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8964A - 양이온성 기능기를 갖는 셀룰로오스계 흡착제와 이의재생방법 - Google Patents

양이온성 기능기를 갖는 셀룰로오스계 흡착제와 이의재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8964A
KR20030038964A KR1020010069748A KR20010069748A KR20030038964A KR 20030038964 A KR20030038964 A KR 20030038964A KR 1020010069748 A KR1020010069748 A KR 1020010069748A KR 20010069748 A KR20010069748 A KR 20010069748A KR 20030038964 A KR20030038964 A KR 200300389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ulose
adsorbent
quaternary ammonium
cationic
dy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9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1005B1 (ko
Inventor
이윤식
윤제용
류선종
변장웅
최유식
김석재
임학규
이상명
이동민
허석창
한광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유니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유니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유니드
Priority to KR10-2001-0069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1005B1/ko
Publication of KR20030038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89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1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10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B01J20/24Naturally occurring macromolecular compounds, e.g. humic acids or their deriva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04Sorbent size or size distribution, e.g. particle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042Use of binding agents; addition of materials ameliorat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produced sorb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4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45Regenerating or reactivating using a particular desorbing compound or mixture
    • B01J20/3475Regenerating or reactivating using a particular desorbing compound or mixture in the liquid pha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이온성 기능기를 갖는 셀룰로오스계 흡착제와 이의 재생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셀룰로오스를 알카리 촉매하에서 에폭사이드, 이소시아네이트, 이소티오시아네이트, 아실 할로, 할로겐 및 안하이드라이드 중에서 선택된 기능기를 두 개 이상 포함하는 화합물로 가교반응시킨 후 양이온성 기능기를 갖는 4급암모늄화합물과 반응시켜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흡착제를 제조함으로써, 종래 염료의 흡착제에 비해 흡착 속도와 흡착량이 매우 커 폐수처리 공정을 크게 개선할 수 있고 흡착제의 재생이 용이하여 폐기물의 처리에 대한 부담이 적으므로 환경친화적이며 경제적인 양이온성 기능기를 갖는 셀룰로오스계 흡착제와 이의 재생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양이온성 기능기를 갖는 셀룰로오스계 흡착제와 이의 재생방법{Preparation of cellulose-based adsorbents containing the quaternary ammonium functional groups and their recycling methods}
본 발명은 양이온성 기능기를 갖는 셀룰로오스계 흡착제와 이의 재생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셀룰로오스를 알카리 촉매하에서 에폭사이드, 이소시아네이트, 이소티오시아네이트, 아실 할로, 할로겐 및 안하이드라이드 중에서 선택된 기능기를 두 개 이상 포함하는 화합물로 가교반응시킨 후 양이온성 기능기를 갖는 4급암모늄화합물과 반응시켜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흡착제를 제조함으로써, 종래 염료의 흡착제에 비해 흡착 속도와 흡착량이 매우 커 폐수처리 공정을 크게 개선할 수 있고 흡착제의 재생이 용이하여 폐기물의 처리에 대한 부담이 적으므로 환경친화적이며 경제적인 양이온성 기능기를 갖는 셀룰로오스계 흡착제와 이의 재생방법에 관한 것이다.
염색 공정 후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난분해성 염색폐수는 그 성분이 일반적으로 매우 복잡하여 염료나 매염제 이외에 호제 및 세제류 등이 다량 포함되어 있다. 또한 작업 공정의 가동상황에 따라 수질의 일간 변동이 큰 특징을 가지고 있다. 염색 폐수 중의 오염성분은 일반적으로 분해성이 나쁘며, 특히 폐수 중 염료는 미생물에 대한 독성과 저해성을 가지는 성분이 많다.
