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6613A - 프로젝터의 미러 위치 조정 장치 - Google Patents

프로젝터의 미러 위치 조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6613A
KR20030036613A KR1020037000640A KR20037000640A KR20030036613A KR 20030036613 A KR20030036613 A KR 20030036613A KR 1020037000640 A KR1020037000640 A KR 1020037000640A KR 20037000640 A KR20037000640 A KR 20037000640A KR 20030036613 A KR20030036613 A KR 200300366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fastening
plate
hol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0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8871B1 (ko
Inventor
김병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30036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6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8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88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7/00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 G03B27/02Exposure apparatus for contact printing
    • G03B27/14Details
    • G03B27/16Illumination arrangements, e.g. positioning of lamps, positioning of refle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7Convergence or focusing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8Reflectors in projection bea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젝터의 미러의 위치를 조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미러와, 미러가 안착되는 미러 플레이트와, 상기 미러 플레이트의 위치가 조정가능하도록 프로젝터의 내부에 놓이는 미러 장차부가 포함되는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의 미러 위치 조정 장치는 고열이 발생되는 프로젝터의 구조에 의해 플라스틱의 변형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미러의 위치 변형을 다시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스크린 상에 맺히는 화상의 화질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프로젝터의 미러 위치 조정 장치{APPARATUS FOR ADJUSTING POSITION OF MIRROR IN PROJECTOR}
최근 피씨의 보급이 늘어나면서 프로젝터의 필요성이 새로이 인식되어 화상표시 패널로서 엘씨디가 채용된 엘씨디 프로젝터의 보급이 점점 늘고 있는 추세이다. 이때, 상기 엘씨디 프로젝터에서 화질을 좌우하는 가장 중요한 부분은 빛의 분산 및 집광을 담당하는 광학 엔진부의 조명계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엘씨디 프로젝터용 조명계의 구조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구성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상기한 엘씨디 프로젝터용 조명계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광원인 램프(1)에서 출사된 빛은 제 1 및 제 2 플라이아이 렌즈(Fly Eye Lense)(2)(3)를 거치면서 불필요한 자외선이 제거되는 동시에 조도 분포가 균일하게 된다.
이후, 상기 제 1 및 제 2 플라이아이 렌즈(2)(3)를 통과한 빛은빔스플리터(Beam Splitter)(4)를 통해 분극화된 다음 제 1 집광렌즈(5)를 통해 집광된다.
이후, 상기 제 1 집광렌즈(5)를 통과한 빛은 전반사미러(6)를 통해 그 진행방향이 변환된 후 다시 제 2 집광렌즈(7)를 거쳐 제 1 다이크로익미러(8)를 향해 입사된다.
이후, 상기 제 1 다이크로익미러(8)로 입사된 빛 중 적색 부분은 제 1 다이크로익미러(8)를 투과한 다음 적색미러(9)에 의해 반사되어 그 진행 방향이 변화된다.
한편, 상기 제 1 다이크로익미러(8)로 입사된 빛 중 녹색과 청색 부분은 제 1 다이크로익미러(8)에서 반사된 후 다시 제 2 다이크로익미러(10)로 입사된다.
이후, 상기 제 2 다이크로익미러(10)로 입사된 빛 중 녹색 부분은 제 2 다이크로익미러(10)에서 반사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 2 다이크로익미러(10)로 입사된 빛 중 청색 부분은 제 2 다이크로익미러(10)를 투과한 다음 제 1 청색미러(11)와 제 2 청색미러(12)를 통해 차례로 반사되어 그 진행 방향이 변환된다.
이후, 상기와 같이 각각 적색미러(9)와 제 2 다이크로익미러(10)와 제 2 청색미러(12)를 통해 반사된 빛은 엘씨디패널(13A)(13B)(13C)이 있는 합성계부에 투사되어 각종 색상을 구현하게 된다.
