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5083A - 어상자 - Google Patents

어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5083A
KR20030035083A KR1020010066972A KR20010066972A KR20030035083A KR 20030035083 A KR20030035083 A KR 20030035083A KR 1020010066972 A KR1020010066972 A KR 1020010066972A KR 20010066972 A KR20010066972 A KR 20010066972A KR 20030035083 A KR20030035083 A KR 200300350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rame
support
lower plat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6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돈성
Original Assignee
최돈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돈성 filed Critical 최돈성
Priority to KR1020010066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35083A/ko
Publication of KR20030035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508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12Containers presenting local stacking elements protruding from the upper or lower edge of a side wall, e.g. handles, lugs, ribs, groo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어류를 담아서 적층하였을 때, 하중에 의하여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 어상자가 개시된다. 상기 어상자는 용기의 하판에 형성된 보조받침대에 의하여 최하측에 위치된 용기의 모서리부가 상대적으로 덜 변형된다. 그리고, 상측에 위치된 용기의 하판과 하측에 위치된 용기의 받침손잡이는 보강돌기에 의하여 견고하게 접촉되므로, 용기의 테두리부가 상대적으로 덜 변형된다. 또한, 받침손잡이가 용기의 내측에서 외측을 향하여 결합되므로, 용기가 수축되어도 받침손잡이는 용기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Description

어상자{FISH BOX}
본 발명은 어류를 담는 어상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어상자를 도 1a, 도 1b,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a는 종래의 어상자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저면도이며, 도 2a는 종래의 어상자가 적층된 상태를 보인 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은 개방되며 측판 및 하판에는 다수의 배출공(11)이 형성된 플라스틱재의 직사각형의 용기(10)가 마련된다. 용기(10)의 측판에는 용기(10)의 벌어짐을 방지함과 동시에 용기(10)를 들기위한 받침손잡이(2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받침손잡이(20)는 대향하는 한쌍으로 마련되며, 용기(10)의 측판 외측에서 내측으로 삽입되어 용기(10)에 결합된다.
그리고, 용기(10)의 측판과 하판이 만나는 테두리부(M)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하판의 부위에서부터 내측으로 상호 교차하는 다수의 받침대(13)가 형성되어, 용기(10)의 하판이 바닥과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받침손잡이(20)와 대응되는 용기(10)의 하판의 부위에는 받침대(13)가 형성되지 않는데, 이는 용기(10)를 적층하였을 때, 상호 인접하는 용기(10) 중 하측의 용기(10b)(도 2b참조)에 설치된 받침손잡이(20)에 상측의 용기(10c)의 하판이 접촉되어 지지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어상자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류가 담긴 용기(10a,10b,10c,10d)를 다수개 적층하고, 적층된 용기(10)를 상호 일체로 묶어서 운반한다. 그런데, 밧줄 등을 이용하여 적층된 용기(10)를 묶다 보면, 용기(10)가 내측으로 오그라지게 되는데, 이때, 용기(1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삽입된 받침손잡이(20)가 용기(10)로부터 빠지게 된다.
이로인해, 받침손잡이(20)를 수거하여 용기(10)에 다시 결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받침손잡이(20)를 분실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0)의 측판과 하판이 만나는 테두리부(M)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하판의 부위에서부터 내측으로 받침대(13)가 형성되고, 테두리부(M)는 라운딩지게 형성된다. 이로인해, 최하측의 용기(10a)의 테두리부(M)는 공중에 뜨있는 형태가 되어 하중에 의하여 쉽게 변형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용기(10)가 적층되었을 때, 상호 인접하는 용기(10) 중, 상측에 위치된 용기(10c)의 하판이 하측에 위치된 용기(10b)의 받침손잡이(20)와 접촉되게 된다. 이 또한, 테두리부(M)가 받침손잡이(20)에 접촉되지 않으므로 테두리부(M)가 쉽게 변형되는 단점이 있다.
이로인해, 소정 갯수 이상의 용기를 적층할 수 없으므로 물류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대적으로 무거운 하중에 의하여도 용기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어상자를 제공함에 있다.
도 1a는 종래의 어상자의 사시도.
도 1b는 도 1a의 저면도.
도 2a는 종래의 어상자가 적층된 상태를 보인 도.
도 2b는 도 2a의 A-A선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상자의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저면도.
도 4a는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4b는 도 3의 C-C선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상자가 적층된 상태를 보인 도.
