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7103A - 2-피리디닐-6,7,8,9-테트라히드로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및7-피리디닐-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유도체 - Google Patents

2-피리디닐-6,7,8,9-테트라히드로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및7-피리디닐-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유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7103A
KR20030027103A KR10-2003-7003062A KR20037003062A KR20030027103A KR 20030027103 A KR20030027103 A KR 20030027103A KR 20037003062 A KR20037003062 A KR 20037003062A KR 20030027103 A KR20030027103 A KR 200300271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yridin
pyrimido
tetrahydro
group
pyrimid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3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00250B1 (ko
Inventor
안토니오 알마리오가르시아
티에리 갈레
아드리엥 타끄 리
알리스타이 로헤아트
세브린느 마귀에리
알랭 네델렉
무라드 사뒤
필리프 예셔
Original Assignee
사노피-신델라보
미쯔비시 웰파마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EP00402410A external-priority patent/EP1184383A1/en
Priority claimed from EP00402412A external-priority patent/EP1184385A1/en
Application filed by 사노피-신델라보, 미쯔비시 웰파마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사노피-신델라보
Publication of KR20030027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71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0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02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8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 C07D48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87/04Ortho-condens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9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4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baldness or alopec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3/00Anaesthetics
    • A61P23/02Local anaesth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2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peripheral neuropath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normal movements, e.g. chorea, dyskinesia
    • A61P25/16Anti-Parkinson dr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8Antipsychotics, i.e. neuroleptics; Drugs for mania or schizophre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2Anxi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4Antidepress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6Psychostimulants, e.g. nicotine, coca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61P27/06Antiglaucoma agents or m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61P35/02Antineoplastic agents specific for leukem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iabetes (AREA)
  • Psychiat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He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Obesity (AREA)
  • Anesthes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Onc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docrinology (AREA)
  • Psych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학식 I (식 중, X는 수소 원자들, 황 원자, 산소 원자 또는 C1-2알킬기와 수소 원자를 나타내고; Y는 결합, 에테닐렌기, 에티닐렌기, 1,2-시클로프로필렌, 산소 원자, 황 원자, 술포닐기, 술폭시드기, 카르보닐기, 임의로 치환될 수 있는 질소 원자; 또는 임의로 치환될 수 있는 메틸렌기를 나타내고; R1은 C3-6시클로알킬기, C1-4알킬기, C1-4알콕시기, 벤질기 또는 할로겐원자에 의해 임의로 치환될 수 있는 2,3 또는 4-피리딜기를 나타내고; Y가 결합, 임의로 치환될 수 있는 메틸렌기 또는 카르보닐기인 경우, R2는 C1-16알킬기, C3-6시클로알킬기, C1-4알킬티오기, C1-4알콕시기, C1-2퍼할로겐화된 알킬기, C1-3할로겐화된 알킬기, 5,6,7,8-테트라히드로나프틸 고리, 나프틸 고리, 페닐티오기, 벤질기, 페닐 고리, 피리딜 고리, 인돌 고리, 피롤 고리, 티오펜 고리, 푸란 고리 또는 이미다졸 고리를 나타내고; Y가 에테닐렌기, 에티닐렌기, 산소 원자, 황 원자, 술포닐기, 술폭시드기 또는 임의로 치환될 수 있는 질소 원자를 나타내는 경우, R2는 C1-6알킬기, C3-6시클로알킬기, C1-2퍼할로겐화된 알킬기, C1-3할로겐화된 알킬기, 나프틸 고리, 5,6,7,8-테트라히드로나프틸 고리, 벤질기, 페닐 고리, 피리딜 고리, 인돌 고리, 피롤 고리, 티오펜 고리, 푸란 고리 또는 이미다졸 고리를 나타냄)에 의해 표시되는 피리미돈 유도체, 또는 그의 염에 관한 것이다. 또한, 알쯔하이머 질환과 같은비정상적인 GSK3β의 활성에 의해 야기되는 질병의 예방 및(또는) 치료상 치료용에 사용하기 위한, 상기 유도체 또는 그의 염을 활성 성분으로 포함하는 의약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2-피리디닐-6,7,8,9-테트라히드로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및 7-피리디닐-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 유도체 {2-Pyridinyl-6,7,8,9-Tetrahydropyrimido[1,2-α]Pyrimidin-4-One and 7-Pyridinyl-2,3-Dihydroimidazo [1,2-α]Pyrimidin-5(1H)One Derivatives}
GSK3 β (글리코겐 신타제 키나제 3 β)는 대사, 분화 및 생존의 조절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프롤린 특이적 세린 트레오닌 키나제이다. 처음에 GSK3 β는 인산화에 의해 글리코겐 신타제를 저해할 수 있는 효소로 알려졌다. 이후에 GSK3 β가 에피토프내의 타우 단백질을 인산화 (알츠하이머 질환 및 몇몇 타우 (tau) 단백질 관련 병증 (tauopathy)에서는 과인산화되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음)하는 효소인 타우 단백질 키나제 1 (TPK1)과 동일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흥미롭게도, GSK3 β에 의해 단백질 키나제 B (AKT)가 인산화되면 그의 키나제 활성이 상실되므로, 이런 저해 작용을 통해 일부 신경영양 인자의 작용을 매개할 수 있을 것이라는 가설이 세워졌다. 또한, 세포 생존과 관련된 단백질인 β-카테닌이 GSK3 β에 의해 인산화되면 유비퀴티닐화 의존성 프로테아좀 경로에 의해분해되게 된다.
이렇듯, GSK3 β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신경영양 활성을 초래할 수 있으리라 여겨진다. 실제로 GSK3 β의 비경쟁적 저해제인 리튬이 일부 모델에서 Bcl-2와 같은 생존 인자의 유도 및 P53 및 Bax와 같은 아팝토시스 유도 인자 발현의 저해를 통해 신경돌기발생 (neuritogenesis)을 증가시키고 또한 뉴런의 생존을 증가시킨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최근의 연구에서 β-아밀로이드가 GSK3 β 활성 및 타우 단백질 인산화를 증가시킨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또한, 상기 과인산화뿐만 아니라 β-아밀로이드의 신경독성 효과는 염화 리튬 및 GSK3 β의 안티센스 mRNA에 의해 차단된다. 이런 결과는 GSK3 β가 알츠하이머 질환의 2 가지 주요한 병리학적 과정, 즉 비정상적인 APP (아밀로이드 전구체 단백질) 프로세싱 및 타우 단백질 과인산화 사이의 연결자일 수 있음을 강하게 시사한다.
타우 단백질의 과인산화도 신경세포 골격의 불안정화를 초래하지만, 비정상적인 GSK3 β 활성으로 인한 병리학적 결과는 사실상 타우 단백질의 병리학적 인산화 때문만이 아니라,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이 키나제의 과도한 활성이 아팝토시스 인자 및 아팝토시스 억제 인자의 발현의 조절을 통해 생존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일 것이다. 또한, β-아밀로이드로 인한 GSK3 β 활성의 증가는 인산화를 초래하고, 이어서 에너지 생성 및 아세틸콜린 합성의 중심 효소인 피루베이트 탈수소효소의 저해를 초래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전체적으로 이 모든 실험 결과는 GSK3 β가 알츠하이머 질환뿐만 아니라 다른 급성 및 만성 퇴행성 신경 질환과 관련된 신경병리학적 결과 및 인식 및 주의력결핍 치료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지시한다. 이러한, 질환에는 파킨슨 질환, 타우 단백질 관련 병증 (예를 들어, 전두두정 치매, 피질기저핵 변성증, 픽 질환, 진행성 핵상 신경마비) 및 혈관성 치매를 비롯한 다른 치매; 급성 졸중 및 다른 외상성 손상; 뇌혈관 발작 (예를 들어, 노인성 황반변성); 뇌 및 척수 외상; 말초신경장애; 망막증 및 녹내장이 포함된다.
또한 GSK3 β는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예를 들어, 제2형 당뇨병) 및 비만; 조울증; 정신분열증; 탈모; 암, 예를 들어 유방암, 비(非)소세포성 폐암종, 갑상선암, T 또는 B-세포 백혈병 및 몇몇 바이러스로 인한 종양과 같은 다른 질환의 치료에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GSK3 β의 비정상적인 활성에 의해 야기된 퇴행성 신경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의약의 활성 성분으로 유용한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정상적인 GSK3 β 활성에 의해 야기되는 질환, 더 구체적으로는 퇴행성 신경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의약의 활성 성분으로 유용한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목적은 알츠하이머 질환과 같은 퇴행성 신경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가능하게 하는 의약의 활성 성분으로 유용한 신규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발명자는 GSK3 β에 대한 저해 활성을 가진 화합물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이들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이 원하는 활성을 가지며 상기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의약의 활성 성분으로 유용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피리미돈 유도체, 또는 그의 염, 또는그의 용매화물, 또는 그의 수화물을 제공한다.
