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4054A - 다수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복합 문화 공간 서비스 시스템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다수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복합 문화 공간 서비스 시스템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4054A
KR20030024054A KR1020010057009A KR20010057009A KR20030024054A KR 20030024054 A KR20030024054 A KR 20030024054A KR 1020010057009 A KR1020010057009 A KR 1020010057009A KR 20010057009 A KR20010057009 A KR 20010057009A KR 20030024054 A KR20030024054 A KR 200300240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 server
content
affiliated
user
st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7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건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컬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컬비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컬비즈
Priority to KR1020010057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24054A/ko
Publication of KR20030024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405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가맹점에 구비된 가맹점 개인용 컴퓨터(PC)를 이용하는 이용자에게 인터넷을 통하여 다수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복합문화공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문화공간 서비스 방법은 (a) 이용자가 가맹점 PC를 이용하여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b) 가맹점 PC가 자신의 고유한 인증 정보를 복합문화공간 웹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c) 복합문화공간 웹서버가 가맹점 PC로부터 수신한 인증정보를 복합문화공간 웹서버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 정보와 비교하여 가맹점 PC를 인증하는 단계; (d) (c) 단계의 인증 과정이 성공하면, 가맹점 PC를 컨텐츠 제공 웹서버에 접속시키고, 가맹점 PC의 인증 정보를 컨텐츠 제공 웹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e) 컨텐츠 제공 웹서버가 가맹점 PC의 인증정보를 컨텐츠 제공 웹서버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 정보와 비교하여 가맹점 PC를 인증하는 단계; 및 (f) 컨텐츠 제공 웹서버가 가맹점 PC에 이용자가 선택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이용자는 컨텐츠 제공사별로 개별적으로 회원 가입 및 컨텐츠 이용료를 지불할 필요 없이 가맹점 PC를 이용한 요금만 지불하는 방식으로 컨텐츠를 이용함으로써, 손쉽게 또한 개인 정보 유출의 걱정 없이 인터넷 상의 다양한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수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복합 문화 공간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Complex culture room service system for providing multiple content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통신망을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오프라인의 일정 공간에서 인터넷을 통한 온라인 정보(컨텐츠) 뿐만 아니라 케이블 방송 등을 이용할 수 있는 복합 문화 공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CP/IP 프로토콜(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을 사용하여 전 세계를 연결하는 컴퓨터 통신망인 인터넷(Internet)망과 인터넷 기술의 발달로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각종 정보를 제공하거나 게임 등을 이용할 수 있는 장소가 많이 생겨났다.
PC방 또는 게임방이라고 불리는 곳이 바로 이러한 장소이다. PC방이나 게임방은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이하 PC라 함)를 구비하고 있으며, 각 이용자는 그 공간에서 구비된 PC를 사용하여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하거나 PC에 인스톨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이용하거나 네트웍크 게임 등을 즐긴다. 그리고, 이용자는 일반적으로 PC의 이용 시간에 따른 이용료를 지불한다.
PC방 또는 게임방은 빠른 인터넷 접속 속도나 개인이 구매하기 어려운 프로그램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용자가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PC방 이용자는 유료 정보를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개별적으로 해당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하여 회원 가입 후 정보를 이용해야 하며, 이에 대한 이용 요금은 PC방 이용 요금과 별도로 신용카드 등의 방법으로 유로 인터넷 서비스 사업자에게 지불해야 한다. 따라서, 이용자는 특정 웹 사이트에 각각 접속하여 회원 가입을 하고 각 웹 사이트 제공자에게 요금을 지불해야 하는 불편과 개별적인 회원가입에 따른 개인 정보 노출에 대한 불안이 있다.
또한, 종래의 PC방에서는 주로 게임이나 증권 등의 단일한 컨텐츠 기능을 집중 공급함으로써 특정 계층, 특정 연령층만이 이용하는 실정으로 사용자층의 저변 확대에는 미흡한 결과를 초래하였으며 이용자의 다양한 정보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키는데는 충분하지 못한 실정이다.
