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6025A - 스캐닝 시스템에 의해 비디오 신호를 디스플레이 하는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스캐닝 시스템에 의해 비디오 신호를 디스플레이 하는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6025A
KR20030036025A KR1020020066365A KR20020066365A KR20030036025A KR 20030036025 A KR20030036025 A KR 20030036025A KR 1020020066365 A KR1020020066365 A KR 1020020066365A KR 20020066365 A KR20020066365 A KR 20020066365A KR 20030036025 A KR20030036025 A KR 200300360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shold
signal
video signal
parameters
transi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6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빌라르드필리페
보가에르트마르니크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30036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602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0Circuitry for controlling amplitude response
    • H04N5/205Circuitry for controlling amplitude response for correcting amplitude versus frequency characteristic
    • H04N5/208Circuitry for controlling amplitude response for correcting amplitude versus frequency characteristic for compensating for attenuation of high frequency components, e.g. crispening, aperture distortion cor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3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otherwise than with constant velocity or otherwise than in pattern formed by unidirectional, straight, substantially horizontal or vertical lines
    • H04N3/32Velocity varied in dependence upon picture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캐닝 동작에 의해 스크린상에 비디오 신호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고, 상기 비디오 신호는 파라미터들의 조합에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비디오 신호로부터 미분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미분 회로, 변형된 미분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미분 신호에 대해 주어진 문턱에서 문턱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문턱 회로, 및 상기 변형된 미분 신호를 기초로 하여 스캐닝 속도를 변조하기 위한 변조 회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비디오 신호에 포함된 노이즈 신호를 강조하지 않고 작은 진폭 트랜지션(transition)들의 콘트라스트의 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해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파라미터들의 함수로서 상기 문턱값을 변화시키는 부가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캐닝 시스템에 의해 비디오 신호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바이스{Device for displaying a video signal by means of a scanning system}
본 발명은 파라미터들의 조합에 의해 특징지어지는 비디오 신호를, 스캐닝 동작에 의해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다음을 포함한다:
- 상기 비디오 신호로부터 미분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미분 회로,
- 변형된 미분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미분 신호에 대해 주어진 문턱에서 문턱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문턱 회로,
- 상기 변형된 미분 신호를 기초로 하여 스캐닝 속도를 변조하기 위한 변조 회로.
본 발명에서는 음극선관의 스크린상에 비디오 신호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디바이스들에서 다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이 존재한다.
비디오 신호의 콘텐츠들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특히 이미지에서의 콘트라스트의 효과를 강조하는 것, 즉 트랜지션들(transitions)에 대응하는 비디오 신호의 일부분을 시각적으로 강조하는 것에 관심이 있다.
상기 트랜지션들은 트랜지션의 진폭(이미지 영역에서)뿐만 아니라 트랜지션의 주파수(즉, 주파수 영역에서)를 반영하는 파라미터를 의미한다.
비디오 신호가 음극선관에서 디스플레이될 때, 콘트라스트는 음극선관에서 전자빔들의 스캐닝 속도를 변조하는 SCAVEM 타입(Scan Veolcity Modulation)의 회로를 통해 강조될 수 있다. 속도 변조는 디스플레이될 비디오 신호로부터 얻어진 미분 신호의 함수로서 일어나고, 음극선관에 위치하는 코일을 포함하는 변조 회로에 적용된다. 리얼 비디오 신호는 비디오 콘텐츠들을 전달하는 정보 신호 및 노이즈 신호의 부가물이고, 노이즈 신호는 휘도 신호에서의 열 노이즈 및/또는 부반송파의 잔류 요소를 발생시킨다. 디스플레이상의 비디오 신호에 포함된 발생 가능한노이즈 신호의 증폭을 방지하기 위해서, SCAVEM 동작은 고정된 문턱보다 더 낮은 값을 갖는 트랜지션들에 의해 억제된다.
미국 특허 US 5,587,745에는 이러한 종류의 회로가 개시되어 있다.
비디오 신호의 콘트라스트를 강조하는 이러한 수단은 일정한 수의 제한들을 갖는다.
문턱은 고정되며 그 이상에서는 트랜지션들이 강조된다. 디스플레이 될 서로 다른 비디오 신호들에 포함된 노이즈들에 의해 발생된 작은 진폭들의 트랜지션들을 강조하는 위험성을 방지하기 위해서, 문턱값은 비교적 중요하다. 이 문턱의 값은 증가함에 따라 디스플레이될 서로 다른 비디오 신호들에서의 노이즈에 의해 발생된 트랜지션들의 최대 진폭들이 더욱 중요하나: 이 신호들은 다소 선천적 노이즈(a priori noise)를 포함한다.