도 5b는 도 5a의 D-D선 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상자의 저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어상자110 : 용기
120 : 하판130 : 측판
140 : 받침손잡이150 : 프레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어상자는, 다수의 배출구가 형성된 사각형상의 하판과, 상기 하판의 단면(端面)에서 내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상기 하판의 저면 부위에서부터 상호 교차하면서 형성되어 바닥과 접촉하는 다수의 받침대와, 상기 하판의 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다수의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하판의 단부와 만나는 테두리부는 라운딩진 측판 및 상기 측판의 상단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프레임을 가지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용기가 적층되었을 때, 인접하는 상측의 상기 용기를 받쳐서 지지하는 받침손잡이를 구비하는 어상자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길이방향측 프레임과 폭방향측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의 양단부에는 상기 어느 하나의 프레임을 내측프레임과 외측프레임으로 구획하는 안착로가 상기 어느 하나의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상기 안착로의 일단부측은 상기 어느 하나의 프레임의 외측과 연통되며, 상기 내측프레임에는 상기 안착로의 일단부측에서 타단부측을 향하여 소정 간격을 가지는 제 1 개방부 및 제 2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외측프레임에는 상기 제 1 개방부와 대향하는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받침손잡이는 상기 용기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용기가 적층되었을 때 인접하는 상측의 상기 용기의 받침대와 접촉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양단부에서 벤딩되어 연장되며 상기 용기의 측판의 내면과 각각 접촉하는 제 1 벤딩부와, 상기 제 1 벤딩부의 단부에서 각각 벤딩되어 연장되며 상기 제 2 개방부를 통과하는 제 2 벤딩부와, 상기 제 2 벤딩부의 단부에서 벤딩되어 연장되며 상기 제1 개방부와 제 2 개방부 사이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면서 상기 안착로의 저면과 접촉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의 단부에서 베딩되어 연장되며 상기 제 1 개방부를 지나서 상기 결합공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를 가진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상자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상자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저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어상자(100)는 용기(110)와 용기(1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받침손잡이(140)를 가진다.
용기(110)는 다수의 배출구(121)가 형성되어 바닥 등에 놓이는 사각형상의 하판(120)과 하판(120)의 단면(端面)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며 다수의 배출구(131)가 형성된 측판(130)을 가진다. 측판(130)은 하판(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대향되게 형성된 길이방향측판(133)과 폭방향을 따라 대향되게 형성된 폭방향측판(134)을 가지며, 하판(120)의 단면(端面)과 측판(130)의 하단면(下端面)이 만나는 테두리부(P)는 라운딩지게 형성된다.
하판(120)의 저면에는 다수의 받침대(123)가 상호 교차하면서 형성되는데, 받침대(123)는 하판(120)과 바닥이 직접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하판(120)의 배출구(121)를 통하여 수분 또는 공기가 원활하게 배출되게 한다. 즉, 받침대(123)는 테두리부(P)에서 소정 거리 이격되어 하판(120)에 형성된 최외곽의 받침대(123a)와 최외곽의 받침대(123a) 내부에 형성된 내부의 받침대(123b)를 가진다. 그리고, 측판(130)의 상단면에는 측판(130)의 외측으로 연장된 프레임(150)이 형성되는데, 프레임(150)은 길이방향프레임(151)과 폭방향프레임(155)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받침손잡이(140)는 용기(140)를 들때 사용함과 동시에, 용기(110)가 적층되었을 때 상측의 용기(110)의 하판을 받쳐서 지지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받침손잡이(140)는 용기(110)의 폭의 길이와 대략 동일하게 마련되어 용기(110)가 적층되었을 때, 상호 인접하는 용기(110b,110c)(도 5a 및 도 5b참조)들 중 상측의 용기(110c)의 받침대(123)와 접촉하는 지지부(141)와, 지지부(141)의 양단부에서 각각 벤딩되어 연장된 제 1 벤딩부(143)와, 제 1 벤딩부(143)의 단부에서 각각 벤딩되어 연장된 제 2 벤딩부(145)와, 제 2 벤딩부(145)의 단부에서 각각 벤딩되어 연장된 접촉부(147)와, 접촉부(147)의 단부에서 각각 벤딩되어 연장된 삽입부(149)를 가진다.
그리고, 받침손잡이(140)의 프레임(150) 중, 길이방향프레임(151)의 양단부측에는 길이방향프레임(151)의 길이방향을 따라 안착로(152)가 형성된다. 즉, 안착로(152)가 형성된 길이방향프레임(151)의 부위는 내측프레임(153)과 외측프레임(154)으로 구획되고, 안착로(152)의 일단부측은 길이방향프레임(151)의 외측과 연통된다. 내측프레임(153)에는 안착로(152)의 일단부측에서 타단부측을 향하여 제 1 개방부(153a) 및 제 2 개방부(153b)가 소정 간격을 가지면서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외측프레임(154)에는 제 1 개방부(153a)와 대향하는 결합공(154a)이 형성된다.
