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3617A - 분말형 출발 물질로 부품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 방법에적합한 추출기 - Google Patents

분말형 출발 물질로 부품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 방법에적합한 추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3617A
KR20030023617A KR1020027013309A KR20027013309A KR20030023617A KR 20030023617 A KR20030023617 A KR 20030023617A KR 1020027013309 A KR1020027013309 A KR 1020027013309A KR 20027013309 A KR20027013309 A KR 20027013309A KR 20030023617 A KR20030023617 A KR 20030023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en body
extractor
process gas
green
ext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3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베르거토마스
디르케스헤리베르트
코어트헨리
Original Assignee
메세르 그리샤임 게엠베하
우데 혹드룩테크닉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세르 그리샤임 게엠베하, 우데 혹드룩테크닉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메세르 그리샤임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30023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361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3/0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 B22F3/10Sintering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3/0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 B22F3/22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for producing castings from a slip
    • B22F3/225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for producing castings from a slip by injection mo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1/00Solvent extraction
    • B01D11/02Solvent extraction of solids
    • B01D11/0203Solvent extraction of solids with a supercritical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3/0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 B22F3/10Sintering only
    • B22F3/1017Multiple heating or additional steps
    • B22F3/1021Removal of binder or filler
    • B22F3/1025Removal of binder or filler not by heating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6Preparing or treating the powder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preparing or treating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for ceramic products, e.g. fibres; mechanical aspects section B
    • C04B35/63Preparing or treating the powder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preparing or treating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for ceramic products, e.g. fibres; mechanical aspects section B using additiv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the products, e.g.. binder binders
    • C04B35/638Removal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2998/00Supplementary information concerning processes or compositions relating to powder metallu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3/00Apparatus for preheating charges; Arrangements for preheating charges
    • F27D13/005Drying of green clay prior to ba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5/00Supports, screens, or the like for the charge within the furn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 Extraction Or Liquid Replacement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Abstract

분말형 출발 물질에 의해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공지된 방법에 따르면, 분말은 결합제를 포함하는 보조제와 함께 혼합되어, 자유 유동성 물질이 형성된다. 그린 바디는 분말 사출 형성에 의해 상기 물질로부터 제조된다. 보조제의 일부는 상기 그린 바디를 용기 내에서 가열하고 상기 그린 바디를 용매의 흐름에 노출시킴으로써 추출된다. 상기 그린 바디는 소결되고, 그에 따라 부품이 제조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분말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그린 바디를 방출하기 위해 신속하고 정확하게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추출은 상기 그린 바디의 온도가 영구적으로 또는 단계적으로 상승되며 압축된 초임계적 처리 가스 형태의 용매가 상기 그린 바디 주위로 흐르는 가열 단계를 포함한다. 양호하게는, 상기 처리 가스의 유동 방향은 가열 단계 중에 적어도 한번 변경된다.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데 적합한 추출기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 경계벽을 가지며 다수의 그린 바디가 적재되는 지지체 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처리 챔버를 둘러싸는, 압력 밀봉식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하우징에는 그린 바디용의 폐쇄 가능한 적재 및 인출구가 포함된다. 상기 적재 및 인출구는 측면 경계벽에서 지지체 부재용 통로로서 형성된다.

Description

분말형 출발 물질로 부품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적합한 추출기 {Method for producing a component by means of a powdery starting material and extractor suitable therefore}
분말 사출 성형 기술은 특히, 구조적으로 복잡한 부품의 제조를 위해 많은 부품에 사용된다. 특히 경질 금속, 세라믹, 흑연과 같은 기계적으로 가공하기 어려운 원료는 이러한 방법으로 쉽게 가공될 수 있다.
분말 사출 성형 기술에서 공정의 진행은 Schunk Sintermetalltechnik GmbH(간행물: 52.02/1996)에 의한 생산 정보집 "분말 금속의 사출 성형-발전된 제조방법"에 기술되어 있다. 따라서 분말 사출 성형은 다양한 단계로 구성된다. 분말 형태의 출발 물질은 실제로 금속성 또는 세라믹 분말 또는 흑연을 다루며, 제 1 공정단계에서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결합제 및 가소제와 유동 물질이 혼합된다. 상기 물질은 사출 성형 기계에서 니어넷 쉐이프 기술에 의해 그린 바디로 가공된다. 결합제 및 가소제를 그린 바디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상기 물질에는 다른 공정 단계에서 소위 추출 또는 열분해가 가해진다. 추출시에 상기 보조제는 화학적으로 용매제에 용해되고 그린 바디로부터 방출되는 반면, 열분해시에 상기 보조제는 열에 의해 분해된다. 동시에 발생하는 그을음은 다음 공정 단계에서 금속, 세라믹 또는 흑연 바디에 소결된다.
