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7190A -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항법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항법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7190A
KR20030037190A KR1020010068312A KR20010068312A KR20030037190A KR 20030037190 A KR20030037190 A KR 20030037190A KR 1020010068312 A KR1020010068312 A KR 1020010068312A KR 20010068312 A KR20010068312 A KR 20010068312A KR 20030037190 A KR20030037190 A KR 20030037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tination
information
navigation
mobile communication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8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익
문영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8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37190A/ko
Publication of KR20030037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7190A/ko

Links

Landscapes

  • Navigation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항법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항법 시스템에서 목적지 주소를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며, 지도 데이터를 가지지 않는 항법 키트 장치를 제공하고, 그에 따른 항법 서버 시스템을 제공한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공중망 및 데이터 통신 망과 연결될 수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과 연결될 수 있는 이동체의 항법 시스템으로 항법 정보를 제공하는 항법 서버 시스템으로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 또는 상기 항법 시스템으로부터 음성 목적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음성 목적지에 대응하는 음성 검색 목적지를 생성하고 상기 음성 검색 목적지 정보를 선택 목적지 정보로 하여 이를 정보 제공 센터로 전달하는 음성 인식 센터와, 상기 수신된 선택 목적지 정보와 상기 이동체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최적의 이동 경로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이동 경로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 또는 상기 항법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정보 센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항법 시스템 및 항법 서버 시스템에 사용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항법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NAVIGATION SYSTEM BY US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OF}
본 발명은 항법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항법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항법 시스템은 차량에 부착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안내를 수행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항법 시스템은 차량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GPS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와, 차량의 이동 속도 및 가속도 등을 연산하는 주행거리 연산기와, 도로의 상태를 검사하는 지도 데이터 베이스, 상기 지도 데이터 베이스를 통해 목적지 경로를 검사하는 계산장치, 차량의 이동 경로 및 표시를 위한 표시 장치 등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항법 시스템은 매우 복잡한 구성을 가지며, 많은 장치들이 구비되어야만 한다. 이로 인해 항법 시스템은 매우 고가의 장비가 되어 사용자들이 쉽게 설치할 수 없는 단점이 지적되고 있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은 현재 대부분의 사용자들이 손쉽게 구입해서 사용할 수 있는 상태에 이르렀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을 통해 사용자들은 음성 통화 서비스는 물론, 데이터 서비스와 인터넷 서비스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발전과 더불어 많은 양의 데이터를 고속으로 서비스 받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 정보를 용이하게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이동통신 시스템과 연계하여 항법 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하는 많은 노력과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로 이동통신 시스템과 연계되어 구동되는 항법 시스템은 실시간으로 도로 상황 정보를 제공받으며, 이를 이용하여 항법을 수행하는 장치 등이 개시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장치들에서도 항법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목적지 정보를 입력해야만 한다. 이러한 목적지 정보는 일반적으로 차량에 부착되는 항법 시스템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키 입력을 통해 목적지를 입력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목적지가 입력되면 항법 장치는 이동통신 단말을 통해 항법 서버 등으로 이를 전달하여 최적의 경로를 수신한 후 그에 따른 서비스를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운행 중 항법 시스템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도로의 갓길에 주차한 후 목적지 정보를 입력하고 이에 따른 정보가 수신될 때까지 대기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항법 시스템에 목적지를 입력하고자 할 경우에 일반적인 경우는 지도 데이터 베이스에 근거하여 목적지를 입력한다. 따라서 만일 지도 데이터가 오래되어 갱신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정확한 위치 정보를 입력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는 지도 데이터 베이스를 갱신하거나 또는 지도 데이터를 저장한 CD를 교체하여 정확한 지도 데이터를 가지도록 해야만 한다. 또한 항법 시스템에 지도 데이터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항법 서버 시스템으로 목적지 주소를 전달하여 경로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사용자는 항법 시스템에서 목적지 입력 시 일일이 정확한 주소 데이터를 입력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하여 항법 서비스를 받는 항법 시스템에서 목적지의 입력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하여 항법 서비스를 받는 항법 시스템에서 편리하게 항법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공중망 및 데이터 통신 망과 연결될 수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과 연결될 수 있는 이동체의 항법 시스템으로 항법 정보를 제공하는 항법 서버 시스템으로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 또는 상기 항법 시스템으로부터 음성 목적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음성 목적지에 대응하는 음성 검색 목적지를 생성하고 상기 음성 검색 목적지 정보를 선택 목적지 정보로 하여 이를 정보 제공 센터로 전달하는 음성 인식 센터와, 상기 수신된 선택 목적지 정보와 상기 이동체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최적의 이동 경로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이동 경로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 또는 상기 항법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정보 센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음성 인식 센터는 ;
목적지 명칭을 문자 데이터로 저장하며 입력되는 문자 데이터와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출력하는 주소 데이터 베이스와,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음성 신호와 대응하는 문자 및 유사 문자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를 상기 주소 데이터 베이스로 출력하여 검색 결과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선택 목적지로 출력하는 음성 인식 제어부로 구성되며,
상기 문자 및 유사 문자에 의해 검색된 음성 검색 목적지가 2 이상인 경우 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 또는 상기 항법 시스템으로 전달하고 그 결과에 따라 선택 목적지를 결정한다.
