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3095A - 천정덕트형 공기조화기의 드레인 팬 - Google Patents

천정덕트형 공기조화기의 드레인 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3095A
KR20030033095A KR1020010064404A KR20010064404A KR20030033095A KR 20030033095 A KR20030033095 A KR 20030033095A KR 1020010064404 A KR1020010064404 A KR 1020010064404A KR 20010064404 A KR20010064404 A KR 20010064404A KR 20030033095 A KR20030033095 A KR 200300330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type air
condensate
support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4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0283B1 (ko
Inventor
안혁성
최대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4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0283B1/ko
Publication of KR20030033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30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0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02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Abstract

본 발명은 열교환기에서 생성된 응축수가 집수되는 드레인 팬의 구조를 개선하여, 송풍기의 부압에 의해 응축수가 드레인 팬의 외부로 튀어나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천정덕트형 공기조화기의 드레인 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천정덕트형 공기조화기의 드레인 팬은 열교환기(5)에서 생성된 응축수가 집수되며 일측에 외부와 연통되는 배수관(9)이 연결되는 집수조(100)와, 상기 집수조의 내부공간을 상하로 구획하여 열교환기가 지지되는 상부공간과 응축수가 집수되는 하부공간을 분리시키며, 상기 하부공간의 응축수가 송풍기(5)의 부압에 의해 외부로 튀어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구획판(11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천정덕트형 공기조화기의 드레인 팬{drain pan of ceiling suspension type air-conditioner}
본 발명은 천정덕트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열교환기에서 생성된 응축수가 집수되는 드레인 팬의 구조를 개선하여 송풍기의 부압에 의해 응축수가 드레인 팬의 외부로 튀어 나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천정덕트형 공기조화기의 드레인 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실내공기를 냉방시키거나 또는 정화시켜 순환시키는 공기조절장치의 일종이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냉동사이클(cooling cycle)을 구성하는 부품이 하나의 유니트(unit)에 구비되는 일체형과 2개의 유니트에 분리되어 구비되는 분리형으로 나눌 수 있으며, 또한 제품 형태에 따라 실내기를 벽에 거는 벽걸이형과 실내기를 바닥면에 설치하는 상치형과 실내기를 천장에 매달거나 천장 내부에 설치하는 천정형으로 나눌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천정덕트형 공기조화기는 천정 내부에 설치된 하나의 실내기로부터 분기된 다수의 덕트를 통해 동시에 여러 실내공간에 냉방공기를 공급하는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일종이다. 이러한 천정덕트형 공기조화기는 압축기와 응축기 등을 내장하여 냉매를 압축 및 액화시키는 실외기(outdoor unit)와, 증발기 등을 내장하여 냉매를 증발시킴으로써 실내공기를 냉각시키는 실내기(indoor unit)로 분리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상기 천정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a는 일반적인 천정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천정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천정 내부에 설치되는 장방형의 케이스(1)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며 실내공기를 강제 흡입하는 송풍기(3)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 타측에 구비되며 송풍기에 의해 흡입된 실내공기를 냉각시키는 열교환기(5)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송풍기(3)는 일반적인 원심팬으로서 시로코팬이 널리 적용되며, 상기 송풍기의 팬 하우징에 형성된 토출구(2)는 케이스(1)의 전면을 관통하여 별도의 덕트(도시생략)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열교환기(5)는 실외기에 구비된 압축기 및 응축기와 냉매관으로 연결되어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증발기로서, 냉매관을 지나는 저온저압의 액냉매가 열교환핀 사이를 지나는 실내공기의 열을 빼앗아 기화하면서 실내공기를 냉각시키게 된다.
