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9420A - 화상 신호 콘트라스트 제어 - Google Patents

화상 신호 콘트라스트 제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9420A
KR20030019420A KR1020027016808A KR20027016808A KR20030019420A KR 20030019420 A KR20030019420 A KR 20030019420A KR 1020027016808 A KR1020027016808 A KR 1020027016808A KR 20027016808 A KR20027016808 A KR 20027016808A KR 20030019420 A KR20030019420 A KR 200300194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ast
amplitude
signal
value
pi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6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1815B1 (ko
Inventor
스테쎈제로엔에이치씨제이
반달프센에이지제이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818013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30019420(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30019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9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1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18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23/84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23/86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controlling the colour saturation of colour signals, e.g. automatic chroma control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7Circuits for processing the brightness signal and the chrominance signal relative to each other, e.g. adjusting the phase of the brightness signal relative to the colour signal, correcting differential gain or differential pha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8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controlling the amplitude of colour signals, e.g. automatic chroma control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화상의 일부에서 콘트라스트를 제어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콘트라스트 제어는 콘트라스트 증가(1) 동안에 화상의 채도(2-4)를 감소시킴으로써 수행된다.

Description

화상 신호 콘트라스트 제어{PICTURE SIGNAL CONTRAST CONTROL}
전자 비디오 디스플레이로의 입력으로 사용하기 위한 비디오 신호는 다수의 부신호(sub signals)로 구성되며, 각 부신호는 화상의 서로 다른 영역에 대한 컬러 정보를 표현하고 컬러 정보는 기초 컬러, 즉 RGB(레드, 블루, 그린) 또는 YUV(조도 및 크로미넌스)에 의해 표현된다.
보는 사람(viewer)이 화상에서 크로미넌스를 증폭시키길 원하고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로부터 더 나은 광 출력을 획득하길 원한다면, 이것은 약신호(즉, 50%)를 공칭 신호(즉, 100%)로 올림으로써 이뤄진다. 허용된 최대 레벨의 200%에 지금 도달할 신호에는 여전히 100% 피크가 있을 수 있다.
콘트라스트 증폭의 문제점은 전자 비디오 디스플레이 또는 신호 프로세서에서의 D/A 컨버터에 대응하는 콘트라스트 제한이 있다는 것이며, 이는 전자 비디오 디스플레이가 제한된 범위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도록 개조되고, 신호 프로세서에서D/A 컨버터가 제한된 범위의 출력 신호를 전달하도록 개조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이 신호 프로세서는 비디오 신호의 신호 범위를 수용 가능한 범위 내에 있는 신호 범위로 변환하기 위한 다양한 제한기(limiters)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한기의 실시예는 미국 특허 5,349,390에 설명되어 있다(Attorney's docket PHN 14.195). 미국 특허 5,349,390은 진폭 범위를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를 설명하고, 콘트라스트 감소된 화상 신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화상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콘트라스트 감소 장치를 포함한다; 콘트라스트 감소 장치는 상대적으로 넓은 영역에 대하여, 화상 신호가 주어진 제 1 임계(가령, 90%)를 초과할 때 전체 영역에 걸쳐서만 화상 신호의 콘트라스트를 감소시킨다. 화상 신호 프로세서는 제 2 콘트라스트 감소 장치 또한 포함하며, 이것은 제 1 콘트라스트 감소 장치를 보충하고, 제 1 콘트라스트-감소된 화상 신호의 순간 증폭이 주어진 제 2 임계(100%)를 초과하자마자 그리고 초과하는 동안 제 1 콘트라스트 감소된 화상 신호 중 너무 밝은 부분의 콘트라스트를 즉시 감소시킴으로써 콘트라스트 감소된 화상 신호를 제공한다. 이 구현은 아날로그 회로로 설계되며 피드백 루프에 기초한다. 더 나아가, 아날로그 구현은 매우 귀찮고 노이즈에 민감하며, 최적의 응답으로 조절하기 어렵다. 더 나아가서, 작은 피크의 클립핑(clipping) 때문에 화상은 밝은 영역에서의 디테일을 잃을 수 있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의 목적은 위에서 언급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고, 화상의 콘트라스트를 증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며,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로부터 최대 광 출력을 획득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독립항에 의해 정의되어 있다. 종속항은 유리한 실시예를 정의한다.
제 1 측면에 따르면, 화상신호를 오버드라이빙하는(overdrive) 것과 디스플레이로부터 최대 광 출력을 획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이 획득된다. 콘트라스트는 기초 컬러의 진폭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기초 컬러는 예를 들면, RGB, YUV일 수 있다.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는 컴퓨터 모니터, 텔레비전, 프로젝터 등등일 수 있다.
본 방법은 디지털 회로에 의해 쉽게 구현될 수 있고, 그것에 따라 디지털 회로와 연관된 유리한 점이 획득될 수 있다.
총 컬러 정보의 감소가 뒤따르는, 부신호 분할 및 크로미넌스 감소에 의해, 구현하기 쉬우며, 먼저 디세츄레이션(desaturation)을 수행하고 그 후 콘트라스트 감소를 수행하기 쉽게 하는 유리한 방법이 획득될 수 있다.
부신호를 두 개의 화상 정보 그룹으로 분할하는 단계는, 선택된 부신호를 제 1 기초 컬러 세트에 의해 표현되는 것으로부터 제 2 기초 컬러 세트 -가령, U, V 및 Y- 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신호를 적어도 두 개의 컬러 정보 그룹으로 분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럼으로써, UV가 크로미넌스를 나타내고 Y만 조도를 나타내기 때문에 분할은 매우 쉬운 작업이 된다.
최고 진폭을 가지며 사전정의된 값을 초과하는 기초 컬러 진폭의역수(reciprocal)를 사전정의된 값과 곱함으로써 제 1 값이 결정될 수 있으며, 여기서 제 1 그룹 부신호의 신호 진폭을 제 1 값과 곱함으로써 채도(saturation)의 감소가 수행된다.
