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8079A - 컨버전스 조정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컨버전스 조정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8079A
KR20030038079A KR1020010069497A KR20010069497A KR20030038079A KR 20030038079 A KR20030038079 A KR 20030038079A KR 1020010069497 A KR1020010069497 A KR 1020010069497A KR 20010069497 A KR20010069497 A KR 20010069497A KR 20030038079 A KR20030038079 A KR 200300380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s
point
reference point
nearest
s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9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환
심재승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9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38079A/ko
Priority to US10/287,776 priority patent/US7053966B2/en
Priority to JP2002323069A priority patent/JP3682966B2/ja
Publication of KR20030038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807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16Picture reproducers using cathode ray tubes
    • H04N9/28Arrangements for convergence or foc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 H04N5/7408Direct viewing projectors, e.g. an image displayed on a video CRT or LCD display being projected on a screen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젝션 영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택적인 스플라인 보간 방식을 사용하여 컨버전스를 조정하기 위한 컨버전스 조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컨버전스 조정 장치는 영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수평라인 및 수직라인 중 컨버전스 조정을 위한 시드 포인트 사이에 구획되는 각 구간을 특정의 순서대로 선택하고 상기 순서에 의해 선택된 구간에 포함되는 상기 조정 포인트들의 제1 내지 제4 위치 계수들을 보간 연산하여 출력하는 제어수단; 수평 동기 신호를 카운팅하여 수평 라인수를 출력하고, 카운팅 출력되는 수평 라인수의 자승치와 삼승치를 연산하여 출력하는 위치좌표 발생수단; 상기 위치좌표 발생수단에서 출력되는 수평 라인수와 그 자승치 및 삼승치 각각을 상기 제어수단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2 내지 제4 위치 계수들 각각과 승산하는 승산수단; 및 상기 제어수단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1 위치 계수와 상기 승산수단의 출력을 가산하여 컨버전스 보간된 각각의 상기 구간값을 출력하는 가산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택적인 스플라인 보간 방식을 이용하여 연산 후 곡선이 좌우 대칭되어 컨버전스 조정 시에 발생하는 오차를 줄일 수 있어, 프로젝션 TV에서 컨버전스 조정 시에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컨버전스 조정 장치 및 방법{An interpol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nvergence}
본 발명은 프로젝션 영상 표시 장치의 컨버전스 보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택적인 스플라인 보간 방식을 사용하여 컨버전스를 조정하기 위한 컨버전스 조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상 기기의 대형화, 고품질화의 요구는 점점 더 거세어 지고 있다. 직시형 방식으로는 영상 기기의 대형화에 어려움이 있기에 이에 대한 해법으로 프로젝션 방식이 도입되기에 이르렀으며, 특히 컨버전스 조정은 프로젝션 TV의 품질과 생산성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프로젝션 TV는 일반 직시형 TV와 달리 R, G, B 세 개의 분리된 CRT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 3개의 R, G, B CRT로부터 영상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R, G, B 빔의 초점을 일치 시켜 주어야 하는 컨버전스 제어를 필요로 하고 있다. 이러한 컨버전스 조정의 한 방법으로 수평으로 8개의 시드(Seed) 점과 수직으로 5개의 시드점, 총 40개의 시드점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때, 각 시드점과 시드점 사이에 스플라인 보간 법을 적용하여 곡선을 생성한다. 그러나, 종래의 순차적인 스플라인 보간 방식의 경우, 컨버전스 조정 시드점과 이웃하는 좌우 두 시드점을 이용한 연산을 수행하게 되면 좌우 대칭의 곡선을 얻을 수 없게 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순차적인 연산 방식에 의한 스플라인 보간 방법은 두 시드점을 이용하여 3차 방정식을 구하게 되며, 이는 두 시드점 사이에 보다 부드러운 곡선을 만드는 알고리즘이다. 3차 방정식을 구할 때, X, Y의 값은 이미 알고 있는 시드점의 위치 좌표 값이며, K 값은 X 점에서의 미분값, 즉 기울기이다. 이를 이용하면, 스플라인 보간 방식에서 각 계수를 구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3차 방정식을 이용하여 도 1에서 각 시드점 사이에 곡선을 만들게 된다.
