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9945A - 가열 코일의 냉각 장치가 필요 없는 다이캐스팅 머신용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 - Google Patents

가열 코일의 냉각 장치가 필요 없는 다이캐스팅 머신용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9945A
KR20030019945A KR1020030011166A KR20030011166A KR20030019945A KR 20030019945 A KR20030019945 A KR 20030019945A KR 1020030011166 A KR1020030011166 A KR 1020030011166A KR 20030011166 A KR20030011166 A KR 20030011166A KR 20030019945 A KR20030019945 A KR 200300199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heating coil
high frequency
frequency induction
nick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1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0829B1 (ko
Inventor
지완근
Original Assignee
지완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완근 filed Critical 지완근
Priority to KR10-2003-0011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0829B1/ko
Publication of KR20030019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99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0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08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7/00Other machines or engines
    • F03B17/005Installations wherein the liquid circulates in a closed loop ; Alleged perpetua mobilia of this or similar ki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3/00Machines or engines of reaction type; Parts or details peculiar thereto
    • F03B3/12Blades; Blade-carrying rotors
    • F03B3/121Blades, their form or constru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Induction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발진기와 가열 코일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마그네슘, 아연, 구즈넥(gooseneck) 등 저융점 금속 성형용 다이캐스팅 머신의 용해로(爐), 노즐(nozzle) 또는 금형을 가열하는데 사용하는 초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열 코일을 니켈선, 니켈합금선 또는 철크롬선 가운데서 선택된 고융점 금속선으로 한데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열 코일의 냉각장치가 불필요하여, 냉각으로 인한 열손실을 예방할 수 있음과 더불어 코일에서 발생하는 열로서 보온해주므로 에너지 절감 효과를 가지고,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의 제작비와 부피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마그네슘 성형 과정에서 물 접촉에 의한 폭발 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열 코일의 냉각 장치가 필요 없는 다이캐스팅 머신용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HIGH FREQUENCY INDUCTION HEATING DEVISE FOR DIECASTING MACHINE , WHICH IS DISPENSABLE OF COOLING SYSTEM FOR HEATING COIL}
본 발명은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마그네슘, 아연, 금속 성형용 다이캐스팅 머신의 용해로, 노즐(nozzle) 또는 금형을 가열하는데 사용하는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버터 등에 의하여 고주파 교류 전류를 발생시킨 후 피가열체 주위에 설치한 가열 코일에 그 고주파 교류 전류를 흘려 주어, 피가열체에 와전류 손실과 히스테레시스 손실(자성체의 경우)을 유도(induction)함으로써, 피가열체에 열을 발생시키는 것을 고주파 유도 가열이라고 하고, 고주파 유도 가열을 위한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는 인버터 및 콘트롤러로 구성되는 발진기, 동파이프로 제조 되고 피가열체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갖는 가열 코일 및 상기 가열 코일이 고온에서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냉각 장치로 구성된다.
이러한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는 산업 전반에 걸쳐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바, 그 대표적인 예로 금속의 열처리, 브레이징, 빌렛히터, 금속 평면 가열, 주조용 용해로 기타 다양한 가열 장치에 응용되고 있다.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는 짧은 온도 상승 시간, 용이한 가열 온도 제어 등의편의성으로 인하여, 마그네슘, 아연등 저융점 금속 성형용 다이캐스팅 머신의 용해로 가열 장치, 노즐(nozzle) 또는 구즈넥(gooseneck) 금형의 예열 장치로도 널리 사용되는데,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가 이들 저용점 금속 성형용 다이캐스팅 머신의 가열 장치로 사용 되는데에는 다음과 같은 몇가지 문제점이 있어 개선이 요망되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는 피가열체가 금속인 경우 적어도 400℃ 이상으로 가열해 주는데, 그 것은 금속의 용융점이 대부분 400℃ 이상이기 때문이다. 반면, 종래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에 사용되는 가열 코일로는 예외 없이 동선(銅線)이나 동파이프(銅 pipe)를 사용하여 왔다. 동선이나 동파이프가 가열 코일로 사용 되어 온 이유는 이들의 고유저항값이 매우 낮아 전력 손실이 적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동은 300℃ 전후에서 산화되는 근본적인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요구되는 피가열체의 가열 온도가 400℃ 이상인 경우에는 동파이프를 가열 코일로 사용하고, 동파이프의 내부에 냉각수나 냉각 에어(air)를 통과시켜, 가열 코일이 산화점 이상으로 과열되지 않도록 냉각시켜 왔다. 이러한 목적으로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에 냉각장치가 필요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따른 마그네슘 다이캐스팅 머신의 노즐용 고주파가열 장치를 참조하여, 마그네슘, 아연, 구리 또는 알루미늄 등 저융점 금속 성형용 다이캐스팅 머신의 용해로 가열 장치, 노즐(nozzle) 또는 금형의 예열 장치로 사용되는 종래의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의 문제점을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마그네슘의 용융점은 600~650℃, 아연의 용융점은 400~450℃ 이다. 이들 저융점 경금속을 다이캐스팅에 의하여 성형하기 위하여는 마그네슘 650℃ 내외, 아연은 450℃ 내외로 가열 시켜 주어야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노즐(10)을 통과하는 마그네슘이 노즐(10)을 통과하는 동안 경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노즐(10)을 600℃ 내외로 가열 시켜 주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노즐(10) 주위에는 동파이프 소재의 가열 코일(14a)이 권취되고, 상기 가열 코일(14a)에는 발진기(40)에 의하여 발생된 고주파 전류가 인과됨과 동시에, 가열 코일(14a)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냉각장치(30)로 부터 냉각수가 공급된다.