이러한 강조 수단이 낮은 노이즈 레벨을 갖는 비디오 신호들을 위해 사용될 때, 상기 수단은 큰 진폭의 트랜지션들에 대한 콘트라스트의 강조를 확실히 이끌것이지만, 상기 강조는 강조 문턱이 노이즈 레벨에 대해 너무 높은 범위내에 있을 정도로 최적이 아니다. 다시 말해서, 노이즈가 아닌 비디오 콘텐츠의 정보를 전달하는 작은 진폭의 트랜지션들은 강조되지 않는다.
반면에, 상기 문턱보다 더 높은 진폭 트랜지션들은 순차적 방법으로 강조된다. 강조는 트랜지션들이 상기 문턱에 근접할 때, 더 약해지고, 트랜지션들이 상기 문턱보다 더 높을 때, 더 강해진다. 이것은 상기 문턱값의 선천적 고정의 결과이고, 상기 문턱값은 잔류 노이즈에 의해 발생된 트랜지션들의 강조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트랜지션들의 적절한 강조를 그것에 인접하여 포함한다: 그러므로, 비디오 신호의 강조는 원칙적으로, 강한 진폭을 갖는 트랜지션들과 관계있다. 따라서, 상기 문턱보다 더 높은 더 약한 진폭의 값을 갖는 트랜지션들은 단지 적절하게 강조되고, 비디오 신호의 특정 부분들에서의 콘트라스트의 부족에 의해 명확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디오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바이스를 제시하여, 비디오 신호에 포함된 노이즈 신호를 강조하지 않고 작은 진폭 트랜지션들의 콘트라스트의 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해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파라미터들의 함수로서 상기 문턱값을 변화시키는 부가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트랜지션들이 강조되는 문턱값은 상기 파라미터들의 값의 함수로서 자동적으로 조정된다. 특히, 문턱값은 상기 비디오 신호의 노이즈 레벨의 함수로서 조정된다.
비디오 신호가 높은 노이즈 레벨을 포함하는 경우, 문턱은 상당한 값을 갖는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비디오 신호가 낮은 노이즈 레벨을 갖는 경우, 문턱은 낮은 값을 갖는다. 그러므로, 문턱의 자동 조정은 비디오 신호에서의 노이즈 레벨에 관계없이 트랜지션들의 최적 상태를 강조한다.
문턱값이 비디오 신호에서의 노이즈에 의해 발생된 트랜지션들의 최대 레벨에서 자동적으로 조정되는 경우, 트랜지션들의 강조는 최적이고, 강조되지 않은 노이즈 발생된 트랜지션들만 존재한다. 다시 말해서, 비디오 콘텐츠를 전달하는 신호의 트랜지션들만이 강조된다.
트랜지션들이 증폭될 수 있는 문턱이 공지되면, 상기 문턱보다 단지 약간 더 높은 레벨을 갖는 트랜지션들에 대한 콘트라스트의 강한 강조를 가능하게 한다. 그 다음으로, 콘트라스트는 비디오 콘텐츠를 전달하는 신호의 모든 트랜지션들에서 강조되고, 보다 나은 품질의 이미지를 나타낸다.
문턱값은 또한, 비디오 신호의 타입의 함수로서 조정될 수 있다. 이 방법에 있어서, 비디오 신호 타입의 함수로서 비디오 신호의 품질의 선천적 정보로, 트랜지션들의 강조가 최적화된다. 또한, 이러한 해결책은 비디오 신호 타입의 검출만을 포함하기 때문에 비용이 감소된다.
특히, 붉은색-초록색-파란색 타입의 신호(RGB)는 SECAM 타입의 신호보다 선천적으로 적은 노이즈를 포함하는 PAL 타입의 신호보다 선천적으로 적은 노이즈를 포함한다. 따라서, 세가지 문턱값들은 비디오 신호의 타입에 따라 선천적으로 규정된다: RGB 타입의 신호에 대한 낮은 문턱값, PAL 타입의 신호에 대한 중간 문턱값, 및 SECAM 타입의 신호에 대한 높은 문턱값.