결합제 및 가소제는 물질의 가공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그린 바디에 다른 공정을 위해 요구되는 형태 안정성을 부여한다. 그린 바디는 그 형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보조제의 제거가 점차적으로 조심스럽게 실행되어야 한다. 이것은 분말 사출 성형에 의해 생성된 그린 바디로부터 결합제 및 가소제의 추출시에 특히 유효하다. 왜냐하면, 그린 바디는 이러한 공정시 실제로 보조제의 추출에 앞서 사출 분리된 후 지지되지 않은 채로 -독립되거나 예를 들어 모래층에 놓인- 용매 흐름에 노출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실내 공간에 고정되고, 그린 바디에 실온에서 요구되는 형태 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는 그러한 결합제 시스템이 이용된다. 결합제 및 가소제의 제거는 열분해에 의해 -그린 바디의 벽두께에 따라- 여러 날이 소요되며, 용매를 통한 추출시 오랜 처리 시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통상적인 결합제 시스템의 일부인 용매 및 분해 산물은 환경을 저해한다.
본 발명은 결합제를 포함하는 보조제와 출발 분말의 혼합에 의해 유동성 물질을 형성하고, 분말 사출 성형에 의해 그린 바디(green body)를 만들고, 그린 바디를 용기 내에서 가열하고 용매 흐름에 노출시킴으로써 보조제의 일부를 추출하고, 상기 그린 바디를 소결하여 부품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분말 형태의 출발 물질로부터 부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의 개략도.
추출의 실행을 위해 분리될 그린 바디의 다수는 욕조 형태의 추출 용기에 제공되고 추출제에 의해 처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그린 바디로부터 신속하고 동시에 안전한, 분말 사출 성형에 의해 이루어지는 분리를 가능하게 하는 결합제의 추출을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방법의 실행을 위한 적합한 추출 설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방법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은 앞에서 언급된 방법에서 시작하여 본 발명에 따라 추출은 그린 바디의 온도가 일정하게 또는 단계적으로 상승하는 동안 가열 단계를 포함하며, 압축된 초임계적 처리 가스 형태의 용매가 그린 바디 주위로 흐르게 됨으로써 달성된다.
그린 바디로부터 보조제의 추출을 위해 초임계적 처리 가스 형태의 용매가 사용된다. 처리 가스는 그린 바디 주위를 흐르고, 따라서 보조제는 용해되며 - 결합제 또는 가소제와 같은 - 상기 보조제는 용기로부터 처리 가스에 의해 배출된다. 따라서 그린 바디는 보조제의 분리에 의해 점차 다공성이 되므로, 처리 가스는 그린 바디의 다공성 영역을 흐를 수 있다. 이때 용기에는 초과압을 생성하는 소위 추출 설비가 중요하다.
용매로 사용되는 초임계적 처리 가스는 고밀도가 특징적이며, 그린 바디로부터 용해될 보조제에 대해 재차 용매 효과를 향상시킨다. 고밀도는 초임계적 처리 가스가 온도-압력-체제에서 그 특수한 임계 온도 및 압력값 이상으로 고정될 때 달성된다.
상기 추출은 그린 바디의 온도 및 그와 동시에 그린 바디 주위를 흐르는 처리 가스의 온도가 상승하는 동안 가열 단계를 포함한다. 온도 상승은 일정하게 또는 단계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방법의 특수한 작용은 하기에서 설명된다.
