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8078A -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 - Google Patents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8078A
KR20030028078A KR1020010060009A KR20010060009A KR20030028078A KR 20030028078 A KR20030028078 A KR 20030028078A KR 1020010060009 A KR1020010060009 A KR 1020010060009A KR 20010060009 A KR20010060009 A KR 20010060009A KR 20030028078 A KR20030028078 A KR 200300280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ustomer
server
service
identification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0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재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한재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한재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to KR1020010060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28078A/ko
Publication of KR20030028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807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3/0297Forms or constructions including a machine-readable marking, e.g. a bar cod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의 운영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각 고객이 오프라인 상의 각종 제품(특히, 가전 제품) 판매 업체 혹은, 서점을 쇼핑하는 과정에서 관심 대상 제품이나 서적에 대한 정보의 요청이 이루어질 경우 해당 제품 혹은, 서적에 대한 간략 정보를 해당 고객의 이동 단말기를 통해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각 고객으로부터 서비스 요청이 접수될 경우 해당 고객의 단말기를 통해 요청 대상 서적의 고유 식별 코드를 전송받는 단계; DB 서버로부터 상기 전송받은 고유 식별 코드를 검색하여 해당 고유 식별 코드에 대응되는 서적에 대한 각종 간략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취득한 정보를 메시지화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화된 정보를 해당 고객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가 포함되어 운영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 방법을 제시한다.

Description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service system for providing of informa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모바일 폰 등의 개인용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각 고객이 오프라인 상에서 특정 가전 제품이나 서적에 대한 정보를 원할 경우 해당 제품 혹은, 서적의 간략 정보를 해당 고객의 모바일 폰으로 전송하도록 한 서비스 시스템 및 이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 기술의 발달로 인해 각종 정보의 신속한 검색 및 취득이 가능해졌다.
특히, 현재에는 온라인 상을 통해 각종 서적의 판매를 위한 서비스가 제공되어 고객은 굳이 각 가전 제품 판매를 위한 대리점이나 각종 서적의 판매를 위한 서점 등에 직접 방문하지 않더라도 원하는 제품 혹은, 서적의 구입이 가능하게 되었다.
하지만, 통상적의 고객은 쇼핑을 즐기기 좋아하고, 특정 제품 혹은, 서적을구입하고자 목적하지 않는 이상 온라인 상에서 고객 자신의 취향에 맞는 제품이나 서적을 검색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예컨대, 서적을 구입하고자 하는 의향은 있으나 소설 종류 혹은, 수필 종류 및 시 등과 같이 다양한 분류별로의 선택은 미연에 하지 않는 경우가 많이 있다.
그러나, 온라인 상에서의 서적 선택은 반드시 고객에게 서적의 분류를 고르도록 요구함으로써 서적 검색의 편리함을 제공하려고 하였으나 이는, 고객의 선택 여지를 좁게 할 뿐 아니라 고객이 쉽게 서적을 구입하도록 유도하지는 못하여 결국, 많은 고객이 다시금 오프라인 상의 서점을 방문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하지만, 이러한 서점 방문시 각 고객이 특히 불만스러워 하는 부분이 특정 서적에 대한 내용을 전체적으로 읽어보지 않는 이상 알 수 없음에 따라 서적의 선택에 따른 어려움이 있었고, 그 시간 역시 상당히 소요될 수 밖에 없음에 따른 고객 불만의 유발과 같은 문제점이 다시금 발생하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가전 제품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고객이 오프라인 상의 각 대리점을 쇼핑하는 과정에서 특정 제품의 기능이나 소비 전력 등을 알고자 할 경우 해당 대리점에 근무하는 종업원 등에 문의를 하여야만 하였던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현재에는 온라인 상에서의 정보 제공 및 오프라인 상에서의 제품 혹은, 서적 선택에 따른 고객의 만족도 향상을 위한 서비스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고객에게 오프라인 상에서의 자유로운 제품 혹은, 서적 선택에 따른 즐거움을 제공함과 더불어 해당 제품이나 서적의 정보 제공이 해당 고객의 단말기를 통해 즉각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객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구매 의향을 활성화시킬 수 있도록 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에 따른 개략적인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3 은 본 발명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 과정 중 서비스 요청을 접수받는 과정의 일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4 는 본 발명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 과정 중 고객이 입력한 특정 서적의 고유 식별 코드에 대응되는 서적 정보를 검색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5 는 본 발명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 과정 중 서비스 요청을 접수하기 위해 고객 단말기가 동작되는 과정의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7 은 본 발명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 과정 중 고객이 지정한 위치로의 정보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DB 서버 200. 서비스 서버