이러한 염료폐수 처리에는 크게 화학적, 물리적, 생물학적 처리방법과 같은 기초적 처리 공정과 최종 고도처리 등 다양한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효과적인 폐수 처리 시스템이 확립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그 중 화학적 처리방법은 화학 단위 공정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대표적으로 산화제를 사용하여 오염 물질을 화학적으로 분해시켜 폐수 중의 오염원 농도를 낮추는 산화처리 공정이 있다. 화학약품으로는 과산화수소수 등의 산화제가 주로 사용되며, 최근 오존(ozone, O3) 등이 새롭게 각광받고 있으나 처리 후 유독성 부산물을 생성하는 경우가 있으며, 분해된 후 생성된 물질이 폐수 중에 그대로 존재하므로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자체가 크게 낮아지지 않는 단점이 있다.
생물학적 처리방법으로는 폭기조(泡起槽, aeration tank) 내에서 미생물을 이용하여 폐수를 처리하는 방법이 있으며, 이는 시설의 설치공간이 많이 요구되며, 처리 시간이 길고 미생물의 활성 유지를 위한 여러 조건들을 만족해야 하고 계절에 따른 처리능의 변동폭이 크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산화법을 응용한 화학적 처리방법이나 생물학적 처리방법은 처리 후의 색도 제거가 완전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물리적 처리방법에서는 활성탄 흡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Nikolaevsky, R.; Monosov, M.; Monosov, E.; Sharony, E.; Gurevich, D. 미국특허 제5,792,336호 (1998)] 사용한 활성탄의 재생 및 폐기 문제가 뒤따른다.
따라서, 최근 산업폐수의 색도 제거 문제가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추세를 감안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완전하게 해결하고, 실제로 상업적 이용이 가능한 새로운 흡착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셀룰로오스를 알카리 촉매하에서 에폭사이드, 이소시아네이트, 이소티오시아네이트, 아실 할로, 할로겐 및 안하이드라이드 중에서 선택된 기능기를 두 개 이상 포함하는 화합물로 가교반응시킨 후 양이온성 기능기를 갖는 4급암모늄화합물과 반응시켜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흡착제를 제조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염료에 대한 흡착 성능이 우수하고, 흡착 속도와 흡착량이 매우 커 폐수처리 공정을 크게 개선할 수 있고 흡착제의 재생이 용이한 양이온성 기능기를 갖는 셀룰로오스계 흡착제와 이의 재생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셀룰로오스를 알카리 촉매하에서 에폭사이드, 이소시아네이트, 이소티오시아네이트, 아실 할로, 할로겐 및 안하이드라이드 중에서 선택된 기능기를 두 개 이상 포함하는 화합물로 가교반응시킨 후, 4급암모늄화합물과 반응시켜 얻은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흡착제를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염료가 흡착된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흡착제를 NaCl, HCl 및 구아니딘 중에서 선택된 것으로 처리하여 흡착제를 재생하는 방법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셀룰로오스를 알카리 촉매하에서 에폭사이드, 이소시아네이트, 이소티오시아네이트, 아실 할로, 할로겐 및 안하이드라이드 중에서 선택된 기능기를 두 개 이상 포함하는 화합물로 가교반응시킨 후 양이온성 기능기를 갖는 양이온성 기능기를 갖는 4급암모늄화합물과 반응시켜 얻은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흡착제와 상기 흡착제를 염료 폐수 처리에 사용한 후 재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흡착제의 기반물질로는 천연 고분자의 일종인 셀룰로오스를 사용한다. 상기 셀룰로오스는 50 ∼ 100 μm의 입자 또는 침상 형태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셀룰로오스에 각종 양이온성 기능기를 도입하기 위해 먼저 셀룰로오스를 가교반응시킨다. 가교반응은 대개 알카리 촉매하에서 양쪽 기능기를 갖는 화합물을 이용하여 반응시키며, 이는 양이온성 기능기가 도입된 셀룰로오스가 물에 녹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가교반응을 통해 흡착제의 기계적인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가교반응에 사용되는 화합물인 에폭사이드(epoxide),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 이소티오시아네이트(isothiocyanate), 아실 할로(acyl halide), 할로겐(halogen), 안하이드라이드(anhydride) 기능기를 두 개 이상 포함하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화합물 중 가장 경제적인 가격으로 쉽게 구할 수 있는 에폭사이드 기능기를 갖는 에피클로로 히드린, 글리세롤디글리시딜에테르 및 폴리에틸렌디글리시딜에테르 중에서 선택된 화합물로 가교반응시키는 것이 좋다. 