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9806A - 여행 일정 작성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여행 일정 작성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9806A
KR20030039806A KR1020010070865A KR20010070865A KR20030039806A KR 20030039806 A KR20030039806 A KR 20030039806A KR 1020010070865 A KR1020010070865 A KR 1020010070865A KR 20010070865 A KR20010070865 A KR 20010070865A KR 20030039806 A KR20030039806 A KR 200300398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vel
schedule
destination
theme
itiner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0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승훈
Original Assignee
티플래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플래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티플래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0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39806A/ko
Priority to PCT/KR2002/001059 priority patent/WO2003042883A1/en
Publication of KR20030039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980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4Travel agenc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사용자에게 여행 테마, 장소 및 시간에 적합한 여행 일정을 제공하기 위한 여행 일정 작성 시스템 및 방법을 제시한다.
여행 일정 작성 시스템은 여행지의 위치 정보 및 특성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여행지 관리 수단, 여행 테마에 따라 각각의 여행지가 갖는 포인트 및 여행 테마별로 각각의 여행지에 대하여 설정한 가중치를 기반으로 각 여행지가 여행 테마에 따라 차지하는 적합도를 추출하고, 여행지의 테마별 적합도에 따라 여행지의 조합인 단위일정을 생성한 후, 단위일정의 조합에 의해 총 여행기간에 따른 전체 일정을 생성하기 위한 일정 생성 수단 및 일정 생성 수단에서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시한 여행 일정에 대하여 사용자가 수정을 요구할 경우 사용자의 임의대로 여행 일정을 변경하도록 하기 위한 일정 편집 수단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여행 일정 작성 시스템에 의하면 여행 테마를 세분화하여 두고, 각 여행 테마에 대한 가중치를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설정하도록 함으로써 여행 테마에 부합하는 최적의 여행 일정을 작성할 수 있고, 이를 CD 롬과 같은 기록매체로 제작할 경우 오프라인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여행 일정 작성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Scheduling a Plan of Travel}
본 발명은 일정 계획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에게 여행 테마 및 기간에 따른 적합한 여행 일정을 제공하기 위한 여행 일정 작성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발달 및 이에 따른 경제적 안정감으로 인하여 사람들은 많은 여유 시간을 갖게 되었고, 여유 시간에 행해지는 취미생활로서 여행이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비행기나 고속 철도와 같은 교통 수단의 발전으로 해외여행 비율이 더욱 더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런데, 여행을 하기 위해서는 여행지로 어디가 적합하며, 희망하는 여행기간에 따라 어떤 코스로 여행을 할 것인지 등을 결정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여행 계획은 여행을 하고자 하는 당사자가 스스로 결정하거나 여행사, 관광공사, 여행지 해당 지방 자치단체 등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의존하여 수립하므로, 해당 여행지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얻기 어렵고 여행 계획을 세우는 것이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으로 인하여 여행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의 경우 고가의 여행 패키지 상품을 이용하고 있다. 또한, 여행에 익숙한 사용자라 하더라도 좀 더 색다르고 계획적인 자신만의 여행 상품을 원하기 때문에 기존의 여행사가 제공하는 여행상품으로는 이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없다.
