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00Y1 - 용접케이블 및 그 어댑터 - Google Patents

용접케이블 및 그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00Y1
KR200300200Y1 KR20-2002-0030812U KR20020030812U KR200300200Y1 KR 200300200 Y1 KR200300200 Y1 KR 200300200Y1 KR 20020030812 U KR20020030812 U KR 20020030812U KR 200300200 Y1 KR200300200 Y1 KR 2003002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gas hose
welding
gas
control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08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복식
Original Assignee
신복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복식 filed Critical 신복식
Priority to KR20-2002-00308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2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02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32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접케이블 및 그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가스호스 내에 제어케이블을 마련하여 가스가 제어케이블을 냉각시킴으로써 제어케이블의 특성이 향상되고 제어케이블이 단락되었을 때 제어케이블만을 빼내어 교환할 수 있으며, 가스호스의 끝단에 와이형의 분기파이프와 패킹 및 압축너트를 이용하여 가스호스 내의 제어케이블을 가스누출 없이 인출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고안의 용접케이블은 불활성가스인 이산화탄소가스가 공급되는 가스호스 (10)와,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케이블(12), 용접기의 제어를 위한 제어케이블(16) 및 상기 전원케이블(12)의 외면을 감싸는 고무재료인 표피(14)로 이루어진 용접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제어케이블(16)이 가스호스(10) 내부의 가스에 의해 냉각되고 제어케이블(16)의 단락시 제어케이블(16)만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가스호스(10) 내부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용접케이블을 마무리하는 용접케이블 어댑터에 있어서, 가스호스(10a)의 끝단이 연결되고 이 가스호스(10a)가 되돌아가는 방향으로 다른 연결가스호스 (10b)가 연결되며 가스호스(10a) 내부의 제어케이블(16)이 가스호스(10a)와 일직선을 이루어 패킹(31a)을 통해 인출되고 압축너트(31b)에 의해 기밀이 유지되도록 체결되는 와이형 타입의 분기파이프(31); 이 분기파이프(31)의 패킹(31a)을 통해 기밀이 유지되도록 소정 길이로 인출되고 그 끝단에 커넥터(16a)가 장착된 제어케이블(16); 상기 가스호스(10a)외면의 전원케이블(12) 끝단부분을 모아지고 연결용 체결부재(32a)를 갖는 평판형의 압착단자(32); 이 압축단자(32)가 소정 길이로 돌출되면서 제어케이블(16)이 접히지 않도록 분기파이프(31)를 감싸는 케이스(3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용접케이블 및 그 어댑터{welding cable and welding cable adapter}
본 고안은 용접케이블 및 그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스호스 내에 제어케이블이 마련되고 가스호스 내의 가스누출 없이 가스호스 및 제어케이블의 단말처리가 간단한 구조로 확실하게 이뤄지는 용접케이블 및 그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산화탄소(CO2)가스용접은 용접케이블을 길게 연장시키기만 하면 장비의 이동 없이 용접작업이 가능하므로 고층건물의 비임 작업이나 선박건조 시의 고층작업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용접케이블은 이산화탄소가스의 공급을 위한 가스호스와,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케이블과, 용접기의 제어를 위한 제어케이블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성의 용접케이블은 대부분이 가스호스의 외측에 전원케이블과 제어케이블을 골고루 분산시키고 그 외면에 절연을 위한 고무피복을 형성시킨 것이었으나 이는 민감한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제어케이블이 용량이 큰 전원케이블과 함께 마련되어 있어 용접기의 제어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조금이나마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1998-020814호에는 가스호스와, 전원케이블 및 제어케이블을 각각 분산시켜 삼각형 내지 일렬로 배열하고 몰딩 처리한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의 용접케이블은 전원케이블과 제어케이블이 각각 분산되어 있으므로 전원케이블에서 발생되는 열이 몰딩 처리를 통해 제어케이블로 전달되고 이로 인하여 전원케이블에 의한 악영향을 줄일 수는 있으나 제어케이블의 단락시 용접케이블 전체를 폐기처분하고 교체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용접케이블의 끝단부분에는 용접기본체나 용접선 공급기에 연결시키기 위한 어댑터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171188호에 구비되어 있는데 이러한 어댑터는 한쪽끝단의 접속끝단에 용접케이블이 링으로 접속 고정되는 전극 봉이 형성되고 상기 접속끝단 부위에서 가스호스가 접히지 않도록 케이스에 곡선으로 안내하는 호형부나 코일스프링이 구비된 것이었다.
