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5153A - 패킷 통신 시스템, 패킷 전송 경로 관리 장치 및 패킷전송 경로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패킷 통신 시스템, 패킷 전송 경로 관리 장치 및 패킷전송 경로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5153A
KR20030015153A KR1020020047919A KR20020047919A KR20030015153A KR 20030015153 A KR20030015153 A KR 20030015153A KR 1020020047919 A KR1020020047919 A KR 1020020047919A KR 20020047919 A KR20020047919 A KR 20020047919A KR 20030015153 A KR20030015153 A KR 20030015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ress
registration
packet
home
co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7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1384B1 (ko
Inventor
오마에코지
이케다타케히로
우메다나루미
오카지마이치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030015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5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1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13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04W60/04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using triggered ev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2Brokering proxy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3Data redirection of data network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 H04W40/248Connectivity information upd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34Modification of an existing route
    • H04W40/36Modification of an existing route due to hando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4Registration at HLR or HSS [Home Subscriber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4Network layer protocols, e.g. mobile IP [Internet Protoc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05Data network PoA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04W88/182Network node acting on behalf of an other network entity, e.g. prox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이동 노드가 이동할 때에 있어서의 패킷 손실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한 패킷 통신 시스템, 패킷 전송 경로 관리 장치 및 패킷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패킷 통신 시스템은 이동 노드에 홈 링크 및 홈 주소를 제공하는 홈 중개기와 이동노드가 대응하는 외부 링크로 이동했을 때 이동 노드로 외부 링크와 CoA 주소를 각각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액세스 라우터, 이동 노드와 홈 중개기 사이의 수신지 또는 이동 노드가 위치하는 모든 대응하는 상대 노드로 패킷을 중계하는 하나 이상의 이동 지원 라우터를 구비한다. 이동 노드가 새로운 외부 링크로 이동했을 때, 대응하는 액세스 라우터는 홈 중개기 및/또는 대응하는 상대 노드로 등록요구를 전송한다. 수신지로 진행하고 있는 등록 요구를 취득하면, 각각의 이동 지원 라우터는 등록요구에 포함된 이동 노드의 홈 주소와 CoA 주소를 갖는 등록을 저장하고, CoA 주소를 그 자신의 주소로 변경하여 새로운 등록요구를 생성하여 전송한다. 등록에 기록된 홈주소로 주소 설정된 패킷을 수신하면, 이동 지원 라우터는 이 패킷을 캡슐화하여 터넬링 패킷을 생성하고, 터넬링 패킷을 홈 주소와 결합하여 등록에 기록된 CoA 주소로 중계함으로써, 데이터 패킷을 수신지에 정확하게 전송할 수 있다.

Description

패킷 통신 시스템, 패킷 전송 경로 관리 장치 및 패킷 전송 경로 관리 방법{PACKET COMMUNICATION SYSTEM, PACKET TRANSMISSION ROUTE MANAGEMENT APPARATUS, AND PACKET TRANSMISSION ROUTE MANAGEMENT METHOD}
본 발명은 이동 노드로의 패킷 전송을 하는 패킷 통신 시스템 및 이 패킷 전송 시스템에서 이동 노드로의 패킷의 전송 경로를 관리하는 패킷 전송 경로 관리 장치 및 패킷 전송 경로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9는 종래의 패킷 통신 네트워크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 도의 패킷 통신 네트워크(200) 내의 구름 모양(220)은 복수의 노드와 링크에 의해 구성되는 임의의위상 토폴로지(topology)를 갖는 네트워크이다. 구름 모양(220) 내에 존재하는 노드인 라우터는 OSPF(Open Shortest Path First) 등의 경로 제어 프로토콜의 작용에 의해 링크와 노드의 접속 형태를 경로 정보로서 보유하고 있다. 라우터는 자기 노드 앞으로 이외의 패킷을 수신지 노드가 존재하는 방면으로 정확하게 전송할 수 있다.
IPv4의 주소 체계에 기초하여, 이와 같이 패킷을 라우팅 하는 이 구름 모양(220)을, 이하, IPv4 패킷 통신 시스템(220)이라 칭한다. 도 19에 있어서, MH(210)는, 어떤 링크로부터 어떤 링크로 이동하면서 타 노드와 통신을 하는 노드(이동 노드)이다. 또, IPv4 패킷 통신 시스템(220) 내의 HA(Home Agent)(230)는 MH(210)에 대해 홈 링크(231)를 제공하는 노드이다. 또, IPv4 패킷 통신 시스템(220) 내의 AR(Access Router)(240-1∼240-4)(이하, 이들 AR(240-1∼240-4)를 종합하여 적당히 「AR(240)」라고 칭한다)는, 외부 중개기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MH(210)에 대해 접속 가능한 외부 링크 (241-1∼241-4)(이하, 이들 외부 링크 (241-1∼241-4)를 정리해 적당히 「외부 링크(241)」라고 칭한다)를 제공하는 노드이다. 또한, CN(통신 상대 노드)(250)은 MH(210)와 통신을 하는 노드이다.
이하, 도 20을 참조하면서 종래의 패킷 통신 네트워크의 동작을 설명한다. MH(210)는 홈 링크(231)에서 사용하는 홈 주소(여기에서는 「10. 0. 0. 3」)를 보유한다.
도 20에 나타내듯이, MH(210)가 AR(240-1)에 의해 제공되는 외부 링크(241-1)에 존재하는 경우, AR(240-1)의 외부 중개기 기능은 외부 링크(241-1)에 존재하는 외부 중개기인 MH(210)에 대해 CoA(Care of Address)인 자신의 주소 「11. 0. 0. 1」을 준다(순서 1).
CoA를 취득한 MH(210)는 AR(240-1)에 대해 전송 경로 관리 패킷인 RR(Registration Request)를 HA(230)에 송신하도록 요구한다(순서 2). 도 21에 나타내듯이, RR는 MH(210)의 홈 주소 「10. 0. 0. 3」과 CoA인 AR(240-1)의 주소 「11. 0. 0. 1」을 대응시킨 정보(binding)를 포함하고 있고, MH(210)가 외부 링크(241) 간을 이동함으로써, MH(210)로의 전송 경로가 변경된 것을 HA(230)에 통지하는 역할을 완수한다. AR(240-1)의 외부 중개기 기능은 MH(210)로부터 송신 요구를 받으면 이 RR를 HA(230)에 송신한다(순서 3).
HA(230)는 AR(240-1)으로부터의 RR를 수신하면, 이 RR에 포함되는 홈 주소 「10. 0. 0. 3」과 CoA인 AR(240-1)의 주소 「11. 0. 0. 1」을 캐쉬(cache)에 등록한다(순서 4).
CN(250)가 MH(210)의 홈 주소 「10. 0. 0. 3」 앞으로로 도 22에 나타내는 패킷을 송신하면, 이 패킷은 IPv4 패킷 통신 시스템(220) 내의 라우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HA(230)에 도착된다(순서 5).
HA(230)는 수신한 패킷의 수신지 주소 「10. 0. 0. 3」이 등록되어 있는 주소이기 때문에, MH(210) 대신에 패킷을 수신하고, 그 수신지 주소에 대응하여 등록되어 있는 CoA인 AR(240-1)의 주소 「11. 0. 0. 1」을 수신지로 하는 패킷을 생성하고, 도 23에 나타내듯이, 그 페이로드(payload)부에 수신한 패킷을 집어넣는다. 이와 같이, 어떤 패킷의 페이로드부에 다른 패킷을 집어넣는 수법을터넬링(tunneling)이라 부르고, 그러한 패킷을 터넬링 패킷이라 부른다. HA(230)에 의해 생성된 터넬링 패킷은 IPv4 패킷 통신 시스템(220) 내의 라우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AR(240-1)에 도착된다(순서 6).
AR(240-1)의 외부 중개기 기능은, 자신 앞으로의 터넬링 패킷을 수신하면, 해당 터넬링 패킷의 페이로드부로부터 패킷을 꺼내, MH(210)의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를 수신지로 한 링크 레이어((link layer) 헤더(header)를 부가하고, MH(210)에 송신한다(순서 7).
그런데, MH(210)는 외부 링크(241-1)에 있어서 자신 앞으로의 패킷을 수신한 경우, 해당 패킷의 송신원인 CN(250)에 대해 RR를 송신할 수 있다(순서 8).
CN(250)는 RR를 수신하면, 이 RR에 포함되는 홈 주소 「10. 0. 0. 3」과 CoA인 AR(240-1)의 주소 「11. 0. 0. 1」을 등록한다(순서 9). 그 후, CN(250)는 MH(210)의 홈 주소 「10. 0. 0. 3」 앞으로로 패킷을 송신하는 경우에는, 수신지를 CoA인 AR(240-1)의 주소 「11. 0. 0. 1」로 하는 헤더로 그 패킷을 터넬링하고, 터넬링 패킷을 AR(240-1)에 송신한다(순서 10).
AR(240-1)의 외부 중개기 기능은, 순서 7과 같이 자신 앞으로의 터넬링 패킷을 수신하면, 해당 터넬링 패킷의 페이로드부로부터 패킷을 꺼내어 MH(210)의 MAC 주소를 수신지로 하는 링크 레이어(link layer) 헤더를 부가하고 MH(210)에 송신한다(순서 11).
이와 같이, CN(250)로부터 HA(230)를 개재하지 않고 AR(240-1)에 직접 터넬링 패킷을 전송하는 방법을 경로 최적화라 부른다.
이후, MH(210), 외부 링크(241)를 이동하여 새로운 CoA를 얻을 때마다 AR(240) 경유로 홈 주소와 CoA를 HA(230) 및 CN(250)에 통지한다. HM(220)의 이 동작에 의해 CN(250)가 송신한 패킷은 외부 링크(241)에 존재하는 MH(210)에 도착된다.
그렇지만, 상술한 종래의 패킷 통신 시스템(220)에서는, MH(210)가 HA(230)또는 CN(250)로부터 멀리 떨어진 외부 링크(241) 간을 이동하면, 패킷 손실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MH(210)가 외부 링크(241) 간을 이동하면, 이동처의 외부 링크(241)를 제공하는 AR(240)로부터 송신된 RR가 HA(230) 또는 CN(250)에 도달하기 전에 HA(230) 또는 CN(250)로부터 송신된 패킷은, 이동전의 MH(210)가 존재하고 있던 외부 링크(241)를 제공하는 AR(240)에 도달하기 때문에, 이동처의 외부 링크(241)에 존재하는 MH(210)에는 도착되지 않고, 패킷 손실이 생긴다.
본 발명은 종래의 패킷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고, 그 목적은 이동 노드가 외부 링크 사이에서 이동할 때 발생된 원치 않는 패킷 손실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한 패킷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패킷 손실을 방지하는 패킷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전송 경로를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a) 이동 노드에 홈 링크와 홈주소를 제공하는 홈 중개기; (b) 상기 이동노드가 대응하는 외부 링크로 이동했을 때, 상기 이동 노드에 외부 링크와 CoA 주소를 각각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액세스 라우터; 및 (c) 상기 이동 노드와 상기 홈 중개기 사이의 수신지 또는 이동 노드가 위치하는 모든 대응하는 상대 노드로 패킷을 중계하는 하나 이상의 이동 지원 라우터를 구비한다. 상기 이동 지원 라우터는 상기 이동 노드가 제 1외부 링크로 이동하였을 때, 상기 홈 중개기 및/또는 상기 대응하는 상대 노드로 주소 설정된 제 1등록요구를 취득하고, 상기 취득된 제 1등록요구에 포함된 이동 노드의 홈 주소와 CoA 주소를 갖는 제 1등록을 저장하고, CoA 주소를 그 자신의 주소로 변경하여 제 1등록요구를 갱신하고 홈 중개기 및/또는 대응하는 상대 노드로 갱신된 등록 요구를 통과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동 지원 라우터가 그 홈 주소가 제 1등록에 포함되어 있는 이동 노드로 주소 설정된 데이터 패킷을 취득할 때, 상기 이동 지원 라우터가 데이터 패킷을 캡슐화하여 터넬링 패킷을 생성하고, 홈주소와 결합된 제 1등록에 기록된 CoA 주소로 상기 터넬링 패킷을 전송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데이터 패킷은 이동 노드가 위치하는 어느 곳이든지 이동 지원 라우터를 통하여 이동 노드에 정확하게 전송된다.
상기 이동 지원 라우터가 등록 요구, 이동 지원 라우터 자신에게 주소 설정된 데이터 패킷 및 제 1등록에 포함된 수신지 주소를 갖는 패킷이 아닌 패킷을 취득하면, 상기 이동 지원 라우터는 상기 취득된 패킷에 대하여 통상의 라우팅 동작을 행한다.
상기 이동 노드가 제 2외부 링크로 이동했을 때 상기 이동 지원 라우터가 홈 중개기 및/또는 대응하는 상대 노드로 주소 설정된 제 2등록 요구를 또한 취득한다. 이 경우, 이동 지원 라우터는 제 1등록에 기록된 CoA 주소를 제 2등록 요구에 포함된 새로운 CoA 주소로 변화시킴으로써 제 1등록을 갱신한다.
갱신된 CoA 주소는 이동 노드가 어디로 이동하든지 제 1등록에 기록되기 때문에, 이동 노드로 주소 설정된 데이터 패킷은 이동 노드로 정확하게 전송된다.
제 1등록의 CoA 주소가 새로운 CoA 주소로 갱신될 때, 상기 이동 지원 라우터는 제 1등록에 미리 기록된 CoA 주소로 주소 설정된 소거 요구를 생성하여 전송한다.