상기 식에서,
X는 수소 원자들, 황 원자, 산소 원자, 또는 C1-2알킬기와 수소 원자를 나타내고;
Y는 결합, 에테닐렌기, 에티닐렌기, 1,2-시클로프로필렌, 산소 원자, 황 원자, 술포닐기, 술피닐기, 카르보닐기이거나, 또는 C1-6알킬기, 페닐기 또는 벤질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될 수 있는 질소 원자; 또는 C1-6알킬기, 페닐기, 히드록시기 또는 C1-4알콕시기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2개의 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될 수 있는 메틸렌기를 나타내고;
R1은 C3-6시클로알킬기, C1-4알킬기, C1-4알콕시기, 벤질기 또는 할로겐원자에 의해 임의로 치환될 수 있는 2,3 또는 4-피리딜기를 나타내고;
Y가 결합, 1,2-시클로프로필렌, 임의로 치환될 수 있는 메틸렌기, 또는 카르보닐기인 경우, R2는 C1-6알킬기, C3-6시클로알킬기, C1-4알킬티오기, C1-4알콕시기, C1-2퍼할로겐화된 알킬기, C1-3할로겐화된 알킬기, 5,6,7,8-테트라히드로나프틸고리, 나프틸 고리, 페닐티오기, 벤질기, 페닐 고리, 피리딜 고리, 인돌 고리, 피롤 고리, 티오펜 고리, 푸란 고리 또는 이미다졸 고리를 나타내고; 상기 벤질기 또는 상기 고리들은 C1-6알킬기, 메틸렌디옥시기, 할로겐 원자, C1-2퍼할로겐화된 알킬기, C1-3할로겐화된 알킬기, 히드록시기, C1-4알콕시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아미노기, C1-5모노알킬아미노기, C2-10디알킬아미노기, C1-6알킬카르보닐아미노기, C6,10아릴카르보닐아미노기, C1-4알킬술포닐기, C1-4알킬술포닐옥시기 또는 페닐기로부터 선택된 1 내지 4개의 치환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될 수 있고;
Y가 에테닐렌기, 에티닐렌기, 산소 원자, 황 원자, 술포닐기, 술폭시드기 또는 임의로 치환될 수 있는 질소 원자를 나타내는 경우, R2는 C1-6알킬기, C3-6시클로알킬기, C1-2퍼할로겐화된 알킬기, C1-3할로겐화된 알킬기, 나프틸 고리, 5,6,7,8-테트라히드로나프틸 고리, 벤질기, 페닐 고리, 피리딜 고리, 인돌 고리, 피롤 고리, 티오펜 고리, 푸란 고리 또는 이미다졸 고리를 나타내고; 상기 벤질기 또는 상기 고리들은 C1-6알킬기, 메틸렌디옥시기, 할로겐 원자, C1-2퍼할로겐화된 알킬기, C1-3할로겐화된 알킬기, 히드록시기, C1-4알콕시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아미노기, C1-5모노알킬아미노기, C2-10디알킬아미노기, C1-6알킬카르보닐아미노기, C6,10아릴카르보닐아미노기, C1-4알킬술포닐기, C1-4알킬술포닐옥시기 또는 페닐기로부터 선택되는 1 내지 4개의 치환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될 수 있고;
m은 1 또는 2를 나타내고;
n은 0 내지 3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 화학식 I의 피리미돈 유도체 및 생리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염, 및 그의 용매화물 및 그의 수화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물질을 활성 성분으로 포함하는 의약을 제공한다. 상기 의약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로서, 비정상적인 GSK3 β 활성에 의해 야기된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해 사용되는 상기 의약을 제공하고, 상기 의약은 퇴행성 신경 질환 및 추가의 다른 질환, 예를 들어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예를 들어, 제2형 당뇨병) 및 비만; 조울증; 정신분열증; 탈모; 암, 예를 들어 유방암, 비소세포성 폐암종, 갑상선암, T 또는 B-세포 백혈병 및 몇몇 바이러스로 인한 종양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로서, 상기 의약에서, 질환은 퇴행성 신경 질환이고, 알츠하이머 질환, 파킨슨 질환, 타우 단백질 관련 병증 (예를 들어, 전두두정 치매, 피질기저핵 변성증, 픽 질환, 진행성 핵상 신경마비) 및 혈관성 치매를 비롯한 다른 치매; 급성 졸중 및 다른 외상성 손상; 뇌혈관 발작 (예를 들어, 노인성 황반변성); 뇌 및 척수 외상; 말초신경장애; 망막증 및 녹내장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인 상기 의약은, 하나 이상의 제약 첨가제와 함께 활성 성분으로 상기 물질을 함유하는 제약 조성물의 형태로 제공된다.
본 발명은 또한 화학식 I의 피리미돈 유도체 및 그의 염, 및 그의 용매화물 및 그의 수화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물질을 활성 성분으로 포함하는 GSK3β 활성의 저해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양태에 따라, 화학식 I의 피리미돈 유도체 및 생리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염, 및 그의 용매화물 및 그의 수화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물질을 예방 및(또는) 치료상 유효량으로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정상적인 GSK3 β 활성에 의해 야기된 퇴행성 신경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방법 및 상기 의약의 제조를 위한 화학식 I의 피리미돈 유도체 및 생리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염, 및 그의 용매화물 및 그의 수화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물질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원에서, C1-6알킬기는 1 내지 6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기, 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sec-부틸기, tert-부틸기, n-펜틸기, 이소펜틸기, 네오펜틸기, 1,1-디메틸프로필기, n-헥실기, 이소헥실기 등을 나타낸다.
C3-6시클로알킬기는 3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시클릭 알킬기를 나타낸다.
C1-4알콕시기는 1 내지 4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옥시기, 예를 들어, 메톡시기, 에톡시기, 프로폭시기, 이소프로폭시기, 부톡시기, 이소부톡시기, sec-부톡시기, tert-부톡시기 등을 나타낸다.
C1-4알킬티오기는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티오기, 예를 들어 메틸티오기, 에틸티오기, 프로필티오기, 이소프로필티오기, 부틸티오기, 이소부틸티오기, sec-부틸티오기, tert-부틸티오기 등을 나타낸다.
C1-4알킬술포닐기는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술포닐기, 예를 들어 메틸술포닐기, 에틸술포닐기, 프로필술포닐기, 이소프로필술포닐기, 부틸술포닐기, 이소부틸술포닐기, sec-부틸술포닐기, tert-부틸술포닐기 등을 나타낸다.
할로겐 원자는 플루오르,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 원자를 나타낸다.
C1-2퍼할로겐화된 알킬기는 모든 수소가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알킬기, 예를 들어 CF3또는 C2F5을 나타낸다.
C1-3할로겐화된 알킬기는 적어도 한개 이상의 수소가 할로겐 원자에 의해 치환된 알킬기를 나타낸다.
C1-5모노알킬아미노기는 1 개의 C1-5알킬기로 치환된 아미노기, 예를 들어 메틸아미노기, 에틸아미노기, 프로필아미노기, 이소프로필아미노기, 부틸아미노기, 이소부틸아미노기, tert-부틸아미노기, 펜틸아미노기 및 이소펜틸아미노기를 나타낸다.
C2-10디알킬아미노기는 2 개의 C1-5알킬기로 치환된 아미노기, 예를 들어 디메틸아미노기, 에틸메틸아미노기, 디에틸아미노기, 메틸프로필아미노기 및 디이소프로필아미노기를 나타낸다.
C1-6알킬카르보닐아미노기는 C1-6아실기에 의해 치환된 아미노기, 예를 들어 포르밀기, 아세틸기, 프로피오닐기, 피발로일기, 부티릴기, 이소부티릴기, 펜타놀기, 3-메틸부티릴기 및 헥사노일기를 나타낸다.
C6,10아릴카르보닐아미노기는 벤조일기 및 나프톨릴기에 의해 치환된 아미노기를 나타낸다.
에테닐렌, 에티닐렌 및 1,2-시클로프로필렌기는 각각 하기 기를 나타낸다:
이탈기는 용이하게 절단될 수 있고 토실, 메실, 브로마이드 등의 기로 치환될 수 있는 기를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염을 형성할 수 있다. 산성 기가 존재하는 경우, 염의 예로는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 토금속의 염, 예를 들어 리튬,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및 칼슘; 암모니아 및 아민의 염, 예를 들어 메틸아민, 디메틸아민, 트리메틸아민, 디시클로헥실아민, 트리스(히드록시메틸)아미노메탄, N,N-비스(히드록시에틸)피페라진,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에탄올아민, N-메틸글루카민 및 L-글루카민; 또는 염기성 아미노산의 염, 예를 들어 리신, δ-히드록시리신 및 아르기닌이 있다. 산성 화합물의 염기 부가 염은 당업계에 잘 알려진 표준 방법으로 제조된다.
염기성 기가 존재하는 경우, 염의 예로는 무기 산, 예를 들어 염산, 브롬화 수소산, 황산, 질산, 인산의 염; 유기산, 예를 들어 메탄술폰산, 벤젠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타르타르산, 푸마르산, 말레산, 말산, 옥살산, 숙신산, 시트르산, 벤조산, 만델산, 시나민산, 락트산, 글리콜린산, 글루크론산,아스코르브산, 니코틴산 및 살리실산의 염; 또는 산성 아미노산, 예를 들어 아스파르트산 및 글루탐산의 염이 있다.
염기성 화합물의 산 부가 염은 적절한 산을 함유하는 수성 알콜 용액에 유리 염기를 용해시키고 용액을 증발시키거나 유기 용매 중에서 유리 염기와 산을 반응시켜 단리하는 것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당업계에 잘 알려진 표준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데, 이 때 염은 직접 분리하거나 제2 유기 용매로 침전시켜 분리하거나, 또는 용액의 농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산을 유리 염기와 혼합하는 경우, 산 부가 염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산에는 바람직하게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 즉 염의 제약상 투여에서 동물 유기체에 비교적 해가 되지 않으므로, 유리 염기에서 고유의 이로운 특성이 음이온으로 인한 부작용으로 상쇄되지 않는 염을 생성하는 산이 포함된다. 약으로 허용가능한 염기성 화합물의 염이 바람직하지만, 모든 산 부가 염이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다.
상기 화학식 I의 피리미돈 유도체 및 그의 염뿐만 아니라, 그의 용매화물 및 수화물도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다. 상기 화학식 I의 피리미돈 유도체는 하나 이상의 비대칭 탄소 원자를 갖는다. 상기 비대칭 탄소 원자의 입체화학에서, 이들은 독립적으로 (R) 및 (S) 배위일 수 있고, 피리미돈 유도체는 광학 이성질체 또는 부분입체 이성질체와 같은 입체 이성질체로 존재할 수 있다. 순수한 형태의 임의의 입체 이성질체, 입체 이성질체의 임의의 혼합물, 라세미 혼합물 등은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화합물의 예를 하기 표 1에 나타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화합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화학식 I에 의해 표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화합물은 또한 하기를 포함한다:
(1) R1이 C1-2알킬기, C1-2알콕시기 또는 할로겐 원자에 의해 치환될 수 있는 3- 또는 4-피리딜기, 더욱 바람직하게는 4-피리딜기를 나타내는 화합물; 및(또는)
(2) X가 할로겐 원자, 산소 원자 또는 메틸기 및 수소 원자를 나타내는 화합물; 및(또는)
(3) Y가 결합, 에테닐렌기, 에티닐렌기, 산소 원자, 황 원자, 술피닐기, 카르보닐기, 임의로 치환될 수 있는 메틸렌기 또는 1 또는 2개의 벤질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될 수 있는 질소 원자를 나타내는 화합물; 및(또는)
(4) R2가 C1-4알킬기, C1-2알킬티오기, C1-2알콕시기, 트리플로오로메틸기, C5-6시클로알킬기, 나프틸 고리, 5,6,7,8-테트라히드로나프틸 고리, 페닐티오기, 벤질기, 페닐 고리, 피리딜 고리, 인돌 고리, 티오펜 고리를 나타내고, 상기 고리들은 1 내지 4개의 치환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될 수 있는 화합물.