300. 정보 전송 서버 400. 고객 단말기, 모바일 폰
410. 코드 전송 프로그램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서적 관련 각종 정보가 해당 서적별로 분류되어 데이터 베이스화된 데이터 베이스 서버(DB 서버)와; 상기 DB 서버와 정보 공유가 가능한 상태로써 각 서비스 요청 고객의 단말기 정보 및 요청 서적에 대한 고유 식별 코드를 취득하고, 이 취득한 정보에 대응하는 기 저장된 정보를 상기 DB 서버로부터 추출하는 서비스 서버와;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한 제어를 받으며, 해당 고객에게 전송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전달받아 해당 고객에게 전송하는 정보 전송 서버와; 각 문서 혹은, 서적에 대한 고유 식별 코드를 서비스 서버로 제공할 수 있도록 식별 코드 판독부가 구비된 고객 단말기:가 포함되어 구축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한 시스템을 이용한 본 발명의 운영 방법으로 각 고객으로부터 서비스 요청이 접수될 경우 해당 고객의 단말기를 통해 요청 대상 서적의 고유 식별 코드를 전송받는 단계; DB 서버로부터 상기 전송받은 고유 식별 코드를 검색하여 해당 고유 식별 코드에 대응되는 서적에 대한 각종 간략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취득한 정보를 메시지화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화된 정보를 해당 고객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가 포함되어 진행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각종 제품에 관련된 정보가 해당 제품의 고유 식별 코드별로 분류되어 데이터 베이스화된 데이터 베이스 서버(DB 서버)와; 상기 DB 서버와 정보 공유가 가능한 상태로써 각 서비스 요청 고객의 단말기 정보 및 요청 제품에 대한 고유 식별 코드를 취득하고, 이 취득한 정보에 대응하는 기 저장된 정보를 상기 DB 서버로부터 추출하는 서비스 서버와;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한 제어를 받으며, 해당 고객에게 전송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전달받아 해당 고객에게 전송하는 정보 전송 서버와; 각 제품에 대한 고유 식별 코드를 서비스 서버로 제공할 수 있도록 식별 코드 판독부가 구비된 고객 단말기:가 포함되어 구축된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한 시스템을 이용한 본 발명의 운영 방법으로 각 고객으로부터 서비스 요청이 접수될 경우 해당 고객의 단말기를 통해 요청 대상 제품의 고유 식별 코드를 전송받는 단계; DB 서버로부터 상기 전송받은 고유 식별 코드를 검색하여 해당 고유 식별 코드에 대응되는 제품에 대한 각종 간략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취득한 정보를 메시지화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화된 정보를 해당 고객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가 포함되어 진행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 및 방법에 따른 각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시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나타낸 구성도이다.
즉, 본 발명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은 서적 관련 각종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 서버(Data Base server;이하 “DB 서버”)(100)와, 상기 DB 서버와 연계된 상태로써 서적에 관련된 정보 제공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서버(200)와, 상기 서비스 서버의 제어를 받아 각종 정보를 고객에게 전송하는 정보 전송 서버(300)와, 서적 관련 정보의 요청을 위해 각 고객이 가지는 고객 단말기(400)로 크게 구성된다.
이 때, 상기 DB 서버(100)에 저장되는 서적 관련 각종 정보라 함은 고유 식별 코드별 서적의 줄거리, 고유 식별 코드별 서적의 저자 정보 및 관련 서적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DB 서버(100)와 연계된 상태로 상호간의 정보 공유가 가능하며, 각 서비스 요청 고객의 단말기(400) 정보 및 요청 서적에 대한 고유 식별 코드를 취득하고, 이 취득한 정보에 대응하는 기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DB 서버(100)로부터 추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정보 전송 서버(300)는 상기 서비스 서버(200)에 의한 제어를 받고, 해당 고객에게 전송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전달받아 해당 고객에게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각종 데이터 파일을 온라인 상을 통해 대상 고객의 단말기(400)로 전달하기 위한 메일 서버(Mail server)이거나, 각종 문자 데이터를 온라인 상을 통해 대상 고객의 단말기로 전달하기 위한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서버(Short Message Service Server)가 될 수 있다.
그리고, 고객 단말기(400)는 각 문서 혹은, 서적에 대한 고유 식별 코드를 서비스 서버로 전송할 수 있도록 온라인 접속이 가능하며, 문자 메시지나 메일의 수신이 가능한 단말기로써 통상적인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혹은, 이동 통신 단말기 등과 같은 모바일 폰임을 제시한다.
이하, 전술한 본 발명의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에 따른 서비스 수행 과정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 2의 순서도 내지 도 4의 순서도를 참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DB 서버(100)는 각 서적 관련 출판 업체 혹은, 여타의 서적 관련 업체로부터 신간 및 구간 서적에 대한 각종 정보를 취득하여 그 코드별로 등록함과 더불어 지속적인 업데이트를 수행한다.