상기 이동 지원 라우터는 제 2외부 링크로 이동한 이동 노드의 홈 주소를 포함하는 소거요구를 또한 수신한다. 이 경우, 상기 이동 지원 라우터는 그 홈 주소를 갖는 제 1등록을 소거하고, 홈 주소와 결합하여 상기 소거된 제 1등록에 기록된 CoA 주소로 주소 설정된 새로운 소거 요구를 생성하여 전송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성에서, 패킷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패킷 전송 경로 관리장치가 사용된다. 이러한 패킷 통신 시스템은 이동 노드에 홈 링크 및 홈 주소를 제공하는 홈 중개기와 상기 이동노드가 대응하는 외부 링크로 이동했을 때 상기 이동 노드로 외부 링크와 CoA 주소를 각각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액세스 라우터를 포함한다. 이 패킷 전송 경고 관리장치는 (a)상기 이동 노드가 제 1외부 링크로 이동했을 때 홈 중개기 및/또는 대응하는 상대 노드로 주소 설정된 제 1등록 요구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패킷 취득부; (b)취득된 제 1등록요구에 포함된 이동 노드의 홈 주소와 CoA를 갖는 제 1등록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제 1등록 저장부; 및(c) CoA를 그 자신의 주소로 변경함으로써 제 1등록요구를 갱신하고, 홈 중개기및/또는 대응하는 상대 노드에 대하여 갱신된 제 1등록 요구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등록요구 중계부를 구비한다.
패킷 전송 경로 관리장치는 (d) 패킷 전송부를 또한 구비한다. 홈 주소가 상기 제 1등록에 기록된 이동 노드로 주소 설정된 데이터 패킷을 취득할 때, 패킷 전송부는 데이터 패킷을 캡슐화하여 터넬링 패킷을 생성하고, 터넬링 패킷을 홈 주소와 결합하여 상기 제 1등록에 기록된 CoA 주소에 전송한다.
상기 패킷 취득부가 등록 요구도 아니고, 이동 지원 라우터 자신에게 주소 설정된 데이터 패킷도 아니고, 제 1등록에 포함된 수신지 주소를 갖는 패킷도 아닌 패킷을 취득할 때, 상기 패킷 전송부는 취득된 패킷에 대하여 통상의 라우팅 동작을 행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데이터 패킷은 이동 노드가 위치하는 어느 곳이든 이동 노드에 정확하게 중계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서, 패킷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전송 경로를 관리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러한 시스템은 이동 노드에 홈 링크 및 홈 주소를 제공하는 홈 중개기와 상기 이동노드가 대응하는 외부 링크로 이동했을 때 상기 이동 노드로 외부 링크와 CoA 주소를 각각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액세스 라우터를 포함한다. 이 방법은 (a) 상기 홈중개기와 상기 액세스 라우터 사이에 이동 지원 라우터를 설정하고; (b) 상기 이동 지원 라우터에서, 상기 이동 노드가 제 1외부 링크로 이동했을 때 제 1액세스 라우터에 의해 생성되고 홈 중개기 및/또는 대응하는 상대 노드로 주소 설정된 제 1등록 요구를 취득하고; (c) 상기 이동 지원 라우터에서, 취득된 제 1등록요구에 포함된 이동 노드의 홈 주소와 CoA 주소를 갖는 제 1등록을 저장하고; 그리고 (d) 상기 이동 지원 라우터에서, CoA를 그 자신의 주소로 변경함으로써 제 1등록요구를 갱신하고, 홈 중개기 및/또는 대응하는 상대 노드에 대하여 갱신된 제 1등록 요구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법은 (e)상기 이동 지원 라우터에서, 이동 노드로 주소 설정되고, 이동 노드의 홈 주소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취득하고; (f) 상기 이동 지원 라우터에서 저장된 임의의 제 1등록이 상기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동일한 홈주소를 갖고 있는지 아닌지 판단하고; (g) 상기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동일한 홈주소를 갖는 제 1등록이 있으면, 데이터 패킷을 캡슐화하여 터넬링 패킷을 생성하고; 그리고 (h) 터넬링 패킷을 상기 데이터 패킷의 홈 주소와 결합하여 상기 제 1등록에 기록된 CoA 주소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데이터 패킷은 상당히 감소된 패킷 손실로 이동 노드가 존재하는 어느 곳이든 이동 노드에 정확하게 전달된다.
이 방법은 (i) 상기 이동 지원 라우터에서 패킷을 취득하고; (j) 상기 패킷이 등록 요구인지, 이동 지원 라우터 자신에게 주소 설정된 데이터 패킷인지, 상기 제 1등록에 포함된 수신지 주소를 갖는 패킷인지 판단하고; 그리고 (k) 만약 상기 패킷이 등록 요구도 아니고, 이동 지원 라우터 자신에게 주소 설정된 데이터 패킷도 아니고, 상기 제 1등록에 포함된 수신지 주소를 갖는 패킷도 아니면, 통상의 라우팅 동작을 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련된 패킷 통신 네트워크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전송 경로 관리 패킷을 전송할 때의 패킷 통신 네트워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송 경로 관리 패킷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CN로부터의 패킷을 MH에 전송할 때의 패킷 통신 네트워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5는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정보 패킷 및 전송용 패킷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경로 최적화(route optimization)를 적용할 때의 패킷 통신 네트워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7은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CN가 HA를 향해 송신한 정보 패킷이 홈 주소가 포함한 등록을 갖는 MSR를 통과할 때의 패킷 통신 네트워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8은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MH가 외부 링크를 이동할 때의 패킷 통신 네트워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9는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MH가 외부 링크를 또 이동할 때의 패킷 통신 네트워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0은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MSR의 상세한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MSR의 상세한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의 다른 예이다.
도 12는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전송 경로 관리 패킷을 전송할 때의 패킷 통신 네트워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3은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송 경로 관리 패킷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4는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송 경로 관리 패킷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5는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MH가 외부 링크를 이동할 때의 패킷 통신 네트워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6은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경로 소거 요구 패킷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7은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MSR의 상세한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8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9는 종래의 패킷 통신 네트워크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0은 종래의 패킷 통신 네트워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21은 종래의 전송 경로 관리 패킷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2는 종래의 홈 주소 앞으로의 패킷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3은 종래의 터넬링 패킷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패킷 통신 네트워크
110 이동 노드(HM)
120 IPv4 통신 시스템
130 홈 중개기(HA : Home Agent)
140-1∼140-4 액세스 라우터(AR : Access Router)
150-1∼150-6 이동 지원 라우터(MSR : Moving Support Router)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련된 패킷 통신 네트워크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 도의 패킷 통신 네트워크(100) 내의 구름 모양(120)은 IPv4의 주소 체계에 기초하여 패킷을 라우팅 하는 IPv4 통신 시스템(120)이다.
도 1에 있어서, MH(110)는 어떤 링크로부터 어떤 링크로 이동하면서 타 노드와 통신을 하는 노드(이동 노드)이다. 또, IPv4 패킷 통신 시스템(120) 내의 HA(Home Agent : 홈 중개기)(130)은 MH(110)에 대해 홈 링크(131)를 제공하는 노드이다. 또, IPv4 패킷 통신 시스템(120) 내의 AR(Access Router : 액세스 라우터)(140-1∼140-4)(이하, 이들 AR(140-1∼140-4)를 종합하여 적당히 「AR(140)」라고 칭한다)는 외부 중개기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MH(110)에 대해 접속 가능한 외부 링크(141-1∼141-4)(이하, 이들 외부 링크(141-1∼141-4)를 종합하여 적당히 「외부 링크(141)」라고 칭한다)를 제공하는 노드이다. 또, IPv4 패킷 통신 시스템(120)내의 패킷 전송 경로 관리 장치로서의 MSR(Moving Support Router : 이동 지원 라우터)(150-1∼150-6)(이하, 이들 MSR(150-1∼150-6)을 종합하여 적당히 「MSR(150)」라고 칭한다)은 MH(110)에의 패킷의 전송 경로를 관리하는 노드이다. 또한, CN(통신 상대 노드)(160)은 MH(110)와 통신을 하는 노드이다.
이하, MSR(150)에 있어서, 전송 경로 관리 패킷 내의 홈 주소와 CoA를 대응시킨 등록을 기억하고 갱신하는 제 1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2를 참조하면서,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전송 경로 관리 패킷을 전송할 때의 패킷 통신 네트워크(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MH(110)는 홈 링크(131)에서 사용하는 홈 주소(여기에서는 「10. 0. 0. 3」)를 보유한다.
MH(110)가 HA(130)에 의해 제공되는 홈 링크(131)를 떠나 AR(140-1)에 의해 제공되는 외부 링크(141-1)로 이동하면(순서 1), AR(140-1)의 외부 중개기 기능은 외부 링크(141-1)에 존재하는 외부 중개기인 MH(110)에 대해 CoA로서의 자신의 주소 「11. 0. 0. 1」을 준다(순서 2).
CoA를 취득한 MH(110)는 AR(140-1)에 대해 홈 주소 및 HA(130)의 주소 「10. 0. 0. 1」을 송출함과 동시에 또한 MH(110)로의 패킷의 전송 경로의 변경을 통지하는 전송 경로 관리 패킷인 RR(Registration Request)를 HA(130)에 송신하도록 요구한다(순서 3). AR(140-1)의 외부 중개기 기능은 MH(110)로부터 송신 요구를 받으면 RR를 생성하여 HA(130)에 송신한다(순서 4).
RR는 MH(110)가 외부 링크(141) 간을 이동함으로써 MH(110)으로의 전송 경로가 변경된 것을 HA(130)나 MSR(150)에 통지하는 역할을 완수한다. 도 3(a)에 나타내듯이, AR(140-1)으로부터 송신되는 RR(RR1)는 MH(110)의 홈 주소 「10. 0. 0. 3」과 CoA인 AR(140-1)의 주소 「11. 0. 0. 1」을 대응시킨 정보(binding)를 포함하고, AR(140-1)의 주소 「11. 0. 0. 1」을 전송원 주소, HA(130)의 주소 「10. 0. 0. 1」을 수신지 주소로 하는 패킷이다.
MSR(150-3)은 AR(140-1)으로부터 송신되는 RR1을 취득하면, 이 RR1 내의 홈 주소 「10. 0. 0. 3」과 CoA인 AR(140-1)의 주소 「11. 0. 0. 1」을 대응시킨 등록을 내장하는 캐쉬(도시하지 않음)에 기억함과 동시에 또한 그 등록의 생존시간을 리셋 한다.
다음에, MSR(150-3)은, 도 3(b)에 나타내듯이, RR1 내의 CoA인 AR(140-1)의 주소 「11. 0. 0. 1」을 자신의 주소 「33. 0. 0. 1」로 설정함과 동시에 또한 전송원 주소인 AR(140-1)의 주소 「11. 0. 0. 1」을 자신의 주소 「33. 0. 0. 1」로 설정한 RR2를 생성하고 이 RR2를 전송한다(순서 5).
MSR(150-2)에 있어서도 MSR(150-3)과 같은 동작을 한다. 즉, MSR(150-2)는 MSR(150-3)으로부터 전송되는 RR2를 취득하면, 이 RR2 내의 홈 주소 「10. 0. 0. 3」과 CoA인 MSR(150-3)의 주소 「33. 0. 0. 1」을 대응시킨 등록을 내장하는 캐쉬(도시하지 않음)에 기억함과 동시에 또한 그 등록의 생존시간을 리셋 한다.
다음에, MSR(150-2)는, 도 3(c)에 나타내듯이, RR2내의 CoA인 MSR(150-3)의 주소 「33. 0. 0. 1」을 자신의 주소 「32. 0. 0. 1」로 설정함과 동시에 또한 전송원 주소인 MSR(150-3)의 주소 「33. 0. 0. 1」을 자신의 주소 「32. 0. 0. 1」로 설정한 RR3를 생성하고 이 RR3를 전송한다(순서 6).
또한, MSR(150-1)에 있어서도 MSR(150-2) 및 MSR(150-3)과 같은 동작을 한다. 즉, MSR(150-1)은 MSR(150-2)로부터 전송되는 RR3를 취득하면, 이 RR3 내의 홈 주소 「10. 0. 0. 3」과 CoA인 MSR(150-2)의 주소 「32. 0. 0. 1」을 대응시킨 등록을 내장하는 캐쉬(도시하지 않음)에 기억함과 동시에 또한 그 등록의 생존시간을 리셋 한다.
다음에, MSR(150-1)은, 도 3(d)에 나타내듯이, RR3내의 CoA인 MSR(150-2)의 주소 「32. 0. 0. 1」을 자신의 주소 「31. 0. 0. 1」로 설정함과 동시에 또한 전송원 주소인 MSR(150-2)의 주소 「32. 0. 0. 1」을 자신의 주소 「31. 0. 0. 1」로설정한 RR4를 생성하고 이 RR4를 전송한다(순서 7).
HA(130)는 RR4를 수신하면, 모바일(mobile) IPv4의 홈 중개기로서 RR4 내의 홈 주소 「10. 0. 0. 3」과 CoA인 MSR(150-1)의 주소 「31. 0. 0. 1」을 대응시킨 등록을 내장하는 캐쉬(도시하지 않음)에 기억한다(순서 8). 이와 같이 하여, AR(140-1)로부터 송신된 RR는 MSR(150)에 의해 홈 주소와 CoA를 대응시킨 등록이 기억됨과 동시에 또한 CoA가 차례차례 갱신되면서 HA(130)에 도착된다.