또한 상기 정보 센터는 ;
이동 경로 데이터와 거리 데이터 및 목적지 명칭을 저장하고 있는 센터용 지도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이동체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와 상기 선택 목적지 정보에 따라 상기 센터용 지도 데이터 베이스의 데이터를 읽어와 최적의 경로를 설정하고 항법 제어를 수행하는 정보 센터 제어부와, 상기 정보 센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저장된 경로 정보에 따라 목적지 안내를 수행하는 안내 정보 생성부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정보 센터는 교통 정보 제공 센터로부터 실시간 교통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교통 정보 데이터 베이스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정보 센터 제어부는 최적의 경로 설정 시 상기 교통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교통 정보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항법 서버 시스템은 인터넷 사용자들과 접속되어 인터넷 망을 통해 교통 정보 및 경로 정보를 제공하는 웹 서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공중망 및 데이터 통신 망과 연결될 수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과 연결될 수 있는 이동체의 항법 시스템으로항법 정보를 제공하며, 음성 인식 센터와 정보 센터를 적어도 구비하는 항법 서버 시스템에서 목적지 주소 설정 방법으로서, 상기 음성 인식 센터는 음성 신호로 목적지 주소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수신된 음성 신호에 대응하는 음성 목적지를 검색하고 이를 이용하여 선택 목적지를 결정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정보 센터는 상기 선택 목적지 수신 시 상기 이동체의 위치 정보와 상기 선택 목적지를 이용하여 최적의 목적지를 검사하고 상기 검사된 목적지에 따른 안내를 수행하는 제2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과정에서
상기 음성 검색 목적지가 2 이상인 경우 상기 음성 검색 목적지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 또는 상기 항법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제1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 또는 상기 항법 시스템으로부터 선택 목적지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선택 목적지를 상기 정보 센터로 전달하는 제2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공중망 및 데이터 통신 망과 연결될 수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과 연결될 수 있는 이동체의 항법 시스템으로 항법 정보를 제공하는 항법 서버 시스템에서 목적지 주소 설정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불완전 목적지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불완전 목적지 정보로 생성할 수 있는 목적지 주소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된 목적지 주소가 2 이상인 경우 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선택 목적지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선택 목적지에 따라 최적 경로를 검사한 후 항법 서비스를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1차 완전 목적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1차 완전 목적지 정보로 생성할 수 있는 목적지 주소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된 목적지 주소가 2 이상인 경우 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선택 목적지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선택 목적지에 따라 최적 경로를 검사한 후 항법 서비스를 수행하는 과정을 더 구비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항법 서버 시스템으로부터 항법 서비스를 제공받는 항법 시스템과 연결될 수 있으며, 무선망으로 항법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에서 항법 서비스를 위한 목적지 입력 방법으로서, 항법 서비스가 요구되어 목적지 입력 모드로 진행하면 목적지 입력 가능 메뉴들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메뉴들 중 음성 입력이 선택되면, 상기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부호화하여 상기 항법 서버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항법 서버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항법 서비스 정보에 따라 항법 서비스를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항법 서버 시스템으로부터 적어도 2 이상의 음성 검색 목적지 정보 수신 시 이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음성 검색 목적지의 선택 신호 수신 시 선택 목적지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항법 서버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과정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표시된 메뉴들 중 문자 입력이 선택되면, 상기 입력 가능한 문자의 종류들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문자 종류 중 한글 문자로 입력되는 종류가 선택된 경우 입력되는 문자가 불완전 문자인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되는문자가 불완전 문자인 경우 상기 입력이 완료되면 입력된 불완전 문자를 상기 항법 서버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항법 서버 시스템으로부터 2 이상의 검색 목적지를 수신하면 이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검색 목적지들 중 하나의 목적지가 선택되면 이를 선택 목적지로 하여 상기 항법 서버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과정을 더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된 메뉴들 중 문자 입력이 선택되면, 상기 입력 가능한 문자의 종류들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문자 종류 중 한글 문자로 입력되는 종류가 선택된 경우 입력되는 문자가 완전 문자인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되는 문자가 완전 문자인 경우 상기 입력이 완료되면 입력된 완전 문자를 상기 항법 서버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항법 서버 시스템으로부터 2 이상의 검색 목적지를 수신하면 이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검색 목적지들 중 하나의 목적지가 선택되면 이를 선택 목적지로 하여 상기 항법 서버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과정을 더 가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표시된 메뉴들 중 문자 입력이 선택되면, 상기 입력 가능한 문자의 종류들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문자 종류 중 전화번호가 선택된 경우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목적지 정보로 하여 상기 항법 서버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과정을 더 구비하며,
상기 표시된 메뉴들 중 문자 입력이 선택되면, 상기 입력 가능한 문자의 종류들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문자 종류 중 위도 및 경도가 선택되면 입력되는 위도 및 경도를 목적지 정보로 하여 상기 항법 서버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과정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항법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네트워크와 그 구성 요소들을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이동체에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의 블록 구성 및 항법 키트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에서 목적지 설정 시의 제어 흐름도,
도 4a 내지 도 4m은 본 발명에 따라 항법 목적지 설정 시 메뉴의 목록들 및 항법 수행 시 표시되는 내용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항법 서버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서버 및 센터들의 내부 블록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음성 인식 센터에서 음성 신호 수신 시 수행되는 제어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정보 센터에서 수신 시 수행되는 제어 흐름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을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항법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네트워크와 그 구성 요소들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항법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네트워크 및 그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동체(200)는 이동통신 시스템과 연계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도 1에 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며, 항법 서버 시스템(100)과 연결되는 항법 시스템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소용량의 항법 키트(Kit)(도 1에 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이동체(200)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BTS)(11)을 통해 호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설정되는 호는 음성 호와 데이터 호 및 본 발명에 따라 항법 서비스를 실시간으로 제공받기 위한 항법 데이터 서비스 호가 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음성 호 또는 일반적인 단문 메시지와 같은 데이터 호인 경우 기지국 제어기(BSC)(12)를 통해 이동교환 시스템(MSC)(13)으로 연결되며, 인터넷 서비스 또는 본 발명에 따른 항법 데이터 서비스 호인 경우 기지국 제어기(12)를 통해 IPNetwork(20)을 통해 항법 서버 시스템(100)과 연결된다. 상기 이동교환 시스템(13)은 공중망(PSTN)(14)을 통해 No.7 신호처리 방식을 사용하는 지능망(15)과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지능망(15)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항법 서버 시스템(100)과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체(200)에 구비되는 항법 키트 또는 항법 시스템은 GPS 신호를 통해 차량의 위치 정보를 인지하며,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항법 서버 시스템(100)으로 이를 알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을 통해 항법 서버 시스템(100)으로 이동체(200)의 위치를 알릴 수도 있다.
