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5333Y1 - 프로젝터의 컬러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프로젝터의 컬러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5333Y1
KR200205333Y1 KR2019970040537U KR19970040537U KR200205333Y1 KR 200205333 Y1 KR200205333 Y1 KR 200205333Y1 KR 2019970040537 U KR2019970040537 U KR 2019970040537U KR 19970040537 U KR19970040537 U KR 19970040537U KR 200205333 Y1 KR200205333 Y1 KR 2002053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sm
main
liquid crystal
crystal panel
color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05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7933U (ko
Inventor
우성제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405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5333Y1/ko
Publication of KR199900279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793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53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53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5Modulator illumination systems
    • H04N9/3155Modulator illumination systems for 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1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프로젝터의 컬러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적색광과 녹색광과 청색광을 혼합하여 컬러형상을 구현하는 프로젝터의 프로젝터의 컬러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색광이 인입되는 제1프리즘(137)과, 상기 제1프리즘(137)에서 인입된 상기 적색광중 소정의 형상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제1액정패널(138)와, 상기 제1액정패널(138)에서 통과된 상기 적색광을 반사시키는 제1반사부재(135)와, 상기 녹색광이 인입되는 제2프리즘(157)과, 상기 제2프리즘(157)에서 인입된 상기 녹색광중 소정의 형상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제2액정패널(158)와, 상기 제2액정 패널(158)에서 통과된 상기 녹색광을 반사시키는 제2반사부재(155)와, 상기 청색광이 인입되는 제3프리즘(177)과, 상기 제3프리즘(177)에서 인입된 상기 청색광중 소정의 형상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제3액정패널(178)와, 상기 제3액정패널(178)에서 통과된 상기 녹색광을 반사시키는 상기 제3반사부재(175) 및 상기 제1반사부재(135)에서 인입된 상기 적색광과 상기 제2반사부재(155)에서 인입된 상기 녹색광과 제3반사부재(175)에서 인입된 상기 청색광을 합성하여, 원하는 컬러의 형상을 만들어 일방향으로 투사하는 메인프리즘(110)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프로젝터의 컬러 화상형성장치는 부품을 단순화하여 동일한 성능의 제품을 저렴하게 만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프로젝터의 컬러 화상형성장치
본 고안은 프로젝터의 컬러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액정패널의 포커스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포커스 조정방향을 변경한 프로젝터의 컬러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프로젝터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광학적 배치를 가진다. 도시된 바와같이, 램프(10)에서 출사되고 반사경(11)에서 반사된 광은 램프(10)의 앞쪽에 설치된 어퍼쳐(12)를 통과하면서 스크린(24)에 대응하는 가로 대 세로 비율을 갖는 사각형상의 광으로 된다. 여기서, 상기 어퍼쳐(12)는 상기 램프(10)에서 출사되는 광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램프(10)와 마주하는 면에 포물반사면(미도시)이 형성되어 이 포물반사면 쪽으로 입사되는 비유효광을 이용할 수 있도록 재반사시킨다. 상기 어퍼쳐(12)를 통과한 사각형상의 광은 직육면체의 스크램블러(13)를 통과하면서 균일한 광이 되고, 이미지렌즈(14)를 경유하고, 적외선광을 투과시키고 나머지 광은 반사시키는 핫미러(15)를 경유하여 화상생성수단에 입사된다. 화상생성수단은 적,청,녹 또는 옐로우, 마젠타, 시안의 컬러필터가 각 화소단위로 코팅된 액정패널(18)과, 그 전후에 형성된 한쌍의 편광판(17)과, 상기 편광판(17)의 전후에 각각 설치되어 입사광을 집속하는 제1 및 제2수속렌즈(16,19)를 포함한다.
이 화상생성수단은 램프(10)에서 조사된 광을 매개로 액정패널(18)의 동작에 따라 화상을 생성한다. 이 화상생성수단에서 생성된 광은 화상의 초점정도 및 확대비를 결정하는 반사미러(21) 및 다수의 렌즈유니트(22)를 포함하는 투사렌즈(20)를 경유한 후, 스크린(24)의 후면에 소정 각도의 기울기로 배치된 전반사미러(23)에서 반사되어 스크린(24)에 확대 투영된다.
