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4009A - 전지가 필요없는 자가발전식 리모컨 - Google Patents

전지가 필요없는 자가발전식 리모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4009A
KR20030024009A KR1020010056806A KR20010056806A KR20030024009A KR 20030024009 A KR20030024009 A KR 20030024009A KR 1020010056806 A KR1020010056806 A KR 1020010056806A KR 20010056806 A KR20010056806 A KR 20010056806A KR 20030024009 A KR20030024009 A KR 200300240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f
coil
circuit board
magnet
remote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6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향제
Original Assignee
이향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향제 filed Critical 이향제
Priority to KR1020010056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24009A/ko
Publication of KR20030024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400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10Power supply of remote control devices
    • G08C2201/11Energy harvesting
    • G08C2201/112Mechanical energy, e.g. vibration, piezoelectr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별도의 건전지 및 충전지 등이 불필요한 리모컨(remote controller-리모트 컨트롤러; 이하, 리모컨이라 함.)에 관한 것으로, 건전지 또는 충전지를 제거하고 각각의 기능버튼에는 코일 및 자석에 의한 자가발전장치를 각각 장착하며, 코일에 의한 교류전원을 직류로 전환하는 정류회로를 내장하므로서,
사용자에 의해 원하는 기능버튼을 누름과 동시에 자가발전장치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어 해당버튼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전지가 필요없으면서도 태옆과 같이 별도의 충전작업이 불필요하므로 그 사용이 매우 간편하면서도 반영구적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전지가 필요없는 자가발전식 리모컨{electric power self-generating cell-free remote controller}
본 발명은 별도의 건전지 및 충전지 등이 불필요한 리모컨(remote controller-리모트 컨트롤러; 이하, 리모컨이라 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리모컨의 상부면에 돌출된 각각의 기능버튼이 눌려짐과 동시에 각각의 기능버튼에 형성된 자가발전장치에 의해 소정의 전원이 생산 및 제공되게 하므로서, 이에 의해 리모컨의 정상적인 작동이 가능케 하므로서, 별도의 건전지나 충전지의 사용이 불필요하면서도, 건전지의 교체 및 충전지의 충전작업이 전혀 필요없는 리모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쓰이는 리모컨은 각종 가전제품을 원격 조정하기 위한 것으로서,가정용으로는 텔레비젼 수상기나, 오디오, 에어컨디셔너, 선풍기, 심지어는 컴퓨터의 키보드에 이르기까지 그 쓰임새가 매우 다양하며, 각종 산업용 기계장치는 물론 공업 및 농업 전반에 걸쳐 매우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리모컨은 전원에 의해 신호를 보내는 송신부가 내장되어 있고, 그 송출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가 장착된 기기본체로 되어 있는 것이며,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조작된 신호를 리모컨의 송신부에서 송출하여 기기본체의 수신부에서 이를 감지하여 해당기능에 알맞는 동작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현대인의 생활조건에 비추어 그 사용빈도는 물론 사용범위가 매우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리모컨을 구동하는 전원은 리모컨 자체에 내장되어 교체 가능하도록 삽입된 건전지에 의한 것이 대부분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충전지를 내장한 것도 있다.