상기 항법 서버 시스템(100)은 음성 인식 센터(400)와 웹(Web) 서버(500)와 정보 센터(600)로 구성된다. 상기 음성 인식 센터(400)는 IP Network(20) 또는 지능망(15) 또는 공중망(14)을 통해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소정의 코드로 변환한 후 이에 대응하는 문자 데이터를 웹 서버(500)로 또는 정보 센터(600)로 출력한다. 웹 서버(500)는 상기 음성 인식 센터(400)로부터 또는 IP Network(20)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될 시 사용자의 인증을 수행하며, 웹 서비스 제공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항법 서비스가 요구되는 경우 상기 연결된 호를 정보 센터(600)로 전환한다. 이때 호를 전환함과 동시에 요구된 정보를 함께 정보 센터(600)로 전달한다. 또한 웹 서버(500)는 IP Network(20)을 통해 인터넷 접속이 요구된 경우에 그에 따른 정보를 제공하는 동작을 함께 수행한다.
정보 센터(600)는 수신된 목적지 주소에 따라 경로를 탐색하고, 이를 웹 서버(500) 또는 IP Network(20) 또는 지능망(15) 또는 음성 인식 센터(400)로 제공하여 사용자 단말 즉 이동체(200)로 전달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이동체(200)는 기지국 제어기(12) 및 기지국(11)을 통해 항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이동체에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의 블록 구성 및 항법 키트의 블록 구성도이다. 그러면 이하에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이동체에 구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과 항법 키트의 블록 구성 및 그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 2에는 이동통신 단말의 블록 구성과, 항법 키트의 블록 구성이 함께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항법 키트를 최소의 가격으로 제공하기 위해 최소의 규모를 가지도록 구성하였다. 먼저 항법 키트의 부분을 먼저 설명한다.
항법 키트의 주 제어부(211)는 항법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따라서 항법 키트의 주 제어부(111)는 본 발명에 따라 목적지의 음성 또는 문자 입력 시 제어를 수행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되는 제어 흐름도들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항법 키트의 주 제어부(211)는 이동통신 단말과 연결되어 수행되는 각종 제어 및 이동체의 위치 계산 등에 따른 동작의 제어를 수행한다. 항법 키트의 인터페이스(212)는 이동통신 단말 또는 노트북 컴퓨터 등과 접속되며, 항법 키트 주 제어부(211)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외부로 전달하는 인터페이스를 수행한다. GPS 엔진(213)은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차량의 위치 정보를 주 제어부(211)로 제공한다. 자이로(Gyro) 센서(214)는 이동체(200)의 이동에 따른 정보를 수치화하여 거리 데이터로 계산한 후 상기 계산된 데이터를 주 제어부(211)로 제공한다. 또한 가속도 센서(215)는 이동체(200)의 속도를 이용하여가속도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가속도 값을 주 제어부(211)로 전달한다.
매핑부(216)는 주 제어부(211)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와 목적지 정보 등을 매핑하여 다시 주 제어부(211)로 제공한다. 또한 메모리(217)는 주 제어부(211)에 제공할 데이터 및 프로그램과 연산 시 발생되는 데이터의 임시 저장 영역 등을 가진다. 상기 항법 키트에는 도 2에 도시한 블록들 이외에 키 입력을 수행하는 장치 및 간단한 표시 램프 또는 표시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키 입력은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하는 경우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이동통신 단말의 제어부(221)는 일반적인 음성 및 데이터의 호 형성에 따른 제어를 수행하며, 동시에 본 발명에 따라 항법 키트와 연결될 시 항법 데이터를 수신하며, 목적지 주소 제공에 따른 제어 동작 및 항법 데이터 수신을 수행한다. 이는 후술되는 제어 흐름도를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인터페이스(222)는 제어부(221)와 항법 키트간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한다. 입력부(223)는 핸드폰 또는 셀룰라 폰 등의 경우 일반적으로 키 매트릭스 구조를 가지며, PDA 폰 등의 경우에 터치 스크린 또는 터치 펜에 의한 문자 입력 등을 수행하는 장치가 된다. 이와 같이 입력되는 데이터는 제어부(221)로 전달된다.
또한 음성 처리부(224)는 일반적으로 보코더(VOCODER)로 구성할 수 있으며, 마이크(MIC)를 통해 입력된 전기적인 음성 신호를 부호화하여 제어부 및 무선부(227)로 제공하며, 상기 무선부(227) 또는 제어부(221)로부터 수신되는 부호화된 음성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신호로 변환한 후 스피커(SPK)를 통해 가청음으로변환 출력한다. 메모리(225)는 이동통신 단말의 제어 시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저장 영역,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 저장 영역, 호의 처리 시 발생하는 데이터 저장영역과 본 발명에 따라 항법 키트와 연결 시 필요한 제어 데이터 및 그에 따라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버퍼 등으로 구성된다. 표시부(226)는 일반적으로 액정표시 판넬로 구성되며, 이동통신 단말의 현재 상태, 호의 진행 상태 및 본 발명에 따라 항법 동작 수행 시 그에 따른 표시의 제어가 수행된다. 무선부(227)는 무선 채널을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과 연결되어 호의 연결 또는 본 발명에 따른 항법 동작의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에서 목적지 설정 시의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이동통시 단말을 이용하여 항법 서버 시스템으로 목적지를 설정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동통신 단말의 제어부(221)는 302단계에서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대기상태란 상기 도 1의 이동체(200)에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이 항법 서버 시스템(100)과 연결되어 이후 명령을 대기하는 상태이다. 따라서 이동체(200)에 부가된 항법 키트 또는 이동통신 단말은 이동체(200)의 위치 정보를 항법 서버 시스템(100)으로 전달한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이동체(200)가 이동하고 있는 중인 경우 이를 계속적으로 알리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경우 즉, 항법 서버 시스템(100)과 연결되어 경로 찾기 등에 따른 서비스를 수행하고자 하는 대기상태의 경우 상기 표시부(226)에 표시되는 내용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1. 길 안내', '2. 주변 시설물 찾기', '3. 교통정보', '4. 생활정보', '5. 즐겨 찾기 관리'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표시부(226)에 표시되는 내용들은 도 4a와 같이 도시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m은 본 발명에 따라 항법 목적지 설정 시 메뉴의 목록들 및 항법 수행 시 표시되는 내용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4a와 같이 상기 표시부(226)에 표시하는 중에 입력부(223)로부터 키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304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입력된 키 신호가 항법을 요구하는 신호인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항법이 요구된 경우 308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306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제어부(221)는 308단계로 진행하면, 목적지를 설정하기 위한 메뉴들을 표시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표시부(226)에 표시되는 메뉴의 종류를 일 예로 설명하면 '1. 문자 입력', '2. 음성 입력', '3. 최근 길 안내 지점', '4. 목적지 등록 지점', '5. 길 안내 화면 보기' 등의 종류들이 있을 수 있다. 이를 도면으로 도시하면 도 4b와 같이 도시할 수 있다. 상기 도 4b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의 표시부(226)에 표시된다. 상기 제어부(221)는 308단계에서 표시를 수행하며, 310단계로 진행하여 표시된 메뉴 정보 중 문자 입력이 선택되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문자 입력이 선택된 경우 312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318단계로 진행한다.