그린 바디에 포함되어 있는 보조제는 대개 예를 들어 용융점과 같은 보조제의 열에 의한 특성 또는 처리 가스 내에서 용해성과 같은 화학적, 물리적 특성으로 구별될 수 있는 다양한 부분으로 존재한다. 처리 가스에 용해됨으로써 그린 바디로부터 분리되거나 또는 가열함으로써 유동하는 보조제 부분은 그린 바디의 형태 안정성에 더 이상 기여하지 않는다. 추출 동안 그린 바디 온도가 천천히 상승함으로써 보조제 부분은 처리 가스에 용해 및 용융 온도에 상응하여 차례로 그린 바디로부터 분리됨으로써 달성된다. 먼저 더 낮은 온도에서 용해성 보조제 부분이 추출되고, 증가하는 온도에 따라 점점 용해된다. 따라서 보조제 부분은 각각의 용융점 온도에 도달하기 전에 배기 가스에 용해됨으로써 이상적으로 분리된다.
따라서 초임계 처리 가스 중의 보조제의 가용성은 온도에 따라 커진다. 따라서, 낮은 온도에서 추출의 경우 보조제의 제거는 긴 시간을 필요로 하며, 높은 온도에서의 추출의 경우에는 보조제의 신속한 제거 또는 연화에 의해 그린 바디의 형태 안정성이 사라진다. 점차적인(계속적인 또는 단계적인) 온도 상승에 의해, 그린 바디로부터 보조제가 양호하고 신속하게 제거될 수 있다.
이것을 위한 중요한 전제 조건은 실온에서 고체인 결합제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결합제 시스템은 그린 바디의 형태 안정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상기와 같은 점차적인 온도 상승을 허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분말 사출 성형에 의해 만들어지고 일반적으로 상기 추출 동안 사출 분리되며 지지 없이 자발적으로 충분한 형태 안정성을 보장해야 하는 그린 바디로부터 결합- 및 가소화제의 추출에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추출 동안 온도 제어는 사용된 보조제의 열적 및 화학적 특성 그리고 그린 바디의 치수에 의존한다. 가열 단계 동안 0.1℃/min 내지 5℃/min, 바람직하게는 0.5℃/min 내지 2℃/min 범위의 가열 속도가 세팅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범위의 가열 속도에 의해, 일반적으로 보조제의 신속하고 양호한 추출이 이루어진다.
이것은 가열 단계 동안 그린 바디의 온도가 20℃ 내지 150℃ 범위로,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30℃ 범위로 상승하게 하는 조치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가열 단계 다음에는 홀딩 단계가 이어지는데, 상기 홀딩 단계 동안에는 그린 바디가 높은 온도로 유지된다. 충분한 기계적 안정성을 얻기 위해, 추출은 일반적으로 후속하는 소결에 무해한 정도의 보조제 잔류량이 그린 바디에 남도록 이루어진다.
보조제 제거와 관련된 처리 가스의 작용은, 처리 가스에 제 1 유동 방향이 미리 주어질 때 개선되며, 가열 단계 동안 처리 가스는 제 1 유동 방향으로 그린 바디 주위로 순환되고, 상기 유동 방향은 가열 단계의 진행에 따라 적어도 한 번 변경된다. 이는 추출될 보조제의 특수한(specific) 밀도 영역 내에 위치하는 초임계적 처리 가스의 높은 밀도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온도 상승에 따라, 가열 단계의 진행시 처리 가스의 밀도 비율 및 추출될 보조제는 변경된다. 가열 단계의 초기시, 즉 낮은 온도일 때, 처리 가스의 밀도는 보조제보다 높다. 바람직하게 그린 바디는 하부에서 상부로 순환되므로, 처리 가스는 보조제를 상부쪽으로 쉽게 이동시켜 추출기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이로써 가열 단계의 제 1 시간 구간에서 처리 가스가 하부에서 상부로 상기 그린 바디 주위로 순환되고, 가열 단계의 제 2 시간 구간에서는 상부에서 하부로 그린 바디 주위로 순환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이는 온도가 높을 경우 밀도 비율이 전환된 후, 이제 상부에서 하부로 유동하는 처리 가스로부터 보조제가 활성화되어 그린 바디 및 추출기로부터 제거되기 때문이다. 밀도 비율을 전환시키는 온도는 추출기 내압에 따라 좌우된다.
상기 추출기의 수명은 전체적으로 그린 바디의 벽두께에 맞춰진다. 그린 바디의 처리를 1 시간 내지 3 시간의 범위 내에서 세팅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입증되었다.
