004-09-08 C13 Ltd Sensor
DE102004064259B3 (de) 2004-10-22 2018-03-08 Société Civile "Galileo 2011" Optoelektronische Anordnung zum Erfassen von Relativbewegungen oder Relativpositionen zweier Objekte
DE102004063975B4 (de) 2004-10-22 2018-05-30 Société Civile "Galileo 2011" Optoelektronische Anordnung zum Erfassen von Relativbewegungen oder Relativpositionen zweier Objekte
DE102004051565B4 (de) * 2004-10-22 2014-06-26 Société Civile "Galileo 2011" Optoelektronische Anordnung zum Erfassen von Relativbewegungen oder Relativpositionen zweier Objekte sowie Kraft- und/oder Momentsensor, Pan/Zoom-Sensor und PC-Tastatur mit einer derartigen Anordnung
DE102005063022B4 (de) * 2005-12-30 2013-05-29 Deutsches Zentrum für Luft- und Raumfahrt e.V. Opto-elektronischer Kraft-Momenten-Sensor
EP1843243B1 (en) 2006-04-05 2012-02-22 Société Civile "GALILEO 2011" Opto-electronic device for determining relative movements or relative positions of two objects
DE102006058805B4 (de) 2006-12-13 2011-12-22 Spacecontrol Gmbh Vorrichtung zur Eingabe von Bewegungen und/oder Erfassung von Kräften
DE102006058806A1 (de) * 2006-12-13 2008-06-19 Spacecontrol Gmbh Vorrichtung zum Messen von Beschleunigungen und Drehraten
EP1998243A1 (en) 2007-05-25 2008-12-03 3Dconnexion Holding SA Optoelectronic device and resilient member therefor
EP1995995A1 (en) * 2007-05-25 2008-11-26 3Dconnexion Holding SA Electric circuit for individually controlling light-emitting elements and optoelectronic device
DE102008019144B4 (de) 2008-04-16 2016-12-01 Spacecontrol Gmbh Vorrichtung zur Eingabe von Steuersignalen zum Bewegen eines Gegenstands
WO2014164207A1 (en) 2013-03-12 2014-10-09 Stryker Corporation Sensor assembly and method for measuring forces and torques
US8717202B1 (en) 2013-03-14 2014-05-06 Aimpad, LLC Force sensitive input devices and methods
CN105723198B (zh) * 2013-11-05 2019-11-05 日本精工株式会社 力觉传感器
DE102016001227A1 (de) * 2016-02-04 2017-08-10 Kuka Roboter Gmbh Lastsensor
CN107367340B (zh) * 2017-06-21 2023-11-14 陈中杰 红外光力矩监控系统
CN110515090A (zh) * 2018-05-22 2019-11-29 诚盟电科技股份有限公司 光感测模组及感测方法
CN108627193B (zh) * 2018-06-20 2024-01-12 苏州高腾智能装备有限公司 自动找位测试机构
US11061482B2 (en) 2019-01-04 2021-07-13 Aimpad, LLC Force sensitive input devices and method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9761A (ko) * 1994-04-21 1995-11-24 김동윤 힘/모멘트 측정장치
KR960006311A (ko) * 1994-07-11 1996-02-23 김광호 가변장디코딩장치의 동기 복원방법 및 장치
KR19990016504A (ko) * 1997-08-12 1999-03-05 최명환 힘/모멘트 센서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472669A (it) * 1967-12-06 1969-05-15 Gomma Antivibranti Applic Dispositivo dinamometrico per il rilievo di carichi statici e dinamici
US3628394A (en) * 1970-02-09 1971-12-21 Sperry Rand Corp Operator-manipulative control apparatus
US3921445A (en) * 1973-10-15 1975-11-25 Stanford Research Inst Force and torque sensing method and means for manipulators and the like
DE2727704C3 (de) * 1977-06-21 1982-12-09 Deutsche Forschungs- und Versuchsanstalt für Luft- und Raumfahrt e.V., 5000 Köln Kraft-Drehmoment-Fühler
US4409736A (en) * 1981-07-31 1983-10-18 The Charles Stark Draper Laboratory, Inc. Null seeking system for remote center compliance device
DE3240251A1 (de) * 1982-10-30 1984-05-03 Deutsche Forschungs- und Versuchsanstalt für Luft- und Raumfahrt e.V., 5000 Köln Verfahren zum programmieren von bewegungen und erforderlichenfalls von bearbeitungskraeften bzw. -momenten eines roboters oder manipulators und einrichtung zu dessen durchfuehrung
EP0117334A3 (en) * 1982-11-09 1986-01-15 EMI Limited Arrangement for sensing several components of force
US4498012A (en) * 1983-02-02 1985-02-05 United Detector Technology Absolute radiometric detector
DE3314089A1 (de) * 1983-04-19 1984-10-25 SETUP Sensortechnik und Prozeßsysteme GmbH, 8500 Nürnberg Messanordnung zur identifizierung der lage eines punktes
DE3611337A1 (de) * 1986-04-04 1987-10-22 Deutsche Forsch Luft Raumfahrt In einer kunststoffkugel untergebrachte, opto-elektronische anordnung
