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380Y1 - 패드 - Google Patents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380Y1
KR200487380Y1 KR2020160007052U KR20160007052U KR200487380Y1 KR 200487380 Y1 KR200487380 Y1 KR 200487380Y1 KR 2020160007052 U KR2020160007052 U KR 2020160007052U KR 20160007052 U KR20160007052 U KR 20160007052U KR 200487380 Y1 KR200487380 Y1 KR 2004873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stage
pad
magnet
f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70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1756U (ko
Inventor
상 돈 이
Original Assignee
상 돈 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 돈 이 filed Critical 상 돈 이
Priority to KR20201600070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380Y1/ko
Priority to PCT/KR2016/014516 priority patent/WO2018105797A1/ko
Publication of KR201800017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7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3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38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41B9/001Underpants or brief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41B9/14Waistbands forming part of the undergarments; Closur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1/00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1/00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garments
    • A41F1/002Magnetic faste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19/00Garment suspend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6Magnetotherapy using magnetic fields produced by permanent 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32Therapeutic us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34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antimicrobial or antibac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0068Ingredients with a function or property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03/00
    • C04B2103/0097Anion- and far-infrared-emitting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패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원적외선 방출면(100a)을 일면으로 하고 커버 면(100b)을 타면으로 하여 양면으로 형성되는 패드 본체(100), 그리고 팬티 걸이식 벨트(200)를 포함하는 패드에 있어서, 팬티 걸이식 벨트(200)는, 제 2 벨트단(240); 양단으로 패드 지지단(220) 및 제 2 벨트단(240)과 각각 연결된 구조를 갖는 제 1 벨트단(230); 및 하부로 벨트 형태의 제 1 벨트단(230) 및 제 2 벨트단(240)이 차례로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며, 제 1 벨트단(230)과의 사이에는 제 1 굽힘영역(ba1)을 통해 연결된 구조를 갖으며, 상부 중앙 영역에 제 1 벨트단(230) 및 제 2 벨트단(240)의 중간에 형성된 제 2 굽힘영역(ba2)을 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고정홀(210)이 형성되는 패드 지지단(22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고가의 팬티나 속옷을 구입할 필요 없이 하나의 패드를 다수의 팬티에 장착이 가능하고 탈착이 손쉬워 간단한 세척만으로도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패드 {PAD APPARATUS}
본 고안은 패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위생이 중요시되지만 관리가 어려운 남성 및 여성의 팬티에 원적외선 방출 시트를 구비한 패드 본체를 팬티 걸이식 벨트를 이용해 간편하게 적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패드에 관한 것이다.
산업사회에 들어와서 현대인들의 활동성이 크게 떨어져 신체 활동시 배출되는 땀의 절대량은 줄어들었으나 사무실과 같은 밀폐된 공간에서 하루 종일 앉아있어야 하는 근무형태와 몸에 팬티와 같은 내의를 착용하는데서 발생하는 위생상의 문제는 항상 고려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로 개량된 팬티를 포함한 내의가 출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것들은 주로 별도의 제작공정을 거쳐야 할 만큼 그 구조가 복잡하거나, 통기성 등과 같은 기능성을 갖는 소재로 인해, 제작 비용의 상승으로 내의가 주로 저렴한 비용으로 공급되는 제품이라는 점, 자주 갈아입어야 한다는 점 등에서 소비자의 외면을 받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효과 적용에서는 한계점이 있어 왔다.
