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6765A - 축열재를 이용한 방열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축열재를 이용한 방열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6765A
KR20030016765A KR1020010050479A KR20010050479A KR20030016765A KR 20030016765 A KR20030016765 A KR 20030016765A KR 1020010050479 A KR1020010050479 A KR 1020010050479A KR 20010050479 A KR20010050479 A KR 20010050479A KR 20030016765 A KR20030016765 A KR 200300167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heater
radiator
temperature
storag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0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상철
박기배
Original Assignee
(주)보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보민테크 filed Critical (주)보민테크
Priority to KR1020010050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16765A/ko
Publication of KR20030016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6765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9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electric he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5/00Other 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 F24D15/02Other 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consisting of self-contained heating units, e.g. storage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6Casings, cover lids or ornamental panels, for radi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1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longitudin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08Electric 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2Temperature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10Heat storage materials, e.g. phase change materials or static water enclosed in a sp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ometry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방기에 축열재가 내장된 방열기를 구비하여 난방기의 열을 축열하고 다시 방열하는 축열재를 이용한 방열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난방기가 가동되고, 상기 난방기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축열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의 축열에 의해 온도가 상승하는 방열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감지된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이면 상기 난방기가 중지되고, 상기 방열기가 열을 방출하는 제3단계로 구성되고, 상부측과 하부측이 개방되고, 내부에 축열재를 수용하는 공간을 가지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측에 상기 몸체를 밀봉하도록 일체로 부착되고, 축열재를 상기 몸체로 유입하는 유입구가 구비되며, 상기 유입구가 밀봉되도록 마개가 구비되는 상부캡과; 상기 몸체의 하부측에 일체로 부착되어 상기 몸체를 밀봉하는 하부캡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축열재를 이용한 방열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으로서, 난방기에서 발생되는 열손실을 최소화하고, 그에 따라 에너지의 이용이 극대화되어, 난방기의 에너지 효율이 극대화되면서 에너지의 절감이 극대화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축열재를 이용한 방열방법 및 장치{Heating method of using regenerative material and heating apparatus of the same}