DE3611336A1 (de) * 1986-04-04 1987-10-15 Deutsche Forsch Luft Raumfahrt Kraft-drehmoment-fuehler
US4731530A (en) * 1986-04-21 1988-03-15 Mikan Peter J Joystick control having optical sensors
US5452615A (en) * 1989-10-25 1995-09-26 Spacetec Imc Corporation Force and torque converter
WO1991008442A1 (en) * 1989-12-01 1991-06-13 Randall Kevin Mitchell Photoelectric joystick displacement detector
US5177352A (en) * 1991-06-06 1993-01-0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Integrated optical tamper sensor with planar waveguide
US5315882A (en) * 1992-03-23 1994-05-31 Mts Systems Corporation Six axis load cell
US5598187A (en) * 1993-05-13 1997-01-28 Kabushiki Kaisha Toshiba Spatial motion pattern input system and input method
US5648617A (en) * 1995-08-25 1997-07-15 Applied Robotics, Inc. Single axis robot force sensor assembly
US6583783B1 (en) * 1998-08-10 2003-06-24 Deutsches Zentrum Fur Luft- Und Raumfahrt E.V. Process for performing operations using a 3D input device
DE29901998U1 (de) * 1999-02-05 2000-03-16 Honeywell Ag Vorrichtung zur Positionserfassung
DE10029173A1 (de) * 2000-06-19 2002-01-03 Deutsch Zentr Luft & Raumfahrt Verfahren und Anordnung zum Kommandieren von Steuerungsoperationen für kinematische Bewegungen eines Objekts unter Verwendung eines von Hand betätigbaren Eingabegerätes
DE10034569B4 (de) * 2000-07-14 2004-02-12 Deutsches Zentrum für Luft- und Raumfahrt e.V. Einrichtung zum Erfassen von Relativbewegungen eines Objekts
DE10143489C2 (de) * 2001-09-05 2003-07-17 Deutsch Zentr Luft & Raumfahrt Anordnung zum Erfassen von Relativbewegungen zweier Objekte
DE10158777B4 (de) * 2001-11-30 2004-05-06 3Dconnexion Gmbh Anordnung zum Erfassen von Relativbewegungen oder Relativpositionen zweier Objekte
DE10158775B4 (de) * 2001-11-30 2004-05-06 3Dconnexion Gmbh Anordnung zum Erfassen von Relativbewegungen oder Relativpositionen zweier Objekte
DE10225418A1 (de) * 2002-06-07 2004-01-08 3Dconnexion Gmbh Meßvorrichtung zum Messen von Positionen oder Bewegunge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9761A (ko) * 1994-04-21 1995-11-24 김동윤 힘/모멘트 측정장치
KR960006311A (ko) * 1994-07-11 1996-02-23 김광호 가변장디코딩장치의 동기 복원방법 및 장치
KR19990016504A (ko) * 1997-08-12 1999-03-05 최명환 힘/모멘트 센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166805A (ja) 2003-06-13
DE10158776A1 (de) 2003-06-26
IL148307A (en) 2005-05-17
IL148307A0 (en) 2002-09-12
TW542897B (en) 2003-07-21
US20030102422A1 (en) 2003-06-05
DE10158776B4 (de) 2004-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44749A (ko) 광전자 장치 및 힘 및/또는 모멘트 센서
KR20030044751A (ko) 광전자 장치 및 힘 및/또는 모멘트 센서
KR20030044750A (ko) 광전자 장치 및 힘 및/또는 모멘트 센서
US8462358B2 (en) Device for detecting movement and forces
US6928886B2 (en) Arrangement for the detection of relative movements of two objects
US20060086889A1 (en) Opto-electronic arrangement to capture relative movements or relative positions of two objects, and design methodology
US11402924B2 (en) Magnetic arrangement for detecting relative movements or relative positions
US20070247613A1 (en) Fiber optic accelerometer
CN111051808B (zh) 用于集成复杂电路的紧凑测量装置结构
US7057154B2 (en) Optical displacement sensor and external force detecting device
US7296463B2 (en) Measuring device for measuring positions or movements
US5509211A (en) Multi-coordinate probe
CN1328020C (zh) 三维力和转矩转换器
US7026599B2 (en) Position and/or movement sensor with overload protection
CN101673147B (zh) 多维度光学控制装置及多维度光学控制方法
US6153876A (en) Optical sensor with concave mirror
CN215064976U (zh) 一种基于光学的静态扭矩传感器
US5329120A (en) Redundant optical deflection sensor having separate masses
JPH0791941A (ja) 回転角検出装置
KR100279130B1 (ko) 광센서를 이용한 위치결정장치를 구비한 병렬형 회전 및 병진운동 테이블
JPH06258336A (ja) 加速度センサ
JPH01138431A (ja) 光学式力センサ
JPS6344162B2 (ko)
JPS6330712A (ja) 法線検出器
JPH0791939A (ja) 回転角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