상기와 같은 용접케이블용 어댑터에 있어서는 가스호스 내에서 제어케이블을 인출할 수 있는 어떠한 구조도 마련되어 있지 않아 제어케이블이 가스호스 내부에 삽입된 용접케이블엔 적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 개발한 것으로서, 가스호스 내에 제어케이블을 마련하여 가스가 제어케이블을 냉각시킴으로써 제어케이블의 특성이 향상되고 제어케이블이 단락되었을 때 제어케이블만을 빼내어 교환할 수 있으며 용접케이블의 고무피복직경을 줄여 경량화할 수 있도록 한 용접케이블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가스호스의 끝단에 와이형의 분기파이프와 패킹 및 압축너트를 이용하여 가스호스 내의 제어케이블을 가스누출 없이 인출할 수 있고 그 구성이 비교적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한 용접케이블 어댑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용접케이블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용접케이블에 적용된 어댑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조립도,
도 4는 본 고안의 용접케이블 어댑터에 대한 다른 실시 예의 조립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a,10b: 가스호스 12: 전원케이블
14: 표피 16: 제어케이블
30: 어댑터 31: 분기파이프
32: 압착단자 33: 케이스
34: 연결전극 봉 35: 볼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용접케이블은 불활성가스인 이산화탄소가스가 공급되는 가스호스와,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케이블 및 용접기의 제어를 위한 제어케이블로 이루어진 용접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제어케이블이 가스호스 내부의 가스에 의해 냉각되고 제어케이블의 단락시 제어케이블만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가스호스 내부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용접기본체나 용접선 공급기에 연결할 수 있도록 가스호스 내에 제어케이블이 삽입되고 상기 가스호스의 외측에 전원케이블이 고무재료로 피복된 용접케이블을 마무리하는 용접케이블 어댑터에 있어서, 가스호스의 끝단이 연결되고 이 가스호스가 되돌아가는 방향으로 다른 가스호스가 연결되며 가스호스 내부의 제어케이블이 가스호스와 일직선을 이루어 패킹을 통해 인출되고 압축너트에 의해 기밀이 유지되도록 체결되는 와이형 타입의 분기파이프; 이 분기파이프의 패킹을 통해 기밀이 유지되도록 소정 길이로 인출되고 그 끝단에 커넥터가 장착된 제어케이블; 상기 전원케이블의 끝단부분에 접속 고정된 압축단자; 이 압축단자가 소정 길이로 돌출되면서 제어케이블이 접히지 않도록 분기파이프를 감싸는 케이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착단자는 표피 내부에서 전원케이블이 인출되고 선단에 연결용 체결부재인 암나사 혹은 너트를 갖도록 표피와 함께 전원케이블이 원통형으로 압착되며, 표피 내부에서 인출된 전원케이블 만이 접속 고정되고 선단에 연결용 체결부재인 너트를 갖는 평판형으로 마련할 수도 있다.