또한, 각각의 엘씨디패널(13A)(13B)(13C)을 통과한 빛들을 합성하는 다이크로익프리즘(14)과, 상기 다이크로익프리즘(14)에서 합성된 빛을 투사하는투사렌즈(15)가 더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엘씨디 프로젝터용 조명계에서는 적색미러(9)와 제 2 청색 미러(12)에 의해 다이크로익프리즘(14)으로 입사되는 빛의 진행방향이 결정되므로 상기 적색미러(9)와 제 2 청색미러(12)의 위치가 적절히 선정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런데, 종래의 엘씨디 프로젝터용 조명계에서는, 상기 적색미러(9)와 제 2 청색미러(12)가 사출물인 광통케이스에서 끼워지며 그 위치를 조정할 수 없게되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엘씨디 프로젝터용 조명계는 광통케이스의 사출 후 상기 광통 케이스의 변형 및 수축에 의해 적색미러(9)와 제 2 청색미러(12)의 위치가 틀어지게 되어도 상기 적색미러(9)와 제 2 청색미러(12)의 위치를 조정할 수 없게 되고, 이로 인해 화면의 좌, 우 외곽부에 노랑 색상이 나타나게되는 등 스크린 상에 맺히는 화상의 화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나아가서 조명계의 비조정으로 인한 생산 수율의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프로젝터의 미러 위치 조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프로젝터 조명계의 미러 설치 구조를 변경하여 상기 미러의 위치 조정이 가능하도록 한 프로젝터의 미러 위치 조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장점 및 대상은 하기되는 제시되는 도면과 함께 제시되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해서 충분히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엘씨디 프로젝터용 조명계의 구조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의 미러 위치 조정 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의 미러 위치 조정 장치의 조립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
도 4는 상기한 도 3에 광통 커버가 덮인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프로젝터의 미러 위치 조정 장치에서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미러의 위치를 조정하고 있는 모습이 도시된 사시도.
본 발명은 적색미러와 제 2 청색미러의 설치구조를 변경함으로써 광통케이스의 사출 후 상기 광통케이스가 변형 및 수축되더라도 상기 적색미러와 제 2 청색미러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되어 조명계의 조정이 용이하게 되고 화질 및 생산 수율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구성은 광원에서 생성된 빛의 광로 상에 놓이는 미러와; 상기 미러가 안착되는 수직 플레이트부와, 상기 수직 플레이트에서 절곡되어 상기 미러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제 2 체결홀과 상기 미러의 위치가 조정되도록 하기 위한 제 2 위치 조정홈이 형성되는 수평 플레이트부가 포함된 미러 플레이트와; 광통 케이스에서 미러가 장착되는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수직 플레이트가 놓이도록 하기 위한 미러 장착면과, 상기 수평 플레이트가 놓이며 상기 제 2 체결홀과 정렬되는 제 1 체결홀과 상기 제 2 위치 조정홈과 정렬되는 제 1 위치 조정홈이 형성되는 미러 지지면이 포함된 미러 장착부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프로젝터의 위치 조정 방법은 정의 체결 도구에 의해 미러가 안착되는 미러 플레이트와 미러 장착부와의 고정이 느슨해지는 단계; 또 다른 소정의 체결도구로 상기 미러 플레이트의 위치가 조정되는 단계; 상기 또 다른 체결 도구로 상기 미러 플레이트와 상기 미러 장착부가 고정되도록 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최선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 종래의 구성이 인용되는 부분은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의 미러 위치 조정 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의 미러 위치 조정 장치의 조립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한 도 3에 광통커버가 덮인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의 미러 위치 조정 장치에서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미러의 위치를 조정하는 모습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의 미러 위치 조정 장치는 적색미러와 제 2 청색 미러의 위치 조정이 가능하도록 그 설치 구조가 개선된 것으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통 케이스중 각 미러(M)가 장착될 소정 위치에 형성된 미러 장착부(60)와, 상기 미러 장착부(60)에 위치 조정이 가능하도록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동시에 그 일측면에 미러(M)가 체결수단에 의해 부착되는 미러 플레이트(70)로 구성된다.
또한, 미러장착부(60)는 수직 방향으로의 미러 장착면(60A)과 수평 방향으로의 미러지지면(60B)으로 이루어져, 상기 미러지지면(60B)에 미러플레이트(70)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제 1 위치조정홈(61)이 형성된다.