본 발명은 난방기에 축열재가 내장된 방열기를 구비하여 난방기의 열을 축열하고 다시 방열함으로서, 난방기에서 발생되는 열손실을 최소화하고, 그에 따라 에너지의 이용이 극대화되어 에너지의 절감이 이루어지는 축열재를 이용한 방열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방기는 히터라고도 하며, 실내에 구비되어 실내의 난방이 유지되도록 하는 장치를 말한다.
그러나, 난방기는 사용자의 추위를 느끼는 정도 또는 그 배치구조에 따라 난방이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거나 너무 과도하게 난방이 되는 등의 사용상의 불편함이 상존하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종래의 난방기를 자세히 살펴보면, 그 일 실시예로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본체의 컨트롤박스(201)에 의해 난방온도가 제어되고 그 제어된 온도로 실내에 구비되는 난방기(200)에서 열이 방출되며, 상기 난방기(200)는 그 내부에 히팅파이프(202)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체의 컨트롤박스에 의해 다수의 히터가 제어됨으로서, 건물의 위치나 구조에 따라 다르게 분포되는 냉기를 컨트롤박스에 의해 일률적으로 제어되어 적절하고 고른 난방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과열상태로 난방기를 가동하게 되어 난방기의 에너지의 효율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난방기의 에너지의 효율이 저하됨으로서, 에너지 절감이 이루어지지 않아 산업 및 경제상의 문제점으로 야기되고, 그에 따라 난방기의 사용에 따른 난방비용이 과도하게 투입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과도한 난방으로 인해 난방기의 에너지효율이 떨어짐과 동시에 난방기 자체도 매우 과열된 상태로 가동됨으로서, 난방기의 잦은 고장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난방기의 잦은 고장으로 사용상의 불편함이 유발되면서 아울러, 난방기의 수명이 현저하게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축열단계와 온도감지단계, 그리고 방열단계로 구성됨으로서, 기존의 난방기에서 발생되는 열을 흡수하고 그 열을 다시 방출하여 난방기에서 발생되는 열손실을 최소화하고, 그에 따라 에너지의 이용이 극대화되는 축열재를 이용한 방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축열재를 수용하는 공간을 가진 몸체와 그 몸체를 밀봉하는 캡으로 구성됨으로서, 난방기에서 발생되는 열을 흡수하고 그 열을 다시방출하여 난방기에서 발생되는 열손실을 최소화하고, 그에 따라 에너지의 재활용이 극대화되어 에너지의 절감이 이루어지는 축열재를 이용한 방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열기의 몸체의 외부면에 다수개의 방열핀이 부착됨으로서, 방열기의 방열면적이 넓어지는 축열재를 이용한 방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온도감지센서가 몸체의 내부에 장착됨으로서, 축열재의 온도의 감지에 의해 난방기의 단속이 이루어지는 축열재를 이용한 방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연결구와 연결봉에 의해 다수개의 방열기가 함께 연결됨으로서, 난방기의 히팅파이프의 구조에 맞게 방열기를 구비하는 축열재를 이용한 방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난방기가 가동되고, 상기 난방기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축열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의 축열에 의해 온도가 상승하는 방열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감지된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이면 상기 난방기가 중지되고, 상기 방열기가 열을 방출하는 제3단계로 구성되고,
상부측과 하부측이 개방되고, 내부에 축열재를 수용하는 공간을 가지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측에 상기 몸체를 밀봉하도록 일체로 부착되고, 축열재를 상기 몸체로 유입하는 유입구가 구비되며, 상기 유입구가 밀봉되도록 마개가 구비되는 상부캡과; 상기 몸체의 하부측에 일체로 부착되어 상기 몸체를 밀봉하는 하부캡으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의 외부면에 다수개의 방열핀이 부착되고, 그 내부에 축열재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가 장착되며,
상기 상부캡의 상면에 연결구가 부착되고, 상기 연결구를 체결하는 연결봉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구와 연결봉에 의해 다수개의 방열기가 연결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열방법에 대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열방법에 대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열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열장치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종래의 난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방열기
