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1266A - 5,15-디아세틸-3-벤조일라티롤을 함유하는 미백용미니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5,15-디아세틸-3-벤조일라티롤을 함유하는 미백용미니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1266A
KR20030031266A KR1020010063178A KR20010063178A KR20030031266A KR 20030031266 A KR20030031266 A KR 20030031266A KR 1020010063178 A KR1020010063178 A KR 1020010063178A KR 20010063178 A KR20010063178 A KR 20010063178A KR 20030031266 A KR20030031266 A KR 200300312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miniemulsion
parts
diacetyl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3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승기
양재찬
유영창
강상진
김호정
김청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10063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31266A/ko
Publication of KR20030031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126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2Alcohols having more than seven atoms in an unbroken ch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3Stero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8Sphingolipids, e.g. ceramides, cerebrosides,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5,15-디아세틸-3-벤조일라티롤을 함유하는 미백용 미니에멀젼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미니에멀젼 화장료 조성물은 오일 (A) 1 내지 40 중량부, 왁스(B) 0.1 내지 5 중량부, 계면활성제(C) 0.5 내지 5 중량부, 고급알코올(D) 0.1 내지 5 중량부 및 5,15-디아세틸-3-벤조일라티롤 0.0000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A)+(B)]/[(C)+(D)]의 중량비가 0.5 내지 9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니에멀젼 화장료 조성물은 유화입자가 0.1 내지 1㎛인 미세 유화물로서 경피흡수 속효성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장기 보존 안정성, 피부 안전성, 사용 편리성 및 미백효과가 우수하다.

Description

5,15-디아세틸-3-벤조일라티롤을 함유하는 미백용 미니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Miniemulsion cosmetic composition for whitening containing 5,15-diacetyl-3-benzoyllathyrol}
본 발명은 5,15-디아세틸-3-벤조일라티롤을 함유하는 미백용 미니에멀젼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5,15-디아세틸-3-벤조일라티롤(5,1
5-diacetyl-3-benzoyllathyrol)를 함유하는 미세 유화물을 제조하므로써 경피흡수 속효성 뿐만 아니라, 장기 보존 안정성, 피부 안전성,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킨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희고 고운 피부를 갖고자 하는 것은 모든 사람의 한결같은 소망이다. 특히, 대한민국을 비롯한 중국, 일본 등 동양에서는 희고 깨끗한 피부를 갖는 것이 미인의 필수조건이라 할 수 있으므로 더욱 그러하다.
사람의 피부색은 멜라닌, 카로틴 및 헤모글로빈 양에 따라서 결정되는데, 이 가운데 멜라닌의 양이 가장 결정적인 요소로 작용한다. 멜라닌이 과잉 생산되면, 피부 톤을 어둡고 불긋불긋하게 하며 기미나 잡티를 형성하기도 한다. 멜라닌은 아미노산의 일종인 티로신(tyrosine)에 티로시나제(tyrosinase)라는 효소가 작용하여도파(DOPA), 도파퀴논(dopaquinone)으로 변환된 후 비효소적인 산화반응을 거쳐 만들어진다. 티로시나제는 자외선에 의해 더욱 활성화된다. 따라서, 국내 및 일본 등지에서 판매되고 있는 피부 미백효과 개념의 화장품들은 대부분 티로시나제의 활성억제 효과가 있는 물질들을 배합한 제품들이다.