최대 진폭을 가지며 사전정의된 값을 초과하는 기초 컬러 진폭의 역수를 사전정의된 값과 곱함으로써 제 2 값이 결정될 수 있으며, 여기서 제 1 및 제 2 그룹 부신호 모두의 신호 진폭을 제 2 값과 곱함으로써 모든 기초 컬러의 감소가 수행된다.
그에 따라, 소위 하드 클립핑될 수 있고, 기초 컬러의 진폭은 결코 최대값을 초과하지 않는다는 결과를 가져온다. 이는 설명 자막(subtitle)과 같은, 화상내의 작은 피크에서의 클립핑을 위해 통상 사용된다.
다르게는, 제 1 및/또는 상기 제 2 값은 1부터 한계값까지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최대 진폭을 가지는 기초 컬러 진폭 값의 역수를 상기 사전정의된 값과 곱함으로써 한계값은 결정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더 부드러운 클립핑 -이 화상의 넓은 영역, 즉 얼굴과 같은 영역의 왜곡(distortion)을 회피하기 위하여 화상의 넓은 영역에서 하드 클립핑하는 대신 사용될 수 있음- 이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최대 진폭을 가지는 기초 컬러 진폭의 역수는 룩업 테이블(lookup table)에 정의될 수 있다. 다르게는, 제 1 및 제 2 값이 룩업 테이블에 정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소프트 클립핑이 구현하기 쉬울 수 있다. 룩업 테이블은 적어도 하나의 성긴(sparse) 테이블과 적어도 하나의 선형 인터폴레이터(interpolator)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채도의 감소를 수행하는 단계 및 모든 기초 컬러의 감소를 수행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기초 컬러의 진폭이 사전정의된 값을 초과하는 화상의 작은 미미한 부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 작은 영역은 즉, 설명 자막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기초 컬러 진폭은 사전정의된 값을 초과하는 화상의 넓은 중요부의 콘트라스트 감소와 결합될 수 있다. 이 넓은 부분은 즉, 얼굴일 수 있다.
신호 프로세싱 장치 청구항에 인용된 수단은 CPU같은 컴퓨터 수단일 수 있다. CPU는 커스텀화될 수 있으나, 더 일반적인 사전-프로그래밍된 CPU일 수도 있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나 다른 디지털 로직이 다른 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측면들 및 다른 측면들은 후술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화상 신호에서 콘트라스트(contrast)를 제어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포함하는 도면들을 참조해서 이제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작은 영역을 위한 클립퍼(clipper) 실시예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룩업 테이블이 도입된 도 1에 있는 개략도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은 디스플레이 및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다.
도 4a 내지 도 4b는 매우 소프트한 것부터 하드한 것까지 다양한 클립핑 특성을 도시하며, 도 4a는 최대 입력 신호의 함수로 출력 신호를 도시하고, 도 4b는최대 입력 신호의 함수로 곱셈 계수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넓은 영역 오버드라이브 조건을 위한 검출기의 실시예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6은 클립퍼의 다른 버전에 따른 RGB 최대값의 함수로 RGB 값을 도시한다.
도 7은 선형 램프에서 블랙에서 블루까지 컬러가 변하는 다른 클립퍼에 따른 RGB 최대 값의 함수로 RGB 값을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상에서의 (신호 피크같은) 부신호의 적어도 한 그룹에서 콘트라스트를 제어하는 유리한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을 연속적으로 따르는 것에 의한다:
1. 부신호에서의 화상의 채도에 영향을 주는 이러한 기초 컬러(U 및 V)의 진폭을 감소시킴으로써 부신호의 채도를 감소시키는 단계.
"콘트라스트 조도 원리"의 위배 때문에, 채도의 감소는 레드 및 블루를 더 어둡게 만들고 시안(cyan) 및 옐로우를 더 밝게 만들 것이다. 그러므로, 3개 신호 중 최대 신호의 세기가 감소될지라도 채도를 감소시키는 것은 콘트라스트를 증가시킨다.
2. 부신호의 콘트라스트에 영향을 주기 위해서 화상에서 모든 기초 컬러(RGB 또는 YUV)를 감소시킴으로써 부신호의 콘트라스트를 감소시키는 단계.
이는 인텐시티를 감소시킨다.
제 3 단계는 상기 단계로의 보충으로 도입될 수 있다. 이 단계는 화상이 얼굴과 같은 넓은 밝은 영역을 포함한다면 전체 화상의 콘트라스트를 감소시킨다. 그에 따라 클립핑은 넓은 영역에서 회피되며, 특히 얼굴의 텍스쳐에서 디테일의 손실을 방지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 더 넓은 밝은 부분 또는 전체 화상까지도 상기 단계에 의해 콘트라스트가 감소될 수 있다.
다음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피크 클립핑의 실시예가 도 1에 따라서 설명된다. 도 1에서 각 단계는 아래에 설명된다:
1. 입력 부신호는 YUV 컬러 공간에 의해 표현되고, 이 신호는 콘트라스트 또는 밝기가 변경될 수 있다. 콘트라스트의 변경은 YUV를 이득 계수(con)와 곱하고, 밝기의 변화는 오프셋 항(bri)을 Y에 더한다. 콘트라스트 및 선명도의 이러한 변경을 하는 주된 이유는 출력 신호가 너무 클 수 있고 (화이트) 피크의 클립핑이 필요할 수 있기 때문이다.
