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5744A - 전기도금공정의 표면처리용액 순환저장탱크 - Google Patents

전기도금공정의 표면처리용액 순환저장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5744A
KR20030015744A KR1020010049640A KR20010049640A KR20030015744A KR 20030015744 A KR20030015744 A KR 20030015744A KR 1020010049640 A KR1020010049640 A KR 1020010049640A KR 20010049640 A KR20010049640 A KR 20010049640A KR 20030015744 A KR20030015744 A KR 200300157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bottom plate
solution
surface treatment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9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2121B1 (ko
Inventor
김명주
진용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49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2121B1/ko
Publication of KR20030015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5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2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21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02Tanks; Installation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21/00Processes for servicing or operating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21/10Agitating of electrolytes; Moving of rack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21/00Processes for servicing or operating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21/12Process control or regul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ly Coating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순환저장탱크 내 용액의 레벨을 항상 일정하게 관리함으로써, 소용량으로도 원활한 용액공급이 가능하도록 된 전기도금공정의 표면처리용액 순환저장탱크를 제공함에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일정높이의 프레임구조물 위에 놓여지고 측면에 리턴배관과 공급배관이 설치되어 본체를 이루는 탱크와, 탱크 상판 중앙에서 내부로 수직하향설치되어 탱크 내부의 징크천용액을 교반시키기 위한 교반부, 탱크 내부에 설치되어 징크천용액의 수위를 검출하기 위한 수위검출부, 탱크 저면에 일정높이로 설치되어 탱크 내부를 이단으로 분리하여 이중바닥을 이루기 위한 바닥판과, 바닥판 외측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배열설치되어 바닥판 위에 침전되는 파우더를 바닥판 밑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처리부, 바닥판 상부 중앙에 설치되고 신축가능한 구조로 된 벨로우즈통과, 탱크내의 징크천용액 수위에 따라 벨로우즈통을 신축시켜 용액의 수위를 일정높이로 유지시키기 위한 신축수단을 포함하는 전기도금공정의 표면처리용액 순환저장탱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기도금공정의 표면처리용액 순환저장탱크{Tank for surface treatment liquid in electro plating line}
본 발명은 스테인리스 제조라인에서 강판에 표면 처리를 실시하는 전기도금공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금에 사용되는 표면처리용액을 저장하고 도금탱크로 순환시키는 전기도금공정의 표면처리용액 순환저장탱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판의 표면처리기술인 도금은,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재료 또는 강판의 표면 반응의 요소를 억제하는 재료를 강판의 표면에 코팅시켜 강판이 산화되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이다.
도금은 크게 용융도금법과 전기도금법으로 구분되며, 아연계 도금강판은 주로 용융도금법으로, 주석계 도금강판은 전기도금법을 통해 주로 생산된다.
이중 상기 주석계 도금강판인 Pb-Sn강판은 내식성, 납땜성 및 윤활성이 우수하여 자동차의 연료탱크, TV나 VTR 등의 샤시, 건축물의 지붕 및 프린트 기판의 모재로 널리 사용되는 데, 용도에 따라 적절한 범위의 Sn 함량이 요구되며, 특히 자동차용 연료탱크와 같이 고내식성을 요구하는 부위에 사용되는 Pb-Sn강판을 턴도금강판(terne sheet)이라 칭한다.
