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5576A - 커플드 토션빔액슬 스핀들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커플드 토션빔액슬 스핀들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5576A
KR20030025576A KR1020010058693A KR20010058693A KR20030025576A KR 20030025576 A KR20030025576 A KR 20030025576A KR 1020010058693 A KR1020010058693 A KR 1020010058693A KR 20010058693 A KR20010058693 A KR 20010058693A KR 20030025576 A KR20030025576 A KR 200300255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ndle
bracket
coupling
coupled
torsion b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8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1826B1 (ko
Inventor
이경모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58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1826B1/ko
Publication of KR20030025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55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1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18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1Trailing arm twist beam ax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suspension types
    • B60G2200/20Semi-rigid axle suspensions
    • B60G2200/21Trailing arms connected by a torsional beam, i.e. twist-beam ax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012Hollow or tubula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1Shaping
    • B60G2206/8103Shaping by folding or be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60G2206/8207Joining by screwing

Abstract

본 발명은 커플드 토션빔액슬의 트레일러아암의 끝단에 일측에는 스핀들이 관통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일부가 압착되어 평면을 이루는 부위에 고정플레이트를 연결하고, 그 반대편에는 충격완화댐퍼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스핀들브라켓트를 연결하여 이 스핀들브라케트에 스핀들과 충격완화댐퍼를 동시에 고정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작시 조립공정이 저감되어 조립성이 향상되고 부품수의 절감에 따른 원가절감 및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레일링 아암에 결합되는 브라켓트의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어 이 브라켓트의 무게 하중이 형성되지 않는 경량화를 도모하고, 트레일링 아암에 결합되는 브라켓트가 아암이 연결되어 형하는 방향에 어긋나게 연결되도록 하므로 브라켓트를 융착할때 외측의 타이어로부터 간섭을 피해 용이한 조립의 효과를 갖는 커플드 토션빔액슬 스핀들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커플드 토션빔액슬 스핀들 연결장치{connecting of spinde device for coupled torsion beam axle}
본 발명은 커플드 토션빔액슬 스핀들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자세 하게는 커플드 토션빔액슬의 트레일러아암의 끝단에 일측에는 스핀들이 관통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일부가 압착되어 평면을 이루는 부위에 고정플레이트를 연결하고, 그 반대편에는 충격완화댐퍼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스핀들브라켓트를 연결하여 이 스핀들브라케트에 스핀들과 충격완화댐퍼를 동시에 고정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작시 조립공정이 저감되어 조립성이 향상되고 부품수의 절감에 따른 원가절감 및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커플드 토션빔액슬 스핀들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션빔식 서스펜션(torsion beam type suspesion)은 세미리지드액슬식이라고도 불리우며 트레일링 암식 서스펜션(trailing arm type suspension)으로 좌우트레일링 암을 크로스빔에 연결한 형식의 서스펜션을 말하며 크로스 빔의 부착위치에 따라 액슬빔식, 피벗빔식, 커플드빔식이 있으며 소형 FF차의 후륜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좌우에 암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차체의 롤링에 따라 빔이 비틀어져 스태빌라이저의 효과를 가져온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토션빔식의 액슬은 스핀들과 결합하는 구조를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 스핀들(spindle)은 자동차 앞바퀴를 설치하기 위하여 허브가 설치되는 부분 또는 공작 기계의 주축등과 같은 짧은 축을 말한다.
또 다른 구조로는 , 커플드 토션빔식 서스펜션은 액슬빔식과 피벗빔식의 중간적인 존재로 '코펠랭켈악쎄라고도 불려진다. 이 방식은 바운스시의 움직임은 풀 틀레일링식과 동일하지만 롤식에는 세미 트레일링식의 궤적을 취하기 때문에 쌍방의 이점을 합한형식이다.
이러한 커플드토션빔(coupled torsion beam) 서스펜션은 링과 아암을 서로 결합할 수 있는 부시를 이용하여 용접 또는 조립하게 된다.부시는 그 자체로 승차감이나 조정 안전성에 미치는 영양이 크므로 형상, 고무재질은 여러 갈개에 걸쳐 있다. 형상도 외통이 있고 없는 것 외에 중간에 통을 넣는 2중 구조나 피로 볼등도 사용된다.