이 때, 상기 각 서적에 대한 각종 정보라 함은 각 서적별 ISBN 코드 및 ISSN 코드와, 상기 각 코드별 서적의 줄거리 혹은, 요약 내용, 저자 정보, 관련 서적 정보 등이 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각 서적 관련 업체 예컨대, 출판 업체에서 상기한 각종 서적 관련 내용이 보관되어 있음을 고려할 때 상기 출판 업체로부터 해당 자료를 지속적으로 전송받아 업데이트 하도록 함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한 정보 등록 과정이 진행되는 도중 특정 고객이 오프라인 상의 어느 한 서점을 방문하여 쇼핑을 수행하다가 특정 서적에 대한 내용 특히, 줄거리를 알고자 할 경우 해당 서적에 기입되어 있는 고유 식별 코드를 확인함과 더불어 이 확인된 식별코드를 고객의 모바일 폰(400)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한다.
이 때, 상기 특정 서적에 기입된 해당 서적별 고유 식별 코드는 바코드와 ISBN 혹은 ISSN 등이 될 수 있다.
상기에서 ISBN 코드는 통상적인 단행본 혹은, 전문서적이나 소설 등과 같은 서적의 표준 규격을 위한 국제 표준 도서번호이고, ISSN 코드는 잡지 등과 같은 간행물의 식별을 위한 표준기호로서 숫자로 이루어져 있음에 따라 그 입력이 용이하다.
그리고, 상기에서 바코드는 해당 서적에 대한 가격 등의 정보를 위해 각 서점별로 서로 다르게 지정될 수 있을 뿐 아니라 해당 바코드에 따른 해당 서적 정보의 분류별 정보를 지정하기에는 많은 무리가 있음에 따라 통상적으로 각 서적의 고유 표준 코드로 사용하는 ISBN 및 ISSN으로만 입력을 받도록 함을 제시한다.
하지만, 바코드가 반드시 사용될 수 없는 것은 아니며, 전술한 바와 같이 각 바코드별로의 서적 정보가 각 출판업체마다 통일화된다면 고객의 모바일 폰(400)을 바코드 리더기로 사용할 수 있는 현재 기술을 고려할 때 바람직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과정에서 고객이 ISBN 혹은, ISSN 코드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우선 해당 고객의 모바일 폰(400)을 상기 고유 식별 코드의 입력을 위한 상황으로 유지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해당 고객은 자신의 모바일 폰을 온라인 접속시킨 상태로써 본 발명의 서비스 서버(200)에 연결한 후 서비스 요청을 하여야 하고, 이의 경우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고객의 서비스 요청에 응답하여 대상 서적의 고유 식별 코드를 입력하도록 요청하는 화면을 해당 고객의 모바일 폰(400)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따라서, 고객은 원하는 서적에 대한 ISBN 혹은, ISSN 코드를 상기 모바일 폰(400)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된 입력창에 입력한 후 정보 요청을 선택함으로써 해당 코드는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된다.
상기 과정에 의해 전송된 각종 정보를 수신하게 되는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수신된 코드 정보 및 해당 고객의 모바일 폰(400)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여 서비스 요청 내역에 등록한 후 도시한 도 4의 순서도와 같이 각 요청 내역별로 정보 제공을 위한 해당 코드의 분류별 검색을 수행한다.
이 때, 상기 각 코드의 분류는 ISBN 및 ISSN 상호간 코드의 자릿수가 상이함을 고려할 때 고객이 단순히 해당 코드만 입력하더라도 서비스 서버(200)는 해당 코드의 자릿수 확인을 통해 입력된 코드가 ISBN 코드인지 혹은 ISSN 코드인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고객이 입력한 고유 식별 코드의 자릿수가 10자리일 경우 ISBN으로 인지하고, 상기 고객이 입력한 고유 식별 코드의 자릿수가 8자리일 경우 ISSN으로 인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과정에서 고객이 입력한 고유 식별 코드가 ISBN으로 판독될 경우 서비스 서버(200)는 DB 서버(100)에 분류 저장된 ISBN 코드로부터 상기 고객이 입력한 고유 식별 코드에 대응되는 서적의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고객이 입력한 고유 식별 코드가 ISSN으로 판독될 경우 서비스 서버(200)는 DB 서버(100)에 분류 저장된 ISSN 코드로부터 상기 고객이 입력한 고유 식별 코드에 대응되는 서적에 대한 정보를 검색한다.
이 때, 상기 ISBN 코드에 대한 서적의 정보는 통상 해당 서적의 개략적인 줄거리나, 그 이외에도 해당 서적의 저자에 대한 정보, 관련 서적 정보 등이 해당되며, ISSN 코드에 대한 서적의 정보는 해당 서적의 주요 내용 제목 및 이의 간략 정보 등이 해당된다.