종래의 순차적인 연산 방식에 의한 스플라인 보간 방법은 도 1에와 같이 시드 3의 값이 위로 이동하면, 스플라인 보간 연산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연산한다. ① 구역에서 시드 1과 시드 2를 이용하여 시드 1에서의 기울기를 구하고, 이때 따라 3차 방정식의 연산 계수(K1, Y1, A1, B1)를 구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또한 ② 구역에서 시드 2와 시드 3을 이용하여 시드 2에서의 기울기를 구하고, 이에 따라 시드 2에서의 3차 방정식의 연산 계수(K2, Y2, A2, B2)를 구하는 방식으로, ① 구역에서 ④ 구역까지 순차적으로 적용한다. 도 2에서와 같이 순차적인 연산을 할 경우, ② 구역에서의 시드 2에서 스플라인 보간 연산 과정을 보면, 시드 2를 통과하는 3차 방정식을 구하기 위해 사용되는 연산 시드는 시드 1과 시드 3이 사용된다. 스플라인 연산 후 시드 2의 기울기(K2)와 3개의 계수(Y2, A2, B2)는 연산 후 이전 값과 다르게 변화된 값을 가지게 된다. 이후, ③ 구역에서의 시드 3에서 스플라인 연산을 하게되면, 이전의 변화된 시드 2의 계수(변화된 K2, Y2, A2, B2 ) 및 시드 4의 계수(K4, Y4, A4, B4)로 연산하게 된다. 이를 순차적으로 연산하게 되면, 연산 시드 좌우의 시드 값이 서로 다른 형태의 값을 가지게 되기 때문에 연산 후 곡선이 좌우 비대칭을 갖게되어 컨버전스 조정 시에 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선택적인 스플라인 보간 방식을 사용하여 시드점과 시드점 사이의 보간을 위해 순차적인 스플라인 보간 방식을 사용할 때 발생하는 곡선의 좌우 비대칭 현상을 해결하여 좌우 대칭인 보간을 얻기위한 선택적인 스플라인 보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인 과제는 선택적인 스플라인 보간 방식을 사용하여 시드점과 시드점 사이의 곡선을 좌우 대칭으로 하여 컨버전스 조정 시에 발생하는 오차를 줄이는 컨버전스 조정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순차적인 연산 방식에 의한 스플라인 보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인 연산 방식에 의한 스플라인 보간을 설명하기 위한 컨버전스 조정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인 연산 방식에 의한 스플라인 보간을 설명하기 위한 컨버전스 조정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컨버전스 조정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다.
도 7은 순차적인 연산 방법에 의한 스플라인 보간 결과 및 선택적인 연산 방법에 의한 스플라인 보간 결과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스플라인 보간 장치는 다수의 수평라인 및 수직라인 중 스플라인 보간을 위한 소정의 조정 포인트 사이에 구획되는 각 구간을 특정 순서대로 선택하고 상기 순서에 의해 선택된 구간에 포함되는 상기 조정 포인트들의 제1 내지 제4 위치 계수들을 보간 연산하여 출력하는 제어수단; 상기 조정 포인트의 수평 라인수와 그 자승치 및 삼승치를 연산하여 출력하는 위치좌표 발생수단; 상기 위치좌표 발생수단에서 출력되는 수평 라인수와 그 자승치 및 삼승치 각각을 상기 제어수단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2 내지 제4 위치 계수들 각각과 승산하는 승산수단; 및 상기 제어수단에서 출력되는 사익 제1 위치 계수와 상기 승산수단의 출력을 가산하여 보간된 각각의 상기 구간값을 출력하는 가산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스플라인 보간 방법은 (a) 수평 또는 수직 라인 중 스플라인 보간을 위한 소정의 조정 포인트들 중에서 제1 기준 포인트를 설정하고, 상기 제1 기준 포인트의 위치 계수와 상기 제1 기준 포인트의 최근접 포인트들의 위치 계수를 보간 연산하여 상기 제1 기준 포인트를 통과하는 곡선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제1 기준 포인트로부터 두 포인트떨어진 포인트들을 제2 기준 포인트들로 선택하고, 상기 제2 기준 포인트들의 위치 계수들과 상기 제2 기준 포인트들의 최근접 포인트들의 위치 계수들을 각각 보간 연산하여 상기 제2 기준 포인트들을 통과하는 곡선들을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1 기준 포인트의 최근접 포인트들 중 제1 최근접 포인트의 위치 계수와 상기 제1 및 제2 기준 포인트의 위치 계수를 보간 연산하여 상기 제1 최근접 포인트를 통과하는 곡선을 형성하고, 상기 제1 기준 포인트의 최근접 포인트들 중 제2 최근접 포인트의 위치 계수와 상기 제1 및 제2 기준 