본 발명에 따라 처리 가스로서 사용되기에 프로판, 일산화질소 또는 이산화탄소가 특히 적합하다고 증명되었다. 상기의 처리 가스는 결합제 및 용해제에 대한 양호한 용매 특성을 특징으로 하며, 저렴하고 취급이 비교적 간단하다.
다공성 재료로 이루어진 지지체 상에 그린 바디가 있는 동안, 보조제를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증명되었다. 그린 바디에서 액상 보조제가 배출되는 경우, 다공성 지지체 재료에 의해 보조제가 흡착 또는 흡수될 수 있으므로, 추출기 또는 다른 그린 바디의 오염 및 손상은 방지된다. 지지체는 예컨대 다공성 세라믹 또는 다공성 소결 금속으로 이루어진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추출기와 관련된 상기의 기술적 과제는 추출기가, 측면 경계벽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 밀봉 방식의 하우징을 포함함으로써 해결되며, 상기 하우징은 다수의 그린 바디가 적재된 지지체 소자를 수용하기 위한 처리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챔버에는 적어도 하나의 처리 가스용 유입구 및 적어도 하나의, 배기 가스용 배출구가 제공되며 그린 바디용의, 폐쇄 가능한 적재 및 인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는 지지체 소자를 위한 통로로서 측면의 경계벽 내에 형성된다.
상기 적재 및 인출구가 지지체 소자를 위한 통로로서 형성됨으로써, 전체 지지체 소자는 상기 개구를 통해 추출기 내로 삽입되고 다시 빼내질 수 있다. 그린 바디는 추출기에 적재되기 전에 이미 지지체 소자 상에 배열될 수 있다. 추출이 종료된 후, 그린 바디는 지지체 소자와 함께 추출기로부터 배출되며 지지체 소자 상에 지지된 채로, 소결 오븐과 같은 부가 처리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인출구는 측면 경계벽에 형성되기 때문에, 지지체 소자는 실제로 수평 이동을 통해, 더 큰 높이차를 겪지 않으면서 추출기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하우징은 정면이 폐쇄된 중공 실린더로서 형성되며, 적재 및 인출구는 하나의 정면 영역 내에 제공된다. 상기 양 정면은 본 발명에 따라, 측면 경계벽을 형성하며, 상기 벽 중 적어도 하나의 정면 영역에는 적재 및 인출구가 제공된다. 원형 횡단면을 갖는 실린더는 압력 용기로서 특히 적합하다. 실린더 외피는 처리 챔버의 측면 경계벽에 기여하며 동시에 상부 및 하부 경계벽을 형성한다.
상기 처리 챔버가 적어도 2 개의 유입구 및 적어도 2 개의 배출구를 포함할때 본 발명은 더욱 개선된다. 상기와 같이 개선된 추출기는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방법, 즉 추출중 유동 방향이 전환되는 방법의 변형예에 사용되기에 적합하다.
하기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로 더 자세히 설명된다.
도 1에 도시된 장치는 초임계적 이산화탄소의 사용 하에, 그린 바디를 추출(하기에서는 방출로서 표시됨)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산화탄소는 순환계 내에 안내된다. 상기 장치는 추출기(1), 분리기(2) 및, 이산화탄소를 수용하기 위한 CO2탱크를 포함한다.
상기 CO2탱크(3)에서 이산화탄소는 액상(4) 및 기상(5)으로 제공된다. 상기 이산화탄소를 용해하기 위해, CO2탱크(3) 내에는 커패시터(6)가 제공된다. CO2탱크(3)로부터 가스 라인은 배출부(7), 언더쿨러(8), CO2펌프(9) 및 열교환기(10)를 통해 선택적으로 추출기(1)의 상부 유입부(11) 및 하부 유입부(12)로 이어진다.