다음에, 도 4를 참조하면서,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CN(160)으로부터의 패킷을 MH(110)에 전송할 때의 패킷 통신 네트워크(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도 2에 나타낸 순서에 의해, HA(130)에는 홈 주소 「10. 0. 0. 3」과 MSR(150-1)의 주소 「31. 0. 0. 1」이 대응되어진 등록, MSR(150-1)에는 홈 주소 「10. 0. 0. 3」과 MSR(150-2)의 주소 「32. 0. 0. 1」이 대응되어진 등록, MSR(150-2)에는 홈 주소 「10. 0. 0. 3」과 MSR(150-3)의 주소 「33. 0. 0. 1」이 대응되어진 등록, MSR(150-3)에는 홈 주소 「10. 0. 0. 3」과 MSR(150-4)의 주소 「34. 0. 0. 1」이 대응되어진 등록, MSR(150-4)에는 홈 주소 「10. 0. 0. 3」과 CoA 「11. 0. 0. 1」이 대응되어진 등록이 각각 기억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CN(160)는, 도 5(a)에 나타내듯이, 홈 주소를 수신지로 하는 정보 패킷(DP)을 송신한다. 이 DP는 통상의 라우팅에 의해 HA(130)에 도달한다(순서 1). DP를 수신한 HA(130)는 캐쉬에 기억한 등록을 검색한다. HA(130)는 검색의 결과, 수신한 DP의 수신지인 홈 주소에 대응되어진 CoA인 MSR(150-1)의 주소 「31. 0. 0. 1」을 찾아내면, 도 5(b)에 나타내듯이, DP를 포함(capsuling)하고, MSR(150-1)의 주소「31. 0. 0. 1」을 수신지로 하는 전송용 패킷(TP1)을 생성하고 송신한다(순서 2).
MSR(150-1)은 이 TP1을 취득하면, 이 TP1에 포함된 DP를 추출(decapsuling)한다. 다음에, MSR(150-1)은 추출한 DP의 수신지인 홈 주소를 키(key)로서 캐쉬에 기억한 등록을 검색하고, DP의 수신지인 홈 주소에 대응되어진 CoA인 MSR(150-2)의 주소 「32. 0. 0. 1」을 찾아내면, 도 5(c)에 나타내듯이, DP를 포함하고, 수신지를 MSR(150-2)의 주소 「32. 0. 0. 1」로 설정한 전송용 패킷(TP2)을 생성하고 송신한다(순서 3).
MSR(150-2)에 있어서도 MSR(150-1)과 같은 동작을 한다. 즉, MSR(150-2)는 TP2를 취득하면, 이 TP2에 포함된 DP를 추출한다. 다음에, MSR(150-2)는 추출한 DP의 수신지인 홈 주소를 키로서 캐쉬에 기억한 등록을 검색하고, DP의 수신지인 홈 주소에 대응되어진 CoA인 MSR(150-3)의 주소 「33. 0. 0. 1」을 찾아내면, 도 5(d)에 나타내듯이, DP를 포함하고, 수신지를 MSR(150-3)의 주소 「33. 0. 0. 1」로 설정한 전송용 패킷(TP3)을 생성하고 송신한다(순서 4).
또한, MSR(150-3)에 있어서도, MSR(150-1) 및 MSR(150-2)와 같은 동작을 한다. 즉, MSR(150-3)은 TP3을 취득하면, 이 TP3에 포함된 DP를 추출한다. 다음에, MSR(150-3)은 추출한 DP의 수신지인 홈 주소를 키로서 캐쉬에 기억한 등록을 검색하고, DP의 수신지인 홈 주소에 대응되어진 CoA인 AR(140-1)의 주소 「11. 0. 0. 1」을 찾아내면, 도 5(e)에 나타내듯이, DP를 포함하고, 수신지를 AR(140-1)의 주소 「11. 0. 0. 1」로 설정한 전송용 패킷(TP4)을 생성하고 송신한다(순서 5).
AR(140-1)은 이 TP4를 수신하면, 모바일(mobile) IPv4의 외부 중개기로서TP4 혹은 TP4에 포함된 DP를 외부 링크(141-1)에 존재하는 MH(110)에 송신하고, HM(110)는 이를 수신한다(순서 6).
다음에, 도 6을 참조하면서,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경로 최적화를 적용할 때의 패킷 통신 네트워크(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CN(160)로부터의 DP를 수신한 MH(110)는 AR(240-1)에 대해 RR를 CN(160)에 송신하도록 요구한다. AR(240-1)의 외부 중개기 기능은 MH(110)으로부터 송신 요구를 받으면, 홈 주소 「10. 0. 0. 3」과 CoA인 AR(140-1)의 주소 「11. 0. 0. 1」을 포함한 RR를 생성하여 CN(160)에 송신한다(순서 1).
RR가 통과하는 MSR(150-3, 150-2, 150-5)는, 도 2에 있어서 RR를 HA(130)에 전송할 때의 MSR(150)과 같은 동작을 한다(순서 2). 즉, 예를 들면, MSR(150-2)는 MSR(150-3)으로부터 전송되는 RR를 취득하면, 이 RR 내의 홈 주소 「10. 0. 0. 3」과 CoA인 MSR(150-3)의 주소 「33. 0. 0. 1」을 대응시킨 등록을 내장하는 캐쉬(도시하지 않음)에 기억함과 동시에 또한 그 등록의 생존시간을 리셋 한다.
다음에, MSR(150-2)는 RR 내의 CoA인 MSR(150-3)의 주소 「33. 0. 0. 1」을 자신의 주소 「32. 0. 0. 1」로 설정함과 동시에 또한 전송원 주소인 MSR(150-3)의 주소 「33. 0. 0. 1」을 자신의 주소 「32. 0. 0. 1」로 설정한 RR를 생성하고 이 RR를 전송한다.
RR를 수신한 CN(160)는, 이 RR 내의 홈 주소 「10. 0. 0. 3」과 CoA인 MSR(150-5)의 주소 「35. 0. 0. 1」을 대응시킨 등록을 내장하는 캐쉬(도시하지 않음)에 기억한다. 그 이후, CN(160)는 홈 주소를 수신지로 하는 정보 패킷(DP)을 포함하고, MSR(150-5)의 주소 「35. 0. 0. 1」을 수신지로 하는 전송용 패킷(TP)을 생성하고 송신한다(순서 3).
TP가 통과하는 MSR(150-5, 150-2, 150-3)은, 도 4에 있어서 TP를 HM(110)에 전송할 때의 MSR(150)와 같은 동작을 한다(순서 4). 즉, 예를 들면, MSR(150-2)는 TP를 취득하면, 이 TP에 포함된 DP를 추출한다. 다음에, MSR(150-2)는 추출한 DP의 수신지인 홈 주소를 키로서 캐쉬에 기억한 등록을 검색하고, DP의 수신지인 홈 주소에 대응되어진 CoA인 MSR(150-3)의 주소 「33. 0. 0. 1」을 찾아내면, DP를 포함하고, 수신지를 MSR(150-3)의 주소 「33. 0. 0. 1」로 설정한 TP를 생성하고 송신한다.
AR(140-1)은 TP를 수신하면, 모바일 IPv4의 외부 중개기로서 TP 혹은 TP에 포함된 DP를 외부 링크(141-1)에 존재하는 MH(110)에 송신하고, HM(110)는 이를 수신한다(순서 5).
이와 같이, CN(160)가 RR를 수신한 경우에는, 이 RR 내의 홈 주소 「10. 0. 0. 3」과 CoA인 MSR(150-5)의 주소 「35. 0. 0. 1」을 대응시킨 등록을 기억하고, 그 이후, 홈 주소를 수신지로 하는 DP를 포함하고, MSR(150-5)의 주소 「35. 0. 0. 1」을 수신지로 하는 TP를 생성하고 송신함으로써, HA(130)를 개재하지 않고, CN(160)로부터 직접 HM(110)에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그런데, CN가 HA(130)를 향해 송신한 DP가 홈 주소가 포함한 등록을 갖는 MSR(150)를 통과하는 경우가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면서,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CN가 HA(130)을 향해 송신한 DP가 홈 주소가 포함한 등록을 갖는 MSR(150)를 통과할 때의 패킷 통신 네트워크(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CN(161)는 홈 주소를 수신지로 하는 정보 패킷(DP)을 송신한다(순서 1). 이 DP가 MSR(150-2)를 통과하려고 하면, MSR(150-2)는 이를 취득한다. 다음에, MSR(150-2)는 취득한 DP의 수신지인 홈 주소를 키로서 캐쉬에 기억한 등록을 검색하고, DP의 수신지인 홈 주소에 대응되어진 CoA인 MSR(150-3)의 주소 「33. 0. 0. 1」을 찾아내면, DP를 포함하고, 수신지를 MSR(150-3)의 주소 「33. 0. 0. 1」로 설정한 전송용 패킷(TP3)을 생성하고 송신한다(순서 2).
MSR(150-3)은 TP3을 취득하면, 이 TP3에 포함된 DP를 추출한다. 다음에, HA(130)는 추출한 DP의 수신지인 홈 주소를 키로서 캐쉬에 기억한 등록을 검색하고, DP의 수신지인 홈 주소에 대응되어진 CoA인 AR(140-1)의 주소 「11. 0. 0. 1」을 찾아내면, 도 5(e)에 나타내듯이, DP를 포함하고, 수신지를 AR(140-1)의 주소 「11. 0. 0. 1」로 설정한 전송용 패킷(TP4)을 생성하고 송신한다(순서 3).
AR(140-1)은 이 TP4를 수신하면, 모바일 IPv4의 외부 중개기로서 TP4 혹은 TP4에 포함된 DP를 외부 링크(141-1)에 존재하는 MH(110)에 송신하고, HM(110)는 이를 수신한다(순서 4).
이와 같이, MSR(150)는 CN(161)로부터의 DP를 취득한 경우에는, 이 DP를 포함하고, DP의 수신지인 홈 주소에 대응되어진 CoA인 MSR(150)의 주소를 수신지로 설정한 전송용 패킷을 생성하고 송신함으로써, HA(130)를 개재하지 않고, CN(161)으로부터 직접 HM(110)에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다음에, 도 8을 참조하면서,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MH(110)가 외부링크(141)를 이동할 때의 패킷 통신 네트워크(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MH(110)가 AR(140-1)에 의해 제공되는 외부 링크(141-1)를 떠나 AR(140-2)에 의해 제공되는 외부 링크(141-2)로 이동하면(순서 1), AR(140-2)의 외부 중개기 기능은 외부 링크(141-2)로 존재하는 MH(110)에 대해 CoA(CoA)인 자신의 주소 「12. 0. 0. 1」을 준다(순서 2).
CoA를 취득한 MH(110)는 AR(140-2)에 대해 RR를 HA(130)에 송신하도록 요구한다(순서 3). AR(140-2)의 외부 중개기 기능은 MH(210)로부터 송신 요구를 받으면, 홈 주소 「10. 0. 0. 3」과 CoA인 AR(140-2)의 주소 「12. 0. 0. 1」을 포함한 RR를 생성하여 HA(130)에 송신한다(순서 4).
이 RR는 MSR(150-4, 150-2, 150-1)을 개재하여 HA(130)에 도달한다. 이때, MSR(150-4)는 AR(140-2)로부터 송신되는 RR를 취득하면, 이 RR 내의 홈 주소 「10. 0. 0. 3」과 CoA인 AR(140-2)의 주소 「12. 0. 0. 1」을 대응시킨 등록을 내장하는 캐쉬(도시하지 않음)에 기억함과 동시에 또한 그 등록의 생존시간을 리셋 한다.
다음에, MSR(150-4)는 취득한 RR 내의 CoA인 AR(140-2)의 주소 「12. 0. 0. 1」을 자신의 주소 「34. 0. 0. 1」로 설정함과 동시에 또한 전송원 주소인 AR(140-2)의 주소 「12. 0. 0. 1」을 자신의 주소 「34. 0. 0. 1」로 설정한 새로운 RR를 생성하고 이 새로운 RR를 전송한다(순서 4).
MSR(150-2)는 MSR(150-4)로부터의 RR를 취득하면, 이 RR 내의 홈 주소 「10. 0. 0. 3」을 키로서 기억하고 있는 등록을 검색한다. 다음에, MSR(150-2)는 검색의 결과, RR 내의 홈 주소 「10. 0. 0. 3」을 갖는 등록(여기에서는, 홈 주소 「10.0. 0. 3」과 CoA인 MSR(150-3)의 주소 「33. 0. 0. 1」을 대응시킨 등록)을 찾아내면, 그 등록 내의 CoA인 MSR(150-3)의 주소 「33. 0. 0. 1」과 취득한 RR 내의 CoA인 MSR(150-4)의 주소 「34. 0. 0. 1」을 비교한다. 여기에서는, 이들 주소가 차이가 난다. 이 때문에, MSR(150-2)는 등록 내의 CoA인 MSR(150-3)의 주소 「33. 0. 0. 1」을 취득한 RR 내의 CoA인 MSR(150-4)의 주소 「34. 0. 0. 1」로 갱신함과 동시에 또한 그 등록의 생존시간을 리셋 한다.
또, MSR(150-2)는 홈 주소 「10. 0. 0. 3」을 갖는 등록의 CoA를 취득한 RR 내의 CoA로, 이들 2개의 CoA를 비교하는 일 없이 갱신함과 동시에 또한 그 등록의 생존시간을 리셋하도록 해도 좋다.