또한, 미러플레이트(70)는 미러장착면(60A)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미러가 부착되는 수직플레이트부(70A)와, 상기 미러지지면(60B)과 대응되도록 상기 수직플레이트부(70A)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미러지지면(60B)의 제 1 위치조정홈(61)과 대응되는 제 2 위치조정(71)이 형성된 수평플레이트부(70B)로 이루어진다. 한편, 제 1 위치조정홈(61)은 제 2 위치조정홈(71)의 바로 아래에 놓이는 일측은 제 2 위치조정홈(71)과 동일하게 일자형이며, 타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상을 취하도록 하여 삽입되는 체결 도구가 제 1 위치 조정홈(61) 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미러장착부(60)의 미러지지면(60B)에는 제 1 나사체결홈(63)이 형성되고, 상기 미러플레이트(70)의 수평플레이트부(70B)에는 상기 제 1 나사체결홀(63)과 대응되는 제 2 나사체결홀(73)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나사체결홀(63)과 제 2 나사체결홀(73)에 고정나사(81)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미러플레이트(70)가 미러장착부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고정나사(81)는 장탈착이 자유로와 미러플레이트(70)의 조정이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미러플레이트(70)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고정돌기(75)가 형성되고, 상기 광통케이스(50)의 바닥면에는 상기 고정돌기(75)와 대응되는 고정홀(5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된 미러 위치 조정 장치는 합성계부로 진입되는 직전 광로 상에 설치되도록 하여 미러 위치 조정 장치에 의한 광로의 조정이 손쉽게 이루어지도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적색 미러와 제 2 청색 미러에 적용되는 것이 광로의 조정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통케이스(50)의 바닥면에 상방으로 돌출된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미러플레이트(70)의 하면에 고정홀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고정돌기(75)는 미러플레이트(70)의 위치 조정시 중심축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미러플레이트(70)는 고정돌기(75)를 중심으로 좌우로 회전되면서 미러(M)의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미러장착부(60)의 미러지지면(60B)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제 1 및 제 2 가이드돌기(67A)(67B)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플레이트부(70B)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돌기(67A)(67B)가 삽입되는 제 1 및 제 2 가이드홀(77A)(77B)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홀(77A)(77B)의 크기는 제 1 및 제 2 가이드돌기(67A)(67B)의 크기보다 미러(M)의 위치조정여부분만큼 크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돌기(67A)(67B)는 원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홀(77A)(77B)은 타원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미러플레이트(70)의 위치 조정시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돌기(67A)(67B)가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홀(77A)(77B)을 따라 움직이도록 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평플레이트부(70B)에 하방으로 돌출되게 제 1 및 제 2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미러 장착부(60)의 미러지지면(60B)에 제 1 및 제 2 가이드홀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미러플레이트(70)의 수직플레이트부(70A) 하단에는 미러(M)의 하면이 얹혀져 지지되는 받침대(78)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받침대(78)는 수직플레이트부(70A)와 정확히 9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그 위에 지지되는 미러(M)가 수직으로 서 있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만약, 상기 미러(M)가 경사지게 위치되면 램프로부터 출사되어 이 미러(M)를 통과한 빛이 합성계부의 엘씨디 패널에 정확하게 투사되지 못하게 되어 조명계의 조정이 난이하게 되므로 상기 수직플레이트부(70A)와 받침대(78)의 각도가 90도가 되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상기 체결수단은 ㄷ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미러플레이트(70)에 미러(M)를 밀착 결합시키는 4개의 체결클립(83)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미러플레이트(70)의 수직플레이트부(70A)중 미러가 장착되지 않는 면의 상, 하단 양측에는 각각 1쌍을 이루도록 체결돌기(79)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각 체결클립(83)의 일측에는 상기 체결돌기(79)가 삽입되는 한쌍의 체결홀(83')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체결돌기(79)와 체결홀(83')의 결합에 의해 소정의 체결 부재로서 체결 클립(83)이 미러플레이트(70)에 고정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통케이스(50)의 상측에 복개되는 광통커버(90)에는 광통커버(90)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미러플레이트(7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위치조정홈(61)(71)과 대응되는 커버용 위치조정홀(91)과 상기 제 1 및 제 2 나사체결홀(63)(73)과 대응되는 커버용 나사체결홀(93)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제 2 위치조정홈(71)은 일자홈의 형상으로 드라이버와 같은 체결 도구에 의한 미러 위치의 조정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엘씨디 프로텍터용 조명계의 미러 위치 조정 장치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먼저 미러플레이트(70)의 받침대(78) 위에 미러를 얹고 4개의 체결클립(83)을 이용하여 상기 미러플레이트(70)의 수직플레이트부(70A)에 미러(M)를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미러(M)가 미러플레이트(70)에 고정되면 상기 미러플레이트(70)를 광통케이스(50)의 미러장착부(60)에 위치 결정시킨다. 이때, 상기 미러플레이트(70)의 고정돌기(75)는 광통케이스(50)의 바닥면에 형성된 고정홀(51)에 삽입되어 중심축으로 작용하게 되고, 상기 미러플레이트(70)의 수평플레이트부(70B)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가이드홀(77A)(77B)에는 상기 미러장착부(60)의 제 1 및 제 2 가이드돌기(67A)(67B)가 각각 삽입되어 상기 미러플레이트(70)를 가이드하게 된다.
