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9571A -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장치 및 그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장치 및 그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9571A
KR20030029571A KR1020030016604A KR20030016604A KR20030029571A KR 20030029571 A KR20030029571 A KR 20030029571A KR 1020030016604 A KR1020030016604 A KR 1020030016604A KR 20030016604 A KR20030016604 A KR 20030016604A KR 20030029571 A KR20030029571 A KR 200300295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ans
flow
support
column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6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9059B1 (ko
Inventor
이봉수
박갑재
김진규
Original Assignee
서용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용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용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16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9059B1/ko
Publication of KR20030029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9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9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90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50Girders, beams, or the like as supporting members for 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의 저면과 플로우의 저면의 차이가 H를 이루는 슬라브구조의 보부위와 플로우부위를 콘크리트로 타설하여 양생시키기 위하여 틀을 형성시키며, 보부위를 지지하는 부분과 플로우부위를 지지하는 부분이 보의 저면과 플로우의 저면의 차이만큼 단차져 형성된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과;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의 일측과 조립되어서 가로의 폭이 W1으로 이루어지고 세로의 폭이 W2로 이루어진 기둥이 위치된 부위를 콘크리트로 타설하여 양생시킬 수 있도록 틀을 형성시키며, 보부위를 지지하는 부분과 플로우부위를 지지하는 부분이 보의 저면과 플로우의 저면의 차이만큼 단차져 형성되고 기둥주위로부터 소정의 간격 이격되어서 설치된 기둥주위지지수단과;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 및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의 일측과 조립되어서 플로우를 콘크리트로 타설하여 양생시킬 수 있도록 틀을 형성시키며,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의 플로우지지합판과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의 플로우지지합판과 동일한 높이로 플로우합판이 위치되는 플로우지지수단과; 상기 플로우지지수단 혹은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 혹은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을 설치 혹은 해체시킬 경우 지게차로서 지지 및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 혹은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 혹은 상기 플로우지지수단을 지지하며, 하부에는 상기 지게차의 리프터가 삽입되는 하부지지부재가 구비된 지지수단과; 상기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된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 혹은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 혹은 상기 플로우지지수단을 크레인을이용하여 상부층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크레인의 와이어가 걸리는 위치까지 안전하게 지지하여 이송하며, 전후의 길이가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 혹은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 혹은 상기 플로우지지수단의 길이의 대체로 2배로 이루어지고, 좌우의 내측폭이 상기 지지수단의 최대의 폭보다도 크게 형성되며, 상하의 높이가 상기 지지수단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상단에 구비된 I형상의 레일부재와, 상기 레일부재에 가이드되어서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 혹은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 혹은 상기 플로우지지수단을 지지하여 이송시키는 이송부재로 이루어진 이송수단으로 구성된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게차 및 크레인을 이용하여 각종 수단을 설치 및 해체 그리고 이송할 수 있도록 하여 최소의 인원으로 신속하게 공사를 수행하므로서 공사비를 최대한 절감하고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공사후 폐기물의 발생을 최소화시켜 현장의 정리정돈을 용이하게 하며 안전사고의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장치 및 그 설치방법 {table form estabishment apparatus for building and estabishment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다수층으로 이루어지는 건축물을 건축할 경우 층과 층을 구획하는 슬라브를 형성시키기 위한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장치 및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층과 층을 구획하는 슬라브를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시킬 경우 다수의 층에 반복적으로 전용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현장의 정리정돈이 용이하도록 하며 폐기물의 발생 및 공사소음의 발생을 최소화시키고 공기단축 및 공사비를 대폭 절감시킬 수 있는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장치 및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을 건축할 경우 층과 층을 구획시키는 슬라브를 형성시키기 위하여는, 사각형상의 거푸집판넬을 다수개 연결하여 보와 플로우가 형성되도록 틀을 형성하고, 틀을 완성시킨 후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키며, 콘트리트가 양생된 후에는 다수의 거푸집판넬을 해체하게 되고 이 해체된 거푸집판넬을 수작업으로 상부층으로 운반하여 다시 전체적인 틀을 형성시켜 콘트리트를 타설하게 된다.
이와 같은 다수의 거푸집판넬을 이용하여 슬라브를 형성시킬 경우, 첫째 다수 인원의 목수가 동원되어서 틀을 형성시켜야 하므로 과다한 인력소모로 인해 공사비가 증대되고, 둘째 거푸집판넬의 파손등으로 다량의 폐기물이 발생되어서 현장의 정리정돈이 어려우며, 셋째 해체된 거푸집판넬을 위험한 환경에서 인력으로 상측으로 운반하여야 하므로 다수건의 안전사고의 발생될 우려가 있고, 넷째 수작업으로 인한 공사소음이 과다하게 발생된다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지게차 및 크레인을 이용하여 각종 수단을 설치 및 해체 그리고 이송할 수 있도록 하여 최소의 인원으로 신속하게 공사를 수행하므로서 공사비를 최소화시키고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고, 공사후 폐기물의 발생을 최소화시켜 현장의 정리정돈을 용이하게 하며 안전사고의 발생 및 공사소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장치 및 그 설치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장치의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의 일부를 절결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장치의 기둥주위지지수단의 일부를 절결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장치의 플로우지지수단의 일부를 절결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장치의 지지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장치의 이송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장치에 의해 건설되는 현장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장치의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을 연결한 상태를 일부 절결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장치의 플로우지지수단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장치의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장치의 플로우지지수단이 턴버클에 의해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장치의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과 플로우지지수단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장치의 플로우지지수단이 지게차에 의해 설치 혹은 해체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장치의 플로우지지수단이 지게차에 의해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장치의 플로우지지수단이 이송수단에 재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장치의 플로우지지수단이 크레인에 의해 상부층으로 리프팅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보 및 플로우지지수단 11...장선보강부재
12...외틀파이프부재 13...횡선보강부재
14...보강부재 15...보저면지지플레이트
16...보측면지지플레이트 17...높이조절부재
18...플로우지지합판 20...기둥주위지지수단
21...장선보강부재 22...외틀파이프부재
23...횡선보강부재 24...보강부재
25...보저면지지플레이트 26...보측면지지플레이트
27...높이조절부재 28...플로우지지합판
29...보강파이프부재 30....플로우지지수단
31...장선보강부재 32...외틀파이프부재
33...횡선보강부재 34...보강부재
37...높이조절부재 38...플로우지지합판
40...리프팅수단 41...제1관통구
42...제2관통구 43...보강철편
50...지지수단 51...하부지지부재
52...하부연결부재 53...수지기지부재
54...상부연결부재 55...뒤틀림보강부재
56...앵글부재 57...지지목재
58...뒤틀림보강부재 59...하중분산부재
60...이송수단 61...프레임부