근래에는 인터넷을 비롯한 통신 산업의 발달로 인해, 여행자가 인터넷을 이용하여 여행 전에 미리 각각의 여행지에 대한 사전 정보를 입수하고, 이를 바탕으로 여행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지만,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여행지에 대한 정보량이 한정적이므로 자신의 여행 테마에 부합한 여행지를 선택하고 선택한 여행지에 따라 여행 일정을 수립하는 것은 여전히 어렵고 번거로운 문제로 남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각 국가 및 지역별 여행 정보를 여행 테마에 부합하게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보다 체계적인 여행 일정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여행 테마에 부합하게 작성하여 제공한 여행 일정을 사용자의 개별적인 취향이나 사정에 따라 변경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맞춤형의 여행 일정을 작성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여행 일정 작성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데이터베이스 포맷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여행 일정 작성 시스템에서 여행 일정 작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여행 일정 작성 시스템을 이용한 여행 일정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여행 일정 작성 시스템100 : 여행지 관리 수단
102 : 일정 생성 수단104 : 일정 편집 수단
106 : 사용자 관리 수단110 : 데이터베이스
112 : 여행테마 데이터베이스114 : 지역별 여행지 데이터베이스
116 : 여행지 정보 데이터베이스118 : 여행일정 데이터베이스
120 :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22 : 가중치 리스트 DB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세분화된 여행 테마를 설정하여 두고 컴퓨터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에게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여행 일정을 제공하기 위한 여행 일정 작성 시스템으로서, 여행지의 위치 정보 및 특성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여행지 관리 수단; 상기 여행 테마에 따라 각각의 여행지가 갖는 포인트 및 상기 여행 테마별로 상기 각각의 여행지에 대하여 설정한 가중치를 기반으로 각 여행지가 상기 여행 테마에 따라 차지하는 적합도를 추출하고, 상기 여행지의 테마별 적합도에 따라 상기 여행지의 조합인 단위일정을 생성한 후, 상기 단위일정의 조합에 의해 총 여행기간에 따른 전체 일정을 생성하기 위한 일정 생성 수단;및 상기 일정 생성 수단에서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시한 여행 일정에 대하여 사용자가 수정을 요구할 경우 사용자의 임의대로 여행 일정을 변경하도록 하기 위한 일정 편집 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여행 일정 작성 시스템은 상기 여행 테마를 항목별로 저장하기 위한 여행 테마 데이터베이스; 상기 여행지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지역별 여행지 데이터베이스; 상기 여행지의 여행 테마에 따른 포인트, 상기 여행지 소개, 상기 여행지를 여행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 시간 제약 조건, 여행지 특성에 따른 분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여행지 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일정 생성 수단에서 생성한 여행 일정을 저장하기 위한 여행 일정 데이터베이스;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여행 일정 작성 시스템은 PDA와 같은 휴대형 단말기의 롬(ROM) 바이오스에 저장하거나 CD-롬으로 제작하는 등 모든 가능한 기록매체 형태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여행 일정 작성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여행 일정 작성 시스템(10)은 여행지 관리 수단(100), 일정 생성 수단(102), 일정 편집 수단(104) 및 사용자 관리 수단(106)과 데이터베이스(11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데이터베이스(110)는 여행 테마 DB(112), 지역별 여행지 DB(114), 여행지 정보 DB(116), 여행 일정 DB(118), 사용자 DB(120) 및 가중치 리스트 DB(122)를 포함하는데, 이들 DB들은 각각 하나의 테이블로 구성할 수도 있고 복수의 테이블로 구성할 수도 있다.
여행지 관리 수단(100)은 여행지가 속해 있는 대륙, 국가, 지역 등의 위치 정보를 지역별 여행지 DB(114)에 저장하는 한편, 여행 테마(자연, 낭만, 학습, 문화 등)에 따른 포인트, 여행지 소개, 여행 소요 시간, 시간 제약 조건, 여행지 특성에 따른 분류 정보 등을 여행지 정보 DB(116)에 저장하고, 새로운 여행지가 추가되거나 기존의 여행지 정보가 변경되면 데이터베이스(110)를 갱신한다.
여기에서, 시간 제약 조건이란 특정 여행지에 대하여 반드시 오전(또는 오후나 야간)에 여행해야 한다거나 어느 시간이건 제약 없이 방문해도 무방하다는 조건 등 시간에 따른 여행 제약 조건을 나타낸다. 또한, 여행지 특성에 따른 분류 정보는 여행 일정을 수립할 때 유사한 장소가 중복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여행지의 특성(박물관, 놀이공원, 등산지 등)에 따라 각각의 여행지를 분류한 것을 의미한다.
