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0686A -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가이드 구조체 - Google Patents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가이드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0686A
KR20030040686A KR1020010071097A KR20010071097A KR20030040686A KR 20030040686 A KR20030040686 A KR 20030040686A KR 1020010071097 A KR1020010071097 A KR 1020010071097A KR 20010071097 A KR20010071097 A KR 20010071097A KR 20030040686 A KR20030040686 A KR 200300406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rail
horizontal
vertical
guid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1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2365B1 (ko
Inventor
최언진
배병영
홍순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1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2365B1/ko
Priority to JP2002294093A priority patent/JP3768469B2/ja
Priority to US10/289,214 priority patent/US7020884B2/en
Publication of KR20030040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06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2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23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53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 G11B17/056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with sliding load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41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44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 G11B17/047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with sliding loading means

Landscapes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하부 케이스와 상부 케이스로 이루어진 하우징 내에 출입가능하게 설치된 트레이의 왕복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가이드 구조체가 개시된다. 개시된 트레이 가이드 구조체는, 하부 케이스의 양측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레일과, 가이드레일이 그 왕복 이동 경로를 벗어나지 않도록 지지하는 가이드레일 지지수단과, 트레이의 양측에 형성되며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일결합부와, 트레이가 하우징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전방 이동거리 제한수단과, 트레이가 하우징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트레이의 수직 및 수평방향 움직임을 방지하는 수직구속수단과 수평구속수단을 구비한다. 그리고, 가이드레일은 레일결합부를 수용하는 형상을 가지며 레일결합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되는 레일과, 레일의 외측에 고정 결합되며 하부 케이스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되는 레일카바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가이드레일이 레일과 레일카바가 밀착 결합된 이중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충분한 강도를 유지하면서도 협소한 공간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진동이나 충격에 의한 트레이의 수직 및 수평방향의 진동이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가이드 구조체{Tray guide structure for optical disc drive}
본 발명은 광 디스크 드라이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슬림형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협소한 공간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트레이 가이드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 디스크 드라이브는 컴팩트 디스크(CD), 디지탈 비데오 디스크(DVD)등의 기록매체에 광을 조사하여 정보를 기록하거나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광 디스크 드라이브는 주로 컴퓨터에 채용되며, 특히 노트북 컴퓨터에는 그 두께가 매우 얇은 슬림형 광 디스크 드라이브가 채용된다.
도 1에는 종래의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일례로서 일본국 특개평 9-223347호에 개시된 광 디스크 드라이브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와 도 3에는 각각 도 1에 도시된 광 디스크 드라이브에서의 좌측과 우측의 트레이 가이드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종래의 슬림형 광 디스크 드라이브는 하부 케이스(18)와 상부 케이스(19)로 이루어진 하우징(10)과, 하우징(10)에 출입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트레이(12)를 구비하고 있다. 트레이(12)에는 메인 베이스(16)가 결합되어 있다. 메인 베이스(16)에는 디스크를 회전시키기 위한 스핀들 모터(26)와, 회전하는 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광픽업 유니트(23)와, 광픽업 유니트(23)를 디스크 반경방향으로 왕복 이송하기 위한 이송장치(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트레이(12)에는 스핀들모터(26)와 광픽업 유니트(23)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은 함께 하우징(10)에 출입하게 된다.
그리고, 광 디스크 드라이브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트레이(12)의 화살표 A 및 B 방향으로의 왕복 이동을 가이드하는 트레이 가이드 구조가 구비되어 있다. 트레이 가이드 구조는, 트레이(12)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레일 결합부(29, 30)와, 레일 결합부(29, 3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 레일(31, 32)과, 하부 케이스(18)의 양측 구석에 고정 설치되어 슬라이딩 레일(31, 32)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 가이드(33, 34)로 구성되어 있다.
좌측 트레이 가이드 구조의 작동을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12)가 취출됨과 동시에 슬라이딩 레일(31)도 고정 가이드(33)를 따라 A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트레이(12)가 디스크 교환 위치에 이르면, 슬라이딩 레일(31)의 멈춤구멍(31b)에 고정 가이드(33)의 멈춤쇠(33a)의 돌기부(33b)가 끼워져서 슬라이딩 레일(31)이 더 이상 A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이어서 우측 트레이 가이드 구조의 작동을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12)가 취출됨과 동시에 슬라이딩 레일(32)도 고정 가이드(34)를 따라 A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트레이(12)가 디스크 교환 위치에 이르면, 슬라이딩 레일(32)의 멈춤구멍(32b)에 고정 가이드(34)의 멈춤쇠(34a)의 돌기부(34b)가 끼워져서 슬라이딩 레일(32)이 더 이상 A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한편, 하우징(10) 내부와 트레이(12) 저면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트레이(12)를 하우징(10) 내에 로킹하기 위한 로킹장치와 트레이(12)를 하우징(10)으로부터 취출하기 위한 취출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트레이(12)의 전면 베젤(bezel, 15)에는 취출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이젝트 버턴(14)이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슬림형 광 디스크 드라이브에서, 디스크를 로딩하는 경우에는, 트레이(12)를 하우징(10) 밖으로 취출한 다음 디스크를 스핀들모터(26) 위에 안착시킨 후 하우징(10) 내부로 밀어 넣게 된다. 그러면 로킹장치가 작동하여 트레이(12)가 하우징(10) 내부에 로킹되도록 한다. 디스크를 언로딩하는 경우에는, 이젝트 버턴(14)을 누르게 되면 취출장치가 작동하여 트레이(12)를 하우징(10) 밖으로 밀어내게 된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슬림형 광 디스크 드라이브에서는, 슬라이딩레일(31, 32)은 트레이(12)가 하우징(10)으로부터 취출된 상태에서 트레이(12)의 대부분의 하중을 지지하게 되므로 그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소정 두께 이상이 확보되어야 한다. 또한, 하부 케이스(18)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가이드(33, 34)도 슬라이딩 레일(31, 32)과의 마찰 소음을 줄이기 위해 통상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지므로, 슬라이딩 레일(31, 32)을 지지하기 위한 형상의 유지를 위해 소정 두께, 예컨대 대략 1mm 이상의 두께가 요구된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광 디스크 드라이브에서는 트레이 가이드 구조상의 강도 유지를 위한 필요 두께로 두께로 인해 더 이상의 슬림화에 한계가 있다.
한편, 고정 가이드(33, 34), 슬라이딩 레일(31, 32) 및 트레이(12)의 양측 레일 결합부(29, 30)는 서로 슬라이딩하게 되므로, 이들 각각 사이에는 슬라이딩 운동에 필요한 다소의 간격이 필요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간격이 존재하게 되면 디스크와 스핀들모터(26)의 회전으로 인해 발생되는 진동 및 외부 충격에 의해 트레이(12)가 상하 좌우로 흔들리게 된다. 이와 같이 트레이(12)가 흔들리게 되면 광픽업 유니트(23)에 의한 데이터 독출에 있어서 에러가 발생하거나 진동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 4a 내지 도 4c에는 미국 특허 US 6,151,285호에 개시된 트레이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4a를 참조하면, 섀시, 즉 하부 케이스의 측벽(41)에는 롤러(45)를 가진 홀딩 부재(43)의 일단부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홀딩 부재(43)의 아암(46)은 은 판스프링으로서 기능하게 되며, 롤러(45)는 트레이(42)가 C와 D 방향으로 왕복이동함에 따라 트레이(42)의 측면(42a)에 접촉되어 구르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42)가 하우징 내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는 롤러(45)는 트레이(42)의 측면 전방에 형성된 오목부(42f)로 들어가게 되고, 이에 따라 트레이(42)의 C 방향 이동이 제한되므로 트레이(42)의 전후 방향 흔들림이 방지된다. 또한, 롤러(45)는 아암(46)의 탄성력에 의해 트레이(42)의 측면(42a)을 E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으므로 트레이(42)의 좌우 방향 흔들림도 방지될 수 있다.