상기 분기파이프는 불활성가스인 이산화탄소(CO2)가스의 원활한 통로 확보를 위하여 서로 만나는 부분의 파이프 직경을 확장시킬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용접케이블 및 그 어댑터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용접케이블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불활성가스인 이산화탄소가스의 공급을 위한 가스호스(10a)가 형성되며 이 가스호스(10a)의 외면에 전원케이블(12)을 균일하게 분포시켜 그 외부에 절연을 위해 고무재료로 된 표피(14)를 씌워 피복하고 상기 가스호스(10a)의 내부에는 그 내부에 흐르는 가스로 인하여 냉각되어 과열되지 않도록 제어케이블(16)이 마련된다. 이와 같이 제어케이블(16)이 가스호스(10a)의 내부에 마련됨으로써 제어케이블(16)이 단락되면 제어케이블(16)만을 빼내어 교체할 수가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용접케이블은 가스호스(10a)의 내부에 제어케이블(16)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용접기본체나 용접선 공급기와 연결하여 사용할 때 가스호스 (10a)내에 흐르는 불활성가스인 이산화탄소가 제어케이블(16)에서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킨다. 따라서, 제어케이블(16)을 최적 상태로 유지하여 안정적인 용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용접케이블의 끝단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접기본체나 용접선 공급기에 연결할 수 있도록 어댑터(30)가 마련되며, 이 어댑터(30)는 제어케이블 (16)을 빼내면서 가스호스(10a)에서 180°의 방향전환을 위한 분기파이프(31)와,이 분기파이프(31)에서 기밀이 유지되도록 소정 길이로 인출되고 그 끝단에 커넥터(16a)가 장착된 제어케이블(16), 상기 가스호스(10a)외면의 전원케이블(12) 끝단부분을 모아지고 연결용 체결부재(32a)를 갖는 평판형의 압착단자(32), 이 압축단자(32)의 끝단부분이 돌출되면서 제어케이블(16)이 접히지 않도록 분기파이프 (31)를 감싸는 케이스(33)로 구성된다.
상기 압착단자(32)에는 연결하고자하는 상대방의 터미널단자(도시되지 않음)에 따라 연결할 수 있도록 결합구조를 갖는 연결전극 봉(34)이 마련되고 이 연결전극 봉(34)을 관통하여 압착단자(32)의 연결용 체결부재(32a)에 체결할 수 있는 볼트(35)가 마련된다. 상기 압착단자(32)와 연결전극 봉(34)의 연결부분은 서로 상응하여 동심을 이루고 결합되도록 암수 한 쌍의 콘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분기파이프(31)는 전체적인 형상이 영문소문자의 와이형(y type)으로서, 한쪽끝단엔 가스호스(10a)의 끝단이 연결되고 이 가스호스(10a)가 되돌아가는 방향의 한쪽끝단엔 다른 가스호스(10b)가 연결되며 다른 한쪽끝단엔 가스호스(10a) 내부의 제어케이블(16)이 가스호스(10a)와 일직선을 이루어 패킹(31a)을 통해 인출되고 압축너트(31b)에 의해 기밀이 유지되도록 체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용접케이블 어댑터는 절단된 가스호스(10a)의 끝단에 분기파이프(31)의 한쪽끝단을 연결하고 이 가스호스(10a)가 되돌아가는 방향의 한쪽끝단엔 다른 가스호스(10b)를 연결한 다음 다른 한쪽끝단엔 가스호스 (10a) 내부의 제어케이블(16)을 가스호스(10a)와 일직선을 이루어 패킹(31a)을 통해 인출하여 기밀이 유지되도록 압축너트(31b)를 체결한다. 상기 가스호스(10b)의끝단엔 또 다른 가스호스와의 연결을 위한 가스 니플(gas nipple,10c)이 연결된다.
상기 가스호스(10a)내부의 제어케이블(16)을 분기파이프(31)의 패킹(31a)을 통하여 인출하되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절단하고 그 끝단부분을 도 3과 같이 가스호스(10b)의 길이만큼 연장하여 커넥터(16a)를 연결한 다음 전원케이블(16)은 가스호스(10a)의 끝단에서 케이스(33)의 외부로 약간 연장되는 길이로 절단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연결용 체결부재(32a)가 형성된 압착단자(32)를 장착한 후 이 압착단자(32)가 소정 길이로 돌출되면서 제어케이블(16)이 접히지 않고 인출되도록 가스호스(10a,10b)의 연결부분인 분기파이프(31)를 감싸는 케이스(33)로 감싼 상태로 고정한다.
