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4365A - Hip 네트워크의 통신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Hip 네트워크의 통신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4365A
KR20190134365A KR1020180059899A KR20180059899A KR20190134365A KR 20190134365 A KR20190134365 A KR 20190134365A KR 1020180059899 A KR1020180059899 A KR 1020180059899A KR 20180059899 A KR20180059899 A KR 20180059899A KR 20190134365 A KR20190134365 A KR 201901343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trol message
address
hip
mob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9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9840B1 (ko
Inventor
함재현
최형석
강경란
방준호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80059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9840B1/ko
Publication of KR20190134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4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9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9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4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 H04L61/453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using an address exchange platform which sets up a session between two nodes, e.g. rendezvous servers, session initiation protocols [SIP] registrars or H.323 gatekeepers
    • H04L61/1535
    • H04L61/207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76Update or notification mechanisms, e.g. DynD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HIP 네트워크의 통신 방법에서, 이동 네트워크 내 이동 라우터가 단말로부터, HIP(Host Identity Protocol) RVS(Rendezvous Server)에 전송될 제어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동 라우터는 제어 메시지로부터 단말의 HIT(Host Identity Tag) 및 단말의 IP 주소를 저장한다. 저장된 단말의 IP 주소를 이동 라우터의 CoA(Care-of-Address)로 변경함으로써, 제어 메시지를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된 제어 메시지를 HIP RVS에 전송한다.

Description

HIP 네트워크의 통신 방법 및 시스템{HIP network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본 개시는 HIP 네트워크의 통신 방법 및 시스템 에 관한다.
Host Identity Protocol (이하 HIP)은 2008년에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이하 IETF)에서 실험문서로 등록되었으며 버전 2.0이 2015년에 표준으로 등록되었다. HIP의 핵심 아이디어는 기존의 IP가 식별자와 위치자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생기는 이동성 및 멀티호밍 지원의 한계를 극복하면서 동시에 안전한 연결 설정을 보장하는 것이다.
HIP은 단말 단위의 이동만을 고려하여 설계된 바 네트워크 단위의 이동이 발생했을 때 위치자 정보 변경을 통지하기 위한 제어 메시지의 양이 크게 늘어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IETF에서 정의한 Network Mobility Basic Support(이하 NEMO-BS)가 적용된 네트워크에서는, 네트워크 접속점이 변경되더라도 위치자 변경을 인지하지 못하여 위치자와 식별자를 분리하고 위치자는 최신의 위치를 반영한다는 HIP의 장점을 살리지 못하게 된다. 이에 따라, HIP 자체에 네트워크 단위의 이동성 지원 기능을 추가하기 위해 HIP-NEMO와 NeMHIP 등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HIP-NEMO와 NeMHIP 모두 단말의 이동성 지원 및 네트워크 이동성 지원을 위해 별도로 추진되고 있는 표준과의 연동을 고려하고 있지 않아서 인터넷에 실제 적용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IETF를 중심으로 개발되고 있는 이동성 지원 표준인 NEMO-BS 및 Distributed Mobility Management(이하, DMM)과 연동하여 실제 인터넷 환경에 적용할 수 있는 HIP 기반의 이동성 지원 방법을 제시한다.
HIP 네트워크의 통신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일 측면에 따르면, HIP 네트워크의 통신 방법은, 이동 네트워크 내 이동 라우터가 단말로부터, HIP(Host Identity Protocol) RVS(Rendezvous Server)에 전송될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제어 메시지로부터 단말의 HIT(Host Identity Tag) 및 단말의 IP 주소를 저장하는 단계; 저장된 단말의 IP 주소를 이동 라우터의 CoA(Care-of-Address)로 변경함으로써, 제어 메시지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및 업데이트된 제어 메시지를 HIP RVS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업데이트된 제어 메시지를 HIP RVS에 전송하는 단계는, 이동 네트워크가 상위 이동 네트워크에 속한 경우, 이동 라우터가 업데이트된 제어 메시지를 상위 이동 네트워크의 상위 이동 라우터에 전송하는 단계; 상위 이동 라우터가 업데이트된 제어 메시지로부터 단말의 HIT 및 이동 라우터의 IP 주소를 저장하는 단계; 상위 이동 라우터가 저장된 이동 라우터의 IP 주소를 상위 이동 라우터의 CoA(Care-of-Address)로 변경함으로써, 제어 메시지를 재업데이트하는 단계; 및 상위 이동 라우터가 재업데이트된 제어 메시지를 HIP RVS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HIP 네트워크 시스템 은, HIP(Host Identity Protocol) RVS(Rendezvous Server); 단말; 및 이동 라우터; 를 포함하고, 이동 라우터는 단말로부터, HIP RVS에 전송될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어 메시지로부터 단말의 HIT(Host Identity Tag) 및 단말의 IP 주소를 저장하고, 저장된 단말의 IP 주소를 이동 라우터의 CoA(Care-of-Address)로 변경함으로써, 제어 메시지를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된 제어 메시지를 HIP RVS에 전송한다.