이 때, 상기 열교환기(5)의 하단에는 열교환기를 지지함과 동시에 열교환 과정 중에 생성된 응축수를 집수하기 위해 상면이 개방된 박스형태의 드레인 팬(drain pan,7)가 구비된다. 상기 드레인 팬(7)은 일측에 외부와 연통되는 배수관(9)이 연결되며, 상기 배수관에는 도시되진 않았으나 드레인 팬의 응축수를 외부로 강제 배출하는 배수펌프가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천정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상기 송풍기(3)에 전원이 인가되면서 케이스(1)의 후면에 형성된 흡입구(도시생략)를 통해 강제 흡입된 실내공기가 열교환기(5)를 지나면서 냉각되며, 이렇게 냉각된 실내공기는 팬 하우징의 토출구(2) 및 별도의 덕트를 통해 소정의 실내공간에 투입됨으로써 다수의 실내공간을 냉방시키게 된다.
그런데, 전술한 과정 중에 상기 열교환기(5) 전방에 위치하는 드레인 팬(7)의 응축수가 외부로 튀어 나가는 물튀김 현상이 야기되었다.
이를 상술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레인 팬(7)은 중심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열교환기(7)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부(7a)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전후방에 실제 응축수가 집수되는 집수부(7b)가 형성된다. 그런데, 송풍기가 작동될 경우 상기 열교환기(5) 전방의 드레인 팬(7)에는 부압(負壓)이 걸리며, 상기 부압에 의해 열교환기 전방의 집수부(7b)에 있는 응축수가 드레인 팬을 튀어 넘어가게 되었다. 이러한 물튀김 현상은 상기 열교환기(5)에 먼지나 이물질이 많이 끼여 유로저항이 클 경우 그 정도가 더욱 심각하게 대두되며, 드레인 팬(7)을튀어나온 응축수는 케이스를 부식시키거나 유해 미생물의 생존을 부추기는 문제점을 야기하게 되었다.
한편, 상기 드레인 팬(7)의 길이방향 측벽의 높이를 충분히 높히면 물튀김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나, 이 경우 열교환기(5)의 유효 열교환 면적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야기하기 때문에 별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열교환기에서 생성된 응축수가 집수되는 드레인 팬의 구조를 개선하여, 송풍기의 부압에 의해 응축수가 드레인 팬의 외부로 튀어 나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천정덕트형 공기조화기의 드레인 팬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a는 일반적인 천정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1b는 도 1a의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
도 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천정덕트형 공기조화기의 드레인 팬을 도시한 사시도
도 2b는 도 2a에 따른 드레인 팬의 작용을 도시한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천정덕트형 공기조화기의 드레인 팬을 도시한 사시도
도 3b는 도 3a에 따른 드레인 팬의 작용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천정덕트형 공기조화기의 드레인 팬의 작용을 도시한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천정덕트형 공기조화기의 드레인 팬을 도시한 사시도
도 5b는 도 5a에 따른 드레인 팬의 작용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천정덕트형 공기조화기의 드레인 팬의 작용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천정덕트형 공기조화기의 드레인 팬의 작용을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9 : 배수관100 : 집수조
110 : 구획판111 : 지지부
113 : 물튀김 방지부115 : 배수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천정덕트형 공기조화기의 드레인 팬은 열교환기에서 생성된 응축수가 집수되며 일측에 외부와 연통되는 배수관이 연결되는 집수조와, 상기 집수조의 내부공간을 상하로 구획하여 열교환기가 지지되는 상부공간과 응축수가 집수되는 하부공간을 분리시키며, 상기 하부공간의 응축수가 송풍기의 부압에 의해 외부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구획판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천정덕트형 공기조화기의 드레인 팬은 열교환기에서 생성된 응축수가 집수되며 일측에 외부와 연통되는 배수관이 연결되는 집수조와, 상기 집수조의 내부공간 중 송풍기측의 전방에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며 상부면에 열교환기가 지지되도록 소정 높이를 갖는 지지단을 포함하여, 열교환기 후방의 응축수가 송풍기의 부압에 의해 외부로 튀어 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른 천정덕트형 공기조화기의 드레인 팬은 열교환기에서 생성된 응축수가 집수되며 일측에 외부와 연통되는 배수관이 연결되는 집수조와, 상기 집수조의 길이방향 측면 중 송풍기측의 측면을 따라 폭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집수조의 내부공간을 열교환기가 지지되는 상부공간과 응축수가 집수되는 하부공간으로 구획하는 지지리브를 포함하여, 하부의 응축수가 송풍기의 부압에 의해 외부로 튀어 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른 천정덕트형 공기조화기의 드레인 팬은 중심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높이만큼 돌출되어 열교환기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전후방에 각각 위치하며 응축수가 집수되는 집수부로 구성되는 천정덕트형 공기조화기의 드레인 팬에 있어서, 열교환기 전방에 위치하는 집수부의 응축수가 송풍기의 부압에 의해 외부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드레인 팬의 길이방향 측면 중 송풍기측의 전방 측면이 지지부를 향해 경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천정덕트형 공기조화기의 드레인 팬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천정덕트형 공기조화기의 드레인 팬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따른 드레인 팬의 작용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천정덕트형 공기조화기의 드레인 팬은 열교환기에서 생성된 응축수가 집수되는 박스형태의 집수조(100)와, 상기 집수조의 내부공간을 상하로 구획함으로써 열교환기가 지지되는 상부공간과 응축수가 집수되는 하부공간을 분리시키는 구획판(110)으로 구성된다.