포인트의 위치 계수를 보간 연산하여 상기 제2 최근접 포인트를 통과하는 곡선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a), (b) 및 (c)단계에서 형성된 곡선들은 상기 제1 기준 포인트를 기준으로 대칭되는 것는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컨버전스 조정 장치는 영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수평라인 및 수직라인 중 컨버전스 조정을 위한 시드 포인트 사이에 구획되는 각 구간을 특정의 순서대로 선택하고 상기 순서에 의해 선택된 구간에 포함되는 상기 조정 포인트들의 제1 내지 제4 위치 계수들을 보간 연산하여 출력하는 제어수단; 수평 동기 신호를 카운팅하여 수평 라인수를 출력하고, 카운팅 출력되는 수평 라인수의 자승치와 삼승치를 연산하여 출력하는 위치좌표 발생수단; 상기 위치좌표 발생수단에서 출력되는 수평 라인수와 그 자승치 및 삼승치 각각을 상기 제어수단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2 내지 제4 위치 계수들 각각과 승산하는 승산수단; 및 상기 제어수단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1 위치 계수와 상기 승산수단의 출력을 가산하여 컨버전스 보간된 각각의 상기 구간값을 출력하는 가산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컨버전스 조정 방법은 영상 표시 방법에 있어서, (a) 수평 또는 수직 라인 중 컨버전스 조정용 시드 포인트들 중에서 제1 기준 포인트를 설정하고, 상기 제1 기준 포인트의 위치 계수와 상기 제1 기준 포인트의 최근접 포인트들의 위치 계수를 보간 연산하여 상기 제1 기준 포인트를 통과하는 곡선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제1 기준 포인트로부터 두 포인트 떨어진 포인트들을 제2 기준 포인트들로 선택하고, 상기 제2 기준 포인트들의 위치 계수들과 상기 제2 기준 포인트들의 최근접 포인트들의 위치 계수들을 각각 보간 연산하여 상기 제2 기준 포인트들을 통과하는 곡선들을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1 기준 포인트의 최근접 포인트들 중 제1 최근접 포인트의 위치 계수와 상기 제1 및 제2 기준 포인트의 위치 계수를 보간 연산하여 상기 제1 최근접 포인트를 통과하는 곡선을 형성하고, 상기 제1 기준 포인트의 최근접 포인트들 중 제2 최근접 포인트의 위치 계수와 상기 제1 및 제2 기준 포인트의 위치 계수를 보간 연산하여 상기 제2 최근접 포인트를 통과하는 곡선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인 연산 방식에 의한 스플라인 보간을 설명하기 위한 컨버전스 조정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로서, 제어부(30), 메모리(31), 위치좌표(X) 발생부(32), 제1 승산기(33), 제2 승산기(34), 제3 승산기(35), 가산기(36)로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인 연산 방식에 의한 스플라인 보간을 설명하기 위한 컨버전스 조정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로서, 컨버전스 조정 시드들 중 제1 기준 시드를 설정하는 단계(40), 제1 기준 시드의 스플라인 계수들과 제1 기준 시드의 최 근접 시드들의 스플라인 계수들을 보간 연산하는 단계(41), 제1 기준 시드로부터 두 시드 떨어진 시드들을 제2 기준 시드로 선택하는 단계(42), 제2 기준 시드들의 스플라인 계수들과 제2 기준 시드들의 최 근접 시드들의 스플라인 계수들을 보간 연산하는 단계(43), 제1 기준 시드의 제1 최 근접 시드의 스플라인 계수와 보간된 제1 및 제2 시드들의 스플라인 계수를 보간 연산하는 단계(44), 제1 기준 시드의 제2 최 근접 시드의 스플라인 계수와 보간된 제2 및 제1 시드들의 스플라인 계수를 보간 연산하는 단계(45)로 구성된다.
도 5 및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컨버전스 조정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다.
도 7은 순차적인 연산 방법에 의한 스플라인 보간 결과 및 선택적인 연산 방법에 의한 스플라인 보간 결과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이어서, 도 3∼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어부(30)는 수평라인 및 수직라인 중 컨버전스 조정용 시드 포인트 사이에 구획되는 각 구간을 특정의 순서대로 선택하고, 그 순서에 의해 선택된 구간에 포함되는 컨버전스 조정 시드들의 3차 스플라인 다항식의 미정 계수들(Y, K, A, B)을 보간 연산하여 메모리(31)에 저장한다.