다음에, MSR(150-2)는 RR 내의 CoA인 MSR(150-4)의 주소 「34. 0. 0. 1」을 자신의 주소 「32. 0. 0. 1」로 설정함과 동시에 또한 전송원 주소인 MSR(150-4)의 주소 「34. 0. 0. 1」을 자신의 주소 「32. 0. 0. 1」로 설정한 RR를 생성하고 이 RR를 전송한다(순서 6).
MSR(150-1)은, MSR(150-2)로부터의 RR를 취득하면, 이 RR 내의 홈 주소 「10. 0. 0. 3」을 키로서 기억하고 있는 등록을 검색한다. 다음에, MSR(150-1)은 검색의 결과, RR 내의 홈 주소 「10. 0. 0. 3」을 갖는 등록(여기에서는, 홈 주소 「10. 0. 0. 3」과 CoA인 MSR(150-2)의 주소 「32. 0. 0. 1」을 대응시킨 등록)을 찾아내면, 그 등록 내의 CoA인 MSR(150-2)의 주소 「32. 0. 0. 1」과 취득한 RR 내의 CoA인 MSR(150-2)의 주소 「32. 0. 0. 1」을 비교한다. 여기에서는, 이들 주소가 동일하다. 이 때문에, MSR(150-1)은 등록 내의 CoA를 갱신하지 않고 그 등록의생존시간을 리셋 한다.
또, MSR(150-1)은 홈 주소 「10. 0. 0. 3」을 갖는 등록의 CoA를 취득한 RR 내의 CoA로 이들 2개의 CoA를 비교하는 일 없이 갱신함과 동시에 또한 그 등록의 생존시간을 리셋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등록의 내용은 바뀌지 않지만 형식적으로는 갱신된 것으로 된다.
다음에, MSR(150-1)은 RR 내의 CoA인 MSR(150-2)의 주소 「32. 0. 0. 1」을 자신의 주소 「31. 0. 0. 1」로 설정함과 동시에 또한 전송원 주소인 MSR(150-2)의 주소 「32. 0. 0. 1」을 자신의 주소 「31. 0. 0. 1」로 설정한 RR를 생성하고 이 RR를 전송한다(순서 7).
또, AR(140-2)는 통신중의 CN(160)에 대해서도 RR를 송신한다. 이 RR는 MSR(150-4, 150-5)를 개재하여 CN(160)에 도달한다. 이때, MSR(150-4)는 AR(140-2)로부터 송신되는 RR를 취득하면, 이 RR 내의 홈 주소 「10. 0. 0. 3」과 CoA인 AR(140-2)의 주소 「12. 0. 0. 1」을 대응시킨 등록을 내장하는 캐쉬(도시하지 않음)에 기억함과 동시에 또한 그 등록의 생존시간을 리셋 한다.
다음에, MSR(150-4)는 취득한 RR 내의 CoA인 AR(140-2)의 주소 「12. 0. 0. 1」을 자신의 주소 「34. 0. 0. 1」로 설정함과 동시에 또한 전송원 주소인 AR(140-2)의 주소 「12. 0. 0. 1」을 자신의 주소 「34. 0. 0. 1」로 설정한 새로운 RR를 생성하고 이 새로운 RR를 전송한다(순서 8). MSR(150-5)도 MSR(150-4)와 같은 동작을 행한다.
그런데, AR(140-2)로부터 HA(130)에 전송되는 RR는 MSR(150-3)을 통과하지않는다. 이 때문에, MSR(150-3)은, 도 2의 순서 5에 있어서 기억한 등록을, 그 등록의 생존시간이 영이 되었을 때에 파기한다.
다음에, 도 9를 참조하면서,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MH(110)가 외부 링크(141)를 또 이동할 때의 패킷 통신 네트워크(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MH(110)가 AR(140-2)에 의해 제공되는 외부 링크(141-2)를 떠나 AR(140-3)에 의해 제공되는 외부 링크(141-3)로 이동하면(순서 1), AR(140-3)의 외부 중개기 기능은 외부 링크(141-3)에 존재하는 MH(110)에 대해 CoA(CoA)인 자신의 주소 「13. 0. 0. 1」을 준다(순서 2).
CoA를 취득한 MH(110)는 AR(140-3)에 대해 RR를 HA(130)에 송신하도록 요구한다(순서 3). AR(140-3)의 외부 중개기 기능은 MH(110)로부터 송신 요구를 받으면, 홈 주소 「10. 0. 0. 3」과 CoA인 AR(140-3)의 주소 「13. 0. 0. 1」을 포함한 RR를 생성하여 HA(130)에 송신한다(순서 4).
이 RR는 MSR(150-4, 150-2, 150-1)을 개재하여 HA(130)에 도달한다. 이때, MSR(150-4)는 AR(140-3)으로부터 송신되는 RR를 취득하면, 이 RR 내의 홈 주소 「10. 0. 0. 3」을 키로서 기억하고 있는 등록을 검색한다. 다음에, MSR(150-4)는 검색의 결과, RR 내의 홈 주소 「10. 0. 0. 3」을 갖는 등록을 찾아내면(여기에서는, 홈 주소 「10. 0. 0. 3」과 CoA인 AR(140-2)의 주소 「12. 0. 0. 1」을 대응시킨 등록), 그 등록 내의 CoA인 AR(140-2)의 주소 「12. 0. 0. 1」과 취득한 RR 내의 CoA인 AR(140-3)의 주소 「13. 0. 0. 1」을 비교한다. 여기에서는, 이들 주소가 차이가 난다. 이 때문에, MSR(150-4)는 등록 내의 CoA인 AR(140-2)의 주소 「12.0. 0. 1」을 취득한 RR 내의 CoA인 AR(140-3)의 주소 「13. 0. 0. 1」로 갱신함과 동시에 또한 그 등록의 생존시간을 리셋 한다.
또, MSR(150-4)는 홈 주소 「10. 0. 0. 3」을 갖는 등록의 CoA를, 취득한 RR 내의 CoA로 이들 2개의 CoA를 비교하는 일 없이 갱신함과 동시에 또한 그 등록의 생존시간을 리셋하도록 해도 좋다.
다음에, MSR(150-4)는 RR 내의 CoA인 AR(140-3)의 주소 「13. 0. 0. 1」을 자신의 주소 「34. 0. 0. 1」로 설정함과 동시에 또한 전송원 주소인 AR(140-3)의 주소 「13. 0. 0. 1」을 자신의 주소 「34. 0. 0. 1」로 설정한 RR를 생성하고 이 RR를 전송한다(순서 5).
MSR(150-2)는 MSR(150-4)로부터의 RR를 취득하면, 이 RR 내의 홈 주소 「10. 0. 0. 3」을 키로서 기억하고 있는 등록을 검색한다. 다음에, MSR(150-2)는 검색의 결과, RR 내의 홈 주소 「10. 0. 0. 3」을 갖는 등록을 찾아내면(여기에서는, 홈 주소 「10. 0. 0. 3」과 CoA인 MSR(150-4)의 주소 「34. 0. 0. 1」을 대응시킨 등록), 그 등록 내의 CoA인 MSR(150-4)의 주소 「34. 0. 0. 1」과 취득한 RR 내의 CoA인 MSR(150-4)의 주소 「34. 0. 0. 1」을 비교한다. 여기에서는, 이들 주소가 동일하다. 이 때문에, MSR(150-2)는 등록 내의 CoA를 갱신하지 않고 그 등록의 생존시간을 리셋 한다.
또, MSR(150-2)는 홈 주소 「10. 0. 0. 3」을 갖는 등록의 CoA를 취득한 RR 내의 CoA로 이들 2개의 CoA를 비교하는 일 없이 갱신함과 동시에 또한 그 등록의 생존시간을 리셋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등록의 내용은 바뀌지 않지만 형식적으로는 갱신된 것으로 된다.
다음에, MSR(150-2)는 RR 내의 CoA인 MSR(150-4)의 주소 「34. 0. 0. 1」을 자신의 주소 「32. 0. 0. 1」로 설정함과 동시에 또한 전송원 주소인 MSR(150-4)의 주소 「34. 0. 0. 1」을 자신의 주소 「32. 0. 0. 1」로 설정한 RR를 생성하고 이 RR를 전송한다(순서 6). MSR(150-1)에 있어서도 MSR(150-2)와 같은 동작을 한다(순서 7).
또, AR(140-3)은 통신중의 CN(160)에 대해서도 RR를 송신한다. 이 RR는 MSR(150-6)을 개재하여 CN(160)에 도달한다. 이때, MSR(150-6)은 AR(140-3)으로부터 송신되는 RR를 취득하면, 이 RR 내의 홈 주소 「10. 0. 0. 3」과 CoA인 AR(140-3)의 주소 「13. 0. 0. 1」을 대응시킨 등록을 내장하는 캐쉬(도시하지 않음)에 기억함과 동시에 또한 그 등록의 생존시간을 리셋 한다.
다음에, MSR(150-6)은 취득한 RR 내의 CoA인 AR(140-3)의 주소 「13. 0. 0. 1」을 자신의 주소 「36. 0. 0. 1」로 설정함과 동시에 또한 전송원 주소인 AR(140-3)의 주소 「13. 0. 0. 1」을 자신의 주소 「36. 0. 0. 1」로 설정한 새로운 RR를 생성하고 이 새로운 RR를 전송한다(순서 8).
그런데, AR(140-3)으로부터 HA(130)에 전송되는 RR는 MSR(150-5)를 통과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MSR(150-5)는 도 8의 순서 8에 있어서 기억한 등록을 그 등록의 생존시간이 영이 되었을 때에 파기한다.
다음에, 도 10의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MSR(150)의 상세한 동작을 설명한다. MSR(150)는 패킷을 취득하면(단계 S101), 취득한 패킷이RR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102).
취득한 패킷이 RR인 경우에는, MSR(150)는 그 RR 내의 홈 주소를 키로서 기억하고 있는 등록을 검색하고(단계 S103), 취득한 RR 내의 홈 주소를 갖는 등록이 있는지 없는지를 판정한다(단계 S104).
취득한 RR 내의 홈 주소를 갖는 등록이 있는 경우에는, MSR(150)는 해당하는 등록의 CoA와 RR 내의 CoA가 다른지 어떤지를 판정한다(단계 S105). 해당하는 등록의 CoA와 RR 내의 CoA가 다른 경우에는, MSR(150)는 해당하는 등록의 CoA를 취득한 RR 내의 CoA로 갱신한다(단계 S106). 한편, 해당하는 등록의 CoA와 RR 내의 CoA가 동일한 경우에는, 단계 S106의 처리는 행해지지 않는다.
단계 S106에 있어서 해당하는 등록의 CoA가 갱신된 후, 또는 단계 S105에 있어서 해당하는 등록의 CoA와 RR 내의 CoA가 동일한 것으로 판정된 후, MSR(150)는 해당하는 등록의 생존시간을 리셋 한다(단계 S107).
다음에, MSR(150)는 취득한 RR 내의 CoA에 자신의 주소를 설정하고(단계 S108), 라우팅 처리를 한다(단계 S109).
한편, 단계 S104에 있어서, 취득한 RR 내의 홈 주소를 갖는 등록이 없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는, MSR(150)는 기억하고 있는 등록의 수가 소정의 수 이하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110). 기억하고 있는 등록의 수가 소정의 수 이하인 경우에는, MSR(150)는 취득한 RR 내의 홈 주소와 CoA를 대응시킨 등록을 새롭게 기억한다(단계 S111).
다음에, MSR(150)는 해당하는 등록의 생존시간을 리셋하고(단계 S107), 취득한 RR 내의 CoA에 자신의 주소를 설정하고(단계 S108), 라우팅 처리를 한다(단계 S109). 또, 기억하고 있는 등록의 수가 소정의 수보다 많은 경우에는, MSR(150)는 단계 S107 및 단계 S108의 처리를 하지 않고 라우팅 처리를 한다(단계 S109).
한편, 단계 S102에 있어서, 취득한 패킷이 RR가 아닌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는, MSR(150)는 취득한 패킷이 자신 앞으로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112). 취득한 패킷이 자신 앞으로인 경우에는, MSR(150)는 그 패킷이 포함되어 있는지 없는지를 판정한다(단계 S113). 다음에, MSR(150)는 패킷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추출 처리를 하고(단계 S114),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위층의 처리를 한다(단계 S115).
또, 단계 S112에 있어서, 취득한 패킷이 자신 앞으로가 아닌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는, MSR(150)는 그 패킷의 수신지 주소가 등록에 있는지 없는지를 판정한다(단계 S116). 수신지 주소가 등록에 있는 경우에는, MSR(150)는 해당 등록의 CoA를 수신지로 하여 패킷을 포함하고(단계 S117), 라우팅 처리를 한다(단계 S109). 한편, 수신지 주소가 등록에 없는 경우에는, MSR(150)는 그대로 라우팅 처리를 한다(단계 S109).
그런데, 도 10에 나타낸 흐름도에서는, 단계 S105에 있어서 해당하는 등록의 CoA와 RR 내의 CoA가 동일한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그 등록의 CoA는 갱신되지 않았지만, 해당하는 등록의 CoA와 RR 내의 CoA가 동일한지 아닌지에 관계없이, 그 등록의 CoA가 갱신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도 11에 나타내듯이, MSR(150)는 단계 S104에 있어서 취득한RR 내의 홈 주소를 갖는 등록이 있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 CoA를 취득한 RR 내의 CoA로 갱신하고(단계 S106), 해당 그 등록의 생존시간을 리셋 한다(단계 S107). 이 경우, 해당하는 등록의 CoA와 RR 내의 CoA가 동일하다면, 갱신의 전후로 등록의 내용은 바뀌지 않지만 형식적으로는 갱신된 것으로 된다.