62...레일부재 63...이송부재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장치는,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건축물의 층과 층과 구획하는 슬라브를 형성시키기 위한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장치에 있어서; 보의 저면과 플로우의 저면의 차이가 H를 이루는 슬라브구조의 보부위와 플로우부위를 콘크리트로 타설하여 양생시키기 위하여 틀을 형성시키며, 보부위를 지지하는 부분과 플로우부위를 지지하는 부분이 보의 저면과 플로우의 저면의 차이만큼 단차져 형성된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과;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의 일측과 조립되어서 가로의 폭이 W1으로 이루어지고 세로의 폭이 W2로 이루어진 기둥이 위치된 부위를 콘크리트로 타설하여양생시킬 수 있도록 틀을 형성시키며, 보부위를 지지하는 부분과 플로우부위를 지지하는 부분이 보의 저면과 플로우의 저면의 차이만큼 단차져 형성되고 기둥주위로부터 소정의 간격 이격되어서 설치된 기둥주위지지수단과;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 및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의 일측과 조립되어서 플로우를 콘크리트로 타설하여 양생시킬 수 있도록 틀을 형성시키며,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의 플로우지지합판과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의 플로우지지합판과 동일한 높이로 플로우합판이 위치되는 플로우지지수단과; 상기 플로우지지수단 혹은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 혹은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을 설치 혹은 해체시킬 경우 지게차로서 지지 및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 혹은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 혹은 상기 플로우지지수단을 지지하며, 하부에는 상기 지게차의 리프터가 삽입되는 하부지지부재가 구비된 지지수단과; 상기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된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 혹은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 혹은 상기 플로우지지수단을 크레인을 이용하여 상부층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크레인의 와이어가 걸리는 위치까지 안전하게 지지하여 이송하며, 전후의 길이가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 혹은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 혹은 상기 플로우지지수단의 길이의 대체로 2배로 이루어지고, 좌우의 내측폭이 상기 지지수단의 최대의 폭보다도 크게 형성되며, 상하의 높이가 상기 지지수단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상단에 구비된 I형상의 레일부재와, 상기 레일부재에 가이드되어서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 혹은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 혹은 상기 플로우지지수단을 지지하여 이송시키는 이송부재로 이루어진 이송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방법은,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건축물의 층과 층과 구획하는 슬라브를 형성시키기 위한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방법에 있어서; 지게차의 리프터를 지지수단의 하부지지부재에 삽입하여 상기 지지수단을 상기 지게차에 일체화시키는 지지수단일체화스텝과; 상기 지지수단일체화스텝에서 상기 지지수단을 상기 지게차에 일체화시킨 후, 상기 지지수단의 상부에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 혹은 기둥주위지지수단 혹은 플로우지지수단을 올려 놓고 서포팅수단(S)을 이용하여 층전체의 틀을 형성시키는 틀형성스텝과; 상기 틀형성스텝에서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과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과 상기 플로우지지수단을 서로 결합시켜 층전체의 틀을 형성시킨 후 콘트리트를 타설할 경우 콘크리트가 누설됨이 없도록 틈새가 발생되는 부위에 합판을 보강하는 합판보강스텝과; 상기 합판보강스텝에서 전체틀의 틈새의 발생을 합판으로 보강시킨 후 철근을 배근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시키고 콘크리트를 양생시키는 슬라브형성스텝과; 상기 슬라브형성스텝에서 콘크리트를 양생시킨 후에는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과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과 상기 플로우지지수단을 서포팅하는 다수의 서포팅수단중 각 수단의 모서리부분에 위치된 서포팅수단을 제외하고 상기 서포팅수단들을 철거시키는 서포팅수단철거스텝과; 상기 서포팅수단철거스텝에서 상기 각 수단의 모서리부분에만 서포팅수단이 위치되도록 한 후 상기 지게차에 상기 지지수단을 일체화시킨 후 탈착하고자하는 상기 각 수단에 상기 지지수단을 위치시키고 탈착하고자하는 상기 각 수단의 모서리부분에 위치된 서포팅수단을 제거시켜서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 혹은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 혹은 상기플로우지지수단을 슬라브로부터 탈거시키는 수단탈거스텝과; 상기 수단탈거스텝에서 상기 지지수단에 지지된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 혹은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 혹은 상기 플로우지지수단에 와이어를 체결시키는 와이어체결스텝과; 상기 와이어체결스텝에서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 혹은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 혹은 플로우지지수단에 와이어(W)를 체결시킨 후에는 상기 지게차를 이송수단의 위치까지 이동시켜서 상기 지지수단이 상기 이송수단의 프레임부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하는 이동스텝과; 상기 이동스텝에서 상기 지지수단이 상기 이송수단의 프레임부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한 후에는 상기 지게차의 리프터를 하강시켜 상기 지지수단에 재치된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 혹은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 혹은 상기 플로우지지수단을 상기 이송수단의 이송부재에 놓여지게 하는 수단재치스텝과; 상기 수단재치스텝에서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 혹은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 혹은 상기 플로우지지수단을 상기 이송수단의 이송부재에 올려 놓은 후에는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 혹은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 혹은 상기 플로우지지수단를 크레인으로 리프팅시킬 수 있는 위치까지 상기 이송수단의 이송부재를 이동시키는 이송부재이동스텝과; 상기 이송부재이동스텝에서 상기 이송수단의 이송부재를 이동시켜서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 혹은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 혹은 상기 플로우지지수단을 크레인으로 리프팅시킬 수 있는 위치까지 이동시킨 후에는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 혹은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 혹은 상기 플로우지지수단에 걸려진 와이어에 크레인의 와이어를 결속시켜 상부층으로 리프팅시키는 리프팅스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장치 및 그 설치방법에 의하면, 지게차 및 크레인을 이용하여 각종 수단을 설치 및 해체 그리고 이송할 수 있도록 하여 최소의 인원으로 신속하게 공사를 수행하므로서 공사비를 최소화시킬수 있고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공사후 폐기물의 발생을 최소화시켜 현장의 정리정돈을 용이하게 하며 안전사고의 발생 및 공사소음의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적용되는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장치 및 그 설치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장치의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의 일부를 절결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장치의 기둥주위지지수단의 일부를 절결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장치의 플로우지지수단의 일부를 절결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장치의 지지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장치의 이송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장치에 의해 건설되는 현장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장치의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을 연결한 상태를 일부 절결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장치의 플로우지지수단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장치의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장치의 플로우지지수단이 턴버클에 의해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장치의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과 플로우지지수단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장치의 플로우지지수단이 지게차에 의해 설치 혹은 해체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장치의 플로우지지수단이 지게차에 의해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장치의 플로우지지수단이 이송수단에 재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장치의 플로우지지수단이 크레인에 의해 상층으로 리프팅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5에 있어서, 부호 10은 보(B)의 저면과 플로우(F)의 저면의 차이가 H를 이루는 슬라브구조의 보(B)부위와 플로우(F)부위를 콘크리트로 타설하여 양생시킬 수 있도록 틀을 형성시키는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으로서, 보(B)부위를 지지하는 부분과 플로우(F)부위를 지지하는 부분이 보(B)의 저면과 플로우(F)의 저면의 차이(H)만큼 단차져 형성된다.
또,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은, 콘크리트를 타설후 양생까지 콘크리트의 중량을 지탱할 수 있도록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배치된 각파이프의 장선보강부재(11)와, 상기 장선보강부재(11)들이 하나의 틀로 형성되도록 상기장선보강부재(11)의 양단부에 용접에 의해 조립된 한쌍의 외틀파이프부재(12)와, 상기 외틀파이프부재(12)에 의해 하나의 틀로 형성된 상기 장선보강부재(11)의 콘크리트의 중량을 2차적으로 지탱할 수 있도록 다수의 상기 장선보강부재(11)과 직교하여 일정간격(t)이 유지되어서 상기 장선보강부재(11)의 하부에 한쌍이 용접결합되며 상기 장선보강부재(11)의 하부에 2개 이상 구비된 횡선보강부재(13)와, 상기 횡선보강부재(13)에 서포팅수단(S)이 용이하게 위치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횡선보강부재(13)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상기 횡선보강부재(13)의 사이에 매설되며 목재로 이루어진 보강부재(14)와, 상기 보강부재(14)의 상부에 조립된 상기 장선보강부재(11)의 상면에 용접되어서 보(B)의 저면이 형성되도록 상기 장선보강부재(11)를 폐쇄시키며 철판으로 이루어진 보저면지지플레이트(15)와, 상기 보저면지지플레이트(15)와 대체로 수직으로 위치되어서 상기 보(B)의 측면을 형성시키며 철판으로 이루어진 보측면지지플레이트(16)와, 상기 보측면지지플레이트(16)에 의해 형성되는 보(B)의 저면과 플로우(F)의 저면의 차가 H가 되도록 상기 장선보강부재(11)의 상부에 일정높이로 다수개 용접된 다수의 높이조절부재(17)와, 상기 높이조절부재(17)의 상부에 고정되어서 플로우(F)의 저면을 형성시키며 합판으로 이루어진 플로우지지합판(18)으로 구성된다.