그리하여, 받침손잡이(140)의 지지부(141)는 길이방향프레임(151) 사이에 위치되고, 제 1 벤딩부(153)는 길이방향측판(133)의 내주면과 접촉하며, 제 2 벤딩부(155)는 제 2 개방부(153b)를 통과하고, 접촉부(157)는 제 1 개방부(153a)와 제 2 개방부(153b) 사이의 길이와 동일하게 마련되어 안착로(152)의 저면과 접촉하며, 삽입부(159)는 제 1 개방부(153a)를 지나서 결합공(154a)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된다. 삽입부(159)가 용기(110)의 내측에서 외측을 향하는 형태로 결합공(154a)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용기(110)가 내측으로 수축되어도 받침손잡이(140)는 용기(110)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미설명 부호 "Q"는 길이방향측판(133)과 폭방향측판(134) 및 하판(120)이 만나는 모서리부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어상자는 용기(110)가 적층되었을 때, 하중에 의하여 용기(110)의 하판(120) 및 측판(130)이 변형되지 않도록 마련된다. 이를 도 3a,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a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3의 C-C선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판(120)에 형성된 받침대(123) 중, 최외곽에 위치되는 받침대(123a)의 소정 부위는 개방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받침손잡이(140)가 용기(110)에 안착되었을 때, 받침손잡이(140)의 지지부(141)와 대향하는 최외곽에 위치된 받침대(123a)의 부위는 개방된다. 이는, 용기(110)가 적층되었을 때, 용기(110)의 하판(120)과 받침손잡이(140)가 접촉되게 하여 용기(110)를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최외곽에 위치된 받침대(123a)의 개방부와 대향하는 테두리부(P)에는 하판(120)의 저면과 동일한 면을 이루는 보강돌기(125)가 형성된다.보강돌기(125)는 용기(110)가 적층되었을 때, 상측의 용기(110)에 결합된 받침손잡이(140)의 지지부(141)와 접촉하여, 라운딩진 테두리부(P)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용기의 하판(120)과 길이방향측판(133) 및 폭방향측판(134)이 만나는 모서리부(Q)측의 하판(120)의 부위에는 보조받침대(127)가 형성된다. 보조받침대(127)는 측판(130)을 연장한 가상의 연장선과 대략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하판(120)에 형성된다. 즉, 보조받침대(127)는 최외곽의 받침대(123a)를 감싸는 형태로 하판(120)에 형성되어, 용기(110)가 적층되었을 때 최하측의 용기(110)가 하중에 의하여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상자가 적층된 상태를 보인 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D-D선 단면도로써, 이를 설명한다.
각 용기(110a,110b,110c,110d)에 어류를 담아서 용기(110)를 적층한 후, 적층된 용기(110)를 밧줄 등으로 묶어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밧줄에 의하여 용기(110)가 내측으로 수축되게 되는데, 받침손잡이(140)의 지지부(141)와 제 1 벤딩부(143)가 용기(110)의 내주면과 접촉되어 있고 삽입부(149)가 용기(110)의 내측에서 외측을 향하여 결합공(154a)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받침손잡이(140)는 용기(110)로부터 빠지지 않게 된다.
그리고, 용기(110)의 모서리부(Q)측 하판(120)에는 보조받침대(127)가 형성되므로, 최하측의 용기(110a)는 상대적으로 하중에 대하여 잘 변형되지 않는다.
또한, 용기(110)가 적층되었을 때, 상호 인접하는 용기(110b,110c)중, 상측에 위치된 용기(110c)의 하판이 하측에 위치된 용기(110b)의 받침손잡이(140)와 접촉한다. 이때, 용기(110)의 테두리부(P) 하판에는 받침손잡이(140)와 접촉하는 보강돌기(125)가 형성되므로, 용기(110)의 테두리부(P)도 상대적으로 하중에 대하여 잘 변형되지 않는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상자의 저면도로써, 도 6a는 보조받침대(129)가 받침대(123)의 외곽을 감싸는 테 형태로 형성된 것을 보인 것이고, 도 6b는 보조받침대(129)가 최외곽에 위치된 받침대(123a)와 대응되게 일측이 개방되어 형성된 것을 보인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어상자는 용기의 하판에 형성된 보조받침대에 의하여 최하측에 위치된 용기의 모서리부가 상대적으로 덜 변형된다.
그리고, 상측에 위치된 용기의 하판과 하측에 위치된 용기의 받침손잡이는 보강돌기에 의하여 견고하게 접촉되므로, 용기의 테두리부가 상대적으로 덜 변형된다.
또한, 받침손잡이가 용기의 내측에서 외측을 향하여 결합되므로, 용기가 수축되어도 받침손잡이는 용기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범위 내에서 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변형이나 개량한 것도 본 발명에 속함은 당연하다.