(실용신안문헌 1)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 출원번호 제20-2002-0001705호 "여성용 위생팬티(Health panties for woman) (실용신안문헌 2)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 출원번호 제20-1999-0027933 "남성용 속팬티(A Panties for Men)"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고가의 팬티나 속옷을 구입할 필요 없이 하나의 패드를 다수의 팬티에 장착이 가능하고 탈착이 손쉬워 간단한 세척만으로도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패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위생이 중요시되지만 관리가 어려운 남성 및 여성의 팬티에 원적외선 방출 시트를 구비한 패드 본체를 팬티 걸이식 벨트를 이용해 간편하게 적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패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원적외선 방출 시트, 네오디움 자석, 항균 코팅층 등에 의해 전 연령층에서 건강과 위생을 위해서 전자파차폐, 원적외선 방출, 음이온 방출 및 항균성이 우수한 특징을 갖는 패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패드에 관한 것으로, 원적외선 방출면(100a)을 일면으로 하고 커버 면(100b)을 타면으로 하여 양면으로 형성되는 패드 본체(100), 그리고 팬티 걸이식 벨트(200)를 포함하는 패드에 있어서, 팬티 걸이식 벨트(200)는, 제 2 벨트단(240); 양단으로 패드 지지단(220) 및 제 2 벨트단(240)과 각각 연결된 구조를 갖는 제 1 벨트단(230); 및 하부로 벨트 형태의 제 1 벨트단(230) 및 제 2 벨트단(240)이 차례로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며, 제 1 벨트단(230)과의 사이에는 제 1 굽힘영역(ba1)을 통해 연결된 구조를 갖으며, 상부 중앙 영역에 제 1 벨트단(230) 및 제 2 벨트단(240)의 중간에 형성된 제 2 굽힘영역(ba2)을 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고정홀(210)이 형성되는 패드 지지단(22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제 1 굽힘영역(ba1)은, 고정홀(210)로 패드 지지단(220)의 하부에 위치한 제 1 벨트단(230)과 연결된 제 2 벨트단(240)이 근접하기 위해 패드 지지단(220)을 기준으로 외측 상향(f1)으로 제 1 벨트단(230)을 접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때, 제 2 굽힘영역(ba2)은, 제 2 벨트단(240) 전체가 고정홀(210)을 통과한 뒤, 제 2 벨트단(240)이 제 1 벨트단(230)을 기준으로 내측 하향(f2)으로 접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때, 제 2 벨트단(240)의 하부 중앙 영역에 형성된 제 2 자석단(250); 및 제 1 굽힘영역(ba1) 내부에 형성되어 제 2 자석단(250)과 자력에 의해 체결되기 위해 형성되는 제 1 자석단(230a);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때, 제 1 자석단(230a)은 2개의 자석으로 구성되며, 제 2 자석단(250)은 역시 2개의 자석으로 구성되며, 제 1 자석단(230a)을 구성하는 2개의 자석과 제 2 자석단(250)을 구성하는 2개의 자석은, 모두 네오디움 자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때, 패드 본체(100)는, 내부에 1100 gauss의 자기력을 갖는 네오디움 자석이 삽입되어 자기파를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이때, 패드 본체(100)로 네오디움 자석을 삽입 시, 내부의 원적외선 방출 시트(120)와 전자파 차폐층(130) 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패드는, 고가의 팬티나 속옷을 구입할 필요 없이 하나의 패드를 다수의 팬티에 장착이 가능하고 탈착이 손쉬워 간단한 세척만으로도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즉,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드는, 위생이 중요시되지만 관리가 어려운 남성 및 여성의 팬티에 원적외선 방출 시트를 구비한 패드 본체를 팬티 걸이식 벨트를 이용해 간편하게 적용시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드는, 원적외선 방출 시트, 네오디움 자석, 항균 코팅층 등에 의해 전 연령층에서 건강과 위생을 위해서 전자파차폐, 원적외선 방출, 음이온 방출 및 항균성이 우수한 특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패드(1)의 패드 본체(100) 중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원적외선 방출면(100a)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패드(1)의 패드 본체(100) 중 커버 면(100b)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패드(1)의 패드 본체(100) 중 원적외선 방출면(100a) 및 커버 면(100b)을 양면으로 갖는 패드 본체(100)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패드(1)의 패드 본체(100) 중 원적외선 방출 시트(12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패드(1)의 팬티 걸이식 벨트(200)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패드(1)에서 팬티 걸이식 벨트(200)가 패드 본체(100)와 맞물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패드(1)가 실제로 제작된 것을 이용해 팬티 걸이식 벨트(200)를 이용한 패드 본체(100)와 체결 과정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도 7의 체결 과정을 거쳐 팬티에 실제로 패드(1)가 팬티 걸이식 벨트(200)를 이용해 안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패드(1)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패드(1)의 패드 본체(100) 중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원적외선 방출면(100a)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패드(1)의 패드 본체(100) 중 커버 면(100b)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패드(1)의 패드 본체(100) 중 원적외선 방출면(100a) 및 커버 면(100b)을 양면으로 갖는 패드 본체(100)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패드(1)의 패드 본체(100) 중 원적외선 방출 시트(12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패드(1)의 팬티 걸이식 벨트(200)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패드(1)는 패드 본체(100)와 팬티 걸이식 벨트(20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원적외선 방출면(100a) 및 커버 면(100b)을 양면으로 갖는 패드 본체(100)의 상부 중앙에는 팬티 걸이식 벨트 삽입홀(110)이 형성된다.