다음에, MSR(150)에 있어서 전송 경로 관리 패킷 내의 홈 주소, CoA 및 수신지 주소를 대응시킨 등록을 기억하고 갱신하는 제 2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12를 참조하면서,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전송 경로 관리 패킷을 전송할 때의 패킷 통신 네트워크(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MH(110)는 홈 링크(131)로 사용하는 홈 주소(여기에서는 「10. 0. 0. 3」)를 보유한다.
MH(110)가 HA(130)에 의해 제공되는 홈 링크(131)를 떠나 AR(140-1)에 의해 제공되는 외부 링크(141-1)로 이동하면(순서 1), AR(140-1)의 외부 중개기 기능은 외부 링크(141-1)에 존재하는 외부 중개기인 MH(110)에 대해 CoA(CoA)인 자신의 주소 「11. 0. 0. 1」을 준다(순서 2).
CoA를 취득한 MH(110)는 AR(140-1)에 대해 홈 주소, HA(130)의 주소 「10. 0. 0. 1」 및 CN(160)의 주소 「20. 0. 0. 1」을 송출함과 동시에 또한 MH(110)로의 패킷의 전송 경로의 변경을 통지하는 전송 경로 관리 패킷인 RR를 HA(130) 및 CN(160)에 송신하도록 요구한다(순서 3). AR(140-1)의 외부 중개기 기능은 MH(110)로부터 송신 요구를 받으면 RR를 생성하여 HA(130) 및 CN(160)을 향해 송신한다(순서 4).
도 13(a)에 나타내듯이, AR(140-1)으로부터 HA(130)을 향해 송신되는RR(RR1)는, MH(110)의 홈 주소 「10. 0. 0. 3」과 CoA(CoA)인 AR(140-1)의 주소 「11. 0. 0. 1」을 대응시킨 정보(binding)를 포함하고, AR(140-1)의 주소 「11. 0. 0. 1」을 전송원 주소, HA(130)의 주소 「10. 0. 0. 1」을 수신지 주소로 하는 패킷이다.
또, 도 14(a)에 나타내듯이, AR(140-1)으로부터 CN(160)을 향해 송신되는 RR(RR1′)는, MH(110)의 홈 주소 「10. 0. 0. 3」과 CoA(CoA)인 AR(140-1)의 주소 「11. 0. 0. 1」을 대응시킨 정보(binding)를 포함하고, AR(140-1)의 주소 「11. 0. 0. 1」을 전송원 주소, CN(160)의 주소 「20. 0. 0. 1」을 수신지 주소로 하는 패킷이다.
MSR(150-3)은 AR(140-1)으로부터 송신되는 RR1을 취득하면, 이 RR1 내의 홈 주소 「10. 0. 0. 3」, CoA인 AR(140-1)의 주소 「11. 0. 0. 1」 및 수신지 주소인 HA(130)의 주소 「10. 0. 0. 1」을 대응시킨 등록을 내장하는 캐쉬(도시하지 않음)에 기억함과 동시에 또한 그 등록의 생존시간을 리셋 한다.
또, MSR(150-3)은 AR(140-1)으로부터 송신되는 RR1′를 취득하면, 이 RR1′ 내의 홈 주소 「10. 0. 0. 3」, CoA인 AR(140-1)의 주소 「11. 0. 0. 1」 및 수신지 주소인 CN(160)의 주소 「20. 0. 0. 1」을 대응시킨 등록을 내장하는 캐쉬(도시하지 않음)에 기억함과 동시에 또한 그 등록의 생존시간을 리셋 한다.
다음에, MSR(150-3)은, 도 13(b)에 나타내듯이, RR1 내의 CoA인 AR(140-1)의 주소 「11. 0. 0. 1」을 자신의 주소 「33. 0. 0. 1」로 설정함과 동시에 또한 전송원 주소인 AR(140-1)의 주소 「11. 0. 0. 1」을 자신의 주소 「33. 0. 0. 1」로설정한 RR2를 생성하고 이 RR2를 전송한다. 마찬가지로, MSR(150-3)은, 도 14(b)에 나타내듯이, RR1′ 내의 CoA인 AR(140-1)의 주소 「11. 0. 0. 1」을 자신의 주소 「33. 0. 0. 1」로 설정함과 동시에 또한 전송원 주소인 AR(140-1)의 주소 「11. 0. 0. 1」을 자신의 주소 「33. 0. 0. 1」로 설정한 RR2′를 생성하고 이 RR2′를 전송한다(순서 5).
MSR(150-2)에 있어서도 MSR(150-3)과 같은 동작을 한다. 즉, MSR(150-2)는 MSR(150-3)으로부터 전송되는 RR2를 취득하면, 이 RR2내의 홈 주소 「10. 0. 0. 3」, CoA인 MSR(150-3)의 주소 「33. 0. 0. 1」 및 수신지 주소인 HA(130)의 주소 「10. 0. 0. 1」을 대응시킨 등록을 내장하는 캐쉬(도시하지 않음)에 기억함과 동시에 또한 그 등록의 생존시간을 리셋 한다.
또, MSR(150-2)는 MSR(150-3)으로부터 전송되는 RR2′를 취득하면, 이 RR2′ 내의 홈 주소 「10. 0. 0. 3」, CoA인 MSR(150-3)의 주소 「33. 0. 0. 1」 및 수신지 주소인 CN(160)의 주소 「20. 0. 0. 1」을 대응시킨 등록을 내장하는 캐쉬(도시하지 않음)에 기억함과 동시에 또한 그 등록의 생존시간을 리셋 한다.
다음에, MSR(150-2)는, 도 13(c)에 나타내듯이, RR2내의 CoA인 MSR(150-3)의 주소 「33. 0. 0. 1」을 자신의 주소 「32. 0. 0. 1」로 설정함과 동시에 또한 전송원 주소인 MSR(150-3)의 주소 「33. 0. 0. 1」을 자신의 주소 「32. 0. 0. 1」로 설정한 RR3을 생성하고 이 RR3을 전송한다. 마찬가지로, MSR(150-2)는, 도 14(c)에 나타내듯이, RR2′ 내의 CoA인 MSR(150-3)의 주소 「33. 0. 0. 1」을 자신의 주소 「32. 0. 0. 1」로 설정함과 동시에 또한 전송원 주소인 MSR(150-3)의 주소 「33.0. 0. 1」을 자신의 주소 「32. 0. 0. 1」로 설정한 RR3′를 생성하고 이 RR3′를 전송한다(순서 6).
MSR(150-1)은 MSR(150-2)로부터 전송되는 RR3을 취득하면, 이 RR3내의 홈 주소 「10. 0. 0. 3」, CoA인 MSR(150-2)의 주소 「32. 0. 0. 1」 및 수신지 주소인 CN(160)의 주소 「20. 0. 0. 1」을 대응시킨 등록을 내장하는 캐쉬(도시하지 않음)에 기억함과 동시에 또한 그 등록의 생존시간을 리셋 한다.
다음에, MSR(150-1)은, 도 13(d)에 나타내듯이, RR3내의 CoA인 MSR(150-2)의 주소 「32. 0. 0. 1」을 자신의 주소 「31. 0. 0. 1」로 설정함과 동시에 또한 전송원 주소인 MSR(150-2)의 주소 「32. 0. 0. 1」을 자신의 주소 「31. 0. 0. 1」로 설정한 RR4를 생성하고 이 RR4를 전송한다(순서 7).
HA(130)는 RR4를 수신하면, 모바일 IPv4의 홈 중개기로서 RR4 내의 홈 주소 「10. 0. 0. 3」, CoA인 MSR(150-1)의 주소 「31. 0. 0. 1」 및 수신지 주소인 자신의 주소 「10. 0. 0. 1」을 대응시킨 등록을 내장하는 캐쉬(도시하지 않음)에 기억한다(순서 8).
MSR(150-5)는 MSR(150-3)으로부터 전송되는 RR3′를 취득하면, 이 RR3′ 내의 홈 주소 「10. 0. 0. 3」, CoA인 MSR(150-3)의 주소 「33. 0. 0. 1」 및 수신지 주소인 CN(160)의 주소 「20. 0. 0. 1」을 대응시킨 등록을 내장하는 캐쉬(도시하지 않음)에 기억함과 동시에 또한 그 등록의 생존시간을 리셋 한다.
다음에, MSR(150-5)는, 도 14(d)에 나타내듯이, RR3′ 내의 CoA인 MSR(150-2)의 주소 「32. 0. 0. 1」을 자신의 주소 「35. 0. 0. 1」로 설정함과 동시에 또한 전송원 주소인 MSR(150-2)의 주소 「32. 0. 0. 1」을 자신의 주소 「35. 0. 0. 1」로 설정한 RR4′를 생성하고 이 RR4′를 전송한다(순서 9).
RR4′를 수신한 CN(160)는 이 RR4′ 내의 홈 주소 「10. 0. 0. 3」, CoA인 MSR(150-5)의 주소 「35. 0. 0. 1」 및 수신지 주소인 자신의 주소 「20. 0. 0. 1」을 대응시킨 등록을 내장하는 캐쉬(도시하지 않음)에 기억한다(순서 10).
다음에, 도 15를 참조하면서,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MH(110)가 외부 링크(141)를 이동할 때의 패킷 통신 네트워크(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MH(110)가 AR(140-1)에 의해 제공되는 외부 링크(141-1)를 떠나 AR(140-2)에 의해 제공되는 외부 링크(141-2)로 이동하면(순서 1), AR(140-2)의 외부 중개기 기능은 외부 링크(141-2)로 존재하는 MH(110)에 대해 CoA(CoA)인 자신의 주소 「12. 0. 0. 1」을 준다(순서 2).
CoA를 취득한 MH(110)는 AR(140-2)에 대해 홈 주소, HA(130)의 주소 「10. 0. 0. 1」 및 CN(160)의 주소 「20. 0. 0. 1」을 송출함과 동시에 또한 RR를 HA(130) 및 CN(160)에 송신하도록 요구한다(순서 3). AR(140-2)의 외부 중개기 기능은 MH(210)로부터 송신 요구를 받으면, HA(130) 용의 RR1와 CN(160) 용의 RR1′를 생성하여 HA(130) 및 CN(160)을 향해 송신한다(순서 4).
MSR(150-4)는 AR(140-2)로부터 송신되는 RR1을 취득하면, 이 RR1 내의 홈 주소 「10. 0. 0. 3」, CoA인 AR(140-2)의 주소 「12. 0. 0. 1」 및 수신지 주소인 HA(130)의 주소 「10. 0. 0. 1」을 대응시킨 등록을 내장하는 캐쉬(도시하지 않음)에 기억함과 동시에 또한 그 등록의 생존시간을 리셋 한다. 마찬가지로, MSR(150-4)는 AR(140-2)로부터 송신되는 RR1′를 취득하면, 이 RR1′ 내의 홈 주소 「10. 0. 0. 3」, CoA인 AR(140-2)의 주소 「12. 0. 0. 1」 및 수신지 주소인 CN(160)의 주소 「20. 0. 0. 1」을 대응시킨 등록을 내장하는 캐쉬(도시하지 않음)에 기억함과 동시에 또한 그 등록의 생존시간을 리셋 한다.
다음에, MSR(150-4)는 RR1 내의 CoA인 AR(140-2)의 주소 「12. 0. 0. 1」을 자신의 주소 「34. 0. 0. 1」로 설정함과 동시에 또한 전송원 주소인 AR(140-2)의 주소 「12. 0. 0. 1」을 자신의 주소 「34. 0. 0. 1」로 설정한 RR2를 생성하고 이 RR2를 전송한다. 마찬가지로, MSR(150-4)는, RR1′ 내의 CoA인 AR(140-2)의 주소 「12. 0. 0. 1」을 자신의 주소 「34. 0. 0. 1」로 설정함과 동시에 또한 전송원 주소인 AR(140-2)의 주소 「12. 0. 0. 1」을 자신의 주소 「34. 0. 0. 1」로 설정한 RR2′를 생성하고 이 RR2′를 전송한다(순서 5).
MSR(150-2)는 MSR(150-4)로부터의 RR2를 취득하면, 이 RR2내의 홈 주소 「10. 0. 0. 3」 및 수신지 주소인 HA(130)의 주소 「10. 0. 0. 1」을 키로서 기억하고 있는 등록을 검색한다. 다음에, MSR(150-2)는 검색의 결과, RR2내의 홈 주소 「10. 0. 0. 3」 및 수신지 주소인 HA(130)의 주소 「10. 0. 0. 1」을 갖는 등록을 찾아내면(여기에서는, 홈 주소 「10. 0. 0. 3」, CoA인 MSR(150-3)의 주소 「33. 0. 0. 1」 및 수신지 주소인 HA(130)의 주소 「10. 0. 0. 1」을 대응시킨 등록), 그 등록 내의 CoA인 MSR(150-3)의 주소 「33. 0. 0. 1」과 취득한 RR2내의 CoA인 MSR(150-4)의 주소 「34. 0. 0. 1」을 비교한다. 여기에서는, 이들 주소가 차이가 난다. 이 때문에, MSR(150-2)는, 등록 내의 CoA인 MSR(150-3)의 주소 「33. 0. 0.1」을 취득한 RR2내의 CoA인 MSR(150-4)의 주소 「34. 0. 0. 1」로 갱신함과 동시에 또한 그 등록의 생존시간을 리셋 한다(순서 6).