화학식 I에 의해 표시되는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화합물은 또한 하기를 포함한다:
(1) R1이 비치환된 4-피리딜기를 나타내는 화합물; 및(또는)
(2) R2가 C1-4알킬기, C1-2알킬티오기, C1-2알콕시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C5-6시클로알킬기, 나프틸기, 5,6,7,8-테트라히드로나프틸 고리, 페닐 고리, 피리딜 고리, 인돌 고리, 티오펜 고리를 나타내고, 상기 고리들은 1 내지 4개의 치환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될 수 있는 화합물; 및(또는)
(3) X가 수소 원자들, 산소 원자 또는 메틸기와 수소 원자를 나타내는 화합물; 및(또는)
(4) Y가 결합, 에테닐렌기, 에티닐렌기, 황 원자, 산소 원자, 카르보닐기, 술피닐기, C1-4알킬기 및(또는) 히드록시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될 수 있는 메틸렌기, 또는 1 또는 2개의 벤질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될 수 있는 질소 원자를 나타내는 화합물; 및(또는)
(5) n이 0, 1, 또는 2를 나타내는 화합물.
화학식 I에 의해 표시되는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화합물은 표 1의 화합물들:
1: 9-[2-(1H-인돌-3-일)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2: 9-(3-페닐프로필)-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3: 9-(2-페닐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4: 9-[3-(1H-인돌-3-일)프로필]-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5: 9-(2-페녹시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6: 9-[3-(3,4-메틸렌디옥시페닐)프로필]-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7: 9-[2-(2-메톡시페닐)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8: 9-[2-(4-플루오로페녹시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9: 9-[3-(2-클로로페닐)프로필]-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10: 9-[3-(4-메틸페닐)프로필]-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11: 9-[3-(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프로필]-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12: 9-(4-페닐부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13: 9-[3-(2-메틸페닐)프로필]-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14: 9-[2-(2,5-디메톡시페닐)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15: 9-[2-(2-메톡시페녹시)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16: 9-[3-(2-메톡시페닐)프로필]-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17: 9-[2-(4-클로로페녹시)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18: 9-[3-(3-메톡시페닐)프로필]-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19: 9-(2-메톡시페닐메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20:9-[2-페닐티오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21: 9-[3-(3,4-디메톡시페닐)프로필]-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22: 9-[3-(3,4,5-트리메톡시페닐)프로필]-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23: 9-[2-(페닐술포닐)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24: 9-[3-(3,4-플루오로페닐)프로필]-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25: 9-[3-페닐프로파노일]-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26: 9-[3-(4-플루오로페닐)프로필]-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27: 9-[3-(2,5-디메톡시페닐)프로필]-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28: 9-[3-(2,4-디클로로페닐)프로필]-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29: 9-[3-(3-플루오로페닐)프로필]-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30: 9-[3-(4-클로로페닐)프로필]-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31:9-(3,3-디메틸부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32: 9-(2-시클로헥실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33: 9-[3-(피리딘-3-일)프로필]-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34: 9-[2-(4-메틸술포닐옥시페닐)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35: 9-(3-메틸부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36: 9-(3,3-디페닐프로필)-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37: 9-[4-(4-메톡시페닐)부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38: 9-[4-(4-니트로페닐)부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39: 9-[3-(2-플루오로페닐)프로필]-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40: 9-(3-페닐프로프-2-이닐)-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41: 9-(3-페닐부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42: 9-[2-(2-클로로-4-플루오로페닐)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43: 9-(2-페닐-2-옥소-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44: 9-(3-벤질옥시프로필)-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45:9-(3-메틸티오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46: 9-[2-(1-나프틸)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47: 9-[2-(티오펜-2-일)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48: 9-[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49: 9-[(2-(티오펜-3-일)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50: 9-[2-(2-브로모페닐)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51: 9-(4-시클로헥실부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52: 9-[2-(3-브로모페닐)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53: 9-[2-(4-ter-부틸페닐)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54: 9-[2-(2,4,6-트리메틸페닐)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55: 9-[2-(4-에톡시페닐)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56: 9-[2-(2-클로로-6-플루오로페닐)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57: 9-[2-(3-클로로페닐)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58: 9-[2-(3-메틸페닐)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59:9-(3-메톡시부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60: 9-(3-시클로헥실프로필)-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61:9-[3-[디(페닐메틸)아미노]프로필]-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62: 9-(2-페닐-시클로프로필메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63: 9-(3-페닐프로프-2-에닐)-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64: 9-(2-페닐-2-히드록시프로필)-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65: 9-[3-(4-플루오로페닐)-3-옥소-프로필]-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66: 9-(4,4,4-트리플루오로부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67: 9-[3-페닐-3-옥소-프로필]-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68: 9-[3-페닐-3-히드록시프로필]-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69: 9-[3,3,3-트리플루오로-2-히드록시프로필]-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70: (R)-9-[2-페닐-2-히드록시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71: (S)-9-[2-페닐-2-히드록시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72: 9-[3-(4-플루오로페닐)-3-히드록시프로필]-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73: 9-[1-메틸-2-옥소-2-페닐-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74: 9-[1-메틸-2-히드록시-2-페닐-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75: 9-[2-(4-메틸페닐)-2-옥소-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76:9-[2-(4-클로로페닐)-2-옥소-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77: 9-[2-(4-플루오로페닐)-2-옥소-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78: 9-[2-(4-페닐페닐)-2-옥소-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79: 9-[2-(3-메톡시페닐)-2-옥소-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80: 9-[2-(2-나프틸)-2-옥소-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81: 9-[2-(5,5,8,8-테트라메틸-5,6,7,8-테트라히드로나프트-2-일)-2-옥소-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82: 9-[2-(3-메톡시-4,5-메틸렌디옥시페닐)-2-옥소-1-메틸에틸]-2-피리딘-4- 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83: 9-[2-(4-메틸페닐)-2-히드록시-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84: 9-[2-(1,1,4,4-테트라메틸-1,2,3,4-테트라히드로나프트-6-일)-2-히드록시-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85: 9-[2-(페닐아미노)-2-옥소-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86: 9-[2-(3-클로로페닐)-2-옥소-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87: 9-[2-(3-클로로페닐)-2-히드록시-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88: 9-[2-(3-플루오로페닐)-2-옥소-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및
89: 9-[2-(3-플루오로페닐)-2-히드록시-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및 표 2의 화합물들:
1: 1-[2-(1H-인돌-3-일)에틸]-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
2: 1-[3-(페닐)프로필]-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
3: 1-[3-(1H-인돌-3-일)프로필]-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
4: 1-[2-(페닐)에틸]-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
5: 1-[3-(2-메틸페닐)프로필]-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
6: 1-[3-(2-메톡시페닐)프로필]-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
7: 1-(4-페닐부틸)-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
8: 1-[3-(2-클로로페닐)프로필]-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
9: 1-[3-(2,5-디메톡시페닐)프로필]-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
10: 1-[3-(4-메틸페닐)프로필]-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
11: 1-[3-(3-메톡시페닐)프로필]-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
12: 1-[3-(3,4,5-트리메톡시페닐)프로필]-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
13:1-[2-(4-플루오로페녹시)에틸]-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
14: 1-[2-(4-클로로페녹시)에틸]-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 a]피리미딘-5(1H)-온,
15: 1-[3-(2,4-디클로로페닐)프로필]-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
16: 1-[2-(페닐티오)에틸]-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
17: 1-(3-페닐프로파노일)-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
18: 1-[3-(4-플루오로페닐)프로필]-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
19: 1-[3-(3,4-디플루오로페닐)프로필]-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
20: 1-(2-시클로헥실에틸)-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
21: 1-(3,3-디메틸부틸)-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
22: 1-(2-페닐-2-옥소-에틸)-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
23: (S)-1-(4,4,4-트리플루오로-3-히드록시부틸)-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
24: 1-(4,4,4-트리플루오로-부트-2-엔-1-일)-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
25: 1-[3-(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프로필]-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
26: (R)-1-(4,4,4-트리플루오로-3-히드록시부틸)-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
27: 1-[3-(2-플루오로페닐)프로필]-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
28: 1-[2-(2,5-디메톡시-페닐)에틸]-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
29: 1-[2-(페닐술포닐)에틸]-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
30: 1-(4,4,4-트리플루오로부틸)-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
31: 1-[3-(피리딘-3-일)프로필]-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
32: 1-[2-(2-메톡시)에틸]-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
33: 1-[2-(4-클로로-페닐)-2-옥소-에틸]-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
34: 1-[2-(나프트-2-일)-2-옥소-에틸]-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
35: 1-[2-(3-메톡시-4,5-메틸렌디옥시-페닐)-2-옥소-1-메틸-에틸]-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
36: 1-[2-(4-페닐-페닐)-2-옥소-에틸]-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
37: 1-[2-(4-메틸페닐)2-옥소-에틸]-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
38: 1-[2-(5,5,8,8-테트라메틸-5,6,7,8-테트라히드로나프트-2-일)2-옥소-에틸]-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
39: 1-[2-(4-플루오로페닐)-2-옥소-에틸]-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 및
40: 1-[2-(3-메톡시페닐)-2-옥소-에틸]-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
을 포함한다.
