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1788A - 패킷송신장치와 패킷송신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패킷송신장치와 패킷송신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1788A
KR20030041788A KR1020020071536A KR20020071536A KR20030041788A KR 20030041788 A KR20030041788 A KR 20030041788A KR 1020020071536 A KR1020020071536 A KR 1020020071536A KR 20020071536 A KR20020071536 A KR 20020071536A KR 20030041788 A KR20030041788 A KR 20030041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et
priority
identifier
bandwidth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1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토히로키
시마즈미키오
사카이아키라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41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178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4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15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using token-buck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4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 H04L47/2408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for supporting different services, e.g. a differentiated services [DiffServ] type of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4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 H04L47/2425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for supporting services specification, e.g. SLA
    • H04L47/2433Allocation of priorities to traffic typ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4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 H04L47/2441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relying on flow classification, e.g. using integrated services [IntServ]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킷 송신 장치 및 패킷 송신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패킷 송신 장치(24)에서 식별자 부여부(214)는 제 1∼제 3 우선 식별자 중 어느 하나를 이번회 수취한 패킷(Pb)에 부여하고, 이것을 패킷(Pc)으로서 패킷 송신부(28)에 건네주고, 패킷 송신부(28)는 수취한 패킷(Pc)에 필요한 처리를 실시하여 패킷(Pd)으로서 중계회선(4)에 송출하며, 이에 의해 계약 대역폭을 보증하면서 통신품질이 좋은 우선제어를 실시하는 패킷 송신 장치(24)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패킷송신장치와 패킷송신 처리방법{PACKET TRANSMISSION APPARATUS AND PACKET TRANSMISSION PROCESSING METHOD}
본 발명은 패킷 송신 장치 및 패킷 송신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특정적으로는 패킷의 우선제어 및 대역폭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패킷 송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을 사용하여 동화상 배신 또는 영상의 쌍방향 통신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들 동화상 배신 및 영상의 쌍방향 통신으로 대표되는 실시간 통신은 송신측 및 수신측 사이에서 발생하는 패킷의 지연 및 지연지터(jitter)에 민감하다. 그 때문에 실시간 통신을 인터넷으로 대표되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실시하는 데에는 트래픽의 우선제어가 필요해진다. 이와 같은 우선제어의 일례로서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의 RFC2475에 기재되어 있는 Diffserv(Differentiated Service)가 있다. Diffserv에서는, 네트워크의 입구에서 패킷은 MFC(Multi Field Classifer)에 따라서 클래스가 나누어지고, 분류된 패킷의 헤더 내에 DSCP(Differentiated Service Code Point)가 설정된다. 각 패킷은 DSCP에 관련지어진 전송동작에 기초하여 네트워크상에서 전송된다.
여기에서, 도 17은 IPv4(Internet Protocol Version 4)의 헤더포맷을 도시한 모식도이고, 도 18은 IPv6(Internet Protocol Version 6)의 헤더포맷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7에 도시한 TOS 필드를, 또한 도 18에 도시한 트래픽 클래스 필드를 DSCP는 재정의하고 있다(도면 중의 해칭(hatching) 부분 참조).
도 19는 DSCP의 구조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9에서 DSCP는 8비트로 이루어지는데, 선두 6비트는 전송동작인 PHB(Per Hop Behavior)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하고, 나머지 2비트는 CU(Currently Unused), 즉 미정의이다. PHB에는 BE(Best Effort) 클래스(000000), EF(Expedited Forwarding) 클래스(101110), AF(Assured Forwarding) 클래스가 있다. BE 클래스는 일반적으로 무제어의 서비스에서 사용된다. 또한, EF 클래스는 일반적으로 저지연 및 저지연지터가 요구되는 서비스(예를 들어 가상 전용선 서비스)에 사용된다. 또한, AF 클래스는 일반적으로 통계다중에 의한 최저대역폭 보증의 서비스에서 사용된다. 상기 AF 클래스에는 현재 4개의 클래스와 3단계의 폐기 우선도가 정의되어 있고, 동일한 AF클래스내의 IP 패킷의 순서는 보증된다. 여기에서, 도 20은 장려되고 있는 AF 클래스의 PHB의 값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의 가로방향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도의 클래스는 4개이고, 클래스 1이 4클래스 중에서 최고의 우선도를 갖고 있다. 또한, 도 20의 세로방향은 폐기 우선도를 나타내고 있다. 폐기 우선도의 레벨은 3개이고, 폐기 우선도 1이 가장 폐기되기 어렵다.
이상의 Diffserv를 사용하여 실시간 트래픽을 우선적으로 전송하도록 DSCP를 설정함으로써 네트워크에서 교환기는 특정의 패킷을 우선적으로 취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데이터 링크층에서 우선해야 할 패킷을 나타내는 규정으로서,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Q/p가 있다. 도 21은 IEEE 802.1Q/p에서 규정되어 있는 이서넷 프레임의 구조 및 태그 제어 정보필드의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21에서 이서넷 프레임은 VLAN 태그를 포함하고, 상기 VLAN 태그 중에 태그 제어 정보(TCI)의 필드를 갖는다. 상기 필드의 상위 3비트가 우선도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이에 의해, 이서넷 프레임에 서로 다른 8종류의 우선도를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이 우선도가 붙은 각 패킷은 일반적으로 PQ(Priority Queuing)에 따라서 네트워크내에서 전송된다. 구체적으로는 PQ에서는 우선도마다 몇 개의 큐(queue)가 교환기에 준비된다. 교환기에 도착한 패킷은 자신의 우선도에 대응한 큐에 들어간다. 그리고, 소정의 송출 타이밍이 되면 교환기는 가장 우선도가 높고 또한 패킷이 들어 있는 큐를 선택하고 그곳으로부터 패킷을 추출하여 네트워크에 송출한다.
또한, 복수의 사용자로부터의 트래픽이 하나의 회선에 다중되는 경우, 각 사용자가 사용 가능한 보증 대역폭이 설정된다. 이와 같은 보증 대역폭을 각 사용자가 반드시 사용할 수 있도록 대여폭 제어가 필요해진다. 대역폭 제어를 실시하는 일반적인 어프로치로서 WRR(Weighted Round Robin)이나 WFQ(Weighted Fair Queuing)가 있다. WRR에서는 섹션마다 큐를 설치하고, 요구 대역폭에 비례한 가중 파라미터를 할당하고, 복수의 섹션큐의 각각을 가중 파라미터에 따라서 차례로 선택하는 방식이다. 라운드로빈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므로, WRR은 공평성이 뛰어나다. 또한, WFQ는 도착한 패킷에 비트마다의 라운드로빈에 의해 서비스를 종료할 때까지의 시간을 태그 붙이고, 붙여진 태그가 최소의 패킷으로부터 출력을 실시하는 방식이고, 공평성 및 대역폭 이용률이 뛰어나다.
또한, 상술한 우선 제어 및 대역폭 제어에 더하여 잉여대역폭을 유효하게 이용하기 위해 유럽 특허 EP 1 058 424 A2에 개시된 대역폭 감시장치가 있다. 대역폭 감시장치는 네트워크에 수용되는 루터에 설치된다. 대역폭 감시장치에서, 감시결과 판정부는 우선 패킷의 대역폭이 계약 대역폭 미만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계약 대역폭 미만인 경우, DSCP 판정부는 비우선 패킷을 우선 패킷으로서 송신한다. 이에 의해 잉여 대역폭을 사용하여 비우선 패킷을 송신할 수 있고, 그 결과 계약 대역폭을 충분히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종래의 대역폭 감시장치에서는 DSCP 판정부는 비우선 패킷의 우선도 필드에, 우선 패킷인 것을 나타내는 값을 설정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네트워크 내의 이후의 루터에서, 대역폭 감시장치는 이번에 수취한 것이 원래 우선 패킷이었는지, 도중에 루터에 의해 우선 패킷으로 변경된 것인지 구별할 수 없게 된다. 즉, 각 패킷으로부터 원래의 우선도가 결락하는 경우가 있다. 그 결과, 이후의 루터에서 트래픽이 폭주 상태에 빠지면 그 루터는 원래의 우선도에 기초하여 우선 제어를 실시할 수 없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원래는 비우선 패킷이었던 것이 우선 패킷으로서 송신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원래 우선 패킷이었던 것이 수신측에 도착하는 것이 지연되거나, 지연시간에 지터가 발생하여 통신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은 계약 대역폭을 보증하면서 통신품질이 좋은 우선 제어를 실시하는 패킷 송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집합 주택용 네트워크 시스템(1)의 구성예를 도시한 모식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각 홈 GW(22)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대역폭 감시부(213)에서 사용되는 토큰 버킷 미터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식별자 부여부(214)의 처리순서를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 5는 도 1에 도시한 각 동(棟)내 GW(3)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6은 도 1에 도시한 각 동간 GW(5)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집합 주택용 네트워크 시스템(11)의 구성예를 도시한 모식도,
도 8은 도 7에 도시한 홈 GW(122)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9는 도 8에 도시한 식별자 부여부(14)의 처리순서를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 10은 도 7에 도시한 각 동내 GW(13)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11은 RIO(Red with In and Out)에 의한 패킷(Pe)의 폐기 확률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12는 도 7에 도시한 각 동간 GW(15)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관한 집합 주택용 네트워크 시스템(31)의 구성예를 도시한 모식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한 홈 GW(322)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15는 도 14에 도시한 패킷 송신부(34)가 사용하는 변환 테이블(35)의 구성예를 도시한 모식도,
도 16은 도 13에 도시한 L2 스위치(33)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17은 IPv4(Internet Protocol Version 4)의 헤더 포맷을 도시한 모식도,
도 18은 IPv6(Internet Protocol Version 6)의 헤더 포맷을 도시한 모식도,
도 19는 DSCP(Differentiated Service Code Point)의 구조를 도시한 모식도,
도 20은 장려되고 있는 AF(Assured Forwarding) 클래스의 PHB(Per Hop Behavior)의 값을 나타낸 도면, 및
도 21은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Q/p에서 규정되어 있는 이서넷 프레임의 구조 및 태그 제어정보 필드의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4, 223: 패킷 송신 장치 14, 214: 식별자 부여부
28, 34, 310: 패킷 송신부 210, 219, 312: 우선큐
211, 220, 313: 비우선큐 212, 222, 315: 스케줄링부
213: 대역폭 감시부 215: 토큰패킷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원의 제 1 발명은 복수의 입력측 회선을 통하여 송신되어 오는 패킷에 소정의 처리를 실시하여, 하나의 출력측 회선에 송출하는 패킷 송신 장치에 있어서, 패킷 송신 장치는 각 입력측 회선으로 전송되어 오는 패킷을 수취할 때마다 이번회에 있어서 수취한 패킷에 제 1∼제 3 식별자 중 어느 하나를 부여하는 식별자 부여부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제 1 식별자는 우선도가 상대적으로 높고 또한 소정의 방법으로 결정되는 보증 대역폭을 초과하고 있지 않는 패킷인 것을 나타내고, 제 2 식별자는 우선도가 상대적으로 낮고, 보증 대역폭을 초과하고 있지 않는 패킷인 것을 나타내고, 또한 제 3 식별자는 보증 대역폭을 초과하고 있는 패킷인 것을 적어도 나타낸다. 패킷 송신 장치는 또한 식별자 부여부에서 제 1∼제 3 식별자 중 어느 것이 부여된 패킷에 필요한 처리를 실시하여 출력측 회선에 송출하는 패킷 송신부를 추가로 구비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다른 목적, 특징, 국면 및 이점은 첨부한 첨부한 도면과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집합 주택용 네트워크 시스템(1)의 구성예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네트워크 시스템(1)은 전형적으로는 집합 주택동에 부설되고, 복수의 사용자 사설망(2)과, 적어도 1대의 동내(棟內) 게이트웨이(이하, 동내 GW라고 부름)(3)와, 이들을 접속하는 복수의 중계회선(4)과, 적어도 1대의 동간 게이트웨이(이하, 동간 GW라고 부름)(5)을 구비한다. 사용자 사설망(2)은 전형적으로는 집합 주택동을 구성하는 각 거주공간에 부설되고, 복수의 단말(21)과, 적어도 하나의 홈 게이트웨이(이하, 홈 GW)(22)와, 복수의 중계회선(23)을 구비한다. 홈 GW(22)는 동일한 사용자 사설망(2)에 수용되는 각 단말(21)과, 중계회선(23)을 통하여, 인터넷 프로토콜로 대표되는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서 통신을 실시한다. 또한, 동내 GW(3)는 복수의 중계회선(4)에 의해 동일한 집합 주택동에 설치되는 각 홈 GW(22)dhk 접속되고, 상술한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서, 이들 홈 GW(22)와 통신을 실시한다. 또한, 동간 GW(5)는 공용회선(6)에 의해, 동일한 집합주택에 설치되는 각 동내 GW(3)를 접속하고, 상술한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서 이들 동내 GW(3)와 통신을 실시한다. 또한, 동간 GW(5)는 인터넷으로 대표되는 외부망(7)과 공용회선(8)에 의해 접속되고, 상기 통신 프로토콜에서 규정되는 패킷을 외부망(7)으로 송출하거나 외부망(7)으로 전송되어 오는 패킷을 수신한다. 이상으로부터 밝혀진 바와 같이 각 홈 GW(22)는 서로 공용회선(6)에서의 상방향 회선의 대역폭을 공용하고, 또한 공용회선(8)에서의 상방향 회선의 대역폭을 공용한다. 또한, 하방향 회선에 대해서는 본 실시예에는 관계가 없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에서 도 1에서 네트워크 시스템(1)에 수용되는 홈 GW(22)의 수를 4대로 하고, 공용회선(6)의 대역폭(BW)을 100Mbps라고 가정한다. 또한, 각 홈 GW(22)에 평등하게 공용회선(6)을 이용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 가정하에서는 각 홈 GW(22)의 보증 대역폭(ABa)은 25Mbps(100Mbps/4대)가 된다. 이와 같이 각 홈 GW(22)의 보증 대역폭(ABa)은 그들의 총계가 공용회선(6)의 대역폭(BW)이하가 되도록 설정된다.