다음에, MSR(150-2)는 RR2 내의 CoA인 MSR(150-4)의 주소 「34. 0. 0. 1」을 자신의 주소 「32. 0. 0. 1」로 설정함과 동시에 또한 전송원 주소인 MSR(150-4)의 주소 「34. 0. 0. 1」을 자신의 주소 「32. 0. 0. 1」로 설정한 RR3을 생성하고 이 RR3을 전송한다(순서 7).
RR3을 취득한 MSR(150-1)은 이 RR3내의 홈 주소 「10. 0. 0. 3」 및 수신지 주소인 HA(130)의 주소 「10. 0. 0. l」을 키로서 기억하고 있는 등록을 검색한다. 다음에, MSR(150-1)은 검색의 결과, RR3내의 홈 주소 「10. 0. 0. 3」 및 수신지 주소인 HA(130)의 주소 「10. 0. 0. 1」을 갖는 등록(여기에서는, 홈 주소 「10. 0. 0. 3」, CoA인 MSR(150-2)의 주소 「32. 0. 0. 1」 및 수신지 주소인 HA(130)의 주소 「10. 0. 0. l」을 대응시킨 등록)을 찾아내면, 그 등록 내의 CoA인 MSR(150-2)의 주소 「32. 0. 0. 1」과 취득한 RR3내의 CoA인 MSR(150-2)의 주소 「32. 0. 0. 1」을 비교한다. 여기에서는, 이들 주소가 동일하다. 이 때문에, MSR(150-1)은 등록 내의 CoA를 갱신하지 않고, 그 등록의 생존시간을 리셋 한다.
다음에, MSR(150-1)은 RR3내의 CoA인 MSR(150-2)의 주소 「32. 0. 0. 1」을 자신의 주소 「31. 0. 0. 1」로 설정함과 동시에 또한 전송원 주소인 MSR(150-2)의 주소 「32. 0. 0. 1」을 자신의 주소 「31. 0. 0. 1」로 설정한 RR를 생성하고 이 RR를 전송한다.
또한, MSR(150-2)는, 도 16(a)에 나타내듯이, 갱신한 등록 내의 홈 주소「10. 0. 0. 3」과 취득한 RR3의 수신지 주소인 HA(130)의 주소 「10. 0. 0. 1」을 포함하고, 갱신전의 등록 내의 CoA인 MSR(150-3)의 주소 「33. 0. 0. 1」을 수신지 주소로 한 경로 소거 요구 패킷 ER1을 생성하고 송신한다(순서 8).
MSR(150-3)은 MSR(150-2)로부터의 ER1을 취득하면, 이 ER1 내의 홈 주소 「10. 0. 0. 3」 및 RR3의 수신지 주소인 HA(130)의 주소 「10. 0. 0. 1」을 키로서 기억하고 있는 등록을 검색한다. 다음에 MSR(150-3)은 검색의 결과, ER1 내의 홈 주소 「10. 0. 0. 3」 및 RR3의 수신지 주소인 HA(130)의 주소 「10. 0. 0. 1」을 갖는 등록을 찾아내면(여기에서는, 홈 주소 「10. 0. 0. 3」, CoA인 AR(140-1)의 주소 「11. 0. 0. 1」 및 수신지 주소인 HA(130)의 주소 「10. 0. 0. 1」을 대응시킨 등록), 그 등록을 소거한다(순서 9). 또, MSR(150-3)은 ER1을 취득하지 않은 경우이어도, 해당하는 등록의 생존시간이 영이 되면 그 등록을 소거한다.
다음에, MSR(150-3)은, 도 16(b)에 나타내듯이, ER1 내의 수신지 주소를 소거한 등록 내의 CoA인 AR(140-1)의 주소 「11. 0. 0. 1」로 설정함과 동시에 또한 ER1 내의 전송원 주소를 자신의 주소 「33. 0. 0. 1」로 설정한 경로 소거 요구 패킷 ER2를 생성하고 전송한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패킷 전송 경로는 HA(130)로부터 MSR(150-1), MSR(150-2) 및 MSR(150-3)을 거쳐 AR(140-1)에 이르는 경로가 HA(130)로부터 MSR(150-1), MSR(150-2) 및 MSR(150-4)를 거쳐 AR(140-2)에 이르는 경로로 변경된다.
MSR(150-5)는 MSR(150-4)로부터의 RR2′를 취득하면, 이 RR2′ 내의 홈 주소 「10. 0. 0. 3」 및 수신지 주소인 CN(160)의 주소 「20. 0. 0. 1」을 키로서 기억하고 있는 등록을 검색한다. 다음에, MSR(150-5)는 검색의 결과, RR2′ 내의 홈 주소 「10. 0. 0. 3」 및 수신지 주소인 CN(160)의 주소 「20. 0. 0. 1」을 갖는 등록을 찾아내면(여기에서는, 홈 주소 「10. 0. 0. 3」, CoA인 MSR(150-2)의 주소 「32. 0. 0. 1」 및 수신지 주소인 CN(160)의 주소 「20. 0. 0. 1」을 대응시킨 등록), 그 등록 내의 CoA인 MSR(150-2)의 주소 「32. 0. 0. 1」과 취득한 RR2′ 내의 CoA인 MSR(150-4)의 주소 「34. 0. 0. 1」을 비교한다. 여기에서는, 이들 주소가 차이가 난다. 이 때문에, MSR(150-5)는, 등록 내의 CoA인 MSR(150-2)의 주소 「32. 0. 0. 1」을 취득한 RR2′ 내의 CoA인 MSR(150-4)의 주소 「34. 0. 0. 1」로 갱신함과 동시에 또한 그 등록의 생존시간을 리셋 한다(순서 11).
다음에, MSR(150-5)는 RR2′ 내의 CoA인 MSR(150-4)의 주소 「34. 0. 0. 1」을 자신의 주소 「35. 0. 0. 1」로 설정함과 동시에 또한 전송원 주소인 MSR(150-4)의 주소 「34. 0. 0. 1」을 자신의 주소 「35. 0. 0. 1」로 설정한 RR3′를 생성하고 이 RR3′를 전송한다(순서 12).
또한, MSR(150-5)는, 도 16(c)에 나타내듯이, 갱신한 등록 내의 홈 주소 「10. 0. 0. 3」과 취득한 RR3′의 수신지 주소인 CN(160)의 주소 「20. 0. 0. 1」을 포함하고, 갱신전의 등록 내의 CoA인 MSR(150-2)의 주소 「32. 0. 0. 1」을 수신지 주소로 한 경로 소거 요구 패킷 ER1′를 생성하고 송신한다(순서 13).
MSR(150-2)는 MSR(150-5)로부터의 ER1′를 취득하면, 이 ER1′ 내의 홈 주소 「10. 0. 0. 3」 및 RR3′의 수신지 주소인 CN(160)의 주소 「20. 0. 0. 1」을 키로서 기억하고 있는 등록을 검색한다. 다음에, MSR(150-2)는 검색의 결과, ER1′내의 홈 주소 「10. 0. 0. 3」 및 RR3′의 수신지 주소인 CN(160)의 주소 「20. 0. 0. 1」을 갖는 등록을 찾아내면(여기에서는, 홈 주소 「10. 0. 0. 3」, CoA인 MSR140-3의 주소 「33. 0. 0. 1」 및 수신지 주소인 CN(160)의 주소 「20. 0. 0. 1」을 대응시킨 등록), 그 등록을 소거한다(순서 14). 또, MSR(150-2)는 ER1′를 취득하지 않은 경우이어도, 해당하는 등록의 생존시간이 영이 되면 그 등록을 소거한다.
다음에, MSR(150-2)는, 도 16(d)에 나타내듯이, ER1′ 내의 수신지 주소를 소거한 등록 내의 CoA인 MSR(150-3)의 주소 「33. 0. 0. 1」로 설정함과 동시에 또한 ER1′ 내의 전송원 주소를 자신의 주소 「32. 0. 0. 1」로 설정한 경로 소거 요구 패킷 ER2′를 생성하고 전송한다.
MSR(150-3)은 MSR(150-2)로부터의 ER2′를 취득하면, 이 ER2′ 내의 홈 주소 「10. 0. 0. 3」 및 RR3′의 수신지 주소인 CN(160)의 주소 「20. 0. 0. 1」을 키로서 기억하고 있는 등록을 검색한다. 다음에, MSR(150-3)은 검색의 결과, ER2′ 내의 홈 주소 「10. 0. 0. 3」 및 RR3′의 수신지 주소인 CN(160)의 주소 「20. 0. 0. 1」을 갖는 등록을 찾아내면(여기에서는, 홈 주소 「10. 0. 0. 3」, CoA인 AR(140-1)의 주소 「11. 0. 0. 1」 및 수신지 주소인 CN(160)의 주소 「20. 0. 0. 1」을 대응시킨 등록), 그 등록을 소거한다(순서 16). 또, MSR(150-3)은 ER2′를 취득하지 않은 경우이어도, 해당하는 등록의 생존시간이 영이 되면 그 등록을 소거한다.
다음에, MSR(150-3)은, 도 16(e)에 나타내듯이, ER2′ 내의 수신지 주소를소거한 등록 내의 CoA인 AR(140-1)의 주소 「11. 0. 0. 1」로 설정함과 동시에 또한 ER2′ 내의 전송원 주소를 자신의 주소 「33. 0. 0. 1」로 설정한 경로 소거 요구 패킷 ER3′를 생성하고 전송한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패킷 전송 경로는 CN(160)로부터 MSR(150-5), MSR(150-2) 및 MSR(150-3)을 거쳐 AR(140-1)에 이르는 경로로부터 CN(160)로부터 MSR(150-5) 및 MSR(150-4)를 거쳐 AR(140-2) 도달하는 경로로 변경된다.
다음에, 도 17의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MSR(150)의 상세한 동작을 설명한다. MSR(150)는, 패킷을 취득하면(단계 S201), 취득한 패킷이 RR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202).
취득한 패킷이 RR인 경우에는, MSR(150)는 그 RR 내의 홈 주소 및 수신지 주소를 키 주소로서 사용하는 목표 등록에 대한 캐쉬를 검색하고(단계 S203), 취득한 RR 내의 홈 주소 및 수신지 주소를 갖는 목표 등록이 있는지 없는지를 판정한다(단계 S204).
취득한 RR 내의 홈 주소 및 수신지 주소를 갖는 등록이 있는 경우에는, MSR(150)는 해당하는 등록의 CoA와 RR 내의 CoA가 다른지 어떤지를 판정한다(단계 S205). 해당하는 등록의 CoA와 RR 내의 CoA가 다른 경우에는, MSR(150)는 해당하는 등록의 CoA를 취득한 RR 내의 CoA로 갱신한다(단계 S206). 다음에, MSR(150)는 등록의 홈 주소와 취득한 RR 내의 수신지 주소를 포함하고, 갱신전의 등록의 CoA를 수신지로 하는 ER를 생성하고 송신한다(단계 S207). 한편, 해당하는 등록의 CoA와 RR 내의 CoA가 동일한 경우에는, 단계 S206, 207의 처리는 행해지지 않는다.
단계 S207에 있어서, ER가 생성되고 송신된 후, 또는 단계 S205에 있어서, 해당하는 등록의 CoA와 RR 내의 CoA가 동일하다라고 판정 된 후, MSR(150)는 해당하는 등록의 생존시간을 리셋 한다(단계 S208).
다음에, MSR(150)는 취득한 RR 내의 CoA에 자신의 주소를 설정하고(단계 S209), 라우팅 처리를 한다(단계 S210).
한편, 단계 S204에 있어서, 취득한 RR 내의 홈 주소 및 수신지 주소를 갖는 등록이 없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는, 취득한 RR 내의 홈 주소, CoA 및 수신지 주소를 대응시킨 등록을 새롭게 생성하여 기억한다(단계 S212).
다음에, MSR(150)는 해당하는 등록의 생존시간을 리셋하고(단계 S208), 취득한 RR 내의 CoA에 자신의 주소를 설정하고(단계 S209), 라우팅 처리를 한다(단계 S210). 또, 기억하고 있는 등록의 수가 소정의 수보다 많은 경우에는, MSR(150)는 단계 S208 및 단계 S209의 처리를 하지 않고 라우팅 처리를 한다(단계 S210).
한편, 단계 S202에 있어서, 취득한 패킷이 RR가 아닌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는, MSR(150)는, 취득한 패킷이 자신 앞으로의 ER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213). 취득한 패킷이 자신 앞으로의 ER인 경우에는, MSR(150)는, 그 ER 내의 홈 주소 및 RR의 수신지 주소를 갖는 등록을 소거한다(단계 S214). 다음에, MSR(150)는 ER 내의 수신지 주소에 소거한 등록의 CoA를 설정하고 전송한다(단계 S215).
또, 단계 S213에 있어서, 취득한 패킷이 자신 앞으로의 ER가 아닌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는, MSR(150)는 또한 취득한 패킷이 자신 앞으로의 패킷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216). 취득한 패킷이 자신 앞으로의 패킷인 경우에는, MSR(150)는그 패킷이 포함되어 있는지 없는지를 판정한다(단계 S217). 다음에, MSR(150)는 패킷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추출 처리를 하고(단계 S218),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위층의 처리를 한다(단계 S219).