결국, 종래의 PC방이나 게임방은 PC방 이용자가 인터넷 서비스 이용시 개별적으로 회원 가입 및 이용료를 지불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단일한 컨텐츠 중심으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이용자의 다양한 정보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단일 컨텐츠 중심의 서비스 제공을 탈피하여 이용자가 필요로 하는 다양한 컨텐츠를 개별적인 회원 가입 등의 절차 없이 손쉽게 그리고 개인 정보 노출에 대한 걱정 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복합 문화 공간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복합 문화 공간 서비스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복합 문화 공간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문화 공간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문화 공간 서비스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가맹점, 복합문화공간 서비스 사업자, 컨텐츠 제공사 간의 관계 및 역할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가맹점에 구비된 가맹점 개인용 컴퓨터(PC)를 이용하는 이용자에게 인터넷을 통하여 다수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복합문화공간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상기 이용자가 상기 가맹점 PC를 이용하여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b) 상기 가맹점 PC가 자신의 고유한 인증 정보를 복합문화공간 웹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복합문화공간 웹서버가 상기 가맹점 PC로부터 수신한 인증정보를 상기 복합문화공간 웹서버에 이미 저장되어있는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가맹점 PC를 인증하는 단계; (d) 상기 (c) 단계의 인증 과정이 성공하면, 상기 가맹점 PC를 컨텐츠 제공 웹서버에 접속시키고, 상기 가맹점 PC의 인증 정보를 상기 컨텐츠 제공 웹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e) 상기 컨텐츠 제공 웹서버가 상기 가맹점 PC의 인증정보를 상기 컨텐츠 제공 웹서버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가맹점 PC를 인증하는 단계; 및 (f) 상기 컨텐츠 제공 웹서버가 상기 가맹점 PC에 상기 이용자가 선택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a) 단계는 상기 이용자가 상기 가맹점 PC의 키보드에 있는 소정의 컨텐츠 선택키를 누름으로써 이루어진다. 또한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b) 내지 (e) 단계의 상기 가맹점 PC의 인증 정보는 상기 가맹점 PC의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이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가맹점에 구비된 가맹점 개인용 컴퓨터(PC)를 이용하는 이용자에게 인터넷을 통하여 다수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복합문화공간 서비스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a) 상기 이용자가 상기 가맹점 PC를 이용하여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b) 상기 가맹점 PC가 자신의 고유한 인증 정보를 복합문화공간 웹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복합문화공간 웹서버가 상기 가맹점 PC로부터 수신한 인증정보를 상기 복합문화공간 웹서버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가맹점 PC를 인증하는 단계; (d) 상기 (c) 단계의 인증 과정이 성공하면, 상기 가맹점 PC를 컨텐츠 제공 웹서버에 접속시키고, 상기 가맹점 PC의 인증 정보를 상기 컨텐츠 제공 웹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e) 상기 컨텐츠 제공웹서버가 상기 가맹점 PC의 인증정보를 상기 컨텐츠 제공 웹서버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가맹점 PC를 인증하는 단계; 및 (f) 상기 컨텐츠 제공 웹서버가 상기 가맹점 PC에 상기 이용자가 선택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가맹점에 구비된 가맹점 개인용 컴퓨터(PC)를 이용하는 이용자에게 인터넷을 통하여 다수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복합문화공간 서비스 시스템으로서, 상기 이용자로부터 원하는 컨텐츠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고, 상기 이용자가 소정의 컨텐츠를 선택하면 자신의 고유 인증 정보를 전송하는 상기 가맹점 PC; 상기 가맹점 PC로부터 인증 정보를 수신하여 이미 저장되어 있는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가맹점 PC를 인증하고, 상기 인증이 성공하면 상기 이용자가 선택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웹서버로 연결하는 복합문화공간 웹서버; 상기 복합문화공간 웹서버로부터 상기 가맹점 PC의 인증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가맹점 PC를 인증한 후 상기 가맹점 PC로 상기 이용자가 선택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상기 컨텐츠 제공 웹서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각 도면을 통하여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는 신호는 동일한 참조 부호로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문화 공간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문화공간 서비스 시스템은 가맹점 PC(10a ~ 10c), 복합문화공간 웹서버(30) 및 컨텐츠 제공웹서버(40)를 구비한다.