제어부(30)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순서에 의해 연산 방법을 결정한다.제어부(30)는 조정 시드들 중에서 제1 기준 시드인 시드 3을 설정(도 5의 ① 구역)하고, 두 번째로, 제1 기준 포인트인 시드 3에서 두 포인트 떨어진 포인트들을 제2 기준 포인트인 시드 1을 설정(도 5의 ② 구역)하고, 세 번째로, 제1 기준 포인트인 시드 3의 최근접 포인트인 시드 4를 설정(도 5의 ③ 구역)하고, 네 번째로, 제1 기준 포인트인 시드 3의 다른 최근접 포인트인 시드 2를 설정(도 5의 ④ 구역)하여 스플라인 보간 다항식의 미정 계수 즉, 를 보간 연산하여 메모리(31)에 저장한다.
위치좌표(X) 발생부(32)는 수평 동기신호(H_sync)를 카운팅하여 수평 라인수를 출력함은 물론 카운팅 출력되는 수평 라인수의 자승치와 삼승치를 발생하여 출력한다. 위치좌표(X) 발생부(32)는 수직 동기신호(V_sync)에 의해 카운팅 리셋된다. 그리고 위치좌표(X) 발생부(32)로부터 출력되는 수평 라인수, 그 자승치 및 삼승치는 제1∼제3 승산기(33, 34, 35)에서 메모리(31)에 저장된 미정 계수(K, A, B)와 승산되어 가산기(36)로 출력된다.
가산기(36)는 메모리(31)에 저장된 미정 계수(Y)와 제1∼제3 승산기(33, 34, 35)의 출력값을 가산한다. 가산기(36)는 3차 스플라인 보간 다항식에 의한 조정 시드간의 사이값(①∼ ④ 구역)들에 대한 보간 값을 출력하며, 이 보간 값은 제1 기준 포인트인 시드 3을 기준으로 대칭된다. 이러한 보간 값을 참조하여 R, G, B 음극선관의 편향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여 컨버전스 조정이 이루어진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인 연산 방식에 의한 스플라인 보간을 설명하기 위한 컨버전스 조정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로서, 컨버전스 조정 시드들 중 제1 기준 시드를 설정하고, 제1 기준 시드의 스플라인 계수들과 제1 기준 시드의 최 근접 시드들의 스플라인 계수들을 보간 연산한다(40, 41단계).
도 6을 참조하면, 컨버전스 조정 시드들 중 시드 3을 제1 기준 시드로 설정하고, 제1 기준 시드를 통과하는 3차 스플라인 다항식을 연산한다. 시드 3에서 스플라인 보간 연산 과정을 보면, 시드 3을 통과하는 3차 스플라인 다항식을 구하기 위해 사용되는 연산 시드는 시드 2와 시드 4가 사용된다. 스플라인 연산 후 시드 3의 기울기(K3)와 세 개의 계수(Y3, A3, B3)는 연산 후 이전 값과 다르게 변화된 값을 가지게 된다.
제1 기준 시드로부터 두 시드 떨어진 시드들을 제2 기준 시드로 선택하고, 제2 기준 시드들의 스플라인 계수들과 제2 기준 시드들의 최 근접 시드들의 스플라인 계수들을 보간 연산하는 단계(42, 43단계).
도 6을 참조하면, 제1 기준 포인트인 시드 3에서 좌우로 두 시드 떨어진 곳에 제2 기준 포인트인 시드 1을 설정한다. 제2 기준 포인트인 시드 1에서 스플라인 보간 연산 과정을 보면, 시드 1을 통과하는 3차 스플라인 다항식을 구하기 위해 사용되는 시드는 시드 4와 시드 2가 사용된다. 스플라인 연산 후 시드 1의 기울기(K1)와 세 개의 계수(Y1, A1, B1)는 연산 후 이전 값과 다르게 변화된 값을 가지게 된다.
제1 기준 시드의 제1 최 근접 시드의 스플라인 계수와 보간된 제1 및 제2 시드들의 스플라인 계수를 보간 연산한다(44단계).