11 : 몸체
111 : 방열핀 112 : 온도감지센서
12 : 상부캡
121 : 유입구 122 : 마개 123 : 연결구 124 : 연결봉
13 : 하부캡
2 : 난방기
21 : 히팅파이프
22 : 컨트롤박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열방법에 대한 블럭도를 자세히 살펴보면,
난방기가 가동된 상태에서 그 난방기에서 방출되는 열이 흡수되어 축열되는 제1단계(S1)와;
상기 제1단계(S1)의 축열에 의해 온도가 상승하고 그 상승된 온도가 감지되는 제2단계(S2)와;
상기 제2단계(S2)에서 감지된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이면 상기 난방기의 가동을 중지하고 상기 방열기에서 열이 발열되는 제3단계(S3)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단계(S1)(S2)(S3)가 구성됨으로서, 실내의 원하는 온도가 적절하게 유지되고 아울러, 난방기의 에너지효율이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열방법에 대한 순서도를 자세히살펴보면,
사용자의 운전조작에 의해 난방기가 가동되면 실내에 난방이 이루어지고, 이 난방기의 가동(S10) 상태에서 방열기는 난방기에서 방출되는 열을 흡수하게 되어 방열기의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이때 방열기의 온도를 감지(S20)하게 되는데, 방열기의 온도가 난방기의 온도보다 크게 감지(S30)되면 난방기는 정지되고, 방열기의 온도가 난방기의 온도보다 작게 감지(S30)되면 계속해서 난방기는 가동(S10)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방열기의 온도가 난방기의 온도보다 크게 감지되어 난방기가 정지(S40)하게 되면, 다시 방열기의 온도를 감지(S50)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다시 방열기의 온도를 감지(S50)하여, 방열기의 온도보다 난방기의 온도가 크게 감지(S60)되면 처음으로 돌아가 다시 난방기를 가동(S10)하게 되고, 방열기의 온도보다 난방기의 온도가 작게 감지(S60)되면 난방기는 계속해서 정지(S40)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난방기의 별도의 종료와 함께 모든 순환은 끝나게 되고, 난방기를 계속 가동하는 동안은 상기의 순환에 의해 방열기에 의한 열의 방출로 난방기의 에너지 절감과 함께 건물의 구조나 난방기의 위치에 관계없이 적절한 난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열장치의 사시도를 자세히 살펴보면,
방열기(1)의 구성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고 그 내부는 축열재가 충진되는공간이 형성되는 직육면체의 몸체(11)와, 상기 몸체(11)의 상부측에 용접으로 부착되어 일체를 이루는 상부캡(12)과, 상기 몸체(11)의 하부측에 용접으로 부착되는 하부캡(13)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몸체(11)의 외부면에는 다수개의 방열핀(111)이 수직으로 부착되고, 상기 방열핀(111)에 의해 상기 몸체(11)의 방열면적이 넓어짐으로 축열재에 열이 쉽게 흡수되고, 아울러 상기 몸체(11)의 내부의 축열재에 의해 흡수된 열을 쉽게 방출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11)의 내부에는 온도감지센서(112)가 장착되고, 상기 온도감지센서(112)에 의해 축열재의 온도가 감지되어, 일정한 온도 즉 상기 축열재가 고체상태에서 축열을 시작하여 축열과 함께 액상으로 변화되며 이러한 변화가 완료되고 나서 그 완료에 따른 온도를 감지하게 되면 난방기의 가동이 중지되고, 방열기(1)에서 열을 방출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방열기(1)에서 열을 방출하여 방열기(1)의 난방온도 이하로 떨어지면 상기 온도감지센서(112)가 이를 감지하여 난방기가 다시 가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캡(12)은 그 상면에서 하면으로 관통되고 상면에 돌출부가 형성되며 돌출부의 외주면에 나선이 형성되는 유입구(121)가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유입구(121)는 상기 몸체(11)의 내부로 축열재를 유입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유입구(121)의 상부측에 나선결합되는 마개(122)가 구비되어 상기 유입구(121)를 밀봉하거나 개방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캡(13)은 상기 몸체(11)의 하부를 밀봉하는 역할을 하면서 상기 몸체(11)와 상기 상부캡(12)을 받쳐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발열장치의 종단면도를 자세히 살펴보면,
몸체(11)의 내부공간에 축열재가 충진되고, 그 축열재를 상기 몸체(11)의 내부로 유입하기 위해 유입구(121)가 구비되며, 상기 유입구(121)를 밀봉하기 위해 마개(122)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11)의 상부측과 하부측을 밀봉하기 위해 상부캡(12)과 하부캡(13)이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몸체(11)의 내부에는 온도감지센서(112)가 장착되어 내부에 충진되는 축열재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유입구(121)와 마개(122)에 의해 축열재가 상기 몸체(11)에 충진되고, 밀봉되는 것으로,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 가지의 유입수단과 밀봉수단이 그 구성으로서 사용될 수 있음을 말하여 둔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를 자세히 살펴보면,