문턱값은 또한, 스펙트럼 분포(spectral distribution)가 노이즈 신호의 기여에 대응하여 주파수 범위의 식별을 허용하는한, 상기 비디오 신호의 스펙트럼 전력 분포의 함수로서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다음과 같은 부가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상기 비디오 신호로부터 상기 파라미터들을 분석하고 추출하는 수단,
- 상기 파라미터들을 상기 문턱값을 변화시키는 제어 신호로 변환하는 수단.
상기 분석 수단은 특히, 비디오 신호에 포함된 노이즈 레벨의 측정, 상기 비디오 신호의 신호 타입의 검출(PAL-SECAM-RGB-NTSE...), 또는 상기 비디오 신호의 스펙트럼 전력 분포의 측정을 허용한다. 신호 프로세서 타입의 상기 분석 수단은 디스플레이될 비디오 신호의 고유의 특징들 지식의 영구적인 업데이트를 허용하고, 이는 특히 비디오 신호의 노이즈 레벨이 변하는 경우 또는, 비디오 신호 타입이 변하는 경우에 관심이 있다. 상기 파라미터들의 D/A 타입을 제어 신호로 변환하는 것을 통해, 트랜지션들이 강조되는 문턱값은 비디오 신호의 고유의 특징들로 영구적으로 최적화된다. 휘도 신호의 미분 신호는, 노이즈에 의해 발생된 트랜지션들에 대응하는 상기 문턱 아래 레벨의 트랜지션들이 강조되지 않도록 0으로 설정되도록, 문턱 회로에 의해 변형된다. 그러므로, 변형된 미분 신호는 변조 회로에 적용된다.
본 발명은 또한, 문턱 회로가 전압 폴로워 구성(voltage follower configuration)으로 배열되고 트랜지스터를 각각 포함하는 두개의 회로들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제어 신호에 의해 바이어스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가변적인 문턱을 갖는 문턱 회로는 두개의 대칭 회로들로 구성되고, 하나는 포지티브 트랜지션들에 대한 문턱 동작을 실행하고 다른 하나는 네거티브 트랜지션들에 대한 문턱 동작을 실행한다. 문턱값의 변동률 편차는 제어 신호의 레벨을 통한 트랜지스터의 바이어스 상에서의 직접적인 동작에 의해 단순 명확해진다. 또한, 각각의 회로의 구조는 소수의 요소들을 포함하고, 비용이 감소되는 해결책을 이끌어낸다.
본 발명은 또한, 장치가 상기 변형된 미분 신호를 클립핑하는 클립핑 회로(clipping circui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무리한 방법으로 비디오 신호의 트랜지션들을 강조하는 것을 방지하고, 비디오 콘텐츠가 변형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미분 신호의 진폭은 고정된 값에서의 미분 신호의 클립핑에 의한 문턱 동작 이후에 제한된다.
본 발명은 또한, 비디오 신호의 콘트라스트의 효과를 향상시키는 텔레비젼 장치에 관한 것이고, 상기 텔레비전 장치는 상술된 서로 다른 특성 수단을 사용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술된 수단에 의해 실행되는 서로 다른 기능들에 대응하는 단계들을 갖는 방법의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상기 비디오 신호의 트랜지션 레벨들의 함수로서 비디오 신호의 트랜지션들의 강조하는 레벨의 변화를 도시하는 도면.
도 3 내지 도 4는 제어 신호 레벨들의 함수로서 문턱값의 변화를 도시하는 도면.
도 5 내지 도 6은 디스플레이될 비디오 신호를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들의 값의 함수로서 제어 신호들의 발전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미분 신호의 변형을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스크린 상에서 비디오 신호의 콘텐츠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의 여러 측면들은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 예를 통해 설명되고, 동일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로 병기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실시예는 붉은색, 초록색, 파란색 요소들을 행렬화하는 회로(101)를 포함하고, 음극선관에서 디스플레이될 비디오 신호(103)에 기초하는 휘도 신호(102)가 공급될 수 있다. 휘도 신호(102)는 미분 신호(105)를 공급하는 미분 회로(104)에 의해 연속하여 얻어진다. 미분 신호(105)는 그 다음으로, 가변적인 문턱을 갖는 문턱 회로(106)에 의해 문턱 동작에 적용된다. 문턱 회로는 포지티브 트랜지션들에서의 문턱 동작을 실행하여 문턱값을 변화시키는 제 1 제어 신호(110) 및, 네거티브 트랜지션들에서의 문턱 동작을 실행하여 문턱값을 변화시키는 제 2 제어 신호(111)로 구성된, 이중 제어 신호(109)를 수신한다. 병렬 상태로, 계산 수단(112)은 상기 비디오 신호로부터 추출된 특성들(113)을 상기 이중 제어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 수단(114)에 공급한다. 문턱 회로(106)는 이중 출력 신호(107, 108)를 공급하고, 제 1 출력 신호(108)는 변화된 포지티브 트랜지션들을 전달하며, 제 2 신호(107)는 변화된 네거티브 트랜지션들을 전달한다. 상기 이중 출력 신호는 클리핑된 미분 신호(116)를 공급하는 클리핑 회로(115)에 의해 연속하여 클립핑된다. 그 다음으로, 클립핑된 미분 신호(116)는 편향 코일(118)(커패시턴스 C4와 직렬로 배열된)에서의 상기 클립핑된 신호(116)에 비례하는 진폭을 갖는 전류 I 를 공급하는 증폭기 회로(117)에 의해 증폭되고, 이 두 엘리먼트들은 음극선관의 스캐닝 속도의 변조를 허용한다.