Claims (3)

  1. 다수의 배출구가 형성된 사각형상의 하판과, 상기 하판의 단면(端面)에서 내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상기 하판의 저면 부위에서부터 상호 교차하면서 형성되어 바닥과 접촉하는 다수의 받침대와, 상기 하판의 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다수의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하판의 단부와 만나는 테두리부는 라운딩진 측판 및 상기 측판의 상단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프레임을 가지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용기가 적층되었을 때, 인접하는 상측의 상기 용기를 받쳐서 지지하는 받침손잡이를 구비하는 어상자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길이방향측 프레임과 폭방향측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의 양단부에는 상기 어느 하나의 프레임을 내측프레임과 외측프레임으로 구획하는 안착로가 상기 어느 하나의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상기 안착로의 일단부측은 상기 어느 하나의 프레임의 외측과 연통되며,
    상기 내측프레임에는 상기 안착로의 일단부측에서 타단부측을 향하여 소정 간격을 가지는 제 1 개방부 및 제 2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외측프레임에는 상기 제 1 개방부와 대향하는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받침손잡이는 상기 용기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용기가 적층되었을 때 인접하는 상측의 상기 용기의 받침대와 접촉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양단부에서 벤딩되어 연장되며 상기 용기의 측판의 내면과 각각 접촉하는 제 1 벤딩부와, 상기 제 1 벤딩부의 단부에서 각각 벤딩되어 연장되며 상기 제 2 개방부를 통과하는 제 2 벤딩부와, 상기 제 2 벤딩부의 단부에서 벤딩되어 연장되며 상기 제 1 개방부와 제 2 개방부 사이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면서 상기 안착로의 저면과 접촉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의 단부에서 베딩되어 연장되며 상기 제 1 개방부를 지나서 상기 결합공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상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최외곽에 위치된 받침대의 부위 중, 상기 받침손잡이의 지지부와 대향하는 상기 최외곽에 위치된 받침대의 부위는 개방되고,
    상기 최외곽에 위치된 받침대의 개방부와 대향하는 상기 테두리부에는 상기 하판의 저면과 동일한 면을 이루면서 상기 받침손잡이의 지지부와 접촉하는 보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최외곽에 위치된 받침대 외측의 하판에는 상기 최외곽에 위치된 받침대를 감싸는 형태로 상기 최외곽에 위치된 받침대와 대응되게 보조받침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상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받침대는 상기 길이방향측판과 폭방향측판 및 하판이 만나는 모서리부측 하판의 저면에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상자.
KR1020010066972A 2001-10-30 2001-10-30 어상자 KR200300350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6972A KR20030035083A (ko) 2001-10-30 2001-10-30 어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6972A KR20030035083A (ko) 2001-10-30 2001-10-30 어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5083A true KR20030035083A (ko) 2003-05-09

Family

ID=29566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6972A KR20030035083A (ko) 2001-10-30 2001-10-30 어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35083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9185U (ko) * 1989-11-23 1991-06-28 정대섭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굴착기
WO1998001353A1 (en) * 1996-07-03 1998-01-15 Mckechnie Uk Limited Contain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9185U (ko) * 1989-11-23 1991-06-28 정대섭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굴착기
WO1998001353A1 (en) * 1996-07-03 1998-01-15 Mckechnie Uk Limited Contai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37563C (en) Article accommodating case
US5362922A (en) Electrical floor box divider
WO1995018047A1 (en) Folding and unfolding box
US6318586B1 (en) Plastic tote box improvements
US7063210B2 (en) Stackable crate
KR20030035083A (ko) 어상자
JP7094542B2 (ja) 蓋部材
US20040163971A1 (en) Modular container
CA106323S (en) Electrical mud box
US6557718B1 (en) Superimposable and interpenetrable plastics box
KR100312251B1 (ko) 어상자
KR200264621Y1 (ko) 포장용 상자
JP6333641B2 (ja) コンテナ段積み係合構造
KR19990000515A (ko) 포장상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171773Y1 (ko) 계란재치판과 골판지를 이용한 계란포장상자
JP4142864B2 (ja) 折り畳みコンテナー
JP7396583B2 (ja) コンテナ
KR200325549Y1 (ko) 포장용 박스
KR200240523Y1 (ko) 적층식 수납 박스
JP4118410B2 (ja) 運搬用容器
KR200250096Y1 (ko) 음식물 저장용기
JP4169819B2 (ja) 合成樹脂製パレット
JP6849215B2 (ja) 折畳み容器
KR200253203Y1 (ko) 측면 강도를 보강한 조립식 상자
EP1554195B1 (en) Egg tr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