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2786A - 전자석 접지극 보조배터리 - Google Patents

전자석 접지극 보조배터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2786A
KR20030032786A KR1020010064978A KR20010064978A KR20030032786A KR 20030032786 A KR20030032786 A KR 20030032786A KR 1020010064978 A KR1020010064978 A KR 1020010064978A KR 20010064978 A KR20010064978 A KR 20010064978A KR 20030032786 A KR20030032786 A KR 200300327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auxiliary battery
electromagnet
positive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4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완재
Original Assignee
송완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완재 filed Critical 송완재
Priority to KR1020010064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32786A/ko
Publication of KR20030032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2786A/ko

Link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기존배티리(1)에 장착하여 사용할수 있는 비방전 전자식 접지극 보조 배터리(4) 장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전이 되어 시동을 걸수 없을 때 전자석 접지극 보조배터리 장착에 따른 운전자가 손쉽게 보조배터리(3) 접지 전환으로 시동을 걸수 있도록 한 반영구적인 배터리 장치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실사용 기존 배터리(1)의 양/음단자(2)을 통한 기존배터리(1) 위에 장착하여 배터리 방전으로 인한 비상시에 신속하게 대처 할수 있다는 것을 특징으로한 비제한 탈·부착형 전자석 접직극 보조 배터리(4) 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방전으로 인한 비상시에 사용자가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석 접지극 보조 배터리{An electromagnet grounding a spare battery}
본 발명은 자동차 배터리(1)에 장착하여 사용 할수 있는 전자석 접지 보조 배터리에 관한 것으로 보조 배터리(4)를 장착하고 현재 사용중인 배터리케이블을 전자석 접지 배터리 케이블(10)로 전환하여 사용하는 전자석 접지극 보조배터리(4)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엔진룸 내에 있는 배터리(1)는 배터리 마운팅 브래킷과 볼트로 고정되어 있고, 종래 장치는 운전자가 시동을 끈 상태에서 히터나 라이트를 켜 놓거나 자동차를 장시간 구동시키지 않을 경우 배터리가 자연 방전되어서 시동을 걸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의 배터리(1)에 장착하여서 사용함으로 신속,편리하게 시동을 걸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요컨대, 기존.보조 배터리(1),(4)의 상호작용에 의한 재충전 할 수 있게 하는 전자석 접지극 보조 배터리(4)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크게는 배터리(1)을 장시간 방전시 불가피한 배터리 교체에 따른 경제적 낭비와 자원적 낭비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인 발명이라고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배터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석 접지극보조배터리 투시도 및 전자석 접지극을 도시한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의 전자석 접지 보조 배터리를 도시한 평면도(작동도) 및 단면도
도 4은 본 발명에 실시예의 장착 방법을 도시한 예시도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석 접지 보조 배터리를 장착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전자석 보조배터리 충전 및 전자석 접지 배터리 케이블 배선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기존 배터리 2. 기존배터리 양/음단자
3. 보조 배터리 4. 전자석 접지극 보조배터리 본체
5. 양극단자 연결 삽입봉 6. 음극단자 연결 삽입봉
7. 수동 연결 밸브 8. 스프링
9. 보조 배터리 접지 단자 10. 전자석 접지 배터리 케이블
11. 에나멜선 12. 전자기용 충전전류(+,-)
13. 보조배터리 양/음단자 배터리 14. 보조배터리 연결스위치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차 시동중 발전기에서 발생하는 전류의 일부를 에나멜선(11)을 이용하여 배터리 케이블에 장착하여 배터리 케이블을 전자석 접지 배터리 케이블(10)로 만들어지므로 발전기에서 전류가 발생하여 충전시에는 전자력이 생겨서 전자석 접지극 보조배터리(4)에 전류가 충전되고 시동이 꺼진 후에는 발전기에서 충전전류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전자석 접지 배터리 케이블(10)에 자기장이 생기지 않기 때문에 보조배터리는 전류사용이 없으므로 항상 충전만기 상태를 유지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면 다음과 같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석 접지극 배터리(4)를 장착한 방법을 도시한 예시도로서, 도 1의 종래의 배터리(1) 윗부분에 장착하는 방식으로 기존배터리(1)의 양/음단자(2)를 통해 조립하며 장착 후 모습은 도 5와 같다.
그리고 종래에 사용중인 배터리 양/음극 배터리 케이블을 도 2에서와 같이 전자석 접지 배터리 케이블(10)에 에나멜선(11)을 감아 전자력을 발생시키게 한다.
요컨대, 전자력이 발생하는 것은 보조배터리(3)에 연결될 배터리케이블 상당 머리부분에 전자석 발생을 위한 에나멜선(11)을 감아 발전기에서 충전전류가 만들어지면서 충전전류의 일부를 에나멜선(11)에 보내서 전자력을 띠게 함으로 전자석 접지극이 만들어진다.
또한, 보조 배터리 접지단자(9) 및 양/음극 삽입봉(5),(6)은 자석력에 강하고 부식이 없어야하며 저항이 없어야 함으로 Ni(니켈)등의 금속의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즉, 다시 말하면 발전기에서 충전전류(12)를 발생시키면 에나멜선(11)에서 전자력이 발생하여 전자석 접지 배터리 케이블(10)에 전자력이 생김으로 보조배터리(3)의 보조배터리 접지단자(9)가 양/음단자 삽입봉(5),(6)에 전자력에 의해 접지되는 동시에 보조배터리 연결스위치(14)가 보조배터리(3)에 양/음단자(13)에 접속 연결되어 보조 배터리(3)가 항상 전류 충전 만기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시동이 껴져있을 경우 발전기에서는 충전전류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전자력 접지 케이블(11)에 있는 에나멜선(12)에 전류가 흐르지 않기 때문에 전자력이 생기지 않으므로 보조배터리(3)에 있는 보조배터리 접지단자(9)는 스프링(8)에 의해 양/음단자 연결 삽입봉(5),(6)에서 떨어져서 보조배터리(3)의 전류는 항상 충전만기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므로 엔진을 끄고 배터리의 전류가 방전이 되어도 보조배터리의 전류는 대기 상태 즉 별도의 충전만기의 보조배터리(3)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배터리 방전으로 인한 상황에서도 수동연결밸브(7)로 보조배터리 전지단자(9)를 양/음 단자 연결삽입봉(5),(6)에 접지하여 언제든지 차량시동이 가능하다.
즉, 차량이 배터리(1) 방전으로 인하여 시동 불가능한 상황일때는 보조배터리(3)의 수동연결밸브(7) 전환으로 보조배터리 접지단자(9)를 양/음단자연결삽입봉 (5),(6)에 접지 시키면 보조배터리(3)의 전류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언제든지 엔진시동을 걸수 있으며 배터리(1)충전도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배터리(1)의 방전으로 인하여 시동이 걸리지 않을 경우를 대비하여 기존배터리(1)위에 기종모델에 따른 전자석 접지극 보조배터리(4)을 장착 사용할 수 있는 비방전용 배터리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전자석 접지극 보조배터리(4)의 장착으로 배터리(1)의 사용수명도 연장 가능하며 장착 또한 용이하다는 발명의 효과를 들 수 있다.