도 1은 HIP 네트워크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HIP 중첩 이동 네트워크 환경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HIP 중첩 이동 네트워크 내 단말의 HIP RVS에의 등록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단말과 노드 간의 연결 설정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이동 네트워크의 주소가 변경된 경우 위치자 갱신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이동 네트워크 내 단말의 주소가 변경된 경우 위치자 갱신 및 데이터 전달 경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HIP 네트워크 내 단말의 HIP RVS에의 등록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실시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임의로 선정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 실시예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실시예들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들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도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하기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말아야 하며,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실시예들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오로지 예시를 위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HIP 네트워크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서 고려하는 HIP 네트워크 시스템(10)은 이동 단말(100)(Mobile Node, 이하 MN), 이동 라우터(110)(Mobile Router, 이하 MR) 및 Rendezvous Server(120)(이하, RVS)를 포함한다.
MN(100)은 WiFi 등의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장치이다.
MN(100)은 자신의 식별자와 현재 위치자(즉, IP 주소)를 RVS에게 등록하는 과정을 처리한다. MN(100)은 등록을 위해 RVS(120)에 HIP 제어 메시지를 전송한다.
MR(110)은 라우팅 기능을 갖춘 이동 장치이다. MR(110)은 MR(110)이 구성하는 이동 네트워크의 상위 이동 네트워크의 라우터에게는 단말로 취급되며, 이 장치의 라우팅 기능을 활용하는 단말에게는 라우터로 인식된다. MR(110)과 MR(110)을 라우터로 인식하는 이동 단말들이 하나의 독립된 네트워크를 이루게 되고, 이러한 MR(110)이 구성하는 네트워크를 이동 네트워크라고 한다.
MN(100)이 속한 이동 네트워크의 MR(110)은 MN(100)과 RVS의 경로 상에 위치하여, HIP 제어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고 MR(110)이 구성하는 이동 네트워크 내 MN(100)의 식별자 정보를 획득한다. HIP 제어 메시지는 IPv6의 확장 헤더로 구현되기 때문에 MN(100)과 RVS(120)의 경로 상에 위치하는 MR(110)이 HIP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MR(110)은 MN(100)으로부터 RVS(120)에 전송될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어 메시지로부터 MN(100)의 HIT(Host Identity Tag) 및 IP 주소를 SNI (Serving Node Information)라는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한다. 이후에, 제어 메시지의 송신자 주소를 MN(100)의 IP 주소에서 MR(110)의 CoA(Care-of-Address)로 변경하여, RVS로 전송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RVS(120)에는 MN(100)의 등록 정보로서 MN(100)의 HIT 및 MR(110)의 IP 주소가 저장될 수 있다.
RVS(120)는 Rendezvous 서비스를 구현한 장치이다. HIP을 이해하는 단말들은 Domain Name Service 또는 HIP 시스템 환경 설정 정보에 의해 RVS(120)의 주소를 알 수 있다.
 MN(100)로부터 제어 메시지를 수신한 RVS는, SNI에 제어 메시지의 송신자 IP 주소를MN(100)의 HIT에 대응하는 위치자로 저장한다. 추후에 MN(100)으로의 연결 설정을 요청하는 제어 메시지 I1을 수신하면 SNI에 등록된 IP 주소로 I1을 전달한다.
도 1에는 MR(110)이 구성하는 이동 네트워크 내의 이동 단말로 MN(100)만이 도시 되어 있으나, 이동 단말은 복수개가 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는 MR(110)이 구성하는 이동 네트워크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MR이 구성하는 이동 네트워크는 다른 이동 네트워크 내에 포함되어 중첩된 이동 네트워크를 이룰 수 있다. 따라서,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HIP 네트워크 시스템은 MR(110)이 구성하는 이동 네트워크의 상위 이동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상위 이동 라우터들 및 단말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중첩된 이동 네트워크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를 참고하여 후술한다.
