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6649A - 환자의 모니터링을 위한 방법과 장치 - Google Patents

환자의 모니터링을 위한 방법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6649A
KR20030036649A KR10-2003-7001238A KR20037001238A KR20030036649A KR 20030036649 A KR20030036649 A KR 20030036649A KR 20037001238 A KR20037001238 A KR 20037001238A KR 20030036649 A KR20030036649 A KR 200300366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atient
transceiver
signal
med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1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바스코로버트에스
메신게일로저
Original Assignee
아이-플로우 코오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9/626,358 external-priority patent/US7536309B1/en
Application filed by 아이-플로우 코오포레이션 filed Critical 아이-플로우 코오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30036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664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2Monitoring a patient using a global network, e.g. telephone networks, interne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인터페이스 유니트(14)와 환자(18)에 연결되어 있는 의료장비(12)를 포함한, 원거리에서 또는 근거리에서 프로그래밍되고 접속가능한 의료장비 시스템(10)이 개시되어 있다. 전화(48)나 컴퓨터(50)같은 송수신기를 통해, 환자는 원거리 또는 근거리상의 의료장비로부터, 청각적, 전자적, 또는 문서 형식의 상태보고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환자는 의료장비에 관련한 프로토콜을 변환할 수 있거나 그러한 의료장비에 연결된 원거리 또는 근거리의 경보장치로부터 신호를 받을 수 있다.

Description

환자의 모니터링을 위한 방법과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 Patient}
의료비용의 증가, 고가의 병실비용, 환자의 위로와 편의를 제공하려는 열망 등으로, 환자를 가정에서 관리하는 의료산업이 추구되었다. 이러한 의료장비들은 환자의 건강척도(parameter)들을 자주 모니터링 하고, 환자에게 필요한 것의 변화에 따라 조절되도록 제어된다. 또한, 치료의 변화는 프로그램된 전체적인 프로토콜을 필요로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료장비의 초기형식에서는 장치의 프로토콜을 조정하는데 의료인이 있어야만 했다. 그러한 재프로그램화는 비용과 시간이 많이소요되었다.
추가적으로, 병원과 같은 의료인과 현재 건강관리를 제공하는 의료보험사들은 때때로 모든 의료작업을 뒷받침하는 문서를 필요로 한다. 예를 들어, 의료보험사는 환자의 비용을 변제해주기 위해서, 환자의 건강을 측정한 특정 파라메터가 특정한 수준에 있는지 증명할 것을 요구하거나, 건강보험 대리인에게는, 의도했던 대로 장비가 실제 사용되었다라는 증거가 필요할 수도 있다. 또한, 집에서 환자 또는 간병자는 종종 의료장비와 관련된 경보가 발령되었다는 것을 의료인에게 통지하는데 실패하며, 어떤 경우에는, 환자가 경보상황에 반응하는 장치를 무단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따라서, 원거리에 있는 의료인 또는 다른 건강관리 인원의 팩스나 컴퓨터로 경보 상태를 공지하거나 그 상태보고를 전송함으로써, 환자의 상태를 통보할 수 있고, 원거리 또는 근거리에서 제어될 수 있는 의료장비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원거리 또는 근거리에서 프로그래밍 가능한 의료장비 시스템과, 상기 목적을 수행하는 원거리 또는 근거리 송수신장치를 통한, 의료장비 시스템을 원거리에서 프로그래밍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음성합성된 지시를 수신한 후, 터치 톤 키패드(touch-tone keypad)가 있는 원거리 또는 근거리 송수신장치에 의해, 의료인이 원거리 또는 근거리상의 환자와 연결된 의료장비로부터 환자의 상태를 입수하고, 환자의 프로토콜을 바꾸거나 문서의 요청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방법은 사용이 간단하고 훈련이 필요치 않은데; 의료인은 전화가 있는 어느 곳에서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만일 의료인이 컴퓨터에 접속하였다면, 그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전화를 이용한 것과 동일하게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선택사양과 더불어, 컴퓨터 스크린상에서 그래프 또는 도표형태에 의하여 환자의 실시간 상태를 볼 수 있거나, 의료장비를 프로그래밍하기 위하여 시스템에 원하는 수치를 갖는 파일을 보낼 수도 있다.
또한, 의료인의 컴퓨터는 시간차 설정한 상태보고를 특정위치로 자동적으로 시스템에 송신하고, 의료인이 경보상황을 통지하도록 요청한다. 아울러, 상기 시스템은 한명 또는 그 이상의 환자에게 연결된 다수의 의료장비를 원거리 또는 근거리에서 프로그래밍하거나, 중앙의 데이터 저장위치에 접속하여 단일 프로그램 세션의 다수 환자의 프로토콜을 원거리에서 프로그래밍할 수 있다.
이러한 또는 그 이상의 장점을 성취하기 위하여, 그리고 여기서 실시되고 폭넓게 기술된 발명의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프로그래밍 가능한 프로토콜을 가지는, 원거리 또는 근거리에서 프로그래밍 가능하고 접속 가능한 의료장비를 정의한다. 상기 의료장비는 원거리 송수신장치에 의해 원거리에서 프로그래밍 가능하고 근거리 송수신장치에 의해 근거리에서 프로그래밍 가능하다. 적당한 송수신기로는 터치-톤 전화기나 컴퓨터가 있다. 선택적으로, 의료장비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프로토콜이 없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구는 환자의 생체신호만을 모니터링 할 수도 있다. 원거리 또는 근거리에서 프로그래밍 가능한 의료장비 시스템의 본발명은 프로그래밍 가능한 프로토콜을 저장하거나 활성을 기록하는 기억장치 및 음성신호를 원거리 송수신장치로 보내고, 원거리상의 팩스 또는 컴퓨터에 데이터를 보내며, 원거리 송수신장치로부터 원거리 프로그래밍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원거리 통신단자를 포함한다. 상기 시스템은 또한 음성신호를 근거리 송수신기에 보내고, 근거리 송수신기로부터 근거리 프로그래밍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단자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시스템은 음성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음성저장 유니트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데, 이 것들은 (1) 원거리 또는 근거리 프로그래밍 신호에 반응하여 프로그래밍 가능한 프로토콜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통신단자; (2) 음성저장 유니트로 부터 음성신호에 접속하기 위한 음성저장 유니트; 및, (3) 기억장치로부터 프로그래밍 가능한 프로토콜에 접속하기 위한 기억장치가 연결된다.
추가적인 측면에서, 본 발명은 기억장치에 프로그래밍 가능한 경보절차가 저장된 의료장비 시스템을 포함한다. 상기 의료장비 시스템은 데이터 단자와, 인터페이스 데이터 단자를 통해 의료장비상의 의료장비 데이터 단자에 연결되거나 집적되어 있는 인터페이스 유니트를 가지는 의료장비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 유니트는 경보상황이 발생했다고 말해주는 음성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음성저장 유니트와, 음성신호를 원거리 터치-톤 송수신장치에 자동적으로 송신하거나 또는 원거리의 팩스 또는 컴퓨터에 경보상황에 관한 데이터를 자동적으로 송신하기 위한 원거리 통신단자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또한, 인터페이스 유니트는 (1) 의료장비 경보신호의 수신에 반응하여 경보상황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원거리 통신단자; (2) 음성저장 유니트로 부터 음성신호에 접속하기 위한 음성저장 유니트; 및, (3) 기억장치로부터 경보절차에 접속하기 위한 기억장치와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의료장비의 경보로부터의 신호는 의료장비 데이터 단자를 통해 인터페이스 데이터 단자에 중계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프로토콜 기억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래밍 가능한 프로토콜을 가지며, 원거리 또는 근거리 송수신장치에 의해 프로그래밍되는, 원거리 또는 근거리에서 프로그래밍 가능한 의료장비 시스템을 포함한다. 상기 의료장비 시스템은 인터페이스 유니트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료장비를 포함하는데, 각각의 의료장비들은 데이터 단자와, 인터페이스 단자를 통하여 해당되는 의료장비상의 각 데이터 단자에 연결되어 있거나 집적되어 있는, 인터페이스 유니트를 가진다. 상기 인터페이스 유니트는 음성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음성저장 유니트와 음성신호를 원거리 터치-톤 송수신기에 전송하고 원거리의 팩스 또는 컴퓨터에 데이터를 전송하며 원거리 송수신장치로부터 원거리 프로그래밍 신호(원거리 전화기의 경우, 이중-톤 다중-빈도 신호와 같은)를 수신하기 위한 원거리 통신단자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상기 인터페이스 유니트는 음성신호를 근거리 송수신기에 전송하고 그로부터 근거리 프로그래밍 신호를 수신하는 근거리 통신단자를 또한 포함한다. 상기 근거리 통신단자는 근거리 팩스나 컴퓨터에 데이터를 보낼 수 있도록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 유니트는 (1) 원거리 또는 근거리 프로그래밍 신호의 수신에 반응하여 프로그래밍 가능한 프로토콜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통신단자; (2) 음성저장 유니트로부터 음성신호에 접속하기 위한 음성저장 유니트; 및, (3) 기억장치로부터 프로그래밍 가능한 프로토콜에 접속하기 위한 기억장치등과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싱된 프로그래밍 가능한 프로토콜은 인터페이스 데이터 단자를 통해 프로세서로 부터 의료장비에 중계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중앙 기억장치 위치에 저장된, 많은 환자를 위한 프로그래밍 가능한 프로토콜을 가지며, 원거리 또는 근거리 송수신장치에 원거리에서 또는 근거리에서 프로그래밍 가능한 의료장비 시스템을 포함한다. 상기 시스템은 하나의 원거리 중앙 데이터 저장 유니트, 다수의 환자들과 연결될 수 있는 다중 의료장비, 각 환자들을 위한 인터페이스 유니트 및 그들 각각의 인터페이스 유니트 상의 데이터 단자에 연결된 데이터 단자를 가지는 각 의료장비를 포함한다. 각 인터페이스 유니트는 음성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음성저장 유니트와 원거리 데이터 단자 및 근거리 통신단자를 포함한다. 원거리 통신단자는 원거리 중앙 데이터 저장위치에 디지털 신호를 송신하고, 원거리의 팩스 또는 컴퓨터에 데이터를 전송하며 원거리 터치-톤 송수신장치로 부터 원거리 프로그래밍 신호(컴퓨터의 경우, 디지탈 신호와 같은)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근거리 통신단자는 근거리 터치-톤 송수신기로 부터의 근거리 프로그래밍 신호(컴퓨터의 경우, 디지탈 신호와 같은)를 송수신 하기 위한 것이고, 또한 필요하다면, 근거리의 팩스나 컴퓨터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각각의 상기 인터페이스 유니트는 (1) 원거리 또는 근거리 프로그래밍 신호의 수신에 반응하여 프로그래밍 가능한 프로토콜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통신단자; (2) 그것의 음성저장 유니트로 부터 음성신호에 접속하기 위한 음성저장 유니트; 및, (3) 그것의 기억장치로 부터 프로그래밍 가능한 프로토콜에 접속하기 위한 그것의 기억장치와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싱된 프로그래밍 가능한 프로토콜은 인터페이스 데이터 단자를 통해 프로세서로 부터 의료장비까지 중계된다. 원거리 중앙 데이터 저장 유니트는 음성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음성저장 유니트; 음성신호를 원거리 터치-톤 송수신장치로 전송하여, 데이터를 원거리 팩스나 컴퓨터에 보내고, 원거리 터치-톤 송수신기로부터 원거리 프로그래밍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1차 통신단자; 및, 의료장비의 데이터단자로부터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2차 통신단자를 포함한다. 원거리 중앙 데이터 저장 유니트는 (1) 원거리 프로그래밍 신호의 수신에 반응하여 프로그래밍 가능한 프로토콜의 프로세싱을 위한 1차 원거리 통신단자; (2) 환자의 인터페이스 유니트에 송신된 프로그래밍 가능한 프로토콜을 프로세싱하기 위한 2차 원거리 통신단자; (3) 음성저장 유니트로 부터 음성신호에 접속하기 위한 음성저장 유니트; 및, (4) 기억장치로 부터 프로그래밍 가능한 프로토콜에 접속하기 위한 기억장치를 연결하는 프로세서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프로세싱된 프로그래밍 가능한 프로토콜은 2차 원거리 통신단자를 통해, 원거리 중앙 데이터 저장 유니트의 프로세서로 부터 인터페이스 유니트의 프로세서까지 중계된다.