그리고, 서비스 서버(200)는 전술한 각 과정을 거치면서 취득한 해당 서적에 대한 각 정보를 정보 전송 서버(300)로 전달하여 해당 고객의 모바일 폰(400)으로 전송하도록 제어는데, 이 때의 전송 방법으로는 각 이동통신 업체에서 제공하는 통상적인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Short Message Service)를 이용하거나 혹은, 전자 메일 서비스(E-Mail Service)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 때, 상기 SMS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은 송신할 수 있는 문자의 수가 제한되어 있음으로써 개략적인 해당 서적의 소개 정도와 같은 간단한 내용일 경우 사용함이 적합하며, 이를 위한 정보 전송 서버(300)의 운영 과정은 DB 서버(100)로부터 취득한 정보를 해당 고객의 이동통신 업체에서 제공하는 SMS의 전송 형식(예컨대, 문자 30자 이내, 영문 60자 이내, 용량이 60byte 이내 등)에 맞게 상기 취득 정보를 문자화하고, 전송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 입력란에 해당 고객의 모바일 폰(400)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전송을 수행함으로써 진행된다.
상기 고객의 모바일 폰(400) 전화번호는 해당 고객이 서비스 가입 신청을 하는 과정에서 혹은, 해당 사이트에 접속하는 로그인 과정에서 취득할 수 있음에 따라 특정한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지칭하지는 않으며, 보다 구체적인 설명 역시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전자 메일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은 서적 정보가 해당 서적에 대한 줄거리 요약 및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자 할 경우 사용함이 적합하며, 본 발명에서도 이를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제시한다.
이 때, 상기 전자 메일을 이용한 정보 제공을 위해 정보 전송 서버(300)는 각 온라인 업체에서 제공하는 전자 메일 서비스의 전송 형식(예컨대, 용량이 1Mbyte 이내 등)에 맞게 DB 서버(100)로부터 취득한 정보를 변경하고, 전송 대상 메일 계정의 입력란에 기 취득한 해당 고객의 메일 계정을 입력한 후 전송을 수행함으로써 진행된다.
상기 전송 대상 고객의 메일 계정 역시 기 전술한 해당 고객의 모바일 폰(400)에 대한 전화번호를 취득하는 과정과 동일하게 수행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전자 메일 서비스는 개인의 PC로 전송하는 통상적인 온라인 업체에서 제공하는 전자 메일 서비스가 될 수도 있지만 고객의 모바일 폰(400)을 통해서도 제공되는 전자 메일 서비스로 수행함이 보다 바람직하며, 이를 위한 고객의 메일 계정은 상기 고객의 모바일 폰(400)으로 해당 메일을 수신할 수 있도록 지정된 계정이어야 한다.
결국, 전술한 각 과정을 통해 고객은 오프라인 상에서 선택한 서적에 대한 줄거리 정보 혹은, 해당 서적에 관련된 정보를 굳이 해당 서적을 직접 살펴보지 않더라도 자신의 모바일 폰을 통해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서비스를 수행하는 과정 중 고객이 서비스를 요청하는 과정은 반드시 고객의 모바일 폰(400)이 본 발명 서비스 서버에 온라인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서비스를 요청하여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이는, 상기 서비스 요청을 위한 장시간의 온라인 접속에 따른 서비스 비용의 과도한 소모가 발생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여타의 작업(예컨대, 전화 통화나 데이터 통신 서비스 등)을 수행하지 못할 수 있음으로써,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고객이 필요로하는 경우에만 순간적인 온라인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고객의 서비스 활용을 적극적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함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고객의 모바일 폰(400)에 각 서적의 바코드 혹은, 국제표준 도서번호(ISBN) 코드 및 축차(逐次) 간행물(刊行物) 식별을 위한 표준기호(ISSN) 코드 등의 고유 식별 코드를 입력받아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코드 전송 프로그램(410)이 설치됨을 제시한다.
이 때, 상기 코드 전송 프로그램(410)은 고객의 실행 명령에 의해 해당 고객의 모바일 폰(400) 화면상에 고유 식별 코드의 입력을 위한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고, 이 입력이 완료되어 전송 선택이 이루어질 경우 서비스 서버(200)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호(號)를 개통함과 더불어 상기 서비스 서버(200)로 입력된 고유 식별 코드 및 회신 전화번호를 전송한 후 상기 통신호를 단절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도시한 도 5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우선, 고객은 오프라인 상의 서점에서 각종 서적을 구경하는 과정 중 특정서적에 대한 줄거리를 알고자 할 경우 자신의 모바일 폰(400)에 설치된 서적 관련 정보 서비스를 위한 코드 전송 프로그램(410)을 실행시켜 상기 모바일 폰(400)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고유 식별 코드 입력창에 해당 서적의 고유 식별 코드를 입력한다.
이 때, 입력하는 고유 식별 코드는 바코드가 될 수 있고, ISBN 코드나 ISSN 코드 등이 될 수 있으며, 고객은 단지 숫자만을 정확히 입력한다면 고객의 모바일 폰(400)에 설치된 코드 전송 프로그램(410)이 해당 숫자의 코드 정보를 판독한다.
이의 상태에서 고객이 서비스 요청을 수행할 경우(예컨대, 화면상의 서비스 요청 버튼을 선택할 경우) 상기 코드 전송 프로그램(410)은 해당 고객의 모바일 폰(400) 통신호와 서비스 서버(200)가 운영하는 온라인 상의 사이트 접속호를 상호 개통시킨 후 상기 서비스 서버(200)로 해당 고유 식별 코드 및 고객의 모바일 폰(400) 정보를 전송한다.