일정 생성 수단(102)은 여행 테마에 따라 각 여행 테마별 가중치 및 각 여행지의 테마별 포인트를 기반으로 각각의 여행지가 여행 테마별로 어느 정도 적합한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여행 테마별 가중치는 여행을 계획할 때 여행 테마에 각각 얼만큼 중점을 두고 있는지 결정하여 부여하는 것으로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하도록 하거나, 여행 일정 작성 시스템(10)의 여행지 정보 DB(116)에 여행 테마별로 다양한 가중치를 책정한 가중치 리스트를 가중치 리스트 DB(122)에 저장하여 두고 사용자에게 가중치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테마별 가중치 리스트를 미리 책정해 두는 경우, 각각의 여행지가 여행 테마별로 어느 정도적합한지를 판단한 결과 즉, 여행지의 테마별 가중치 평균값을 여행지 정보 DB(116)에 저장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정 생성 수단(102)은 여행지의 테마별 가중치 평균값 및 여행 테마별 가중치에 따라 지역별 가중치 평균값을 결정하고, 각 지역별로 해당 지역에 속해 있는 여행지의 여행 소요 시간, 시간 제약 조건, 여행지 분류 정보 등을 참조하여 지역 내에 속해 있는 여행지의 조합으로 모든 가능한 단위 일정을 수립한다. 그리고, 수립된 단위 일정에 대하여 여행 테마별 가중치 및 단위 일정별 소요시간을 고려하여 모든 단위 일정에 대하여 단위 일정별 가중치 평균값을 계산한다.
아울러, 일정 생성 수단(102)은 총 여행기간에 맞추어 모든 단위 일정의 조합으로 모든 가능한 전체 일정을 수립한다. 그리고, 조합된 전체 일정에 대하여 단위 일정별 가중치 평균값 및 총 여행기간에 따라 전체 일정별 가중치 평균값을 계산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여행 지역은 여행 일정 생성 전 사용자의 선택으로 결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사용자가 선택한 지역에 속해 있는 여행지에 대해서만 여행지 테마별 가중치 평균값을 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단위 일정을 수립하고 가중치 평균값을 계산한 다음, 이를 바탕으로 총 여행기간에 맞는 전체 일정 및 전체 일정별 가중치 평균값을 계산한다.
일정 편집 수단(104)은 일정 생성 수단(102)에서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시한 여행 일정에 대하여 사용자가 수정을 요구할 경우 사용자의 임의대로 여행 일정을 변경하도록 한다.
사용자 관리 수단(103)은 여행 일정 작성 시스템(10)에 회원으로 가입한 사용자의 정보를 사용자 DB(120)에 저장하고, 해당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생성한 여행 일정 내역을 사용자별로 저장하였다가 사용자의 요구가 있을 때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데이터베이스 포맷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2a는 지리정보 데이터베이스의 포맷을 나타내고, 도 2b는 여행지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포맷을 나타낸다.
도 2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여행지의 위치 정보는 대분류로부터 소분류(대륙-국가-지역)로 세분화하여 위치정보 필드(20)에 저장한다.
도 2b를 참조하면, 여행지 정보 데이터베이스 포맷은 해당 여행지의 이름을 나타내는 여행지명 필드(22), 해당 여행지가 각 테마별로 어느 정도 적합한지를 나타내는 테마별 포인트 필드(24), 해당 여행지를 여행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나타내는 소요시간 필드(26), 여행지를 방문함에 있어서 어떤 특정 시간대에 방문해야 하는지를 나타내는 시간 제약 필드(28), 가중치 리스트 DB(122) 및 테마별 포인트 필드(24)를 참조하여 계산한 여행지의 테마별 가중치 평균 필드(30), 해당 여행지의 특성(박물관, 놀이 공원, 등산지 등)에 따라 분류한 분류 정보 필드(32) 및 해당 여행지의 유래, 시설정보, 이용 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소개 필드(34)로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여행 일정 작성 시스템에서 일정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여행 테마별 가중치(, 1≤m≤n, n=가중치 조합의 수, 1≤i≤t, t=여행테마의 수)를 설정하는데, 이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하도록 하거나, 여행 일정 작성 시스템의 가중치 리스트 DB(122)에 미리 설정하여 저장해 두고 사용자에 의해 다수의 가중치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S101). 다수의 여행 테마별 가중치()는 [수학식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이후, 여행 테마별 가중치()와 여행지의 테마별 포인트(, 1≤j≤r, r=여행지의 수)를 참조하여 여행지의 테마별 가중치 평균()을 계산한다(S102). 여기에서, 여행지의 테마별 포인트()는 [수학식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또한, j번째 여행지에서 m번째 가중치 조합을 적용한 경우, j번째 여행지의 테마별 가중치 평균()은 [수학식 3]과 같이 나타내어진다.