다음에, 네트워크 시스템(1)의 각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각 홈 GW(22)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에서, 홈 GW(22)는 패킷 송신 장치(24)를 포함하고, 패킷 송신 장치(24)는 패킷 수신부(25), 루팅부(26), 송신 제어부(27) 및 패킷 송신부(28)를 구비한다.
패킷 수신부(25)는 동일한 사용자 사설망(2)에 수용되는 단말(21)로부터 청구항에서의 입력측 회선의 일례로서의 중계회선(23)을 통하여 보내어져 오는 패킷(Pa)을 수취한다. 패킷수신부(25)는 수신패킷(Pa)을 그대로 루팅부(26)에 건네준다.
루팅부(26)는 미리 유지하는 루팅 테이블에 따라서 루팅처리를 실시하고, 패킷 수신부(25)로부터 수취한 패킷(Pa)의 수신처 IP 어드레스(도 17, 도 18 참조)를 변경한다. 루팅부(26)는 루팅처리의 대상이 된 패킷(Pa)을 패킷(Pb)으로서 송신제어부(27)에 건네준다.
송신 제어부(27)는 수취한 각 패킷(Pb)의 송신제어를 실시한다. 이 때문에, 송신 제어부(27)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킷 선별부(29), 우선큐(210), 비우선큐(211), 스케줄링부(212), 대역폭 감시부(213) 및 식별자 부여부(214)를 구비한다.
패킷 선별부(29)는 루팅부(26)로부터 패킷(Pb)을 수취한다. 패킷(Pb)을 수취할 때마다 패킷 선별부(29)는 패킷 선별처리를 실시하여, 이번 회 수취한 패킷(Pb)을 우선큐(210) 및 비우선큐(211)의 어떤 것에 추가한다. 이하, 패킷 선별처리의 예를 몇 개 설명한다.
첫번째로, 사용자 사설망(2)에 수용되는 단말(21)에는 실시간 데이터를 송출하는 것을 미리 알고 있는 것이 있다. 여기에서, 실시간 데이터라는 것은 실시간성이 요구되는 데이터이고, 전형적으로는 영상 데이터 또는 음성 데이터이다. 또한, 각 단말(21)에서 조립된 패킷(Pa)에는 각자의 IP 어드레스가 송신원 IP 어드레스로서 기술된다(도 17, 도 18 참조). 이와 같은 상황하에서 패킷 선별부(29)에는 실시간 데이터를 송출하는 단말(21)의 IP 어드레스가 등록된다. 패킷 선별부(29)는 수취한 패킷(Pb)의 송신원 IP 어드레스가 미리 등록되어 있는 IP 어드레스와 일치하는 경우에는 이번 회의 패킷(Pb)을 우선큐(210)에 추가한다. 반대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번 회의 패킷(Pb)은 비우선큐(211)에 추가된다.
두번째로, 단말(21)은 복수의 상대와 동시에 통신을 실시할 수 있도록 복수의 포트를 유지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또한, 어느 단말(21)은 미리 정해진 어느 포트만을 사용하여 실시간 데이터를 송출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상황하에서 패킷 선별부(29)에는 실시간 데이터를 송출하는 단말(21)의 IP 어드레스 및 실시간 데이터용 포트에 할당된 번호의 그룹이 등록된다. 패킷 선별부(29)는 수취한 패킷(Pb)의 송신원 IP 어드레스 및 포트 번호가 등록된 그룹과 일치하는 경우, 이번 회의 패킷(Pb)을 우선큐(210)에 추가한다. 반대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번 회의 패킷(Pb)은 비우선큐(211)에 추가된다.
세번째로, 단말(21)은 그의 페이로드(pay load)가 실시간 데이터로 구성되는 패킷(Pa)을 취급하는 경우가 있다. 일반적으로 지연 및 지연지터에 민감한 실시간데이터의 통신에는 폭주 제어 및 플로우 제어를 실시하지 않는 UDP(User Datagram Protocol)이라는 트랜스포트 프로토콜이 사용된다. 또한, 비실시간 데이터의 통신에는 폭주 제어 및 플로우 제어를 실시하고, 신뢰성이 있는 통신을 보증하는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이라는 프로토콜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실시간 통신을 UDP를 사용하여 실시하고, IPv4에 준거하는 경우, 패킷(Pa)의 프로토콜(도 17 참조)에 UDP의 프로토콜 번호가 기술된다. 이와 같은 트랜스포트 프로토콜 번호가 패킷 선별부(29)에 등록된다. 패킷 선별부(29)는 수취한 패킷(Pb)의 트랜스포트 프로토콜 번호가, 등록된 것에 일치하는 경우, 이번 회의 패킷(Pb)을 우선큐(210)에 추가한다. 반대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번 회의 패킷(Pb)은 비우선큐(211)에 추가된다. 또한, IPv6에 준거하는 경우, 패킷(Pa)의 넥스트 헤더(도 18 참조)에 트랜스포트 프로토콜 번호가 기술되므로, IPv6에 준거하는 경우에도 패킷 선별부(29)는 IPv4에 준거하는 경우와 동일하게 패킷 선별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패킷 선별부(29)는 IPv6에 준거하는 패킷(Pb)에 대해서는 플로우라벨(도 18 참조)을 참조함으로써도 패킷 선별을 실시할 수 있다.
네번째로, 단말(21)은 복수의 PHB(도 20 참조) 중 어떤 것을 갖는 DSCP값을 패킷(Pa)에 기술하여 송출하는 경우가 있다. 여기에서, 종래의 기술란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PHB는 여러 가지 클래스를 나타낸다. 이들 클래스 중, 예를 들어 EF 클래스는 저지연 시간 즉, 실시간성이 요구되는 것이다. 패킷 선별부(29)에는 이와 같이 실시간성이 요구되는 클래스가 등록된다. 패킷 선별부(29)는 수취한 패킷(Pb)의 DSCP값이 미리 등록되어 있는 것과 일치하는 경우, 이번 회의 패킷(Pb)을 우선큐(210)에 추가한다. 반대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번 회의 패킷(Pb)은 비우선큐(211)에 추가된다.
다섯번째로, 패킷 선별부(29)는 후술하는 토큰 버킷 미터법 등을 실시함으로써 입력 패킷(Pb)의 비트 레이트(즉, 사용 대역폭)을 측정할 수 있다. 패킷 선별부(29)는 측정한 패킷(Pb)의 트래픽 플로우가 고정 비트 레이트(이하, CBR(Constant Bit Rate)라고 부른다)인 경우, 이번 회의 패킷(Pb)을 우선큐(210)에 추가한다. 반대로, CBR이 아닌 경우, 이번 회의 패킷(Pb)은 비우선큐(211)에 추가된다.
이상의 각 방법에 의해 우선큐(210)에는 실시간 데이터와 같이 우선적으로 전송되어야 할 패킷(Pb)이 추가되고, 비우선큐(211)에는 우선적으로 전송되지 않아도 좋은 패킷(Pb)이 추가된다. 여기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우선큐(210)에 추가된 패킷(Pb)을 우선 패킷(PPb)이라 부르고, 비우선큐(211)에 추가된 패킷(Pb)을 비우선 패킷(NPb)이라고 부른다.
스케줄링부(212)는 미리 정해진 타이밍으로 PQ(Priority Queuing)에 따라 처리를 실시한다. 이 때, 스케줄링부(212)는 우선 우선큐(210)에 우선 패킷(PPb)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우선 패킷(PPb)이 있는 경우, 스케줄링부(212)는 우선큐(210)로부터 1개의 우선 패킷(PPb)을 추출한다. 스케줄링부(212)는 추출한 우선 패킷(PPb)을 대역폭 감시부(213)에 건네줌과 동시에, 우선정보(PI)를 식별자 부여부(214)에 건네준다. 여기에서, 우선 정보(PI)는 우선큐(210)로부터 우선 패킷(PPb)이 추출된 것을, 즉 추출한 것이 고우선도를 갖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또한, 스케줄링부(212)는 우선큐(210)에 우선 패킷(PPb)이 없는 경우, 비우선큐(211)에 비우선 패킷(NPb)이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비우선 패킷(NPb)이 있는 경우, 스케줄링부(212)는 비우선큐(211)로부터 1개의 비우선 패킷(NPb)을 추출한다. 스케줄링부(212)는 추출한 비우선 패킷(NPb)을 대역폭 감시부(213)에 건네줌과 동시에 비우선 정보(NPI)를 식별자 부여부(214)에 건네준다. 여기에서, 비우선 정보(NPI)는 비우선큐(211)로부터 비우선 패킷(NPb)이 추출된 것을, 즉 추출한 것이 저우선도를 갖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또한, 상기 큐(210 및 211)에 패킷(PPb 및 NPb)이 없는 경우, 스케줄링부(212)는 다음 처리 타이밍이 오는 것을 대기한다.
대역폭 감시부(213)는 스케줄링부(212)로부터 수취한 패킷(Pb)(우선 패킷(PPb) 또는 비우선 패킷(NPb))이 상술한 보증 대역폭(ABa) 내에서 전송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대역폭 감시부(213)는 이번 회의 패킷(Pb)이 보증 대역폭(ABa)내에서 전송 가능하다고 판단한 경우, 그와 같이 판정한 것을 나타내는 보증 대역내 정보(IB)를 생성하여 식별자 부여부(214)에 건네준다. 반대의 경우, 대역폭 감시부(213)는 이번 회의 패킷(Pb)이 보증 대역폭(ABa)내에서 전송할 수 없다고 판정한 것을 나타내는 보증 대역외 정보(OB)를 생성하고, 식별자 부여부(214)에 건네준다.
이상과 같은 판정처리를 실시하기 위해 대역폭 감시부(213)는 패킷(PPb 또는 NPb)과 거의 동시에 스케줄링부(212)로부터 수취하는 우선 정보(PI) 또는 비우선정보(NPI)와 토큰 버킷 미터법을 사용한다. 여기에서, 도 3은 토큰 버킷 미터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3에서 토큰 버킷 미터법은 소위 토크 버킷 알고리즘을, 2개의 큐(210 및 211)에서 동일한 토큰 버킷(215)을 공용하도록 확장한 방법이다. 토큰 버킷(215)에는 상술한 보증 대역폭(ABa)이 나타내는 비율이고, 토큰이 축적되어 간다. 그러나, 토큰은 토큰 버킷(215)에서 미리 정해진 깊이(BD)까지 밖에 축적되지 않는다. 또한, 토큰 버킷(215)에는 우선 패킷(PPb)이 비우선 패킷(NPb)보다도 우선적으로 토큰을 취득할 수 있도록 깊이(BD)보다도 작은 임계값(TH)이 설정되어 있다.