여기서, 각 부재들은 광축을 중심으로 정밀한 광학적 배치가 요구되며, 그 광학적 배치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어야 한다.
종래의 프로젝터는 특히, 화상생성수단의 광학적 배치에 있어서, 정위치에 바르게 배열되는 것이 필요하며 빠른 체결이 요구된다. 또한, 액정패널의 경우, 포커스 조정이 필요하다.
제2도는 프로젝터의 화상생성수단과 각 브라켓의 분리사시도이다.
제2도를 참조하면, 화상생성수단은 액정패널(18)과, 이 액정패널(18)의 전후에 각각 형성되어 소정 편광의 광만을 투과시키도록 된 한쌍의 편광판(17)과, 상기 편광판(17)의 외측에 각각 설치되어 입사광을 집속하는 제1 및 제2수속렌즈(16,19)를 포함한다. 상기 액정패널(18)은 적, 청, 녹 또는 옐로우, 마젠타, 사안의 컬러 필터가 각 화소단위로 코팅되고, 케이블(18)을 통해 외부 전압이 각 화소단위로 인가된다.
이와 같이, 구비된 화상생성수단은 다수의 브라켓 각각에 설치된다. 상기 브라켓은 메인브라켓(30)과, 액정패널(18)을 지지하는 제1브라켓(40)과, 한쌍의 편광판(17) 각각을 지지하는 제2브라켓(51,53,55)과, 제1 및 제2수속렌즈(16,19) 각각을 지지하는 제3브라켓(61,63)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브라켓(30)은 상기 화상생성수단의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호 체결된 제1메인브라켓(31)과, 제2메인브라켓(33) 및 제3메인브라켓(35)을 포함한다. 상기 제1메인브라켓(31)에는 상기 제1브라켓(40), 제2브라켓(51,53,55) 및 제3브라켓(61,63)과 상기 제3체결수단(80)이 체결된다. 상기 제2메인브라켓(33)은 상기 제1메인브라켓(31)에 대해 상대적으로 좌우방향으로 움직임 가능하게 나사결합되어 상기 제1메인브라켓(31)의 좌우방향을 움직임을 조절한다. 상기 제3메인브라켓(35)은 그 양측 각각에 화상생성수단의 배열방향으로 지지판(37)이 형성되어 제2체결수단(76)에 의해 앵글(90,제3도에 후술)에 결합되고 상기 제2메인브라켓(33)의 상하방향 움직임을 조절한다.
여기서, 상기 메인브라켓(30)에는 프로젝터의 램프(10, 제1도 참조)에서 출사된 광이 통과될 수 있도록 그 중앙에 관통홈(3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브라켓(40)은 상기 액정패널(18)을 지지하는 부재로 상기 제3메인브라켓(35)과 마주하며, 상기 관통홈(30')의 일부를 관통하는 상기 제1메인브라켓(31)의 소정 위치에 상기 제3체결수단(80)에 의해 체결된다.
상기 제2브라켓(51,53,55)은 상기 한쌍의 편광판(17) 각각의 전후에 위치되며, 상기 제1브라켓(40)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1메인브라켓(31)에 제3체결수단(80)에 의해 체결된다. 상기 제3브라켓(61,63)은 상기 제1 및 제2수속렌즈(16,19) 각각을 지지한다. 제3브라켓(61,63)에 볼록하게 형성된 제1 및 제2수속렌즈(16,19)를 설치하기 위하여 지지편(62,64)과 이 지지편(62,64)을 제3브라켓(61,63)에 결합하는 스크류(62',64')를 포함한다.