도 3a를 참조하여 제 1 실시예에 따른 패드 본체(100)의 내부구조를 살펴보면, 최하위 층에 원적외선 방출 시트(120)가 형성되며, 그 상부로는 전자파 차폐층(130), 그리고 코팅층(140)이 차례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원적외선 방출 시트(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맥반석, 세라믹, 바이오 세라믹이나 황토, 옥 또는 무기물질 등과 같은 원적외선 방출물질을 이용한 층을 하나의 시트에 해당한다. 원적외선 방출 시트(120)는 얇은 두께로 가벼우면서 플렉시블(flexible)한 조건으로 인해 취급이 편리하고 제단 또한 번거롭거나 불편함 없이 이루어져 필요로 하는 어떠한 대상물에도 간편하게 적용시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원적외선 방출 시트(120)는 공지된 방식에 의해 미세한 간격을 가지면서 유연성을 가지는 격자 형태로 전기가 통전되는 금속재질로 제작된 금속망(121)과, 금속망(121)에 그 금속망과 상이한 별도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패턴(122), 및 금속망(121)의 패턴(122)에 가공된 분말 상태의 원적외선 방출물질을 공지된 전기도금 방식에 의해 전착시켜 형성하는 원적외선 방출부(123)를 포함한다.
금속망(121)에 형성되는 패턴(122)은 공지된 프린터인쇄, 실크 인쇄나 플렉소 인쇄 등과 같은 인쇄기법이나 빛에 감응하여 화학적 변화에 의해 패턴을 형성하는 감광기법에 의해 형성한다.
이때, 패턴(122)을 형성하기 전에 금속망(121)의 면에는, 공지된 수지테이프 등과 같은 차단시트가 부착된다. 여기서 차단시트는 원적외선 방출부(123)를 전착하기 전에 부착됨으로써, 분말 상태의 원적외선 방출물질을 패턴으로 도포시 그 분말을 받쳐주기 위한 용도이다. 이에 따라, 차단시트는 전착에 의해 금속망(121)의 패턴에 원적외선 방출물질을 전착 후 금속망(121)의 패턴으로 전착되지 않은 원적외선 방출물질인 분말과 함께 분리시킨다.
금속망(121)은 325 내지 1,000 메쉬(mesh)로 형성되며, 원적외선 방출물질은 온도 60 내지 200 ℃에서 원적외선 방출량이 가장 많은 20 내지 3,000 메쉬(mesh)의 분말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금속망(121)을 325 메쉬(mesh) 이하로 형성할 경우 크기 너무 작아 원적외선 방출물질인 분말이 용이하게 전착되지 못하고, 1,000 메쉬(mesh) 이상으로 할 경우, 원적외선 방출물질인 분말이 넓은 간격으로 전착됨에 따라 325~1,000 mesh 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금속망(121)은 전기가 통하는 재질의 금속재질인 것이므로 전자파 차단과 수맥을 차단하는 기능도 가진다.
원적외선 방출물질인 분말은 사용 용도에 따라 입도를 달리하는 것으로, 의복이나 악세사리 등과 같은 유연성이 크게 요구되는 경우, 작은 입도를 가지는 대략 20 내지 1,000 메쉬(mesh) 정도를, 장식품이나 장식물 또는 건축자재 용도 등을 사용할 경우 입도가 비교적 큰 대략 1,000 내지 3,000 메쉬(mesh) 정도의 입도를 가지는 것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금속망의 경우에도 상기한 원적외선 방출물질인 분말과 같이 비례적으로 점점 큰 입도를 가지는 금속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본 고안은 금속망(121)의 패턴에 원적외선 방출물질인 분말로 인해 형성되는 원적외선 방출부(123)는 전기도금 방식에 의해 전착시킴에 따라 금속망(121)의 패턴으로부터 쉽게 탈리되거나 박리되지 않는 조건을 가진다.