도 6을 참조하면, 제1 기준 포인트의 최근접 포인트 중의 하나인 시드 4에서 스플라인 보간 연산 과정을 보면, 시드 4를 통과하는 3차 스플라인 다항식을 구하기 위해 사용되는 시드는 시드 3과 시드 1이 사용된다. 그러나, 여기서는 기존의 순차 방식과 달리 시드 3와 시드 1은 미리 연산되었던 값이므로 스플라인 보간법을 사용하더라도 곡선이 제1 기준 포인트인 시드 3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을 갖게된다. 스플라인 연산 후 시드 4의 기울기(K4)와 세 개의 (Y4, A4, B4)는 연산 후 이전 값과 다르게 변화된 값을 가지게 된다.
제1 기준 시드의 제2 최 근접 시드의 스플라인 계수와 보간된 제2 및 제1 시드들의 스플라인 계수를 보간 연산한다(45단계).
도 6을 참조하면, 제1 기준 포인트의 다른 최근접 포인트인 시드 2에서 스플라인 보간 연산 과정을 보면, 시드 2를 통과하는 3차 스플라인 다항식을 구하기 위해 사용되는 시드는 시드 1과 시드 3이 사용된다. 그러나, 여기서는 기존의 순차 방식과 달리 시드 1과 시드 3은 미리 연산되었던 값이므로 스플라인 보간법을 사용하더라도 곡선이 제1 기준 포인트인 시드 3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을 갖게된다. 스플라인 연산 후 시드 2의 기울기(K2)와 세 개의 계수(Y2, A2, B2)는 연산 후 이전 값과 다르게 변화된 값을 가지게 된다.
도 7은 순차적인 연산 방법에 의한 스플라인 보간 결과 및 선택적인 연산 방법에 의한 스플라인 보간 결과를 비교한 그래프로서, 선택적인 스플라인 보간 방식을 적용할 경우, 순차적인 스플라인 보간 방식에 비해 조정점에서 좌우 대칭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컨버전스 조정을 위한 선택적 스플라인 보간뿐만 아니라, 같은 방식으로 일반적인 수치 해석을 위한 선택적인 스플라인 보간으로도 사용될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선택적인 스플라인 보간 방식을 이용하여 연산 후 곡선이 좌우 대칭되어 순차적인 스플라인 보간 방식을 이용하여 발생하는 곡선의 좌우 비대칭 현상을 없앨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선택적인 스플라인 보간 방식을 이용하여 컨버전스 조정 시에 발생하는 오차를 줄일 수 있어, 프로젝션 TV에서 컨버전스 조정 시에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다수의 수평라인 및 수직라인 중 스플라인 보간을 위한 소정의 조정 포인트 사이에 구획되는 각 구간을 특정 순서대로 선택하고 상기 순서에 의해 선택된 구간에 포함되는 상기 조정 포인트들의 제1 내지 제4 위치 계수들을 보간 연산하여 출력하는 제어수단;
    상기 조정 포인트의 수평 라인수와 그 자승치 및 삼승치를 연산하여 출력하는 위치좌표 발생수단;
    상기 위치좌표 발생수단에서 출력되는 수평 라인수와 그 자승치 및 삼승치 각각을 상기 제어수단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2 내지 제4 위치 계수들 각각과 승산하는 승산수단; 및
    상기 제어수단에서 출력되는 사익 제1 위치 계수와 상기 승산수단의 출력을 가산하여 보간된 각각의 상기 구간값을 출력하는 가산수단을 포함하는 스플라인 보간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조정 포인트들 중에서 제1 기준 포인트를 설정하고, 상기 제1 기준 포인트로부터 두 포인트 떨어진 포인트들을 제2 기준 포인트들로 선택하고, 상기 제1 기준 포인트의 최근접 포인트들인 제1 최근접 포인트 및 제2 최근접 포인트의 순서로 보간 연산을 수행하여 각각의 위치 계수들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라인 보간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산수단에서 출력되는 보간 값은 상기 제1 기준 포인트를 기준으로 대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라인 보간 장치.