이어서 도 4b를 참조하면, 트레이(42)를 하우징으로부터 취출하는 중에는 롤러(45)는 트레이(42)의 측면(42a)에 접촉되어 구르면서 트레이(42)를 E 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트레이(42)의 좌우 방향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4c를 참조하면, 트레이(42)가 하우징 밖으로 완전히 취출된 상태에서는 롤러(45)는 트레이(42)의 측면 후방에 형성된 오목부(42g)로 들어가게 되고, 이에 따라 트레이(42)의 D 방향 이동이 제한되며, 트레이(42)의 전후 방향 흔들림도 방지된다. 또한, 롤러(45)는 트레이(42)의 측면(42a)을 E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으므로 트레이(42)의 좌우 방향 흔들림도 방지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한 홀딩 부재(43)는 트레이(42)의 수평 방향 흔들림만 억제할 수 있을 뿐 수직 방향 흔들림을 억제하는 기능은 하지 못한다. 또한, 홀딩 부재(43)는 트레이(42)의 왕복 이동을 가이드하는 트레이 가이드 구조와 간섭되지 않도록 트레이 가이드 구조 위쪽에 배치되는데, 이는 결국 디스크 드라이브 전체 높이를 낮추는데 방해가 된다. 따라서, 이러한 트레이의 흔들림 방지 구조는 보다 슬림화된 광 디스크 드라이브를 구현하는데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특히 슬림형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협소한 공간에 설치되면서도 충분한 강도를 유지하며 진동이나 충격에 의한 트레이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가이드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일례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은 각각 도 1에 도시된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좌측과 우측의 트레이 가이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종래의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다른 예에서 트레이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가이드 구조체가 채용된 광 디스크 드라이브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6a는 도 5에 도시된 좌측 가이드 레일을 상세하게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b는 도 5에 도시된 좌측 가이드 레일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a의 X-X 선을 따른 좌측 가이드 레일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가이드 구조체의 이동거리 제한수단을 설명하기 위하여 트레이를 뒤집어서 바라본 트레이의 좌측 후단부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가이드 구조체의 수직구속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9는 하우징 내에 삽입된 상태의 좌측 가이드레일의 후단부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고, 도 10은 트레이의 좌측 전단부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1a는 도 5에 도시된 우측 가이드 레일을 상세하게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b는 도 5에 도시된 우측 가이드 레일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a에 도시된 우측 가이드레일의 후단부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부분 확대 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11a에 도시된 우측 가이드레일의 전단부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14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가이드 구조체의 수직구속수단과 수평구속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14는 하우징 내에 삽입된 상태의 우측 가이드레일의 후단부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고, 도 15는 트레이의 우측 전단부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6은 트레이와 상부 케이스에 마련된 수직구속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5에 도시된 지지돌기 부위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17은 하부 케이스의 우측벽 내면에 스페이서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하우징 110...하부 케이스
111,113...측면 지지판 112,114...상면 지지판
116,117...제1 지지판 118...제2 지지판
120...상부 케이스 130...트레이
131,132...레일결합부 135,136...제3 수직돌기
137...제5 수평돌기 180,190...가이드레일
181,191...레일 182,192...레일카바
183,193...제1 스토퍼 184,194...스토퍼 조립체
184a,194a...제2 스토퍼 184b,194b...제3 스토퍼
185,195...제1 탄성판 185a,195a...제1 수직돌기
186,196...제2 탄성판 186a,196a...제2 수직돌기
195b...제1 수평돌기 196b...제2 수평돌기
197...제3 탄성판 197a...제3 수평돌기
198...제4 탄성판 198a...제4 수평돌기
200...스페이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가이드 구조체는: 하부 케이스와 상부 케이스로 이루어진 하우징 내에 출입가능하게 설치된 트레이의 왕복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하부 케이스의 양측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이 그 왕복 이동 경로를 벗어나지 않도록 지지하기 위해 상기 하부 케이스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는 가이드레일 지지수단;
상기 트레이의 양측에 그 왕복 이동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일결합부;
상기 트레이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가이드레일과 상기 트레이의 취출방향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전방 이동거리 제한수단; 및
상기 트레이가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트레이를 각각 수직 방향과 수평방향으로 구속하여 상기 트레이의 수직 및 수평방향 움직임을 방지하는 수직구속수단과 수평구속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레일결합부를 수용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레일결합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의 외측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하부 케이스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되는 레일카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가이드레일 지지수단은,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면에 접촉되는 복수개의 상면 지지판과, 상기 가이드레일의 일측면에 접촉되는 복수개의 측면 지지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레일은 금속 프레스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레일카바는 플라스틱 사출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레일과 상기 레일카바는, 상기 레일카바의 내면에 그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된 복수개의 래치와, 상기 레일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래치가 각각 하나씩 끼워지는 복수개의 래치홀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며, 또는 접착제에 의해 서로 접착됨으로써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방 이동거리 제한수단은, 상기 레일의 전단부에 상기 레일의 하판으로부터 소정 높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트레이가 디스크 착탈 위치에 이르면 상기 레일결합부의 후단부 내측에 돌출 형성된 걸림턱이 걸리게 됨으로써 상기 트레이의 전방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제1 스토퍼와, 상기 레일카바의 상면 위로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이 전방으로 소정 거리 이동하게 되면 상기 가이드레일 지지수단에 걸리게 됨으로써 상기 가이드레일의 전방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제2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레일의 후단부에는 상기 트레이가 후방으로 이동할 때상기 트레이의 레일결합부 후단을 가로 막아 상기 가이드레일도 함께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제3 스토퍼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2 스토퍼와 상기 제3 스토퍼는 플라스틱 사출물로 일체로 형성되어 함께 상기 가이드레일의 후단부에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수직구속수단은: 상기 레일카바 후단부에 마련되는 제1 탄성판의 상면에 위쪽으로 돌출 형성된 제1 수직돌기; 및 상기 하부 케이스의 뒷쪽 벽에 앞쪽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트레이가 상기 하우징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수직돌기와 접촉되어 상기 제1 수직돌기를 아래쪽으로 누르게 되는 제1 지지판;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직 구속 수단은,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기 레일카바 전단부에 마련되는 제2 탄성판의 저면에 아래쪽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트레이가 상기 하우징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레일결합부의 전단부 상면을 