도 2는 HIP 중첩 이동 네트워크 환경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중첩 이동 네트워크는 임의의 MR이 구성하고 있는 네트워크가 다른 MR이 구성하는 네트워크에 포함되어 이동 네트워크가 내포된 형태를 이루는 경우의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도 2의 HIP 중첩 이동 네트워크는 이동 단말 MN1, MN2, MN3, MN4 및 MN5, 이동 라우터 MR0 및 MR1, Corresponding Node(이하, CN), Access Router(이하, AR) 및 RVS를 포함한다. 이동 단말 MN, 이동 라우터 MR 및 RVS에 관한 일반적인 설명은 도 1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도 2를 참고하면, MR1의 이동 네트워크는 상위 이동 네트워크인 MR0의 이동 네트워크에 내포되어 있고, 따라서 MR1의 이동 네트워크의 중첩도는 2가 된다. 이 때, MR0에게 있어 MR1은 이동 라우터가 아닌 이동 단말 MN으로 인식된다.
MR1의 이동 네트워크는 MR0의 이동 네트워크에 내포됨에 따라, 이동 라우터 MR0가 구성하는 이동 네트워크는 이동 단말 MN1, MN2, MN3, MN4 및 MN5를 포함하게 된다.
CN은 이동 네트워크 내 단말과 연결을 설정하는 장치이다. AR은 고정된 인터넷 백본 네트워크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라우터로서 무선과 유선 방식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모두 갖출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MN혹은 MR들에게 인터넷 백본 네트워크로의 연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HIP 중첩 이동 네트워크 내 단말의 RVS에의 등록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이동 단말 MN4는 자신의 식별자와 현재 위치자(즉, IP 주소)를 RVS에 등록하기 위해, RVS에게 HIP 제어 메시지 I1을 전송한다.
이 때, MN4와 RVS의 경로 상에 위치하는 이동 라우터 MR1이 HIP 제어 메시지 I1을 수신하게 된다. MR1은 MN4의 HIT와 IP 주소 정보를 SNI에 저장하고, HIP 제어 메시지 I1의 송신자 주소를 MR1 자신의 CoA로 변경한다 (도 3의 ①).
MR1이 구성하는 이동 네트워크가 MR0가 구성하는 이동 네트워크에 내포되었으므로, DMM에 따라 MR0가 MR1의 HA(Home Agent)가 된다. 따라서, 이동 라우터 MR1은 상위 이동 라우터 MR0로 HIP 제어 메시지 I1을 전달한다.
MR0는 마찬가지로 SNI에 MR4 의 HIT와 송신자 IP 주소(즉, MR1의 IP 주소)를 저장하고, 송신자 주소를 MR0의 CoA로 변경한다 (도 3의 ②).
결과적으로 MR1 의 SNI에는 (MN4의 HIT, MN4 의 IP 주소)가 저장되고, MR0 의 SNI에는 (MN4 의 HIT, MR1 의 IP 주소)가 저장된다.
   MR0로부터 HIP 제어 메시지 I1을 수신한 RVS는 응답으로 HIP 제어 메시지 R1을 송신한다. 먼저, R1은 MR0에게 전달되며, MR0는 R1에 기록된 HIT에 기반하여 SNI를 검색해서 R1의 수신자 주소를 MR1의 IP 주소로 변경한다. 따라서 R1은 MR1에 전달된다. R1을 수신한 MR1은 R1 내의 HIT에 기반하여 SNI를 검색해서 R1의 수신자 주소를 MN4의 IP 주소로 변경한다. 결과적으로 MN4에 R1이 전송된다.
HIP 제어 메시지 I2와 R2 전송 과정도 I1과 R1 전송 과정의 처리와 동일하게 반복된다.
결과적으로, R2까지 처리된 이후에 RVS에 저장되는 정보는 (MN4의 HIT, MR0의 IP 주소)이다 (도 2의 ③). 즉 RVS에 등록되는 단말 MN4의 위치자는 MN4가 속한 이동 네트워크의 최상위 이동 라우터(즉, MR0)의 IP 주소로 설정된다.