상기 집수조(100)는 그 일측에 외부와 연통되는 배수관(9)이 연결되는데, 상기 배수관은 실제 응축수가 집수되는 구획판(110)의 하부공간에 설치되어야 한다. 물론,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기 배수관(9)은 그 일측에 집수조의 응축수를 외부로 강제 배출하는 배수펌프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구획판(110)은 열교환기를 지지하는 지지부(111)와, 상기 지지부로부터 각각 전후방으로 연장되어 하부공간의 응축수가 튀어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물튀김 방지부(113)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111)는 열교환기가 집수조(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바, 집수조의 중심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물튀김 방지부(113) 역시 지지부로부터 집수조의 길이방향 측면까지 연장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지지부(111)에는 집수조(100)의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을 연통시킴으로써 열교환기에서 생성된 응축수가 하부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는 다수의 배수구(115)가 형성된다. 상기 배수구(115)는 당연히 열교환기의 폭보다 작아야 하며, 그 형상은 원형 또는 사각형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일례로 사각형 배수구를 도시하였다.
한편, 상기 물튀김 방지부(113)는 지지부(111)와 마찬가지로 지면에 대해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으나, 상기 지지부로부터 집수조(100)의 측벽을 향해 상향으로 경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상기 물튀김 방지부(113)가 지지부로부터 상향으로 경사짐에 따라 실제 응축수가 집수되는 하부공간의 용적이 커지는 장점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장점은 천정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지면에 대해 평행하게 설치되지 않을 경우 유리하게 작용한다. 즉, 실내기가 지면에 대해 경사 설치될 경우 내부의 드레인 팬 역시 경사 설치되며, 이 때 응축수는 집수조(100)의 어느 일측으로 취우치게 된다. 이 경우, 경사진 물튀김 방지부(113)에 의해 집수조의 하부공간이 충분히 확보됨에 따라 응축수가 지지부(111)의 배수구를 통해 역류하거나 하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열교환 과정 중에 생성된 응축수는 열교환핀을 타고 아래로 내려와 지지부(111)에 형성된 배수구(115)를 통해 자연스럽게 집수조(100)의 하부공간에 집수된다. 이렇게 집수된 응축수는 배수모터의 운전시 배수관을 통해 외부로 완전 배출된다.