상기와 같은 특성을 갖는 턴도금 강판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통상 내식성 향상을 위해 금속 표면처리재인 징크천용액(Surf-Zinc;무수크롬산 78.4%)을 별도로 강판 표면에 코팅시키는 과정이 부가되며, 이를 위해 징크천용액을 진행하는 강판 표면에 분사하기 위한 분사장치와 분말상태의 징크천을 용해시키고 이를 분사장치로 공급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저장탱크가 필요하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순환저장탱크는 징크천용액의 순환과정에서 미처 용해되지 않은 징크천 파우더가 분사장치로 공급됨으로써, 분사장치의 노즐을 막아 징크천용액 코팅작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즉, 종래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말상태의 징크천을 순환저장탱크(100)에 투입하여 교반기낼개(110)에 의해 용해시키게 되고, 용해된 징크천 용액이 적정 농도가 되면 공급배관(120)을 통해 모터펌프(130)에 의해 분사장치(200)내 스프레이바(210)를 통한 노즐(220)로 강판(300)에 분사시켜 코팅작업을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구조는 용액농도의 고농도 관리로 인해 미처 용해되지 않은 미세 파우더가 용액 내에 잔존하며, 침전된 파우더가 발생되어 순환저장탱크 바닥에 부착되어 있다가, 용액이 리턴되는 충격에 의해 파우더가 부유되면서 흡입공급배관으로 빨려올라가 노즐을 통해 분사되어 강판 표면에 파우더 이물 발생에 의한 형상 불량과 이물반점 표면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또한, 도 5에서와 같이 공급배관(120)의 설치위치를 순환저장탱크(100) 상부로 변경함으로써, 부유 파우더의 유출을 어느 정도 줄이도록 하였으나, 이 경우 순환저장탱크 바닥면에서 흡입공급배관 사이 간격(h)에 해당하는 공간이 불필요하게 낭비되며, 이로 인해 순환저장탱크의 설치공간이 커지고 사용되는 용액 처리에 따른 비용비담과 수질환경오염 발생의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순환저장탱크 내 용액의 레벨을 항상 일정하게 관리함으로써, 소용량으로도 원활한 용액공급이 가능하도록 된 전기도금공정의 표면처리용액 순환저장탱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우더가 흡입공급배관을 통해 배출되지 않도록 하여 제품의 품질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전기도금공정의 표면처리용액 순환저장탱크를 제공함에 또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표면처리용액 순환저장탱크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표면처리용액 순환저장탱크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순환저장탱크에서 일부분을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분 상세도,
도 5는 종래기술에 따른 전기도금공정의 표면처리용액 순환저장탱크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순환저장탱크 13 : 바닥판
14 : 벨로우즈통 16 : 상부공간
17 : 하부공간 18 : 프레임구조물
20 : 수직바 21,22,23 : 레벨감지센서
30,60 : 구동모터 31 : 교반날개
32 : 다중관 41 : 회전바
42 : 배출홀 43 : 이송스크류
44 : 드레인배관 50 : 수평축
51,77 : 베벨기어 52,53,79 : 풀리
54,80 : 밸트 70 : 원형가이드
73 : 랙바 74 : 피니언기어
75 : 구동기어 76 : 연결기어
90 : 감지편 91,92 : 상,하한감지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순환저장탱크는, 분사장치로 용액을 공급하는 흡입공급배관을 순환저장탱크 상부에 설치하고, 순환저장탱크 내부에는 용액의 레벨에 따라 체적이 가변되는 플렉시블 튜브를 설치하여 순환저장탱크 내 용액의 양에 관계없이 레벨을 항상 흡입공급배관 위쪽으로 유지하도록 함에 그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순환저장탱크 바닥면에 일정높이로 바닥판을 설치하여 순환저장탱크를 두부분으로 분리하고, 바닥판으로 침전되는 파우더를 바닥판과 순환저장탱크의 바닥면에 사이로 이동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표면처리용액 순환저장탱크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표면처리용액 순환저장탱크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순환저장탱크에서 일부분을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라 표면처리용액인 징크천용액을 도금탱크(10)로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저장탱크(10)는 일정높이의 프레임구조물(18) 위에 놓여지고 측면에 리턴배관(11)과 공급배관(12)이 설치되어 본체를 이루는 탱크(10)와, 탱크 상판 중앙에서 내부로 수직하향설치되어 탱크(10) 내부의 징크천용액을 교반시키기 위한 교반부, 탱크(10) 내부에 설치되어 징크천용액의 수위를 검출하기 위한 수위검출부, 탱크(10) 저면에 일정높이로 설치되어 탱크(10) 내부를 이단으로 분리하여 이중바닥을 이루기 위한 바닥판(13)과, 바닥판(13) 외측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배열설치되어 바닥판(13) 위에 침전되는 파우더를 바닥판(13) 밑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처리부 및, 바닥판(13) 상부 중앙에 설치되는 벨로우즈통(14)과, 탱크(10)내의 징크천용액 수위에 따라 벨로우즈통(14)을 신축시켜 용액의 수위를 일정높이로 유지시키기 위한 신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탱크(10)는 원통형 구조물(18)로 상부 일측면에는 도금탱크(10)를 거친 징크천용액이 투입되는 리턴배관(11)이 설치되고, 리턴배관(11)에서 일정거리 떨어진 탱크(10) 중간쯤에 징크천용액을 도금탱크(10)로 보내기 위한 공급배관(12)이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수위검출부는 탱크(10)의 상판 내측에서 하향설치되는 수직바(20)와, 수직바(20)의 하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다수개의 레벨감지센서(21,22,23)를 포함한다.