그러나, 상기 냉각장치(30)로 부터 공급되는 냉각수는 가열 코일(14a)을 냉각시킬 뿐만 아니라, 노즐(10)의 주변 온도를 상당 수준 떨어 뜨려, 떨어진 온도를 보상할 수 있는 만큼의 전류를 더 공급해 줘야 하므로, 많은 전기 에너지 손실의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냉각장치(30)는 콤퓨레셔(compressor), 순환 펌프, 물탱크 등의 많은 부품으로 이루어져, 그 제작 비용이 과다할 뿐만 아니라, 그 부피가 실제에 있어서 노즐의 부피보다 몇 십배 더 커 많은 공간을 차지하는 실정이다.
특히, 마그네슘 성형용 다이캐스팅 머신의 경우, 냉각수를 이용한 가열 코일(14a) 냉각은 마그네슘의 폭파 가능성이라는 또 다른 문제점을 안고 있다. 마그네슘은 물과 접촉할 경우 급속히 산화되어 폭발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냉각수 대신에 냉각 에어(air)를 가열 코일에 공급하는 경우도 있으나, 냉각 효율이 냉각수를 이용한 경우에 비하여 현저하게 떨어져 거의 채택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마그네슘, 아연 등 저융점 금속의 성형시 냉각 장치가 없어도 가열 코일의 산화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는 다이캐스팅 머신용 고주파 가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마그네슘 다이캐스팅 머신의 노즐용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마그네슘 다이캐스팅 머신의 노즐용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따른 마그네슘 다이캐스팅 머신의 노즐용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노즐 12 : 단열 부재
14a, 14b, 14c : 가열 코일 16 : 연결부
18 : 콘넥터 30 : 냉각 장치
40 : 발진기
상술한 목적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가열 코일의 냉각 장치가 필요 없는 다이캐스팅 머신용 고주파 가열 장치는
발진기와 가열 코일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마그네슘, 아연, 구리 또는 알루미늄 등 저융점 금속 성형용 다이캐스팅 머신의 용해로(爐), 노즐(nozzle), 구즈넥(gooseneck) 또는 금형을 가열하는데 사용하는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열 코일을 니켈선, 니켈합금선 또는 철크롬선 가운데서 선택된 고융점 금속선으로 한데 그 특징이 있다.
상기 니켈합금선은 니켈크롬선, 동니켈선 또는 철니켈선 가운데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가열 코일(14b)로 니켈선, 니켈합금선 또는 철크롬선 가운데서 선택된 고융점 금속선을 사용한 경우의 마그네슘 다이캐스팅 머신의 노즐용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를 나타낸다. 이때는 도 1의 경우와 달리 별도의 가열 코일 냉각장치가 없다. 즉,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가 발진기(40)와 가열 코일(14b) 만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니켈선, 니켈합금선 또는 철크롬선 가운데서 선택된 고융점 금속선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우선 용융점에서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고융점 금속선은 적어도 마그네슘, 알루미늄, 아연, 구리 등 성형 재질의 용융점보다 더 큰 용융점을 갖는다. 그래야 성형 재질의 용융점 부근에서도 가열 코일(14b)의 산화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니켈선의 용융점은 1000℃ 내외이고, 니켈합금선의 용융점은 혼합 금속에 따라 900-1250℃ 내외이고, 철크롬선의 용융점은 1200℃ 내외이다.
다음 저항값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고융점 금속선의 저항값은 선경(Ф) 5mm를 기준으로 다음과 같다.
종 류 니켈선 니켈크롬선 동니켈선 철니켈선 철크롬선
저 항 값 0.00458 0.0550 0.0250 0.0621 0.0731
단위는 Ω/m 이고, 각각 평균값을 나타낸다. 참고로 구리의 동일 선경에 대한 저항값은 0.0011 Ω/m이다.