몸체(11)와 상부캡(12), 그리고 하부캡(13)으로 구성되는 방열기(1)에서, 상기 상부캡(12)의 상면의 일측에 연결구(123)가 부착되고, 상기 연결구(123)를 체결하는 연결봉(124)이 구비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방열기(1)가 다수개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방열기(1)를 상기 연결구(123)와 연결봉(124)에 의해 하나의 구성으로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방열기(1)가 상기 연결구(123)와 연결봉(124)에 의해 다수개가 구비됨으로서, 난방기의 히팅파이프나 열선의 구조나 배열에 맞게 본 장치를 구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열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를 자세히 살펴보면,
상기 도 6은 컨트롤박스(22)가 구비되는 기존의 난방기(2)의 후방에 다수개의 방열기(1)를 상부캡(12)의 연결구(123)와 연결봉(124)에 의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방열기(1)의 작동과정을 보면, 상기 난방기(2)의 히팅파이프(21)의 후방측에 각각으로 상기 방열기(1)를 설치하여 상기 히팅파이프(21)에서 방출되는 열을 상기 방열기(1)의 몸체(11)에 충진되는 축열재에 의해 흡수하고, 그 흡수된 열의 온도를 감지하고 난 다음, 상기 방열기(1)의 온도가 상기 난방기(2)의 온도보다 높으면 상기 컨트롤박스(22)에 전기적인 신호를 보내어 상기 난방기(2)의 가동이 중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난방기(2)가 중지된 상태에서 상기 발열기의 축열재에 흡수되어 있던 열이 외부로 방출되어 실내의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방열기(1)의 열의 방출에 의해 방열기(1)의 상기 난방기(2)의 온도보다 떨어지면, 다시 상기 컨트롤박스(22)에 전기적인 신호를 보내서 상기 난방기(2)가 재가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순환이 계속되면서, 자연스럽게 실내의 난방이 적정한 온도로유지가 되고 그에 따라 상기 난방기(2)의 에너지 효율이 최대로 증대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축열단계와 온도감지단계, 그리고 발열단계로 구성되는 축열재를 이용한 방열방법을 제공함으로서, 기존의 난방기에서 발생되는 열을 흡수하고 그 열을 다시 방출하여 난방기에서 발생되는 열손실을 최소화하고, 그에 따라 에너지의 이용이 극대화되어, 난방기의 에너지 효율이 극대화되면서 에너지의 절감이 극대화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축열재를 수용하는 공간을 가진 몸체와 그 몸체를 밀봉하는 캡으로 구성되는 축열재를 이용한 방열장치를 제공함으로서, 난방기에서 발생되는 열을 흡수하고 그 열을 다시 방출하여 난방기에서 발생되는 열손실을 최소화하고, 그에 따라 에너지의 재활용이 극대화되어, 난방기의 에너지의 효율이 극대화되면서 에너지의 절감이 극대화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방열기의 몸체의 외부면에 다수개의 방열핀이 부착되는 축열재를 이용한 방열장치를 제공함으로서, 방열기의 방열면적이 넓어져 좁은 공간에서도 많은 열이 방출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온도감지센서가 몸체의 내부에 장착되는 축열재를 이용한 방열장치를 제공함으로서, 축열재의 온도의 감지에 의해 난방기의 단속이 이루어져, 난방기의 에너지효율을 더욱 극대화시키고 그에 따라 에너지의 절감이 더욱 정확하고 현저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구와 연결봉에 의해 다수개의 방열기가 함께 연결되는축열재를 이용한 방열장치를 제공함으로서, 난방기의 히팅파이프의 구조에 맞게 방열기를 구비하여, 난방기의 성능에 맞추어 방열기를 구비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사용상의 범위가 확대되며, 아울러 히팅파이프의 길이나 구조에 상관없이 그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5)

  1. 난방기가 가동되고, 상기 난방기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축열하는 제1단계(S1)와;
    상기 제1단계(S1)의 축열에 의해 온도가 상승하는 방열기(1)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2단계(S1)와;
    상기 제2단계(S2)에서 감지된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이면 상기 난방기가 중지되고, 상기 방열기(1)가 열을 방출하는 제3단계(S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재를 이용한 방열방법.
