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3402A - 하폐수 처리조 - Google Patents

하폐수 처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3402A
KR20030023402A KR1020010056582A KR20010056582A KR20030023402A KR 20030023402 A KR20030023402 A KR 20030023402A KR 1020010056582 A KR1020010056582 A KR 1020010056582A KR 20010056582 A KR20010056582 A KR 20010056582A KR 20030023402 A KR20030023402 A KR 200300234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treatment tank
supernatant
water
slu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6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더불유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더불유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더불유티
Priority to KR1020010056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23402A/ko
Publication of KR20030023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3402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36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installations
    • C02F3/1242Small compact installations for use in homes, apartment blocks, hotels or the like
    • C02F3/1247Small compact installations for use in homes, apartment blocks, hotels or the like comprising circular tanks with elements, e.g. decanters, aeration basins, in the form of segments, crowns or se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2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circulation pip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3/00Apparatus and plants for the 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3/006Apparatus and plants for the 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details of construction, e.g. specially adapted seals, modules, conne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ctivated Sludge Processes (AREA)

Abstract

유입 유량의 변동과 관계없이 상등수가 일정하게 배출될 수 있는 하폐수 처리조를 개시한다. 이러한 하폐수 처리조(100)는, 유입 수량의 변동에 따라 부유하는 부유기(210); 상기 부유기와 연결되어 부유기와 함께 부유되며, 상등수 유입공이 형성된 가동관(220); 및 상기 가동관이 내삽되어 유입된 상등수를 배출하는 고정관(230)을 포함하는 상등수 유출장치(200)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유입 유량의 증감이 있는 경우에도 일정량의 상등수를 배출하면서 충분한 하폐수 처리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하폐수 처리조{Sewage treatment module}
본 발명은 하폐수의 처리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는 처리조에 관한 것으로,보다 구체적으로는 유입 유량의 변동과 관계없이 상등수를 일정하게 배출하기 위한 하폐수 처리조에 관한 것이다.
하폐수 중의 오염물질에는 생물학적 산소 요구량(BOD)로 표시되는 유기물과 질소와 인과 같은 영양염류가 있다. 이러한 유기물과 영양염류를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그 처리 방법에 따라 물리적,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처리 방법이 있다. 즉, 스크린, 침전, 부상, 여과, 흡착 등의 물리적인 단위 조작을 통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하거나, 화학적 산화, 환원, 화학 침전, 살균, 응집, 소각 등의 단위 화학 반응을 통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하거나 또는, 미생물이나 식물 등을 이용하여 생물학적으로 하폐수 중의 오염 물질을 제거한다.
이를 위한 하폐수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는, 하폐수를 물리적,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물리적,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반응조와, 고액 분리 및 상등수 배출을 위한 침강조나 침전조 등과 같은 하폐수 처리조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종래의 반응조나 침전조 등과 같은 처리조를 구비한 하폐수 처리장에서는, 일정 규모로 고정 설치된 처리조를 갖추고 있기 때문에 하폐수의 유입부하나 충격 부하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없으며, 이러한 충격 부하 등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그 소요 부지 면적도 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국내 마을 단위 중소 규모 하폐수 처리장에서와 같이, 계절별, 월별 시간에 따라 유기물 부하와 유량변화가 심하고, 이러한 상황하에서 항상 일정한 유량과 부하만 주어지는 실험실이나 파일럿(pilot)실험에서 그 안전을 고려하여 설계상 평균 유량의 1.5배로 설계하여 시공하지만 실재적으로는 최대 부하가 2-3배 이상을 초과하는 것이 일반적이다.더욱이, 기존의 처리조 예컨데, 생물학적 반응조는 그 주어진 조건(체류시간, 용적 등)이 변하지 않고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중소 규모 하폐수 처리장 여건상 현장 관리자가 상주하지 않은 경우 특히 여름철이나 주말 등에 유량 변화가 집중되는 경우에는 이를 감당하기에는 역부족이다.