따라서, 본원 발명에서 고융점 금속선이라고 하면, 900℃이상의 용융점을 갖고, 5mm의 선경에 대한 저항값이 0.1Ω/m 미만인 금속선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정도의 저항을 갖는 금속선은 고주파 전류를 전송하는데 아무런 지장을 주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저항값 상승 만큼 커진 주울열은 노즐(10) 가열에 그대로 사용된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본원 발명에 의하면, 가열 코일(14b)의 산화점이 피가열체인 노즐(10)의 가열 온도 보다 훨씬 높으므로 다이캐스팅 도중에 따로 가열 코일(14b)을 냉각시켜 줄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본원 발명에 따를 경우 가열 코일(14b)에는 발진기(40)만이 연결되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주울열 발산에 따른 전력 손실보다 훨씬 더 큰 손실을 초래 하는 냉각으로 인한 열손실을 예방할 수 있고,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의 제작비와 부피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마그네슘 성형 과정에서 물 접촉에 의한 폭발 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에는 가열 코일(14c)로 고융점 금속선을 지름이 큰 한 줄로 하지 않고, 가는 선을 다수 모아서 꼰 선을 사용한 경우의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이처럼 가는 선을 모서서 꼰 선을 사용할 경우, 표피 효과에 의하여 고주파 전류의 유효 면적을 넓힐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고융점 금속선의 저항치를 떨어 뜨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열 코일의 냉각장치가 불필요하여, 냉각으로 인한 열손실을 예방할 수 있고, 코일에서 발생하는 열로서 보온해주므로 에너지 절감효과를 가지고,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의 제작비와 부피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마그네슘 성형 과정에서 물 접촉에 의한 폭발 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발진기와 가열 코일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마그네슘, 아연, 구리 또는 알루미늄 등 저융점 금속 성형용 다이캐스팅 머신의 용해로, 노즐(nozzle), 구즈넥(gooseneck) 또는 금형을 가열하는데 사용하는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열 코일은 니켈선, 니켈합금선 또는 철크롬선 가운데서 선택된 고융점 금속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코일의 냉각 장치가 필요 없는 다이캐스팅 머신용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니켈합금선은 니켈크롬선, 동니켈선 또는 철니켈선 가운데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코일의 냉각 장치가 필요 없는 다이캐스팅 머신용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
KR10-2003-0011166A 2003-02-22 2003-02-22 코일의 냉각 장치가 필요 없는 다이캐스팅 머신용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 KR100530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1166A KR100530829B1 (ko) 2003-02-22 2003-02-22 코일의 냉각 장치가 필요 없는 다이캐스팅 머신용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1166A KR100530829B1 (ko) 2003-02-22 2003-02-22 코일의 냉각 장치가 필요 없는 다이캐스팅 머신용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9945A true KR20030019945A (ko) 2003-03-07
KR100530829B1 KR100530829B1 (ko) 2005-11-23

Family

ID=27730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1166A KR100530829B1 (ko) 2003-02-22 2003-02-22 코일의 냉각 장치가 필요 없는 다이캐스팅 머신용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08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769B1 (ko) * 2011-03-31 2013-02-26 한국전기연구원 고주파 유도가열을 이용한 동 다이캐스팅용 용탕 공급장치
KR101247946B1 (ko) * 2011-03-31 2013-04-01 한국전기연구원 동 다이캐스팅용 용탕 주입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769B1 (ko) * 2011-03-31 2013-02-26 한국전기연구원 고주파 유도가열을 이용한 동 다이캐스팅용 용탕 공급장치
KR101247946B1 (ko) * 2011-03-31 2013-04-01 한국전기연구원 동 다이캐스팅용 용탕 주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0829B1 (ko) 2005-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786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mperature control in a continuous casting furnace
US2875311A (en) Induction heating in injection and extrusion processes
JP4660343B2 (ja) 溶融金属の注入用ノズルの加熱装置
KR101069274B1 (ko) 진공로
KR100530829B1 (ko) 코일의 냉각 장치가 필요 없는 다이캐스팅 머신용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
KR100682981B1 (ko) 다이캐스팅 머신용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의 유도 코일권취 구조
JPH05286018A (ja) 押出機シリンダ加熱装置
US4247736A (en) Induction heater having a cryoresistive induction coil
CA2516737A1 (en) Continuous extrusion apparatus
JP4339949B2 (ja) フロート式板ガラス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NO157439B (no) Fremgangsmaate og innretning for stoeping av elektrodegitre for elektriske akkumulatorer.
US2779073A (en) Receptacle for molten metal
US5190716A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and preheating a shaped ceramic part
CN101043769A (zh) 压铸机用高频感应加热机
US3192303A (en) Method of reducing overheating in melting troughs and similar devices in melting and holding furnaces
WO2005030414A1 (en) A heater and heating method for parts of pressure die casting machines
US4605054A (en) Casting apparatus including a conductor for electromagnetic induction heating
RU2759171C1 (ru) Индукционное нагрева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2005259558A (ja) 有底孔内表面加熱用誘導子
SE512691C2 (sv) Anordning för gjutning av metall
JPH06246409A (ja) 半凝固金属排出用加熱型浸漬ノズル装置
EP1354650B1 (en) Nozzle for die-casting apparatus
JP2011045918A (ja) 線材の製造方法及び線材の鋳造装置
JPS60251225A (ja) ステアリングラツクの高周波焼入方法及び高周波焼入装置
JPH05237624A (ja) 鋳造用金型の加熱冷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