이러한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제로 사용되는 물질로는 아스코르빈산(비타민C) 및 그 유도체, 상백피 추출물, 녹차 추출물, 알로에 추출물, 황금 추출물 등의 식물추출물과, 코지산, 알부틴, 유용성 감초 추출물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각종 식물 추출물들은 경시적으로 불안정하여 화장료 제조시 지속적인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며,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력도 미미하다. 또한 코지산, 알부틴, 유용성 감초 추출물은 미백효과는 우수하나, 경시 보존안정성 및 피부 안전성이 만족스럽지 못하고, 그 사용량이 제한되어 미백효과를 부여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한편, 최근에는 속주자 종자에서 추출한 미백 원료인 5,15-디아세틸-3-벤조일라티롤(5,15-diacetyl-3-benzoyllathyrol)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아시아 화장품학회 2001.03., 신약학회지, 31(2);168-173, 2000). 속수자는 수종, 행수소종 등에 효과가 있음이 동의보감에 기술되어 있으며, 일본특허 제08175954호에서는 속수자 추출물이 미백효과가 있음을 밝히고 있다. 속수자 추출물은 알러지 등의 독성이 있어 추출물을 직접 화장품에 적용하기는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으나(Handbook of medicinal herbs, James A, Duke., CRC press, 189p, 1985),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0-47407호는 속수자 추출물로부터 정제한 5,15-디아세틸-3-벤조일라티롤(5,15-diacetyl-3-benzoyllathyrol)이 피부 독성 없이 우수한 미백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통상적인 유화방법으로 제조한 5,15-디아세틸-3-벤조일라티롤 함유 에멀젼 조성물은 보존 안정성이 극히 불량할 뿐만 아니라, 계면활성제가 과도하게 사용되어 피부 자극성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어 이용이 거의 불가능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Peterson, Hamill, Macmahon 등은 글리세린과 올리브유를 여러 가지 계면활성제와 혼용하여 유화한 5,15-디아세틸-3-벤조일라티롤 함유 유화물을 제조하였다. 또한, 일본국 특개소57-29213, 특개평7-20543 등에는 수용성 용매에 친수성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용해시킨 후 오일을 첨가하여 유화물을 제조한 다음, 여기에 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5,15-디아세틸-3-벤조일라티롤 함유 유화물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유화물들은 보존 안정성이 만족할 만큼 향상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5,15-디아세틸-3-벤조일라티롤과 조성성분의 함량을 적절한 비율로 조절하므로써, 경피흡수 속효성, 장기 보존 안정성, 피부 안전성, 사용 편리성이 우수한 미백용 미니에멀젼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오일(A) 1 내지 40 중량부, 왁스(B) 0.1 내지 5 중량부, 계면활성제(C) 0.5 내지 5 중량부, 고급알코올(D) 0.1 내지 5 중량부 및 5,15-디아세틸-3-벤조일라티롤 0.0000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A)+(B)]/[(C)+(D)] 중량비가 0.5 내지 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용 미니에멀젼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니에멀젼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고급 알코올로는 탄소수가 12 내지 20인 알코올을 1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니에멀젼 화장료 조성물은 계면막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세라마이드, 세라마이드 유도체 또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 유도체 등을 더 함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에멀젼은 유화입자의 크기에 따라 마이크로에멀젼(5 ~ 100nm), 미니에멀젼( 100 ~ 1000nm), 매크로에멀젼(1000nm 이상)의 세가지로 구분된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미니에멀젼이란 유화입자가 0.1 ~ 1㎛의 에멀젼을 의미한다. 경피 흡수 속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유화입자의 크기를 작게 제조해야 하는데, 5,15-디아세틸-3-벤조일라티롤은 구조적으로 분자량이 크므로 제형을 형성하는 구성 성분과의 상용성과 제형 안정성이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오일(A) 1 내지 40 중량부, 왁스(B) 0.1 내지 5 중량부, 계면활성제(C) 0.5 내지 5 중량부, 고급알코올(D) 0.1 내지 5 중량부 및 5,15-디아세틸-3-벤조일라티롤 0.0000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되, [(A)+(B)]/[(C)+(D)] 중량비가 0.5 내지 9가 되도록 혼합하여 유화 입자의 크기가 0.1 ~ 1㎛인 미니에멀젼을 제조하므로써 경피흡수 속효성 뿐만 아니라, 장기 보존안정성, 피부 안전성, 사용 편리성이 우수한 5,15-디아세틸-3-벤조일라티롤 함유 미백용 미니에멀젼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미니에멀젼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5,15-디아세틸-3-벤조일라티롤은 오일 또는 왁스상에 첨가되는데, 0.00001 내지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2.0 중량부가 포함된다. 0.00001 중량부 미만이면 피부 미백 효과가 미미하며,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함유량 증가만큼 뚜렷한 미백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다.