한편, 생물학적 반응조를 이용하여 하폐수를 처리하는 경우에, 생물학적 반응조는 타원형 등의 순환유로를 가지며, 장기 폭기법 또는 간헐 폭기법 등을 활용하기 위한 폭기 장치와, 그 내부의 유입수를 혼합 교반함과 동시에 유입수가 순환 유로를 따라 순환 될 수 있도록 교반장치를 구비한다. 이러한 교반 장치로는 축류식 또는 원심류식 로터등이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교반장치는 고가의 장비일 뿐만 아니라, 간헐 폭기법 등을 활용하는 반응조의 경우 교반 장치의 운전에 따라 하폐수의 수류는 그 표면에서 교란을 일으켜 하폐수의 무산소 상태 또는 혐기성 상태에 불리한 작용을 하게 된다.
더욱이, 순환 유로에서 그 유로가 급변하는 부분에서는 수류의 영향으로 슬러지가 침적되는 데드스페이스(dead space)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데드 스페이스에서의 슬러지 침적은 부패 및 악취를 동반하고 그 처리효율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유입 유량의 변동에 관계없이 일정량의 상등수 배출시킴으로써 유입 유량이 증가하는 경우에도 충분한 처리 시간 또는 충분한 슬러지 침강 시간의 확보가 가능한 하폐수 처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생물학적 하폐수 처리조의 수면에서의 교란을 최소화하며 데드 스페이스 최소화 및 보다 경제적인 교반 장치를 구비한 하폐수 처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하폐수 처리조의 평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I-I라인을 따라 침전조와 교반 수단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3a와 3b는 도 1의 하폐수 처리조에 사용될 수 있는 일예로서 교반수단의 라인헤더를 도시한 것으로, 도 3a는 라인헤더의 정면도이고, 도 3b는 도 3a Ⅱ-Ⅱ선에 따라 도시한 라인헤더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A부분을 확대한 상등수 유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처리조140, 170: 교반수단
150: 폭기수단160: 침전조
200: 상등수 유출장치210: 부유기
221: 나팔관223: 하부관
240: 주름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하폐수 처리조는, 유입 수량의 변동에 따라 부유하는 부유기; 상기 부유기와 연결되어 부유기와 함께 부유되며, 상등수 유입공이 형성된 가동관; 및 상기 가동관이 내삽되어 유입된 상등수를 배출하는 고정관을 포함하는 상등수 유출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가동관은, 상기 상등수 유입공이 형성된 나팔관과, 상기 나팔관의 하단에 부착되며 상기 나팔관의 재질보다 비중이 큰 재질의 하부관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가동관의 하부관에는 측방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관에는 상기 측방 돌출부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와, 이동을 한정하기 위한 멈춤턱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등수 유출 장치는, 상기 가동관과 상기 고정관 사이로 유입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주름관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주름관은, 전단 변형에 저항할 수 있도록 원형 또는 코일 형상의 심선이 배치된 방수포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하폐수 처리조는, 상기 상등수 유출 장치를 구비한 내장형 침전조와; 수중펌프와, 상기 수중 펌프로부터 압송된 유입수를 분출하기 위하여 압송수 유출구가 형성된 라인헤더와, 상기 수중 펌프와 상기 라인헤더를 연결하는 압송수관을 포함하는 교반수단; 및 유입수에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폭기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압송수 유출구는 수류의 흐름 방향에서 하향 경사진 다수개의 관통공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압송수관은 수면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며, 압송수의 유속을 제어하기 위하여 압력계와 압송수 제어 밸브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침전조는, 침강된 슬러지를 처리조 내부로 반송하기 위한 슬러지 반송관과, 상기 슬러지 반송관을 통과하는 슬러지의 일부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슬러지 반송관의 중간부에서 분기한 슬러지 배출관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하폐수 처리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폐수 처리조는 하폐수 처리 방법에 따라 물리적,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반응조일 수 있으며, 그 용도에 따라 침강조나 침전조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이러한 하폐수 처리조 중에서 회류식 순환 유로 및 내장형 침전조를 가진 생물학적 반응조를 일예로서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폐수 처리조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도 1의 I-I라인을 따라 내장된 침전조와 교반수단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하폐수 처리조(100)는 유입되는 유입물을 혼합 교반하기 위한 교반수단(140, 170), 유입물에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폭기수단(150) 및 하부에 수류가 흐를 수 있도록 내장된 침전조(160)를 구비한다. 여기서, 하폐수 처리조(100)는 생물학적 반응조로서 그 내부에는 유기물이나 질소나 인과 같은 오염물을 생물학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미생물 덩어리 즉, 활성 슬러지를 담고 있으며, 유입물이 그 내부에서 순환되면서 처리될 수 있도록 예컨데, 타원형의 순환 유로가 형성된다.