이 때, 송풍기의 운전으로 도면상 상기 열교환기(5)의 전방에 부압이 걸리게 되는데, 이러한 부압은 집수조(100)의 응축수를 외부로 튀어 나가게 하는 원동력을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 집수조(100)의 응축수가 집수되는 하부공간이 구획판(110)에 의해 외부와 차단되어 있음에 따라, 송풍기의 부압에 의해 응축수가 외부로 튀어 나가는 현상을 간단하게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종래와 같은 드레인 팬의 구조에서는 배수모터의 운전이 적시에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집수조의 응축수가 열교환기까지 상승하여 상기 열교환기를 부식시키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집수조(100)가 구획판(110)에 의해 열교환기(5)를 지지하는 공간과 응축수가 집수되는 공간이 완전히 분리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열교환기가 응축수에 의해 부식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 도 3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천정덕트형 공기조화기의 드레인 팬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따른 드레인 팬의 작용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천정덕트형 공기조화기의 드레인 팬은 열교환기에서 생성된 응축수가 집수되는 박스형태의 집수조(200)와, 상기 집수조의 내부공간 중 일측에 구비되어 열교환기를 지지함과 동시에 송풍기의 부압에 의한 물튀김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지지단(210)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단(210)은 집수조(200)의 내부공간 중 송풍기 측의 전방에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며 상부면(211)을 통해 열교환기를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 높이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집수조(200)의 내부공간은 지지단(210)에 의해 열교환기를 지지하는 전방공간과 실제 응축수가 집수되는 후방공간으로 나누어진다. 이 때, 상기 지지단(210)은 열교환기의 유효 열교환 면적이 최대한 확보될 수 있는 높이를 갖는다. 즉, 상기 지지단(210)이 너무 높아 집수조(200)의 측벽 높이와 유사할 경우 열교환기 전방으로 흘러내린 응축수가 쉽게 외부로 튀어갈 수 있으며, 반대의 경우 실제 열교환기의 크기에 비해 유효 열교환 면적이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본발명에서는 양자를 다 고려하여 상기 지지단의 높이를 결정하게 된다.
한편, 상기 지지단의 상부면(211)은 열교환기 전방의 응축수가 후방에 자연스럽게 집수될 수 있도록 후방을 향해 하향으로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열교환기 전방의 응축수가 후방의 집수공간에 집수되는 효과와 더불어, 열교환기가 비스듬하게 설치되어 유효 열교환 면적이 증가되는 부수적인 효과도 발생한다. 비록, 상기 지지단(210)의 경사진 상부면(211)이 도시되진 않았으나, 이것은 당업자라면 충분히 이해 가능할 것이다.
상기 집수조(200)는 그 일측에 외부와 연통되는 배수관(9)이 연결되는데, 상기 배수관은 실제 응축수가 집수되는 집수조(200)의 후방공간에 설치되어야 한다. 물론,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기 배수관(9)은 그 일측에 집수조의 응축수를 외부로 강제 배출하는 배수펌프에 연결되어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열교환기(5)가 지지단의 상부면(211)에 집수조(200)의 측벽과 다소 거리를 두고 위치함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열교환기(5)의 전방으로 흘러내린 응축수가 바로 집수조(200)의 외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 과정 중에 생성된 응축수는 열교환핀을 타고 아래로 내려와 지지단(210)의 후방공간에 집수된다. 이 때, 상기 열교환기(5)의 전방으로 흘러내린 응축수는 경사진 지지단의 상부면(211)을 타고 후방공간에 자연스럽게 집수된다. 이렇게 집수된 응축수는 배수모터의 운전시 배수관(9)을 통해 외부로 완전 배출된다.
이 때, 송풍기의 운전으로 도면상 상기 열교환기(5)의 전방에 부압이 걸리게 되는데, 이러한 부압은 집수조(200)의 응축수를 외부로 튀어 나가게 하는 원동력을 제공한다. 그러나, 응축수가 열교환기(5)를 중심으로 그 후방에 집수됨에 따라 아무리 부압이 작용한다 하더라도 응축수가 상기 지지단(210)을 넘어 열교환기(5)를 지나 집수조(200)의 외부로 튀어나가는 것은 불가능하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동일한 크기의 다른 집수조에 비해 응축수가 집수되는 공간이 줄어드는 단점이 있으나, 물튀김 현상은 무엇보다고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다.
다음,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천정덕트형 공기조화기의 드레인 팬의 작용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천정덕트형 공기조화기의 드레인 팬은 도 3a에 도시된 드레인 팬과 마찬가지로 집수조(200)의 길이방향 측면 중 송풍기측 측면에 소정 높이를 갖는 지지단(210)이 구비된다.