가맹점 PC(10a ~ 10c)는 각 가맹점에 위치한다. 복합 문화 공간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이용자(이하, 이용자라 함)는 가맹점에 내방하여 가맹점 PC(10a ~ 10c)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에는 편의상 3개의 가맹점 PC(10a ~ 10c)가 표시되어 있지만 가맹점당 수 대 내지 수십 대가 구비될 수 있으며, 가맹점은 전국적으로 나아가 세계적으로 여러 장소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하나의 가맹점 PC(이하, 참조부호 10으로 표시함)를 중심으로 기술한다.
가맹점 PC(10)는 인터넷(20)을 통하여 복합문화공간 웹서버(30)에 접속된다. 복합문화공간 웹서버(30)는 인터넷(20)을 통하여 다수의 컨텐츠 제공 웹서버(40)에 접속된다. 컨텐츠 제공 웹서버(40)는 이용자에게 제공할 컨텐츠를 구비하고 있는 웹 서버로서 컨텐츠 제공 웹서버(40)에 있는 각 컨텐츠는 이용자의 요구에 따라 복합문화공간 웹서버(30)를 통하여 가맹점 PC(10)로 전송된다. 도 1에서는 편의상 1개의 컨텐츠 제공 웹서버(40)가 표시되어 있지만, 컨텐츠 제공사별로 1개 이상의 컨텐츠 제공 웹서버(40)를 구비한다. 따라서, 복합문화 공간 웹서버(30)의 운영자, 즉 복합 문화공간 서비스 사업자와 제휴하는 컨텐츠 제공사가 많을수록 컨텐츠 제공 웹서버(40)의 수도 증가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여, 가맹점 PC(10), 복합문화공간 웹서버(30) 및 컨텐츠 제공 웹서버(40)의 구성과 기능을 좀 더 상세히 살펴본다.
이용자는 가맹점 PC(10)를 이용하여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한다. 이를 위하여 가맹점 PC(10)는 컨텐츠 선택키를 가지는 키보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컨텐츠 선택키란 키보드상의 일반 키와 별도로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키로서, 예를 들어 인터넷 방송, 증권, 게임, 인터넷 쇼핑 등의 컨텐츠 카테고리별로 하나의 선택키가 미리 할당된다. 물론, 컨텐츠 선택키 외에 가맹점 PC(10)의 화면상에서 컨텐츠를 선택하게 할 수도 있다.
가맹점 PC(10)는 자신의 고유한 인증 정보를 가진다. 가맹점 PC(10)의 인증 정보는 가맹점 PC(10)의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IP address)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맹점 PC(10)는 이용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하면, 자신의 IP 주소를 복합문화공간 웹서버(30)에 전송한다.
가맹점 PC(10)는 인터넷 접속 기능을 가질 뿐만 아니라, 케이블 방송 또는/그리고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따라서, 이용자는 동일한 장소(가맹점)에서 하나의 장치, 즉 가맹점 PC(10)를 이용하여 인터넷 상의 컨텐츠 뿐만 아니라 케이블 방송 또는/그리고 디지털 방송을 제공받을 수 있다.