또한, [(A)+(B)]/[(C)+(D)] 중량비는 0.5 내지 9,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이다. 상기 중량비가 0.5미만이면 오일에 비하여 계면활성제의 함량비가 커서 피부 자극성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미니에멀젼이 아닌 가용화 타입의 화장수가 만들어진다. [(A)+(B)]/[(C)+(D)] 중량비가 9를 초과하면 오일에 비하여 계면활성제의 양이 너무 적어져서 계면에 제대로 배향을 못한 여분의 오일들이 표면으로 부유하여 제형의 안정성이 불량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미니에멀젼 화장료 조성물의 장기 보존 안정성이 우수한 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A)+(B)]/[(C)+(D)] 중량비를 조절하여 고급 알코올과 계면활성제를 계면에 효율적으로 배향시켰을 뿐만 아니라, 유화 입자들이 브라운 운동을 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니에멀젼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오일로는 식물성 오일, 광물성 오일, 실리콘유 및 합성유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왁스는 동물성 왁스, 식물성 왁스 및 광물성 왁스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계면활성제로는 통상적인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으나, 특히, 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 소르비탄세스퀴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친유형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폴리소르베이트 20 등의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급 알코올로는 탄소수가 12 내지 20인 알코올을 단독으로 또는 1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니에멀젼 화장료 조성물은 세라마이드, 세라마이드 1 내지 6과 같은 세라마이드 유도체나,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 에스테르, 콜레스테롤 에테르와 같은 콜레스테롤 유도체 등을 더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물질들은 고급 알코올에 첨가되어 계면막을 강화시키는 보조 계면활성제의 역할을 하므로써 장기 보존성을 향상시킨다. 세라마이드나 세라마이드 유도체의 바람직한 함량은 0.001 내지 2 중량부이고, 콜레스테롤 또는 콜레스테롤 유도체의 바람직한 함량은 0.1 내지 2 중량부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니에멀젼 화장료 조성물은 그 자체로 사용할 수 있으나, 미니에멀전을 일반 에멀전에 첨가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즉, 매크로에멀젼의 로션, 에센스, 크림 등에 미니에멀젼을 첨가해도 우수한 경피 흡수 속효성, 장기 보존 안정성 등의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는 일반 에멀젼 내에 입자가 작은 미니에멀젼이 안정하게 분산되기 때문이다. 첨가되는 미니에멀젼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50 중량%가 가장 적당하다. 1 중량부 미만에서는 5,15-디아세틸-3-벤조일라티롤의 함량이 너무 적어 뚜렷한 미백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50 중량부를 초과하여 미니에멀젼을 일반에멀젼에 첨가하는 것은 미니에멀젼으로 점도를 조절하여 전체 에멀젼을 제조하는 것보다 불편해지기 때문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실시예 1 내지 3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각 성분을 유상과 수상으로 나누어 각각 70 ~ 90℃로 가열한 후에, 유상을 수상에 첨가하여 호모믹서로 교반하는 유화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원료명(중량부)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유동파라핀 7.0 5.0 5.0
트리옥타노인 2.0 5.0 20.0
페닐트리메치콘 1.0 - 5.0
세테아레쓰-20 2.5 2.0 2.0
세테아레쓰-15 - 0.5 1.0
세틸알코올 0.5 0.5 1.5
스테아릴알코올 0.5 0.5 1.5
콜레스테롤 - 1.0 1.0
비즈왁스 0.2 0.2 0.5
세라마이드-1 0.1 0.1 0.2
세라마이드-2 0.1 0.2 0.2
5,15-디아세틸-3-벤조일라티롤 0.1 0.2 2.0
1,3-부텐글리콜 0.2 0.2 0.2