상기 추출기(1)는 중공 실린더형이며, 도 1에서는 실린더축(29)이 수평으로 연장된다. 정면 중 하나의 영역에는, 플랩(30)에 의해서 압력 밀봉식으로 폐쇄될 수 있는 충진 및 인출구가 제공된다. 추출기(1)의 내부로, 다수의 중간 베이스를갖는 이동 가능한 프레임(15)이 제공되며, 상기 중간 베이스 상에는 다수의 그린 바디(13)들이 추출되기 위해 배열된다. 그린 바디(13)는 다공성 소결 금속으로 이루어진 플레이트(14) 상에 지지된다. 상기 충진 및 인출구에 의해, 프레임(15)은 추출기 내에 삽입되고 추출기로부터 빼내질 수 있다. 추출기(1)의 내부로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가열 장치가 제공된다. 대체 실시예에서, 추출기(1)는 상기 가열 장치에 의해 둘러싸인다. 추출기는 선택적으로 상부 배출구(16) 또는 하부 배출구(17) 및 앵글밸브(angle valve)(18)를 통해서 분리기(2)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앵글밸브의 고압측(19)은 도 1에서 작은 섕크로서 도시되며 저압측(20)은 더 큰 섕크로서 도시된다. 앵글밸브(18)는 압축 공기부(21) 및 압력 조절 장치(22)에 의해 제어된다. 압력 조절 장치(22)는 압력 라인(23)을 통해, 앵글밸브의 고압측(19)과 연결된다.
결합제 및 가소제가 가스형 이산화탄소에 의해 분리되는 분리기(2)는 온도 장치에 의해 둘러싸인다. 이산화탄소로부터 응축되어 나온 성분은 추출물(25)을 형성하며, 상기 추출물은 실제로 왁스, 파라핀 및 수지로 구성되며 연결관(26)에 의해 배출될 수 있다. 추출물(25) 상부의 가스 챔버(27)는 가스 라인(28)을 통해, CO2탱크(3)의 기상(5)과 연결된다.
하기에서는, 초임계적 이산화탄소의 사용 하에, 그린 바디로부터 보조제를 안전하게 추출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도 1을 이용하여 더 자세히 설명된다.
추출기(1)에는, 처리될 그린 바디(14)가 추출기(1) 외부에서 프레임(15) 상에 배열되고 이어서 상기 프레임이 추출기(1) 내로 수평으로 삽입됨으로써, 그린 바디(14)의 배치(batch)가 적재된다.
그린 바디로서 결합제 및 가소제와 같이 분말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카르보닐-철 분말과 보조제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주조물이 다루어진다. 보조제는 하기에서 "결합제"로 통합 표기된다. 전체 중량에 관련하여 결합제의 함량은 6 내지 9 중량%이다. 상이한 결합제-부분(fraction)은 상이한 질량비로 함유된다. 결합제-부분은 그의 용융 온도에 따라 그리고 초임계 이산화탄소에서의 용해성에 따라 구분된다.
CO2-탱크(3)에서 이산화탄소는 대략 20℃의 온도에서 그리고 55 bar 내지 60 bar 범위의 압력에서 유지된다. 이 경우 상평형은 가스상(5)과 액상(4)이 형성되면서 형성된다. 액상(4)으로부터 계속적으로 액상 이산화탄소가 추출되어, 언더쿨러(8) 및 CO2펌프(9)를 통해 200 bar 내지 500 bar의 압력으로 초임계 이산화탄소로서 열 교환기(10)에 공급된다. 일반적으로 추출기(1)에 350 bar의 압력이 세팅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출은 가열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 단계동안 추출기(1)에 의해 도입된 초임계 이산화탄소의 계속적인 흐름의 온도가 상승된다. 이산화탄소 흐름의 템퍼링은 열 교환기(10)에서 이루어진다. 실시예에서 단계적 온도 상승은 하기의 표에 따라 세팅된다:
초임계 CO2의 추출시 온도 곡선
넘버 지속시간[min] 온도[℃]
12345 2515151520 30507090120
단계적 온도 상승에 대해 대안적으로 온도는 계속적으로도 상승될 수 있다. 상응하게 변형된 실시예에서 초임계 이산화탄소는 열 교환기(10)에 의해 템퍼링되고, 30℃에서 120℃로의 계속적인 온도 상승은 1℃/min 의 가열율에서 세팅된다.
초임계 이산화탄소의 계속적인 흐름이 열 교환기(10)로부터 추출기(1)에 이르면, 다공성 그린 바디(14)를 관류하고, 이 경우 그 내에 함유된 결합제의 성분을 용해시킨다. 첨가될 이산화탄소의 양은 방출될 물질의 질량에 따른다. 실시예에서 그린 바디의 출발 중량의 킬로그램 당 10kg의 초임계 이산화탄소가 첨가된다.