또, 원적외선 방출부(123)는 전체적인 두께 또한 상당히 얇은 두께를 가짐으로써, 금속망(121)을 특성상 유연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제단 또한 간단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져 어떠한 대상물에도 부착이나 고정 또는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한다. 그에 따라 금속망(121)에 형성된 패턴을 따라 전착된 원적외선 방출물질인 분말로 형성되는 원적외선 방출부(123)에 의하여 다량의 원적외선을 방출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짐으로써, 필요로 하는 어떠한 대상물에도 번거롭거나 불편함 없이 간단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어, 활용성도 뛰어난 조건을 제공한다.
또한, 전기가 통전되는 금속재질인 금속망(121)에 의해 전자파 차단은 물론 수맥을 차단하는 추가적인 조건도 가진다.
한편, 금속망(121)에 형성되는 패턴은 정하여진 일정한 패턴이 아니라 공지된 인쇄기법이나 감광기법에 의해 형성되는 원하는 어떠한 형태의 패턴에도 적용 가능함에 따라 더욱더 다양한 형상이나 모양으로도 제공할 수 있는 장점도 가진다. 형성된 패턴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착에 의해 원적외선 방출부(123)가 형성된다.
이로써, 얇은 두께를 가지면서 유연성도 뛰어난 조건으로 인해 필요로 하는 용도나 어떠한 용도의 물품에도 간단하고 편리하게 적용할 수 있어, 그 활용가치가 상당히 높은 조건을 가진다. 더욱이, 다량의 원적외선 방출은 물론 전자파와 수맥 등도 차단하는 조건으로 인해 활용가치를 더욱더 높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b를 참조하여 제 2 실시예에 따른 패드 본체(100)의 내부구조를 살펴보면, 도 3a의 원적외선 방출 시트(120)가 형성되며, 그 상부로는 전자파 차폐층(130), 그리고 코팅층(140)이 차례로 형성된 상태에서, 원적외선 방출 시트(120)의 하부로 전자파 차폐층(130), 그리고 코팅층(140)이 하부로 연속적으로 한층 더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전자파 차폐층(130)은 합성수지(우레탄수지)바인더 67 중량부 황칠진액 및 옻칠진액 33 중량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우루시올성분이 포함되어있는 황칠진액 및 옻칠진액은 가볍고 접착력이 강하며 전자파를 완전히 흡수해버리는 일종의 스텔스 원료로 사용되어지고 있을 정도로 전자파차폐능력이 뛰어난 원료이다. 황칠진액 및 옻칠진액은 우루시올성분이 전자파를 완전히 흡수해버리는 전자파차폐 역할을 하는 물질로서, 그 함량은 20 내지 45 중량부로 할 수 있다.
황칠진액 및 옻칠진액을 20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시에는 전자파차폐의 역할이 기대치에 미달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 전자파 차폐층(130)은 그라파이트, 전자파흡수차폐혼합체, 바인더용 합성수지, 유연 가소제로 이루어진 혼합물과 물을 7:3의 비율로 혼합한 뒤, 전자파흡수차폐혼합체는 황칠진액 및 옻칠진액, 자성손실제, 전자파흡수제가 6: 2: 2 내지 6 : 1 : 3의 비율로 혼합되고, 자성손실제는 페라이트로 구성되고, 전자파흡수제는 제강슬러지와 폐산화철분말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물과 혼합되는 혼합물은 그라파이트 40 중량부, 전자파흡수차폐혼합체 40 중량부, 바인더용 합성수지 15 중량부, 유연 가소제 5 중량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혼합물에 추가로 운모, 토루말린, 산소촉매를 혼합할 수 있다.