대역폭 감시부(213)는 스케줄링부(212)로부터 우선정보(PI)를 수취한 경우에 거의 동시에 수취한 우선 패킷(PPb)의 패킷길이에 상당하는 양의 토큰이 토큰 패킷(215)에 축적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충분한 양의 토큰이 축적되어 있는 경우, 패킷길이에 상당하는 양만큼 토큰 버킷(215)으로부터 대역폭 감시부(213)는 토큰을 취득하여 토큰 버킷(215)내의 토큰을 감소시킨다. 또한, 이 경우 대역폭 감시부(213)는 보증 대역내 정보(IB)를 생성한다. 그 후, 대역폭 감시부(213)는 생성한 보증 대역내 정보(IB) 및 이번 회 수취한 우선 패킷(PPb)을 식별자 부여부(214)에 건네준다. 반대로, 충분한 토큰이 없는 경우, 대역폭 감시부(213)는 토큰을 취득하지 않고 보증 대역외 정보(OB)를 생성한다. 그 후, 대역폭 감시부(213)는 생성한 보증 대역외 정보(OB) 및 이번 회 수취한 우선 패킷(PPb)을 식별자 부여부(214)에 건네준다.
또한, 대역폭 감시부(213)는 스케줄링부(212)로부터 비우선 정보(NPI)를 수취한 경우, 우선 토큰 버킷(215)내에 임계값(TH) 이상의 양의 토큰이 축적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임계값(TH) 이상 축적되어 있는 경우에 한해, 대역폭 감시부(213)는 스케줄링부(212)로부터 비우선 정보(NPI)와 거의 동시에 수취한 비우선 패킷(NPb)의 패킷길이에 상당하는 양의 토큰이 축적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충분한 양이 축적되어 있는 경우, 패킷길이에 상당하는 양만큼, 토큰버킷(215)으로부터 대역폭 감시부(213)는 토큰을 취득하여 토큰 버킷(215)내의 토큰을 감소시키고, 또한 보증 대역내 정보(IB)를 생성한다. 그 후, 대역폭 감시부(213)는 생성한 보증 대역내 정보(IB) 및 이번 회 수취한 비우선 패킷(NPb)을 식별자 부여부(214)에 건네준다. 또한, 토큰이 임계값(TH)이상, 또는 패킷 길이에 상당하는 토큰이 축적되어 있지 않은 경우, 대역폭 감시부(213)는 토큰을 취득하지 않고 보증 대역외 정보(OB)를 생성한다. 그 후, 대역폭 감시부(213)는 생성한 보증 대역외 정보(OB) 및 이번 회 수취한 비우선 패킷(NPb)을 식별자 부여부(214)에 건네준다.
이상과 같이 토큰 패킷(215)에 임계값(TH)을 설정함으로써 보증 대역내 정보(IB)가 생성되는 확률은 보증 대역외 정보(OB)의 생성 확률보다도 높아진다. 이에 의해, 후에 상술하지만 각 우선 패킷(PPb)을 저지연 및 저지연지터로 수신측에 전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식별자 부여부(214)는 스케줄링부(212)로부터 우선정보(PI) 또는 비우선 정보(NPI)를 수취한다. 또한, 식별자 부여부(214)는 우선정보(PI)의 도착과 거의 동일한 타이밍으로 대역폭 감시부(213)로부터 우선 패킷(PPb)과, 보증 대역내정보(IB) 및 보증 대역외 정보(OB) 중 어느 것의 조합을 수취한다. 또한, 식별자 부여부(214)는 비우선 정보(NPI)의 도착과 거의 동일한 타이밍으로 대역폭 감시부(213)로부터 비우선 패킷(NPb)과, 보증 대역내 정보(IB) 및 보증 대역외 정보(OB)중 어느 것의 조합을 수취한다.
이상과 같은 정보의 조합이 도착할 때마다 식별자 부여부(214)는 식별자 부여처리를 실시하여, 제 1 우선 식별자(이하 AF11이라고 부름), 제 2 우선 식별자(이하, AF21이라고 부름) 및 제 3 우선 식별자(이하, AF31라고 부름) 중의 하나를 이번 회 수취한 패킷(Pb)에 부여한다. 여기에서, 도 4는 식별자 부여처리의 순서를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4에서 식별자 부여부(214)는 우선 이번 회 우선 정보(PI) 및 비우선 정보(NPI) 중 어느 쪽이 도착했는지를 판단한다(단계(S01)).
도착한 것이 우선 정보(PI)인 경우, 식별자 부여부(214)는 이번 회 보증 대역내 정보(IB) 및 보증 대역외 정보(OB) 중 어느 쪽이 도착했는지를 판단한다(단계(S02)).
도착한 것이 보증 대역내 정보(IB)인 경우, 식별자 부여부(214)는 이번 회 수취한 우선 패킷(PPb)에 AF11를 부여한다(단계(S03)). AF11은 우선도가 높고 보증대역폭(ABa)내에서 전송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식별자이고, 달리 말하면 패킷 우선 정보(PI) 및 보증 대역내 정보(IB)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식별자이다. 또한, AF11는 바람직하게는 우선 패킷(PPb)이 IPv4에 따라서 전송되는 경우 서비스 타입(도 17 참조)에, 또한 IPv6에 따라서 전송되는 경우 트래픽 클래스(도 18 참조)에 기술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AF11의 DSCP값(즉, 서비스 타입 및 트래픽클래스의 상위 6비트)은 001010이다.
또한, 단계(S02)에서 보증 대역외 정보(OB)가 도착했다고 판단한 경우, 식별자 부여부(214)는 수취한 우선 패킷(PPb)에 AF31을 부여한다(단계(S04)). 이상의 점으로부터 AF31는 보증 대역폭(ABa)내에서 전송 가능하지는 않는 것을 나타내는 식별자이고, 달리 말하면 적어도 보증 대역외 정보(OB)를 포함하는 식별자이다. 또한, AF31도 또한 AF11와 동일하게 서비스 타입 또는 트래픽 클래스에 기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한 것은 AF31의 DSCP값은 011010이다.
또한, 단계(S01)에서 비우선 정보(NPI)가 도착했다고 판단한 경우, 식별자 부여부(214)는 단계(S02)와 동일하게 보증 대역내 정보(IB) 및 보증 대역외 정보(OB) 중 어느 쪽이 도착했는지를 판단한다(단계(S05)).
도착한 것이 보증 대역내 정보(IB)인 경우, 식별자 부여부(214)는 이번회 수취한 비우선 패킷(NPb)에 상술한 AF21를 부여한다(단계(S06)). 이상의 것으로부터 AF21은 저우선도이지만 보증 대역폭(ABa)내에서 전송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식별자이고, 달리 말하면 비우선 정보(NPI) 및 보증 대역내 정보(IB)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식별자이다. 또한, AF21은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AF11과 동일하게 서비스 타입 또는 트래픽 클래스에 기술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AF21의 DSCP값은 010010이다.
또한, 단계(S05)에서 보증 대역외 정보(OB)를 수취했다고 판단한 경우, 식별자 부여부(214)는 수취한 비우선 패킷(NPb)에 상술한 AF31를 부여한다(단계(S07)).
이상의 단계(S03, S04, S06 및 S07) 중 어느 것을 실행하여 종료하면 식별자부여부(214)는 처리 대상이 된 우선 패킷(PPb) 또는 비우선 패킷(NPb)을 패킷(Pc)으로서 패킷 송신부(28)에 건네주고(단계(S08)), 그 후 새로운 정보의 조합이 도착하는 것을 대기한다.
패킷 송신부(28)는 수취한 패킷(Pc)에 필요한 처리를 실시하고, 처리한 것을 패킷(Pd)으로서 청구항에서의 출력측 회선의 일례로서의 중계회선(4)에 송출한다. 송출된 패킷(Pd)은 중계회선(4) 상에서 전송되어, 동내 GW(3)에 의해 수신된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각 동내 GW(3)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5에서 동내 GW(3)는 패킷 송신 장치(216)를 포함한다. 패킷 송신 장치(216)는 패킷 송신 장치(24)와 비교하면 송신 제어부(27) 대신 송신 제어부(217)를 구비하는 점에서 상이하다. 그 이외에, 두 장치(24 및 216) 사이에 상이점은 없으므로, 도 5에서, 도 2의 구성에 상당하는 것에는 동일함 참조부호를 붙이고 각각의 설명을 간소화한다.
도 5에서 패킷 수신부(25)는 청구항에서의 제 1 회선의 일례로서의 중계 회선(4)에서 전송되는 패킷(Pd)을 수신하고, 수신 패킷(Pd)을 루팅부(26)에 건네준다. 루팅부(26)는 패킷 수신부(25)로부터의 패킷(Pd)의 수신처 IP 어드레스를 변경하고, 루팅 처리의 대상이 된 것을 패킷(Pe)으로서 송신제어부(217)에 건네준다.
송신 제어부(217)는 수취한 각 패킷(Pe)의 송신제어를 실시한다. 이 때문에, 송신 제어부(217)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킷 선별부(218), 우선큐(219), 비우선큐(220), 대역폭외 큐(221) 및 스케줄링부(222)를 구비한다.
패킷 선별부(218)는 루팅부(26)로부터 패킷(Pe)을 수취하고, 그 후 패킷 선별 처리를 실시한다. 패킷 선별 처리에서 패킷 선별부(218)는 수취한 패킷(Pe)에 AF11, AF21 및 AF31 중 어느 것이 부여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그 후, 패킷 선별부(218)는 AF11이 부여되어 있는 것을 우선 패킷(PPe)으로서 우선큐(219)에 추가하고, AF21이 부여되어 있는 것을 비우선 패킷(NPe)으로서 비우선큐(220)에 추가하고, 또한 AF31이 부여되어 있는 것을 대역폭외 패킷(OPe)으로서 대역폭외 큐(221)에 추가한다.
스케줄링부(222)는 미리 정해진 타이밍이 오면, PQ(Priority Queuing)에 따라서 동작한다. 그 때, 스케줄링부(222)는 최우선으로 우선큐(219)로부터 우선 패킷(PPe)을 추출하고, 추출한 것을 패킷(Pf)으로서 패킷 송신부(28)에 건네준다. 또한, 스케줄링부(222)는 대역폭외 큐(221)보다도 우선적으로 비우선큐(220)로부터 비우선 패킷(NPe)을 추출하고, 그것을 패킷(Pf)으로서 패킷 송신부(28)에 건네준다. 또한, 스케줄링부(222)는 큐(219 및 220)에 패킷(PPe 및 NPe)이 없는 경우, 대역폭외 큐(221)에 대역폭외 패킷(OPe)이 있으면 그것을 추출하여, 패킷(Pf)으로서 패킷 송신부(28)에 건네준다. 또한, 모든 큐(219∼221)에 아무것도 없는 경우, 다음의 처리 타이밍이 오는 것을 스케줄링부(222)는 대기한다.
여기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시스템(1)에 수용되는 각 홈 GW(22)에서는 각 보증 대역폭(ABa)을 고려에 두고 입력 패킷(Pa)의 각각에 AF11∼AF31 중 어느 것이 부여된다. 따라서, 동내 GW(3)의 큐(219 및 220)로의 입력 패킷(PPe 및 NPe)의 트래픽 총계는 최대이어도 공용회선(6)의 대역폭(BW)이 된다. 이에 의해, 적어도 큐(218 및 219)에는 패킷(PPe 및 NPe)이 정상적으로 축적되는 일은 없고,그 결과 홈 GW(22)에서 우선 패킷(PPb)과 선별된 것은 최저한의 지연으로 수신측에 전송된다. 다시 말하면, 각 우선 패킷(PPb)의 지연지터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패킷 송신부(28)는 수취한 패킷(Pf)에 필요한 처리를 실시하고, 처리한 것을 패킷(Pg)으로서 청구항에서의 제 2 회선의 일례로서의 공용회선(6)에 송출한다. 송출된 패킷(Pg)은 공용회선(6) 상에서 전송되고, 동간 GW(5)(도 1 참조)에 의해 수신된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각 동간 GW(5)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6에서 동간 GW(5)는 패킷 송신 장치(223)를 포함한다. 패킷 송신 장치(223)는 패킷 송신 장치(216)와 비교하면 송신 제어부(17) 대신 송신 제어부(224)를 구비하는 점에서 상이하다. 그 이외에 두 장치(216 및 223) 사이에 상이점은 없으므로, 도 6에서 도 5의 구성에 상당하는 것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 각각의 설명을 간소화한다.
도 6에서 패킷 수신부(25)는 청구항에서의 입력측 회선의 일례로서의 공용 회선(6)으로 전송되어 오는 패킷(Pg)을 수신하고, 수신 패킷(Pg)을 루팅부(26)에 건네준다. 루팅부(26)는 패킷 수신부(25)로부터의 패킷(Pg)의 수신처 IP 어드레스를 변경하고, 루팅처리의 대상이 된 것을 패킷(Ph)으로서 송신 제어부(224)에 건네준다.