  4. (a) 수평 또는 수직 라인 중 스플라인 보간을 위한 소정의 조정 포인트들 중에서 제1 기준 포인트를 설정하고, 상기 제1 기준 포인트의 위치 계수와 상기 제1 기준 포인트의 최근접 포인트들의 위치 계수를 보간 연산하여 상기 제1 기준 포인트를 통과하는 곡선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제1 기준 포인트로부터 두 포인트 떨어진 포인트들을 제2 기준 포인트들로 선택하고, 상기 제2 기준 포인트들의 위치 계수들과 상기 제2 기준 포인트들의 최근접 포인트들의 위치 계수들을 각각 보간 연산하여 상기 제2 기준 포인트들을 통과하는 곡선들을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1 기준 포인트의 최근접 포인트들 중 제1 최근접 포인트의 위치 계수와 상기 제1 및 제2 기준 포인트의 위치 계수를 보간 연산하여 상기 제1 최근접 포인트를 통과하는 곡선을 형성하고, 상기 제1 기준 포인트의 최근접 포인트들 중 제2 최근접 포인트의 위치 계수와 상기 제1 및 제2 기준 포인트의 위치 계수를 보간 연산하여 상기 제2 최근접 포인트를 통과하는 곡선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a), (b) 및 (c)단계에서 형성된 곡선들은 상기 제1 기준 포인트를 기준으로 대칭되는 것는 특징으로 하는 스플라인 보간 방법.
  5. 영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수평라인 및 수직라인 중 컨버전스 조정을 위한 시드 포인트 사이에 구획되는 각 구간을 특정의 순서대로 선택하고 상기 순서에 의해 선택된 구간에 포함되는 상기 조정 포인트들의 제1 내지 제4 위치 계수들을 보간 연산하여 출력하는 제어수단;
    수평 동기 신호를 카운팅하여 수평 라인수를 출력하고, 카운팅 출력되는 수평 라인수의 자승치와 삼승치를 연산하여 출력하는 위치좌표 발생수단;
    상기 위치좌표 발생수단에서 출력되는 수평 라인수와 그 자승치 및 삼승치 각각을 상기 제어수단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2 내지 제4 위치 계수들 각각과 승산하는 승산수단; 및
    상기 제어수단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1 위치 계수와 상기 승산수단의 출력을 가산하여 컨버전스 보간된 각각의 상기 구간값을 출력하는 가산수단을 포함하는 컨버전스 조정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컨버전스 조정 포인트들 중에서 제1 기준 포인트를 설정하고, 상기 제1 기준 포인트로부터 두 포인트 떨어진 포인트들을 제2 기준 포인트들로 선택하고, 상기 제1 기준 포인트의 최근접 포인트들인 제1 최근접 포인트 및 제2 최근접 포인트의 순서로 보간 연산을 수행하여 각각의 위치 계수들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버전스 조정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좌표 발생수단은 수직 동기 신호에 의해 카운팅 리셋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버전스 조정 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산수단에서 출력되는 컨버전스 보간 값은 상기 제1 기준 포인트를 기준으로 대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버전스 조정 장치.
  9. 영상 표시 방법에 있어서,
    (a) 수평 또는 수직 라인 중 컨버전스 조정용 시드 포인트들 중에서 제1 기준 포인트를 설정하고, 상기 제1 기준 포인트의 위치 계수와 상기 제1 기준 포인트의 최근접 포인트들의 위치 계수를 보간 연산하여 상기 제1 기준 포인트를 통과하는 곡선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제1 기준 포인트로부터 두 포인트 떨어진 포인트들을 제2 기준 포인트들로 선택하고, 상기 제2 기준 포인트들의 위치 계수들과 상기 제2 기준 포인트들의 최근접 포인트들의 위치 계수들을 각각 보간 연산하여 상기 제2 기준 포인트들을 통과하는 곡선들을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1 기준 포인트의 최근접 포인트들 중 제1 최근접 포인트의 위치 계수와 상기 제1 및 제2 기준 포인트의 위치 계수를 보간 연산하여 상기 제1 최근접 포인트를 통과하는 곡선을 형성하고, 상기 제1 기준 포인트의 최근접 포인트들 중 제2 최근접 포인트의 위치 계수와 상기 제1 및 제2 기준 포인트의 위치 계수를 보간 연산하여 상기 제2 최근접 포인트를 통과하는 곡선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버전스 조정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a), (b) 및 (c)단계에서 형성된 곡선들은 상기 제1 기준 포인트를 기준으로 대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라인 보간 방법.