그리고,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화합물로는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Hexamethylene diisocyanate) 류의 지방족 화합물, 톨루엔 2.4-디이소시아네이트(Toluene 2,4-diisocyanate) 류의 방향족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소티오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화합물로는 헥사메틸렌 디이소티오시아네이트(Hexamethylene diisothiocyanate) 류의 지방족 화합물, 톨루엔 2.4-디이소티오시아네이트(Toluene 2,4-diisothiocyanate) 류의 방향족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아실 할로기를 갖는 화합물로는 포스젠(Phosgen), 트리포스젠(Triphosgen) 류의 아실 할로 화합물, 아디포일 클로라이드(Adipoyl chloride) 류의 지방족 화합물, 테레프탈로일 클로라이드(Terephthaloyl chloride) 류의 방향족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할로겐기를 갖는 화합물로는 1.4-디클로로부탄(1,4-Dichlorobutane) 류의 지방족 화합물, α,α'-디클로로-p-자일렌(α,α'-Dichloro-p-xylene) 류의 방향족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안하이드라이드기를 갖는 화합물로는 1,2,4,5-벤젠테트라카르복실릭 디안하이드라이드(1,2,4,5-Benzenetetracarboxylic dianhydride) 류의 방향족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교반응시 가교도는 약 1 ∼ 50%가 바람직하고, 만일 가교도가 1% 미만인 경우에는 셀룰로오스의 용해를 완전히 방지할 수 없으며, 기계적인 강도가 낮아서 처리공정에서 응용할 수 없다. 또한 가교도가 5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셀룰로오스 기본 골격 사이의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아 반응물의 물질 전달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며, 이에 따라 기능기 도입 수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폐수 안에 존재하는 염료를 흡착할 때에도 이와 같은 물질 전달 문제가 발생하여 흡착능이 저하된다. 그리고, 상기 알칼리 촉매로는 NaOH, KOH, Na2CO3, K2CO3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가교된 셀룰로오스에 양이온성 기능기를 갖는 4급암모늄화합물을 첨가하여 반응시켜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흡착제를 제조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4급암모늄화합물로 글리시딜 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또는 3-클로로-2-히드록시프로필 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대개 염료폐수에 존재하는 염료는 음이온성 기능기를 가지고 물 속에 용해되어 있는데,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흡착제의 도입된 양이온성 기능기는 이러한 음이온성의 염료들과 정전기적 인력이 작용하여 흡착능을 보인다. 따라서, 양이온성 반응기의 도입량이 커질수록 흡착능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일정 수준 이상의 기능기 도입량에서는 더 이상의 흡착능 증가가 나타나지 않는데, 이는 흡착제 표면에 염료가 흡착할 수 있는 공간이 포화상태에 이르렀기 때문이다. 상기에서 양이온성 기능기의 함량은 0.2 ∼ 2.0 mmol/g로 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만일 그 함량이 0.2 mmol/g 미만이면 폐수에 존재하는 염료에 대한 흡착능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흡착제는 0.01 ∼ 5 mm의 분말형 또는 과립형으로 염색 폐수에 사용하면 폐수 중의 오염원을 빠른 시간 내에 효율적으로 흡착하여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흡착제를 염색 폐수에 사용하고 난 후 염료가 흡착된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흡착제를 NaCl, HCl 및 구아니딘 중에서 선택된 것으로 처리하여 흡착제를 재생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염료가 흡착된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흡착제를 0.1 ∼ 10N 농도의 NaCl, HCl 및 구아니딘 수용액으로 상온에서 일정 시간동안 세척함으로써 재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겠는 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셀룰로오스(50 μm의 입자 형태) 10.0 g과 NaOH 2.5 g을 반응기에 넣고 증류수 50.0 mL를 가하고 여기에 에피클로로 히드린(Epichlorohydrin) 2.4 mL를 가한 후 가열하면서 가교시켰다. 가교 반응된 셀룰로오스에 글리시딜트리메틸암모니움클로라이드(Glycidyl trimethyl ammonium chloride, GTMAC) 12.0 mL를 가하고 계속 반응시켜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흡착제를 제조하였다. 반응 후 여과하여 증류수와 메탄올로 세척하고 건조하였다.