송신 제어부(224)는 수취한 각 패킷(Ph)의 송신제어를 실시한다. 여기에서, 송신 제어부(224)는 도 5의 송신제어부(217)와 비교하면, 전치(前置) 패킷선별부(225)와, 대역폭 감시부(213)와, 식별자 부여부(214)를 추가로 구비하는 점에서 상이하다. 그 이외에 두 제어부(217 및 224) 사이에 차이점은 없으므로, 도 6의 송신 제어부(24)에서 도 5의 송신 제어부(217)의 구성에 상당하는 것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 각각의 설명을 간소화한다.
또한, 도 6에서 대역폭 감시부(213) 및 식별자 부여부(214)는 도 2의 홈 GW(22)의 구성에 상당하는 것이므로,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 각각의 설명을 간소화한다.
전치 패킷 선별부(225)는 루팅부(26)로부터 패킷(Ph)을 수취할 때마다 패킷 선별처리를 실시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전치 패킷 선별부(225)에 의한 패킷 선별처리를, 패킷 선별부(218)의 것과 명확하게 구별하는 관점에서 최초의 패킷 선별처리라고 부른다. 최초의 패킷 선별처리에서 전치 패킷 선별부(225)는 수취한 패킷(Ph)에 AF11, AF21 및 AF31 중 어느 것이 부여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그 후, 전치 패킷 선별부(225)는 AF11를 갖는 것을 우선 패킷(PPh)으로서 대역폭 감시부(213)에 건네준다. 또한, AF11를 확인한 경우, 전치 패킷 선별부(225)는 상술한 것과 동일한 우선정보(PI)를 생성하여 대역폭 감시부(213) 및 식별자 부여부(214)의 쌍방에 건네준다.
또한, 전치 패킷 선별부(225)는 AF21을 갖는 것을 비우선 패킷(NPh)으로서 대역폭 감시부(213)에 건네준다. 또한, AF21를 확인한 경우, 전치 패킷 선별부(225)는 상술한 바와 동일한 비우선 정보(NPI)를 생성하여 대역폭 감시부(213) 및 식별자 부여부(214)의 쌍방에 건네준다.
또한, 전치 패킷 선별부(225)는 AF31를 갖는 것을 대역폭외 패킷(OPh)으로서 패킷 선별부(218)에 건네준다.
대역폭 감시부(213)는 전치 패킷 선별부(225)로부터 수취한 우선 패킷(PPh) 또는 비우선 패킷(NPh)이 동간 GW(5)의 보증 대역폭(ABb) 내에서 전송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보증 대역폭(ABb)내에서 전송 가능하다고 판단한 경우, 대역폭 감시부(213)는 상술한 보증 대역내 정보(IB)와 이번 회 수취한 패킷(PPh 또는 NPh)을 식별자 부여부(214)에 건네준다. 보증 대역폭(ABb) 내에서 전송 가능하다고 판단하지 않았던 경우, 대역폭 감시부(213)는 상술한 보증 대역외 정보(OB)와 이번 회 수취한 패킷(PPh 또는 NPh)을 식별자 부여부(214)에 건네준다.
식별자 부여부(214)는 전치 패킷 선별부(225)로부터 우선 정보(PI) 또는 비우선 정보(NPI)를 수취한다. 또한, 식별자 부여부(214)는 우선 정보(PI)를 수취하는 것과 거의 동일한 타이밍으로 대역폭 감시부(213)로부터 우선 패킷(PPh)과, 보증 대역내 정보(IB) 및 보증 대역외 정보(OB) 중 어느 것의 조합을 수취한다. 또한, 식별자 부여부(214)는 비우선 정보(NPI)를 수취하는 것과 거의 동일한 타이밍으로 비우선 패킷(NPb)과, 보증 대역내 정보(IB) 및 보증 대역외 정보(OB) 중 어느 것의 조합을 수취한다. 이상과 같은 정보의 조합이 도착할 때마다 식별자 부여부(214)는 도 4에 도시한 식별자 부여처리를 실시하고, 단계(S08)에서 처리의 대상이 된 우선 패킷(PPh) 또는 비우선 패킷(NPh)을 패킷(Pi)으로서 패킷 선별부(218)에 건네준다.
패킷 선별부(218)는 전치 패킷 선별부(225)로부터 대역폭외 패킷(OPh) 또는식별자 부여부(214)로부터 패킷(Pi)을 수취한다. 어느 것인가를 수취할 때마다 패킷 선별부(218)는 패킷 선별처리를 실시한다. 우선, 패킷 선별부(218)는 수취한 패킷(OPh 또는 Pi)에 AF11, AF21 및 AF31 중 어느 것이 부여되어 있는 것인지를 확인한다. 그 후, 패킷 선별부(218)는 AF11를 갖는 것을 우선 패킷(PPj)으로서 우선큐(219)에 추가하고, AF21를 갖는 것을 비우선 패킷(NPj)으로서 비우선큐(220)에 추가하고, 또한 AF31를 갖는 것을 대역폭외 패킷(OPj)으로서 대역폭외 큐(221)에 추가한다.
스케줄링부(222)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미리 정해진 타이밍이 오면, PQ(Priority Queuing)에 따라서 동작하여, 우선 패킷(PPj), 비우선 패킷(NPj) 및 대역폭외 패킷(OPj) 중 어느 것을 패킷(Pk)으로서 패킷 송신부(28)에 건네준다. 패킷 송신부(28)는 수취한 패킷(Pk)에 필요한 처리를 실시하고, 처리한 것을 패킷(Pm)으로서 청구항에서의 출력측 회선의 일례로서의 패킷(Pm)으로서 청구항에서의 출력측 회선의 일례로서의 공용회선(8)에 송출한다. 패킷(Pm)은 외부망(7)을 통하여 도시하지 않는 수신측에 송신된다.
종래의 대역폭 감시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은 헤더의 재작성을 실시하므로, 네트워크 상의 타 장치(루터)가 각 패킷의 원래의 우선도를 알 수 없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의하면 AF11, AF21 및 AF31와 같이 우선도 및 대역폭 보증의 두 정보를 포함한 형태로 DSCP값으로 맵핑하는 것으로, 네트워크 상의 각 장치가 수신 패킷의 원래의 우선도를 식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사용자 사설망(2)으로부터 외부망(7)으로의 통신에서 동간 GW(5)로부터 공용회선(8)으로의 출력시에폭주가 발생하면 원래의 우선도를 사용한 우선 제어가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어느 단말(21)이 외부망(7)을 향하여 10Mbps로 고우선도의 패킷(Pa)을 송출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것과 거의 동시에 다른 단말(21)이 외부망(7)을 향하여 20Mbps로 저우선도의 패킷(Pa)을 송출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동내 GW(3)의 보증 대역폭을 25Mbps로 하고, 동간 GW(5)의 보증 대역폭을 20Mbps로 한다. 이상의 가정하에서는 고우선도의 패킷(Pa)에는 홈 GW(22)에서 AF11가 부여된다. AF11가 부여된 각 패킷(Pa)은 동내 GW(3)의 송신 제어부(217)에서 우선적으로 처리되므로, 저지연 지터로 패킷(Pg)으로서 공용회선(6)에 송출된다. 즉, 고우선도의 패킷(Pg)은 공용회선(6) 상에서 거의 10Mbps로 전송된다. 또한, 동간 GW(5)의 보증 대역폭이 20Mbps이므로, 동간 GW(5)에서 고우선도의 패킷(Pg)에는 AF11가 부여된다. AF11를 갖는 각 패킷(Pg)은 동간 GW(5)의 송신 제어부(221)에서 우선적으로 처리되므로 저지연 지터로 패킷(Pm)으로서 공용회선(8)에 송출된다. 즉, 고우선도의 패킷(Pm)은 공용회선(8)상에서 거의 10Mbps로 전송된다.
한편, 저우선도의 패킷(Pa)에는 홈 GW(22)에서 AF21이 부여된다. 또한, 저우선도의 패킷(Pa)은 동내 GW(3)의 송신 제어부(21)에서 비우선적으로 처리되지만, 동내 GW(3)의 보증 대역폭이 25Mbps인 것으로부터 저우선도의 패킷(Pg)도 또한 공용회선(6)상에서 거의 15Mbps로 전송된다. 그러나, 동간 GW(5)의 보증 대역폭이 20Mbps이므로, 동간 GW(5)에서 저우선도의 패킷(Pg)에는 AF21 또는 AF31이 부여된다. AF21가 부여된 각 패킷(Pg)은 동간 GW(5)의 송신 제어부(221)에서 비우선적으로 처리되고, 패킷(Pm)으로서 공용회선(8)에 송출된다. 즉, AF21을 갖는 패킷(Pm)은 공용회선(6)에서 남아 있는 대역폭, 즉 거의 10Mbps로 전송된다. 또한, AF31이 부여된 각 패킷(Pg)이 동간 GW(5)의 송신 제어부(221)에서 마지막으로 처리되고, 패킷(Pm)으로서 공용회선(8)에 송출된다. 즉, AF(31)를 갖는 패킷(Pm)도 AF21를 갖는 것과 동일하게 거의 10Mbps로 전송된다. 이와 같이 공용회선(6 및 8)을 비교한 경우에 보증 대역폭이 5Mbps만큼 감소하고 있지만, 본 실시예 특유의 식별자 부여처리에 의해 원래 고우선도였던 패킷(Pa)은 동내 GW(3)에서도 동간 GW(5)에서도 우선적으로 처리된다.
다음에, 동내 GW(3) 및 동간 GW(5)의 쌍방을 종래의 대역폭 감시장치로 치환한 네트워크 시스템에 대해 검토해 본다. 이 경우에도 어느 단말(21)이 외부망(7)을 향하여 10Mbps로 고우선도의 패킷(Pa)을 송출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와 거의 동시에 다른 단말(21)이 외부망(7)을 향하여 20Mbps로 저우선도의 패킷(Pa)을 송출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최초의 대역폭 감시장치의 보증 대역폭을 25Mbps으로 하고, 후의 대역폭 감시장치의 보증 대역폭을 20Mbps으로 한다. 후의 대역폭 감시장치에서는 공용회선(6 및 8)을 비교한 경우에 보증 대역폭이 5Mbps만큼 감소되고 있으므로, 보증 대역폭이 감소된 분량에 상당하는 패킷이 저우선도로 재작성된다. 그 때, 종래의 대역폭 감시장치에서는 재작성의 대상이 되는 패킷이 원래 저우선도였는지 고우선도였는지를 알 수 없으므로 원래의 고우선도였던 패킷을 저우선도로 재작성하는 경우가 있다. 그 결과, 패킷으로부터 원래는 고우선도였다는 정보가 사라진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란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패킷을후에 수신하는 장치(루터)에서 트래픽이 폭주 상태에 빠진 경우, 그 장치는 원래의 우선도에 기초하여 우선 제어를 실시할 수 없게 된다.
(제 2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집합 주택용 네트워크 시스템(11)의 구성예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7에서 네트워크 시스템(11)은 도 1의 네트워크 시스템(1)과 비교하면 사용자 사설망(2), 동내 GW(3) 및 동간 GW(5) 대신 제공된 사용자 사설망(12), 동내 GW(13) 및 동간 GW(15)을 구비한다. 그 이외에 양 시스템(1 및 11) 사이에 차이점은 없으므로 도 7에서 도 1에 도시한 구성에 상당하는 것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 각각의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사용자 사설망(12)은 상술한 사용자 사설망(2)과 비교하면 홈 GW(22) 대신 홈 GW(122)를 구비하는 점에서 상이하고 복수의 단말(21)을 구비하는 점에서는 공통한다.
다음에, 네트워크 시스템(11)의 각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은 도 7에 도시한 홈 GW(122)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8에서 홈 GW(122)는 도 2의 홈 GW(22)와 비교하여 식별자 부여부(214) 대신에 식별자 부여부(14)를 구비한 점에서 상이하다. 그 이외에 양 홈 GW(22 및 122) 사이에 상이점은 없으므로, 도 8에서 도 2에 도시한 것에 상당하는 구성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 각각의 설명을 생략한다.
식별자 부여부(214)의 경우와 동일하게 식별자 부여부(14)는 스케줄링부(212)로부터 우선 정보(PI) 또는 비우선 정보(NPI)를 수취한다. 또한, 식별자 부여부(14)는 우선 정보(PI)를 수취하는 것과 거의 동일한 타이밍으로 대역폭 감시부(213)로부터 우선 패킷(PPb)과, 보증 대역내 정보(IB) 및 보증 대역외 정보(OB) 중 어느 것과의 조합을 수취한다. 또한, 식별자 부여부(14)는 비우선 정보(NPI)를 수취하는 것과 거의 동일한 타이밍으로 대역폭 감시부(213)로부터 비우선 패킷(NPb)과, 보증 대역내 정보(IB) 및 보증 대역외 정보(OB) 중 어느 것의 조합을 수취한다.