이 때, 상기 지지단(210)은 열교환기(5)가 지지되는 상부면(211) 중 열교환기가 지지되지 않는 양측 중 최소 어느 일측에 후방을 향해 하향으로 경사지는 별도의 경사면(213)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단(210)의 상부면 전체가 경사지지 않더라도 열교환기(5) 전방의 응축수가 상기 경사면(213)을 통해 자연스럽게 후방공간에 집수될 수 있다.
다음, 도 5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천정덕트형 공기조화기의 드레인 팬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에 따른 드레인 팬의 작용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천정덕트형 공기조화기의 드레인 팬은 열교환기에서 생성된 응축수가 집수되는 박스형태의 집수조(300)와, 상기 집수조의 내부공간 중 일측에 구비되어 열교환기를 지지함과 동시에 송풍기의 부압에 의한 물튀김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지지리브(310)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리브(310)는 집수조(300)의 길이방향 측면 중 송풍기측의 측면을 따라 폭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집수조의 내부공간을 열교환기가 지지되는 상부공간과 응축수가 집수되는 하부공간으로 구획한다. 이 때, 상기 지지리브(310)가 설치되는 높이는 도 3a에 도시된 지지단과 마찬가지로 열교환기의 유효 열교환 면적이 최대한 확보될 수 있는 높이를 갖는다.
이 때, 상기 지지리브(310)는 그 전방에 하부와 연통되는 다수의 배수구(315)가 형성된다. 상기 배수구(315)는 열교환기가 지지되는 위치보다 전방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상기 열교환기의 전방으로 흘러내린 응축수가 하부공간으로 용이하게 집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리브(310)는 비교적 두께가 얇은 측면을 통해 집수조(300)에 결합된다. 이 경우, 열교환기의 무게에 의해 상기 지지리브(310)의 결합부에는 상당한 모멘트가 작용하게 되어 상기 지지리브가 집수조(3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지지리브(310)와 집수조(310)의 저면 사이에 지지리브의 열교환기 지지력을 강화하기 위한 다수의 보강재(32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집수조(300)는 그 일측에 외부와 연통되는 배수관(9)이 연결되는데, 상기 배수관은 실제 응축수가 집수되는 집수조의 하부공간에 설치되어야 한다. 물론,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기 배수관(9)은 그 일측에 집수조(300)의 응축수를 외부로 강제 배출하는 배수펌프에 연결되어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열교환기(5)가 지지리브(310)의 상부면에 집수조(300)의 측벽과 다소 거리를 두고 위치함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열교환기(5)의 전방으로 흘러내린 응축수가 바로 집수조(300)의 외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5b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열교환 과정 중에 생성된 응축수는 열교환핀을 타고 아래로 내려와 지지리브(310)의 하부공간에 집수된다. 이 때, 상기 열교환기(5)의 전방으로 흘러내린 응축수는 지지리브에 형성된 배수구(315)를 통해 하부공간으로 자연스럽게 집수된다. 이렇게 집수된 응축수는 배수모터의 운전시 배수관을 통해 외부로 완전 배출된다.
이 때, 송풍기의 운전으로 도면상 상기 열교환기(5)의 전방에 부압이 걸리게 되는데, 이러한 부압은 집수조(300)의 응축수를 외부로 튀어 나가게 하는 원동력을 제공한다. 그러나, 응축수가 지지리브(310)의 하부공간에 집수됨에 따라 아무리 부압이 작용한다 하더라도 응축수가 상기 지지리브를 넘어 열교환기(5)를 지나 집수조(300)의 외부로 튀어 나가는 것은 불가능하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드레인 팬은 응축수의 집수용량이 부족했던 도 3b에 도시된 드레인 팬의 단점을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다. 즉, 도 3b에 도시된 드레인 팬의 경우 지지단의 설치 공간만큼 응축수의 집수용량이 줄어들 수 밖에 없었으나,도 5b에 도시된 드레인 팬의 경우 지지리브(310)의 하부공간에도 응축수가 집수될 수 있기 때문에 응축수의 집수용량을 늘릴 수 있다.
다음,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천정덕트형 공기조화기의 드레인 팬의 작용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천정덕트형 공기조화기의 드레인 팬은 열교환기에서 생성된 응축수가 집수되는 박스형태의 집수조(400)로 구성된다.