복합문화공간 웹서버(30)는 인증부(32), 컨텐츠 이용 관리부(34), 웹서버 중개 관리부(36)를 구비한다. 인증부(30)는 가맹점 PC(10)로부터 수신된 인증 정보를 복합문화공간 웹서버(3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인증정보와 비교하여 가맹점 PC(10)를 인증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복합문화공간 웹서버(30)에는 미리 각 가맹점별로 가맹점 PC(10)에 대한 인증정보, 즉 가맹점 PC(10)의 IP 주소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웹서버 중개 관리부(36)는 가맹점 PC(10)와 컨텐츠 제공 웹서버(40) 간의 중개 역할을 한다. 인증부(32)가 가맹점 PC(10)의 인증에 성공하면, 웹서버 중개 관리부(36)는 가맹점 PC(10)가 컨텐츠 제공 웹서버(40)에 접속되도록 한다. 즉, 가맹점 PC(10)의 웹브라우저에 컨텐츠 제공 웹서버(40)의 홈페이지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
복합문화공간 웹서버(30)의 컨텐츠 이용 관리부(34)는 컨텐츠 이용 내역을 산출한다. 컨텐츠 이용 내역은 각 가맹점 또는/그리고 각 가맹점 PC가 제공받은 컨텐츠에 대한 사용시간을 컨텐츠 제공사별로 산출한 내역을 포함한다.
컨텐츠 제공 웹서버(40)는 컨텐츠 웹서버 접속부(41), 인증부(42), 컨텐츠 정보관리부(43), 컨텐츠 상세 정보 데이터베이스(44), 컨텐츠 이용 관리부(45), 결제부(46) 및 결제정보 데이터베이스(47)를 구비한다.
컨텐츠 웹서버 접속부(41)는 컨텐츠 제공 웹서버(40)를 인터넷(20)에 접속하는 역할을 한다. 인증부(42)는 복합문화공간 웹서버(30)의 인증부(32)와 마찬가지로 가맹점 PC(10)로부터 수신된 인증 정보를 결제정보 DB(47)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인증정보와 비교하여 가맹점 PC(10)를 인증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가맹점 PC(10)로부터 전송된 인증정보, 즉 가맹점 PC(10)의 IP 주소는 복합문화공간 웹서버(30)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 웹서버(40)에 전달된다.
인증부(42)에 의해 가맹점 PC(10)의 인증이 성공하면, 컨텐츠 정보관리부(43)에 의하여 컨텐츠 제공사가 제공하는 정보가 가맹점 PC(10)로 전송된다. 컨텐츠 정보관리부(43)에는 해당 컨텐츠 제공사가 제공하는 각 컨텐츠의 항목 리스트, 컨텐츠 정보, 공지사항 등이 포함되고 있으며, 이용자는 가맹점 PC(10)의 웹브라우저에 디스플레이되는 각 컨텐츠의 항목 리스트, 컨텐츠 정보를살펴보고 원하는 컨텐츠에 대한 상세 정보를 요구할 수 있다. 컨텐츠의 상세 정보는 컨텐츠 상세 정보 데이터베이스(44)에 저장되어 있다.
컨텐츠 이용 관리부(45)는 각 가맹점별, 각 가맹점 PC(10)별 컨텐츠 이용시간 등을 포함하는 컨텐츠 이용 내역을 산출한다, 결제정보 DB(47)에는 가맹점 PC(10)의 인증 정보, 각 가맹점에 대한 사전 승인된 결제 정보, 컨텐츠 이용 내역 등이 저장된다. 결제 정보에는 결제 방식, 대금 지불 방법 및 가맹점 주소 정보 등이 포함된다. 결제 방식은 가맹점이 해당 컨텐츠 제공사의 컨텐츠를 사용한 시간에 따라 계산된 금액을 가맹점이 해당 컨텐츠 제공사에 지불하는 종량제 방식과 사용한 시간에 관계없이 월별로 일정한 금액을 지불하는 월정제가 대표적이다. 이외에도 소정의 한도 시간까지는 일정 금액이고, 그 이상 사용한 경우에 추가 요금을 시간당 계산하는 방식 등 다양한 결제 방식이 있을 수 있다. 결제 방식은 가맹점과 컨텐츠 제공사가 미리 결정한다.