먼저 310단계에서 312단계로 진행하는 경우 즉, 문자 입력이 선택된 경우를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221)는 문자 입력이 요구되면,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로 입력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들을 메모리(225)로부터 읽어와 이를 표시부(226)에 표시한다. 그런 후 314단계에서 입력부(223)로부터 수신되는 키 신호에 따라 입력 문자의 종류를 선택한다. 상기 문자 입력의 종류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1. 시설물 명칭', '2. 지역/업종', '3. 행정관청', '4. 전화번호', '5. 경도, 위도'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표시된 문자의 종류에 따라 선택이 이루어지면, 상기 상기 제어부(221)는 상기 입력된 문자에 따라 목적지 설정 과정을 수행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목적지 설정이 완료되면 이후 항법 서비스가 수행된다.
상기 문자의 종류를 선택하는 314단계와, 입력된 문자에 따라 목적지를 설정하는 316단계를 첨부된 도 4d 내지 도 4k를 참조하여 더 상세히 살펴본다.
도 4d의 예에는 시설물의 명칭이 선택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4d의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설물의 명칭이 선택되면 첫 자음만을 입력하여 시설물의 위치를 찾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제어부(221)는 첫 자음들만 입력되는 경우 이를 항법 서버 시스템(100)으로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항법 서버 시스템(100)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 입력되어 수신된 첫 자음들로 조합되는 지역의 명칭 또는 시설물 등을 검사한다. 그런 후 상기 항법 서버 시스템(100)은 상기 수신된 첫 자음으로 검사된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로 전달한다. 이때 상기한 자음들로 구성될 수 있는 지역 또는 시설물의 위치와 함께 전달된다. 이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이 상기 입력된 첫 자음들을 항법 서버 시스템(100)으로 전달하는 이유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내부에 구비된 메모리(225)에 모든 시설물 및 지역의 정보를 저장할 수 없기 때문이다.
전술한 방법에 따라 문자 메시지를 해당하는 시설물 또는 지역의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제어부(221)는 상기 표시된 메시지를 표시부(226)에표시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모든 문자를 입력하지 않고도 목적지를 손쉽게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예와 달리 시설물의 전체 글자를 입력하여 찾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면 "삼성전자"라는 시설물이 선택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 자음만으로 구성되지 않고 시설물의 모든 글자가 입력된 경우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즉, 도 4e와 같이 선택된 시설물 명칭이 "삼성전자"인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제어부(221)는 무선 채널을 통해 항법 서버 시스템(100)으로 삼성전자의 목적지를 전달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이와 같이 전달되는 목적지 정보를 "1차 완전 목적지 정보"라 칭한다. 즉, 상기와 같은 1차 완전 목적지 정보가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항법 서버 시스템(100)은 1차 완전 목적지 정보가 2 이상인가를 검사한다. 즉, 동일한 이름의 시설물이 2 이상인가를 검사한다. 이때 동일한 목적지가 2 이상인 경우 상기 동일한 시설물에 대한 목적지 정보를 모두 이동통신 단말로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제어부(221)는 상기 표시부(226)의 표시 한계 내에서 시설물의 명칭과 위치 정보를 표시한다. 이를 도 4f에 도시하였다. 그러나 상기 1차 완전 목적지가 유일한 목적지 즉 상기 이름을 가진 시설물이 단 하나인 경우 이에 대한 항법 서비스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입력된 1차 완전 목적지가 올바로 입력된 목적지인가를 확인하는 절차를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4f에는 삼성전자라는 1차 완전 목적지에 대응하는 시설물의 위치가 3개인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상기 도 4f에 도시된 1차 완전 목적지에대응하여 검색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목적지를 "검색 목적지 정보"라 칭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제어부(221)는 상기 검색 목적지를 표시하는 중에 입력부(223)로부터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그에 대응하는 목적지 정보를 상기 항법 서버 시스템(100)으로 전달한다. 이하에서 이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에서 선택되어 항법 서버 시스템(100)으로 전달되는 목적지 정보를 "선택 목적지 정보"라 칭한다. 그러면 상기 항법 서버 시스템(100)은 수신된 "선택 목적지 정보"에 따라 항법 서비스를 수행한다.