이와 같이 하여, 테마별 가중치에 따라 각 여행지가 각 테마별로 갖는 가중치를 계산하고 난 후에는 여행지의 테마별 가중치 평균에 따라 각 지역별 가중치 평균(A(Rxy)jm, 1≤x≤d, d=지역의 수, 1≤y≤p, p=x지역에 속한 여행지의 수)을 계산한다(S103). 예를 들어, x지역에 속해있는 모든 여행지 각각에 대하여 m번째 조합의 가중치를 적용하였다고 하면, x지역의 테마별 가중치 평균(APji(Rxy)), x지역의 각 여행지를 여행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Txy), x지역에 속해있는 모든 여행지를 여행하는 데 소요되는 총 시간을 고려하여 x지역에 속한 모든 여행지에 대한 지역별 가중치 평균은 [수학식 4]와 같다.
[수학식 4]에 의해 지역별 가중치 평균을 계산하게 되면 설정한 여행 테마별 가중치에 적합한 순으로 지역을 정렬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각 지역별로 해당 지역에 속해 있는 각 여행지의 여행 소요 시간, 시간 제약 조건, 여행지 분류 정보 등을 참조하여 지역 내에 속해 있는 여행지의조합으로 모든 가능한 단위 일정을 수립하고, 수립된 단위 일정에 대하여 여행 테마별 가중치 및 단위 일정별 소요시간을 고려하여 모든 단위 일정에 대하여 단위 일정별 가중치 평균값(ACiw, 1≤w≤k, k=단위일정 조합의 수)을 계산한다(S104).
단위 일정 수립을 위하여 각 여행지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할 때 [표 1]에 나타낸 예와 같이 각 여행지의 여행 소요 시간을 정수 코드로 나타내고, 시간 제약 조건을 3비트 코드로 나타내며, 여행지 분류 정보를 정수 코드로 나타낼 수 있다.
여행소요시간 시간제약조건 여행지분류정보
0 NULL 000 NULL 0 NULL
1 1/3일 001 오전만 가능 1 등산
2 2/3일 010 오후만 가능 2 놀이공원
3 1일 011 오전, 오후가능 3 산책
6 2일 100 야간만 가능 4 관람
9 3일 101 오전, 야간가능 5 수영
12 4일 110 오후, 야간가능 6 쇼핑
111 언제나 가능
만약, 하루 단위의 일정을 수립한다고 가정하면, 먼저 시간 제약 조건 코드가 '001'인 여행지를 우선으로 하여 '011', '101', '111'인 여행지들(제1 여행지)을 선택한다. 이후, 시간 제약 조건 코드가 '010'인 여행지를 우선으로 하여 '011', '110', '111'인 여행지(제2 여행지)들을 선택하는데, 이때 제1 여행지의 여행 소요 시간 코드를 참조하여, 단위일정에 소요되는 총 시간에서 제1 여행지를 여행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제외한 시간 동안 여행할 수 있는 여행지만을 선택한다. 동시에, 제1 여행지의 여행지 분류 정보 코드를 참조하여 제1 여행지의 분류 정보 코드와 중복되지 않는 코드를 갖는 제2 여행지를 선택한다.
즉, 시간 제약 조건을 참조하여 제1 여행지를 선택하고, 시간 제약 조건을참조하여 제2 여행지를 선택하되, 여행 소요 시간을 참조하여 단위 일정의 총 시간에서 제1 여행지의 여행 소요시간을 제외한 시간동안 여행 가능하고 여행지 분류 정보가 제1 여행지와 중복되지 않는 여행지를 선택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단위 일정을 수립하고 난 후에는 단위 일정별 가중치 평균값을 계산하는데 이 과정은 모든 지역에 대하여 수행하거나 지역별 가중치 평균값이 높은 수 개의 지역에 대해서만 수행한다.