비디오 신호(103)는 예를 들어, 세개의 칼라 요소들 R, G, 및 B로 구성된 칼라 신호라고 예상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흑백의 비디오 신호의 경우에 있어서도 적용 가능하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 실제로, 이 경우에 있어서, 휘도 신호는 비디오 신호에 직접적으로 대응한다.
행렬 회로(101)는 휘도 신호를 공급하는 칼라 요소들 R, G, 및 B의 가중치의 포메이션을 허용하는 값을 갖는 세개의 저항들 R1-R2-R3로 구성된다. 휘도 신호는 트랜지스터 T1에서의 하나의 유닛 이득에 의해 증폭되도록 낮은 임피던스에서 휘도 신호(102)를 공급한다.
미분 회로(104)는 하나의 터미널에서 상기 휘도 신호(102)를 수신하고, 트랜지스터 T2의 이미터에 접속된 다른 터미널을 갖는 커패시턴스 C1에 의해 구성된다.트랜지스터 T2는 커패시턴스 C1을 통해 전류 구동되고, 상기 휘도 신호(102)의 미분 값에 비례하는 출력 신호(105)는 자신의 콜렉터에 공급될 수 있다.
가변 문턱을 갖는 문턱 회로(106)는 두개의 대칭 회로들로 구성되고, 하나는 포지티브 트랜지션들에서의 문턱 동작에 대한 것이며, 다른 하나는 네거티브 트랜지션들에서의 문턱 동작에 대한 것이다. 포지티브 및 네거티브 전위들에서의 문턱 동작들을 실행하는 문턱값은 독립적이다.
포지티브 트랜지션들에서의 문턱 동작에 관하여: 트랜지스터 T5는 저항들 R8 및 R9에 의해 구성된 디바이더 브리지(divider bridge)로부터 제어 전압 SC1에 의해, 즉 변화될 수 있는 포지티브 트랜지션들의 문턱값을 갖는 제어 신호(110)의 프랙션(fraction)에 의해 트랜지스터 T5의 베이스에서 바이어스 된다. 트랜지스터 T5는 또한, 결합 커패시터 C3를 통해 미분 신호(105)를 수신한다. 상기 전압 SC1이 트랜지스터 T5의 베이스 이미터 결합의 문턱 전압 Vbe보다 작은 수량 △1인 경우, 트랜지스터 T5는 △1 이상의 값을 갖는 포지티브 전송들 동안만 동작된다. 다시 말해서, 문턱값은 수량 △1에 대응하고, 트랜지스터 T5의 출력은 상기 문턱값보다 더 높은 포지티브 트랜지션들만을 공급한다.
네거티브 트랜지션들의 문턱 동작에 관하여: 트랜지스터 T3는 저항들 R4 및 R5에 의해 구성된 디바이더 브리지로부터 제어 전압 SC2에 의해, 즉 변화될 수 있는 네거티브 트랜지션들의 문턱값을 갖는 제어 신호(111)의 프랙션에 의해 트랜지스터 T3의 베이스에서 바이어스 된다. 트랜지스터 T3는 또한, 결합 커패시터 C2를 통해 미분 신호(105)를 수신한다. 상기 전압 SC2가 값(VCC-Vbe)보다 더 높은 수량△2이고, VCC가 전력 공급값이고 Vbe가 트랜지스터 T3의 베이스 이미터 결합의 문턱값인 경우, 트랜지스터 T3는 -△2보다 작은 값을 갖는 네거티브 트랜지션들 동안만 동작된다. 다시 말해서, 문턱값은 수량 -△2에 대응하고, 트랜지스터 T3의 출력은 상기 문턱값보다 더 낮은 레벨의 네거티브 트랜지션들만을 공급한다.