Claims (2)

  1. 자동차 배터리(1)에 설치가 간편하며 종래의 자동차 배터리(1)의 음극과 양극 배터리 케이블을 전자석 접지 배터리 케이블(10)로 전환함으로 보조배터리(3)의 접지 스위치 역할을 하여 보조배터리(3)의 충전을 항상 자동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전자석 접지극 보조 배터리.
  2. 고정식 보조배터리을 형성하여 탈.부착의 불편함을 해소화하였고 장착사용이 간단하며 배터리 방전시의 상황에서도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전자석 접지극 보조배터리
KR1020010064978A 2001-10-20 2001-10-20 전자석 접지극 보조배터리 KR200300327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4978A KR20030032786A (ko) 2001-10-20 2001-10-20 전자석 접지극 보조배터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4978A KR20030032786A (ko) 2001-10-20 2001-10-20 전자석 접지극 보조배터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2786A true KR20030032786A (ko) 2003-04-26

Family

ID=29565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4978A KR20030032786A (ko) 2001-10-20 2001-10-20 전자석 접지극 보조배터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3278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0516A (ko) 2017-02-03 2018-08-13 임만식 보조 배터리 모듈 및 이의 제어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6837A (ja) * 1994-12-12 1996-06-25 Fujitsu Ltd 外部電源オン/オフ制御システム
KR960025559U (ko) * 1994-12-29 1996-07-22 자동차의 보조축전지 장치
KR970047067U (ko) * 1995-12-29 1997-07-31 자동차의 보조축전지 장치
KR19980053538U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차량용 방전 배터리 재충전장치
JP2001171445A (ja) * 1999-12-15 2001-06-26 Isao Karaki 自動車用電源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6837A (ja) * 1994-12-12 1996-06-25 Fujitsu Ltd 外部電源オン/オフ制御システム
KR960025559U (ko) * 1994-12-29 1996-07-22 자동차의 보조축전지 장치
KR970047067U (ko) * 1995-12-29 1997-07-31 자동차의 보조축전지 장치
KR19980053538U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차량용 방전 배터리 재충전장치
JP2001171445A (ja) * 1999-12-15 2001-06-26 Isao Karaki 自動車用電源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0516A (ko) 2017-02-03 2018-08-13 임만식 보조 배터리 모듈 및 이의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40168B2 (ja) ジャンプスタート装置を具備した自動車両
US8884460B2 (en) Emergency energy supply device for a hybrid vehicle
KR101380756B1 (ko) 고전력 부하 장치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하이브리드 차량용 배터리 시스템
CN109624714A (zh) 一种电动汽车供电系统
KR20030032786A (ko) 전자석 접지극 보조배터리
JP2003095039A (ja) 自動車用電源システム
JP4075836B2 (ja) 車両用電源装置
US20070052387A1 (en) Automotive engine-starting battery
KR102350631B1 (ko) 친환경 차량의 비상 전력 공급 장치
KR101792434B1 (ko) 전기 자동차의 발전기 겸용 인휠모터
CN214045158U (zh) 一种超级蓄电池
CN210554623U (zh) 一种汽车的应急启动电源
KR101025589B1 (ko) 차량용 배터리 센서
KR20210037933A (ko) Obc용 자성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변환 시스템
KR102242059B1 (ko) 링 터미널
CN116160982A (zh) 电源系统及车辆
KR100197495B1 (ko) 자동차용 배터리의 충전시스템
KR200150111Y1 (ko) 긴급시동장치
JP2008280880A (ja) 可搬式エンジンスターター
KR100325208B1 (ko) 멀티 포스트 배터리 및 그를 이용한 차량의 전원 공급시스템
CN2438606Y (zh) 可反复使用的汽车应急启动充电器
JP2024057714A (ja) 電力供給システム
KR20160013691A (ko) 차량용 충전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자가 발전 유닛
JP2024068962A (ja) 電源制御装置及び電源制御システム
JP5906836B2 (ja) エンジン始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