이후에 압착단자(32)에 연결하고자하는 상대방의 터미널단자에 알맞은 연결전극 봉(34)을 선택하여 볼트(35)로 체결함으로써 완제품의 어댑터를 얻는다. 이때, 압착단자(32)와 연결전극 봉(34)의 연결부분은 서로 상응하는 콘형이므로 정확하게 동심을 이루고 체결된다.
그러므로, 제1가스호스(10a)의 끝단에 와이형의 분기파이프(31)와 패킹(31a) 및 압축너트(32)를 이용하여 가스호스(10a) 내부의 제어케이블(16)을 가스누출 없이 인출할 수 있고 그 구성이 비교적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용접케이블 어댑터에 대한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압착단자(32)는 표피(14) 내부에서 전원케이블(12)을 인출하고 선단에 연결용 체결부재(32a)인 암나사 혹은 너트를 갖도록 표피(14)와 함께 전원케이블(12)을원통형으로 압착시킨 것이고, 분기파이프(31)는 불활성가스인 이산화탄소(CO2)가스의 원활한 통로 확보를 위하여 서로 만나는 부분의 파이프 직경을 확장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본 고안의 어댑터 구성과 동일하다.
상기와 같은 다른 실시 예의 용접케이블 어댑터에 의하면, 전원케이블(12)의 반복 피로에 의한 파괴, 즉 단락을 방지할 수 있고 통전 단면적의 충분한 확보로 접촉면의 저항 열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분기파이프(31)에 서로 만나는 부분의 파이프 직경을 확장시켜 이산화탄소(CO2)가스의 원활한 통로를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용접케이블은, 가스호스 내에 흐르는 이산화탄소가스가 제어케이블을 냉각시킴으로써 제어케이블의 특성이 향상되어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며, 제어케이블이 단락되었을 때 제어케이블만을 빼내어 교환할 수 있고 용접케이블의 고무피복직경을 줄여 경량화가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용접케이블 어댑터는 가스호스의 끝단에 와이형의 분기파이프와 패킹 및 압축너트를 이용하여 가스호스 내의 제어케이블을 가스누출 없이 인출할 수 있고 그 구성이 비교적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불활성가스인 이산화탄소가스가 공급되는 가스호스(10a)와,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케이블(12), 용접기의 제어를 위한 제어케이블(16) 및 상기 전원케이블(12)의 외면을 감싸는 고무재료인 표피(14)로 이루어진 용접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제어케이블(16)이 가스호스(10a) 내부의 가스에 의해 냉각되고 제어케이블(16)의 단락시 제어케이블(16)만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가스호스(10a) 내부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케이블.
  2. 용접기본체나 용접선 공급기에 연결할 수 있도록 가스호스(10a) 내에 제어케이블(16)이 삽입되고 상기 가스호스(10a)의 외측에 전원케이블(12)이 고무재료인 표피(14)로 피복된 용접케이블을 마무리하는 용접케이블 어댑터에 있어서,
    가스호스(10a)의 끝단이 연결되고 이 가스호스(10a)가 되돌아가는 방향으로 다른 가스호스(10b)가 연결되며 가스호스(10a) 내부의 제어케이블(16)이 가스호스 (10a)와 일직선을 이루어 패킹(31a)을 통해 인출되고 압축너트(31b)에 의해 기밀이 유지되도록 체결되는 와이형 타입의 분기파이프(31); 이 분기파이프(31)의 패킹(31a)을 통해 기밀이 유지되도록 소정 길이로 인출되고 그 끝단에 커넥터(16a)가 장착된 제어케이블(16); 상기 전원케이블(12) 끝단부분이 접속 고정된 압착단자(32); 이 압축단자(32)가 소정 길이로 돌출되면서 제어케이블(16)이 접히지 않도록 분기파이프(31)를 감싸는 케이스(3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케이블 어댑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단자(32)는 표피(14) 내부에서 전원케이블(12)이 인출되고 선단에 연결용 체결부재(31a)를 갖도록 표피(14)와 함께 전원케이블(12)이 원통형으로 압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케이블 어댑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단자(32)는 표피(14) 내부에서 인출된 전원케이블 (14) 만이 접속 고정되고 선단에 연결용 체결부재(31a)를 갖는 평판형으로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케이블 어댑터.