상기 집수조(400)는 중심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높이만큼 돌출되어 열교환기를 지지하는 지지부(410)와, 상기 지지부의 전후방에 각각 위치하며 응축수가 집수되는 집수부(420)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집수조(400)는 지지부(410)가 집수부(420)로부터 연장 돌출된 하나의 부재로 구성되거나, 아니면 지지부가 집수부의 저면에 결합된 2개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기 집수조의 집수부(420) 일측에는 배수펌프에 연결된 배수관이 연결되어 있어, 배수펌프의 운전시 집수조(400)의 응축수를 외부로 완전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410)의 높이는 도 3a 또는 5a에 도시된 지지단 또는 지지리브와 마찬가지로 열교환기(5)의 유효 열교환 면적이 최대한 확보될 수 있는 높이를 갖는다.
이 때, 열교환기(5) 전방에 위치하는 집수부(420)의 응축수가 송풍기의 부압에 의해 외부로 튀어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집수조(400)의 길이방향 측면 중 송풍기 측의 전방 측면(401)이 지지부(410)를 향해 경사 설치된다. 이렇게 경사진 집수조의 전방 측면(401)은 응축수가 튀어 나가는 방향과 거의 직교하기 때문에, 응축수가 송풍기의 부압으로 튀어 나가는 것을 보다 더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집수조(400)의 길이방향 측면 중 열교환기(5) 후방의 측면(403) 역시 지지부(410)를 향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 설치된다. 이렇게 경사진 집수조의 후방 측면(403)은 송풍기의 운전으로 강제 흡입된 실내공기를 열교환기(5)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송풍기의 운전으로 케이스 내부로 흡입된 실내공기 중 상기 집수조의 높이와 거의 평행하게 흡입된 실내공기는 집수조의 측면에 부딪히면서 그 유동이 복잡해기 마련이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상기 집수조의 후방 측면(403)이 열교환기(5)를 향해 경사짐에 따라 실내공기가 열교환기로 자연스럽게 안내될 수 있다.
다음,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천정덕트형 공기조화기의 드레인 팬의 작용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천정덕트형 공기조화기의 드레인 팬은 열교환기(5)에서 생성된 응축수가 집수되는 박스형태의 집수조(400)로 구성된다.
상기 집수조(400)는 도 6에 도시된 집수조와 마찬가지로 중심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높이만큼 돌출되어 열교환기를 지지하는 지지부(410)와, 상기 지지부의 전후방에 각각 위치하며 응축수가 집수되는 집수부(420)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410)의 높이는 도 3a 또는 5a에 도시된 지지단 또는 지지리브와마찬가지로 열교환기(5)의 유효 열교환 면적이 최대한 확보될 수 있는 높이를 갖는다.
이 때, 상기 집수조(400)의 길이방향 측면 중 송풍기측의 전방 측면(401)은 지지부(410)를 향해 경사 설치되어, 열교환기(5) 전방에 위치하는 집수부(420)의 응축수가 송풍기의 부압에 의해 외부로 튀어 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집수조의 후방 측면(403) 역시 지지부를 향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 설치되어 송풍기의 운전으로 강제 흡입된 실내공기가 열교환기(5)에 집중되도록 안내한다.
한편, 상기 집수조(400)의 길이방향 측면 중 전방 측면(401)의 소정 높이에 지지부(410)를 향해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는 물튀김 방지리브(405)가 더 구비된다. 상기 물튀김 방지리브(405)는 집수조의 전방 측면(401)과 함께 집수부(410)의 응축수가 외부로 튀어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이 경우 송풍기의 부압이 크다 할지라도 집수부의 응축수가 물튀김 방지리브를 넘어 외부로 튀어 나가는 것을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변형된 형태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는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에 있는 변형된 형태는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천정덕트형 공기조화기의 드레인 팬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에 의하면 집수조의 내부공간을 열교환기를 지지하는 부재를 이용하여 열교환기가 지지되는 공간과 응축수가 집수되는 공간으로 상하 또는 전후로 구획하거나 집수조의 송풍기측 측면을 열교환기측으로 경사지게 함으로써, 송풍기의 부압에 의해 집수조의 응축수가 외부로 튀어 나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의하면 집수조의 내부공간 중 열교환기가 지지되는 공간을 구획판을 이용하여 응축수로부터 분리시킴에 따라, 열교환기가 응축수에 오랫동안 노출되어 부식되는 문제를 쉽게 해결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의하면 집수조의 측면 중 열교환기의 후방에 위치하는 측면을 상기 열교환기측으로 경사지게 함으로써, 송풍기의 운전으로 강제 흡입된 실내공기가 열교환기에 집중될 수 있다.