누르게 되는 제2 수직돌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구속수단은, 상기 레일결합부 전단부의 상면에 위쪽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 수직돌기와 맞닿게 되는 제3 수직돌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구속수단은, 상기 트레이의 후단부 상면에 윗쪽으로 돌출 형성된 제1 지지돌기와, 상기 상부 케이스의 후단부 저면에 아랫쪽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트레이가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지지돌기와 맞닿게 되는 제2 지지돌기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제1 지지돌기는 적어도 상기 트레이의 양측 가장자리에 인접한 부위에 각각 하나씩 마련되고, 상기 제2 지지돌기도 상기 제1 지지돌기와 대응되는 부위에 각각 하나씩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수평구속수단은, 상기 하부 케이스의 양측에 설치된 상기 가이드레일 중 적어도 어느 일측의 가이드레일의 레일카바 후단부에 마련된 제1 탄성판의 내측면에 안쪽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트레이가 상기 하우징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트레이의 후단부 외측면을 누르게 되는 제1 수평돌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평구속수단은, 상기 하부 케이스의 양측에 설치된 상기 가이드레일 중 적어도 어느 일측의 가이드레일의 레일카바 전단부에 마련된 제2 탄성판의 내측면에 안쪽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트레이가 상기 하우징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트레이의 전단부 외측면을 누르게 되는 제2 수평돌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구속수단은, 상기 트레이의 전단부 외측면에 바깥쪽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 수평돌기와 맞닿게 되는 제5 수평돌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수평구속수단은: 상기 적어도 일측 가이드레일의 레일카바 후단부에 마련된 제3 탄성판의 외측면에 바깥쪽으로 돌출 형성된 제3 수평돌기; 및 상기 하부 케이스의 적어도 일측 벽에 안쪽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트레이가 상기 하우징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3 수평돌기와 접촉되어 상기 제3 수평돌기를 안쪽으로 누르게 되는 제2 지지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평구속수단은, 상기 적어도 일측 가이드레일의 레일카바 전단부에 마련된 제4 탄성판의 외측면에 바깥쪽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트레이가상기 하우징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케이스의 측벽 내면을 누르게 되는 제4 수평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 케이스의 일측 벽에 형성된 컴퓨터 장착용 나사구멍과 상기 가이드레일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 케이스의 일측 벽면에는 소정 두께의 스페이서가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가이드레일이 레일과 레일카바가 밀착 결합된 이중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충분한 강도를 유지하면서도 협소한 공간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진동이나 충격에 의한 트레이의 수직 및 수평방향의 진동이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가이드 구조체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가이드 구조체가 채용된 슬림형 광 디스크 드라이브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광 디스크 드라이브는 하부 케이스(110)와 상부 케이스(120)로 이루어진 하우징(100)과, 하우징(100)에 출입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트레이(130)를 구비한다. 하우징(100)은 슬림형 광 디스크 드라이브가 채용된 전자기기, 예컨대 컴퓨터, 특히 노트북 컴퓨터의 몸체 내에 고정 설치된다. 트레이(130)에는 메인 베이스(140)가 결합되어 있다. 메인 베이스(140)에는 디스크를 회전시키기 위한 스핀들 모터(150)와, 회전하는 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광픽업 유니트(160)와, 광픽업 유니트(160)를 디스크 반경방향으로 왕복이송하기 위한 이송장치(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트레이(130)에는 스핀들모터(150)와 광픽업 유니트(160)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은 함께 하우징(100)에 출입하게 된다. 한편, 하우징(100) 내부와 트레이(130) 저면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트레이(130)를 하우징(100) 내에 로킹하기 위한 로킹장치와 트레이(130)를 하우징(100)으로부터 취출하기 위한 취출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트레이(130)의 전면 베젤(bezel, 170)에는 취출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이젝트 버턴(172)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광 디스크 드라이브에는 하우징(100) 내에 출입가능하게 설치된 트레이(130)의 왕복 이동을 가이드하는 트레이 가이드 구조체가 마련된다.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가이드 구조체는, 하부 케이스(110)의 양측 구석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레일(180, 190)과, 트레이(130)의 양측에 그 왕복 이동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레일(180, 19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일결합부(131. 132)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레일(180, 190)이 그 왕복 이동 경로를 벗어나지 않도록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하부 케이스(110)의 양측에는 각각 가이드레일(180, 190)의 상면에 접촉되는 복수개의 상면 지지판(112, 114)과 가이드레일(180, 190)의 일측면에 접촉되는 복수개의 측면 지지판(111, 113)이 마련된다. 따라서, 가이드레일(180, 190)은 하부 케이스(110)의 하판과 측판 및 상기 상면 지지판(112, 114)과 측면 지지판(111, 113)에 의해 한정되는 공간 내부에서 전후로 왕복 이동하게 된다.
도 6a는 도 5에 도시된 좌측 가이드레일을 상세하게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6b는 도 5에 도시된 좌측 가이드 레일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6a의 X-X 선을 따른 좌측 가이드레일의 단면도이다.
먼저, 도 6a와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좌측 가이드레일(180)은 트레이(130)의 레일결합부(13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되는 레일(181)과, 레일(181)의 외측에 결합되며 하부 케이스(1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되는 레일카바(182)를 구비한다. 레일(181)은 트레이(130)의 레일결합부(131)를 수용할 수 있도록 대략 "ㄷ"자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트레이(130)를 지지할 수 있도록 강도가 높은 금속 프레스물로 이루어진다. 레일카바(182)는 레일(181)의 외측에 결합되어 고정되는데, 이를 위해 레일카바(182)의 내면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래치(latch, 182a)가 돌출 형성되고, 레일(181)에는 이 래치(182a)가 끼워지는 복수개의 래치홀(181a)이 형성된다. 한편, 레일카바(182)와 레일(181)의 결합은 상기한 래치(182a)와 래치홀(181a)에 의하지 않고 접착제를 사용하여 그들을 서로 접착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레일카바(182)는 하부 케이스(110)와 직접 접촉하며 슬라이딩하게 되는데, 이때 발생하는 마찰음을 줄이기 위해 플라스틱 사출물로 이루어진다. 또한, 이와 같이 레일카바(182)가 플라스틱 사출물로 이루어짐으로써 후술하는 수단들을 레일카바(182)에 일체로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에서는 가이드레일(180)이 레일(181)과 레일카바(182)가 밀착 결합된 이중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그 강도가 향상되어 트레이(130)가 하우징(100)으로부터 취출된 상태에서도 이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레일카바(182)도 레일(181)에 밀착 결합되므로, 도 1에 도시된종래의 광 디스크 드라이브에서 별도로 설치되는 고정 가이드(도 1의 33, 34)보다 얇은 두께, 예컨대 0.5~0.8mm 정도의 두께를 가질 수 있게 되어 가이드레일(180) 전체 높이가 낮아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다 슬림화된 광 디스크 드라이브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좌측 가이드레일(180)에는 트레이(130)와 가이드레일(180)의 전방 이동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전방 이동거리 제한수단이 마련된다. 상기 전방 이동거리 제한수단으로는, 트레이(130)의 전방(화살표 F방향), 즉 트레이(130)의 취출방향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제1 스토퍼(183)와, 가이드레일(180)의 전방(화살표 F방향)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제2 스토퍼(184a)가 구비된다. 또한, 좌측 가이드레일(180)에는 트레이(130)가 후방(화살표 R방향), 즉 트레이(130)의 삽입방향으로 이동할 때 가이드레일(180)도 함께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제3 스토퍼(184b)가 마련된다.