도 4는 단말과 노드 간의 연결 설정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CN1은 이동 단말 MN4와 연결을 설정하고자, MN4의 HIT를 사용해서 RVS에게 HIP 제어 메시지 I1을 전송한다. RVS에는 이동 단말 MN4의 등록 정보로 (MN4의 HIT, MR0의 IP 주소)가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RVS는 MN4의 HIT 에 대응되는 IP 주소가 MR0의 IP 주소이므로, I1을 MR0에게 전달한다 (도 4의 ①).
MR0는 마찬가지로 I1 내 MN4의 HIT를 사용해서 SNI 내의 대응하는 IP 주소를 검색한다. MR0의 SNI에는 (MN4 의 HIT, MR1의 IP 주소)가 저장되어 있으므로, I1의 수신자 IP 주소를 MR1의 IP 주소로 변경하여 전달한다 (도 4의 ②).
MR1는 MR0와 마찬가지로 SNI를 검색하여, I1의 수신자 IP 주소를 MN4의 HIT에 대응하는 MN4의 IP 주소로 변경하여 전달한다(도 4의 ③). 따라서, 최종적으로 I1이 MN4에게 전달된다.
  R1은 도 3의 RVS에의 단말 등록 과정에 상술한 바와 같이 MN4, MR1, MR0을 거쳐 감에 따라 송신자의 주소가 MN4, MR1, MR0의 IP 주소로 변경되어, 최종적으로 R1이 CN1에게 전달된다 (도 4의 ④,⑤).
I2와 R2는 각각 I1과 R1의 전달 과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전달된다.  
또한, CN1에서 I2를 전송할 때, CN1과 MN4의 연결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로 사용할 IPv6 헤더의 flow label을 결정한다(도 4의 ⑥). IPv6 헤더의 flow label은 MR에서 이동 네트워크 내 단말로의 패킷 전달을 위한 수신자 주소 변경을 할 때 참고한다. 공존하는 연결들에 대해서는 서로 다른 값을 갖도록 보장해야 하므로, I2에서 flow label 값을 제안하고 이를 R2에서 확답하는 형식으로 진행한다. 이동 라우터 MR 1 및 MR0들은 R2에 포함된 flow label 값을 추출하여 flow Table에 (송신자 HIT, 수신자 HIT, flow label)로 기록해서 데이터 패킷 전달 시에 활용한다(도 4의 ⑦,⑧).
연결 설정 과정에서 R2에 포함되었던 flow label이 데이터 패킷의 IPv6 헤더에 포함되므로, CN1 MN4의 경로상에 위치한 이동 라우터 MR 1 및 MR0은 이를 추출하여 Flow Table에서 해당 flow label에 대응하는 수신자 HIT를 검색한다. 이동 라우터 MR 1 및 MR0 은 SNI에서 검색한HIT에 대응하는 IP 주소로 데이터 패킷을 전달하여 데이터가 교환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이동 네트워크의 주소가 변경된 경우 위치자 갱신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MR1이 구성하는 이동 네트워크는 MR0가 구성하는 이동 네트워크에 포함되어 있다가, MR2가 구성하는 이동 네트워크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MR1이 구성하는 이동 네트워크의 접속점이 변경된다.
여러 이동 단말 MN들을 보유한 이동 네트워크가 이동해서 네트워크 주소가 변경된 경우, 이동 네트워크의 이동 라우터만 변경된 네트워크 접속점의 네트워크 주소에 따라 CoA(즉, IP 주소)를 재구성한다. 따라서, 도 5에서 이동 라우터 MR1 만 주소 변경을 인지하고 새롭게 CoA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이동 네트워크 내 단말 MN3 및 MN4는 주소 변경을 인지하지 못한다.
도 3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네트워크의 내 단말의 위치자는 이동 네트워크의 이동 라우터의 IP주소로 등록된다. 따라서, 이동 라우터MR1이 구성하는 이동 네트워크가 이동한 경우 이동 라우터MR1이 변경된 MR1의CoA를 RVS에 등록한다. 또한, 이동 라우터MR1은 이동 네트워크 내 단말MN3 및 MN4들을 대신하여 RVS의 정보를 갱신한다. 이를 위해, MR1은 변경된 MR1의 CoA 및 MR1이 서비스하는 이동 네트워크 내 모든 단말MN3 및 MN4의 HIT를 포함한 MUPDATE 메시지를 RVS에 전송한다.