이러한 커플드토션빔 액슬의 스핀들 결합구조를 도면 참조하여 설명하면,도 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토션빔액슬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끝단에 횡축으로 길게 연결되어 차량에 장착되는 요동아암과 결합되어 연결되도록 하는 트레일링아암(2)과, 상기 트레일링아암(2)의 우측에 끝단에 고정연결되어 스핀들이 조립될 수 있도록 하는 스핀들브라켓트(3)이 연결되는 토션빔액슬(1)이 연결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스핀들브라켓트(3)은 트레일링아암(2)에 융착하여 고정되거나 트레일링아암(2)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아래 끝단부가 원형의 끼움구를 형성시켜 결합하여 고정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커플드토션빔 액슬의 스핀들 결합구조는 토션빔액슬(1)의 끝단이 트레일링아암(2) 중앙에 융착될 수 있도록 하고 트레일링아암(2)의 우측에 스핀들이 조립될 수 있는 스핀들브라켓(3)을 융착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스핀들브라켓트(3)은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이 전달되는 부위로써높은 강도와 강성이 요구되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커플드토션빔 액슬의 스핀들 결합구조는 트레일링아암과 스핀들브라켓간의 용접부위와 강성 및 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용접구간을 확대하거나 스핀들브라켓의 형성을 크게 함으로써 중량이 증가되고 그에 따른 조립작업 공수가 많아 작업시간이 많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커플드 토션빔액슬의 트레일러아암의 끝단에 일측에는 스핀들이 관통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일부가 압착되어 평면을 이루는 부위에 고정플레이트를 연결하고, 그 반대편에는 충격완화댐퍼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브라켓트를 연결하여 이 블라케트에 스핀들과 충격완화댐퍼를 동시에 고정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작시 조립공정이 저감되어 조립성이 향상되고 부품수의 절감에 따른 원가절감 및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트레일링 아암 끝단에 스핀들을 장착하여 고정시키기 위해 스핀들브라켓트를 결합시킨 커플드 토션빔액슬에 있어서,상기 트레일링아암의 끝단부 타단은 상부에서부터 다단절곡 형성되고 일단에는 상하로 평평한 평면이 형성된 삼각형의 형태의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 융착 연결되며 나사산이 형성된 다수의 체결공 중앙에 외부로부터 스핀들이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구멍을 형성하는 결합공이 일체 형성된 얇은 판의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트레일링아암의 결합부 타측으로 다단 절곡된 부위에 융착고정되고 상부의 경사면과전후단면의 상하 수직면에 각각 관통구가 형성되며 상부의 경사면 내측에는 전후단의 수직면까지 무게의 하중을 줄이기 위해 공간이 형성되고 아래에는 구멍이 형성된 고정구를 갖는 스핀들브라켓트와, 상기 스핀들브라켓트의 고정구에 고정연결될 수 있도록 하단에 일체 연결된 고정부에 결합볼트로 조립되는 충격완화댐퍼가 연결되어 이루는 구성을 갖는 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핀들브라켓트 아래에는 충격완화댐퍼의 고정부에서부터 결합볼트가 관통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구에 내주연에 나사홈이 형성된 결합파이프를 고정연결시킬 수 있도록 구멍을 형성시킨 고정구가 일체 고정 연결되어 이루어진 구성을 갖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충격완화댐퍼는 결합볼트의 결합이 긴밀해질 수 있도록 하며 외부표면에 가압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오링이 더 연결되어 이루어진 구성을 갖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여 본 발명은 트레일링 아암에 결합되는 브라켓트의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어 이 브라켓트의 무게 하중이 형성되지 않는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트레일링 아암에 결합되는 브라켓트가 아암이 연결되어 형하는 방향에 어긋나게 연결되도록 하므로 브라켓트를 융착할때 외측의 타이어로부터 간섭을 피해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토션빔액슬 스핀들의 연결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플드 토션빔액슬 스핀들 연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플드 토션빔액슬 스핀들 연결장치의 측부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토션빔액슬2,10: 트레일링아암
3,30: 스핀들브라켓트11: 결합부
21: 체결공22: 체결볼트
23: 결합공31: 관통구
35: 고정구36: 결합파이프
40: 충격완화댐퍼46:오링
47: 결합볼트50;타이어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면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발명의 목적, 작용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플드 토션빔액슬 스핀들 연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플드 토션빔액슬 스핀들 연결장치의 측부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커플드토션빔 액슬의 스핀들을 결합하기 위한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도 2 또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끝단부가 압착되어 타단에는 상부로부터 다단잘곡되어 상부와 하부의 경사면이 마주볼 수 있도록 형성되고 일단에는 상하로 수평한 평면이 이루는 삼각형 형태의 결합부(11)가 일체 연결되는 트레일링아암(10)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트레일링아암(10)의 결합부(11) 일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체결볼트(22)가 조립되는 다수의 체결공(21)과 중앙에 무게의 하중을 줄이기 위해 관통구멍이 형성된 결합공(23)이 일체 형성된 얇은 판으로 이루어진고정플레이트(20)가 고정연결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고정플레이트(20)는 결합공(23)에 체결볼트(22)를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플레이트(20)는 일측에 타이어(50)가 결합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트레일링아암(10)는 결합부(11) 일측에 융착고정되고 상부의 경사면과 전후단면의 상하 수직면에 각각 관통구(31)가 형성되며 상부의 경사면 내측에는 전후단의 수직면까지 무게의 하중을 줄이기 위해 공간이 형성되는 스핀들브라켓트(30)가 용접에 의해 고정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스핀들브라켓트(30) 아래에는 하부에 관통 구멍이 형성된 고정부(45)를 갖는 충격완화댐퍼(40)가 연결되는 구성를 갖는다.