실시예 2.
셀룰로오스(50 μm의 입자 형태) 10.0 g과 NaOH 2.5 g을 반응기에 넣고 증류수 50.0 mL를 가하고 여기에 글리세롤디글리시딜에테르(Glycerol diglycidyl ether) 5.0 mL를 가한 후 가열하면서 가교시켰다. 가교 반응된 셀룰로오스에 GTMAC 12.0 mL를 가하고 계속 반응시켜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흡착제를 제조하였다. 반응 후 여과하여 증류수와 메탄올로 세척하고 건조하였다.
실시예 3.
셀룰로오스(50 μm의 입자 형태) 10.0 g과 NaOH 2.5 g을 반응기에 넣고 증류수 50.0 mL를 가하고 여기에 폴리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Poly(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9.0 g을 가한 후 가열하면서 가교시켰다. 가교 반응된 셀룰로오스에 GTMAC 12.0 mL를 가하고 계속 반응시켜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흡착제를 제조하였다. 반응 후 여과하여 증류수와 메탄올로 세척하고 건조하였다.
실시예 4.
셀룰로오스(50 μm의 입자 형태) 10.0 g과 NaOH 2.5 g을 반응기에 넣고 증류수 50.0 mL를 가하고 여기에 에피클로로 히드린(Epichlorohydrin) 2.4 mL를 가한 후 가열하면서 가교시켰다. 가교 반응된 셀룰로오스에 3-클로로-2-히드록시프로필 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3-Chloro-2-hydroxy)propyl trimethyl ammonium chloride) 20.0 mL를 가하고 계속 반응시켜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흡착제를 제조하였다. 반응 후 여과하여 증류수와 메탄올로 세척하고 건조하였다.
시험예 1.
실시예 1 ∼ 4에서 제조한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흡착제 25 mg을 각각 취해 반응기에 넣었다. 여기에 100 mg/L의 농도로 제조한 Congo Red 염료, Reactive Black 5 염료, Reactive Orange 16 염료, Reactive Red 4 염료, Reactive Yellow 2 염료, Reactive Red 2 염료, Re active Blue 19 염료 또는 Reactive Blue 4 염료 용액 50 ml을 각 반응기에 넣고 2시간 후 염료 용액의 흡광도를 UV/VIS 광도계(UV/VIS spectrophotometer)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로 종래 흡착제로 사용된 한국 삼천리 카보텍사 야자계 활성탄(비교예 1), 한국 삼천리 카보텍사 석탄계 활성탄(비교예 2), 미국 칼곤사 활성탄 F-300(비교예 3), 미국 칼곤사 활성탄 F-400(비교예 4), 독일 롬 & 하스사 음이온교환수지 앰버라이트 IRA-900(비교예 5), 독일 롬 & 하스사 음이온교환수지 앰버라이트 IRA-67(비교예 6) 및 독일 롬 & 하스사 음이온교환수지 듀올라이트 A-7(비교예 7)를 사용하여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 4의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흡착제를 사용한 경우 종래의 일반적인 무기계(無機係) 흡착제(비교예 1 ∼ 4)나 이온교환수지(비교예 5 ∼ 7)에 비해 염료 제거 효율이 뛰어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시험예 1에서 Reactive Black 5 염료를 흡착한 실시예 1의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흡착제 12.5 mg을 반응기에 넣고 1N NaCl 25 ml을 가했다. 2시간 후 용액의 흡광도를 UV/VIS 광도계(UV/VIS spectrophotometer)로 측정하였다. 1N NaCl 1회 처리 결과 흡착된 염료의 34.3%가 용액 중으로 용출되었다.