폭기 수단(150)은, 간헐 폭기법 등에 의하여 하폐수 처리조(100) 내에 산소를 공급하거나 또는 중단함으로써, 처리조(100) 내부 상태를 호기성 또는 무산소 조건 등으로 하여 미생물의 질산화와 인과잉 흡수, 유기물 분해 또는 탈질에 기여하기 위한 것으로, 예컨데, 송풍기(151)와, 공기공급배관(152)과, 산기관(153)을 포함한다.
교반수단(140, 170)은 유입물의 혼합 교반 및 원활한 순환 수류 형성을 위하여 일예로서 중앙 격벽(110)을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2개가 배치되며, 하폐수 처리조(100) 저면부에서 유입물을 흡입 압송하기 위한 수중 펌프(141)와, 수중 펌프(141)로부터 압송된 유입물을 처리조(100)의 저면부에서 순환 유로를 따라 분출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압송수 유출구가 형성된 라인 헤더(143)와, 수중 펌프(141)와 라인헤더(143)를 연결하는 압송수관(145)을 포함한다. 여기서, 압송수관(145)은, 처리조(100) 수면 상부로 연장되어 배관되며, 수면 상부의 배관 부위에 압송수의 유속을 제어하기 위한 압력계(147)와 압송수 제어 밸브(149)를 구비하는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관리자는 수중 펌프(141)에 의하여 압송되는 압송수의 유속을 확인하고 수동으로 압송수 제어 밸브(149)를 조작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도 3a와 도 3b는 이러한 교반 수단에 사용될 수 있는 일예로서 라인 헤더의 정면도와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와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라인헤더(143)는 소정 길이 연장된 원통 형상의 챔버이며, 그 측면에는 압송수관(145)과 연결되어 압송수가 유입될 수 있는 압송수 유입구(143a)와 유입된 압송수가 챔버 내 공간에서 일시 저장된 후 하폐수 처리조로 분출될 수 있도록 압송수 유출구(143b)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라인 헤더(143)는 순환 유로의 폭방향 즉, 중앙 격벽(110)과 내벽(120) 사이의 하폐수 처리조(100) 하부에 배치된다.
압송수 유출구(143b)는, 압송수가 균등 배출될 수 있도록 그 형상을 다양하게 할 수 있으나, 그 일예로서 다수개의 슬릿형 개구가 하폐수 처리조(100) 폭방향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안정적인 순환 수류 확보에 바람직하며, 각각의 압송수 유출구(143b)는 챔버내 압송수가 수류 방향에서 하향 경사(예컨데 45°)져 분출될 수 있는 관통공으로 형성하는 것이 슬러지 현탁에 바람직하다.
이러한 교반수단(140,170)의 구성에 따라, 하폐수 처리조(100) 저면부에 위치한 수중펌프(141)에 의하여 처리조(100) 저면부의 유입물이 흡입되어 끌어 올려지고 다시 처리조(100) 저면부에 위치한 라인 헤더(143)의 압송수 유출구(143b)를 통해 처리조(100) 저면부에서 하향 경사되어 분출됨으로써 슬러지가 처리조(100)바닥에 침전되지 않고 수중에 효과적으로 현탁될 수 있으며, 중앙 격벽(110)과 내벽(120) 사이의 폭방향으로 위치하고 있는 라인헤더(143)의 압송수 유출구(143b) 또는 다수개의 슬릿형 개구를 통하여 압송수가 분출되어 처리조(100)내에서 유입물은 순환유로를 따라 일정한 순환 수류를 형성한다. 그리고, 라인 헤더(143)가 바닥에 근접하여 설치되어 있으므로 처리조(100) 바닥에서의 유속은 상대적으로 크게 되지만 수면 가까이에서의 유속은 상대적으로 작게 되어 상층과 하층의 심한 교반이 이루어지지 않아 대기 중 산소가 녹아 들어가는 것을 최소화시키는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일반 수중모터와 간단한 배관 작업을 이용하여 효율적이고 보다 경제적인 하폐수 처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처리조 내에서 순환 유로가 급변 하는 부분, 예컨데 도 1을 참조하면 중앙 격벽(110) 양단부에는 수류 영향으로 슬러지가 침적, 부패하고 악취 발생 및 처리효율을 감소시키는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가 발생하는데, 본 발명에 따른 라인 헤더(143)에 따라 이러한 데드 스페이스에서의 침적 현상은 감소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침전조(160)는, 그 내부로 처리조(100)의 유입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상향류형 유입유로(168)를 형성하는 벽체(161,165)와, 그 내부에서 슬러지와 상등수가 침강 분리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벽체(161,162,164)와, 상등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상등수 유출장치(200)를 구비한다.