상기 제1 스토퍼(183)는 레일(181)의 전단부에 레일(181)의 하판으로부터 소정 높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스토퍼(184a)와 제3 스토퍼(184b)는 플라스틱 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스토퍼 조립체(184)를 이루게 된다. 스토퍼 조립체(184)는 가이드레일(180)의 후단부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스토퍼 조립체(184)는 레일카바(182)의 후단부에 형성된 결합홈(182b)에 끼워지며, 체결나사(184c)에 의해 레일카바(182)에 고정되도록 조립된다. 이와 같이 스토퍼 조립체(184)가 레일카바(182)에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스토퍼(184a)는 레일카바(182)의 상면 위로 돌출되고, 상기 제3 스토퍼(184b)는 레일(181)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 스토퍼 조립체(184)는 위에서 체결나사(184c)에 의해 레일카바(182)에 조립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그러나, 스토퍼 조립체(184)를 레일카바(182)에 조립하는 방식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다.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레일(181)과 레일카바(182)의 결합 방식과 같은 스내핑 방식에 의해 스토퍼 조립체(184)를 레일카바(182)에 조립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도 6a 및 도 8을 함께 참조하며 상기한 제1, 제2 및 제3 스토퍼(183, 184a, 184b)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하우징(100)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트레이(130)가 취출되는 경우에는, 먼저 트레이(130)와 가이드레일(180)이 함께 전방(화살표 F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트레이(130)와 가이드레일(180)이 전방으로 소정 거리 이동하게 되면 가이드레일(180)의 제2 스토퍼(184a)가 상면 지지판(112)에 걸리게 되어 가이드레일(180)은 더 이상 전방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그 다음에는 트레이(130)만 가이드레일(180)을 따라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트레이(130)가 디스크 착탈 위치에 이르게 되면, 가이드레일(180)의 제1 스토퍼(183)가 트레이(130)의 더 이상의 전방 이동을 막게 된다. 도 8을 참조하며 다시 설명하면, 트레이(130)의 레일 결합부(131)의 후단부 내측에는 걸림턱(133)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이 걸림턱(133)이 트레이(130)가 디스크 착탈 위치에 도달했을 때 가이드레일(180)의 제1 스토퍼(183)에 걸리게 되어 트레이(130)가 더 이상 전방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스토퍼(183)와 제2 스토퍼(184a)는 트레이(130)와 가이드레일(180)의 전방 이동거리를 제한하게 되므로, 트레이(130)와 가이드레일(180)이 전방으로 과도하게 이동하여 하우징(10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취출된 트레이(130)가 하우징(100) 내부에 삽입되는 경우에는, 먼저 트레이(130)가 가이드레일(180)을 따라 후방(화살표 R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트레이(130)의 레일결합부(131)의 후단이 가이드레일(180)의 후단부에 설치된 상기 제3 스토퍼(184b)에 닿게 되면, 이 때부터는 트레이(130)와 가이드레일(180)이 함께 후방으로 이동하여 하우징(100) 내에 완전히 삽입된다.
다시 도 6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가이드 구조체에는 트레이(130)와 가이드레일(180)의 수직 진동이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트레이(130)와 가이드레일(180)을 수직방향으로 구속하는 수직구속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수직구속수단은, 가이드레일(180)의 레일카바(182) 후단부에 형성되며 제1 수직돌기(185a)를 가진 제1 탄성판(185)과, 레일카바(182) 전단부에 형성되며 제2 수직돌기(186a)를 가진 제2 탄성판(186)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탄성판(185)은 레일카바(182)의 상판이 그 폭보다 좁은 폭으로 후방으로 소정 길이 연장됨으로써 형성되며, 상기 제1 수직돌기(185a)는 제1 탄성판(185)의 상면에 위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 탄성판(186)은 레일카바(182)의 상판이 그 폭보다 좁은 폭으로 전방으로 소정 길이 연장됨으로써 형성되며, 상기 제2 수직돌기(186a)는 제2 탄성판(186)의 저면에 아래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구속수단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110)의 뒷쪽 벽에 앞쪽으로 돌출 형성된 제1 지지판(116)을 포함하며,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130)의 레일결합부(131) 전단부의 상면에 위쪽으로 돌출 형성된 제3 수직돌기(1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판(116)은 하부 케이스(110)의 뒷쪽 벽 일부를 앞쪽으로 절곡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직구속수단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180)의 전방에는 마련되지 않고 후방에만 마련될 수도 있다. 즉, 도 6b에 도시된 가이드레일(180)에는 레일 카바(182)의 후단부에 형성된 제1 탄성판(185)과 그 상면에 형성된 제1 수직돌기(185a)만 구비된다. 그러나, 이하에서는 도 6a에 도시된 가이드레일(180)을 기준으로 수직구속수단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수직구속수단의 작용을 도 9와 도10을 참조하며 설명한다. 먼저 도 9를 참조하면, 트레이(130)가 하우징(100) 내에 완전히 삽입되면 레일카바(182)의 제1 탄성판(185)에 형성된 제1 수직돌기(185a)는 하부 케이스(110)에 뒷쪽 판에 형성된 제1 지지판(116)의 저면과 맞닿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제1 수직돌기(185a)는 제1 지지판(116)에 의해 제1 탄성판(185)이 아래쪽으로 다소 휘어질 정도로 눌려지게 됨으로써, 가이드레일(180)은 하부 케이스(110)에 대하여 그 수직방향의 움직임이 구속된다. 이와 같이 제1 수직돌기(185a)가 제1 지지판(116)에 의해 눌려지는 것은 제1 탄성판(185)의 변형에 의해 발생되는 탄성회복력의 반작용에 의한 것이다.
이어서 도 10을 참조하면, 트레이(130)가 화살표 R방향으로 이동하여하우징(100) 내에 완전히 삽입되면 레일카바(182)의 제2 탄성판(186)에 형성된 제2 수직돌기(186a)는 트레이(130)의 레일결합부(131) 상면에 형성된 제3 수직돌기(135)에 맞닿게 되고, 이에 따라 제2 탄성판(186)은 다소 위쪽으로 휘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변형에 의해 발생되는 제2 탄성판(186)의 탄성회복력에 의해 제2 수직돌기(186a)가 제3 수직돌기(135)를 아래쪽으로 누르게 됨으로써, 트레이(130)는 가이드레일(180)에 대하여 그 수직방향의 움직임이 구속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수직구속수단에 의해 트레이(130)는 가이드레일(180)에 대하여 그 수직방향 움직임이 구속되고, 가이드레일(180)은 다시 하부 케이스(110)에 대하여 그 수직방향 움직임이 구속됨으로써, 결과적으로 트레이(130)의 하우징(100)에 대한 수직방향의 움직임이 구속된다. 따라서, 광픽업 유니트에 의한 데이터 독출에 있어서 에러가 발생하지 않으며 진동 소음이 현저하게 줄어들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탄성판(185, 186)은 플라스틱 사출물로 이루어져 소정의 탄성을 가지므로 외부의 충격에 대해 완충작용을 하게 된다.