상기 제3체결수단(80)으로 상기 제1, 제2 및 제3브라켓의 대응되는 위치 각각에 형성된 다수의 체결홈(82)과, 이 체결홈(82)을 관통하여 상기 제1메인브라켓(31)의 체결공(82')에 결합되는 스크류(81)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메인브라켓(30)에 제3체결수단(80)에 의해 체결 된 화상생성수단은 앵글(90)에 상기 제3메인브라켓(35)에 형성된 지지판(37)과, 제2체결수단(76)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한 앵글(90)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37) 각각이 결합되는 두 결합부(91)와, 이 두 결합부(91)를 연결하며, 하우징(100)의 바닥면에 위치되는 연결부(93)와, 상기 결합부(91)의 상면에 형성된 체결부(95)로 나눌 수 있다. 상기 지지판(37)과 상기 앵글(90)의 결합부(91)를 체결하는 제2체결수단(76)으로 상기 결합부(91)와, 지지판(37)의 대응위치에 다수의 체결공(제2도의 77)이 형성 되고, 이 체결공(77)에 스크류(78)를 체결하여 상기 지지판(37)을 결합한다. 상기 체결공(77)의 일부는 장공(78')으로 형성되고, 이 장공(78')에 체결되는 스크류(78')의 몸체는 원통이 아닌 비대칭 기둥이다. 즉, 캠스크류이다. 따라서, 상기 장공(78')에 체결되는 스크류(78')를 회전시킴에 의해 상기 앵글(90)에 대한 상기 제3메인브라켓(35)의 포커스를 조정한다.
상기 앵글(90)은 제1체결수단(71)에 의해 상기 하우징(100)의 소정 위치 즉, 콜드미러(제1도의 15)와 투사렌즈(제1도의 20) 사이의 광경로 상에 체결된다. 상기 제1체결수단(71)은 상기 연결부(93)와, 상기 체결부(95)에 각각 형성된 체결공(72)과, 이 체결공(72)에 체결되는 스크류(7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체결수단(71)으로 상기 연결부(93)의 소정 위치에 결합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공(74)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00)의 저면에 상기 가이드공(74)에 끼워지는 돌기(75)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프로젝터의 컬러 화상형성장치는, 부품이 복잡하여 제품의 가격이 비싼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언급한 바와 같은 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부품을 단순화하여 동일한 성능에 제품의 가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된 프로젝터의 컬러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종래의 하나의 액정패널(panel)로 화상을 구현할 수 있도록 된 프로젝터의 광학적 배치를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프로젝터의 화상생성수단과 각 브라켓의 분리사시도.
제3도는 종래의 앵글의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프로젝터의 컬러 화상형성장치의 분리사시도.
제5도는 제4도에 도시된 메인프리즘을 확대한 분리사시도.
제6도는 제4도에 도시된 제 1 지지부재와 제 1 액정패널을 확대한 분리사시도.
제7도는 제4도에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프로젝터의 컬러 화상형성장치의 사시도.
제8도는 본 고안에 따른 프로젝터의 컬러 화상형성장치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메인프레임 110 : 메인프리즘
111 : 제1메인프리즘 112 : 제2메인프리즘
113 : 제3메인프리즘 114 : 제4메인프리즘
115 : 보조프리즘 130 : 제1프레임
133 : 제1지지부재 135 : 제1반사부재
136 : 제1체결부재 137 : 제1프리즘
138 : 제1액정패널 150 : 제2프레임
153 : 제2지지부재 155 : 제2반사부재
156 : 제2체결부재 158 : 제2액정패널
157 : 제2프리즘 170 : 제3프레임
173 : 제3지지부재 175 : 제3반사부재
176 : 제3체결부재 177 : 제3프리즘
178 : 제3액정패널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프로젝터의 컬러 화상형성장치는, 적색광과 녹색광과 청색광을 혼합하여 컬러형상을 구현하는 프로젝터 화상생성수단 체결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적색광이 인입되는 제1프리즘(137)과, 상기 제1프리즘(137)에서 인입된 상기 적색광중 소정의 형상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제1액정패널(138)와, 상기 제1액정패널(138)에서 통과된 상기 적색광을 반사시키는 제1반사부재(135)와, 상기 녹색광이 인입되는 제2프리즘(157)과, 상기 제2프리즘(157)에서 인입된 상기 녹색광중 소정의 형상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제2액정패널(158)와, 상기 제2액정패널(158)에서 통과된 상기 녹색광을 반사시키는 제2반사부재(155)와, 상기 청색광이 인입되는 제3프리즘(177)과, 상기 제3프리즘(177)에서 인입된 상기 청색광중 소정의 형상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제3액정패널(178)와, 상기 제3액정패널(178)에서 통과된 상기 녹색광을 반사시키는 상기 제3반사부재(175) 및 상기 제1반사부재(135)에서 인입된 상기 적색광과 상기 제2반사부재(155)에서 인입된 상기 녹색광과 제3반사부재(175)에서 인입된 상기 청색광을 합성하여, 원하는 컬러의 형상을만들어 일방향으로 투사하는 메인프리즘(110)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프로젝터의 컬러 화상형성장치의 분리사시도이다.