종래의 기술을 능가하는 본 발명의 목적, 특성 및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후 기술된 상세한 설명을 통해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의학적인 적용을 위해 원거리(remotely) 또는 근거리에서 (locally) 접속 가능한 건강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환자의 현재 상태를 환자로부터 가깝거나 멀리 있는 의료인(healthcare provider)이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하고, 환자 프로토콜의 편집능력이 있어서, 문서들이 환자의 프로토콜에 따라 변환되며, 의료인에게 경보로써 통보하는 것이 연합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의료인이 환자와 연결된 의료장비에 원거리에서 접속하고 제어하는 본 발명의 의료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상기 시스템의 인터페이스 배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도 3a와 3b의 흐름도의 연관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와 도 3b는 인터페이스의 일반적인 제어방법론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상기 시스템의 컴퓨터 프로그래밍 모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상기 시스템의 접속코드 메뉴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상기 시스템의 경보제어 메뉴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7a1, 7a2 및 7a3의 흐름도의 연관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1 내지 7a3은 기계적인 환기장치를 사용할 수 있게 개조된 도 3에 도시된 상기 시스템의 주메뉴의 일부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b는 기계적인 환기장치를 사용할 수 있게 개조된 상기 시스템의 팩스 보고 메뉴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c는 기계적인 환기장치를 사용할 수 있게 개조된 상기 시스템의 파일 송신 메뉴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d는 기계적인 환기장치를 사용할 수 있게 개조된 상기 시스템의 편집 프로토콜 보조-메뉴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a는 생체신호 모니터를 사용할 수 있게 개조된 도 3에 도시된 상기 시스템의 주메뉴의 일부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b는 생체신호 모니터를 사용할 수 있게 개조된 상기 시스템의 팩스 보고 메뉴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c는 생체신호 모니터를 사용할 수 있게 개조된 상기 시스템의 파일 송신 메뉴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는 상기 시스템의 환자 결과 데이터 메뉴의 수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을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여러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 번호가 사용되어 설명되어 질 것이다.
본 발명은 누름식-버튼(push-button)형 전화기나 컴퓨터와 같이 원거리 또는 근거리 송신기로부터 의료장비를 원거리 프로그래밍하고 원거리 통신이 가능하게 하는, 원거리 또는 근거리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의료기기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 시스템은 기억장치(memory), 음성저장 유니트(voice storage unit), 원거리 통신단자(remote communication port), 근거리 통신단자와, 통신단자, 음성저장 장치 및 기억장치와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프로그래밍 (programming)", "프로그래밍 가능한(programmable)" 및 "프로세싱(processing)"이라는 용어는 작동(operation), 기능(function) 및 데이터 조작(data manipulation)의 호스트를 칭하는 일반적인 용어들이다. 그러므로 여기에서 그러한 용어들은 데이터, 파라미터, 프로토콜, 코드의 편집과 삭제에 국한 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이하에서는 프로그래밍과 프로세싱은 편집(editing), 변환(change), 삭제 (erasing), 입력(entering), 재입력(re-entering), 보기(viewing), 점검(reviewing), 잠금(locking) 및 삽입(inserting) 기능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태양이 나타나 있으며, 참조번호 10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의료장비 시스템이 표시되어 있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원거리 또는 근거리에서 프로그래밍 가능한 의료장비 시스템(10)은 의료장비(12) 및 인터페이스 유니트(14)를 포함한다. 상기 의료장비는, 센서 등으로부터 환자의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는 유선통신 등의, 환자와 의료장비의 연결수단(patient connection)을 선호적으로 포함한다.
상기 인터페이스(14)는 인터페이스(14)를 의료장비(12)에 연결하는 케이블(20), 상기 인터페이스(14)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판(22), 상기 인터페이스(14)의 다양한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등(24) 및 경고음 신호를 제공하는 내부 오디오장치(26)를 포함한다. 여기서 구체화되고 있듯이, 제어판(22)은 연결버튼 (link button, 28), 근거리버튼(local button, 30) 및 송신버튼(send button, 32)을 포함한다. 한편, 근거리버튼(30)이 없을 수도 있음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숙련된 기술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상기 표시등(24)에는 대기등(34), 전화/컴퓨터등(36) 및 경보등(38)이 포함된다. 상기 제어판(22)과 표시등(24)의 기능은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상기 인터페이스(14) 역시 원거리 통신단자(40) 및 근거리 통신단자(42)를 포함하는 것이 선호된다.
상기 인터페이스(14) 및 의료장비(12)는 케이블(20)을 통하여 연결되는 대신에, 무선 이미터(emitter)/검파기(detector)쌍을 포함한 인터페이스 데이터 단자(44) 및 의료장비 데이터 단자(46)을 통하여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가급적 데이터 단자(44, 46)들은 각각 적외선 또는 라이도파(RF) 이미터/검파기로 구성되어 있어서, 의료장비(12) 및 인터페이스(14) 사이의 무선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다른 무선 통신단자들 역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14)를 통하여 의료장비(12)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전력 케이블(20)이 선호적으로 채용된다. 그렇지 않은 경우, 전력 공급원(미도시)에 직접 연결된 자신의 전력 케이블을 가질 수 있는데, 상기 인터페이스(14)를 통하여 연결되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여기에 구체화된 바와 같이, 원거리 통신단자(42) 및 근거리 통신단자(40)(만약 존재한다면) 각각 당 업계에서 잘 알려진 바와 같은 표준모뎀을 포함한다. 상기 모뎀은 28,880보드(baud)나 다른 보드 비율에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환자가 병원 내에 있는 경우 환자의 지국(station)에서와 같이, 환자 가까이에 위치한 의료인이, 근거리 송수신기를 통해서 인터페이스에 접속가능하게 배열 될 수 있다. 상기 송수신기는 전화기(48A) 또는 컴퓨터일 수 있는데, 견고한 전선연결 등을 통해 근거리 단자(40)에 연결되어 있다. 반면, 상기 의료장비 시스템(10)으로부터 원거리에 의료인이 있는 경우, 상기 시스템은 연결버튼(28)을 누르면, 원거리 통신단자(42)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배열되는 것이 선호된다. 이렇게 하여, 의료인은 전화(48) 또는 컴퓨터(50)과 같은 원거리 송수신장치를 통하여 인터페이스(14)와 통신할 수 있게 된다. 인터페이스(14)는 입력과 출력이 구분된 근거리 단자 및 원거리 조정단자 대신에, 입출력을 동시에 수행하는 하나의 단자만을 구비할 수 있음을 명심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기술된 내용은 의료인이 전화나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하여 상기 의료장비(12)에 원거리에서 접속하는 것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것이나, 어느 송수신장치도, 다양한 길잡이(prompts)나 의문부호(queries)들에 반응하여 또는 독립적으로, 프로그래밍 변수를 활성화 시키거나 선택할 수 있음을 명심하여야 한다. 뿐만 아니라, "원거리 터치-톤 송수신장치"라는 용어가 "0 내지 9", "#", "*" 키를 갖는 통상의 누름식 전화기에 제한되지 않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오히려, 여기서 정의되는 "터치-톤 송수신장치"라는 용어는 키보드나 다른 데이터 입력시스템에 의하여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모든 송수신장치를 말하며, 통상의 전화기처럼 DTMF 신호를 발생시키는 송수신장치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다. 여기에서 정의된 "터치-톤 송수신장치"의 예는 키보드 및/또는 커서 제어기구, 통상의 전자식 전화기, 사람의 목소리를 펄스나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신호로 변화시키는 전송기(transmitter) 및 호출식 송수신장치(pager transceiver)를 포함한다.