도 11a는 도 5에 도시된 우측 가이드레일을 상세하게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b는 도 5에 도시된 우측 가이드레일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2와 도 13은 각각 도 11a에 도시된 우측 가이드레일의 후단부와 전단부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여기에서, 우측 가이드레일(190)은 후술하는 수평구속수단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좌측 가이드레일(도 6a의 180)과 동일하므로, 우측 가이드레일(190)에 대해서는 수평구속수단을 중점으로 설명하되, 그 이외의 구성요소와 그 작용에 대해서는 간단하게 설명하거나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1a와 도 12 및 도 13을 함께 참조하면, 우측 가이드레일(190)은 트레이(130)의 우측 레일결합부(132)에 직접 접촉되며 이를 수용할 수 있도록 대략 "ㄷ"자 형상의 금속 프레스물로 이루어진 레일(191)과, 레일(191)의 외측에 결합되며 플라스틱 사출물로 이루어진 레일카바(192)를 구비한다. 레일(191)과 레일카바(192)는 도 7에 도시된 방식과 같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접착제를 사용하여 서로 접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가이드레일(190)의 구조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보다 슬림화된 광 디스크 드라이브를 구현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진 우측 가이드레일(190)에는 트레이(130)와 가이드레일(190)의 전방 이동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전방 이동거리 제한수단으로서, 트레이(130)의 전방(화살표 F방향)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제1 스토퍼(193)와 가이드레일(190)의 전방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제2 스토퍼(194a)가 구비된다. 또한, 우측 가이드레일(190)에는 트레이(130)가 후방(화살표 R방향)으로 이동할 때 가이드레일(190)도 함께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제3 스토퍼(194b)가 마련된다. 상기 제1 스토퍼(193)는 레일(191)의 전단부에 레일(191)의 하판으로부터 소정 높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 스토퍼(194a)와 제3 스토퍼(194b)는 플라스틱 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스토퍼 조립체(194)를 이루게 되며, 이는 가이드레일(190)의 후단부에 조립된다. 이와 같은 제1, 제2 및 제3 스토퍼(193, 194a, 194b)의 작용은 전술한 좌측 가이드레일(도 6a의 180)에서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의하면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우측에도 트레이(130)와 가이드레일(190)을 수직방향으로 구속하는 수직구속수단이 마련된다. 상기 수직구속수단은, 우측 가이드레일(190)의 레일카바(192) 후단부에 연장되어 형성되며 그 상면에 제1 수직돌기(195a)가 돌출 형성된 제1 탄성판(195)과, 레일카바(192) 전단부에 연장되어 형성되며 그 저면에 제2 수직돌기(196a)가 돌출 형성된 제2 탄성판(196)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구속수단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110)의 뒷쪽 벽에 앞쪽으로 돌출 형성된 제1 지지판(117)을 포함하며, 또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130)의 우측 레일결합부(132) 전단부의 상면에 위쪽으로 돌출 형성된 제3 수직돌기(136)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11a와 도 12 및 도 13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가이드 구조체에는 트레이(130)의 수평 진동이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트레이(130)를 수평방향으로 구속하는 수평구속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수평구속수단은, 우측 가이드레일(190)의 레일카바(192) 후단부에 연장 형성된 제1 탄성판(195)에 돌출 형성된 제1 수평돌기(195b)와, 레일카바(192) 전단부에 연장 형성된 제2 탄성판(196)에 돌출 형성된 제2 수평돌기(196b)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수평돌기(195b)는 제1 탄성판(195)의 측면에 안쪽, 즉 트레이(130) 쪽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 수평돌기(196b) 역시 제2 탄성판(196)의 측면에 안쪽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구속수단은, 우측 가이드레일(190)의 레일카바(192) 후단부에 연장 형성되는 제3 탄성판(197)에 돌출 형성된 제3 수평돌기(197a)와, 레일카바(192) 전단부에 연장 형성되는 제4 탄성판(198)에 돌출 형성된 제4 수평돌기(198a)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3 탄성판(197)은 레일카바(192)의 측판이 그 폭보다 좁은 폭으로 후방으로 소정 길이 연장됨으로써 형성되며, 상기 제3 수평돌기(197a)는 제3 탄성판(197)의 외측면에 바깥쪽, 즉 하부 케이스(110)의 측벽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4 탄성판(198)은 레일카바(192)의 측판이 그 폭보다 좁은 폭으로 전방으로 소정 길이 연장됨으로써 형성되며, 상기 제4 수평돌기(198a)도 제4 탄성판(198)의 외측면에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평구속수단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110)의 우측벽에 안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제2 지지판(118)과,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130)의 전단부 우측면에 바깥쪽으로 돌출 형성된 제5 수평돌기(13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판(118)은 하부 케이스(110)의 측벽 일부를 안쪽으로 절곡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직구속수단과 수평구속수단은,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가이드레일(190)의 전방에는 마련되지 않고 후방에만 마련될 수도 있다. 즉, 도 11b에 도시된 가이드레일(190)에는 레일 카바(182)의 후단부에 형성된 제1 탄성판(185)과 제3 탄성판(197) 및 그 각각에 형성된 제1 수직돌기(185a)와 제1 수평돌기(195b)와 제3 수평돌기(197a)만 구비된다. 그러나, 이하에서는 도 11a에 도시된 가이드레일(190)을 기준으로 수직구속수단 및 수평구속수단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수직구속수단과 수평구속수단의 작용을 도 14와 도15을 참조하며 설명한다. 그런데, 상기 수직구속수단의 작용은 전술한 좌측 가이드레일(도 5의 180)에서와 동일하므로 간단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4를 참조하면, 트레이(130)가 하우징(100) 내에 완전히 삽입되면 레일카바(192)의 제1 탄성판(195)에 형성된 제1 수직돌기(195a)는 하부 케이스(110)에 뒷쪽 벽에 형성된 제1 지지판(117)의 저면과 맞닿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제1 수직돌기(195a)는 제1 지지판(117)에 의해 눌려지게 됨으로써, 가이드레일(180)과 트레이(130)의 수직방향의 움직임이 구속된다.
그리고, 트레이(130)가 하우징(100) 내에 완전히 삽입되면 레일카바(192)의 제1 탄성판(195)의 측면에 형성된 제1 수평돌기(195b)는 트레이(130)의 우측면에 맞닿아 트레이(130)를 왼쪽으로 누르게 된다. 또한, 레일카바(192)의 제3 탄성판(197) 외측면에 형성된 제3 수평돌기(197a)는 하부 케이스(110)의 측벽에 형성된 제2 지지판(118)의 내측면과 맞닿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제3 수평돌기(197a)는 제2 지지판(118)에 의해 제3 탄성판(197)이 왼쪽으로 다소 휘어질 정도로 눌려지게 되고, 이에 따라 가이드레일(190)은 그 수평방향의 움직임이 구속된다.