또한, 이동 라우터MR1은 상위 이동 라우터MR0에게 변경된 MR1의CoA를 포함하는 NEMOupdate 메시지를 전송하여 MR1의 주소가 변경되었음을 통지할 수 있다.
MR은 일반 MN들과 마찬가지로 RVS에 자신의 HIT와 IP 주소를 등록하며 RVS와 HIP 연결을 만들고 이 연결을 사용하여 MUPDATE를 전송한다.
따라서, MR에서 RVS로 발송하는 MUPDATE메시지에 대해서도 도 3의 MN의 RVS에의 등록 과정과 마찬가지로, 상위 이동 네트워크의 상위 이동 라우터에서 송신자 주소 변경 처리가 이루어진다.
도 6은 이동 네트워크 내 단말의 주소가 변경된 경우 위치자 갱신 및 데이터 전달 경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이동 단말 MN4가 MR1의 이동 네트워크에서 AR2로 이동한 경우의 위치자 갱신 및 데이터 전달 경로이다.
이동 단말MN4는 AR2가 발송하는 RA 메시지 수신을 통해 새로운 네트워크에 연결되었음을 감지하고 MN4의 CoA를 새롭게 설정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 MN4가 이동하기 전 MN4의 기존 HA(Home Agent)인 MR1에게 MN4의 변경된CoA를 포함하는Binding update(이하, BU) 메시지를 전송하여 MN4의 위치자가 변경되었음을 등록한다.
또한, BU 메시지를 전송받은MR1은 기존의MN4와의 연결에 따른 데이터들이 MN4의 최신 위치로 전달될 수 있도록, MR1의 상위 이동 라우터MR0에게 MN4의 변경된CoA를 포함하는 메시지 NEMOupdate를 전송한다. (도 6의 ①).
  MN4는 위치자 정보가 변경되었으므로 RVS에 MN4의 변경된 위치자를 등록하기 위한 과정을 진행한다. MN4와 RVS와의 연결이 이미 설정되어 있다면 HIP UPDATE 메시지를 전송한다. 만약, RVS와의 연결이 설정되어 있지 않다면 RVS 에의 단말 등록 과정이 먼저 이루어 진다. 이 때, AR2는 MR이 아니므로 HIP을 이해하지 못하므로, MN4가 전송하는 HIP 메시지들에 대해 변경이 발생하지 않고 원본 메시지들이 그대로 교환된다.
  MN4의 AR2로의 이동 전에 CN1과의 연결이 설정되었으므로, CN1으로부터 MN4로 향한 데이터 패킷은 MR0로 전달된다. MR0는 MR1로부터 MN4의 현재 IP 주소 정보를 획득했므로, AR2를 향하여 데이터 패킷을 전달하여 궁극적으로 데이터 패킷이 MN4에게 전달된다(도 6의 점선).
  MN4의 AR2로의 이동 후에 CN2가 MN4와의 연결 설정을 위해, RVS에게 I1 메시지를 전달한다. RVS는 MN4의 최신 CoA를 알고 있으므로 I1 메시지를 MN4에게 전달하여 HIP의 4-way handshaking 과정을 완료한다. 따라서, 데이터 패킷은 바로 AR2를 거쳐 MN4로 전달된다(도 6의 실선). 즉, 이동 후의 연결 설정은 이동 후의 위치에 부합하는 최적의 경로로 이루어진다.
도 7은 HIP 네트워크 내 단말의 HIP RVS에의 등록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단계 s710에서, 이동 네트워크 내 이동 라우터가 단말로부터, HIP(Host Identity Protocol) RVS(Rendezvous Server) 에 전송될 제어 메시지를 수신한다.
단말은 자신의 식별자와 현재 위치자(즉, IP 주소)를 RVS에게 등록하기 위해 RVS에 HIP 제어 메시지를 전송한다. HIP 제어 메시지는 IPv6의 확장 헤더로 구현되기 때문에 단말과 RVS의 경로 상에 위치하는 이동 라우터가 HIP 제어 메시지를 엿듣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동 라우터는 단말로부터 RVS에 전송될 제어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s720 단계에서, 이동 라우터는 제어 메시지로부터 단말의 HIT(Host Identity Tag) 및 단말의 IP 주소를 저장한다.
이동 라우터의 SNI 데이터베이스에는 (단말의 HIT, 단말 의 IP 주소)가 저장된다.
s730 단계에서, 이동 라우터는 저장된 단말의 IP 주소를 이동 라우터의 CoA(Care-of-Address)로 변경함으로써, 제어 메시지를 업데이트 한다.
s740 단계에서, 이동 라우터는 업데이트된 제어 메시지를 HIP RVS에 전송한다.