따라서, 건전지가 완전 소모된 경우에는 새로운 건전지를 교체삽입하여 사용하여야 하며, 충전지가 완전 방전된 경우에는 별도의 충전기를 사용하여 해당 충전지를 다시 충전하여 사용하여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전기한 바와 같은 교체형 건전지는 건전지의 생산비용에 따른 소비자의 구매부담이 가중되고, 폐건전지의 양산으로 인한 환경오염을 일으키며, 충전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주기적으로 충전작업을 실시하여야 하므로 그 사용이 매우 번거로움은 물론 충전을 하는 동안은 그 사용이 불편하거나 리모컨을 아예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근래에는 전기한 문제점 및 낭비, 환경오염 등을 제거코자 무전지및 무충전 리모컨이 안출된 바 있으며, 전기한 리모컨은 태옆을 일정간격마다 감아주기만 하면 그 태옆이 풀리면서 전기를 생산하므로 미량의 전원만을 필요로 하는 리모컨에 충분한 전원을 공급하여 건전지의 사용없이 또는 충전지의 사용없이 매우 장기적인 사용이 가능한 리모컨이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전기한 바와 같은 태옆식 리모컨 또한 사용자가 일정기간 마다 그 태옆을 돌려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것이며, 이러한 번거로움은 해당 리모컨의 사용을 기피하게 되며, 매우 빈번한 사용을 하는 텔레비젼 수상기의 리모컨 같은 경우에는 그 태옆을 매우 자주 감아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제거코자 안출된 것으로서, 건전지 또는 충전지를 제거하고 각각의 기능버튼에는 코일 및 자석에 의한 자가발전장치를 각각 장착하며, 코일에 의한 교류전원을 직류로 전환하는 정류회로 및 정류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저장하는 충전부를 내장하므로서,
사용자에 의해 원하는 기능버튼을 누름과 동시에 자가발전장치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어 해당버튼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전지가 필요없으면서도 태옆과 같이 별도의 충전작업이 불필요하므로 그 사용이 매우 간편하면서도 반영구적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전지가 필요없는 자가발전식 리모컨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리모컨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리모컨의 각 버튼부에 형성된 자가발전수단의 확대사시도
도 3a 및 도 3c는 본 발명 리모컨의 버튼부 작동도로서,
도 3a는 버튼을 누르는 상태
도 3b는 버튼을 완전히 누른상태
도 3c는 버튼이 상승된 상태의 작동도
도 4a 및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버튼부의 타실시예도로서,
도 4a는 버튼을 누르는 상태
도 4b는 버튼을 완전히 누른상태
도 4c는 버튼이 상승된 상태의 작동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인 전체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회로기판2 : 케이스
3,3' : 누름버튼
10 : 자가발전수단11 : 자석
12 : 코일13 : 접점
14 : 통전판15 : 스프링
16 : 정류회로부17 : 통공
18 : 충전부
20,20' : 리드선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자가발전식 리모컨의 전체 구성도이다.
회로기판(1)과, 케이스(2), 다수의 누름버튼(3)(3')으로 구성된 통상의 리모컨에 있어서,
각각의 누름버튼(3)(3')에는 자석(11) 및 코일(12), 접점(13), 통전판(14), 스프링(15)으로 된 자가발전수단(10)을 장착하되, 코일(12)로부터 생산되는 교류전원은 별도의 정류회로부(16)를 거쳐 직류전환되어 충전부(18)에 저장된 후 회로기판(1)으로 제공되게 구성된 것이다.
또한, 전기한 자가발전수단(10)은, 회로기판(1)에 통공(17)을 형성하고, 그 통공(17)의 저면에 링상의 코일(12)을 결합하며, 회로기판(1)의 통공(17) 상부에는 저면에 자석(11)이 결합되고 상부에는 누름버튼(3)(3')이 형성된 통전판(14)을 스프링(15)에 의해 탄설하되, 통전판(14)의 상부에는 좌,우 이격된 접점(13)을 회로기판(1)과 연결되게 형성하여 구성된 것이다.