상기 상향류형 유입유로(168)는, 예컨데 침전조 전벽(161)과 침전조 전벽(161)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하부가 개방된 하방 격벽(165)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때 침전조의 전벽(161)과 하방 격벽(165)은 처리조(100)의 중앙 격벽(110)과 내벽(12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하방격벽(165)에 의하여 침전조(150) 내부로 유입되는 수류의 유속은 감소되고, 처리조(100)의 와동이 침전조 내부로 전파되는 것이 차단되어질 수 있게 되어 침전조(150)에서의 침강 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침전조의 내부 공간은, 침전조 전벽(161)과, 침전조 전벽(161)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침전조 후벽(162)과, 침전조 전벽(161) 및 침전조 후벽(162)의 하단에서 소정 각도 경사져 연장된 슬러지 호퍼(164)에 의하여 형성된다. 여기서,침전조(160)의 내부에는 침전조의 체적을 최소화하고 침강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경사판(163)을 설치할 수도 있다.
슬러지 호퍼(164)는 깔대기 또는 역삼각뿔 형상을 가지며, 그 하부에는 침강 농축된 슬러지가 처리조 내부로 배출 및 반송될 수 있도록 슬러지 배출구(167a)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슬러지 배출구(167a)부에는 슬러지 배출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수류 방향으로 경사진 슬러지 반송관(167b)이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침전조(160)의 슬러지 배출구(167a)에는 침강 농축된 슬러지가 처리조(100) 외부로 배출(잉여 슬러지로서 배출 또는 다른 처리조로의 반송)될 수 있도록 슬러지 배출관(167c)이 연결된다. 이때, 침전조(160)에서 침강 농축된 슬러지가 보다 원활하게 처리조(100) 내부로 반송될 수 있도록, 상기 슬러지 배출관(167c)은 제1슬러지 반송관(167b)을 통과하는 슬러지 중의 일부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제1슬러지 반송관(167b)의 중간부에서 분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침전조(160)의 구성에 따라, 상향류형 유입유로(167)를 통하여 유입된 유입물은 침전조(160) 내부에서 중력 침강하거나 또는 경사판(163)에의 침적 및 할강되어 슬러지 호퍼(164)로 낙하하게 된다. 슬러지 호퍼(164)로 농축된 슬러지는 슬러지 반송관(167b,167c)에 의하여 처리조(100) 내부로 반송 또는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유입물로부터 슬러지가 침강 처리된 상등수는 침전조 후벽(162)에 인접된 상등수 유출장치(20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도 4는 도 2의 A부분을 확대한 상등수 유출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등수 유출장치(200)는, 유입 유량에 따라 부유하는 부유기(210)와, 상기 부유기(210)와 함께 부유할 수 있도록 상기 부유기(210)가 외주부에 부착되어 있으며, 상등수 유입공(221a)이 형성된 가동관(220)과, 상기 상등수 유입공(221a)을 통하여 유입된 상등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가동관(220)과 연결된 고정관(230)과, 상기 가동관(220)과 상기 고정관(230) 사이에서 침전조(260)의 유입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주름관(240)을 구비한다.
상기 가동관(220)은, 플라스틱, PP 또는 PE등의 재질의 나팔관(221)과, 상기 나팔관(221)의 하단에 부착된 금속 재질의 하부관(223)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부유기(210)의 부력과, 나팔관(221)과 하부관(223)의 비중 차에 의하여 가동관(220)은 침전조의 수위 변동에 보다 민감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부유기(210)는 충분한 부력을 가지고 나팔관(221)의 상단 외주부에 부착 고정되도록 하며, 상등수 유입공(221a)은 상등수가 균일하게 유출될 수 있도록수면에 인접된 나팔관(221)의 원주부를 따라 균등하게 이격된 슬릿 형상의 다수개 관통공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동관(220)에는 측방 돌출부(223a)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관(230)에는 상기 측방 돌출부(223a)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230a)와, 상기 측방 돌출부의 이동을 한정하기 위한 멈춤턱(230b,230c)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고정관(230)은 침전조 후벽(262)에 고정 설치된다.