또,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의 외틀파이프부재(12) 및 장선보강부재(11)의 최외곽의 외면에는 후술하는 기둥주위지지수단 및 플로우지지수단과 용이하게 결속시킬 수 있도록 결속구가 천공된 결속플레이트(2)가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 용접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의 외틀파이프부재(12) 및 장선보강부재(11)의 최외곽의 내면에는 후술하는 기둥주위지지수단 및 플로우지지수단과 결속된 후 전체적인 레벨조정 및 위치조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턴버클(T)이 체결되는 위치조절플레이트(3)가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 용접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또,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에는 크레인으로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을 용이하게 리프팅시켜 하층에서 상부층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리프팅수단(40)이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리프팅수단(40)은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을 와이어로 체결하여 용이하게 리프팅시킬 수 있도록, 와이어(W)가 통과되며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의 사각 모서리부터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서 4개 형성된 제1관통구(41)와, 상기 관통구(41)를 통과하는 와이어(W)의 단부가 상기 횡선보강부재(13)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관통구(41)의 직하방에 위치된 상기 보강부재(14)에 형성된 제2관통구(42)와, 상기 제2관통구(42)를 통과한 와이어(W)의 단부를 고정시켜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을 리프팅시킬 경우 상기 횡선보강부재(13)의 강성이 증대되도록 상기 제2관통구(42)의 주위의 상기 횡선보강부재(13)에 용접된 보강철편(43)으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높이조절부재(17)은, 보(B)의 저면과 플로우(F)의 저면의 높이 차(H)보다 낮은 높이(h)로 일정간격을 갖고 규칙적으로 상기 장선보강부재(11)의 상면에 다수개 용접된 수직지지부(171)와, 상기 수직지지부(17)의 상부에 설치되어서 상기 플로우지지합판(18)의 위치가 상기 보저면지지플레이트(15)의 높이보다도 H만큼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높이를 보상해주며 상기 횡선보강부재(13)의 길이와 대체로 동일한 길이로 상기 횡성보강부재(13)와 평행하게 위치된 다수의 각목부(173)와, 상기 각목부(173)가 상기 수직지지부(171)의 상부에 용이하게 설치되도록 대체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직지지부(171)의 상부에 용접된 안착부(172)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높이조절부재(17)의 각목부(173)는 보(B)의 저면과 플로우(F)의 저면의 높이(H)가 상이한 건축물에 용이하게 그 높이를 보상해줄 수 있도록 목재재질의 각목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장선보강부재(11)에는 상기 보측면지지플레이트(16)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보강철편(161)이 용접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한편, 부호 20은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의 일측과 조립되어서 가로의 폭이 W1으로 이루어지고 세로의 폭이 W2로 이루어진 기둥(G)이 위치된 부위를 콘크리트로 타설하여 양생시킬 수 있도록 틀을 형성시키는 기둥주위지지수단으로서, 보(B)부위를 지지하는 부분과 플로우(F)부위를 지지하는 부분이 보(B)의 저면과 플로우(F)의 저면의 차이(H)만큼 단차져 형성되고 기둥(G)주위로부터 소정의 간격(K)이격되어서 설치된다.
즉,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20)은, 콘크리트를 타설후 양생까지 콘크리트의 중량을 지탱할 수 있도록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배치되며 기둥(G)주위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단부가 위치된 각파이프의 장선보강부재(21)와, 상기 장선보강부재(21)들이 하나의 틀로 형성되도록 상기 장선보강부재(21)의 양단부에 용접에 의해 조립된 외틀파이프부재(22)와, 상기 외틀파이프부재(22)가 기둥(G)에 간섭됨이 없게 외곽의 틀을 형성시키며 기둥(G)으로부터 일정간격(K) 이격되도록 대체로 'ㄷ'자형상으로 상기 외틀파이프부재(22)와 상기 장선보강부재(21)와 용접된 보강파이프부재(29)와, 상기 보강파이프부재(29)와 상기 외틀파이프부재(22)에 의해 하나의 틀로 형성된 상기 장선보강부재(21)의 콘크리트의 중량을 2차적으로 지탱할 수 있도록 다수의 상기 장선보강부재(21)과 직교하여 일정간격(t)이 유지되어서 상기 장선보강부재(21)의 하부에 한쌍이 용접결합되며 상기 장선보강부재(21)의 하부에 2개이상 구비된 횡선보강부재(23)와, 상기 횡선보강부재(23)에 서포팅수단(S)이 위치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횡선보강부재(23)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상기 횡선보강부재(23)의 사이에 매설되며 목재로 이루어진 보강부재(24)와, 상기 보강부재(24)의 상부에 조립된 상기 장선보강부재(21)의 상면에 용접되어서 보(B)의 저면이 형성되도록 상기 장선보강부재(21)를 폐쇄시키며 철판으로 이루어진 보저면지지플레이트(25)와, 상기 보저면지지플레이트(25)와 대체로 수직으로 위치되어서 상기 보(B)의 측면을 형성시키며 철판으로 이루어진 보측면지지플레이트(26)와, 상기 보측면지지플레이트(26)에 의해 형성되는 보(B)의 저면과 플로우(F)의 저면의 차가 H가 되도록 상기 장선보강부재(21)의 상부에 일정높이로 다수개 용접된 높이조절부재(27)와, 상기 높이조절부재(27)의 상부에 고정되어서 플로우(F)의 저면을 형성시키며 합판으로 이루어진 플로우지지합판(28)으로 구성된다.
또,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20)의 외틀파이프부재(22) 및 장선보강부재(21)의 최외곽의 외면에는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 및 후술하는 플로우지지수단과 용이하게 결속시킬 수 있도록 결속구가 천공된 결속플레이트(2)가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 용접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20)의 외틀파이프부재(22) 및 장선보강부재(21)의 최외곽의 내면에는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과 후술하는 플로우지지수단과 결속된 후 전체적인 레벨조정 및 위치조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턴버클(T)이 체결되는 위치조절플레이트(3)가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 용접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또,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20)에는 크레인으로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20)을 용이하게 리프팅시켜 하층에서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리프팅수단(40)이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리프팅수단(40)은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에 형성된 리프팅수단(40)과 동일한 구성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 상기 높이조절부재(27)도,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에 구비된 수직지지부(171)와, 각목부(173)와, 안착부(172)와 동일하게 수직지지부(271)와, 각목부(273)와 안착부(273)로 이루어진다.
한편, 부호 30은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 및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20)의 일측과 조립되어서 플로우(F)를 콘크리트로 타설하여 양생시킬 수 있도록 틀을 형성시키는 플로우지수단으로서,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의 플로우지지합판(18)과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20)의 플로우지지합판(28)과 동일한 높이로 플로우합판(38)이 위치되어 있다.