예를 들어, x지역에 대해서 모든 가능한 단위일정 조합의 수를 k라 할 때, m번째 조합의 가중치를 적용한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x지역의 w번째 단위일정 내에 속해 있는 각 여행지의 테마별 가중치 평균(APjm(Rx)ws, 1≤s≤c, c=w번째 단위일정 내에 속해 있는 여행지의 수)에 대하여 w번째 단위일정 내에 속해 있는 각 여행지를 여행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Ds라 하면, x지역의 w번째 단위일정에 대한 테마별 가중치 평균값(ACmk(Rx))은 [수학식 5]와 같다.
이와 같이, 각각의 지역에 따라 단위일정별 가중치 평균값을 계산하고 난 후에는 총 여행기간에 맞추어 모든 단위일정을 조합하여 전체 일정(1≤L≤TL, TL=전체일정의 수)을 수립하고, 이에 따른 전체 일정별 가중치 평균을 계산한다(S105).
이를 위하여, m번째 조합의 가중치를 적용한 경우의 [수학식 5]를 간단히ACmw(1≤w≤k, k=단위일정 조합의 수)이라 하고, L번째 전체 일정에 포함되는 각 단위일정(1≤q≤Q, Q=L번째 전체 일정에 포함되는 단위일정의 수)에 대한 테마별 가중치 평균값을 ACqmL로 나타내기로 한다. 또한, L번째 전체 일정에 포함되는 각 단위일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LCq_time라 하면, L번째 전체 일정에 대한 테마별 가중치 평균(ASmL)은 [수학식 6]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6]에 의해 전체 일정에 따른 테마별 가중치 평균값이 계산되면, 전체 일정별 가중치 평균값이 높은 순으로 여행 일정을 제공하는데, 이때에는 전체 일정을 구성하는 단위 일정을 단위일정별 가중치 평균값 순으로 저장한다(S106). 즉, 단위일정의 조합 중 가중치 평균값이 높은 조합(전체 일정)만을 제공하고, 각 조합에 대한 단위 일정의 순서는 결정하지 않는다. 다음에, 작성된 여행 일정이 적합한지 점검한다(S107).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여행 일정 작성 시스템에서 여행 일정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사용자가 컴퓨터를 이용하여 인터넷과 같은 통신망을 통해 여행 일정 작성 시스템에 접속하여 여행 일정을 수립하여 줄 것을 요청하면, 사용자에 의해 여행 테마 가중치를 설정하도록 한다(S201). 여기에서, 컴퓨터란 모뎀이 구비된 개인용컴퓨터, 휴대 전화기, PDA 등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여행 일정 작성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는 모든 단말기를 의미한다. 또한, 여행 테마별 가중치는 사용자 임의로 설정하여 입력하도록 하거나, 여행 일정 작성 시스템의 가중치 리스트에 저장된 테마별 가중치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한다. 테마별 가중치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여행하고자 하는 지역 정보를 사용자에 의해 선택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행 일정 작성 시스템은 설정된 여행 테마별 가중치와 여행지별 여행 테마에 따른 포인트를 기반으로 여행 일정을 생성한다(S202). 여행 일정 생성 과정은 도 2에서 설명한 과정을 따른다.
이후, 생성한 여행 일정을 사용자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하고(S203), 작성한 여행 일정이 만족스러운지 확인한다(S204). 만약 작성한 여행 일정을 만족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결과적인 여행 일정을 출력하고(S205).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에 의해 여행 일정을 편집할 수 있도록 한다(S206). 사용자는 설정된 여행 일정에 대해서 일정 순서를 변경하거나 새로운 여행지로 대체하는 등 자신이 원하는 대로 여행 일정을 편집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한 여행 일정 편집이 완료된 후에는 사용자가 작성한 단위 일정 및 전체 일정에 대한 테마별 가중치 평균을 계산하여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한 후(S207), 작성된 일정이 만족스러운지 확인하는 단계(S204)로 진행한다.