운모는 일종의 광물질로써 음이온을 발생하여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제거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첨가된다. 첨가량은 경제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혼합물 전체 중량 대비 5 내지 10 비율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토루말린은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세라믹으로서 그 첨가량은 후술하는 코팅층(140)과의 관계에서 혼합물 전체 중량 대비 3 중량부 이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소촉매는 병원성 대장균 O-157, 살모넬라(salmonella) 등과 같은 세균류 및 흑곰팡이, 청곰팡이 등과 같은 진균류를 제거하기 위한 첨가제로서, 그 함량은 2 중량부 이하로 하며, 빛이 없는 곳에서도 기능을 발휘하는 산소촉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2 중량부를 초과하여도 성능에는 이상이 없으나, 경제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2 중량부 이하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코팅층(140)은 패드 본체(100) 표면에 항균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형성된다. 코팅층(140)은 패드 본체(100) 표면에 SiO2로 이루어진 무기계 결합제(binder)에 이산화티탄(TiO2) 및 V2O5를 함유한 항균코팅층이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코팅층(140)은 숯 분말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팅층(140)은 광촉매 활성에 따라서 위생이 문제되었던 팬티를 더욱 다 쾌적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하며, 숯 분말에 의하여 항균, 탈취, 미네랄 성분 음용에 따른 영양 증진을 거둘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팬티 걸이식 벨트(200)는 고정홀(210), 패드 지지단(220), 제 1 벨트단(230), 제 1 자석단(230a), 제 2 벨트단(240), 그리고 제 2 자석단(250)으로 이루어진다. 패드 지지단(220)은 하부로 벨트 형태의 제 1 벨트단(230) 및 제 2 벨트단(240)이 차례로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며, 제 1 벨트단(230)과의 사이에는 제 1 굽힘영역(ba1)이 형성된다. 팬티 걸이식 벨트(200)의 전체 소재는 상술한 전자파 차폐층(130)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패드 지지단(220)은 상부 중앙 영역에 제 1 벨트단(230) 및 제 2 벨트단(240)의 중간에 형성된 제 2 굽힘영역(ba2)을 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고정홀(210)이 형성된다.
한편, 상술한 제 1 굽힘영역(ba1)은 고정홀(210)로 패드 지지단(220)의 하부에 위치한 제 1 벨트단(230)과 연결된 제 2 벨트단(240)이 근접하기 위해 패드 지지단(220)을 기준으로 외측 상향(f1)으로 제 1 벨트단(230)을 접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술한 제 2 굽힘영역(ba2)은 제 2 벨트단(240) 전체가 고정홀(210)을 통과한 뒤, 제 2 벨트단(240)이 제 1 벨트단(230)을 기준으로 내측 하향(f2)으로 접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다.
제 1 자석단(230a)은 제 1 굽힘영역(ba1) 내부에 형성되어 제 2 벨트단(240)의 하부 중앙 영역에 형성된 제 2 자석단(250)과 자력에 의해 체결되기 위해 형성된다.
여기서 제 1 자석단(230a)과 제 2 자석단(250)은 패드(1)를 팬티에 착용을 위한 2개의 자석으로 사용되며, 각각 1500 gauss의 자기력을 가지며, 본체인 패드 본체(100)의 자기력을 보강하기 위해, 네오디움 자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 본체인 패드 본체(100)의 내부에서 1100 gauss의 자기력을 갖는 네오디움 자석이 삽입되어 자기파를 방출할 수 있다. 여기서 본체로 네오디움 자석을 삽입시, 원적외선 방출 시트(120)와 전자파 차폐층(130) 사이에 형성되거나, 원적외선 방출 시트(120) 내부에 하나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패드(1)에서 팬티 걸이식 벨트(200)가 패드 본체(100)와 맞물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패드(1)가 실제로 제작된 것을 이용해 팬티 걸이식 벨트(200)를 이용한 패드 본체(100)와 체결 과정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도 7의 체결 과정을 거쳐 팬티에 실제로 패드(1)가 팬티 걸이식 벨트(200)를 이용해 안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도 1 내지 도 5에서 상술한 구조를 갖는 패드 본체(100) 및 팬티 걸이식 벨트(200)를 이용한 체결과정을 살펴본다.
먼저, 패드 지지단(220)은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 1 벨트단(230) 및 제 2 벨트단(240)이 패드 본체(100)의 팬티 걸이식 벨트 삽입홀(110)로 삽입되어 원적외선 방출면(100a)에서 커버 면(100b)으로 통과된 상태에서, 패드 본체(100)의 원적외선 방출면(100a)과 한쪽 면이 맞대어져서 지지되도록 위치된다.
이때, 패드 지지단(220)의 상부 중앙 영역에 형성된 고정홀(210)이 상부로 위치한 상태에 있어야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팬티 걸이식 벨트(200)에서의 고정홀(210)의 위치가, 도 7a와 같이 패드 본체(100)의 상부 중앙에는 팬티 걸이식 벨트 삽입홀(110)의 위치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하여야 한다.