이후, 상기 미러플레이트(70)가 미러장착부(60)에 위치 결정되면 상기 미러플레이트(70)와 미러장착부(60)에 각각 구비된 제 1 및 제 2 나사체결홀(63)(73)에 고정나사(81)를 가조립한다.
상기와 같이 고정나사(81)를 통해 미러플레이트(70)가 미러장착부(60)에 가조립되면 상기 광통케이스(50)의 상측에 광통커버(90)를 복개하여 덮은 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통커버(90)에 형성된 위치조정홀(91)과 커버용 나사체결홀(93)에 각각 일자드라이버(85)와 십자드라이버(87)를 끼운다.
이후, 상기 일자드라이버(85)를 미러플레이트(70)와 미러장착부(60)의 제 1 및 제 2 위치조정홈(61)(71)에 끼운 다음 일자드라이버(85)를 통해 상기 미러플레이트(70)를 좌우로 회전시키면서 미러플레이트(70)를 최적의 위치로 조정한다. 이때, 상기 미러플레이트(70)는 고정돌기(75)를 중심축으로 하여 좌우로 회전된다.
상기와 같이 미러플레이트(70)의 조정이 끝나면 십자드라이버(87)를 통해 상기 고정나사(81)가 진동으로 인해 풀리지 않도록 고정나사(81)를 단단히 조여 상기 미러플레이트(70)의 고정 작업을 마친다.
이로써, 상기 미러플레이트(70)에 부착된 미러(M)의 위치, 즉 기울기의 조정이 완료된다.
도 6A및 도 6B는 본 발명에 있어 미러플레이트의 회전을 설명하기 위한 미러 위치 조정 장치의 평면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미러플레이트(70)의 위치가 조정되는 모습을 보다 자세히 알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이는 수평플레이트(70B)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일자 드라이버(85)가 제 1 및 제 2 위치조정홈(61)(71)에 삽입된 후에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제 1 위치조정홈(61)에 대해서는 미러지지면(60B)의 움직임이 없이 상기 일자 드라이버(85)가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으나, 제 2 위치조정홈(71)에 대해서는 일자 드라이버(85)의 단부가 제 2 위치조정홈(71)에 맞물리게 되어 수평플레이트(70B)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므로, 결국에는 미러의 반사각이 조절되는 것이다.