추가의 목적으로,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화학식 I의 피리미딘-4-온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화합물은, 예를 들어 하기 설명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제조 방법
상기 화학식 I에 의해 표시되는 2-[1,2-α]피리미딘-4-온 화합물을 하기 반응식 1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반응식에서, R1, R2, X, Y 및 n의 정의는 화학식 I의 화합물에 대해 이미 기술한 바와 동일함).
상기 화학식 III의 [1,2-α]피리미딘-4-온 유도체 (이 때, R1은 화학식 I의 화합물에서 정의한 바와 같음)를 보통의 대기하에서 0 내지 130 ℃ 범위의 적합한 온도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 N-메틸피롤리딘,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또는 클로로포름과 같은 용매 중에서 수소화나트륨, 탄산나트륨 또는 탄산칼륨과 같은 염기와 반응시킨 후, 화학식 II의 화합물 (이 때, R2, Y 및 n은 화학식 I의 화합물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L은 이탈기임)을 첨가하여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수득한다.
바람직하게는 X가 수소 원자인 경우, L은 브로마이드 또는 메실기를 나타내고, 반응은 N,N-디메틸포름아미드 중 수소화나트륨을 사용하여 70 내지 130 ℃ 범위의 적합한 온도에서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X가 산소 원자인 경우, L은 클로라이드를 나타내고, 반응은 클로로포름 중 수소화나트륨을 사용하여 0 내지 70 ℃ 범위의 적합한 온도에서 수행한다.
화학식 II의 화합물은 상업적으로 시판되거나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방법에따라 합성할 수 있다.
화학식 III의 화합물을 하기 반응식 2에 정의된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반응식에서, R1의 정의는 이미 기재된 바와 같음)
상기 방법에 따라, 화학식 IV의 3-케토에스테르를 화학식 V의 화합물 2와 반응시킨다. 알코올성 용매, 예를 들어 에탄올, 프로판올 또는 이소프로판올 중에서 염기, 예를 들어 수소화나트륨, 탄산나트륨 또는 탄산칼륨의 존재하에서 25 내지 100 ℃ 범위의 적합한 온도에서 보통의 대기하에서 반응을 수행한다.
화학식 IV의 화합물은 상업적으로 시판되거나,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방법에 따라 합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학식 IV의 화합물 (이 때, R1은 C1-4알킬기, C1-4알콕시기 또는 할로겐 원자로 임의로 치환될 수 있는 피리딜기를 나타냄)은 C1-4알킬기, C1-4알콕시기 또는 할로겐으로 임의로 치환될 수 있는 니코틴산을 말론산 모노에스테르와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반응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여, 예를들어 20 내지 70 ℃ 온도 범위의 테트라히드로푸란과 같은 용매 중에서 1,1'-카르보닐비스-1H-이미다졸과 같은 커플링제 존재하에 수행할 수 있다.
화학식 V의 화합물은 문헌 [Smith and Christensen, J. Org. Chem. 1955,20,829]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합성할 수 있다.
별법으로는, Y가 산소 원자를 나타낼 때, X는 수소 원자를 나타내고 R2는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기를 나타내고,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하기 반응식 3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반응식에서, R1의 정의는 이미 기재된 바와 같음)
본 방법에 따라, 화학식 III의 화합물을 수소화나트륨 또는 탄산칼륨과 같은 염기와 함께 N,N-디메틸포름아미드와 같은 용매 중에서 70 ℃ 내지 130 ℃ 범위의 적합한 온도에서 보통의 대기하에서 반응시킨 후, 화학식 VI의 화합물 (식 중, Pg는 보호기, 바람직하게는 테트라히드로피란을 나타내고, L은 이탈기, 바람직하게는 브로마이드를 나타냄)을 첨가한다. 이어서, 당업자에게 잘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탈보호화를 수행하는데, 예를 들어 보호기가 테트라히드로피란기인 경우에는 탈보호화를 염화암모늄의 존재하에서 메탄올과 같은 용매 중 20 ℃ 내지 70 ℃ 범위의 온도에서 수행하여 화학식 VII의 화합물을 얻는다. 그 후, 당업자에게 잘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예를 들어 커플링제로 트리페닐포스핀 및 디에틸아조디카르복실레이트를 테트라히드로푸란과 같은 용매 중 실온에서 화학식 VII의 화합물을 화학식 VIII의 화합물과 반응시킴으로써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VI 및 VIII의 화합물은 상업적으로 시판되거나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방법에 따라 합성할 수 있다.
상기 반응에서, 관능기의 보호 또는 탈보호가 때때로 필요할 수 있다. 적합한 보호기 Pg는 관능기 유형에 따라 선택할 수 있고, 문헌에 기재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 및 탈보호 방법의 보호기는 문헌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Greene et al., 2nd Ed.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에서 제공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GSK3 β에 대한 저해 활성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GSK3 β의 비정상적 활성에 의해 야기되는 퇴행성 신경 질환, 더 구체적으로는 알츠하이머 질환과 같은 퇴행성 신경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가능하게 하는 의약의 제조에서 활성 성분으로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또한 퇴행성 신경 질환, 예를 들어 파킨슨 질환, 타우 단백질 관련 병증 (예를 들어, 전두두정 치매, 피질기저핵 변성증, 픽 질환, 진행성 핵상 신경마비) 및 혈관성 치매를 비롯한 다른 치매; 급성 졸중 및 다른 외상성 손상; 뇌혈관 발작 (예를 들어, 노인성 황반변성); 뇌 및 척수 외상; 말초신경장애; 망막증 및 녹내장; 다른 질환, 예를 들어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예를 들어, 제2형 당뇨병) 및 비만; 조울증; 정신분열증; 탈모; 암, 예를 들어 유방암, 비소세포성 폐암종, 갑상선암, T 또는 B-세포 백혈병 및 몇몇 바이러스로 인한 종양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의약의 제조에서 활성 성분으로 유용하다.
본 발명은 또한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을 그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포유동물 유기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GSK3 β의 비정상적 활성에 의해 야기된 퇴행성 신경 질환 및 상기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의약의 활성 성분으로서, 상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그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 및 그의 용매화물 및 그의 수화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본래 상기 물질을 본 발명의 의약으로 투여할 수 있으나, 활성 성분으로서 상기 물질 및 하나 이상의 제약 첨가제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의 형태로 의약을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의약의 활성 성분으로서, 2 가지 이상의 상기 물질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약 조성물은 상기 언급된 질환의 치료를 위한 다른 의약의 활성 성분으로 보충될 수 있다. 제약 조성물의 유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상기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를 위한 임의의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약 조성물은 경구 투여를 위한 제약 조성물의 형태, 예를 들어 과립제, 미립제, 산제, 경질 캡슐, 연질 캡슐, 시럽, 에멀젼, 현탁제, 액제 등, 또는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약 조성물의 형태, 예를 들어 정맥 주사제, 근육내 주사제 또는 피하 투여제, 점적 주입제, 경피 제제, 경점막 제제, 점비액제, 흡입제, 좌제로 제형화할 수 있다. 주사제 또는 점적 주입제는 동결건조된 제제의 형태와 같은 산제 제제로 제조될 수 있고, 사용 직전에 생리 식염수와 같은 적절한 수성 매질에 용해시켜 사용할 수 있다. 중합체로 코팅된 제제와 같은 서방출 제제를 직접 뇌내에 투여할 수 있다.
제약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된 제약 첨가제의 유형, 활성 성분에 대한 제약 첨가제의 함량 비 및 제약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무기 또는 유기 물질, 또는 고체 또는 액체 물질을 제약 첨가제로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약 첨가제는 활성 성분의 중량을 기준으로 1 중량% 내지 90 중량%의 비율로 혼입할 수 있다.
고체 제약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부형제의 예로는 락토스, 수크로스, 전분, 활석, 셀룰로스, 덱스트린, 카올린, 탄산 칼슘 등이 있다. 경구 투여용의 액체 조성물의 제조에서, 물 또는 식물성 오일과 같은 통상적인 불활성 희석제가 사용될 수 있다. 액체 조성물은 불활성 희석제 이외에, 보습제, 현탁 보조제, 감미료, 방향제, 착색제 및 보존제와 같은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액체 조성물은 젤라틴과 같은 흡수가능한 물질로 이루어진 캡슐에 충전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 예를 들어 주사제, 좌제를 위한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된 용매 또는 현탁 매질의 예로는 물,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벤질 알콜, 에틸 올리에이트, 레시틴 등이 있다. 좌제를 위한 기재 물질의 예로는 카카오 버터, 에멀젼화된 카카오 버터, 라우릭 지질, 비텝솔 (witepsol)이 있다.
본 발명의 의약의 투여량 및 투여 횟수는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고, 예방 및(또는) 치료의 목적, 질환의 유형, 환자의 체중 또는 연령, 질환의 중증도 등과 같은 조건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성인에게 경구 투여시 1 일 투여량은 0.01 내지 1,000 mg (활성 성분의 중량)일 수 있고, 상기 투여량은 1 일에 1 회 투여하거나 부분으로 나누어 수 회 투여하거나, 또는 수 일에 1 회 투여할 수 있다. 의약이 주사제로 사용되는 경우, 성인에게 0.001 내지 100 mg (활성 성분의 중량)의 1 일 투여량으로 연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적 실시예
본 발명은 하기 일반적인 실시예로 더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나,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표 1의 7번 화합물)>
9-[2-(2-메톡시페닐)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Z)-부트-2-엔디오에이트 (1:1)
1.1. 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60 ml의 에탄올 중 8.98g (46.5 mmol)의 에틸 3-(4-피리딜)-3-옥소프로피오네이트 및 8.0 g (46.5 mmol)의 2-아미노 테트라히드로피리미딘 디히드로클로라이드 (문헌 [J. Org. Chem. 1955,20,829]에 따라 제조됨) 및 19.3g (139.5 mmol)의 탄산칼륨의 혼합물을 환류 온도에서 18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냉각된 용액을 증발시켜 용매를 제거하고, 잔류물을 물로 처리하여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건조시키고 증발시켜 8.0 g (75 %)의 생성물을 백색 분말로 얻었다. Mp: 219 ℃.