따라서 징크천용액의 수위에 따라 다수개의 레벨감지센서(21,22,23) 중 어느 하나의 감지센서에 징크천용액이 감지되고, 해당 감지센서의 신호에 따라 징크천용액의 수위를 검출해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교반부는 탱크(10)의 상판 중앙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구동모터(30)와, 상판 내측으로 연장되는 구동모터(30)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징크천용액 내에 장입되어 징크천용액을 교반시키기 위한 교반날개(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르면 징크천용액의 수위변동에 관계없이 교반날개(31)가 항상 징크천용액 내에 잠겨져 있도록 하기 위하여, 구동모터(30)의 회전축과 교반날개(31)의 중심축 사이에 다수개의 관으로 이루어져 신축가능한 텔레스코픽 형태의 다중관(32)을 연결설치하고, 교반날개(31)의 하단으로 연장되는 중심축은 상기 벨로우즈통(14)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설치한 구조로 한다.
상기 다중관(32)은 다각형 단면형태를 이룸에 따라 길이방향의 이동은 자유로우면서 회전은 상호 구속되어, 구동모터(30)의 회전력을 교반날개(31)에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벨로우즈통(14)이 징크천용액의 수위에 따라 승하강함에 따라 교반날개(31) 또한 다중관(32)이 신축하면서 벨로우즈통(14)과 같이 승하강하게 되어, 항상 징크천용액에 담겨져 교반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바닥판(13)은 탱크(10)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원형판으로, 탱크(10)의 바닥면 중앙에 놓여지는 지지체(15)를 매개로 탱크(10)의 바닥면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외측면은 탱크(10) 내측면과 보울트결합되어 탱크(10) 내부를 두 개의 공간(이하 각각 상부공간(16), 하부공간(17)이라 칭한다)으로 분리하게 된다.
한편, 바닥판(13)에 설치되어 바닥판(13)에 침적되는 파우더를 탱크(10) 바닥면과 바닥판(13) 사이인 하부공간(17)으로 내려보내기 위한 처리부를 살펴보면, 탱크(10) 내측벽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4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수직방향으로 내려뜨려지는 회전바(41)와, 회전바(41) 하단에 설치되고 바닥판(13)에 형성된 배출홀(42)을 관통하여 하부공간(17)으로 연장되는 이송스크류(43) 및, 회전바(41)에 연결되어 회전바(41)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바닥판(13)에 형성되는 배출홀(42)은 도 1에서와 같이 바닥판(13)을 원뿔형태로 하향경사지게 형성하고 그 중심부에 형성하게 되며, 이에 따라 바닥판(13)에 침전되는 파우더가 배출홀(42)쪽으로 원활히 모여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처리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 8개가 일정간격을 두고 탱크(10)의 내측벽을 따라 설치되며 각각의 처리부에 대응되도록 바닥판(13)에는 배출홀(42)이 형성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 (44)는 탱크(10)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하부공간(17)으로모아진 파우더를 배출처리하기 위한 드레인배관이다.
상기 구동수단은 탱크(10)의 측면을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수평축(50)과, 수평축(50) 내측 선단과 일측 회전바(41) 상단에 각각 설치되어 맞물리는 한쌍의 베벨기어(51), 각 회전바(41) 축상에 설치되는 구동풀리(52)와 피동풀리(53), 이웃하고 있는 회전바(41)의 구동풀리(52)와 피동풀리(53)간에 상호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밸트(54) 및, 상기 수평축(5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6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평축(50)에 연결되는 구동모터(60)로써, 베로우즈통(14)을 신축시키기 위한 신축수단의 구동모터(60)를 이용하게 되는 데, 구동모터(60)의 동력을 수평축(50)으로 전달하기 위한 별도의 전달기구가 필요하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상기 벨로우즈통(14)은 탱크(10) 내부에서 신축되어 자체 부피가 증감됨으로써, 순환저장탱크(10)의 용량을 가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며, 이를 위해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진 구조로 되어 바닥판(13) 중앙에 고정설치되고, 내부에는 주름을 지지하는 원형가이드(70)가 고정설치되며, 상단 중앙에는 베어링블럭(71)이 설치되어 교반날개(31)의 중심축과 연결설치된다.