다음으로, 커버 면(100b)에 위치한 패드 지지단(220) 하부의 제 1 벨트단(230) 및 제 2 벨트단(240) 중 제 2 벨트단(240)을 상부로 이동시켜, 패드 지지단(220)의 상부 중앙 영역에 형성된 고정홀(210)로 통과시킨 뒤(도 7b 참조), 제 1 벨트단(230)과 제 2 벨트단(240) 사이의 굽힘 영역까지 삽입하여 제 1 벨트단(230)을 기준으로 제 2 벨트단(240)을 하방으로 굽혀줌으로써, 제 2 벨트단(240)의 하부 끝단 영역 내부에 형성된 제 2 자석단(250)이 제 1 벨트단(230)의 상부 끝단 영역 내부에 형성된 제 1 자석단(230a)과 맞닿는 위치가 되도록 한다(도 7c 참조). 이를 위해 제 2 벨트단(240)이 제 1 벨트단(23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도 8과 같이 제 2 굽힘영역(ba2)을 팬티에 걸어 제 1 벨트단(230)의 제 1 자석단(230a)과, 제 2 벨트단(240)의 제 2 자석단(250)이 맞닿아 자력을 형성하는 원리를 이용해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제 1 벨트단(230)과 제 2 벨트단(240) 양쪽 단부에 달려 있는 두 개의 자석 중 제 2 자석단(250)이 팬티 바깥쪽에 위치하고 제 1 자석단(230a)이 팬티 안쪽에 위치하여 팬티에 착용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 : 패드
100 : 패드 본체
100a : 원적외선 방출면
100b : 커버 면
110 : 팬티 걸이식 벨트 삽입홀
120 : 원적외선 방출 시트
121 : 금속망
122 : 패턴
123 : 원적외선 방출부
130 : 전자파 차폐층
140 : 코팅층
200 : 팬티 걸이식 벨트
210 : 고정홀
220 : 패드 지지단
230 : 제 1 벨트단
230a : 제 1 자석단
240 : 제 2 벨트단
250 : 제 2 자석단
ba1 : 제 1 굽힘영역
ba2 : 제 2 굽힘영역

Claims (7)

  1. 원적외선 방출면(100a)을 일면으로 하고 커버 면(100b)을 타면으로 하여 양면으로 형성되는 패드 본체(100), 그리고 팬티 걸이식 벨트(200)를 포함하는 패드에 있어서, 팬티 걸이식 벨트(200)는,
    제 2 벨트단(240);
    양단으로 패드 지지단(220) 및 제 2 벨트단(240)과 각각 연결된 구조를 갖는 제 1 벨트단(230); 및
    하부로 벨트 형태의 제 1 벨트단(230) 및 제 2 벨트단(240)이 차례로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며, 제 1 벨트단(230)과의 사이에는 제 1 굽힘영역(ba1)을 통해 연결된 구조를 갖으며, 상부 중앙 영역에 제 1 벨트단(230) 및 제 2 벨트단(240)의 중간에 형성된 제 2 굽힘영역(ba2)을 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고정홀(210)이 형성되는 패드 지지단(22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 1 굽힘영역(ba1)은,
    고정홀(210)로 패드 지지단(220)의 하부에 위치한 제 1 벨트단(230)과 연결된 제 2 벨트단(240)이 근접하기 위해 패드 지지단(220)을 기준으로 외측 상향(f1)으로 제 1 벨트단(230)을 접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제 2 굽힘영역(ba2)은,
    제 2 벨트단(240) 전체가 고정홀(210)을 통과한 뒤, 제 2 벨트단(240)이 제 1 벨트단(230)을 기준으로 내측 하향(f2)으로 접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제 2 벨트단(240)의 하부 중앙 영역에 형성된 제 2 자석단(250); 및
    제 1 굽힘영역(ba1) 내부에 형성되어 제 2 자석단(250)과 자력에 의해 체결되기 위해 형성되는 제 1 자석단(230a);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제 1 자석단(230a)은 2개의 자석으로 구성되며, 제 2 자석단(250)은 역시 2개의 자석으로 구성되며, 제 1 자석단(230a)을 구성하는 2개의 자석과 제 2 자석단(250)을 구성하는 2개의 자석은, 모두 네오디움 자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
  6. 청구항 5에 있어서, 패드 본체(100)는,
    내부에 1100 gauss의 자기력을 갖는 네오디움 자석이 삽입되어 자기파를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
  7. 청구항 6에 있어서,
    패드 본체(100)로 네오디움 자석을 삽입 시, 내부의 원적외선 방출 시트(120)와 전자파 차폐층(130) 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
KR2020160007052U 2016-12-05 2016-12-05 패드 KR2004873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052U KR200487380Y1 (ko) 2016-12-05 2016-12-05 패드