프로필렌글리콜 - 2.0 2.0
농글리세린 1.5 1.0 1.0
에탄올 5.0 5.0 5.0
방부제 q.s q.s q.s
q.s q.s q.s
색소 q.s q.s q.s
카르복시비닐폴리머(1%수용액) - - 10.0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실시예 4 내지 6
하기 표 2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실시예 2의 미니에멀젼을 함유하는 일반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원료명(중량부)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트리에탄올아민 0.15 0.15 0.15
카르복시비닐폴리머(1%수용액) 10.0 10.0 10.0
진한 글리세린 2.0 2.0 2.0
프로필렌글리콜 3.0 3.0 3.0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0.2 0.2 0.2
세토스테아릴알코올 0.8 0.8 0.8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1.5 1.5 1.5
모노스테아린산솔비톨 0.3 0.3 0.3
피오이(20)솔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1.5 1.5 1.5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1 0.1 0.1
이소세틸미리스테이트 7.0 7.0 7.0
이소세틸옥티노에이트 5.0 5.0 5.0
실시예 2의 미니에멀젼 1.0 10.0 50.0
비교예 1 내지 3
하기 표 3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각 성분을 유상과 수상으로 나누어 각각 75℃로 가열한 후, 유상을 수상에 첨가하여 호모믹서로 교반하는 유화방법으로 제조 하였다. 여기서, 비교예 2와 비교예 3의 시료 제조시, 첫 번째 단계로 친수성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수용성용매에 첨가한 후 유상을 첨가하여 수용성 용매 중 유형에멀젼을 제조하고, 두번째 단계로 에멀젼에 물을 첨가하여 수중유형 에멀젼을 제조하는 일본 특개소57-29213의 제조방법을 사용하였다.
원료명(중량부)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유동파라핀 7.0 5.0 5.0
호호바유 2.0 5.0 20.0
페닐트리메치콘 1.0 - 5.0
세테아레쓰-20 2.5 2.0 2.0
세테아레쓰-15 - 0.5 0.5
5,15-디아세틸-3-벤조일라티롤 0.1 0.2 2.0
1,3-부텐글리콜 2.0 5.0 5.0
프로필렌글리콜 - 4.5 4.5
농글리세린 1.5 3.5 3.5
카르복시 비닐 폴리머 - - 0.1
에탄올 3.0 3.0 3.0
방부제 q.s q.s q.s
q.s q.s q.s
색소 q.s q.s q.s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상기 제조한 실시예 1 내지 6과 비교예 1 내지 3에 대해서 평균 유화입자 크기, 장기 보전 안정성, 피부안전성, 경피 흡수성, 미백 효과, 사용 편리성의 항목으로 나누어 각각 평가하였다.
[평균 유화입자 크기변화]
온도 및 기간을 변화시키면서 실시예 1의 미니에멀젼에 대한 유화입자 크기를 유화입자 크기 측정장치(PARTICLE SIZER MODEL 370 NICOMP)를 이용하여 측정한 후, 그 측정 분포값의 표준편차(σ)를 표 4에 나타냈다.
항목 1주일 1개월 6개월
0℃ 53.52 54.62 54.69
40℃ 53.52 55.57 56.60
45℃ 53.54 55.60 57.70
50℃ 53.55 56.59 58.70
Cycle 53.55 56.60 58.72
실온 53.52 53.57 53.59
(단위 : nm)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2의 유화물은 저온, 실온 및 고온에서 장기간 보존해도 평균입자 크기가 거의 변화하지 않는 안정성을 유지 하였다. 실시예 1 내지 3의 평균입자 크기는 각각 180nm, 200nm 및 410nm였다. 한편, 비교예 1 내지 3의 평균입자 크기는 각각 1500nm, 700nm 및 2500nm로서 대부분 매크로 에멀젼이 생성되었다.
[장기 보존 안정성]
실시예 1 내지 6과 비교예 1 내지 3에 대하여 0℃, 40℃, 45℃, 50℃, Cycle의 항온조 및 실온에서 1주일, 1개월 및 6개월을 단위로 하여 장기 보전 안정성을 하기의 평가기준으로 평가하여 하기 표 5에 나타냈다.
<평가기준>
O : 양호, △ : 불안정, × : 분리
항목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6 1 2 3
0℃ 1주일
1개월
6개월 ×
40℃ 1주일
1개월 ×
6개월 × ×
45℃ 1주일
1개월 ×
6개월 × ×
50℃ 1주일
1개월 ×
6개월 × ×
Cycle 1주일
1개월 ×
6개월 × ×
실온 1주일
1개월
6개월 ×
상기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6은 비교예 1 내지 3에 비해 전반적으로 장기 보관 안정성이 우수하였다.