2. 다음 변환 행렬에 따라서 YUV 컬러가 RGB 컬러로 변환된다:
이는 (도 1에서 1×3 및 2×3 행렬을 포함함) 다음 식과 같이 다시 쓰여질(rewritten) 수 있다:
상기 형태는 조도 채널(Y) 및 크로미넌스 채널(U 및 V)로부터의 RGB 컬러 공간에의 기여를 분리한다. 양 채널은 콘트라스트에 관한 것이나 크로미넌스 채널은 채도에만 관한 것이므로, 크로미넌스 채널로부터의 진폭 기여를 먼저 조정함으로써 이제 채도를 분리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Y 및 UV로의 RGB 기여는 아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될 수 있다:
3. 총 RGB 신호는 R_Y를 R_UV에, G_Y를 G_UV에 그리고 B_Y를 B_UV에 더함으로써 획득된다.
R=R_Y+R_UV
G=G_Y+G_UV
B=B_Y+B_UV
4. 기초 컬러 RGB 중 한 컬러의 진폭이 사전정의된 값을 초과하는지 결정한다. 만일 그렇다면, 제 1 오버드라이브 계수가 결정된다. 이 제 1 오버드라이브 계수는 각 기초 컬러 RGB의 최대값에 따라 결정된다; 즉, 디스플레이를 오버드라이빙하지 않고 비디오 디스플레이에서 사용될 최대 콘트라스트 값 같은 제한에 따라서 또는 디스플레이 어뎁터 제조자에 의해 특정된 비디오 디스플레이로의 입력 제한에 따라서 값이 설정될 수 있다.
부신호에서 기초 컬러 중 하나가 사전정의된 값 초과라면, 제 1 오버드라이브 계수로 부신호(들)의 U부 및 V부만 또는 채도부만 감소시킴으로써(기초 컬러를 오버드라이브 계수 1/x와 곱함으로써) 부신호(들)에서 모든 기초 컬러의 진폭이 본 발명에 따라서 감소된다. RGB 부신호의 최소 신호(들)의 진폭은 증가될 수 있으나 이는 문제 되지 않는다.
5. U 및 V 채널을 감소시킨 이후에, 총 RGB 신호는 위에서 언급된 RGB 신호의 Y부와 감소된 UV부를 더함으로써 다시 계산된다.
6. 그 후, 총 RGB 신호는 제 2 오버드라이브 계수를 이용하여 감소된다. RGB 부신호 중 한 신호의 진폭이 사전정의된 값을 초과하는지 다시 결정한다. 만일 그렇다면, 그들은 제 2 오버드라이브 계수를 이용하여 감소된다. 각 기초 컬러 RGB에 대한 최대 값에 따라 오버드라이브 계수가 다시 결정된다; 즉, 디스플레이를 오버드라이빙하지 않고 비디오 디스플레이에서 사용되는 최대 콘트라스트 값 같은 제한에 따라서, 또는 디스플레이 어뎁터 제조자에 의해 특정된 비디오 디스플레이로의 입력 제한에 따라서 값이 설정될 수 있다.
RGB 부신호 중 한 신호가 사전정의된 값을 초과한다면, 제 2 오버드라이브 계수로 모든 YUV부 또는 RGB부 부신호의 콘트라스트 부를 감소시킴으로써 본 발명에 따라서 모든 신호의 진폭이 감소된다.
7. YUV 채널을 감소시킨 이후에, 총 RGB 신호는 위에서 언급된 RGB 신호의 감소된 YUV부를 더함으로써 다시 계산된다.
다음은 본 발명을 사용하는 예이다. 가령, 본래: R=+1, G=+1, B=+0인 옐로우 신호를 가진다면, 이것은 Y=+0.886, U=-0.500, V=+0.081로 전달된다. 그 후, 콘트라스트를 1.50*로 설정한다면, 신호는 Y=+1.329, U=-0.750, V=+0.122가 된다. 이는 R=+1.500, G=+1.500, B=+0.000을 가져온다. 그러나 RGB가 +1.000보다 더 클 수 없다고 한다면, 1.50*의 계수에 의해 다시 감소되어야 한다. 콘트라스트를 뒤로 다시 간단히 국부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이는 R=+1.000, G=+1.000, B=+0.000을 가져올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먼저 우리는 오버드라이브 계수가 1.50인 것을 계산한다. 그 후, 1/1.50*(보다 크지 않은) 공통 계수에 의해 UV로부터 RGB로의 기여를 우선 감소시킨다. 공통 계수는 색상(hue)을 보존하고, 채도만 감소된다. 이제 마치 Y=+1.329, U=-0.500, V=+0.081인 것과 같을 것이다. 이는 R=+1.443, G=+1.443, B=+0.443을 가져올 것이다. 이제 1.443*의 오버드라이브 계수를 가진다. 그 후, 1/1.443* (보다 크지 않은) 공통 계수에 의해 모든 RGB를 감소시킨다. 공통 계수는 색상 및 채도를 보존하고, 콘트라스트만 감소된다. 이제 Y=+0.921, U=-0.347 , V=+0.056인 것과 같을 것이다. 그 결과, Y-신호는 여전히 원래보다 1.04* 더 크게된다. 이는 R=+1.000, G=+1.000, B=+0.307을 가져온다.
디세츄레이션(de-saturation) 이후에, 블루 채널 +0.307 신호로부터의 기여덕택에 10% 더 많은 빛을 얻었다. 더 중요하게는, 피크에서 적어도 무언가가 변하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콘트라스트 고정된다면, 적어도 채도는 여전히 변한다. 이는 더 자연스러운 오버드라이빙된 화상에 도움이 된다.
상기 예는 하드-클립핑을 가정하고 있었다: RGB 신호 중 적어도 한 신호는 가능한 한 하드로 드라이빙되며, +1.000 아래로 결코 감소되지 않는다. 이는, 원래 신호 세기 또는 오버드라이브량에 무관하게, 모든 신호가 동일한 최대 레벨로 제한될 것이라는 불리한 점을 가진다. 이는 디테일의 손실(제로 미분 이득)을 가져온다. 한 가지 결과는 "플라스틱(plastic) 얼굴"로 알려져 있다.