1.2. 9-[2-(2-메톡시페닐)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Z)-부트-2-엔디오에이트 (1:1)
3 ml의 무수 디메틸포름아미드 중 0.25 g (1.09 mmol)의 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의 현탁액을 57 mg (1.42 mmol)의 수소화나트륨 (광유 중 60 % 현탁액)로 처리하고 얻어진 혼합물을 70 ℃에서 30 분 동안 가열하였다. 0.327 g (1.42 mmol)의 1-[2-(메틸술포닐옥시)에틸]-2-메톡시벤젠 (문헌 [J. Med. Chem. 1983, 26(1), 42]에 따라 제조됨)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30 ℃에서 1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냉각된 용액을 물로 처리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건조시키고 증발시켜 조 생성물을 얻은 후, 이를 100/0 내지 95/5 비율의 디클로로메탄/메탄올로 용출하는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유리 염기 형태로 얻어진 순수한 생성물 0.338 g을 고온 에탄올에 용해하고 1 당량의 (Z)-부트-2-엔디온산으로 처리하였다. 냉각된 용액을 여과하여 0.325 g (62 %)의 백색 고체를 얻었다. Mp: 157-160 ℃.
<실시예 2 (표 1의 4번 화합물)>
9-[3-(1H-인돌-3-일)프로필]-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2.1. 3-(1H-인돌-3-일)프로판올 (문헌 [J. Med. Chem. (1995), 38 (11), 1998])
0 ℃에서 240 ml의 디에틸에테르 중 4.8 g (126.8 mmol)의 리튬 알루미늄 히드리드의 현탁액에 430 ml의 디에틸에테르에 용해된 10 g (52.8 mmol)의 3-(1H-인돌-3-일)프로피온산을 적가하고 얻어진 혼합물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00 ml의 디에틸에테르로 0 ℃에서 희석하고 과량의 황산나트륨의 포화 수용액으로 처리하였다. 다시 고체 황산나트륨을 첨가하고 유기상을 여과하여 염을 제거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건조시켜 9 g (98 %)의 생성물을 오일로 얻었다.
2.2. 3-(1H-인돌-3-일)프로필 브로마이드 (문헌 [Chem. Pharm. Bull. (1988), 36 (8), 2853])
40 ml의 디옥산 중 2 g (11.41 mmol)의 3-(1H-인돌-3-일)프로판올의 용액에 5.3 g (12.55 mmol)의 디브로모트리페닐포스포란을 실온에서 첨가하고 얻어진 용액을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과량의 시클로헥산을 첨가하고 얻어진 침전물을 여과하여 폐기하였다. 용매를 증발건조시켜 2.7 g (99 %)의 생성물을 오일로 얻었고, 이를 더 정제하지 않고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
2.3. 9-[3-(1H-인돌-3-일)프로필]-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8 ml의 무수 디메틸포름아미드 중 0.30 g (1.31 mmol)의 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의 현탁액을 68 mg (1.44 mmol)의 수소화나트륨 (광유 중 60 % 현탁액)으로 처리하고 얻어진 혼합물을 70 ℃에서 30 분 동안 가열하였다. 0.407 g (1.71 mmol)의 3-(1H-인돌-3-일)프로필 브로마이드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30 ℃에서 18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냉각된 용액을 물로 처리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건조시키고 증발시켜 조생성물을 얻었고, 이를 98/2/0.2 내지 90/10/1 비율의 디클로로메탄/메탄올/암모니아로 용출하는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0.3 g (59 %)의 순수한 생성물을 얻었다. Mp: 230-232 ℃.
<실시예 3 (표 1의 15번 화합물)>
9-(2-(2-메톡시페녹시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Z)-부트-2-엔디오에이트 (1:1)
3.1. 9-(2-히드록시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6 ml의 무수 디메틸포름아미드 중 0.30 g (1.31 mmol)의 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의 현탁액을 63 mg (1.58 mmol)의 수소화나트륨 (광유 중 60 % 현탁액)으로 처리하고 얻어진 혼합물을 70 ℃에서 30 분 동안 가열하였다. 0.329 g (1.58 mmol)의 2-(2-브로모에톡시)테트라히드로-2H-피란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30 ℃에서 1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냉각된 용액을 물로 처리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건조시키고 증발시켜 오일을 얻었고, 이를 2 ml의 메탄올에 용해하고 0.127 g의 염화암모늄으로 처리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18 시간 동안 환류 온도에서 가열하였다.
냉각된 용액을 증발건조시키고, 잔류물을 물 및 고체 탄산칼륨으로 처리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증발시켜 0.158 g (49 %)의 생성물을 오일로 얻었고, 이를 더 정제하지 않고 사용하였다.
3.2. 9-(2-(2-메톡시페녹시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Z)-부트-2-엔디오에이트 (1:1)
아르곤 분위기하에서 4 ml의 테트라히드로푸란 중 0.146 g (0.536 mmol)의 9-(2-히드록시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의 용액에 0.197 g (0.75 mmol)의 트리페닐포스핀, 0.080 g (0.643 mmol)의 2-메톡시페놀 및 0.131 g (0.75 mmol)의 디에틸아조디카르복실레이트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물 및 희석된 수성 염산으로 처리하고 디에틸에테르로 세척하였다. 수성상을 고체 탄산 칼륨으로 중화시키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증발시켜 조 생성물을 얻었고, 이를 95/5/0.5 비율의 디클로로메탄/메탄올/암모니아로 용출하여 실리카 겔 상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0.080 g의 생성물을 유리 염기 형태로 얻었다. 에탄올 중 1 당량의 (Z)-부트-2-엔디온산으로 처리하여 0.060 g (23 %)의 생성물을 얻었다. Mp: 140-142 ℃.
<실시예 4 (표 1의 25번 화합물)>
9-[3-페닐프로파노일]-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5 ml의 클로로포름 중 0.2 g (0.87 mmol)의 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의 현탁액을 26 mg (1.14 mmol)의 수소화나트륨 (광유 중 60 % 현탁액)으로 처리하고 얻어진 혼합물을 실온에서 15 분 동안 교반한 후, 0 ℃로 냉각하였다. 0.148 g (0.964 mmol)의 3-페닐프로피오닐 클로라이드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염화암모늄의 포화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건조 및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100/0 내지 95/5 비율의 디클로로메탄/메탄올로 용출하는 실리카 겔 상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0.120 mg (38 %)의 순수한 생성물을 백색 고체로 얻었다. Mp: 137-140 ℃.
본 발명을 예시하는 상기 언급된 화학식 I의 화합물에 대한 화학 구조 및 물리적 데이타의 리스트를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화합물들은 실시예의 방법에 따라 제조되었다.
<실시예 5 (표 2의 3번 화합물)>
1-[3-(1H-인돌-3-일)프로필]-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
5.1. 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
75 ml의 에탄올 중 8 g (41.4 mmol)의 에틸 3-(4-피리딜)-3-옥소프로피오네이트 및 14 g (164 mmol)의 4,5-디히드로-1H-이미다졸-2-일아민을 함유하는 혼합물을 환류 온도에서 18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조 생성물을 100/0내지 90/10 비율의 디클로로메탄/메탄올의 혼합물로 용출하는 실리카 겔 상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6.3 g의 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을 유리 염기로 얻었다. Mp: 318-320 ℃.
5.2. 3-(1H-인돌-3-일)프로판올 (문헌 [J. Med. Chem. (1995), 38 (11), 1998])
240 ml의 디에틸에테르 중 4.8 g (126.8 mmol)의 리튬 알루미늄 히드리드의 현탁액에 430 ml의 디에틸에테르에 용해된 10 g (52.8 mmol)의 3-(1H-인돌-3-일)프로피온산을 0 ℃에서 적가하고 얻어진 혼합물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00 ml의 디에틸에테르로 0 ℃에서 희석하고 과량의 황산나트륨의 포화 수용액으로 처리하였다. 다시 고체 황산나트륨을 첨가하고 유기 상을 여과하여 염을 제거하였다. 용매를 증발건조시켜 9 g (98 %)의 생성물을 오일로 얻었다.
5.3. 3-(1H-인돌-3-일)프로필 브로마이드 (문헌 [Chem. Pharm. Bull. (1988), 36 (8), 2853])
40 ml의 디옥산 중 2 g (11.41 mmol)의 3-(1H-인돌-3-일)프로판올의 용액에 5.3 g (12.55 mmol)의 디브로모트리페닐포스포란을 실온에서 첨가하고 얻어진 용액을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과량의 시클로헥산을 첨가하고 얻어진 침전물을 여과하여 폐기하였다. 용매를 증발건조시켜 2.7 g (99 %)의 생성물을 오일로 얻고, 이를 더 정제하지 않고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다.
5.4. 1-[3-(1H-인돌-3-일)프로필]-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
10 ml의 무수 N,N-디메틸포름아미드 중 0.19 g (0.89 mmol)의 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의 현탁액에 0.135 g (0.97 mmol)의 탄산칼륨을 첨가하고 얻어진 혼합물을 130 ℃에서 10 분 동안 가열하였다. 0.232 g (0.97 mmol)의 3-(1H-인돌-3-일)프로필 브로마이드를 첨가하고 3 시간 동안 계속 가열하였다.
냉각된 현탁액을 물로 처리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유기 추출물을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켰다. 조생성물을 90/10/1 비율의 디클로로메탄/메탄올/암모니아로 용출하는 실리카 겔 상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0.18 g의 순수한 생성물을 얻었다. Mp: 218-220 ℃.
<실시예 6 (표 2의 16번 화합물)>
1-[2-(페닐티오)에틸]-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 히드로클로라이드 (1:1)
ml의 무수 N,N-디메틸포름아미드 중 0.2 g (0.93 mmol)의 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의 현탁액에 48.5 mg (1.21 mmol)의 수소화나트륨 (광유 중 60 % 현탁액)을 첨가하고 얻어진 혼합물을 70 ℃에서 30 분 동안 가열하였다. 0.32 g (1.49 mmol)의 2-브로모에틸 페닐 술피드를 첨가하고 130 ℃에서 1 시간 동안 계속 가열하였다.