한편, 단계 S216에 있어서, 취득한 패킷이 자신 앞으로가 아닌 것으로 판정한 경우에는, MSR(150)는, 그 패킷의 수신지 주소가 등록에 있는지 없는지를 판정한다(단계 S220). 수신지 주소가 등록에 있는 경우에는, MSR(150)는 해당 등록의 CoA를 수신지로 하여 패킷을 포함하고(단계 S221), 라우팅 처리를 한다(단계 S210). 한편, 수신지 주소가 등록에 없는 경우에는, MSR(150)는 그대로 라우팅 처리를 한다(단계 S210).
종래는, MH(110)가 외부 링크(141) 간을 이동하면, 이동처의 외부 링크(141)를 제공하는 AR(140)로부터 송신된 RR가 HA(130) 또는 CN(160)에 도달하기 전에 HA(130) 또는 CN(160)로부터 송신된 패킷은, 이동전의 MH(110)가 존재하고 있던 외부 링크(141)를 제공하는 AR(140)에 도달하기 때문에, 이동처의 외부 링크(141)에 존재하는 MH(110)에는 도착되지 않고, 패킷 손실이 생긴다.
이에 대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8에 나타내듯이, MH(110)가 외부 링크(141) 간을 이동함으로써 패킷 전송 경로가 변화할 경우에, 이동처의 외부 링크를 제공하는 AR(140)로부터의 RR가 HA(130)나 CN(160)에 도달하지 않아도, HM(110)의 이동전에 설정되어 있던 전송 경로와 이동 후에 설정되는 새로운 전송 경로와의 분기점에 있는 MSR(150)(예를 들면, 이 도의 MSR(150-2)나 MSR(150-4))까지 도달하고 있으면, HA(130)나 CN(160)로부터의 패킷은, 그 분기점에 있는MSR(150)에 의해 새로운 전송 경로로 유도된다.
새로운 등록요구가 MSR에 도달하는 한, MSR은 이동 노드의 홈주소와 마지막 노드로부터 CoA 주소를 갖는 등록을 저장한다. 따라서, 대응하는 상대 노드 또는 홈 중개기로부터 전송된 패킷은 등록에 의거하여, 등록에 기록된 CoA 주소를 이용하여, MSR로부터 새로운 링크로 정확하게 중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패킷 손실은 크게 감소된다.
본 발명은 IPv4 주소 구조에 의거한 패킷 전송의 일 예를 이용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IPv6 패킷 전송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7에 도시된 동작을 실행하기 위하여, 각각의 MSR은 이동 노드와 홈 중개기 및/또는 대응하는 상대노드 사이에서 전송된 등록 요구(RR), 데이터 패킷(DP), 터넬링 패킷(TP), 소거 요구(ER)을 포함하는 패킷을 취득하는 패킷 취득부를 갖는다. 패킷취득부는 도 10 및 도 17에서 S101 및 S201을 행한다.
MSR은 제 1등록 저장부를 더 구비한다. 패킷 취득부에서 제 1등록요구를 수신할 때, 제 1등록 저장부는 취득된 제 1등록요구에 포함된 이동 노드의 홈 주소와 CoA 주소를 갖는 제 1등록을 저장한다. 제 1등록 저장부는 도 10에서 S103-S107, S110과 S111를 행하고, 도 17에서 S203-S206, S211과 S212를 행한다.
MSR은 CoA 주소를 그 자신의 주소로 변경함으로써 제 1등록요구를 갱신하고, 홈 중개기 및/또는 대응하는 상대 노드에 대하여 갱신된 제 1등록 요구를 전송하는 등록 요구 중계부를 더 구비한다. 등록 요구 중계부는 도 10에서 S108과 S109를행하고, 도 17에서 S209와 S210을 행한다.
MSR은 패킷 전송부를 더 구비한다. 그 홈주소가 제 1등록에 기록된 이동 노드로 주소 설정된 데이터 패킷을 취득할 때, 패킷 전송부는 데이터 패킷을 캡슐화하여 터넬링 패킷을 생성하고 터넬링 패킷을 홈 어드레스와 결합하여 제 1등록에 기록된 CoA 주소로 전송한다. 패킷전송부는 도 10 및 도 17의 S117과 S221을 각각 실행한다.
MSR은 소거 요구 발생부를 더 구비한다. 제 1등록의 CoA 주소가 새로운 CoA 주소로 갱신될 때, 소거 요구 발생부는 갱신전에 제 1등록에 미리 기록된 CoA 주소로 주소 설정된 소거요구를 생성한다. 소거요구 발생부는 도 17의 S207을 실행한다.
상술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 노드가 외부 링크간을 이동할 경우에, 그 이동에 의한 전송 경로의 변경을 통지하는 역할을 완수하는 전송 경로 관리 패킷이 패킷 전송 경로 관리 장치에 도달하고 있으면, 그 패킷 전송 경로 관리 장치는, 전송 경로 관리 패킷에 의해 기억한 제 1 등록에 기초한 변경 후의 전송 경로로, 이동 노드의 통신 상대의 노드로부터의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종래와 같이, 이동 노드가 이동했을 때에 전송 경로 관리 패킷인 RR가 홈 중개기에 도달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이동 후의 이동 노드에 패킷이 도달하지 않고 패킷 손실이 생긴다고 하는 것이 없고, 패킷 손실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32)

  1. 이동 노드에 홈 링크와 홈주소를 제공하는 홈 중개기;
    상기 이동노드가 대응하는 외부 링크로 이동했을 때, 상기 이동 노드에 외부 링크와 CoA 주소를 각각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액세스 라우터;및
    상기 이동 노드와 상기 홈 중개기 사이의 수신지 또는 이동 노드가 위치하는 모든 대응하는 상대 노드로 패킷을 중계하고, 상기 이동 노드가 제 1외부 링크로 이동하였을 때, 상기 홈 중개기 및/또는 상기 대응하는 상대 노드로 주소 설정된 제 1등록요구를 취득하고, 상기 취득된 제 1등록요구에 포함된 이동 노드의 홈 주소와 CoA 주소를 갖는 제 1등록을 저장하고, CoA 주소를 그 자신의 주소로 변경하여 제 1등록요구를 갱신하고 홈 중개기 및/또는 대응하는 상대 노드로 갱신된 등록 요구를 통과시키도록 구성된 이동 지원 라우터를 구비하는 패킷 통신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지원 라우터가 그 홈 주소가 제 1등록에 포함되어 있는 이동 노드로 주소 설정된 데이터 패킷을 취득할 때, 상기 이동 지원 라우터가 데이터 패킷을 캡슐화하여 터넬링 패킷을 생성하고, 홈주소와 결합된 제 1등록에 기록된 CoA 주소로 상기 터넬링 패킷을 전송하는 패킷 통신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지원 라우터가 등록 요구, 이동 지원 라우터 자신에게 주소 설정된 데이터 패킷 및 제 1등록에 포함된 수신지 주소를 갖는 패킷이 아닌 패킷을 취득할 때, 상기 이동 지원 라우터는 상기 취득된 패킷에 대하여 통상의 라우팅 동작을 행하는 패킷 통신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홈 중개기가 갱신된 제 1등록 요구를 받을 때, 홈 중개기는 홈 주소와 갱신된 제 1등록요구에 포함된 갱신된 CoA 주소를 갖는 제 2등록을 저장하고,
    홈 중개기가 그 홈 주소가 제 2등록에 기록되어 있을 때 상기 이동 노드로 주소 설정된 데이터 패킷을 얻을 때, 홈 중개기는 데이터 패킷을 캡슐화하여 터넬링 패킷을 생성하고 상기 터넬링 패킷을 홈 주소와 결합된 제 2등록에 기록된 갱신된 CoA 주소에 전송하는 패킷 통신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지원 라우터에 저장된 제 1등록의 수가 소정 값에 달하면, 상기 이동 지원 라우터는 취득된 제 1등록 요구를 새로운 제 1등록에 저장하지 않고 상기 제 1등록요구에 포함된 CoA 주소를 변화시키지 않고 그대로 전송하는 패킷 통신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노드가 제 2외부 링크로 이동할 때 상기 이동 지원 라우터가 홈중개기 및/또는 대응하는 상대 노드로 주소 설정된 제 2등록 요구를 취득하도록 구성되고, 제 1등록에 기록된 CoA 주소를 제 2등록 요구에 포함된 새로운 CoA 주소로 변화시킴으로써 제 1등록을 갱신하는 패킷 통신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제 1등록은 홈 주소 및 CoA 주소와 결합되어, 취득된 제 1등록 요구에 포함된 수신지 주소를 더 갖는 패킷 통신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제 1등록의 CoA 주소가 새로운 CoA 주소로 갱신될 때, 상기 이동 지원 라우터는 홈 주소 및 수신지 주소와 결합하여 제 1등록에 미리 기록된 CoA 주소로 주소 설정된 소거 요구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패킷 통신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지원 라우터는 제 2외부 링크로 이동한 이동 노드의 홈 주소를 포함하는 소거요구를 수신하면, 상기 이동 지원 라우터는 그 홈 주소를 갖는 제 1등록을 소거하고, 홈 주소 및 수신지 주소와 결합하여 상기 소거된 제 1등록에 기록된 CoA 주소로 주소 설정된 새로운 소거 요구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패킷 통신 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지원 라우터가 시스템에서 다른 이동 지원 라우터로부터 제 1등록에 기록된 홈 주소를 포함하는 다른 소거 요구를 받으면, 상기 이동 지원 라우터는 홈 주소를 갖는 제 1등록을 소거하고, 홈 주소 및 수신지 주소와 결합하여 상기 소거된 제 1등록에 기록된 CoA로 주소 설정된 새로운 소거요구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패킷 통신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지원 라우터는 상기 제 1등록이 저장된 후 소정 시간이 경과했을 때 상기 제 1등록을 파기하는 패킷 통신 시스템.
  12. 이동 노드에 홈 링크 및 홈 주소를 제공하는 홈 중개기와 상기 이동노드가 대응하는 외부 링크로 이동했을 때 상기 이동 노드로 외부 링크와 CoA 주소를 각각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액세스 라우터를 포함하는 패킷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패킷 전송 경로 관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 노드가 제 1외부 링크로 이동했을 때 홈 중개기 및/또는 대응하는 상대 노드로 주소 설정된 제 1등록 요구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패킷 취득부;
    취득된 제 1등록요구에 포함된 이동 노드의 홈 주소와 CoA 주소를 갖는 제 1등록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제 1등록 저장부;및
    CoA 주소를 그 자신의 주소로 변경함으로써 제 1등록요구를 갱신하고, 홈 중개기 및/또는 대응하는 상대 노드에 대하여 갱신된 제 1등록 요구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등록요구 중계부를 구비하는 패킷 전송 경로 관리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홈 주소가 상기 제 1등록에 기록된 이동 노드로 주소 설정된 데이터 패킷을 취득할 때, 데이터 패킷을 캡슐화하여 터넬링 패킷을 생성하고, 터넬링 패킷을 홈 주소와 결합하여 상기 제 1등록에 기록된 CoA 주소에 전송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이동 노드가 위치하는 곳마다 이동 노드에 패킷을 중계하는 패킷 전송부를 더 구비하는 패킷 전송 경로 관리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취득부가 등록 요구도 아니고, 이동 지원 라우터 자신에게 주소 설정된 데이터 패킷도 아니고, 제 1등록에 포함된 수신지 주소를 갖는 패킷도 아닌 패킷을 취득할 때, 상기 패킷 전송부는 취득된 패킷에 대하여 통상의 라우팅 동작을 행하는 패킷 전송 경로 관리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등록 저장부에 저장된 제 1등록의 수가 소정 값에 달하면, 상기 제 1등록 저장부는 새롭게 취득된 제 1등록 요구에 대하여 새로운 제 1등록을 생성하지 않고, 상기 등록요구 중계부는 새롭게 취득된 제 1등록요구에 포함된 CoA 주소를 변화시키지 않고, 패킷 전송 경로 관리장치는 새롭게 취득된 제 1등록요구를 전송하는 패킷 전송 경로 관리장치.
  16. 제 12 항에 있어서,
    이동 노드가 제 2외부링크로 이동할 때 패킷취득부는 홈 중개기 및/또는 대응하는 상대 노드로 주소 설정된 제 2등록 요구를 얻도록 구성되고, 제 1등록 저장부는 제 1등록에 기록된 CoA 주소를 제 2등록 요구에 포함된 새로운 CoA 주소로 변화시킴으로써 제 1등록을 갱신하는 패킷 전송 경로 관리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제 1등록은 홈 주소 및 CoA 주소와 결합하여, 취득된 제 1등록 요구에 포함된 수신지 주소를 더 갖는 패킷 전송 경로 관리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제 1등록의 CoA 주소가 새로운 CoA 주소로 갱신될 때, 홈 주소 및 수신지 주소와 결합하여 제 1등록에 미리 기록된 CoA 주소로 주소 설정된 소거 요구를 생성하여 전송하도록 구성된 소거 요구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패킷 전송 경로 관리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패킷 전송 경로 관리장치가 제 2외부 링크로 이동한 이동 노드의 홈 주소를 포함하는 소거요구를 수신하면, 제 1등록 저장부는 홈주소를 갖는 제 1등록을 소거하고,
    홈주소 및 수신지 주소를 결합하여 소거된 제 1등록에 기록된 CoA 주소로 주소 설정된 새로운 소거 요구를 생성하여 전송하도록 구성된 소거 요구 발생부를 더 구비하는 패킷 전송 경로 관리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패킷 전송 경로 관리장치가 제 1등록에 기록된 홈 주소를 포함하는 다른 소거 요구를 다른 패킷 전송 경로 관리장치로부터 수신하면, 소거 요구 발생부는 소거된 제 1등록에서 홈주소와 수신지 주소가 결합되어 기록된 CoA 주소로 주소 설정된 새로운 소거요구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패킷 전송 경로 관리장치.