즉, 플로우지지수단(30)은, 콘크리트를 타설후 양생까지 콘크리트의 중량을 지탱할 수 있도록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배치된 각파이프의 장선보강부재(31)와, 상기 장선보강부재(31)들이 하나의 틀로 형성되도록 상기 장선보강부재(31)의 양단부에 용접에 의해 조립된 외틀파이프부재(32)와, 상기 외틀파이프부재(32)에 의해 하나의 틀로 형성된 상기 장선보강부재(31)의 콘크리트의 중량을 2차적으로 지탱할 수 있도록 다수의 상기 장선보강부재(31)과 직교하여 일정간격(t)이 유지되어서 상기 장선보강부재(31)의 하부에 한쌍이 용접결합되며 상기 장선보강부재(31)의 하부에 2개이상 구비된 횡선보강부재(33)와, 상기 횡선보강부재(33)에 대향되는 상기 높이조절부재(37)의 상부에 고정되어서 플로우(F)의 저면을 형성시키며 합판으로 이루어진 플로우지지합판(38)으로 구성된다.
또, 상기 플로우지지수단(30)의 외틀파이프부재(32) 및 장선보강부재(31)의 최외곽의 외면에는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 및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20)과 용이하게 결속시킬 수 있도록 결속구가 천공된 결속플레이트(2)가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 용접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플로우지지수단(30)의 외틀파이프부재(32) 및 장선보강부재(31)의 최외곽의 내면에는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과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20)과 결속된 후 전체적인 레벨조정 및 위치조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턴버클(T)이 체결되는 위치조절플레이트(3)가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 용접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또, 상기 플로우지지수단(30)에는 크레인으로 상기 플로우지지수단(30)을 용이하게 리프팅시켜 하층에서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리프팅수단(40)이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리프팅수단(40)은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에 형성된 리프팅수단(40)과 동일한 구성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 상기 높이조절부재(37)도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에 구비된 수직지지부(171)와, 각목부(173)와, 안착부(172)와 동일하게 수직지지부(371)와, 각목부(373)와 안착부(372)로 이루어진다.
한편, 부호 50은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 혹은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20) 혹은 상기 플로우지지수단(30)을 설치 혹은 해체시킬 경우 지게차(100)로서 지지 및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 혹은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20) 혹은 상기 플로우지지수단(30)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이다.
즉, 상기 지지수단(50)은, 바닥에 놓여질 경우 바닥면과 접함과 동시에 지게차(100)의 리프트(101)가 삽입되도록 수납공간이 형성된 한쌍의 하부지지부재(51)와, 상기 하부지지부재(51)의 수납공간에 지게차(100)의 리프트(101)가 삽입되도록 상기 하부지지부재(51)를 일정간격 이격시켜 상기 하부지지부재(51)를 연결시키는 하부연결부재(52)와, 상기 하부연결부재(52)에 의해 연결된 상기 하부지지부재(51)에 용접되어 일정높이로 조립된 4개의 수직지지부재(53)와, 상기 수직지지부재(53)를 연결시키며 상기 하부지지부재(51)와 평행하게 위치된 상부연결부재(54)와, 상기 상부연결부재(54)에 의해 연결된 상기 상부연결부재(54)의 양단부에 조립되고 그 폭이 M1으로 이루어진 한쌍의 상부지지부재(55)와, 상기 상부지지부재(55)의 단부에 각각 용접된 4개의 앵글부재(56)와, 상기 앵글부재(56)에 의해 그 설치폭이 M1이 되도록 일면이 상기 앵글부재(56)의 내면에 접하고 길이가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 혹은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20) 혹은 상기 플로우지지수단(3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지지부재(51)의 길이보다도 길게 형성되며 상기 하부지지부재(51)와 평행하게 상기 상부지지부재(55)의 상부에 설치된 한쌍의 지지목재(57)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상부연결부재(54)와 상기 하부지지부재(51)의 사이 그리고 상기 상부지지부재(55)와 상기 하부연결부재(52)의 사이에는, 상기 지지수단(50)이 뒤틀림이 없이 그 강성이 증대되도록 대체로 X자 형태로 뒤틀림보강부재(58)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수단(50)의 상부지지부재(55)의 단부와 상기 수직지지부재(53)에는, 상기 지지수단(50)의 상부에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 혹은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20) 혹은 상기 플로우지지수단(30)이 지지될 경우 상기 상부지지부재(55)에 걸리는 하중이 분산되도록 하중분산부재(59)가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상부지지부재(55)의 단부와 상기 수직지지부재(53)에는 상기 하중분산부재(59)가 용접에 의해 조립되어서, 상기 지지수단(50)의 상부에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 혹은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20) 혹은 상기 플로우지지수단(30)이 지지될 경우 상기 상부지지부재(55)에 걸리는 하중을 상기수직지지부재(53)등으로 분산시켜 보다 안정적으로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 혹은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20) 혹은 상기 플로우지지수단(30)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부호 60은 상기 지지수단(50)에 의해 지지된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 혹은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20) 혹은 상기 플로우지지수단(30)을 크레인을 이용하여 상부층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크레인의 와이어가 걸리는 위치까지 안전하게 지지하여 이송할 수 있는 이송수단으로서, 전후의 길이(A)가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 혹은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20) 혹은 상기 플로우지지수단(30)의 길이의 대체로 2배로 이루어지고, 좌우의 내측폭(C)이 상기 지지수단(50)의 최대의 폭(M1)보다도 크게 형성되며, 상하의 높이(D)가 상기 지지수단(50)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 프레임부(61)와, 상기 프레임부(61)의 상단에 구비된 I형상의 레일부재(62)와, 상기 레일부재(62)에 가이드되어서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 혹은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20) 혹은 상기 플로우지지수단(30)을 지지하여 이송시키는 이송부재(63)로 이루어진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장치에 의한 설치방법 및 작용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게차(100)의 리프터(101)를 상기 지지수단(50)의 하부지지부재(51)에 삽입하여 상기 지지수단(50)을 상기 지게차(100)에 일체화시킨다.
또, 상기 지지수단(50)을 상기 지게차(100)에 일체화시킨 후에는 상기 지지수단(50)의 상부에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 혹은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20) 혹은 상기 플로우지지수단(30)을 올려 놓고 서포팅수단(S)을 이용하여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층전체의 틀을 형성시킨다.
다음은, 층전체의 틀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상기 지게차(100)의 리프터(101)에 설치된 상기 지지수단(50)의 상부에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 혹은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20) 혹은 상기 플로우지지수단(30)을 올려 놓고 상기 지게차(100)의 리프터(101)를 적정위치까지 리프팅시킨다.
또, 상기 지게차(100)의 리프터(101)를 적정위치까지 리프팅시켜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 혹은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20) 혹은 상기 플로우지지수단(30)을 적정위치에 위치시킨 후에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 혹은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20) 혹은 상기 플로우지지수단(30)의 보강부재(14,24,34)의 모서리부분에 서포팅수단(S)을 위치시켜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 혹은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20) 혹은 상기 플로우지지수단(30)을 가고정시킨다.
또,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 혹은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20) 혹은 상기 플로우지지수단(30)의 어느 하나를 가고정시킨 후 다른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 혹은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20) 혹은 상기 플로우지지수단(30)을 상기지게차(100)로서 위치조정하여 위치시킨 후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 혹은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20) 혹은 상기플로우지지수단(30)의 결속플레이트(2)가 일치되도록 하고 상기 결속플레이트(2)의 구멍에 결속핀을 설치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과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20)과 상기 플로우지지수단(30)을 서로 결합하여 전체틀이 되도록 구성한다.