전술한 예에서는 1차 완전 목적지 정보가 송신되는 경우를 설명하였다. 그러면 "불완전 목적지 정보"가 송신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상기 불완전 목적지란, 상기 도 4d 또는 도 4e의 "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자음의 첫 자음(들)만을 이용하여 목적지를 선택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목적지가 된다. 이러한 불완전 목적지는 이동통신 단말에서 항법 서버 시스템(100)으로 매 자음들을 송신하는 경우 상기 자음들이 불완전 목적지가 된다. 그러면 항법 서버 시스템(100)은 매 자음이 입력될 때마다 그 자음들의 순서가 동일한 목적지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전달한다. 이때 사용자는 수신되는 메시지를 무시하고 계속 입력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다른 방법으로 소정 자리 이상이거나 또는 사용자의 확인이 요청되는 경우에만 상기 자음 정보들인 불완전 목적지를 상기 항법 서버 시스템(100)으로 전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자음 정보가 항법 서버 시스템(100)으로 전달되면 그에 대응하는 목적지 정보들이 이동통신 단말로 전달된다. 이때 전달되는 목적지 정보들도 검색 목적지가 된다.
상기한 방법을 통해 목적지의 검색이 완료되면 항법 서비스가 수행된다. 이와 같이 항법 서비스가 수행될 경우 이동통신 단말의 표시부(226)에 표시되는 형태는 도 4g와 같이 표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목적지 주소에 대응하여 거리 및 진행 방향의 경로와 현재 주행중인 도로정보 등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도 4g에 도시된 예는 하나의 실시 예로서 도시한 것이다. 이와 달리 문자 메시지만으로 도시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음성 메시지와 함께 표시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음성 메시지와 함께 표시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음성 처리부(224)에서 처리되어 스피커(SPK)를 통해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다른 방법으로 항법 키트에 음성 처리 장치를 구비하고, 그에 연결되는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는 선택적인 사양이므로 더 이상 상세히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다른 경우 즉, 상기 도 4h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지역 정보"가 선택된 경우 해당 카테고리 및 해당 지역 등을 차례로 선택해서 목적지를 검색한다. 그리고 목적지가 검색되면, 도 4g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로의 안내가 시작된다. 또한 상기 도 4c의 3번째 메뉴인 행정관청이 입력된 경우 행정관청의 이름을 입력하여 목적지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에도 도 4i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완전 목적지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불완전 목적지를 사용하여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도 4c에 도시된 4번째 메뉴인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해당 목적지를 설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전화번호가 입력되는 예를 도 4j에 도시하였다. 즉,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제어부(221)는 전화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전화번호 정보를 항법서버 시스템(100)으로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항법 서버 시스템(100)은 전화번호 정보를 이용하여 목적지를 검색하고 검색된 목적지로 항법 서비스를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문자 입력 시에 도 4c의 5번째에 도시된 경도 및 위도를 이용하여 입력할 수도 있다. 이는 도 4k에 도시하였다. 이러한 경우 상기 위도 및 경도를 직접 숫자로 입력하여 정확한 위치까지 항법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308단게에서 318단계로 진행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즉, 상기 목적지 설정 메뉴가 표시된 상태에서 소정 키 입력 신호가 존재하고, 상기 키 입력 신호가 음성 입력을 요구하는 신호인 경우가 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221)는 320단계로 진행하여 음성 입력에 따라 목적지의 설정을 수행한다. 이때 음성 신호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항법 키트에 부가된 마이크 등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이크(MIC)를 통해 입력되는 경우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마이크(MIC)로 음성 신호가 입력되면 음성 처리부(224)에서 이를 부호화한 후 음성 인식 센터(400)로 전달한다. 상기 음성 인식 센터(400)에서는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수신된 음성 신호를 검사하여 상기 각 음성 신호와 문자를 매칭하여 목적지 주소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목적지 주소는 정보 센터(600)로 전달된다. 그러면 정보 센터는 상기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항법을 수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음성으로 목적지를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의 입력부(223)를 통해 입력 신호를 송신한다. 이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표시부(226)는 도 4l과 같이 표시한 상태에서 선택이 이루어진다. 그런 후 선택이 이루어지면, 상기 항법 서버 시스템(100)은 "음성으로 설정하신 길 안내 정보를 받으시겠습니까?"란 메시지를 이동통신 단말로 송출한다. 이때 송출되는 메시지는 음성 메시지 또는 문자 메시지 또는 상기 두 메시지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그런 후 상기 정보 센터(600)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에 따라 목적지로 이동하는 경로의 안내가 수행된다. 이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표시부(226)로 상기 도 4g와 같이 도시되면서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항법 서버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서버 및 센터들의 내부 블록 구성도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항법 서버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센터들의 블록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음성 인식 센터(40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음성 인식 제어부(411)와 목적지 주소 데이터 베이스(412) 및 인터페이스부(413)를 적어도 구비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413)는 IP Network(20) 또는 지능망(15) 또는 공중망(14)과 연결되며, 상기 망으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신호 또는 부호화된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여 음성 인식 제어부(411)로 전달한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413)는 웹 센터(500)와 정보 센터(600)와 연결되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한다. 음성 인식 제어부(411)는 인터페이스부(413)로부터 수신된 음성 신호 또는 부호화된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문자화한다. 이와 같이 음성 신호 또는 부호화된 음성 데이터를 문자화하는 방법은 본 발명의 관심 사항이 아니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음성 인식 제어부(411)는 상기 음성 신호 또는 부호화된 음성 데이터가 문자화 한 후 이를 목적지 주소 데이터 베이스(412)로 전달한다. 상기 목적지 주소 데이터 베이스(412)는 목적지 검색 엔진을 더 구비한다. 상기 목적지 주소 데이터 베이스(412)는 시설물의 명칭, 지명, 역 이름, 관공서 이름 목적지로 입력될 수 있는 각종 명칭이 문자 데이터로 저장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이와 같이 목적지로 입력될 수 있는 모든 명칭들을 "목적지 명칭"이라 칭한다. 상기 검색 엔진(도 5에 도시하지 않음)은 상기 입력된 문자와 유사 문자 등을 검색하여 "음성 검색 목적지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음성 인식 제어부(411)로 전달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음성 검색 목적지 정보"란 일반적으로 음성 인식 시스템이 사용자의 음성 신호 또는 부호화된 음성 데이터를 정확하게 문자로 변환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유사 문자에 의해 검색된 목적지 정보를 말한다. 따라서 음성 검색 목적지 정보는 하나가 될 수도 있으며 둘 이상이 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검색된 음성 검색 목적지 정보를 수신한 음성 인식 제어부(411)는 이를 인터페이스부(413)를 통해 정보 센터(600)로 전달한다. 이때 음성 검색 목적지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으며, 선택 목적지를 전달할 수도 있다. 이는 음성 인식된 음성 검색 목적지 정보가 둘 이상인 경우 상기 음성 인식 제어부(411)는 상기 검색된 목적지를 문자로 또는 부호화된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이동체(200)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선택이 이루어지면 상기 음성 인식 제어부(411)는 상기 선택 목적지를 수신한다. 상기 음성 인식 제어부(411)는 선택 목적지를 수신하면 상기 선택 목적지를 정보 센터(600)로 전달하여 항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음성 인식 제어부(411)에서 음성 안내 서비스가 가능한 경우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만일 음성 인식 제어부(411)가 음성 안내 서비스가 불가능하며 음성 검색 목적지 정보가 둘 이상이고, 음성으로 음성 검색 목적지 정보를 이동체(200)로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음성 검색 목적지 정보를 정보 센터(600)로 전달하여 음성 안내를 수행한 후 선택 목적지를 수신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웹 센터(50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웹 센터(500)는 웹 제어부(511), 지도 변환부(512), 지도 데이터 베이스(513),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514) 및 인터페이스부(515)를 구비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511)는 IP Network(20)과 웹 제어부(511)간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515)는 음성 인식 센터(400)와 정보 센터(614)와 연결되어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한다.