도 2에는 인터페이스(14)에 포함된 요소들이 자세하게 나타나 있다. 이상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14)는 원거리 통신단자(42), 근거리 통신단자(40), 프로토콜(protocol) 및 이벤트 기억장치(event memory, 52), 음성 저장 유니트(54), 프로세서(processor, 56), 음성 합성장치(58) 및 접속 코드 기억장치(60)를 포함하고 있다. 선택적으로, 프로토콜 및 이벤트 기억장치(52) 및 프로세서(56)는 집적된 유니트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프로토콜 기억장치(52), 음성 저장 유니트(54) 및 접속 코드 저장장치(60)은 하나의 동일한 기억장치(예를 들어, 임의 접속 기억장치(random access memory, RAM)) 내에 모두가 들어 있거나, 또는 분리된 기억 유니트들에 나뉘어져 있어도 무방하다. 상기 음성 저장장치(54)는 읽기전용 기억장치(read-only memory, ROM)를 포함하는 것이 선호된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14)는 인터페이스(14)와 의료장비(12) 사이의 정보를 유선(20)을 통하거나 또는 이미터/검파기(44)를 이용하여 연결하기 위한 데이터 단자(43)를 포함한다. 상기 음성 합성장치(58)는 디지털 음성신호를 사람의 음성을 모방한 신호로 전환시키는 집적회로(integrated circuit)인 것이 선호된다. 여기서 구체화된 바와 같이, 음성 합성장치(58)는 인터페이스(14)로부터 전화(48, 48A)로 내보내는 신호를 변환하는 데에만 사용되어져야 하고, 따라서 전화(48, 48A)나 원거리 컴퓨터(50)로부터 들어오는 신호나 원거리 컴퓨터(50)로 나가는 신호를 변환하는데 사용되어서는 아니된다. 상기 음성 합성장치로는 상업적으로 유용한 발음합성 칩(chip)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거리 통신단자(42), 근거리 통신단자(40) 및 인터페이스 데이터 단자(44) 들은 각각 데이터 버스 62a, 64a 및 66a를 통하여 프로세서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통신단자(40, 42) 들은 송수신장치(48, 48A, 50)로부터 신호를 받아서, 이들을 각각 상기 버스(62a, 64a)를 거쳐 프로세서(56)로 중계하면, 이 프로세서(56)는 결국, 이들 신호를 프로세싱하여, 이들 신호에 상응하는 다양한 작동을 수행한다. 상기 의료인이 전화(48)로부터 오는 원거리 통신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프로세서(56)는 버스(70a)를 통하여 음성 저장 유니트(54)로부터 디지털화된 음성신호를 받아서 이 디지털화된 음성신호를 버스(70b)를 통해 상기 음성 합성장치(58)로 보내고, 여기서 상기 신호들은 사람의 목소리를 모방한 신호들로 변환되게 된다. 이들의 사람의 음성신호는 음성 합성장치(58)로부터 62b, 64b 및66b 버스들을 경유해 62a, 64a, 66b로 전달 되며, 이들 신호들은 결국 원거리 통신단자(42), 근거리 통신단자(40) 및 인터페이스 데이터 단자(44)로 각각 중계된다.
예를 들어, 의료인에게 원거리 전화(48)를 작동시키도록 지시하여야 한다. 상기 프로세서(56)는 프로세서(56)에 연결되어 있는 데이터 버스(70a)를 거쳐 음성 저장 유니트(54)로 음성 주소신호를 보낸다. 상기 음성 주소신호는 원거리 송수신장치(48)로 보내져야 하는 특정한 음성신호를 포함하고 있는 음성 저장 유니트(54)의 위치에 상응하는 것이다. 음성 주소신호를 받으면, 상기 특정한 음성신호는 음성저장 유니트(54)로부터 접속되어져, 다시 데이터 버스(70a)를 거쳐 프로세서(56)로 보내어진다. 상기 프로세서(56)는 다시, 상기 음성신호를 데이터 버스(70b)를 거쳐 음성 합성장치(58)로 중계하고, 결국, 음성 합성장치(58)는 음성신호를 변환시키고, 전환된 신호를 버스들(62b 및 62a)을 거쳐 원거리 통신단자(42)로 보내면, 다시 원거리 통신단자(42)는 변환된 신호를 원거리 송수신장치(48)로 보낸다.
음성저장 유니트(54)로부터 얻어진 상기 음성신호는 개인의 음성에 대한 디지털화된 표현 또는 컴퓨터로부터 발생된 음성신호이다(이들 모두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음). 상기 디지털화된 음성신호는 음성 합성장치(58)에 의하여 사람의 음성을 모방한 신호로 변환된다. 상기 음성신호는 의료인에게 어떻게 음성신호에 반응하고, 어떤 종류의 정보를 보내야 하는지를 지시한다. 원거리 송수신장치가 여러 개의 키들로 이루어진 키패드(keypad)를 가진 누름식 전화인 경우, 의료인은 적절한 키 또는 키들은 누름으로써 DTMF 신호를 인터페이스(14)의 원거리 통신단자(42)로 되돌려 보내게 된다. 그러나, 상기 원거리 송수신장치는 반드시누름식 전화일 필요는 없고, 그 보다는 DTMF 또는 다른 유사한 신호를 보내거나 받을 수 있는 어떤 송수신장치라도 좋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원거리 송수신장치는 컴퓨터여도 좋고, 휴대용 리모컨이라도 무방하다.
의료인이 보낸 상기 DTMF 신호가 원거리 전화기(48)로부터 인터페이스(14)의 원거리 통신단자(42)로 전송된 원거리 프로그래밍 신호인 경우, 상기 원거리 통신단자(42)는 다시, 원거리 프로그래밍 신호를, 데이터 버스(62a)를 거쳐 프로세서(56)로 중계한다. 원거리 프로그래밍 신호에 반응하여, 상기 프로세서(56)가 프로토콜 기억장치(52)로부터의 프로그래밍 프로토콜중 특정한 변수에 접속 하게 된다. 상기 변수에 접속하기 위하여, 상기 프로세서(56)는 프로토콜 주소신호를, 프로세서(56)와 프로토콜 기억장치(52)를 연결하는 버스(68)를 통하여 전송한다. 상기 프로토콜 주소신호는 상기 변수를 포함하고 있는 프로토콜 기억장치(52)의 위치에 해당한다. 이어, 상기 변수는 프로토콜 기억장치(52)로부터 데이터 버스(68)를 거쳐 프로세서(56)로 송신된다. 그런 다음, 원거리 프로그래밍 신호의 성질에 따라, 프로세서(56)는 편집, 삭제, 변수를 다시 보기 위한 원거리 송수신장치로의 회신 등 많은 작동 중의 하나를 수행한다. 여러 형태의 신호들이나 명령들이 프로세싱을 위하여 원거리 송수신장치(48, 50)로부터 인터페이스(14)로 보내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들 신호들이 어떻게 프로세싱되는 가에 대한 예 및, 이들의 효과가 본 발명의 작동에 대한 설명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되어질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의료장비 시스템(10)은, 인터페이스(14) 및 이와 관련된 의료장비(12)로의 원하지 않는 접속을 차단하기 위하여 다양한 보안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접속코드를 이용해 다른 사람의 접속을 막을 수 있는데, 이 사용자 접속코드는 여러 자리의 숫자인 것이 좋으며, 4자리 숫자가 선호 된다. 상기 의료장비 시스템(10) 는 하나 또는 여러개의 사용자 접속코드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들은 접속코드 기억장치에 저장되어 진다. 상기 의료장비 시스템(10)과의 통신을 시행하기 위하여, 의료인은 원거리 터치-톤 자동 송수신장치(48, 50) 또는 근거리 송수신장치(48A)를 통해 상기 의료장비 시스템(10)에 연결되어 진다. 이 연결은 의료장비 시스템(10)에 의료인이 전화를 걸거나(또는 의료장비 장치(10)에 가까이 위치한 전화에 환자가 직접 말을 하거나), 또는 의료인에게 환자가 전화를 거는 방법으로 가능하다. 어떤 방법으로든 상기 의료인이 의료장비 시스템(10)에 연결되어 있다. 의료인이 의료장비 시스템(10)에 연결된 다음, 상기 인터페이스(14)에는 의료인이 사용자 접속코드를 입력하도록 요구하게 조정되는 것이 선호된다. 상기 의료인이 유효한 사용자 접속코드(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여러개의 유효한 코드가 있을 수 있다)를 입력하면, 상기 의료인의 접속 및/또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프로토콜의 작성을 가능하게 한다.