이 때, 상기 고유 식별 코드 및 고객의 모바일 폰(400)에 대한 정보 전송은 통상적인 SMS 서비스를 이용함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상기 과정에 의해 정보 데이터의 전송이 완료되면 코드 전송 프로그램(410)은 해당 고객 모바일 폰의 통신호를 차단함과 더불어 고객의 중지 요청이 있기 전까지 계속적인 관심 대상 서적의 고유 식별 코드 입력을 위한 동작을 연속적으로 수행한다.
상기한 과정에서 반드시 상기 코드 전송 프로그램(410)이 해당 코드의 분류를 파악하여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기 전술한 일 실시예에서처럼 서비스서버(200)가 전송된 숫자의 자리수를 확인한 후 해당 서적 분류를 판독하도록 설정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은 반드시 컨텐츠 대상이 서적인 것으로만 한정하지는 않는다.
즉, 각종 가전 제품의 정보 제공을 위한 서비스에도 적용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한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기하는 바와 같다.
우선, 각종 전자 제품의 정보를 각 정보 요청 고객에게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은 기 전술한 일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다.
단지, 정보 제공 대상이 서적이 아닌 제품임에 따라 DB 서버(100)는 각종 제품에 관련된 정보가 해당 제품의 고유 식별 코드별(특히, 바코드별)로 분류되어 저장하고 있고,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DB 서버와 정보 공유가 가능한 상태로써 각 서비스 요청 고객의 단말기 정보 및 요청 제품에 대한 고유 식별 코드를 취득함과 더불어 이 취득한 정보에 대응하는 기 저장된 정보를 상기 DB 서버로부터 추출하여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고객의 단말기(400)에는 상기 각 제품에 대한 고유 식별 코드를 서비스 서버로 제공할 수 있도록 식별 코드 판독부(도시는 생략함)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고객의 단말기(400)에 구비되는 식별 코드 판독부는 통상적인 각종 제품에 부착된 바코드를 판독하여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하기 위한 바코드 리더기이고, 상기 고객의 단말기는 상기 바코드 리더기를 통해 판독한 고유 식별 코드를 서비스 서버로 전송할 수 있도록 온라인 접속이 가능하며, 문자 메시지나메일의 수신이 가능한 단말기로써 통상적인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혹은, 이동 통신 단말기 등과 같은 모바일 폰임을 제시한다.
또한, 전술한 구성 이외에도 기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전송 서버 역시 상기 구성과 함께 구비되어 구축되며, 이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해 도시한 도 6 및 도 7의 순서도를 참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우선, DB 서버(100)는 각 가전 제품의 제조 업체나 판매 업체 혹은, 해당 가전 제품을 평가하는 온라인 상의 업체가 운영하는 네트워크 등으로부터 각 가전 제품에 관련된 각종 정보를 취득하여 바코드별로 등록함과 더불어 지속적인 업데이트를 수행한다.
이 때, 상기 가전 제품에 관련된 각종 정보라 함은 각 제품별 제품 번호, 제품명, 제조일자, 성능 및 연관 제품 등에 대한 정보가 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여타 고객이 해당 제품을 사용한 후 평가한 내용 등이 추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특정 고객이 오프라인 상의 각 가전 대리점 등과 같은 업소를 방문하여 쇼핑을 수행하다가 특정 가전 제품에 관해 보다 구체적으로 알고 싶을 경우 해당 업소의 종업원에게 문의하지 않고, 상기 전자 제품에 기록된 바코드를 해당 고객의 모바일 폰(400)에 구비된 바코드 리더기로 읽어 이 판독된 내용을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한다.
이는, 상기 고객의 모바일 폰(400)에 바코드 리더기의 기능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 이 바코드 리더기로 읽어 들인 데이터를 해당 서비스 서버(200)가 온라인 상에서 가지는 주소(예컨대, 서비스 서버의 ID 혹은, URL)로 전송하도록 프로그래밍 함으로써 가능하다.
이 때, 상기 서비스 서버(200)의 온라인 주소로 전송하는 정보는 반드시 특정 제품의 바코드 정보뿐이 아니라 해당 고객의 모바일 폰(400)에 대한 정보(전화번호 혹은, 해당 모바일 폰의 ID)도 함께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과정을 통해 고객으로부터 바코드의 판독정보를 전송받게 되는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전송받은 바코드 데이터를 확인함과 더불어 DB 서버(100)로부터 해당 바코드에 대응되는 제품의 정보를 검색하여 이 검색 결과 확인된 정보를 취득한 후 해당 고객의 모바일 폰으로 전송하기 위한 가공을 수행한다.