업데이트된 제어 메시지를 수신한 RVS에는 단말의 등록 정보로서 (단말의 HIT, 이동 라우터의 IP 주소)가 저장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HIP 네트워크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이동 네트워크 내 이동 라우터가 단말로부터, HIP(Host Identity Protocol) RVS(Rendezvous Server)에 전송될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 메시지로부터 상기 단말의 HIT(Host Identity Tag) 및 상기 단말의 IP 주소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단말의 IP 주소를 상기 이동 라우터의 CoA(Care-of-Address)로 변경함으로써, 상기 제어 메시지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및
    상기 업데이트된 제어 메시지를 상기 HIP RVS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HIP 네트워크의 통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된 제어 메시지를 상기 HIP RVS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네트워크가 상위 이동 네트워크에 속한 경우,
    상기 이동 라우터가 상기 업데이트된 제어 메시지를 상기 상위 이동 네트워크의 상위 이동 라우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상위 이동 라우터가 상기 업데이트된 제어 메시지로부터 상기 단말의 HIT 및 상기 이동 라우터의 IP 주소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상위 이동 라우터가 상기 저장된 이동 라우터의 IP 주소를 상기 상위 이동 라우터의 CoA(Care-of-Address)로 변경함으로써, 상기 제어 메시지를 재업데이트하는 단계; 및
    상기 상위 이동 라우터가 상기 재업데이트된 제어 메시지를 상기 HIP RVS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HIP 네트워크의 통신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네트워크의 주소가 변경된 경우,
    상기 이동 네트워크의 상기 이동 라우터가 상기 상위 이동 라우터에게 상기 이동 네트워크의 변경된 CoA를 포함한 NEMOupdate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HIP 네트워크의 통신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네트워크 내 상기 단말이 다른 이동 네트워크로 이동하여 상기 단말의 주소가 변경된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이동 네트워크의 상기 이동 라우터에게 상기 단말의 변경된 CoA를 포함한 BU 메세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HIP 네트워크의 통신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네트워크 내 상기 단말이 다른 이동 네트워크로 이동하여 상기 단말의 주소가 변경된 경우,
    상기 이동 네트워크의 상기 이동 라우터가 상기 상위 이동 라우터에게 상기 단말의 변경된 CoA를 포함한 NEMOupdate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HIP 네트워크의 통신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네트워크의 주소가 변경된 경우,
    상기 이동 라우터가 상기 이동 라우터의 변경된 CoA 및 상기 이동 네트워크 내 모든 단말들의 HIT를 포함한 MUPDATE 메시지를 상기 HIP RVS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HIP 네트워크의 통신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CN(correspondent node)이 전송한 상기 단말의 HIT를 포함한 제어 메시지 I1이 RVS를 거쳐 상기 단말에 전달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전송한 제어 메시지 R1이 상기 CN에게 전달되는 단계;
    상기 CN이 전송한 제어 메시지 I2가 상기 단말에 전달되는 단계;및
    상기 단말이 전송한 제어 메시지 R2가 상기 CN에게 전달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HIP 네트워크의 통신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CN(correspondent node)이 전송한 상기 단말의 HIT를 포함한 제어 메시지 I1이 HIP RVS를 거쳐 상기 단말에 전달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라우터가 HIP RVS에 저장된 상기 단말의 등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HIP RVS가 전송한 제어 메시지 I1을 수신하는 단계;및
    상기 이동 라우터가 상기 이동 라우터에 저장된 상기 단말의 HIT 및 상기 단말의 IP 주소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에게 제어 메시지 I1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HIP 네트워크의 통신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CN이 전송한 제어 메시지 I2가 상기 단말에 전달되는 단계는, 상기 CN이 상기 CN과 상기 단말의 연결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인 IPv6 헤더의 flow label을 결정하고,
    상기 단말이 전송한 제어 메시지 R2가 상기 CN에게 전달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라우터가 상기 IPv6 헤더의 flow label를 flow table에 저장하는 HIP 네트워크의 통신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IPv6 헤더의 flow label를 사용하여 상기 CN과 상기 단말 사이의 데이터를 교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HIP 네트워크의 통신 방법.