또,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과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20)과 상기 플로우지지수단(30)을 서로 결합하여 전체틀이 되도록 구성한 후에는 콘크리트를 타설할 경우 콘크리트의 중량을 견딜 수 있도록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과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20)과 상기 플로우지지수단(30)의 보강부재(14,24,34)의 하면에 다수의 서포팅수단(S)을 설치한다.
한편, 상기에서 전체틀이 다소 틀리거나 레벨을 조정하고자할 경우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과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20)과 상기 플로우지지수단(30)의 위치조절플레이트(3)에 턴버클(T)을 장착하여 전체틀을 조정할 수 있다.
또,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과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20)과 상기 플로우지지수단(30)을 서로 결합시킨 후 틈새가 발생되는 부분은 합판으로 보강시켜 콘트리트를 타설할 경우 콘크리트가 누설됨이 없도록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과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20)과 상기 플로우지지수단(30)을 서로 결합하여 전체틀이 되도록 구성한 후에는 철근을 배근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시키고 콘크리트를 양생시키게 된다.
또, 콘크리트를 양생시킨 후에는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과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20)과 상기 플로우지지수단(30)을 서포팅하는 다수의 상기 서포팅수단(S)중 각 수단(10,20,30)의 모서리부분에 위치된 서포팅수단(S)을 제외하고 서포팅수단(S)을 철거시킨다.
또한, 상기 각 수단(10,20,30)의 모서리부분에만 서포팅수단(S)이 위치되도록 한 후에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게차(100)에 상기 지지수단(50)을 일체화시킨 후, 탈착하고자하는 상기 각 수단(10,20,30)에 상기 지지수단(50)을 위치시키고 탈착하고자하는 상기 각 수단(10,20,30)의 모서리부분에 위치된 서포팅수단(S)을 제거시킨다.
또, 상기 각 수단(10,20,30)의 모서리부분에 위치된 서포팅수단(S)을 제거시키후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게차(100)의 리프터(101)를 하강시키면 상기 각 수단(10,20,30)은 슬라브로부터 이탈되게 된다.
또한, 상기 지게차(100)의 리프터(101)를 하강시켜 상기 각 수단(10,20,30)을 슬라브로부터 이탈시킨 후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수단(10,20,30)에 형성된 상기 리프팅수단(40)에 와이어(W)를 체결한다.
또, 상기 각 수단(10,20,30)에 형성된 상기 리프팅수단(40)에 와이어(W)를 체결시킨 후에는 상기 지게차(100)를 상기 이송수단(60)의 위치까지 이동시킨 후 상기 지지수단(50)이 상기 이송수단(60)의 프레임부(61)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지지수단(50)의 최대의 폭(M1)은 상기 프레임부(61)의 좌우의 내측의 폭(C)보다 적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수단(50)의 높이는 상기 프레임부(61)의 높이(D)보다도 낮게 형성되므로서, 상기 지지수단(50)은 보다 용이하게 상기 프레임부(61)의 내부에 위치되게 된다.
또, 상기 지지수단(50)이 상기 이송수단(60)의 프레임부(61)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한 후에는 상기 지게차(100)의 리프터(101)를 하강시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수단(50)에 재치된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 혹은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20) 혹은 상기 플로우지지수단(30)을 상기 이송수단(60)의 이송부재(63)에 놓여지게 한다.
또한,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 혹은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20) 혹은 상기 플로우지지수단(30)을 상기 이송수단(60)의 이송부재(63)에 올려 놓은 후에는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 혹은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20) 혹은 상기 플로우지지수단(30)를 크레인으로 리프팅시킬 수 있는 위치까지 상기 이송수단(60)의 이송부재(63)를 이동시킨다.
또, 상기 이송수단(60)의 이송부재(63)를 이동시켜서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 혹은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20) 혹은 상기 플로우지지수단(30)을 크레인으로 리프팅시킬 수 있는 위치까지 이동시킨 후에는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 혹은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20) 혹은 상기 플로우지지수단(30)에 걸려진 와이어(W)에 크레인의 와이어를 결속시켜 상부층으로 리프팅시킨다.
또,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 혹은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20) 혹은 상기 플로우지지수단(30)을 상층으로 리프팅시킨후에는 상술한 스텝을 반복수행하여 층과 층을 구획시키는 슬라브를 용이하게 형성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장치 및 그 설치방법에 의하면, 지게차 및 크레인의 건설장비로서 각종 수단을 설치 및 해체 그리고 운반하게 되므로서 공기의 대폭단축 및 인건비의 절감으로 공사비를 최소화시킬 수 있고, 슬라브를 형성시킨 후 폐기물의 발생이 최소화되어 현장의 정리정돈이 청결하게 되며 안전사고의 발생 및 공사소음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장치 및 그 설치방법에 의하면, 지게차 및 크레인을 이용하여 각종 수단을 설치 및 해체 그리고 이송할 수 있도록 하여 최소의 인원으로 신속하게 공사를 수행하므로서 공사비를 최대한 절감하고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공사후 폐기물의 발생을 최소화시켜 현장의 정리정돈을 용이하게 하며 안전사고의 발생 및 공사소음의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건축물의 층과 층과 구획하는 슬라브를 형성시키기 위한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장치에 있어서;
    보(B)의 저면과 플로우(F)의 저면의 차이가 H를 이루는 슬라브구조의 보(B)부위와 플로우(F)부위를 콘크리트로 타설하여 양생시키기 위하여 틀을 형성시키며, 보(B)부위를 지지하는 부분과 플로우(F)부위를 지지하는 부분이 보(B)의 저면과 플로우(F)의 저면의 차이(H)만큼 단차져 형성된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과;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의 일측과 조립되어서 가로의 폭이 W1으로 이루어지고 세로의 폭이 W2로 이루어진 기둥(G)이 위치된 부위를 콘크리트로 타설하여 양생시킬 수 있도록 틀을 형성시키며, 보(B)부위를 지지하는 부분과 플로우(F)부위를 지지하는 부분이 보(B)의 저면과 플로우(F)의 저면의 차이(H)만큼 단차져 형성되고 기둥(G)주위로부터 소정의 간격(K)이격되어서 설치된 기둥주위지지수단(20)과;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20) 및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의 일측과 조립되어서 플로우(F)를 콘크리트로 타설하여 양생시킬 수 있도록 틀을 형성시키며,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의 플로우지지합판(18)과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20)의 플로우지지합판(28)과 동일한 높이로 플로우합판(38)이 위치되는 플로우지지수단(30)과;
    상기 플로우지지수단(30) 혹은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 혹은 상기기둥주위지지수단(20)을 설치 혹은 해체시킬 경우 지게차(100)로서 지지 및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 혹은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20) 혹은 상기 플로우지지수단(30)을 지지하며, 하부에는 상기 지게차의 리프터(101)가 삽입되는 하부지지부재(51)가 구비된 지지수단(50)과;
    상기 지지수단(50)에 의해 지지된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 혹은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20) 혹은 상기 플로우지지수단(30)을 크레인을 이용하여 상부층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크레인의 와이어가 걸리는 위치까지 안전하게 지지하여 이송하며, 전후의 길이(A)가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 혹은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20) 혹은 상기 플로우지지수단(30)의 길이의 대체로 2배로 이루어지고, 좌우의 내측폭(C)이 상기 지지수단(50)의 최대의 폭(M1)보다도 크게 형성되며, 상하의 높이(D)가 상기 지지수단(50)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 프레임부(61)와, 상기 프레임부(61)의 상단에 구비된 I형상의 레일부재(62)와, 상기 레일부재(62)에 가이드되어서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 혹은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20) 혹은 상기 플로우지지수단(30)을 지지하여 이송시키는 이송부재(63)로 이루어진 이송수단(6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은,