또한, 전기한 자가발전수단(10)을, 회로기판(1)에 통공(17)을 형성하고, 그 상부에는 링상의 코일(12) 및 코일(12)의 외주연에 이격된 접점(13)을 형성하며, 코일(12)과 접점(13)의 이격공간에는 스프링(15)을 탄설하되, 스프링(15)에는 자석(11)이 결합된 통전판(14) 및 통전판(14)과 함께 상하 승강하는 누름버튼(3)(3')을 결합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0,20'는 리드선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 자가발전식 리모컨의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자가발전수단(10)은 해당기능버튼을 누르기만 하면 자동으로 전원이 생산됨과 동시에 생산된 전원을 이용하여 리모컨을 구동하게 되므로 그 사용이 매우 편리함은 물론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즉, 누름버튼(3)(3')을 하강시키면 누름버튼(3)(3')의 하부에 형성된 자석(11)이 하강하게 되고, 자석의 자장 변화에 따른 코일(12)에는 자석의 자장에 의한 전원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전원은 코일(12)과 연결된 리드선(20)(20')을 통하여 정류회로부(16)에 제공되는 것이며, 정류회로부(16)로 인가된 교류전원은 리모컨의 구동에 필요한 직류전원으로 전환되어 별도의 충전부(18)에 충전되어 저장됨과 동시에 리모컨의 구동전원으로 제공되어 해당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자가발전수단의 작동상태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도 3a의 도시와 같이 사용자는 필요에 의해 리모컨의 상부로 노출된 기능버튼 중 어느하나를 선택하여 누르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누름동작과 동시에 도 3b의 도시와 같이 누름버튼(3)(3')이 하강하여 통전판(14) 및 자석(11)을 하강시키고, 하강되는 자석(11)의 자기장 변화를 코일(12)이 인가받아 이를 전기적인 에너지로 변환하여 리드선(20)(20')을 통해 정류회로부(16)로 보내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그 누름버튼(3)(3')을 놓으면 그 스프링(15)의 탄발력에 의해 통전판(14) 및 상하의 누름버튼(3)(3') 및 자석(11)이 상승하게 되는 것이며, 자석(11)의 상승작용에 의해 다시 한번 그 코일(12)에는 전원이 인가되어 리드선(20)(20')을 통해 정류회로부(16)로 보내지는 것이다.
따라서, 교류형태로 전원을 인가받은 정류회로부는 그 교류전원을 리모컨의 사용이 가능한 상태인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리모콘의 회로기판(1)으로 보내는 것이며, 회로기판(1)으로 보내진 전원은, 도 3c의 도시와 같이 누름버튼(3)(3')의 통전판(14)이 상승함과 동시에 양측의 접점(13)을 통전시키므로 이 신호를 리모컨의 송신부(도면에는 미도시함)을 통해 각종 수신장치로 보내 해당기능에 알맞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수단(10)은 전기한 실시예는 물론 도 4a의 도시와 같이 구성하여도 그 사용이 가능한 것인데,
전기한 바와 같이 누름버튼(3)(3')과 통전판(14)이 함께 상하 승강하므로 도 4b의 도시와 같이 누름버튼(3)(3')을 압압하면 통전판(14)이 하강함과 동시에 통전판(14)의 하부에 장착된 자석(11)이 이동하며 자기장의 변화에 따른 교류전원을 코일(12)에 의해 리드선(20)(20')을 매개로 하여 정류회로부(16)로 전달하는 것이다.
따라서, 정류회로부(16)로 인가된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이를 리모컨의 회로기판(1)으로 다시 제공하는 것이며, 도 4b의 도시와 같이 통전판(14)이 완전히 하강하여 접점(13)을 통전시키면 해당신호는 리모컨의 송신부를 통해 해당 수신기에 전달되는 것이다.
또한, 도 4c의 도시와 같이 누름버튼(3)(3')을 압압하던 힘을 제거하면 그 스프링(15)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자석(11) 및 통전판(14)은 물론 누름버튼(3)(3')이 상승하여 누름대기상태로 복귀되는 것이다.
또한, 전기한 설명 및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리모컨에 사용되는 부품들의 사용정격을 고려하여 정류회로부(16)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별도의 승압회로를 이용하여 각각의 부품에 알맞도록 조정하여 리모컨에 제공될 수 있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해 리모컨은 단순히 기능버튼을 누르는 동작만으로도 충분한 전원을 얻을 수 있음은 물론 별도의 충전지나 콘덴서 등의 부품이 필요치 않으므로 비교적 저렴한 생산원가가 소요되는 경제적인 이득이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 전지가 필요없는 자가발전식 리모컨은 사용자에 의해 원하는 기능버튼을 누름과 동시에 자가발전장치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어 해당버튼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전지가 필요없으면서도 태옆과 같이 별도의 충전작업이 불필요하므로 그 사용이 매우 간편하면서도 반영구적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회로기판(1)과, 케이스(2), 다수의 누름버튼(3)(3')으로 구성된 통상의 리모컨에 있어서,
    각각의 누름버튼(3)(3')에는 자석(11) 및 코일(12), 접점(13), 통전판(14), 스프링(15)으로 된 자가발전수단(10)을 장착하되, 코일(12)로부터 생산되는 직류전원은 별도의 정류회로부(16)를 거쳐 직류전환되어 회로기판(1)으로 제공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가 필요없는 자가발전식 리모컨.