본 발명의 여행 일정 작성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는 여행 일정 작성 시스템에 의해 여행 테마에 부합하는 최적의 여행 일정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여행 기간동안 원하는 시간에 대한 스케줄을 변경할 수 있어 보다 체계적인 여행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여행하고자 하는 테마에 따라 여행 테마를 세분화하고, 각각의 여행 테마에 대한 가중치를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설정하도록 함으로써 여행 테마에 부합하는 최적의 여행 일정을 작성할 수 있다. 또한, 여행지에 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제공하기 때문에 여행 일정을 계획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여행 계획 일자, 지역, 여행 테마에 따라 실시간으로 여행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여행 일정 작성 시스템에서 수립하여 제공하는 여행 일정을 사용자 자신의 일정에 맞추어 편집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개성 및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맞춤형의 여행 일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여행 일정 작성 시스템을 PDA와 같은 휴대형 단말기의 롬(ROM) 바이오스에 저장하거나 CD-롬으로 제작하는 등 모든 가능한 기록매체 형태로 제작하는 경우 오프라인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여행일정을 수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여행 테마를 세분화하여 설정하여 두고 컴퓨터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에게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여행 일정을 제공하기 위한 여행 일정 작성 시스템으로서,
    여행지의 위치 정보 및 특성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여행지 관리 수단;
    상기 여행 테마에 따라 각각의 여행지가 갖는 포인트 및 상기 여행 테마별로 상기 각각의 여행지에 대하여 설정한 가중치를 기반으로 각 여행지가 상기 여행 테마에 따라 차지하는 적합도를 추출하고, 상기 여행지의 테마별 적합도에 따라 상기 여행지의 조합인 단위일정을 생성한 후, 상기 단위일정의 조합에 의해 총 여행기간에 따른 전체 일정을 생성하기 위한 일정 생성 수단; 및
    상기 일정 생성 수단에서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시한 여행 일정에 대하여 사용자가 수정을 요구할 경우 사용자의 임의대로 여행 일정을 변경하도록 하기 위한 일정 편집 수단;
    을 구비하는 여행 일정 작성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여행 일정 작성 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를 더 구비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여행 일정 작성 시스템은 상기 여행 테마를 항목별로 저장하기 위한 여행 테마 데이터베이스;
    상기 여행지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지역별 여행지 데이터베이스;
    상기 여행지의 여행 테마에 따른 포인트, 상기 여행지 소개, 상기 여행지를 여행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 시간 제약 조건, 여행지 특성에 따른 분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여행지 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일정 생성 수단에서 생성한 여행 일정을 저장하기 위한 여행 일정 데이터베이스;
    를 더 구비하는 여행 일정 작성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여행 테마별로 설정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중치 리스트 데이터베이스를 더 구비하는 여행 일정 작성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여행 테마별로 설정한 가중치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하도록 하거나, 상기 여행 일정 작성 시스템에서 여행 테마별로 책정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중치 리스트를 생성하여 두고 상기 사용자에게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가중치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는 여행 일정 작성 시스템.