도 6B를 참조하면, 이는 수평 플레이트(70B)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있는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일자 드라이버(85)가 제 1 및 제 2 위치조정홈(61)(71)에 삽입된 후에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제 1 위치조정홈(61)에 대해서는 미러지지면(60B)의 움직임이 없이 상기 일자 드라이버(85)가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으나, 제 2 위치조정홈(71)에 대해서는 일자 드라이버(85)의 단부가 제 2 위치조정홈(71)에 맞물리어 밀리게됨으로써 수평 플레이트(70B)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므로, 결국 도 6A에 제시된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미러의 반사각이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제시되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사상이 설명되었다. 그러나, 제시되는 구체적인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을뿐만 아니라, 이후의 청구항에 의해서도 제안된다. 그리고, 당분야에서의 업자는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체적인 실시예를 변경하거나, 용이하게 바꿀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러 위치 조정 장치에 의해서, 강한 열에 의해서 발생되는 플라스틱의 변형에 의한 미러의 위치 변형을 조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스크린에 형성되는 화상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1)

  1. 광원에서 생성된 빛의 광로 상에 놓이는 미러와;
    상기 미러가 안착되는 수직 플레이트부와, 상기 수직 플레이트에서 절곡되어 상기 미러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제 2 체결홀과 상기 미러의 위치가 조정되도록 하기 위한 제 2 위치 조정홈이 형성되는 수평 플레이트부가 포함된 미러 플레이트와;
    광통 케이스에서 미러가 장착되는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수직 플레이트가 놓이도록 하기 위한 미러 장착면과, 상기 수평 플레이트가 놓이며 상기 제 2 체결홀과 정렬되는 제 1 체결홀과 상기 제 2 위치 조정홈과 정렬되는 제 1 위치 조정홈이 형성되는 미러 지지면이 포함된 미러 장착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의 미러 위치 조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는 합성계로 직접 진입되는 직전 광로 상에 설치되는 미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의 미러 위치 조정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위치 조정홈은 일자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의 미러 위치 조정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가 상기 수직 플레이트부에 안착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미러와 상기 수직 플레이트부의 상단과 하단 양측면에 삽입되는 체결 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의 미러 위치 조정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부재는 체결 클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의 미러 위치 조정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부재가 보다 견고히 지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수직 플레이트부에서 상기 체결 부재와 닿는 면상에 형성되는 체결 돌기와;
    상기 체결 돌기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 돌기와 맞물리는 체결홀이 포함되는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의 미러 위치 조정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플레이트의 위치가 설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수직 플레이트부의 하단에 형성되는 고정 돌기와,
    상기 고정 돌기에 대응되어 상기 광통 케이스에 형성되는 고정홀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의 미러 위치 조정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지지면 상에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와,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미러 플레이트의 움직임이 가이드 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 돌기보다 크게 형성되는 가이드 홀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의 미러 위치 조정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돌기와 가이드 홀은 두 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의 미러 위치 조정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홀은 미러 플레이트의 움직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의 미러 위치 조정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플레이트부의 하단에서 직각으로 연장되어 상기 미러가 안착되는 받침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의 미러 위치 조정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광통 커버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위치 조정홈 및/또는 제 2 체결홀과 일렬로 정렬되어 상기 광통 커버가 제거되지 않은 상태에서 체결 도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커버용 나사 체결홀 및/또는 커버용 위치 조정홀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의 미러 위치 조정 장치.
  13. 프로젝터의 내부에서 광로가 조정되도록 하는 미러와;
    상기 미러가 안착되는 수직 플레이트부와, 상기 수직 플레이트에서 절곡되어 상기 미러가 평행하게 놓여 상기 미러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제 2 나사 체결홀과 상기 미러의 위치가 조정되도록 하는 제 2 위치 조정홈이 형성되는 수평 플레이트부가 포함된 미러 플레이트와;
    광통 케이스에서 상기 미러가 장착되는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수직 플레이트가 평행하게 놓이도록 하기 위한 미러 장착면과, 상기 수평 플레이트가 놓이며 상기 제 2 나사 체결홀과 정렬되는 제 1 나사 체결홀과 상기 제 2 위치 조정홈과 일렬로 정렬되는 제 1 위치 조정홈이 형성되는 미러 지지면이 포함된 미러 장착부와; 광통 커버에 형성되어 소정의 체결 도구가 상기 제 2 나사 체결홀과 제 2 위치 조정홈에 닿아 미러의 위치를 고정 및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커버용 나사 체결홀과 커버용 위치 조정홀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의 미러 위치 조정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위치 조정홈은 상기 수평 플레이트부에서 일자 형상으로 내부로 함몰되며, 상기 제 1 위치 조정홈은 상기 제 2 위치 조정홈과 일렬로 정렬되는 일측은 일자 형상이며 타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상으로, 상기 체결 도구가 삽입되어 움직일 때, 상기 미러 장착부는 고정되나 상기 미러 플레이트는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의 미러 위치 조정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나사 체결홀과 제 2 나사 체결홀에 삽입되어 사용자가 자유로이 장탈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나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의 미러 위치 조정 장치.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는 적색 미러 및/또는 제 2 청색 미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의 미러 위치 조정 장치.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도구는 드라이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의 미러 위치 조정 장치.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위치 조정홈에 삽입되는 소정의 부재는 일자 드라이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의 미러 위치 조정 장치.