KR1020010069497A 2001-11-08 2001-11-08 컨버전스 조정 장치 및 방법 KR2003003807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9497A KR20030038079A (ko) 2001-11-08 2001-11-08 컨버전스 조정 장치 및 방법
US10/287,776 US7053966B2 (en) 2001-11-08 2002-11-05 Adjusting convergence apparatus and method
JP2002323069A JP3682966B2 (ja) 2001-11-08 2002-11-06 コンバージェンス調整装置及び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9497A KR20030038079A (ko) 2001-11-08 2001-11-08 컨버전스 조정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8079A true KR20030038079A (ko) 2003-05-16

Family

ID=19715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9497A KR20030038079A (ko) 2001-11-08 2001-11-08 컨버전스 조정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053966B2 (ko)
JP (1) JP3682966B2 (ko)
KR (1) KR2003003807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75357B2 (ja) * 2001-05-16 2005-07-27 ソニー株式会社 レジストレーション調整装置及びレジストレーション調整方法
CN103034030B (zh) 2011-09-30 2016-05-04 精工爱普生株式会社 投影仪以及投影仪的控制方法
WO2014105154A1 (en) * 2012-12-24 2014-07-03 Intel Corporatio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erforming mathematical operation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45280A (en) * 1992-02-26 1994-09-06 Hitachi, Ltd. Digital convergence correction system and method for preparing correction data
JPH0951429A (ja) * 1995-08-09 1997-02-18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データ補間演算方法および装置
KR20010018702A (ko) * 1999-08-21 2001-03-15 윤종용 스플라인 보간을 이용한 컨버젼스 조정장치 및 방법
KR20010075978A (ko) * 2000-01-21 2001-08-11 윤종용 링 스플라인 컨버젼스 보정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5274B1 (ko) * 1993-07-30 1999-03-20 김광호 디지탈 컨버젼스 보정회로
KR0141232B1 (ko) * 1993-08-31 1998-06-15 김광호 자동 디지탈 콘버젼스 보정방법 및 장치
US5790210A (en) * 1995-03-24 1998-08-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igital convergence correc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45280A (en) * 1992-02-26 1994-09-06 Hitachi, Ltd. Digital convergence correction system and method for preparing correction data
JPH0951429A (ja) * 1995-08-09 1997-02-18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データ補間演算方法および装置
KR20010018702A (ko) * 1999-08-21 2001-03-15 윤종용 스플라인 보간을 이용한 컨버젼스 조정장치 및 방법
KR20010075978A (ko) * 2000-01-21 2001-08-11 윤종용 링 스플라인 컨버젼스 보정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086025A1 (en) 2003-05-08
JP3682966B2 (ja) 2005-08-17
JP2003284100A (ja) 2003-10-03
US7053966B2 (en) 2006-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59223B2 (ja) 映像補間装置とこれを用いたフレームレート変換装置,映像表示装置
CN101882434B (zh) 图像处理器、图像处理方法和程序
US7548276B2 (en) Frame rate conversion device,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verting frame rate
US5469226A (en) Video signal processing to derive motion vectors representing motion between successive fields or frames
WO1999029116A1 (en) Method and device for adjusting one or more projectors
US5627605A (en) Method for correcting digital convergence of multi-mode projection television
KR100306212B1 (ko) 스플라인 보간을 이용한 컨버젼스 조정장치 및 방법
US20070053013A1 (en) Imag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interlace-to-progressive conversion method
KR20030038079A (ko) 컨버전스 조정 장치 및 방법
US669708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dynamic false contour in plasma display panel by decreasing visual concentration difference
KR100812730B1 (ko) 이미지 센서용 안티-쉐이딩 방법 및 장치
JP2006048037A (ja) 映像レンダリング装置、映像レンダリング方法、及び映像レンダリングプログラムを保存するコンピュータで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WO2010046989A1 (ja) フレームレート変換装置、画像処理装置、表示装置、フレームレート変換方法、その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100486985B1 (ko) 스플라인파형생성방법및시스템과디스플레이장치
KR100363164B1 (ko) 링 스플라인 컨버젼스 보정 장치 및 방법
JP2012165255A (ja) 立体画像の階調変換方法及び階調変換装置
JP2018120536A (ja) データ補間装置及びその方法、画像処理装置
JP2009207128A (ja) 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TW200849988A (en) Image correction method
US7606443B2 (en) Interpolation method for enlarging an image
JPH03291089A (ja) ディジタルコンバーゼンス補正データ作成方法
JPH10164608A (ja) 任意関数発生方法と、その装置、ならびに、それを使用するディジタルコンバーゼンス補正装置
JP2005151393A (ja) 画像信号処理回路
JP3044716B2 (ja) 補正波形発生装置及び補間演算回路
KR20060009566A (ko) 영상 보간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