상기 충격완화댐퍼(40)는 스핀들브라켓트(30)에 고정연결될 수 있도록 타측의 결합볼트(47)가 끼워져 스핀들 브라켓트(30) 타측 아래의 고정구(35)에 관통되어 끼워져 있는 결합파이프(36)가 조립되는 구성을 갖는다.
싱기 결합파이프(36)는 결합볼트(36)가 조립될 수 있도록 내주연에 나사홈이 형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격완화댐퍼(40)는 결합볼트(47)의 결합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스핀들브라켓트(30)에 긴밀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부에 끼워지는 오링(46)이 연결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커플드토션빔 액슬의 스핀들을 결합하기 위한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도 2 또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트레일링아암(10)의 끝단에 스핀들과 충격완화댐퍼(40)를 고정연결시킬 수 있도록 끝단에 일측으로 상하 수직의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결합부(11)가 형성될 수 있도록 삼각형 형태로 절곡 형성시키게 된다,
이러한 트레일링아암(10)의 결합부(11)는 일측에는 고정플레이트(20)를 결합하고 타측으로는 스핀들브라켓트(30)를 매개로 충격완화댐퍼(40)를 연결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스핀들브라켓트(30)는 트레일링아암(10)의 끝단부가 진행하고 있는 방향과 어긋나는 안쪽 방향 즉 좌측방향으로 연결되어 스핀들브라켓트(30)를 트레일링아암(10)에 융착할때 외측의 타이어(50)에 의한 간섭을 전혀 받지 않으면서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고정플레이트(20)는 트레일링아암(10)의 결합부(11)에 융착되어 외부로부터 결합되는 스핀들을 끼울 수 있도록 중앙에 결합공(23)을 형성하고, 그 결합공(23) 주변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공(21)을 형성하여 체결볼트(22)가 조여지면서 조립되는 스핀들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스핀들브라켓트(30)는 고정플레이트(20)가 결합되는 트레일링아암(10)의 반대편에 고정 융착될 수 있도록 타측으로 경사면을 형성하고 전후단에 상하 수직 평명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고, 내측에는 아래 저면까지 공간이 형성되어 몸체의 무게하중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 스핀들브라켓트(30)는 고정플레이트(20)로부터 조립되는 스핀들이 관통될 수 있도록 경사면과 전후단면에 관통구(31)가 마련되어 스핀들이 고정플레이트(20)의 결합공(23)에서부터 스핀들브라켓트(30)의 관통구(31)에 끼워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스핀들브라켓트(30)는 하단에 결합파이프(36)가 끼워 고정시킨 고정구(35)를 두어 이 고정구(35)에 충격완화댐퍼(40)가 결합된다.
상기 고정구(35)는 내주연이 나사홈을 형성시킨 결합파이프(36)에 충격완화댐퍼(40)의 아래의 고정부(45)측에 오링(46)을 끼운후 결합볼트(47)를 조이게 되므로 결합볼트(47)가 충격완화댐퍼(40)의 고정부(45)에서 스핀들브라켓트(30)의 고정구(35)까지 긴밀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오링(46)은 결합볼트(47)가 충격완화댐퍼(40)를 조이면서 스핀들브라켓트(30)의 고정구(35)를 관통할 때 결합볼트(47)가 충격완화댐퍼(40)의 외주면을 강하게 압착하여 눌르게 되므로 발생하는 외상의 손실을 방지하면서 충격완화댐퍼(40)가 스핀들브라켓트(30)에 긴밀하게 밀착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커플드 토션빔액슬의 트레일러아암의 끝단에 일측에는 스핀들이 관통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일부가 압착되어 평면을 이루는 부위에 고정플레이트를 연결하고, 그 반대편에는 충격완화댐퍼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브라켓트를 연결하여 이 브라케트에 스핀들과 충격완화댐퍼를 동시에 고정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작시 조립공정이 저감되어 조립성이 향상되고 부품수의 절감에 따른 원가절감 및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트레일링 아암에 결합되는 브라켓트의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어 이 브라켓트의 무게 하중이 형성되지 않는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트레일링 아암에 결합되는 브라켓트가 아암이 연결되어 형하는 방향에 어긋나게 연결되도록 하므로 브라켓트를 융착할때 외측의 타이어로부터 간섭을 피해 조립의 용이성을 가지고 있다.