지도 데이터 베이스(513)는 지도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각종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지도 변환부(512)는 상기 지도 데이터 베이스(513)로부터 읽어온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데이터로 변환한 후 이를 웹 제어부(511)로 전달한다. 또한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514)는 인터넷 통신 등을 통해 접속되는 사용자의 아이디(ID : Identification)와 비밀번호 및 사용자의 기본적인 사항들을 저장하고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514)는 웹 제어부(511)로부터 사용자의 정보가 요구되면 이를 제공하고, 사용자 추가 및 갱신 요구가 입력되면 이를 데이터 베이스에 추가 및 갱신한다. 상기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514) 또한 데이터 베이스 검색을 위한 엔진(도 5에 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한다.
웹 제어부(511)는 인터넷 단말을 통해 사용자가 접속되면 사용자 데이터 베이스(514)를 검사하여 인증 절차 등을 수행한다. 그리고 웹 상으로 접속된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제어 및 동작을 수행함과 아울러 본 발명에 따라 지도 데이터 요구 시 상기 지도 변환부(512)로 해당하는 영역의 지도 정보를 요구한다. 그러면 상기 지도 변환부(512)는 지도 데이터 베이스(513)로부터 지도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지도 데이터를 다시 웹 제어부(511)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웹 제어부(511)는 상기 지도 데이터를 해당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정보 센터(600)를 살펴본다. 상기 정보 센터(600)는 정보 센터 제어부(611)와 센터용 지도 데이터 베이스(612)와 안내 정보 생성부(613)와 교통 정보 데이터 베이스(614)와 인터페이스부(615)를 적어도 구비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615)는 교통 정보 제공 센터 및 IP Network(20)과 연결되어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웹 센터(500)와 음성 인식 센터(400)와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611)는 실시간 교통 정보를 제공하는 교통 정보 제공 센터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수신하면 이를 교통 정보 데이터 베이스(614)로 전달한다. 교통정보 데이터 베이스(614)는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교통 정보 데이터를 저장하며 교통 정보 갱신 시 이를 교통 정보 센터(611)로 전달한다. 또한 정보 센터 제어부(611)로부터 교통 정보 요구 시 이에 따른 정보를 제공한다. 센터용 지도 데이터 베이스(612)는 교통 정보 센터에 구비되는 지도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상기 지도 데이터에는 경로 데이터와 소요 시간 데이터 등을 함께 저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안내 정보 생성부(613)는 정보 센터 제어부(611)의 제어에 의해 항법이 수행되는 이동체(200)로 안내 정보를 제공한다. 이러한 안내 정보는 단순한 문자 메시지가 될 수도 있으며, 음성 안내를 위한 음성 데이터가 될 수도 있고, 지도를 간략화한 예를 들어 화살표와 같은 데이터가 될 수도 있으며, 실제 지도 데이터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4가지 종류 이외에 다른 정보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한 종류들 몇 가지를 조합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공되는 데이터는 인터페이스부(615)를 통해 항법 서비스를 제공받는 이동체(200)로 전달된다.