또한, 상기 신축수단은 벨로우즈통(14) 내측 상부 중앙에 고정설치되어 바닥판(13)과 지지체(15)와 탱크(10) 하판을 통해 수직으로 내려뜨려지고 양 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랙(72)이 형성된 랙바(73)와, 탱크(10)가 놓여지는 프레임구조물(18) 상에 설치되어 랙바(73)의 양측 랙에 치합되는 피니언기어(74),피니언기어(74)에 치합되는 구동기어(75), 구동기어(75)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구동모터(60)의 작동에 따라 피니언기어(74)에 랙(72)으로 치합된 랙바(73)가 승하강되어 벨로우즈통(14) 상부를 밀고 당김에 따라 벨로우즈통(14)이 신축되는 것이다.
여기서 구동모터(60)의 동력을 수평축(50)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일측 피니언기어(74)에 다수개의 연결기어(76)를 맞물리고, 연결기어(76)는 한쌍의 베벨기어(77)를 통해 수평축(50)과 대응되도록 프레임구조물(18)에 수평설치된 연결축(78)과 연결하며, 연결축(78)과 수평축(50) 외측 선단에는 각각 풀리(79)를 설치하여 밸트(80)로 연결한다.
구동모터(60)의 회전력을 랙바(73)나 수평축(50)으로 전달하는 구조는 상기 언급한 것 이외에 다양한 구조들이 적용될 수 있으며 모두 본 발명의 진정한 정신에 포함된 다 할 것이다.
도 4에서 미설명된 도면부호 (81)은 랙바(73)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링으로 벨로우즈통(14) 내부를 지지하는 원형가이드(70)에 지지부재(82)를 매개로 연결설치된다.
그리고, 벨로우즈통(14)의 최대신축량을 넘어 랙바(73)가 승하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랙바(73)의 하단에는 감지편(90)을 설치하고, 벨로우즈통(14)의 최대신축범위에 대응하는 위치의 프레임구조물(18)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상기 감지편(90)을 감지하기 위한 상,하한감지센서(91,92)를 설치한다.
이에 따라 상,하한감지센서(91,92)의 감지신호에 따라 구동모터(60)의 작동이 제어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순환저장탱크(10)로 분말상태의 징크천을 투입한 후 회전하는 교반날개(31)에 의해 용해시켜 징크천용액이 적정 농도가 되면, 징크천용액은 공급배관(12)을 통해 분사장치로 공급되고, 분사장치의 분사노즐을 통해 스트립에 분사되며, 스트립 코팅후 남은 용액은 리턴배관(11)을 통해 순환저장탱크(10) 내로 재유입된다.
이러한 연속작업으로 인해 징크천용액이 계속 사용되어 순환저장탱크(10)내의 용액 수위가 낮아지게 되면 수직바(20)에 설치된 중간레벨감지센서(22)에 징크천용액의 수위가 감지되고, 상기 중간레벨감지센서(22)의 신호에 따라 프레임구조물(18)에 설치된 구동모터(60)가 작동된다.
여기서 징크천용액의 레벨이 더욱 낮아져 하한레벨감지센서(23)에 수위가 감지되면 본장치는 작동정지된다.
구동모터(60)의 작동에 따라 구동기어(75)가 회전하여 구동기어(75)에 치합되어 있는 피니언기어(74)를 회전시키게 되고, 피니언기어(74)에 랙을 매개로 연결되어 있는 랙바(73)가 피니언기어(74) 회전에 따라 위로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랙바(73)는 벨로우즈통(14)의 상부를 밀어올리게 되고, 벨로우즈통(14)은 주름져 졉혀져 있던 부분이 조금씩 펴지면서 상부가 들어올려지면서 전체적인 길이가 신장된다. 이렇게 벨로우즈통(14)이 신장됨에 따라 결과적으로 벨로우즈통(14)을 팽창시킨 효과를 얻게 된다.