각각의 전압 디바이더 브리지는 적절한 진폭을 갖는 제어 신호를 사용하여 직접적인 전압 구동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그러나, 전압 디바이더 브리지들의 사용은 변환기에 의해 발생되는 더 큰 진폭을 갖는 제어 신호를 포함한 상태의 작업을 허용하여, D/A 타입의 변환기의 선택을 용이하게 하며, 상기 대다수는 큰 진폭값들의 생성에 전용된다.
클립핑 회로(115)는 트랜지스터 T6에 의한 변화된 포지티브 트랜지션들을 전달하는 상기 출력 신호(108)의 클립핑, 및 트랜지스터 T4에 의한 변화된 네거티브 트랜지션들을 전달하는 상기 제 2 출력 신호(107)의 클립핑을 허용한다. 포지티브 트랜지션들의 클립핑 레벨 및 네거티브 트랜지션들의 클립핑 레벨은 변화 가능한 트랜지스터들 T4 및 T6의 포화 및 블록킹 문턱을 허용하는 저항들 R6-R7-R10-R11의 세트를 통하여 안정화된다. 트랜지스터 T7에 의한 유닛 이득 증폭을 통해, 클립핑 회로(115)의 출력은 포지티브 및 네거티브 트랜지션들을 전달하는 변형된 미분 신호(116)를 공급한다.
클립핑이 희망되지 않는 경우, 트랜지스터들 T4 및 T6의 베이스 이미터 결합들은 회로상에서 단락된다.
변형되고 클립핑된 미분 신호(116)는 증폭 회로(116)에 의해 증폭된다. 이회로는 코일(118) 및 커패시턴스 C4에 적용되는 증폭된 출력 신호를 공급하는 콜렉터들을 갖는 두개의 상보성 트랜지스터들 T8 및 T9의 사용에 기초한다.
계산 수단(112)은 특성 파라미터들(113)을 추출하는 비디오 신호(103)를 분석한다. 이 계산 수단은 신호 프로세서 타입을 양호하게 하여 동일한 프로세싱 유닛 상에서 서로 다른 성질의 분석들 또는 계산들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비디오 신호의 노이즈는 특히, 필터링 방법들과 같은 본 기술 분야의 기술자들에게 공지된 방법들을 사용하여 평가된다. 비디오 신호의 스펙트럼 분포는 또한, 노이즈 신호에 의해 커버되는 주파수 영역들을 식별하도록 연산될 수 있고, 강조에 적용되지 말아야 할 것이다. 더욱 단순하게는, 비디오 신호의 코딩 타입을 분석하여, 계산 수단은 PAL-SECAM-RGB-NTSC 타입들과 같은 사이에서 비디오 신호를 식별할 수 있다.
계산 수단(112)은 이미지 주기의 특성 파라미터들 보다 더 긴 주기를 갖는 비디오 신호(103)의 특성 파라미터들을 양호하도록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한다. 실제로, 이것은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피로해질 수 있는 이미지마다 여러번 일어나는 이미지 콘트라스트의 변화를 방지한다.
변환 수단(114)은 제어 신호(110) 및 제어 신호(111)로 구성된 이중 제어 신호(109)의 공급을 허용한다. 그것들은 파라미터(113) 값의 함수로서 제어 신호들(110, 111)의 레벨의 변화를 허용한다. 예를 들면, 제어 신호들 SC1-SC2의 레벨, 즉 제어 신호들(110, 111)은 비디오 신호(103)에서 측정된 노이즈 레벨에 비례하거나, 비디오 신호의 각각의 타입에 대해 서로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도 2는 상기 비디오 신호의 트랜지션 레벨 T(절대값)의 함수로서 비디오 신호 트랜지션들의 강조 A의 레벨 변화를 도시한다. 이 도면은 트랜지션들이 강조되지 않는 변화될 수 있는 문턱값 T0를 갖는 본 발명의 고유의 특징을 완벽하게 예시한다. 문턱값 T0의 변화는 두개의 문턱값 T0' 및 T0"에 대한 상기 도면에서 예시된다.
제 1 영역[T1,T0]은 트랜지션들이 노이즈 신호에 의해 발생되기 때문에, 강조지 않는 낮은 레벨의 트랜지션들에서의 구역을 규정한다. 다시 말해서, 문턱 구역은 트랜지션들이 Amin=0의 값으로 강요되는 곳과 관계있다.