결제부(46)는 각 가맹점의 결제 방식과 컨텐츠 이용 내역에 따라 컨텐츠 이용 요금을 산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문화 공간 서비스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문화 공간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용자가 가맹점을 내방하여, 가맹점 PC에서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한다(100). 가맹점 PC는 자신의 고유한 인증 정보를 복합문화공간 웹서버로 전송한다(110). 복합문화공간 웹서버는 가맹점 PC로부터 수신한 인증 정보, 예를 들어 가맹점 PC의 IP 주소를 복합문화공간 웹서버에 미리 입력되어 있는 정보와 비교하여 가맹점 PC인지를 인증한다(120). 인증이 성공하면, 복합문화공간 웹서버는 가맹점 PC를 해당 컨텐츠 제공 웹서버에 접속되도록 한다(130). 그러면, 가맹점 PC의 웹 브라우저에 컨텐츠 제공 웹서버의 홈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된다. 컨텐츠 제공 웹서버에 연결시키기 전에 복합문화공간 웹서버는 사전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제공사 리스트나 공지사항 또는 광고 정보 등을 가맹점 PC에 전달할 수 있다.
가맹점 PC가 복합문화공간 웹서버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 웹서버로 접속되면, 컨텐츠 제공 웹서버는 먼저 가맹점 PC를 인증한다(140). 가맹점 PC의 인증 과정(140)은 복합문화공간 웹서버에서의 인증 과정(120)과 마찬가지로 가맹점 PC의 인증 정보를 컨텐츠 제공 웹서버에 미리 입력되어 있는 정보와 비교하여 가맹점 PC인지를 인증한다. 가맹점 PC의 인증 정보는 복합문화공간 웹서버로부터 수신한다.
인증이 성공하면, 컨텐츠 제공 웹서버는 이용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복합문화공간 웹서버를 통하여 가맹점 PC로 제공한다(150). 이 과정(150)은 컨텐츠 제공 웹서버가 자신이 보유하는 컨텐츠 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제공받은 이용자가 더 세부적인 컨텐츠를 요구하는 등의 세부적인 단계들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복합문화 공간 웹서버와 컨텐츠제공 웹서버는 각각 컨텐츠 이용 내역을 산출한다(160). 컨텐츠 이용 내역은 가맹점 PC별로 제공받은 컨텐츠별 이용시간, 가맹점별 접속시간, 접속횟수 등이다. 컨텐츠 제공 웹서버는 자신이 제공하는 컨텐츠에 대한 가맹점별/가맹점 PC별 컨텐츠 이용 내역을 산출하는 것이 필요하고, 복합문화공간 웹서버는 각 컨텐츠사별로 가맹점별/가맹점 PC별 컨텐츠 이용 내역을 산출하는 것이 필요하다.
주기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월별로, 복합문화 공간 웹서버가 산출한 각 컨텐츠 제공사의 컨텐츠 이용 내역과 컨텐츠 제공 웹서버가 산출한 컨텐츠 이용 내역을 비교하여, 양자가 일치하는 경우 컨텐츠 제공 웹서버측(컨텐츠 제공사)은 가맹점으로 요금을 청구한다(170).
본 발명에 따른 복합문화공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좀 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 3을 참조한다. 도 3은 가맹점, 복합문화공간 서비스 사업자, 컨텐츠 제공사 간의 관계 및 역할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가맹점(200)은 가맹점 PC를 보유하고 있고, 복합 문화공간 서비스 사업자와 가맹 계약 관계에 있다. 이용자, 즉 고객(500)은 가맹점에 있는 가맹점 PC를 이용하여 복합문화공간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복합 문화공간 서비스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복합 문화공간 웹서버를 통하여 각 컨텐츠 제공 웹서버가 제공하는 컨텐츠를 이용하는 것이 주요 서비스이다. 그 외에도 디지털 방송이나 케이블 방송 수신 기능이 내장된 가맹점 PC를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이나 케이블 방송을 서비스 받을 수 있다.
고객(500)이 컨텐츠 이용 서비스를 원하는 경우에는 복합문화공간 웹서버(30)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 웹서버(40)가 제공하는 컨텐츠를 제공받는다.
가맹점(200), 복합문화공간 서비스 사업자(300) 및 컨텐츠 제공사(400)의 역할은 각각 참조부호 210, 310, 410으로 표시된 블록 안에 나타나 있다.