이와같이 벨로우즈통(14)이 팽창됨으로써, 일정한 용량을 갖는 순환저장탱크(10)에서 징크천용액이 담기지 않는 부분은 벨로우즈통(14)이 팽창됨에 따라 순환저장탱크(10)의 가용용량은 상대적으로 줄어들게 되고, 이에 따라 순환저장탱크(10)에 담긴 징크천용액의 수위는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교반날개(31)의 중심축은 벨로우즈통(14)의 상부와 연결설치되어 있는 데, 상기와 같이 벨로우즈통(14) 상부가 위로 들어올려짐에 따라 교반날개(31)와 구동모터(60)의 회전축 사이에 설치된 다중관(32)은 외측 관 내부로 내측관이 삽입되어 들어가면서 전체적인 길이가 줄어들게 된다. 즉, 벨로우즈통(14)의 신축에 따라 다중관(32)이 신축되면서 구동모터(60)의 동력을 계속 교반날개(31)에 전달할 수 있게 되고, 교반날개(31)는 징크천용액의 수위변동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깊이로 징크천용액에 담겨져 교반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구동모터(60)의 회전력은 피니언기어(74)에 맞물려 있는 다수개의 연결기어(76)와 베벨기어(77)를 통해 연결축(78)으로 전달되고 풀리(79)와 밸트(80)를 통해 수평축(50)에 전달되어 최종적으로, 수평축(50)과 회전바(41)에 설치된 베벨기어(51)를 통해 회전바(41)로 전달되어 회전바(41)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수평축(50)에 연결된 회전바(41)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바(41)에 인접해 있는 다음 회전바(41)가 풀리(52,53)와 밸트(54)를 매개로 동시에 회전하게 되고 다음 회전바(41)도 마찬가지로 풀리(52,53)와 밸트(54)를 통해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이와같이 각 회전바(41)가 회전하여 그 하단에 설치된 이송스크류(43)를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바닥판(13)에 침전된 파우더가 이송스크류(43)의 회전에 따라 배출홀(42)을 통해 하부공간(17)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스크류(43) 회전과 더불어 벨로우즈통(14)의 이동이 있게 되어 용액 순환변화에 의한 침전 파우더에 충격이 가해져 이송스크류(43) 회전에 의한 파우더 이송작업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의 작업이 계속되어 낮아지는 순환저장탱크(10) 내의 징크천용액 수위에 맞춰 벨로우즈통(14)의 신장이 계속되면, 결국 랙바(73)가 계속 상승하여 벨로우즈통(14)의 최대 신장량에 도달하게 되고 이때 랙바(73) 하단에 설치된 감지편(90)이 상한감지센서(91)에 감지된다.
상한감지센서(91)의 감지신호가 인가되면 작업자는 작업완료 또는 요액 재투입작업을 선택하여 다음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요액 재투입작업에 들어가게 되면 구동모터(60)는 후진작동하여 랙바(73)를 하강시킴으로서, 랙바(73)에 설치된 벨로우즈통(14)을 수축하여 부피를 최소화시키게 되고, 작업완료를 선택하게 되면 드레인배관(44)이 개방작동되어 파우더를 포함한 잔류용액을 드레인하여 폐수처리작업을 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도금공정의 표면처리용액 순환저장탱크에 의하면, 순환저장탱크의 용량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게 되어 소용량으로도 원활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파우더 제거작업을 용이하게 하여 제거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분사장치로 공급되는 용액 내에 파우더가 포함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냉연제품의 형상불량 발생을 방지하여 제품의 품질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폐수발생을 줄여 폐수처리비용 및 수질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일정높이의 프레임구조물 위에 놓여지고 측면에 리턴배관과 공급배관이 설치되어 본체를 이루는 탱크와,
    탱크 상판 중앙에서 내부로 수직하향설치되어 탱크 내부의 징크천용액을 교반시키기 위한 교반부,
    탱크 내부에 설치되어 징크천용액의 수위를 검출하기 위한 수위검출부,
    탱크 저면에 일정높이로 설치되어 탱크 내부를 이단으로 분리하여 이중바닥을 이루기 위한 바닥판과, 바닥판 외측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배열설치되어 바닥판 위에 침전되는 파우더를 바닥판 밑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처리부,
    바닥판 상부 중앙에 설치되고 신축가능한 구조로 된 벨로우즈통과, 탱크내의 징크천용액 수위에 따라 벨로우즈통을 신축시켜 용액의 수위를 일정높이로 유지시키기 위한 신축수단
    을 포함하는 전기도금공정의 표면처리용액 순환저장탱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부는 탱크의 상판 중앙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판 내측으로 연장되는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연결설치되는 텔레스코픽 형태의 다중관, 다중관의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벨로우즈통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어 징크천용액을 교반시키기 위한 교반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도금공정의 표면처리용액 순환저장탱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탱크 내측벽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수직방향으로 내려뜨려지는 회전바와, 회전바 하단에 설치되고 바닥판에 형성된 배출홀을 관통하여 바닥판 하부로 연장되는 이송스크류 및, 회전바에 연결되어 회전바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도금공정의 표면처리용액 순환저장탱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수단은 벨로우즈통 내측 상부 중앙에 고정설치되어 바닥판과 지지체와 탱크 하판을 통해 수직으로 내려뜨려지고 양 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랙이 형성된 랙바와, 탱크가 놓여지는 프레임구조물 상에 설치되어 랙바의 양측 랙에 치합되는 피니언기어, 피니언기어에 치합되는 구동기어, 구동기어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도금공정의 표면처리용액 순환저장탱크.