  2. 상부측과 하부측이 개방되고, 내부에 축열재를 수용하는 공간을 가지는 몸체(11)와;
    상기 몸체(11)의 상부측에 상기 몸체(11)를 밀봉하도록 일체로 부착되고, 축열재를 상기 몸체(11)로 유입하는 유입구(121)가 구비되며, 상기 유입구(121)가 밀봉되도록 마개(122)가 구비되는 상부캡(12)과;
    상기 몸체(11)의 하부측에 일체로 부착되어 상기 몸체(11)를 밀봉하는 하부캡(1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재를 이용한 방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는,
    그 외부면에 다수개의 방열핀(111)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재를이용한 방열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는,
    그 내부에 축열재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112)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재를 이용한 방열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캡(12)의 상면에 연결구(123)가 부착되고, 상기 연결구(123)를 체결하는 연결봉(124)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구(123)와 연결봉(124)에 의해 다수개의 방열기가 연결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재를 이용한 방열장치.
KR1020010050479A 2001-08-21 2001-08-21 축열재를 이용한 방열방법 및 장치 KR200300167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0479A KR20030016765A (ko) 2001-08-21 2001-08-21 축열재를 이용한 방열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0479A KR20030016765A (ko) 2001-08-21 2001-08-21 축열재를 이용한 방열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6765A true KR20030016765A (ko) 2003-03-03

Family

ID=27720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0479A KR20030016765A (ko) 2001-08-21 2001-08-21 축열재를 이용한 방열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16765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20447U (ko) * 1976-03-11 1977-09-13
KR930005233U (ko) * 1991-08-02 1993-03-22 주식회사 혜신건업 심야전력을 이용한 축열식 온돌용 캡슐파이프
JPH05164405A (ja) * 1991-12-18 1993-06-29 Toshiba Heating Appliances Co 蓄熱式電気暖房装置
JPH05248706A (ja) * 1992-03-09 1993-09-24 Sumitomo Electric Ind Ltd 電気蓄熱式暖房器の蓄熱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20447U (ko) * 1976-03-11 1977-09-13
KR930005233U (ko) * 1991-08-02 1993-03-22 주식회사 혜신건업 심야전력을 이용한 축열식 온돌용 캡슐파이프
JPH05164405A (ja) * 1991-12-18 1993-06-29 Toshiba Heating Appliances Co 蓄熱式電気暖房装置
JPH05248706A (ja) * 1992-03-09 1993-09-24 Sumitomo Electric Ind Ltd 電気蓄熱式暖房器の蓄熱制御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06636A (ko) 전자장치의 수냉식 연질 냉각재킷 및 이를 이용한 완충재킷
CN209420222U (zh) 散热系统
KR101701931B1 (ko) 냉온기능을 갖는 매트리스의 온도제어장치
US20180073815A1 (en) Demand-based charging of a heat pipe
JP2004319658A (ja) 電子冷却装置
KR20030016765A (ko) 축열재를 이용한 방열방법 및 장치
WO2002020292A1 (en) High-efficiency thermoelectric cooling and heating box for food and drink storage in a vehicle
CN108848658A (zh) 一种控制器内部冷却结构
KR0153181B1 (ko) 열전모듈을 이용한 냉온장고와 이 냉온장고의 제어방법
JPH0575917B2 (ko)
KR100439257B1 (ko) 히트 파이프 모듈
JP3698593B2 (ja) 電気温水器
JP2009162469A (ja) 暖冷房システム及びユニット建物
CN213947433U (zh) 一种光固化3d打印机及其高效制冷散热的树脂池
KR200302341Y1 (ko) 히트파이프를이용한냉온풍기
CN210428211U (zh) 环境试验箱温度控制系统
JP3616813B2 (ja) 太陽電池冷却熱回収装置
CN217825834U (zh) 一种采用回型散热结构的感应加热电源
CN220931263U (zh) 一种散热结构及空调
CN210246632U (zh) 用于温差发电的空调散热水箱
KR200218928Y1 (ko) 스팀발생기
CN107482881A (zh) 开关电源的高效散热方法
KR100526437B1 (ko) 히트 파이프를 이용한 온풍기용 히팅장치
KR200260088Y1 (ko) 축열재를 이용한 방열기
KR200370866Y1 (ko) 전기보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