가맹점(200)은 고객 사용시간을 체크하고, 사용시간 체크 후 요금을 계산한다. 요금은 종량제와 월정제로 구분된다. 기본 요금 외에 옵션 품목의 서비스에 대해서는 별도로 요금이 계산될 수 있다. 가맹점(200)은 계산된 요금을 고객(500)에게 청구하고, 고객은 요금을 결제한다.
복합문화 공간 서비스 사업자(300)는 각 컨텐츠별 사용시간, 접속 횟수 등의 컨텐츠 이용 내역을 산출한다. 복합문화 공간 서비스 사업자(300)는 회원제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복합문화공간 서비스 사업자(300)는 회원가입 신청을 받고, 회원 카드를 발급한다. 회원 카드는 일반 회원 카드와 고급 회원 카드로 구분될 수 있다. 회원제로 운영되는 경우, 복합 문화공간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고객(500)은 회원 가입을 하고 회원카드를 발급 받아야 한다. 이 경우, 가맹점 PC는 회원카드를 인식할 수 있는 회원카드 리더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원제로 운영되는 경우, 복합문화공간 서비스 사업자(300)는 회원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회원간 P2P(Peer-to-Peer) 서비스, 회원간 지식 중개 서비스, 온/오프라인 이벤트, 국내외 회원간 연동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사(400)는 복합문화공간 웹서버(30)를 통하여 제공된 컨텐츠에 대하여 가맹점별 컨텐츠 이용 내역 및 복합문화공간 웹서버(30)의 총 접속 시간을 체크한다. 가맹점별 컨텐츠 이용 내역과 종량제인지 월정제인지의 요금방식에 따라 컨텐츠 제공사(400)는 가맹점(200)으로 요금을 청구하고, 가맹점(200)은 컨텐츠 제공사(400)에게 요금을 결제한다. 컨텐츠 제공사(400)는 가맹점(200)에 계산서를 발급한다. 컨텐츠 제공사(400)는 복합문화공간 웹서버(30)의 총 접속 시간에 따라, 복합문화공간 서비스 사업자(300)에게 수수료를 지불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문화공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서는 각 이용자에 대한 개별적인 인증을 요구하지 않고, 가맹점 PC의 인증만으로 이용자에게 인터넷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이용자는 인터넷 사이트별로 회원가입이나 이용요금 결제를 할 필요가 없다.
또한, 가맹점 PC는 인터넷 접속 기능뿐만 아니라 케이블 방송, 디지털 방송 등의 수신 기능을 포함하므로, 이용자는 동일한 장소에서 다양한 문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용자에 대한 개별적인 인증 없이, 가맹점 PC의 인증만을 통하여 이용자에게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한다. 따라서, 이용자는 컨텐츠 제공사별로 개별적으로 회원 가입 및 컨텐츠 이용료를 지불할 필요 없이 가맹점 PC를 이용한 요금만 지불하는 방식으로 컨텐츠를 이용함으로써, 손쉽게 또한 개인 정보 유출의 걱정 없이 인터넷 상의 다양한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인터넷 상의 컨텐츠뿐만 아니라 디지털 방송이나 케이블 방송 등의 복합적인 문화 서비스를 한 장소에서 하나의 장치(가맹점 PC)를 이용하여 제공받음으로써 다양한 서비스를 손쉽게 누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가맹점에 구비된 가맹점 개인용 컴퓨터(PC)를 이용하는 이용자에게 인터넷을 통하여 다수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복합문화공간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이용자가 상기 가맹점 PC를 이용하여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b) 상기 가맹점 PC가 자신의 고유한 인증 정보를 복합문화공간 웹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복합문화공간 웹서버가 상기 가맹점 PC로부터 수신한 인증정보를 상기 복합문화공간 웹서버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가맹점 PC를 인증하는 단계;
    (d) 상기 (c) 단계의 인증 과정이 성공하면, 상기 가맹점 PC를 컨텐츠 제공 웹서버에 접속시키고, 상기 가맹점 PC의 인증 정보를 상기 컨텐츠 제공 웹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e) 상기 컨텐츠 제공 웹서버가 상기 가맹점 PC의 인증정보를 상기 컨텐츠 제공 웹서버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가맹점 PC를 인증하는 단계; 및