다르게는, 도 2에서, 룩업 테이블(LUT)를 사용하여 소프트 클립핑이 도입된 도 1의 실시예가 도시된다.
이러한 룩업 테이블에서, 서로 다른 이득 값이 저장되고 감소될 기초 컬러의 세트에서 최대 컬러의 진폭 값에 따라 선택된다.
위에서 언급된 것과 같은 디지털 시간-이산 소프트-클립퍼는 반드시 피드-포워드(feed-forward) 방식으로,
3개 입력 신호(보통 RGB)의 최대값을 얻는 것과,
이득(또는 감쇄)을 위해 룩업 테이블에 이것을 엔트리로 사용하는 것과,
각 3개 입력을 동일한 이득과 곱하는 것(100% 커플링으로 칭해지기도 함)에 의하여 작동한다.
100% 커플링은 3개의 입력 신호(R:G:B 또는 Y:U:V)의 비가 불안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해서, 틴트(tint) 및 (채도가 보존되도록 선택한다면) 채도는 보존된다. 이는 (R, G, B) 또는 (Y, U, V)를 동일한 계수와 곱함으로써 달성된다.
룩업 테이블의 내용은, 작은 입력 신호를 위한 이득(gain)(통상적으로 1.0x=최대 이득이어야 함)과
큰 입력 신호를 위한 최대 진폭(통상적으로 100%이어야 함)과
지속적인 이득과 지속적인 출력 진폭(100%, 그 후 미분 이득은 제로) 사이의 전이(transition)가 소프트한지 또는 하드한지(통상적으로 1.0x)의 정도와 같은 정보를 수용함으로써 클립핑의 성질을 이와 같이 결정한다.
두 개의 클립퍼 단을 위한 룩업 테이블의 내용을 계산하는 간단한 드라이버 프로시저에 의해 이 모두가 결정될 수 있다. 테이블은 이득이 1/256...256/256이라는 것을 저장한다. 테이블의 기울기가 항상 ≤0 이라는 것을 주목하라.
하나의 룩업 테이블 곡선은 32개 세그먼트로 나뉠 수 있으며, 32개 값만 실제로 저장된다. 그 후, 세그먼트 내의 값은 선형 인터폴레이션에 의해 실시간으로 계산된다. 베이스 및 기울기는 각각 인터폴레이션 속도를 높히기 위하여 2개의, 각각 8비트 32개 값의 분리된 룩업 테이블 내로 저장된다. 기울기는 항상 네거티브이나(이득은 결코 증가하지 않음) 포지티브 값으로 저장되고 나중에 인버팅된다. 이득=256/256=1.00x에 도달할 수 있도록 +1의 오프셋 또한 나중에 더해진다. 0.00x의 이득은 도달 가능하지 않다.
도 3은 프로세싱 디바이스(3) 및 디스플레이(5)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를 도시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텔레비전, 모니터 등등일 수 있다.
도 4a 내지 4b는 매우 소프트부터 하드까지 바뀌는 클립핑 특성을 도시하며, 도 4a는 최대 입력 신호의 함수로 출력 신호를 도시하고, 도 4b는 최대 입력 신호의 함수로 곱셈 계수를 도시한다. 도면은 클립퍼의 입력-출력 전달의 그래프를 도시하는 한편, 클립핑의 강도는 변한다. 룩업 테이블은 이 곡선을 포함하지 않을 것이며, 그것은 이득 계수를 포함할 것이다: 이득=출력/입력. 그 후 이는 사용된다:출력=이득*입력. 클립핑 특성이 매우 소프트부터 매우 하드까지 어떻게 변하는지를볼 수 있다. 하드-클립핑은 설명 자막같은 작은 피크에서만 통상적으로 허용된다. 넓은 밝은 영역, 특히 얼굴의 존재시, 더 소프트한 클립핑으로 튜닝되고/튜닝되거나 전체 콘트라스트 값이 감소되어야 한다.
도 4a에 도시된 것처럼, 심지어 R, G, B-신호 중 하나가 오버드라이빙도 전에, 소프트 클립핑으로 이득을 감소시키는 것을 더 일찍 시작하고, 신호가 더 많이 오버드라이빙됨에 따라 이득을 더 많이 감소시킬 것이다.
도 1에 설명된 실시예에서의 이 룩업 테이블의 배치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다(LUT UV 및 LUT RGB). 특히, 제 2 룩업 테이블에 대하여(LUT RGB 또는 콘트라스트 감소), 더 소프트한 특성을 프로그래밍 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래서, 우리는 수고를 분산시키고 있다: 입력 신호의 변동에 의해 나뉘어진 출력 신호의 변동인 미분 이득은 갑자기 0으로 감소되지 않는다. 대신에, 우리는 필요한 이전에 이득을 감소시킬 계획이다. 하드 오버드라이브에서만 최대 출력 레벨에 도달하며, 더 자연스러운 영상을 만들기 위하여 약간의 광 출력을 희생시키고 있다. 우리는 밝은 영역에서 약간의 디테일을 보존하고 있다.