물을 냉각된 혼합물에 첨가하고 얻어진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합해진 추출물을 물로 세척하고 증발시켰다. 조 생성물을 98/2/0.2 비율의 디클로로메탄/메탄올/디에틸아민의 혼합물로 용출하는 실리카 겔 상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순수한 화합물을 유리 염기로 얻었다. 유리 염기의 이소프로필 용액에 염산을 첨가함으로써 화합물을 히드로클로라이드 염으로 전환시켰다. 0.11 g의 생성물을 황색 고체로 얻었다. Mp: 199-202 ℃.
<실시예 7 (표 2의 14번 화합물)>
1-[2-(4-클로로페녹시)에틸]-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 히드로클로라이드 (1:1)
5 ml의 무수 N,N-디메틸포름아미드 중 0.2 g (0.93 mmol)의 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a]피리미딘-5(1H)-온의 현탁액에 48.5 mg (1.21 mmol)의 수소화나트륨 (광유 중 60 % 현탁액)을 첨가하고 얻어진 혼합물을 70 ℃에서 30 분 동안 가열하였다. 0.351 g (1.49 mmol)의 2-(4-클로로페녹시)에틸 브로마이드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30 ℃에서 18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물을 냉각된 혼합물에 첨가하고 얻어진 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합해진 추출물을 물로 세척하고 증발시켰다. 조 생성물을 100/0 내지 96/4 비율의 디클로로메탄/메탄올의 혼합물로 용출하는 실리카 겔 상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순수한 화합물을 유리 염기로 얻었다. 유리 염기의 에탄올 용액에 염산을 첨가함으로써 화합물을 히드로클로라이드 염으로 전환시켰다. 0.24 g의 생성물을 황색 고체로 얻었다. Mp: 211-213 ℃.
<실시예 8 (표 2의 17번 화합물)>
1-(3-페닐프로파노일)-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
5 ml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 중 0.2 g (0.93 mmol)의 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의 현탁액을 48 mg (1.20 mmol)의 수소화나트륨 (광유 중 60 % 현탁액)로 처리하고 얻어진 혼합물을 실온에서 15 분 동안 교반한 후 0 ℃로 냉각시켰다. 0.251 g (1.49 mmol)의 3-페닐프로피오닐 클로라이드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염화암모늄의 포화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건조 및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100/0 내지 95/5 비율의 디클로로메탄/메탄올로 용출하는 실리카 겔 상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0.2 g의 순수한 생성물을 백색 고체로 얻었다. Mp: 171-172 ℃.
표에서, R1은 비치환된 4-피리딜기이고, Ph는 페닐기를 나타내고, "X" 행에서 X가 2개의 수소 원자를 나타낼 경우에는 "H"만을 나타내었고, R2 행에서 Y기에 부착된 결합을 "━━"으로 표시하였다.
시험 실시예: GSK3 β에 대한 본 발명의 의약의 저해 활성:
2 가지 상이한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다.
제1 프로토콜: 7.5 μM의 미리인산화된 GS1 펩티드 및 10 μM의 ATP (33P-ATP를 300,000 cpm 함유)를 25 mM Tris-HCl, pH 7.5, 0.6 mM DTT, 6 mM MgCl2, 0.6 mM EGTA, 0.05 mg/ml BSA 완충용액 중에서 GSK3베타 존재하에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전체 반응 부피: 100 ㎕).
제2 프로토콜: 4.1 μM의 미리인산화된 GS1 펩티드 및 42 μM ATP (33P-ATP를 260,000 cpm 함유)를 80 mM Mes-NaOH, pH 6.5, 1 mM Mg 아세테이트, 0.5 mM EGTA, 5 mM 2-머캡토에탄올, 0.02% Tween 20, 10% 글리세롤 완충용액 중에서 GSK3베타 존재하에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저해제를 DMSO 중에 용해시켰다 (반응 매질에서 최종 용매 농도, 1%).
상기 반응을, 25 g 폴리인산 (85% P2O5), 126 ml 85% H3PO4, H2O로 총 500 ml로 제조된 용액의 100 ㎕를 이용해 정지시킨 후 사용 전에 1:100으로 희석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의 분취액을 왓트만 (Whatman) P81 양이온 교환 필터로 옮기고 상기 기재된 용액으로 헹구었다. 혼입된 33P 방사능을 액체 섬광 분광계로 측정하였다.
인산화된 GS-1 펩티드는 하기 서열을 갖는다:
NH2-YRRAAVPPSPSLSRHSSPHQS(P)EDEE-COOH.
본 발명의 화합물의 GSK3 β 저해 활성을 IC50으로 나타내고, 실례로서 표 1의 화합물의 IC50의 범위는 2 nM 내지 1 μM 농도 사이의 값이었다.
제형 실시예
(1) 정제
하기 성분을 정규 방법으로 혼합하고 통상적인 기구를 사용하여 압착하였다.
실시예 1의 화합물30 mg
결정질 셀룰로스60 mg
옥수수 전분100 mg
락토스200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4 mg
(2) 연질 캡슐
하기 성분을 정규 방법으로 혼합하고 연질 캡슐에 충전하였다.
실시예 1의 화합물30 mg
올리브 오일300 mg
레시틴20 mg
(1) 비경구 제제
하기 성분을 정규 방법으로 혼합하여 1 ml 앰플에 함유된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의 화합물3 mg
염화 나트륨4 mg
주사용 증류수1 ml
본 발명의 화합물은 GSK3 β 저해 활성을 갖고 GSK3 β의 비정상적인 활성에 의해 야기된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의약의 활성 성분으로 유용하다.

Claims (12)

  1. 하기 화학식 I의 피리미돈 유도체 또는 그의 염, 또는 그의 용매화물 또는 그의 수화물.
    <화학식 I>
    상기 식에서,
    X는 수소 원자들, 황 원자, 산소 원자, 또는 C1-2알킬기와 수소 원자를 나타내고;
    Y는 결합, 에테닐렌기, 에티닐렌기, 1,2-시클로프로필렌, 산소 원자, 황 원자, 술포닐기, 술피닐기, 카르보닐기이거나, 또는 C1-6알킬기, 페닐기 또는 벤질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될 수 있는 질소 원자; 또는 C1-6알킬기, 페닐기, 히드록시기 또는 C1-4알콕시기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2개의 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될 수 있는 메틸렌기를 나타내고;
    R1은 C3-6시클로알킬기, C1-4알킬기, C1-4알콕시기, 벤질기 또는 할로겐원자에 의해 임의로 치환될 수 있는 2,3 또는 4-피리딜기를 나타내고;
    Y가 결합, 임의로 치환될 수 있는 메틸렌기, 또는 카르보닐기인 경우, R2는C1-6알킬기, C3-6시클로알킬기, C1-4알킬티오기, C1-4알콕시기, C1-2퍼할로겐화된 알킬기, C1-3할로겐화된 알킬기, 5,6,7,8-테트라히드로나프틸 고리, 나프틸 고리, 페닐티오기, 벤질기, 페닐 고리, 피리딜 고리, 인돌 고리, 피롤 고리, 티오펜 고리, 푸란 고리 또는 이미다졸 고리를 나타내고; 상기 벤질기 또는 상기 고리들은 C1-6알킬기, 메틸렌디옥시기, 할로겐 원자, C1-2퍼할로겐화된 알킬기, C1-3할로겐화된 알킬기, 히드록시기, C1-4알콕시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아미노기, C1-5모노알킬아미노기, C2-10디알킬아미노기, C1-6알킬카르보닐아미노기, C6,10아릴카르보닐아미노기, C1-4알킬술포닐기, C1-4알킬술포닐옥시기 또는 페닐기로부터 선택된 1 내지 4개의 치환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될 수 있고;
    Y가 에테닐렌기, 에티닐렌기, 산소 원자, 황 원자, 술포닐기, 술폭시드기 또는 임의로 치환될 수 있는 질소 원자를 나타내는 경우, R2는 C1-6알킬기, C3-6시클로알킬기, C1-2퍼할로겐화된 알킬기, C1-3할로겐화된 알킬기, 나프틸 고리, 5,6,7,8-테트라히드로나프틸 고리, 벤질기, 페닐 고리, 피리딜 고리, 인돌 고리, 피롤 고리, 티오펜 고리, 푸란 고리 또는 이미다졸 고리를 나타내고; 상기 벤질기 또는 상기 고리들은 C1-6알킬기, 메틸렌디옥시기, 할로겐 원자, C1-2퍼할로겐화된 알킬기, C1-3할로겐화된 알킬기, 히드록시기, C1-4알콕시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아미노기, C1-5모노알킬아미노기, C2-10디알킬아미노기, C1-6알킬카르보닐아미노기,C6,10아릴카르보닐아미노기, C1-4알킬술포닐기, C1-4알킬술포닐옥시기 또는 페닐기로부터 선택되는 1 내지 4개의 치환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될 수 있고;
    m은 1 또는 2를 나타내고;
    n은 0 내지 3을 나타낸다.
  2. 제1항에 있어서, R1이 비치환된 4-피리딜기를 나타내는 피리미돈 유도체 또는 그의 염, 또는 그의 용매화물 또는 그의 수화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R2가 C1-4알킬기, C1-2알킬티오기, C1-2알콕시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C5-6시클로알킬기, 나프틸 고리, 5,6,7,8-테트라히드로나프틸 고리, 페닐 고리, 피리딜 고리, 인돌 고리, 티오펜 고리를 나타내고; 상기 고리들은 1 내지 4개의 치환기에 의해 임의로 치환될 수 있는 것인 피리미돈 유도체 또는 그의 염, 또는 그의 용매화물 또는 그의 수화물.