Claims (12)

  1. 열교환기에서 생성된 응축수가 집수되며 일측에 외부와 연통되는 배수관이 연결되는 집수조;
    상기 집수조의 내부공간을 상하로 구획하여 열교환기가 지지되는 상부공간과 응축수가 집수되는 하부공간을 분리시키며, 상기 하부공간의 응축수가 송풍기의 부압에 의해 외부로 튀어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구획판을 포함하는 천정덕트형 공기조화기의 드레인 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은 집수조의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을 연통시켜 열교환기의 응축수가 하부공간으로 이동하는 다수의 배수구가 형성됨과 동시에 열교환기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로부터 전후방으로 각각 연장되어 응축수가 튀어 나가지 못하도록 밀폐된 물튀김 방지부로 구성되는 천정덕트형 공기조화기의 드레인 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물튀김 방지부는 지지부로부터 집수조의 측벽을 향해 상향으로 경사 설치되는 천정덕트형 공기조화기의 드레인 팬.
  4. 열교환기에서 생성된 응축수가 집수되며 일측에 외부와 연통되는 배수관이연결되는 집수조;
    상기 집수조의 내부공간 중 송풍기측의 전방에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며 상부면에 열교환기가 지지되도록 소정 높이를 갖는 지지단을 포함하여, 열교환기 후방의 응축수가 송풍기의 부압에 의해 외부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천정덕트형 공기조화기의 드레인 팬.
  5. 제 4 항에 있어서,
    열교환기 전방의 응축수가 후방에 집수되도록 상기 지지단의 상부면은 후방을 향해 하향으로 경사지는 천정덕트형 공기조화기의 드레인 팬.
  6. 제 4 항에 있어서,
    열교환기 전방의 응축수가 후방에 집수되도록 상기 지지단의 상부면 중 열교환기가 지지되지 않는 최소 어느 일측에 후방을 향해 하향으로 경사지는 별도의 경사면이 형성되는 천정덕트형 공기조화기의 드레인 팬.
  7. 열교환기에서 생성된 응축수가 집수되며 일측에 외부와 연통되는 배수관이 연결되는 집수조;
    상기 집수조의 길이방향 측면 중 송풍기측의 측면을 따라 폭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집수조의 내부공간을 열교환기가 지지되는 상부공간과 응축수가 집수되는 하부공간으로 구획하는 지지리브를 포함하여, 하부의 응축수가 송풍기의부압에 의해 외부로 튀어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천정덕트형 공기조화기의 드레인 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리브는 상부의 응축수가 하부에 집수되도록 열교환기의 전방에 다수의 배수구가 형성되는 천정덕트형 공기조화기의 드레인 팬.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리브와 집수조의 저면 사이에 열교환기의 지지력을 강화하는 다수의 보강재가 더 포함되는 천정덕트형 공기조화기의 드레인 팬.
  10. 중심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높이만큼 돌출되어 열교환기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전후방에 각각 위치하며 응축수가 집수되는 집수부로 구성되는 집수조를 포함하는 천정덕트형 공기조화기의 드레인 팬에 있어서;
    열교환기 전방에 위치하는 집수부의 응축수가 송풍기의 부압에 의해 외부로 튀어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집수조의 길이방향 측면 중 송풍기측의 전방 측면이 지지부를 향해 경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덕트형 공기조화기의 드레인 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송풍기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가 열교환기에 집중되도록, 상기 집수조의 길이방향 측면 중 후방 측면이 지지부를 향해 경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덕트형 공기조화기의 드레인 팬.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조의 길이방향 측면 중 전방 측면의 소정 높이에 지지부를 향해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집수부의 응축수가 외부로 튀어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물튀김 방지리브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덕트형 공기조화기의 드레인 팬.