제 1 단에서 채도 감소는 (R, G, B) 중 최고를 더 낮게 만들고, 다른 것들을 더 높게 만든다. 이는 제 2 단에서 더 적은 콘트라스트 감소가 이뤄질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최종 결과는 스크린 상에 약간 더 선명함을 얻는 것 뿐만 아니라 하드 콘트라스트 클립핑때문에 더 적은 아티팩트를 얻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2개의 룩업 테이블은 완전한 테이블로 구현되지 않는다. 대신에, 그들 각각은 성긴 테이블 및 선형 인터폴레이터를 사용한다. 이는 메모리 사이즈를 절약하지만 반드시 유연성을 감소시키지는 않는다. 콘트라스트 감소를 위한 룩업 테이블의 C코드 구현례가 아래에 도시된다:
룩업 테이블로의 입력은 11-비트 수 M이다. 이것은 6-비트 MSB부 idx와 5-비트 LSB부 rem으로 나뉘어진다. 인덱스 idx는 각 8-비트의 64개 엔트리의 두 개의 룩업 테이블을 어드레싱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한 테이블은 베이스(base)를 포함한다; 다른 테이블은 기울기(델타)를 포함한다. 나머지 rem은 F를 산출하기 위하여 선형 인터폴레이션을 하기 위해 사용된다:
F=base-delta*rem+1.
그 때, F는 1과 256(를 포함함) 사이의 수이다.
이 예에서, 클립핑 테이블의 내용이 항상 감소하고 있기 때문에 인터폴레이터에서 인터폴레이션 때 마이너스가 사용되고, 그 후 델타에 대해 네거티브가 아닌 수들만 저장된다.
계수 F는 입력 신호 R, G, B로부터 결정되고 출력 신호 R, G, B에 적용되어서 미국 특허 5,349,390에서 처럼 피드백 경로 -계수 F는 출력 신호 R, G, B로부터 결정됨- 가 없게 된다.
화상의 넓은 영역에서 클립핑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리고 그에 따라 얼굴 텍스쳐의 디테일을 손실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얼굴 검출기"를 도입한다. 얼마나 넓은 출력 신호의 부분이 신호 범위의 상위 영역에 있는지 측정하되, 소프트-클립퍼는 로우 미분 이득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는 넓은 영역에서 디테일, 가령 얼굴 텍스쳐의 손실을 나타낸다. 넓은 밝은 영역으로부터의 정보만 통과시키고 설명 자막과 같은 작은 밝은 피크는 무시하는, 비선형 (수평) 로우-패스 필터가 경로에 있다. 그것이 작동하는 방법은 역 피크 검출기에 의한다: 그것은 (설명 자막 사이에서) 어두운 픽셀을 빨리 재설정하고 그 후 밝은 픽셀은 서서히 재설정한다. 그 때, 충분히 많은 수의 연속 픽셀이 밝다면 그것들만 계수 될 수 있다. 연속적인 화이트가 뒤따르는 필터의 속도는 프로그래밍 가능하다: 적분기의 최대 상향 기울기가 설정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넓은 영역 오버드라이브 조건을 위한 검출기 실시예의 개략도를 도시하며, 이 실시예는 비 선형 필터링에 기초한다.
피크-드라이브 측정은 작은(8-빈) 히스토그램으로 나타나 있다. 이것은 단일 피크-드라이브 값보다 더 적절한 정보를 준다. 빈의 경계는 출력 범위의 1/2, 3/4,7/8, 15/16, 31/32, 63/64 및 127/128에 있다. 신호 출력이 100%에 접근하기 때문에 RGB 소프트-클립퍼 룩업 테이블의 내용은 미분 이득이 0으로 감소하도록 프로그래밍하기 매우 쉽다. 그래서 비선형 히스토그램은 화상의 몇 퍼센트가 클립퍼 전달 곡선 상부 내 -미분 이득이 로우임(너무 로우임)- 로 떨어지는지의 좋은 지표를 제공한다. 실시간 소프트웨어 알고리즘은 이것을 판독하고 해석해서 전체 콘트라스트를 감소시키거나 얼굴을 보존하기 위한 다른 조치를 취할것이다. 다시, 이것은 빠른 로컬 콘트라스트 감소(클리퍼)와 느린 전체 콘트라스트의 감소(변경된 피크 드라이브 제한기) 사이의 바람직한 협력의 구현이다.
위에서 설명된 필터는 수평 방향으로의 수정만을 위한 것으로 보인다. 히스토그램은 화상의 얼마나 많은 영역이 영향을 받는지를 알려줄 것이며, 이는 어떤 필터에 의해 명백히 정해지지 않을지라도 수직 방향에 대한 약간의 정보 또한 포함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콘트라스트 감소와 디세츄레이션은 다음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결합될 수도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6에서, 최대 콘트라스트 값의 함수로 부신호 R, G, B의 값이 보이며, 간략함을 위해, 본 예에서, R, G, B의 최대 콘트라스트 값은 1이다. 부신호가 클립핑 레벨 아래일 때(x<1) 전자 비디오 디스플레이로 가는 프로세싱된 신호는 부신호와 동일하다. x>3이라면, 이는 부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3회 넘게 너무 높아서 비-클립핑 영역에 남아 있을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며, 우리가 R, G, B의 정확한 조합을 선택할 수 있는 연속적인 "피크 화이트"일 것이다. 중간 입력 신호(1<x<3)에 대하여, 출력은 x=1 트리플릿(triplet)과 피크-화이트 트리플릿의 혼합(즉, 그것은 선형 인터폴레이션일 수 있음)이다. 그에 따라 클립핑 영역에서(1<x) 화이트의 추가(디세츄레이션) 때문에 더 높은 출력 신호를 가진다; 동시에 훨씬 더 정확한 컬러 색상 및 선택가능한 최대 세츄레이션 "피크 화이트"(=큰 x에 대한 한계)의 색상을 얻는다.