이상과 같은 정보의 조합을 수취할 때마다 식별자 부여부(14)는 식별자 부여처리를 실시하여, 상술한 제 1∼제 3 식별자(AF11∼AF31) 외에 제 4 식별자(이하, AF22라고 부름)를 더한 4개의 식별자 중에서 수취한 패킷(Pb)에 부여하는 것을 결정한다. 여기에서 도 9는 식별자 부여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9는 도 4와 비교하면 단계(S07) 대신에 단계(S11)를 포함하고 있다. 그 이외에 두 플로우차트 사이에 차이점은 없으므로, 도 9에서 도 4의 단계에 상당하는 것에는 동일한 단계 번호를 붙이고, 각각의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S05)에서 보증 대역외 정보(OB)를 수취했다고 판단한 경우, 식별자 부여부(14)는 수취한 비우선 패킷(NPb)에 AF22를 부여한다(단계(S11)). AF22는 우선도가 낮고 보증 대역폭(ABa)의 범위 내에서 전송할 수 없는 것으로 판정된 비우선 패킷(NPb)에 부여되는 식별자이고, 비우선 정보(NPI) 및 보증 대역외 정보(OB)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식별자이다. 또한, AF22는 바람직하게는 AF11 등과 동일하게 서비스 타입(도 17 참조) 또는 트래픽 클래스(도 18 참조)에 기술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AF22의 DSCP값은 010100이다.
여기에서 주의를 요하는 것은 제 1 실시예에서 AF31은 단계(S02 및 S05) 쌍방에서 보증 대역외 정보(OB)를 식별자 부여부(214)가 수취한 경우에 우선 패킷(PPb) 및 비우선 패킷(NPb)에 부여되어 있었다. 그 때문에, AF31은 보증대역폭(ABa) 내에서 전송할 수 없는 패킷(PPb 및 NPb)에 부여되어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비우선 정보(NPI) 및 보증 대역외 정보(OB)를 식별자 부여부(14)가 수취한 경우, AF22가 부여되는 점으로부터 AF31는 우선도가 높고 보증 대역폭(ABa)의 범위 밖의 우선 패킷(PPb)에 부여되는 식별자이고, 달리 말하면 우선 정보(PI) 및 보증 대역외 정보(OB)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식별자이다.
이상의 단계(S03, S04, S06 및 S11) 중 어느 것의 이후, 식별자 부여부(14)는 처리 대상이 된 우선 패킷(PPb) 또는 비우선 패킷(NPb)을 패킷(Pc)으로서 패킷 송신부(28)에 건네주고(단계(S08)), 그 후 새로운 정보의 조합이 도착하는 것을 대기한다.
패킷 송신부(28)는 수취한 패킷(Pc)에 필요한 처리를 실시하고, 패킷(Pd)으로서 중계회선(4)에 송출한다. 송출된 패킷(Pd)은 중계회선(4)상에서 전송되어 동내 GW(13)에 의해 수신된다.
도 10은 도 7에 도시한 각 동내 GW(13)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0에서 동내 GW(13)은 도 5의 동내 GW(3)와 비교하여 패킷 선별부(218) 대신에 패킷 선별부(16)를 구비하는 점에서 상이하다. 그 이외에 두 동내 GW(3 및 13) 사이에 사이점은 없으므로, 도 10에서 도 5에 도시한 것에 상당하는 구성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 각각 설명을 생략한다.
패킷 선별부(16)는 루팅부(26)로부터 패킷(Pe)을 수취하고, 그 후 패킷 선별처리를 실시한다. 패킷 선별처리에서 패킷 선별부(16)는 수취한 패킷(Pe)에 AF11, AF21, AF22 및 AF31 중 어느 것이 부여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그 후, 패킷 선별부(16)는 AF11이 부여되어 있는 것을 우선 패킷(PPe)으로서 우선큐(219)에 추가하고, 또한 AF31이 부여되어 있는 것을 대역폭외 패킷(OPe)으로서 대역폭외 큐(221)에 추가한다. 이점에서 패킷 선별부(16)는 패킷 선별부(218)와 동일한 처리를 실시한다.
단, 패킷 선별부(16)는 수취한 패킷(Pe)에 AF21 및 AF22 중 어느 것이 부여되어 있는 경우에, 패킷 선별부(218)와는 다른 처리를 실시한다. 구체적으로는 패킷 선별부(16)는 도 10의 점선원 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우선큐(220)용에 2개의 기준값(RVa 및 RVb)을 유지한다. 기준값(RVa)은 AF21를 갖는 패킷(Pe)의 폐기 기준이 되는 비우선큐(220)의 길이를 나타낸다. 또한, 기준값(RVb)은 AF22를 갖는 패킷(Pe)의 폐기 기준이 되는 비우선큐(220)의 길이를 나타내고 있고, 또한 기준값(RVa)보다도 작은 값이다. 그리고, 패킷 선별부(16)는 AF21을 갖는 패킷(Pe)을 수취하면, 비우선큐(220)에 축적되어 있는 패킷(Pe)의 양이 기준값(RVa)을 초과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초과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 패킷 선별부(16)는 이번 회의 패킷(Pe)을 폐기한다. 초과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 이번 회의 패킷(Pe)을 비우선 패킷(NPe)으로서 비우선큐(220)에 추가한다.
또한, 패킷 선별부(16)는 AF22를 갖는 패킷(Pe)을 수취하면, 비우선큐(220) 내의 패킷(Pe)의 양이 기준값(RVb)를 초과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초과하고 있는 경우, 패킷 선별부(16)는 이번 회의 패킷(Pe)을 폐기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이번 회의 패킷(Pe)을 비우선 패킷(NPe)로서 비우선큐(220)에 추가한다.
상술한 것으로부터 밝혀진 바와 같이 AF22를 갖는 패킷(Pe)은 AF21를 갖는 것과 비교하면 폐기되기 쉬워진다. 즉, 홈 GW(122)에서 비우선 정보(NPI) 및 보증 대역내 정보(IB)가 할당된 비우선 패킷(NPb)이 동내 GW(13)에서 보호받도록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홈 GW(122)가 우선 정보(PI)를 부여하는 패킷(Pc)의 트래픽이 CBR 플로우라고 가정하면, 비우선 정보(NPI)가 부여된 패킷(Pc)의 트래픽에는 TCP 플로우가 포함된다. 상기 TCP 플로우를 구성하는 패킷(Pc)에는 AF21 또는 AF22가 부여되므로, 비우선 큐(220)에 추가된다. 이와 같이 TCP 플로우는 동일한 비우선큐(220)에 들어가므로, 수신측에서 패킷의 도착 순서가 역전하는 등의 현상은 일어나지 않는다. 여기에서 TCP 플로우가 우선 및 비우선 2개의 큐(219 및 220)에 추가되는 것으로 가정하면, 우선 제어에 의해 우선큐(219)에 추가된 패킷은 비우선큐(220)에 들어간 패킷보다도 빨리 추출되므로, 수신측에서는 패킷의 도착순서가 역전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그 경우, 현재의 일반적인 TCP의 실장 버전인 RENO에서는 3패킷 이상의 도착순서의 역전이 발생하면, TCP의 폭주 제어기능이 작용하여, 패킷의 송신량을 낮추는 행동을 실시하므로, TCP 플로우의 스루풋(throughput)이 극단적으로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도착순서의 역전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TCP 플로우의 스루풋 저하를 회피할 수 있다.
다음에, 패킷 선별부(16)에 의한 패킷 선별처리의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변형예에서도 AF11을 갖는 것은 우선 패킷(PPe)으로서 우선큐(219)에 추가되고, AF21 또는 AF22를 갖는 것은 비우선 패킷(NPe)으로서 비우선큐(220)에 추가되고, AF31을 갖는 것은 대역폭외 패킷(OPe)으로서 대역폭외 큐(221)에 추가된다. 이상의 점에서는 변형예에서도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그러나, AF21 및 AF22의 각각에는 서로 다른 폐기 우선도가 할당되어 있다. 또한, AF21의 폐기 우선도는 AF22의 그것보다도 낮게 설정된다. 그리고, 패킷 선별부(16)는 AF21 및 AF22를 갖는 패킷(Pe)을 수취한 경우, RIO(RED with In and Out)의 큐잉 알고리즘에 따라서 AF21의 패킷(Pe)을 인프로파일(in-profile)로 판정하고, AF22를 갖는 것을 아웃오브프로파일(out-of-profile)로 판정한다. 그리고, 비우선큐(220)의 평균 큐 길이가 길어지면, 패킷 선별부(16)는 아웃오브프로파일의 패킷(Pe)을 우선적으로 폐기한다.
도 11은 RIO에 의한 패킷의 폐기 확률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에서 선 α는 인프로파일의 패킷(Pe)의 폐기 확률을 나타내고 있고, 선 β는 아웃오브프로파일의 패킷(Pe)의 폐기 확률을 나타낸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선 α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인프로파일측의 폐기 확률은 비우선큐(220)에서의 평균 큐 길이가 상대적으로 작은 기준값(RVc)에 도달할 때까지는 0이다. 또한, 평균큐 길이가 기준값(RVc)에 도달하고 나서 기준값(RVc)보다도 큰 기준값(RVd)에 도달할 때까지의 동안, 폐기확률은 일정한 비율로 계속 높아진다. 또한, 평균 큐 길이가 기준값(RVd)을 초과하면 이후의 인프로파일의 패킷(Pe)은 반드시 폐기된다. 이것에 대하여 도 11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AF22의 폐기 우선도를 높게 함으로써 아웃오브프로파일의 패킷(Pe)은 인프로파일의 것보다도 평균큐 길이가 짧은 단계에서 폐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변형예에서도 홈 GW(122)가 우선 정보(PI)를 부여하는 패킷(Pc)의 트래픽이 트랜스포트 트래픽에 UDP를 사용한 CBR 플로우라고 가정하면, 비우선 정보(NPI)가 부여된 패킷(Pc)의 트래픽에는 트랜스포트 프로토콜에 TCP를 사용한 TCP 플로우가 포함된다. 상기 TCP 플로우를 구성하는 패킷(Pc)에는 AF21 및 AF22가 부여되므로, 비우선큐(220)에 추가되는 것이 된다. 따라서, TCP 플로우는 동일한 비우선큐(220)에 추가되므로, 수신측에서 도착 순서가 역전한다는 현상은 일어나지 않으므로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패킷(Pc)의 순서는 지켜진다. 또한, RIO의 폐기 제어와 TCP의 플로우 컨트롤에 의해 TCP 플로우를 구성하는 패킷(Pe)이어도 인프로파일의 것(AF21를 갖는 것)은 보호되고, 즉 폐기되기 어려워진다.
도 12는 도 7에 도시한 각 동간 GW(15)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2에서 동간 GW(15)는 도 6의 동간 GW(5)와 비교하면, 전치 패킷 선별부(225), 식별자 부여부(214) 및 패킷 선별부(218)가 전치 패킷 선별부(17), 식별자 부여부(14) 및 패킷 선별부(16)로 대체되는 점에서 상이하다. 그 이외에 두 동간 GW(5 및 15)간에 상이점은 없으므로, 도 12에서 도 6의 구성에 상당하는 것에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 각각의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식별자 부여부(14) 및 패킷 선별부(16)에 대해서는 동내 GW(13)에 구비되는 각각과 동일한 처리를 실시하므로 각각의 설명을 생략한다.
전치 패킷 선별부(17)는 루팅부(26)로부터 패킷(Ph)을 수취할 때마다 최초의패킷 선별처리를 실시한다. 최초의 패킷 선별처리에서 전치 패킷 선별부(17)는 수취한 패킷(Ph)에 AF11, AF21, AF22 및 AF31 중 어느 쪽이 부여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그 후, 전치 패킷 선별부(17)는 전치 패킷 선별부(225)와 동일하게 AF11를 갖는 패킷(Ph)을 우선 패킷(PPh)으로서 대역폭 감시부(213)에 건네주고, 또한 대역폭 감시부(213) 및 식별자 부여부(14)의 쌍방에 우선 정보(PI)를 건네준다.
또한, 전치 패킷 선별부(17)는 전치 패킷 선별부(225)와 동일하게 AF31를 갖는 패킷(Ph)을 대역폭외 패킷(OPh)으로서 패킷 선별부(16)에 건네준다.