이어서 도 15를 참조하면, 트레이(130)가 화살표 R방향으로 이동하여 하우징(100) 내에 완전히 삽입되면, 레일카바(192)의 제2 탄성판(196)의 저면에 형성된 제2 수직돌기(196a)가 트레이(130)의 레일결합부(132) 상면에 형성된 제3 수직돌기(136)에 맞닿아 제3 수직돌기(136)를 아래쪽으로 누르게 됨으로써, 트레이(130)의 수직방향 움직임이 구속된다.
그리고, 트레이(130)가 하우징(100) 내에 완전히 삽입되면 레일카바(192)의 제2 탄성판(196)의 측면에 형성된 제2 수평돌기(196b)는 트레이(130)의 우측면에 형성된 제5 수평돌기(137)에 맞닿아 제5 수평돌기(137)를 왼쪽으로 누르게 된다.또한, 레일카바(192)의 제4 탄성판(198) 외측면에 형성된 제4 수평돌기(198a)는 하부 케이스(110)의 측벽 내면에 맞닿게 되고, 이에 따라 제4 탄성판(198)은 다소 왼쪽으로 휘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변형에 의해 제4 탄성판(198)은 그 내측면이 트레이(130)의 레일결합부(132) 외측면에 밀착되어 트레이(130)를 왼쪽으로 누르게 된다. 이와 같이, 제2 수평돌기(196b)와 제5 수평돌기(137)가 밀착되고, 트레이(130)의 레일결합부(132) 외측면과 제4 탄성판(198)의 내측면이 밀착됨으로써, 트레이(130)는 그 수평방향의 움직임이 구속된다.
한편, 상기한 수평구속수단은 위에서 우측 가이드레일(190)과 그 주위에 마련되어 트레이(130)를 왼쪽으로 밀착되도록 구속하는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수평구속수단은 트레이(130)를 오른쪽으로 밀착되도록 구속하기 위해 도 6a 또는 도 6b에 도시된 좌측 가이드레일(180)과 그 주변에 마련될 수도 있다.
도 16은 트레이와 상부 케이스에 마련된 수직구속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5에 도시된 지지돌기 부위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한 수직구속수단은 트레이(130)의 후단부 상면에 윗쪽으로 돌출 형성된 제1 지지돌기(138)와, 상부 케이스(120)의 후단부 저면에 아랫쪽으로 돌출 형성된 제2 지지돌기(128)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돌기(138)는 트레이(130)의 중심선 상에 하나만 마련될 수도 있으며 복수개가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도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130)의 양측 가장자리에 인접한 부위에 각각 하나씩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지지돌기(128)는 제1 지지돌기(138)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트레이(130)가 하우징(100) 내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지지돌기(128)와 맞닿아 제1 지지돌기(128)를 아래쪽으로 누르게 된다. 이에 따라, 하우징(100) 내에 삽입된 상태의 트레이(130)는 수직방향으로 진동하거나 흔들리지 않게 된다.
도 17은 하부 케이스의 우측벽 내면에 스페이서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하부 케이스(110)의 우측 구석에는 우측 가이드레일(19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레일(190)은 상면 지지판(114)과 측면 지지판(113)에 의해 그 왕복 이동이 가이드되며, 또한 레일카바(192) 위쪽으로 돌출된 제2 스토퍼(194a)가 상면 지지판(114)에 걸리게 됨으로써 가이드레일(190)의 전방 이동거리가 제한된다.
그런데, 하부 케이스(110)의 우측벽에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를 컴퓨터 내에 장착하기 위한 나사구멍(119)이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나사구멍(119)은 하부 케이스(110)의 우측벽 안쪽으로 소정 높이 돌출되기 때문에 우측 가이드레일(190)의 슬라이딩 이동을 방해하게 된다. 따라서, 나사구멍(119)과 가이드레일(190)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하부 케이스(110)의 우측벽 내면에는 스페이서(200)가 부착된다. 스페이서(200)는 적어도 나사구멍(119)의 돌출 높이보다 큰 두께를 가진다. 그리고, 스페이서(200)는 가이드레일(190)과의 마찰 소음을 줄일 수 있으며, 하부 케이스(110)의 우측벽면에 접착이 용이하고 가벼운 플라스틱 재료, 예컨대 테프론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레일(190)은스페이서(200)와 접촉하며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므로 나사구멍(119)과는 간섭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나사구멍(119)은 하부 케이스(110)의 좌측벽에 마련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상기 스페이서(200)는 하부 케이스(110)의 좌측벽 내면에 부착된다.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가이드 구조체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가이드레일이 레일과 레일카바가 밀착 결합된 이중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그 강도가 향상되어 트레이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으며, 플라스틱 사출물로 이루어진 레일카바가 보다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게 되어 가이드레일 전체 높이가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술림형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협소한 공간에도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또한 보다 슬림화된 광 디스크 드라이브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둘째, 트레이의 수직 및 수평 방향의 진동이나 흔들림을 방지하는 수직구속수단과 수평구속수단이 마련되므로, 광픽업 유니트에 의한 데이터 독출에 있어서에러가 발생하지 않으며 진동 소음이 현저하게 줄어든다. 또한, 상기 수직구속수단과 수평구속수단에는 플라스틱 사출물로 이루어져 소정의 탄성을 가진 탄성판이 구비되므로 외부의 충격에 대해 완충작용을 하게 되는 장점도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이 안착 구조체는 가이드레일 외에 별도의 부가적인 부품이 사용되지 않으므로 광 디스크 드라이브 전체의 중량을 줄일 수 있으며 제조 원가도 줄일 수 있게 된다.