도 6에 도시된 프로세싱은 "선형-광 도메인"이나 다르게는 "감마-수정(gamma-corrected) 신호 도메인" 에서 수행될 수 있다. "선형-광 도메인"에서 신호는 (cd/m2로 측정된) 조도 출력에 선형적으로 대응한다. "감마-수정 신호 도메인"에서, 신호는 대략 luminance0.45에 대응한다. 제 1 해결책(선형-광 도메인)은 물리적으로 디세츄레이션의 정확한 방법을 부여한다: 입력 신호가 x=1로부터 x=3으로 갈 경우에, 출력의 CIE(International commission on illumination) 컬러 좌표는 CIE xy 다이어그램에서 직선을 따를 것이다. 그러나 프로세싱이 감마-수정된 도메인으로 수행된다면, 출력의 좌표는 CIE xy 공간에서 곡선일 것이다. 예에서 언급된 값 x=3만 제 1 실시예에 있으며, 선형 광 도메인에서의 프로세싱으로 좋은 결과를 낳는다; 감마-수정 신호 프로세싱으로 비슷한 결과, x=30.45=1.64는 x=3 대신에 사용되어야 한다.
블루 웨지(wedge)(블랙에서 블루까지의 선형 램프(ramp))를 보면, 클립핑하는 (그리고 디세츄레이팅 하는) 웨지부에 대하여 조도가 너무 빨리 증가하는 것이 보인다는 것이 상기 프로세스에서 한 가지 문제점이다. 도 7에서 순수하게 블루 입력 신호의 경우에 조도 Lum=0.21*R + 0.72*G + 0.07*B 임이 보인다. x<1에 대하여,블루가 조도에 거의 기여를 하지 않기 때문에, 조도(점선)가 서서히 증가하는 것이 보인다. 클립핑이 시작한 이후에 레드 및 그린이 추가되고, 훨씬 더 빨리 조도가 증가되게 한다. 이 원하지 않는 실행을 위한 가능한 조치는 피크-화이트가 도달된(도면에서 xwhite=3) 포인트 x=xwhite를 조도가 x=1에서 결코 "위를 향해 구부러지지" 않게 되는 더 높은 값으로 확장하는 것이다. 이 프로세싱은 더 고비용일 것이다; 이제 각 입력 픽셀에 대하여 xwhite를 계산해야 한다. 소비를 감소시키는 방법은 그린만 조도에 기여한다고 가정하는 것이다; 또 다른 그리고 xwhite를 계산하는 것보다 더 나은 대안은 다음과 같이 프로세싱을 수행하는 것이다:
최대 값의 부신호의 값으로 설정된 x를 부 신호로부터 계산하고 그 후 x로 모든 부 신호를 분할함으로써 정규화된 컬러를 계산하며, 그에 따라 정규화된 컬러의 최대는 1과 동일하다. 그 후 정규화된 컬러가 입력으로, 수 xwhite가 출력으로 사용되는 2차 룩업 테이블이 사용된다. 다음으로는, 전자 비디오 디스플레이에서 입력으로 사용될 신호가 정규화된 부신호 및 xwhite를 사용하여 계산된다. 예에서, 이것은 이와 같이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계수 1/(xwhite-1)은 룩업 테이블로 구현된다. xwhite를 위한 룩업 테이블을 사용하는 유리한 점은 극도로 세츄레이팅된 컬러((rin, gin, bin)중 최저는 0에 근접함)에 대해 매우 큰 xwhite를 쉽게 선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 경우에, 세츄레이팅된 컬러는 그 입력 강도(x)가 높게 얻어질 지라도 디세츄레이팅되는 것이 예방될 것이다.
본 발명이 선호된 실시예와 연결되어 설명되었지만 이후에 설정된 특정한 형태에 제한되도록 의도된 것은 아니다. 이와 반대로,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논리적으로 포함될 수 있는 이러한 대안, 변경 및 등가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청구 범위에서, 삽입구 사이에 배치된 참조 표시는 청구항을 제한하는 것으로 생각되지 않을 것이다. "포함하는"이라는 단어는 청구항에서 열거된 요소 또는 단계가 아닌 다른 요소 또는 단계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단수로 표현된 요소는 이러한 요소들의 복수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여러가지 구별되는 요소를 포함하는 하드웨어에 의해 그리고 적절히 프로그래밍된 컴퓨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여러가지 수단들을 열거하는 장치 청구항에서, 이러한 여러가지 수단들이 하드웨어의 하나 및 동종 아이템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단지 어떠한 측정이 상호 다른 종속 항에서 인용된다는 사실이 이 측정의 조합은 유리하게 사용될 수 없다는 것을 가리키지는 않는다.