프로그래밍 작업 세션 도중, 특정한 상황(이하에서 설명한다)에서는, 상기 사용자 접속코드는 재작성, 편집 및/또는 전체가 삭제되고 재입력되어질 수 있다. 이상의 어느 기능이라도 수행하기 위해서는, 의료인에 의해서 프로그래밍 신호가 원거리 송수신장치(40, 50) 또는 근거리 송수신장치(48A)로부터 인터페이스(14)로 보내진다. 상기 프로그래밍 신호는 원거리 통신단자(42)(원거리 신호일 때) 또는근거리 통신단자(40)(근거리 신호일 때)를 통해 프로세서(56)로 전달 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신호를 프로세싱하고 접속 주소신호를 생성한다. 사용자 접속코드를 기억하고 있는 사용자 접속 기억장치(60) 위치의 기억장치에 해당하는, 상기 사용자 코드 주소신호는 데이터 버스(72)를 거쳐 접속코드 기억장치(60)로 보내어진다. 상기 특이한 사용자 접속코드는 다시 회복되어 데이터 버스(72)를 거쳐 프로세서(56)로 되돌려 보내진 다음, 적합한 방법으로 프로세서(56)에서 상기 사용자 접속코드가 프로세싱된다.
상기 의료장비 시스템(10)과 통신하기 위하여,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 데이터 단자(43)와 함께 설치된다. 상기 의료장비 프로토콜은 인터페이스(14)로부터 인터페이스 데이터 단자(43) 및 의료장비 데이터 단자(46)를 거쳐 의료장비(12)로 송신된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56)는 프로토콜 기억장치(52)로부터의 프로토콜에 접속한 다음, 상기 프로토콜 데이터를 데이터 버스(66a)를 통해 인터페이스 데이터 단자(43)로 보낸다. 상기 인터페이스 데이터 단자(43)는 다시 상기 정보를 의료장비 데이터 단자(케이블(20)을 통하거나 또는 무선 이미터/송수신기(46)를 이용하여)로 보내는데, 이 의료장비 데이터 단자에서 의료장비(12)내의 상기 회로 및/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정보가 처리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의료장비 프로토콜이 프로그래밍되어질 수 있다(예를 들어, 편집, 재수행, 점검, 잠금, 재입력 등).
상기 송신버튼(32)은, 의료장비 데이터나 프로토콜을 컴퓨터(74) 또는 팩스(76) 등의 원거리 위치로 전송할 수 있게 설계되어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컴퓨터에서와 같은 원거리 기록이 유지될 수 있다. 컴퓨터(74)가 의료장비 시스템(10)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 인터페이스(14)에 위치한 사람이 송신버튼(32)을 누르면, 프로토콜이나 데이터를 원거리 통신단자(42)를 통해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상기 프로토콜은 다시, 원거리 통신단자(42)를 거쳐 원거리 컴퓨터(74)로 전송되게 된다. 부가적으로, 상기 시스템은 컴퓨터나 팩스 등의 근거리 위치에 의료 데이터나 프로토콜을 보낼 수 있도록 조정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프로토콜이나 데이터를 근거리 통신단자(40)를 통해 다운로드 되어질 수 있고 근거리 위치로 전송되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버튼(28)은 의료장비 시스템(10)의 원거리 프로그래밍 모드를 시작하거나 이 모드로 들어가는데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로그래밍 세션을 시작하는 때에는, 의료인이 의료장비 시스템(10) 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또는 환자의 집 전화번호)를 누른다. 상기 환자(18)는 전화를 받아 의료인과 환자가 표준 음성신호로 통신을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를 전화 모드 또는 환자 대화 모드라 한다. 상기 의료인은 다음으로, 환자에게 연결버튼(28)을 누를 것을 지시하는데, 이에 의하여 환자(18)와의 통화는 중단되고, 추후에 도 3 내지 도 8과 함께 설명되는 프로그래밍 모드가 시작된다. 그러나 만약에 상기 환자가 의료인의 전화에 응답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인터페이스(14)는 의료인과 인터페이스(14)를 직접 연결하고 상기 프로그래밍 모드가 시작 될 수 있는 내부 전환장치(internal switching system)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내부전환은 인터페이스(14)의 하드웨어 또는 프로세서(56)을 제어하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어느 방법에서나 상기 의료인은 다음으로, 인터페이스(14)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나 프로토콜의 처리를 시작한다(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화는 환자에서 의료인에게 시작될 수 있다.)
상기 표시등(24)의 기능을 이제부터 설명한다. 표시등(24)은 LED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대기등(34)은 인터페이스(14)가 프로그래밍 세션중에 있거나 또는 원거리 컴퓨터(74)와 같은 원거리 위치로 프로토콜이 다운로드 되고 있을 때를 표시한다. 따라서, 상기 대기등(34)은, 환자(18)에게 대기등(34)이 꺼질 때 까지 인터페이스(14)를 건드리지 말 것을 경고하며, 상기 대기등(34)이 꺼지는 것은 인터페이스(14)의 내부 프로세싱 요소가 작동하고 있지 않음을 나타내게 된다. 상기 전화등(36)은 의료인과 환자(18)가 원거리 송수신장치를 거쳐 통화하고 있을 때, 그리하여 인터페이스(14)의 내부 프로세싱 요소가 작동하고 있지 않음을 나타낸다. 전화등(36)은 또한 의료장비 시스템(10)이 준비상태에 있음을 나타낸다.
경보등은 상기 의료장비 시스템(10)의 다양한 경보 상황과 기능을 표시한다. 상기 의료장비(12)는 의료장비 데이터 단자를 거쳐 인터페이스 데이터 단자(43)로 경보 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신호는 데이터 버스(66a)를 거쳐 프로세서(56)로 중계된다. 다음으로, 상기 프로세서(56)는 프로세서(56)에 연결된 데이터 버스(70a)를 거쳐 음성 저장 유니트(54)로 송신한다. 상기 음성 주소신호는, 원거리 위치(48, 50, 74 또는 76)로 보내어 져야 하는 경보 상황과 관련이 있는 음성신호를 포함하는 음성 저장 유니트(54)의 위치에 해당한다. 경보 주소신호를 받으면,경보 신호는 음성 저장 유니트(54)로부터 접속되어 데이터 버스(70a)를 거쳐 프로세서로 보내진다. 다음으로, 상기 프로세서(56)는 상기 음성신호를 데이터 버스(70b)를 거쳐 음성 합성장치(58)로 중계한다. 상기 음성 합성장치(58)는 음성신호를 변환하고, 변환된 신호를 데이터 버스(62a, 63b)를 거쳐 변환된 신호를 원거리 자동 송수신장치로 전송하는 원거리 통신단자(42)로 송신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시스템은 경보신호를 근거리 통신단자를 통해 근거리 송수신기에 전달할 수 있게 조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을 갖는 의료장비의 원거리 접속
도 3a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프로그래밍 모드 또는 시퀀스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설명되었듯이, 의료인은 원거리 전화(48), 원거리 컴퓨터(50) 또는 기타 무선 송수신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인터페이스의 프로토콜에 접속 및 프로세싱할 수 있다. 원거리 전화(48)에 의한 프로그래밍 모드에 대하여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의료인이 의료장비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를 누른다(1단계). 합성음성메시지는 의료인이 원거리제어 프로그래밍 세션에 앞서 먼저 환자와 대화하기를 원하는지를 물을 것이다(2단계). 만일 의료인이 "예"를 선택하면, 의료인과 환자가 표준음성신호에 의하여 대화한다(3단계). 더 구체적으로, 환자는 근거리 단자(40)와 통신중인 근거리 전화(48A)로 원거리제어 단자(42)와 통신중인 원거리제어 전화(48)에 연결된 의료인과 대화한다(참조: 도 1). 대화가 끝나면 의료인은환자에게 인터페이스의 연결 버튼을 누르라고 요청하고(4단계), 그러므로 해서 의료인과 인터페이스가 연결되고(5단계) 전화모드를 종료하며, 원거리제어 터치-톤 프로그래밍 세션을 개시한다. 만일 의료인이 원거리제어 프로그래밍 세션 이전에 환자와 대화하기를 희망하지 않으면(6단계), 의료인은 "아니오"를 선택할 것이며(6단계), 인터페이스(14)로 직접 연결되어지는데, 결국 대화모드로 진입하지 않고 접속코드 메뉴(도 5)로 감으로써 원거리제어 터치-톤 프로그래밍 세션을 개시한다.
양자 택일적으로, 의료인은 원거리제어 컴퓨터(50)로부터 인터페이스의 프로토콜에 접속 및 프로세스할 수 있다. 의료인은 원거리 컴퓨터(50)의 모뎀이 의료장비 시스템(10)의 번호로 전화를 걸게 함으로써 즉시 프로그래밍 모드를 개시할 수 있다. 장비(10)가 환자의 생체신호만을 모니터링할 경우, 의료인은 당업자에 의하여 이해되어지는 바와 같이 생체신호을 검색할 수 있다. 먼저, 의료인이 주메뉴로 가기 전에 추가선택을 갖는 메뉴를 보기를 원하는지를 묻는 메시지가 의료인의 컴퓨터 스크린상에 나타날 것이다. 도 4에서 보듯이, 이러한 선택들은 다음을 포함하나, 반드시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환자의 현 상태를 의료인의 컴퓨터로 전송(8 단계); 파일로부터의 새로운 프로토콜을 의료인의 컴퓨터에 로딩(9 단계); 실시간 모니터링 모드를 활성화하여 의료인이 환자의 현상태가 변화하는 것을 볼 수 있도록 함(10 단계); 장치의 피엠 히스토리 수신(11단계); 및, 진단 모드의 활성화(12 단계). 만일 의료인이 스페셜 선택 메뉴로 가기를 희망하지 않을 경우에는(7 단계), 접속코드 메뉴로 감으로써 원거리 프로그래밍 세션으로 직접 갈 것이다(참조: 도 5).