시험예 3.
시험예 1에서 Reactive Black 5 염료를 흡착한 실시예 1의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흡착제 12.5 mg을 반응기에 넣고 약 1N HCl 25 ml을 가했다. 2시간 후 용액의 흡광도를 UV/VIS 광도계(UV/VIS spectrophotometer)로 측정하였다. 1N HCl 1회 처리 결과 흡착한 염료의 13.0%가 용액 중으로 용출되었다.
시험예 4.
시험예 1에서 Reactive Black 5 염료를 흡착한 실시예 1의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흡착제 12.5 mg을 반응기에 넣고 약 1M 구아니딘(Guanidine) 25 ml을 가했다. 2시간 후 용액의 흡광도를 UV/VIS 광도계(UV/VIS spectrophotometer)로 측정하였다. 약 1N 구아니딘 1회 처리 결과 흡착한 염료의 78.0%가 용액 중으로 용출되었다.
시험예 2 ∼ 4의 결과로부터 알수 있는 바와 같이, 염료가 포함된 양이온성셀룰로오스를 NaCl 등의 염 수용액과 HCl 등의 산 수용액 또는 구아니딘과 같은 유기아민 수용액으로 처리하여 흡착제인 양이온성 셀룰로오스를 재생하여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이온성 기능기를 갖는 셀룰로오스 흡착제는 종래 염료의 흡착제에 비해 흡착 속도와 흡착량이 매우 커 폐수처리 공정을 크게 개선할 수 있고, 사용한 셀룰로오스 흡착제의 재생이 용이하여 폐기물의 처리에 대한 부담이 적으므로 환경친화적일 뿐만 아니라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Claims (5)

  1. 셀룰로오스를 알카리 촉매하에서 에폭사이드, 이소시아네이트, 이소티오시아네이트, 아실 할로, 할로겐 및 안하이드라이드 중에서 선택된 기능기를 포함하는 화합물로 가교반응시킨 후, 4급암모늄화합물과 반응시켜 얻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흡착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사이드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은 에피클로로히드린, 글리세롤디글리시딜에테르 또는 폴리에틸렌디글리시딜에테르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흡착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4급암모늄화합물은 글리시딜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또는 3-클로로-2-히드록시프로필 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흡착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제는 크기가 0.01 ∼ 5 mm의 분말형 또는 과립형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흡착제.
  5. 염료가 흡착된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흡착제를 NaCl, HCl 및 구아니딘 중에서 선택된 것으로 처리하여 흡착제를 재생하는 방법.
KR10-2001-0069748A 2001-11-09 2001-11-09 양이온성 기능기를 갖는 셀룰로오스계 흡착제와 이의재생방법 KR1004510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9748A KR100451005B1 (ko) 2001-11-09 2001-11-09 양이온성 기능기를 갖는 셀룰로오스계 흡착제와 이의재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9748A KR100451005B1 (ko) 2001-11-09 2001-11-09 양이온성 기능기를 갖는 셀룰로오스계 흡착제와 이의재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8964A true KR20030038964A (ko) 2003-05-17
KR100451005B1 KR100451005B1 (ko) 2004-10-02

Family

ID=29568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9748A KR100451005B1 (ko) 2001-11-09 2001-11-09 양이온성 기능기를 갖는 셀룰로오스계 흡착제와 이의재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100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32252A1 (en) * 2003-07-14 2005-04-14 Nederlandse Organisatie Voor Toegepast- Natuurwetenschappelijk Onderzoek Tno Polymer matrix for extending vase life of cut flowers
KR20180022056A (ko) * 2016-08-23 2018-03-06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항균 섬유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137187A (ko) * 2017-06-16 2018-12-27 주식회사 케이씨아이 과립 형상의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 및 그 제조방법
WO2023008903A1 (ko) * 2021-07-30 2023-02-02 씨제이제일제당(주)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생분해성 필름 및 생분해성 멀칭 필름
CN115672282A (zh) * 2022-10-13 2023-02-03 青岛科技大学 一种简易可再生的沼渣基阴离子吸附剂的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32465A (zh) * 2017-02-22 2017-05-31 李峰 一种高效吸附甲基橙染料的复合型水处理剂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2767B2 (ja) * 1991-08-01 2001-08-27 株式会社日本触媒 吸水剤の製造方法