    콘크리트를 타설후 양생까지 콘크리트의 중량을 지탱할 수 있도록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배치된 각파이프의 장선보강부재(11)와,
    상기 장선보강부재(11)들이 하나의 틀로 형성되도록 상기 장선보강부재(11)의 양단부에 용접에 의해 조립된 한쌍의 외틀파이프부재(12)와,
    상기 외틀파이프부재(12)에 의해 하나의 틀로 형성된 상기 장선보강부재(11)의 콘크리트의 중량을 2차적으로 지탱할 수 있도록 다수의 상기 장선보강부재(11)과 직교하여 일정간격(t)이 유지되어서 상기 장선보강부재(11)의 하부에 한쌍이 용접결합되며 상기 장선보강부재(11)의 하부에 2개이상 구비된 횡선보강부재(13)와,
    상기 횡선보강부재(13)에 서포팅수단(S)이 용이하게 위치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횡선보강부재(13)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상기 횡선보강부재(13)의 사이에 매설되며 목재로 이루어진 보강부재(14)와,
    상기 보강부재(14)의 상부에 조립된 상기 장선보강부재(11)의 상면에 용접되어서 보(B)의 저면이 형성되도록 상기 장선보강부재(11)를 폐쇄시키며 철판으로 이루어진 보저면지지플레이트(15)와,
    상기 보저면지지플레이트(15)와 대체로 수직으로 위치되어서 상기 보(B)의 측면을 형성시키며 철판으로 이루어진 보측면지지플레이트(16)와,
    상기 보측면지지플레이트(16)에 의해 형성되는 보(B)의 저면과 플로우(F)의 저면의 차가 H가 되도록 상기 장선보강부재(11)의 상부에 일정높이로 다수개 용접된 다수의 높이조절부재(17)와,
    상기 높이조절부재(17)의 상부에 고정되어서 플로우(F)의 저면을 형성시키며 합판으로 이루어진 플로우지지합판(18)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의 외틀파이프부재(12) 및 장선보강부재(11)의 최외곽의 외면과,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20)의 외틀파이프부재(22) 및 장선보강부재(21)의 최외곽의 외면과, 상기 플로우지지수단(30)의 외틀파이프부재(32) 및 장선보강부재(31)의 최외곽에는,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과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20) 그리고 상기 플로우지지수단(30)을 서로 결속시킬 경우 용이하게 결속시킬 수 있도록 결속구가 천공된 결속플레이트(2)가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 용접에 의해 부착되어 있고,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의 외틀파이프부재(12) 및 장선보강부재(11)의 최외곽의 내면과,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20)의 외틀파이프부재(22) 및 장선보강부재(21)의 최외곽의 내면과, 상기 플로우지지수단(30)의 외틀파이프부재(32) 및 장선보강부재(31)의 최외곽의 내면에는,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과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20)과 상기 플로우지지수단(30)을 결속시킨 후 전체적인 레벨조정 및 위치조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턴버클(T)이 체결되는 위치조절플레이트(3)가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 용접에 의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과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20)과 상기 플로우지지수단(30)에는, 크레인으로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과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20)과 상기 플로우지지수단(30)을 용이하게 리프팅시켜 하층에서 상부층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리프팅수단(40)이 구비되고,
    상기 리프팅수단(40)은 와이어가 통과되도록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 혹은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20) 혹은 상기 플로우지지수단(30)의 사각 모서리부터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서 4개 형성된 제1관통구(41)와, 상기 관통구(41)를 통과하는 와이어의 단부가 횡선보강부재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관통구(41)의 직하방에 위치된 보강부재에 형성된 제2관통구(42)와, 상기 제2관통구(42)를 통과한 와이어의 단부를 고정시켜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 혹은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20) 혹은 상기 플로우지지수단(30)을 리프팅시킬 경우 횡선보강부재의 강성이 증대되도록 상기 제2관통구(42)의 주위의 횡선보강부재에 용접된 보강철편(43)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재(17)은,
    보(B)의 저면과 플로우(F)의 저면의 높이 차(H)보다 낮은 높이(h)로 일정간격을 갖고 규칙적으로 상기 장선보강부재(11)의 상면에 다수개 용접된 수직지지부(171)와,
    상기 수직지지부(17)의 상부에 설치되어서 상기 플로우지지합판(18)의 위치가 상기 보저면지지플레이트(15)의 높이보다도 H만큼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높이를 보상해주며 상기 횡선보강부재(13)의 길이와 대체로 동일한 길이로 상기 횡성보강부재(13)와 평행하게 위치된 다수의 각목부(173)와,
    상기 각목부(173)가 상기 수직지지부(171)의 상부에 용이하게 설치되도록 대체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직지지부(171)의 상부에 용접된 안착부(17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20)은,
    콘크리트를 타설후 양생까지 콘크리트의 중량을 지탱할 수 있도록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배치되며 기둥(G)주위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단부가 위치된 각파이프의 장선보강부재(21)와,
    상기 장선보강부재(21)들이 하나의 틀로 형성되도록 상기 장선보강부재(21)의 양단부에 용접에 의해 조립된 외틀파이프부재(22)와,
    상기 외틀파이프부재(22)가 기둥(G)에 간섭됨이 없게 외곽의 틀을 형성시키며 기둥(G)으로부터 일정간격(K) 이격되도록 대체로 'ㄷ'자형상으로 상기 외틀파이프부재(22)와 상기 장선보강부재(21)와 용접된 보강파이프부재(29)와,
    상기 보강파이프부재(29)와 상기 외틀파이프부재(22)에 의해 하나의 틀로 형성된 상기 장선보강부재(21)의 콘크리트의 중량을 2차적으로 지탱할 수 있도록 다수의 상기 장선보강부재(21)과 직교하여 일정간격(t)이 유지되어서 상기 장선보강부재(21)의 하부에 한쌍이 용접결합되며 상기 장선보강부재(21)의 하부에 2개이상 구비된 횡선보강부재(23)와,
    상기 횡선보강부재(23)에 서포팅수단(S)이 위치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횡선보강부재(23)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상기 횡선보강부재(23)의 사이에 매설되며 목재로 이루어진 보강부재(24)와,
    상기 보강부재(24)의 상부에 조립된 상기 장선보강부재(21)의 상면에 용접되어서 보(B)의 저면이 형성되도록 상기 장선보강부재(21)를 폐쇄시키며 철판으로 이루어진 보저면지지플레이트(25)와,
    상기 보저면지지플레이트(25)와 대체로 수직으로 위치되어서 상기 보(B)의 측면을 형성시키며 철판으로 이루어진 보측면지지플레이트(26)와,
    상기 보측면지지플레이트(26)에 의해 형성되는 보(B)의 저면과 플로우(F)의 저면의 차가 H가 되도록 상기 장선보강부재(21)의 상부에 일정높이로 다수개 용접된 높이조절부재(27)와,
    상기 높이조절부재(27)의 상부에 고정되어서 플로우(F)의 저면을 형성시키며 합판으로 이루어진 플로우지지합판(28)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우지지수단(30)은,
    콘크리트를 타설후 양생까지 콘크리트의 중량을 지탱할 수 있도록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배치된 각파이프의 장선보강부재(31)와,
    상기 장선보강부재(31)들이 하나의 틀로 형성되도록 상기 장선보강부재(31)의 양단부에 용접에 의해 조립된 외틀파이프부재(32)와,
    상기 외틀파이프부재(32)에 의해 하나의 틀로 형성된 상기 장선보강부재(31)의 콘크리트의 중량을 2차적으로 지탱할 수 있도록 다수의 상기 장선보강부재(31)과 직교하여 일정간격(t)이 유지되어서 상기 장선보강부재(31)의 하부에 한쌍이 용접결합되며 상기 장선보강부재(31)의 하부에 2개이상 구비된 횡선보강부재(33)와,
    상기 횡선보강부재(33)에 대향되는 상기 높이조절부재(37)의 상부에 고정되어서 플로우(F)의 저면을 형성시키며 합판으로 이루어진 플로우지지합판(38)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50)은,
    바닥에 놓여질 경우 바닥면과 접함과 동시에 지게차(100)의 리프트(101)가 삽입되도록 수납공간이 형성된 한쌍의 하부지지부재(51)와,
    상기 하부지지부재(51)의 수납공간에 지게차(100)의 리프트(101)가 삽입되도록 상기 하부지지부재(51)를 일정간격 이격시켜 상기 하부지지부재(52)를 연결시키는 하부연결부재(52)와,
    상기 하부연결부재(52)에 의해 연결된 상기 하부지지부재(51)에 용접되어 일정높이로 조립된 4개의 수직지지부재(53)와,
    상기 수직지지부재(53)를 연결시키며 상기 하부지지부재(51)와 평행하게 위치된 상부연결부재(54)와,
    상기 상부연결부재(54)에 의해 연결된 상기 상부연결부재(54)의 양단부에 조립되고 그 폭이 M1으로 이루어진 한쌍의 상부지지부재(55)와,
    상기 상부지지부재(55)의 단부에 각각 용접된 4개의 앵글부재(56)와,