  19. 소정의 체결 도구에 의해 미러가 안착되는 미러 플레이트와 미러 장착부와의 고정이 느슨해지는 단계;
    또 다른 소정의 체결 도구로 상기 미러 플레이트의 위치가 조정되는 단계;
    상기 또 다른 체결 도구로 상기 미러 플레이트와 상기 미러 장착부가 고정되도록 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의 미러 위치 조정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체결 도구 및/또는 상기 또 다른 소정의 체결 도구는 광통 커버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광통 커버를 통해서 프로젝터의 내부로 닿아 상기 미러의 위치가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의 미러 위치 조정 방법.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또 다른 소정의 체결 도구는 일자 드라이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의 미러 위치 조정 방법.
KR10-2003-7000640A 2000-08-07 2001-07-31 프로젝터의 미러 위치 조정 장치 KR1005188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5649 2000-08-07
KR1020000045649A KR20020012377A (ko) 2000-08-07 2000-08-07 엘시디 프로젝터용 조명계의 미러 위치 조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6613A true KR20030036613A (ko) 2003-05-09
KR100518871B1 KR100518871B1 (ko) 2005-09-30

Family

ID=1968205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5649A KR20020012377A (ko) 2000-08-07 2000-08-07 엘시디 프로젝터용 조명계의 미러 위치 조정 장치
KR10-2003-7000640A KR100518871B1 (ko) 2000-08-07 2001-07-31 프로젝터의 미러 위치 조정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5649A KR20020012377A (ko) 2000-08-07 2000-08-07 엘시디 프로젝터용 조명계의 미러 위치 조정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880934B2 (ko)
EP (1) EP1307782B1 (ko)
KR (2) KR20020012377A (ko)
CN (1) CN1224863C (ko)
AU (1) AU2001276765A1 (ko)
DE (1) DE60141209D1 (ko)
WO (1) WO20020129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09765B2 (en) * 2002-08-16 2006-03-07 Infocus Corporation Wide angle lens system having a distorted intermediate image
US7102820B2 (en) 2002-08-16 2006-09-05 Infocus Corporation Flat valley fresnel lens for a display device
US6896375B2 (en) * 2002-08-16 2005-05-24 Infocus Corporation Rear projection display device having multiple mirrors that are substantially parallel to a screen
US7341353B2 (en) * 2002-08-16 2008-03-11 Infocus Corporation Variable fresnel screen for use in projection device
US7175287B2 (en) * 2002-08-16 2007-02-13 Infocus Corporation Wide angle projection lens
US7150537B2 (en) * 2002-08-16 2006-12-19 Infocus Corporation Projection television device and screen
KR100863860B1 (ko) * 2002-08-30 2008-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Lcd광학엔진 조명계의 미러조정장치
US7080910B2 (en) * 2003-08-19 2006-07-25 Infocu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 thermal architecture and user adjustable keystone in a display device
JP2007503620A (ja) * 2003-08-26 2007-02-22 トムソン ライセンシング リアプロジェクションディスプレイ用薄型ミラー調節システム
US7259912B2 (en) 2004-01-06 2007-08-21 Infocus Corporation Fresnel lens having reduced distortions
TWI311681B (en) * 2006-07-04 2009-07-01 Coretronic Corporatio Reflective mirror module and projec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09031441A (ja) * 2007-07-25 2009-02-12 Sony Corp 投射型表示装置
CN102081285B (zh) * 2009-11-27 2012-07-04 中强光电股份有限公司 调整装置及具有该调整装置的投影机