제 2 영역[T0,T2]은 트랜지션들이 강조되는 구역을 규정하고, 예를 들어, 트랜지션들의 레벨들에 비례한 방법을 통해 규정한다. 실제로, 문턱값 T0은 트랜지션들이 정보 신호에 의해 발생된 트랜지션들에 대해 강조되는 방법으로 자동적으로 조정된다. 따라서, 강조 곡선은 문턱값 T0가 정확하게 공지될 때, 경사도가 높아질 수 있고, 정보 신호의 모든 트랜지션들 상에서 강한 강조를 갖도록 허용한다.
제 3 영역[T2,...]은 트랜지션들이 동일한 방법으로 강조되는 구역을 규정한다. 다시 말하자면, 클립핑 구역은 트랜지션들이 Amax값에서 고정되는 곳과 관계있다.
도 3 내지 도 4는 신호들 SC1 및 SC2의 레벨들 U1및 U2의 함수로서 문턱값T0(절대값)의 변화를 각각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들 SC1 및 SC2는 R4-R5 및 R8-R9에 의해 구성된 전압 디바이더 브리지들을 통해 공급되고, 그들의 레벨은 제어 신호들(110, 111)의 레벨의 프랙션에 각각 대응한다.
도 3은 문턱값 T0를 변화시키는 두개의 서로 다른 영역들을 도시한다:
- 제 1 영역[0,U1max]은 전압 U1이 증가할 때, 문턱값 T0가 선형적으로 감소하는 구역을 규정하고, 미분 신호(105)에서 낮은 레벨의 포지티브 트랜지션들이 문턱값 동작에 의해 점점 감소하며 강조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0이 아닌 노이즈 신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될 비디오 신호와 관계있다,
- 제 2 영역[U1max,VCC]은 전압 U1이 증가할 때, 문턱값 T0가 상수 최소 레벨 T0min에 잔류하는 구역을 규정하고, 미분 신호(105)에서 포지티브 트랜지션이 문턱 동작에 의해 강조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T0min인 경우, 노이즈 신호들을 포함하지 않는 디스플레이될 비디오 신호와 관계있다.
유사하게, 도 4는 문턱값 T0를 변화시키는 두개의 서로 다른 영역들을 도시한다:
- 제 1 영역[O,U2max]은 전압 U2가 증가할 때, 문턱값 T0가 상수 최소 레벨 T0min에 잔류하는 구역을 규정하고, 미분 신호(105)에서 네거티브 트랜지션이 문턱 동작에 의해 강조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TOmin=0인 경우, 노이즈 신호를포함하지 않는 디스플레이될 비디오 신호와 관계있다,
- 제 2 영역[U2max,VCC]은 전압 U2가 증가할 때, 문턱값 T0가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구역을 규정하고, 미분 신호(105)에서 낮은 레벨의 네거티브 트랜지션들이 문턱 동작에 의해 더욱 강조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0이 아닌 노이즈 신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될 비디오 신호와 관계있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 예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될 비디오 신호(103)를 특징으로 하는 파라미터들 P의 값의 함수로서 제어 신호들(110, 111)의 발전 상태를 도시하고, 신호들(110, 111)은 변환 수단(114)에 의해 생성된다.
도 5는 디스플레이될 비디오 신호(103)의 특성 파라미터로써 선택된 노이즈 레벨 σ의 함수로서 제어 신호들(110, 111)의 발전 상태를 연속적인 선형으로 도시한다. 계산 수단(112)에 의해 측정된 각각의 노이즈 레벨 σ에서, 출력 레벨 U는 신호들(110, 111)에 대해 규정된다.
도 6은 파라미터로 선택된 비디오 신호(103)의 포맷의 함수로서 제어 신호들(110, 111)의 이산적 선형 발전 상태를 도시한다. 그러므로, 신호들(110, 111)에 대한 출력 레벨 U는 계산 수단(112)에 의해 식별된 비디오 신호의 각각의 포맷에서 규정되고, 값과 관계있다. 이것은 비디오 포맷들의 노이즈 레벨과 같은, 비디오 포맷들의 분류에 대한 선천적 정의를 가정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문턱 회로(106) 및 클립핑 회로(115)에 의한 미분 신호(105)의 변형을 도시한다. 상기 도면은 문턱값 △1 상위의 값들만이 상기 포지티브 부분에 전송되어 변형된 미분 신호(108)를 형성하도록 한다는 의미에서 트랜지션들의 포지티브 부분에서 실행된 문턱 동작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마찬가지로, 상기 도면은 문턱값 △2 하위의 값들만이 상기 네커티브 부분에 전송되어 변형된 미분 신호(107)를 형성하도록 한다는 의미에서 트랜지션들의 네거티브 부분에서 실행된 문턱 동작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다음으로, 신호들(108, 107)은 트랜지션의 포지티브 부분에 대한 값 A1 및, 트랜지션의 네거티브 부분에 대한 값 A2에서 각각 클립핑되어 클립핑된 변형된 미분 신호(116)를 형성하도록 한다.