주름관(240)은 타이 또는 클램프(250) 등에 의하여 일단이 하부관(223)에 부착되고 타단이 고정관(230)에 부착된다. 이러한 주름관(240)은 원형으로 주름진 방수포를 겹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방수포에는 수압에 따른 전단 변형을 피하기 위하여 원형 또는 코일 형상의 철심(241)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등수 유출 장치(200)를 구비한 하폐수 처리조(100)에 의하여, 유이물로부터 슬러지가 분리된 상등수는 상등수 유입공(221a)을 통하여 균일하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비록 유입 수량 및 수위가 변동되더라도 가동관(220)은 수위 변동에 신속하게 대응하여 유동함으로써 수면에 인접한 상등수만을 일정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하폐수 처리조(100)에 있어서 유입되는 하폐수의 증감이 있는 경우에도 일정량의 상등수만을 외부로 배출하면서 하폐수를 처리조(100)내의 미생물에 따라 효과적으로 처리하여 방류할 수 있게 된다.
예컨데, 유입 유량이 평균유량(Q)으로 들어오고 이때의 처리조(100)의 설계 체류 시간을 12시간이라 하면, 이때의 유출량 역시 Q가 되며, 유량이 늘어나 유입 유량이 2Q로 유입될 때에도 상등수 유출 장치(200)에 의하여 유량 증가에 무관하게일정하게 Q로 유출되고 유입 유량 중 초과분 Q는 처리조(100)의 수위를 상승시키게 된다. 따라서 처리조(100)의 체류 시간은 유입 유량이 2배로 늘었음에도 불구하고 12시간으로 일정하게 유지되어 충분한 반응시간이 확보될 수 있다. 이때 유입 유량 증가에 따른 미생물 현탁액 농도는 도 2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침전 슬러지가 중력 침강에 의해 처리조(100)내부로 신속하게 반송됨으로써 슬러지 농도 감소가 최소화되어 유입유량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하폐수 처리는 원활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하폐수 처리조(100)는 유량 변화가 있는 경우에도 면적보다는 깊이에 의한 용량 증가로서 보다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므로 완충 작용을 위한 별도의 유량 조정조 역할을 병행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하폐수 처리 시스템은 보다 컴팩트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하폐수 처리 시스템에 의하면, 유입 유량의 변동에 관계없이 일정량의 상등수 배출시킴으로써 유입 유량이 증가하는 경우에도 충분한 처리 시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하폐수 처리조의 수면에서의 교란을 최소화하며 보다 경제적인 교반 장치를 구비한 하폐수 처리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9)

  1. 유입 수량의 변동에 따라 부유하는 부유기;
    상기 부유기와 연결되어 부유기와 함께 부유되며, 상등수 유입공이 형성된 가동관; 및
    상기 가동관이 내삽되어 유입된 상등수를 배출하는 고정관을 포함하는 상등수 유출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 처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관은
    상기 상등수 유입공이 형성된 나팔관과,
    상기 나팔관의 하단에 부착되며 상기 나팔관의 재질보다 비중이 큰 재질의 하부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 처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관의 하부관에는 측방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관에는 상기 측방 돌출부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와, 이동을 한정하기 위한 멈춤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 처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등수 유출 장치는,
    상기 가동관과 상기 고정관 사이로 유입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주름관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 처리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관은, 전단 변형에 저항할 수 있도록 원형 또는 코일 형상의 심선이 배치된 방수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 처리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등수 유출 장치를 구비한 내장형 침전조와;
    수중펌프와, 상기 수중 펌프로부터 압송된 유입수를 분출하기 위하여 압송수 유출구가 형성된 라인헤더와, 상기 수중 펌프와 상기 라인헤더를 연결하는 압송수관을 포함하는 교반수단; 및
    유입수에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폭기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 처리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압송수 유출구는 수류의 흐름 방향에서 하향 경사진 다수개의 관통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 처리조.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압송수관은 수면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며, 압송수의 유속을 제어하기 위하여 압력계와 압송수 제어 밸브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 처리조.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는,
    침강된 슬러지를 처리조 내부로 반송하기 위한 슬러지 반송관과,
    상기 슬러지 반송관을 통과하는 슬러지의 일부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슬러지 반송관의 중간부에서 분기한 슬러지 배출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 처리조.