JP3036322B2 (ja) * 1993-10-05 2000-04-24 ダイソー株式会社 排水に含まれる染料の吸着剤及びその製法
JP2995460B2 (ja) * 1996-09-30 1999-12-27 富士紡績株式会社 油脂吸収性と抗菌性を具備したセルロース系繊維製品とその製造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32252A1 (en) * 2003-07-14 2005-04-14 Nederlandse Organisatie Voor Toegepast- Natuurwetenschappelijk Onderzoek Tno Polymer matrix for extending vase life of cut flowers
KR20180022056A (ko) * 2016-08-23 2018-03-06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항균 섬유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137187A (ko) * 2017-06-16 2018-12-27 주식회사 케이씨아이 과립 형상의 양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 및 그 제조방법
WO2023008903A1 (ko) * 2021-07-30 2023-02-02 씨제이제일제당(주)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생분해성 필름 및 생분해성 멀칭 필름
CN115672282A (zh) * 2022-10-13 2023-02-03 青岛科技大学 一种简易可再生的沼渣基阴离子吸附剂的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51005B1 (ko) 2004-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darta et al. Multi-faceted strategy based on enzyme immobilization with reactant adsorption and membrane technology for biocatalytic removal of pollutants: A critical review
Crini Recent developments in polysaccharide-based materials used as adsorbents in wastewater treatment
Blackburn Natural polysaccharides and their interactions with dye molecules: applications in effluent treatment
Hokkanen et al. A review on modification methods to cellulose-based adsorbents to improve adsorption capacity
Joshi et al. Colour removal from textile effluents
Jebapriya et al. Bioremediation of textile dye using white rot fungi: a review
Vijayaraghavan et al. A review on efficacious methods to decolorize reactive azo dye
Orlando et al. Preparation of agricultural residue anion exchangers and its nitrate maximum adsorption capacity
Xu et al. Preparation of agricultural by-product based anion exchanger and its utilization for nitrate and phosphate removal
Xu et al. Preparation, characterization of wheat residue based anion exchangers and its utilization for the phosphate removal from aqueous solution
WO2009123073A1 (ja) シクロデキストリン複合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253531B2 (ja) 濾過による飲料水からのバクテリアの除去
Chauhan et al. An efficient and regenerable quaternary starch for removal of nitrate from aqueous solutions
CN107434852B (zh) 一种环糊精改性的超交联树脂及其吸附回收工业废水中苯胺类化合物的方法
Urbano et al. Polymer supports for the removal and degradation of hazardous organic pollutants: an overview
KR100451005B1 (ko) 양이온성 기능기를 갖는 셀룰로오스계 흡착제와 이의재생방법
KR20020048955A (ko) 유기 고분자재료와 그 제조방법 및 그것으로 구성되는중금속이온제거제
US6369169B1 (en) Modified polystyrene spherical, resin and process for decontaminating waste water by using the same
KR100443642B1 (ko) 폐수처리용 톱밥-흡착제 및 그 제조 방법
Mwangi et al. Removal of phenolics from aqueous media using quaternised maize tassels
JP2010253454A (ja) 酸素酸イオン収着材の製造方法、酸素酸イオン収着材およびその使用方法
KR20220016699A (ko) 세슘 제거용 헥사시아노금속염이 도입된 전기방사 분리막의 제조방법
KR100712674B1 (ko) 발효폐기물을 이용한 염색폐수 중의 색도 제거용 생체흡착제 및 그 사용방법
Low et al. Removal of reactive dyes by quaternized coconut husk
KR101672234B1 (ko) 인 제거용 키토산-멜라민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