도 8은 음극선관 타입의 스크린(802)상에서 비디오 신호(801)의 콘텐츠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된 비디오 신호의 콘트라스트의 효과를 향상시키는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803)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특히, 텔레비전 장치에 대응한다.
상기 장치는 튜닝 및 복조하는 RF 신호(805)에 대한 튜닝 및 복조 디바이스(804)를 포함한다. 디바이스(804)는 동조 및 편향 신호들(807)의 세트뿐만 아니라 복조된 비디오 신호(806)를 공급한다. 한편으로, 프로세싱 회로(808)는 상기 비디오 신호(801)를 공급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증폭된 편향 신호들(809)을 공급하도록 신호들(807, 808)을 프로세스 및 증폭한다. 신호(809)는 음극선관(802)에서 전자빔들의 수직 수평 스캐닝을 위해 편향 코일(810)에 적용된다. 신호(801)는 음극선관(802)에 적용되는 RGB 타입의 신호이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을 따르며, 특히 가변적인 문턱을 갖는 문턱 회로를 포함하는 디바이스(803)는 입력단에서 비디오 신호(801)를 수신하고, 변형된 미분 신호(811)를 공급한다. 신호(811)는 상기 전자빔의 수평 속도를 변조하는 부가의 편향 코일을 포함하는 변조 회로(812)에 적용된다.
본 발명의 범위와 도 1의 도면에서 제시된 실시예는 문턱 회로에서 문턱값의 변화를 허용하는 것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메모리상에 저장되어 신호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하는 제어 코드들을 갖는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가변적인 문턱에서 문턱 동작을 인식하도록 하는 방법은 모든 수단에 있어서 가능하다.

Claims (10)

  1. 파라미터들의 조합에 의해 특징지어지는 비디오 신호를, 스캐닝 동작에 의해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바이스로서,
    상기 비디오 신호로부터 미분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미분 회로,
    변형된 미분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미분 신호에 대해 주어진 문턱에서 문턱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문턱 회로, 및
    상기 변형된 미분 신호를 기초로 하여 스캐닝 속도를 변조하기 위한 변조 회로를 포함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들의 함수로서 상기 문턱의 값을 변화시키는 부가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들은 상기 비디오 신호의 노이즈 레벨, 그것의 포맷, 또는 그것의 스펙트럼 전력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수단은,
    상기 비디오 신호로부터 상기 파라미터들을 분석하여 추출하는 수단, 및
    상기 파라미터들을, 상기 문턱의 값을 변화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로 변환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수단은 신호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변환 수단은 D/A 변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문턱 회로는, 전압 폴로워 구성(voltage follower configuration)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어 신호에 의해 바이어스 된 트랜지스터를 각각, 포함하는 두개의 회로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된 미분 신호를 클립핑하는 클립핑 회로(clipping circui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7. 파라미터들의 조합에 의해 특징지어지는 비디오 신호를, 스캐닝 동작에 의해 스크린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비디오 신호로부터 미분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미분 단계,
    변형된 미분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미분 신호에 대해 주어진 문턱에서 문턱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변형된 미분 신호를 기초로 하여 스캐닝 속도를 변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들의 함수로서 상기 문턱의 값을 변화시키는 부가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8. 파라미터들의 조합에 의해 특징지어지는 비디오 신호를, 스캐닝 동작에 의해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스크린을 포함하는 텔레비전 장치로서,
    상기 비디오 신호로부터 미분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미분 회로,
    변형된 미분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미분 신호에 대해 주어진 문턱에서 문턱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문턱 회로, 및
    상기 변형된 미분 신호를 기초로 하여 스캐닝 속도를 변조하기 위한 변조 회로를 포함하는 상기 텔레비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들의 함수로서 상기 문턱의 값을 변화시키는 부가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들은 상기 비디오 신호의 노이즈 레벨, 그것의 포맷, 또는 그것의 스펙트럼 전력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수단은,
    상기 비디오 신호로부터 상기 파라미터들을 분석하여 추출하는 수단, 및
    상기 파라미터들을, 상기 문턱값을 변화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로 변환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장치.