[피부안전성]
피부 안전성은 실시예 3 및 비교예 3에 대하여 피부 첩보 실험을 통하여 평가하였다. 화장품에 의한 피부 부작용을 경험한 적이 있었던 총 90명(여자 : 73명, 남자 : 17명)을 대상으로 환자의 등에 첩포를 도포한 후, 48시간이 지나서 첩포를 떼고 1시간 내지 2시간 후에 일차 판정을 하였으며, 72시간 혹은 96시간 후에도 판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냈다.
항목 양성 반응수 %
실시예 3 1(+) 1.1
비교예 3 5(+) 5.7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의 시료는 피부 안정성이 우수하나, 비교예 3의 시료는 피부 부작용이 심함을 알 수 있다.
[경피 흡수 효율성]
경피 흡수 효율성은 젖산에 대한 경피 흡수를 통해 평가하였다. 즉, 헤어리스 마우스의 피부를 이용해 in vitro 피부 투과 시험을 행하였다. 직경 15.0mm의 피부표면에 실시예 1 내지 6과 비교예 1 내지 3의 시료를 각각 48마이크로리터 도포하고 경피흡수기기(Hanson Microette)를 이용하여 24시간 후에 투과된 5,15-디아세틸-3-벤조일라티롤의 양을 액체크로마토그래피로 정량하여 표 7에 나타냈다.
시료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투과율(%) 15.55 15.64 11.66 15.55 16.64 14.66 8.55 9.65 7.55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경피릅수 효율이 비교예보다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실시예에 따른 유화입자의 크기가 비교예보다 작아 피부에 더 쉽게 투과되기 때문이다.
[미백 효과]
상기 실시예 1과 6 및 비교예 1에 대하여 미백효과를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30대 여성 20명에게 양팔의 하박부에 직경 7mm 크기의 구멍이 6개씩 2줄로 파인 알루미늄 호일을 덮은 후, 팔에서 10cm 거리에서 일광조사기(ORIEL Solar Simulator 1000W)로 60mJ/㎠의 광량을 조사하였다. 조사하기 3일 전부터 조사 후 3개월간 비교예 1과 실시예 1 및 6을 1일 1회씩 도포하였다. 미백 효과는 색소 침착도를 개선없음, 약간의 개선, 중등도의 개선, 상당한 개선의 4단계로 육안 판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8에 나타냈다.
개선없음 약간의 개선 중등도의 개선 상당한 개선
실시예 1 3 7 8 2
실시예 6 4 8 7 1
비교예 1 13 4 3 -
표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비교예에 비해 미백 효과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 도포 외용제로 사용하면 기미나 주근깨 개선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사용 편리성]
비교예 1 내지 3과 실시예 1 내지 3을 대상으로 사용 편리성을 평가하였다. 즉, 5명 단위로 비교예 견본과 실시예 견본 각 1개씩[(비교예 1, 실시예 1), (비교예 3, 실시예 3) 등]을 총 45명을 대상으로 관능적으로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9에 나타냈다.
<평가기준>
1 : 매우 나쁨, 2 : 나쁨, 3 : 약간 나쁨, 4 : 보통
5 : 약간 좋음, 6 : 좋음, 7 : 매우 좋음
항목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피부 도포시 용이성 4.7 5.1 5.2 5.7 5.2 5.7
피부 밀착성 5.0 4.3 4.7 5.2 5.0 5.0
흡수성 3.5 4.5 4.0 5.9 5.2 5.0
유연성 4.7 4.7 4.1 5.7 5.6 5.1
표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3이 흡수성 및 유연성이 우수하여 사용 편리성이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5,15-디아세틸-3-벤조일라티롤 함유 미백용 미니에멀젼 화장료 조성물은 5,15-디아세틸-3-벤조일라티롤과 조성성분의 함량을 적절한 비율로 조절하여 유화 입자의 크기가 0.1 ~ 1㎛인 미니에멀젼을 이루므로써, 경피흡수 속효성 뿐만 아니라 장기 보존 안정성, 피부 안전성, 사용 편리성이 매우 우수하다.