전치 패킷 선별부(225)와 상이한 것은 상기 패킷 선별부(17)가 AF21 또는 AF22를 갖는 패킷(Ph)을 비우선 패킷(NPh)으로서 대역폭 감시부(213)에 건네주는 점이다. 또한, 이 경우, 상기 패킷 선별부(17)는 대역폭 감시부(213) 및 식별자 부여부(14)의 쌍방에 비우선 정보(NPI)를 건네준다.
AF11, AF21, AF22 및 AF31과 같이 우선도 및 대역폭 보증의 두 정보를 포함하는 형태로 DSCP값으로 맵핑함으로써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상의 각 장치가 수신 패킷의 원래의 우선도를 식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사용자 사설망(2)으로부터 외부망으로의 통신에서 특히 동간 GW(5)로부터 공용회선(8)으로의 출력시에 폭주가 발생한 경우에, 원래의 우선도를 사용한 우선 제어가 가능해진다.
(제 3 실시예)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관한 집합 주택용 네트워크 시스템(31)의 구성예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3에서 네트워크 시스템(31)은 도 1의 네트워크시스템(1)과 비교하면, 사용자 사설망(2) 및 동내 GW(3) 대신 사용자 사설망(32) 및 L2 스위치(33)를 구비한다. 그 이외에 두 홈 네트워크 시스템(1 및 31) 사이에 상이점은 없으므로, 도 13에서 도 1의 구성에 상당하는 것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 각각의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사용자 사설망(32)은 사용자 사설망(2)과 비교하면 홈 GW(22) 대신 홈 GW(322)를 구비하는 점에서 상이하고, 복수의 단말(21)을 구비하는 점에서 공통한다.
다음에, 네트워크 시스템(31)의 각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한 홈 GW(322)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4에서 홈 GW(322)는 상술한 홈GW(2)와 비교하면, 패킷 송신부(28) 대신 패킷 송신부(34)를 구비하는 점에서 상이하다. 그 이외에 두 홈 GW(2 및 322) 사이에 차이점은 없으므로, 도 14에서 도 2에 도시한 구성에 상당하는 것에는 동일함 참조부호를 붙이고, 각각의 설명을 생략한다.
패킷 송신부(34)는 상술한 송신 제어부(27)로부터 패킷(Pc)를 수취하고, IEEE 802.1Q/p에 따라서 수취한 패킷(Pc)으로부터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이서넷 프레임을 조립한다. 조립된 이서넷 프레임은 패킷(Pn)으로서 청구항에서의 출력측 회선의 일례로서의 중계회선(4)에 송출된다. 여기에서 주의를 요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데이터 링크층에서는 패킷을 프레임이라고 부르지만, 패킷 및 프레임은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이라는 점에서는 동일하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패킷 및 프레임은 동일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한다. 또한, 송신 제어부(27)에서 부여되는 AF11∼31은 IP 층에서의 식별자이므로, 하위치가 되는 데이터 링크층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이 때문에, 패킷 송신부(34)는 미리 유지하는 변환 테이블(35)을 사용하여, AF11∼31을 데이터 링크층에서의 제 5∼제 7 우선 식별자(IEEE 802.1p에서의 우선도)로 일의적으로 변환한다. 여기에서 도 15는 변환 테이블(35)의 구성예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5에서 변환 테이블(35)에는 AF11를 제 5 우선 식별자인 0×7로 변환하고, AF21를 제 6 우선 식별자인 0×5로 변환하고, 또한 AF31을 제 7 우선 식별자인 0×3으로 변환하는 규칙이 기술된다. 패킷 송신부(34)는 이상의 제 5∼제 7 우선 식별자 중 어느 것을 IEEE 802.1Q/p에서 규정되는 우선도의 필드로 설정하고, 이서넷 프레임을 조립하고 그것을 패킷(Pn)으로서 송출한다. 송출된 패킷(Pn)은 중계회선(4) 상에서 전송되어, L2 스위치(33)에 의해 수신된다.
도 16은 도 13에 도시한 각 L2 스위치(33)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3에서 L2 스위치(33)는 패킷 송신 장치(36)를 구비하고 있고, 패킷 송신 장치(36)는 패킷 수신부(37), 스위칭부(38), 송신 제어부(39) 및 패킷 송신부(310)을 구비한다.
도 16에서 패킷수신부(37)는 청구항에서의 제 1 회선의 일례로서의 중계회선(4)을 전송되는 패킷(Pn)을 수신하고, 수신패킷(Pn)을 스위칭부(38)에 건네준다. 스위칭부(38)는 패킷 수신부(37)로부터의 패킷(Pn)의 수신처 어드레스(도 21 참조)를 변경하고, 스위칭 처리의 대상이 된 것을 패킷(Pr)으로서 송신 제어부(39)에 건네준다.
송신 제어부(39)는 수취한 각 패킷(Pr)의 송신 제어를 실시한다. 이 때문에, 송신 제어부(39)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킷 선별부(311), 우선큐(312),비우선큐(313), 대역폭외 큐(314) 및 스케줄링부(315)를 구비한다.
패킷 선별부(311)는 스위칭부(38)로부터 패킷(Pr)을 수취하고, 그 후 패킷 선별부(318)의 것과 동일한 패킷 선별처리를 실시한다. 패킷 선별부(311)는 수취한 패킷(Pr)에 0×7, 0×5 및 0×3 중 어느 것이 부여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그 후, 패킷 선별부(311)는 0×7이 부여되어 있는 것을 우선 패킷(PPr)으로서 우선큐(312)에 추가하고, 0×5을 갖는 것을 비우선 패킷(NPr)으로서 비우선큐(313)에 추가하고, 또한 0×3을 갖는 것을 대역폭외 패킷(OPr)으로서 대역폭외 큐(314)에 추가한다.
스케줄링부(315)는 미리 정해진 타이밍이 오면, 스케줄링부(222)와 동일하게 PQ에 따라서 동작하여, 우선큐(312), 비우선큐(313) 및 대역폭외 큐(314) 중 어느 것으로부터 추출한 우선 패킷(PPr), 비우선 패킷(NPr) 및 대역폭외 패킷(OPr)을 패킷(Ps)으로서 패킷 송신부(310)에 건네준다. 또한, 스케줄링부(315)의 처리는 스케줄링부(222)의 것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제 1 실시예에서의 설명과 동일하게 큐(311 및 312)에 패킷(PPr 및 NPr)이 정상(定常)적으로 축적되는 일은 없고, 그 결과 홈 GW(322)에서 우선 패킷(PPb)과 선별된 것은 최저한의 지연으로 수신측에 전송된다. 좀더 말하면 각 우선 패킷(PPb)의 지연지터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패킷 송신부(310)는 수취한 패킷(Ps)을 수취하고, IP에 따라서 수취한 패킷(Ps)을 도 17 또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은 포맷의 패킷(Pg)으로 분해하여 청구항에서의 제 2 회선의 일례로서의 공용회선(6)에 송출한다. 송출된 패킷(Pg)은 공용회선(6)상에서 전송되어 동간 GW(5)에 의해 수신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IP층의 제 1∼제 3 식별자를 데이터 링크층(즉, 하위층)의 제 5∼제 7 우선도로 맵핑하기 위해 데이터 링크층에서도 우선 제어가 가능해진다.
또한, 제 3 실시예에서 패킷 송신부(34)는 AF11, AF21 및 AF31을 0×7, 0×5 및 0×3으로 변환하고 있지만, 이상의 3종류의 우선 식별자에 한정되지 않고 AF11, AF21, AF22 및 AF31의 4종류, 또는 그 이상의 우선 식별자를 데이터 링크층의 우선도로 맵핑해도 좋다.
비록 본 발명이 상세히 기술되고 도시되었지만, 이는 설명과 예시일 뿐이고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본 발명의 패킷 송신 장치는 계약 대역폭을 보증하면서 통신품질이 좋은 우선 제어를 실시할 수 있다.

Claims (19)

  1. 복수의 입력측 회선(23,6)을 통하여 송신되어 오는 패킷에 소정의 처리를 실시하여, 하나의 출력측 회선(4,8)에 송출하는 패킷 송신 장치(24,223)에 있어서,
    각 상기 입력측 회선으로 전송되어 오는 패킷을 수취할 때마다 이번 회 수취한 패킷에 제 1∼제 3 식별자 중 어느 하나를 부여하는 식별자 부여부(214,14)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식별자는 우선도가 상대적으로 높고 또 소정의 방법으로 결정되는 보증 대역폭을 초과하고 있지 않는 패킷인 것을 나타내고, 상기 제 2 식별자는 우선도가 상대적으로 낮고 또한 상기 보증 대역폭을 초과하고 있지 않는 패킷인 것을 나타내며, 또한 상기 제 3 식별자는 상기 보증 대역폭을 초과하고 있는 패킷인 것을 적어도 나타내고,
    상기 식별자 부여부에서 제 1∼제 3 식별자 중 어느 것이 부여된 패킷에 필요한 처리를 실시하여 상기 출력측 회선에 송출하는 패킷 송신부(28,34)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송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패킷 송신 장치는 또한,
    우선큐(priority Queue)(210),
    비우선큐(211),
    각 상기 입력측 회선으로 전송되어 오는 패킷을 수취할 때마다 소정의 패킷 선별처리를 실시하고, 이번 회 수취한 패킷을 상기 우선큐 및 상기 비우선큐 중 어느 것에 추가하는 패킷 선별부(29), 및
    소정의 타이밍으로 상기 우선큐 및 상기 비우선큐 중 상기 우선큐로부터 우선적으로 패킷을 추출하는 스케줄링부(212)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스케줄링부는 또한,
    상기 우선큐로부터 추출한 경우에는 이번 회 추출한 패킷이 고우선도인 것을 나타내는 우선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비우선큐로부터 추출한 경우에는 이번 회 추출한 패킷이 저우선도인 것을 나타내는 비우선 정보를 생성하고,
    패킷 송신 장치는 또한 상기 스케줄링부에서 생성된 우선 정보 또는 비우선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스케줄링부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패킷의 대역폭이 상기 보증 대역폭을 초과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대역폭 감시부(213)를 구비하고,
    상기 대역폭 감시부는 또한,
    이번 회의 패킷의 대역폭이 상기 보증 대역폭을 초과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보증 대역내 정보를 생성하고,
    이번회의 패킷의 대역폭이 상기 보증 대역폭을 초과하고 있는 경우에는 보증 대역외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식별자 부여부는 상기 스케줄링부에서 생성된 우선 정보 및 비우선 정보 중 한쪽과, 상기 대역폭 감시부에서 생성된 보증 대역내 정보 및 보증 대역외정보 중 한쪽과의 조합에 기초하여 상기 제 1∼제 3 식별자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한 것을 상기 대역폭 감시부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패킷에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송신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폭 감시부는
    상기 보증 대역폭이 나타내는 비율로 토큰이 축적되어, 미리 정해진 깊이를 갖는 토큰 버킷(token bucket)(215)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스케줄링부로부터 우선 정보를 수취한 경우에는 상기 스케줄링부로부터 수취한 패킷의 길이에 상당하는 토큰이 상기 토큰 버킷에 축적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필요한 토큰이 축적되어 있는 경우에 보증 대역내 정보를 생성하고, 또한 필요한 토큰이 축적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보증 대역외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스케줄링부로부터 비우선 정보를 수취한 경우, 상기 토큰 버킷에 상기 깊이보다도 작은 임계값 이상의 양이고 또한 상기 스케줄링부로부터 수취한 패킷의 길이에 상당하는 토큰이 축적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필요한 토큰이 축적되어 있는 경우에 보증 대역내 정보를 생성하고, 또한 필요한 토큰이 축적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보증 대역외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송신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 부여부는
    상기 스케줄링부로부터 우선정보를, 또한 상기 대역폭 감시부로부터 대역폭 내 정보를 수취한 경우에는 상기 대역폭 감시부로부터 수취한 패킷에 제 1 식별자를 부여하고,
    상기 스케줄링부로부터 비우선 정보를, 또한 상기 대역폭 감시부로부터 대역폭내 정보를 수취한 경우에는 상기 대역폭 감시부로부터 수취한 패킷에 제 2 식별자를 부여하고,