  4. 1: 9-[2-(1H-인돌-3-일)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2: 9-(3-페닐프로필)-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3: 9-(2-페닐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4: 9-[3-(1H-인돌-3-일)프로필]-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5: 9-(2-페녹시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6: 9-[3-(3,4-메틸렌디옥시페닐)프로필]-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7: 9-[2-(2-메톡시페닐)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8: 9-[2-(4-플루오로페녹시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9: 9-[3-(2-클로로페닐)프로필]-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10: 9-[3-(4-메틸페닐)프로필]-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11: 9-[3-(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프로필]-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12: 9-(4-페닐부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13: 9-[3-(2-메틸페닐)프로필]-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14: 9-[2-(2,5-디메톡시페닐)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15: 9-[2-(2-메톡시페녹시)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16: 9-[3-(2-메톡시페닐)프로필]-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17: 9-[2-(4-클로로페녹시)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18: 9-[3-(3-메톡시페닐)프로필]-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19: 9-(2-메톡시페닐메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20:9-[2-페닐티오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21: 9-[3-(3,4-디메톡시페닐)프로필]-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22: 9-[3-(3,4,5-트리메톡시페닐)프로필]-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23: 9-[2-(페닐술포닐)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24: 9-[3-(3,4-플루오로페닐)프로필]-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25: 9-[3-페닐프로파노일]-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26: 9-[3-(4-플루오로페닐)프로필]-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27: 9-[3-(2,5-디메톡시페닐)프로필]-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28: 9-[3-(2,4-디클로로페닐)프로필]-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29: 9-[3-(3-플루오로페닐)프로필]-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30: 9-[3-(4-클로로페닐)프로필]-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31:9-(3,3-디메틸부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32: 9-(2-시클로헥실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33: 9-[3-(피리딘-3-일)프로필]-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34: 9-[2-(4-메틸술포닐옥시페닐)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35: 9-(3-메틸부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36: 9-(3,3-디페닐프로필)-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37: 9-[4-(4-메톡시페닐)부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38: 9-[4-(4-니트로페닐)부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39: 9-[3-(2-플루오로페닐)프로필]-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40: 9-(3-페닐프로프-2-이닐)-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41: 9-(3-페닐부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42: 9-[2-(2-클로로-4-플루오로페닐)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43: 9-(2-페닐-2-옥소-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44: 9-(3-벤질옥시프로필)-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45:9-(3-메틸티오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46: 9-[2-(1-나프틸)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47: 9-[2-(티오펜-2-일)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48: 9-[2-(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49: 9-[(2-(티오펜-3-일)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50: 9-[2-(2-브로모페닐)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51: 9-(4-시클로헥실부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52: 9-[2-(3-브로모페닐)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53: 9-[2-(4-ter-부틸페닐)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54: 9-[2-(2,4,6-트리메틸페닐)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55: 9-[2-(4-에톡시페닐)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56: 9-[2-(2-클로로-6-플루오로페닐)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57: 9-[2-(3-클로로페닐)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58: 9-[2-(3-메틸페닐)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59:9-(3-메톡시부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60: 9-(3-시클로헥실프로필)-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61:9-[3-[디(페닐메틸)아미노]프로필]-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62: 9-(2-페닐-시클로프로필메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63: 9-(3-페닐프로프-2-에닐)-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64: 9-(2-페닐-2-히드록시프로필)-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65: 9-[3-(4-플루오로페닐)-3-옥소-프로필]-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66: 9-(4,4,4-트리플루오로부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67: 9-[3-페닐-3-옥소-프로필]-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68: 9-[3-페닐-3-히드록시프로필]-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69: 9-[3,3,3-트리플루오로-2-히드록시프로필]-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70: (R)-9-[2-페닐-2-히드록시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71: (S)-9-[2-페닐-2-히드록시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72: 9-[3-(4-플루오로페닐)-3-히드록시프로필]-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73: 9-[1-메틸-2-옥소-2-페닐-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74: 9-[1-메틸-2-히드록시-2-페닐-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75: 9-[2-(4-메틸페닐)-2-옥소-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76:9-[2-(4-클로로페닐)-2-옥소-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77: 9-[2-(4-플루오로페닐)-2-옥소-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78: 9-[2-(4-페닐페닐)-2-옥소-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79: 9-[2-(3-메톡시페닐)-2-옥소-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80: 9-[2-(2-나프틸)-2-옥소-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81: 9-[2-(5,5,8,8-테트라메틸-5,6,7,8-테트라히드로나프트-2-일)-2-옥소-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82: 9-[2-(3-메톡시-4,5-메틸렌디옥시페닐)-2-옥소-1-메틸에틸]-2-피리딘-4- 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83: 9-[2-(4-메틸페닐)-2-히드록시-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84: 9-[2-(1,1,4,4-테트라메틸-1,2,3,4-테트라히드로나프트-6-일)-2-히드록시-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85: 9-[2-(페닐아미노)-2-옥소-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86: 9-[2-(3-클로로페닐)-2-옥소-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87: 9-[2-(3-클로로페닐)-2-히드록시-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88: 9-[2-(3-플루오로페닐)-2-옥소-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및
    89: 9-[2-(3-플루오로페닐)-2-히드록시-에틸]-2-피리딘-4-일-6,7,8,9-테트라히드로-4H-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피리미돈 유도체 또는 그의 염, 또는 그의 용매화물 또는 그의 수화물.
  5. 1: 1-[2-(1H-인돌-3-일)에틸]-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
    2: 1-[3-(페닐)프로필]-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
    3: 1-[3-(1H-인돌-3-일)프로필]-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
    4: 1-[2-(페닐)에틸]-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
    5: 1-[3-(2-메틸페닐)프로필]-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
    6: 1-[3-(2-메톡시페닐)프로필]-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
    7: 1-(4-페닐부틸)-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
    8: 1-[3-(2-클로로페닐)프로필]-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
    9: 1-[3-(2,5-디메톡시페닐)프로필]-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
    10: 1-[3-(4-메틸페닐)프로필]-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
    11: 1-[3-(3-메톡시페닐)프로필]-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
    12: 1-[3-(3,4,5-트리메톡시페닐)프로필]-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
    13:1-[2-(4-플루오로페녹시)에틸]-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
    14: 1-[2-(4-클로로페녹시)에틸]-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 a]피리미딘-5(1H)-온,
    15: 1-[3-(2,4-디클로로페닐)프로필]-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
    16: 1-[2-(페닐티오)에틸]-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
    17: 1-(3-페닐프로파노일)-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
    18: 1-[3-(4-플루오로페닐)프로필]-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
    19: 1-[3-(3,4-디플루오로페닐)프로필]-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
    20: 1-(2-시클로헥실에틸)-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
    21: 1-(3,3-디메틸부틸)-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
    22: 1-(2-페닐-2-옥소-에틸)-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
    23: (S)-1-(4,4,4-트리플루오로-3-히드록시부틸)-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
    24: 1-(4,4,4-트리플루오로-부트-2-엔-1-일)-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
    25: 1-[3-(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프로필]-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
    26: (R)-1-(4,4,4-트리플루오로-3-히드록시부틸)-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
    27: 1-[3-(2-플루오로페닐)프로필]-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
    28: 1-[2-(2,5-디메톡시-페닐)에틸]-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
    29: 1-[2-(페닐술포닐)에틸]-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
    30: 1-(4,4,4-트리플루오로부틸)-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
    31: 1-[3-(피리딘-3-일)프로필]-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
    32: 1-[2-(2-메톡시)에틸]-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
    33: 1-[2-(4-클로로-페닐)-2-옥소-에틸]-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
    34: 1-[2-(나프트-2-일)-2-옥소-에틸]-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
    35: 1-[2-(3-메톡시-4,5-메틸렌디옥시-페닐)-2-옥소-1-메틸-에틸]-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
    36: 1-[2-(4-페닐-페닐)-2-옥소-에틸]-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
    37: 1-[2-(4-메틸페닐)2-옥소-에틸]-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
    38: 1-[2-(5,5,8,8-테트라메틸-5,6,7,8-테트라히드로나프트-2-일)2-옥소-에틸]-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
    39: 1-[2-(4-플루오로페닐)-2-옥소-에틸]-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 및
    40: 1-[2-(3-메톡시페닐)-2-옥소-에틸]-7-피리딘-4-일-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피리미돈 유도체 또는 그의 염, 또는 그의 용매화물 또는 그의 수화물.
  6. 제1항에 따른 피리미돈 유도체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된 물질을 활성성분으로 포함하는 의약.
  7. 제1항에 따른 화학식 I의 피리미돈 유도체 또는 그의 염, 또는 그의 용매화물 또는 그의 수화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GSK3 β 저해제.
  8. 비정상적인 GSK3 β 활성에 의해 야기된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의약의 제조에서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피리미돈 유도체의 용도.
  9. 퇴행성 신경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의약의 제조에서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피리미딘 유도체의 용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퇴행성 신경 질환이 알츠하이머 질환, 파킨슨 질환, 타우 (tau) 단백질 관련 병증 (tauopathy), 혈관성 치매; 급성 졸중, 외상성 손상; 뇌혈관 발작, 뇌 외상, 척수 외상, 말초신경장애; 망막증 또는 녹내장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인 화합물의 용도.
  11.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비만, 조울증, 정신분열증, 탈모 또는 암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의약의 제조에서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의 용도.
  12. 제11항에 있어서, 암이 유방암, 비(非)소세포성 폐암종, 갑상선암, T 또는 B-세포 백혈병 또는 바이러스로 인한 종양인 용도.