접속 코드
사용자가 올바른 접속코드를 입력하면(13단계), 접속코드와 관련된 일정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선호적으로 허가된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고하여, 의료인이 주 접속코드를 입력하였다면 인터페이스(14)는 다수의 음성질문(전화링크의 경우; 컴퓨터(50)가 사용될 때, 동일 메시지의 알파벳순의 텍스트 신호가 전송되어질 것이다)을 내보내어 의료인에게 전송되어 다수의 선택을 제공하게 된다. 첫째, 14 단계에 있어서, 의료인에게 새로운 주 접속코드가 입력될 것인지 묻고, 이 선택을 하기 위하여 터치-톤 키보드(이 경우, No.1)상의 버튼을 누르도록 지시한다. 만일 의료인이 이 선택을 하면, 인터페이스(14)는 의료인에게 기존 주 접속코드를 입력하고(15단계), 새로운 주 접속코드를 입력하도록 지시한다(16단계). 새로이 입력된 주 접속코드는 인터페이스(14)에 의하여 의료인에게 되읽혀지며(17 단계), 인터페이스(14)는 의료인에게 키패드상의 "#" 키를 눌러 이 새로운 주 접속코드를 받아들이라는 음성명령를 내린다. 만일 의료인이 "#" 키를 누르면, 인터페이스(14)는 의료인에게 접속코드 메뉴를 다시 보여주게 된다(18 단계). 당업자들은 의료인들이 누르는 키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기타 키들이 다양한 선택들 및 프로그래밍 입력을 받아들이고/이거나 선택하기 위하여 지정되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둘째, 19단계에 있어서, 의료인에게 새 사용자 접속코드가 입력되어질 것인지 묻고, 이 선택을 하기 위하여 터치-톤 키패드(이 경우, No.2)상의 버튼을 누르도록 지시한다. 만일 의료인이 이 선택을 하면, 인터페이스(14)는 의료인에게 새로운 사용자 접속코드(20 단계)를 입력하도록 지시한다. 입력된 새로운 사용자 접속코드가 이미 존재하면, 프로그래밍이 반복실행되어 의료인에게 새로운 주접속코드를 다시 입력하도록 지시한다(보여지지 않음). 만일 새로이 입력된 사용자 접속코드가 이미 존재하는 것이 아니면, 새로운 사용자 접속코드는 인터페이스(14)에 의하여 의료인에게 다시 보여지며(21단계), 인터페이스(14)는 의료인에게 키패드상의 "#" 키를 눌러 이 새 사용자 접속코드를 받아들이라는 음성명령를 내린다. 만일 의료인이 "#" 키를 누르면, 인터페이스(14)는 의료인을 접속코드 메뉴로 되돌아오게 한다(22 단계).
세째, 23단계에 있어서, 의료인에게 사용자 접속코드를 물을 것인지 묻고, 이 선택을 하기 위하여 터치-톤 키패드(이 경우, No.3)상의 버튼을 누르도록 지시한다. 만일 의료인이 이 선택을 하면, 인터페이스(14)는 의료인에게 24 단계에서 일정수의 사용자 접속코드들(몇개가 존재하는가에 따라 다르다)이 있음을 알려준다. 25단계에 있어서, 인터페이스(14)는 사용자 접속코드들을 의료인에게 모두 열거한다. 사용자 접속코드의 열거가 완료되면, 인터페이스(14)는 의료인을 접속코드 메뉴로 되돌아오게 한다(26 단계).
네째, 27 단계에 있어서, 의료인에게 사용자 접속코드들을 삭제하기를 원하는지 묻고, 이 선택을 하기 위하여 터치-톤 키패드(이 경우, No.4)상의 버튼을 누르도록 지시한다. 만일 의료인이 이 선택을 하면, 인터페이스(14)는 의료인에게두 선택 사양 중 하나를 고르도록 지시한다: (1) 구체적인 사용자 코드를 삭제하기 위하여 터치-톤 키패드(이 경우, No.1)상의 버튼을 누른다(28 단계 참조); 또는, (2) 모든 사용자 코드를 삭제하기 위하여 다른 버튼(이 경우, No.2)를 누른다(33 단계 참조). 의료인이 28단계를 선택하면, 삭제되어질 구체적인 사용자 접속코드를 입력하도록 지시하고(29 단계), 인터페이스(14)는 30 단계에서 구체적인 사용자 접속코드를 다시 읽는다. 그 후, 인터페이스(14)는 의료인에게 그 사용자 접속코드의 삭제를 받아들이기 위하여 터치-톤 키패드상의 "#" 키를 누르도록 지시한다. 만일 의료인이 33 단계(전체 삭제)를 선택하면, 인터페이스(14)는 의료인이 모든 접속코드를 삭제하려한다는 경고를 하고, 받아들이려면 "#" 버튼을 누르도록 지시한다(34 단계). 인터페이스는 접속코드 메뉴로 되돌아 온다(35 단계).
다섯째, 36 단계에 있어서, 의료인에게 접속코드 메뉴에서 빠져나오기 위하여 숫자(이 경우, 5)를 누르도록 지시한다. 만일 의료인이 이 선택을 하면, 인터페이스(14)는 접속코드 길잡이(prompt)로 되돌아 온다(37 단계를 통하여).
인터페이스(14)은 또한 접속 입장 또는 보안코드(보여지지 않음)의 입력 없이는 접속이 금지되도록 프로그래밍 될 수 있다.
주메뉴
의료인이 올바른 사용자 접속코드를 입력하고 접속코드와 관련된 상기 기능들을 통과 또는 완료하였다면, 프로세서(56)가 음성저장 유니트(54)으로부터(또는컴퓨터로 전송된 알파벳순 글자 기호에 의하여) 주메뉴를 포함하는 다수의 음성질문들에 접속한다. 도 3을 참고로 하여, 다수의 선택들이 주메뉴를 통하여 의료인에게 제시된다. 제시된 특정 아이템들은 이 장치로 시스템이 사용되어지는 특정 의료장비, 이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되어지고 있는 다수의 의료장비들(이하 설명함), 이 시스템에 연결된 다수의 환자들(이하 설명함)에 따라 다양해질 수 있다.
도 3의 주메뉴는 광범위한 의료장비에 유용하고, 본 발명의 시스템의 다수의 유리한 과정을 제공하는 메뉴를 제시하고 있다. 다른 메뉴 특징도 제공 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제시된 바와 같이, 의료인에게 터치-톤 키패드(또는 컴퓨터 키패드상)상의 키를 눌러 여러 선택사양들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지시한다.
환자에게 이야기하기(38 단계), 경보 점검모드(39 단계), 및 환자 결과 데이터 얻기(이하 기술됨)(164단계) 같은 특정 선택이 모든 의료장비에 적용 가능하다. 만일 의료인이 환자와의 직접 대화를 선택하면, 전화 모드로 연결이 전환된다(40 단계). 전화모드에 있어서, 의료인은 프로그램의 변환(단계41)을 확인 하기 위해서 환자와 대화를 할 수 있다. 의료인은 환자와 대화를 마친 후에 원거리제어 전화(48)를 끊을 수 있다. 만일 의료인이 39 단계에서 경보 점검모드를 선택하면, 인터페이스는 의료인에게 전송될 음성질문을 생성한다. 도 6에 제시되어 있듯이, 의료인은 경보 상태의 경우에 자동적으로 다이얼 될 수 있는 팩스 또는 전화 번호(들)을 검토하는 선택사양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합성음성이 "경보 통지 No.1은 123456790; 경보 통지 No.2는 2345678"(43 단계) 라고 말할 것이다. 44 단계에 있어서, 의료인은 송수신기를 통하여 삭제될 번호를 입력함으로써 기존의 번호를 지우는 선택사양을 갖는다(45 단계). 의료인은 추가로 번호를 삭제하도록 선택하거나(46 단계), 또는 경보 보고 추가 선택사양으로 갈 수도 있다(47 단계). 만일 의료인이 48 단계에서 경보 보고 No. 추가 선택사양을 고르면, 무선 송수신기를 통하여 추가될 숫자를 입력함으로써 의료인은 번호를 추가할 수 있다. 49 단계에 있어서, 의료인에게 다른 숫자를 추가하든지 주메뉴로 가도록 지시한다.
보고 팩스전송 또는 파일의 송부와 같은 선택사양 또한 모든 의료장비에 적용할 수 있으나, 보고나 파일의 종류는 의료장비에 따라 다양해진다. 프로토콜의 편집 또는 제작과 같은 기타 선택사양들은 일부 의료장비에만 적용 가능하고, 일부 장치들에는 적용할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이들 비일반적인 선택사양들은 구체적인 의료장비들과 관련하여 하기(단계 D 또는 써클 D 참조)에 거론된다.