    상기 스케줄링부로부터 우선 정보를, 또한 상기 대역폭 감시부로부터 대역폭 외 정보를 수취한 경우에는 상기 대역폭 감시부로부터 수취한 패킷에 제 3 식별자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송신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 부여부(214)는 또한 상기 스케줄링부로부터 비우선 정보를, 또한 상기 대역폭 감시부로부터 대역폭외 정보를 수취한 경우에는 상기 대역폭 감시부로부터 수취한 패킷에 제 3 식별자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송신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패킷 송신 장치(223)는 또한 각 상기 입력측 회선으로 전송되어 오는 각 패킷이 제 1∼제 3 식별자 중 어느 것을 갖고 있는지를 확인하여, 제 1 및 제 2 식별자를 갖는 패킷과, 제 3 식별자를 갖는 패킷으로 선별하는 전치(前置) 패킷선별부(224)를 구비하고,
    상기 전치 패킷 선별부는 또한,
    제 1 식별자를 갖는 경우에는 이번 회 수취한 패킷이 고우선도를 갖는 것을 나타내는 우선 정보를 생성하고,
    제 2 식별자를 갖는 경우에는 이번 회 수취한 패킷이 저우선도를 갖는 것을 나타내는 비우선 정보를 생성하고,
    패킷 송신 장치는 또한 상기 전치 패킷 선별부에서 생성된 우선 정보 또는 비우선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전치 패킷 선별부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패킷의 대역폭이 상기 보증대역폭을 초과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대역폭 감시부(213)를 구비하며,
    상기 대역폭 감시부는 또한,
    이번 회의 대역폭이 상기 보증 대역폭을 초과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보증 대역내 정보를 생성하고,
    이번 회의 대역폭이 상기 보증 대역폭을 초과하고 있는 경우에는 보증 대역외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식별자 부여부는 상기 전치 패킷 선별부에서 생성된 우선 정보 및 비우선 정보 중 한쪽과, 상기 대역폭 감시부에서 생성된 보증 대역내 정보 및 보증 대역외 정보 중 한쪽의 조합에 기초하여, 제 1∼제 3 식별자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한 것을 상기 대역폭 감시부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패킷에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송신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패킷 송신 장치(223)는 또한,
    우선큐(219),
    비우선큐(220),
    대역폭외 큐(221), 및
    상기 식별자 부여부 및 상기 전치 패킷 선별부 중 어느 것으로부터 패킷을 수취할 때마다 소정의 패킷 선별 처리를 실시하는 패킷 선별부(218)를 구비하고,
    상기 패킷 선별부는 이번 회 수취한 패킷이 제 1∼제 3 식별자 중 어느 것을 갖는지를 확인하여, 제 1 식별자를 갖는 패킷을 우선큐에 추가하고, 제 2 식별자를 갖는 패킷을 비우선큐에 추가하고, 또한 제 3 식별자를 갖는 패킷을 대역폭외 큐에 추가하며,
    상기 패킷 송신 장치(223)는 또한 소정의 타이밍으로 상기 우선큐, 상기 비우선큐, 상기 대역폭외큐라는 우선 순서에 따라서 상기 우선큐, 상기 비우선큐 및 상기 대역폭외 큐 중 어느 것으로부터 패킷을 추출하여, 상기 패킷 송신부에 건네주는 스케줄링부(22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송신 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식별자 부여부(14)는 또한 상기 스케줄링부로부터 비우선 정보 및 상기 대역폭 감시부로부터 대역폭외 정보를 수취한 경우에는 상기 대역폭 감시부로부터 수취한 패킷에 제 4 식별자를 부여하고,
    상기 제 3 식별자는 우선도가 상대적으로 높고 또한 상기 보증 대역폭을 초과하고 있는 패킷인 것을 나타내고, 상기 제 4 식별자는 우선도가 상대적으로 낮고 또한 상기 보증 대역폭을 초과하고 있는 패킷인 것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송신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패킷 송신 장치(223)는 또한 각 상기 입력측 회선으로 전송되어 오는 각 패킷에 제 1∼제 4 식별자 중 어느 것이 부여되어 있는지를 체크하여, 제 1, 제 2 및 제 4 식별자를 갖는 패킷과, 제 3 식별자를 갖는 패킷으로 선별하는 전치 패킷 선별부(224)를 구비하고,
    상기 전치 패킷 선별부는 또한,
    제 1 식별자를 갖는 경우에는 이번 회 수취한 패킷이 고우선도를 갖는 것을 나타내는 우선정보를 생성하고,
    제 2 또는 제 4 식별자를 갖는 경우에는 이번 회 수취한 패킷이 저우선도를 갖는 것을 나타내는 비우선 정보를 생성하고
    패킷 송신 장치는 또한 상기 전치 패킷 선별부에서 생성된 우선 정보 또는 비우선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전치 패킷 선별부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패킷의 대역폭이 상기 보증 대역폭을 초과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대역폭 감시부(213)를 구비하고,
    상기 대역폭 감시부는 또한,
    이번회의 대역폭이 상기 보증대역폭을 초과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보증 대역내 정보를 생성하고,
    이번 회의 대역폭이 상기 보증 대역폭을 초과하고 있는 경우에는 보증 대역폭외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식별자 부여부는 상기 전치 패킷 선별부에서 생성된 우선 정보 및 비우선 정보의 한쪽과, 상기 대역폭 감시부에서 생성된 보증 대역내 정보 및 보증 대역외 정보 중 한쪽과의 조합에 기초하여 상기 제 1∼제 4 식별자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한 것을 상기 대역폭 감시부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패킷에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송신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패킷 송신 장치(223)은 또한,
    우선큐(219),
    비우선큐(220),
    대역폭외 큐(221), 및
    상기 식별자 부여부 및 상기 전치 패킷 선별부 중 어느 것으로부터 패킷을 수취할 때마다 소정의 패킷 선별 처리를 실시하는 패킷 선별부(218)를 구비하고,
    상기 패킷 선별부는 이번 회 수취한 패킷이 제 1∼제 4 식별자 중 어느 것을 갖는지를 체크하여, 제 1 식별자를 갖는 패킷을 우선큐에 추가하고, 제 2 또는 제4 식별자를 갖는 패킷을 비우선큐에 추가하고, 또한 제 3 식별자를 갖는 패킷을 대역폭외 큐에 추가하고,
    상기 패킷 송신 장치(223)는 또한 소정의 타이밍으로 상기 우선큐, 상기 비우선큐, 상기 대역폭외 큐라는 우선 순서에 따라서 상기 우선큐, 상기 비우선큐 및 상기 대역폭외 큐 중 어느 것으로부터 패킷을 추출하여 상기 패킷 송신부에 건네주는 스케줄링부(22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송신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송신부(34)는
    미리 유지하는 변환 테이블(35)에 따라서, 상기 식별자 부여부에서 패킷에 부여된 제 1∼제 3 식별자 중 어느 것을 하위층에서 사용되는 제 4∼제 6 식별자 중 어느 것으로 변환하고,
    변환한 제 4∼제 6 식별자 중 어느 것을 포함하는 하위층의 프레임을, 상기 식별자 부여부로부터의 패킷을 사용하여 조립하고, 상기 출력측 회선에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송신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증 대역폭은 상기 출력측 회선의 대역폭과 상기 입력측 회선의 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송신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증 대역폭은 상기 출력측 회선의 대역폭을 상기 입력측 회선수로 나눈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송신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 부여부는 CBR(Constant Bit Rate) 트래픽을 구성하는 패킷에 제 1 식별자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송신 장치.
  15. 복수의 입력측 회선(23,6)을 통하여 송신되어 오는 패킷을 처리하여, 하나의 출력측 회선(4,8)에 송출하는 패킷 송신 처리 방법(24,223)에 있어서,
    각 상기 입력측 회선으로 전송되어 오는 패킷에 제 1, 제 2 및 제 3 식별자 중 어느 하나를 부여하는 식별자 부여 단계(214, 14)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식별자는 우선도가 상대적으로 높고, 또 소정의 방법으로 결정되는 보증 대역폭을 초과하고 있지 않는 패킷인 것을 나타내고, 상기 제 2 식별자는 우선도가 상대적으로 낮고 또 상기 보증 대역폭을 초과하고 있지 않는 패킷인 것을 나타내며, 또한 상기 제 3 식별자는 상기 보증 대역폭을 초과하고 있는 패킷인 것을 적어도 나타내고,
    상기 식별자 부여 단계에서 제 1, 제 2 및 제 3 식별자 중 어느 것이 부여된 패킷에 필요한 처리를 실시하여, 상기 출력측 회선에 송출하는 패킷 송신 단계(28,34)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송신 처리 방법.
  16. 복수의 전단(前段)의 패킷 송신 장치(24,223)에서 생성되어, 복수의 제 1 회선(4)을 통하여 송신되어 오는 패킷에 소정의 처리를 실시하여 제 2 회선(6)에 송출하는 패킷 송신 장치(216,36)에 있어서,
    각 상기 전단의 패킷 송신 장치는 입력 패킷에 적어도 제 1∼제 3 식별자 중 어느 하나를 부여하고, 상기 제 1 식별자는 우선도가 상대적으로 높고 또 소정의 방법으로 결정되는 보증 대역폭을 초과하고 있지 않는 패킷인 것을 나타내고, 상기 제 2 식별자는 우선도가 상대적으로 낮고 또 상기 보증 대역폭을 초과하고 있지 않는 패킷인 것을 나타내며, 또한 상기 제 3 식별자는 상기 보증 대역폭을 초과하고 있는 패킷인 것을 적어도 나타내고,
    각 상기 전단의 패킷 송신 장치는 또한 제 1∼제 3 식별자 중 어느 것을 부여한 패킷에 필요한 처리를 실시하여 상기 제 1 회선에 송출하고,
    상기 패킷 송신 장치는
    우선큐(219, 312),
    비우선큐(220,313),
    대역폭외 큐(221,314),
    각 상기 제 1 회선으로 전송되어 오는 패킷을 수취할 때마다, 패킷 선별 처리를 실시하여, 이번 회의 패킷이 제 1∼제 3 식별자 중 어느 것을 갖고 있는지를 확인하여, 제 1 식별자를 갖는 패킷을 우선큐에 추가하고, 제 2 식별자를 갖는 패킷을 비우선큐에 추가하고, 또한 제 3 식별자를 갖는 패킷을 대역폭외 큐에 추가하는 패킷 선별부(218,16,311),
    소정의 타이밍으로 상기 우선큐, 상기 비우선큐, 상기 대역폭외 큐라는 우선순서에 따라서, 상기 우선큐, 상기 비우선큐 및 상기 대역폭외 큐 중 어느 것으로부터 패킷을 추출하는 스케줄링부(222,315), 및
    상기 스케줄링부에 의해 추출된 패킷에 필요한 처리를 실시하여, 상기 제 2 회선에 송출하는 패킷 송신부(28,31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송신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의 패킷 송신 장치는 입력 패킷에 제 1∼제 4 식별자 중 어느 하나를 부여하고, 상기 제 1 식별자는 우선도가 상대적으로 높고 또 소정의 방법으로 결정되는 보증 대역폭을 초과하고 있지 않는 패킷인 것을 나타내고, 상기 제 2 식별자는 우선도가 상대적으로 낮고 또 상기 보증 대역폭을 초과하고 있지 않는 패킷인 것을 나타내고, 상기 제 3 식별자는 우선도가 상대적으로 높고 또 상기 보증 대역폭을 초과하고 있는 패킷인 것을 나타내며, 또한 상기 제 4 식별자는 우선도가 상대적으로 낮고 또 보증 대역폭을 초과하고 있는 패킷인 것을 나타내고,
    각 상기 전단의 패킷 송신 장치는 또한 제 1∼제 4 식별자 중 어느것을 부여한 패킷에 필요한 처리를 실시하여 상기 제 1 회선에 송출하고,
    상기 패킷 선별부(16)는 또한,
    비우선큐용으로 제 1 기준값과 상기 제 1 기준값보다도 작은 제 2 기준값을미리 갖고 있고,
    제 2 우선도를 갖는 패킷을 수취하면, 상기 비우선큐에 현재 축적되어 있는 패킷의 양이 제 1 기준값을 초과하고 있는 경우에 이번 회 수취한 패킷을 폐기하고,
    제 4 식별자를 갖는 패킷을 수취하면, 상기 비우선큐 내의 패킷의 양이 제 2 기준값을 초과하고 있는 경우에 이번 회 수취한 패킷을 폐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송신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의 패킷 송신 장치는 입력 패킷에 제 1∼제 4 식별자 중 어느 하나를 부여하고, 상기 제 1 식별자는 우선도가 상대적으로 높고, 또 소정의 방법으로 결정되는 보증 대역폭을 초과하고 있지 않는 패킷인 것을 나타내고, 상기 제 2 식별자는 우선도가 상대적으로 낮고 또 상기 보증 대역폭을 초과하고 있지 않는 패킷인 것을 나타내고, 상기 제 3 식별자는 우선도가 상대적으로 높고 또 상기 보증 대역폭을 초과하고 있는 패킷인 것을 나타내며, 또한 상기 제 4 식별자는 우선도가 상대적으로 낮고 또 보증 대역폭을 초과하고 있는 패킷인 것을 나타내고,
    각 상기 전단의 패킷 송신 장치는 또한 제 1∼제 4 식별자 중 어느 것을 부여한 패킷에 필요한 처리를 실시하여 상기 제 1 회선에 송출하고,
    상기 패킷 선별부(16)는 또한,
    제 2 식별자에 할당된 제 1 폐기 확률과, 제 4 식별자에 할당되어 있고 또한제 1 폐기 확률보다도 높은 제 2 폐기 확률을 갖고 있고,
    제 2 우선도를 갖는 패킷을 수취하면, 상기 제 1 페기 확률에 따라서 이번 회의 패킷을 폐기하고,
    제 4 식별자를 갖는 패킷을 수취하면, 상기 제 2 폐기 확률에 따라서 이번 회의 패킷을 폐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송신 장치.