이 때의 가공이라 함은 E-mail 서비스 혹은, SMS 서비스의 전송 형식에 맞게 해당 정보를 문자화하는 과정을 말하며, 상기 문자화되는 정보는 해당 제품명(예컨대, 세탁기, 청소기 등), 모델명(혹은, 제품 번호), 제조 년월일, 사용 용도(예컨대, 세탁시 사용 혹은, 청소시 사용 등), 제품 특징(예컨대, 소비 전력 등급, 특징적인 기능 등), 해당 제품의 소비자 가격, 여타 고객이 해당 제품을 사용한 후 평가 내용 및 관련 제품 정보 등이 포함된다. 하지만, 반드시 상기한 내역의 정보만을 해당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해당 고객이 해당 제품에 대한 구매 선택을 보다 원활히 할 수 있도록 각 온라인 혹은, 해당 제품의 판매 업체별 판매 가격을 비교한 정보 등을 추가로 제공함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후, 서비스 서버(200)는 E-mail 서비스 혹은, SMS 서비스 중 어느 하나의 서비스를 선택한 상태로써 해당 고객의 모바일 폰(400) 전화번호(혹은, ID)를 입력함과 더불어 상기와 같이 가공한 정보를 첨부하여 해당 고객의 모바일 폰으로 전송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고객은 자신의 모바일 폰을 통해 수신받은 해당 제품의 상세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제품에 대한 구매 선택을 보다 쉽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 DB 서버(100)로부터 취득한 정보를 해당 고객에게 제공하는 방법이 반드시 해당 고객의 모바일 폰(400)으로만 전송할 수 있도록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해당 고객이 웹상에서 가지는 E-mail 계정으로도 선택적인 전송이 가능하도록 설정함으로써 상기 고객이 PC를 이용하여 자신의 E-mail 계정으로 수신받은 해당 제품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의 경우 해당 고객은 오프라인 상의 각 대리점 혹은, 업체를 방문하여 단순히 쇼핑만을 즐기면 되고, 이러한 쇼핑 중 마음에 드는 제품 혹은, 관심이 있는 제품은 해당 고객의 모바일 폰이 가지는 바코드 리더기의 기능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서버로 해당 제품의 바코드를 읽어 전송함으로써 추후, 필요할 경우 자신의 E-mail 계정으로 수신된 각 제품의 정보를 확인하면 됨으로써 그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수신 대상 위치(예컨대, 모바일 폰의 전화번호, 모바일폰의 E-mail계정, 웹상의 E-mail 계정 등)의 선택은 해당 고객이 자신의 모바일 폰(400)을 이용하여 특정 제품의 바코드를 읽었을 경우 수신 대상 위치의 선택이 이루어지도록 설정할 수 있고, 최초 해당 고객이 정보 제공을 받기 위해 본 발명의 서비스 서버(100)가 운영하는 웹사이트에 서비스 가입을 하는 과정에서 수신 대상 위치를 미리 선택해 두도록 함으로써 단순히 바코드를 읽기만 하면 기 설정된 수신 대상 위치로 해당 정보가 수신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과정은 도시한 도 7의 순서도와 같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의 운영 방법은 오프라인 상의 서점 등에서 서적을 선택하는 고객에게 상기 서적을 직접 읽어보고 그 내용을 파악하지 않더라도 해당 서적이 어떠한 줄거리를 가지며, 어떠한 정보가 포함된 서적인지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정보 제공을 위한 서비스를 수행함으로써 고객 만족도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고객 유치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된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한 방법을 각 제품에도 적용하였을 경우 오프라인 상의 쇼핑 도중 관심 대상 제품에 대한 정보를 여타의 종업원 등에게 직접 묻지 않더라도, 즉시 혹은, 필요할 경우 해당 제품에 대한 정보의 확인이 가능함으로써 고객의 만족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 효과가 있다.