제4도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적색광과 녹색광과 청색광을 혼합하여 컬러형상을 구현하는 프로젝터의 컬러 화상형성장치는, 메인프리즘(110)의 외부에, 상기 메인프리즘(110)을 지지하는 메인프레임(100)이 설치된다. 상기 메인프리즘(110)은 제1메인프리즘(111)과, 상기 제1메인프리즘(111)의 일단에 설치된 제2메인프리즘(112)과, 상기 제2메인프리즘(112)의 일단에 설치된 제3메인프리즘(113)과 상기 제3메인프리즘(113)의 일단에 설치된 제4메인프리즘(114) 및 상기 제4메인프리즘(114)의 일단에 설치된 보조프리즘(115)을 포함한다. 상기 제1메인프리즘(111)과 제2메인프리즘(112)과 제3메인프리즘(113)과 제4메인프리즘(114)은 각각 동일한 직각삼각기등 형태로 형성되어, 각각의 측면을 합치면 정사각기둥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일단면에, 복수개의 제1체결부재(136)에 의하여 제1프레임(130)이 설치되고, 상기 제1프레임(130)의 내부에 적색광이 인입되는 제1프리즘(137)이 설치된다. 상기 제1프레임(130)은 상기 제1프리즘(137)을 둘러싸는 형태이고, 3각형 사방에 개구(開口)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프레임(130)의 일단에 제1지지부재(133)가 설치된다. 상기 제1지지부재(133)는 중앙에 상기 제1액정패널(138)형태의 개구(開口)가 형성된다. 상기 제1지지부재(133)의 일측에, 상기 제1프리즘(137)에서 인입된 상기 적색광중 소정의 형상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제1액정패널(138)이 부착된다. 상기 제1지지부재(133)의 일단에, 상기 제1액정패널(138)에서 통과된 상기 적색광을 반사시키는 제1반사부재(135)가 설치된다. 상기 제1프레임(130)과 제1지지부재(133)와 제1반사부재(135)는 복수개의 제1체결부재(136)에 의하여 상호 체결된다.
한편,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타단면에, 복수개의 제2체결부재(156)에 의하여 제2프레임(150)이 설치되고, 상기 제2프레임(150)의 내부에 녹색광이 인입되는 제2프리즘(157)이 설치된다. 상기 제2프레임(150)은 상기 제2프리즘(157)을 둘러싸는 형태이고,3각형 사방에 개구(開口)가 형성되어있다. 상기 제2프레임(150)의 일단에 제2지지부재(153)가 설치된다. 상기 제2지지부재(153)는 중앙에 상기 제2액정패널(158)형태의 개구(開口)가 형성된다. 상기 제2지지부재(153)의 일측에, 상기 제2프리즘(157)에서 인입된 상기 녹색광중 소정의 형상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제2액정패널(158)가 부착된다. 상기 제2지지부재(153)의 일단에, 상기 제2액정패널(158)에서 통과된 상기 녹색광을 반사시키는 제2반사부재(155)가 설치된다. 상기 제2프레임(150)과 제2지지부재(153)와 제2반사부재(155)는 복수개의 제2체결부재(156)에 의하여 상호 체결된다.
또 한편,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다른 타단면에, 복수개의 제3체결부재(176)에 의하여 제3프레임(170)이 설치되고, 상기 제3프레임(170)의 내부에 청색광이 인입되는 제3프리즘(177)이 설치된다. 상기 제3프레임(170)은 상기 제3프리즘(177)을 둘러싸는 형태이고,3각형 사방에 개구(開口)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3프레임(170)의 일단에 제3지지부재(173)가 설치된다. 상기 제3지지부재(173)는 중앙에 상기 제3액정패널(178)헝태의 개구(開口)가 형성된다. 상기 제3지지부재(173)의 일측에, 상기 제3프리즘(177)에서 인입된 상기 청색광중 소정의 형상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제3액정패널(178)가 부착된다. 상기 제3지지부재(173)의 일단에, 상기 제3액정패널(178)에서 통과된 상기 청색광을 반사시키는 제3반사부재(175)가 설치된다. 상기 제3프레임(170)과 제3지지부재(173)와 제3반사부재(175)는 복수개의 제3체결부재(176)에 의하여 상호 체결된다.