KR1020010056582A 2001-09-13 2001-09-13 하폐수 처리조 KR200300234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6582A KR20030023402A (ko) 2001-09-13 2001-09-13 하폐수 처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6582A KR20030023402A (ko) 2001-09-13 2001-09-13 하폐수 처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8267U Division KR200256524Y1 (ko) 2001-09-13 2001-09-13 하폐수 처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3402A true KR20030023402A (ko) 2003-03-19

Family

ID=27723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6582A KR20030023402A (ko) 2001-09-13 2001-09-13 하폐수 처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2340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11806A (zh) * 2010-04-05 2011-10-12 南亮压力容器技术(上海)有限公司 连续回分式反应槽用伸缩式滗水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65605A (en) * 1987-06-03 1989-03-10 Allen Bradley Co Programmable controller
JPH01114008A (ja) * 1987-10-28 1989-05-02 Fuji Elelctrochem Co Ltd ボンド磁石の製造方法
JPH0188706U (ko) * 1987-12-01 1989-06-12
JPH045202A (ja) * 1990-04-23 1992-01-09 Akira Kishi 殺菌、殺虫剤及び殺菌、殺虫方法
KR20000037079A (ko) * 2000-04-07 2000-07-05 유성용 연속회분식 반응조 공정의 부유식 배출장치
KR200235057Y1 (ko) * 2001-03-06 2001-09-26 주식회사 성광엔비텍 회분식 활성슬러지법에 사용되는 부상식 상등수배출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65605A (en) * 1987-06-03 1989-03-10 Allen Bradley Co Programmable controller
JPH01114008A (ja) * 1987-10-28 1989-05-02 Fuji Elelctrochem Co Ltd ボンド磁石の製造方法
JPH0188706U (ko) * 1987-12-01 1989-06-12
JPH045202A (ja) * 1990-04-23 1992-01-09 Akira Kishi 殺菌、殺虫剤及び殺菌、殺虫方法
KR20000037079A (ko) * 2000-04-07 2000-07-05 유성용 연속회분식 반응조 공정의 부유식 배출장치
KR200235057Y1 (ko) * 2001-03-06 2001-09-26 주식회사 성광엔비텍 회분식 활성슬러지법에 사용되는 부상식 상등수배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11806A (zh) * 2010-04-05 2011-10-12 南亮压力容器技术(上海)有限公司 连续回分式反应槽用伸缩式滗水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23214B1 (en) Device for decanting supernatant
US9540266B2 (en) Moving bed media flow equalization reactor
WO2011065520A1 (ja) 有機性排水処理装置および有機性排水処理方法
US20140097136A1 (en) Composite microorganism reactor,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water treatment using the same
CN105110467B (zh) 一种多模式运行的脱氮除磷一体化生物反应池
US5954953A (en) Apparatus for treating wastewater
SK283582B6 (sk) Reaktor na biologické čistenie odpadových vôd
US6004456A (en) Equalization basin-reactor system
JP4702749B2 (ja) 水処理装置
KR101052246B1 (ko) 폭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 장치
KR101268695B1 (ko) 다기능 교반기를 구비한 하ㆍ폐수처리 시스템
WO2021074307A1 (e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JP4940415B2 (ja) 好気消化槽及びこの好気消化槽を備えた汚水浄化槽
KR200256524Y1 (ko) 하폐수 처리조
JP4702750B2 (ja) 水処理装置
KR101192174B1 (ko) 하폐수고도처리장치
KR20030023402A (ko) 하폐수 처리조
CN212292986U (zh) 泥膜生化污水处理系统
JP7432945B2 (ja) 水処理装置
PL174900B1 (pl) Sposób biologicznego aktywacyjnego oczyszczania ścieków i urządzenie do biologicznego aktywacyjnego oczyszczania ścieków
CN111333177A (zh) 泥膜生化污水处理系统
KR100418420B1 (ko) 하폐수 처리 시스템
JP2005177695A (ja) 廃水処理装置
PL188171B1 (pl) Reaktor do oczyszczania zanieczyszczonych wód ściekowych
KR200258319Y1 (ko) 하폐수 처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