PCT/KR2016/014516 WO2018105797A1 (ko) 2016-12-05 2016-12-12 게르마늄 마그네틱 원적외선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052U KR200487380Y1 (ko) 2016-12-05 2016-12-05 패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756U KR20180001756U (ko) 2018-06-14
KR200487380Y1 true KR200487380Y1 (ko) 2018-09-07

Family

ID=62491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7052U KR200487380Y1 (ko) 2016-12-05 2016-12-05 패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87380Y1 (ko)
WO (1) WO2018105797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9486Y1 (ko) 1999-12-22 2000-07-15 왕희지
KR200346748Y1 (ko) 2004-01-09 2004-04-01 김박 자기력차단재가 구비된 자석 패드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5333Y1 (ko) 1997-12-24 2000-12-01 윤종용 프로젝터의 컬러 화상형성장치
KR20000016317U (ko) * 1999-01-29 2000-08-25 김헌식 원적외선과 자장을 이용한 생리통 경감팬티
KR100378045B1 (ko) * 1999-04-10 2003-04-07 하전호 남성용 속팬티
KR100408128B1 (ko) 2000-02-23 2003-12-01 주식회사 하빈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파일이 기록된 기록 매체로부터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파일 검색 장치 및 방법
JP3084267U (ja) * 2001-08-24 2002-03-08 株式会社大阪クリップ 名札ケ−ス
KR100865519B1 (ko) * 2007-01-12 2008-10-27 김동회 여성 생식기를 찜질하는 기능을 구비한 의류
KR101115262B1 (ko) * 2011-09-16 2012-02-27 홍사효 남성용 팬티
KR20140058867A (ko) * 2012-11-07 2014-05-15 이홍규 팬티에 탈부착되는 기능성 온열패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9486Y1 (ko) 1999-12-22 2000-07-15 왕희지
KR200346748Y1 (ko) 2004-01-09 2004-04-01 김박 자기력차단재가 구비된 자석 패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05797A1 (ko) 2018-06-14
KR20180001756U (ko) 2018-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R3018317T3 (en) Disposable absorbing sanitary article with waist pockets improving the fluid-tightness.
KR20010101106A (ko) 다목적 기능을 갖는 원적외선 방사 소재 조성물
YU38102A (sh) Derivati arilamina i njihova primena kao antitelomerazno sredstvo
HK1076812A1 (en) Cyanoguanidine prodrugs
KR200487380Y1 (ko) 패드
KR101502854B1 (ko) 원적외선 방출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수납 케이스
KR20190093922A (ko) 자석을 이용한 고효율의 건강증진용 복합 기능 자석 벨트
USD864522S1 (en) Padded underwear
US20200219632A1 (en) Fabric for shielding a wearer from radiation and garment thereof
US20130221762A1 (en) 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
KR200398573Y1 (ko) 항균 기능성 나노 실버 건강 벨트
MX2022009414A (es) Artículo similar a un panel y su uso, y aparato electrodoméstico que comprende el mismo.
JP2000345469A (ja) 織物或いは布織布などの綿製品
USD458712S1 (en) Set of radiation breast shields for everyday use
KR200399743Y1 (ko) 음이온 및 원적외선방출 기능성건강벨트
KR200389556Y1 (ko) 기능성 넥타이
CN106473367A (zh) 消费电子产品保护型夜光便提型珍珠包
KR200312766Y1 (ko) 남성용 체형보정 의류
USD872970S1 (en) Padded underwear
KR200285229Y1 (ko) 건강지갑.
CN108095217A (zh) 一种孕妇防辐射服
CN201551077U (zh) 一种新型餐巾
CN106183123A (zh) 柔软性和舒适度好保暖型面料
KR100838497B1 (ko) 원적외선 방출 돌기부를 양측으로 갖는 양말
KR200456511Y1 (ko) 음이온발산부재가 구비된 벨트용 버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