다중의 의료장비 및/또는 다수의 환자에게 본 발명 시스템의 적용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태양에 있어서, 이 시스템은 다른 다중의 의료장비들을 이용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에 있어서, 다중 의료장비들은 단일 연결장치와 교류할 수 있도록 선호적으로 배열된다. 이러한 다중의 장비들을 이용하고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접속코드(access code)로 입력한 후, 의료인은 이용하고자 하는 특별한 장비의 장비 숫자를 입력하라고 지시 받을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태양은 상술한 실시태양과 같은 방법으로 행해진다. 그러나,이러한 실시태양은 다수의 환자에 적용될 수 있으며, 다수의 환자들에 연결될 수 있는 다수의 의료장비들, 각각 환자들의 의료장비와 연결된 인터페이스 유니트 및 중앙 데이터 저장 유니트를 포함한다. 상기 중앙 데이터 저장장치는 인터페이스 유니트와 동일한 기능도 수행하지만, 다수 환자들의 프로토콜들을 위한 중앙 저장위치로서의 기능을 한다. 이러한 실시태양은 의료인이 각각 환자의 숫자를 호출하는 대신에 다수의 환자의 프로토콜을 프로그래밍 하기 위해, 원거리 송수신장치 (remote transceiver)로부터의 숫자, 즉 중앙 데이터 저장 장치의 숫자를 호출할 수 있는 선택을 허용한다: 그러나, 만일 의료인이 한 환자의 프로토콜을 프로그래밍하기 원한다면 특정 환자의 인터페이스 유니트를 호출하는 선택을 계속할 수 있다. 원거리 중앙 저장장치는 두 개의 원거리 통신단자(communicaton port), 프로토콜 및 이벤트 기억장치(event memory), 음성 저장 장치, 프로세서, 음성 합성기 및 접속 코드 기억장치(access code memory)등을 포함한다. 프로토콜 기억장치, 음성 저장 장치, 음성 합성기 및 접속코드 기억장치는 인터페이스 유니트에 있는 것과 동일하다. 각각의 원거리 통신단자는 데이터 버스(data buse)를 통하여 프로세서와 연결된다. 첫번째 원거리 연결 단자는 원거리 송수신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며, 버스들을 통해 이러한 신호를 프로세서에 연결시키며, 프로세서는 이러한 신호에 반응하여 다양한 작동을 수행한다. 그런 다음, 신호는 버스에 의하여 두 번째 원거리제어 연결 단자에 전해지게되어, 신호가 원거리 연결 단자를 통하여 특정한 연결 장치로 보내진다. 이어, 신호는 중앙 데이터 저장 프로세스과정 없이 인터페이스 유니트 프로세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프로세스 되고, 원거리 터치-톤 송수신기로부터 신호를 받는다.
상술한 프로그래밍 및 기능은 의료인, 인터페이스 유니트 및 중앙 데이터 저장 장치가 어떠한 방법으로 원거리 터치-톤 송수신장치(touch-tone-transceiver)를 통하여 상호작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하나의 실시예를 통해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부가적인 또는 대체적인 단계 및 과정이 본 발명의 원거리 프로그래밍을 위하여 고안되고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몇몇의 단계만이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으며; 단계가 다른 순서에 따라 수행될 수 있으며; 부가적인 또는 적은 수의 프로토콜 변수가 의료인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고; 다른 작동 모드가 선택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은 주입 장치(infusion device)와 같은 다양한 의료장비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하기와 같이. 본 발명은 기계적 환기장치(mechnical ventilator)의 프로토콜 및 생체신호 모니터링의 프로토콜을 점검하고 프로그래밍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다양한 변용 및 변형들이 본 발명의 취지 또는 범주에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 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변용 및 변형의 어떠한 형태라도 이를 포함한다.
기계적인 통풍기와 함께 사용되는 본 발명 시스템의 적용
도 7a1의 "D" 단계에서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기계적인 환기장치를 위한특정한 주메뉴 선택의 실시예가 다음에 기술될 것이다. 50 단계에서, 만약 의료인이 현 프로토콜의 점검(review)을 선택한다면, 인터페이스(14)는 의료인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한다(참조: 도 7a2). 의료인은 일회 호흡량(단계 51); 호흡 속도(단계 52); 고압세팅(단계 53); 모드(단계 54); 피크 흐름(단계 55); 저압세팅(단계 56); 핍(PEEP) 수준(단계 57); 경과된(elapsed) 시간(단계 58); 및 마지막 경보음(단계 59) 듣게 된다. 이러한 정보가 의료인에게 제공된 후, 단계 60의 인터페이스(14)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주메뉴로 되돌아 간다.
도 7a2를 참고하여, 편집 모드가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만약 의료인이 단계 61의 편집 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인터페이스(14)는 의료인이 현재 프로토콜을 편집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모드에서, 다른 변수가 편집될 동안 몇몇 변수가 유지된다. 의료인은 기계적 환기장치(단계 62)의 연속적인 숫자, 의료인 인증번호(identification number)(단계 63) 및 환자의 인증번호(단계 64)를 입력하라고 요청되게 된다. 이러한 번호는 데이터보전의 목적을 위한 것이며 의료인에 의한 모든 보고나 파일에 포함 된다. 단계 65에서, 의료인은 현상태의 일회호흡량을 들을 수 있다. 이어, 의료인은 새로운 속도를 입력하거나 새로운 속도를 받아들이는 키보드상의 # 버튼을 누르게 된다(단계 66). 유사한 작동법이 호흡속도, 고압세팅, 모드, 현재 피크 흐름, 저압세팅 및 핍(PEEP) 수준에서도 수행된다(단계 67 내지 68). 편집후에, 인터페이스(14)는 도 7d의 부메뉴(sub-menu)로 이동한다(ⓖ).
도 7d를 참조하면, 편집 모드 부메뉴는 의료인에게 프로토콜의 편집후의 여러 가지 선택사항을 제공한다. 첫 번째 편집 모드 부메뉴는 의료인이 키보드 상의 특정한 키를 누름으로써 환기장치로 편집된 내용을 전달(즉, 저장)하도록 하고(단계 79), 키보드 상의 다른 키를 누름으로써 편집된 내용을 점검하도록 하며(단계 80), 키보드 상의 또다른 번호를 누름으로써 편집된 내용을 삭제하도록 한다(단계 81). 만약 의료인이 편집된 내용을 송신하는 것을 선택하게 되면, 새로운 프로토콜이 환기장치로 전달되고(단계 82), 의료인은 '안녕(goodbye)'이라는 메시지를 듣게 된다. 이어, 의료인은 환자 대화모드(patient conversation mode)로 이동하게 되며(단계 84), 의료인은 프로그램을 확인하기 위하여 환자와 연결된 상태에 있게 된다(단계 84). 환자와 관련된 프로그램을 확인한 후에, 의료인은 원거리 전화기(48)를 끊고(단계 85), 프로그래밍 세션이 완결된다.
만일 의료인이 편집 내용의 점검을 선택하게 되면(단계 80), 인터페이스(14)는 의료인에게 프로토콜의 새로운 변수를 보고한다(단계 86). 보고 후에, 의료인은 의료인이 선택할 수 있는 두 번째 편집 모드 부메뉴를 선택하게 되고; (1) 편집된 내용을 송신(단계 87), (2) 편집된 내용을 편집하거나(단계 88) (3) 편집된 내용을 삭제한다(단계 89). 만약 의료인이 보정된 프로토콜을 송신하는 것을 선택하게 되면(단계 87), 새로운 프로토콜이 호흡기로 송신되고(단계 90), 의료인은 '안녕'이라는 메시지를 듣게 된다. 의료인이 환자 대화 모드로 이동하게 되면(단계 91), 의료인은 프로그램을 확인하기 위하여 환자와 연결된다(단계 92). 환자와 관련된 프로그램 변화를 확인 한 후에, 의료인은 원거리 전화기를 끊게되고(단계 93), 프로그래밍 세션이 끝나게 된다.
만약 의료인이 단계 94의 창작 모드(create mode)를 선택하게 되면(도 7a1참조), 의료인이 새로운 프로토콜을 위한 다양한 변수를 프로그래밍하도록 명령을 받는다. 도 7a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된 일회호흡량이 다시 읽히게 된 후, 의료인이 일회호흡량을 입력하도록 명령받게 되면(단계 95), 의료인은 호흡 속도를 받아들이기 위하여 # 버튼을 누르게 된다. 의료인은 호흡 속도, 고압 세팅, 모드, 피크 흐름, 저압 세팅 및 핍(PEEP) 수준을 입력하기 위하여 동일한 과정을 수행하게 되며,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제어메뉴를 수행하게 된다.
만약 의료인이 단계 102의 팩스 보고 메뉴(fax report menu)를 선택하게 되면, 인터페이스(14)가 의료인에게 전달될 다수의 질문을 생성하게 되고 의료인에게 다수의 선택 사양을 제공하게 된다. 이제 도 7b를 참조하면, 의료인은 흐름 보고(flow report), 압력 보고(pressure report)를 선택하거나(단계 104) 또는 전체 보고(full report)를 선택할 수 있는 사양을 가지게 된다.(단계 105). 만약 의료인이 선택 사양이 아닌 번호를 입력하게 되면(단계 106), 접속 수단 장치는 ⓔ로 되돌아 온다. 그런 다음, 의료인이 단계 107에서 보고가 송신될 장소의 팩스 번호를 입력하도록 명령받게 된다. 단계 108에서, 의료인은 키보드의 특정한 버튼을 누름으로써 원문 보고를 선택하거나 다른 버튼을 누름으로써 그래프 보고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단계 109). 만약 의료인이 원문 보고를 선택하면, 단계 108에서 의료인이 키보드를 누름으로써(단계 110) 일일 팩스 번호로 송신되는 원문 보고를 받을수 있다. 만약 의료인이 의료장비 원거리 시스템이 팩스 번호로 일일 단위로 보고를 송신하도록 요구하게 되면, 의료인이 터치-톤 키보드를 통하여 시간을 입력하게 되면 보고가 번호(예를 들면, 오후 2시 30분에 1430)로 송신되어 질 것이다(단계 111). 만일 그래프 보고를 선택하게 되면(단계 112), 인터페이스(14)는 의료인에게 1 내지 300초의 시료 시간차(분으로)를 선택하도록 요구하게 된다. 만일 의료인이 의료장비 원거리 시스템이 팩스 번호로 그래프 보고를 매일 송신하도록 요구하게 되면(단계 113), 의료인은 터치-톤 키보드를 통하여 시간을 입력하고, 보고가 번호(예를 들면, 오후 2시 30분에 1430)로 송신되어 질 것이다(단계 114). 만일 의료인이 일일 보고를 받기를 선택하지 않으면, 의료인은 세션이 완결된 후, 그래프 보고를 팩스 번호로 송신하게 하는 주메뉴로 되돌아 갈 것이다(단계 115).