상기 정보 센터 제어부(611)는 일반적으로 선택 목적지인 최종 목적지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도 3 내지 도 4의 설명 중에서 불완전 목적지 정보 수신 시에 불완전 목적지 정보와 매칭되는 다수의 검색 목적지 정보를 이동체(200)로 전달하기 위한 매칭을 수행한다. 또한 또는 1차 완전 목적지 수신시 이에 대응하는 검색 목적지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 결과가 2 이상인 경우 이를 이동체(200)로 전달하여 선택 목적지를 수신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상기 정보 센터 제어부(611)는 정확한 목적지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정보 센터 제어부(611)는 이미 수신된 이동체(200)의 위치 정보에 따라 최적의 경로를 검색한다. 이러한 최적의 경로는 교통 정보 데이터 베이스(614)와 센터용 지도 데이터 베이스(612)에 저장된 내용에 근거하여 경로를 설정한다. 상기경로가 결정되면, 안내 정보 생성부(613)를 제어하여 목적지까지의 안내 정보를 이동체(200)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정보 센터 제어부(611)는 상기 음성 인식 센터(400)을 통해 음성 검색 목적지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안내 정보 생성부(613)를 제어하여 상기 입력한 음성 신호에 대한 목적지 확인 과정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는 음성 인식 센터(400)에 음성 안내를 수행하는 장치를 구비하지 않은 경우에 이와 같이 실시한다. 따라서 만일 음성 인식 센터에 음성 안내 장치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이를 수행하지 않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음성 인식 센터에서 음성 신호 수신 시 수행되는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음성 인식 제어부(411)는 700단계에서 대기상태를 유지하며, 정보 센터(600)로부터 또는 IP Network(20) 또는 지능망(15) 또는 공중망(14)으로부터 음성 신호가 수신되는가를 검사한다. 여기서 이하의 설명에서 음성 신호란, 전기적인 음성 신호와 부호화된 음성 데이터를 총칭한다. 상기 음성 인식 제어부(411)는 702단계의 검사결과 음성 신호가 수신되면 704단계로 진행하여 음성 신호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한다. 이러한 음성 신호의 문자 데이터 변환은 여러 가지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음성 신호의 변환 시에 발생하는 유사 문자 데이터를 함께 변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음성 신호를 문자 변환이 이루어지면, 상기 음성 인식 제어부(411)는 706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목적지 주소 데이터 베이스(412)를 검사하여 음성 검색 목적지를 탐색한다.
상기 음성 인식 제어부(411)는 음성 검색 목적지가 탐색되면, 708단계로 진행하여 음성 검색 목적지가 2 이상인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음성 검색 목적지가 2 이상인 경우 상기 음성 인식 제어부(411)는 이동체(200)의 이동통신 단말로 상기 음성 검색 목적지를 전송한다. 이때 전송되는 음성 검색 목적지는 문자 데이터로 변환할 수도 있으며, 음성 신호로 전송할 수도 있다. 그런 후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선택 목적지 수신을 대기한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선택 목적지가 송신되어 712단계에서 선택 목적지를 수신하면, 상기 음성 인식 제어부(411)는 714단계로 진행하여 정보 센터(600)로 전송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정보 센터에서 수신 시 수행되는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정보 센터 제어부(611)는 720단계에서 대기상태를 유지하며, 722단계로 진행하여 인터페이스부(615)로부터 선택 목적지 정보가 수신되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선택 목적지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724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720단계의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정보 센터 제어부(611)는 724단계로 진행하면 경로를 검사한다. 상기 정보 센터 제어부(611)이 수행하는 상기 경로의 검사는 이미 수신되어 저장되어 있는 이동체(200)의 위치 정보와 선택 목적지 정보를 이용하여 경로를 결정한다. 또한 상기 경로 결정 시 교통 정보 제공 센터로부터 수신된 교통 정보 데이터 베이스(614)에 저장된 교통 정보를 참조하여 이를 결정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센터용 지도 데이터 베이스(612)에는 지도 데이터와 함께 거리를 이용하여 시간 정보를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계산된 값과 교통 정보데이터 베이스에서 검사된 교통정보를 이용하여 최적의 경로를 설정한다.
상기 정보 센터 제어부(611)는 724단계에서 경로가 설정되면 726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안내 정보 생성부(613)를 제어하여 안내 정보를 생성한다. 그런 후 이를 상기 안내 정보 생성부(613)의 내부에 구비된(도 5에 도시하지 않음) 메모리에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정보 센터 제어부(611)는 6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안내 정보 생성부(613)에 저장된 안내 메시지에 따라 항법 안내를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하여 항법 키트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또한 항법 키트에서 목적지 주소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실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항법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6)

  1. 공중망 및 데이터 통신 망과 연결될 수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과 연결될 수 있는 이동체의 항법 시스템으로 항법 정보를 제공하는 항법 서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 또는 상기 항법 시스템으로부터 음성 목적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신된 음성 목적지에 대응하는 음성 검색 목적지를 생성하고 상기 음성 검색 목적지 정보를 선택 목적지 정보로 하여 이를 정보 제공 센터로 전달하는 음성 인식 센터와,
    상기 수신된 선택 목적지 정보와 상기 이동체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최적의 이동 경로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이동 경로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 또는 상기 항법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정보 센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인식 센터는,
    목적지 명칭을 문자 데이터로 저장하며 입력되는 문자 데이터와 비교하여 비교 결과를 출력하는 주소 데이터 베이스와,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음성 신호와 대응하는 문자 및 유사 문자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를 상기 주소 데이터 베이스로 출력하여 검색 결과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선택 목적지로 출력하는 음성 인식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인식 제어부는,
    상기 문자 및 유사 문자에 의해 검색된 음성 검색 목적지가 2 이상인 경우 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 또는 상기 항법 시스템으로 전달하고 그 결과에 따라 선택 목적지를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센터는,
    이동 경로 데이터와 거리 데이터 및 목적지 명칭을 저장하고 있는 센터용 지도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이동체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와 상기 선택 목적지 정보에 따라 상기 센터용 지도 데이터 베이스의 데이터를 읽어와 최적의 경로를 설정하고 항법 제어를 수행하는 정보 센터 제어부와,
    상기 정보 센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저장된 경로 정보에 따라 목적지 안내를 수행하는 안내 정보 생성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교통 정보 제공 센터로부터 실시간 교통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교통 정보 데이터 베이스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정보 센터 제어부는 최적의 경로 설정 시 상기 교통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교통 정보 데이터를 이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항법 서버 시스템은,
    인터넷 사용자들과 접속되어 인터넷 망을 통해 교통 정보 및 경로 정보를 제공하는 웹 서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시스템.