Claims (25)

  1. 서적 관련 각종 정보가 해당 서적별로 분류되어 데이터 베이스화된 데이터 베이스 서버(DB 서버)와;
    상기 DB 서버와 정보 공유가 가능한 상태로써 각 서비스 요청 고객의 단말기 정보 및 요청 서적에 대한 고유 식별 코드를 취득하고, 이 취득한 정보에 대응하는 기 저장된 정보를 상기 DB 서버로부터 추출하는 서비스 서버와;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한 제어를 받으며, 해당 고객에게 전송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전달받아 해당 고객에게 전송하는 정보 전송 서버와;
    각 문서 혹은, 서적에 대한 고유 식별 코드를 서비스 서버로 제공할 수 있도록 식별 코드 판독부가 구비된 고객 단말기:가 포함되어 구축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고객 단말기에 구비되는 식별 코드 판독부는
    통상적인 각종 상품의 바코드를 판독하여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바코드 리더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고객 단말기에 구비되는 식별 코드 판독부는
    각 서적의 바코드 혹은, 국제표준 도서번호(ISBN) 코드, 축차 간행물 식별을 위한 표준기호(ISSN) 코드 등의 고유 식별 코드를 입력받아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코드 전송 프로그램임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정보 전송 서버는
    각종 데이터 파일을 온라인 상을 통해 대상 고객의 단말기로 전달하기 위한 메일 서버임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정보 전송 서버는
    각종 문자 데이터를 온라인 상을 통해 대상 고객의 단말기로 전달하기 위한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Short Message service) 서버임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6. 각종 제품에 관련된 정보가 해당 제품의 고유 식별 코드별로 분류되어 데이터 베이스화된 데이터 베이스 서버(DB 서버)와;
    상기 DB 서버와 정보 공유가 가능한 상태로써 각 서비스 요청 고객의 단말기 정보 및 요청 제품에 대한 고유 식별 코드를 취득하고, 이 취득한 정보에 대응하는 기 저장된 정보를 상기 DB 서버로부터 추출하는 서비스 서버와;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한 제어를 받으며, 해당 고객에게 전송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전달받아 해당 고객에게 전송하는 정보 전송 서버와;
    각 제품에 대한 고유 식별 코드를 서비스 서버로 제공할 수 있도록 식별 코드 판독부가 구비된 고객 단말기:가 포함되어 구축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고객 단말기에 구비되는 식별 코드 판독부는
    통상적인 각종 상품의 바코드를 판독하여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바코드 리더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정보 전송 서버는
    각종 데이터 파일을 온라인 상을 통해 대상 고객의 단말기로 전달하기 위한 메일 서버임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9. 제 6 항에 있어서,
    정보 전송 서버는
    각종 문자 데이터를 온라인 상을 통해 대상 고객의 단말기로 전달하기 위한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Short Message service) 서버임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10. 각 고객으로부터 서비스 요청이 접수될 경우 해당 고객의 단말기를 통해 요청 대상 서적의 고유 식별 코드를 전송받는 단계;
    DB 서버로부터 상기 전송받은 고유 식별 코드를 검색하여 해당 고유 식별 코드에 대응되는 서적에 대한 각종 간략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취득한 정보를 메시지화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화된 정보를 해당 고객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가 포함되어 운영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서비스 요청을 접수받는 과정은
    온라인 접속한 고객의 단말기로부터 서비스 요청을 접수받는 단계;
    상기 서비스 요청에 응답하여 대상 서적의 고유 식별 코드를 입력하도록 요청하는 화면을 해당 고객의 단말기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된 입력란에 특정 고유 식별 코드의 입력이 완료될 경우 이의 내역을 취득함과 더불어 해당 고객의 단말기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가 순차적으로 진행되어 서비스 요청을 접수받음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고객이 입력한 고유 식별 코드에 대응되는 서적 정보를 DB서버로부터 검색하는 과정은
    상기 고객이 입력한 고유 식별 코드의 자릿수를 확인하여 그 코드의 분류를 판독하는 단계;
    상기 판독한 코드의 분류에 대한 서적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가 포함되어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코드의 분류라 함은 바코드, 국제표준 도서번호(ISBN) 코드, 축차 간행물 식별을 위한 표준기호(ISSN) 코드 등에 따른 서적의 종류에 따른 분류임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 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서비스 요청을 접수받는 과정은
    각 고객이 자신의 단말기를 통해 취득한 특정 서적에 대한 고유 식별 코드를 메일 혹은, 단문 메시지를 통해 서비스 서버로 전송할 경우 서비스 서버는 이 전송받은 고유 식별 코드 데이터를 서비스 요청 대상 서적으로써 지정함과 더불어 상기 데이터와 함께 송신된 회신 번호를 해당 서비스의 요청 고객 단말기 정보로 등록함으로써 서비스 요청을 접수받음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방법.
  15. 제 10 항에 있어서,
    고객의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고유 식별 코드에 대응되는 서적 정보를 DB서버로부터 검색하는 과정은
    상기 전송받은 고유 식별 코드의 자릿수를 확인하여 그 코드의 분류를 판독하는 단계;
    상기 판독한 코드의 분류에 대한 서적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가 포함되어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코드의 분류라 함은 바코드, 국제표준 도서번호(ISBN) 코드, 축차 간행물 식별을 위한 표준기호(ISSN) 코드 등에 따른 서적의 종류에 따른 분류임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 방법.
  17. 제 10 항에 있어서,
    서적에 대한 간략 정보라 함은
    해당 서적의 개략적인 줄거리임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서적에 대한 간략 정보에는
    해당 서적의 개략적인 줄거리 이외에도 저자에 대한 정보, 관련 서적 정보 등이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 방법.
  19. 제 10 항에 있어서,
    DB 서버로부터 취득한 정보를 메시지화하는 과정은
    각 이동통신 업체에서 제공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Short Message service)의 전송 형식에 맞게 상기 취득 정보를 문자화하고, 전송 대상 이동통신 단말기에 해당 고객의 이동통신 단말기 전화번호를 입력함으로써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 방법.