Claims (24)

  1. 하부 케이스와 상부 케이스로 이루어진 하우징 내에 출입가능하게 설치된 트레이의 왕복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가이드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의 양측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이 그 왕복 이동 경로를 벗어나지 않도록 지지하기 위해 상기 하부 케이스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는 가이드레일 지지수단;
    상기 트레이의 양측에 그 왕복 이동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일결합부;
    상기 트레이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가이드레일과 상기 트레이의 취출방향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전방 이동거리 제한수단; 및
    상기 트레이가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트레이를 각각 수직 방향과 수평방향으로 구속하여 상기 트레이의 수직 및 수평방향 움직임을 방지하는수직구속수단과 수평구속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레일결합부를 수용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레일결합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의 외측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하부 케이스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되는 레일카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가이드 구조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 지지수단은,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면에 접촉되는 복수개의 상면 지지판과, 상기 가이드레일의 일측면에 접촉되는 복수개의 측면 지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가이드 구조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금속 프레스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레일카바는 플라스틱 사출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가이드 구조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과 상기 레일카바는 상기 레일카바의 내면에 그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된 복수개의 래치와 상기 레일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래치가 각각 하나씩 끼워지는 복수개의 래치홀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가이드 구조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과 상기 레일카바는 접착제에 의해 서로 접착됨으로써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가이드 구조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이동거리 제한수단은,
    상기 레일의 전단부에 상기 레일의 하판으로부터 소정 높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트레이가 디스크 착탈 위치에 이르면 상기 레일결합부의 후단부 내측에 돌출 형성된 걸림턱이 걸리게 됨으로써 상기 트레이의 전방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제1 스토퍼와, 상기 레일카바의 상면 위로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이 전방으로 소정 거리 이동하게 되면 상기 가이드레일 지지수단에 걸리게 됨으로써 상기 가이드레일의 전방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제2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가이드 구조체.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의 후단부에는 상기 트레이가 후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트레이의 레일결합부 후단을 가로 막아 상기 가이드레일도 함께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제3 스토퍼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가이드 구조체.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토퍼와 상기 제3 스토퍼는 플라스틱 사출물로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의 후단부에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가이드 구조체.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구속수단은:
    상기 레일카바 후단부에 마련되는 제1 탄성판의 상면에 위쪽으로 돌출 형성된 제1 수직돌기; 및
    상기 하부 케이스의 뒷쪽 벽에 앞쪽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트레이가 상기 하우징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수직돌기와 접촉되어 상기 제1 수직돌기를 아래쪽으로 누르게 되는 제1 지지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가이드 구조체.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판은 상기 레일카바의 상판이 그 폭보다 좁은 폭으로 후방으로 소정 길이 연장됨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제1 지지판은 상기 하부 케이스의 뒷쪽 벽 일부를 앞쪽으로 절곡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가이드 구조체.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구속 수단은: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기 레일카바 전단부에 마련되는 제2 탄성판의 저면에 아래쪽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트레이가 상기 하우징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레일결합부의 전단부 상면을 누르게 되는 제2 수직돌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가이드 구조체.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구속수단은, 상기 레일결합부 전단부의 상면에 위쪽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 수직돌기와 맞닿게 되는 제3 수직돌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가이드 구조체.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판은 상기 레일카바의 상판이 그 폭보다 좁은 폭으로 전방으로 소정 길이 연장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가이드 구조체.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구속수단은,
    상기 트레이의 후단부 상면에 윗쪽으로 돌출 형성된 제1 지지돌기와, 상기 상부 케이스의 후단부 저면에 아랫쪽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트레이가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지지돌기와 맞닿게 되는 제2 지지돌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가이드 구조체.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돌기는 적어도 상기 트레이의 양측 가장자리에 인접한 부위에 각각 하나씩 마련되고, 상기 제2 지지돌기도 상기 제1 지지돌기와 대응되는 부위에 각각 하나씩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가이드 구조체.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구속수단은,
    상기 하부 케이스의 양측에 설치된 상기 가이드레일 중 적어도 어느 일측의 가이드레일의 레일카바 후단부에 마련된 제1 탄성판의 내측면에 안쪽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트레이가 상기 하우징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트레이의 후단부 외측면을 누르게 되는 제1 수평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가이드 구조체.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구속수단은,
    상기 하부 케이스의 양측에 설치된 상기 가이드레일 중 적어도 어느 일측의 가이드레일의 레일카바 전단부에 마련된 제2 탄성판의 내측면에 안쪽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트레이가 상기 하우징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트레이의 전단부 외측면을 누르게 되는 제2 수평돌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가이드 구조체.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구속수단은,
    상기 트레이의 전단부 외측면에 바깥쪽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 수평돌기와 맞닿게 되는 제5 수평돌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가이드 구조체.
  19. 제 1항 또는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구속수단은,
    상기 적어도 일측 가이드레일의 레일카바 후단부에 마련된 제3 탄성판의 외측면에 바깥쪽으로 돌출 형성된 제3 수평돌기; 및
    상기 하부 케이스의 적어도 일측 벽에 안쪽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트레이가 상기 하우징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3 수평돌기와 접촉되어 상기 제3 수평돌기를 안쪽으로 누르게 되는 제2 지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가이드 구조체.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탄성판은 상기 레일카바의 측판이 그 폭보다 좁은 폭으로 후방으로 소정 길이 연장됨으로써 형성되며, 상기 제2 지지판은 상기 하부 케이스의 측벽 일부를 안쪽으로 절곡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가이드 구조체.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구속수단은,
    상기 적어도 일측 가이드레일의 레일카바 전단부에 마련된 제4 탄성판의 외측면에 바깥쪽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트레이가 상기 하우징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케이스의 측벽 내면을 누르게 되는 제4 수평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가이드 구조체.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탄성판은 상기 레일카바의 측판이 그 폭보다 좁은 폭으로 전방으로 소정 길이 연장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가이드 구조체.
  2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의 일측 벽에 형성된 컴퓨터 장착용 나사구멍과 상기 가이드레일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 케이스의 일측 벽면에는 소정 두께의 스페이서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가이드 구조체.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나사구멍의 돌출 높이보다 더 두꺼운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가이드 구조체.
KR1020010071097A 2001-11-15 2001-11-15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가이드 구조체 KR1007723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1097A KR100772365B1 (ko) 2001-11-15 2001-11-15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가이드 구조체
JP2002294093A JP3768469B2 (ja) 2001-11-15 2002-10-07 光ディスクドライブのトレーガイド構造体
US10/289,214 US7020884B2 (en) 2001-11-15 2002-11-07 Tray guide mechanism for an optical disc driv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1097A KR100772365B1 (ko) 2001-11-15 2001-11-15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가이드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0686A true KR20030040686A (ko) 2003-05-23
KR100772365B1 KR100772365B1 (ko) 2007-11-01

Family

ID=19715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1097A KR100772365B1 (ko) 2001-11-15 2001-11-15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가이드 구조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020884B2 (ko)