  21. 제 12 항에 있어서,
    제 1등록이 저장된 후 소정 시간이 경과했을 때 상기 제 1등록 저장부가 제 1등록을 파기하는 패킷 전송 경로 관리장치.
  22. 이동 노드에 홈 링크 및 홈 주소를 제공하는 홈 중개기와 상기 이동노드가 대응하는 외부 링크로 이동했을 때 상기 이동 노드로 외부 링크와 CoA 주소를 각각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액세스 라우터를 포함하는 패킷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전송 경로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홈중개기와 상기 액세스 라우터 사이에 이동 지원 라우터를 설정하고,
    상기 이동 지원 라우터에서, 상기 이동 노드가 제 1외부 링크로 이동했을 때 제 1액세스 라우터에 의해 생성되고 홈 중개기 및/또는 대응하는 상대 노드로 주소 설정된 제 1등록 요구를 취득하고,
    상기 이동 지원 라우터에서, 취득된 제 1등록요구에 포함된 이동 노드의 홈 주소와 CoA 주소를 갖는 제 1등록을 저장하고, 그리고
    상기 이동 지원 라우터에서, CoA 주소를 그 자신의 주소로 변경함으로써 제 1등록요구를 갱신하고, 홈 중개기 및/또는 대응하는 상대 노드에 대하여 갱신된 제 1등록 요구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패킷 전송 경로 관리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지원 라우터에서, 이동 노드로 주소 설정되고, 이동 노드의 홈 주소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취득하고,
    상기 이동 지원 라우터에서 저장된 임의의 제 1등록이 상기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동일한 홈주소를 갖고 있는지 아닌지 판단하고,
    상기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동일한 홈주소를 갖는 제 1등록이 있으면,데이터 패킷을 캡슐화하여 터넬링 패킷을 생성하고, 그리고
    터넬링 패킷을 상기 데이터 패킷의 홈 주소와 결합하여 상기 제 1등록에 기록된 CoA 주소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패킷 전송 경로 관리방법.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지원 라우터에서 패킷을 취득하고,
    상기 패킷이 등록 요구인지, 이동 지원 라우터 자신에게 주소 설정된 데이터 패킷인지, 상기 제 1등록에 포함된 수신지 주소를 갖는 패킷인지 판단하고, 그리고
    만약 상기 패킷이 등록 요구도 아니고, 이동 지원 라우터 자신에게 주소 설정된 데이터 패킷도 아니고, 상기 제 1등록에 포함된 수신지 주소를 갖는 패킷도 아니면, 통상의 라우팅 동작을 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패킷 전송 경로 관리방법.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홈 중개기에서 갱신된 제 1등록요구를 수신하고,
    상기 홈 중개기에서, 상기 갱신된 제 1등록요구에 포함된 홈주소 및 갱신된 CoA 주소를 갖는 제 2등록을 저장하고,
    상기 홈 중개기에서,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홈주소를 갖는 제 2등록이 있는지 판단하고,
    상기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홈주소를 갖는 제 2등록이 있으면,데이터 패킷을 캡슐화하여 터넬링 패킷을 생성하고, 그리고
    상기 터넬링 패킷을 홈 주소와 결합하여 상기 제 2등록에 기록된 갱신된 CoA주소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패킷 전송 경로 관리방법.
  26.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지원 라우터에 저장된 제 1등록의 수가 소정 값에 달하는지 판단하고, 그리고
    상기 제 1등록의 수가 소정 값에 달하면, 새로운 제 1등록을 저장하지 않고, 상기 제 1등록요구에 포함된 CoA 주소를 변화시키지 않고, 취득된 제 1등록요구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패킷 전송 경로 관리방법.
  27.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지원 라우터에서, 이동 노드가 제 2외부링크로 이동할 때 홈 중개기 및/또는 대응하는 상대 노드로 주소 설정된 제 2등록 요구를 취득하고, 그리고
    제 1등록에 기록된 CoA 주소를 제 2등록 요구에 포함된 새로운 CoA 주소로 변화시킴으로써 제 1등록을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패킷 전송 경로 관리방법.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등록은 홈 주소 및 CoA 주소와 결합되어, 상기 취득된 제 1등록 요구에 포함된 수신지 주소를 더 갖는 패킷 전송 경로 관리방법.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지원 라우터에서, 제 1등록의 CoA 주소가 새로운 CoA 주소로 갱신될 때, 홈 주소 및 수신지 주소와 결합하여 제 1등록에 미리 기록된 CoA 주소로 주소 설정된 소거 요구를 생성하고, 그리고
    상기 이동 지원 라우터로부터 상기 소거 요구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패킷 전송 경로 관리방법.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지원 라우터에서, 제 2외부 링크로 이동한 이동 노드의 홈 주소를 포함하는 소거요구를 수신하고,
    상기 소거 요구에 포함된 홈 주소를 갖는 임의의 제 1등록이 있는지 판단하고,
    상기 소거 요구에 포함된 홈 주소를 갖는 제 1등록이 있으면, 상기 제 1등록을 소거하고,
    홈주소 및 수신지 주소와 결합하여 상기 소거된 제 1등록에 기록된 CoA 주소로 주소 설정된 새로운 소거 요구를 생성하고, 그리고
    상기 새로운 소거 요구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패킷 전송 경로 관리방법.
  31.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지원 라우터에서, 다른 이동 지원 라우터로부터 전송되고 특정 홈 주소를 갖는 소거 요구를 수신하고,
    상기 소거 요구에 포함된 특정 홈 주소를 갖는 임의의 제 1등록이 있는지 판단하고,
    상기 소거 요구에 포함된 특정 홈 주소를 갖는 제 1등록이 있으면, 상기 제 1등록을 소거하고,
    홈주소 및 수신지 주소와 결합하여 상기 소거된 제 1등록에 기록된 CoA 주소로 주소 설정된 새로운 소거 요구를 생성하고, 그리고
    상기 새로운 소거 요구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패킷 전송 경로 관리방법.
  32. 제 22 항에 있어서,
    제 1등록이 저장된 후 소정 시간이 경과했을 때 상기 제 1등록을 파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패킷 전송 경로 관리방법.
KR10-2002-0047919A 2001-08-13 2002-08-13 패킷 통신 시스템, 패킷 전송 경로 관리 장치 및 패킷전송 경로 관리 방법 KR1004713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45591 2001-08-13
JPJP-P-2001-00245591 2001-08-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5153A true KR20030015153A (ko) 2003-02-20
KR100471384B1 KR100471384B1 (ko) 2005-03-10

Family

ID=19075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7919A KR100471384B1 (ko) 2001-08-13 2002-08-13 패킷 통신 시스템, 패킷 전송 경로 관리 장치 및 패킷전송 경로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342932B2 (ko)
EP (1) EP1284559A3 (ko)
KR (1) KR100471384B1 (ko)
CN (1) CN1402467A (ko)
SG (1) SG10830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2211B1 (ko) * 2008-03-10 2015-01-15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성을 지원하는 서버, 단말 장치 및 방법
KR20190134365A (ko) * 2018-05-25 2019-12-04 국방과학연구소 Hip 네트워크의 통신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60547B2 (en) * 2002-10-03 2008-12-02 Cisco Technology, Inc. Mobile director
US7552234B2 (en) * 2003-02-11 2009-06-23 Cisco Technology, Inc. Arrangement for establishing a bidirectional tunnel between a mobile router and a correspondent node
US7535878B2 (en) 2003-03-28 2009-05-19 Intel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ensuring reliable access to a roaming mobile node
US7558268B2 (en) * 2003-05-08 2009-07-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mbining forwarding tables in a distributed architecture router
JP4000479B2 (ja) * 2003-05-22 2007-10-31 日本電気株式会社 データ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及びその通信プログラム
KR20050027340A (ko) * 2003-09-15 2005-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네트워크에서 중첩경로를 이용한 중첩터널 최적화 방법
US7580396B2 (en) 2003-11-05 2009-08-25 Intel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obtaining and retaining a mobile node home address
JP4334425B2 (ja) * 2004-07-09 2009-09-30 富士通株式会社 ホームエージェント
CN100359878C (zh) * 2004-12-09 2008-01-02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三十研究所 一种移动ip终端无配置随遇接入的方法
KR101119101B1 (ko) * 2005-02-16 2012-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 적용되는 아이피 주소 할당 방법
US20070067132A1 (en) * 2005-09-19 2007-03-22 Tziouvaras Demetrios A Method and apparatus for routing data streams among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s
US7755872B2 (en) * 2006-09-14 2010-07-13 Schweitzer Engineering Laboratories, Inc. System, method and device to preserve protection communication active during a bypass operation
CN111245861B (zh) * 2020-02-07 2022-01-25 上海应用技术大学 电力数据存储和共享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30012B1 (en) * 1998-08-07 2001-05-08 Qualcomm Incorporated IP mobility support using proxy mobile node registration
US6496505B2 (en) * 1998-12-11 2002-12-17 Lucent Technologies Inc. Packet tunneling optimization to wireless devices accessing packet-based wired networks
KR100287900B1 (ko) 1998-12-31 2001-06-01 서평원 모바일 인터넷 프로토콜에 대한 라우팅 최적화방법
US6665537B1 (en) * 1999-01-21 2003-12-16 Qualcomm, Incorporated Automatic invocation of mobile IP registr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6578085B1 (en) * 1999-01-27 2003-06-10 Nortel Networks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route optimization in a wireless internet protocol network
DE69925453T2 (de) * 1999-02-26 2006-05-11 Lucent Technologies Inc. Mobiles IP ohne Einkapselung
WO2001006734A2 (en) * 1999-07-16 2001-01-25 3Com Corporation Mobile internet protocol (ip) networking with home agent and/or foreign agent functions distributed among multiple devices
KR100679803B1 (ko) * 1999-12-01 2007-02-07 주식회사 케이티 차세대 이동통신망에서 라우팅 영역 갱신 시스템 및 그 갱신 방법
KR100663561B1 (ko) * 1999-12-06 2007-01-02 주식회사 케이티 차세대이동통신(IMT-2000)에서이동인터넷프로토콜(Mobile IP)을 이용한 패킷데이터 서비스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JP3688547B2 (ja) * 2000-02-15 2005-08-31 株式会社東芝 位置識別子管理装置及び移動計算機並びに位置識別子管理方法及び位置識別子処理方法
US6947401B2 (en) * 2000-03-08 2005-09-2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Hierarchical mobility management for wireless networks
KR100752927B1 (ko) * 2000-11-23 2007-08-29 주식회사 케이티 차세대 이동통신망에서 국제 로밍 가입자를 위한로밍서비스 제공방법
US6973086B2 (en) * 2002-01-28 2005-12-06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securing mobile IPv6 home address option using ingress filtering
AU2003273340A1 (en) * 2002-09-18 2004-04-08 Flarion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using a care of address op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2211B1 (ko) * 2008-03-10 2015-01-15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성을 지원하는 서버, 단말 장치 및 방법
KR20190134365A (ko) * 2018-05-25 2019-12-04 국방과학연구소 Hip 네트워크의 통신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84559A2 (en) 2003-02-19
SG108302A1 (en) 2005-01-28
EP1284559A3 (en) 2007-04-04
CN1402467A (zh) 2003-03-12
KR100471384B1 (ko) 2005-03-10
US7342932B2 (en) 2008-03-11
US20030031156A1 (en) 2003-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31328B2 (en) Arrangement for traversing an IPv4 network by IPv6 mobile routers
KR100471384B1 (ko) 패킷 통신 시스템, 패킷 전송 경로 관리 장치 및 패킷전송 경로 관리 방법
US7447800B2 (en) Mobile router device, mobile network system, and mobility management method of mobile router device
JP4952583B2 (ja) 階層化移動管理システム、アクセスルータ、アンカーノード、移動通信システムおよび経路設定方法
US8064385B2 (en) Path control method and home agent
JP4616074B2 (ja) アクセスルータ、サービス制御システム、サービス制御方法
US9049625B2 (en) Route switching methods and systems
US20050083905A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EP1804443B1 (en) Path control device and path control method
US20070053328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intaining a secure tunnel in a packet-based communication system
EP2466815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itiating forwarding of communicaiton, information and data message and for routing configuration
KR100287900B1 (ko) 모바일 인터넷 프로토콜에 대한 라우팅 최적화방법
JP5054033B2 (ja) Mobile IPを利用した通信システム、移動端末、ホームエージェントおよびその通信方法
US7301963B2 (en) Method and device for data relaying
JP4425757B2 (ja) モバイル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20120104331A (ko) 외부 네트워크에서의 모바일 노드에 데이터를 라우팅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JP3536822B2 (ja) 移動端末管理システム、移動端末、エージェント及びプログラム
KR20160011774A (ko) 식별자 기반 네트워크 경로 설정 방법 및 장치
JPH1168846A (ja) パケットルーチング装置
KR101301188B1 (ko) 모바일 IPv6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패킷포워딩 방법
JP2003158540A (ja) パケット通信システム、パケット転送経路管理装置及びパケット転送経路管理方法
JPH06112944A (ja) 情報通信装置
JP4500831B2 (ja) ネットワークベースipモビリティプロトコルを利用した通信システム、制御装置、ルータ及びその通信方法
KR20050078309A (ko) 가변적인 홈 에이전트를 이용한 모바일 아이피 서비스제공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