    (f) 상기 컨텐츠 제공 웹서버가 상기 가맹점 PC에 상기 이용자가 선택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문화공간 서비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이용자가 상기 가맹점 PC의 키보드에 있는 소정의 컨텐츠 선택키를 누름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문화공간 서비스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내지 (e) 단계의 상기 가맹점 PC의 인증 정보는
    상기 가맹점 PC의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문화공간 서비스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문화공간 서비스 방법은
    (g) 상기 컨텐츠 제공 웹서버와 상기 복합문화 공간 웹서버가 각각 컨텐츠 이용 내역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컨텐츠 이용 내역이 상호 같으면 상기 컨텐츠 이용 내역 및 사전 승인된 결제 방식에 따라 상기 가맹점 PC의 점주에게 이용 요금을 청구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문화공간 서비스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승인된 결제 방식은
    월정제와 종량제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문화공간 서비스 방법.
  6. 가맹점에 구비된 가맹점 개인용 컴퓨터(PC)를 이용하는 이용자에게 인터넷을 통하여 다수의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인터넷 망으로 연결되는 시스템에 있어서,
    (a) 상기 이용자가 상기 가맹점 PC를 이용하여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b) 상기 가맹점 PC가 자신의 고유한 인증 정보를 복합문화공간 웹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복합문화공간 웹서버가 상기 가맹점 PC로부터 수신한 인증정보를 상기 복합문화공간 웹서버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가맹점 PC를 인증하는 단계;
    (d) 상기 (c) 단계의 인증 과정이 성공하면, 상기 가맹점 PC를 컨텐츠 제공 웹서버에 접속시키고, 상기 가맹점 PC의 인증 정보를 상기 컨텐츠 제공 웹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e) 상기 컨텐츠 제공 웹서버가 상기 가맹점 PC의 인증정보를 상기 컨텐츠 제공 웹서버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가맹점 PC를 인증하는 단계; 및
    (f) 상기 컨텐츠 제공 웹서버가 상기 가맹점 PC에 상기 이용자가 선택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7. 가맹점에 구비된 가맹점 개인용 컴퓨터(PC)를 이용하는 이용자에게 인터넷을 통하여 다수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복합문화공간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로부터 원하는 컨텐츠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고, 상기 이용자가 소정의 컨텐츠를 선택하면 자신의 고유 인증 정보를 전송하는 상기 가맹점 PC;
    상기 가맹점 PC로부터 인증 정보를 수신하여 이미 저장되어 있는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가맹점 PC를 인증하고, 상기 인증이 성공하면 상기 이용자가 선택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웹서버로 연결하는 복합문화공간 웹서버;
    상기 복합문화공간 웹서버로부터 상기 가맹점 PC의 인증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가맹점 PC를 인증한 후 상기 가맹점 PC로 상기 이용자가 선택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상기 컨텐츠 제공 웹서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문화공간 서비스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맹점 PC는
    상기 이용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복수 개의 컨텐츠 선택키를 갖는 키보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문화공간 서비스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맹점 PC는
    상기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케이블 방송 또는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여 상기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문화공간 서비스 시스템.