KR1020037003062A 2000-09-01 2001-08-31 2-피리디닐-6,7,8,9-테트라히드로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및7-피리디닐-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유도체 KR1008002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0402410.5 2000-09-01
EP00402410A EP1184383A1 (en) 2000-09-01 2000-09-01 9-[Alkyl], 9-[(heteroaryl)alkyl] and 9-[(aryl)alkyl]-2-pyridinyl-6,7,8,9-tetrahydropyrimido[1,2-a]pyrimidin-4-one derivatives
EP00402412.1 2000-09-01
EP00402412A EP1184385A1 (en) 2000-09-01 2000-09-01 1-[Alkyl], 1-[(heteroaryl)alkyl] and 1-[(aryl)alkyl]-7-pyridin-4-yl-2,3-dihydroimidazo[1,2-a]pyrimidin-5(1H)-one derivatives
PCT/EP2001/010726 WO2002018386A1 (en) 2000-09-01 2001-08-31 2-PYRIDINYL-6,7,8,9-TETRAHYDROPYRIMIDO[1,2-a]PYRIMIDIN-4-ONE AND 7-PYRIDINYL-2,3-DIHYDROIMIDAZO[1,2-a]PYRIMIDIN-5(1H)ONE DERIVATI V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7103A true KR20030027103A (ko) 2003-04-03
KR100800250B1 KR100800250B1 (ko) 2008-02-01

Family

ID=26073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3062A KR100800250B1 (ko) 2000-09-01 2001-08-31 2-피리디닐-6,7,8,9-테트라히드로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및7-피리디닐-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유도체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3) US6974819B2 (ko)
EP (1) EP1315731B1 (ko)
JP (1) JP2004507546A (ko)
KR (1) KR100800250B1 (ko)
CN (2) CN100339379C (ko)
AR (1) AR030587A1 (ko)
AT (1) ATE269333T1 (ko)
AU (2) AU1224902A (ko)
CA (1) CA2419880C (ko)
DE (1) DE60103909T2 (ko)
DK (1) DK1315731T3 (ko)
EA (1) EA005297B1 (ko)
ES (1) ES2222396T3 (ko)
SI (1) SI1315731T1 (ko)
TR (1) TR200402342T4 (ko)
WO (1) WO20020183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Z547205A (en) * 2001-09-21 2007-11-30 Sanofi Aventis Intermediates of substituted 2-pyridinyl-6,7,8,9-tetrahydropyrimido[1,2-a]pyrimidin-4-one and 7-pyridinyl-2,3-dihydroimidazo[1,2-a]pyrimidin-5(1H)one derivatives
US7232827B2 (en) * 2002-02-28 2007-06-19 Sanofi-Aventis Heteroaryl substituted 2-pyridinyl and 2-pyrimidinyl-6,7,8,9-tetrahydropyrimido[1,2-a]pyrimidin-4-one derivatives
EP1454909B1 (en) * 2003-03-07 2008-08-20 Sanofi Aventis 8'-pyridinyl-dihydrospiro (cycloalkyl) -pyrimido (1,2-a) pyrimidin-6-one and 8'-pyrimidinyl-dihydrospiro (cycloalkyl) pyrimido (1,2-a) pyrimidin-6 derivatives -one and their use against neurodegenerative diseases
EP1460076A1 (en) 2003-03-21 2004-09-22 Sanofi-Synthelabo Substituted 8-perfluoroalkyl-6,7,8,9-tetrahydropyrimido[1,2-a] pyrimidin-4-one derivatives
EP1460075A1 (en) * 2003-03-21 2004-09-22 Sanofi-Synthelabo Substituted 8-Pyridinyl-6,7,8,9-Tetrahydropyrimido[1,2-a]Pyrimidin-4-one and 8-Phenyl-6-7,8,9-Tetrahydropyrimido[1,2-a]Pyrimidin-4-one derivatives
EP1557417B1 (en) * 2003-12-19 2007-03-07 Sanofi-Aventis Substituted 8'-pyri(mi)dinyl-dihydrospiro-[cycloalkylamine]-pyrimido[1,2-a] pyrimidin-6-one derivatives
EP2258358A3 (en) 2005-08-26 2011-09-07 Braincells, Inc. Neurogenesis with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
CA2620333A1 (en) 2005-08-26 2007-03-01 Braincells, Inc. Neurogenesis by muscarinic receptor modulation
EP1940389A2 (en) 2005-10-21 2008-07-09 Braincells, Inc. Modulation of neurogenesis by pde inhibition
CA2625210A1 (en) 2005-10-31 2007-05-10 Braincells, Inc. Gaba receptor mediated modulation of neurogenesis
US20100216734A1 (en) 2006-03-08 2010-08-26 Braincells, Inc. Modulation of neurogenesis by nootropic agents
AU2007249399A1 (en) 2006-05-09 2007-11-22 Braincells, Inc. Neurogenesis by modulating angiotensin
US20100216805A1 (en) 2009-02-25 2010-08-26 Braincells, Inc. Modulation of neurogenesis using d-cycloserine combinations
FR2947551B1 (fr) * 2009-07-02 2012-05-18 Sanofi Aventis Nouveaux derives de 1,2,3,4-tetrahydro-pyrimido{1,2-a)pyrimidin-6-one, leur preparation et leur utilisation pharmaceutique comme inhibiteurs de phosphorylation d'akt (pkb)
FR2947550B1 (fr) * 2009-07-02 2012-05-18 Sanofi Aventis Nouveaux derives de 2,3-dihydro-1h-imidazo{1,2-a}pyrimidin-5-one, leur preparation et leur utilisation pharmaceutique comme inhibiteurs de phosphorylation d'akt (pkb)
WO2011001113A2 (fr) 2009-07-02 2011-01-06 Sanofi-Aventis NOUVEAUX DERIVES DE 1,2,3,4-TETRAHYDRO-PYRIMIDO{1,2-a}PYRIMIDIN-6-ONE,LEUR PREPARATION ET LEUR UTILISATION PHARMACEUTIQUE
EP2448939B1 (fr) * 2009-07-02 2017-03-01 Sanofi Derives de 2,3-dihydro-1h-imidazo {1,2-a} pyrimidin-5-one, leur preparation et leur utilisation pharmaceutique
DK2835131T3 (en) 2010-12-14 2017-12-04 Electrophoretics Ltd Casein kinase 1 delta inhibitors (CK1 delta)
PL2655375T3 (pl) 2010-12-23 2015-05-29 Sanofi Sa Pochodne pirymidynonu, ich wytwarzanie i ich farmaceutyczne zastosowanie
FR2992314B1 (fr) 2012-06-22 2015-10-16 Sanofi Sa Nouveaux derives de 2,3-dihydro-1h-imidazo{1,2-a}pyrimidin-5-one et 1,2,3,4-tetrahydro-pyrimido{1,2-a}pyrimidin-6-one comportant une morpholine substituee, leur preparation et leur utilisation pharmaceutique
CA2945263A1 (en) 2014-04-09 2015-10-15 Christopher Rudd Use of gsk-3 inhibitors or activators which modulate pd-1 or t-bet expression to modulate t cell immunity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41298B (en) 1998-09-25 2005-10-11 Mitsubishi Chem Corp Pyrimidone derivatives
US6004814A (en) 1998-09-25 1999-12-21 Isis Pharmaceuticals Inc. Antisense modulation of CD71 expres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2212249B2 (en) 2006-11-30
AU1224902A (en) 2002-03-13
US20060014762A1 (en) 2006-01-19
JP2004507546A (ja) 2004-03-11
SI1315731T1 (en) 2005-02-28
CN1449398A (zh) 2003-10-15
DE60103909D1 (de) 2004-07-22
KR100800250B1 (ko) 2008-02-01
US20040087598A1 (en) 2004-05-06
US7566720B2 (en) 2009-07-28
CN100339379C (zh) 2007-09-26
ES2222396T3 (es) 2005-02-01
CA2419880C (en) 2010-04-20
TR200402342T4 (tr) 2004-11-22
US20080027078A1 (en) 2008-01-31
EP1315731B1 (en) 2004-06-16
CN1267432C (zh) 2006-08-02
EP1315731A1 (en) 2003-06-04
AU2002212249B9 (en) 2007-01-18
EA200300151A1 (ru) 2003-08-28
EA005297B1 (ru) 2004-12-30
CA2419880A1 (en) 2002-03-07
ATE269333T1 (de) 2004-07-15
CN1680379A (zh) 2005-10-12
US6974819B2 (en) 2005-12-13
DK1315731T3 (da) 2004-10-11
DE60103909T2 (de) 2005-09-22
AR030587A1 (es) 2003-08-27
WO2002018386A1 (en) 2002-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0250B1 (ko) 2-피리디닐-6,7,8,9-테트라히드로피리미도[1,2-α]피리미딘-4-온 및7-피리디닐-2,3-디히드로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유도체
JP4778657B2 (ja) GSK3.β阻害剤としての2−アミノ−3−(アルキル)−ピリミドン誘導体
KR100868840B1 (ko) 신경퇴행성 장애를 위한 치환된2-피리미디닐-6,7,8,9-테트라히드로피리미도[1,2-a]피리미딘-4-온 및7-피리미디닐-2,3-디히드로이미다조[1,2-a]피리미딘-5(1h)온 유도체
KR101070149B1 (ko) 8-치환된-6,7,8,9-테트라히드로피리미도[1,2-a]피리미딘-4-온 유도체
JP4570362B2 (ja) 置換した2−ピリジニル−6,7,8,9−テトラヒドロピリミド[1,2−a]ピリミジン−4−オンおよび7−ピリジニル−2,3−ジヒドロイミダゾ[1,2−a]ピリミジン−5(1H)オン誘導体
KR101070075B1 (ko) 치환된8-퍼플루오로알킬-6,7,8,9-테트라히드로피리미도[1,2-a]피리미딘-4-온 유도체
CN101321756A (zh) 用作细胞周期蛋白依赖性激酶抑制剂的新的吡唑并嘧啶化合物
AU2002212249A1 (en) 2-pyridinyl-6,7,8,9-tetrahydropyrimido[1,2-a]pyrimidin-4-one and 7-pyridinyl-2,3-dihydroimidazo[1,2-a]pyrimidin-5(1H)one derivatives
JP4484524B2 (ja) 1−[アルキル]、1−[(ヘテロアリール)アルキル]および1−[(アリール)アルキル]−7−(ピリミジン−4−イル)−イミダゾ[1,2−a]ピリミジン−5(1H)−オン誘導体
KR100775192B1 (ko) 1-[알킬], 1-[(헤테로아릴)알킬] 및1-[(아릴)알킬]-7-피리디닐-이미다조[1,2-α]피리미딘-5(1H)-온 유도체
JP4778890B2 (ja) 置換された2−(ジアザ−ビシクロ−アルキル)−ピリミドン誘導体
EP1184383A1 (en) 9-[Alkyl], 9-[(heteroaryl)alkyl] and 9-[(aryl)alkyl]-2-pyridinyl-6,7,8,9-tetrahydropyrimido[1,2-a]pyrimidin-4-one derivativ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