Claims (4)

  1. 오일(A) 1 내지 40 중량부, 왁스(B) 0.1 내지 5 중량부, 계면활성제(C) 0.5 내지 5 중량부, 고급알코올(D) 0.1 내지 5 중량부 및 5,15-디아세틸-3-벤조일라티롤 0.0000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A)+(B)]/[(C)+(D)]의 중량비가 0.5 내지 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용 미니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급 알코올은 탄소수가 12 내지 20인 알코올을 1종 이상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용 미니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세라마이드, 세라마이드 유도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용 미니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 유도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용 미니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KR1020010063178A 2001-10-13 2001-10-13 5,15-디아세틸-3-벤조일라티롤을 함유하는 미백용미니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KR200300312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3178A KR20030031266A (ko) 2001-10-13 2001-10-13 5,15-디아세틸-3-벤조일라티롤을 함유하는 미백용미니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3178A KR20030031266A (ko) 2001-10-13 2001-10-13 5,15-디아세틸-3-벤조일라티롤을 함유하는 미백용미니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1266A true KR20030031266A (ko) 2003-04-21

Family

ID=29564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3178A KR20030031266A (ko) 2001-10-13 2001-10-13 5,15-디아세틸-3-벤조일라티롤을 함유하는 미백용미니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31266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5954A (ja) * 1994-12-27 1996-07-09 Kao Corp 皮膚化粧料
KR100256781B1 (ko) * 1997-10-01 2000-07-01 성재갑 오일을다량함유한화장수조성물
KR100336982B1 (ko) * 1998-12-31 2002-05-17 성재갑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0375338B1 (ko) * 2001-02-09 2003-03-0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미백용 고형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5954A (ja) * 1994-12-27 1996-07-09 Kao Corp 皮膚化粧料
KR100256781B1 (ko) * 1997-10-01 2000-07-01 성재갑 오일을다량함유한화장수조성물
KR100336982B1 (ko) * 1998-12-31 2002-05-17 성재갑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0375338B1 (ko) * 2001-02-09 2003-03-0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미백용 고형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79823B2 (en) Topical anti-cancer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CN1913869B (zh) 抗皱化妆品
CN110448511A (zh) 一种防脱妆且抗蓝光的皮肤调理剂、素颜霜及其制备方法
JP3415198B2 (ja) 皮膚外用剤
CN110022850A (zh) 包含松露提取物和新橙皮苷二氢查耳酮的组合物
TW200946139A (en) Use of a myrtle extract as depigmenting agent
WO2001093816A2 (en) Stabilized compositions containing oxygen-labile active agents
EP0934741A1 (en) Hair growth stimulants
US20040062731A1 (en) Topical anti-cancer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101921043B1 (ko) 마르타곤 나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070083302A (ko) 에모딘을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0154366B1 (ko) 유용성 감초추출물을 안정화시킨 지질 액정겔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H09227353A (ja) 美白化粧料組成物
JP2004026740A (ja) 化粧料
KR20120081788A (ko) 실리콘오일 혼합물로 코팅된 아세로라추출분말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아세로라추출분말을 함유한 미백 화장료 조성물
JP2000109417A (ja) くすみ改善用の化粧料
KR100770123B1 (ko) 5,15-디아세틸-3-벤조일라티롤을 함유하는 미백용나노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KR20030031266A (ko) 5,15-디아세틸-3-벤조일라티롤을 함유하는 미백용미니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WO2002051374A1 (fr) Inhibiteurs de croissance capillaire et compositions contenant ces inhibiteurs
JPH09255551A (ja) 皮膚外用剤
KR100375338B1 (ko) 미백용 고형 화장료 조성물
JP3481652B2 (ja) 皮膚外用剤
JPH08259423A (ja) 化粧料
KR100661811B1 (ko) 세리나-4(14),7(11)-디엔-8-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미니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JP3382146B2 (ja) 皮膚外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