만약 의료인이 단계 116의 송신 파일 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의료인은 도 7c에 도시된 송신 파일 메뉴(ⓕ)로 가게 된다. 단계 117 내지 124는 보고가 컴퓨터로 전송되게 하기 위해, 팩스 번호 대신 컴퓨터 전화 번호를 입력하는 것을 제외하고는(단계 121), 보고를 팩스로 보내는 상술한 단계와 유사하다. 아울러, 의료인은 의료장비 원거리 시스템이 일일 단위로 원거리 컴퓨터로 파일을 전송하도록 하는 선택할 수 있다(단계 122 내지 123).
생체신호 모니터링과 함께 사용되는 본 발명 시스템의 적용
도 8a의 ⓓ를 참조하여, 의료장비가 생체신호 모니터를 포함할 경우, 특정한 주메뉴의 선택의 예를 기술하고자 한다. 상기 모니터는 일반적으로 혈압, 온도, 맥박율, 산소 포화도, 이산화탄소 수준, 체중 및/또는 호흡률과 같은 환자의 데이터를 얻게 된다. 만일 의료인이 단계 125에서 환자의 현재 생체신호 상태 점검을 선택하게 되면, 인터페이스(14)는 의료인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의료인은 혈압(단계 126); 온도(단계 127); 맥박(단계 128); 산소 포화도(단계 129); 이산화탄소 수준(130); 체중(단계 131); 및 호흡률(단계 132)를 알게 된다. 의료인에게 이러한 정보가 제공되면, 단계 133의 인터페이스(14)가 주메뉴로 되돌아간다.
만일 의료인이 단계 134의 팩스 보고 메뉴를 선택하게 되면, 의료인은 도 8b에 도시된 팩스 보고 메뉴로 이동한다. 이러한 메뉴로 접속하는데 있어서, 인터페이스(14)가 다양한 음성 질문을 생성하게 되고, 음성 질문은 의료인에게 전달되어 다양한 선택사항을 제공하게 된다. 의료인은 터치-톤 키보드 상의 각각의 1 내지 8을 누름으로써 (1) 혈압 보고, (2) 온도 보고, (3) 맥박 보고, (4) 산소 포화도 보고, (5) 이산화탄소 수준 보고, (6) 체중 보고, (7) 호흡률 보고 또는 (8) 전체 보고를 선택할 수 있다(단계 135 내지 142). 이어, 의료인은 단계 143에서 보고가 송신될 위치의 팩스 번호를 입력하는 명령을 받게 된다. 단계 144에서, 의료인은 터치-톤 키보드상의 특정한 버튼을 누름으로써 원문 보고를 선택하거나 다른 버튼을 누름으로써 그래프 보고를 선택할 수 있다(단계 145). 만일 의료인이 원문 보고를 선택하게 되면, 인터페이스(14)가 터치-톤 키보드상의 특정한 번호를 입력하여 세션을 끝마치도록 의료인에게 명령(단계 146)하면 원문 보고는 팩스 번호로 송신되거나, 만일 의료인이 주메뉴로 돌아가길 원할 경우 다른 번호를 입력하도록 인터페이스가 의료인에게 명령하게 된다(단계 147). 만일 의료인이 그래프 보고를선택하게 되면(단계 145), 인터페이스(14)는 의료인에게 1 내지 300초의 시료 시간차(분으로)를 선택하도록 요구하게 된다(단계 148). 만일 유효하지 않은 번호가 선택되면(단계 149), 인터페이스(14)는 단계 148로 되돌아간다. 이어, 의료인이 터치-톤 키보드상의 특정한 번호를 눌러 전화를 끊고 세션을 완결하게 되면, 그래프 보고는 팩스 번호로 송신되거나(단계 150), 만일 의료인이 팩스 번호로 그래프 보고가 송신되는 주메뉴로 돌아오기를 원한다면 다른 번호를 입력하게 된다(이러한 경우의 번호는 "2"이다)(단계 147).
다른 방법으로, 장비 시스템(10)은 팩스 번호를 저장할 수 있으며, 장치는 특정한 시간에 원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팩스를 전송하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만일 의료인이 단계 151의 전송 파일 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의료인은 도 8c에서 보듯이, 전송 파일 메뉴(ⓕ)로 이동하게 된다. 단계 152 내지 163은 의료인이 시료 시간차를 입력해야하고(단계 160) 팩스 번호 대신 컴퓨터 전화 번호가 입력(단계 161)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단계 135 내지 147과 유사하므로, 보고 파일이 팩스 대신 컴퓨터로 전송된다. 게다가, 장비 시스템(10)은 인터넷과 같은 통신망을 통하여 전자메일을 전송하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특징에 있어서, 장비는 통신망 상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으며, 기억장치내에 저장된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전자메일 보고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료장비 시스템에 대한 근거리(local) 접속
본 발명의 다른 범주에 있어서, 장비는 환자가 어떻게 느끼는지, 그들이 겪는 고통이 얼마나 큰 가 등에 대한 질문을 환자에게 물어보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변은 장비의 프로토콜을 프로그래밍하는 의료인을 보조하기 위해 의료인에 의하여 접속될 수 있으며,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만약 환자가 상태가 좋다고 대답하면, 의료인은 프로토콜을 편집하지 않아도 된다. 본 발명의 범주는 의료인이 더 많은 정보를 얻거나 환자를 더 잘 치료하도록 하는데 있다. 환자는 장비 시스템(10) 그 자체, 근거리 전화(48A) 또는 컴퓨터 등의 다른 수단을 통하여 그들의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환자는 환자의 상태가 변화되거나 자극이 되었을 때 이러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으며, 즉 전화 또는 장비 시스템(10)의 경보음을 통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정보를 입력하게 된다.
도 3a와 도 3b는 의료장비 시스템의 근거리 접속을 위한 바람직한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근거리의 사용자는 환자나 의료인이 될 수 있는데, 근거리 전화 48A로 부터 시스템에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근거리 전화 48A의 수화기를 들고 장비 시스템(10)의 근거리 버튼(30)을 누르게 된다. 이것은 작동의 근거리 모드라고 알려져 있다. 사용자가 환자인지 또는 간호사와 같은 의료인인지 합성된 목소리 메세지로 물어볼 것이다(단계 165). 근거리 사용자가 환자인 경우의 작동 시퀀스는 도 3b에 도시되어 있다. 음성 질문에 대해, 사용자는 자기가 환자라고 밝히게 된다(단계 166). 그러면, 상기 환자는 환자의 건강에 대한 일련의 저장된 질문을 받을 것이다. 각각의 질문에 대한 답은 번호로써의 응답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환자에게 보행이 가능한지를 물어볼 수가 있는데, 대답이 "예" 이면 "1"번을 누르고 "아니오"라면 "2"번을 누르라고 명령을 내릴 수 있다. 물어 볼 수 있는 다른 질문의 예는 환자가 호흡하는데 어려움은 없는지, 오늘 소변은 봤는지, 및 대변을 봤는지 등이 될 수 있다. 각 질문이 이루어 지면, 환자는 대답을 하게 된다(단계 167). 상기 시스템에는 질문의 갯수가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상기 질문에 대한 환자의 대답은 "환자 결과 데이터"로서 저장된다. 일단 모든 질문과 대답이 이루어지면, 상기 시스템은 감사하다는 메시지를 보내게 된 다음 근거리 모드로부터의 연결을 끊는다(단계 168). 환자가 원할 때나 또는 환자에게 요청될 때, 환자는 항상 환자 결과 데이터를 최신 정보로 갱신할 수 있다.
근거리 사용자가 의료인일 경우의 작동 시퀀스는 도 3a와 3b에 도시되어 있다. 단계 165 이후에, 근거리 사용자는 자신이 의료인이라고 밝히게 된다. 그러면, 상기 사용자는 시스템의 주메뉴로 들어가기 위한 접속코드를 입력하라고 명령받게 된다(단계 169). 상기 사용자가 올바른 접속코드를 입력하게 되면, 주메뉴로 들어가게 된다. 주메뉴로부터, 상기 사용자는 상기 시스템의 원거리 접속에 관하여 상술한 모든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주메뉴로부터, 상기 사용자는 환자 결과 데이터에 접속할 수 있다(단계 164). 도 9에는 환자 결과 데이터의 부메뉴가 ⓗ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사용자는 온라인 상태에서 환자 결과 데이터의 점검을 선택할 수 있는데, 그럴 경우 상기 사용자는 상술한 단계 167에서 주어진 환자의 가장 최근의 대답을 순차적으로 받을 것이다. 그 이후에 상기 사용자는 주메뉴로 다시돌아올 것이다. 또한, 상기 사용자는 환자 결과 데이터에 대한 팩스 보고 수신을 선택할 수 있다(단계 171). 상기 사용자는 팩스 번호를 입력하라고 요청받게 되고(단계 172), 팩스 보고를 단 한번 또는 자동식으로 수신 받을지를 선택하게 된다(단계 173). 상기 사용자가 단 한번의 팩스보고 수신을 선택하면, 상기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가 세션을 마칠 때 보고를 팩스로 전송할 것이다(단계 174). 상기 사용자가 자동식으로 팩스 보고 수신을 선택하면, 사용자는 보고 수신을 원하는 시간(단계 175)과 빈도 또는 송신 주기, 즉 각각의 보고가 송신된 이후의 주기를 입력하라고 명령받는다(단계 176). 상기 시스템은 세션이 끝날 때 보고를 팩스로 전송할 것이고, 단계 175에서 선택한 시간에 다시 한번, 그리고 선택된 계획에 따라 주기적으로 전송될 것이다. 상기 사용자가 선택을 마치면 주메뉴로 다시 돌아오게 된다.