JP (1) JP3768469B2 (ko)
KR (1) KR100772365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1803A (ko) * 2002-09-04 2004-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트레이 가이드 구조체
KR100468772B1 (ko) * 2002-10-22 2005-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가이드 구조체
KR100498461B1 (ko) * 2002-11-20 2005-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가이드 구조체
KR100505651B1 (ko) * 2002-11-26 2005-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가이드 구조체
KR100975939B1 (ko) * 2004-01-20 2010-08-16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광기록재생장치의 트레이 충격흡수장치
KR101220692B1 (ko) * 2010-12-31 2013-01-21 도시바삼성스토리지테크놀러지코리아 주식회사 광기기 장치
KR101308376B1 (ko) * 2006-09-21 2013-09-16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디스크 드라이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53047A4 (en) * 2001-08-17 2006-06-07 Citizen Watch Co Ltd DRIVE DEVICE
KR100468730B1 (ko) * 2002-05-01 2005-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광기록재생장치의 트레이 로딩장치 및 이를 채용한광기록재생장치
JP2004158160A (ja) * 2002-11-08 2004-06-03 Citizen Watch Co Ltd ディスク駆動装置
KR100510514B1 (ko) * 2003-01-14 2005-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디스크 드라이브
KR100480642B1 (ko) * 2003-01-27 2005-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림형 광디스크 드라이브
US7007284B2 (en) * 2003-01-30 2006-02-28 Epo Science & Technology, Inc. Anti-shock traverse structure
JP3096549U (ja) * 2003-03-19 2003-09-26 船井電機株式会社 光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US7600235B2 (en) * 2003-05-21 2009-10-06 Panasonic Corporation Optical disk device
US20040246827A1 (en) * 2003-05-21 2004-12-0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disk device
TWI261231B (en) * 2003-05-28 2006-09-01 Actima Technology Cororation A anti-vibration tray support structure
CN2636363Y (zh) * 2003-05-30 2004-08-2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光盘驱动器托盘
US7140029B2 (en) * 2003-08-11 2006-11-21 Micro-Star Int'l Co., Ltd. Sliding mechanism for optical compact disk drive
JP4448710B2 (ja) * 2004-02-19 2010-04-14 パイオニア株式会社 移動調整装置、その方法、および、搬送装置
TWI240249B (en) * 2004-03-03 2005-09-21 Asustek Comp Inc Disc drive with tilt-preventing tray
KR100660837B1 (ko) * 2004-04-24 2006-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크 드라이브
TWI245262B (en) * 2004-06-08 2005-12-11 Lite On It Corp Self-aligning device of panel of optical disc drive
KR100582951B1 (ko) * 2004-07-28 2006-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진장치 및 그것을 갖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
JP2006127658A (ja) * 2004-10-29 2006-05-18 Orion Denki Kk トレイ搬送時の位置規制手段を備えたディスク装置
CN2770041Y (zh) * 2004-12-22 2006-04-0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光盘驱动器
JP4655698B2 (ja) * 2005-03-10 2011-03-23 株式会社ケンウッド スライダの移動端位置決め機構
TW200634733A (en) * 2005-03-21 2006-10-01 Lite On It Corp Optical disk drive
KR101157829B1 (ko) * 2005-08-30 2012-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디스크 드라이브
JP4655866B2 (ja) * 2005-10-14 2011-03-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
KR20070048918A (ko) * 2005-11-07 2007-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언밸런스 검출방법
JP4079969B2 (ja) * 2005-12-21 2008-04-23 三菱電機株式会社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JP2007265471A (ja) * 2006-03-27 2007-10-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ディスク装置
US8122463B2 (en) * 2006-09-25 2012-02-21 Quanta Storage Inc.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device for optical disk drive
US8578400B2 (en) 2007-06-18 2013-11-05 Seiko Epson Corporation Media processing device for processing media such as CDs and DVDs
JP4930210B2 (ja) * 2007-06-18 2012-05-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メディア処理装置
US8406095B2 (en) 2007-06-18 2013-03-26 Seiko Epson Corporation Media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that prevents processing of the media from being stopped
JP2010225217A (ja) * 2009-03-23 2010-10-07 Funai Electric Co Ltd 光ディスク装置
TWI389103B (zh) * 2009-05-04 2013-03-11 Quanta Storage Inc 吸入式光碟機防卡裝置
CN201498205U (zh) * 2009-08-19 2010-06-02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光驱
CN201498206U (zh) * 2009-08-27 2010-06-02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光驱
JP5505633B2 (ja) * 2010-05-12 2014-05-28 ティアック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JP5606805B2 (ja) * 2010-06-08 2014-10-15 三洋電機株式会社 エアフィルタ掃除装置、及び投写型映像表示装置
KR20120078424A (ko) * 2010-12-31 2012-07-10 도시바삼성스토리지테크놀러지코리아 주식회사 광기기 장치
JP2012252754A (ja) * 2011-06-03 2012-12-20 Hitachi-Lg Data Storage Inc 光ディスク装置
JP2013012274A (ja) * 2011-06-29 2013-01-17 Hitachi Consumer Electronics Co Ltd 光ディスク駆動装置
JP2013114710A (ja) * 2011-11-28 2013-06-10 Hitachi Consumer Electronics Co Ltd ディスク駆動装置
JP2013218769A (ja) * 2012-04-11 2013-10-24 Hitachi-Lg Data Storage Inc 光ディスク装置
KR101382010B1 (ko) * 2012-08-17 2014-04-04 도시바삼성스토리지테크놀러지코리아 주식회사 광 디스크 장치
US8976488B1 (en) * 2013-07-24 2015-03-10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Re-enforced motor hub flange
CN104881083B (zh) * 2015-04-15 2018-05-04 英业达科技有限公司 存储装置及包含存储装置的电子装置
WO2020214161A1 (en) * 2019-04-17 2020-10-22 Afl Ig Llc Patch panel with lifting cassette removal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53746A (ja) * 1986-08-25 1988-03-08 Sony Corp フロントロ−デイング型デイスクプレ−ヤ
US5862116A (en) * 1994-02-23 1999-01-19 Teac Corporation Disc device
JP3414105B2 (ja) * 1996-02-16 2003-06-09 ティアック株式会社 トレーガイド機構
JPH09297954A (ja) * 1996-05-07 1997-11-18 Mitsumi Electric Co Ltd ディスク再生装置
JP4083290B2 (ja) 1998-05-29 2008-04-30 株式会社東芝 ディスク装置
KR20010037739A (ko) * 1999-10-19 2001-05-15 윤종용 디스크 기록재생장치의 디스크이송장치
JP2001266442A (ja) 2000-03-21 2001-09-28 Sony Corp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1803A (ko) * 2002-09-04 2004-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트레이 가이드 구조체
KR100468772B1 (ko) * 2002-10-22 2005-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가이드 구조체
KR100498461B1 (ko) * 2002-11-20 2005-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가이드 구조체
KR100505651B1 (ko) * 2002-11-26 2005-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가이드 구조체
KR100975939B1 (ko) * 2004-01-20 2010-08-16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광기록재생장치의 트레이 충격흡수장치
KR101308376B1 (ko) * 2006-09-21 2013-09-16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디스크 드라이브
KR101220692B1 (ko) * 2010-12-31 2013-01-21 도시바삼성스토리지테크놀러지코리아 주식회사 광기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2365B1 (ko) 2007-11-01
US20030117928A1 (en) 2003-06-26
US7020884B2 (en) 2006-03-28
JP2003187511A (ja) 2003-07-04
JP3768469B2 (ja) 2006-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2365B1 (ko) 광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가이드 구조체
US6910218B2 (en) Slim type optical disc drive
US8205220B2 (en) Optical disc drive with shielding member to prevent entry of dust
KR100480642B1 (ko) 슬림형 광디스크 드라이브
US7404197B2 (en) Disk drive
US7325241B2 (en) Optical disk drive with anti-tilt tray mechanism
EP1760711B1 (en) Optical disk drive
US7185346B2 (en) Low-profile disk unit
CN1135554C (zh) 盒式盘
KR100505651B1 (ko)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가이드 구조체
KR100468772B1 (ko)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가이드 구조체
KR100498461B1 (ko)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레이 가이드 구조체
US20060026611A1 (en) Vibration preventing device and optical disc drive having the same
JP4110678B2 (ja) ディスクドライブ
US7596794B2 (en) Optical disc drive with a vibration attenuation mechanism
US6954937B2 (en) Disc guide device for disc player
US7263703B2 (en) Optical reproducing/recording apparatus
US20060265723A1 (e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JP4285327B2 (ja) ディスク装置
JP4058277B2 (ja) 光ディスク装置
JP5218144B2 (ja) 光ディスク装置
JPH09237452A (ja) スライド機構
JP2001126362A (ja) フロッピーディスク・ドライブ
KR19990038379A (ko) 카트리지 셔터의 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