  7. 공중망 및 데이터 통신 망과 연결될 수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과 연결될 수 있는 이동체의 항법 시스템으로 항법 정보를 제공하며, 음성 인식 센터와 정보 센터를 적어도 구비하는 항법 서버 시스템에서 목적지 주소 설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음성 인식 센터는 음성 신호로 목적지 주소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수신된 음성 신호에 대응하는 음성 목적지를 검색하고 이를 이용하여 선택 목적지를 결정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정보 센터는 상기 선택 목적지 수신 시 상기 이동체의 위치 정보와 상기 선택 목적지를 이용하여 최적의 목적지를 검사하고 상기 검사된 목적지에 따른 안내를 수행하는 제2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과정에서,
    상기 음성 검색 목적지가 2 이상인 경우 상기 음성 검색 목적지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 또는 상기 항법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제1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 또는 상기 항법 시스템으로부터 선택 목적지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선택 목적지를 상기 정보 센터로 전달하는 제2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9. 공중망 및 데이터 통신 망과 연결될 수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과 연결될 수 있는 이동체의 항법 시스템으로 항법 정보를 제공하는 항법 서버 시스템에서 목적지 주소 설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불완전 목적지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불완전 목적지 정보로 생성할 수 있는 목적지 주소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된 목적지 주소가 2 이상인 경우 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선택 목적지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선택 목적지에 따라 최적 경로를 검사한 후 항법 서비스를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1차 완전 목적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1차 완전 목적지 정보로 생성할 수 있는 목적지 주소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된 목적지 주소가 2 이상인 경우 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선택 목적지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선택 목적지에 따라 최적 경로를 검사한 후 항법 서비스를 수행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1. 항법 서버 시스템으로부터 항법 서비스를 제공받는 항법 시스템과 연결될 수 있으며, 무선망으로 항법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에서 항법 서비스를 위한 목적지 입력 방법에 있어서,
    항법 서비스가 요구되어 목적지 입력 모드로 진행하면 목적지 입력 가능 메뉴들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메뉴들 중 음성 입력이 선택되면, 상기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부호화하여 상기 항법 서버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항법 서버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항법 서비스 정보에 따라 항법 서비스를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항법 서버 시스템으로부터 적어도 2 이상의 음성 검색 목적지 정보 수신 시 이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음성 검색 목적지의 선택 신호 수신 시 선택 목적지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항법 서버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메뉴들 중 문자 입력이 선택되면, 상기 입력 가능한 문자의 종류들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문자 종류 중 한글 문자로 입력되는 종류가 선택된 경우 입력되는 문자가 불완전 문자인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되는 문자가 불완전 문자인 경우 상기 입력이 완료되면 입력된 불완전 문자를 상기 항법 서버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항법 서버 시스템으로부터 2 이상의 검색 목적지를 수신하면 이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검색 목적지들 중 하나의 목적지가 선택되면 이를 선택 목적지로 하여 상기 항법 서버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상기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메뉴들 중 문자 입력이 선택되면, 상기 입력 가능한 문자의 종류들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문자 종류 중 한글 문자로 입력되는 종류가 선택된 경우 입력되는 문자가 완전 문자인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되는 문자가 완전 문자인 경우 상기 입력이 완료되면 입력된 완전 문자를 상기 항법 서버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항법 서버 시스템으로부터 2 이상의 검색 목적지를 수신하면 이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검색 목적지들 중 하나의 목적지가 선택되면 이를 선택 목적지로 하여 상기 항법 서버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메뉴들 중 문자 입력이 선택되면, 상기 입력 가능한 문자의 종류들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문자 종류 중 전화번호가 선택된 경우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목적지 정보로 하여 상기 항법 서버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메뉴들 중 문자 입력이 선택되면, 상기 입력 가능한 문자의 종류들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문자 종류 중 위도 및 경도가 선택되면 입력되는 위도 및 경도를 목적지 정보로 하여 상기 항법 서버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KR1020010068312A 2001-11-02 2001-11-02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항법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0300371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8312A KR20030037190A (ko) 2001-11-02 2001-11-02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항법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8312A KR20030037190A (ko) 2001-11-02 2001-11-02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항법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7190A true KR20030037190A (ko) 2003-05-12

Family

ID=29567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8312A KR20030037190A (ko) 2001-11-02 2001-11-02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항법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3719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31677A1 (en) * 2003-10-01 2005-04-07 Thinkware System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map for navigation which can retrace a route by map matching compulsory secede order
KR100974443B1 (ko) * 2008-02-18 2010-08-06 주식회사 제승 주름을 지닌 이중직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31677A1 (en) * 2003-10-01 2005-04-07 Thinkware System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map for navigation which can retrace a route by map matching compulsory secede order
KR100974443B1 (ko) * 2008-02-18 2010-08-06 주식회사 제승 주름을 지닌 이중직물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77846B2 (en) Navigation system
JP4559463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ナビゲーション方法、ナビゲーションプログラム
US672515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formation processing, and medium for information processing
US20030158657A1 (en) Navigation system
US20040225436A1 (en) Map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ts system, its method, its program, recording medium storing the program, position information display device, its method, its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the program
JP2010515894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テキスト可読形式での位置表示方法
KR20070113665A (ko) 네비게이션 단말의 목적지 설정 방법 및 장치
WO2005038400A1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ナビゲーション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6170769A (ja) 案内情報提供方法、案内情報提供システム、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入出力装置
JP2001091285A (ja) 電話番号による地点検索出力装置及び記録媒体
JP3774949B2 (ja) 移動経路案内システム
JPH08212497A (ja) 移動体用通信装置
JP2002048572A (ja) 位置検出システム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CN101842663B (zh) 改进型导航装置与方法
JP2014066576A (ja) タクシー運転手案内システム、案内メッセージ提供装置、携帯通信端末、タクシー運転手案内装置およびタクシー運転手案内方法
KR20080049423A (ko) Ucc 기반의 경로안내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20030037190A (ko)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항법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0507233B1 (ko) 목적지 관련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JP3767671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ナビゲーション方法
JP6694781B2 (ja) 経路案内装置、経路案内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0719750B1 (ko) 네비게이션 장치에서의 동행 차량 표시 방법 및 그네비게이션 장치
JP2000213949A (ja) 携帯型電話機によるナビゲ―ションシステム
US2022016334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JP2003006219A (ja) 情報提示システム
JP2005249652A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移動端末装置、およびセン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