    상기 앵글부재(56)에 의해 그 설치폭이 M1이 되도록 일면이 상기 앵글부재(56)의 내면에 접하고 길이가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 혹은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20) 혹은 상기 플로우지지수단(3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지지부재(51)의 길이보다도 길게 형성되며 상기 하부지지부재(51)와 평행하게 상기 상부지지부재(55)의 상부에 설치된 한쌍의 지지목재(57)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연결부재(54)와 상기 하부지지부재(51)의 사이 그리고 상기 상부지지부재(55)와 상기 하부연결부재(52)의 사이에는, 상기 지지수단(50)이 뒤틀림이 없이 그 강성이 증대되도록 대체로 X자 형태로 뒤틀림보강부재(58)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수단(50)의 상부지지부재(55)의 단부와 상기 수직지지부재(53)에는, 상기 지지수단(50)의 상부에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 혹은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20) 혹은 상기 플로우지지수단(30)이 지지될 경우 상기 상부지지부재(55)에 걸리는 하중이 분산되도록 하중분산부재(59)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장치.
  10.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건축물의 층과 층과 구획하는 슬라브를 형성시키기 위한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방법에 있어서;
    지게차(100)의 리프터(101)를 지지수단(50)의 하부지지부재(51)에 삽입하여 상기 지지수단(50)을 상기 지게차(100)에 일체화시키는 지지수단일체화스텝과;
    상기 지지수단일체화스텝에서 상기 지지수단(50)을 상기 지게차(100)에 일체화시킨 후, 상기 지지수단(50)의 상부에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 혹은 기둥주위지지수단(20) 혹은 플로우지지수단(30)을 올려 놓고 서포팅수단(S)을 이용하여 층전체의 틀을 형성시키는 틀형성스텝과;
    상기 틀형성스텝에서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과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20)과 상기 플로우지지수단(30)을 서로 결합시켜 층전체의 틀을 형성시킨 후 콘트리트를 타설할 경우 콘크리트가 누설됨이 없도록 틈새가 발생되는 부위에 합판을 보강하는 합판보강스텝과;
    상기 합판보강스텝에서 전체틀의 틈새의 발생을 합판으로 보강시킨 후 철근을 배근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시키고 콘크리트를 양생시키는 슬라브형성스텝과;
    상기 슬라브형성스텝에서 콘크리트를 양생시킨 후에는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과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20)과 상기 플로우지지수단(30)을 서포팅하는 다수의 서포팅수단(S)중 각 수단(10,20,30)의 모서리부분에 위치된 서포팅수단(S)을 제외하고 상기 서포팅수단(S)들을 철거시키는 서포팅수단철거스텝과;
    상기 서포팅수단철거스텝에서 상기 각 수단(10,20,30)의 모서리부분에만 서포팅수단(S)이 위치되도록 한 후 상기 지게차(100)에 상기 지지수단(50)을 일체화시킨 후 탈착하고자하는 상기 각 수단(10,20,30)에 상기 지지수단(50)을 위치시키고 탈착하고자하는 상기 각 수단(10,20,30)의 모서리부분에 위치된 서포팅수단(S)을 제거시켜서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 혹은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20) 혹은 상기 플로우지지수단(30)을 슬라브로부터 탈거시키는 수단탈거스텝과;
    상기 수단탈거스텝에서 상기 지지수단(50)에 지지된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 혹은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20) 혹은 상기 플로우지지수단(30)에 와이어(W)를 체결시키는 와이어체결스텝과;
    상기 와이어체결스텝에서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 혹은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20) 혹은 상기 플로우지지수단(30)에 와이어(W)를 체결시킨 후에는 상기 지게차(100)를 이송수단(60)의 위치까지 이동시켜서 상기 지지수단(50)이 상기 이송수단(60)의 프레임부(61)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하는 이동스텝과;
    상기 이동스텝에서 상기 지지수단(50)이 상기 이송수단(60)의 프레임부(61)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한 후에는 상기 지게차(100)의 리프터(101)를 하강시켜 상기 지지수단(50)에 재치된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 혹은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20) 혹은 상기 플로우지지수단(30)을 상기 이송수단(60)의 이송부재(63)에 놓여지게 하는 수단재치스텝과;
    상기 수단재치스텝에서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 혹은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20) 혹은 상기 플로우지지수단(30)을 상기 이송수단(60)의 이송부재(63)에 올려 놓은 후에는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 혹은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20) 혹은 상기 플로우지지수단(30)를 크레인으로 리프팅시킬 수 있는 위치까지 상기 이송수단(60)의 이송부재(63)를 이동시키는 이송부재이동스텝과;
    상기 이송부재이동스텝에서 상기 이송수단(60)의 이송부재(63)를 이동시켜서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 혹은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20) 혹은 상기 플로우지지수단(30)을 크레인으로 리프팅시킬 수 있는 위치까지 이동시킨 후에는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 혹은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20) 혹은 상기 플로우지지수단(30)에 걸려진 와이어(W)에 크레인의 와이어를 결속시켜 상부층으로 리프팅시키는 리프팅스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틀형성스텝은,
    상기 지게차(100)의 리프터(101)에 설치된 상기 지지수단(50)의 상부에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 혹은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20) 혹은 상기 플로우지지수단(30)을 올려 놓고 상기 지게차(100)의 리프터(101)를 적정위치까지 리프터시키는 단계와;
    상기 지게차(100)의 리프터(101)를 적정위치까지 리프팅시켜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 혹은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20) 혹은 상기 플로우지지수단(30)을 적정위치에 위치시킨 후에는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 혹은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20) 혹은 상기 플로우지지수단(30)의 보강부재(14,24,34)의 모서리부분에 서포팅수단(S)을 위치시켜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 혹은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20) 혹은 상기 플로우지지수단(30)을 가고정시키는 단계와;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 혹은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20) 혹은 상기 플로우지지수단(30)의 어느 하나를 가고정시킨 후 다른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 혹은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20) 혹은 상기 플로우지지수단(30)을 상기 지게차(100)로서 위치조정하여 위치시킨 후 상기 보 및플로우지지수단(10) 혹은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20) 혹은 상기 플로우지지수단(30)의 결속플레이트(2)가 일치되도록 하고 상기 결속플레이트(2)의 구멍에 결속핀을 설치하여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과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20)과 상기 플로우지지수단(30)을 서로 결합하여 전체틀이 되도록 구성하는 단계와;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과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20)과 상기 플로우지지수단(30)을 서로 결합하여 전체틀이 되도록 구성한 후에는 콘크리트를 타설할 경우 콘크리트의 중량을 견딜 수 있도록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과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20)과 상기 플로우지지수단(30)의 보강부재(14,24,34)의 하면에 다수의 서포팅수단(S)을 설치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틀형성스텝에서,
    전체틀이 다소 틀리거나 레벨을 조정하고자할 경우에는 상기 보 및 플로우지지수단(10)과 상기 기둥주위지지수단(20)과 상기 플로우지지수단(30)의 위치조절플레이트(3)에 턴버클(T)을 장착하여 전체틀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스텝에서,
    상기 지지수단(50)의 최대의 폭(M1)은 상기 프레임부(61)의 좌우의 내측의 폭(C)보다 적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수단(50)의 높이는 상기 프레임부(61)의 높이(D)보다도 낮게 형성되므로서, 상기 지지수단(50)은 보다 용이하게 상기 프레임부(61)의 내부에 위치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방법.