상기 사용자는 또한 환자 결과 데이터를 포함한 컴퓨터 화일로의 수신을 선택할 수 있다(단계 177). 상기 사용자는 컴퓨터 전화번호의 입력을 명령받게 되고(단계178) 컴퓨터 화일을 한번 수신할 것인지 자동적으로 수신 받을 것인지 선택할 수 있게 된다(단계 179). 상기 사용자가 컴퓨터 화일을 한번 수신하기를 선택한다면, 상기 시스템은 사용자가 세션을 마칠 때 파일을 전송할 것이다(단계 180). 사용자가 자동적인 컴퓨터 화일 수신을 선택한다면, 사용자는 화일을 수신 받기 위한 시간(단계 181)과 빈도 또는 송신 주기를 입력하게 된다(단계 182). 상기 시스템은 세션을 마칠 때 컴퓨터 화일을 송신하게 되고, 단계 181에서 선택된 시간에 다시 한번, 그리고 선택된 계획에 다라 주기적으로 송신할 것이다. 상기 사용자가 선택을 끝마치면 주메뉴로 다시 돌아오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의료장비의 원거리 또는 근거리 접속 및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의료 시스템이 제공된다. 시스템은 의료인이 원거리 또는 지역 전화, 컴퓨터 또는 다른 송수신기로부터 의료장비를 제어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의료인은 서면 보고보고등에 의한)의 형식, 음성 데이터 또는 컴퓨터에 제공되는(스크린상에 나타나고/나거나 컴퓨터 기억장치내에 저장된, 그래프 또는 다른 데이터로 나타내어짐) 그래프 또는 문자숫자식의 데이터에 의하여 의료장비로부터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만일 장비가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프로토콜을 저장하고 있다면, 의료인은 의료장비를 프로그래밍할 수 있다. 게다가, 시스템은 의료장비에 의하여 신호화되는 경보음이 원거리에서도 시작될 수 있도록 배열될 수 있다.
특정한 의료장비로 본 발명의 시스템의 적용의 구체적인 예가 상술되었으며, 다른 의료장비의 다양한 범위로 시스템의 적용이 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주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화 또는 변용이 가능하며, 추가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Claims (3)

  1. 환자와 연결되어 있고 그것과 함께 연결된 프로토콜 또는 환자의 데이터를 가지는 전자적으로 제어가능한 의료장비;
    프로그래밍 가능한 프로토콜 또는 환자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억장치;
    데이터 신호 저장을 위한 데이터 저장 유니트;
    근거리로 데이터를 송신하고 근거리 송수신기에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근거리 송수신장치로의 연결을 위한 첫번째 통신단자;
    원거리로 데이터를 송신하고 원거리 송수신기에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원거리 송수신장치로의 연결을 위한 두번째 통신단자; 및,
    근거리 또는 원거리 프로그래밍 신호의 수신에 반응하여 상기 기억장치내의 프로그래밍 가능한 프로토콜을 조작하기 위해서, 또는 근거리 또는 원거리 데이터 접속 신호에 반응하여 데이터 저장 유니트로부터 환자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서 배열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프로토콜을 가지며 환자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근거리 송수신장치 또는 원거리 송수신장치에 의해 프로그래밍이 가능하고 근거리 또는 원거리로 환자의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의료장비 시스템.
  2. 환자와 연결되어 있고 그것과 함께 연결된 프로토콜 또는 환자의 데이터를가지는 전자적으로 제어가능한 의료장비;
    프로그래밍 가능한 프로토콜 또는 환자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억장치;
    데이터 신호 저장을 위한 데이터 저장 유니트;
    한 위치로 데이터를 송신하고 송수신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송수신장치로의 연결을 위한 통신단자; 및,
    프로그래밍 신호의 수신에 반응하여 상기 기억장치내의 프로그래밍 가능한 프로토콜을 조작하기 위해서, 또는 데이터 접속 신호에 반응하여 데이터 저장 유니트로부터 환자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서 배열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프로토콜을 가지며 환자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원거리 또는 근거리 송수신장치에 의해 프로그래밍이 가능하고 근거리 또는 원거리 위치에 환자의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의료장비 시스템.
  3. 프로그래밍할 수 있는 프로토콜 또는 그와 연관된 환자의 데이터를 지닌 제어장치가 장착된 의료장비와 송수신장치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송수신장치로부터 상기 의료장비와 연결된 상기 제어장치로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신호가 상기 송수신장치로부터 프로그래밍 신호라면 프로그래밍될 수 있는 프로토콜을 조작하며, 상기 신호가 데이터 전송 신호라면 상기 송수신장치 또는 다른 위치로 상기 환자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의료장비에서 근거리 또는 원거리에 위치한 송수신장치로부터 상기 의료장비에 접속하기 위한 방법.
KR10-2003-7001238A 2000-07-27 2001-07-26 환자의 모니터링을 위한 방법과 장치 KR200300366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626,358 US7536309B1 (en) 1997-11-12 2000-07-27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 patient
US09/626,358 2000-07-27
PCT/US2001/023568 WO2002009581A1 (en) 2000-07-27 2001-07-26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 pati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6649A true KR20030036649A (ko) 2003-05-09

Family

ID=24510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1238A KR20030036649A (ko) 2000-07-27 2001-07-26 환자의 모니터링을 위한 방법과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1303211B1 (ko)
JP (1) JP2004507292A (ko)
KR (1) KR20030036649A (ko)
AT (1) ATE389352T1 (ko)
AU (2) AU7902801A (ko)
CA (1) CA2418367C (ko)
DE (1) DE60133285T2 (ko)
HK (1) HK1055233A1 (ko)
MX (1) MXPA03000802A (ko)
WO (1) WO200200958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282B1 (ko) * 2003-11-26 2009-01-12 어시스트 메디칼 시스템즈, 인크. 의료 과정 중에 조영제를 투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453705Y1 (ko) * 2009-06-24 2011-05-23 강기용 도로용 지주 커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09330B2 (en) 2004-11-15 2020-07-14 Koninklijke Philips N.V. Ambulatory medical telemetry device having an audio indicator
US20070219823A1 (en) * 2006-03-17 2007-09-20 Warner Adrian F Patient monitoring device for remote patient monitoring
JP6732410B2 (ja) 2015-04-30 2020-07-29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合成樹脂製容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20961A (ja) * 1990-01-26 1991-09-30 Toshiba Corp 電話音声応答装置
JPH0484934A (ja) * 1990-07-27 1992-03-18 Fukuda Denshi Co Ltd 医療情報システム
US5827180A (en) * 1994-11-07 1998-10-27 Lifemasters Supported Selfcare Method and apparatus for a personal health network
NZ333717A (en) * 1996-07-12 2000-10-27 First Opinion Corp Computerized medical diagnostic and treatment advice system including network access
CA2310243C (en) * 1997-11-12 2008-01-15 I-Flow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 patient
US6014432A (en) * 1998-05-19 2000-01-11 Eastman Kodak Company Home health care system
JP2000166882A (ja) * 1998-12-10 2000-06-20 Sony Corp ヘルスケアシステ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282B1 (ko) * 2003-11-26 2009-01-12 어시스트 메디칼 시스템즈, 인크. 의료 과정 중에 조영제를 투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882565B1 (ko) * 2003-11-26 2009-02-12 어시스트 메디칼 시스템즈, 인크. 의료 과정 중에 조영제를 투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KR200453705Y1 (ko) * 2009-06-24 2011-05-23 강기용 도로용 지주 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03211A1 (en) 2003-04-23
HK1055233A1 (en) 2004-01-02
DE60133285T2 (de) 2009-04-30
JP2004507292A (ja) 2004-03-11
CA2418367C (en) 2009-07-21
WO2002009581A1 (en) 2002-02-07
DE60133285D1 (de) 2008-04-30
AU7902801A (en) 2002-02-13
ATE389352T1 (de) 2008-04-15
EP1303211B1 (en) 2008-03-19
AU2001279028B2 (en) 2006-10-26
MXPA03000802A (es) 2003-06-04
CA2418367A1 (en) 2002-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6859B1 (ko) 환자의 모니터링 방법과 장치
US777885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 patient
AU702347B2 (en) Remotely programmable infusion system
US6749586B2 (en) Remotely programmable infusion system
US819045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 patient
WO1996016685A9 (en) Remotely programmable infusion system
US6355018B1 (en) Remotely programmable infusion system
EP1303211B1 (en) Apparatus for monitoring a patient
AU200127902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 patient
MXPA0000459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 patient
CZ20001755A3 (cs) Způsob a přístroj pro monitorování pacien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