상기 제1프리즘(137)과 제2프리즘(157) 그리고 제3프리즘(137)은 각각 동일한 직각 삼각기둥이고, 유리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프레임(130)과 제1지지부재(133)와 제2프레임(150)과 제2지지부재(153)와 제3프레임(170)와 제3지지부재(173) 그리고 메인프레임(100)은 PVC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체결부재(136)와 제2체결부재(156) 그리고 제3체결부재(176)는 나사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5도는 제4도에 도시된 메인프리즘을 확대한 분리사시도로서, 제1메인프리즘(111)의 일측면에 제2메인프리즘(112)이 설치되고, 상기 제2메인프리즘(112)의 일측면에 제3메인프리즘(113)이 설치되고, 상기 제3메인프리즘(113)의 일측면에 제4메임프리즘(114)이 설치되어 정사각기둥의 형태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4메임프리즘(114)의 일측면에 메인프리즘(115)이 설치되어, 결국 제4도의 메인프리즘(110) 형태가 완성된다.
제6도는 제4도에 도시된 제 1 지지부재와 제 1 액정표시소자를 확대한 분리사시도로서, 직사각형의 PVC 재질로 만들어진 제1프레임몸체(133a)의 중앙에, 제1액정패널(138)의 동일한 면적의 제1통로(133b)가 만들어진다. 상기 제1통로(133b)의 일단 내측을 따라, 제1턱(133c)이 돌출 형성된다. 제2지지부재(153)와 제3지지부재(173)도 동일한 구조로 형성됨은 물론이다.
제7도는 제4도에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프로젝터의 컬러 화상형성장치의 사시도로서, 메인프레임(100)의 일단에 제1프레임(130)이 설치되고, 타단에 제2프레임(150)이 설치되고, 또 다른 타단에 제3프레임(170)이 설치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본 고안에 따른 프로젝터의 컬러 화상형성장치의 작동을 제8도를 참조하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적색광이 제1프리즘(137)에 투사되면, 먼저 상기 제1프리즘(137)에서 굴절되고, 제1액정패널(138)에서 소정이 형상이 만들어지고, 제1반사부재(135)에 반사되고, 다시 상기 제1프리즘(137)에서 반사되고, 혼합점(200)에 도달한다.
녹색광이 제2프리즘(157)에 투사되면, 먼저 상기 제2프리즘(157)에서 굴절되고, 제2액정패널(158)에서 소정이 형상이 만들어지고, 제2반사부재(155)에 반사되고, 다시 상기 제2프리즘(157)에서 반사되고, 상기 혼합점(200)에 도달한다.
청색광이 제1프리즘(177)에 투사되면, 먼저 상기 제3프리즘(177)에서 굴절되고, 제3액정패널(178)에서 소정이 형상이 만들어지고, 제3반사부재(175)에 반사되고, 다시 상기 제3프리즘(177)에서 반사되고, 상기 혼합점(200)에 도달한다.