  11. HIP(Host Identity Protocol)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HIP RVS(Rendezvous Server);
    단말;및
    이동 라우터;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라우터는,
    상기 단말로부터 HIP RVS에 전송될 제어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메시지로부터 상기 단말의 HIT(Host Identity Tag) 및 상기 단말의 IP 주소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단말의 IP 주소를 이동 라우터의 CoA(Care-of-Address)로 변경함으로써, 상기 제어 메시지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업데이트된 제어 메시지를 상기 HIP RVS에 전송하는, HIP 네트워크 시스템.
KR1020180059899A 2018-05-25 2018-05-25 Hip 네트워크의 통신 방법 및 시스템 KR102109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899A KR102109840B1 (ko) 2018-05-25 2018-05-25 Hip 네트워크의 통신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899A KR102109840B1 (ko) 2018-05-25 2018-05-25 Hip 네트워크의 통신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4365A true KR20190134365A (ko) 2019-12-04
KR102109840B1 KR102109840B1 (ko) 2020-05-13

Family

ID=69004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9899A KR102109840B1 (ko) 2018-05-25 2018-05-25 Hip 네트워크의 통신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984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5153A (ko) * 2001-08-13 2003-02-20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패킷 통신 시스템, 패킷 전송 경로 관리 장치 및 패킷전송 경로 관리 방법
JP2012517165A (ja) * 2009-02-05 2012-07-26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ホスト・アイデンティティ・プロトコル・サーバ・アドレス構成
KR20140077671A (ko) * 2012-12-14 2014-06-2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호스트 식별 프로토콜 네트워크 환경의 이동통신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5153A (ko) * 2001-08-13 2003-02-20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패킷 통신 시스템, 패킷 전송 경로 관리 장치 및 패킷전송 경로 관리 방법
JP2012517165A (ja) * 2009-02-05 2012-07-26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ホスト・アイデンティティ・プロトコル・サーバ・アドレス構成
KR20140077671A (ko) * 2012-12-14 2014-06-2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호스트 식별 프로토콜 네트워크 환경의 이동통신 시스템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김혜영, 송의성, 길준민, 황종선, "Network Mobility 환경에서의 효율적인 위치관리 기법", 한국정보과학회, 정보과학회논문지 제32권 제2호 (2005.0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9840B1 (ko) 2020-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94520B2 (ja) ネットワーク主導型移動管理プロトコルにおける通信経路を最適化するシステム、アクセスゲートウェイ、ホームエージェント、およびプログラム
JP3633430B2 (ja) 通信方法、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及び記録媒体
US8279807B2 (en)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network node, and mobile terminal
US8077686B2 (en) Multiple packet data network support over trusted access
KR101080852B1 (ko) 프록시 모바일 아이피 네트워크에서의 네트워크 이동성 관리장치 및 방법
KR101400415B1 (ko) 네트워크 기반 서비스 플로우 바인딩 방법
US930747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facing wireless client device to multiple packet data networks
JP4968328B2 (ja) モバイルip通信システム、モバイルip通信装置およびモバイルip通信方法
US20110219126A1 (en) Mobile terminal, forwarding intermediate node and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WO2006104065A1 (ja) 移動ルータ、ホームエージェント、および端末位置管理方法
US8582534B2 (en) Support for multi-homing protocols
EP2466815B1 (en) Method and system for initiating forwarding of communicaiton, information and data message and for routing configuration
KR100915513B1 (ko) 프락시 모바일 IPv6에서 패킷 손실을 줄이기 위한 패킷버퍼링 장치 및 방법
US7916692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dge router, and transfer control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used therefor
US20090252114A1 (en)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Seamless Handover of Mobile Node Using Mobile Stream Control Transmission Protocol
JP2006352444A (ja) パケット転送システム及びパケット転送方法
KR102109840B1 (ko) Hip 네트워크의 통신 방법 및 시스템
US9942744B2 (en) Negotiating different mobile IP delivery styles
JP4425757B2 (ja) モバイル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101037531B1 (ko) 무선 인터넷 시스템에서 통신 상태 정보를 이용한 소프트핸드오버 방법
JP3861885B2 (ja) 移動端末及びパケット送信方法
WO2014000175A1 (zh) 会话路由方法、设备及系统
JP2003060684A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およびホームエージェントおよび通信相手端末および移動端末および移動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20150201048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bility Manage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JP2004247836A (ja) 通信制御方法、中継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