  19. 복수의 패킷 송신 장치(24,223)에서 생성되어 복수의 제 1 회선(4)을 통하여 송신되어 오는 패킷에 소정의 처리를 실시하여 제 2 회선(6)에 송출하는 패킷 송신 처리 방법(216,36)에 있어서,
    각 상기 패킷 송신 장치는 입력 패킷에 적어도 제 1∼제 3 식별자 중 어느 하나를 부여하고, 상기 제 1 식별자는 우선도가 상대적으로 높고 또 소정의 방법으로 결정되는 보증 대역폭을 초과하고 있지 않는 패킷인 것을 나타내고, 상기 제 2 식별자는 우선도가 상대적으로 낮고 또 상기 보증 대역폭을 초과하고 있지 않는 패킷인 것을 나타내며, 또한 상기 제 3 식별자는 상기 보증 대역폭을 초과하고 있는 패킷인 것을 적어도 나타내고,
    각 상기 전단의 패킷 송신 장치는 또한 제 1∼제 3 식별자 중 어느 것을 부여한 패킷에 필요한 처리를 실시하여 상기 제 1 회선에 송출하고,
    상기 패킷 송신 처리 방법은,
    각 상기 제 1 회선으로 전송되어 오는 패킷을 수취할 때마다 패킷 선별 처리를 실시하고, 이번 회의 패킷이 제 1∼제 3 식별자 중 어느 것을 갖고 있는지를 확인하여, 제 1 식별자를 갖는 패킷을 우선큐에 추가하고, 제 2 식별자를 갖는 패킷을 비우선큐에 추가하고, 또한 제 3 식별자를 갖는 패킷을 대역폭외 큐에 추가하는 패킷 선별 단계(218,16,311),
    소정의 타이밍으로 상기 우선큐, 상기 비우선큐, 상기 대역폭외 큐라는 우선순서에 따라서, 상기 우선큐, 상기 비우선큐 및 상기 대역폭외 큐 중 어느 것으로부터 패킷을 추출하는 스케줄링 단계(222,315), 및
    상기 스케줄링 단계에서 추출된 패킷에 필요한 처리를 실시하여 상기 제 2 회선에 송출하는 패킷 송신 단계(28,31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송신 처리 방법.
KR1020020071536A 2001-11-19 2002-11-18 패킷송신장치와 패킷송신 처리방법 KR200300417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352737 2001-11-19
JP2001352737 2001-11-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1788A true KR20030041788A (ko) 2003-05-27

Family

ID=19164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1536A KR20030041788A (ko) 2001-11-19 2002-11-18 패킷송신장치와 패킷송신 처리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30095551A1 (ko)
EP (1) EP1313274A3 (ko)
KR (1) KR20030041788A (ko)
CN (1) CN142066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100B1 (ko) * 2006-01-20 2007-08-09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홈 게이트웨이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1138105B1 (ko) * 2005-04-29 2012-04-24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의 단말에서 상향 링크 스케줄러와스케줄링 방법
KR20190004640A (ko) * 2017-07-04 2019-01-14 주식회사 케이티 이더넷 기반 수동 광 네트워크에서 패킷을 스케줄링하는 방법, 광회선 단말 및 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97774B1 (en) * 2003-05-23 2008-07-08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Downlink data multiplexer
US20040264472A1 (en) * 2003-06-27 2004-12-30 Oliver Neal C. Method and system for open-loop congestion control in a system fabric
US20050036445A1 (en) * 2003-08-14 2005-02-17 Lee Chien-Hsin Processing data packets
JP4335619B2 (ja) * 2003-09-04 2009-09-30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パケット優先制御装置及びその方法
US20050135490A1 (en) * 2003-12-22 2005-06-23 Randy Zimler Methods of providing communications services
US20060010247A1 (en) * 2003-12-22 2006-01-12 Randy Zimler Methods for providing communications services
US7843925B2 (en) * 2004-01-20 2010-11-30 Nortel Networks Limited Ethernet differentiated services architecture
WO2005096583A2 (en) * 2004-04-01 2005-10-1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acket relay apparatus with qos switch (on/off)
US7564790B2 (en) 2005-02-28 2009-07-21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shaping traffic in a parallel queuing hierarchy
FR2885275A1 (fr) * 2005-05-02 2006-11-03 France Telecom Procede d'ordonnancement de paquets appartenant a des flots et equipement associe
KR100901137B1 (ko) * 2006-01-03 2009-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홉 릴레이 방식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연결식별자관리 방법 및 장치
JP4488256B2 (ja) * 2006-03-29 2010-06-23 日本電気株式会社 通信方法、ノード及び制御プログラム
EP2129278B1 (en) * 2007-03-23 2014-03-05 Thales Avionics, Inc. Distributed cabin interphone system for a vehicle
US8112358B2 (en) * 2007-06-04 2012-02-07 Qualcomm Atheros, Inc. Authorizing customer premise equipment on a sub-network
CN101340364A (zh) * 2007-07-04 2009-01-07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网络设备及其发送封包的方法
JP5156332B2 (ja) * 2007-10-30 2013-03-06 アラクサラネットワークス株式会社 パケット転送装置
US8107438B1 (en) 2008-06-18 2012-01-31 Sprint Spectrum L.P. Method for initiating handoff of a wireless access terminal based on the reverse activity bit
US8040803B1 (en) 2009-01-08 2011-10-18 Sprint Spectrum L.P. Using packet-transport metrics for call-admission control
US8254930B1 (en) 2009-02-18 2012-08-28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system for changing a media session codec before handoff in a wireless network
US9374306B1 (en) * 2009-03-04 2016-06-21 Sprint Spectrum L.P. Using packet-transport metrics for setting DRCLocks
US9467938B1 (en) 2009-04-29 2016-10-11 Sprint Spectrum L.P. Using DRCLocks for conducting call admission control
US8310929B1 (en) 2009-06-04 2012-11-13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data rates based on backhaul capacity
US8245088B1 (en) 2009-06-30 2012-08-14 Sprint Spectrum L.P. Implementing quality of service (QoS) by using hybrid ARQ (HARQ) response for triggering the EV-DO reverse activity bit (RAB)
US8204000B1 (en) 2009-07-23 2012-06-19 Sprint Spectrum L.P. Achieving quality of service (QoS) by using the reverse activity bit (RAB) in creation of neighbor lists for selected access terminals
US8179909B2 (en) * 2009-12-15 2012-05-15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harmonizing QoS in home networks
CN102783079B (zh) * 2010-03-02 2015-09-02 维特赛半导体公司 基于包的分布式时间戳引擎
US8363564B1 (en) 2010-03-25 2013-01-29 Sprint Spectrum L.P. EVDO coverage modification based on backhaul capacity
US8515434B1 (en) 2010-04-08 2013-08-20 Sprint Spectrum L.P. Methods and devices for limiting access to femtocell radio access networks
US8908518B1 (en) * 2010-05-20 2014-12-09 Arris Enterprises, Inc. Service class ID for multimedia streams over IP networks
JP5497541B2 (ja) 2010-06-04 2014-05-21 株式会社メガチップス 通信制御装置およびシェイピング装置
WO2011100916A2 (zh) * 2011-04-13 2011-08-25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报文传输、调度方法及设备
US8593972B2 (en) * 2011-09-29 2013-11-26 Cisco Technology, Inc. Method to verify a drop probability curve
JP5849786B2 (ja) * 2012-03-08 2016-02-03 富士通株式会社 データブロック出力装置、通信システム、データブロック出力方法、及び通信方法
CN102710514B (zh) * 2012-05-25 2015-01-2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报文流量控制方法及系统
CN104521167A (zh) * 2013-06-28 2015-04-1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装置、基站及用户设备
KR101466501B1 (ko) * 2013-08-29 2014-11-2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네트워크 트래픽 제어 장치
JP2015204466A (ja) * 2014-04-10 2015-11-16 株式会社東芝 データ転送装置、データ転送方法および通信装置
US9891964B2 (en) * 2014-11-19 2018-02-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Network traffic processing
CN107018086B (zh) * 2017-04-24 2019-09-24 中南大学 一种数据中心网络中基于数据包优先级的传输控制方法
JP2020144410A (ja) 2019-03-04 2020-09-10 キオクシア株式会社 メモリコントローラ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1633A (en) * 1990-07-11 1993-07-27 Codex Corporation Method for prioritizing, selectively discarding, and multiplexing differing traffic type fast packets
US6104700A (en) * 1997-08-29 2000-08-15 Extreme Networks Policy based quality of service
JP3516432B2 (ja) * 1997-11-18 2004-04-05 株式会社東芝 ノード装置及びパケット転送方法
US6570876B1 (en) * 1998-04-01 2003-05-27 Hitachi, Ltd. Packet switch and switching method for switching variable length packets
US6654363B1 (en) * 1999-12-28 2003-11-25 Nortel Networks Limited IP QOS adaptation an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JP2002164916A (ja) * 2000-11-22 2002-06-07 Fujitsu Ltd 中継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8105B1 (ko) * 2005-04-29 2012-04-24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의 단말에서 상향 링크 스케줄러와스케줄링 방법
KR100747100B1 (ko) * 2006-01-20 2007-08-09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홈 게이트웨이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190004640A (ko) * 2017-07-04 2019-01-14 주식회사 케이티 이더넷 기반 수동 광 네트워크에서 패킷을 스케줄링하는 방법, 광회선 단말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13274A2 (en) 2003-05-21
EP1313274A3 (en) 2003-09-03
CN1420665A (zh) 2003-05-28
US20030095551A1 (en) 2003-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41788A (ko) 패킷송신장치와 패킷송신 처리방법
CA2552153C (en) Packet communication network and packet communication method
US7302493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esired service policies to subscribers accessing the internet
KR100800881B1 (ko) 동기식 이더넷 시스템에서 서비스 품질 보장 방법 및 장치
US768013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queue management in packet-switched networks
EP1198929B1 (en) Receiver driven differentiated service marking for unicast and multicast applications
US7756026B2 (en) Providing a quality of service for various classes of service for transfer of electronic data packets
US6996062B1 (en) Policy-based weighted random early detection method for avoiding congestion in internet traffic
US7477599B2 (en) System and method for guaranteeing quality of service in IP networks
US20050281277A1 (en) Establishing traffic priorities in a voice over IP network
US20070192507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gnizing and assigning application-specific flows
US7417995B2 (en) Method and system for frame relay and ethernet service interworking
US7565436B2 (en) Ethernet to frame relay interworking with multiple quality of service levels
US20080317045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Differentiated Service
US20050141509A1 (en) Ethernet to ATM interworking with multiple quality of service levels
JP2004529528A (ja) 光ネットワークの下りパケットを処理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20020178263A1 (en) Dynamic resource allocation architecture for differentiated services over broadband communication networks
US20120027024A1 (en) Zero-Setting Network Quality Service System
US20100195492A1 (en) Controlling Traffic in a Packet Switched Communications Network
JP2013009406A (ja) インターネットにアクセスする加入者への所望のサービス・ポリシーの提供
AU5436801A (en) Router device and priority control method for use in the same
US20100271955A1 (en) Communication system
JP2003218923A (ja) パケット送信装置及びパケット送信処理方法
US20100142374A1 (en) FLOW QoS ETHERNET SWITCH AND FLOW QoS PROCESSING METHOD USING THE SAME
de Castro et al. Comparing application performance on distinct ip packet scheduling configur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