  2. 제 1항에 있어서, 자가발전수단(10)을,
    회로기판(1)에 통공(17)을 형성하고, 그 통공(17)의 저면에 링상의 코일(12)을 결합하며, 회로기판(1)의 통공(17) 상부에는 저면에 자석(11)이 결합되고 상부에는 누름버튼(3)(3')이 형성된 통전판(14)을 스프링(15)에 의해 탄설하되, 통전판(14)의 상부에는 좌,우 이격된 접점(13)을 회로기판(1)과 연결되게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가 필요없는 자가발전식 리모컨.
  3. 제 1항에 있어서, 자가발전수단(10)을,
    회로기판(1)에 통공(17)을 형성하고, 그 상부에는 링상의 코일(12) 및 코일(12)의 외주연에 이격된 접점(13)을 형성하며, 코일(12)과 접점(13)의 이격공간에는 스프링(15)을 탄설하되, 스프링(15)에는 자석(11)이 결합된 통전판(14) 및통전판(14)과 함께 상하 승강하는 누름버튼(3)(3')을 결합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가 필요없는 자가발전식 리모컨.
  4.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류회로부(16)와 회로기판(1)의 사이에 별도의 충전부(18)를 구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가 필요없는 자가발전식 리모컨.
KR1020010056806A 2001-09-14 2001-09-14 전지가 필요없는 자가발전식 리모컨 KR200300240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6806A KR20030024009A (ko) 2001-09-14 2001-09-14 전지가 필요없는 자가발전식 리모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6806A KR20030024009A (ko) 2001-09-14 2001-09-14 전지가 필요없는 자가발전식 리모컨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0664U Division KR200258387Y1 (ko) 2001-10-05 2001-10-05 전지가 필요없는 자가발전식 리모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4009A true KR20030024009A (ko) 2003-03-26

Family

ID=27724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6806A KR20030024009A (ko) 2001-09-14 2001-09-14 전지가 필요없는 자가발전식 리모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2400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61496A2 (ko) * 2011-05-23 2012-11-29 Kim Chang Ho 무전원 무선스위칭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61496A2 (ko) * 2011-05-23 2012-11-29 Kim Chang Ho 무전원 무선스위칭 장치
WO2012161496A3 (ko) * 2011-05-23 2013-01-17 Kim Chang Ho 무전원 무선스위칭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302757A1 (en) Energy Efficient Power Adapter
JPH0739077A (ja) コードレスパワーステーション
CN208655469U (zh) 一种自供电按键及遥控器
JP2013247707A (ja) 送電装置
CN1071059C (zh) 具有两种供电方式的电子装置
KR200258387Y1 (ko) 전지가 필요없는 자가발전식 리모컨
KR20030024009A (ko) 전지가 필요없는 자가발전식 리모컨
CN205430550U (zh) 一种持续供电的蓝牙耳机
CA2196379C (en) Battery charger
CN209785807U (zh) 一种自发电无线开关
CN211830535U (zh) 一种自发电结构和遥控装置
US20030160762A1 (en) Rechargeable wireless mouse
CN114448067A (zh) 发射器与控制系统
CN210380380U (zh) 一种可远程操控传统家电开关的智能物联网装置
JP3247199B2 (ja) 充電装置
KR20080004694A (ko) 자가발전식 리모콘
KR101671217B1 (ko) 무선 스위치
CN215769951U (zh) 一种自发电无线下客门铃控制系统
JP2003047162A (ja) 充電器
CN216959410U (zh) 发射器与控制系统
CN217588250U (zh) 一种遥控器及遥控系统
JP3334223B2 (ja) バッテリーパック
JP2002095067A (ja) リモコンシステム
KR101229909B1 (ko) 피씨비 일체형 무접점 배터리 장치 및 충전 시스템
CN116311859A (zh) 一种四按键自发电遥控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