적색광과 녹색광 그리고 청색광의 각각의 형태는 상기 혼합점(200)에서 혼합되어, 소정의 컬러을 구비한 형상을 이룬다. 그리고, 메인프리즘(110)에서 굴절되어, 일정 방향으로 투사된다.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프로젝터의 컬러 화상형성장치는 부품을 단순화 하여 동일한 성능의 제품을 저렴하게 만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적색광과 녹색광과 청색광을 혼합하여 컬러화상을 구현하는 프로젝터의 컬러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색광이 인입되는 제1프리즘(137); 상기 제1프리즘(137)에서 인입된 상기 적색광 중 소정의 형상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제1액정패널(138); 상기 제1액정패널(138)에서 통과된 상기 적색광을 반사시키는 제1반사부재(135); 상기 녹색광이 인입되는 제2프리즘(157); 상기 제2프리즘(157)에서 인입된 상기 녹색광중 소정의 형상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제2액정패널(158); 상기 제2액정패널(158)에서 통과된 상기 녹색광을 반사시키는 제2반사부재(155); 상기 청색광이 인입되는 제3프리즘(177); 상기 제3프리즘(177)에서 인입된 상기 청색광중 소정의 형상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제3액정패널(178); 상기 제3액정패널(178)에서 통과된 상기 녹색광을 반사시키는 상기 제3반사 부재(175); 및 상기 제1반사부재(135)에서 인입된 상기 적색광과 상기 제2반사부재(155)에서 인입된 상기 녹색광과 제3반사부재(175)에서 인입된 상기 청색광을 합성하여, 원하는 컬러의 형상을 만들어 일방향으로 투사하는 것으로, 제1메인프리즘(111), 상기 제1메인프리즘(111)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제2메인프리즘(112), 상기 제2메인프리즘(112)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제3메인프리즘(113), 상기 제3메인프리즘(113)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제4메인프리즘(114) 및 상기 제4메인프리즘(114)의 일측면에 설치하는 프로젝터의 컬러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3프리즘(137,157,177)을 지지하는 제1,2,3프레임(130,150,17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의 화상형성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리즘(110)을 지지하는 메인프레임(1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의 컬러 화상형성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메인프리즘(111)과 제2메인프리즘(112)과 제3메인프리즘(113)과 제4메인프리즘(114)은 각각 동일한 직각삼각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각각의 측면을 합치면 정사각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의 컬러 화상형성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리즘(137)과 제2프리즘(157) 그리고 제3프리즘(137)은 각각 동일한 직각 삼각기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의 컬러 화상형성장치.
  6. 제1항, 제2항, 제3항, 제4항 및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리즘(110)과 제1프리즘(137)과 제2프리즘(157) 그리고 제3프리즘(177)은 유리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의 컬러 화상형성장치.
  7. 제1항, 제2항, 제3항, 제4항 및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프레임(130)과 제1지지부재(133)와 제2프레임(150)과 제2지지부재(153)와 제3프레임(170) 와 제3지지부재(173) 그리고 메인프레임(100)은 PVC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의 컬러 화상형성장치.
KR2019970040537U 1997-12-24 1997-12-24 프로젝터의 컬러 화상형성장치 KR2002053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0537U KR200205333Y1 (ko) 1997-12-24 1997-12-24 프로젝터의 컬러 화상형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0537U KR200205333Y1 (ko) 1997-12-24 1997-12-24 프로젝터의 컬러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7933U KR19990027933U (ko) 1999-07-15
KR200205333Y1 true KR200205333Y1 (ko) 2000-12-01

Family

ID=19518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0537U KR200205333Y1 (ko) 1997-12-24 1997-12-24 프로젝터의 컬러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533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380Y1 (ko) 2016-12-05 2018-09-07 상 돈 이 패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7933U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83600A (en) LCD projector
KR100388819B1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용 광학 시스템
KR100534575B1 (ko) 프로젝션시스템의 광전환장치
CN110515261B (zh) 投影设备
KR920003233A (ko) 액정 칼라 투사장치
CA2058506C (en) Projector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image generators
KR20040097141A (ko) 효율이 증가된 프로젝션 디바이스
KR200205333Y1 (ko) 프로젝터의 컬러 화상형성장치
KR100278672B1 (ko) 프로젝터의화상형성장치
KR960020463A (ko) 배면투사형 프로젝터
KR100354149B1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용 광학 시스템
KR200158753Y1 (ko) 프로젝터의 화상생성수단 체결구조체
JPH04181938A (ja) 投写型表示装置
JP3460456B2 (ja) 投写型表示装置
KR200162366Y1 (ko) 프로젝터의 화상생성수단 체결구조체
KR200145212Y1 (ko) 프로젝터용 일체형 하우징
KR100388270B1 (ko) 리어 프로젝션 광학계
KR200145216Y1 (ko) 프로젝터용 스크램블러 고정구조체
KR980009288U (ko) 프로젝터용 화상 생성 수단 설치 구조체
KR100644586B1 (ko) 프로젝터용 균일광 조명장치
KR100417396B1 (ko) 엘씨디프로젝터
KR0141833B1 (ko) 편광회전을 이용한 lcd프로젝터
KR930004820B1 (ko) 투사형 액정 표시장치
KR100373933B1 (ko) 액정 빔 프로젝터용 액정 브라켓
KR980009290U (ko) 프로젝터용 일체형 하우징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