KR1020010057009A 2001-09-15 2001-09-15 다수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복합 문화 공간 서비스 시스템및 그 방법 KR200300240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7009A KR20030024054A (ko) 2001-09-15 2001-09-15 다수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복합 문화 공간 서비스 시스템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7009A KR20030024054A (ko) 2001-09-15 2001-09-15 다수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복합 문화 공간 서비스 시스템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4054A true KR20030024054A (ko) 2003-03-26

Family

ID=27724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7009A KR20030024054A (ko) 2001-09-15 2001-09-15 다수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복합 문화 공간 서비스 시스템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2405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478B1 (ko) * 2005-07-27 2007-12-17 서울신용평가정보 주식회사 고객 행동 분석 정보를 이용한 식별주체 검증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0362A (ko) * 1997-12-17 1999-07-05 이계철 대용량 통신처리 시스템의 인터넷 과금회수 대행인증서버 접속방법
KR20000064047A (ko) * 2000-08-18 2000-11-06 김대산 피씨방을 이용하는 정보이용자를 위한 실시간 유료 정보서비스 제공 방법
KR20010008101A (ko) * 2000-11-08 2001-02-05 제경성 하드웨어의 고유번호를 이용한 전자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044545A (ko) * 2001-03-06 2001-06-05 이철원 인터넷 접속장비 제어를 통한 원클릭 전자결제 방법
KR20010044823A (ko) * 2001-03-29 2001-06-05 이종우 컴퓨터에서 사용자 인증이 필요한 자료의 보호방법 및그에 관한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0362A (ko) * 1997-12-17 1999-07-05 이계철 대용량 통신처리 시스템의 인터넷 과금회수 대행인증서버 접속방법
KR20000064047A (ko) * 2000-08-18 2000-11-06 김대산 피씨방을 이용하는 정보이용자를 위한 실시간 유료 정보서비스 제공 방법
KR20010008101A (ko) * 2000-11-08 2001-02-05 제경성 하드웨어의 고유번호를 이용한 전자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044545A (ko) * 2001-03-06 2001-06-05 이철원 인터넷 접속장비 제어를 통한 원클릭 전자결제 방법
KR20010044823A (ko) * 2001-03-29 2001-06-05 이종우 컴퓨터에서 사용자 인증이 필요한 자료의 보호방법 및그에 관한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478B1 (ko) * 2005-07-27 2007-12-17 서울신용평가정보 주식회사 고객 행동 분석 정보를 이용한 식별주체 검증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17470B1 (en) Communication terminal, billing apparatus,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nd program
US20020055848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business transaction using inherent identification numbers of hardwares
WO200403903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ushing information from a service provider to a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memory card
JP2002133324A (ja) ユーザ情報管理装置、ユーザ情報管理方法及び電子サービスシステム
US7752095B1 (en) Electronic bill presentment and payment
JP2002109262A (ja) 電子サービス・システム、提携サイト・サーバ・システム、メインサイト・サーバ・システム及びサイト管理方法
US2001001486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torage medium provided therewith,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20020000230A (ko) 지문 정보를 이용한 전자결제 인증시스템
KR20040060909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유무선 통합 인증 및 결제방법
US8554651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transaction processing in connection with mobile telecommunication
JP2006350809A (ja) 会員登録支援方法及び会員登録支援プログラム
KR20030024054A (ko) 다수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복합 문화 공간 서비스 시스템및 그 방법
JP2003044602A (ja) アプリケーション提供装置及びアプリケーション提供方法
KR100352652B1 (ko) 펌뱅킹망을 이용한 네트워크형 실시간 금융계좌 이체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0093170A2 (ko) 계약 로그인을 통한 유료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04975A (ko) 블록 체인 기반 지불 통합 결제방법 및 결제시스템
KR20000063938A (ko) 인터넷상의 사이버머니를 이용한 서비스 요금 결제방법
KR20000036968A (ko) 통신망을 이용한 금융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01256322A (ja) オンライン・コンテンツ製作・表示・対価支払いシステム、オンライン・コンテンツ製作・表示・対価支払い方法、及びコンテンツ製作ツールを記憶した情報記憶媒体。
JP2001134531A (ja) 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並びに端末装置
JP7132498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デジタルコンテンツ取引方法
JP3801873B2 (ja) サービス代行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3552098B2 (ja) 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KR20020029466A (ko) 공중컴퓨터 제어방법
JP2002099861A (ja) 現金決済システム及び現金決済方法、現金決済処理装置、電子決済システム、及び電子マーキング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