점차적인 온도 상승은 상이한 결합제-부분의 연속적인 용해를 야기함으로써, 그린 바디의 충분한 형태 안정성이 방출동안 보장된다. 또한 저용융 부분이 그의 용융 온도에 도달하기 이전에 이미 용해됨으로써, 결합제의 액화가 방지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발생하는 액체는 다공성 플레이트(13)에 의해 흡수된다.
온도 상승으로 인해 가열 단계의 곡선에서 초임계 이산화탄소와 추출될 결합제의 밀봉비가 변경된다. 따라서 가열 단계의 시작시 초임계 이산화탄소의 흐름이 하부 유입구(12)로부터 상부 배출구(16)로 안내된다. 이렇게 미리설정된 흐름 방향에 의해, 초임계 이산화탄소에 비해 낮은 밀도를 가진 결합제 성분은 상부로 변위되어 추출기로부터 제거된다. 이산화탄소-흐름이 이제 상부 유입구(11)로부터 하부 배출구(17)로 안내되어, 이제 더 상승된 밀봉력을 가진 결합제 성분은 보다 용이하게 하부 배출구(17)를 통해 제거될 수 있음으로써, 선택된 결합제 시스템에 따라 350 bar의 내압에서 70℃ 내지 90℃의 온도에서 발생하는 상기 밀봉비의 전환 이후에, 흐름방향이 변경된다.
가열 단계에 이어서 그린 바디(14)는 20분의 유지 시간동안 120℃의 온도로 유지되고, 상기 그린 바디는 또한 초임계 이산화탄소에 의해 관류된다. 그린 바디(14)의 안정성을 위해 소결까지 필요한 결합제의 잔류 성분이 그린 바디(14) 내에 존재할 경우, 추출이 종결된다. 상기 잔류 성분은 대략 20 중량%이다. 따라서 실시예에서 추출은 90분 이후에 종료된다.
추출기(1)로부터 제거된 결합제 성분은 분리기(2)에 도달하여 응축되거나 또는 거기서 이산화탄소의 팽창에 의한 냉각에 의해 결정화된다. 정화된 이산화탄소는 CO2탱크(3)에 다시 공급된다.
추출제로서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사용함으로써, 그리고 그의 양호한, 템퍼링을 통해 열 교환기(10)에서 정확하게 제어될 수 있는 용해- 및 운반 특성을 사용함으로써, 방출 시간이 수시간으로 단축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추출기(25)의재활용을 가능하게 하고, 따라서 환경 오염을 줄여준다. 또한 용매인 이산화탄소도 순환 사용된다.
방출 이후에 플랩(30)이 개방되고, 프레임(15)이 추출기(1)로부터 돌출하여 그 위에 배치된 그린 바디(14)는 소정의 부품의 완성을 위해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소결로에 공급된다. 상기 소결로도 마찬가지로 프레임(15)의 수용을 위해 설계됨으로써, 처리된 그린 바디(14)의 포위부(besiege)는 필요없다. 상기 바디는 이어서 1000℃ 내지 1350℃의 온도에서 소결된다.

Claims (11)

  1. 분말을 결합제를 포함하는 보조제와 혼합하여 유동성 물질을 형성하고, 상기 유동성 물질로부터 분말 사출 성형에 의해 그린 바디를 만들고, 용기 내에서 그린 바디를 가열하고 상기 바디를 용매 흐름에 노출시킴으로써 보조제의 일부를 추출하고, 상기 그린 바디를 소결하여 부품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분말형 출발 물질로 부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추출은, 상기 그린 바디(14)의 온도가 계속 또는 단계적으로 상승하며 압축된, 초임계적 처리 가스 형태의 용매가 상기 그린 바디(14) 주위로 흐르는 가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형 출발 물질로 부품을 제조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단계에서 가열 속도는 0.1℃/min 내지 5℃/min 범위의, 바람직하게는 0.5℃/min 내지 2℃/min 범위로 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형 출발 물질로 부품을 제조하는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단계에서 그린 바디의 온도는 20℃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30℃ 범위로 상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형 출발 물질로 부품을 제조하는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가스에 하나의 유동 방향이 미리 주어지고, 상기 가열 단계 동안 처리 가스가 유동 방향으로 상기 그린 바디 주위로 흐르고, 상기 유동 방향은 가열 단계 중에 적어도 한번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형 출발 물질로 부품을 제조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가스는 상기 가열 단계의 제 1 시간 구간 동안에는 하부로부터 상부로, 그리고 상기 가열 단계의 제 2 시간 구간 동안에는 상부로부터 하부로 상기 그린 바디 주위로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형 출발 물질로 부품을 제조하는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린 바디(14)의 처리는 1 시간 내지 3 시간 동안 지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형 출발 물질로 부품을 제조하는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가스로서는 프로판, 일산화질소 또는 이산화탄소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형 출발 물질로 부품을 제조하는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린 바디(14)는 보조제의 추출시 다공성 물질로 이루어진 지지체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형 출발 물질로 부품을 제조하는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추출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측면 경계벽을 가진 압력 밀봉식 하우징(1)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다수의 그린 바디(14)로 채워진 지지체 부재(15)를 수용하기 위한 처리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챔버는 적어도 하나의 처리 가스용 유입구(11; 12)와 적어도 하나의 배기 가스용 배출구(16; 17)를 구비하며, 그린 바디용의 폐쇄 가능한 적재 및 인출구(30)를 포함하고, 상기 적재 및 인출구(30)는 측면 경계벽에서 지지체 부재(15)용 통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은 정면이 폐쇄된 중공 실린더로 형성되고, 상기 적재 및 인출구(30)는 하나의 정면 영역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기.