  5. 세분화된 여행 테마 정보, 여행지의 위치 정보, 시간 제약 조건, 여행 소요 시간, 여행지 분류 정보를 보유하고 있으며, 컴퓨터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에게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여행 일정을 제공하기 위한 여행 일정 작성 방법으로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여행 테마별 가중치를 설정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여행 테마별 가중치와 상기 여행지별 여행 테마에 따른 포인트에 따라 여행지의 테마별 가중치 평균을 추출하는 단계;
    특정 지역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지에 대하여 상기 여행지의 테마별 가중치 평균을 참조하여, 상기 특정 지역에 대한 지역별 가중치 평균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지역별 여행지에 대하여 단위 일정을 수립하고, 상기 단위 일정을 여행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 및 상기 단위 일정을 구성하는 각 여행지의 테마별 가중치 평균에 의해 단위일정별 가중치 평균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지역별 단위일정에 대하여 총 여행기간에 따른 전체 일정을 수립하고, 상기 전체 일정을 여행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 및 상기 전체 일정을 구성하는 각 단위일정의 테마별 가중치 평균에 의해 전체 일정별 가중치 평균을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여행 일정 작성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여행 테마별 가중치 설정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하도록 하거나, 상기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중치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가중치 리스트를 선택하도록 하는 여행 일정 작성 방법.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여행 테마별 가중치 설정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여행지 위치 정보를 더 입력하도록 하는 여행 일정 작성 방법.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별 여행지에 대하여 단위 일정을 수립하는 단계는 상기 여행지의 시간 제약 조건을 참조하여 제1 여행지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여행지의 시간 제약 조건을 참조하여 제2 여행지를 선택하되, 여행지의 여행 소요 시간을 참조하여 상기 단위 일정의 총 시간에서 상기 제1 여행지의 여행 소요 시간을 제외한 시간동안 여행 가능하며, 여행지 분류 정보가 상기 제1 여행지와 중복되지 않는 여행지를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여행 일정 작성 방법.
  9. 세분화된 여행 테마 정보, 여행지의 위치 정보 및 특성 정보를 보유하고 있으며,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여행 일정을 제공하기 위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여행 테마별 가중치를 설정하도록 하는 기능;
    상기 여행 테마별 가중치와 상기 여행지별 여행 테마에 따른 포인트에 따라 여행지의 테마별 가중치 평균을 추출하는 기능;
    특정 지역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행지에 대하여 상기 여행지의 테마별 가중치 평균을 참조하여, 상기 특정 지역에 대한 지역별 가중치 평균을 추출하는 기능;
    상기 지역별 여행지에 대하여 단위 일정을 수립하고, 상기 단위 일정을 여행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 및 상기 단위 일정을 구성하는 각 여행지의 테마별 가중치 평균에 의해 단위일정별 가중치 평균을 추출하는 기능; 및
    상기 지역별 단위일정에 대하여 총 여행기간에 따른 전체 일정을 수립하고, 상기 전체 일정을 여행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 및 상기 전체 일정을 구성하는 각 단위일정의 테마별 가중치 평균에 의해 전체 일정별 가중치 평균을 추출하는 기능;
    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10070865A 2001-11-14 2001-11-14 여행 일정 작성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3980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0865A KR20030039806A (ko) 2001-11-14 2001-11-14 여행 일정 작성 시스템 및 방법
PCT/KR2002/001059 WO2003042883A1 (en) 2001-11-14 2002-06-04 System and method for preparing travel sche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0865A KR20030039806A (ko) 2001-11-14 2001-11-14 여행 일정 작성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9806A true KR20030039806A (ko) 2003-05-22

Family

ID=19715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0865A KR20030039806A (ko) 2001-11-14 2001-11-14 여행 일정 작성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30039806A (ko)
WO (1) WO200304288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911B1 (ko) * 2005-10-17 2007-05-0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등산 코스 안내 서비스 방법
KR20190021188A (ko) * 2016-08-23 2019-03-05 핑안 테크놀로지 (션젼) 컴퍼니 리미티드 관광코스 계획방법, 계획 서버 및 저장 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31933A1 (de) * 2004-06-27 2006-02-09 Stiftung Alfred-Wegener-Institut Für Polar- Und Meeresforschung Rechnergestütztes Planungsverfahren für einen Reiseplan
US10554595B2 (en) * 2017-05-22 2020-02-04 Genesys Telecommunications Laboratories, Inc. Contact center system and method for advanced outbound communications to a contact group