KR1020030016604A 2003-03-17 2003-03-17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100599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6604A KR100599059B1 (ko) 2003-03-17 2003-03-17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장치 및 그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6604A KR100599059B1 (ko) 2003-03-17 2003-03-17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장치 및 그 설치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8663U Division KR200337465Y1 (ko) 2003-09-05 2003-09-05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9571A true KR20030029571A (ko) 2003-04-14
KR100599059B1 KR100599059B1 (ko) 2006-07-14

Family

ID=29578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6604A KR100599059B1 (ko) 2003-03-17 2003-03-17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장치 및 그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905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3460A (ko) * 2016-11-11 2018-05-23 삼성물산 주식회사 중공슬래브용 일체형 팰럿 타입의 슬래브 거푸집유닛, 이를 이용한 중공슬래브용 팰럿 타입 테이블폼 및 중공슬래브 시공방법
US10738488B2 (en) 2012-07-27 2020-08-11 Yeow Khoon Tan Lift truck operated stacking formwork table system and a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20200113901A (ko) * 2019-03-27 2020-10-07 다스코 주식회사 기둥 상단부에 드롭판넬이 형성된 무량판 구조의 시공방법
CN115822224A (zh) * 2022-12-03 2023-03-21 江苏速捷模架科技有限公司 一种围护系统施工平台模块的框架梁单元
CN115822320A (zh) * 2022-11-07 2023-03-21 河北工程大学 一种建筑结构设计楼面梁加固结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236B1 (ko) * 2014-03-11 2014-12-09 호리코리아 주식회사 건축용 슬라브 폼 지지부재의 이송장치
KR102277159B1 (ko) 2019-07-08 2021-07-14 주식회사 폼웍스 철근콘크리트 건축 구조물의 슬래브 성형을 위한 존치 서포트 유닛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0745B2 (ko) * 1973-08-09 1980-03-18
JPS5535551B2 (ko) * 1973-08-09 1980-09-13
GB1561488A (en) * 1975-12-17 1980-02-20 Enor Nominees Pty Ltd Load transporter
US4585204A (en) * 1984-05-14 1986-04-29 Parker Lawrence A Concrete forming system
KR950011366B1 (ko) * 1992-06-04 1995-10-02 김종부 슬라브 타설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폼테이블
JPH1162245A (ja) * 1997-08-12 1999-03-05 Saburo Muraki 足場パネルの架設方法及び足場パネルの支持装置
JP2003026397A (ja) * 2001-07-13 2003-01-29 Shimizu Corp 梁システム型枠取付用リフター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38488B2 (en) 2012-07-27 2020-08-11 Yeow Khoon Tan Lift truck operated stacking formwork table system and a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20180053460A (ko) * 2016-11-11 2018-05-23 삼성물산 주식회사 중공슬래브용 일체형 팰럿 타입의 슬래브 거푸집유닛, 이를 이용한 중공슬래브용 팰럿 타입 테이블폼 및 중공슬래브 시공방법
KR20200113901A (ko) * 2019-03-27 2020-10-07 다스코 주식회사 기둥 상단부에 드롭판넬이 형성된 무량판 구조의 시공방법
CN115822320A (zh) * 2022-11-07 2023-03-21 河北工程大学 一种建筑结构设计楼面梁加固结构
CN115822320B (zh) * 2022-11-07 2023-10-27 河北工程大学 一种建筑结构设计楼面梁加固结构
CN115822224A (zh) * 2022-12-03 2023-03-21 江苏速捷模架科技有限公司 一种围护系统施工平台模块的框架梁单元
CN115822224B (zh) * 2022-12-03 2023-12-26 江苏速捷模架科技有限公司 一种围护系统施工平台模块的框架梁单元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9059B1 (ko) 2006-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94965A (en) Precast building construction
US5730245A (en) Safety cable deck anchor
CN109707173B (zh) 装配式叠合梁板安装辅助装置的施工方法
WO2016085187A1 (ko) 트러스거더 고정용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와 트러스거더 간의 결합구조
US20040261326A1 (en) Rectangular tilt-up concrete tank construction
KR20180045140A (ko) 고정작업이 필요없는 무해체 보 거푸집과 데크 플레이트의 결합구조
KR100599059B1 (ko)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101941942B1 (ko) 교량의 캔틸레버 슬래브와 방호벽 시공을 위한 일체형 거푸집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캔틸레버 슬래브와 방호벽 시공방법
KR101176846B1 (ko) 보의 내력 강화구조를 갖는 공작물
KR100484512B1 (ko) 콘크리트 벽체와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의 시공 방법
CN108842933B (zh) 一种塔吊洞口封堵方法
KR200337465Y1 (ko) 건축물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장치
KR101728161B1 (ko)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 가설용 평탄패드 및 이를 이용한 천장거푸집 시공구조
JP3945668B2 (ja) コンクリート橋脚の構築方法
JP6909000B2 (ja) 重機支持機構
KR101360287B1 (ko) 조립식 갱폼
KR100788000B1 (ko) 타워크레인 설치용 빔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258841B1 (ko) 교량의 프리캐스트 바닥판 시공 방법
JPH0657710A (ja) コンクリート主塔の築造方法
KR100715695B1 (ko) 피씨빔 교량용 슬라브 거푸집장치
JP2004308155A (ja) Pc板の吊込み方法と吊り治具
KR101702957B1 (ko) 테이블 거푸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
JP3032052U (ja) 橋脚補強工事の施工装置
JPH0681463A (ja) 階段の構築方法
KR102488965B1 (ko) 데크플레이트 지지용 거푸집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4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