CN102928940A (zh) * 2011-08-11 2013-02-13 中强光电股份有限公司 光学投影系统及其镜片调整装置
CN110471247B (zh) * 2018-05-09 2021-04-30 深圳光峰科技股份有限公司 反射镜调节机构以及应用该调节机构的投影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2015041A1 (en) 1991-02-22 1992-09-03 Seiko Epson Corporation Projection-type liquid crystalline projector
US5283599A (en) * 1991-07-08 1994-02-01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Apparatus for combining and projecting images
JPH08314026A (ja) * 1995-05-15 1996-11-29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光学装置
JP3658075B2 (ja) * 1996-02-09 2005-06-0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3062090B2 (ja) 1996-07-19 2000-07-10 日本電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100200143B1 (ko) * 1996-07-31 1999-06-15 전주범 프로젝터의 투사각조절장치
KR200148963Y1 (ko) * 1996-08-08 1999-06-15 전주범 후면투사형 텔레비젼의 미러보정장치
JP3473335B2 (ja) * 1996-08-19 2003-12-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投写型表示装置
JP3791130B2 (ja) * 1996-08-19 2006-06-2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投写型表示装置
KR100239247B1 (ko) * 1996-11-20 2000-01-15 김영환 엘시디 프로젝터의 엘시디 위치 제어 장치
KR100239086B1 (ko) 1997-08-26 2000-01-15 홍건희 차량용 공기스프링에 구비되는 고무벨로즈의 제조방법
KR200189188Y1 (ko) * 1997-11-04 2000-08-01 구자홍 광학시스템의 미러각도 조절장치
JP3405171B2 (ja) * 1998-01-14 2003-05-12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装置
JP3163056B2 (ja) * 1998-02-26 2001-05-08 三洋電機株式会社 投写装置
JPH11295815A (ja) * 1998-04-13 1999-10-29 Hitachi Ltd 投写形表示装置の冷却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880934B2 (en) 2005-04-19
KR100518871B1 (ko) 2005-09-30
AU2001276765A1 (en) 2002-02-18
CN1444739A (zh) 2003-09-24
EP1307782A1 (en) 2003-05-07
DE60141209D1 (de) 2010-03-18
EP1307782B1 (en) 2010-01-27
WO2002012958A1 (en) 2002-02-14
CN1224863C (zh) 2005-10-26
EP1307782A4 (en) 2007-01-03
US20040027542A1 (en) 2004-02-12
KR20020012377A (ko) 2002-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8871B1 (ko) 프로젝터의 미러 위치 조정 장치
US10394109B2 (en) Projector suspension device
US7304690B2 (en) Optical engine of a projection television
US7572032B2 (en) Lamp assembly of a projection apparatus
KR100325757B1 (ko) 프로젝션 모니터의 엔진위치 보정장치
KR100373934B1 (ko) 액정 빔 프로젝터용 액정 얼라인 장치
KR100278672B1 (ko) 프로젝터의화상형성장치
CN209624968U (zh) 一种投影模组及其镜片调节装置
KR100284434B1 (ko) 프로젝션 광학계의 영상소스위치 조정장치
KR100426699B1 (ko) Lcd 프로젝터 광학엔진의 fel 위치 조정 장치
KR100842957B1 (ko) Lcd 프로젝터의 다이크로익 렌즈 고정구조
JP4194256B2 (ja) 液晶投射型表示装置
KR100587325B1 (ko) Lcd 프로젝터의 광학엔진
KR100443614B1 (ko) 화면정합을 위한 프로젝터의 합성계부 결합구조
KR200205333Y1 (ko) 프로젝터의 컬러 화상형성장치
CN114594648A (zh) 投影装置及投影装置的扩展单元
KR0135343Y1 (ko) 프로젝터의 에이엠에이 어셈블리 장착구조
KR100434172B1 (ko)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콘트롤 패널 결합 구조
KR20030078216A (ko) 화면 조정이 용이한 광학엔진 어셈블리 및 이를 채용한프로젝션 시스템
KR20050000985A (ko) 프로젝션 tv의 화면보정구조
KR980009288U (ko) 프로젝터용 화상 생성 수단 설치 구조체
KR19990000034U (ko)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프리즘 조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