  5. 제2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단자(32)에는 선단에 연결하고자하는 상대방의 터미널단자에 따라 연결할 수 있도록 결합구조를 갖는 연결전극 봉(34)이 마련되고 이 연결전극 봉(34)을 관통하여 압착단자(32)의 연결용 체결부재(32a)에 체결할 수 있는 볼트(35)가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케이블 어댑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단자(32)와 연결전극 봉(34)의 연결부분은 서로 상응하여 안착시키도록 암수 한 쌍을 콘형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케이블 어댑터.
KR20-2002-0030812U 2002-10-16 2002-10-16 용접케이블 및 그 어댑터 KR2003002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0812U KR200300200Y1 (ko) 2002-10-16 2002-10-16 용접케이블 및 그 어댑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0812U KR200300200Y1 (ko) 2002-10-16 2002-10-16 용접케이블 및 그 어댑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00Y1 true KR200300200Y1 (ko) 2003-01-14

Family

ID=49398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0812U KR200300200Y1 (ko) 2002-10-16 2002-10-16 용접케이블 및 그 어댑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20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6561B1 (ko) 2006-01-23 2007-09-07 (주)일흥 이산화탄소가스 용접용 콘넥터 케이블
KR101848815B1 (ko) * 2016-11-28 2018-04-16 조화래 Co2 아크용접기용 연장케이블의 익스텐션 피더측 어댑터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6561B1 (ko) 2006-01-23 2007-09-07 (주)일흥 이산화탄소가스 용접용 콘넥터 케이블
KR101848815B1 (ko) * 2016-11-28 2018-04-16 조화래 Co2 아크용접기용 연장케이블의 익스텐션 피더측 어댑터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61041C (en) Socket contact with integrally formed arc arresting portion
AU2006255021B2 (en) Electrical connector that inhibits flashover
KR200300200Y1 (ko) 용접케이블 및 그 어댑터
CN209896341U (zh) 采用塑封端子部件的插头及自密封螺栓锁紧功率连接器
US5570949A (en) Torch with a bellowed intermediate flexible hose member
CN107645976A (zh) 可调整长度的机器人缆线配件
EP0984528A2 (en) Articulate electric connector
KR200360853Y1 (ko) 탄산가스 용접기용 전원케이블 어댑터
CN105414720A (zh) 一种焊枪壳体以及具有该壳体的焊枪
JPH11144813A (ja) ヒューズ入り差込みプラグ
KR200144441Y1 (ko) 용접기의 파워 커넥터
CN215070528U (zh) 一种减小vswr的n型连接器
KR200144442Y1 (ko) 용접기의 토오치 커넥터
KR200144443Y1 (ko) 용접기의 파워 커넥터
CN217696807U (zh) 一种喷管延长线接头、氩气喷管连接头及复合接头结构
CN212804700U (zh) 一种加绝缘装置的输送管接头
CN221102439U (zh) 一种铜管拍扁带大外径台阶的超声波焊接型大载流端子
CN219760072U (zh) 一种用于连接器的防水防尘结构
CN220774757U (zh) 一种铜管拍扁的超声波焊接型大载流端子
KR100330600B1 (ko) 단자링이 일체로 몰딩된 진공 청소기용 호스
CN213878635U (zh) 一种sma连接器
KR200303346Y1 (ko) 용접케이블이음장치
CN217469002U (zh) 一种新型插接头
KR20020042604A (ko) 씨오투 아크용접기용 연장케이블의 어댑터구조
KR101109631B1 (ko) 연결링에 의해 용접케이블이 연결된 수동식 탄산가스 용접토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