KR1020020066365A 2001-10-30 2002-10-30 스캐닝 시스템에 의해 비디오 신호를 디스플레이 하는디바이스 KR2003003602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114049A FR2831754A1 (fr) 2001-10-30 2001-10-30 Appareil d'affichage d'un signal video au moyen d'un systeme de balayage
FR0114049 2001-10-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6025A true KR20030036025A (ko) 2003-05-09

Family

ID=8868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6365A KR20030036025A (ko) 2001-10-30 2002-10-30 스캐닝 시스템에 의해 비디오 신호를 디스플레이 하는디바이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30090595A1 (ko)
EP (1) EP1309180A1 (ko)
JP (1) JP2003189118A (ko)
KR (1) KR20030036025A (ko)
CN (1) CN1418005A (ko)
FR (1) FR283175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7167B1 (ko) * 2006-03-21 2006-07-04 오춘근 관 연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43490B2 (en) * 2012-06-29 2016-09-13 Tektronix, Inc. Selective display of waveforms governed by measured parameter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61014A (en) * 1979-12-03 1981-04-07 Zenith Radio Corporation Spot arrest system
US5093728A (en) * 1990-08-02 1992-03-03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Beam scan velocity modulation apparatus
JP2936849B2 (ja) * 1991-12-10 1999-08-2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広帯域ビデオ出力回路
US5587745A (en) * 1994-07-05 1996-12-24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Adjustment of scan velocity modulation concurrent with the amount of transition rise time, pre-shoot, and overshoot of a video signal
EP0710010A1 (fr) * 1994-10-26 1996-05-01 Philips Electronique Grand Public Circuit vidéo à modulation de vitesse de spot
JPH11514813A (ja) * 1996-04-26 1999-12-14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ネムローゼ フェンノートシャップ スポット位置表示信号発生
US6295097B1 (en) * 1999-05-26 2001-09-25 Thomson Licensing S.A. Piece-wise linearized waveform generator for scan velocity modulation circuit
JP2001157079A (ja) * 1999-11-29 2001-06-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輝度速度変調回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7167B1 (ko) * 2006-03-21 2006-07-04 오춘근 관 연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09180A1 (fr) 2003-05-07
FR2831754A1 (fr) 2003-05-02
JP2003189118A (ja) 2003-07-04
US20030090595A1 (en) 2003-05-15
CN1418005A (zh) 2003-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0101873A (ja) 画像表示装置
CN100409677C (zh) 电子束扫描速度调制器
US5179320A (en) Signal adaptive beam scan velocity modulation
KR100256885B1 (ko) 디스플레이 영상의 평균화상 레벨에 응답하는 비선형 휘도신호 프로세서
KR20030036025A (ko) 스캐닝 시스템에 의해 비디오 신호를 디스플레이 하는디바이스
JPH0787354A (ja) Svmディスエーブリング回路を有するビーム走査速度変調装置
US6577285B1 (en) Gamma corrector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8792712B2 (en) Method for correcting color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HU208774B (en) Non-linear rgb video signal processing unit
KR100449744B1 (ko) 영상 처리 장치에서의 화면 밝기 제어 방법 및 장치
CN1317883C (zh) 显像管放大器中的自适应带宽控制
US20020051089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KR100345435B1 (ko) 영상디스플레이장치및빔스캔속도변조회로
KR200152354Y1 (ko) 모니터의 밝기 조절 장치
MY125535A (en) Video signal processing arrangement for scan velocity modulation circuit
US7369182B2 (en) Generating a scan velocity modulation signal
US6563276B2 (en) CRT display apparatus
KR100214634B1 (ko) 프로젝션 티브이의 b색 감마보정 회로
JP3407677B2 (ja) 速度変調回路
US6008861A (en) OSD vertical blanking signal selection circuit for display apparatus
KR200370958Y1 (ko) 적응형 백피크 압축회로
KR200159403Y1 (ko) 속도변조신호 보정 장치
JPH0522655A (ja) ビデオカメラ
KR100303429B1 (ko) Hdtv에서vmc출력제어장치
KR960006478A (ko) 텔레비젼 수상기의 비선형 편향속도 변조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