Claims (3)

  1. 트레일링 아암(10) 끝단에 스핀들을 장착하여 고정시키기 위해 스핀들브라켓트(30)를 결합시킨 커플드 토션빔액슬에 있어서,상기 트레일링아암(10)의 끝단부 타단은 상부에서부터 다단절곡 형성되고 일단에는 상하로 평평한 평면이 형성된 삼각형의 형태의 결합부(11)와, 상기 결합부(11)에 융착 연결되며 나사산이 형성된 다수의 체결공(21) 중앙에 외부로부터 스핀들이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구멍을 형성하는 결합공(23)이 일체 형성된 얇은 판의 고정플레이트(20)와, 상기 트레일링아암(10)의 결합부(11) 타측으로 다단 절곡된 부위에 융착고정되고 상부의 경사면과 전후단면의 상하 수직면에 각각 관통구(31)가 형성되며 상부의 경사면 내측에는 전후단의 수직면까지 무게의 하중을 줄이기 위해 공간이 형성되고 아래에는 구멍이 형성된 고정구(35)를 갖는 스핀들브라켓트(30)와, 상기 스핀들브라켓트(30)의 고정구(35)에 고정연결될 수 있도록 하단에 일체 연결된 고정부(45)에 결합볼트(47)로 조립되는 충격완화댐퍼(40)가 연결되어 이루어진 커플드 토션빔액슬 스핀들 연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브라켓트(30) 아래에는 충격완화댐퍼(40)의 고정부(45)에서부터 결합볼트(47)가 관통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구(35)에 내주연에 나사홈이 형성된 결합파이프(36)를 고정연결시킬 수 있도록 구멍을 형성시킨 고정구(35)가 일체 고정 연결되어 이루어진 커플드 토션빔액슬 스핀들 연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완화댐퍼(40)는 결합볼트(47)의 결합이 긴밀해질 수 있도록 하며 외부표면에 가압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오링(46)이 더 연결되어 이루어진 커플드 토션빔액슬 스핀들 연결장치.
KR10-2001-0058693A 2001-09-21 2001-09-21 커플드 토션빔액슬 스핀들 연결장치 KR100411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8693A KR100411826B1 (ko) 2001-09-21 2001-09-21 커플드 토션빔액슬 스핀들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8693A KR100411826B1 (ko) 2001-09-21 2001-09-21 커플드 토션빔액슬 스핀들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5576A true KR20030025576A (ko) 2003-03-29
KR100411826B1 KR100411826B1 (ko) 2003-12-24

Family

ID=27725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8693A KR100411826B1 (ko) 2001-09-21 2001-09-21 커플드 토션빔액슬 스핀들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18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0031B1 (ko) * 2003-11-11 2005-11-2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토션 빔 액슬 서스펜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1228B1 (ko) 2004-12-22 2010-0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씨티비에이 시스템의 트레일링 암과 스핀들 마운팅브래킷의 결합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0031B1 (ko) * 2003-11-11 2005-11-2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토션 빔 액슬 서스펜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11826B1 (ko) 2003-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56826B2 (en) Suspension system for a vehicle
CA2389140C (en) Suspension structure
US8434770B2 (en) Transverse link on a motor vehicle
US7416198B2 (en) Steering damper to drag link attachment clamp and method
US5332255A (en) Front suspension assembly
KR20050045316A (ko) 토션 빔 액슬 서스펜션
MXPA04006583A (es) Suspension de varilla de control con absorbedor de choque exterior.
KR100411826B1 (ko) 커플드 토션빔액슬 스핀들 연결장치
US8991839B1 (en) Axle suspension system
KR100629330B1 (ko) 커플드 토션빔
KR200206035Y1 (ko) 스트러트의 너클 브라켓 구조
KR100325156B1 (ko) 차량용리어서스펜션
KR100192332B1 (ko) 어퍼암 부쉬
KR100394634B1 (ko) 차량용 레이디어스 로드
JPH09254623A (ja) リアサスペンション構造
KR100980979B1 (ko) 차량용 현가장치
KR100199753B1 (ko) 스테빌라이저 바아 장착링크구조
KR100316930B1 (ko) 자동차의 서스펜션용 부쉬 장착구조
KR20220063954A (ko) 상용 차량의 판 스프링 체결 구조
KR200141300Y1 (ko) 자동차의 서스펜션 암과 차체의 결합구조
KR19980074751A (ko) 차량용 스태빌라이저바 설치구조
KR20030031274A (ko) 상용차의 리어현가장치구조
KR20030046971A (ko) 버스의 래디어스로드 결합구조
KR20070003024A (ko) 볼 조인트
KR20090060818A (ko) 차량의 스태빌라이저 바아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