KR1020010064404A 2001-10-18 2001-10-18 천정덕트형 공기조화기의 드레인 팬 KR100900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4404A KR100900283B1 (ko) 2001-10-18 2001-10-18 천정덕트형 공기조화기의 드레인 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4404A KR100900283B1 (ko) 2001-10-18 2001-10-18 천정덕트형 공기조화기의 드레인 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3095A true KR20030033095A (ko) 2003-04-30
KR100900283B1 KR100900283B1 (ko) 2009-05-29

Family

ID=29565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4404A KR100900283B1 (ko) 2001-10-18 2001-10-18 천정덕트형 공기조화기의 드레인 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028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294B1 (ko) * 2005-12-20 2007-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0791463B1 (ko) * 2006-12-29 2008-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공조기기
KR100833850B1 (ko) 2002-03-07 2008-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 덕트형 공기조화기
CN111397189A (zh) * 2020-03-23 2020-07-10 深圳供电局有限公司 应用于设备室风机管道的导水盘装置
CN112880082A (zh) * 2021-01-28 2021-06-01 杭天齐 一种用于轨道交通的室内外通风风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82930B (zh) * 2019-10-12 2020-10-2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防飞水装置及空调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0722U (ja) * 1991-10-30 1993-06-01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におけるドレンパン
TW320264U (en) * 1995-07-05 1997-11-11 Toshiba Co Ltd Kk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JPH10318658A (ja) * 1997-05-16 1998-12-04 Matsushita Refrig Co Ltd 冷蔵庫
JPH1194285A (ja) * 1997-09-25 1999-04-09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和機
KR200350192Y1 (ko) * 1998-12-30 2004-07-1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패키지형 에어컨의 드레인팬_
JP3747399B2 (ja) * 2000-01-14 2006-02-22 株式会社山武 空気調和機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3850B1 (ko) 2002-03-07 2008-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 덕트형 공기조화기
KR100714294B1 (ko) * 2005-12-20 2007-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0791463B1 (ko) * 2006-12-29 2008-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공조기기
CN111397189A (zh) * 2020-03-23 2020-07-10 深圳供电局有限公司 应用于设备室风机管道的导水盘装置
CN112880082A (zh) * 2021-01-28 2021-06-01 杭天齐 一种用于轨道交通的室内外通风风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0283B1 (ko) 2009-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6904B1 (ko) 공기조화기
KR100900283B1 (ko) 천정덕트형 공기조화기의 드레인 팬
CN1198099C (zh) 天花板悬挂式空调器的排水底盘
KR20080003525A (ko) 공기조화기
KR101417050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160081718A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KR20070028884A (ko) 일체형 에어컨
US6151906A (en) Condensate collection system for a room air conditioner
KR100445340B1 (ko) 토출그릴의 이슬형성 방지구조
KR101280689B1 (ko) 공기조화기
KR100850938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ITTO990105A1 (it) Vaschetta di scarico per condizionatore d'aria.
CN218096312U (zh) 空调室外机和空调器
KR102481303B1 (ko) 응축수 건조 기능을 포함하는 창문형 에어컨
KR100874230B1 (ko) 천장형 에어컨의 응축수 집수구조
KR20190084588A (ko) 이동형 공기조화기
KR200228660Y1 (ko) 분리형공조기기의실내기
CN217900063U (zh) 一种防水溅除湿机接水盘结构
CN216693796U (zh) 一种空调室外机及空调器
JP2018185121A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JP3550552B2 (ja) 冷蔵庫
KR100412410B1 (ko) 토출그릴의 이슬형성 방지구조
KR100441102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설치구조
KR20080003526A (ko) 공기조화기
KR100423968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