US11200485B2 (en) 2017-05-22 2021-12-14 Genesys Telecommunications Laboratories, Inc. Contact center system and method for advanced outbound communications to a contact group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4475A (ja) * 1996-01-24 1997-08-05 Toyota Motor Corp 旅行計画作成装置
JPH10247213A (ja) * 1997-03-05 1998-09-1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観光案内情報提供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000049779A (ko) * 2000-04-28 2000-08-05 하찬호 인터넷을 이용한 실시간 맞춤 여행설계 및 예약 프로그램
KR20000072090A (ko) * 2000-07-26 2000-12-05 임동일 통합형 문화여행정보 시스템
JP2001282893A (ja) * 2000-04-03 2001-10-12 Hitachi Ltd 旅行プランの提供方法および旅行プラン提供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48040A (en) * 1994-06-24 1999-09-07 Delorme Publishing Co. Travel reservation information and planning system
WO1997006522A1 (fr) * 1995-08-09 1997-02-20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Dispositif d'elaboration de programme de voyage
JPH09198439A (ja) * 1996-01-22 1997-07-31 Toyota Motor Corp 旅行計画作成システム
JP3215082B2 (ja) * 1998-02-12 2001-10-02 翼システム株式会社 旅行計画作成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JPH11353381A (ja) * 1998-06-09 1999-12-24 Tsubasa System Kk 旅行計画作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KR19990078636A (ko) * 1999-07-16 1999-11-05 김유삼 인터넷을통한여행팩키지자동구성시스템
KR20010084058A (ko) * 2000-02-23 2001-09-06 홍성원 인터넷을 통한 여행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4475A (ja) * 1996-01-24 1997-08-05 Toyota Motor Corp 旅行計画作成装置
JPH10247213A (ja) * 1997-03-05 1998-09-1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観光案内情報提供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1282893A (ja) * 2000-04-03 2001-10-12 Hitachi Ltd 旅行プランの提供方法および旅行プラン提供装置
KR20000049779A (ko) * 2000-04-28 2000-08-05 하찬호 인터넷을 이용한 실시간 맞춤 여행설계 및 예약 프로그램
KR20000072090A (ko) * 2000-07-26 2000-12-05 임동일 통합형 문화여행정보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911B1 (ko) * 2005-10-17 2007-05-0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등산 코스 안내 서비스 방법
KR20190021188A (ko) * 2016-08-23 2019-03-05 핑안 테크놀로지 (션젼) 컴퍼니 리미티드 관광코스 계획방법, 계획 서버 및 저장 매체
US10782139B2 (en) 2016-08-23 2020-09-22 Ping An Technology (Shenzhen) Co., Ltd. Method of planning travel route, planning server, and storage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042883A1 (en) 2003-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19716B1 (en) Apparatus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required for meeting with desired person while travelling
US6732080B1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personal calendar services
US2007018574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travel guides and itineraries over a distributed network
CN110175722A (zh) 旅游行程规划系统
KR101758252B1 (ko) 여행 일정 서비스 제공 방법
JPH10501904A (ja) サービスオーダー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CN105761175A (zh) 旅游路线订制方法和服务器
US20110302048A9 (en) Method and a system for generating a custom itinerary according to user specifications
US20150294238A1 (en) Travel planning system
JP2002073756A (ja) 旅行案内提供装置および旅行案内提供システム並びにそれらのプログラム記録媒体
CN104636457B (zh) 一种位置搜索认知的方法及装置
KR20220082172A (ko) 고객맞춤형 여행 스케줄링 가상현실 플랫폼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JP2002197150A (ja) 旅行スケジュール提供システム
US20160146608A1 (en) Automatic tour guiding method
KR20030039806A (ko) 여행 일정 작성 시스템 및 방법
JP4268973B2 (ja) 混合整数計画問題を用いて旅行計画を自動的に作成するための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010047239A1 (en) System for proposing plans
US20040068520A1 (e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JPH0696085A (ja) スケジュール管理装置
JP2004177999A (ja) 旅程作成システム,旅程作成装置,旅程作成方法及び旅程作成プログラム
JPH09218643A (ja) 旅行計画出力装置
TW202103067A (zh) 旅遊行程資訊處理方法及其應用系統
Ho et al. Constructing a customized travel scheduling recommendation service based on personal preference and special requirements
KR20150010505A (ko) 온라인 상에서 여행 일정표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EP2930673A1 (en) Travel plann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