  20. 제 10 항에 있어서,
    DB 서버로부터 취득한 정보를 메시지화하는 과정은
    각 온라인 업체에서 제공하는 전자 메일 서비스(E-Mail service)의 전송 형식에 맞게 상기 취득 정보를 변경하고, 전송 대상 고객의 메일 계정을 입력함으로써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각 온라인 업체에서 제공하는 전자 메일 서비스는 고객의 모바일 폰과 같은이동 단말기에서도 제공되는 서비스이고, 전송 대상 고객의 메일 계정이라 함은 상기 고객의 모바일 폰으로 해당 메일을 수신할 수 있도록 지정된 계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 방법.
  22. 각 고객으로부터 서비스 요청이 접수될 경우 해당 고객의 단말기를 통해 요청 대상 제품의 고유 식별 코드를 전송받는 단계;
    DB 서버로부터 상기 전송받은 고유 식별 코드를 검색하여 해당 고유 식별 코드에 대응되는 제품에 대한 각종 간략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취득한 정보를 메시지화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화된 정보를 해당 고객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가 포함되어 운영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제품에 대한 간략 정보라 함은
    해당 제품의 사용 용도 및 제품 특징을 포함한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제품에 대한 간략 정보에는
    해당 제품의 모델명, 제품명, 제조일자 등에 대한 정보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 방법.
  25. 제 23 항에 있어서,
    제품에 대한 간략 정보에는
    해당 제품의 소비자 가격, 성능, 여타 고객이 해당 제품을 사용한 후 평가한 내용, 해당 제품을 판매하는 각 판매 업체별 판매 가격, 관련 제품 정보 중 최소 어느 하나의 정보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의 운영 방법.
KR1020010060009A 2001-09-27 2001-09-27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 KR200300280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0009A KR20030028078A (ko) 2001-09-27 2001-09-27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0009A KR20030028078A (ko) 2001-09-27 2001-09-27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8078A true KR20030028078A (ko) 2003-04-08

Family

ID=29562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0009A KR20030028078A (ko) 2001-09-27 2001-09-27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2807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2891A (ko) * 2002-07-03 2002-07-31 넥스콘 월드 주식회사 인테넷상에서 개별 아이템코드를 이용한 정보검색서비스방법
KR20030040898A (ko) * 2001-11-16 2003-05-23 조승호 이메일을 통한 도서정보 제공시스템 및 방법과 그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KR100781497B1 (ko) * 2006-05-11 2007-11-30 이승란 개인맞춤서비스의 맞춤코드설정 관리시스템 및 그서비스방법
KR100785092B1 (ko) * 2006-03-30 2007-12-12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이동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0898A (ko) * 2001-11-16 2003-05-23 조승호 이메일을 통한 도서정보 제공시스템 및 방법과 그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KR20020062891A (ko) * 2002-07-03 2002-07-31 넥스콘 월드 주식회사 인테넷상에서 개별 아이템코드를 이용한 정보검색서비스방법
KR100785092B1 (ko) * 2006-03-30 2007-12-12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이동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
KR100781497B1 (ko) * 2006-05-11 2007-11-30 이승란 개인맞춤서비스의 맞춤코드설정 관리시스템 및 그서비스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09015B2 (en) Mobile device gateway providing access to instant information
EP0796471B1 (en) Remote ordering system and method
US20010034659A1 (en) Simplified method and system for e-commerce operable in on-line and off -line modes
CN103493083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和程序
KR20100003102A (ko) 개인 맞춤형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20020046040A1 (e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
KR20090043730A (ko) 채핑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쇼핑몰 서버 및 방법
KR20140039101A (ko) 전자 쿠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10096930A (ko) 개인화된 메뉴추천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20066245A (ko) Qr 코드 또는 스마트 태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30028078A (ko)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이의 운영 방법
KR20020043453A (ko) 식품의 구입·개발지원방법과 구입·개발지원 시스템 및냉장고
KR20220114857A (ko) 무인화 점포를 위한 챗봇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101383A (ko) 판매 정보 제공 장치, 서버 및 그 방법
KR20030009574A (ko) 판매 및 재고 관리 기능을 갖는 인터넷 쇼핑몰 시스템 및그 방법
KR100420576B1 (ko) 물품에 새겨진 아이디를 이용한 메시지전송방법
KR20010108810A (ko) 상품모델 식별코드를 이용한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
JP2003337908A (ja) Posサーバとwebサーバによる情報提供方法及びposサーバとwebサーバによる情報提供装置
EP1205866A1 (en) Disseminating consumer information
JP2003085449A (ja) バーコード会員情報管理システム、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での処理をコンピュータに行なわ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JP6535521B2 (ja) 商品販売支援システム
JP2002108740A (ja) 商品情報提供システム
KR100461755B1 (ko) 인터넷을 이용한 상품주문 접수 시스템
KR101529774B1 (ko) 온라인 마켓팅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50041851A (ko) 검색 엔진을 이용한 물품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