Claims (14)

  1. 화상의 제 1 부에서 콘트라스트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상은 화상 신호에 의해 표현되며, 상기 화상 신호는 상기 화상의 서로 다른 영역에 대한 컬러 정보를 각각 홀드하고 있는 다수의 부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컬러 정보는 제 1 기초 컬러 세트에 의해 표현되며, 각각의 상기 기초 컬러는 진폭을 가지며,
    상기 방법은
    상기 화상 중 콘트라스트가 증가될 부분을 나타내는 선택된 부 신호에서 모든 기초 컬러의 진폭을 증가시킴으로써 콘트라스트를 증가시키는 단계(1)와,
    상기 기초 컬러의 진폭이 사전 정의된 값을 초과하는지 결정하는 단계(2-4)와,
    상기 기초 컬러 중 한 컬러의 진폭이 상기 사전정의된 값을 초과한다면 상기 컬러 정보의 채도를 감소시키는 단계(2-4)를 포함하는
    콘트라스트를 제어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콘트라스트 증가될 상기 화상의 상기 부분을 표현하는 부 신호에서 모든 상기 기초 컬러의 상기 세기를 감소시킴으로써 콘트라스트를 감소시키는 단계(6)를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콘트라스트를 제어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채도를 감소하는 단계(2-4)가
    상기 선택된 부신호를 적어도 두 개의 컬러 정보 그룹, 콘트라스트 및 채도 모두를 나타내는 제 1 그룹 및 콘트라스트만 나타내는 제 2 그룹으로 나누는 딘계(2)와,
    부신호의 상기 제 1 그룹의 상기 신호를 제 1 값으로 감소시키는 단계(4)를 포함하되,
    상기 콘트라스트를 감소하는 단계(6)가 제 2 값으로 모든 기초 컬러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트라스트를 제어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컬러 정보의 적어도 두 개의 그룹으로 상기 선택된 부신호를 나누는 상기 단계가 상기 선택된 부신호를 기초 컬러의 상기 제 1 세트에 의해 표현되는 것으로부터 제 2 기초 컬러 세트에 의해 표현되는 것으로 변환하는 단계(2)를 포함하는
    콘트라스트를 제어하는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진폭을 가지고 상기 사전정의된 값을 초과하는 기초 컬러의 상기 진폭의 상기 역수를 상기 사전정의된 값과 곱합으로써 상기 제 1 값이 결정되고, 여기서 상기 제 1 부신호 그룹의 상기 신호의 상기 진폭을 상기 제 1 값과 곱합으로써 상기 채도의 감소가 수행되고,
    상기 최대 진폭을 가지고 상기 사전정의된 값을 초과하는 기초 컬러의 상기 진폭의 상기 역수를 상기 사전정의된 값과 곱함으로써 상기 제 2 값이 결정되고, 여기서 상기 제 1 및 제 2 그룹 부신호 모두의 상기 신호의 상기 진폭을 상기 제 2 값과 곱함으로써 모든 기초 컬러의 상기 감소가 수행되는
    콘트라스트를 제어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진폭을 가지는 상기 기초 컬러의 상기 진폭의 상기 역수 및/또는 상기 제 1 값 및/또는 상기 제 2 값이 룩업 테이블(LUT UV, LUT RGB)내에서 정의되어 있는
    콘트라스트를 제어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룩업 테이블이 적어도 하나의 성긴(sparse) 테이블 및 적어도 하나의 선형 인터폴레이터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콘트라스트를 제어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도의 감소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모든 기초 컬러의 감소를 수행하는 단계가
    상기 기초 컬러의 적어도 하나의 진폭이 상기 사전정의된 값을 초과하는 상기 화상의 작은 중요하지 않은 부분에서 수행되는
    콘트라스트를 제어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 컬러의 적어도 하나의 진폭이 상기 사전정의된 값을 초과하는 상기 화상의 넓은 중요부의 콘트라스트 감소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콘트라스트를 제어하는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진폭이 사전정의된 진폭 값과 동일할 때까지 모든 기초 컬러의 상기 진폭을 선형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채도를 감소하는 단계가 수행되는
    콘트라스트를 제어하는 방법.
  11. 화상의 제 1 부에서 콘트라스트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33)에 있어서,
    상기 화상은 화상 신호에 의해 표현되며, 상기 화상 신호는 상기 화상의 서로 다른 영역을 위한 컬러 정보를 각각 홀딩하고 있는 다수의 부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컬러 정보는 기초 컬러의 제 1 세트에 의해 표현되며, 각 기초 컬러는 진폭을 가지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화상 중 콘트라스트가 증가될 부분을 나타내는 상기 부 신호에서 상기 기초 클러의 상기 세기를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콘트라스트를 증가시키기 위하나 수단(1)과,
    상기 기초 컬러 중 하나의 세기가 사전정의된 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4)과,
    상기 기초 컬러 중 하나의 세기가 상기 사전정의된 값을 초과한다면 상기 컬러 정보의 채도를 감소하기 위한 수단(4)을 포함하는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
  12. 디스플레이(35) 및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33)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3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디바이스는 제 1 항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밍 가능한 디바이스를 인에이블링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14. 제 13 항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1020027016808A 2001-04-11 2002-04-02 콘트라스트 제어 방법,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1009118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1201334 2001-04-11
EP01201334.8 2001-04-11
PCT/IB2002/001095 WO2002085037A1 (en) 2001-04-11 2002-04-02 Picture signal contrast contr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9420A true KR20030019420A (ko) 2003-03-06
KR100911815B1 KR100911815B1 (ko) 2009-08-12

Family

ID=8180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6808A KR100911815B1 (ko) 2001-04-11 2002-04-02 콘트라스트 제어 방법,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050114B2 (ko)
EP (1) EP1380177A1 (ko)
JP (1) JP4130366B2 (ko)
KR (1) KR100911815B1 (ko)
CN (1) CN1305319C (ko)
WO (1) WO20020850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815B1 (ko) * 2001-04-11 2009-08-12 엔엑스피 비 브이 콘트라스트 제어 방법,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US20060055829A1 (en) * 2002-12-06 2006-03-16 Gerard De Haan Gamma correction
JP2006510053A (ja) * 2002-12-13 2006-03-23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マトリクスディスプレイのための自動ガンマ補正
US20040116796A1 (en) * 2002-12-17 2004-06-17 Jianying Li Methods and apparatus for scoring a substance
KR100497395B1 (ko) * 2003-06-30 2005-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질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방법
EP1756798A1 (en) * 2004-06-01 2007-02-2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isplay device comprising a light source
JP4496856B2 (ja) * 2004-06-23 2010-07-07 ノーリツ鋼機株式会社 写真画像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WO2006025021A1 (en) * 2004-09-03 2006-03-0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heap motion blur reduction (eco-overdrive) for lcd video/graphics processors
TW200612385A (en) * 2004-10-08 2006-04-16 Mstar Semiconductor Inc Image contrast enhanc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US7760961B2 (en) * 2004-10-15 2010-07-20 Caba Moldvai Adaptive contrast enhancement