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챔버는 적어도 2개의 유입구(11; 12) 및 적어도 2개의 배출구(16; 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기.
KR1020027013309A 2000-04-04 2001-03-30 분말형 출발 물질로 부품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 방법에적합한 추출기 KR200300236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016695.4 2000-04-04
DE10016695A DE10016695C1 (de) 2000-04-04 2000-04-04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auteils aus pulverförmigem Ausgangsmaterial und dafür geeigneter Extrak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3617A true KR20030023617A (ko) 2003-03-19

Family

ID=7637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3309A KR20030023617A (ko) 2000-04-04 2001-03-30 분말형 출발 물질로 부품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 방법에적합한 추출기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7018583B2 (ko)
EP (1) EP1272302B1 (ko)
JP (1) JP2003528985A (ko)
KR (1) KR20030023617A (ko)
CN (1) CN1429185A (ko)
AT (1) ATE280007T1 (ko)
AU (1) AU2001265851A1 (ko)
CA (1) CA2424341A1 (ko)
DE (2) DE10016695C1 (ko)
DK (1) DK1272302T3 (ko)
ES (1) ES2231508T3 (ko)
RU (1) RU2263004C2 (ko)
TW (1) TW490338B (ko)
WO (1) WO200107451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3232B1 (ko) * 2001-10-12 2004-12-2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혼합유체를 이용한 성형물 중의 왁스류의 탈지방법
US7237730B2 (en) * 2005-03-17 2007-07-03 Pratt & Whitney Canada Corp. Modular fuel nozzle and method of making
US8316541B2 (en) * 2007-06-29 2012-11-27 Pratt & Whitney Canada Corp. Combustor heat shield with integrated louv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8632600B2 (en) 2007-09-25 2014-01-21 Depuy (Ireland) Prosthesis with modular extensions
US9204967B2 (en) 2007-09-28 2015-12-08 Depuy (Ireland) Fixed-bearing knee prosthesis having interchangeable components
US8871142B2 (en) 2008-05-22 2014-10-28 DePuy Synthes Products, LLC Implants with roughened surfaces
US9101476B2 (en) * 2009-05-21 2015-08-11 Depuy (Ireland) Prosthesis with surfaces having different textures and method of making the prosthesis
US11213397B2 (en) 2009-05-21 2022-01-04 Depuy Ireland Unlimited Company Prosthesis with surfaces having different textures and method of making the prosthesis
DE102009037220A1 (de) * 2009-08-12 2011-02-17 Emil Bröll GmbH & Co. Verfahren zur Manipulation der Reinheit polykristalliner Metalloxide
DE102011010396A1 (de) * 2011-02-04 2012-08-09 Nateco2 Gmbh & Co. Kg CO2-Extraktionsverfahren
CN102717077A (zh) * 2012-06-01 2012-10-10 常州精研科技有限公司 金属粉末注射成型大小排气管挡板用萃取治具
CN102717080A (zh) * 2012-06-01 2012-10-10 常州精研科技有限公司 金属粉末注射成型阀门开关的萃取治具
RU2600647C2 (ru) * 2015-01-27 2016-10-2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ИНТЕХ-М"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трехмерных керамических изделий
CN104784963B (zh) * 2015-04-17 2016-08-24 北京博天子睿科技有限公司 一种卧式超临界流体萃取釜及超临界流体萃取装置
CN104785786B (zh) * 2015-04-24 2017-04-05 江苏科技大学 一种送浆式金属部件增材制造方法及装置