KR1020010049640A 2001-08-17 2001-08-17 전기도금공정의 표면처리용액 순환저장탱크 KR100752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9640A KR100752121B1 (ko) 2001-08-17 2001-08-17 전기도금공정의 표면처리용액 순환저장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9640A KR100752121B1 (ko) 2001-08-17 2001-08-17 전기도금공정의 표면처리용액 순환저장탱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5744A true KR20030015744A (ko) 2003-02-25
KR100752121B1 KR100752121B1 (ko) 2007-08-24

Family

ID=27719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9640A KR100752121B1 (ko) 2001-08-17 2001-08-17 전기도금공정의 표면처리용액 순환저장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212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303261C (zh) * 2003-06-06 2007-03-07 株式会社山本镀金试验器 液槽
CN113564681A (zh) * 2021-07-30 2021-10-29 湖州金久金属表面处理有限公司 一种用于立体金属工件的电镀工艺及装置
CN114132986A (zh) * 2021-11-26 2022-03-04 游凌云 一种基于活性炭的重金属废水处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25260A (ja) * 1990-01-31 1991-10-04 Hitachi Ltd レーザラマン分光光度計
JPH03274250A (ja) * 1990-03-23 1991-12-05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子機器用銅合金の溶融めっき方法
JPH03287319A (ja) * 1990-04-05 1991-12-18 Fanuc Ltd 放電加工槽の液面レベル調整装置
JPH07265609A (ja) * 1994-04-01 1995-10-17 Fuji Oozx Inc 沈殿槽における沈降スラッジ量測定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303261C (zh) * 2003-06-06 2007-03-07 株式会社山本镀金试验器 液槽
CN113564681A (zh) * 2021-07-30 2021-10-29 湖州金久金属表面处理有限公司 一种用于立体金属工件的电镀工艺及装置
CN113564681B (zh) * 2021-07-30 2023-12-12 湖州金久金属表面处理有限公司 一种用于立体金属工件的电镀工艺及装置
CN114132986A (zh) * 2021-11-26 2022-03-04 游凌云 一种基于活性炭的重金属废水处理装置
CN114132986B (zh) * 2021-11-26 2024-04-12 成都市彰华净化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活性炭的重金属废水处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2121B1 (ko) 2007-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73301A (en) Liquid treatment of small articles
CN113767184A (zh) 用于在钢板热浸镀锌工艺中从熔融金属表面去除杂质的装置
CN110252117B (zh) 一种工业烟气脱硫净化系统及其脱硫净化方法
CN106892250B (zh) 一种滚镀生产线
KR100752121B1 (ko) 전기도금공정의 표면처리용액 순환저장탱크
CN211989426U (zh) 一种汽车零件浸泡防锈油装置
CN210065939U (zh) 一种无缝不锈钢管酸洗装置
KR100564946B1 (ko) 전기 도금 장치
CN209974905U (zh) 一种五金件镀锌前除油及酸洗设备
CN110699623A (zh) 一种镀锌管生产溶剂处理装置
CN217094645U (zh) 基于钣金件表面处理设备
KR100825583B1 (ko) 탱크내의 침전파우더 용해장치
CN216064522U (zh) 一种钢板酸洗用清洗装置
CN211964840U (zh) 一种催化剂浸渍自动加液装置
KR100833023B1 (ko) 도금 용액의 높이에 따라서 상하로 이동가능한 침적염화칼륨 용해장치
CN114790073A (zh) 一种循环式玻璃生产用原料除杂设备
CN114833131A (zh) 一种自动化微纳米气泡清洗设备
CN217755097U (zh) 一种废水回收槽
CN116871241B (zh) 一种氯化钡原料矿石洗涤装置
CN201161928Y (zh) 导板输送浸没式冷却滚筒
CN209901929U (zh) 一种全自动土壤清洗系统
KR100887074B1 (ko) 코팅액의 적정사용이 가능한 도금강판 유기피복용드립팬의 코팅액 공급장치
CN220936661U (zh) 一种脱水蔬菜清洗装置
CN208898857U (zh) 一种自动翻醅装置
CN214521005U (zh) 一种搅拌机出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