US7573533B2 (en) * 2004-10-15 2009-08-11 Genesis Microchip Inc. Method of generating transfer curves for adaptive contrast enhancement
US7298379B2 (en) * 2005-02-10 2007-11-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Luminance preserving color conversion from YUV to RGB
US7605872B2 (en) * 2005-06-20 2009-10-20 Mediatek Inc. Video contrast adjusting method and system
TW200719731A (en) * 2005-11-07 2007-05-16 Cheertek Inc Method for adjusting hue and color saturation by matrix
TWI350498B (en) * 2006-03-21 2011-10-11 Himax Tech Ltd Overdriving value generating apparatus and method
US8781248B2 (en) * 2010-01-28 2014-07-15 Stmicroelectronics Asia Pacific Pte. Ltd. Image details preservation and enhancement
CN102404533B (zh) * 2010-09-15 2016-06-15 罗普特(厦门)科技集团有限公司 投影仪及其投影画面色彩校正方法
GB2502566A (en) 2012-05-31 2013-12-04 Ibm Display brightness adjustment
US10313687B2 (en) 2014-10-10 2019-06-04 Koninklijke Philips N.V. Saturation processing specification for dynamic range mappings
CA3011794A1 (en) 2016-01-18 2017-07-27 Waveshift Llc Evaluating and reducing myopiagenic effects of electronic displays
WO2018092465A1 (ja) * 2016-11-15 2018-05-24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68984A (en) 1980-10-16 1982-04-27 Toshiba Corp Chroma signal processing circuit
US4941111A (en) 1986-04-18 1990-07-10 Advanced Micro Devices, Inc. Video picking and clipping method and apparatus
GB8700565D0 (en) 1987-01-12 1987-02-18 Crosfield Electronics Ltd Video image enhancement
US5089890A (en) 1989-02-06 1992-02-18 Canon Kabushiki Kaisha Gamma correction device
US5079623A (en) * 1990-04-30 1992-01-07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Signal clamp for a dual function input terminal of a "one-chip"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IC
JP2672049B2 (ja) * 1991-10-09 1997-11-05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重荷重用タイヤ
US5349390A (en) * 1992-09-22 1994-09-20 U.S. Philips Corporation Picture signal processor for performing both large area and small area contrast reduction, and picture display apparatus incorporating such a picture signal processor
US5548330A (en) 1992-12-24 1996-08-2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ickup device for generating a corrected luminance signal
US5452017A (en) 1992-12-31 1995-09-19 Hickman; Charles B.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nic image color modification using hue and saturation levels
JP2876934B2 (ja) * 1993-05-31 1999-03-31 日本電気株式会社 画像のコントラスト強調方法及び装置
CA2102942C (en) * 1993-09-10 1999-08-03 Sanford S. Lum Programmable color space conversion unit
BE1007590A3 (nl) * 1993-10-01 1995-08-16 Philips Electronics Nv Videosignaalverwerkingsschakeling.
JP3134660B2 (ja) * 1994-04-14 2001-02-1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色変換方法および色変換装置
JP3263772B2 (ja) * 1994-06-09 2002-03-11 三菱電機株式会社 映像表示装置
FR2749731B1 (fr) * 1996-06-07 2000-08-04 Thomson Multimedia Sa Dispositif de regulation de contraste d'image video
US6360022B1 (en) * 1997-04-04 2002-03-19 Sarnoff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ssing the visibility of differences between two signal sequences
JPH11234540A (ja) * 1998-02-16 1999-08-27 Fujitsu Ltd 映像信号処理装置
US6075574A (en) * 1998-05-22 2000-06-13 Ati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trast of images
JP3730419B2 (ja) * 1998-09-30 2006-01-05 シャープ株式会社 映像信号処理装置
US6177962B1 (en) * 1999-06-30 2001-01-23 Thomson Licensing S.A.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oversaturation of chrominance signals
KR100661368B1 (ko) * 1999-12-24 2006-12-27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에 있어서 영상신호의 게인 조절방법
KR100911815B1 (ko) * 2001-04-11 2009-08-12 엔엑스피 비 브이 콘트라스트 제어 방법,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US6778183B1 (en) * 2002-07-10 2004-08-17 Genesis Microchip Inc. Method and system for adaptive color and contrast for display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80177A1 (en) 2004-01-14
CN1305319C (zh) 2007-03-14
US20030063221A1 (en) 2003-04-03
KR100911815B1 (ko) 2009-08-12
CN1461572A (zh) 2003-12-10
JP4130366B2 (ja) 2008-08-06
US7050114B2 (en) 2006-05-23
WO2002085037A1 (en) 2002-10-24
JP2004519972A (ja) 2004-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1815B1 (ko) 콘트라스트 제어 방법,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960008059B1 (ko) 계조보정방법 및 장치
US6271891B1 (en) Video signal processing circuit providing optimum signal level for inverse gamma correction
US5619280A (en) Color conversion apparatus that restricts the color reproduction range of primary color signals
JPS6359255A (ja) カラ−画像複製処理方法
KR960001027B1 (ko) 계조보정장치
KR20010075557A (ko) 비디오 신호 향상 방법 및 장치
CA2095756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near color processing
KR100965786B1 (ko) 신호 재구성 방법, 이미징 디바이스 및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EP1525752B1 (en) Non-linear picture processing
WO2000046983A1 (en) Histogram equalization
JP2001045308A (ja) 信号処理装置
JPH11305734A (ja) 液晶表示装置
JP4305917B2 (ja) 映像信号処理装置及びテレビジョン装置
EP1895781B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adjusting colour saturation
JP2009508173A (ja) ビデオレベルの動的ソフトクリッピング
KR20030066977A (ko) 컬러 영상의 색온도 상승 장치 및 그 방법
JP2938264B2 (ja) 液晶映像表示装置
US20040150654A1 (en) Sparkle reduction using a split gamma table
JP3262835B2 (ja) 画像判別装置およびその方法
US6580464B1 (en) Color difference signal correction apparatus
JP2000075838A (ja) カラー液晶表示装置
KR19980014689A (ko) 히스토그램을 이용한 감마보정장치
JP2000165686A (ja) 色変換装置、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JP2003009172A (ja) 映像信号処理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