EP3775743A4 (en) * 2018-11-26 2021-12-0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INTER FURNACE
WO2020112084A1 (en) * 2018-11-26 2020-06-0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Operating a sintering furnace
AT523094B1 (de) * 2019-10-15 2022-11-15 Miba Sinter Austria Gmbh Sinterofe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55265A (ja) * 1984-12-26 1986-07-14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超臨界流体により成形体中のバインダ−を除去する方法
JPS61287702A (ja) * 1985-06-17 1986-12-18 日本鋼管株式会社 粉体の成形方法
JPH03204587A (ja) * 1989-12-30 1991-09-06 Shimadzu Corp 焼結炉
DE4408304A1 (de) * 1994-03-11 1995-09-14 Basf Ag Sinterteile aus sauerstoffempfindlichen, nicht reduzierbaren Pulvern und ihre Herstellung über Spritzgießen
US5970308A (en) * 1998-08-07 1999-10-19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Method for de-lubricating powder metal compacts
US6780911B2 (en) * 2000-08-23 2004-08-24 Metabolix, Inc. Low molecular weight polyhydroxyalkanoate molding composi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218277A1 (en) 2003-11-27
CA2424341A1 (en) 2003-04-01
RU2263004C2 (ru) 2005-10-27
AU2001265851A1 (en) 2001-10-15
DE10016695C1 (de) 2001-10-18
WO2001074518A2 (de) 2001-10-11
DE50104214D1 (de) 2004-11-25
ES2231508T3 (es) 2005-05-16
ATE280007T1 (de) 2004-11-15
WO2001074518A3 (de) 2002-02-07
TW490338B (en) 2002-06-11
CN1429185A (zh) 2003-07-09
JP2003528985A (ja) 2003-09-30
DK1272302T3 (da) 2005-01-31
EP1272302A2 (de) 2003-01-08
US7018583B2 (en) 2006-03-28
EP1272302B1 (de) 2004-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23617A (ko) 분말형 출발 물질로 부품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 방법에적합한 추출기
AU2003271541B2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near net-shaped metallic and/or ceramic parts
US4544013A (en) Method of reclaiming sand used in evaporative casting process
EP0311407B1 (en) Process for fabricating parts for particulate material
JPS6233282B2 (ko)
US5122326A (en) Method of removing binder material from shaped articles under vacuum pressure conditions
US2928733A (en) Sintering of metal elements
RU2002129288A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конструктивного элемента из порошкообразного исходного материала и пригодный для этого экстрактор
US4225345A (en) Process for forming metal parts with less than 1 percent carbon content
US4820462A (en) Method of removing binder material from shaped preform by extracting in liquidized fluid
GB2454010A (en) Casting a metal object
US6446701B1 (en) Apparatus for unidirectional solidification of compounds
US20050189347A1 (en) Isostat for treating materials and method of removing ceramic material from metal articles using the same
US5188793A (en) Dewaxing method of metal or ceramic molded body
US5112577A (en) Apparatus for removing dispersion medium in metal or ceramic molded body
JPH111704A (ja) 粉体成形方法
RU2020043C1 (ru) Способ удаления пенополистироловых моделей из керамических форм
US4575449A (en) Metallurgical process
JP2000511826A (ja) 加圧鋳造によるマグネシウムマトリックスを有する複合部品の製造方法
KR100463232B1 (ko) 혼합유체를 이용한 성형물 중의 왁스류의 탈지방법
JPH04120204A (ja) 超臨界脱脂法
JPH0512304B2 (ko)
JPH08133845A (ja) 粉末成形体の脱脂用溶剤および粉末成形体の脱脂方法
JPH05312476A (ja) 粉末成形体の脱脂方法および粉末成形体からバインダを除去するための炉
JPH058215A (ja) 中空の微細片成形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